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297280B1 - 생산시스템제어방법및생산시스템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생산시스템제어방법및생산시스템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7280B1
KR100297280B1 KR1019930018282A KR930018282A KR100297280B1 KR 100297280 B1 KR100297280 B1 KR 100297280B1 KR 1019930018282 A KR1019930018282 A KR 1019930018282A KR 930018282 A KR930018282 A KR 930018282A KR 100297280 B1 KR100297280 B1 KR 1002972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work
status information
production system
storage mean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8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9385A (ko
Inventor
야소시마도시오
이마이마사노리
Original Assignee
다구마시로오
가부시끼가이샤 닛페이도야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구마시로오, 가부시끼가이샤 닛페이도야마 filed Critical 다구마시로오
Priority to KR10199300182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7280B1/ko
Publication of KR950009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93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7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7280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Numerical Control (AREA)
  • Control By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산효율이 좋고, 시스템의 자유도도 높으며, 조작성도 양호한 생산 시스템 제어방법 및 생산 시스템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생산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각 유니트 제어수단마다 기억수단을 설치하고, 각 기억수단에 그 제어대상인 자기의 작업유니트의 동작에 대응하고 그 작업유니트 자체의 위치정보나 모드정보나 지시정보등의 유니트 스테이터스 정보 및 자기 이외의 다른 작업 유니트의 동작에 대응하고 다른 작업유니트 자체의 위치 정보나 모드정보나 지시정보등의 유니트 스테이터스 정보를 각각 자기의 기억수단에 항상 바꿔 쓰면서 기억시키고, 각 작업유니트의 상기 유니트 제어수단은 자기의 기억수단에 기억된 상기 자기 및 다른 작업유니트의 유니트 스테이터스 정보에 의거하고, 자기의 기억수단에 기억된 자기의 작업유니트를 단독으로 운전조작하기 위한 단독운전프로그램 및 여러개의 작업유니트를 제어하는 공통의 운전프로그램에 의하여 자기의 작업부를 운전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 시스템 제어방법 및 유니트 스테이터스 정보와, 단독운전프로그램과, 공통의 운전프로그램을 각각 기억한 기억수단을 설치하고, 정보 바꿔쓰기 수단과, 제어부를 설치하고, 상기 공통의 운전프로그램은 분할운전프로그램블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시스템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생산 시스템 제어방법 및 생산 시스템 제어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생산 시스템 제어장치의 유니트 제어수단의 각 기능을 설명한 블록선도,
제 2 도는 이 실시예의 생산 시스템 제어장치의 블록선도,
제 3 도는 이 실시예의 생산 시스템 트랜스퍼 머신의 개략 평면도,
제 4 도는 이 실시예의 생산 시스템 조작반의 표시패널의 정면도,
제 5 도는 이 실시예의 생산 시스템 조작반의 조작패널의 정면도,
제 6 도는 이 실시예의 생산 시스템 제어장치의 동작 설명도,
제 7 도는 이 실시예의 생산 시스템 제어장치의 제어내응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
제 8 도는 이 실시예의 생산 시스템 제어장치의 제어내용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
제 9 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생산 시스템 제어장치의 유니트 제어수단의 각 기능을 설명한 블록선도,
제 10 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생산 시스템 제어장치의 블록선도,
제 11 도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생산 시스템 제어장치의 유니트 제어수단의 각 기능을 설명한 블록선도,
제 12 도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의 생산 시스템 제어장치의 유니트 제어수단의 각 기능을 설명한 블록선도,
제 13 도는 본 발명의 생산 시스템 제어장치의 제 5 실시예의 조작반을 나타낸 정면도,
제 14 도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의 표시장치의 메뉴화면을 나타내는 정면도,
제 15 도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의 표시장치의 자동운전 조작화면을 나타내는 정면도,
제 16 도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의 표시장치의 분할조작화면을 나타내는 정면도,
제 17 도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의 표시장치의 단독운전화면을 나타내는 정면도,
제 18 도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의 표시장치의 단독조작화면을 나타내는 정면도,
제 19 도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의 표시장치의 조작 가이드 화면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트랜스퍼 머신 11 : 트랜스퍼 장치
12 : 가공 유니트 13 : 가공장치
14 : 소재 15 : 치구
16 : 로딩 유니트 18 : 언로딩 유니트
20 : 조작반 21 : 제어장치
23 : 작동상태 표시램프 24 : 표시패널
26, 81, 91, 111, 115, 121 : 기술부
29a : 비상복귀버튼 29b : 전체정지버튼(비상정지버튼)
30 : 운전 준비용 조작버튼 32 : 조작패널
34 : 공통지시버튼 36 : 개별지시버튼
38 : 표시램프(표시부) 40 : 유니트 콘트롤러
42 : 통신제어장치 44 : 공통 데이터 메모리
46 : CPU 49 : 전용 프로그램용 메모리
50 : I/O 제어부(입출력부) 52 : NC 콘트롤러
59 : 통신라인 60 : 단독운전 프로그램
62 : 분할운전 프로그램 64 : 자동운전 프로그램
68 : 유니트 전용 메모리 69 : 표시장치
70 : 메뉴화면 74, 83, 93, 113 : 표시부
80 : 자동운전 조작화면 84, 124 : 기능 표시부
90 : 분할조작화면 95 : 분할동작 표시부
100 : 유니트 단독운전화면
110 : 언로딩 유니트(18)의 단독조작화면
116 : 스위치 선택구 120 : 조작 가이드 화면
F1∼F8 : 기능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여러개의 가공 스테이션에, 각각 자동 가공 유니트등이 설치된 트랜스퍼 머신등의 생산 시스템의 제어방법 및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트랜스퍼 머신은, 예를 들면 일본국 실공평 2-32370 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가공 유니트마다의 소정의 가공 프로그램에 의거하는 지령을 행하는 개별적인 시퀀스 제어부와 전원부를 구비한 유니트 제어반과, 유니트 제어반의 조작을 행하는 부(副) 조작상자를 갖추고, 상기 여러개의 가공 유니트마다의 유니트 제거반에 대하여, 소정의 시퀀스를 지령하는 프로그래머블 시퀀스 콘트롤러를 갖춘 주(主) 제어반과, 이 주제어반에 대하여 각 유니트 제어반의 일괄조작을 하기 위한 주조작상자를 설치하며, 상기 유니트 제어반의 개별 시퀀스 제어부와 주제어반의 프로그래머블 시퀀스 콘트롤러를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게 접속하고, 상기 가공 유니트를 주조작상자에 의하여 일괄 조작함과 동시에, 부조작상자에 의하여 각 가공 유니트마다에 개별로 조작하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상기 종래 기술의 경우, 주제어반에 의하여 각 가공 유니트를 일괄 제어하고 있기 때문에, 각 가공 유니트로부터 나오는 가공 정보 데이터를 모두 일단 주제어반에 모으고, 주제어반에서 그 데이터에 의거하는 소정의 판단을 하여 각 가공 유니트의 유니트 제어반에 지령을 내고 있기 때문에, 신호전달 및 판단이나 지령에 필요한 시간이 걸리고, 트랜스퍼 머신의 사이클 타임의 단축이 방해되었다.
또 가공 유니트의 설비시에는, 시스템 전체를 설치하고 종료한 후가 아니면, 주조작반에 의한 전체에 걸리는 제어의 확인 및 조정이 불가능하며, 이 조정작업이 극히 까다로운 것이었다. 더구나, 후에 가공 스테이션이나 가공 유니트를 추가하는 경우에는, 주제어반 자체의 프로그램등도 변경하여야만 되고, 시스템의 자유도가 없다고 하는 문제도 있었다.
또, 주제어반에서 모든 각 가공 유니트 및 트랜스퍼 장치나 소재 유지고정구등을 일괄 조작하는 경우에는, 조작상자의 조작버튼을 통하여 조작하지 않으면 안되고, 작업자는 반드시 조작상자가 설치된 장소까지가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트랜스퍼 머신등이 크면 클수록 작업성이 나쁘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생산좋고, 시스템의 자유도도 높으며, 조작성도 양호한 생산 시스템 제어방 생산 시스템 제어장치를 제공할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구멍 뚫기나 조립등의 동작에 의한 소정의 작업을 하는 작업부가 각각 설치된 여러개의 작업 유니트와, 이 각 작업 유니트에 대응하여 그 작업부를 운전제어하는 여러개의 유니트 제어수단이 설치된 생산 시스템의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각 유니트 제어수단마다 기억수단을 설치하고, 각 기억수단에 그 제어대상인 자기의 작업 유니트의 동작에 대응하고 그 작업유니트 자체의 동작포인트를 나타내는 위치정보나 시스템의 운전모드정보나 유니트의 동작을 지시하는 지시정보등의 유니트 스테이터스 정보 및 자기 이외의 다른 작업 유니트의 동작에 대응하고 다른 작업유니트 자체의 정보인 상기 유니트 스테이터스 정보를 각각 자기의 기억수단에 항상 바꿔 쓰면서 기억시키고, 각 작업 유니트의 상기 유니트 제어수단은 자기의 기억수단에 기억된 상기 자기 및 다른 작업유니트의 유니트 스테이터스 정보에 의거하여 자기의 기억수단에 기억된 자기의 작업 유니트를 단독으로 운전조작하기 위한 단독운전프로그램 및 여러개의 작업유니트를 제어하는 공통의 운전프로그램에 의하여 자기의 작업부를 운전제어하는 생산 시스템 제어방법이다.
또, 상기 생산시스템은 트랜스퍼장치와 각종의 치구를 구비하고, 상기 공통의 운전프로그램은 적어도 상기 트랜스퍼장치의 운전과 전 치구의 일제 운전을 포함하는 소정의 분할된 운전동작을 독립적으로 수행시키기 위한 분할운전 프로그램을 구비한다. 또, 상기 공통의 운전프로그램은 더욱 운전준비프로그램 및 전 작업유니트의 일련의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자동운전프로그램을 구비한다. 상기 유니트 제어수단의 각 기억수단은, 모든 작업유니트의 유니트 스테이터스 정보를 기억하고 있고, 모든 유니트 제어수단은 항상 각 기억수단의 유니트 스테이터스 정보를 동일하게 한다. 또한, 각 작업유니트에서 상기 유니트 스테이터스 정보를 자기의 기억수단에 순차적으로 바꿔써서 기억시키고, 또 각 작업유니트에서 자기의 작업유니트에 대응하는 자기 유니트 스테이터스 정보 및 적어도 트랜스퍼장치의 유니트 스테이터스 정보를 각각 바꿔 써서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시킨다. 상기 여러개의 유니트 제어수단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전체 작업 유니트 중의 하나 또는 여러개의 작업유니트에 공용되고, 그 작업유니트의 각 작업부를 각각 개별로 제어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소정의 작업을 하는 작업부가 각각 설치된 여러개의 작업유니트와, 이 각 작업유니트에 대응하고 그 작업부를 제어하는 여러개의 유니트 제어수단이 설치된 생산시스템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유니트 제어수단 각각에 그 제어대상인 자기의 작업유니트를 포함하는 생산시스템 전체의 작업유니트의 그 작업유니트 자체의 위치정보나 모드정보나 지시정보등의 유니트 스테이터스 정보 및 자기의 작업유니트를 단독으로 운전조작하기 위한 단독운전프로그램과, 여러개의 작업유니트를 제어하는 공통의 운전 프로그램을 닥각 기억한 기억수단을 설치하고, 또한, 상기 각 작업유니트에 구비된 트랜스퍼장치와 각종의 치구가 설치된 생산시스템 제어장치이다. 그리고, 자기의 작업유니트에 대응하는 유니트 스테이터스 정보 및 자기 이외의 다른 작업유니트의 상기 유니트 스테이터스 정보를 각각 자기의 기억수단에 항상 바꿔쓰면서 기억시키는 정보 바꿔쓰기 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자기의 기억수단에 기억된 유니트 스테이터스 정보 및 상기 각 운전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적어도 자기의 작업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설치한 생산시스템 제어장치이다. 또, 상기 각 유니트 제어수단의 각 기억수단에 기억된 공통의 운전프로그램은 적어도 상기 트샌스퍼장치의 운전 예를 들면 소 스트로크반송등 및 전 치구의 일제 클램프·언클램프 동작등의 일제 운전을 포함하는 소정의 분할된 운전동작을 독립적으로 행하기 위한 분할운전프로그램을 가진다. 또, 공통의 운전프로그램은, 또한 운전준비프로그램 및 트랜스퍼장치, 전 작업유니트, 로딩, 언로딩등의 생산시스템 전체의 일련의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자동운전프로그램을 가지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정보 바꿔쓰기 수단이 모든 유니트 제어수단의 각 기억수단의 유니트 스테이터스 정보가 같게 하는 것이고, 또, 각 작업유니트에서 자기의 작업유니트에 대응하는 자기의 유니트 스테이터스 정보 또는 자기 이외의 특정 작업유니트에 대응하는 특정 유니트 스테이터스 정보를 자기의 유니트 제어수단의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시키는 생산 시스템 제어장치이다.
본 발명의 생산 시스템 제어장치는, 각 작업 유니트마다의 기억수단에, 시스템으로서 공통의 유니트 스테이터스 정보 및 각종 운전프로그램이 기억되고, 각 유니트 제어수단에서, 각자의 기억수단의 유니트 스테이터스 정보를 보면서 각자의 판단으로, 생산 시스템의 자동운전 또는 트랜스퍼장치의 운전이나 전치구의 일제 운전등의 분할운전 또는 각 작업 유니트마다의 단독운전에 즈음하여 각자의 작업부를 제어하도록 한 것이다.
또, 각 유니트 제어수단의 기억수단에 기억된 유니트 스테이터스정보가 다른 것과 같게 바꿔쓰기 위한 임의의 작업 유니트로부터 다른 작업 유니트에 대하여 소정의 제어를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 1 도 ∼ 제 8 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본 실시예의 생산 시스템 제어장치는, 트랜스퍼 머신에 대한 것으로, 제 3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른쪽에서 왼쪽으로의 소재 반송방향에 대하여 일련의 공정에 있어서의 소정의 기능을 각각 가진 작업 유니트인 여러개의 가공 유니트(12)가 병설되어 있다. 가공 유니트(12)에는, 각각의 스테이션에 대응하여 작업부인 1대 또는 2대의 가공장치(13)와 소재(14)를 유지고정하는 치구(15)가 설치되어 있다. 트랜스퍼 머신(10)의 앞 머리부에는, 소재(14)를 트랜스퍼 머신(10)에 실은 로딩 유니트(16)가 설치되고, 종단부에는 가공된 소재(14)를 트랜스퍼 머신(10)으로부터 이송하는 언로딩 유니트(18)가 설치되어 있다. 로딩 유니트(16)와 언로딩 유니트(18) 사이에는, 소재(14)를 한 공정씩 다음 스테이션으로 이동시키는 반송수단을 구성하는 도시하지 않은 트랜스퍼 머신이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는 작업부로서의 트랜스퍼 장치(11)를 포함하는 트랜스퍼 유니트도 하나의 작업 유니트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작업 유니트인 트랜스퍼 유니트, 각 가공 유니트(12), 로딩 유니트(16), 언로딩 유니트(18)에는, 기동정지나 기타 조작을 하는 조작반(20)과 각 제어회로가 설치된 제어장치(21)가 각각에 설치되어 있다.
조작반(20)에서는, 제 4 도에 나타내는 작동상태 표시램프(22)가 설치된 표시패널(24)이 설치되어 있다. 표시패널(24)에는, 각 작동상태 표시램프(22)와 표시내용을 기술한 기술부(記述部)(26)와, 트랜스퍼 머신(10)의 각 유니트 번호 표시부(38)가 설치되어 있다. 이 작동상태 표시램프(22) 및 기술부(26)는 제 4 도에 나타낸 상태에서, 트랜스퍼 머신(10)의 각 가공 유니트(12) 및 로딩 유니트(16), 언로딩 유니트(18)의 모든 작동상태가 표시가능한 것이며, 이것을 각 유니트의 조작반(20)에 각각 부여하여도 좋고, 각 유니트에 맞추어서 불필요한 표시를 삭제하여 필요한 것만을 부착하여도 좋다.
또, 조작반(20)에는, 트랜스퍼 동작이나 가공동작등의 각종 지시, 조작을 행하는 조작버튼(30)이 부착된 조작패널(32)이 설치되어 있다. 이 조작패널(32)에는, 운전준비지시, 자동운전지시, 분할운전지시용의 버튼을 포함하고, 트랜스퍼 머신(10)에 공통의 지시를 부여하는 공통지시버튼(34)과, 단독운전지시용 버튼을 포함하는 각 유니트마다에 개별의 조작을 하기 위한 개별지시버튼(36)이 설치되도, 개별지시버튼(36)에 대응하여 표시램프(38)가 설치되어 있다. 이 조작패널(32)은, 패널본체 및 공통지시버튼(34)은 각 유니트에 공통이고, 개별지시버튼(36) 및 표시램프(38)를 각 유니트마다 교체하여 부착하여 조립하는 것이다. 단, 공통지시버튼(34)은 각 유니트에 맞추어서 불필요한 표시를 삭제하여 필요한 것만을 부착하여도 좋다.
각 제어장치(21) 내에는, 제 2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가공 유니트(12)등의 각종 제어를 하는 유니트 제어수단인 프로그래머블 콘트롤러로 이루어지는 유니트 콘트롤러(40)와, 정보 바꿔쓰기수단이며, 각 작업 유니트의 유니트 스테이터스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통신제어장치(42)가 설치되어 있다.
유니트 콘트롤러(40)에는, RAM등의 바꿔쓰끼가 가능한 기억수단으로서의 공통 데이터 메모리(44)와, 제어부로서, 예를 들면 CPU(46)와, 각 작업 유니트 마다의 작언부의 구동제어를 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RAM등의 전용 프로그램용 메모리(46) 및 외부기기와의 접속부인 I/O 제어부(50)가 설치되어 있다.
유니트 콘트롤러(40)는, I/O 제어부(50)를 통하여 당해 작업 유니트가 가공 유니트(12)의 경우에는 작업부인 NC 콘트롤러(52)등에 접속되고, 이송모터(54)등을 제어함과 동시에, 표시패널(24)에 접속되며, 이 트랜스퍼 머신(10)의 작동상태등을 표시시킨다.
또, 유니트 콘트롤러(40)는, I/O 제어부(50)를 통하여 조작패널(332에도, 접속되며, 조작패널(32)의 조작버튼(30)의 지시를 받고, 소정의 동작을 지정된 NC 콘트롤러(52)나 치구(15) 또는 트랜스퍼 장치(11)등의 작업부에 지시하며, 조작패널(32)의 표시부(3R)의 표시도 제어하고 있다.
또, 공통 데이터 메모리(44)에는, 당해 유니트 콘트롤러(40)가 제어하는 작업부의 유니트 스테이터스 정보가 써넣어짐과 동시에 다른 작업 유니트의 유니트 스테이터스 정보도 써넣는다.
여기서, 유니트 스테이터스정보로는, 예를 들면 유니트의 이동단, 클램프치구의 동작단 등의 동작포인트를 나타내는 위치정보나, 시스템의 운전모드가 자동운전모드, 또는 소정의 분할된 운전동작을 독립적으로 수행하는 분할운전모드, 또는 특정의 유니트를 단독으로 동작시키는 단독운전모드의 어떤 것에 선택되어 있는지 등의 모드정보나, 또 예를 들면 운전준비지시, 자동운전지지, 분할운전지시, 단독운전지시, 전 치구의 언로딩지시/클램프지시등의 지시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유니트 스테이터스정보로는 예를 들면 윤활이상, 공구손상등의 이상정보도 포함한다.
통신제어장치(42)에는, 각 작업 유니트간의 유니트 스테이터스 정보의 주고받음을 하는 통신제어부(56)와, 통신제어부(56)와 공통 데이터 메모리(44) 사이의 유니트 스테이터스 정보의 주고받음을 제어하는 CPU(58)가 설치되어 있다. 통신제어장치(42)는, 소정의 통신규격에 의하여, 각 작업 유니트의 통신제어부(56)로부터 통신라인(59)에 흐르는 각 작업 유니트의 유니흐 스테이터스 정보를 반아 들여서 현재 공통 데이터 메모리(44)에 기억하고 있는 유니트 스테이터스 정보를 바꿔 쓰고, 자기의 현재의 유니트 스테이터스 정보를 통신라인(59)에 싣는 것이다.
각 작업 유니트의 유니트 콘트롤러(40)내의 프로그램용 메모리(40)에는, 제 1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로 신구의 공구교환시나 이상으로 유니트 동작이 정지한 후에 유니트를 복귀시킬 때에 자기의 작업유니트를 단독으로 운전조작하기 위해 단독운전 프로그램(60) 및 가공도중에 시스템전체의 동작을 일단 정지시키어 소재의 품질 체크를 행할 때나 전체의 이상복귀 때에 있어서 예를 들면 트랜스퍼장치의 운전이나 전 치구의 일제 운전등의 소정의 분할된 운전동작을 독립적으로 행하기 위한 분할운전 프로그램(62)과, 전 작업 유니트의 일련의 동작 소위 사이클 운전을 자동으로 실행시키기 위한 자동운전 프로그램(64)이 설치되어 있다. 자동운전 프로그램(64)은, 트랜스퍼 머신(10) 전체로서, 일련의 가공동작을 연속적으로 하기 뛰하여 다른 작업 유니트와 연동하여 자기의 작업부를 제어하는 것이다.
또, 각 작업 유니트를 작동가능하게 하는 운전준비 프로그램(66)과, 공통 데이터 메모리(44)의 내용으로부터 각 작업 유니트마다의 독자적으로 필요한 스테이터스 정보만을 꺼내어 기억시키기 위하여 할당된 유니트 전용 메모리(68)가 각 작업 유니트마다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운전준비프로그램(66), 자동운전프로그램(64) 및 분할운전프로그램(62)은 각 유니트 콘트롤러(40)에 모두 공통하여 설치되어 있다.
각 공통 데이터 메모리(44)에는, 자기를 포함하는 당해 시스템 전체의 작업 유니트의 유니트 스테이터스 정보가 각각 기억되어 있다. 이들 유니트 스테이터스 정보는, 통신제어부(56)에 의하여 제어되어 상기 각 작업 유니트로부터 예를 들면 새로운 유니트 스테이터스 정보가 나을 때마다 바꿔 써진다.
따라서, 각 작업 유니트의 유니트 콘트롤러(40)에 설치된 공통 데이터 메모리(44)에는, 항상 통신라인(59)을 거쳐, 자기를 포함하는 트랜스퍼 머신의 전 직업 유니트의 유니트 스테이터스 정보가 모두 같게 기록되어 있다.
이 실시체의 트랜스퍼 머신(1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예의 트랜스퍼 머신(10)은, 제 6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지의 트랜스퍼 머신과 같이, 트랜스퍼 머신(10)을 따라서, 트랜스퍼 장치(11)가 작동하고, 도시하지 않은 트랜스퍼 바가 상승, 전진, 하강하여 소재(14)를 다음의 스테이션으로 이동시킨다.
또, 소재(14)가 트랜스퍼 장치(11)의 트랜스퍼 바에 의하여 한 피치 옆으로 이동하고, 트랜스퍼 바가 하강한 때에, 로딩 유니트(16)가 소재(14)를 트랜스퍼 바의 기초단에 새롭게 이동하여 넣기 위하여, 소재(14)에 걸어맞춤하는 돌기를 정회전시키고, 다음의 스텝으로 풋셔에 의하여 새로운 소재(14)를 트랜스퍼 바상으로 이송하여 넣는다. 이후 풋셔가 후퇴하여 돌기가 반회전하면 다음의 소재(14)의 삽입공정으로 된다.
또, 트랜스퍼 바가 하강한 타이밍에서, 제 6 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각 가공 유니트(12)에서는, 새롭게 이송하여 들어간 소재(14)에 소정의 가공을 실시하기 위하여, 당해 치구(15)가 소재(14)를 클램프하고, 각 가공 유니트(12)의 주축모터가 회전함과 동시에, 가공장치(13)가 전진하고, 소정의 가공을 행하여 가공장치(13)가 후퇴하고 주축모터가 정지한 후, 치구(15)의 클램프가 해제된다. 또, 트랜스퍼 바가 하강한 타이빙에서, 언로딩 유니트(18)에서는, 일련의 가공이 실시된 소재(14)가 트랜스퍼 머신(10)으로부터 풋셔등의 작업부에 의하여 송출된다. 트랜스퍼 머신(10)에서의 각 공정마다의 각 작업 유니트의 이동상태는, 표시패널(24)의 작동상태 표시램프(22)에 의하여 표시된다.
이 실시예의 트랜스퍼 머신(10)의 제어내용에 대하여, 제 1 도, 제 7 도, 제 8 도의 플로우 차트를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 이하 설명중의 판단항목 및 설정내용등은 모두, 유니트 스테이터스 정보로서 통신제어장치(42) 및 통신라인(59)을 통하여 각 작업 유니트의 공통 데이터 메모리(44)에 각각 모두 같게 써넣어지고 또는 바꿔 써진 내용에 의거하는 것이다. 또, 이하 설명중의 각 작업 유니트에 있어서의 선택 또는 지시는, 각 조작반(20)에 의한 조작에 기초하는 것이다.
각 작업 유니트에 설치된 조작반(20)중, 어느 하나의 조작반(20)의 공통 지시버튼(34)의 운전 준비용 조작버튼(30)을 누르면, 당해 작업 유니트에서 우선 운전준비 프로그램(65)이 스타트한다. 운전준비 프로그램(65)에서는, 제 7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기의 작업 유니트에 운전준비지시가 있는가 없는가를 판단하고, 운전준비지시가 있는 경우에는, 그 작업 유니트의 공통 데이터 메모리(44)의 운전준비지시의 비트 데이퍼를 0N으로 하고 통신라인(59)을 거쳐 다른 모든 작업 유니트의 공통 데이터 메모리(44)도, 동일 어드레스에 있어서 운전준비지시의 비트 데이터가 ON으로 바꿔 써진다. 이것에 의하여 각 작업 유니트가 개개로 운전준비를 시작한다. 그리고, 각 작업 유니트에서 비상정지의 지시가 없는 경우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자동운전, 분할운전 또는 단독운전이 가능하게 된다. 또, 어느 하나의 작업 유니트에서 비상정지지시가 나온 경우에는, 모든 작업 유니트가 비상정지한다.
자동운전 프로그램(64)에서는, 제 7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기의 작업유니트가 운전준비완료로서, 각 작업 유니트에서, 자기의 작업 유니트 및 다른 작업 유니트가, 모두 자동운전모드를 선택하고 있는가 아닌가를, 공통 데이터 메모리(44)의 유니트 스테이터스 정보를 보고 판단한다.
공통 데이터 메모리(44)에 의하여, 모든 작업 유니트가 자동운전을 선택하고 있는 경우는, 자기의 작업 유니트에 자동운전지시가 있는가 없는가를 판단하고, 지시가 있는 경우는, 자기의 공통 데이터 메모리(44)의 자동운전지시 비트를 ON으로 한다. 그리고 다른 공통 데이터 베모리의 동일 어드레스도 ON으로 바꿔 쓴다.
또, 자기의 작업 유니트에 자동운전지시가 없는 경우, 자기의 공통 데이터 메모리(44)의 자동운전지시 비트를 OFF로 하고, 다른 작업 유니트에 자동운전지시가 있는가 없는가를, 자기의 공통 데이터 메모리(44)의 유니트 스테이터스 정보를 보고 판단한다.
그리고 자기 또는 다른 어느 하나의 작업 유니트의 조작반(20)에서 자동운전지시가 나오고 있으면, 자기 및 다른 작업유니트가 자동운전가능한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가능한 경우에는, 자기의 작업유니트에서 자동운전을 개시한다. 이와 동시에, 자기의 공통 데이러 메모리(44)에 자동운전인 비트 데이터 ON이 기록된다. 다른 작업 유니트에서도 동일한 것이 수행되므로, 다른 작업유니트도 일제의 자동운전을 개시하고, 공통 데이터 메모리(44)에 자동운전인 비트데이터 ON이 기록되어 같은 내용이 된다. 이와 같이, 다른 전 유니트 콘트롤러에서도 같은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결과로서 전 작업유니트가 자동운전을 개시한다. 또, 어느 작업 유니트에서도 자동운전지시가 나와 있기 않은 경우 및 자동운전이 가능하지 않은 경우에는, 각 작업 유니트는, 자동운전이 수행되지 않는 자동운전의 정지동작을 한다.
분할운전 프로그램(62)에서는, 제 8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기의 작업 유니트가 운전준비완료이며 동시에 조작반(20)이 자동운전모드나 분할운전모드를 겸용하는 단독운전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있는 것인가를 판단한다.
단독은전모드를 선택하고 있는 경우에는, 다른 모든 작업 유니트가 자동운전모드를 선택하고 있는가 아닌가를 판단하고, 다른 모든 작업 유니트가 자동운전모드를 선택하고 있는 경우에는, 소정의 분할운전동작, 예를 들면 트랜스퍼장치(11)에 소재(14) 클램프의 지시가 있는지 없는지를 판단한다.
지시의 유무에 따라, 공통 데이터 메모리(44)의 비트를 ON, OFF중 어느 하나로 바꾸고, 지시가 있는 경우는, 자기의 작업 유니트가 분할운전의 소정의 동작이 가능한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분할운전에 의한 소정의 동작이 가능한 경우는, 공통 데이터 메모리(44)에 자기의 작업 유니트가 분할운전인 비트 데이터가 써지고, 통신라인(59)을 통하여 모든 생산라인의 공통 데이터 메모리(44)의 동일 어드레스에서, 그 작업유니트가 분할운전 비트 ON인 것이 써진다. 그리고, 다른 전체 유니트 콘트롤러에 있어서도 분할운전프로그램이 실행되고, 분할운전비트 ON이 된 작업유니트가 소재 클램프등의 소정의 분할운전동작을 한다. 또, 분할운전이 가능하지 않은 경우는, 분할운전동작을 정지시킨다.
또, 자기 작업 유니트가 자동운전을 선택하고 있는 경우에는 다른 어느 것의 작업유니트에 의해, 분할운전의 지시가 있는가 없는가를 판단하고, 분할운전지시가 있는 경우에는, 분할운전작동이 가능한가 아닌가를 판단하여, 그 작업 유니트가 소정의 분할운전을 개시하고, 각각 자기 작업 유니트로 분할운전동작을 한다.
단독운전 프로그램에서는, 제 8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기의 작업 유니트가 단독운전모드를 선택하고 있는가 아닌가를 판단하고, 단폭운전모드를 선택하고 있는 경우에는, 다시 자기의 작업 유니트에 단독운전모드의 지시가 있는가 없는가를 판단한다. 그리고, 단독운전지시가 있는 경우에는, 자기의 작업 유니트에서 단독운전동작을 한다.
여기에서, 각 작업 유니트의 유니트 콘트롤러(40)는, 모두 같은 구성 및 제어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임의의 작업 유니트에, 다른 특정의 작업 유니트에 대하여 소정의 동작을 행하는 유니트 스테이터스 정보를 내기 위한, 다른 유니트 동작지시수단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특정의 작업 유니트로서, 트랜스퍼 머신(10)의 트랜스퍼 바의 진퇴동작이나, 유압 시스템의 유압제어 또는 언로딩 유니트(18)에 의한 소재의 언로딩 동작을 행한다거나 하기 위한 유니트 스테이터스 정보를 공통 데이터 메모리(44)에 기억 가능하게 하고, 다른 특정의 작업 유니트에 대하여 소정의 동작을 행하도록, 심의의 작업 유니트로부터 유니트 스테이터스 정보를 바꿔 써넣을 수가 있다.
이 유니트 스테이터스 정보에 대하여, 각 작업 유니트가 자기의 동작을 지시하는 유니트 스테이터스 정보인가 아닌가를 판단하고, 당해 특정 유니트 제어수단인 유니트 콘트롤러(40)가 그 유니트 스테이터스 정보에 기초하는 소정의 동작을 이 작업 유니트의 작동부에 행하게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임의의 작업 유니트의 조작반(20)으로부터 특정의 작업 유니트에 소정의 동작을 행하게 할 수 있으며, 작업성이 향상하는 것이며, 시스템의 확장성도 향상시킬 수도 있다.
공통 데이터 메모리내의 스테이터스 데이터는 각 작업유니트에 대한 각종 운전지시의 비트 데이터를 포함하고, 운전준비, 자동운전, 분할운전 프로그램에서는, 자기의 작업유니트에 운전지시가 있으면 자기의 작업유니트의 운전지시 비트 데이터를 ON으로 하고, 없는 경우에는, 다른 작업유니트의 운전지시 비트 데이터에 기초하여 프로그램이 실행된다. 이것에 의해, 자기의 작업유니트로부터 다른 작업유지트에 및 다른 작업유니트로부터 자기의 작업유니트에 각종 운전지시가 가능하게 되고, 개개의 작업유니트에서 자기 또는 다른 작업유니트에 운전지시의 유무에 의거하여 각자가 운전준비, 자동운전, 분할운전 또는 단독운전의 동작을 개시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트랜스퍼 머신(10)에 의하면, 각 작업 유니트가, 각각 상기 제어를 하기 위한 유니트 콘트롤러(40) 및 통신제어장치(42)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각자의 작업 유니트가 각자 가지는 공통 데이터 메모리(44)내의 자타의 작업 유니트의 유니트 스테이터스 정보를 확인하면서, 각자 가지는 운전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있기 때문에, 처리속도가 현저히 상승하고, 트랜스퍼 머신(10)의 사이클 타임을 크게 단축할 수 있고, 가공시간의 대폭적인 단축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종래의 주제어반에 의한 일괄제어의 경우, 각 유니트마다의 유니트 스테이터스 정보가 일단 주제어반내의 메모리에 모이고, 이것을 기초로 주제어반내의 제어장치로 판단한 후, 각 유니트 제어반에 유니트의 동작지시가 전달되어 왔었다. 따라서, 개개의 유니트의 유니트 스테이터스 정보를 전부 모아서 판단하여, 판단결과를 모든 유니트에 전달하기 위한 통신의 왕복시간 및 판단시간이 걸렸었다.
이것에 대하여, 이 실시예의 경우, 각 작업 유니트에 다른 작업 유니트의 유니트 스테이터스 정보가 전달되는 것만으로 되기 때문에, 통신 및 판단에 걸리는 시간은, 단순히 전체 작업 유니트에 유니트 스테이터스 정보를 행하게 하는 시간만이라면 되는 것이며, 상기 종래 기술의 경우의 절반 이하의 시간으로 되기 때문이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대하여 제 9 도, 제 10 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 상술한 실시예와 같은 부재는 동일부호를 붙여서 설명은 생략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서로 인접하는 2개소의 작업 유니트를 한 개의 유니트 콘트롤러(40)에 의하여 제어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통신제어장치(42), 유니트 콘트롤러(40)내의 CPU(46) 및 공통 데이터 메모리(44)를 공용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유니트 콘트롤러(40)의 프로그램용 메모리(48)는, 각 작업 유니트에 대응한 3종류의 단독운전 프로그램(60), 각 작업유니트의 공통의 분할운전 프로그램(62), 자동운전 프로그램(64) 및, 운전준비 프로그램(66) 단지 2개씩 각각 설치되고, 한 개의 입출력부(50)를 통하여 각 작업 유니트마다의 제어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즉, CPU(46)의 처리능력의 범위내에서, 여러개의 작업 유니트를 개별로 제어하고 있는 것이며, 공통 데이터 메모리(44)를 기초로 한 각 작업 유니트의 개별분산제어라고 하는 점에서 상기 제 1 실시예와 같은 것이다.
이에 따라, 유니트 콘트롤러(40)의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하게 되며, 가격 및 공간효율도 향상하는 것이다. 또, 통신제어장치(42)의 수도 줄일 수 있고, 상기와 같은 효과에 대하여 데이터의 통신처리도 효율화할 수가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대하여 제 11 도를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 상술한 실시예와 같은 부재는 동일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예는, 상기 제 2 실시예와 같이, 서로 인접하는 2개소의 작업 유니트를 한 개의 유니트 콘트롤러(40)에 의해 제어되고 있는 것이며, 통신제어장치(42), 유니트 콘트롤러(40)내의 CPU(46) 및 공통 데이터 메모리(44)를 공용하고 있음과 동시에, 유니트 콘트롤러(40)의 프로그램응 메모리(48)내의 각 작업 유니트에 대응한, 2종류의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단독운전 프로그램(60)을 갖는 동시에, 각 작업유니트에 공통의 분할운전 프로그램(62), 자동운전 프로그램(64) 및 운전준비 프로그램(66)을 공용하고 있다.
또, 유니트 전용 메모리(68)는, 그 작업 유니트 전용의 메모리로서 각각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한 개의 입출력부(50)를 통하여 각 작업 유니트마다의 제어를 가능하게 하고 있는 것이다. 이 실시예의 경우도, CPU(46)의 처리능력의 범위내에서, 여러개의 작업 유니트를 개별로 제어하고 있는 것이며, 공통 데이터 메모리(44)를 기초로 한 각 작업 유니트의 개별분산제어라고 하는 점에서 상기 제 1 실시예와 같은 것이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 2 실시예와 같은 효과에 더하여, 프로그램용 전용 메모리(48)의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트랜스퍼 머신에서 같은 가공 프로그램으로 차례대로 인접하는 가공 스테이션에 소재를 이동시켜서 가공을 하는 작업 유니트에는, 각 운전 프로그램을 공용화한다고 하는 점에서 유효한 것이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대하여 제 12 도를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 상술한 실시예와 같은 부재는 동일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예는, 상기 제 3 실시예와 같이, 2개소의 작업 유니트를 한 개의 유니트 콘트롤러(40)에 의하여 제어하고 있는 것이며, 통신제어장치(42), 유니트 콘트롤러(40)내의 CPU(46) 및 공통 데이터 메모리(44)를 공용하고 있다. 단, 이 실시예에서는, 서로 마주보고 있는 작업 유니트에 있어서, 치구(15)를 공용하고, NC 콘트롤러(52)가 대향하여 설치되고, 이들을 제어하는 유니트 콘트롤러(40)의 프로그램용 메모리(48)는 각 작업유니트에 대응하는 2종류의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단독운전 프로그램(60)을 갖든 동시에 각 작업유니트에 공통의 분할운전 프로그램(62), 자동운전 프로그램(64) 및 운전준비프로그램(66)이 각 NC 콘트롤러(52)등에 공용되어 있는 것이다. 또, 유니트 전용 메모리(68)는, 그 각 NC 콘트롤러(52)의 가공 유니트 전용 메모리로서 각각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한 개의 입출력부(50)를 통하여 각 NC 콘트롤러(52)마다 제어를 하고 있는 것이다. 이 실시예의 경우도, CPU(46)의 처리능력의 범위내에서, 대향한 NC 콘트롤러(52)를 가진 가공 유니트를 개별로 제어하고 있는 것이며, 공통 데이터 메모리(44)를 기초로 한 각 작업 유니트의 개별분산제어라고 하는 점에서 상기 제 1 실시예와 같은 것이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대하여 제 13 도를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 상술한 실시예와 같은 부재는 동일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예는, 상기 제 1 실시예와 같이, 트랜스퍼 머신에 관한 것이며, 그 유니트 조작반(20)이, 제 13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CRT나 액정패널등의 표시장치(69)와, 표시장치(69)의 화면을 제어하는 도시하지 않은 화면제어장치로 이루어진 것이다. 표시장치(69)에는, 화면 하부에 형성된 터치스위치로 구성된 기능키(F1)∼(F8)와, 누름버튼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비상복귀버튼(29a)과 전체 정지버튼(29b)이 설치되어 있다. 기능키(F1)∼(F8)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표시장치(69)의 화면내에 표시되는 내용의 조작을 하는 것이다. 비상복귀버튼(29a)은, 자동운전중에 각 작업 유니트를 퇴피위치로 되돌리는 것이며, 비상정지버튼(29b)은, 운전을 정지하고, 유압등의 전체의 기능을 정지시키는 것이다.
표시장치(69)의 표시내용은, 도시하지 않은 화면제어장치에 의하여 제어되며, 제 14 도에 나타내는 메뉴화면(70)에 의하여 소망하는 화면이 선택되는 것이다.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은, 제 15 도에 나타내는 트랜스퍼 머신(10)의 자동운전용의 자동운전 토작화면(80), 제 16 도에 나타내는 트랜스퍼 머신(10)의 각 작업종별로 분할한 분할운전용의 분할조작화면(90), 제 17 도에 나타내는 트랜스퍼 머신(10)의 각 가공 유니트(12)마다 단독으로 작동시키는 유니트 단독 운전화면(100), 제 18 도에 나타내는 언로딩 유니트(18)의 단독조작화면(110) 및 제 19 도에 나타내는 조작 가이드 화면(120)등이 각각 교체 표시된다.
표시화면의 교체는, 모드의 선택을 의미하고, 제 14 도에 나타내는 메뉴화면(70)중의 기능표시부(74)의 표시내용에 대응한 기능키, 예를 들면 F1∼F8를 눌러서 각 화면을 선택하는 것이다.
이어서, 메뉴화면(70)의 각 항목의 표시내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트랜스퍼 머신(10)의 자동운전중의 자동운전 조작화면(80)에는, 제 15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동운전중 및 그 전후의 트랜스퍼 머신(10)의 여러 가지 상태를 기술한 기술부(81)와, 트랜스퍼 머신(10)이 그 기술부(81)의 어떤 기술내용상태에 있는 경우에 그것을 표시하는 표시부(83)가 설치되어 있다.
또, 화면의 아래에는, 기능키(F1)∼(F8)에 1 : 1에 대응하여 자동운전시에 소정의 기능을 하기 위한 조작내용을 기술한 기능표시부(84)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기능키 F1을 누르면 경보부저가 울리고, 기능키 F2를 누르면 운전준비가 지시되고 이 트랜스퍼 머신(10)의 운전준비동작에 들어가며, 유압펌프나 윤활펌프등이 작동을 개시한다. 기능키 F3을 누르면 자동운전이 지시되고 일련의 가공을 연속적으로 행하는 자동운전이 개시되며, 기능키 F4를 누르면, 이 자동운전이 정지된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기능키 F3, F4가 자동운전 조작수단으로 된다. 기능키 F6을 누르면 이상 발생에 의하여 정지한 트랜스퍼 머신(10)이 초기상태로 세트된다. 또, 기능키 F7을 누르면 그 때의 상태의 상세한 내용이 표시장치(69)의 화면에 표시되고, 기능키 F8을 누르면 메뉴화면으로 복귀한다.
분할운전은, 트랜스퍼 머신(10)의 일련의 동작중의 예를 들면 트랜스퍼 장치의 반송운전이나 전 치구의 일제 클램프언클램프운전등을 개별로 행하는 것으로, 분할운전중의 분할조작화면(90)에는, 제 16 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와 마찬가지로 분할운전중 및 그 전후의 트랜스퍼 머신(10)의 여러 가지 상태를 기술한 기술부(91)와, 표시부(93)가 설치되어 있다.
또, 화면의 아래에는 기능키(F1)∼(F8)에 1 : 1로 대응하여 분할운전용의 소정의 기능을 행하기 위한 조작내용을 기술한 기능표시부(94)가 설치되어 있다.
또, 분할운전시의 소정의 분할동작을 하는 분할동작 표시부(95)가, 화면 중앙부에 형성되며, 커서가 위치한 개소의 분할동작을 유니트 콘트롤러(40)로부터의 제어에 의하여 행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기능키 F1을 누르면 경보부저가 울리고, 기능키 F2, 기능키 F3을 누르면 분할동작 표시부(95)의 커서가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한다. 커서는, 오른쪽으로 이동하여 오른쪽 위로부터 왼쪽 아래로 이동하고, 왼쪽으로 이동하여 왼쪽 아래에서 오른쪽 위로 이동한다. 또, 기능키 F4를 누르면 분할동작 표시부(95)의 커서가 위치하고 있는 분할동작을, 그 복귀방향으로 행하고, 그 분할동작의 원위치에 각 작업부를 위치시키다. 또, 기능키 F5를 누르면 이것과는 반대로, 분할운전이 지시되어 커서가 표시하고 있는 분할동작을 스타트한다. 기능키 F6, F7, F8의 기능은 자동운전 조작화면(80)과 같다.
유니트 단독운전은, 트랜스퍼 머신(10)의 각 가공 유니트(12)가 단독으로 소정의 동작을 행하는 것으로, 유니트 단독운전화면(100)에는, 제 17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와 마찬가지로 유니트 단독운전중 및 그 전후의 트랜스퍼 머신(10)의 여러 가지의 상태를 기술한 기술부(101)와, 표시부(10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화면의 아래에는, 기능키(F1)∼(F8)에 1 : 1로 대응하여 유니트 단독 운전용의 소정의 기능을 하기 위반 조작내응을 기술한 기능 표시부(104)가 설치되어 있다. 유니트 단독운전의 동작도 유니트 콘트롤러(40)로부터의 제어에 의하여 행한다.
여기에서는, 기능키 F2를 누르면, 유니트 단독운전동작의 다음 공정으로 이행하고, 기능키 F3을 누르면, 단독운전이 지시되어 단독운전을 개시하고, 기능키 F4를 누르면, 단독운전을 정지하고, 키능키 F5를 누르면, 그 가공 유니트(12)의 가공장치(13)가 원위치로 복귀한다. 기능키 F1, F6, F7, F8의 기능은 자동운전 조작화면(80)과 같다.
또, 유니트 단독 조작화면은, 제 18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언로딩 유니트(18)의 단독조작화면(110)으로도 바뀔 수가 있다.
이 단독조작화면(110)에도 상기와 같이, 단독조작시의 조작내용을 기술한 기술부(111)와, 표시부(113)가 설비되어 있다. 또, 조작내용을 선택하는 터치 스위치의 선택구(116)가 화면 중앙부에 설치되며, 그 횡으로 선택구(116)의 숫자에 대응한 조작내용의 기술부(115)가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기능키(F1)∼(F8)에 1 : 1로 대응하여 언로딩 유니트(18)의 단독조작을 하는 기능 표시부(114)가 설치되어 있다.
기능키 F2를 누르면, 전 화면으로 바뀌고, F3을 누르면 다음 화면으로 바뀐다. 또, 기능키 F4를 누르면 원위치로 되돌아가며, 기능키 F5를 누르면 동작을 개시한다. 기능키 F1, F6, F8의 기능은 자동운전 조작화면(80)과 같다.
또, 조작 가이드 화면(120)은, 제 19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술부(121)가 설치되며, 기능키(F1)∼(F8)에 1 : 1로 대응하여 기능 표시부(124)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기능키 F2를 누르면, 전 화면으로 바뀌고, 기능키 F3을 누르면 다음 화면으로 바뀐다. 기능키 F1, F6, F8의 기능은 자동운전 조작화면(80)과 같다.
이 실시예의 트랜스퍼 머신(10)의 조작은, 우선, 각 가공 유니트(12)마다 설치된 여러 유니트 조작반(20)중의 조작을 하는 임의의 유니트 조작반(20)에 의하여, 메뉴화면(70)을 불러내고, 그 메뉴화면(70)에 의하여 원하는 작업내용을 선택한다.
그리고, 자동운전을 하는 경우는, 모든 유니트 조작반(20)의 표시장치(69)의 화면을 자동 운전용의 자동운전 조작화면(80)으로 바꾸고, 우선, 운전준비용 기능키 F2를 누른다. 이 운전 준비동작은, 자동운전 이외의 동작시에 있어서도, 최초의 작업시에 필요하게 된다. 운전준비동작 완로후, 자동운전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운전을 시키는 경우에는, 자동 운전용의 기능키 F3을 누른다. 이에 따라 트랜스퍼 머신(10)은, 소정의 공정을 되풀이하여 자동적으로 연속하여 동작하고, 소정의 가공을 한다. 이 자동운전중은, 그 운전상태를 표시장치(69)의 화면중의 표시부(83)에 항상 표시한다. 또, 자동운전을 정지시키는 경우는, 자동운전 정지버튼인 기능키 F4를 누르면 정지한다.
이어서, 분할운전을 하는 경우는, 조작을 하는 유니트 조작반(20)에서, 표시장치(59)의 메뉴화면으로부터「분할」을 선택한다. 그리고, 분할 운전용의 분할조작화면(90)으로 바뀌어진 표시장치(69)의 화면상에서, 기능키 F2 또는 기능키 F3을 눌러서 분할동작 표시부(95)의 안으로부터 원하는 분할동작을 선택하고, 기능키 F5를 누른다. 이에 따라, 트랜스퍼 머신(10)은, 소정의 분할운전 동작을 한다. 또, 기능키 F4를 누르면, 표시하고 있는 분할동작의 원위치로 각 동작부가 돌아간다. 이 분할동작중도, 그 운전상태를, 표시부(93)에 의해 표시 장치(69)의 화면중에 항상 표시한다.
또, 유니트 단독운전을 하는 경우는, 조작을 하는 유니트 조작반(20)의 표시장치(69)의 메뉴화면으로부터「단독」을 선택하고, 단독운전용의 유니트 단독운전화면(100)으로 바뀐다. 그리고, 기능키 F2∼F4를 눌러서 그 가공 유니트(12)의 단독의 운전을 한다. 이 유니트 단독운전중도, 그 운전상태를, 표시장치(69)의 표시부(103)가 화면중에 항상 표시된다. 또, 단독운전에 있어서, 단독운전화면(100)을 불러내서 행하는 언로딩 유니트(18)의 단독조작은, 임의의 조작반(20)으로부터 가능하다.
이 실시예의 트랜스퍼 머신의 제어도, 상기 제 1 실시예의 트랜스퍼 머신과 같게 이루어지며, 같은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또, 조작반(20)에 설치된 표시장치(69)에 의하여, 화면을 바꾸어 원하는 조작을 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조작반(20)을 소형화할 수 있으며, 더구나 많은 기능을 갖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상기 제 1 실시예의 작업 유니트에 있어서는, 각 작업 유니트에 전 작업 유니트에 대하여 지령을 내는 조작버튼을 설치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 조작버튼은, 선택하여 각각의 조작패널에 부착하여도 좋으며, 표시패널의 작동상태 표시램프도 같은 개념으로 할 수 있다.
또, 전체 작업 유니트에 공통하는 조작을 하는 조작패널은, 소정의 조작반에 집약하여 설치하고, 다른 작업 유니트의 조작반에는, 자기 작업부의 조작을 하기 위한 조작버튼만을 설치하여도 좋다. 단, 이 경우에도 각 작업 유니트의 유니트 콘트롤러 및 통신제어장치에는, 모두 같은 프로그램, 제어장치 및 메모리를 설치하는 것이다.
또, 적용되는 생산 시스템은, 트랜스퍼 머신 뿐만 아니라, 이른바, 플랙시블 트랜스퍼 머신이나, 다른 자동조립장치등, 여러 작업 유니트가 관련하여 운전되는 생산 시스템 모두에 적용 가능한 것이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가공 스테이션마다의 1 대 또는 2대의 가공장치에 치구도 포함한 형태로 하나의 작업 유니트로 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스테이션마다의 1대 또는 2대의 가공장치로부터 치구를 떼내어 각각 하나씩의 작업 유니트로 하여도 좋으며, 또, 스테이션마다 대향하는 2대의 가공장치 각각에 대해서도 하나씩의 작업 유니트로 하여도 좋다. 또, 각 작업 유니트에 설치된 제어수단인 CPU의 처리능력의 범위내에서, 임의의 여러 작업 유니트의 제어를 각각 개별로 하나의 CPU에 의하여 하여도 좋은 것이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생산 시스템 제어방법 및 생산 시스템 제어장치는, 각 작업 유니트에, 자타 작업 유니트의 유니트 스테이터스 정보를 공통하여 기록하는 기억수단을 설치하고, 각 작업수단에 자기의 유니트 스테이터스 정보를 순차적으로 바꾸어 써서 기억시킴과 동시에, 자기 이외의 다른 작업 유니트의 유니트 스테이터스 정보도 자기의 기억수단에 항상 순차적으로 바꾸어 쓰고, 각 작업 유니트의 상기 유니트 제어수단이, 자기의 기억수단에 기록된 유니트 스테이터스 정보에 의거하여 자기의 작업부를 단독으로 또는 다른 작업 유니트와 연동하여 제어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각 작업 유니트가 신속하게 유니트 스테이터스 정보를 알 수가 있으며, 제어장치의 처리시간이 짧고 생산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더구나, 각 작업 유니트의 유니트 제어수단은, 각각 독립하여 설치되고, 각 기억수단에는 같은 유니트 스테이터스 정보나 프로그램이 기억되어 있기 때문에, 각자의 유니트 제어수단의 판단으로 소정의 작업을 할 수 있으며, 작업 유니트의 추가나 삭제가 용이하게 가능하며, 생산 시스템이 과열된 때에도 개개의 작업 유니트가 정상으로 작동하면, 전체 생산 시스템도 정상으로 작동하는 것으로 되고, 과열시의 조정이 매우 용이한 것이다.
또, 운전 조작시에도 작업자가 임의의 작업 유니트의 조작반으로부터 다른 작업 유니트를 동작시키는 유니트 스테이터스 정보를 바꿔 쓰는 것에 의하여, 다른 작업 유니트에 대해서도 소정의 조작, 예를 들면 전체 자동운전의 지시나 정지 또는 분할운전으로서의 트랜스퍼장치나 전 치구의 운전조작을 행할 수도 있는 것이며, 큰 생산시스템등에서 특히, 조작성의 점에서도 유효한 것이다. 또안, 시스템의 융통성이나 신뢰성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키는 것이다.

Claims (12)

  1. 소정의 동작에 의한 작업을 하는 작업부가 각각 설치된 여러 개의 작업유니트와, 이 각 작업유니트에 대응하고 그 작업부를 운전제어하는 여러개의 유니트 제어수단이 설치된 생산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각 유니트 제어수단마다 기억수단을 설치하고, 각 기억수단에 그 제어대상인 자기의 작업유니트의 동작에 대응하고 그 작업유니트 자체의 위치정보나 모드정보나 지시정보등의 유니트 스테이터스 정보 및 자기 이외의 다른 작업 유니트의 동작에 대응하고 다른 작업유니트 자체의 위치정보나 모드정보나 지시정보등의 유니트 스테이터스 정보를 각각 자기의 기억수단에 항상 바꿔쓰면서 기억시키고, 각 작업유니트의 상기 유니트 제어수단은 자기의 기억수단에 기억된 상기 자기 및 다른 작업유니트의 유니트 스테이터스 정보에 의거하고, 자기의 기억수단에 기어된 자기의 작업유니트를 단독으로 운전조작하기 위한 단독운전프로그램 및 여러개의 작업유니트를 제어하는 공통의 운전프로그램에 의하여 자기의 작업부를 운전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시스템 제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 상기 생산시스템은 트랜스퍼장치와 각종의 치구를 구비하고, 상기 공통의 운전프로그램은 적어도 상기 트랜스퍼장치의 운전과 전 치구의 일제 운전을 포함하는 소정의 분할된 운전동작을 독립적으로 수행시키기 위한 분할운전프로그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 시스템 제어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의 운전프로그램은 운전준비프로그램 및 전 작업유니트의 일련의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자동운전프로그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시스템 제어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니트제어수단의 각 기억수단은 모든 작업유니트의 유니트 스테이터스 정보를 기억하고 있고, 모든 유니트 제어수단은 항상 각 기억수단의 유니트 스테이터스 정보를 동일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시스템 제어방법.
  5.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각 작업 유니트에서 상기 유니트 스테이터스 정보를 자기의 기억수단에 순차적으로 바꿔써서 기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시스템 제어방법.
  6. 제 1, 2 또는 3 항에 있어서, 각 작업유니트에서 자기의 작업유니트에 대응하는 자기 유니트 스테이터스 정보 및 적어도 트랜스퍼장치의 유니트 스테이터스 정보를 각각 바꿔 써서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시스템 제어방법.
  7. 제 1, 2 또는 3 항에 있어서, 상기 여러개의 유니트 제어수단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전체 작업 유니트 중의 하나 또는 여러개의 작업유니트에 공용되고, 그 작업유니트의 각 작업부를 각각 개별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 시스템 제어방법.
  8. 소정의 작업을 하는 작업부가 각각 설치된 여러개의 작업유니트와, 이 각 작업유니트에 대응하고 그 작업부를 제어하는 여러개의 유니트 제어수단과, 상기 각 작업유니트에 구비된 트랜스퍼장치와, 각종의 치구가 설치된 생산시스템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유니트 제어수단 각각에 그 제어대상인 자기의 작업유니트에 대응하는 그 작업유니트에 자체의 위치정보나 모드정보나 지시정보등의 유니트 스테이터스 정보 및 자기 이외의 다른 작업유니트의 자체의 위치정보나 모든정보나 지시정보등의 유니트 스테이터스 정보와, 자기의 작업유니트를 단독으로 우전조작하기 위한 단독운전프로그램과, 여러개의 작업유니트를 제어하는 공통의 운전프로그램을 각각 기억한 기억수단을 설치하고,
    자기의 작업유니트에 대응하는 상기 유니트 스테이터스 정보 및 자기 이외의 다른 작업유니트의 상기 유니트 스테이터스 정보를 각각 자기의 기억수단에 항상 바꿔쓰면서 기억시키는 정보 바꿔쓰기 수단을 설치하며,
    상기 자기의 기억수단에 기억된 유니트 스테이터스 정보 및 상기 각 운전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적어도 자기의 작업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설치하고,
    상기 공통의 운전프로그램은 적어도 상기 트랜스퍼장치의 운전과 상기 전 치구의 일제 운전을 포함하는 소정의 분할된 운전동작을 독립적으로 행하기 위한 분할운전프로그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시스템 제어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유니트 제어수단의 각 기억수단에 기억된 공통의 운전프로그램은 운전준비프로그램 및 전체 작업유니트의 일련의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자동운전프로그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 시스템 제어장치.
  10. 제 8 또는 9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유니트 제어수단의 각 기억수단은 모든 작업유니트의 유니트 스테이터스 정보를 기억하고, 상기 정보 바꿔쓰기 수단은, 모든 유니트 제어수단의 유니트 스테이터스 정보가 같게 되도록 각 유니트 제어수단의 기억수단을 바꿔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 시스템 제어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바꿔쓰기 수단은, 각 작업유니트에서 그 유니트 스테이터스 정보를 자기의 기억수단에 순차적으로 바꿔써서 기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 시스템 제어장치.
  12. 제 8 또는 9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바꿔쓰기 수단은 각 작업 유니트에서 자기의 작업유니트에 대응하는 자기의 유니트 스테이터스 정보 및 적어도 트랜스퍼장치의 유니트 스테이터스 정보를 자기의 유니트 제어수단의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 시스템 제어장치.
KR1019930018282A 1993-09-10 1993-09-10 생산시스템제어방법및생산시스템제어장치 Expired - Lifetime KR1002972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8282A KR100297280B1 (ko) 1993-09-10 1993-09-10 생산시스템제어방법및생산시스템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8282A KR100297280B1 (ko) 1993-09-10 1993-09-10 생산시스템제어방법및생산시스템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9385A KR950009385A (ko) 1995-04-21
KR100297280B1 true KR100297280B1 (ko) 2001-10-24

Family

ID=66824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8282A Expired - Lifetime KR100297280B1 (ko) 1993-09-10 1993-09-10 생산시스템제어방법및생산시스템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728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9385A (ko) 1995-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57595A (en) Distributed logic control system and method
US4472783A (en)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
US4858102A (en) Distributed logic control system and method
US591488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transfer machine
JPS6244281B2 (ko)
JP3839295B2 (ja) 設備モニタ装置
EP0044565B1 (en) Improved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
US5019762A (en) Industrial robot apparatus
JP3161861B2 (ja) 生産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生産システム制御装置
US6006141A (en) Numerical controller
DE1908757B2 (de) Steuersystem fuer eine werkzeugmaschine mit einer werkzeugmaschinensteuerung zum auswerten von teilbefehlen zur steuerung der betriebsweise der werkzeugmaschine
KR100297280B1 (ko) 생산시스템제어방법및생산시스템제어장치
KR880000271B1 (ko) 수치제어 방식 및 장치
US5189604A (en) Distributed logic control system and method
JPH0288139A (ja) 工具交換装置
JP3209890B2 (ja) 生産セル
JP3700528B2 (ja)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における異常発生時にラダー回路を表示する装置
JP3023251B2 (ja) トランスファマシン
JP4296696B2 (ja) プログラマブル操作表示装置
JPH06277990A (ja) セルコントローラ
JPH03229304A (ja) 拡張pmc
JP3051552B2 (ja) 加工生産システムにおける加工ユニット操作盤
JP2002120125A (ja) 工具交換装置の自動復帰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H0679589A (ja) 生産システム制御装置
JP2735561B2 (ja) Dnc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3091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8090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3091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009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1041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05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105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5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5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5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51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50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50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51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42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07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50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EXPY Expiration of term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140310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