[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386374B1 - 트랜스코더 - Google Patents

트랜스코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6374B1
KR100386374B1 KR1019960705830A KR19960705830A KR100386374B1 KR 100386374 B1 KR100386374 B1 KR 100386374B1 KR 1019960705830 A KR1019960705830 A KR 1019960705830A KR 19960705830 A KR19960705830 A KR 19960705830A KR 100386374 B1 KR100386374 B1 KR 1003863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ft
decoder
signal
output
transcod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5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702666A (ko
Inventor
얼링 닐슨 마이클
지오프리 모리슨 데이비드
간바리 모하메드
Original Assignee
브리티쉬 텔리커뮤니케이션즈 파블릭 리미티드 캄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GB9414579A external-priority patent/GB9414579D0/en
Application filed by 브리티쉬 텔리커뮤니케이션즈 파블릭 리미티드 캄퍼니 filed Critical 브리티쉬 텔리커뮤니케이션즈 파블릭 리미티드 캄퍼니
Priority claimed from PCT/GB1995/000906 external-priority patent/WO1995029561A1/en
Publication of KR970702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7026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6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6374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video transcoding, i.e. partial or full decoding of a coded input stream followed by re-encoding of the decoded output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24Quant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0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temporal prediction
    • H04N19/51Motion estimation or motion compensation
    • H04N19/513Processing of motion v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Expansion, Code Conversion, And Decoders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운동 보상을 채용하는 제 1 및 제 2 부호화 게획간의 비디오 신호 전환용 트랜스코더는 제 1 부호와 계획에 따라 부호화된 수신 데이터 스트림을 복호화하는 디코더(28) 및 상기 디코더로부터의 데이터 스트림을 제 2 부호화 계획에 따른 데이터 스트림으로 부호화하는 인코더(30)를 포함한다. 상기 디코더(28)는 상기 수신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운동 벡터를 추출하고 그들(42)을 상기 인코더의 데이터 스트림으로 통과시켜 상기 운동 벡터의 재계산을 회피한다. 드리프트 보상수단(52∼64 ; 70∼78)은 한 화상 프레임 이후에 어떠한 결과적 드리프트를 보상하는 수단으로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트랜스코더{A TRANSCODER}
본 발명은 제 1 부호화 방법과 제 2 부호화 방법간의 신호 변환용 트랜스코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비디오 신호의 변환에 적합하다.
전송 링크를 경유하여 장거리로 동화상 텔레비전을 전송할 필요가 있을 경우가 많이 있다. 전송하는데 많은 비용이 들고 고대역폭의 링크가 필요한 디지털 형태로 전송될 때, 브로드 캐스트 특성의 텔레비전은 100 Mbit/s 이상을 요구한다. 수용할 만한 정도의 화질의 열화는 전송되는 정보의 내용을 저감하기 위해 도입될 수 있다. 부가적 또는 대안으로, 압축 부호화(coding) 기법이 사용될 수 있는데, 그것은 부호화되는 비디오 신호에 있어서 높은 수준의 공간 및 시간적 여유라는 이점이 있다. 그래서 예를 들면, 화상회의 응용에서 수백 kbit/s의 비트율까지 압축이 가능한 반면, 음향을 포함한 화상전화 수준의 화상은, 단일 전화회선과 동등한 고작 64kbit/s 정도로 압축될 수 있다.
여분 감축 기법은 인접 픽셀 또는 인접 픽셀의 블록간의 공간 및/또는 시간적 상관(correlation)이 존재하는 것을 가정한다. 가정과 실제 픽셀 또는 블록간의 차이뿐만 아니라 이러한 상관의 상세한 것도 부호화된다. 전형적으로 부호화되는 각각의 이미지 프레임은 N×M 픽셀들의 블록들로 분할되는 화소들(픽셀들)의 어레이로 구성된다.
예측 부호화는, 프레임 내에서의 값이 동일 또는 다른 프레임에서 몇개의 인접값과 관련되어 있다는 가정을 이용하고, 따라서 상기 값은 전송되는 대신에 수신기에서 계산될 수 있다. 이 경우, 이러한 가정으로 인하여 일어날 수 있는 예측 오차를 전송하는 것이 필요할 뿐이다. 예를 들면, 각각의 후속 픽셀이 선행 픽셀로부터의 차이로서 전송되는 동안에 프레임의 첫번째 픽셀은 정확히 전송될 수 있다. 좀더 복잡한 방법에서는 예측이 다수의 픽셀들의 조합일 수 있다.
변환 부호화는 픽셀 크기들을 다른 세트의 값들로 변환함으로써 프레임 내에서의 픽셀 크기의 상관을 이용하고, 이들 중 다수는, 상대적으로 작아서 보다 적은 수의 비트를 사용하여 부호화될 수 있다. 가장 통상적인 변환 부호화의 형태는 이산 코사인 변환(DCT)이다. N×M 픽셀들의 하나의 블록은 N×M의 변환 계수(coefficient)들의 어레이로 변환된다. 그 결과로 얻어진 계수 어레이는 가변 양자화 인자에 의하여 각각의 계수로 분할됨으로써 양자화된다. 양자화된 계수는 예를 들어 허프만 코드와 같은 가변 길이 코드로 부호화될 수 있다.
다른 부호화 기법으로는, 하나의 화상이 픽셀들의 블록들로 분할되고 현재 프레임의 각각의 블록이 기준 프레임의 대응하는 블록과 비교되는 이동보상(motion compensation)이 있는데, 이때, 기준 프레임은 이전 또는 후속 프레임일 수 있다. 그리고, 현재 프레임의 각각의 블록은 그 블록으로부터 위치가 시프트된 영역과 비교되어, 상기 블록과 가장 유사한 기준 프레임 영역이 식별된다.
식별된 영역과 문제의 블록간의 위치에 있어서의 벡터차는 이동백터(motion vector)로 불리우고, 기준 프레임의 식별된 영역을 현재 프레임에 있어서의 관련 블록의 위치로 시프트시키는데 사용된다. 이동백터는 현재 프레임의 모든 블록에대해 생성되며 이들은 기준 프레임으로부터 예측된 프레임을 이끌어 내는데 사용된다. 현재 프레임과 예측된 프레임간의 차이는 평균적으로 현재 프레임과 기준 프레임의 차이보다 작으며, 보다 낮은 비트율을 사용하여 부호화될 수 있다. 이미 저장된 기준 프레임을 갖고 있는 디코더는 이동 벡터 및 차이값(difference value)을 사용하여 현재 프레임을 재생해 낼 수 있다. 신호는 이미 언급한 부호화 기법을 개별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하여 부호화될 수 있다.
제 1 방법에 따라 부호화된 수신 데이터 스트림을 수용할 수 있고, 제 2 부호화 방법에 따라 부호화된 데이터 스트림을 출력할 수 있는 트랜스코더를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가 있다. 제 2 부호화 방법에 따라 작동되는 디코더를 가졌다면 그러한 트랜스코더는 원래의 인코더를 변형시키지 아니하고 제 1 부호화 방법에 따라 부호화된 전송 수신을 허용할 것이다. 예를 들어, 트랜스코더는, ITU-T 표준 H.261에 따르면서 종합정보통신망(ISDN) 비디오 터미널로부터의 64 kbit/s의 비디오 신호를 디지털 유럽 무선전화망(DECT)을 통한 전송용의 32 kbit/s의 신호로 변환하는데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기존의 트랜스코더는 제 1 부호화 방법에 따라 부호화된 비디오 신호를, 새로운 압축된 데이터 스트림을 출력하기 위하여, 제 2 부호화 방법에 따라 인코더에 의하여 부호화된 비압축 비디호 신호로 복호화한다. 전체 디코딩 조작이 수행되어 원래의 비디오 신호를 재구축하면 이 비디오 신호는 제 2 부호화 방법에 따라 새로 부호화된 데이터 스트림을 제공하기 위하여 부호화된다. 이동 보상을 포함하는 부호화 방법의 경우, 새로운 이동 벡터는 새로운 포맷에 따라 부호화된 신호에 대해생성되어야만 하는데, 이것은 종래의 트랜스코더의 처리시간의 큰 비율을 차지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 보상 기법을 채용하는 제 1 부호화 방법에 따라 부호화된 비디오 신호의 복호화용 디코더, 및 제 2 부호화 방법에 따라 상기 복호화된 비디오 신호의 부호화용 인코더를 포함하는 트랜스코더에 있어서, 상기 디코더가 상기 비디오 신호로부터 이동 보상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이동 보상 정보를 상기 인코더로부터 출력된 상기 부호화된 비디오 신호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코더가 제공된다.
상기 이동 보상 정보는 상기 디코더로부터 상기 인코더의 출력측으로 변형되지 않은 채 전달될 수 있으며, 이로써 상기 트랜스코더에서 요구되는 처리를 감축시킬 수 있다. 대안으로, 상기 이동 보상 정보는 상기 2종의 부호화 방법의 압축비율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상기 트랜스코더의 디코더 및 인코더는 비상수 클록 속도(clock rate)로 동작할 수 있으며, 주데이터 경로의 버퍼용량은 종래의 트랜스코더에 비하여 감축될 수 있다.
2종의 부호화 방법의 이동 보상 블록의 크기가 동일할 필요는 없다. 두 방법의 해상도가 동일하면 이동벡터가 변화되지 아니하고 전달될 수 있고, 블록 크기가 변화되는 경우, 이동 벡터의 몇개는 적절히 복제되거나 버려질 필요가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제 1 부호화 방법의 이동 보상 블록 크기가 16×16 픽셀이고 제 2 부호화 방법의 이동 보상 블록크기가 8×8 픽셀이면, 하나의 16×16 블록에 대한이동 벡터는 제 2 방법의 공통으로 배치된 4개의 8×8 블록에 대하여 사용될 수 있다. 제 1 부호화 방법의 블록 크기가 8×8 픽셀이고 제 2 부호화 방법의 블록크기가 16×16 픽셀이면, 제 2 부호화 방법에 대한 이동 벡터에 초과분이 있게 된다. 그래서 예를 들어, 4개의 관련된 이동 백터의 평균이 계산되고 사용될 수 있다.
입력 화상의 해상도가 출력 화상의 해상도와 다르면, 상기 벡터는 적당하게 크기가 조절된다. 예를 들어, 양쪽 부호화 방법의 이동 보상 블록이 16×16 픽셀이고 입력 해상도가 352×288 픽셀, 출력 해상도가 176×144 픽셀이라면, 상기 트랜스코더로의 벡터 입력은 상기 부호화된 비디오 신호로 전달되기 전에 둘로 분할된다. 계산의 복잡성이 종래의 이동 벡터 추정에 비해 작다.
예측 부호화가 사용되면, 전송 오차에 기인하여 원래의 인코더로부터 전달된 데이터와 목적 디코더에서 복호화된 데이터간의 불일치가 일어날 수 있다. 그러므로, 최종 디코더에 형성된 복호화된 이미지는, 상기 복호화된 신호의 완전성을 회복하기 위하여 비예측 부호화가 때때로 채용되지 않으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하는 결함을 갖게 될 것이다. 그러나 원래의 인코더는, 원래의 인코더가 인식하지 못하는 트랜스코더가 채용되는 경우, 수용가능한 복호화된 이미지가 목적 인코더에서 구축되게끔 충분히 자주 비예측 부호화를 채용하지 않을 수 있다. 이것은 트랜스코더에 의해 수신된 비디오 신호와 트랜스코더로부터 출력된 비디오 신호 간의 드리프트(drift)를 일으키게 될 것이다.
따라서, 트랜스코더가 드리프트 보상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이득이 된다. 상기 드리프트 보상 수단은 상기 디코더의 출력과 인코더의 출력간의 드리프트를 나타내는 신호를 형성하는 수단, 상기 드리프트 신호를 저장하는 수단, 및 상기 드리프트 신호를 상기 디코더의 출력에 부가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드리프트 신호는 한 화상 주기의 지연 후에 디코더의 출력에 부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은 부호화된 신호에 있어서 지연을 도입하지 않고 드리프트를 보상한다.
상기 드리프트 신호는 임계치에 종속되어 그것이 상기 임계치를 초과할 때에만 상기 디코더의 출력에 부가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코더가 역양자화기를 포함하고 상기 인코더가 상기 역양자화기와는 다른 양자화 단계 크기를 갖는 양자화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2 측면을 따르면, 제 1 부호화 방법에 따라 부호화된 신호를 복호화하는 디코더, 및 제 2 부호화 방법에 따라 상기 복호화된 신호를 부호화하는 인코더를 포함하는 트랜스코더는 상기 디코더로부터의 출력과 상기 인코더로의 입력간의 드리프트를 보상하는 보상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예를 드는 방식으로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제 1 도는 기존 트랜스코더의 개략도;
제 2 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코더의 개략도;
제 3 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코더의 개략도;
제 4 도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코더의 개략도;
제 5 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코더의 개략도; 및
제 6 도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코더의 응용예이다.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 트랜스코더는 디코더(28) 및 인코더(30)를 포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디코더(28)는, 이동 보상 및 차분신호(difference signal)의 DCT 코딩을 채용하는 제 1 부호화 방법에 따라 부호화된 비디오 신호, 즉 CCITT H.261 표준에 따르는 64 kbit/s 신호를 수신하는 가변 길이 디코더(2)를 포함한다. 상기 디코더(2)는 상기 수신 데이터를 검출하고 양자화된 DCT 계수, 양자화 인덱스 및 이동 벡터로 변환한다. 상기 DCT 계수는 역양자화기(4), 및 상기 DCT 계수를 픽셀차분 값으로 변환하는 역DCT 프로세서(6)로 통과된다.
상기 이동 벡터는, 이전 프레임에서 예측 픽셀 블록의 어드레스를 계산하는 이동 보상기(motion compensator: 8)를 통과한다. 이 블록은 이전 프레임 저장소(12)로부터 복구되며 가산기(10)에서 현재 블록의 복호화된 데이터 스트림을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역 DCT 프로세서(6)의 출력에 가산된다. 상기 복호화된 데이터 스트림은 다음 프레임의 참조용으로서 이전 프레임 저장소(12)에 저장된다.
또한, 상기 복호화된 데이터 스트림은 상기 트랜스코더의 인코더(30)를 통과하고, 이동 추정기(14)는 현 블록과 매우 유사한, 픽셀의 오프셋 블록을 찾기 위하여 이전 프레임 버퍼(16)를 검색한다. 가장 적당한 블록의 이동 벡터가 계산되고, 상기 이전 프레임 버퍼(16)로부터 블록이 복구되며 차분 신호를 형성하기 위하여 수단(15)에 의해 상기 복호화된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감산된다. 현재 블록에 대 한 차분 신호는 DCT 프로세서(18)에 의하여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된다. 생성된 주파수 계수는 트랜스코더의 출력에서 요망되는 비트율에 적합한 스텝 크기를 갖는 양자화기(20)에서 양자화된다. 가변 길이 코더(22)는 상기 양자화기(20)의 출력과 상기 이동 추정기(14)로부터의 이동 벡터를 가변 길이 코드로 변환하고 새로운 포맷의 데이터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트랜스코더의 인코더(30)는 역양자화기(24) 및 역DCT 프로세서(26)를 포함하는 로컬 디코더를 포함한다. 상기 역DCT 프로세서(26)와, 이동 추정기 및 보상기(14)의 출력은 이전 프레임 저장소(16)에 저장되는 갱신된 예측 프레임을 생성하기 위하여 가산기(27)에 입력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코더가 제 2 도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트랜스코더는, 제 1 포맷에 따라 예를 들어 64kbit/s로 CCITT 표준 H.261에 따라 부호화된 인입신호를 복호화하는 가변길이 디코더(40)를 포함한다. 상기 디코더(40)는 상기 가변 길이 코드를 검지하고 DCT 계수 및 이동 벡터로 변환한다. 이동 벡터는 기호 42로 표시된 바와 같은 추가의 처리를 거치지 아니하고 상기 트랜스코더를 통하여 통과된다. 그와 같은 트랜스코더는 동일한 화상 해상도, 변환 블록 크기, 및 이동 보상 블록크기를 갖는 코딩 방법에 적당하다. 상기 DCT 계수는 역양자화기(44)의 입력이 되고, 그 결과 생성된 데이터는 출력 포맷 예를 들어, 32kbit/s에 적합한 서로 다른 양자화 단계 크기로 양자화기(46)에 의하여 재양자화된다. 상기 새로운 DCT 계수는 가변 길이 코더(48)에 의하여 부호화되고, 멀티플렉서(50)에서, 변형되지 아니한 이동 벡터(42)와 재조합된다.
상기 복호화는 버퍼링없이 전송 시스템으로부터의 부호화된 데이터에 직접수행되며 멀티플렉서(50)의 출력까지 지연이 거의 없는데, 이것은 상기 처리가 짧은 대기시간을 갖기 때문이다. 필요할지도 모르는 유일의 버퍼가 멀티플렉서와 트랜스코더의 출력측 사이에 있을 수 있고, 통상의 인코더에서와 같이 동일한 두가지 기능을 하게 될 것이다. 말하자면, 상기 부호화된 데이터를 평활화하고 상기 양자화기(46)의 부가적 제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필요로 하는 평활화는, 양자화기(46)의 이산적 특성에 기인한 출력율에 있어서의 국부적으로 제한된 어떠한 변화를 커버하는 것일 뿐이어서, 이 버퍼(도시하지 않음) 및 그 지연은 크기의 차수이거나 종래의 인코더의 그것보다 작을 수 있다.
제 3 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코더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것은 서로 다른 화상 해상도 예를 들어, 제 1 부호화 방법은 388×288 픽셀의 해상도를 가지며, 제 2 부호화 방법은 176×144 픽셀의 해상도를 갖는 부호화 방법에 적합하다. 이동 벡터 스케일러(45)는 인입 이동 벡터를 0.5배로 크기조정하고, 생성된 이동 벡터(42a)는 제 2 도를 참조하여 설명된 것과 같이 VLC의 출력과 함께 다중화된다.
양자화기(46)는 트랜스코더의 출력에, 원래의 인코더에서 예측되지 않았던 양자화 오차를 도입한다. 이 오차 또는 드리프트는 이 드리프트가 보상되지 않으면 시간의 경과에 따라 누적될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르면, 이동 벡터(42)의 경로의 변화없이 곧바로 트랜스코더 그 자체에서 보정이 적용된다. 이 개념은 가능한 한 신속히 변환계수를 재양자화하는 것으로 원래의 인코더(도시하지 않음)와 최종 디코더(도시하지 않음)간의 오차가 도입될 것임을 인정하고, 상기 부호화된 데이터를 상기 최종 디코더로 디스패치시키고, 도입되는 오차를 계산하여 다음 기회에 그것을 보정하도록 시도하는 것이다. 물론, 그 시간에 새로운 오차가 현재 계수의 재양자화에 의하여 도입될 것이다. 또한 각각의 보정은 두 양자화 법칙의 이산적 특성으로 인하여 완벽하게 될 수는 없다. 그리하여 상기 트랜스코더는 유발된 이전 오차를 따라잡기 위하여 연속적으로 보정을 시도한다.
제 3 도에 따른 트랜스코더는 이러한 드리프트 보상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역양자화기(44)로부터의 출력은 역DCT 프로세서(52)로 공급되고 양자화기(46)의 출력은 역DCT 프로세서(54)로 공급된다. 그 결과로 얻어진 픽셀 차분 값은 가산기(56, 58)를 각각 경유하여 프레임 저장소(60,62)로 각각 출력되며 그 내용은 원래의 이동 벡터(42) 및 크기가 조정된 이동 벡터(42a)에 의하여 각각 보상된다. 하나의 프레임의 지연 이후, 프레임 저장소(60, 62)의 내용은 수신 데이터(프레임 저장소(60)에 저장)와 전송된 데이터(프레임 저장소(62)에 저장)간의 드리프트 신호를 형성하기 위하여 감산기(63)에 의해 감산된다. 이 드리프트 신호는 DCT 프로세서(64)에 의하여 주파수 영역으로 다시 변환되고, 가산기(65)에 의하여 역양자화기(44)의 출력에 가산된다. 상기 드리프트는 하나의 프레임의 지연후에 보상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 저장소(60. 62)의 이동 보상된 내용은 각각 상기 가산기(56, 58)의 제 2 입력을 형성한다.
오차 또는 드리프트는 원래의 부호화된 데이터 및 비트율이 감축된 버전 모두의 픽셀 영역으로의 완전한 부호화와 그 차의 형성에 의하여 얻어진다. 그런 다음에, 이것은 변환되고, 양자화기 바로 직전의 주경로로 복귀하여 가산된다. 오차를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재구축된 비디오 신호는 화상 저장소의 출력으로부터 취해지며, 주경로에 대하여 하나의 화상이 지연된 것이다. 제 4 도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코더의 대체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것은 동일한 화상 해상도, 변환 블록 크기 및 이동 보상 블록 크기를 갖는 부호화 방법에 적합하다. 유사한 소자는 동일 참조번호로 표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드리프트 신호는 픽셀영역과 반대로 주파수 영역에서 형성된다. 역 양자화기(44) 및 양자화기 (46)의 출력은 수신 신호의 DCT 계수와 전송된 신호의 DCT 계수간의 드리프트 신호를 형성하기 위하여 감산기(70)로 입력된다. 이 드리프트 신호는 역DCT 프로세서(72)에 의하여 픽셀 영역으로 변환된다. 역DCT 프로세서(72)로부터의 출력은 가산기(74)로의 하나의 입력을 형성하고, 가산기의 출력은 프레임 저장소(76)로 통과된다. 이전처럼 한 프레임의 지연이후에 프레임 저장소의 내용은 DCT 프로세서(78)에 의하여 주파수 영역으로 재전송된다. 또한 프레임 저장소의 내용은 상기 가산기(74)로의 제 2 입력을 형성한다.
제 5 도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코더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것은 이동 보상 기법을 채용하지 않는 부호화 방법에 적합한 것이다. 이러한 트랜스코더는 드리프트 보상 수단을 포함하고, 비디오 신호 뿐만 아니라 다른 신호들의 사용에도 적합한 것이다. 이전처럼, 유사한 소자는 동일 참조 번호로 표시되어 있다. 제 5 도의 트랜스코더는 제 3 도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동작한다. 이동 보상이 관련되지 않을 때, 드리프트 보상은 변환 영역에서 완전하게 계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감축된 비율이 상수가 아닌 경우, 소위 가변 비트율(Variable Bit Rate; VBR)시스템의 응용에도 마찬가지로 잘 작용한다. 패킷 비디오와 특별한 관련을 가진 예는 제 6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합정보통신망(ISDN)과 접속된 터미널과 랜(LAN)상의 다른 터미널간의 접속이다. 상기 ISDN 터미널로부터 상수비율로 압축된 비디오는, LAN 트래픽이 충분히 작을 때 변화되지 아니한 채 게이트웨이 트랜스코더(80)에 의하여 LAN으로 전달된다. 그러나, 랜상에서 정체현상이 있는 동안에, 게이트웨이 트랜스코더(80)는 랜상에서 필요로하는 비디오데이터 비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원래의 인코더(84)로 복귀되는 제어 메커니즘은 필요하지 않다. 세계 어느 곳에 있을 수 있는 장거리 인코더로의 전송지연 시간의 잠재적 문제 및 장거리 인코더에 의한 반응 시간의 잠재적 문제는 일어나지 않는다. 더욱이 트랜스코더는 거의 임의의 크기로 비율 변환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이산 64kbit/s 또는 H.320/H.221에서 가능한 20밀리초 범위에서의 단계와 비유되는 임의의 순간의 비율 변환을 실행할 수 있다.
가변 비트율 변환에 고정된 또 다른 예는 모바일 응용(mobile applications)과 같은 네트워크에서 일어날 수 있을 것이며, 자동 반복 요구(Automatic Repeat reQuest : ARQ) 메커니즘은 유효 처리비율을 동적으로 감소시킨다.
가변 비트율 응용의 상기 예에서 상기 트랜스코더는 역양자화기(44) 및 양자화기(46)의 양자화 인덱스가 동일한 경우 통상 비활성이다. 그러므로 화질은 트랜스코더에 의하여 손상되지 않는다. 상기 트랜스코더(80)의 비트율 감소는 전송 문제에 대한 완화를 위해 비교적 짧은 시간 동안에만 일어난다. 화질의 일시적 열화는 예측 알고리듬상의 데이터 손실의 통상의 영향보다는 훨씬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트랜스코더는 터미널 예를 들어, LAN의 터미널(86)로부터의 상수 비트율 데이터를 ATM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전송하기 위한 VBR 데이터로 변환시키는 데에도 적합하다.
본 발명의 트랜스코더로부터의 부호화된 데이터는 전송된 데이터비율로 동작하는 디코더, 또는 보다 고율의 데이터 비율 예를 들어, 원래의 인코더의 데이터비율로 동작하는 디코더로 전송될 수 있다.

Claims (9)

  1. 이동 보상 기법을 채용하는 제 1 부호화 방법에 따라 부호화된 비디오 신호의 복호화용 디코더, 및 제 2 부호화 방법에 따라 상기 복호화된 비디오 신호의 부호화용 인코더를 포함하는 트랜스코더에 있어서,
    상기 디코더는 상기 비디오 신호로부터 이동 보상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이동 보상 정보를 상기 인코더로부터의 상기 부호화된 비디오 신호 출력측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코더.
  2. 제 1 항에 있어서,
    드리프트 보상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코더.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드리프트 보상 수단은,
    상기 디코더의 출력과 상기 인코더의 출력간의 드리프트를 나타내는 신호를 형성하는 수단;
    상기 드리프트 신호를 저장하는 수단; 및
    상기 드리프트 신호를 상기 디코더의 출력에 가산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코더.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드리프트 신호는 지연후에 상기 디코더의 출력에 가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코더.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드리프트 신호는 한 화상 주기 지연후에 상기 디코더의 출력에 가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코더.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드리프트 신호 형성 수단은 주파수 영역에서 드리프트 신호를 형성하고,
    상기 드리프트 신호를 픽셀 영역으로 변환하는 수단 ; 및
    상기 드리프트 신호를 다시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하는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코더.
  7.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드리프트 보상 수단은 픽셀 영역에서 상기 디코더의 출력 및 인코더의 출력을 저장하고 픽셀 영역에서 드리프트 신호를 형성하는 수단, 및 상기 드리프트 신호를 다시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코더.
  8.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드리프트 신호는 상기 드리프트 신호가 임계치를 초과할 때에만 상기 디코더의 출력에 가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코더.
  9.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더는 역양자화기를 포함하고, 상기 인코더는 상기 역양자화기와는 다른 양자화 단계 크기를 갖는 양자화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코더.
KR1019960705830A 1994-04-21 1995-04-21 트랜스코더 Expired - Lifetime KR1003863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4302829.0 1994-04-21
EP94302829 1994-04-21
GB94302829.0 1994-07-19
GB9414579A GB9414579D0 (ko) 1994-04-21 1994-07-19
GB9414579.4 1994-07-19
PCT/GB1995/000906 WO1995029561A1 (en) 1994-04-21 1995-04-21 A transcod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702666A KR970702666A (ko) 1997-05-13
KR100386374B1 true KR100386374B1 (ko) 2003-10-11

Family

ID=49515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5830A Expired - Lifetime KR100386374B1 (ko) 1994-04-21 1995-04-21 트랜스코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637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702666A (ko) 1997-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40130A (en) Video transcoder with by-pass transfer of extracted motion compensation data
Morrison et al. Reduction of the bit-rate of compressed video while in its coded form
EP0691054B1 (en) Efficient transcoding device and method
US5764298A (en) Digital data transcoder with relaxed internal decoder/coder interface frame jitter requirements
EP0756803B1 (en) A transcoder
US5870146A (en) Device and method for digital video transcoding
US691225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coding coded video image data
JPH09121358A (ja) 画像符号化及び復号化装置と方法
JPH0937245A (ja) 動画像伝送システム及び動画像伝送装置
KR100386374B1 (ko) 트랜스코더
KR20020001769A (ko) 트랜스코딩 방법 및 장치
US7085321B2 (en) Compression
HK1014412B (en) A transcoder
HK1014412A1 (en) A transcoder
KR100235357B1 (ko) 프로그레시브 전송시 손실 셀 은폐를 위한 피라미드 복호 장치
HK1013567B (en) A transcoder
JPH04134988A (ja) 画像の符号化装置
JPH07250330A (ja) 階層符号化伝送方式及び送受信装置
HK1075779B (en) Code conversion/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oving picture data, and code conversion/recep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oving picture data
HK1075779A1 (zh) 運動畫面數據的代碼轉換/發送方法和裝置和運動畫面數據的代碼轉換/接收方法和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1018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0041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203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302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05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305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4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4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4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5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51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51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51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0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51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8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50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EXPY Expiration of term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151021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