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333597B1 - 디스크구동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크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3597B1
KR100333597B1 KR1019980044982A KR19980044982A KR100333597B1 KR 100333597 B1 KR100333597 B1 KR 100333597B1 KR 1019980044982 A KR1019980044982 A KR 1019980044982A KR 19980044982 A KR19980044982 A KR 19980044982A KR 100333597 B1 KR100333597 B1 KR 1003335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k
clamper
guide
loading
pow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4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7124A (ko
Inventor
이재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800449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3597B1/ko
Publication of KR200000271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71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35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3597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20Driving; Starting; Stopping; Control thereof
    • G11B19/2009Turntables, hubs and motors for disk drives; Mounting of motors in the driv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22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 G11B17/028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 G11B17/0282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by means provided on the turntabl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22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 G11B17/028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 G11B17/0284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by clamp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401Details
    • G11B17/0402Servo contro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Landscapes

  • Holding Or Fastening Of Disk On Rotational Shaf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크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디스크로서 디스크(D)를 사용하는 디스크 드라이버에서 디스크의 로딩과 언로딩을 피드와이어(155)를 사용하여 수행하고, 로딩, 언로딩 및 클램핑을 하나의 구동모터(140)를 사용하여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상기 구동모터(140)의 동력을 다단기어 (142)를 사용하여 로딩 및 언로딩을 위한 동력전달경로와 클램핑을 위한 동력전달 경로로 분배하여 전달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디스크 드라이버의 경박단소화를 이루면서도 하나의 구동모터(140)를 사용하여 디스크의 로딩/언로딩을 자동으로 수행할 뿐만 아니라 클램핑까지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디스크 구동장치
본 발명은 디스크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슬림형 장치에서 디스크의 로딩과 언로딩 및 클램핑을 사용자의 힘에 의하지 않고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디스크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 및 도 2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디스크 구동장치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하부샤시(1)와 상부샤시(2)가 결합되어 드라이버의 외관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샤시(1)와 상부샤시(2)의 내부에 디스크를 구동하기 위한 구성이 구비된다.
즉, 상기 하부샤시(1) 상에는 트레이(6)가 드라이버의 내외부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트레이(6)에는 디스크(D)가 안착되는 턴테이블(7)과, 상기 턴테이블(7)에 안착된 디스크(D)가 회전중 이탈되지 않게 잡아주는 클램퍼(8)가 구비된다. 그리고, 디스크(D)에 신호를 기록하거나 기록된 신호를 재생하는 광픽업 (9)도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광픽업(9)을 이동시키기 위해 슬레드모터(도시되지 않음)의 동력으로 회전되는 리드스크류(도시되지 않음)도 설치된다. 그리고,상기 리드스크류의 일측 단부와 연동되게 구동판(1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동판(10)은 상기 리드스크류의 오버스트로크에 의해 이동된다. 상기 구동판(10)의 동작과 연동되게 이젝트레버(11)가 상기 트레이(6)의 하면 일측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이젝트레버(11)는 힌지축(11h)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설치되어 있고, 그 일측에는 걸림턱(11s)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턱(11s)은 상기 하부샤시(1)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돌기(5)에 걸려지는 것이다.
한편, 상기 트레이(6)가 드라이버의 내부에 있을 때, 상기 트레이(6)를 드라이버의 외부로 미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는 스프링(14)이 상기 트레이(6)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14)은 탄지가이드(13)를 탄성지지하고 상기 탄지가이드(13)는 하부샤시(1)에 있는 탄지편(4)과 접촉된다. 즉, 상기 트레이(6)가드라이버의 내부에 있을 때에는 상기 탄지가이드(13)가 탄지편(4)에 눌러져 상기 스프링(14)이 압축되어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트레이(6)의 하부 양측에는 트레이(6)가 드라이버의 내외부로 이동하는 것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축(6s,6s')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축 (6s,6s')은 상기 하부샤시(1)의 양측에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레일(3,3')을 따라 이동하면서 트레이(6)의 이동을 가이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레일(3,3')의 내부에는 상기 트레이(6)가 가이드레일(3,3')의 외부로 까지 돌출되었을 때, 가이드축(6s,6s')을 지지하는 지지레일(3s,3s')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디스크 드라이버의 구성에 있어서, 디스크(D)를 로딩 혹은 언로딩시키기 위한 동작을 살펴본다. 디스크(D)의 로딩 혹은 언로딩을 위해서는 먼저, 상기 트레이(6)가 드라이버의 외부로 빠져나와야 한다.
이를 위해 사용자가 이젝트버튼(도시되지 않음)을 누르면, 상기 광픽업(9)이 디스크(D)의 외주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광픽업(9)이 디스크(D)의 외주측으로 완전히 이동하게 되는 순간, 상기 광픽업(9)을 이동시키는 리드스크류에는 오버스트로크가 발생하게 되고, 상기 오버스트로크에 의해 상기 구동판(10)이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동판(10)의 이동에 의해 상기 이젝트레버(11)가 그 힌지축 (11h)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걸림턱(11s)이 상기 걸림돌기 (5)로부터 빠져나오게 된다. 따라서, 상기 트레이(6)는 상기 스프링(14)의 탄성력에 의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라이버의 외부로 돌출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트레이(6)를 손으로 잡고 디스크(D)를 상기 턴테이블(7)에 장착하거나 장착되어 있는 디스크(D)를 빼낼 수 있을 정도(도 4참고)로, 드라이버의 외부로 빼내면 된다. 그리고는 디스크(D)를 턴테이블(7)에 장착하거나 빼낸 후에 상기 트레이(6)를 손으로 드라이버의 내부로 밀어 넣으면 된다.
이때, 상기 트레이(6)를 드라이버의 내부로 완전히 밀어넣게 되면, 상기 이젝트레버(11)의 걸림턱(11s)이 걸림돌기(5)에 걸리게 되어 트레이(6)가 하부샤시 (1)의 내부에 고정되어 있게 된다. 물론, 상기 트레이(6)가 드라이버의 내부로 들어가게 되면, 상기 탄지가이드(13)가 탄지편(4)에 의해 눌러지면서, 상기 스프링 (14)이 인장된 상태로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스프링(14)이 인장된 상태로 있게 되면, 상기 스프링(14)에 의해 상기 트레이(6)는 드라이버의 외부로 이동되려는 힘을 가지게 된다. 하지만, 상기 걸림턱(11S)이 걸림돌기(5)에 걸려 있게 되어 트레이(6)는 외부로 이동되지 않는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로딩장치는 위에서 잘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크(D)의 로딩 및 언로딩을 위한 트레이(6)의 동작의 대부분의 동작이 수동으로 이루어져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즉, 이젝트버튼을 누르면, 상기 트레이(6)가 드라이버로부터 약간 돌출되고, 이 상태의 트레이(6)를 사용자가 손으로 잡아 당겨서 빼내어야 한다. 그리고, 디스크(D)를 장착하거나 빼낸 후에는, 다시 상기 트레이(6)를 드라이버(1)의 내부로 완전히 삽입될 때까지, 사용자가 수동으로 밀어 넣어야 한다.
이와 같이 수동으로 트레이(6)를 드라이버의 외부로 빼내어야 하는 것은 디스크 드라이버를 경박단소화하기 위해서는 어쩔 수 없는 선택이었다. 다시 말해 디스크 드라이버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드라이버 전체의 크기를 디스크(D)의 크기와 거의 동일하게 설계하였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불편한 점을 해소하기 위해 경박단소화된 디스크 드라이버에서 자동으로 디스크를 로딩 및 언로딩시키기 위한 구성이 제시되었으나, 이 경우에는 별도로 디스크를 턴테이블에 클램핑하기 위한 디스크의 업다운동작에 별도의 구동모터가 필요하여 제조원가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경박단소화된 디스크 구동장치에서 디스크의 로딩, 언로딩 및 클램핑을 자동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경박단소화된 디스크 구동장치에서 디스크의 로딩, 언로딩 및 클램핑을 위한 부품의 수를 줄이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디스크 구동장치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2 종래 기술에 의한 디스크 구동장치의 구성을 보인 정단면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의한 디스크 구동장치에서 트레이가 세트의 외부로 일차 인출된 것을 보인 작동상태도.
도 4는 종래 기술에 의한 디스크 구동장치에서 트레이가 세트의 외부로 완전히 인출된 것을 보인 작동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 구동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 구동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정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 구동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디스크의 로딩/언로딩을 위한 동력전달경로를 보인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픽업베이스의 업다운을 위한 동력전달경로를 보인 평면도.
도 10a,10b,10c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픽업베이스의 업다운을 위한 동작이 시작되는 것을 각각 다른 방향에서 보인 동작상태도.
도 11a,11b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디스크의 인입이 완료된 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
도 12a,12b,12c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픽업베이스의 상승이 완료된 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
도 13a,13b,13c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디스크의 클램핑이 완료된 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하부샤시 101: 안내보스
110: 상부샤시 111: 안내보스
115,116: 감지센서 120: 픽업베이스
121: 턴테이블 123: 픽업유니트
125: 승강샤시 126: 승강가이드축
130,130': 디스크가이드 133,133': 스톱퍼
135,135': 가이드플레이트 137: 연결스프링
138: 동기기어 140: 구동모터
141: 워엄기어 142: 다단기어
142U: 상부기어 142L: 하부기어
143: 연결플레이트 145: 연결기어
146: 구동기어 150: 구동풀리
151: 기어부 153: 종동풀리
155: 피드와이어 157: 장력조절스프링
160: 제1연결기어 161: 제2연결기어
162: 구동기어 170: 승강구동플레이트
171,171': 안내슬롯 172: 랙기어부
173: 디스크연동돌기 174: 복귀스프링
175: 구동슬롯 180: 승강회전레버
181: 회전중심축 183,183': 구동돌기
190,190': 승강가이드레버 191,191': 연동공
193: 승강가이드슬롯 195: 캠연동보스
200: 클램퍼 210,210': 클램퍼홀더
211,211': 안내보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으로 구동되어 디스크의 측면에 접촉되어 디스크를 이송시키는 선형부재를 사용하고, 디스크를 안내하고 지지하면서 디스크의 로딩/언로딩을 수행하는 로딩수단과, 상기 디스크의 로딩이 완료되었을 때 디스크의 구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상기 로딩수단을 후퇴시켜 주는 후퇴수단과,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으로 구동되어 디스크가 턴테이블상에 안착되어 파지되게 하는 클램핑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로딩수단은 디스크를 지지하면서 이동을 안내하는 지지안내수단과,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경로와, 상기 동력전달경로를 통해 전달된 구동모터의 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풀리와 종동풀리 사이에 감겨져 구동되면서 디스크의 측면과 마찰되어 디스크를 이동시키는 선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선형부재의 표면은 디스크의 측면과의 사이에서 소정의 마찰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표면처리된다.
상기 동력전달경로는 다수개의 기어로서, 상기 기어들은 하나의 플레이트상에 설치되고,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구동풀리 쪽으로 탄성력을 발휘하도록 되어 있어, 상기 기어열중 어느 하나의 기어와 상기 구동풀리의 기어부는 상기 탄성력으로 밀착되어 동력전달이 이루어진다.
상기 후퇴수단은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에 의해 이동되는 캠연동부와, 상기 지지안내수단에 구비되어 상기 캠연동부와 연동되는 캠으로서 상기 캠연동부의 동작에 의해 상기 지지안내수단을 디스크의 원심방향과 중심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이동시켜준다.
상기 클램핑수단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디스크를 턴테이블에 안착시켜 주는 안착수단과, 상기 턴테이블상에 안착된디스크를 턴테이블상에 고정시켜 주는 클램퍼와, 상기 클램퍼를 양측에서 지지하면서 상기 후퇴수단의 동작에 연동되어 클램퍼의 승강을 수행하는 클램퍼홀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안착수단은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경로와, 디스크의 로딩완료시점 이후에 상기 동력전달경로를 통해 전달된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되는 이동플레이트와,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이동과 연동되어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턴테이블을 승강시켜 디스크가 안착되게 하는 승강가이드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클램퍼의 하면과 상기 클램퍼의 하면과 대응되는 클램퍼홀더의 상단에는 각각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경사면의 연동으로 상기 클램퍼의 승강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슬림화된 장치에 사용되는 디스크 구동장치에서 하나의 구동모터를 사용하여 디스크의 로딩, 언로딩 및 클램핑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함과 동시에 부품의 개수를 줄여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디스크의 로딩 및 언로딩 동작을 위한 동력의 전달을 와이어를 사용하므로 전체적으로 장치를 슬림화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 구동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5에서 도 9에 도시된 것을 참고하여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의 외관은 크게 하부샤시(100)와 상부샤시(110)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샤시(100)는 도 6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번 절곡되어 상기 상부샤시(110)와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상부샤시(110) 상에는 픽업베이스(120)가 설치된다. 상기 픽업베이스 (120) 상에는 디스크(D)가 안착되어 회전되는 턴테이블(121)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턴테이블(121)은 스핀들모터(도시되지 않음) 상에 설치되어 스핀들모터에 의해 회전된다. 상기 픽업베이스(120) 상에는 디스크(D)에 기록된 신호를 재생하거나 디스크(D)에 신호를 기록하는 픽업유니트(123)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픽업베이스(120)는 승강샤시(125) 상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승강샤시(125)는 디스크(D)가 언로딩/로딩되는 동작의 전후에 승강되면서 디스크(D)가 상기 턴테이블(121) 상에 안착되거나 또는 턴테이블(121)로부터 이탈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승강샤시(125)의 양단에는 상기 승강샤시(125)의 승강을 위한 승강가이드축(126,126')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상부샤시(110)의 하면에는 디스크가이드(130,13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디스크가이드(130,130')는 상기 상부샤시(110)의 전후로 양측에 길게 설치되어, 디스크(D)의 양측면을 가이드하게 된다. 이와 같은 디스크가이드 (130,130')는 상기 상부샤시(110)의 하면에 좌우(도면을 기준으로)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가이드플레이트(135,135')의 하면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플레이트(135)의 하면 일측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캠연동보스(195)를 가이드하는 캠(13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캠(132)은 상기 캠연동보스(195)와 연동되어 상기 디스크가이드(130,130')와 가이드플레이트(135,135')를 상기 연결스프링(137)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디스크(D)의 원심방향 양측으로 이동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상기 가이드플레이트(135,135')의 후단 내부 일측에는 디스크(D)가 삽입되는 정도를 규제하는 스톱퍼(133,13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플레이트(135,135')에는 다수개의 안내슬롯(136,136')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안내슬롯(136,136') 내에는 상기 상부샤시(110)에 있는 안내보스(111)가 위치되어 가이드플레이트(135,135')의 설치 및 이동을 안내하게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플레이트(135,135')는 연결스프링(137)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연결스프링(137)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135,135')를 서로 인접하게 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플레이트(135,135')의 일측 안내슬롯(136,136')은 아래에서 설명될 클램퍼홀더(210,210')의 연동보스 (211,211')가 위치하게 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플레이트(135,135')에는 각각 기어부(135G,135'G)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 기어부(135G,135'G)는 동기기어(138)와 각각 맞물려 있어 일측 가이드플레이트(135)가 동작되면 타측 가이드플레이트 (135')도 함께 서로 인접하게 되는 방향 또는 서로 멀어지게 되는 방향으로 동시에 이동하게 된다.
이제 디스크(D)의 로딩과 언로딩을 위한 동력을 전달하는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하부샤시(100)의 후단부에는 구동모터(14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동모터(140)의 회전축에는 워엄기어(141)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워엄기어 (141)에 의해 구동되는 다단기어(142)가 상기 하부샤시(100)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다단기어(142)의 상부에는 상부기어(142U)가 형성되어 디스크(D)의 이동을 위한 구성으로 동력을 전달하고, 하부에는 하부기어(142L)가 형성되어 상기 픽업베이스(120)의 승강을 위한 구성으로 동력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다단기어 (142)의 중심축(142S)에는 도 7 및 도 8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플레이트(14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연결플레이트(143)의 자유단부 측에는 어태치스프링(144)이 연결설치되어 있다. 상기 어태치스프링(144)의 타측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135)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플레이트(143) 상에는 상기 다단기어(142)의 상부기어 (142U)와 맞물리는 연결기어(145)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결기어(145)의 타측과 맞물리게 구동기어(146)가 상기 연결플레이트(143) 상에 설치된다.
상기 구동기어(146)의 타측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135)의 하면에 설치되어 있는 구동풀리(150)의 기어부(151)에 맞물리게 된다. 이때, 상기 연결플레이트 (143)가 상기 어태치스프링(144)에 의해 상기 구동풀리(150) 쪽으로 회전되려는 경향을 가지고 있어 상기 구동기어(146)는 상기 구동풀리(150)의 기어부(151)에 항상 밀착되게 된다.
상기 구동풀리(150)는 상기 디스크가이드(130)의 일측 단부 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디스크가이드(130)의 타측 단부 내에는 상기 구동풀리(150)와 대응되는 종동풀리(153)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풀리(150)와 종동풀리(153)에는 피드와이어(155)가 감겨져 있다. 상기 피드와이어(155)는 상기 디스크가이드(130)의 내부에서 상기 디스크(D)의 측면과 접촉되어 디스크(D)를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피드와이어(155)는 디스크(D)와의 사이에 마찰력을 유지하기 위해 어느 정도의 표면조도를 가지도록 표면처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피드와이어(155)의 일정 구간에는 장력조절스프링(157)이 설치되어 상기 피드와이어(155)가 풀리(150,153)의 표면에 밀착되어 동력전달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제, 상기 픽업베이스(120)의 승강을 위한 동력이 전달되는 경로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단기어(142)의 하부기어(142L)와 맞물리게 상기 하부샤시(100) 상에 제1연결기어(160)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연결기어(160)와 맞물려 제2연결기어(161)가 상기 하부샤시(100) 상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연결기어(161)와 맞물리게 구동기어(162)가 상기 하부샤시(100) 상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동기어(162)는 상기 하부샤시(100) 상에 설치되어 있는 승강구동플레이트(170)의 랙기어부(172)와 맞물려 상기 승강구동플레이트(170)를 이동시킨다. 상기 승강구동플레이트(170)에는 서로 평행한 안내슬롯(171,17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안내슬롯(171,171')에는 상기 하부샤시(100) 상에 형성되어 있는 안내보스(101)가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승강구동플레이트(170)는 상기 안내슬롯(171,171')과 상기 안내보스(101)에 의해 그 지지와 이동이 이루어진다. 상기 승강구동플레이트(170)의 일단부에는 디스크(D)의 로딩말기에 상기 디스크(D)의 이동에 의해 밀려지게 되는 디스크연동돌기(17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구동플레이트(170)의 일측에는 상기 하부샤시(100)에 연결되어 있는 복귀스프링(174)이 연결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승강구동플레이트(170)에는 직각구간으로 이루어진 구동슬롯 (17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동슬롯(175)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승강회전레버 (180)의 종동돌기(182)가 위치된다.
상기 하부샤시(100)의 일측에는 승강회전레버(180)가 설치된다. 상기 승강회전레버(180)는 그 회전중심축(181)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것으로, 그 일측에는 상기 승강구동플레이트(170)의 상기 구동슬롯(175)에 위치되어 승강플레이트(170)의 이동에 따라 승강회전레버(180)를 회전시키게 하는 종동돌기 (18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회전레버(180)의 양단부에는 각각 구동돌기(183,183')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6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샤시(100)의 양측에는 승강가이드레버(190,19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승강가이드레버(190,190')는 상기 승강회전레버(180)에 의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픽업베이스(120)의 승강운동을 만들어 낸다.
상기 승강가이드레버(190,190')에는 각각 상기 승강회전레버(180)의 양단부에 구비된 구동돌기(183,183')가 위치되는 연동공(191,19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가이드레버(190,190')에는 도 7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상기 승강샤시(125)의 승강가이드축(126,126')을 가이드하여 승강가이드(125)를 승강시키는 승강가이드슬롯(19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양측의 승강가이드레버(190,190')의 승강가이드슬롯(193)의 각 구간의 높이는 서로 반대로 형성되어 있다. 이는 상기 승강가이드레버(190,190')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되기 때문이다.
한편, 일측 승강가이드레버(190)에는 캠연동보스(19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캠연동보스(195)는 상기 디스크가이드(130)에 형성되어 있는 캠(132)을 안내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부샤시(110)와 가이드플레이트(135,135') 사이에는 클램퍼 (200)를 지지하는 클램퍼홀더(210,21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클램퍼(200)는 상기 턴테이블(121) 상에 안착된 디스크(D)가 회전중에 탈락되지 않도록 디스크(D)를 잡아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클램퍼홀더(210,210')는 각각 그 일측에 안내보스(211,211')가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플레이트(135,135')의 안내슬롯(136,136')에 위치되어 상기 가이드플레이트(135,135')에 연동된다.
여기서, 상기 클램퍼홀더(210,210')는 복귀스프링(213)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어 상기 가이드플레이트(135,135')가 상대적으로 인접하게 위치되면 상기 복귀스프링(213)의 복원력에 의해 서로 인접하게 된다. 이와 같은 클램퍼홀더 (210,210')는 상기 클램퍼(200)를 승강시켜 필요에 따라 상기 클램퍼(200)가 디스크(D)를 잡아주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클램퍼(200)의 하단 가장자리와 상기 클램퍼홀더 (210,210')의 서로 마주보는 편 상면은, 도 6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어 상기 클램퍼홀더(210,210')가 클램퍼(200)의 승강을 안내할 수 있도록 한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15는 디스크의 인입을 감지하는 감지센서이고, 116은 디스크의 클램핑 완료를 감지하는 감지센서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 실시예가 동작되는 것을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노트북과 같이 슬림화된 장치에서 사용되는 디스크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와이어를 사용하여 디스크의 로딩 및 언로딩을 수행하고 상기 디스크의 로딩 및 언로딩에 사용되는 구동모터의 동력을 사용하여 디스크의 클램핑 동작까지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디스크가이드(130,130')의 내측으로 사용자가 디스크(D)를 삽입하여 주면, 상대적으로 턴테이블(121) 쪽으로 이동되어 있던, 디스크가이드(130,130')가 벌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디스크(D)의 좌측면 일측은 상기 피드와이어(155)와 접촉하게 된다.
상기 디스크(D)를 사용자가 어느정도 더 삽입하여 주면, 상기 디스크가이드 (130,130')가 벌어지면서, 상기 가이드플레이트(135,135')가 또한 벌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감지센서(115)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135,135')로부터 떨어지게 되어, 디스크(D)의 삽입을 감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디스크(D)의 삽입이 감지되면 상기 구동모터(140)가 회전하기 시작한다.
상기 구동모터(140)의 회전력은 상기 워엄기어(141)와 다단기어(142)를 통해 연결기어(145)를 거쳐 구동기어(146)로 전달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기어(146)와 맞물려 있는 구동풀리(150)의 기어부(151)의 연동에 의해 구동풀리(150)가 회전하면서, 상기 피드와이어(155)가 구동된다.
상기 피드와이어(155)가 구동되기 시작하면, 상기 피드와이어(155)와 디스크 (D)의 마찰에 의해 디스크(D)가 내부로 이동되면서 로딩되기 시작한다. 이와 같이, 상기디스크(D)가 내부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디스크가이드(130,130')와 가이드플레이트(135,135')는 점점 더 벌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플레이트 (135,135')의 기어부(135G,135'G)와 동시에 맞물려 있는 동기기어(138)에 의해서 이들이 서로 연동되면서 벌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승강구동플레이트(170)의 랙기어부(172)와 구동기어(162)는 아직 맞물리지 않은 상태이다.
이와 같이 하여 디스크(D)가 내부로 거의 다 들어간 상태가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도 10a를 살펴보면, 디스크(D)가 피드와이어(155)에 의해 구동되어 이동되고, 디스크(D)는 거의 턴테이블(121)의 상부에 인접한 상태이다. 그리고, 상기 디스크(D)의 일측이 상기 승강구동플레이트(170)의 디스크연동돌기(174)에 닿은 상태이다. 그리고 도 10b 및 도 10c를 살펴보면, 픽업베이스(120)가 아직 상승되지 않은 상태이다.
상기와 같은 도 10의 상태에서 상기 디스크연동돌기(173)와 디스크(D)의 일측이 닿게 되면 상기 디스크(D)의 이동에 의해 상기 승강구동플레이트(170)가 상기 복귀스프링(174)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화살표A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이동에 의해 상기 승강구동플레이트(170)의 랙기어부(172)가 상기 구동기어 (162)와 맞물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140)의 구동력이 상기 구동기어 (162)를 통해 상기 승강구동플레이트(170)로 전달되면서, 이제 상기 승강구동플레이트(170)가 상기 구동모터(140)의 구동력에 의해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디스크(D)의 이동에 의해 디스크(D)가 턴테이블(121)의 상부에 정확하게 위치하게 되면,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크가이드(130,130')의 후단에 있는 스톱퍼(133,133')에 의해 디스크(D)의 더 이상의 이동이 정지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승강구동플레이트(170)가 이동되면서 상기 구동슬롯(175)에 의해 종동돌기(182)가 가이드되어 승강회전레버(180)가 회전중심축(181)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한다.
상기 승강회전레버(180)가 회전하기 시작하면, 상기 승강가이드레버 (190,190')의 상기 연동공(191,191') 내에 있는 구동돌기(183,183')에 의해 상기 승강가이드레버(190,190')가 이동하기 시작한다. 따라서, 도 11b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가이드슬롯(193)에서 상기 승강샤시(125)의 승강가이드축(126)이 안내되기 시작한다. 이때, 상기 디스크가이드(130)의 캠(132)과 상기 승강가이드레버(190)의 캠연동보스(195)도 연동되기 시작한다.
이와 같이 승강가이드축(126)이 승강가이드슬롯(193)을 따라 안내되면서 상기 픽업베이스(120)가 상승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상기 캠(132)과 캠연동보스(195)의 연동에 의해 상기 디스크가이드(130,130')가 디스크(D)의 측면으로부터 이탈되어 외측으로 이동하기 시작한다.
이때, 상기 디스크가이드(130,130')가 외측으로 이동하는 것은 상기 승강가이드레버(190)의 이동에 따른 캠연동보스(195)와 캠(132)의 연동에 따른 것으로 턴테이블(121)의 상승에 의해 디스크(D)가 턴테이블에 안착됨과 동시에 디스크(D)의회전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12a,12b,12c에 잘 도시되어 있다.
한편, 도 12의 상태에서 상기 구동모터(140)의 구동력이 계속하여 전달되면 도 13a,13b,13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디스크(D)의 클램핑이 완료된 상태가 된다. 즉, 상기 승강구동플레이트(170)가 상기 구동기어(162)를 통해 동력을 전달받아 계속하여 이동하고, 이에 의해 상기 승강회전레버(180)가 회전된다. 상기 승강회전레버(180)의 회전은 상기 승강가이드레버(190)의 계속적인 이동을 만들어 내어 상기 승강가이드슬롯(193)에 승강가이드축(126)이 가이드되면서, 도 13c의 상태로 만들어 준다. 이와 같이 상기 승강가이드축(126)이 승강가이드슬롯(193)의 가장 높은 구간(상기 하부샤시(100)를 기준으로)에 있게 되면 상기 승강샤시(125)가 가장 높은 위치로 상승되어 상기 픽업베이스(120) 및 그에 설치된 턴테이블(121)이 상승하여 디스크(D)가 턴테이블(121)에 안착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디스크가이드(130,130') 역시 도 13b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D)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도록 최대한 디스크(D)의 측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이와 같은 디스크가이드(130,130')의 이동은 상기 캠(132)과 캠연동보스 (195)의 연동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상기 캠연동보스(195)가 상기 승강가이드레버(190)와 함께 이동함에 의해 상기 캠(132)은 상기 캠연동보스(195)에 연동되면서 화살표C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이동은 상기 디스크가이드(130)의 같은 방향 이동과 더불어 반대쪽 디스크가이드(130')의 화살표C반대방향의 이동을 만들어 낸다. 이때, 상기 디스크가이드(130')의 이동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135,135')의 기어부(135G,135'G)와 동기기어(138)의 연동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가이드플레이트(135,135')의 이동에 의해 상기 클램퍼홀더 (210,210')의 동작이 이루어진다. 즉, 상기 가이드플레이트(135,135')가 화살표C방향으로 이동함에 의해 클램퍼홀더(210,210')의 안내보스(211,211')가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플레이트(135,135')의 안내슬롯(136,136')의 일측 끝부분에 안내되면서 상기 복귀스프링(213)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각각 화살표C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클램퍼홀더(210,210')에 지지되어 있던 클램퍼(200)가 낙하되어 상기 턴테이블(121) 상에 안착되어 있는 디스크(D)를 턴테이블(121)에 견고하게 장착시켜 주게 되어 디스크(D)의 클램핑이 완료된다. 이때, 상기 감지센서(116)는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플레이트(135')로부터 떨어져서 클램핑이 완료되었음을 감지하여 상기 구동모터(140)의 동작을 멈추게 한다.
한편, 상기 클램퍼홀더(210,210')와 클램퍼(200)가 연동되는 부분은 서로 형합되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져 반대동작이 이루어질 때에는 상기 클램퍼홀더 (210,210')가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이들 경사면을 타고 상기 클램퍼(200)가 상기 클램퍼홀더(210,210') 상에 얹어지게 된다.
지금까지 설명된 것은 디스크(D)의 로딩에서 클램핑까지의 동작이고, 디스크 (D)의 언클램핑과 언로딩은 상기 동작의 반대로 이루어진다. 이때, 구동모터(140)는 로딩시와 반대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구동모터(140)의 구동력에 의해 로딩시에 설명한 것과 반대방향으로의 운동을 하게 된다. 특히 클램퍼홀더(210,210') 사이를연결하는 복귀스프링(213), 가이드플레이트(135,135')를 연결하는 연결스프링(137)그리고 승강구동플레이트(170)에 연결되어 있는 복귀스프링(174)은 이들 연결된 부재가 로딩시와 반대방향의 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 구동장치는 경박단소화를 추구하는 것으로 노트북과 같이 슬림화된 장치에서 사용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구동모터의 동력으로 구동되는 피드와이어를 디스크의 측면과 마찰시켜 디스크를 로딩 및 언로딩하도록 하였다. 즉, 두께가 상대적으로 가는 피드와이어를 사용하므로 인해 이를 구동하기 위한 풀리의 직경이나 높이가 그다지 크지 않아도 되어 장치의 경박단소를 이룰 수 있게 된다.
또한, 디스크를 로딩 및 언로딩시키는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을 사용하여 클램핑까지도 수행하도록 하였으므로, 디스크의 로딩, 언로딩 및 클램핑을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리를 추구함과 동시에 구성부품을 최소화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하도록 한 것이다.

Claims (8)

  1.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으로 구동되어 디스크의 측면에 접촉되어 디스크를 이송시키는 선형부재를 사용하고, 디스크를 안내하고 지지하면서 디스크의 로딩/언로딩을 수행하는 로딩수단과,
    상기 디스크의 로딩이 완료되었을 때 디스크의 구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상기 로딩수단을 후퇴시켜 주는 후퇴수단과,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으로 구동되어 디스크가 턴테이블상에 안착되어 파지되게 하는 클램핑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구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딩수단은 디스크를 지지하면서 이동을 안내하는 지지안내수단과,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경로와, 상기 동력전달경로를 통해 전달된 구동모터의 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풀리와 종동풀리 사이에 감겨져 구동되면서 디스크의 측면과 마찰되어 디스크를 이동시키는 선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구동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부재의 표면은 디스크의 측면과의 사이에서 소정의 마찰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표면처리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구동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경로는 다수개의 기어로서, 상기 기어들은 하나의 플레이트상에 설치되고,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구동풀리 쪽으로 탄성력을 발휘하도록 되어 있어, 상기 기어열중 어느 하나의 기어와 상기 구동풀리의 기어부는 상기 탄성력으로 밀착되어 동력전달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하는 디스크 구동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퇴수단은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에 의해 이동되는 캠연동부와, 상기 지지안내수단에 구비되어 상기 캠연동부와 연동되는 캠으로서 상기 캠연동부의 동작에 의해 상기 지지안내수단을 디스크의 원심방향과 중심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이동시켜줌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구동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수단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디스크를 턴테이블에 안착시켜 주는 안착수단과, 상기 턴테이블상에 안착된디스크를 턴테이블상에 고정시켜 주는 클램퍼와, 상기 클램퍼를 양측에서 지지하면서 상기 후퇴수단의 동작에 연동되어 클램퍼의 승강을 수행하는 클램퍼홀더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구동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수단은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경로와, 디스크의 로딩완료시점 이후에 상기 동력전달경로를 통해 전달된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되는 이동플레이트와,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이동과 연동되어 서로반대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턴테이블을 승강시켜 디스크가 안착되게 하는 승강가이드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구동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퍼의 하면과 상기 클램퍼의 하면과 대응되는 클램퍼홀더의 상단에는 각각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경사면의 연동으로 상기 클램퍼의 승강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구동장치.
KR1019980044982A 1998-10-27 1998-10-27 디스크구동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3335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4982A KR100333597B1 (ko) 1998-10-27 1998-10-27 디스크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4982A KR100333597B1 (ko) 1998-10-27 1998-10-27 디스크구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7124A KR20000027124A (ko) 2000-05-15
KR100333597B1 true KR100333597B1 (ko) 2002-09-27

Family

ID=19555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4982A Expired - Fee Related KR100333597B1 (ko) 1998-10-27 1998-10-27 디스크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35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8359B1 (ko) * 2005-11-14 2007-05-14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언클램핑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10543A (ko) * 1987-02-23 1988-10-10 홍순일 무코일 전압강압장치
KR960005522A (ko) * 1994-07-29 1996-02-23 배순훈 광디스크플레이어의 디스크트레이 로딩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10543A (ko) * 1987-02-23 1988-10-10 홍순일 무코일 전압강압장치
KR960005522A (ko) * 1994-07-29 1996-02-23 배순훈 광디스크플레이어의 디스크트레이 로딩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7124A (ko) 2000-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56984B1 (en) Disc player
US6449234B1 (en) Disk player loading a disk with improved insertion and loading
US7194746B2 (en) Tray device mechanism for optical disc apparatus
JP3841659B2 (ja) 光ディスクドライブ及び光ディスクドライブ用トレー
JP3506598B2 (ja) ディスク移送機構
US20070169135A1 (en) Disk drive device
KR100333597B1 (ko) 디스크구동장치
KR100299227B1 (ko) 기록매체구동장치
KR100383132B1 (ko) 디스크 장치
JP2828696B2 (ja) ディスクプレーヤ
CN101751954B (zh) 盘装置
KR100275890B1 (ko) 디스크 드라이버의 로딩장치
KR20000027123A (ko) 디스크 구동장치
JPH01176363A (ja) 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装置
JP4136968B2 (ja) ディスク装置
JP2656348B2 (ja) 記録円盤再生装置
JP2006260719A (ja) 光ディスク装置
JP3948467B2 (ja) ディスク装置
JP3031949B2 (ja) 円盤状記録媒体のチャッキング機構
KR100249381B1 (ko) 디스크 플레이어의 로딩장치
JPH01176362A (ja) 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装置
KR0136618Y1 (ko) 광디스크 드라이버의 트레이장치
JPH1083606A (ja) ディスクトレー及びディスク再生装置
JP2534994Y2 (ja) 円盤状記録媒体のチャッキング機構
JPH1083607A (ja) ディスク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10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8102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007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105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201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04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204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3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3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29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3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