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324920B1 - 수동변속 자동차의 충돌 회피장치 - Google Patents

수동변속 자동차의 충돌 회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4920B1
KR100324920B1 KR1019990059687A KR19990059687A KR100324920B1 KR 100324920 B1 KR100324920 B1 KR 100324920B1 KR 1019990059687 A KR1019990059687 A KR 1019990059687A KR 19990059687 A KR19990059687 A KR 19990059687A KR 100324920 B1 KR100324920 B1 KR 1003249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vehicle
unit
signal
spe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9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7278A (ko
Inventor
우민수
Original Assignee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류정열
Priority to KR1019990059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4920B1/ko
Publication of KR20010057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72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4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4920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1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 B60K28/14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responsive to accident or emergency, e.g. deceleration, tilt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2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driveline clu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08Active safety systems predicting or avoiding probable or impending collision or attempting to minimise its consequences
    • B60W30/09Taking automatic action to avoid collision, e.g. braking and ste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08Predicting or avoiding probable or impending collision
    • B60Y2300/09Taking automatic action to avoid collision, e.g. braking or ste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 Control Of Driving Devices And Active Controlling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동변속 자동차의 충돌 회피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지의 충돌 회피장치에 있어서, 자동차의 엔진 회전수를 전기적인 신호로 검출하여 센서 입력부(6)로 전송하는 엔진 회전수 검출센서(13)와; 자동차의 주행속도와 엔진의 회전송도를 대비하여 기 산출해낸 최적의 클러치 작동제어신호를 기억하고 있는 클러치 제어 알고리즘 기억부(14)와; 상기 센서 입력부(6)를 통해 입력되는 현재 자동차의 주행속도와 엔진의 회전수를 상기 클러치 제어 알고리즘 기억부(14)에 기억되어져 있는 데이타들과 비교하여 최적의 클러치 제어신호를 클러치 액츄에이터(16)로 출력시켜 주는 클러치 제어부(15)와; 수동변속기 자동차의 클러치상에 장착되어 상기 클러치 제어부(15)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부응하여 클러치를 단속시키는 클러치 액츄에이터(16)를 부가 설치하여 수동변속 장착 자동차가 도로를 주행하던 중 위험상황이 발생되므로 인해 브레이크가 작동되어 자동차의 주행속도가 줄어들면 클러치도 자동으로 작동되어 동력이 차단되도록 하여 타 자동차 및 물체와의 충돌을 피할 수 있음은 물론 수동변속 자동차 자체의 안전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수동변속 자동차의 충돌 회피장치 {Crash prevention device for a manual trasmission car}
본 발명은 수동변속 자동차의 충돌 회피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수동 변속기가 장착된 자동차의 클러치에 액츄에이터를 장착하여 위험상황에서 브레이크가 작동되므로 인해 자동차의 주행속도가 줄어들면 클러치도 자동 작동되어 동력이 차단되도록 하는 방식을 통해 자동차의 충돌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자동차의 보유는 현대인의 필수적인 요소로 된지 오래이며, 그 기능도 단순한 운송수단에서 주거 및 업무공간 까지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이와같은 자동차의 고성능/고기능화에 따라 자동차의 안정성은 더욱 중요시되고 있고, 또 향후에는 승객을 보호하기 위한 안전장치와 더불어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능동안전장치가 자동차에 일반적으로 장착될 것이다.
그런데, 종래의 자동차에는 이와같은 능동안전장치 중의 하나인 충돌 방지(또는 회피)장치가 자동변속기 자동차에 설치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한 자동변속 자동차의 충돌 회피장치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동차의 전,후,좌우에 각각 설치되어 타 자동차 또는 소정의 물체들과의 거리를 전기적인 신호로 검출하는 수개의 거리감지센서(1-4)와; 자동차의 주행속도를 전기적인 신호로 검출하는 속도검출센서(5)와; 상기 센서들의 출력신호들을 각각 입력받아 연산부로 전송하는 센서 입력부(6)와; 상기 센서 입력부(6)를 통해 입력 받은 자동차의 주행속도와 소정의 자동차 및 물체와의 거리가 기 설정되어 있는 기준값에 가까울 경우 자동차의 제동이나, 조향각도 및 스로틀 밸브의 개폐량을 조절하여 해당자동차 또는 물체와의 충돌을 회피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출력 제어부(8)로 발생시키는 연산부(7)와; 상기 연산부(7)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부응하는 구동신호를 비상등(9)과 스로틀 밸브(10), 브레이크 시스템(11) 및 조향장치(12)로 각각 출력하여 해당 자동차 또는 물체와의 충돌을 회피토록 하는 출력 제어부(8)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구성에 의한 충돌 회피장치는 자동 변속기가 장착된 자동차에서는 가능하나, 즉 자동 변속기의 클러치는 전자제어가 가능하므로 자동 변속기가 장착된 자동차에 위험상황이 발생된 경우 브레이크 제어를 통해 자동차의 주행속도를 줄이면서 클러치가 자동적으로 동력을 끊토록 할 수 있지만 수동 변속기의 경우 이와같은 시스템으로는 클러치를 작동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자동변속 자동차에 설치되던 공지된 충돌 회피장치에 엔진 회전수 검출센서와, 클러치 제어 알고리즘 기억부, 클러치 제어부 및 클러치 액츄에이터를 부가 설치하여 수동 변속기가 장착된 자동차의 주행중 위험상황이 발생되어 운전자가 클러치를 작동시키지 않는 상태에서 브레이크만 작동시키더라도 자동차의 주행속도가 줄어들면 클러치도 자동으로 작동되어 동력이 차단되도록 하는 방식을 통해 자동차의 충돌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여 수동변속 자동차의 안전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수동변속 자동차의 충돌 회피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수개의 거리감지센서와, 속도검출센서, 센서 입력부, 연산부 및 비상등과 스로틀 밸브, 브레이크 시스템 및 조향장치에 소정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제어부로 구성된 공지의 충돌 회피장치에 있어서,
자동차의 엔진 회전수를 전기적인 신호로 검출하는 엔진 회전수 검출센서와; 자동차의 주행속도와 엔진의 회전송도를 대비하여 클러치의 작동정도를 기 산출해낸 데이타가 기억되어지는 클러치 제어 알고리즘 기억부와; 상기 센서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현재 자동차의 주행속도와 엔진의 회전수를 상기 클러치 제어 알고리즘 기억부에 기억되어져 있는 데이타들과 비교하여 최적의 클러치 제어신호를 클러치 액츄에이터로 출력시켜 주는 클러치 제어부와; 수동변속기 자동차의 클러치상에 장착되어 상기 클러치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부응하여 클러치를 단속시키는 클러치 액츄에이터를 부가 설치하여 주므로써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수동변속 장착 자동차가 도로를 주행하던 중 위험상황이 발생되어 운전자가 클러치를 작동시키지 않는 상태에서 브레이크만 작동시키더라도 자동차의 주행속도가 줄어들면 클러치도 자동으로 작동되어 동력이 차단되므로 타 자동차 및 물체와의 충돌을 피할 수 있어 수동변속 자동차 자체의 안전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자동차용 충돌 회피장치의 블럭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 장치의 블럭 구성도.
*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4 : 거리감지센서 5 : 속도검출센서
6 : 센서 입력부 7 : 연산부
8 : 출력 제어부 9 : 비상등
10 : 스로틀 밸브 11 : 브레이크 시스템
12 : 조향장치 13 : 엔진 회전수 검출센서
14 : 클러치 제어 알고리즘 기억부 15 : 클러치 제어부
16 : 클러치 액츄에이터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 장치의 블럭 구성도를 나타낸 것으로 이에 따르면, 자동차의 전,후,좌우에 각각 설치되어 타 자동차 또는 소정의 물체들과의 거리를 전기적인 신호로 검출하는 수개의 거리감지센서(1-4)와; 자동차의 주행속도를 전기적인 신호로 검출하는 속도검출센서(5)와; 상기 센서들의 출력신호들을 각각 입력받아 연산부로 전송하는 센서 입력부(6)와; 상기 센서 입력부(6)를 통해 입력 받은 자동차의 주행속도와 소정의 자동차 및 물체와의 거리가 기 설정되어 있는 기준값에 가까울 경우 자동차의 제동이나, 조향각도 및 스로틀 밸브의 개폐량을 조절하여 해당 자동차 또는 물체와의 충돌을 회피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출력 제어부(8)로 발생시키는 연산부(7)와; 상기 연산부(7)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부응하는 구동신호를 비상등(9)과 스로틀 밸브(10), 브레이크 시스템(11) 및 조향장치(12)로 각각 출력하여 해당 자동차 또는 물체와의 충돌을 회피토록 하는 출력 제어부(8)로 구성된 공지의 충돌 회피장치에 있어서,
자동차의 엔진 회전수를 전기적인 신호로 검출하여 센서 입력부(6)로 전송하는 엔진 회전수 검출센서(13)와;
자동차의 주행속도와 엔진의 회전송도를 대비하여 기 산출해낸 최적의 클러치 작동제어신호를 기억하고 있는 클러치 제어 알고리즘 기억부(14)와;
상기 센서 입력부(6)를 통해 입력되는 현재 자동차의 주행속도와 엔진의 회전수를 상기 클러치 제어 알고리즘 기억부(14)에 기억되어져 있는 데이타들과 비교하여 최적의 클러치 제어신호를 클러치 액츄에이터(16)로 출력시켜 주는 클러치 제어부(15)와;
수동변속기 자동차의 클러치상에 장착되어 상기 클러치 제어부(15)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부응하여 클러치를 단속시키는 클러치 액츄에이터(16)를 부가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 장치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연산부(7)에서는 수개의 거리감지센서(1-4)와 속도검출센서(5)를 통해 검출되는 자동차의 주행속도와 소정의 자동차 및 물체와의 거리를 비교하여 기 설정되어 있는 기준값에 가까우면 출력 제어부(8)를 통해 자동차의 제동이나, 조향각도 및 스로틀 밸브의 개폐량을 조절하기 위한 소정의 제어신호를 출력하게 되므로 상기 출력 제어부(8)에서 연산부(7)의 제어신호에 부응하는 구동신호를 비상등(9)과 스로틀 밸브(10), 브레이크 시스템(11) 및 조향장치(12)로 각각 출력하게 되므로 자동차의 주행속도가 줄어들게 된다.
이때, 클러치 제어부(15)에서는 상기 센서 입력부(6)를 통해 속도검출센서(5)와 엔진 회전수 검출센서(13)에서 출력되는 현재 자동차의 주행속도와 엔진의 회전수를 입력받아 클러치 제어 알고리즘 기억부(14)에 이미 기억되어져 있는 데이타들과 비교하여 최적의 클러치 제어신호를 산출한 후 이를 수동변속 클러치상에 설치되어 있는 클러치 액츄에이터(16)에 출력시켜 주게 된다.
따라서, 상기 클러치 액츄에이터(16)는 상기 클러치 제어부(15)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부응하여 클러치를 단속시키게 되므로 비록 운전자가 클러치를 작동시키지 않았다 할지라도 위험상황이 발생되므로 인해 전술과 같이 출력 제어부(8)에 의해 브레이크가 작동되어 자동차의 주행속도가 줄어들시 클러치도 자동 작동되어 동력이 차단되므로 타 자동차 및 물체와의 충돌을 피할 수 있으므로 수동변속 자동차 자체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자동변속 자동차에 설치되던 공지된 충돌 회피장치에 엔진 회전수 검출센서와, 클러치 제어 알고리즘 기억부, 클러치 제어부 및 클러치 액츄에이터를 부가 설치하여 수동 변속기가 장착된 자동차의 주행중 위험상황이 발생되어 운전자가 클러치를 작동시키지 않더라도 브레이크의 작동으로 인해 자동차의 주행속도가 줄어들시 클러치도 자동 작동되어 동력이 차단되도록 하므로써, 수동변속 자동차의 충돌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수동변속 자동차 자체의 안전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자동차의 전,후,좌우에 각각 설치되어 타 자동차 또는 소정의 물체들과의 거리를 전기적인 신호로 검출하는 수개의 거리감지센서(1-4)와; 자동차의 주행속도를 전기적인 신호로 검출하는 속도검출센서(5)와; 상기 센서들의 출력신호들을 각각 입력받아 연산부로 전송하는 센서 입력부(6)와; 상기 센서 입력부(6)를 통해 입력 받은 자동차의 주행속도와 소정의 자동차 및 물체와의 거리가 기 설정되어 있는 기준값에 가까울 경우 자동차의 제동이나, 조향각도 및 스로틀 밸브의 개폐량을 조절하여 해당 자동차 또는 물체와의 충돌을 회피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출력 제어부(8)로 발생시키는 연산부(7)와; 상기 연산부(7)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부응하는 구동신호를 비상등(9)과 스로틀 밸브(10), 브레이크 시스템(11) 및 조향장치(12)로 각각 출력하여 해당 자동차 또는 물체와의 충돌을 회피토록 하는 출력 제어부(8)로 구성된 공지의 충돌 회피장치에 있어서,
    자동차의 엔진 회전수를 전기적인 신호로 검출하여 센서 입력부(6)로 전송하는 엔진 회전수 검출센서(13)와;
    자동차의 주행속도와 엔진의 회전송도를 대비하여 기 산출해낸 최적의 클러치 작동제어신호를 기억하고 있는 클러치 제어 알고리즘 기억부(14)와;
    상기 센서 입력부(6)를 통해 입력되는 현재 자동차의 주행속도와 엔진의 회전수를 상기 클러치 제어 알고리즘 기억부(14)에 기억되어져 있는 데이타들과 비교하여 최적의 클러치 제어신호를 클러치 액츄에이터(16)로 출력시켜 주는 클러치 제어부(15)와;
    수동변속기 자동차의 클러치상에 장착되어 상기 클러치 제어부(15)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부응하여 클러치를 단속시키는 클러치 액츄에이터(16)를 부가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변속 자동차의 충돌 회피장치.
KR1019990059687A 1999-12-21 1999-12-21 수동변속 자동차의 충돌 회피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3249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9687A KR100324920B1 (ko) 1999-12-21 1999-12-21 수동변속 자동차의 충돌 회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9687A KR100324920B1 (ko) 1999-12-21 1999-12-21 수동변속 자동차의 충돌 회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7278A KR20010057278A (ko) 2001-07-04
KR100324920B1 true KR100324920B1 (ko) 2002-02-28

Family

ID=19627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9687A Expired - Fee Related KR100324920B1 (ko) 1999-12-21 1999-12-21 수동변속 자동차의 충돌 회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49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007716B4 (de) * 2011-04-20 2019-07-1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trieb einer Start/Stopp-Automatik in einem Kraftfahrzeug
FR3010473B1 (fr) * 2013-09-12 2015-08-21 Valeo Embrayages Procede et systeme de pilotage d'un embray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7278A (ko) 2001-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96642B2 (en) Adaptive cruise control system
US10220840B2 (e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6271747B1 (en) Method for adjusting the trigger threshold of vehicle occupant protection devices
US5699040A (en) Vehicle collision preventing system
EP2102045B1 (en) Vehicle control apparatus, and vehicle control method
US7002452B2 (en) Collision preventing apparatus for a vehicle
US11390279B2 (en) Vehicle control method and vehicle control system
KR100366477B1 (ko) 자동차의 정지등 제어 신호 발생 방법 및 장치
JP2010030396A (ja) 車両用安全制御装置
JPH0496603A (ja) 電動車両における衝突防止装置
CN111532270A (zh) 车辆的制动力控制装置
KR20190068898A (ko) 차량의 제동 제어 장치 및 방법
US12202470B2 (en) Vehicle control apparatus and vehicle
JP2006524603A (ja) 自動車における速度および間隔制御装置
US20070034440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eventing unintended acceleration of a vehicle
KR100324920B1 (ko) 수동변속 자동차의 충돌 회피장치
WO2016050253A1 (en) Method to prevent from a collision between a vehicle and a front obstacle and vehicle associated with this method
JP3858592B2 (ja) 乗員保護装置
JP4023340B2 (ja) 車輌の衝突防止装置
US11958478B2 (en) Method for automatically avoiding or mitigating collision, and control system, storage medium and motor vehicle
CN115158211B (zh) 防追尾控制方法、装置及电子设备、存储介质
JPH0664526A (ja) ブレーキスイッチの失陥検出方法
KR20090078977A (ko) 차량의 전방 충돌 경고 및 예방 제어 방법
US20080125949A1 (en) Method for Operating a Motor Vehicle
KR100231533B1 (ko) 차량의 고속주행시 사고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12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201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02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202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2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1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1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2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20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20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20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01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20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20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