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302027B1 - 최소하나의테이프헤드를가진디지탈비디오레코더및이레코더를이용한화상데이타기록방법 - Google Patents

최소하나의테이프헤드를가진디지탈비디오레코더및이레코더를이용한화상데이타기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2027B1
KR100302027B1 KR1019940011467A KR19940011467A KR100302027B1 KR 100302027 B1 KR100302027 B1 KR 100302027B1 KR 1019940011467 A KR1019940011467 A KR 1019940011467A KR 19940011467 A KR19940011467 A KR 19940011467A KR 100302027 B1 KR100302027 B1 KR 1003020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encoded
tape
slices
data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1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세이프라자드브이.네임팔리
희-영김
Original Assignee
모리시타 요이찌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리시타 요이찌,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모리시타 요이찌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2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2027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5/926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by pulse code modulation
    • H04N5/9261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by pulse code modulation involving data reduction
    • H04N5/926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by pulse code modulation involving data reduction using transform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2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 H04N5/7824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with rotating magnetic heads
    • H04N5/7826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with rotating magnetic heads involving helical scanning of the magnetic tape
    • H04N5/78263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with rotating magnetic heads involving helical scanning of the magnetic tape for recording on tracks inclined relative to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tape
    • H04N5/78266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with rotating magnetic heads involving helical scanning of the magnetic tape for recording on tracks inclined relative to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tape using more than one track for the recording of one television field or frame, i.e. segmented reco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2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 H04N5/783Adaptations for reproducing at a rate different from the recording 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디지탈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는 프레임-내 인코딩된 화상 슬라이스들과 모션 보상 인코딩 화상 슬라이들 모두를 포함하는 압축된 화상 신호를 기록한다. 상기 레코더는 각 프레임의 일부가 프레임-내 인코딩 기술에 의해 인코딩되거나 일군의 프레임 전체가 프레임-내 인코딩 기술에 의해 인코딩된 포맷으로 되어 있는 인코딩된 데이타를 수신한다. 레코더 내의 혼합 회로는 프레임-내 인코딩된 슬라이스들을 인식하고 상기 슬라이스들을 기록할 때 통상의 재생 모드와 트릭 재생 모드 모두에서 상기 슬라이스들의 실제 부분이 복원되도록 기록한다. 하나의 신호에 대해, 상기의 슬라이스들은 각 프레임의 프레임-내 코드화 부분을 나타내고, 나머지 신호들에 대해서는 상기의 슬라이스들이 일군의 프레임 내에서 하나의 프레임-내 코드화 프레임을 대표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상기 트릭 재생 모드는 3배속 전진 모드이고, 상기 프레임-내 코드화 슬라이스들은 사실상 모든 프레임-내 코드화 슬라이스들이 트릭-재생 모드에서 복원되도록 배열된다.

Description

최소 하나의 테이프 헤드를 가진 디지탈 비디오 레코더 및 이 레코더를 이용한 화상 데이타 기록 방법
제1도는 기본 및 3배속 고속-전진 모드에서 비디오 헤드가 스캔한 경로를 나타내 주는 것으로, 종래 기술에 의한, 디지사이퍼(DigiCipher) 표준에 따라 인코딩된 데이타를 포함하고 있는 비디오 테이프의 한 세그먼트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신호와 같으나 본 발명의 장치를 사용하여 기록된 비디오 테이프의 한 세그먼트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
제3도는 비디오 정보가 기록된 세그먼트가 어떻게 재생될 수 있는가를 설명하는데 유용한, 비디오 테이프의 한 세그먼트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
제4도는 종래 기술로서, MPEG 표준에 따라 기록된 일련의 프레임(GOF)을 나타내는 데이타가 DVTR에서 어떻게 기록될 수 있는가를 보여주는, 비디오 테이프의 한 세그먼트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
제5도는 제4도에 도시된 신호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사용하여 어떻게 기록될 수 있는가를 보여주는, 비디오 테이프의 한 세그먼트를 도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제6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포함하는 DVTR의 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10 : 입력 검출 회로 612, 632 : 다중화기
614,616,634,636 : 메모리 618,638 : 역 다중화기
620 : 입력 데이타 혼합 제어기 622 : 분할/삽입 회로
624 : 기록용 포맷회로 626 : 레코더
628 : 복원 회로 630 : 검출/삭제 회로
640 : 출력 데이타 혼합 제어기 642 : 출력 포맷 회로
본 발명은 HDTV(high definition television: 고선명 텔레비젼) 신호를 기록하기 위한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모션 보상(motion compensated) HDTV 압축 신호를 기록하면서도 트릭-재생 모드에서 고화질의 디스플레이가 구현되도록 해주는 레코더에 관한 것이다.
디지탈 HDTV 생산 시스템은 수년간 발전을 거듭해왔다. 이와 같은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종래의 TV 시스템보다 더 높은 품질의 TV 화상 및 사운드를 만들어내며, 이를 위하여 상기 시스템은 종래의 TV 신호에서 전달되는 정보보다 더 많은 정보를 전달한다.
그러나, 연방 통신 위원회(Federal Communications commission : FCC)에서 발표한 최근의 표준안은 종래 TV 신호와 동일한 주파수 대역 내에서 보다 많은 정보가 전달되어야 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비교적 넓은 대역폭의 HDTV 신호를 표준 TV 채널에 맞추기 위해서는, HDTV 신호의 정보 내용이 압축되어야 한다.
HDTV 신호내에는 비교적 많은 공간 중복(spatial redundancy)과 시간 중복(temporal redundancy)이 있기 때문에, 대부분의 TV 신호에서 비교적 높은 수준의 데이타 압축이 이루어질 수 있다.
TV 신호에서 공간 중복을 제거하기 위한 한가지 방법은 화상을 이산 코사인 변환(discrete cosine transform: DCT)하여 표기하는 것이다. 이러한 표기에 의해, 화상 프레임은 화상 프레임의 다양한 공간 주파수 성분들을 나타내는 계수값으로 변형된다. 화소가 서로 같거나 반복 패턴을 보이는 화상의 부분은 많은 수의 화소값에서 비교적 적은 수의 주파수 계수 값으로 변형된다. 또한, 인간의 눈은 비교적 낮은 공간 주파수를 갖는 화상 성분에서 보다는 높은 공간 주파수를 갖는 화상 성분에서 양자화 에러(quantization errors)에 덜 민감하므로, 높은 공간 주파수 계수는 화상을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데이타의 양을 더욱 감소시키기 위해 조밀하지 않게 양자화될 수 있다.
화상내의 시간 중복은 먼저 인코딩된 프레임의 해당 영역과 상이한, 주어진 프레임의 영역만을 인코딩함으로써 제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코딩은 일반적으로 예측 코딩(predictive coding)으로 알려져 있다. 시간 중복은 추가로, 모션 보상(motion compensation)의 수행에 의해 보다 높은 수준의 데이타 압축을 달성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화상 블록이 인코딩되기 이전에 이와 같은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먼저 인코딩 된 프레임내의 상기 화상 블록 주위의 블록들은 현재 프레임내의 블록과 가장 유사한 한 개의 블록을 찾기 위해 탐색된다. 그 후, 상기 현재의 블록은 상기 이전 프레임내의 가장 유사한 블록에 의해 감산된다. 공간 주파수 계수 값은 상기 두 화상 블록간의 차이를 토대로 생성된다. 모션 보상 예측 인코딩 기술을 채용하는 전형적인 비디오 화상 압축 시스템은 동화상 전문가 그룹(Motion Picture Experts Group: MPEG)에 의해 제안되었고, 1990년 7월 25일자 ISO-IEC/JTC1/SC2/WG11 N0010 MPEG 90/41의 “화상 및 오디오 정보의 코드 표기(Coded Representation of picture and Audio Information)”이란 제목의 문헌에서 개시되었으며, 디지사이퍼 시스템(DigiCipher(상표명) System)으로는 1992년 맥그로 힐(McGrow Hill) 출판사에서 출간한 케이 비 벤슨(K.B.Benson) 등의 TV 기술자 핸드북(Television Engineers Handbook) 섹션 25.5 페이지 2532~2543에 개시되어 있다.
그 밖의 인코딩 기술도 역시 MPEG와 디지사이퍼 시스템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동일 값들의 열이 보다 작은 갯수의 값들로 인코딩되는 실행-길이 코딩(run-length coding)과, 자주 발생되는 데이타 값이 디지탈 코드값에 할당될 때, 덜 발생되는 데이타 값에 할당되는 코드값보다 더 적은 비트를 갖는 디지탈 코드값에 할당되는 가변 길이 코딩(variable length coding)이 상기 그밖의 인코딩 기술에 해당된다.
인코딩된 HDTV 신호는 상기의 인코딩 기술에 관계 없이 디스플레이 되기 이전에 디코딩되어야 한다. 예측 인코딩된 또는 모션 보상 예측 인코딩된 HDTV 신호를 위해, 디코딩 장치는 이미 디코딩된 화상을 기억하는 하나 이상의 프레임 메모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메모리에 의해 기억된 화소값은 현 프레임내의 예측 인코딩된 데이타를 재구성하는데 사용된다.
MPEG 또는 디지사이퍼 인코딩 기술을 사용함으로써, 600과 1200 초당 메가 비트(Mega bits per second: Mbps) 사이의 데이타 전송률을 갖는 HDTV 신호는 20Mbps 이하의 데이타 전송률을 갖는 신호를 생성하도록 압축될 수 있다. 기타 지상 방송 신호에서와 같이, 사용자는 고해상도를 지닌 비디오 화상의 신호를 해상도 손실이 거의 없이 수신, 디스플레이, 및 녹화할 수 있기를 원할 것이다.
첫번째 분석에서, HDTV 신호의 압축은 가정용 VTR(Video Tape Recorders: VTR′S)들에서 신호를 기록하기에 유용해야 되며, 그 이유는 상기 가정용 VTR은 일반적으로 비디오 신호를 기록하는데 필요한 제한된 대역폭만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1991년 10월 IEEE의 소비자 전자공학 회보 37권 3책 페이지 261~266에 게재된 씨.야마미쯔등의 논문 “디지탈 VCR을 위한 트릭 재생에 대한 연구”에는 27Mbps의 기록 속도를 지닌 가정용 VCR이 발표되었다. 일반 HDTV 신호는 인코딩하기 이전에 600Mbps의 비트 전송률을 지닌다. MPEG 또는 디지사이퍼와 같은 압축 방법은 이와 같은 HDTV 신호를 대략 18Mbps의 비트 전송률로 감소시키며, 압축된 신호가 팽창되었을 때 화질의 현저한 저하가 일어나지 않는다.
기록시에나 통상의 재상 모드에서는 예측 인코딩된 HDTV 신호의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으나, 비디오 화상이 녹화된 것보다도 더 빠른 속도로 디스플레이 되는 고속 전진 및 고속 후진과 같은 트릭 재생 모드에서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기 문제점은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1도는 이미 기록되어 있는 비디오 정보에 대한 트랙 스캐닝 속도를 나타내고 있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디오 화상의 슬라이스(slice of video image)(110, 112 및 116)들은 테이프 헤드가 트랙(115)를 따라 이동하는 순서대로 스캔(scan)된다. 이와 같은 각 화상 슬라이스들은 재생된 화상내의 화소의 수와 동일한 수를 나타낸다. 그러나, 제1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한 슬라이스내의 데이타량은 슬라이스마다 변화할 수 있다. 한 슬라이스내의 데이타량의 이와 같은 변화는 원 HDTV 신호내의 화상 슬라이스들에 대한 상대적 코딩 계수(relative coding efficiencies) 때문에 일어난다. 다중 프레임 화상(multi-frame image)의 정지 부분이나 비교적 변화가 적은 부분을 대표하는 화상 슬라이스는 비교적 적은 수의 데이타 값으로 인코딩될 수 있다. 고수준의 정밀도를 지니고, 먼저 인코딩된 프레임 내에 일치하는 부분이 없는 화상 부분은 그 화상 부분이 인코딩될때 매우 많은 수의 데이타 값이 필요하다.
화상 신호가 통상의 재생시 테이프로부터 읽혀질 때, 각 프레임의 각 화상 슬라이스는 화살표(118 및 120)로 표시한 순서대로 테이프에서 읽혀진다. 만약 HDTV 신호가 생성되는 코딩 방법이 예측 코딩 기술에 의한 것이라면, 기록된 데이타에는 제1도에서 빗금친 트랙으로 도시한 프레임내 코드화 데이타(intra-frame coded data)와 제1도에서 빗금이 쳐지지 않은 트랙으로 도시한 예측 코드화 데이타(predictively coded data)가 포함된다. 테이프에서 데이타가 옮겨지는 재생동안, 프레임-내 코드화 데이타에서 생성된 화소는 메모리에 저장되는데, 상기 화소는 예측 프레임(predicted frame)을 재구성하는데 이용하기 위해 필요하다.
제1도는 고속 전진 트릭-재생 모드 동안의 트랙 스캐닝 순서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모드에서는, 화상 슬라이스(110, 112 및 116)가 순서대로 재생되지 않고 110, 112, 122 및 124의 순서대로 재생된다. 제1도에서 도시되어 있듯이 몇몇 화상 슬라이스, 예를 들어 슬라이스(116 및 120)는 테이프로부터 재생되지 않는다. 만약 이러한 슬라이스들 중 일부(예를 들어, 116)가 내-코드화(intra-coded) 데이타를 포함하고 있다면, 내-코드화 프레임에 기초한 예측 프레임의 해당 슬라이스(예를 들어, 130 및 132가)테이프로부터 읽혀질 때 상기 슬라이스 일부의 해당 화소값은 쓸모없게 될 것이다. 결과적으로, 디스플레이를 위해 예측 프레임을 적절히 재구성하는 것은 가능하지 못할 것이다.
트릭-재생 모드에서 예측 프레임을 재생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압축된(비트 전송률이 감소된) 신호를 디지탈로 기록하기 위한 제안된 대부분의 방법들은 VTR에 기록하기 위해 데이타를 인코딩하는데 사용되는 인코딩 기술에 제약을 가해 왔고 결과적으로 예측 프레임들이 제외되었다. 이와 같은 방식의 전형적인 시스템은 1989년 10월 IEEE 소비자 전자공학 회보 권 35, 책 3, P450~457에 게재된 씨.야마미쯔 등의 논문 “가정용 디지탈 VTR에 대한 실험적 연구”와 1992년 10월 IEEE 소비자 전자공학 회보 권 38, 책 3, P236~242에 게재된 제이.리 등의 논문 “DCT에 기초한 새로운 비트 전송률 감소 알고리즘과 가정용 디지탈 VCR을 위한 가변속도 재생에 관한 연구”에 서술되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시스템에서는 예측 프레임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예측 프레임을 사용하는 시스템의 효율에 부합되게 데이타를 압축시킬 수 없다. 결과적으로, 동일한 데이타 압축률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에서는 재생된 화상의 미세한 부분이 모션 보상 예측 코딩 기술을 사용하는 MPEG와 같은 시스템에서와 동일한 수준으로 구현될 수 없다.
본 발명은 모션 보상 인코딩(또는 코딩) 기술로 인코딩된 HDTV 신호(이하 “모션 보상 인코딩된(또는 코드화) HDTV 신호로 칭한다)를 기록하는 디지탈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Digital Video Tape Recorder: DVTR)에서 구현된 것이다. 기록되어야 할 압축 비디오 신호는 모션 보상 인코딩된 데이타에서 프레임-내 인코딩(또는 코딩) 기술로 인코딩된 데이타(이하 “프레임-내 인코딩된(또는 코드화) 데이타”로 칭한다)가 분리되도록 처리된다. 이후 프레임-내 인코딩된 데이타는 모션 보상된 데이타와 인터리브(interleave)되고 이후 상기 프레임-내 인코딩된 데이타의 실제 부분이 어떤 미리 지정된 트릭-재생 모드에서 재생되도록 테이프상의 여러 위치에 기록된다.
본 발명은 트릭 재생 모드에서 고 해상도의 디스플레이가 가능하도록, 압축된 비디오를 기록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방법은 비디오 녹화 시스템에서 제한되어 있지는 않지만, 본 발명에서는 디지사이퍼 및 MPEG 인코딩 방법에 관한여 서술한다. 본 발명을 완전히 이해하는 데에는, 데이타가 상기 표준(디지사이퍼 또는 MPEG)에 따라 어떻게 인코딩 되는가에 대하여 우선적으로 이해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다.
디지사이퍼 시스템은 프레임-내 코딩과 모션 보상 예측 코딩 모두를 사용하여 비디오를 인코딩한다. 각 프레임에서, 화상의 일부분은 프레임-내 코딩으로 코드화되고 나머지 부분은 모션 적응 기술(motion adaptive techniques)로 코드화 된다. 프레임-내 코드화 및 예측 코드화 부분은 이산 코사인 변환 및 가변길이 코드를 이용하여 압축된 화상 데이타를 생성한다. 화상의 프레임-내 코드화 부분은 프레임 단위로 변화하므로 전체 화상은 주기적으로 변화된다. 이에 의해, 상기 프레임의 예측 코드화 부분을 통한 원하지 않는 에러의 확산이 제한된다.
제1도는 4프레임의 디지사이퍼 신호를 기록하기 위한 전형적인 테이프 포맷에 대한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서는 편의상 각 프레임에 9개의 트랙이 점유되어 있으며, 트랙당 하나의 화상 슬라이스가 있고 각 프레임내의 하나의 슬라이스(빗금친 트랙으로 표시된)만이 프레임-내 코드화 데이타를 포함하고 있다. 이와 같은 전형적인 테이프 포맷에서, 테이프의 각 트랙은 화상의 수평 슬라이스에 해당한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내 코드화 슬라이스는 프레임이 바뀔 때마다 프레임내의 위치가 화상 슬라이스 하나의 간격만큼 오른쪽으로 이동된다.
실제 기록된 신호에 있어서, 압축 효율은 화상의 공간 주파수 크기에 따라 변화한다. 따라서, 개개의 프레임은 9개 이상 또는 9개 이하의 트랙을 사용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9개의 트랙이 필요한 곳에서는 화상 프레임의 프레임-내 코드화 부분에 하나이상 또는 하나 이하의 트랙이 점유될 수 있다.
디지사이퍼 표준을 이용하여 인코딩된 비디오 정보를 재생하고 디스플레이 하는데 있어서의 문제점은 트릭-재생 모드시에 나타나게 된다. 상기 모드에서, 예를 들어 고속 전진 및 고속 후진에서, 테이프 헤드는 제1도에 도시된 화살표(118 및 120) 방향으로 트랙을 지나가지 않고 화살표(119 및 121)로 표시한 바와 같이 몇개의 트랙을 가로지른 경로를 따라 지나간다. 상술한 바와 같이 트릭-재생 모드에서는 프레임-내 코드화 데이타만이 재생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119 및 121)로 알 수 있듯이, 3배속(3x) 전진 모드에서는 아주 작은 비디오 데이타만이 재생된다.
제2도는 다른 대안이 되는 테이프 포맷 방법의 블록도로서, 상기 대안적 방법은 특정 트릭-재생 모드동안 고해상도의 화상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해주는 디지사이퍼 인코딩 기술과 함께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프레임-내 코드화 블록들은 보다 작은 다수의 블로들로 나누어지고, 분할된 블록들은 이후 테이프상의 특정 위치에 기록되어 차후 특정 트릭-재생 모드동안 헤드가 테이프를 가로질러 지나가는 순서대로 재생될 것이다. 전형적 테이프 포맷에서, 3배속(3x) 전진 트릭-재생 모드는 화살표(119, 120)로 표시되며, 6배속(6x) 후진 모드는 화살표(122, 124)로 표시된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3배속 전진 모드에서는 모든 프레임-내 코드화 데이타가 반드시 재생되며, 6배속 후진 모드에서는 상기 모든 프레임-내 코드화 데이타의 절반이 재생된다. 그러나, 주어진 어떤 프레임내의 프레임-내 코드화 데이타는 2프레임의 일부만을 대표하는 것이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일부란 화상의 1/9에 해당하는 슬라이스 또는 세그먼트를 대표한다. 따라서, 1프레임 주기동안 3배속 전진 모드에서, 3/9 또는 1/3의 화상(즉, 각기 다른 3개의 프레임으로부터의 3개의 슬라이스)이 재생될 것이다. 나머지 2/3의 화상은 이전 프레임으로부터 재생될 것이다. 따라서, 3배속 전진에서의 트릭-재생 디스플레이에서는 각기 다른 9개의 프레임으로부터의 9개의 슬라이스 또는 세그먼트가 포함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디스플레이는 고선명 화상의 완전한 해상도를 지닐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각 프레임-내 코드화 세그먼트(110, 112 및 116)는 각기 다른 길이를 지닐 수 있다. 상기 세그먼트는 최종 화상내의 특정 크기의 화소블록을 재생하도록 인코딩된다. 블록으로 나타내어지는 화상 영역이 높은 공간 주파수가 비교적 많은 화상 영역인 곳에서는, 상기 블록을 대표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레임-내 코드화 데이타가 저수준의 밀도를 지닌 영역을 대표하는 블록의 데이타보다 데이타량이 더 많을 수 있다. 블록의 트릭-재생 모드에서 헤드에 의해 스캔될 수 있는 크기보다 더 클 때, 블록(110)에 부가된 영역(110a)으로 표시된 것과 같이, 상기 블록은 블록의 시작부분이 트릭-재생 모드에서 재생되도록 기록된다. 재생될 수 없는 데이타에 의해 대표되는 화소들은 이전 프레임으로부터 얻어지거나, 또는 예를 들어 회색과 같은 중간 색상으로 채워질 수 있다.
제3도는 데이타 블록들이 어떻게 재생될 수 있는가를 보여주기 위한 트릭-재생 모드에서의 헤드의 경로를 나타내준다. 제3도에서 테이프는 헤드 트랙(head track)이 대략 수평이 되도록 회전된다. 삼각형(320, 322 및 324)은 화상 데이타가 트랙을 가로지르는 헤드에 의해 테이프로부터 재생될 수 있을 때와 재생될 수 없을 때의 기간을 나타내준다. 삼각형 중 빗금친 부분(310)은 화상 데이타가 재생될 수 없는 기간을 나타내 주는데, 재생 불가능의 이유는 데이타가 저수준이고 동시에 두 개의 트랙으로부터 얻어지기 때문이다. 반면에, 영역(312)은 비교적 고수준의 데이타가 단일 트랙으로부터 얻어지는 기간을 나타낸다. 점선(330)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세그먼트(110, 112 및 116)의 위치는 테이프 헤드가 3배 전진 트랙 재생 모드에서 데이타를 복원가능한 기간(320, 322 및 324)에 맞춰 정렬되어 있다.
프레임-내 코드화 및 모션 보상 코드화 세그먼트들을 수신된 때와 같이 단순히 재배열 하는 것은 바람직한 것이지만, 세그먼트들을 본 상태로 유지하고 테이프 상의 바람직한 위치에 프레임-내 코드화 데이타를 기록하는 것은 어려울 것이다. 따라서, 모션 보상 인코딩 기술을 사용하여 인코딩된 개개의 세그먼트들이 분리될 수 있으며, 데이타가 테이프상에 기록될 때 분리된 세그먼트의 부분들 사이에 프레임-내 코드화 세그먼트들이 삽입될 수 있다는 것이 고려되어야 한다. 물론, 이러한 세그먼트의 분리는 데이타가 테이프에서 재생된 후 디스플레이를 위해 처리될 때 반드시 반대로 될 것이다.
다른 대안으로서, 디지탈 신호를 위해 유용한 비교적 넓은 대역폭(예를 들어, 25㎒)과 인코딩된 디지탈 신호의 비교적 좁은 대역폭(예를 들어, 18㎒) 때문에, 프레임-내 코드화 세그먼트를 위해 테이프상의 적당한 위치에 공간을 만들기 위하여, 상기 화상 데이타를 이와 같은 넓은 대역폭으로 인코딩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테이프상의 인코딩된 화상 세그먼트들을 이동시켜, 프레임-내 코드화 세그먼트들을 위하여 원하는 위치에 공간을 만드는 것은 상술한 여분의 대역폭 때문에 가능할 수 있다.
다시 제2도로 돌아가면, 테이프의 헤드는 트릭-재생 모드동안 적당한 배열로 유지되고, 타이밍 트랙(210)을 사용함으로써 데이타를 재생한다. 전형적인 타이밍 트랙(210)에서는 일련의 마크(210a)들이 제공되며, 상기 마크는 선택된 트릭-재생 모드 내에서 최대량의 데이타를 재생하기 위하여 테이프에 대한 헤드-스캔 출발 위치를 표시해준다. 여기서 주목할 사항은 특정한 트릭-재생 속도만이 특정한 테이프 포맷에 의해 조정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사항은, 종래의 가정용 VTR들이 전진 속도와 후진 속도에서 하나의 트릭-재생 보기 모드(trick-play viewing mode)를 지닐 뿐이므로 문제가 될 수 없다.
제4도는 테이프 포맷 다이어그램으로, MPEG 표준에 따라 인코딩된 8개의 프레임군으로부터의 화상 데이타가 테이프상에 어떻게 기록될 수 있는가를 나타낸다. 상기 특정 프레임군(particular group of frames: GOF)들은 단일 프레임-내 코드화 프레임(intra-coded frame: I-frame)인 프레임 1과, 6개의 양방향으로 인코딩된 프레임(bidirectionally encoded frame: B-frame)들인 프레임 2~7과, 하나의 예측 코드화 프레임(predictively encoded frame: P-frame)인 프레임 8로 구성되있다. 상기 프레임들 중에서, 프레임 1의 데이타만이 트릭-재생모드에서 VTR에 의해 확실하게 재생될 수 있다. 프레임 2~8에는 모션 보상 예측 코드화 데이타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 데이타는 상술한 바와 같이 예측에 기초가 되는 데이타가 없기 때문에 트릭-재생 모드에서 확실하게 재생될 수 없다.
여기석 주목할 사항은, 수신 및 기록시의 프레임들은 규칙적이 못하다는 것이다. 프레임의 순서는 프레임 1, 프레임 8, 그 다음 프레임 2, 7, 3, 6, 4, 5의 순서이다. 이러한 순서는 MPEG 프레임군(GOF)의 전형적인 전송 순서이다. 전형적인 MPEG 리시버에서, 제4도에 도시된 프레임들은 다음과 같이 디코딩 된다. 먼저, 프레임 1이 수신되고 디코딩된 후 메모리에 저장된다. 프레임 1이 디코딩 되는 동안, 프레임 8은 수신되어 일시적으로 저장된다. 프레임 1의 디코딩 완료 후, 프레임 8이 저장된 프레임 1을 토대로 예측 데이타(predicted data)로서 처리된다. 이후, 각 프레임 2, 7, 3, 6, 4 및 5가 저장된 프레임 1과 2의 데이타를 사용하여 양방향으로 디코딩된다.
여기서 주목할 사항은, 이와 같은 방식에 따라 프레임 1은 프레임 1~8 모두의 디코딩이 완료될 때까지 리시버의 메모리에 남아있게 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프레임들이 디코딩 되었을 때 디스플레이를 위하여 유효한 것으로 된다. 그러나 상기 프레임들이 디스플레이 될때, 제일 먼저 제1프레임이 디스플레이되고 맨 나중에 프레임 8이 디스플레이 된다.
제5도는 테이프 포맷 다이어그램으로, MPEG 표준으로 인코딩된 데이타가 트릭-재생 모드에서 고해상도로 디스플레이되기 위해 어떻게 재배열 될 수 있는가를 나타낸다. 이러한 방식에 따라 하나의 프레임-내 코드화 프레임으로부터의 데이타는 블록(510)으로 분할되고, 상기 블록(510)은 소정 트릭-재생 모드에서 테이프 헤드에 의해 스캔될 여러 위치로 테이프를 따라 배치된다.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제적으로 모든 프레임-내 코드화 화상이 3배속 전진 트릭 재생 모드에서 재생될 것이고, 대략 상기 화상의 절반이 6배속 후진 트릭 재생 모드에서 재생될 것이다.
제6도는 실시예로서의 회로의 블록도로서, 제2도 및 제5도에 도시된 테이프 인코딩 구성을 실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프레임-내 코드화 데이타(IDATA)와 모션 보상 예측 코드화 데이타(MCDATA)로 구성된 압축 비디오 신호는 단자(608)를 경유하여 다중화기(612)와 입력 검출 회로(610)에 인가된다. 상기 입력 검출 회로(610)는 각 프레임의 시작 및 길이와 프레임내의 어떤 IDATA의 위치를 검출한다. 디지사이퍼 인코딩 방법에 있어서, IDATA로 대표되는 화상 슬라이스들은 상기 데이타 열에서 식별된다. 이는 예를 들어, 화상 슬라이스 각각의 헤더 기록(header records)들이 지닌 값들에 의해 식별된다.
입력 검출 회로(610)에 의해 복원된 정보는 입력 데이타 혼합 제어기(input data shuffling controller)(620)에 인가된다. 입력 데이타 혼합 제어기(620)는 다중화기(612)를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며, 이 제어 신호에 의해 압축 비디오 신호가 메모리(614)와 메모리(616)중 어느 곳으로 인가될지가 결정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디지사이퍼 표준에 따라 인코딩된 데이타를 처리하기 위해 적당한 한가지는, 각 메모리(614,616)가 하나의 압축 프레임을 수용할 만큼 충분한 용량을 지녀야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에서, 압축된 프레임들은 길이가 다를 수 있다. 압축된 프레임의 평균 길이가 9트랙이라고 가정하면, 상기 메모리(614 또는 616)가 27트랙의 데이타를 수용하기에 충분한 저장 공간을 지녀야 한다.
상기 메모리(614 및 616)는 역다중화기(618)의 데이타 입력단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역 다중화기(618)는 또한 입력 데이타 혼합 제어기(620)에 의해 제어되고, 두개의 메모리(614 및 616)로부터 읽어들인 데이타를 공급한다. 메모리(614 및 616)에서 읽어들인 데이타는 입력 데이타 혼합 제어기(620)에 의해 공급된 어드레스 값에 의해 결정된다. 상기 제어기(620)는 또한 레코더(626)에 의해 제공한 트랙/세그먼트 어드레스에 반응한다. 상기 어드레스는 데이타가 기록될 테이프상의 위치를 식별하고, 따라서 제어기(620)로 하여금 적당한 메모리(614 또는 616)로부터의 IDATA 세그먼트를 읽어들이게 하여, 상기 IDATA 세그먼트가 제2도에 도시된 테이프상의 특정위치에 기록될 것이다.
본 발명의 전형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기(620)는 메모리에 저장될 때의 인코딩된 세그먼트나 슬라이스들을 식별하는 입력 프레임을 위한 테이블을 생성한다. 이 테이블은 상기 제어기(620) 내부에 있는 메모리 내에서 유지된다. 상기 제어기(620)는 상기 테이블과 레코더(626)로부터의 트랙/세그먼트 어드레스를 사용하여 적당한 시기에 저장된 프레임으로부터의 IDATA 세그먼트나 MCDATA 슬라이스를 제공하고 제2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기록된 화상 포맷을 생성한다.
본 발명의 전형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메모리(614 및 616)는 핑퐁 랜덤-액세스 버퍼(ping-pong random access buffer)로서 동작한다. 데이타는 순서대로 수신되어 다중화기(612)를 통해 메모리(614 및 616)중 하나에 저장되고, 그동안 데이타는 메모리(616 및 614)중 나머지 하나로부터 특별히 액세스된 블록의 형태로 역다중화기(618)를 통해 출력된다. 각 메모리(614 및 616)는 하나의 압축된 프레임을 갖고 있으므로, 역 다중화기(618)에 의해 제공된 출력 신호는 일련의 세그먼트들로서, 그 내부에 프레임-내 코드화 데이타가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션 보상 예측 코드화 데이타 사이에 분포되어 있다.
역 다중화기(618)에 의해 제공된 데이타는 상기 데이타를 세그먼트들로 분할하고 헤더(header)들을 삽입하는 분할/삽입 회로(622)에 공급된다. 상기 헤더는 데이타 세그먼트가 IDATA인지 또는 MCDATA인지를 식별하고, 데이타 세그먼트의 길이와 생성된 프레임내의 디코딩된 화소들의 위치를 표시해준다.
상기 분할/삽입 회로(622)는 데이타 입력 혼합 제어기(620)에서 제공한 정보에 따라 상기 헤더들을 생성한다. 상기 제어기(620)는 제2도에 도시된 테이프 포맷에 따라 상기 메모리(614 및 616)로부터 연속된 세그먼트들을 읽어들일 때, 분할/삽입 회로(622)에 신호를 공급하는데 이 신호는 공급되는 데이타 세그먼트의 형태와 길이를 표시해주는 신호이다. 분할/삽입 회로(622)는 상기 세그먼트들을 위한 적당한 헤더 정보를 발생시키고, 데이타를 기록용으로 포맷하는 기록용 포맷 회로(624)에 생성된 데이타 열을 제공한다. 상기 기록용 포맷 회로(624)에는 예를 들어 에러 정정 코드(error correction code: ECC) 엔코더(도시되어 있지 않음), 채널 엔코더(도시되어 있지 않음), 및 기록 증폭기(recording amplifier; 도시되어 있지 않음)가 구비될 수 있다. 기록용 포맷 회로(624)에 의해 제공된 신호들을 레코더(626)에 의해 테이프상에 기록되어 제2도에 도시된 테이프 포맷을 실현한다.
통상의 재생 및 트릭 재생 모드에서의 재생동안 데이타는 레코더(626)에 의해 테이프로부터 읽혀지고, 테이프에서 읽어들인 신호들로부터 기록된 데이타를 복원하는 복원회로(628)에 공급된다. 상기 복원 회로(628)에는 헤드 증폭기(head amplifier), 검출기, 및 에러 정정 코드 디코더(이상 도시되어 있지 않음)가 포함될 수 있다. 복원 회로(628)의 출력 신호는 디지탈 데이타 열로서, 이 신호는 세그먼트들을 검출하고 분할/삽입 회로(622)에 의해 삽입된 헤더 정보를 삭제하는 검출/삭제 회로(630)에 공급된다. 상기 검출/삭제 회로(630)는 또한 새로운 세그먼트가 처리되는 시기를 가리켜 주는 신호를 생성한다. 이 신호는 출력 데이타 혼합 제어기(output data shuffling controller)(640)에 공급된다.
검출/삭제 회로(630)에 의해 제공된 출력 데이타열은 헤더 정보가 없는 인코딩된 데이타로서, 다중화기(632)에 공급된다. 다중화기(632)는 출력 데이타 혼합 제어기(640)에서 공급한 신호에 의해 제어되어, 입력 신호들을 메모리(634 및 636)중 한 메모리에 공급한다. 상기 제어기(640)는 또한 메모리(634 및 636)에 연결되어 데이타가 저장되는 그리고 데이타가 읽혀지는 어드레스들을 제어한다. 메모리(634 및 636)로부터 읽혀진 데이타는 역다중화기(638)에 제공되는데, 상기 역 다중화기(638)는 또한 데이타 출력 혼합 제어기(640)에 의해 제어된다.
통상의 재생 모드동안 역 다중화기(638)에 의해 공급된 출력 데이타열이 제1도에 도시되어 있다. 프레임-내 코드화 데이타는 데이타열이 적당한 위치에 디지사이퍼 인코딩 방법에서 정의된 바대로 다시 복원된다. 상기 출력 데이타열은 세가지 신호, 즉 데이타 준비 신호(data ready signal: D-RDY), 데이타 신호(data signal: DATA), 및 클록 신호(clock signal: CLK)를 발생시키는 출력 포맷 회로(640)에 공급된다. 상기 신호들은 방송 비디오 신호들이 수신된 것처럼 TV 리시버에 공급된다. 상기 데이타는 출력 데이타 혼합 제어기(640)에 의해 제2도에 도시된 기록 포맷에서 제1도에 도시된 표준 디지사이퍼 포맷으로 재포맷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기(640)는 데이타를 메모리(634,636)중 한곳에 순서대로 저장시키고, 제1도에 도시된 포맷으로 데이타를 복원시키기 위해 나머지 메모리로부터 데이타를 세그먼트 단위로 읽어들인다.
상기 메모리(634 및 636)는 상술한 메모리(614 및 616)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각 메모리들은 하나의 압축된 비디오 신호 프레임을 수용할 만큼 용량이 충분히 크다. 상기 메모리들은 출력 데이타 혼합 제어기(640)에 의해 제어되어 핑-퐁 랜덤 액세스 버퍼처럼 동작하는데, 메모리(634 및 636)중 하나는 다른 메모리(636 및 634)중 하나가 역 다중화기(638)를 통해 출력 포맷 회로(642)에 데이타를 공급해주기 위해 사용되는 동안 데이타를 수신한다.
출력 데이타 혼합 제어기(640)는 또한 한 신호(641)에 반응하는데, 이 신호는 3배속 전진 또는 6배속 후진 재생이 요청되었음을 지시하는 신호이다. 상기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기(640)는 레코더(626)에 의해 공급되는 트랙/세그먼트 어드레스를 감시할 것이고, 프레임-내 코드화 데이타가 테이프에서 언제 공급될 것인가를 결정하기 위해 재생회로(628)에 의해 공급되는 데이타를 감시할 것이다. 이러한 트릭-재생 모드에서는, 상기한 프레임-내 코드화 데이타만이 메모리(636 및 634)에 기록된다. 이 데이타는 TV 리시버에 산발적으로 공급될 수 있기 때문에, 출력 포맷회로(642)는 상기 데이타의 D-RDY 신호를 확실한 프레임내 코드화 데이타가 TV 리시버에 공급되고 있을 때에만, 하이(high)로 할 것이다.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MPEG 표준에 따라 인코딩한 데이타를 처리하기 위하여, 약간의 변경을 가한 상기와 비슷한 회로를 사용할 수 있다. 디지사이퍼 데이타를 처리하기 위한 회로와 대비되는 MPEG 데이타를 처리하기 위한 회로의 차이점은 메모리(614, 616, 634 및 636)들의 크기와 입력 및 출력 데이타 혼합 제어기(620,640)의 동작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 2에서, 각 메모리(614, 616, 634 및 636)들은 MPEG로 인코딩된 데이타의 전체 프레임군을 수용하기 위해 충분한 수의 저장 셀(storage cell)들을 갖고 있다.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된 예에서, 평균 프레임군은 72개의 테이프 트랙내에 저장될 것이다. 주어진 프레임군을 대표하는데 필요한 트랙의 수는 기초가 되는 화상이 압축될 수 있는 효율에 따라 변화한다. 그러나, 150개의 테이프 트랙을 수용하기에 충분한 수의 저장 셀들을 갖는 메모리가 메모리(614, 616, 634 및 636)중 어느 것에나 적합하다는 것을 염두에 둬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수용되는 입력 데이타 혼합 제어기(620)는 데이타를 제4도에 도시된 포맷에서 제5도에 도시된 포맷으로 재배열시킨다. 프레임군의 시초에 있는 인코딩된 I 프레임(프레임 1)은 블록들로 분할되고, 분할된 블록들은 이후 상기 프레임군의 나머지 프레임들내의 인코딩된 블록들 사이에 배치된다. 통상의 재생동안, 출력 데이타 혼합 제어기(640)는 제5도에 도시된 포맷으로 기록되어 있는 것과 같은 상기 데이타를 재배열하여 제4도에 도시된 포맷과 일치하는 출력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두 재 포맷 동작은, 데이타가 수신될 때 상기 데이타를 핑-퐁 메모리 중 한 곳에 저장하고, 개개의 세그먼트들을 메모리내의 자신의 위치에 대응시키는 테이블을 감시하고 작성함으로써 수행된다. 데이타가 읽혀지면, 읽혀진 데이타는 프레임-내 코드화 정보가 각기 다른 위치에 놓이도록 재배열된다. 상기 재배열되는 위치는 상기 데이타가 메모리 내에 저장되었을 때 증가되었던 테이블로부터 결정된다.
본 발명은 디지사이퍼 시스템과 MPEG 인코딩 표준을 기준으로 하여 서술되었지만, 제니스와 에이 티 엔 티(Zenith/AT&T)에서 제안한 DSC-HDTV와 같은 다른 시스템들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나의 실시예로서 서술된 것으로, 첨부된 청구범위의 정신 및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실시될 수 있다.

Claims (11)

  1. 데이타를 테이프상에 기록하기 위한 최소한 하나의 테이프 헤드를 구비하고, 통상의 재생모드와 트릭 재생모드를 지니며, 상기 테이프 헤드가 상기 통상의 재생 모드에서는 상기 테이프를 가로질러 제1트랙을 지나가며, 상기 트릭-재생 모드에서는 상기 테이프를 가로질러 제2의 상이한 트랙을 지나가는 디지탈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에 있어서, 비디오 화상의 연속 프레임들의 인코딩된 슬라이스들을 나타내는 상기 일련의 비디오 데이타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연속 프레임의 일부 슬라이스들은 프레임-내(intra-frame) 인코딩 기술을 사용하여 인코딩되었고, 상기 연속 프레임의 다른 슬라이스들은 모션 보상(motion compensated) 인코딩 기술을 사용하여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타 수신 수단; 상기 비디오 화상의 각 연속 프레임의 상기 프레임-내 인코딩된 슬라이스들과 모션 보상 인코딩된 슬라이스들을 각각 분리하여 식별하고, 상기 프레임-내 인코딩된 슬라이스들과 모션 보상 인코딩된 슬라이스들을 각각 상이한 데이타열들로 분리하는 수단; 상기 모션 보상 인코딩된 데이타열을 실질적으로 고정된 크기를 갖는 블록들로 재포맷하는 수단; 상기 프레임-내 인코딩된 데이타열을 실질적으로 고정된 크기를 갖는 블록들로 재포맷하는 수단; 상기 프레임-내 인코딩된 블록들과 모션 보상 인코딩된 블록들을 상기 테이프 상에 기록하는 수단; 및 상기 식별수단과 기록수단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테이프 헤드가 상기 통상의 재생 모드 및 트릭-재생 모드에서 1프레임의 상기 프레임-내 인코딩된 블록들 중 최소한 1/2을 지나가도록 프레임-내 인코딩된 블록들을 테이프상에 위치시키기 위하여, 상기 비디오 데이타 열에 나타나는 상기 프레임-내 인코딩된 데이타 열과 모션 보상 인코딩된 데이타 열의 상대적 순서를 변화시키는 혼합 수단(shuffle means)을 포함하는 디지탈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에서 수신된 상기 인코딩된 데이타는 프레임-내 인코딩 기술로 인코딩된 제1의 연속된 슬라이스군 및 모션 보상 인코딩 기술로 인코딩된, 상기 연속 프레임들 각각에 대한, 제2의 연속된 슬라이스군을 포함하고; 상기 혼합 수단은 상기 1프레임의 프레임-내 인코딩된 블록들 각각을 모션 보상 인코딩된 블록들 각각에 인터리브(interleave)시키는 수단으로서, 상기 인터리브된 블록들이 상기 테이프상에 기록되면, 상기 테이프 헤드가 상기 통상의 재생 모드 및 트릭-재생 모드 모두에서 상기 1프레임의 상기 프레임-내 인코딩된 블록들 중 최소한 1/2을 지나가도록 하는 인터리빙 수단을 포함하는 디지탈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탈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는 2개의 헤드를 지니고, 상기 트릭 재생 모드는 3배속 전진 재생 모드이며, 상기 혼합 수단은 상기 1프레임의 프레임-내 인코딩된 블록들을 모션 보상 인코딩된 블록들 사이에 인터리브시켜, 상기 테이프 헤드들이 상기 트릭 재생 모드와 통상의 재생 모드 모두에서 상기 1프레임의 프레임-내 인코딩된 블록들의 실질적으로 전부를 지나가게 하는 디지탈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수단은 트릭-재생 모드에서 상기 테이프를 지나가는 소정 경로로 상기 테이프 헤드들을 정렬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타이밍 트랙을 기록하며, 상기 소정 경로에는 상기 기록된 1프레임의 프레임-내 인코딩된 화상 블록들이 포함되는 디지탈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로부터 상기 기록된 데이타를 복원하는 데이타 복원 수단; 및 상기 복원된 데이타 중에서 상기 1프레임의 인터리브된 프레임-내 인코딩된 블록들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블록들과 모션 보상 인코딩된 블록들을 재배열하여,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인코딩된 데이타의 순서와 동일한 순서로 배열된 상기 1프레임의 상기 식별된 프레임-내 인코딩된 블록들과 상기 모션 보상 인코딩된 블록들을 갖는 출력 신호를 통상의 재생 모드 동안 생성하는 출력 혼합 수단을 더 포함하는 디지탈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
  6. 비디오 데이타를 테이프상에 기록하기 위한 최소한 하나의 테이프 헤드를 구비하고, 통상의 재생모드와 트릭-재생모드를 지니며, 상기 테이프 헤드가 상기 통상의 재생 모드에서는 상기 테이프를 가로질러 제1트랙을 지나가며 상기 트릭-재생 모드에서는 상기 테이프를 가로질러 제2의 상이한 트랙을 지나가는 디지탈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에 있어서, 일군의 연속 프레임들 중 최소한 1프레임이 프레임내의 각 슬라이스가 프레임-내 인코딩 기술로 인코딩된 프레임이고, 상기 일군의 연속 프레임중 나머지 프레임들이 모션 보상 인코딩 기술로 인코딩된 프레임인, 상기 일군의 연속 프레임의 개개 프레임들의 인코딩된 슬라이스들을 나타내는 일련의 상기 비디오 데이타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 상기 비디오 화상의 각 연속 프레임들의 상기 프레임-내 인코딩된 슬라이스들과 상기 모션 보상 인코딩된 슬라이스들을 각각 식별하는 식별 수단; 상기 프레임-내 인코딩된 슬라이스들과 모션 보상 인코딩된 슬라이스들을 상기 테이프 상에 기록하는 기록 수단; 및 상기 식별수단과 기록 수단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일군의 연속 프레임들 중 상기 1프레임으로부터의 프레임-내 인코딩된 슬라이스들을 상기 일군의 연속 프레임들중 나머지 프레임들 각각의 슬라이스들 사이에 인터리브시키는 수단으로서, 상기 인터리브된 슬라이스들이 상기 기록 수단에 의해 기록되면, 상기 테이프 헤드가 상기 통상의 재생모드 및 트릭-재생 모드 모두에서 상기 1프레임의 프레임-내 인코딩된 슬라이스들 중 최소한 1/2을 지나가게 하는 혼합 수단을 포함하는 디지탈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탈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는 2개의 테이프 헤드를 가지며, 상기 트릭-재생 모드는 3배속 전진 재생 모드이고, 상기 혼합 수단은 상기 프레임-내 인코딩된 슬라이스들을 상기 모션 보상 인코딩된 슬라이스들 사이에 인터리브시켜, 상기 테이프 헤드들이 상기 트릭-재생 모드와 통상의 재생모드 모두에서 실질적으로 모든 프레임-내 인코딩된 슬라이스들을 지나가게 하는 디지탈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수단은 트릭 재생 모드에서 상기 테이프를 가로지르는 소정 경로로 상기 테이프 헤드들을 정렬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타이밍 트랙을 기록하고, 상기 소정 경로에는 상기 기록된 1프레임의 프레임-내 인코딩된 화상 블록들이 포함되는 디지탈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로부터 상기 기록된 데이타를 복원하는 데이타 복원 수단; 및 상기 복원된 데이타 중에서 상기 인터리브된 프레임-내 인코딩된 슬라이스들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슬라이스들과 상기 일군의 프레임 중 상기 1프레임 이외의 프레임들을 나타내는 인코딩된 슬라이스들을 재배열하여, 통상의 재생 모드 동안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인코딩된 데이타의 순서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순서를 지닌 인코딩된 상기 일군의 프레임들의 슬라이스들을 갖는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출력 혼합 수단을 더 포함하는 디지탈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혼합 수단은 비교적 어떤 다른 슬라이스들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상기 식별된 프레임-내 인코딩된 슬라이스들을 출력 신호로서 상기 트릭-재생 모드동안 제공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디지탈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
  11. 최소한 하나의 테이프 헤드를 갖고, 통상의 재생 모드와 트릭-재생 모드를 가지며, 상기 테이프 헤드가 상기 통상의 재생 모드에서 테이프를 가로질러 제1트랙을 지나가며 상기 트릭-재생 모드에서는 상기 테이프를 가로질러 제2의 상이한 트랙을 지나가는 디지탈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를 사용하여, 상기 테이프상에 화상 데이타를 기록하는 디지탈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화상 데이타 기록 방법에 있어서, 비디오 화상의 연속 프레임들 중 최소한 1프레임은 프레임-내 인코딩 기술을 사용하여 인코딩된 프레임이고, 상기 비디오 화상의 연속 프레임들 중 나머지 프레임들은 모션 보상 인코딩 기술을 사용하여 인코딩된 프레임들인, 상기 비디오 화상의 연속 프레임들의 인코딩된 슬라이스들을 대표하는 일련의 화상 데이타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일련의 데이타 값을 통해, 상기 각 프레임-내 인코딩된 슬라이스들과 모션 보상 인코딩된 슬라이스들을 각각 식별하는 단계; 상기 프레임-내 인코딩된 슬라이스들과 모션 보상 인코딩된 슬라이스들을 상기 테이프 상에 기록하는 단계; 및 상기 1프레임의 프레임-내 인코딩된 슬라이스들을 다른 프레임들의 모션 보상 인코딩된 슬라이스들 사이에 인터리브시킴으로써, 상기 식별된 프레임-내 인코딩된 슬라이스들과 모션 보상 인코딩된 슬라이스들의 순서를 기록되기 이전의 상기 일련의 화상 데이타 내에서 변경하는 순서변경 단계로서, 순서 변경된 상기 일련의 화상 데이타가 상기 테이프 상에 기록될 때 상기 테이프 헤드가 통상의 재생모드 및 트릭-재생 모드 모두에서 상기 프레임-내 인코딩된 슬라이스들 중 최소한 1/2을 지나가도록 상기 순서 변경된 일련의 화상 데이타를 발생시키기 위한 순서변경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탈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화상 데이타 기록 방법.
KR1019940011467A 1993-05-27 1994-05-26 최소하나의테이프헤드를가진디지탈비디오레코더및이레코더를이용한화상데이타기록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3020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825493A 1993-05-27 1993-05-27
US068,254 1993-05-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02027B1 true KR100302027B1 (ko) 2001-10-22

Family

ID=22081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1467A Expired - Fee Related KR100302027B1 (ko) 1993-05-27 1994-05-26 최소하나의테이프헤드를가진디지탈비디오레코더및이레코더를이용한화상데이타기록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0632653B1 (ko)
JP (1) JP3107493B2 (ko)
KR (1) KR100302027B1 (ko)
CA (1) CA2124391A1 (ko)
DE (1) DE69425788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5287U (ja) * 1992-03-17 1993-10-15 株式会社小松製作所 重量物リフト機械
KR0157665B1 (ko) * 1993-09-20 1998-11-16 모리시타 요이찌 압축텔레비젼신호기록재생장치
JPH07222094A (ja) * 1994-01-31 1995-08-18 Hitachi Ltd 圧縮動画像データの記録パターン形成方法および圧縮動画像記録装置
EP0820200B1 (en) * 1994-04-12 2000-03-0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Recording and reproduction of trick mode video signal
CN1158865C (zh) * 1994-09-26 2004-07-21 三菱电机株式会社 数字视频信号的记录和重放设备及其记录和重放的方法
US6009236A (en) 1994-09-26 1999-12-28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Digital video signal record and playback device and method for giving priority to a center of an I frame
JP3104570B2 (ja) * 1995-03-28 2000-10-30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ディジタル信号記録方法及び記録装置
KR100195096B1 (ko) * 1995-09-14 1999-06-15 윤종용 트릭 플레이를 위한 디지탈 비디오 테이프의 기록/재생 방법 및 그 장치
ATE218241T1 (de) * 1996-01-19 2002-06-15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Aufzeichnung von einem datenreduzierten digitalen videosignal in schrägen spuren auf einem aufzeichnungsträger
GB9721662D0 (en) * 1997-10-14 1997-12-10 Philips Electronics Nv Encoded video signal formatting
BR9907016B1 (pt) 1998-11-16 2012-02-07 processo e dispositivo de gravar informação em tempo real e reproduzir parámetros relacionados ao mesmo sobre um veìculo de gravação.
EP3571807B1 (en) 2017-01-27 2021-09-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providing end-to-end security over signaling plane in mission critical data communic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36391A (en) * 1988-11-02 1992-08-04 Sanyo Electric Co., Ltd. Digital video tape recorder capable of accurate image reproduction during high speed tape motion
JP2909239B2 (ja) * 1991-03-27 1999-06-23 株式会社東芝 高能率符号化記録再生装置
US5450209A (en) * 1991-09-30 1995-09-12 Kabushiki Kaisha Toshiba Band-compressed signal processing apparatus
EP0562845B1 (en) * 1992-03-24 1999-02-03 Kabushiki Kaisha Toshiba Variable length code recording/playback apparatus for a video recorder
JP3261844B2 (ja) * 1993-01-13 2002-03-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デジタルビデオ記録装置及び記録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425788T2 (de) 2001-01-04
DE69425788D1 (de) 2000-10-12
EP0632653B1 (en) 2000-09-06
CA2124391A1 (en) 1994-11-28
JP3107493B2 (ja) 2000-11-06
EP0632653A3 (en) 1995-06-21
EP0632653A2 (en) 1995-01-04
JPH0738847A (ja) 1995-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62295A (en) Variable length code recording/playback apparatus
EP0683611B1 (en) A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KR100355204B1 (ko) 사전기록된디지탈비디오를기록하기위한hdtv트릭재생스트림의생성방법
KR100297538B1 (ko) 디지탈고선명텔레비젼수상기
CA2432170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ing a stream of video data on a storage medium
KR100326992B1 (ko) 트릭플레이이미지제어기능을갖는디지털비디오카세트레코더
JPH0759047A (ja) トリックプレイ機能を備えたデジタル高精細度テレビ映像記録装置
KR100302027B1 (ko) 최소하나의테이프헤드를가진디지탈비디오레코더및이레코더를이용한화상데이타기록방법
KR0185932B1 (ko) 고속재생을 위한 비디오데이타 복호방법 및 그 장치
EP0600690B1 (en) Digital image recording
JPH08140042A (ja) 画像データの再生装置及び記録再生装置
US5852706A (e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intra-frame and inter-frame encoded video data arranged into recording frames
US5841941A (en) Encoded data stream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with tape speed, channel number, and cylinder speed control in accordance with bit rate
KR100213600B1 (ko) 신호기록장치,신호재생장치 및 신호기록재생장치
KR100718833B1 (ko) 비디오 데이타 처리 방법, 비디오 데이타 처리 장치 및비디오 데이타 기록 및 재생 장치
JP2930089B2 (ja) 圧縮映像情報記録方法及び圧縮映像情報記録装置
Boyce et al. Fast scan technology for digital video tape recorders
JP3304634B2 (ja) ディジタル信号再生装置
US5892883A (en) Recording of a data reduced digital video signal in slant tracks on a record carrier
JP3176020B2 (ja) マルチチャネル記録再生装置
JPH1023371A (ja) ディジタル画像信号記録装置
JP4069823B2 (ja) 特殊再生用データ作成装置
KR0155716B1 (ko) 디지탈 기록재생방법 및 장치
JP2000149441A (ja) データ処理装置、データ処理方法およびデータ再生装置
JPH08336106A (ja) ディジタル画像信号の記録再生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4052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9051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4052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1041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06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106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6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62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6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70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