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278063B1 - 암석재의 파쇄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암석재의 파쇄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8063B1
KR100278063B1 KR1019930021813A KR930021813A KR100278063B1 KR 100278063 B1 KR100278063 B1 KR 100278063B1 KR 1019930021813 A KR1019930021813 A KR 1019930021813A KR 930021813 A KR930021813 A KR 930021813A KR 100278063 B1 KR100278063 B1 KR 1002780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or
rotor
wall
axis
cru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1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0953A (ko
Inventor
하용간
Original Assignee
하용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용간 filed Critical 하용간
Priority to KR10199300218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8063B1/ko
Priority to US08/187,036 priority patent/US5482218A/en
Publication of KR9500109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09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8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80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4/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 B02C4/1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with a roller co-operating with a stationary member
    • B02C4/12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with a roller co-operating with a stationary member in the form of a p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eciprocating members
    • B02C1/02Jaw crushers or pulverisers
    • B02C1/08Jaw crushers or pulverisers with jaws coacting with rotating roll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편심회전축에 지지된 회전자의 편심운동에 의해 암석 등의 파쇄물을 고속으로 파쇄할 수 있는 편심회전형 무진동 압축파쇄기에 관한 것으로, 상기 압축 파쇄기는 파쇄기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편심회전축과, 상기 편심회전축에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지지된 회전자와, 상기 파쇄기몸체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자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어 그와의 사이에 파쇄실을 제공하는 고정자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압축 파쇄기는 상기 회전자를 중심으로 서로 마주보는 관계로 배치되어 상기 회전자와의 사이에 두개 의 파쇄실을 형성하는 두개의 고정자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편심회전축의 양단부에는 상기 회전자의 회전운동의 균형을 잡기 위한 평형추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고정자에는 상기 회전자에 대해 상기 고정자를 위치결정하는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암석재의 파쇄 방법 및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파쇄장치의 기본 개념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인 파쇄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파쇄장치의 기본 개념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에 따른 회전자와 협력하여 암석재등의 파쇄물을 파쇄하는 여러 형태의 고정자 배치관계를 나타낸 도면.
제5도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채용한 실시예에 따른 파쇄장치의 측면도.
제6도는 제5도에 도시된 파쇄장치의 평면도.
제7도는 제5도의 A-A선 단면도.
제8도는 본 발명의 파쇄장치에 채용된 고정자의 부분 평면도.
제9도는 제8도에 도시된 고정자에 부착된 라이너를 전개하여 도시한 평면도.
제10도는 제9도에 도시된 라이너를 고정자에 부착하는 기술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도면.
제11도는 제7도에 도시된 측판 라이너의 구조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
제12도는 제6도의 B-B선 단면도.
제13도는 제6도에 도시된 파쇄장치의 저면도.
제14도는 제12도에 도시된 유압 실린더를 작동시키는 유압 회로도를 나타낸 도면.
제15도는 제14도에 도시된 유압회로와 연계되어 있는 전기 회로도를 나타낸 도면.
제16도는 본 발명의 파쇄장치의 분해과정을 나타낸 도면.
제17도는 제12도에 도시된 고정자의 지지 및 위치설정 구조의 변형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제18도는 본 발명의 고정자의 지지 및 위치설정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회전자 12 : 회전축
18 : 배출구 20,20a,21 : 고정자
22 : 투입구 24,26 : 파쇄실
30 : 호퍼 30a : 격판
40 : 파쇄장치의 몸체 42,44 : 프레임
46 : 전방벽 48 : 후방벽
70 : 모터 74,78 : 풀리
76 : 벨트 80 : 평형추
100 : 회전자 본체 102 : 라이닝
118 : 고정자 라이너 120 : 격자형 요홈
132 : 긴장구 150 : 지지핀
156,157 : 유압 실린더 176,177 : 스위치 기구
본 발명은 압축 파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편심회전축에 지지된 회전자의 편심 회전운동에 의하여 암석 및 파쇄물등을 고속으로 파쇄시킬 수 있는 암석재의 파쇄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건설 및 건축 구조물등에는 골재가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골재는 하천에서 채취한 천연 자갈등 있으나 통상 산등에서 채굴한 암석, 석재등을 파쇄기에 의해 적절한 크기로 파쇄시킴으로서 얻는 경운가 대부분이다. 파쇄기는 광산뿐만 아니라 골재산업 및 기타 일반산업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파쇄기능에 따라 통상 압축 파쇄기와 충격 파쇄기로 나눌 수 있다. 압축 파쇄기로는 죠 크라샤(jaw crusher), 자이레토리 크라샤(gyratory crusher), 콘 크라샤(cone crusher), 로울 크라샤(roll crusher), 팬 크라샤(pan crusher) 등이 있다. 충격 파쇄기로는 햄머 크라샤(hammer crusher), 로터 임팩터(rotor impactor), 수직 원심형 충격 파쇄기(vertical centrifugal impact drusher), 케이지 밀(cage mill)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파쇄기들은 각기 다른 형태의 파쇄기가 갖지 못한 장점을 갖고 있으나 광범위한 산업분야에 공통으로 널리 사용되기에는 힘든 결점들을 각각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충격 파쇄기는 일반적으로 회전 타격부재가 급속히 마모되는 결점을 갖고 있어서 일반적인 암석이나 경도가 높은 광물을 파쇄하는 데는 적합치 못하다. 특히, 이러한 종류의 파쇄기로는 큰 파쇄물 예를 들어 1m 이상의 직경을 갖는 암석을 다룰 수 없다. 로울 크라샤는 로울의 중앙부분이 로울의 가장자리 부분보다 집중적으로 마모되기 때문에 로울의 수명이 매우 단축되는 폐단이 있다. 또한 이러한 로울 크라샤는 직경이 큰 파쇄물을 다룰 수도 없다. 팬 크라샤는 입자가 작고 점성이 있는 물질을 파쇄와 동시에 혼합하는 용도 이외에는 일반적인 용도로는 전혀 사용할 수 없다.
위와 같은 이유 때문에, 현재 일반적으로 정착된 전형적인 파쇄공정에서는 제 1차 조쇄기로 죠 크라샤를 사용하여 파쇄 대상물을 조쇄한 다음 제 2차 파쇄기로 콘 크라샤 또는 자이레토리 크라샤를 사용하여 조쇄물을 잘게 파쇄하게 된다. 또한, 2차 파쇄기를 경유한 파쇄물을 더욱 잘게 파쇄하고자 할 경우 3차 파쇄기로 콘크라샤를 사용한다. 파쇄공정이 상기한 바와 같이 정착된 이유는, 죠크라샤는 파쇄물 투입구의 구조가 큰 파쇄물을 파쇄하기에 적합하게 되어 있어서 제 1차 조쇄기로 사용하기에는 편리하지만 파쇄효율이 좋지 못하여 2차 파쇄기로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하고, 큰 크라샤는 파쇄효율은 좋지만 그 구조상 큰 파쇄물을 수용할 수 없기 때문이다. 자이레토리 크라샤는 콘 크라샤와 유사한 특성을 갖고 있으나 콘크라샤가 다룰 수 있는 파쇄물보다 큰 것을 다룰 수 있다.
죠 크라샤의 파쇄효율이 콘 크라샤에 비해 나쁜 이유는 다음 두가지가 있다.
첫째는, 죠 크라샤는 그 파쇄작용이 본질적으로 이동죠판(moving jaw plate)의 왕복운동에 의해서 일어나기 때문에 이동죠판의 전체 운동주기의 반만이 파쇄작용에 이용된다. 그러나, 콘 크라샤의 경우에는 전 운동주기 모두가 파쇄작용에 이용된다.
둘째는, 죠 크라샤는 이동죠판이 유사 왕복운동을 하면서 진동 발생을 억제할 길이 없기 때문에 심한 진동이 발생하므로 저속으로 운전해야 된다. 실제 사용되고 있는 죠 크라샤의 운전속도는 초소형 죠 크라샤를 제외하고는 대략 200rpm 내외이다.
콘 크라샤는 진동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파쇄 효율면에서 죠 크라샤보다 월등한 성능을 가지고 있으나, 구조상 큰 파쇄물(예를 들면 직경 200mm 이상의 대형 파쇄물)은 다룰 수 없고, 더구나 구조가 대단히 복잡하고 정밀한 가공을 요하게 되므로 제조비용이 높게 되고, 사용기간 중에 수리나 부품을 교체하는데 장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자는 오랫동안 파쇄기를 사용해 오면서 죠 크라샤와 콘 크라샤의 장점을 갖추고 있으면서도 상기한 바와 같은 각종 크라샤의 단점을 해소한 파쇄기의 제작을 염원해 오다가 본 발명에 도달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큰 파쇄물을 손쉽게 다룰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파쇄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파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파쇄물의 고속 파쇄작동중에 진동발생을 완벽하게 억제할 수 있는 편심 회전형 무진동 파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파쇄기의 구조를 단순화시켜 제조비용을 낮춤과 아울러 일상적인 부품교체나 수리 및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파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은 암석등의 파쇄물을 파쇄하기에 적합한 파쇄장치에 있어서, 파쇄장치 몸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지지된 회전자와; 상기 파쇄장치 몸체에 설치되고, 상측에는 파쇄물 투입구가 제공되고 하측에는 파쇄물 배출구가 제공되게 하여 상기 회전자와의 사이에 파쇄실을 형성하도록 상기 회전자로 부터 이격 배치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곡선형 고정자를 포함하는 파쇄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파쇄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의 회전중심은 상기 회전축의 회전중심으로 부터 편위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파쇄장치는 상기 파쇄장치 몸체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자에 대하여 상기 고정자와 마주보는 판지로 배치되어 다른 하나의 파쇄실을 형성하는 다른 하나의 고정자를 더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회전축의 양단부에는 상기 회전자의 회전운동의 균형을 잡기 위한 평형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각 고정자에는 상기 파쇄장치 몸체의 상면에 설치되어 고정자를 회전자로 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기는 긴장구가 회동가능하게 피봇되어 있다. 또한 각 고정자의 하단부에는 상기 각 고정자를 지지하고 상기 회전자에 대해 위치설정할 수 있는 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쇄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겠다.
제1도는 본 발명의 기본 파쇄개념에 따른 파쇄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파쇄장치는 기본적으로 회전자(10)와, 상기 회전자(10)로 부터 적절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회전자(10)와의 사이에 파쇄실(24)을 형성하도록 배치된 고정자(20)와, 상기 고정자(20)의 상단부에 위치되어 파쇄물을 파쇄실(24)내에 투입시키기에 적합한 호퍼(30)로 구성되어 있다. 호퍼(30)의 우측부분은 고정자(20)의 상단부에 위치하고 좌측부분은 회전자(10)쪽으로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파쇄물이 파쇄실로 유도되게 한다.
제1도에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회전자(10)는 원통형의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후에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회전축(12)상에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지지되어 있다.(제7도 참조). 회전자(10)의 회전중심 축선(C2)은 회전축(12)의 회전증심 축선(C1)에 대하여 미소한 거리로 편위되어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위치설정되어 있다. 회전자 구동용 회전축(12)은 편심구조로 형성되며, 이후에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적절한 구동수단, 예를 들면 풀리나 기어 또는 체인등에 의해 회전운동을 하게 된다. 회전축(12)은 회전축의 중심축선(C1)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파쇄장치 몸체(40)의 프레임(제5도 및 제7도 참조)에 대해 장착되어 있고, 회전자(10)는 회전축(12)의 축선(C1)을 중심으로 궤도운동을 하도록 회전축(12)상에 편심상태로 설치되며, 또 원통형 회전자벽(11)을 갖고 있다. 상기 회전자벽(11)은 회전축의 축선(C1)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되고, 회전축(12)이 회전하고 또 회전자(10)가 궤도운동을 할 때, 회전자벽(11)은 회전축의 축선(C1)에 대해 주기적으로 측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이후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고정자(20)는 파쇄장치 몸체(40)의 프레임에 설치되어 있다. 고정자(20)는 고정자벽(23)을 가지며, 상기 고정자벽(23)은 회전자벽(11)으로부터 대향되게 이격되고 회전자벽(11)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투입구(22)와 배출구(18) 사이에 위치된 파쇄실(24)의 대향벽을 규정한다. 그에 따라, 파쇄실(24)을 통해 투입구(22)로부터 배출구(18)로 암석재의 공급방향이 규정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축(12)이 C1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면, 회전자(10)는 C2를 중심으로 편심운동을 하게 된다. 이 경우 회전자(10)의 벽(11)은 각기 점선으로 표시된 외측 한계선(14)과 내측 한계선(16) 사이의 전영역에 걸쳐서 지나가게 된다. 이때에 회전자(10)의 편심운동은 회전축(12)의 회전 방향과는 무관하다. 다시말해서 회전자(10)는 회전축(12)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또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수도 있으며 회전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한 어떠한 경우라도 회전자(10)의 벽(11)의 편심운동 영역에는 조금의 차이도 없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파쇄개념에 따르면 고정자(20)는 회전자(10)에 대해 곡선형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하부에는 잘게 파쇄된 파쇄물이 배출될 수 있게 하는 비교적 좁은 배출구(18)가 제공되고 상방으로 갈수록 회전자(10)로 부터의 간격이 점차 커지게 이격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고정자(20)의 상부와 호퍼(30)의 하부지역에는 대형 파쇄물을 용이하게 투입시키기에 적합한 넓은 투입구(22)가 제공된다. 또한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자(20)의 원호중심(C3)은 회전축(12)의 회전중심 축선(C1)의 수직상방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파쇄장치에 있어서 파쇄물(W)의 파쇄작용은 순차적으로 연속적으로 일어나게 된다. 본 발명의 파쇄과정을 제1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예를 들어 회전축(12)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파쇄실(24)의 상측부에 위치한 큰 파쇄물이 파쇄되면 다음에는 바로 그 하방에 위치한 파쇄물이 파쇄되게 하여 파쇄작용은 회전축(12)의 회전각도에 따라 연속적으로 일어난다. 제1도에 회전자(10)의 벽(11)이 내측 한계선(16)까지 후퇴하였을 때 파쇄물(W)이 회전자(10)와 고정자(20) 사이에 끼인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회전축(12)이 ½회전하게 되면 회전자의 벽(11)이 외측 한계선(14)까지 이동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도시된 파쇄물(W)은 강한 압축력을 받아 파쇄된다. 이러한 파쇄과정을 통해 크기가 작아진 파쇄물은 회전자(10)의 벽(11)이 내측 한계선(16) 쪽으로 이동할 때 중력의 작용으로 하강하여 좁아진 파쇄실(24)에서 다시 파쇄작용을 받게 된다. 이러한 파쇄과정은 잘게 부서진 파쇄물이 배출구(18)를 거쳐 나갈 때까지 반복된다. 위와 같은 파쇄과정에 비추어 보면 본 발명의 파쇄작용은 회전자(10)의 전 회전주기에 걸쳐서 일어나게 되어 파쇄효율을 매우 높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파쇄장치의 이러한 파쇄 형태는 콘 크라샤나 자이레토리 크라샤의 파쇄 형래와 동일하나, 콘크라샤나 자이레토리 크라샤에서는 파쇄물의 진행방향이 회전축과 평행한 방향이고 본 발명에서는 직각방향인 것이 본질적으로 상이하다.
죠크라샤에서의 파쇄형태는 본 발명의 파쇄장치에서의 파쇄 형태와는 완전히 다르다. 죠크라샤에서는 서로 마주보고 있는 고정 파쇄판과 이동 파쇄판의 간격이 좁아지기 시각하는 주기에서는 파쇄판 전체에 걸쳐서 파쇄작용이 일제히 일어난다.
따라서 회전축과 지지 베어링에 심한 부하가 걸렸다가 두 파쇄판이 서로 멀어지는 주기에서는 무부하에 가까운 상태가 된다. 이러한 파쇄형태는 바로 죠크라샤의 비효율성이 근본적인 이유가 된다.
제2도에는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파쇄장치의 개념이 도시되어 있다. 제2도에 도시된 파쇄장치는 회전자(10)의 좌,우측에 동일한 구조의 제 1 및 제 2 고정자(20)(21)가 서로 대칭관계로 배치되어 있다는 점에서 제1도에 도시된 것과 다르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퍼(30)의 양측 하단부는 제 1 및 제 2 고정자(20)의 상단부에 위치되어 그 사이에 커다란 투입구(22)를 제공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형태의 파쇄장치는 제1도에 도시된 형태의 파쇄장치보다 훨씬 더 효율적인 파쇄를 행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고정자(20)(21)도 각기 회전자벽(11)으로부터 대향되게 이격되고 회전자벽(11)에 평행하게 배치된 제 1 및 제 2 고정자벽(23)(25)을 구비하여 투입구(22)와 배출구(18) 사이에 위치된 제1 및 제 2 파쇄실(24)(25)의 대향벽을 규정한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파쇄실(24)(26)을 통해 투입구(22)로부터 배출구(18)로 암석재의 제 1 및 제 2 공급방향이 각기 규정된다. 위와 같이, 2개의 고정자(20)(21)는 서로 떨어져 회전자(10)를 중심을 대칭으로 배치되고, 상기 회전자(10)는 제 1 및 제 2 고정자(20)(21)에 의해서 부분적으로 둘러싸여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회전자(10)의 벽(11)이 회전축(12)의 회전운동에 의하여 제 1 고정자(20) 쪽으로 접근하게 되면 제 1 파쇄실(24)로 진입한 파쇄물(W)을 파쇄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제 2 고정자(21)의 벽(25)과 회전자(10)의 벽(11) 사이의 제 2 파쇄실(26)은 그 공간이 넓어지게 되어 제 2 파쇄실(26)로 진입하여 파쇄된 파쇄물(W)은 중력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는 달리 회전자(10)의 벽(11)이 제 2 고정자(21)와 벽(25) 쪽으로 접근하게 되면 위와는 반대의 파쇄 과정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2도에 도시된 파쇄장치는 회전자(10)의 편심 궤도운동에 의하여 각 파쇄실(25)(26)의 대향벽간의 간격이 주기적으로 변경되므로, 제 1 파쇄실(24) 및 제 2 파쇄실(26)에서 파쇄작용이 교번적으로 반복하여 이루어지게 되어 파쇄효율을 제 1도에 도시된 것 보다 훨씬 더 높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형태의 파쇄개념을 채용한 파쇄장치는 이후의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제2도에 도시된 형태의 파쇄장치가 갖는 또다른 특징중의 하나는 한 파쇄장치에 의해서 마치 서로 다른 2대의 파쇄장치가 수행할 수 있는 파쇄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특징은 제3도에 명료하게 도시되어 있다. 제3도에 도시된 파쇄장치는 회전자(10)의 우측에는 대형 파쇄물을 파쇄하기 위한 제 1 고정자(20)가 설치되어 있고 회전자(10)의 좌측에는 소형 파쇄물을 파쇄하기 위한 다른 제 2 고정자(20a)가 설치되어 있다. 각 고정자(20)(20a)의 상단부에는 호퍼(30)의 양 하단부가 위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호퍼(30)에는 대형 및 소형 파쇄물을 각기 구분하여 투입시키기에 적합한 격벽(30a)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격벽(30a)은 회전자(10) 근처까지 경사지게 연장되어 있다.
또한 파쇄장치의 제 1 파쇄실(24)은 대형 파쇄물을 파쇄시키기게 적합하도록 비교적 크게 형성하고 파쇄장치의 제 2 파쇄실(26)은 소형 파쇄물을 파쇄시키기에 적합하도록 작게 형성할 수도 있다. 제3도에는 제 1 고정자(20)의 원호중심(C3)이 제 2 고정자(20a)의 원호중심(C3')파는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즉 제 1 고정자(20)의 벽(23)의 중심(C3)은 회전축의 중심축선(C1)으로부터 제 1 축선 간격으로 수직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제 2 고정자(20a)의 벽(25)의 중심(C3')은 회전축의 중심축선(C1)으로 부터 제 2 축선 간격으로 수직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제 2 축선 간격은 제 1 축선 간격보다 작게 되어 있다. 그에 따라, 제 2 파쇄실(26)의 특정위치에서 제 2 파쇄실(26)의 단면적은 제 1 파쇄실(24)의 대응하는 특정위치에서 제 1 파쇄실(24)보다 작게 형성된다. 그러나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각 고정자의 원호중심이 같도록 각 고정자를 설계할 수도 있다. 회전자(10)의 편심 회전운동에 의한 제3도에 도시된 파쇄장치의 파쇄동작은 제2도에 도시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제3도를 참조하여 파쇄과정을 설명하면, 대형 파쇄물은 호퍼(30)와 격벽(30a)에 의해 형성된 제 1 파쇄실(24)로 투입되어 회전자(10)의 편심회전운동에 의해 반복적으로 파쇄된다. 파쇄된 소형물은 배출구(18)를 통해 콘베이어(도시 않됨)위로 낙하되어 스크린(도시 않됨)으로 보내져 적절한 크기로 분류된다. 소정와 크기 보다 큰 파쇄물은 다시 컨베이어(도신 않됨)에 의해 이동되어 호퍼(30)와 격벽(30a)에 의해 형성된 제 2 파쇄실(26)로 투입된 후 회전자(10)의 편심 회전운동에 의해 잘게 파쇄된 다음 배출구(18)를 통해 배출되면서 파쇄장치의 제 1 파쇄실(24)에서 파쇄된 파쇄물과 혼합되어 컨베이어 위로 낙하하여 스크린으로 이송되어 다시 적절한 크기로 분류된다. 본 발명의 파쇄장치의 이와같은 특징은 간단한 구조를 요하는 사용처 예를 들면 이동식 파쇄 플랜트에 사용될 때 특히 유용하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형태의 고정자(20)(20a)를 회전자(10)의 좌,우에 배치하지 않더라도, 제2도에 도시된 파쇄장치도 파쇄물의 배출구(18)의 개방각도를 서로 다르게 조절하고, 호퍼(30)에 격벽을 설치하여 서로 다른 파쇄성능을 갖는 2대의 파쇄장치로 분리 사용할 수 있다.
제4도에는 회전자(10)와 협력하여 파쇄물을 파쇄하는 다양한 형태의 고정자(20)가 도시되어 있다. 고정자(20)의 형태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제작가공 기술상 곡선의 형태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고정자의 형태가 곡선의 형상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설계자에 의해 적절한 구조로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곡선형 고정자와 회전자와의 공간 배치방법은 무한하나, 설명의 편리성을 위해 제4도에는 동일한 파쇄비율(투입가능한 최대 파쇄물 직경 ÷ 배출가능한 최대 파쇄물 직경)을 유지하면서 투입되는 파쇄물의 크기에 따라 고정자를 설계하는 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제4도에는 C1은 회전축의 회전중심 축선이고, C2내지 C5는 각 고정자의 원호 S2내지 S5의 중심을 나타낸다. C2내지 C5는 회전축이 수평으로 놓여 있을때 C1을 지나는 수직선상에 각각 위치하며 원호 S2내지 S5의 연장선이 상기 수직선과 만나는 지점을 D2내지 D5라하고 회전자의 원이 상기 수직선과 만나는 지점을 D1이라 하면의 관계가 성립된다. 여기서는 점 C1과 점 C2사이의 거리를 표시하며,도 점 D1과 D2사이의 거리를 나타낸다. 나머지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두점 사이의 거리를 의미한다. 회전자의 원은 제1도에 점선으로 표시된 내측 한계선 또는 외측 한계선 또는 그 사이의 어떤 원으로 잡아도 무방하며 설계목적에 따라 적의 취사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제4도에는 고정자의 원호가 C1을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과 만나는 각도에 관한 것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같이 C1을 지나는 임의의 선이 S2내지 S5와 만나는 지점에서 C1을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호를 그어서 이 원호가 S2내지 S5와 만나는 지점에서 이루는 각도를 α2내지 α5라하면 이 각도는 바로 회전자의 원주표면과 원호 S2내지 S5의 원호가 그 지점에서 이루는 각이라 볼 수 있다. 이 각은 파쇄물의 미끄럼 각도가 된다.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α2내지 α5는 α2< α3< α4< α5의 관계가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은 동일한 크기의 회전자를 사용하여 큰 파쇄물을 파쇄하는 고정자를 설치하면 파쇄물의 미끄럼 각도가 커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파쇄물의 미끄럼 각도는 약 25° 이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여 약 22° 이내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파쇄장치에 의해 상당한 정도까지 파쇄된 파쇄물(예를 들면 직경이 약 50mm 정도)을 후술하게 될 다층 파쇄현상을 이용하여 더욱 미세하게 파쇄하고자 할 경우에는 제4도에 도시된 S1곡선과 같이 고정자의 원을 회전자의 원과 동심(同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할 경우 파쇄장치의 투입구로 투입된 파쇄물이 배출구로 나가는 긴 파쇄경로에서 여러차례에 걸쳐서 다층파쇄가 일어나게 되고 둥근모양에 가까운 좋은 입자 형태를 갖는 작은 입자 크기의 파쇄물을 대량으로 얻을 수 있다.
다음에는 도면 제5도 내지 제18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제5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파쇄장치의 정면도로서 파쇄장치의 외관중 일부를 도시한 것이고, 제6도는 제5도에 도시된 파쇄장치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축(12)은 파쇄장치 몸체(40)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파쇄장치의 몸체(40)는 서로 대칭관계로 배치된 좌측 프레임(42)과 우측 프레임(44)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각 프레임(42)(44)의 전방 및 후방벽(46)(48)의 접속지역에는 그 상,하부에 프랜지(50)(52)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좌,우측 프레임(42)(44)은 각 프랜지(50)(52)에 체결된 볼트(54)에 의해서 서로 분리가능하게 견고히 결합된다. 파쇄장치 몸체(40)의 상부에는 호퍼(3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호퍼(30)는 상기 좌,우측 프레임(42)(44)의 접속지역의 수직선을 따라 서로 대칭관계로 배치된 좌측부분(32)과 우측부분(34)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호퍼(30)의 좌,우측부분(32)(34)은 그것의 전,후방벽(36)(38)에 서로 대응관계로 형성된 플랜지(56)(58)에 체결된 볼트(61)에 의해서 서로 분리가능하게 견고히 결합되어 있다.
각 프레임(42)(44)의 전,후방 벽(46)(48)은 분리가능한 단부 벽부분으로 분할될 수 있으며, 그 하단에는 피봇핀(60)(62)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각 피봇핀(60)(62)은 좌대(64)의 지지편(66)(68)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이후에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파쇄장치의 부품의 수리 또는 보수시에 각 프레임(42)(44) 및 호퍼(30)는 볼트(54)(61)를 풀어내면 좌대(64)의 지지편(66)(68)을 중심으로 각기 외측으로 90° 회전가능하게 분리되어, 회전자(10), 회전축(12) 및 고정자(20)(21) 등에 접근할 수 있다. 각 프레임(42)(44)의 전후방벽(46)(48)에는 이러한 분리에 협동하기 위한 구멍(15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좌대(64)의 전후방에는 각기 회전축(12)을 구동하는 모터(70)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으며(제6도 참조), 각 모터(10)의 구동축(72)에는 풀리(74)가 고정되어 모터(70)의 동력이 벨트(76)를 통해 회전축(12)에 고정된 풀리(78)에 전달됨으로써 회전축(12)이 회전하게 된다. 회전축(12)의 각 풀리(78)에는 평형추(balance weight)(80)가 볼트(82)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이 평형추(80)의 기능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제7도는 제5도의 A-A 선을 따라 취한 본 발명의 파쇄장치의 횡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제7도에 명료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측(12)은 파쇄장치 몸체(40)의 좌,우측 프레임(42)(44)의 각 전,후방벽(46)(48) 접속지역에 베어링(84)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회전축(12)을 지지하는 각 베어링(84)은 좌,우측 프레임(42)(44)의 전,후방벽(46)(48)에 형성된 반원형 절결부(49)에 끼워져 고정되는 하우징(86)내에 설치되어 있다. 위와 같은 베어링 조립체는 회전축(12)을 각 프레임(42)(44)에 대해 회전하도록 장착하기 위해 상기 전후방벽과 협동하는 회전축 장착수단으로서 역할을 한다. 각 하우징(86)에는 볼트(88)에 의해서 덮개(90)가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각 덮개(90)에는 먼지가 베어링(84)내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시일재(92)가 내장되어 있다. 또한 각 하우징(86)의 덮개(90)에는 베어링(84)을 윤활하게 되는 그리스를 주입하기 위한 그리스 주입통로(94)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그리스 주입통로(94)의 외측에 그리스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니플(96)이 고정되어 있다.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12)은 2가지의 회전중심이 생기도록 가공되어 있다. 즉 회전중심의 하나는 풀리(78) 등의 구동기구에 의해서 구동되는 구동축(회전축)의 중심축선(C1로 표시됨)이고 다른 하나는 C2로 표시된 회전자(10)의 중심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축(12)의 양단부에는 각기 회전축(12)을 구동하는 풀리(78)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각 풀리(78)는 동력을 회전축(12)에 전달하는 일 이외에도 플라이휘일로서도 작용을 하며 또한 평형추(80)를 부착시키기 위한 지지구의 역할도 한다. 제7도에 명료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평형추(87)는 각 풀리(78)에 동일한 중량으로 회전축의 축선(C1)에 대해 회전자 중심(C2)의 정반대쪽에 위치하도록 부착된다. 이 평형추(80)는 회전축상의 회전자(10)의 회전중심(C2)이 회전축(12)의 중심축선(C1)과는 약간 편위되어 있으므로 회전축(12)의 회전시 이로 인해 진동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러한 진동을 상쇄시키기 위해서 설치된 것이다. 각 평형추(80)는 각기 무게가 상이한 여러장의 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평형추(80)는 파쇄물의 파쇄시에 회전자(10)가 마모되어 그 무게가 감소되면 상기 편의 회전자의 무게에 맞추어 떼어내어 진동을 적절히 상쇄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히 이 평형추(80)는 회전축(12)의 양측에 모두 설치되어 있으므로 회전자(10)의 무게 편중을 정확하게 균형잡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파쇄장치의 큰 장점중의 하나는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계통의 정확한 균형성이며 이로 인하여 회전자(10)는 고속회전 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회전자(10)가 고속으로 회전하게 되면 파쇄비율이 이에 비례해서 크게 증가함과 동시에 파쇄물의 입자끼리 서로가 서로를 부수는 다층 파쇄현상이 현저하게 증가되어서 파쇄된 파쇄물의 입자 모양이 둥글게 되고 입도 분포가 이상적으로 변하게 된다. 다층 파쇄에서는 회전자(10)와 고정자(20) 사이에 파쇄물이 한층이 있는 것이 아니고 여러층이 있게 되므로 회전자(10)와 고정자(20) 사이의 배출간격이 반드시 파쇄된 파쇄물의 크기를 결정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하면 회전자(10)와 고정자(20) 사이의 파쇄물의 배출간격이 크더라도 작은 크기의 파쇄물이 많이 생성되게 한다. 이것은 또다시 생산량의 증가를 가져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파쇄장치의 생산속도는 다른 파쇄장치에 비해서 월등히 크며 이에 따라 필요로 하는 동력도 커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파쇄장치에서는 회전축(12)을 양측에서 구동할 수 있는 구동기구를 갖추고 2대의 모터에 의해서 구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회절축(12)의 회전속도를 낮추면 소요동력도 낮출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1대의 모터로 회전축(12)을 구동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며 이때는 파쇄장치의 생산능력도 그에 따라 낮아진다.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자(10)는 베어링(98)을 통해 회전축(12)에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회전자(10)는 상기 베어링(98)에 지지되어 있는 회전자 본체(10)와 이 회전자 본체(100)의 외면에 부착된 라이닝(102)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라이닝(102)은 장기간의 파쇄작업으로 인해 마모되떤 이를 용이하게 벗겨내고 교체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라이닝(102)을 회전자 본체(100)에 부착하는 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있으나 라이닝의 열변형을 이용하여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말하면 라이닝(102)의 내경을 회전자 본체(100)의 외경보다 작게 가공하여 라이닝(102)을 가열하여 팽창시킨 다음 회전자 본체(100)의 외면에 삽입시켜 부착하는 방법이다. 회전자 본체(100)에 삽입된 라이닝(102)은 소정의 시간이 경과되면 대체로 원래의 상태로 수축되어 회전자 본체(100)의 외면에 견고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열변형법을 사용하면 라이닝(102)을 회전자 본체(100)에 어떤 취부기구를 이용하는 일없이 부착할 수 있고 또한 라이닝(102)이 거의 마모될 때까지 사용할 수 있으므로 매우 경제적이다. 특히 라이닝(102)을 회전자 본체(100)에 삽입할 때 먼저 회전자 본체(100)의 외면에 수밀리미터 정도의 두께를 갖는 얇은 튜브형 라이닝을 삽입하여 부착시킨 다음 상기 라이닝(102)을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부주의로 라이닝(102)의 마모 상태를 모르고 파쇄작업을 계속 할 경우에 회전자 본체(10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또한 회전자 본체(100)의 양측에는 베어링(98)을 덮는 덮개(104)가 고정되어 있으며, 각 덮개(104)의 내측에는 먼지가 베어링(98)내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시일재(106)가 설치되어 있다. 베어링(98)에의 그리스 주입은 회전축(12)에 형성된 그리스 주입통로(108)를 통해 이루어지며, 상기 그리스 주입통로(108)의 외측에는 그리스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니플(110)이 고정된다. 특히 회전축 지지 베어링(84) 및 회전자 지지 베어링(98)에 그리스 대신 윤활유를 공급하여 윤활을 하고자 할 때(그리스 윤활보다 고속회전이 요구될 때)는 시일재 이외의 별도의 오일시일을 추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고정자(20)는 외판(112)과, 상기 외판(112)에 다수의 격판(114)을 통해 고된 내판(116)과, 상기 내판(116)에 부착된 고정자 라이너(118)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자(20)의 구조는 제8도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또한 제8도 및 제9도에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파쇄장치의 장기간 사용으로 고정자 라이너(118)가 마모될 경우, 고정자 라이너(118)의 교체시기를 손쉽게 판별할 수 있도록 내판(116)에 접촉되는 고정자 라이너(118)의 외면에는 다수의 격자형 요홈(120)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고정자 라이너(118)가 거의 마모되어 요홈(120)이 노출되거나 깨지면 고정자 라이너(118)를 새로운 것으로 교체해야 됨을 알려준다.
한편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자 라이너(118)는 다수의 볼트(122) 및 너트(124)에 의해서 고정자(20)의 내판(116)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상기 각 볼트(122)는 고정자 라이너(118)의 마모로 인해 파쇄물과 충돌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대략 요홈(120)의 높이 정도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자 라이너(118)는 파쇄물이 파쇄될 때 주로 내관(116)에 밀착되는 방향으로만 힘을 받는다. 따라서, 고정자 라이너 부착용 볼트(122)는 별로 큰 힘을 받지 않게 된다. 한편 파쇄작업시 고정자 라이너(118)가 내판(116)을 따라 미끄러지려는 힘을 받게 되는 바, 이러한 힘은 볼트(122)에 의해서 억제되지만 고정자 라이너(118)의 미끄럼 현상을 완벽하게 방지하기 위해서는 고정자 라이너(118)를 다수의 키이(126)에 의해 내판(116)에 더욱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제10도 및 제12도 참조).
또한 제6도 및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쇄장치 몸체(40)의 좌,우측 프레임(42)(44)의 전,후방벽(46)(48)에는 측판 라이너(128)(130)(제11도 참조)를 부착하여, 파쇄작업시 전,후방벽(46)(48)이 파쇄물로 부터 보호되게 한다.
제12도는 제6도의 B-B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로서 이 도면에는 고정자(20)를 위치설정할 수 있는 구조가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제1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고정자(20)(21)는 각기 제 1 단부(201) 및 제 2 단부(211)를 구비하며, 제 1 단부(201)는 또한 투입구(22)에 인접하여 위치되고 지지핀(150)에 의해 프레임(42)(44)에 대해 일정 각도 범위내에서 회전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각 고정자(20)(21)는 각 프레임(42)(44)의 전후방벽(46)(48)에 적절한 고정수단 예를 들면 볼트 체결 또는 용접에 의해 유동되지 않게 고정할 수도 있다. 한편, 각 고정자(20)(21)의 하측에는 각 프레임(42)(44)의 전후방벽(46)(48)에 형성된 구멍(152)(제5도 참조)과 대략 동일한 크기의 구멍(154)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구멍(152)(154)의 역할에 대해서는 이후에 더욱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각 고정자(20)(21)의 제 2 단부(211)는 고정자(20)(21)를 각기 위치설정하기 위한 고정자 위치설정 수단(151)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각 고정자 위치설정 수단(151)은 선형 작동기, 예를 들어 유압 실린더(156)(157)를 구비하고 있는데, 상기 각 유압 실린더(156)(157)는 내단부에서 이후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제한된 회전을 하도록 좌대(54)에 설치되어 있다. 각 유압 실린더(156)(157)의 피스톤 로드(158)(159)는 그의 외단부에서 핀(160)(161)에 의해 각 고정자(21)(20)의 제 2 단부(211)에 회동가능하게 피봇되어 있다. 각 유압 실린더(156)(159)에는 체임버(162)(163) 및 (164)(165)가 제공되어 있다. 고정자 위치설정 수단(151)의 유압 실린더(156)(157)는 이후에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유압회로(제14도 참조)에 의해서 작동되고, 고정자 위치 감지수단과 연합하여 그의 동작을 수행하며, 사전설정된 임계력이 초과될 때 파쇄장치 몸체(40)에 대한 고정자(20)(21)의 항복이동을 허용하는 항복가능한 고정자 장착수단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이러한 유압 실린더(156)(157)의 주요 기능은 고정자(20)(21)를 지지 및 위치설정할 뿐만 아니라 파쇄작업시 고정자(20)(21)에 과도한 힘이 가해지는 경우 파쇄장치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고정자(20)(21)를 적절히 움직이게 하는데 있다.
또한, 제12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각 고정자(20)(21)의 외측에는 고정자(20)(21)를 회전자(10)로 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잡아당기는 고정자 후퇴수단, 즉 긴장구(132)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각 긴장구(132)는 각 프레임(42)(44)의 상면(146)을 통하여 연장된 원통형 부재(134)와, 상기 원통형 부재(134)내에 위치되고 고정자(20)(2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나사봉(136)과, 상기 나사봉(136)의 단부에 나사 결합된 너트(138)에 지지되어 나사봉(136)을 상방으로 가압하는 인장 스프링(140)과, 상기 원통형 부재(134)의 상부에 고정되고 양측에 핀(142)(제6도 참조)을 갖는 지지캡(144)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각 지지캡(144)의 핀(142)은 각 프레임(42)(44)의 상면(146)에 고정된 브라켓(148)에 일정 각도 범위내에서 유동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제6도 참조). 따라서 긴장구(132)는 파쇄작업시에 고정자(20)(21)를 회전자(10)로 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잡아 당기도록 고정자에 비교적 약한 외력(후퇴력)을 인간하게 되며, 그에 따라 고정자(20)(21)는 회전자(10)에 대한 간섭 및 고정자의 덜걱거림을 피할 수 있다. 인장 스프링(140)에 의한 외력은 상기 항복가능한 고정자 장착수단에 의한 힘과는 반대방향으로 작용하지만, 그 힘 보다는 작게 되어 있다.
제13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각 유압 실린더(156)(157)의 양측 외벽에는 브라켓(166)(167)이 용접되어 있고, 각 브라켓(166)(167)에는 좌대(64)의 지지부재(168)(169)에 고정된 핀(170)(171)이 삽입되도록 구멍(172)(17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핀(170)(171)은 결합부재(174)(175)에 의해 지지부재(168)(169)에 고정된다. 따라서 각 유압 실린더(156)(157)는 좌대(64)에 대해 핀(170)(171)을 중심으로 일정한 각도내에서 회동가능하게 된다.
제12도를 다시 참조하면, 각 고정자(20)(21)의 일측에는 고정자(20)(21)의 변위를 검출하여 유압 실린더(156)(157)를 적절히 작동시키기 위한 고정자 위치 감지수단, 즉 스위치 기구(176)(177)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각 스위치 기구(176)(177)는 각 고정자(21)(20)의 일측에 고정되어 각 프레임(42)(44)에 형성된 절결공(178)(179)을 통하여 외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만곡형 봉(180)(181)과, 상기 만곡형 봉(180)(181)에 조절가능하게 고정된 접촉자(182)(183)와, 상기 접촉자(182)(183)에 접촉가능하도록 각 프레임(42)(44)에 설치된 스위치 레버(184)(185)로 구성되어 있다. 각 스위치레버(184)(185)는 일련의 연동스위치(SW2, SW2', 및 SW4, SW4')를 작동하도록 되어 있다(제15도 참조). 실제로, 접촉자(182)(183) 및 스위치 레버(184)(185)는 고정자(21)(20)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고정자 감지 수단으로서 역할을 하고, 상기 고정자(20)(21) 및 프레임(42)(44)과 협동한다. 또한, 각 스위치 레버(184)(185)는 상기 고정자 감지수단 및 고정자 위치설정 수단과 협동하는 신호수단으로서 역할을 한다.
제14도 및 제15도에는 고정자 위치설정 수단(151)과 관련하여 유압 실린더(176)(177)를 작동시키는 유압 회로도 및 전기 회로도가 도시되어 있다. 제14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각 유압 실린더(156)(157)의 체임버(162)(163) 및 (164)(165)는 라인을 통해 릴리프 밸브(186)(188)와 접속되어 있다. 각 릴리프 밸브(186)(188)의 고압측은 각 유압 실린더(156)(157)의 체임버(162)(164)에 접속되고 저압측은 체임버(163)(165)에 접속되어 있다. 릴리프 밸브(186)(188)는 저압상태에서는 폐쇠되어 있다가 소정의 압력보다 큰 압력이 작용하면 개방되어 고압측의 작동유가 저압측으로 흐르게 하여 릴리프 밸브가 연결된 회로내의 압력이 소정압력 이상으로 상승하지 않도록 조절하여 고정자가 과도한 힘을 받을 때 회전자로부터 멀리 이동되어 임계력을 해방하는 역할을 한다. 탱크(190)에 저장된 작동유는 유압펌프(192)에 의해 각 유압 실린더(156)(157)로 공급되는 바, 이 작동유는 정방향, 역방향 및 중립 상태로 작동하는 방향전환 밸브(194)를 거치고 솔레노이드 밸브(196)(198)를 거쳐서 각 유압 실린더(156)(157)의 체임버(162)(164)로 공급되거나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196)(198)를 거치지 않고 각 유압 실린더(156)(157)의 체임버(163)(165)로 공급된다. 작동유가 솔레노이드 밸브(196)(198)를 거쳐서 각 유압 실린더(156)(157)의 체임버(162)(164)에 공급되는 것을 편의상 정방향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제12도에 도시된 각 스위치 레버(184)(185)는 각 고정자(21)(20)의 변위에 따라 각기 2개의 연동 스위치(SW2, SW2', 및 SW4, SW4')를 작동시키게 되는 바, 예를 들어 제 1 고정자(20)가 과도한 파쇄물의 충격에 의해 외측으로 변위되어 만곡형 봉(181)의 접촉자(183)가 스위치 레버(185)로 부터 떨어지게 되면 상기 스위치 레버(185)의 작동에 따라 2개의 연동 스위치(SW4, SW4')는 각기 폐쇄된다(제15도 참조). 이 경우 2개의 연동 스위치 중 하나는 솔레노이드 밸브(198)를 개방시키고 나머지 하나는 유압펌프(192)를 가동시킨다.
이와 관련하여 제14도 및 제15도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SW1은 솔레노이드 밸브(196)를 수동으로 개폐시키기 위한 스위치이고, SW2및 SW2'는 일측의 스위치 레버(184)에 의해 작동되는 일련의 연동 스위치로서 솔레노이드 밸브(196) 및 유압펌프(192)를 작동시켜 일측의 유압 실린더(156)가 구동되게 한다. SW3는 유압펌프(192)를 수동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스위치이다. SW4및 SW4'는 타측의 스위치 레버(185)에 의해 작동되는 일련의 연동 스위치로서 솔레노이드 밸브(198) 및 유압펌프(192)를 작동시켜 타측의 유압 실린더(157)가 구동되게 한다. SW5는 솔레노이드 밸브(198)를 수동으로 개폐시키기 위한 스위치이다. 스위치(SW6)는 솔레노이드 밸브(200)를 수동으로 조작하기 위한 스위치이다. 수동 조작용 스위치(SW1, SW3, 및 SW5)가 모두 개방되어 있고 방향전환 밸브(194)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개개의 고정자(21)(20)는 접촉자(182)(183) 및 스위치 레버(184)(185)에 의해서 자동으로 위치설정된다. 양측 고정자(21)(20)의 지지 및 위치설정은 각 유압 실린더(156)(157)의 작동에 의해 동일한 과정을 통해 이루어지므로 설명의 편의상 제 1 고정자(20)의 위치설정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제 1 고정자(20)가 파쇄작업시 파쇄물의 충격력에 의해 외측으로 많이 벌어져서 접촉자(183)와 스위치 레버(185)가 서로 떨어지는 상태로 되면 스위치(SW4, SW4')가 폐쇄되어 솔레노이드 밸브(198)가 개방되며 유압펌프(192)가 작동된다. 따라서 작동유는 유압펌프(192)에 의해 방향전환 밸브(194) 및 솔레노이드 밸브(198)를 거쳐서 유압 실린더(157)의 체임버(164)로 공급되어 피스톤 로드(159)를 전진시킨다. 그러면 제 1 고정자(20)는 프레임(44)의 지지핀(150)을 중심으로 내측으로 이동하여 회전자(10)와의 사이가 점차 좁아진다. 따라서 이러한 작용은 제 1 고정자(20)의 만곡형 봉(181)에 부착된 접촉자(183)가 왼쪽으로 이동되어 스위치 레버(185)와 접촉하여 일련의 연동 스위치(SW4)(SW4')의 개방에 의해 솔레노이드 밸브(198)가 폐쇄됨과 동시에 유압펌프(192)가 정지될 때까지 계속되어 제 1 고정자(20)의 위치설정이 이루어진다. 제 2 고정자(21)의 위치설정도 같은 방법으로 진행된다. 이와같이 각 고정자(21)(20)의 제 2 단부를 유압 실린더(156)(157)로 지지하는 주목적의 하나는 각 고정자(20)(21)가 과도한 힘을 받아 파쇄장치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만일 예를 들어 제12도의 제 1 파쇄실(24)내로 예를 들어 로우더 등 중장비로부터 떨어져 나온 쇠로된 대형물체(큰 쇠붙이)가 유입되었다고 하면 유압 실린더(157)의 체임버(164)에 규정치보다 높은 압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 경우 릴리프 밸브(188)가 개방되어 체임버(164)에 가압되었던 작동유가 릴리프 밸브(188)를 통하여 체임버(165)로 이동하게 되므로 피스톤 로드(159)는 후퇴하게 되어 제 1 고정자(20)가 지지핀(150)을 중심으로 외측으로 회동되어 회전자(10)와의 사이의 거리가 커지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대형 쇠붙이는 파쇄장치를 손상시키는 일없이 제 1 파쇄실(24)로 부터 배출된다. 쇠붙이가 파쇄장치로 부터 빠져 나가면 릴리프 밸브(188)는 닫히게 되고 유압펌프(192)에 의해 공급되는 작동유는 체임버(164)내로 유입되어 제 1 고정자(20)는 다시 원래의 위치로 복귀된다. 이와같은 쇠붙이 배출과정은 자동으로 진행되는데, 만일 파쇄장치의 조작자가 큰 쇠붙이의 투입 사실을 알고 이 과정에 개입할 필요가 있으면 스위치(SW6)를 폐쇄시켜 솔레노이드 밸브(200)를 개방시키면 된다. 이렇게 하면 유압펌프(192)에 의해 공급된 작동유는 솔레노이드 밸브(200)를 거쳐 탱크(190)로 귀환되므로 유압 실린더(157)의 체임버(164)에 압력이 작용하지 않게 되어 제 1 고정자(20)는 아무런 힘을 받지 않고 급속히 뒤로 밀려서 쇠붙이가 제 1 파쇄실(24)로 부터 빠져 나가게 된다. 쇠붙이가 배출되고 나서 스위치(SW6)를 개방하면 솔레노이드 밸브(200)가 닫혀져서 작동유는 체임버(164)내로 공급되어 제 1 고정자(20)는 다시 원래의 위치로 복귀된다.
회전자(10)와 제 1 고정자(20) 사이의 간격을 변화시켜야 할 때는 접촉자(183)를 만곡형 봉(181)을 따라 좌우로 이동시키면 된다. 예를 들어 제 1 고정자(20)와 회전자(10) 사이의 간격을 크게 하려면 접촉자(183)를 우측으로 이동시키면 되고 간격을 좁히고 싶으면 좌측으로 이동시키면 된다. 고정자(20)(21)의 위치설정이 완만히 이루어지도록 유압 펌프(192)의 용량은 소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유압 실린더(156)(157)는 각 고정자(21)(20)의 위치설정 뿐만 아니라 파쇄장치를 분해 조립할 때 파쇄장치 몸체(40)를 좌대(64)의 지지편(66)(68)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구동기구로서도 이용된다. 파쇄장치를 수리 또는 보수하고자 할 경우 예를 들어 회전자 라이닝(102)이나 고정자 라이너(118)등을 교체시키고자 할 때는 먼저 방향전환 밸브(194)를 중립위치로 놓고 스위치(SW3)를 폐쇄시켜 유압 펌프(192)를 구동한다. 이때에 만일 제 1 고정자(20)를 이동시키고자하면 스위치(SW5)를 폐쇄하여 솔레노이드 밸브(198)를 개방시킨다. 그후에 방향전환 밸브(194)를 역방향으로 조작하여 유압 실린더(157)의 체임버(165)로 작동유를 유입시켜 제 1 고정자(20)를 우측 프레임(44)의 지지핀(150)를 중심으로 후퇴회동시킨다. 제 2 고정자(20)의 후퇴회동은 스위치(SW1)를 작동시키면 되며 제 1 고정자(20)의 후퇴회동 과정과는 개별적으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하면 각 고정자(21)(20)의 구멍(154)(제12도 참조)은 각 프레임(42)(44)의 전후방 측벽(45)(48)에 형성된 구멍(152)과 일치하게 되는데(제15도 참조) 이때에 각 구멍(152)(154)에 핀(153)을 삽입하여 각 고정자(21)(20)를 파쇄장치 몸체(40)의 각 프레임(42)(44)에 고정시킨다. 따라서, 전후방벽(46)(48)의 구멍(152), 고정자(20)(21)의 구멍(154) 및 핀(153)은 서로 협동하여 분리가능한 접근 접속수단을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조작을 할 때는 방향전환 밸브(194)는 중립위치에 둔다.
다음에 제1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42)(44) 및 호퍼(30)를 결합시키고 있는 볼트(54)(61)를 모두 풀어내고 또한 밸트(76)를 풀리(74)(78)에서 벗겨내면 파쇄장치는 분해될 수 있는 상태에 있게 된다. 그 다음에 방향전환 밸브(194)를 중립상태로 부터 정방향으로 조작하면 각 유압 실린더(156)(157)의 피스톤 로드(158)(159)가 전진하게 되고 각 프레임(42)(44)은 지지편(66)(68)을 중심으로 외측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에 회전축(12) 및 회전자(10)의 조립체는 떨어져 나오게 되므로 각 프레임의 회전과 동시에 적절한 장비를 사용하여 파쇄장치 몸체(40)로 부터 제거한다. 한편, 제16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각 프레임(42)(44)이 외측으로 회전될 때 각 유압 실린더(156)(157)는 좌대(64)의 핀(170)(171)을 중심으로 내측으로 회동된다. 한편 각 프레임(42)(44)의 하부 접촉지역에는 외측으로의 회동시에 서로의 간섭을 피하도록 절결부(220)가 형성되어 있다(제12도 참조). 제16도에는 각 프레임(42)(44)이 대략 절반정도 개방되어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각 유압 실린더(156)(157)는 독립적으로 작동되므로 한쪽씩 차례대로 가동할 수도 있다. 수리, 보수등이 완료되어 다시 조립하고자 할 때는 방향전환 밸브(194)를 역방향으로 조작하면 각 유압 실린더(156)(157)의 피스톤 로드(158)(159)가 수축하여 원상태로 되돌아 온다. 이때 적당한 단계에서 회전자(10) 및 회전축(12)의 조립체를 파쇄장치 몸체(40)내에 조립한다.
제17도에는 고정자(20)를 지지 및 위치설정하는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고정자(20)의 하측에는 돌출턱(202)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돌출턱(202)은 볼트(204)에 의해 지지되는 바, 상기 볼트(204)는 프레임(44)에 고정된 원통형 홀더(206)내에 삽입된 원통형 너트(208)에 나사 결합되어 있다. 또한 원통형 홀더(206)의 단부에는 원통형 너트(208)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캡(210)이 나사결합되어 있다. 회전자(10)와 고정자(20) 사이의 거리 조절은 볼트(204)의 회전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또한 캡(210)의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으로 노치(212)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고정자(20)에 의해 볼트(204)에 과도한 힘이 가해지면 캡(210)의 노치(212) 부분이 부러져서 볼트(204)가 너트(208)와 함께 원통형 홀더(206)에서 분리되므로 고정자(20)의 이동을 허용하여 파쇄장치를 보호하게 된다.
제18도에는 고정자(20)를 지지 및 위치설정하는 또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너트(208)의 일단부에 환상의 플랜지(214)가 형성되어 있고 원통형 홀더(206)와 너트(208) 사이에 스프링(216)이 설치되어 있으며 스프링(216)을 지지하는 나사(218)가 원통형 홀더(206) 내면에 결합되어 있다는 점에서 제17도에 도시된 실시예와 다르다. 볼트(204)는 너트(208)를 가압하는 스프링(216)에 의해 돌출턱(202)에 적절한 힘을 가하여 고정자(20)를 지지하게 된다. 파쇄작업중에 스프링(216)의 가압력보다 큰 힘이 볼트(204)에 작용하면 볼트(204)와 너트(208)는 스프링(216)을 압축하면서 후퇴이동하게 되므로 파쇄장치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제17도 및 제18도에 도시된 고정자 지지체는 소형 파쇄장치에서의 고정자를 위치설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각 프레임에 설치된다. 특히 제18도의 실시예에서 스프링은 쇠붙이등이 파쇄장치에 투입되는 경우 파쇄장치를 보호하는 완충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형태의 지지체를 사용하는 파쇄장치에서는 파쇄장치의 분해 및 조립시 파쇄장치 몸체의 이동은 포크레인등의 현장장비를 사용하면 좋을 것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파쇄장치의 기본 개념 및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예에 설명된 구체적인 사항들은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구현하는 수단중 극히 일부분에 해당될 뿐이다. 따라서, 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파쇄장치의 사용용도에 따라서 본 발명의 정신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형 중 몇가지 예를 설명하면 본 발명의 파쇄장치는 파쇄물의 이동이 중력에 의할 때는 회전축이 수평방향으로 위치하게 되나 파쇄물의 이동이 중력이외의 압력등의 힘으로 이루어질때는 회전축이 수직방향 또는 수직과 수평 사이의 어느쪽으로든 위치할 수 있다. 파쇄물의 이동이 압력에 의해 일어나는 한가지 예는 강이나 바다에서 퍼낸 준설물을 들 수 있다. 준설물중의 큰 입자는 파쇄장치로 파쇄되어 압력에 의해서 먼곳으로 이동가능하다.
회전자의 형상은 반드시 원통형일 필요는 없으며 또한 회전자의 벽과 고정자의 벽은 파형(wave)과 같은 다양한 요철면을 가질 수도 있다. 회전축은 회전자 양측에서 베어링에 의해 지지되지 않고 회전자의 일측에서만 외팔보형태로 지지되어도 무방하다.

Claims (15)

  1. 암석재를 파쇄하는 방법에 있어서, ① 암석재를 파쇄실내로 투입하는 단계와; ② 상기 파쇄실내에서 편심장착된 회전자를 회전축의 축선을 중심으로 궤도운동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회전축의 축선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또 상기 회전자가 궤도운동을 할 때 상기 축선에 대해 주기적으로 측방향으로 이동하는 회전자벽을 제공하고, 상기 회전자는 상기 파쇄실의 축방향으로 이격된 전후방벽내에 상기 회전자를 지지한 회전축을 회전가능하게 장착하는 것에 의해서 이동되며, 상기 각각의 전후방벽은 분리가능한 단부 벽부분으로 구성되고, 상기 단부 벽부분에 상기 분리가능한 인접 단부 벽부분을 분리가능하게 접속하고 또 상기 회전축을 장착하기 위한 분리가능한 접속수단을 제공하며, 상기 각각의 전후방벽이 좌대에 대해 제한된 회전을 하도록 2개의 축방향으로 이격된 단부 벽부분을 장착하는 단계와; ③ 고정자를 상기 회전자로부터 측방향으로 이격시키고, 서로 평행하고 그리고 상기 파쇄실의 대향벽을 부분적으로 규정하는 대향된 회전자벽 및 고정자벽을 제공하며, 상기 회전자가 이동할 때, 상기 대향벽간의 간격이 주기적으로 변경되고, 상기 고정자는 상기 좌대에 결합된 단부 벽부분에 대해 상기 고정자의 제 1 단부를 결합하는 것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좌대에 결합된 내단부 및 상기 고정자에 결합된 외단부를 갖는 선형 작동기로 상기 고정자의 제 2 단부를 항복가능하게 구속하여 파쇄력이 사전설정된 임계력을 초과할 때 상기 고정자벽이 항복가능하게 이동되게 하는 단계와; ④ 상기 파쇄실로부터 파쇄된 암석재를 배출하는 단계와; ⑤ 수리가 필요한 경우, 상기 회전자를 정지시킨 후에 상기 전후방벽의 상기 분리가능한 접속수단과 상기 회전축을 분리하고, 상기 고정자를 프레임의 벽에 분리가능하게 접속하며, 상기 선형 작동기를 작동시켜 상기 좌대에 대해 상기 단부 벽부분과 상기 고정자를 회전시키고, 상기 회전자로부터 상기 단부 벽부분 및 상기 고정자를 멀리 회동하여 상기 회전자, 상기 회전축 및 상기 고정자를 수리하기 위한 접근을 가능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암석재의 파쇄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벽이 사전설정된 임계력 이상의 파쇄력을 받을 때, 상기 회전축의 축선에 대해 상기 파쇄실의 고정자벽이 사전설정된 위치로부터 항복가능하게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암석재의 파쇄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력에 대한 상기 고정자벽의 항복이후에, 상기 고정자벽이 상기 사전설정된 위치로 자동적으로 복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암석재의 파쇄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가 구속되지 않을 때, 상기 고정자가 상기 회전자에 대해 외측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고정자에 비교적 약한 후퇴력을 인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암석재의 파쇄방법.
  5. 암석재를 파쇄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① 암석재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 및 파쇄된 암석재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와, 서로 축방향으로 이격된 전방벽 및 후방벽을 갖는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각각의 전후방벽은 2개의 분리가능한 단부 벽부분으로 구성되며, 상기 각 전후방벽의 적어도 하나의 분리가능한 단부 벽부분은 상기 벽부분들이 분리될 수 있도록 좌대의 지지편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파쇄장치 몸체와; ② 회전축의 축선을 중심으로 상기 파쇄장치 몸체에 대해 회전하도록 장착된 회전자 구동용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상기 프레임에 대해 회전하도록 장착하기 위해 상기 전후방벽과 협동하는 회전축 장착수단과; ③ 상기 회전축의 축선을 중심으로 궤도운동을 하도록 상기 회전축에 편심되어 장착되며, 상기 축선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또 회전자가 궤도운동을 할 때 상기 축선에 대해 주기적으로 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회전자벽을 구비한 회전자와; ④ 상기 파쇄장치 몸체에 장착되고 제 1 및 제 2 단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자로서, 상기 제 1 단부는 상기 프레임의 결합된 분리가능한 단부 벽부분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고정자는 상기 회전자벽으로부터 대향하여 이격되고 상기 회전자벽과 평행하게 배치된 고정자벽을 구비하여 상기 투입구와 상기 배출구 사이에 위치된 파쇄실의 대향벽을 규정하며, 상기 회전자가 궤도운동을 할 때 상기 대향벽간의 간격이 주기적으로 변경되는 고정자와; ⑤ 상기 좌대에 대하여 상기 고정자에 대한 항복가능한 장착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고정자와 상기 좌대 사이에 설치된 신장 및 수축가능한 선형 작동기를 구비한 항복가능한 고정자 장착수단과; ⑥ 상기 고정자를 상기 프레임의 분리가능한 단부 벽부분에 분리가능하게 접속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고정자를 상기 분리가능한 단부 벽부분에 접속할 때, 상기 회전축을 제거하고, 상기 선형 작동기의 작동에 의해 상기 각각의 결합된 분리가능한 단부 벽부분을 회전시켜 상기 각각의 단부 벽부분을 나머지 단부 벽부분으로부터 분리하고, 또한 상기 고정자 및 상기 분리가능한 단부 벽부분을 상기 회전축으로 부터 측방향 외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회전축, 상기 회전자 및 상기 고정자를 수리하기 위한 접근을 허용하는 분리가능한 접근 접속수단을 포함하는 암석재의 파쇄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항복가능한 고정자 장착수단은 상기 고정자벽이 사전설정된 임계력 보다 큰 측방향 외측으로의 힘을 받을 때, 상기 고정자벽이 상기 좌대에 대하여 상기 회전자로부터 멀리 항복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암석재의 파쇄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항복가능한 고정자 장착수단은 상기 회전자로부터 사전설정된 간격에서 상기 고정자를 위치설정하기 위한 고정자 위치설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자 위치설정수단은 상기 고정자 및 상기 프레임과 협동하는 암석재의 파쇄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항복가능한 고정자 장착수단은, ⓐ 상기 고정자의 위치를 감지하고, 상기 고정자 및 상기 프레임과 협동하는 고정자 위치 감지수단과, ⓑ 상기 고정자 위치 감지수단 및 상기 고정자 위치설정 수단과 협동하여 상기 프레임에 대해 상기 고정자를 요구된 위치에 자동적으로 위치설정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수단을 더 포함하는 암석재의 파쇄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 위치설정 수단은, ⓐ 상기 고정자와 상기 좌대 사이에 설치된 신장 및 수축가능한 유압 작동기와, ⓑ 상기 신호수단으로부터의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유압 작동기를 작동시키기 위해 가압된 유압유체를 공급하는 유압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암석재의 파쇄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 상기 고정자 위치 감지수단은 상기 고정자에 대해 위치되고, 사전설정된 위치에 대한 상기 고정자의 위치를 반영하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접촉자 및 스위치 레버를 구비하며, ⓑ 상기 신호수단은 상기 고정자 위치 감지수단으로부터의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작동기에 대한 가압된 유압유체의 공급을 제어하고, 상기 고정자가 사전설정된 위치에 도달하고 그 때 신호가 발생되어 상기 고정자를 사전설정된 위치에 록킹할때까지, 상기 작동기는 상기 고정자벽을 상기 회전자를 향해 내측으로 이동시키는 암석재의 파쇄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기내의 유압에 연결되고, 또한 상기 사전설정된 임계력에 대응하는 사전설정된 임계 압력이 초과될 때 개방되어, 과도한 힘을 받은 상기 고정자가 상기 회전자로부터 멀리 이동되어 상기 임계력을 해방하도록 되어 있는 릴리프 밸브를 더 포함하는 암석재의 파쇄장치.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와의 간섭 및 상기 고정자의 덜걱거림을 피하기 위해 상기 고정자를 상기 회전자로부터 멀리 후퇴시키는 고정자 후퇴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자 후퇴수단은 상기 파쇄장치 몸체와 협동하여 상기 항복가능한 고정자 장착수단에 의해 가해진 힘과 반대 방향으로 외력을 상기 고정자에 인가하며, 상기 항복가능한 고정자 장착수단으로부터의 힘은 상기 고정자 후퇴수단으로부터의 힘보다 큰 암석재의 파쇄장치.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항복가능한 고정자 장착수단은 상기 고정자벽이 사전설정된 임계력 보다 큰 측방향 힘을 받을 때, 상기 고정자벽이 사전설정된 위치로부터 상기 파쇄장치 몸체에 대해 탄성적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탄성 장착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 장착수단은 과도한 힘이 감소될 때 사전설정된 위치로 복귀하도록 상기 고정자벽을 가압하는 암석재의 파쇄장치.
  14. 암석재를 파쇄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① 암석재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 및 파쇄된 암석재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와, 서로 축방향으로 이격된 전방벽 및 후방벽을 갖는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각각의 전후방벽은 2개의 분리가능한 단부 벽부분으로 구성되며, 상기 각각의 단부 벽부분은 좌대의 각 지지편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결합되어 있는 파쇄장치 몸체와; ② 회전축의 축선을 중심으로 상기 파쇄장치 몸체에 대해 회전하도록 장착된 회전각 구동용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상기 프레임에 대해 회전하도록 장착하기 위해 상기 전후방벽과 협동하는 회전축 장착수단과; ③ 상기 회전축의 축선을 중심으로 궤도운동을 하도록 상기 회전축에 편심되어 장착되며, 상기 축선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또 회전자가 궤도운동을 할 때 상기 축선에 대해 주기적으로 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회전자벽을 구비한 회전자와; ④ 상기 파쇄장치 몸체에 장착된 제 1 및 제 2 고정자로서, 상기 제 1 고정자는 상기 회전자벽으로부터 이격되고 그리고 상기 회전자벽에 평행하게 배치된 제 1 고정자벽을 구비하여 상기 투입구와 상기 배출구 사이에 위치된 제 1 파쇄실의 대향벽을 규정하며, 상기 제 2 고정자는 상기 제 1 고정자로부터 멀리 떨어져 상기 회전자의 측면상에 배치되고, 그에 따라 상기 회전자는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자에 의해 부분적으로 둘러싸이며, 상기 제 2 고정자는 상기 회전자로부터 이격된 제 2 고정자벽을 구비하여 상기 투입구와 상기 배출구 사이에 위치된 제 2 파쇄실의 대향벽을 규정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파쇄실은 상기 투입구로부터 상기 배출구로 파쇄장치를 통과하는 암석재의 제 1 및 제 2 공급방향을 규정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공급방향은 상기 회전축의 축선에 대체로 수직이고, 상기 회전자가 궤도운동을 할 때, 상기 대향벽간의 간격이 주기적으로 변경되며, 상기 각각의 고정자는 제 1 및 제 2 단부를 가지고, 상기 각각의 고정자의 제 1 단부는 상기 프레임의 분리가능한 단부 벽부분에 대해 회전하도록 결합되어 있는 제 1 및 제 2 고정자와; ⑤ 상기 좌대에 대하여 상기 각 고정자에 대한 항복가능한 장착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자의 제 2 단부와 상기 좌대 사이에 설치된 제 1 및 제 2 신장가능하고 수축가능한 선형 작동기를 구비하고, 상기 각각의 선형 작동기는 상기 좌대에 결합된 내단부와 상기 각 고정자에 결합된 외단부를 갖는 항복가능한 고정자 장착수단과; ⑤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자를 상기 프레임의 각 분리가능한 단부 벽부분의 인접부에 분리가능하게 접속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고정자를 상기 분리가능한 단부 벽부분에 접속할 때 상기 회전축을 제거하고, 상기 선형 작동기의 작동에 의해 상기 각각의 분리가능한 단부 벽부분을 회전시켜 상기 단부 벽부분을 분리하고 또한 상기 고정자 및 상기 분리가능한 단부 벽부분을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측방향 외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회전축, 상기 회전자 및 상기 고정자를 수리하기 위한 접근을 허용하는 분리가능한 접근 접속수단을 포함하는 암석재의 파쇄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 상기 제 1 고정자벽의 중심은 상기 회전축의 축선으로부터 제 1 축선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회전자벽 및 제 1 고정자벽에 의해 규정된 제 1 파쇄실의 단면적은 상기 암석재의 제 1 공급방향으로 감소되며, ⓑ 상기 제 2 고정자벽의 중심은 상기 회전축의 축선으로부터 제 2 축선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회전자벽 및 제 2 고정자벽에 의해 규정된 제 2 파쇄실의 단면적은 상기 암석재의 제 2 공급방향으로 감쇠되며, 상기 제 2 축선 간격은 상기 제 1 축선 간격 보다 작고, 상기 제 2 파쇄실의 특정위치에서 상기 제 2 파쇄실의 단면적은 상기 제 1 파쇄실의 대응하는 특정위치에서 상기 제 1 파쇄실의 단면적 보다 작게되어 있는 암석재의 파쇄장치.
KR1019930021813A 1993-10-20 1993-10-20 암석재의 파쇄 방법 및 장치 KR1002780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1813A KR100278063B1 (ko) 1993-10-20 1993-10-20 암석재의 파쇄 방법 및 장치
US08/187,036 US5482218A (en) 1993-10-20 1994-01-27 Rock crushing apparatus and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1813A KR100278063B1 (ko) 1993-10-20 1993-10-20 암석재의 파쇄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0953A KR950010953A (ko) 1995-05-15
KR100278063B1 true KR100278063B1 (ko) 2001-04-02

Family

ID=19366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1813A KR100278063B1 (ko) 1993-10-20 1993-10-20 암석재의 파쇄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5482218A (ko)
KR (1) KR1002780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41068B2 (en) 2001-08-31 2003-11-04 Cedarapids Inc. Jaw for a jaw crusher
CN100413595C (zh) * 2003-10-22 2008-08-27 郝志刚 细碎机
US7448564B2 (en) * 2005-08-04 2008-11-11 New Dimension Crushers, Llc Portable apparatus for crushing rock and other hard material and related method
EA014142B1 (ru) * 2006-05-18 2010-10-29 Де Юниверсити Ов Куинслэнд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пределения прочностных свойств кускового материала
JP3936385B1 (ja) * 2006-09-28 2007-06-27 株式会社松井製作所 粉砕機
US8444075B2 (en) * 2009-09-15 2013-05-21 Metso Minerals Industries, Inc. Concentrated bi-density eccentric counterweight for cone-type rock crusher
CN102548661B (zh) * 2009-09-28 2014-10-01 美特索矿物公司 夹钳式破碎机的框架、夹钳式破碎机和破碎设备
ES2702102T3 (es) * 2010-06-28 2019-02-27 Flip Screen Australia Pty Ltd Cubo triturador
US8322643B2 (en) 2010-07-23 2012-12-04 Mining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Rock crusher attachment
FR2963742B1 (fr) * 2010-08-11 2015-01-16 Arnaud Becker Broyeur ou concasseur a marteaux ou analogue muni d'un dispositif d'extraction du rotor
WO2014121023A1 (en) 2013-01-31 2014-08-07 Orlando Utilities Commission Coal pulverizer monitoring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US9399221B2 (en) * 2013-06-11 2016-07-26 Metso Minerals Industries, Inc. Vertical split bowl liner for cone crusher
CN103736570B (zh) * 2013-12-13 2015-10-21 郭斐 铁砂颗粒改性加工工艺、铁砂颗粒和破碎机研磨面板
PE20211180A1 (es) * 2018-01-04 2021-06-30 Thyssenkrupp Ind Solutions Ag Instalacion de trituracion movil con trituradora de cilindro excentricoico y criba de dedos
WO2019226888A1 (en) 2018-05-23 2019-11-28 Vermeer Manufacturing Company Shredder for comminuting bulk material
CN111841704A (zh) * 2020-07-21 2020-10-30 梁云招 一种桥梁修建用石块破碎设备
CN113893944A (zh) * 2021-09-22 2022-01-07 滁州方大矿业发展有限公司 一种矿业块状煤自动液压破碎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52609A (en) * 1920-04-19 1920-09-14 Adamson Stephens Mfg Co Coal-crusher
US1946763A (en) * 1931-06-03 1934-02-13 William H Sallwasser Rock-crushing machine
US2582734A (en) * 1946-06-27 1952-01-15 Charles A Adams Horizontal gyratory roll crusher
DE1196940B (de) * 1962-10-18 1965-07-15 Weserhuette Ag Eisenwerk Backen-Walzenbrecher
US3508716A (en) * 1968-05-01 1970-04-28 Westinghouse Air Brake Co Rock crusher
US3503563A (en) * 1968-05-02 1970-03-31 Westinghouse Air Brake Co Gyratory rock crusher
DE2018496A1 (de) * 1970-04-17 1971-10-28 Hazemag Hartzerkleinerungs- und Zement-Maschinenbau GmbH, 4400 Münster Verfahren zum Betrieb einer Prallmühle
US4084752A (en) * 1975-12-11 1978-04-18 Kawasaki Jukogyo Kabushiki Kaisha Gap adjusting system for crusher and method
US4165042A (en) * 1978-04-12 1979-08-21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Interior Rotary jaw crusher
US4288039A (en) * 1978-11-09 1981-09-08 Weserhutte Aktiengesellschaft Single-roll crusher
SU1080852A1 (ru) * 1982-10-11 1984-03-23 Сибир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проектный и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цветной металлургии Роторна дробилка
DE3734999C1 (de) * 1987-10-16 1988-10-27 Thyssen Industrie Hubeinrichtung fuer die Andrueckwalze der Zufuehreinrichtung einer Zerkleinerungsmaschine fuer Schrott
US5125585A (en) * 1991-05-30 1992-06-30 Williams Robert M Reversible hammer mill with compound breaker plate adjustments
US5255869A (en) * 1992-10-26 1993-10-26 Smith Roger G Impact crusher with biased tertiary curtain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0953A (ko) 1995-05-15
US5482218A (en) 1996-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8063B1 (ko) 암석재의 파쇄 방법 및 장치
EP2155394B1 (en) Crusher, method for crushing materi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crusher
EP2999540B1 (en) A grinding apparatus
US9687853B2 (en) Conjugate anvil hammer mill
US5312053A (en) Cone crusher with adjustable stroke
KR20010032444A (ko) 슬래그 분쇄기
US3000577A (en) Shear pin drive for gyratory crushers
CN200981001Y (zh) 多级筛分轮齿式破碎机
KR100599459B1 (ko) 파쇄기
CN106660049B (zh) 用于回转破碎机的顶部维护夹紧缸
CN2516252Y (zh) 振动破碎机
US4382560A (en) Rock crushing machine with dual cam shaft jaw driving mechanism
KR200351072Y1 (ko) 파쇄기
US5732895A (en) Conical crusher having fluid bellow support assemblies
JP4292542B2 (ja) 破砕バケット
CN202290174U (zh) 破碎机
JP2000157883A (ja) 破砕機
JP2003334462A (ja) ロール破砕機
CN221452758U (zh) 一种煤矿开采用的破碎装置
CN102366728A (zh) 破碎机
CN116159633A (zh) 破碎组件及破碎装置
WO2024161133A1 (en) Improved jaw crusher
CN115069353A (zh) 一种圆盘粉碎机
KR20220077537A (ko) 2축 분쇄장치
KR20020005311A (ko) 원료처리 설비의 편마모가 없는 파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1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