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325847B1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 Google Patents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5847B1
KR100325847B1 KR1019990006639A KR19990006639A KR100325847B1 KR 100325847 B1 KR100325847 B1 KR 100325847B1 KR 1019990006639 A KR1019990006639 A KR 1019990006639A KR 19990006639 A KR19990006639 A KR 19990006639A KR 100325847 B1 KR100325847 B1 KR 1003258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plasma display
substrate
inlet
ga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6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6890A (ko
Inventor
조종호
김낙구
Original Assignee
김순택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순택,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순택
Priority to KR1019990006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5847B1/ko
Priority to JP20157499A priority patent/JP4115633B2/ja
Priority to US09/353,771 priority patent/US6411034B1/en
Publication of KR20000056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68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5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5847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50Filling, e.g. selection of gas mix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38Exhausting, degassing, filling, or cleaning vesse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54Means for exhausting the g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17/00Gas-filled discharge tubes
    • H01J2217/38Cold-cathode tubes
    • H01J2217/49Display panels, e.g. not making use of alternating curr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Gas-Filled Discharge Tubes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는 다수 나란한 격벽이 형성되고, 상기 격벽들 사이에 어드레스 전극 및 유전체층이 형성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구비하는 배면기판과, 상기 배면기판에 일정 간격을 두고 봉착되는 것으로 상기 어드레스 전극에 대응하는 전극들이 형성된 전면기판과, 상기 전면기판과 배면기판 사이의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되는 유도벽체를 구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상기 배면기판에는 상기 유도벽체로 부터 일정거리를 유지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을 사이에 두고 일정거리를 두고 형성되는 플러싱가스 유입구와 배출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가스의 배출이 원활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플라즈마 디스플레이{Plasma display}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가스의 흐름이 원활한 배기 통로를 이루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평판 디스플레이는 경박하며, 소모 전력이 적어 종래의 브라운관을 점차적으로 대체하고 있다.
이러한 평판 디스플레이는 액정디스플레이(LCD/Liquid Crystal Display), 플라즈마 디스플레이(PDP/Plasma Display Panel), 전계방출소자(FED/Field Emission Display) 등으로 대별되며, 그 중 플라즈마 디스플레이는 대형화에 유리하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는 두 개의 대면하는 기판 사이에 각 화소 표시에 필요한 방전 공간인 방전 셀(Cell) 들을 형성하여 영상을 표시하며, 이러한 각 셀들은 하나 혹은 두 기판 상에, 이웃하는 셀 간의 방전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셀 간에 격벽을 형성한다. 여기서 격벽은 통상적으로 인쇄법으로 형성된다.
도 1a 및 도 1b에는 종래의 교류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16)는 배면기판(16b)과, 상기 배면기판(16b) 위에 형성된 어드레스 전극(11)과, 이 어드레스 전극(11)이 형성된 배면기판(16b)위에 형성된 유전체층(12)과, 이 유전체층(12) 상에 형성되어 방전거리를 유지시키고 셀 간의 전기적 광학적 크로스 토크를 방지하는 격벽(13)을 포함한다.
또한 일반적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16)는 상기 어드레스 전극(11)과 직교하도록 소정의 패턴으로 형성된 버스전극(15b) 및 방전유지전극(15a)과 상기 전극(15a)(15b)들의 하면에 형성된 유전체층(17)이 내부 표면에 형성된 전면기판(16a)이 상기 배면기판(16b)과 상호 봉착된다. 여기서 상기 배면기판(16b)과 상기 전면기판(16a)이 격벽(13)에 의해 소정간격 이격되어 프리트 등의 테두리벽체(19)로써 봉착된다.
종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의 구조에 있어 상기 격벽(13)은 다음과 같이 형성된다.
종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16)의 격벽(13)은 방전거리를 유지시키기 위해 상당한 두께(높이)를 가져야 하기 때문에 소정 패턴을 가지는 스크린에 의한 다수 반복되는 스크린 인쇄 즉, 건조된 패턴 위에 일차 인쇄된 패턴과 같은 패턴을 수차례 중복 인쇄한 후 건조시키고 최종적으로 소성과정을 통하여 성형되어 완성된다.
상기 격벽(13)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포토리소그래피법(Photolithography Process) 또는 디스펜서(Dispenser) 장치와 이에 연결된 니들(Needle)을 이용하여, 격벽(13)을 형성하는 유전체 등을 짜내어 성형시키는 스퀴징법(Squeezing Process)에 등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구조로 된 종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16)의 내부에는 다단계에 걸친 내부 요소의 성형과정을 통해 불순물이 잔류하고, 이 불순물에서 발생되는것으로 불순가스가 있으며 이는 방전을 저해하여 디스플레이 성능을 저하시킨다. 따라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16)가 구조적으로 완성되면 내부의 불순가스를 제거하기 위한 과정이 수행되는데 일반적으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16) 내부에 플러싱가스를 주입하여 내부의 불순가스를 배출구(Ho)를 통해 강제적으로 배출시키는 가스플러싱법이 적용된다.
도 1b에는 종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16)의 내부에서 유동되는 가스의 흐름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종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16)를 이루는 배면기판(16b) 상에서 참조부호 'A', 'B', 'C' 부분의 플러싱 가스의 유동공간이 크게 개방되어 있고, 그리고 격벽(13)과 격벽(13) 사이의 공간은 좁게 되어 있어서 가스 플러싱을 위해 주입되는 플러싱 가스중 대부분이 디스플레이 영역(D) 외의 가장자리 영역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굵게 표시된 화살표 방향을 따라 흘러가게 된다.
따라서 상술한 종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16)의 구조에 있어 플러싱가스를 주입하고 뽑아내는 경우, 디스플레이 영역(D)을 통과해야 할 가스가 참조부호 'A', 'B', 'C' 지역을 통해 빠져나가 플러싱이 불충분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창안된 것으로, 제작시 플러싱이 원활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a는 종래의 부분 절제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종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에서의 배기가스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b는 도 2a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에서의 배기가스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어드레스 전극 12, 17; 유전체층
13; 격벽 14a, 14b, 14c; 차단벽
14d; 유도벽체 15b; 버스전극
15a; 방전유지전극 16, 26;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16a; 전면기판 16b; 배면기판
19; 테두리벽체 26b; 배면기판
D; 디스플레이 영역 Hi; 유입구
Ho; 배출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는, 다수 나란한 격벽이 형성되고, 상기 격벽들 사이에 어드레스 전극 및 유전체층이 형성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구비하는 배면기판과, 상기 배면기판에 일정 간격을 두고 봉착되는 것으로 상기 어드레스 전극에 대응하는 전극들이 형성된 전면기판과, 상기 전면기판과 배면기판 사이의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되는 유도벽체를 구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상기 배면기판에는 상기 유도벽체로부터 일정거리를 유지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을 사이에 두고 일정거리를 두고 형성되는 플러싱가스 유입구와 배출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에 최인접한 상기 격벽의 선단부와 이에 인접한 상기 유도벽체 사이에 차단벽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플러싱가스 유입구와 유출부는 상기 유도벽체의 대각선 방향의 모퉁이 부분의 내측에 인접하여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에 최인접한 상기 격벽의 하단부와 상기 유도벽체 사이에 차단벽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가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가리킨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26)는 배면기판(26b)과, 상기 배면기판(26b) 위에 형성된 어드레스 전극(11)과, 이 어드레스 전극(11)이 형성된 배면기판(26b) 위에 형성된 유전체층(12)을 포함한다.
또한 이 유전체층(12) 상에는 방전거리를 유지시키고 셀간의 전기적 광학적 크로스 토크를 방지하는 격벽(13)이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격벽(13)은 디스플레이 영역(D)를 이룬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26)는 상기 어드레즈 전극(11)과 직교하도록 소정의 패턴으로 형성된 버스전극(15b) 및 방전유지전극(15a), 상기 전극(15a, 15b)들의 하면에 형성된 유전체층(17)과, 상기 전극(15a, 15b)들이 내부표면에 형성된 전면기판(16a)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면기판(16a)의 가장자리에는 프리트로 된 테두리벽체(19)가 개재되어 배면기판(26b)과 봉착됨으로써 상기 전면기판(16a)과 배면기판(26b)이 결합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특징부 중의 하나로써 상기 테두리벽체(19)에서 배면기판(26b)의 내부로 소정간격 이격된 플러싱 가스의 유도벽체(14d)가 디스플레이 영역(D)을 에워 싸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유도벽체(14d)의 대각선 방향의 모서리 부분 내측에 플러싱 가스 유입구(Hi)와 배출구(Ho)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유입구(Hi)에 가장 인접한(도 2b에서 가장 왼쪽) 격벽(13)의 선단부와 상기 유도벽체(14d)에 걸쳐 차단벽(14a)이 형성되고, 또한 상기 유입구(Hi)에 가장 멀리 위치한(도 2b에서 가장 오른쪽) 격벽(13)과 유도벽체(14d) 사이에 차단벽(14c)이 형성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유입구(Hi)에 가장 인접한 격벽(13)의 하단부와 유도벽체(14d)의 사이에도 차단벽(14b)이 형성된다.
상기 차단벽들(14a, 14b, 14c)은 선택적인 요소들로서 적어도 어느 하나가 해당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조에 따르면 상기 유입구(Hi)로 유입된 플러싱 가스는 디스플레이 영역(D)으로만 유동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영역(D)에 잔류하는 불순가스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유도벽체(14d)와 차단벽들(14a, 14b, 14c)은 격벽(13)과 같은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스의 흐름이 원활하면 플러싱가스의 소모량이 적어지고 디스플레이 영역(D)의 플러싱 신뢰도가 높아진다. 또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26)의 내부의 디스플레이 영역(D)을 플러싱하도록 플러싱 가스를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D)으로 유도하여 플러싱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으므로 배기시간이 단축된다.
도 2a 및 2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26)의 배면기판(26b)을 포토레지스트법에 의해 제작하는 과정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이렇게 형성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26)의 배기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때 상기 배면기판(26b)의 제작은 상술한 실크스크린법 또는 스퀴징법 등으로도 제작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먼저, 기판 위에 빛에 감응하는 포토레지스트를 도포한다. 이때, 기판의 크기가 대체적으로 크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담그기로 포토레지스트를 기판 위에 입히게 된다.
다음에, 포토레지스트 막 상에 마스크를 배치하고 빛을 조사하게 되면 마스크의 패턴에 따라 빛이 조사된 부분과 조사되지 않은 부분으로 나누어진 감광된 포토레지스트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감광된 포토레지스트를 현상시키면, 포토레지스트의 종류에 따라 감광된 부분 혹은 감광되지 않은 부분 중 어느 한 부분의 포토레지스트가 패턴 형태로 남게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격벽(13), 차단벽(14a, 14b, 14c), 유도벽체(14d)가 제작된다.
이상과 같이 격벽(13), 차단벽(14a, 14b, 14c), 유도벽체(14d)가 형성되면 포토레지스트 위에 적층된 물질들은 포토레지스트를 제거하는 리프트-오프 기법으로 전부 제거한다.
이러한 과정이 끝나면 격벽(13), 차단벽(14a, 14b, 14c), 유도벽체(14d)가 형성된 배면기판(26b)이 제작되어 전면기판(16a)과 결합하게 되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26)가 완성된다. 그러나 상기 격벽(13), 차단벽(14a, 14b, 14c), 유도벽체(14d)가 포함된 내부면에서 발생되는 불순물로 인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26)의 성능은 크게 저하 될 수 있으므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26)를 배기할 때 실시되는 가스 플러싱에서 불순물과 잔류가스를 없애기 위해 기체를 유동시켜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26)를 플러싱시키면서 배기 시킨다.
이때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26)의 특징적 구조 중 하나로서 가스의통로를 차단벽(14a, 14b, 14c)으로 막고 있으므로 가스가 차단벽(14a, 14b, 14c)을 지나가지 못하고 디스플레이 영역(D)을 통과해 빠져나가므로, 디스플레이 영역(D)으로 플러싱가스가 흐르게 되어 디스플레이 영역(D)만을 플러싱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26)의 다른 특징으로써 상기 전면기판(16a) 또는 배면기판(26b)에는 유입구(Hi)와 배출구(Ho)를 두 개 형성하고, 일 측의 유입구(Hi)로서는 가스를 주입하고 타측의 배출구(Ho)로서는 가스를 뽑아내며, 상기 유입구(Hi)와 배출구(Ho)는 상호 대각선 방향으로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내부의 가스 배기시간을 단축시킴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킨다.
둘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내부에 잔류되어 배출이 힘든 플러싱 가스를 패널 내에서 잘 떨어지도록 한다.
셋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내부의 가스가 순수도를 높일 수 있으므로 신뢰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6)

  1. 다수 나란한 격벽이 형성되고, 상기 격벽들 사이에 어드레스 전극 및 유전체층이 형성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구비하는 배면기판과, 상기 배면기판에 일정 간격을 두고 봉착되는 것으로 상기 어드레스 전극에 대응하는 전극들이 형성된 전면기판과, 상기 전면기판과 배면기판 사이의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되는 유도벽체를 구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상기 배면기판에는 상기 유도벽체로부터 일정거리를 유지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을 사이에 두고 일정거리를 두고 형성되는 플러싱가스 유입구와 배출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에 최인접한 상기 격벽의 선단부와 이에 인접한 상기 유도벽체 사이에 차단벽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싱가스 유입구와 배출구는 상기 유도벽체의 대각선 방향의 모퉁이 부분의 내측에 인접하여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에 최인접한 상기 격벽의 하단부와 상기 유도벽체 사이에 차단벽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에서 가장 멀리 있는 상기 격벽의 선단부와 이에 인접한 상기 유도벽체의 사이에 차단벽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벽체의 외측으로 상기 유도벽체와 일정간격을 두고 테두리벽체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KR1019990006639A 1999-02-27 1999-02-27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Expired - Fee Related KR1003258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6639A KR100325847B1 (ko) 1999-02-27 1999-02-27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JP20157499A JP4115633B2 (ja) 1999-02-27 1999-07-15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
US09/353,771 US6411034B1 (en) 1999-02-27 1999-07-15 Plasma display panel having a gas flush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6639A KR100325847B1 (ko) 1999-02-27 1999-02-27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6890A KR20000056890A (ko) 2000-09-15
KR100325847B1 true KR100325847B1 (ko) 2002-03-07

Family

ID=19575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6639A Expired - Fee Related KR100325847B1 (ko) 1999-02-27 1999-02-27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411034B1 (ko)
JP (1) JP4115633B2 (ko)
KR (1) KR1003258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45114A1 (en) * 2000-11-30 2002-06-06 Orion Electric Co., Ltd. Plasma display panel
KR101038188B1 (ko) * 2004-11-01 2011-06-01 주식회사 오리온 디스플레이 영역에 배기홀이 형성되는 평판 표시 패널
US20060176706A1 (en) * 2005-02-04 2006-08-10 Chan-Hsing Chou Structure of lamp set
KR100637238B1 (ko) * 2005-08-27 2006-10-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이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16225A (ja) 1985-03-22 1986-09-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平板型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3394173B2 (ja) * 1997-12-26 2003-04-07 富士通株式会社 ガス放電パネル及びその排気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115633B2 (ja) 2008-07-09
KR20000056890A (ko) 2000-09-15
US6411034B1 (en) 2002-06-25
JP2000251742A (ja) 2000-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78093A (ko) 소비전력 억제효과가 뛰어난 면방전형 표시장치
KR100325847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KR20050105750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이의 제조 방법
JP2002313239A (ja) 交流放電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KR100692095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격벽,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US20090174329A1 (en) Plasma display panel
US20050236991A1 (en) Plasma display panel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0416090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이의 제조방법
KR20050099716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이의 제조 방법
KR10053341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격벽구조
KR100508919B1 (ko) 플라즈마 표시 소자
KR100625985B1 (ko) 유전체층이 개선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이를제조하기 위한 방법
KR100553928B1 (ko)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및그제조방법
KR200179779Y1 (ko) 플라즈마 표시소자
KR100669697B1 (ko) 전극 구조가 개선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36260B1 (ko) 플라즈마 표시패널
WO2000074102A1 (en) Plasma display panel
KR100474883B1 (ko) 칼라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제조방법
KR19990054296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격벽 형성방법
JP2002025450A (ja) Ac面放電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用基板、ac面放電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及びac面放電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560511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 방법
KR100615305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를 구비한 평판 표시 장치
JP2001266756A (ja) 交流放電型プラズマ平面ディスプレイの前基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783415B2 (en) Method for forming ribs in a plasma display panel
KR20060057443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후면판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02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009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105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2011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02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202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1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1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1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1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1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26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12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