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351011B1 - 다이나믹 램 캐패시터 형성 방법 및 다이나믹 램 셀 - Google Patents

다이나믹 램 캐패시터 형성 방법 및 다이나믹 램 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1011B1
KR100351011B1 KR1019990059749A KR19990059749A KR100351011B1 KR 100351011 B1 KR100351011 B1 KR 100351011B1 KR 1019990059749 A KR1019990059749 A KR 1019990059749A KR 19990059749 A KR19990059749 A KR 19990059749A KR 100351011 B1 KR100351011 B1 KR 1003510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acitor
dielectric layer
well
transistor
plu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9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48287A (ko
Inventor
최승무
Original Assignee
루센트 테크놀러지스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루센트 테크놀러지스 인크 filed Critical 루센트 테크놀러지스 인크
Publication of KR20000048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82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10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1011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12/00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devices
    • H10B12/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B12/02Manufacture or treatment for one transistor one-capacitor [1T-1C] memory cells
    • H10B12/03Making the capacitor or connections thereto
    • H10B12/033Making the capacitor or connections thereto the capacitor extending over the transistor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1/00Resistors, capacitors or inductors
    • H10D1/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D1/041Manufacture or treatment of capacitor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 H10D1/042Manufacture or treatment of capacitor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using deposition processes to form electrode extens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1/00Resistors, capacitors or inductors
    • H10D1/60Capacitors
    • H10D1/68Capacitor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 H10D1/682Capacitor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having dielectrics comprising perovskite structur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84/00Integrated devices formed in or on semiconductor substrates that comprise only semiconducting layers, e.g. on Si wafers or on GaAs-on-Si wafers
    • H10D84/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D84/0123Integrating together multiple components covered by H10D12/00 or H10D30/00, e.g. integrating multiple IGBTs
    • H10D84/0126Integrating together multiple components covered by H10D12/00 or H10D30/00, e.g. integrating multiple IGBTs the components including insulated gates, e.g. IGFETs
    • H10D84/0149Manufacturing their interconnections or electrodes, e.g. source or drain electr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집적 DRAM 셀은 DRAM 캐패시터 및 트랜지스터를 구성한다. 셀의 캐패시터는 위의 셀 트랜지스터 위의 유전체 층에 있는 제 1 웰에 형성된다. 또한 캐패시터의 상부 전극은 유전체 층의 제 2 웰에 있는 하부 플러그 사이에서 장벽 층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위의 셀을 형성하는 방법은 캐패시터의 상부 전극 및 제 2 웰의 장벽 층의 역할을 하는 층의 형성을 위한 단일 마스크를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이나믹 램 캐패시터 형성 방법 및 다이나믹 램 셀{Method for forming a DRAM capacitor and capacitor made thereby}
본 발명은 다이나믹 랜덤 엑세스 메모리(DRAM) 제작 및 장치에 관한 것이고, 특히, 다이나믹 랜덤 엑세스 메모리 셀의 캐패시터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및 그로 인해 형성된 셀에 관한 것이다.
고밀도 DRAM 반도체 칩의 요구를 만족하기 위해, 미크론 이하의 외형(sub-micron feature)을 사용하는 극-소형화(micro-miniaturization)가 채택되고 있다. 그러나, 저 비용으로 고 DRAM 밀도를 성취하기 위해, 새로운 설계 및 기술 통합이 필요하다. 전형적으로, DRAM 저장 셀은 트랜지스터 및 캐패시터를 포함하고,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는 워드 라인 신호에 의해 제어되며, 저장 캐패시터의 논리 레벨에 의해 나타나는 데이터는 비트 라인 신호를 통해 캐패시터로 기록되거나 캐패시터로부터 판독된다.
DRAM 셀에 대한 최근의 설계 및 제작의 하나는 본 발명에 참고 문헌으로 포함된 미국 특허 5,792,960에서 설명되고, 여기서, 장치 절연용 절연체에 삽입된 기초를 이루는 비트 라인(underlying bit line)을 사용하는 동안, 폴리실리콘 DRAM 캐패시터는 폴리실리콘 트랜지스터 게이트 구조와 수직으로 배열된다. 또한, DRAM 캐패시터 및 DRAM 셀 제작을 위한 다른 방법은 본 발명에 참고 문헌으로 포함된 미국 특허 제 5,482,886호; 제 5,648,290호; 제 5,677,222호 및 제 5,792,690호를 참고하여 찾을 수 있다. EDRAM 셀에 대한 스택드/트렌치 캐패시터(stacked/trench capacitors)와 같은 미크론 이하 외형을 성취하기 위한 현재의 방법은 매우 복잡하다.
일반적으로, 메모리 셀 판독에서 높은 신호 대 잡음비를 유지하고, (알파 입자 간섭에 기인하는)"소프트(soft)" 에러를 줄이기 위해, 높은 정전 용량 캐패시터를 가진 DRAM 셀을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또한, 작은 외형 사이즈를 획득하고 비용 효율적 제작 공정(cost effective fabrication process)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어떤 주어진 유전체에 대해서도 캐패시터 영역이 커지면 커질수록 정전 용량도 커지기 때문에, 제작자는 정전 용량과 셀 사이즈를 절충할 것이다. 그러나, 정전 용량을 줄이는 것보다는 높은 유전율을 가진 필름을 사용하여 총 용량을 줄이지 않고 사이즈를 줄이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비용 효율적 제작은 DRAM 캐패시터의 형성을 위한 최소한의 공정 단계 및 마스크 등록(mask registration)을 요구한다. 그러므로, 로직 및 메모리 공정이 가능한 곳에서, 공정에 사용되는 마스크의 수 및/혹은 집적 로직-메모리 칩에서의 장치 사이즈를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MOSFET의 형성을 위해 단지 하나의 부가적인 마스크 순서를 요구하는 MOSFET를 가진 DRAM 셀의 DRAM 캐패시터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MOSFET는 전통적으로 반도체 기판에 및 반도체 기판 위에 형성되고, 저장 캐패시터는 인접한 실리콘에 보다는 트랜지스터의 상부 유전체(top dielectric)에 제공된 트렌치(trench)에 형성되어 적은 기판 표면 영역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단일 집적 기판에 메모리 및 프로세싱 장치 모두를 형성할 수 있는 기술로 DRAM 셀을 약 0.5 평방 미크론까지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유전체를 통과하는 전도 플러그 및 유전체 상위 층을 포함하는 트랜지스터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유전체 상부의 일부에 에칭되고 전도 플러그 중 하나 위에 부분적으로 겹쳐진 윈도우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도 2의 장치 표면 위에 먼저 전도층을 증착하고 다음에 높은 유전율 층을 증착한 결과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도 3의 장치에서, 증착된 층 및 트랜지스터의 상부 유전체를 통해 제 2 전도 플러그에 다른 윈도우를 에칭한 후의 도면.
도 5는 도 4의 장치에서, 제 1 윈도우 영역에 캐패시터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제 2 전도층이 제 1 윈도우 위에 증착된 후의 도면.
도 6은 도 5의 장치에서, 미리 형성된 트렌치(윈도우)를 채우기 위해 전도 플러그 층의 형성이 이루어진 후의 도면.
도 7은 도 6의 장치에서, 증착된 층을 트랜지스터의 상부 유전체 레벨까지 역으로 제거한 후의 도면.
도 8은 도 7의 장치에서, 미리 형성된 캐패시터 및 전도 관통-플러그 위에상부 전극층 및 보호 산화물 층을 증착한 후의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게이트 전극 4 : n+ 드레인 영역
3: n+ 소스 영역 5 : 실리콘 기판
도 1 내지 도 8은 셀의 트랜지스터에 DRAM 셀의 캐패시터를 형성하는 방법에 포함된 단계의 순서를 나타내는 횡단면도 이다.
본 발명은 유전체 층에서 DRAMS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의 게이트 전극 위에 단일 DRAM 캐패시터의 형성을 보여주는 DRAM 셀의 부분을 참고하여 설명된다. DRAM 셀, 집적 반도체 프로세싱 및 메모리 장치에서 사용하기 위한 트랜지스터의 형성은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명세서에 참고 문헌으로 포함된, 그러한 트랜지스터를 형성하는 공정을 설명하는 미국 특허 제 5,648,290호는 참고될 수 있다.
도 1을 참고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전형적인 DRAM 셀 n-형 MOSFET는 게이트 전극(2)과 실리콘 기판(5)에 형성된 n+소스 영역(3) 및 n+드레인 영역(4)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소스 및 드레인 영영(3 및 4)들은 약간의 불순물이 첨가된 n 영역(6 및 7)에 의해 각각 게이트(2)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또한, 필드 산화물(8)도 도시된 바와 같이 제공된다. 또한, FET의 표면에 형성된 콘포말 유전체 층(12)(conformal dielectric layer) 및 콘포말 층(12)위의 평탄화된 상부 유전체 층(13)(planarized top dielectric layer)이 도시된다. 전형적으로, 게이트 전극(2)은 폴리실리콘이나 폴리사이드(polycide)이고, 콘포말 유전체 층(12)은 고-밀도 증착 실리콘 산화물이며, 상부 유전체 층(13)은 화학적 증기 증착(CVD) 실리콘 산화물 층이다. 그러나, 유전체 층(12 및 13)은 고-밀도 플라즈마 실리콘 산화물일 수 있다. 현재의 공정 기술에서, 고-밀도 플라즈마 실리콘 산화물은 후단 유전체(back end dielectric)를 위한 가장 평범한 선택이다. 이것은 고-밀도 실리콘 산화물이 좁은 틈을 채우는 것에 대해 가장 좋은 결과를 제공하고, CVD 공정과 비교해 낮은 온도에서 증착될 수 있기 때문이다. 대안적으로, 유전체(12 및 13)는 보로포스포실리게이트 글레스(borophosphosilicate glass), 포스포실리게이트 글레스, 인(phosphorous) 및/혹은 붕소가 도핑된 테트라에틸 올쏘실리게이트(boron-doped tetraethyl orthosilicate)로부터 형성된 글레스, 스핀-온 글레스(spin-on glass)나 폴리머와 같은 다른 저 유전율 필름, 플루오리네이티드 산화물(fluorinated oxide) 및 하이드로젼 실세스퀴옥슨(hydrogen silsesquioxane)일 수 있다. 또한, 전도 플러그 셀의 콘포말 유전체 층(12)을 통해 전기 통로 연결을 소스(3) 및 드레인(4)에 제공하는 텅스텐이나 구리 플러그(14 및 15)와 같은 전도 플러그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라, 종래의 포토리소그래픽( photolithographic) 기술은 적어도플러그(14)의 부분 및 플러그(14)에 근접한 콘포말 유전체 층(12) 위에 놓인 트렌치 혹은 웰 영역(16)(well area)을 정의하기 위해 사용된다. 웰은 플러그(14)의 표면까지 및 인접한 콘포말 유전체 층까지 종래의 에칭 기술로 에칭되어, 평탄화된 유전체 층(13)에 형성된다.
그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은 일 함수 물질(high work function material)이면 좋은, 전도 전극 층(17)은 트렌치(16)의 웰을 포함하여 장치(1)의 노출된 표면 위에 형성된다. 그후, 높은 유전체 필름(18)은 전도층(17) 위에 증착된다. 일반적으로 "높은 유전체"라는 용어는 실리콘 다이옥시드(≡3.9)(silicon dioxide)보다 큰 유전율을 가진 물질을 말하며, 매우 높은 밀도(미크론 이하) 메모리 적용에서의 실질적인 목적에 대해, 요구된 정전 용량을 획득하기 위해, 유전율은 적어도 20-30이어야 하고 상당히 높아야 좋다. 본 발명에서 유용한 적당한 캐패시터 유전체의 예는 Ta2O5및 (Ba,Sr)TiO3을 포함한다. 이러한 물질의 필름들의 유전율들은 각각 30-40부터 1000-2000까지의 범위이다. 두 개의 계층의 인터페이스에 일련의 저항을 형성하기 위해 그것과 상호작용 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전극층(17)에 대해 사용된 물질은 유전체 물질과 호환이 가능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높은 일 함수를 가진 물질(예를 들어, Ag, Cu, Au); 내화 금속(refractory metals)이나 그들의 규소 화합물(예를 들어, W, V, Pt, Pd, Ni, Ti, Mo, Ta, Co 혹은 그들의 규소 화합물); 질화물(nitride)(예를 들어 Ti 및 Al 질화물); 및 전도 산화물(conductive oxides)(예를 들어, RuO2, IrO2, SrRuO3)들은 전극 물질로서 유용하다. 그러나, 현재의 제조 기술과 양립할 수 있고 요구된 마스크의 수를 최소화하기 위해, 다음에 지시될 때 증착될 상부 전극(20)은 플러그(21)에 대해 장벽 물질(barrier material)의 역할을 한다(도 6 내지 도 8 참고). 바닥 전극에 대해, 고 유전율 필름과 좋은 접촉을 해야하므로 Pt, PtSi2, Ni, NiSi2및 Cu가 바람직하다고 본다.
트렌치(16)를 정의하기 위해 사용된 마스크는, 셀의 제작을 위해 일반적으로 요구된 다른 마스크에 부가적으로, DRAM 셀의 DRAM 캐패시터를 형성하기 위해 요구된 유일한 "여분의" 마스크이다.
고 유전체 층(18)의 증착 후에, 제 2 트렌치 혹은 웰(19)은 종래의 마스킹 및 에칭 기술을 사용하여 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의 트렌치는 도 3에 도시된 장치의 표면에서부터 층(18, 17 및 13)까지 아래로 통하여 플러그(15)까지 확장된다. 트렌치(19)의 형성 후, 상부 캐패시터 전극 층(20)이 장치의 표면 위에 형성된다. 그 후, 상부 플러그 층(21)(도 6 참고)은 위의 장치 표면 위에 형성된다. 이러한 플러그 층(21)은 트렌치(19)를 채운다. 그 후, 위의 장치 표면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캐패시터 전극 혹은 플레이트(17)와 플레이트(20) 사이의 유전체 층(18)을 포함하는 DRAM 캐패시터)를 남기기 위해 화학적 기계적 폴리슁(chemical mechanical polishing)과 같은 방법으로 제거된다. 하나의 마스크를 사용하기 위해, 도 8과 같이, DRAM 캐패시터와 플러그(21)의 상부 표면들은 금속화되고, 보호적인 산화물 코팅이 제공된다.
위의 장치의 다양한 층들의 전형적인 두께는 콘포말 유전체 층(12)이 8,000Å부터 10,000Å까지, 상부 유전체(13)가 10,000Å부터 12,000Å까지, 하부 캐패시터 전극 층(17)이 300Å부터 500Å까지, 고 유전율 층(18)이 100Å부터 500Å까지 및 캐패시터의 상부 전극(20)이 300Å부터 500Å까지 이다.
캐패시터의 다양한 층들 즉, 캐패시터 전극(17 및 20) 및 고 유전체(18)들은 종래의 알려진 가공 기술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증착될 물질에 의존하여, 스퍼터링(sputtering)이나 화학적 증착(chemical vapor deposition)의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스퍼터된 필름의 질이 사용된 물질에 대해 CVD 증착 필름만큼 좋은 경우에, 스퍼터링은 집적 DRAM 셀의 제작에 바람직한 저온 가공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단일 집적 기판에 메모리 및 프로세싱 장치 모두를 형성할 수 있는 기술로 DRAM 셀을 약 0.5 평방 미크론까지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2)

  1. 게이트,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을 갖는 트랜지스터, 상기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소스 및 드레인 위의 제 1 유전체 층, 상기 제 1 유전체 층위의 제 2 유전체 층과,
    상기 제 2 유전체 층의 제 1 웰에 형성된 바닥 및 상부 캐패시터 전극 사이의 고 유전체 층을 갖는 캐패시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웰은 트랜지스터 게이트 영역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에 놓이고, 트랜지스터 게이트에 근접한 제 1 유전체 층을 통해 확장되는 제 1 전도 플러그와 접촉하며,
    상기 상부 캐패시터 전극은 상기 제 1 유전체 층을 통해 확장되는 제 2 플러그와 상기 제 2 플러그 위의 제 2 유전체 층의 제 2웰의 플러그 사이의 장벽 층으로서 동작하는 DRAM 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플러그는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영역과 접촉하는 DRAM 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패시터의 고 유전체 층의 유전율이 적어도 20인 DRAM 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 유전체 층은 탄탈 산화물(tantalum oxide) 및 바륨 스트론튬 티탄산염(barium strontium titanate)으로부터 선택된 DRAM 셀.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캐패시터 전극들은 높은 일 함수를 가진 금속, 내화성 금속, 내화성 금속 규소 화합물, 금속 질화물 및 전도 산화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DRAM 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들은 Ag, Cu, Au, W, V, Pt, Pd, Ni, Ti, Mo, Ta, Co 및 그들의 규소 화합물, Ti 및 Al 질화물 그리고, Ru, Ir 및 SrRu의 산화물로부터 선택된 DRAM 셀.
  7. 제 1 및 제 2 유전체 층을 갖는 DRAM 트랜지스터와 제 1 층을 통하는 제 1 및 제 2 전도 플러그를 포함하는 DRAM 셀의 캐패시터를 형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제 2 유전체 층의 상기 웰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웰은 제 1 플러그의 일부와 상기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위의 상기 플러그에 근접한 영역을 노출하고;
    b) 상기 셀의 노출된 표면에 제 1 캐패시터 플레이트 필름을 증착하는 단계;
    c) 상기 제 1 캐패시터 플레이트 필름 위에 고 유전체 층을 증착하는 단계;
    d) 상기 제 2 전도 플러그를 노출하는 제 2 유전체 층의 제 2 웰을 형성하는 단계;
    e) 상기 제 1 웰에 캐패시터 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제 2 플러그 위의 제 2 웰에 장벽 층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노출된 표면 위에 제 2 캐패시터 플레이트 필름을 증착하는 단계;
    f) 전도 플러그 층으로 상기 웰을 채우는 단계;
    g) 상기 웰 위의 상기 표면 층을 고 유전율 층의 수준까지 및 상기 웰 영역에 근접한 영역에 있는 제 2 유전체 층의 표면까지 제거하는 단계; 및
    h) 캐패시터의 표면을 금속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DRAM 캐패시터 형성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플러그는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영역과 각각 접촉하는 DRAM 캐패시터 형성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캐패시터의 고 유전체 층의 유전율이 적어도 20인 DRAM 캐패시터 형성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고 유전체 층은 탄탈 산화물 및 바륨 스트론튬 티탄산염으로부터 선택된 DRAM 캐패시터 형성 방법.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캐패시터 플레이트 필름들은 높은 일 함수를 가진 금속, 내화성 금속, 내화성 금속 규소 화합물, 금속 질화물 및 전도 산화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DRAM 캐패시터 형성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캐패시터 플레이트 필름들은 Ag, Cu, Au, W, V, Pt, Pd, Ni, Ti, Mo, Ta, Co 및 그들의 규소 화합물, Ti 및 Al 질화물 그리고, Ru, Ir 및 SrRu의 산화물로부터 선택되는 DRAM 캐패시터 형성 방법.
KR1019990059749A 1996-12-24 1999-12-21 다이나믹 램 캐패시터 형성 방법 및 다이나믹 램 셀 Expired - Fee Related KR1003510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2041896A 1996-12-24 1996-12-24
US09/220,418 1998-12-24
US9/220,418 1998-12-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8287A KR20000048287A (ko) 2000-07-25
KR100351011B1 true KR100351011B1 (ko) 2002-08-30

Family

ID=22823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9749A Expired - Fee Related KR100351011B1 (ko) 1996-12-24 1999-12-21 다이나믹 램 캐패시터 형성 방법 및 다이나믹 램 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101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8287A (ko) 2000-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68991B1 (en) DRAM capacitor including Cu plug and Ta barrier and method of forming
EP1022783B1 (en) Integrated circuit device having dual damascene capacitor
US7023043B2 (en) Top electrode in a strongly oxidizing environment
US6376302B1 (en) Method for forming a DRAM capacitor having a high dielectric constant dielectric and capacitor made thereby
US7361552B2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including a DRAM and an analog circuit
US6794694B2 (en) Inter-wiring-layer capacitors
US6288446B2 (en) Semiconductor device with pillar-shaped capacitor storage node
JP2008205481A (ja) 集積回路とその方法
US6888189B2 (en) Dielectric element including oxide-based dielectric film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0533971B1 (ko)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US7064029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US6759293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capacitor in a semiconductor device
KR20000053435A (ko) 집적회로용 다마스커스 캐패시터
JP3396144B2 (ja) 半導体記憶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9980070914A (ko) 집적 회로 구조의 제조 방법
JPH09275193A (ja) 半導体記憶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6501113B2 (en) Semiconductor device with capacitor using high dielectric constant film or ferroelectric film
KR100351011B1 (ko) 다이나믹 램 캐패시터 형성 방법 및 다이나믹 램 셀
KR20000053391A (ko) 다이나믹 램 셀을 포함하는 집적 회로 및 집적 회로 형성방법
JP3030812B2 (ja) 化学的機械研磨法を利用したdramキャパシタの製造法
KR20010003252A (ko) 반도체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KR20010106713A (ko) 캐패시터 제조 방법
KR20010061021A (ko) 반도체소자의 저장전극 형성방법
KR20000041396A (ko) 메모리소자의 커패시터 제조방법
KR20040025485A (ko) 반도체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122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0080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9122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205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08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208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81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8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