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320124B1 -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0124B1
KR100320124B1 KR1019990053982A KR19990053982A KR100320124B1 KR 100320124 B1 KR100320124 B1 KR 100320124B1 KR 1019990053982 A KR1019990053982 A KR 1019990053982A KR 19990053982 A KR19990053982 A KR 19990053982A KR 100320124 B1 KR100320124 B1 KR 1003201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transmission
gear
transmission device
fixed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3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49058A (ko
Inventor
김기수
Original Assignee
김기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수 filed Critical 김기수
Priority to KR10199900539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0124B1/ko
Publication of KR20010049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90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01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01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80Other vehicles not covered by groups B60Y2200/10 - B60Y2200/60
    • B60Y2200/84Wheelchairs

Landscapes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수단이 바퀴의 회전에 의해 구동하는중 장애물 또는 계단에 의해 저지되면 스텝구동방식으로 장애물을 넘거나 계단을 오를 수 있는 구동장치를 제공한다. 그 구동수단은 주축(14)을 갖는 동력발생장치(12);주축(14)에 고정되는 선기어(18)와,선기어(18)에 치차 결합되며 부하에 따라 자전 또는 공전하는 유성기어(20)와,유성기어(20)에 치차 결합되는링기어(22)를 구비한 제1동력전달장치(16);동력발생장치(12)의 주축(14)에 외삽되며 유성기어가 공전할 때 회전되도록 구성된 캐리어장치(24); 제1동력전달장치(16)의 링기어(22)에 치합되는 구동기어(32)와, 구동기어(32)의 중심축에 고정되는 구동축(34)과, 구동축의 타단부에 고정된 동력전달기어(36)와, 구동축(34)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며 캐리어장치(24)의 몸체(26)에 치합되는 고정기어(40)를 갖는 기축프레임(38)과, 기축프레임(38)의 타단부에 고정되는 케이싱(42)을 구비하는 제2동력전달장치; 케이싱(42)에 내설되며, 제2동력전달장치(30)에 결합되고 제1휠(72)에 회전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제3동력전달장치(44); 및 케이싱(42)에 내설되며, 제2동력전달장치(30)에 결합되며 제2휠(72)에 회전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제 4동력전달장치(46)로 구성된다.

Description

구동장치{DRIVING SYSTEM}
본 발명은 다양한 이동수단의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수단이 휠의 회전에 의해 구동하는중 장애물 또는 계단에 의해 저지되면 스텝구동방식으로 장애물을 넘거나 계단을 오를 수 있는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전자 또는 승객이 탑승하기 위한 승용차 또는 상용차와 같은 형태의 차량, 장애자 또는 환자가 이동을 위해 탑승하는 휠체어, 화물 또는 짐을 운반하기 위한 운반차량, 장갑차 또는 특장차와 같은 특수차량 등 다양한 이동수 단이 널리 개발되어 있어 편의성을 도모함은 물론 특수한 목적에 유용하게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이동수단들은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사람 또는 화물이 적재될 수 있으며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는 차체(1)를 포함한다. 이 차체(1)의 소정의 위치에는 물론 엔진(2)이 탑재되어 있어 동력을 발생시킨다. 또한, 차체(1)에는 엔진(2)에 연계되어 그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휠(3)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엔진을 작동시키면, 구동장치에 연결된 휠이 회전됨으로써 해당차량 또는 이동수단이 구동 또는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이동수단들은 대부분 휠이 액슬축 또는 구동축에 대해 회전구동만을 행함으로써 평지 또는 한정된 높이의 장애물이 있을 경우에는 무난하게 이동할 수 있지만, 이동중 모래밭, 진흙밭 또는 높은 장애물을 만나거나 특히, 계단에 이르게 되면 휠이 헛돌거나 또는 그 장애물들을 타고넘지 못해 구동이 불가능하거나 이동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비교적 높은 장애물 또는 계단을 만나게 되는 경우 스텝방식으로 구동되어 장애물을 넘거나 계단을 오를 수 있는 구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휠에 일정크기 이상의 부하가 걸리는 경우 휠이 스텝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는 구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이동수단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동장치의 적용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장치의 절반부를 보여주는 구성도.
도 4는 도 3의 구동장치의 제 1동력전달장치 및 제 2동력전달장치의 조립상태 및 구동상태를 상세히 보여주는 부분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장치의 제 3동력전달장치 및 제 4동력전달장치의 결합상태 및 구동상태를 보여주는 구성도.
도 6a 및 6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동장치의 외측구성을 보여주는 측면도.
도 7a 내지 7b는 본 발명의 각각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동장치를 보여주는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차체 12: 동력발생장치
14: 주축 16: 제 1동력전달장치
24: 캐리어장치 30: 제 2동력전달장치
38: 기축프레임 42: 케이싱
44: 제 3동력전달장치 46: 제 4동력전달장치
76: 브레이크장치 84,88: 스프로킷
95: 제 5동력전달장치 97: 제 6동력전달장치
이 같은 목적들은 장애물을 넘고 계단을 오를 수 있는 구동장치에 있어서, 주축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동력발생장치; 상기 동력발생장치의 주축에 고정되는 선기어와, 상기 선기어 둘레에 치차결합되는 복수개의 유성기어와, 상기 각각의 유성기어둘레에 치차결합되는 링기어를 구비하며, 상기 유성기어는 부하에 따라 자전 및 공전가능한 제 1동력전달장치; 상기 동력발생장치의 주축에 외삽되는 몸체와,상기 각각의 유성기어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복수개의 지지축을 구비하며, 상기 유성기어가 공전할 때 회전되도록 구성된 캐리어장치; 상기 제 1동력전달장치의 링기어의 외측에 치합되는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의 중심축에 고정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의 타단부에 고정된 동력전달기어와, 상기 구동축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고 일단부에 상기 캐리어장치의 몸체에 치합되는 고정기어를 구비하며 스텝작동시 중심축 역할을 하는 기축프레임과, 상기 기축프레임의 타단부에 고정되는 케이싱을 구비하는 제 2동력전달장치; 상기 케이싱에 내설되며, 제 2동력전달장치에 결합되며 제 1휠에 상기 주축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제 3동력전달장치; 및 상기 케이싱에 내설되며, 상기 제 2동력전달장치에 결합되며 제 2휠에 상기 주축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제 4동력전달장치;를 포함하는 구동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할 것인 바, 명확성을 위해 구동장치의 절반부만을 상세하게 도시하였다. 또한, 후술되는 설명에 표시된 방향성 용어들은 본 발명을 단지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첨부도면을 정면에서 투시할 때 설정된 용어일 뿐이며,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이와 같은 방향성 용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음을 자명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먼저, 도 2,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구동장치는 전술된 바와 같이 승용차, 상용차, 운반수단, 휠체어 등과 같은 다양한 이동수단의 차체를 포함할 수 있는 차체(10)에 설치된다. 물론 그 차체(10)에는 일반적인 연소엔진 또는 전기모터 등과 같은 동력발생장치(12)가 탑재되어 있으며, 그 동력발생장치에는 예컨대 액슬축과 같은 주축(14)을 포함한다.
주축(14)에는 그것의 구동에 따라 회전구동하여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제 1동력전달장치(16)를 포함한다. 제 1동력전달장치(16)는 유성기어장치(sun and planet gear)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바, 기본적으로 주축(14)에 고정되는 선기어(18)와, 그 선기어(18)둘레에 치차 결합되는 복수개의 유성기어(20)와, 유성기어(20)둘레에 치차결합되는 다른 하나의 선기어, 즉, 링기어(22)를 구비한다. 여기서, 복수개의 유성기어(20)는 선기어(18)의 회전에 따라 자전하거나 또는 부하에 따라 공전하도록 설치되며, 또한 링기어(22)는 내면 및 외면 모두에 치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동력전달장치(16)에는 캐리어장치(24)가 설치된다. 캐리어장치(24)는 주축(14)에 접촉되지 않게 외삽되며 외주변에 치가 형성된 몸체(26)를 구비한다. 그 몸체(26)에는 각각의 유성기어(20)가 아이들(idle) 가능하게 베어링에 의해 연결되는 복수개의 지지축(28)을 포함한다.
또한, 제 1동력전달장치(16)에는 제 2동력전달장치(30)가 작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 2동력전달장치(30)는 제 1동력전달장치(16)의 링기어(22)의 외측에 치합되는 구동기어(32)와, 그 구동기어(32)의 중심축에 고정되는 구동축(34)과, 구동축의 타단부에 고정된 동력전달기어(36)를 포함한다. 그리고, 구동축(34)의 외측에는 그 구동축(34)에 회전가능하도록 베어링에 의해 지지되며 스텝작동중 중심축 역할을 하는 원통형의 기축프레임(38)이 외삽된다. 또한, 기축프레임(38)의 일단부에는 캐리어장치(24)의 몸체(26)의 외측변에 치합되는 고정기어(40)가 제공된다. 그리고, 제 2동력전달장치(30)에는 내부에서 충분한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케이싱(42)이 제공된다.
케이싱(42)의 내측에는 제 3동력전달장치(44) 및 제 4동력전달장치(46)가 작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제 3동력전달장치(44)는 제 2동력전달장치(30)의 동력전달기어(36)에 치차결합되며 동력전달케이싱(42)에 고정된 고정축(48)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제 1기어(50)와, 제 1기어(50)에 치차결합되며 역시 동력전달케이싱(42)에 고정된 고정축(52)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제 2기어(54)와, 제 2기어(54)에 치차결합되며 케이싱(42)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회전축(56)에 고정되는 제 3기어(58)를 구비한다.
또한, 동력전달케이싱(42)의 내측에 설치되는 제 4동력전달장치(46)는 제 3동력전달장치(44)에 대응하게 설치된다. 즉, 제 4동력전달장치(46)는 제 2동력전달장치(30)의 동력전달기어(36)에 치차결합되며 동력전달케이싱(42)에 고정된 고정축(6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제 1기어(62)와, 제 1기어(62)에 치차결합되며 역시 동력전달케이싱(42)에 고정된 고정축(64)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제 2기어(66)와, 제 2기어(66)에 치차결합되며 케이싱(42)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회전축(66)에 고정되는 제 3기어(70)를 구비한다.
또한, 제 3동력전달장치(44)에는 제 1휠(72)이 제 3기어(58)의 회전축(56)에 고정되며, 마찬가지로 제 4동력전달장치(46)에는 제 2휠(74)이 제 3기어(70)의 회전축(68)에 고정되어 지면 또는 계단에서 구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각각의휠(72,74)은 적용되는 차체의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고안에 따른 구동장치에는 그 구동장치의 회전구동을 임의로 스텝구동으로 전환시키거나 또는 차체의 지상고를 조절하기 위한 브레이크장치(76)와, 후술되는 커버에 설치될 수 있는 케이싱 고정장치(도시되지 않음)와 연게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브레이크장치(76)는 회전축을 구비하며 작업자 또는 운전자에 의해 제어가능한 핸들(78)과, 그 핸들(78)에 연동되며 제 1동력전달장치(16)의 링기어(22)에 치차결합되는 제동기어(80)를 구비한다.
물론, 제 1동력전달장치(16), 캐리어장치(24), 제 2동력전달장치(30)는 커버(82)에 의해 외부로부터 차폐되어 자체적인 보호는 물론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장치의 제 3동력전달장치 및 제 4동력전달장치의 결합 또는 조립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즉, 케이싱(42)에 내장되는 제 3동력전달장치(44)는 제 2동력전달장치(30)의 동력전달기어(36)에 치차결합되며 케이싱(42)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제 1스프로킷(84)과, 제 1스프로킷(84)에 체인(86)에 의해 연결되며 회전축에 의해 케이싱(42)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제 1휠(72)이 설치되는 제 2스프로킷(88)을 구비한다.
또한, 제 4동력전달장치(46)는 제 3동력전달장치(44)와 마찬가지로 제 2동력전달장치(30)의 동력전달기어(36)에 치차결합되며 케이싱(42)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제 1스프로킷(90)과, 제 1스프로킷(90)에 체인(92)에 의해 연결되며 회전축에의해 케이싱(42)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제 2휠(74)이 설치되는 제 2스프로킷(94)을 구비한다.
한편,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하나의 구동장치에는 제 5동력전달장치(95)가 추가로 설치되어 제 3휠(96)이 장착될 수 있다. 물론, 제 5동력전달장치는 제 3동력전달장치(44) 및 제 4동력전달장치(46)와 유사한 구성을 지님은 물론 제 3, 제 4 및 제 5동력전달장치(44,46,95)는 제 2동력전달장치(30)에 대해 상호 120°의 각도를 이루며 설치된다.
또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다른 또 다른 하나의 구동장치에는 제 6동력전달장치(97)가 추가로 설치되어 제 4휠(98)이 장착될 수 있다. 물론, 제 6동력전달장치(97)는 제 5동력전달장치(95)와 대향함으로써, 제 3, 제 4, 제 5 및 제 6동력전달장치(44,46,95,97)는 제 2동력전달장치(30)에 대해 90°의 각도를 이루며 설치된다.
선택적으로,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동장치에 의하면, 각각의 유성기어(20)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다수의 지지축(28)이 고정되는 유성캐리어 장치(24)에는 치차대신 스프로킷(23)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게 기축프레임(38)에도 고정기어대신 스프로킷(25)이 장착된다. 이들 각각의 스프로킷(23,25)은 체인(27)에 의해 연결되어 상호 연동된다. 또한, 구동축(34)의 단부에는 동력전달기어(36) 대신 2개의 스프로킷(37;39)이 장착되며, 이에 대응하게 제 1휠(72)이 장착된 회전축(56)에는 체인(41)에 의해 스프로킷(37)에 연결되는 스프로킷(43)이 장착되며 제 2휠(74)이 장착되는 회전축(68)에는 체인(45)에 의해스프로킷(39)에 연결되는 스프로킷(47)이 장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경우에는 도 3 및 5에 도시된 실시예와는 달리 케이싱(42)내부에 설치되는 여러 가지 부품들이 생략될 수 있으며, 또한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구동축(34)의 회전방향이 변환없이 회전축에 전달되어 각각의 휠(72,74)이 동일방향으로 회전구동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구동장치의 작동 및 그 작용모드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구동장치가 설치된 차량이 평지 또는 낮은 장애물을 통과하는 경우, 예컨대 모터와 같은 동력발생장치(12)가 작동하면 주축(14)에 장착된 선기어(18)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그 선기어(18)에 치합된 다수의 유성기어(20)는 시계방향으로 자체회전, 즉 자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링기어(22)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링기어(22)가 회전하게 되면, 그 링기어(22)에 치합된 구동기어(32), 구동축(34) 및 동력전달기어(36)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된다. 이후, 그 동력전달기어(36)에 연속적으로 치합되는 제 3동력전달장치(44)의 제 1 내지 제 3기어(50,54,58)와, 제 4동력전달장치(46)의 제 1 내지 제 3기어(62,66,70)가 각각 상호 연계적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각각의 동력전달장치의 회전축(56,68)이 회전됨에 따라 그 회전축에 설치된 휠(72,74)이 회전되어 차량이 이동 또는 구동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차량이 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의 조건은 캐리어장치의 공전의 부하량이 유성기어의 자전력보다 크므로 유성기어가 충분히 자전할 수 있는 범위로 한정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차량의 이동중에 예컨대 비교적 높이가 높은 장애물에 걸리거나 계단을 만나 휠(72)이 걸려 정지하게 되지만 동력발생장치(12)는 계속 작동되어 구동축(14)은 회전되는 반면, 링기어(22)는 제 3동력전달장치(44) 및 제 2동력전달장치(30)를 통해 전달되는 저지력 또는 제지력이 전달되어 순간적으로 정지하게 되는 바, 이때 그 링기어(22)에 걸리는 부하력이 유성기어(20)들이 자전하려는 힘보다 크게 됨에 따라 각각의 유성기어(20)들은 화살표(A)방향으로 공전하게된다. 유성기어(20)가 공전하면, 그 유성기어(20)에 연결된 캐리어장치(24)의 몸체(26)가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되며, 이 몸체(26)에 치합된 제 2동력전달장치(30)의 고정기어(4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됨은 물론 그 고정기어(40)가 고정된 기축프레임(38) 또한 동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기축프레임(38)이 회전하게 되면, 그 기축프레임(38)에 일체로 고정된 케이싱(42)이 제 1휠(72) 또는 그 휠(72)이 장착된 회전축(56)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됨으로써 제 2휠(74)이 제 1휠(72)을 넘어 전방으로 내딛게 되어 스텝작동으로 장애물을 넘을 수 있는 것이다. 물론, 계단에 이른 경우에는 상술된 스텝작동이 반복적으로 행해져 기축프레임(38) 및 케이싱(42)이 연속적으로 회전되어 제 1휠(72) 및 제 2휠(74)이 상호 교대로 넘어가는 방식으로 이동됨로써 계단을 오를 수 있는 것이다.
한편, 평지에서 차량이 정상적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휠(72) 및 제 2휠(74)이 모두 지면에 접촉됨과 동시에 차고가 최저수준으로 유지되어 구동된다. 이 같은 상태에서 운전자가 차고를 높이려하는 경우, 운전자는 브레이크장치(76)의 핸들(78)을 조작하여 제동기어(80)에 제동력을 인가시켜 정지시키면 그 제동기어(80)에 치합된 링기어(22)가 정지하게된다. 링기어(22)가 정지하게 되면 상술된 바와 같이 스텝동작이 수행된다. 즉, 링기어(22)가 정지하면 유성기어(20)가 화살표(A)방향으로 공전하게 되고, 캐리어장치(24)의 몸체(26)가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되며, 고정기어(4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됨은 물론 기축프레임(38) 또한 동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운전자는 차고가 소정의 높이에 올라왔을 때, 즉, 구동축(34) 및 기축프레임(38)이 제 1휠(72)이 장착된 회전축(56)에 대해 일정각도로 회전된 상태에서 브레이크장치(76)를 제어하여 해제시키며, 동시에 도시되지 않은 고정장치로 케이싱(42)을 고정시키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휠(72)만이 지면에 접하고 제 2동력전달장치(30)의 구동축(34) 및 케이싱(42)이 상방으로 이동되어 유지됨으로써, 차고가 높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하나의 휠만이 지면에 접촉되어 구동될 수 있으므로 구동장치 또는 차량의 조향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선택적으로, 도 6a 및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5동력전달장치(95) 또는 제 5동력전달장치(95) 및 제 6동력전달장치(97)가 추가로 설치되는 경우에는 제 3휠(96) 또는 제 3휠(96) 및 제 4휠(98) 또한 도 7b 및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되어 소정의 구동을 행할 수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동장치가 설치된 차량이 수평지역을 구동하는 경우에는 주축(14)으로부터 구동축(34)에 전달된 회전력이 직접 각각의 스프로킷(37;39), 각각의 체인(41;45) 및 각각의 스프로킷(43;47)을 통해 각각의 회전축(56;68)으로 전달되어 휠(72;74)이 구동된다. 반면에 스텝구동시에는 캐리어장치(24)의 스프로킷(23)과 기축프레임(38)의 스프로킷(25)이 체인(27)에 의해 연동되어 전술된 바와 같은 스텝구동이 행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동방식은주로 휠체어와 같이 비교적 작은 동력을 필요로하는 이동수단에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에서는 차량이 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동력발생장치를 역회전시키면 상술된 바와 같은 작동이 역전되어 차량이 후진됨은 물론 후방으로의 스텝작동이 실행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해당구동장치를 전륜의 구동축에 연계하여 설치하면 휠이 조향륜으로 사용될 수 있는 반면, 후륜의 구동축에 연계하여 설치하면 연료의 절약 및 주행의 신속성을 제공받을 수 있다. 물론, 전,후륜 구동축 모두에 구동장치를 연계하여 설치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구동장치를 차량, 휠체어, 운반차량 등과 같은 이동수단에 설치하면, 차량의 이동중 장애물에 걸리면 구동장치는 물론 휠의 회전구동이 스텝구동으로 변환되어 장애물을 넘을 수 있으며, 계단에 이르면 연속적으로 스텝구동을 행하여 계단을 오름으로써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구동장치에 연설된 브레이크장치를 이용하여 차량의 차고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해당차량을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안정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Claims (7)

  1. 장애물을 넘고 계단을 오를 수 있는 구동장치에 있어서,
    주축(14)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동력발생장치(12);
    상기 동력발생장치(12)의 주축(14)에 고정되는 선기어(18)와, 상기 선기어(18)둘레에 치차 결합되는 복수개의 유성기어(20)와, 상기 각각의 유성기어(20)둘레에 치차결합되는 링기어(22)를 구비하며, 상기 유성기어(20)는 부하에 따라 자전 및 공전가능한 제 1동력전달장치(16);
    상기 동력발생장치(12)의 주축(14)에 외삽되는 몸체(26)와, 상기 각각의 유성기어(20)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복수개의 지지축(28)을 구비하며, 상기 유성기어가 공전할 때 회전되도록 구성된 캐리어장치(24);
    상기 제 1동력전달장치(16)의 링기어(22)의 외측에 치합되는 구동기어(32)와, 상기 구동기어(32)의 중심축에 고정되는 구동축(34)과, 구동축의 타단부에 고정된 동력전달기어(36)와, 상기 구동축(34)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고 일단부에 상기 캐리어장치(24)의 몸체(26)에 치합되는 고정기어(40)가 설치되며 스텝작동시 중심축 역할을 하는 기축프레임(38)과, 상기 기축프레임(38)의 타단부에 고정되는 케이싱(42)을 구비하는 제 2동력전달장치;
    상기 케이싱(42)에 내설되며, 제 2동력전달장치(30)에 결합되며 제 1휠(72)에 상기 주축(14)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제 3동력전달장치(44); 및
    상기 케이싱(42)에 내설되며, 상기 제 2동력전달장치(30)에 결합되며 제 2휠(74)에 상기 주축(14)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제 4동력전달장치(46);를 포함하는 구동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3동력전달장치(44)는 상기 제 2동력전달장치(30)의 동력전달기어(36)에 치차결합되며 케이싱(42)에 고정된 고정축(48)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제 1기어(50)와, 상기 제 1기어(50)에 치차결합되며 케이싱(42)에 고정된 고정축(52)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제 2기어(54)와, 제 2기어(54)에 치차결합되며 케이싱(42)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제 1휠(72)이 장착되는 회전축(56)에 고정되는 제 3기어(58)를 구비하며; 상기 제 4동력전달장치(46)는 상기 제 2동력전달장치(30)의 동력전달기어(36)에 치차결합되며 동력전달케이싱(42)에 고정된 고정축(6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제 1기어(62)와, 제 1기어(62)에 치차결합되며 동력전달케이싱(42)에 고정된 고정축(64)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제 2기어(66)와, 제 2기어(66)에 치차결합되며 케이싱(42)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제 2휠(74)이 장착되는 회전축(68)에 고정되는 제 3기어(7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3동력전달장치(44)는 제 2동력전달장치(30)의 동력전달기어(36)에 치차결합되며 케이싱(42)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제 1스프로킷(84)과, 상기 제 1스프로킷(84)에 체인(86)에 의해 연결되며 회전축에 의해 케이싱(42)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제 1휠(72)이 설치되는 제 2스프로킷(88)을 구비하며; 상기 제 4동력전달장치(46)는 제 3동력전달장치(44)와 마찬가지로 제 2동력전달장치(30)의 동력전달기어(36)에 치차결합되며 케이싱(42)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제 1스프로킷(90)과, 상기 제 1스프로킷(90)에 체인(92)에 의해 연결되며 회전축에 의해 케이싱(42)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제 1휠(72)이 설치되는 제 2스프로킷(9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
  4. 제 1항 내지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구동장치의 회전구동을 스텝구동으로 전환시키거나 또는 차체의 지상고를 조절하기 위해 케이싱 고정장치에 연계된 브레이크 장치(76)를 더 포함하며, 상기 브레이크 장치는 조작레버(78)와,상기 조작레버(78)에 연결되며 상기 링기어(22)에 제동력을 인가하기 위해 상기 제 1동력전달장치(16)의 링기어(22)에 치차결합되는 제동기어(8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
  5. 제 1항 내지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동력전달장치(44) 및 제 4동력전달장치(46)와 동일하게 구성되고 상기 제 1 및 제 2휠(72,74)과 상호 넘어갈 수 있도록 제 3휠(96)이 장착되는 제 5동력전달장치(95)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3, 제 4 및 제 5동력전달장치(44,46,95)는 제 2동력전달장치(30)에 대해 120°의 각도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3동력전달장치(44), 제 4동력전달장치(46) 및 제 5동력전달장치(95)와 동일하게 구성되고 상기 제 1휠, 제 2휠 및 제 3휠(72,74,96)과 상호 넘어갈 수 있도록 제 4휠(98)이 장착되는 제 6동력전달장치(97)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3, 제 4, 제 5 및 제 6동력전달장치(44,46,95,97)는 제 2동력전달장치(30)에 대해 90°의 각도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장치(24)에는 스프로킷(23)이 형성되고, 상기 기축프레임(38)에는 상기 스프로킷(23)에 체인(27)에 의해 연동되는 스프로킷(25)이 형성되며; 상기 구동축(34)의 단부에는 2개의 스프로킷(37;39)이 형성되고, 상기 제 1휠(72)이 장착된 회전축(56)에는 체인(41)에 의해 스프로킷(37)에 연결되는 스프로킷(43)이 형성되며, 상기 제 2휠(74)이 장착된 회전축(68)에는 체인(45)에 의해 스프로킷(39)에 연결되는 스프로킷(47)이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스프로킷(37,39,43,47)은 상기 구동축(34)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
KR1019990053982A 1999-11-30 1999-11-30 구동장치 KR1003201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3982A KR100320124B1 (ko) 1999-11-30 1999-11-30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3982A KR100320124B1 (ko) 1999-11-30 1999-11-30 구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9058A KR20010049058A (ko) 2001-06-15
KR100320124B1 true KR100320124B1 (ko) 2002-01-10

Family

ID=19622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3982A KR100320124B1 (ko) 1999-11-30 1999-11-30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01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5508B1 (ko) * 2001-05-24 2004-04-27 김기수 휠체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1321B1 (ko) * 2006-06-27 2011-04-29 김기수 구동장치
CN101323256B (zh) * 2008-07-10 2010-06-02 中国农业大学 越障驱动行走机构
KR102452471B1 (ko) * 2017-07-04 2022-10-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휠 구동 기구 및 이를 이용한 이동장치
CN109397982B (zh) * 2018-12-08 2023-09-22 新乡北方车辆仪表有限公司 一种基于组合齿轮系的多功能翻转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5508B1 (ko) * 2001-05-24 2004-04-27 김기수 휠체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9058A (ko) 200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1321B1 (ko) 구동장치
CA2873705C (en) System for driving the drive wheels of an electric or hybrid vehicle
US7651426B2 (en) Differential torque generator
JP2000502636A (ja) ベベル操舵ギヤ一体の駆動トランスミッション
KR102580735B1 (ko) 저상 차량용 차축 조립체
JP2003202058A (ja) ドライブユニット、これを備えた自動車およびこの自動車の駆動制御方法
JPH07187001A (ja) スキッドステアリング車両のための遊星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4001682A (ja) 電気自動車のための駆動システム
CA2465674A1 (en) Motorized cart with hub gear motor system
US20130281250A1 (en) Torque vectoring device
KR100320124B1 (ko) 구동장치
JP4147581B2 (ja) 全方向移動車
US5941790A (en) Drive axle assembly
KR20110017249A (ko) 구동장치
KR100425508B1 (ko) 휠체어
CN210592208U (zh) 一种应用复杂地形的小型车辆底盘结构
JP6225352B2 (ja) 荷台付電動車両
JPH11240347A (ja) 車両の左右輪間の連結装置
KR100320125B1 (ko) 구동장치
KR20180000920U (ko) 구동장치
JPH0620176U (ja) 特殊自動車
CN103448530A (zh) 一种轮边驱动装置
CN115402089A (zh) 无人搬送车的驱动单元
JP2002085474A (ja) 車椅子の電気駆動車輪
KR20180016126A (ko) 구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2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