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8826B1 - 수용성 활성성분의 피부 흡수도가 향상된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수용성 활성성분의 피부 흡수도가 향상된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348826B1 KR100348826B1 KR1019990050168A KR19990050168A KR100348826B1 KR 100348826 B1 KR100348826 B1 KR 100348826B1 KR 1019990050168 A KR1019990050168 A KR 1019990050168A KR 19990050168 A KR19990050168 A KR 19990050168A KR 100348826 B1 KR100348826 B1 KR 10034882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active ingredient
- skin
- soluble active
- porous microbeads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2—Oil-in-water emuls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61K8/0279—Porous; Hollow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6—Ascorbic acid, i.e. vitamin C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용성 활성성분의 피부 흡수도가 향상된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은 물과 에탄올이 혼합된 혼합물로 이루어진 용매에 수용성 활성성분을 용해시키는 용해 단계; 상기 수용성 활성성분이 용해된 용액에, 공극부피가 0.1 ∼ 50 ㏄/g인 다공성 마이크로비드를 물리적으로 접촉시켜 상기 수용성 활성성분을 상기 다공성 마이크로비드에 포집시키는 포집 단계; 상기 포집 단계 이후에 여과를 통해 상기 활성성분이 포집된 다공성 마이크로비드만을 분리한 후 진공건조, 동결건조 또는 세척의 공정을 통해 수용성 활성성분과 함께 공극내에 흡착된 여분의 용매를 제거하는 건조 단계; 및 상기 건조 단계를 거친, 활성성분이 포집된 다공성 마이크로비드를, 수중유형 화장품 조성물의 외상인 수상에 첨가하는 첨가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그 피부흡수증진 기작에 있어, 각질층의 구조를 파괴하지 않으므로, 피부자극 등의 문제가 거의 없으며, 저농도에서도 각질층과의 친화도가 낮은 수용성 활성성분이 소수성 다공성 마이크로비드를 통해 효과적으로 피부에 흡수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L-아스콜빈산과 같은 수용성 활성성분을 소수성인 다공성 마이크로비드의 공극내에 포집시켜 피부흡수도를 증진시키는 방법 및 이러한 방법에 의해 준비된 수용성 활성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또는 피부과용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히 말하자면, 본 발명은 수용성 활성성분을 소수성인 다공성 마이크로비드의 공극내에 포집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수용성 활성성분을 물과 에탄올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용매에 용해시키고, 다공성 마이크로비드와 수용성 활성성분 용액을 물리적으로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크게 각질층, 표피층, 진피층의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피부 최외각에는 각질층이 존재한다. 물질의 피부흡수에 있어서 제1의 장벽은 각질층으로, 각질층은 케라틴 단백질을 주성분으로 하는 각질세포와 각질 세포간을 구성하는 지질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물질의 피부흡수에 있어서 물질이 각질세포를 통과하여 흡수되는 것은 사실상 매우 어렵고, 각질세포간의 지질층을 통과하는 경로가 일반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토코페롤 또는 레티노이드 등과 같은 지용성 물질의 피부흡수는 비교적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반면, 지질층에 분배되기 어려운 수용성 물질은 일반적으로 그 흡수정도가 매우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물질의 피부흡수에 있어서 또 다른 경로는 땀샘이나 모공같이 외부를 향해 열려 있는 피부 공극을 통과하는 경로가 있는데, 전체 피부면적 중 모공 또는 땀샘이 차지하는 비율은 매우 미미하여 일반적으로 물질의 피부흡수에 크게 기여하지는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피부에 도포하여 일정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수용성 활성성분으로는 L-아스콜빈산 및 그 수용성 유도체, 비타민 B군, 코직산, 코질카페익산, 코질아미노프로필인산염, 알부틴 및 수용성 천연 추출물등이 있다.
특히, L-아스콜빈산(비타민 C)은 수용성 비타민의 일종으로, 인간의 생명영위에 반드시 필요한 성분이나 체내에서 합성되지 않아 외부로부터 섭취해야 하는 필수비타민의 하나이다. 또한, L-아스콜빈산은 과거로부터 미백, 주름개선, 피부탄력증진, 유해산소의 제거 등 피부에 다양한 생리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화장품 또는 국소도포용 피부과 제제에 있어 활성성분으로 이용되어져 왔다. 그러나, L-아스콜빈산은 물에 대한 용해도가 상온에서 30중량% 정도인 대표적인 수용성 비타민으로서 잠재적으로 여러 가지 피부효능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피부흡수가 어려워 지금까지 화장품 또는 피부과용 제제로서 효과적으로 이용되기 어려웠다.
이와 같이, L-아스콜빈산과 같은 수용성 활성성분들은 극성이 크고 물에 대한 용해도가 높은 친수성 성분이므로, 피부친화도가 낮아 피부도포시 피부내로 침투가 되지 않거나, 극히 일부만이 침투된다.
한편, L-아스콜빈산 특유의 피부 콜라겐 합성증진 또는 티로시나제의 저해, 멜라닌 합성 중간체 환원등을 통한 주름개선, 미백 효능등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표피층의 기저부분 또는 진피층까지 흡수가 이루어져야 한다. L-아스콜빈산을 고농도 처리하거나 피부에 장시간 도포할 경우 어느 정도 피부흡수가 일어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이러한 경우 L-아스콜빈산에 의한 피부 pH 저하로 인하여 상당한 피부자극이 예상된다. 따라서, 저농도에서도 효과적인 피부흡수가 가능한 피부흡수 증진 기술에 대한 요구가 높다.
L-아스콜빈산의 피부흡수 증진을 위해 초음파 (sonophoresis) 또는 미세한 전기자극(iontophoresis)을 피부에 부여하는 방법이 공지되어 있으나[Sloan JB, Slotani K. Iontophoresis in dermatology:a review, J.Am.Acad.Dermatol. 1986, 4:671; Langer R. Ultrasound-mediated transdermal protein delivery Science 1995; 269:850], 이러한 방법은 고가의 장비가 필요하다는 이유 등으로 인해 현실적으로 화장료 또는 피부과용 외용제에 적용하기 어렵다. L-아스콜빈산을 함유한 조성물에 피부흡수 촉진 효과가 있는 유기용매, 계면활성제, 또는 저급지방산 등을 첨가하는 방법도 공지되어 있으나[Chen LH, Chien YW, Enhancement of skin penetration In Novel cosmetic delivery systems 1999, 60; Rhein LD, Robbins CR, Fernee K, Cantore R. Surfactant structure effects on swelling of isolated human stratum corneum, J. Soc Cosmet Chem 1986; 37:125; Cooper ER, Merritt EW, Smith RL. Effect of fatty acids and alcohols on the penetration of acyclovir across human skin in vitro J. Pharm Sci 1985; 74:688], 화장료 및 외용제제에 있어 적용할 수 있는 유기용매의 종류와 함량이 규제되어 있고, 또 경피흡수 촉진 효과가 있는 대부분의 유기용매, 계면활성제, 저급지방산등은 각질층의 구조를 파괴함으로써 피부자극을 유발하는 경우가 많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다. 이 밖에도 L-아스콜빈산이 고농도로 함유된 패치 제제, 리포좀 또는 시클로덱스트린 (cyclodextrin)을 이용한 화장료용 조성물이 개발되어 시중에 판매되고 있으나, 이들 제형에서 L-아스콜빈산의 피부흡수가 객관적으로 입증되지 않아 이들 제형의 효용성을 판단하기 어렵다.
한편, 다공성 마이크로비드에 활성성분을 포집시켜 서방화하는 기술이 공지되어 있으나, 이러한 방법은 레티놀등과 같은 지용성물질의 마이크로비드로부터의 방출속도를 감소시켜 자극을 줄이고 피부와의 접촉시간을 늘리거나(미국특허 제 5,145,675호), 외용제로서 제형화가 어려운 물질의 제형화를 용이하게 하거나 또는불안정한 지용성 성분을 외부기제로부터 격리시켜 안정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미국특허 5,703,041호).
상기와 같이 공지된 기술은 비교적 피부흡수가 용이한 지용성 활성성분을 주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마이크로비드로부터 지용성 활성성분의 방출속도를 조절하거나, 또는 흡착 또는 포집등의 방법을 통해 이들을 외부환경으로부터 격리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을 뿐, L-아스콜빈산과 같이 피부흡수가 어려운 수용성 성분의 피부흡수 증진에 마이크로비드가 사용된 바는 없다. 또한, 소수성 마이크로비드의 공극내로 지용성 성분을 포집하는 경우 특별한 기술을 요구하지 않으나, 수용성 활성성분의 경우 어떠한 용매를 선정하느냐에 따라 활성성분의 포집율이 크게 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L-아스콜빈산과 같은 수용성 활성성분이 피부각질층과의 친화도가 낮아 피부흡수가 되지 않거나 극히 일부분만이 피부흡수 되어 화장료 또는 피부과용 외용제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그 잠재적 효능이 적극적으로 구현되기 어려운 점을 해결하기 위해, 수용성 활성성분을 소수성인 다공성 마이크로비드의 공극내에 포집시킴으로서 피부흡수 정도를 증진시키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수용성 활성성분의 피부 흡수도가 향상된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물과 에탄올이 혼합된 혼합물로 이루어진 용매에 수용성 활성성분을 용해시키는 용해 단계; 상기 수용성 활성성분이 용해된 용액에, 공극부피가 0.1 ∼ 50 ㏄/g인 다공성 마이크로비드를 물리적으로 접촉시켜 상기 수용성 활성성분을 상기 다공성 마이크로비드에 포집시키는 포집 단계; 상기 포집 단계 이후에 여과를 통해 상기 활성성분이 포집된 다공성 마이크로비드만을 분리한 후 진공건조, 동결건조 또는 세척의 공정을 통해 수용성 활성성분과 함께 공극내에 흡착된 여분의 용매를 제거하는 건조 단계; 및 상기 건조 단계를 거친, 활성성분이 포집된 다공성 마이크로비드를, 수중유형 화장품 조성물의 외상인 수상에 첨가하는 첨가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상기한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용해단계에서, 상기 물에 대한 에탄올의 함량은 5 ∼ 95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라 수용성 활성성분을 소수성인 다공성 마이크로비드의 공극내에 활성성분을 포집시키는 방법은, 수용성 활성성분을 물과 에탄올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용매에 용해시키고 다공성 마이크로비드와 수용성 활성성분 용액을 물리적으로 접촉시켜 다공성 마이크로비드의 공극내에 활성성분을 흡착시키는 제1 단계로 이루어지며, 여과를 통해 다공성 마이크로비드만을 분리한 후 진공건조, 동결건조 또는 세척 등의 공정을 통해 활성성분과 함께 공극내에 흡착된 여분의 용매를 제거하는 제2 단계를 부가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다공성 마이크로비드 내에 포집된 활성성분을 화장료 또는 피부과용 외용제 조성물에 유효성분으로 첨가할 경우 수용성 활성성분의 과도한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수용성 활성성분과 상용성이 없는 오일로 다공성 마이크로비드 공극의 빈 공간을 채우는 제3 단계를 선택적으로 더 부가할 수 있다.
소수성인 다공성 마이크로비드의 공극내에 수용성 활성성분을 포집시키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다공성 마이크로비드는 하기 고분자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가 3차원 가교를 통해 공극을 형성하면서 생성된 것이다. 이러한 고분자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로는 실리카, 알루미나, 셀룰로오스 및 그 유도체, 폴리아미드(nylon-11, nylon-12, nylon-6, nylon-6,6), 폴리이미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에스테르, 디비닐벤젠, 비닐스테아릭산, 4-비닐피리딘, 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릭산, 메틸메타크릴릭산, 메타크릴릭산, 알릴메타크릴릭산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한 고분자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는 모두 시중에서 쉽게 구입할 수 있고, 이들이 3차원 가교를 통해 형성한 다공성 마이크로비드 역시 시중에서 용이하게 구입할 수 있으며,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화학적으로 합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고분자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를 이용하여 다공성 마이크로비드를 제조하는 기술도 공지되어 있다(미국특허 제5,145,675호).
본 발명에 사용되는 다공성 마이크로비드의 직경은 5 ∼ 100 ㎛가 바람직하고, 화장료 조성물에 첨가하여 피부에 도포시 파우더 특유의 거슬리는 사용감이 없고 또 비교적 피부표면에 균일하게 분포하기 위해서는 특히 10 ∼ 50 ㎛가 바람직하다. 다공성 마이크로비드내 공극부피는 0.1 ∼ 50 ㏄/g가 바람직하며, 공극부피가 너무 낮으면 활성물질의 흡착량이 떨어지고 또한 공극부피가 너무 크면 마이크로비드의 기계적 강도가 떨어지므로, 특히 5 ∼ 20 ㏄/g 가 바람직하다.
다공성 마이크로비드 공극내로의 흡착은 일반적으로 다공성 마이크로비드와 활성성분의 용액간의 물리적 접촉에 의해 이루어진다. 흡착을 원활히 하기 위해 다공성 마이크로비드 분산액을 교반, 가온하거나 또는 계면활성제를 첨가하는 등의 방법을 동원할 수 있다. 통상적인 포집 방법은 기존에 보고된 바 있으나(William Klein and Alfred DiSapio, 1989, HAPPI magazine, 26:7; 미국특허 5,145,675), 활성성분의 물성 및 용매의 선정에 따라 다공성 마이크로비드의 단위중량 당 흡착율이 변할 수 있다.
활성성분의 흡착시 사용할 수 있는 용매는 물, 메탄올, 에탄올, 글리세린, 아세톤,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등을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의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L-아스콜빈산과 같이 물에 대한 용해도가 매우 높고 그밖의 용매에 대해서 용해도가 낮은 수용성 활성성분의 경우, 혼합용매중 물의 함량이 높으면 높을수록 용매에 대한 용해도가 높아지고, 따라서 마이크로비드내로의 포집율이 높아진다. 그러나, 사용하는 마이크로비드가 소수성을 가지므로, 물의 함량이 너무 높을 경우 마이크로비드가 용매에 균일하게 분산되지 않아 오히려 포집율이 떨이질 수 있다. 따라서, 혼합용매내 물의 함량을 적절히 조정할 필요가 있다. 아세톤 및 메탄올 등의 용매는 인체에 독성을 보이므로 흡착후 완전히 제거되어야 하며, 글리세린 및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등의 용매는 점도증가에 의한 여과의 어려움, 피부자극등의 문제가 있다. 따라서, 수용성 활성성분의 포집을 위해서는 물과 에탄올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혼합물중 에탄올의 함량은 5 ∼ 95 중량%가 되도록 한다. 물과 에탄올이 70 : 30 의 중량비로 혼합된 용매를 사용하는 경우 메타크릴릭산 계열의 고분자로 구성된 다공성 마이크로비드를 사용하는 경우 통상적으로 50 ∼ 90 중량% 정도의 흡착율을 얻을 수 있다.
포집이 끝난 다공성 마이크로비드는 공극내에 존재하는 여분의 용매를 제거하기 위해 상압하에서 혹은 진공하에서 혹은 동결 건조를 실시한다. 그러나, 공극내 존재하는 여분의 용매가 인체건강상 문제가 없거나, 마이크로비드를 함유하는 최종 조성물의 성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경우 등에서는 이를 생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라 준비된 수용성 활성성분-함유 다공성 마이크로비드를 화장료 및 피부과용 외용제제에 첨가하는 경우, 일반적인 유중수형 조성물에 있어 첨가하는 위치가 유상이냐 수상이냐에 따라 피부흡수도가 달라진다. L-아스콜빈산을 함유한 다공성 마이크로비드의 경우 유중수형 화장료에 있어 외상인 수상에 첨가하는 것이 피부흡수율이 가장 좋다. 한편, 본 발명에 따라 준비된 수용성 활성성분-함유 다공성 마이크로비드를 화장료 및 피부과용 외용제제에 첨가하는 경우, 일반적인 수중유형 조성물에 있어 첨가하는 위치가 유상이냐 수상이냐에 따라 피부흡수도가 달라진다. L-아스콜빈산을 함유한 다공성 마이크로비드의 경우 유중수형 화장료에 있어 외상인 수상에 첨가하는 것이 피부흡수율이 가장 좋다.
수용성 활성성분이 함유된 다공성 마이크로비드를 수중유형 조성물의 외상에 첨가하는 방법은 후술한 실시예에 기술한 바와 같다.
상술한 바와 같이, 소수성 다공성 마이크로비드에 L-아스콜빈산과 같은 수용성 활성성분을 포집시킨 후 화장품 및 피부과용 외용제 조성물에 첨가하는 경우, 피부흡수의 증진은 다음의 수식을 통해 예측할 수 있다.
약물의 피부흡수는 일반적으로 수동확산(Passive diffusion) 기작을 통해 일어나며, 이를 기술하는 수식은 다음과 같다.
J : 약물의 물질 전달 플럭스
D : 약물의 확산계수
C : 약물의 농도
X : 약물의 이동거리
피부흡수에 있어 수학식 1은 다음과 같은 변형이 가능하다
K : 약물의 기제와 각질층간 분배계수
D : 각질층내 약물의 확산계수
h : 각질층의 두께
수학식 2에 의거하면 피부흡수를 증진시키기 위한 방법은 크게 약물의 각질층에 대한 분배를 증진시키는 방법, 각질층 구조 변형을 통한 약물의 확산계수 증진, 각질층 제거, 도포농도의 증가로 나눌 수 있다. 이 중 각질층의 구조 변형 또는 각질층 제거를 통한 방법은 일반적으로 피부자극을 동반할 우려가 크다. 약물 자체가 피부에 대한 자극을 유발하는 경우 도포농도를 증가하여도 피부자극의 우려가 있다. 따라서, 가장 효과적인 피부흡수 증진 방법은 약물과 각질층간의 분배계수를 증진하는 방법이다. 특히, L-아스콜빈산과 같은 수용성 물질의 경우 피부흡수가 낮은 주요 원인 중 하나가 약물의 각질층에 대한 낮은 분배도로 알려져 있으므로, 활성성분의 각질층에 대한 분배계수를 증진시키는 방법은 피부흡수 촉진에 있어 매우 효과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 L-아스콜빈산과 같은 수용성 물질을 피부 각질층으로의 분배도가 높은 소수성 다공성 마이크로비드 내부에 포집시킴으로써, 활성물질의 각질층 분배도를 높여 궁극적으로 활성물질의 피부흡수를 증진시키는 방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피부흡수 증진 효과는 L-아스콜빈산에 국한되지 않고, 극성이 높아 피부각질층으로의 분배가 어려운 다른 수용성 활성성분에도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고 예측된다.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한 그밖의 수용성 활성성분으로는 L-아스코빌 인산염, L-아스코빌 글루코시드등과 같은 L-아스콜빈산의 수용성 유도체, 비타민 B군, 코직산, 코질카페익산, 코질아미노프로필인산염, 알부틴 등이 있으며 그 외에도 녹차 및 포도종자등과 같은 천연물로부터 물 또는 에탄올과 같은 극성용매로 추출한 수용성 천연추출물도 적용 가능하다. 수용성 천연추출물의 예로는 포도종자에서 물 또는 에탄올을 단독 또는 혼합물로 사용하여 추출한 올리고프로안토시아니딘등을 들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나,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1: L-아스콜빈산을 함유한 다공성 마이크로비드의 제조>
물과 에탄올이 70 : 30 의 중량비로 혼합된 용매에 L-아스콜빈산 분말이 20중량%가 되도록 용해시켜, L-아스콜빈산 용액 500 ㎖ 을 제조하였다. L-아스콜빈산 용액에, 알릴메타크릴릭산 중합체의 3차원 가교로 이루어진 다공성 마이크로비드 10 g 을 첨가 한 후 150 rpm 의 속도로 교반하면서 완전히 분산시켰다. 그 결과로 나온 분산액을 여과하여 다공성 마이크로비드를 분리한 후, 이로부터 얻어진 다공성 마이크로비드를 2일간 동결건조하였다, 동결건조후 L-아스콜빈산 함유율은 35 중량%였다.
<실시예 2: L-아스콜빈산이 포집된 다공성 마이크로비드가 외상에 함유된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다음과 같은 조성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 분 | 중량% | |
1 | 스테아린산 | 1.0 |
2 | 세토스테아릴 알코올 | 0.7 |
3 | 마이크로크리스탈린납 | 0.2 |
4 |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 0.5 |
5 | 유동파라핀 | 5.0 |
6 | 모노스테아린산소르비타 | 0.3 |
7 | 스쿠알란 | 3.5 |
8 | 정제수 | To 100 |
9 | 농글리세린 | 6.5 |
10 | 하이루로닉엑시드 추출물 | 0.5 |
11 | 세피겔 350 | 0.7 |
12 | 향 | 적량 |
13 | 방부제 | 적량 |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1) A(성분 1 - 7) 와 B(성분 8 - 10) 을 각각 75℃ 까지 가열한다.
2) B에 A를 조금씩 첨가하며 7000 rpm 속도로 유화교반 한다. A를 전량 첨가한 후 바로 성분 12와 성분 13을 첨가한 후 2분간 유화교반 한다.
3) 성분 11을 첨가후 2분간 유화 교반한다.
4) 1분간 2500 rpm 으로 교반하여 조성물에 공기를 탈기한다.
5) 조성물이 담긴 비이커를 얼음물에 담그어 28 - 30 ℃까지 냉각한다.
6) 제조된 조성물을 상온에 24시간 방치하여 안정화 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에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마이크로비드를 2.5중량% 가 되도록 첨가한 후 150 rpm 으로 교반하여 균일화하였다.
<실시예 3: L-아스콜빈산이 포집된 다공성 마이크로비드가 내상에 함유된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L-아스콜빈산이 함유된 다공성 마이크로비드를 먼저 A 에 5 중량% 가 되도록 첨가하여 150 rpm 속도로 교반하여 균일화 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하다.
<비교예1>
실시예 2의 조성물에 실시예 1의 L-아스콜빈산 함유 마이크로비드 대신 분말의 L-아스콜빈산을 1중량%가 되도록 첨가한 후 150 rpm 속도록 교반하여 균일화하였다.
<비교예2>
실시예 2 의 조성물에 실시예 1의 L-아스콜빈산 함유 마이크로비드 대신 분말의 L-아스콜빈산을 10 중량%가 되도록 첨가한후 150 rpm 속도록 교반하여 균일화하였다.
<비교예3>
실시예 2의 조성물에 실시예 1의 L-아스콜빈산 함유 마이크로비드 대신 에톡시디글리콜을 25 중량%가 되도록 첨가한 후 150 rpm 속도로 교반하여 균일화하였다. 에톡시디글리콜은 피부각질층의 구조를 변형시켜 피부 흡수를 촉진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는 물질이다.
[실험 1: L-아스콜빈산의 피부투과 측정]
L-아스콜빈산의 피부투과는 기네아피그 피부를 대상으로 프란츠 투과 셀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실험직전 기네아피그의 복부부분 피부를 채취하여 평방 1㎠ 의 면적으로 절단 한 후, 이를 투과경의 직경이 0.9 ㎝인 투과셀에 정치한 후 클램프로 고정하였다. 피부의 한쪽면에 측정하고자 하는 L-아스콜빈산 용액 또는 조성물(실시예 2 및 3, 비교예 1 내지 3)을 0.5 ㎖ 도포하고 반대쪽은 정제수와 글리세린이 1:1 중량비로 혼합된 용매 (C) 와 접촉하도록 하였다. 실험온도는 실제 피부온도인 32℃를 유지하였다. 실험 시작후 일정시간 간격으로 C의 일부를 채취하여 HPLC 를 이용하여 피부를 투과한 L-아스콜빈산의 양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표 2와 같다.
시 간 | 비교예 1 | 비교예 2 | 비교예 3 | 실시예 2 | 실시예 3 |
0 | 0 | 0 | 0 | 0 | 0 |
4 | 0 | 1.42 | 1.65 | 96.15 | 6.95 |
8 | 0 | 3.09 | 8.90 | 185.98 | 13.83 |
24 | 0 | 15.11 | 62.47 | 308.13 | 31.27 |
일반적으로 화장의 지속시간이 4시간에서 8시간 사이임을 감안할 때, 표 2로부터 L-아스콜빈산의 피부흡수 정도는, 소수성 다공성 마이크로비드 내에 포집시킨 후 수중유형 조성물의 외상에 첨가하는 경우, L-아스콜빈산을 바로 조성물에 첨가한 경우에 비해 최소 60배 이상 증가함을 알 수 있다.
경피흡수 촉진제(비교예 3)를 첨가하는 경우 도포 후 8시간 이후부터 경피흡수의 증진이 관찰되나, 도포 후 24시간이 지난 기네아피그의 피부를 프란쯔 투과셀에서 꺼내 육안으로 관찰한 결과 피부의 부풀어오름이 관찰되었고, 진피층에서 유출된 콜라겐 점액질이 관찰되었다. 이로부터, 경피흡수 촉진제를 기제로서 첨가하는 경우 피부손상이 일어남을 예측할 수 있다.
실시예 2와 실시예 3의 결과를 비교해 보면, L-아스콜빈산을 함유한 다공성 마이크로비드를 유중수형 조성물에 첨가하는 경우 외상에 첨가하는 것이 내상에 첨가하는 것보다 피부흡수 측면에서 훨씬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와 실시예 3의 경우 도포 후 24시간이 지난 기네아피그의 피부를 프란쯔 투과셀에서 꺼내 육안으로 관찰한 결과 정상피부와 비교하여 외견상 어떠한 차이점도 발견할 수 없었다. 이로부터, L-아스콜빈산을 함유한 다공성 마이크로비드의 경우 특별한 피부손상을 유발하지 않음을 예측할 수 있다. 또한 살아있는 헤어리스마우스를 대상으로 등부위에 실시예 2와 실시예 3의 조성물을 하루에 한번씩 300 ㎖씩 동일부위에 도포하여 30일을 지속하였다. 매일 육안으로 피부 부풀어오름, 홍반 등의 피부자극을 관찰하였으나, 어떠한 증상도 관찰되지 않았다.
본 발명은, 물과 에탄올을 용매로 사용하여 L-아스콜빈산과 같은 수용성 활성성분을 소수성을 갖는 다공성 마이크로비드내에 포집시킨 후, 화장료 또는 피부과용 외용제 조성물에 첨가함으로써, L-아스콜빈산과 같은 수용성 활성성분과 피부각질층과의 친화도를 증진시켜 피부흡수도를 증진시켰다.
본 발명은 그 피부흡수증진 기작에 있어, 각질층의 구조를 파괴하지 않으므로, 피부자극 등의 문제가 거의 없으며, 저농도에서도 각질층과의 친화도가 낮은 수용성 활성성분이 소수성 다공성 마이크로비드를 통해 효과적으로 피부에 흡수될 수 있다.
Claims (6)
- 수용성 활성성분의 피부 흡수도가 향상된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물과 에탄올이 혼합된 혼합물로 이루어진 용매에 수용성 활성성분을 용해시키는 용해 단계;상기 수용성 활성성분이 용해된 용액에,공극부피가 0.1 ∼ 50 ㏄/g인다공성 마이크로비드를 물리적으로 접촉시켜 상기 수용성 활성성분을 상기 다공성 마이크로비드에 포집시키는 포집 단계;상기 포집 단계 이후에 여과를 통해 상기 활성성분이 포집된 다공성 마이크로비드만을 분리한 후 진공건조, 동결건조 또는 세척의 공정을 통해 수용성 활성성분과 함께 공극내에 흡착된 여분의 용매를 제거하는 건조 단계; 및상기 건조 단계를 거친, 활성성분이 포집된 다공성 마이크로비드를, 수중유형 화장품 조성물의 외상인 수상에 첨가하는 첨가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성 활성성분의 피부 흡수도가 향상된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물에 대한 에탄올의 함량은 5 ∼ 95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90050168A KR100348826B1 (ko) | 1999-11-12 | 1999-11-12 | 수용성 활성성분의 피부 흡수도가 향상된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90050168A KR100348826B1 (ko) | 1999-11-12 | 1999-11-12 | 수용성 활성성분의 피부 흡수도가 향상된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46402A KR20010046402A (ko) | 2001-06-15 |
KR100348826B1 true KR100348826B1 (ko) | 2002-08-17 |
Family
ID=19619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90050168A KR100348826B1 (ko) | 1999-11-12 | 1999-11-12 | 수용성 활성성분의 피부 흡수도가 향상된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348826B1 (ko)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442413A (en) * | 1987-08-11 | 1989-02-14 | Nippon Menaade Keshohin Kk | Cosmetic |
EP0306236A2 (en) * | 1987-08-31 | 1989-03-08 | Advanced Polymer Systems, Inc. | Controlled release formulations |
WO1996021422A1 (en) * | 1995-01-11 | 1996-07-18 | Mary Kay Inc. | Anhydrous cosmetic compositions with dermatologically active agents |
WO1997032560A1 (en) * | 1996-03-05 | 1997-09-12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Skin care compositions |
KR0185818B1 (ko) * | 1997-02-28 | 1999-05-01 | 주식회사태평양 | 보습효과를 갖는 화장료용 안료 및 이를 함유하는 고형분말 색조화장료 |
KR19990069952A (ko) * | 1998-02-16 | 1999-09-06 | 이세복 | 코지산 포접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색조 화장료 |
-
1999
- 1999-11-12 KR KR1019990050168A patent/KR100348826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442413A (en) * | 1987-08-11 | 1989-02-14 | Nippon Menaade Keshohin Kk | Cosmetic |
EP0306236A2 (en) * | 1987-08-31 | 1989-03-08 | Advanced Polymer Systems, Inc. | Controlled release formulations |
WO1996021422A1 (en) * | 1995-01-11 | 1996-07-18 | Mary Kay Inc. | Anhydrous cosmetic compositions with dermatologically active agents |
WO1997032560A1 (en) * | 1996-03-05 | 1997-09-12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Skin care compositions |
KR0185818B1 (ko) * | 1997-02-28 | 1999-05-01 | 주식회사태평양 | 보습효과를 갖는 화장료용 안료 및 이를 함유하는 고형분말 색조화장료 |
KR19990069952A (ko) * | 1998-02-16 | 1999-09-06 | 이세복 | 코지산 포접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색조 화장료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46402A (ko) | 2001-06-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Nokhodchi et al. | The enhancement effect of surfactants on the penetration of lorazepam through rat skin | |
US10709748B2 (en) | Encapsulated cannabinoid formulations for transdermal delivery | |
CN104606063B (zh) | 一种含有化妆品活性成分的脂质体及其制备方法和用途 | |
EP0665000B1 (fr) | Composition hydratante pour le traitement simultané des couches superficielles et profondes de la peau, son utilisation | |
TR201808178T4 (tr) | Aktif ajanların transdermal dağıtımı için bileşimler. | |
KR20020079150A (ko) | 고분자 나노입자를 이용한 경피흡수제 및 이를 함유한외용제 조성물 | |
KR100383252B1 (ko) | 부프레놀핀을함유하는경피투여조성물및이를포함하는패취 | |
CA2138880A1 (fr) | Composition cosmetique pour le traitement simultane des couches superficielles et profondes de la peau, son utilisation | |
KR101840045B1 (ko) | 옥사졸리딘-2-온 화합물을 캡슐화한 리포좀 | |
JP5013648B2 (ja) | 皮膚外用剤内の活性成分の皮膚吸収を増進させる組成物 | |
CN113521306A (zh) | 具有透皮增强作用的传递体-外泌体膜融合制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 |
CZ302649B6 (cs) | Farmaceutická formulace zahrnující cyklosporin a její použití | |
KR100893469B1 (ko) | 피부 투과성이 우수한 미녹시딜 함유 발모용 외용액제조성물 | |
KR101732844B1 (ko) | 국소 피부 전달용 항염증 지질 나노 전달체를 포함하는 피부염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 |
KR20050105445A (ko) | 아시아티코사이드-리포솜 및 그 용도 | |
ES2622849T3 (es) | Composición que comprende un extracto de cebolla y liposomas | |
KR100348826B1 (ko) | 수용성 활성성분의 피부 흡수도가 향상된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 |
WO1998030215A1 (en) | Liposome-based topical tretinoin formulation | |
KR101626473B1 (ko) | 시클로헥산 디카르복실산 유도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 |
Prakash et al. | Penetration enhancers: adjuvants in transdermal drug delivery system | |
KR20170032808A (ko) | 멘톨 또는 멘톨 유도체를 포함하는 용해성 미세바늘 패치 | |
RU2571270C1 (ru) | Липосомальное наносредство на основе продуктов, полученных из корневищ куркумы | |
AU2019206649B2 (en) | Encapsulated cannabinoid formulations for transdermal delivery | |
US20090246234A1 (en) | Therapeutic Treatment Using Niacin for Skin Disorders | |
Rao et al. | Effect of chemical enhancers on in-vitro permeation of Losartan potassiu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41223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