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5456B1 - 인터넷 액세스 단말간 인터넷 프로토콜 레벨 연결성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인터넷 액세스 단말간 인터넷 프로토콜 레벨 연결성 제공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295456B1 KR100295456B1 KR1019980050385A KR19980050385A KR100295456B1 KR 100295456 B1 KR100295456 B1 KR 100295456B1 KR 1019980050385 A KR1019980050385 A KR 1019980050385A KR 19980050385 A KR19980050385 A KR 19980050385A KR 100295456 B1 KR100295456 B1 KR 10029545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rminal
- domain name
- internet
- internet protocol
- typ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50—Address allocation
- H04L61/5007—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101/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 H04L61/00
- H04L2101/60—Types of network addresses
- H04L2101/604—Address structures or forma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유한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를 가지고 인터넷에 접속되어 있는 가입자 단말이 고유한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가 할당되지 않은 다이얼업 인터넷 액세스 단말과 언제든지 인터넷 프로토콜 레벨 연결성을 설정하여 통신할 수 있도록 한 인터넷 액세스 단말간 인터넷 프로토콜 레벨 연결성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인터넷에 접속한 단말과 고유한 IP 주소가 없는 인터넷에 접속하지 않은 다이얼업 단말간에 IP 레벨의 연결성을 제공함으로써, 인터넷 전화(IT), 인터넷 프로토콜(IP) 팩스 뿐만 아니라 향후 인터넷을 통해 가정 가입자 단말간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효과적으로 활용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인터넷 액세스 단말간 인터넷 프로토콜 레벨 연결성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터넷을 통한 인터넷 프로토콜 팩스와 인터넷 전화 등과 같은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도메인 네임 시스템 서버의 기능을 확장시켜 인터넷 단말간의 인터넷 프로토콜 레벨 연결성을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의 급속한 성장과 비동기 전송모드방식(Asynchronous Transfer Mode; 이하 ATM이라 한다)과 비대칭 디지털 가입자라인(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 이하 ADSL이라 함)을 기반으로 하는 고속 인터넷 액세스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인터넷을 통한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이하 IP라 함) 팩스, 인터넷 전화(Internet Telephony; 이하 IT라 함)는 유력한 서비스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는 기존의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다이얼 톤(dial tone) 서비스와 같이 상대방 가입자 단말쪽으로 항상 연결 설정이 가능한 통신 환경을 필요로 한다.
일반적으로, ADSL모뎀을 이용하여 인터넷에 접속하는 다이얼업(dial-up) 단말은 인터넷 접속시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nternet Service Provider; 이하 ISP라 함)와 점대점 프로토콜(Point-to-Point Protocol; 이하 PPP라 함) 세션을 설정하고 IP 주소를 동적으로 할당받아 인터넷에 접속하며, 인터넷 접속이 종료되면 IP 주소를 다시 ISP쪽으로 되돌려준다. 따라서 다이얼업 단말은 인터넷에 접속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고유한 IP 주소를 가지며 가입자는 인터넷을 통해 원하는 서비스를 이용하거나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다이얼업 단말의 인터넷 접속에서는 다이얼업 단말의 가입자가 원할 때만 가입자가 ISP쪽으로 PPP세션을 설정하고 IP 주소를 할당받아 인터넷에 접속한다.
반면 인터넷에 접속되어 있는 원천지 단말(IT서비스를 시작하는 단말)의 가입자가 목적지 단말의 가입자와 IT와 같은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만일 목적지 단말이 다이얼업 단말이고 인터넷에 접속되어 있지 않으면 ISP망의 인터넷 액세스 서버(Internet Access Server; 이하 IAS라 함)와 목적지 단말간에 PPP 세션이 설정되고 목적지 단말이 고유한 IP 주소를 ISP로부터 할당받아 인터넷에 접속되어야 IT 서비스를 시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통신 환경은 두 가입자 단말이 인터넷에 접속되어 있고 단말간 IP 레벨의 연결성(connectivity)이 제공될 때 가능하다. 즉 두 가입자 단말이 고유한 IP 주소를 가지고 인터넷에 접속되어 있고, 인터넷을 통해 단말간 IP 계층까지 연결이 설정되어 IP 패킷의 송/수신이 가능한 환경에서는 서로 상대방 가입자 단말의 IP 주소만 알면 IT 서비스를 시작할 수 있다. 그러나, IT 서비스를 시작하는 단말은 고유한 IP 주소를 가지고 인터넷에 접속되어 있지만, 상대방 단말은 ISP로부터 동적으로 IP 주소를 할당받아 인터넷에 접속하는 다이얼업 단말이고 인터넷에 접속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두 단말간 IP 레벨의 연결성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목적지 단말에게 인터넷 액세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ISP가 목적지 단말을 식별한 다음 그 단말과 PPP 세션을 설정하고 동적으로 IP 주소를 할당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고유한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를 가지고 인터넷에 접속되어 있는 가입자 단말이 고유한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가 할당되지 않은 다이얼업 인터넷 액세스 단말과 언제든지 인터넷 프로토콜 레벨 연결성을 설정하여 통신할 수 있도록 한 인터넷 액세스 단말간 인터넷 프로토콜 레벨 연결성 제공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망구성 및 프로토콜 스택을 설명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제공 과정을 나타내는 신호 흐름도.
도 3 및 도 7은 도 2에 따른 서비스 제공 과정 중 단말 A에서의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4 및 도 6은 도 2에 따른 서비스 제공 과정중 다이얼업-도메인 네임 시스템(DU-DNS) 서버의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5은 도 2에 따른 서비스 제공 과정 중 인터넷 액세스 서버(IAS)에서의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단말 A 12 : 인터넷
14 :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망(ISP 망)
16 : 인터넷 액세스 서버(IAS) 18 : ATM망
20 : 디지탈 가입자 선로 멀티플렉서(DSLAM)
22 : 단말 B
24 : 다이얼업-도메인 네임 시스템 서버(DU-DNS서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액세스 단말간 인터넷 프로토콜 레벨 연결성 제공방법은, 고유한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를 가지고 인터넷에 접속된 원천지 단말로서의 단말 A 및 상기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를 동적으로 할당받아 인터넷에 접속하는 다이얼업 단말로서의 단말 B간의 인터넷 프로토콜 레벨의 연결성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 A의 가입자가 상기 단말 B의 도메인 네임을 입력함에 따라 상기 단말 A의 도메인 네임 시스템 해결자(DNS Resolver)에 의해 도메인 네임 시스템 질의(DNS QUERY) 패킷을 생성하여 인터넷을 통해 상기 단말 B로 보내는 제 1과정과,
상기 도메인 네임 시스템 질의 패킷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단말 B가 속한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망의 다이얼업-도메인 네임 시스템 서버에서 상기 단말 B의 도메인 네임에 대응하는 타입 A RR(Resource Record)이 있는지를 체크하는 제 2과정과,
상기 체크결과 상기 타입 A RR이 있으면 상기 단말 A측으로 도메인 네임 시스템 응답(DNS RESPONSE) 패킷을 통해 상기 단말 B의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를 돌려주는 반면, 상기 타입 A RR이 없으면 상기 도메인 네임에 대응하는 타입 ATMA RR이 있는지를 체크하는 제 3과정과,
상기 타입 ATMA RR이 없으면 상기 도메인 네임 시스템 응답 패킷을 통해 이름 오류를 상기 단말 A측으로 보내는 반면, 상기 타입 ATMA RR이 있으면 인터넷 액세스 서버로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할당요청 메시지를 보내 상기 단말 B에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를 할당하고 할당된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를 상기 다이얼업 도메인 네임 시스템 서버로 보내는 제 4과정 및,
상기 다이얼업 도메인 네임 시스템 서버에 의해 상기 단말 B에 대한 타입 A RR을 생성하고, 상기 도메인 네임 시스템 응답 패킷을 통해 단말 B의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를 상기 단말 A측으로 보내는 제 5과정을 구비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망구성 및 프로토콜 스택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단말 A(10)는 고유한 IP 주소를 가지고 인터넷(12)에 접속되어 있는 원천지 단말이고, 단말 B(22)는 ISP 망(14)내의 위치하는 IAS(16)와 ATM 가상채널(Virtual Channel, 이하 VC라 한다) 및 PPP 세션을 설정하여 IP 주소를 동적으로 할당받아 인터넷(12)에 접속하는 다이얼업 단말로서 목적지 단말에 해당한다. 상기 단말 B(22)의 원격 ADSL 전송유니트(ADSL Transceiver Unit Remote; 이하 ATU-R이라 한다)는 가입자측 ADSL모뎀으로 디지털 가입자라인 액세스 멀티플렉서(Digital Subscriber Line Access Multiplexer; 이하 DSLAM이라 한다)과 ADSL 루프(loop)을 형성한다. 상기 단말 B(22)는 현재 고유한 IP주소를 가지지도 않고 인터넷(12)에 접속되어 있지도 않다. 여기서, 상기 DSLAM은 ADSL 신호를 종단하고 가입자 ATM VC의 다중화/역다중화 기능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다이얼업 단말(또는 다이얼업 인터넷 액세스 단말; 22)은 ADSL 모뎀을 통해 ISP 망(14)의 IAS(16)와 PPP 세션을 설정하고, IAS(16)로부터 IP 주소를 동적으로 할당받아 인터넷(12)에 접속하며, 보통 개인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가 될 수 있다. 그리고 다이얼업 단말(22)과 IAS(16)간의 프로토콜 구조는 PPP/ATM을 따른다.
상기 ISP는 IAS(16)를 통해 다이얼업 단말(22)에 IP 주소를 동적으로 할당하여 다이얼업 단말(22)에 인터넷 액세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이다. 상기 IAS(16)는 상기 ISP가 운영하는 인터넷 액세스 서버로서, PPP 서버와 IP 라우터의 기능을 가져 단말에 동적인 IP 주소 할당과 IP 패킷의 라우팅을 수행한다.
그리고, 단말간 IP 연결성의 설정 또는 IP 연결성의 제공은 두 단말이 고유한 IP 주소를 가지고 인터넷(12)에 접속되어 있고, 인터넷(12)과 ISP 망(14)에 위치하는 IP 라우터와 IAS(16)의 IP 패킷 라우팅 기능을 통해 단말간 IP 패킷의 송/수신이 가능한 것을 의미한다.
도 1과 같은 통신환경에서 단말 A(10)의 가입자가 단말 B(22)의 가입자와 IT와 같은 서비스를 시작하기 위해서는 먼저 IAS(16)와 단말 B(22)간에 IP 레벨 연결성이 설정되어야 한다. 여기서 상기 IAS(16)와 단말 B(22)간의 IP 연결성의 설정은 단말 B(22)가 IAS(16)로부터 IP 주소를 할당받아 인터넷(12)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IAS(16)가 단말 B(22)로 향하는 IP 패킷을 단말 B(22)쪽으로 라우팅하면 IP 패킷이 단말 B(22)까지 전달되고, 또한 단말 B(22)로부터 IP 패킷을 인터넷(12) 쪽으로 보낼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이를 위해서는 먼저 상기 인터넷 액세스 서버(16)와 단말 B(22)간에는 ATM VC와 PPP 세션이 설정된다.
도 2는 도 1과 같은 통신 환경에서 단말 A(10)와 단말 B(22)간의 단대단(end-to-end) IP 연결성을 제공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망 구성 요소간의 서비스 제공 절차를 보여준다. 도 2에 도시된 다이얼업 도메인 네임 시스템(Dial-up Domain Name System; 이하 DU-DNS라 함) 서버(24)는 종래의 도메인 네임 시스템(DNS) 서버의 기능을 확장한 것으로 자세한 기능 설명은 추후에 설명한다.
도 2의 서비스 제공 절차에 따른 각 망 구성 요소의 상세한 기능 동작 흐름도는 도 3, 도4, 도 5, 도 6, 도 7과 같다. 이중 도 3과 도 7은 단말 A(10)의 동작, 도 4와 도 6은 DU-DNS 서버(24)의 동작, 도 5는 ISP 망(14)의 IAS(16)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의 서비스 제공 절차 및 도 3∼도 7을 참조한 단말 A(10)와 단말 B(22)간의 IP 연결성을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제공 절차는 단말 A(10)의 DNS 해결자(Resolver)가 단말 B(22)의 도메인 네임을 갖는 도메인 네임 시스템 질의(DNS QUERY) 패킷을 인터넷(12) 쪽으로 보내면서 시작되며(2-1), 단말 B(22)가 ISP로부터 고유한 IP 주소를 할당받아 인터넷(12)에 접속되고(2-1∼2-7) 단말 B(22)의 IP 주소 또는 이름 오류가 포함된 도메인 네임 시스템 응답(DNS RESPONSE) 패킷이 단말 A(10)로 되돌려지면 종료된다(2-8). 이에 대한 상세한 동작 설명은 다음과 같이 단계 1에서 단계 6까지 나누어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단말 B(22)와 같은 다이얼업 인터넷 액세스 단말이 인터넷(12)에 접속되어 있으면 단말 B(22)는 ISP로부터 IP 주소를 할당받아 고유한 IP 주소를 가지고 있고, 인터넷(12)에 접속되어 있지 않으면 IP 주소를 가지지 않는 것으로 간주한다. 단말 B(22)와 IAS(16)간의 통신 프로토콜은 PPP/ATM 프로토콜 구조를 따르며 사용자망 인터페이스(ATM UNI; User Network Interface) 시그널링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ATM가상채널(ATM VC)을 설정한다. 그리고 단말 B(22)는 전원이 "ON" 상태에 있고 시그널링 프로토콜의 SETUP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는 것으로 가정하고서 설명한다.
단계 1 : 단말 A(10)의 가입자가 IT와 같은 응용 서비스의 초기 화면에서 접속하고자 하는 단말 B(22)의 도메인 네임을 입력하면 단말 A(10)의 DNS 해결자는 도메인 네임 시스템 질의(DNS QUERY) 패킷을 생성하고(도 3에서 3-1 참조), 인터넷(12)으로 도메인 네임 시스템 질의(DNS QUERY) 패킷을 보낸다(도 2에서 2-1, 도 3에서 3-2 참조). 이때 상기 도메인 네임 시스템 질의(DNS QUERY) 패킷은 타입 A RR에 대한 요청이다. 즉 도메인 네임 시스템 질의(DNS QUERY) 패킷의 OPCODE 필드에는 'QUERY', QNAME 필드에는 단말 B의 '도메인 네임', QCLASS 필드에는 인터넷 클래스를 나타내는 'IN', QTYPE 필드에는 IP 주소를 나타내는 'A'로 채워진다.
단계 2 : 상기 단말 A(10)에서 생성된 도메인 네임 시스템 질의(DNS QUERY) 패킷은 인터넷(12)을 통해 단말 B(22)가 속한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망(14)의 DU-DNS 서버(24)로 전달된다(도 2에서 2-2 참조).
단계 3 : 상기 도메인 네임 시스템 질의(DNS QUERY) 패킷을 수신한 DU-DNS 서버(24)는 자신이 유지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단말 B(22)의 도메인 네임에 대응하는 타입 A RR이 있는지 확인한다(도 4에서 4-1 참조). 여기서 상기 타입 A RR은 단말의 도메인 네임과 IP 주소의 쌍을 저장하는 레코드이다. 상기 타입 A RR이 있으면 단말 A(10)쪽으로 도메인 네임 시스템 응답(DNS RESPONSE) 패킷을 통해 단말 B(22)의 IP 주소를 돌려주고(도 2에서 2-7, 도 4에서 4-2 참조), 후술하는 단계 6으로 진행하여 그 단계 6의 동작을 수행한다.
만일 상기 타입 A RR이 없으면 도메인 네임에 대응하는 타입 ATMA RR이 있는지 확인한다(도 4에서 4-3 참조). 여기서 타입 ATMA RR은 단말의 도메인 네임과 ATM 주소의 쌍을 저장하는 레코드이다. 상기 타입 ATMA RR이 없으면 도메인 네임 시스템 응답(DNS RESPONSE) 패킷을 통해 이름 오류(Name Error)를 단말 A(10)쪽으로 보내고(도 4에서 4-5, 도 2에서 2-7 참조), 단계 6으로 진행하여 그 단계 6의 동작을 수행한다. 여기서 이름 오류는 단말 B(22)의 도메인 네임에 대응하는 주소 정보가 없음을 나타낸다.
만일 상기 타입 ATMA RR이 있으면 IAS(16)쪽으로 IP 주소할당요청 메시지를 보낸다(도 2에서 2-3, 도 4에서 4-4 참조). IP 주소할당요청 메시지에는 상기 단말 B(22)의 도메인 네임과 ATM 주소가 포함된다.
단계 4 : 상기 DU-DNS 서버(24)로부터 IP 주소할당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IAS(16)는 ATM UNI SETUP 메시지를 단말 B쪽으로 보내고 단말 B와 ATM VC를 설정한다(도 2-4, 5-1 참조). 상기 IAS(16)는 ATM VC가 설정된 후 PPP 세션을 설정하고 IP 주소를 할당한다(도 2에서 2-5, 도 5에서 5-2 참조). 이때 상기 IAS(16) 또는 단말이 PPP 세션의 설정을 위한 PPP LCP(Link Control Protocol)를 시작할 수 있다. 이후 상기 IAS(16)는 IP 주소할당응답 메시지를 통해 단말 B에 할당한 IP 주소를 DU-DNS 서버(24)쪽으로 넘겨준다(도 2에서 2-6, 도 5에서 5-3 참조). 상기 IP 주소할당응답 메시지에는 단말 B(22)의 도메인 네임과 IP 주소가 포함된다.
단계 5 : 상기 IAS(16)로부터 IP 주소할당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DU-DNS 서버(24)는 단말 B(22)의 도메인 네임과 IP 주소로부터 타입 A RR을 생성하여 자신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도 6에서 6-1 참조), 도메인 네임 시스템 응답(DNS RESPONSE) 패킷을 통해 단말 B(22)의 IP 주소를 단말 A(10)쪽으로 돌려준다(도 2에서 2-7, 도 6에서 6-2 참조).
단계 6 : 상기 도메인 네임 시스템 응답(DNS RESPONSE) 패킷을 수신한 단말 A(10)는 그 도메인 네임 시스템 응답(DNS RESPONSE) 패킷을 해석하고 단말 B(22)의 IP 주소 또는 이름 오류를 응용에게 알려준다(도 2에서 2-8, 도 7참조).
상술한 바와 같은 서비스 제공 절차를 지원하기 위해 망 구성 요소들은 기존의 기능에 추가되거나 변경되어야 할 기능 요구 사항을 갖는다. 먼저 DU-DNS 서버는 기존 DNS 서버를 확장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기능을 갖는다.
첫번째로 다이얼업 단말 식별을 위한 타입 ATMA RR 저장 기능을 갖는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DU-DNS 서버(24)가 도메인 네임 시스템 질의(DNS QUERY) 패킷을 수신하였을 때 단말 B(22)와 같이 인터넷(12)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다이얼업 단말을 식별하기 위해서는 단말 식별자가 필요하다. 단말의 식별자로 단말의 IP 주소 또는 도메인 네임을 고려할 수 있지만, IP 주소가 할당되지 않은 다이얼업 단말은 도메인 네임을 단말의 식별자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DNS 서버는 도메인 네임과 IP 주소의 쌍을 저장하기 때문에 IP 주소가 할당되지 않은 다이얼업 단말은 타입 A RR이 없고, 따라서 도메인 네임도 저장되어 있지 않다.
반면, 본 발명에 채용되는 DU-DNS 서버(24)는 ATM 포럼의 ATM 네임 시스템(ATM Name System; ANS)에서 정의된 도메인 네임과 ATM 주소의 쌍을 저장하는 레코드인 타입 ATMA RR을 이용하여 단말의 도메인 네임을 단말의 식별자로 사용한다. 즉 DU-DNS 서버(24)는 단말 B(22)와 같이 ATM 주소를 갖는 다이얼업 단말에 대한 타입 ATMA RR을 항상 자신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므로써 도메인 네임을 단말의 IP 주소 할당과는 관계없이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만일 단말 B(22)가 인터넷(12)에 접속되어 있지 않으면 DU-DNS 서버(24)에는 ATMA RR 만이 저장되어 있고, 단말이 IP 주소를 할당 받은 후 타입 A RR이 추가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DU-DNS 서버(24)는 종래의 DNS 서버가 갖는 타입 A RR의 저장 뿐만 아니라 타입 ATMA RR도 저장할 수 있어야 한다. 이때 타입 A RR과 ATMA RR의 TTL 필드는 '0'으로 하는데, 이는 다른 DNS 서버나 단말의 DNS 해결자에 의한 단말 B(22)와 같은 다이얼업 단말의 타입 A RR과 타입 ATMA RR의 캐슁을 막고, 특정 DNS 영역에 대한 권한(Authority)을 가진 DU-DNS 서버(24)만이 상술한 단계 1에서 단계 6까지의 서비스 절차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다.
두번째로 인터넷 액세스 서버(16)와의 통신기능을 갖는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DU-DNS 서버(24)는 단말 B(22)의 도메인 네임에 대응하는 ATM 주소만 있고 IP 주소를 가지고 있지 않으면 IAS(16)쪽으로 IP 주소 할당 요청을 하고, 인터넷 액세스 서버(16)로부터 IP 주소 할당 응답을 수신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IP 주소할당요청 메시지와 IP 주소할당응답 메시지를 정의하여 사용하며, IP 주소할당요청 메시지는 DU-DNS 서버(24)로부터 IAS(16)로 보내지며 단말 B(22)의 도메인 네임과 ATM 주소가 포함되고, IP 주소할당응답 메시지는 상기 IAS(16)로부터 DU-DNS 서버(24)로 보내지며 단말 B(22)의 도메인 네임과 IP 주소가 포함되어야 한다. 상기 IP 주소할당요청 메시지와 IP 주소할당응답 메시지의 포맷 정의와 메시지 전송을 위해서는 종래의 DNS 프로토콜을 확장하거나 새로운 프로토콜을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기능을 갖춘 DU-DNS서버(24)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면, DU-DNS 서버(24)가 단말 B(22)로의 접속 요청으로 간주하는 도메인 네임 시스템 질의(DNS QUERY) 패킷은 도메인 네임에 대응하는 IP 주소에 대한 요청인데, DU-DNS 서버(24)는 이와 같은 도메인 네임 시스템 질의(DNS QUERY) 패킷을 수신하면 자신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요청한 도메인 네임에 대한 타입 A RR을 먼저 찾는다(도 4에서 4-1). 만일 타입 A RR이 있으면 단말 B(22)는 현재 인터넷(12)에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간주하고 도메인 네임 시스템 응답(DNS RESPONSE) 패킷을 통해 도메인 네임에 대한 IP 주소를 되돌려 준다(도 2에서 2-7, 도 4에서 4-2). 타입 A RR이 없는 경우 도메인 네임에 해당하는 타입 ATMA RR이 있는 가를 확인하고(도 4에서 4-3), ATMA RR이 있으면 IAS(16)로 IP 주소할당요청 메시지를 보내며(도 2에서 2-3, 도 4에서 4-4) ATMA RR이 없으면 도메인 네임 시스템 응답(DNS RESPONSE; 이 경우 이름 오류)를 단말 A(10) 쪽으로 돌려준다(도 4에서 4-5). 상기 IAS(16)로 IP 주소할당요청 메시지를 보낸 경우 DU-DNS 서버(24)는 IAS(16)로부터 단말 B(22)에 할당한 IP 주소를 되돌려 받을 때 까지 기다려야 한다. 이후 IAS(16)로부터 IP 주소할당응답 메시지를 통해 IP 주소를 되돌려 받으면 자신의 데이터베이스에 타입 A RR을 기록한 다음(도 6에서 6-1), 상기 도메인 네임 시스템 응답(DNS RESPONSE) 패킷을 통해 단말의 IP 주소를 되돌려 준다(도 2에서 2-7, 도 6에서 6-2).
따라서 상기 DU-DNS 서버(24)는 도메인 네임 시스템 질의(DNS QUERY) 패킷을 수신하였을 때 위와 같은 동작 절차를 수행할 수 있어야 하며, 특히 단말 B(22)에 대한 타입 A RR은 없고 타입 ATMA RR만 있으면 IAS(16)에게 단말 B(22)에 대한 IP 주소 할당 요청을 하고, IAS(16)로부터 IP 주소할당응답 메시지가 올 때까지 도메인 네임 시스템 응답(DNS RESPONSE) 패킷을 단말 A(10)쪽으로 보내지 않고 기다려야 한다.
한편, 상기 ISP 망(14)의 IAS(16)가 가져야 할 기능은 먼저 단말 B(22)로 ATM 연결 설정 요청 기능을 들 수 있다. 즉 IAS(16)는 DU-DNS 서버(24)로부터 단말 B(22)에 대한 IP 주소 할당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였을 때 단말 B(22)의 ATM 주소를 참조하여 단말 B(22)쪽으로 ATM UNI SETUP 메시지를 보내고 단말 B(22)와 ATM VC를 설정해야 한다. 단말 B(22)와 ATM VC가 설정되고 나면 IP 주소 할당을 위한 PPP 세션을 설정해야 한다. PPP 세션을 설정하기 위한 PPP LCP는 IAS(16) 또는 단말 B(22)가 먼저 할 수 있다. IAS(16)의 PPP 엔티티(entity)는 PPP 링크 설정 단계(Link Establishment Phase), 인증 단계(Authentication Phase)를 거쳐 IPCP(IP Control Protocol) 프로토콜을 통해 IP 주소를 할당할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IAS(16)는 단말 B(22)에 IP 주소를 할당한 다음 IP 주소할당응답 메시지를 통해 단말 B(22)의 IP 주소를 DU-DNS 서버(24)로 돌려줄 수 있어야 한다. IP 주소할당요청 메시지와 IP 주소할당응답 메시지는 상술한 DU-DNS 서버(24)의 기능 요구 사항에서 기술된 바와 동일하다.
또한, 다이얼업 단말 B(22)가 가져야 할 기능으로는 IAS(16)와 ATM VC를 설정하기 위해 ATM UNI SETUP 메시지를 받아들이고 VC를 설정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IAS(16)와 PPP 세션을 설정하기 위해 단말의 PPP 엔티티는 PPP 링크 설정 단계, PPP 인증 단계를 거쳐 IPCP 프로토콜을 통해 IP 주소를 할당받을 수 있어야 한다.
한편, 망 구성 요소의 기능 요구 사항 외에 단말 B와 같은 다이얼업 단말들에 대한 도메인을 별도로 구성하여 관리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즉 다이얼업 단말만을 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도메인(예: dial-up 도메인)을 ISP 도메인의 부도메인(subdomain)으로 정의하고, 단말의 도메인 네임은 부도메인에서 유일성을 가지도록 관리한다. 이러한 부도메인이 정의되면 그 부도메인은 별도의 독립적인 도메인 네임 시스템 영역(DNS Zone)으로 관리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인터넷에 접속한 단말과 고유한 IP 주소가 없는 인터넷에 접속하지 않은 다이얼업 단말간에 IP 레벨의 연결성을 제공함으로써, IT, IP 팩스 뿐만 아니라 향후 인터넷을 통해 가정 가입자 단말간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효과적으로 활용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7)
- 고유한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를 가지고 인터넷에 접속된 원천지 단말로서의 단말 A 및 상기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를 동적으로 할당받아 인터넷에 접속하는 다이얼업 단말로서의 단말 B간의 인터넷 프로토콜 레벨의 연결성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상기 단말 A의 가입자가 상기 단말 B의 도메인 네임을 입력함에 따라 상기 단말 A의 도메인 네임 시스템 해결자에 의해 도메인 네임 시스템 질의 패킷을 생성하여 인터넷을 통해 상기 단말 B로 보내는 제 1과정과,상기 도메인 네임 시스템 질의 패킷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단말 B가 속한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망의 다이얼업-도메인 네임 시스템 서버에서 상기 단말 B의 도메인 네임에 대응하는 제 1타입이 있는지를 체크하는 제 2과정과,상기 체크결과 상기 제 1타입이 있으면 상기 단말 A측으로 도메인 네임 시스템 응답 패킷을 통해 상기 단말 B의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를 전송하고, 상기 제 1타입이 없으면 상기 도메인 네임에 대응하는 제 2타입이 있는지를 체크하는 제 3과정과,상기 제 2타입이 없으면 상기 도메인 네임 시스템 응답 패킷을 통해 이름 오류를 상기 단말 A측으로 전송하고, 상기 제 2타입이 있으면 인터넷 액세스 서버로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할당요청 메시지를 보내 상기 단말 B에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를 할당하도록 하고 할당된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를 상기 다이얼업 도메인 네임 시스템 서버로 보내는 제 4과정 및,상기 다이얼업 도메인 네임 시스템 서버에 의해 상기 단말 B에 대한 제 1타입을 생성하고, 상기 도메인 네임 시스템 응답 패킷을 통해 단말 B의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를 상기 단말 A측으로 보내는 제 5과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액세스 단말간 인터넷 프로토콜 레벨 연결성 제공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메인 네임 시스템 질의 패킷은 질의가 기록된 오피코드 필드와, 상기 단말 B의 도메인 네임이 기록된 큐네임 필드와, 인터넷 클래스가 기록된 큐클래스 필드 및,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가 기록된 큐타입 필드를 갖추고서 인터넷을 통해 상기 단말 A와 단말 B 사이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액세스 단말간 인터넷 프로토콜 레벨 연결성 제공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메인 네임 시스템 질의 패킷은 상기 제 1타입에 대한 요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액세스 단말간 인터넷 프로토콜 레벨 연결성 제공방법.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타입은 단말의 도메인 네임과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의 쌍을 저장하는 레코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액세스 단말간 인터넷 프로토콜 레벨 연결성 제공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할당요청 메시지에는 상기 단말 B의 도메인 네임과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액세스 단말간 인터넷 프로토콜 레벨 연결성 제공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업 도메인 네임 시스템 서버가 고유한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가 없는 인터넷에 접속되지 않은 단말 B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로 단말의 도메인 네임을 사용하고 이를 단말의 인터넷 접속에는 관계없이 단말의 식별자로 사용하기 위해 자신의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제 2타입을 미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액세스 단말간 인터넷 프로토콜 레벨 연결성 제공방법.
- 제 1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타입은 상기 단말 B의 도메인 네임과 ATM주소의 쌍을 저장하는 레코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단말간 인터넷 프로토콜 레벨 연결성 제공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80050385A KR100295456B1 (ko) | 1998-11-24 | 1998-11-24 | 인터넷 액세스 단말간 인터넷 프로토콜 레벨 연결성 제공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80050385A KR100295456B1 (ko) | 1998-11-24 | 1998-11-24 | 인터넷 액세스 단말간 인터넷 프로토콜 레벨 연결성 제공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33497A KR20000033497A (ko) | 2000-06-15 |
KR100295456B1 true KR100295456B1 (ko) | 2001-11-22 |
Family
ID=19559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80050385A KR100295456B1 (ko) | 1998-11-24 | 1998-11-24 | 인터넷 액세스 단말간 인터넷 프로토콜 레벨 연결성 제공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295456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66250B1 (ko) * | 1999-12-18 | 2006-03-29 | 주식회사 케이티 | Atm이름서버(ans)를 이용한 인터넷 액세스 단말간ip 레벨 연결성 제공 장치 및 방법 |
KR100708087B1 (ko) * | 2000-06-03 | 2007-04-16 | 삼성전자주식회사 | 단말기간 ip에 기반한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 |
KR100427771B1 (ko) * | 2001-09-03 | 2004-04-30 | 아이피원(주) | Lan 기반 인터넷 전화 착발신 장치 및 방법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48035A (ko) * | 1996-12-17 | 1998-09-15 | 양재신 |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보호장치 |
-
1998
- 1998-11-24 KR KR1019980050385A patent/KR100295456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48035A (ko) * | 1996-12-17 | 1998-09-15 | 양재신 |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보호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33497A (ko) | 2000-06-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295457B1 (ko) | 서비스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인터넷 액세스 단말간 인터넷 프로토콜(ip) 레벨 연결성 제공 장치 및 방법 | |
US5737333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connecting ATM-attached hosts with telephone-network attached hosts | |
EP1535449B1 (en) |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simultaneous connection to multiple service providers | |
JP3903014B2 (ja) | インターネットプロトコルアドレス変換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ホーム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並びにその通信方法 | |
JP2001257720A (ja) | Dnsサーバ、dhcpサーバ、端末および通信システム | |
EP1617623A2 (en) | Mobile IP communication scheme using dynamic address allocation protocol | |
US9319235B2 (en) | Authentication, authorization, and accounting based on an automatically generated username | |
JP2002124963A (ja) | 私設インターネットプロトコルアドレスドメインにおける固有インターネットプロトコルアドレスの使用方法 | |
KR100964860B1 (ko) | 주소 매핑 장치 및 방법 | |
JP3656134B2 (ja) | Vpn選択接続ゲートウェイおよびそれによる通信方法 | |
US7570647B2 (en) | LAN type internet access network and subscriber line accommodation method for use in the same network | |
KR100433621B1 (ko) | 사설 인터넷의 단대단 서비스를 위한 다중 계층 인터넷프로토콜 및 상기 다중 계층 인터넷 프로토콜 패킷의송/수신 방법 | |
KR100295456B1 (ko) | 인터넷 액세스 단말간 인터넷 프로토콜 레벨 연결성 제공방법 | |
KR100566250B1 (ko) | Atm이름서버(ans)를 이용한 인터넷 액세스 단말간ip 레벨 연결성 제공 장치 및 방법 | |
JP2003504898A (ja) | デジタル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アドレッシング方法と、名前およびアドレスサーバー | |
Cisco | Protocol Translation Configuration Commands | |
Cisco | Protocol Translation Configuration Commands | |
Cisco | Protocol Translation Configuration Commands | |
Cisco | Protocol Translation Configuration Commands | |
Cisco | Protocol Translation Commands | |
Cisco | Protocol Translation Configuration Commands | |
Cisco | Protocol Translation Configuration Commands | |
Cisco | Protocol Translation Configuration Commands | |
Cisco | Protocol Translation Commands | |
Cisco | Protocol Translation Configuration Command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00409 Year of fee payment: 10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