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275015B1 - 인쇄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인쇄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5015B1
KR100275015B1 KR1019920014600A KR920014600A KR100275015B1 KR 100275015 B1 KR100275015 B1 KR 100275015B1 KR 1019920014600 A KR1019920014600 A KR 1019920014600A KR 920014600 A KR920014600 A KR 920014600A KR 100275015 B1 KR100275015 B1 KR 1002750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image forming
printing paper
printing
conve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4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4390A (ko
Inventor
시게히로 하노
쥰 이나가끼
요시히로 쥬오
다까노부 하기와라
에이조 가나야
요시노부 다까쓰끼
사또루 가또
하지메 사에구사
데쓰야 아이야마
히료유끼 아오누마
쇼조 요시자와
나오끼 고바야시
고이찌 스기하라
가즈히또 시무라
Original Assignee
히라이 가쯔히꼬
도레이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라이 가쯔히꼬, 도레이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라이 가쯔히꼬
Priority to KR1019920014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5015B1/ko
Publication of KR940004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43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5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50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per Feed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전자사진 장치는 커트지의 스택섹션과, 팬 폴드지의 스택섹션과, 이것들의 스택섹션의 한쪽으로 부터 커트지 또는 팬 폴드지의 인쇄지를 별도의 공급경로를 따라서 공급하는 피드 섹션과 감광드럼에 정전 잠상을 형성하는 잠상 형성 섹션과 정전 잠상을 현상하여 토너상을 형성하는 현상 섹션과, 피드섹션으로부터 받은 인쇄지를 공통의 반송경로를 따라서 반송하는 반송섹션과 공통의 반송경로상에서 인쇄지에 감광 매체의 토너상을 전사하는 전사섹션과, 이후 인쇄지의 토너상을 정착하는 정착섹션과, 정착섹션으로 부터 정착이 끝난 인쇄지를 받는 배출섹션과, 정착이 끝난 팬 폴드지를 절단선으로 부터 절단하는 커팅장치를 구비하고 있으며, 절단후 공통의 반송경로상에 남는 팬폴드지는 피드 섹션내의 커트지의 공급에 방해가 되지 않는 위치까지 되돌려진다.

Description

인쇄 장치 및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의 개략 구성도.
제2도는 제1도의 드럼 주변의 확대도.
제3도는 제1도의 벨트 콘베이어의 종단측에 배치된 스캐프 롤러 유니트의 사시도.
제4도는 상기 스캐프 롤러 유니트의 개략적인 측면도.
제5도는 제1도의 분리장치의 확대도.
제6도는 제1도의 정착기 (定着器) 의 확대 단면도.
제7도는 상기정착기의 세로단면도.
제8도는 상기 정착기 내에 배치된 램프 홀더의 측면도.
제9도는 상기 정착기의 저면도.
제10도는 상기 정착기에 내장된 플래시 램프가 1 회 발광할 때 이 플래시 램프로부터 인쇄지에 주어지는 광 에너지의 분포도.
제11도는 상기 플래시 램프가 조사를 반복할 때 인쇄지에 주어지는 광 에너지의 분포도.
제12도는 제1도의 커팅 장치의 일부를 파단한 사시도.
제13도는 상기 커팅장치가 작동 상태에 있을 때의 단면도.
제14도는 다른 실시예의 커팅장치의 사시도.
제15도는 제1도의 배출 섹션의 일부 확대도.
제16도는 상기 인쇄 장치에 있어서 커트지의 인쇄 모드가 개시되는 상태도.
제17도는 커트지의 인쇄모드가 실시될 때의 타임 차트.
제18도는 상기 인쇄 장치에 있어서 팬폴드지의 인쇄 모드가 개시되는 상태도.
제19도는 팬폴드지의 인쇄 모드가 실시될 때의 타임 차트.
제20도는 상기 인쇄 장치에 있어서 팬폴드지의 인쇄모드가 종료한 상태도.
제21도는 팬폴드지의 인쇄모드가 종료한 후의 처리 순서의 플로차트.
제22도는 제13도의 상태에서의 커팅 장치의 사시도.
제23도는 상기 인쇄 장치에 있어서 제21도의 페이퍼 파킹이 완료한 상태도.
제24도는 상기 인쇄 장치에 있어서 페이퍼 파킹의 상태에 있는 팬폴드지가 오프세트를 위해 송출되는 상태도.
제25도는 팬폴드지의 오프 세트시에 팬폴드지의 절단선의 위치 맞춤을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4 : 스택센션 6 : 피드섹션
8 : 인쇄섹션 10 : 배출섹션
14 : 취출롤러 18 : 선단검출센서
20 : 분리롤러 26 : 레지스터롤러
32 : 트랙터 유니트 34 : 로터리 엔코더
36 : 카운터 40 : 드럼
42 : 대전기 44 : 노광장치
46 : 현상기 48 : 전사/제전 장치
52 : 크리너 유니트 54 : 합류가이드
56, 58 : 가이드플레이트 60 : 벨트 콘베이어
66 : 콘베이어 벨트 67 : 흡인구멍
68 : 흡인장치 70 : 스캐프 롤러유니트
84 : 구동벨트 90 : 분리장치
92 : 지지프레임 102 : 롤러축
110 : 지지암 116 : 코일스프링
124 : 램프하우징 142 : 지지플레이트
본 발명은 커트지와, 팬폴드지 및 롤지 등의 연속지를 교체하여 사용 가능토록 한 인쇄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커트지 뿐만 아니라 연속지에도 인쇄가능토록 한 인쇄 장치는 예컨대 USP 4,929,982 및 USP 4,941,377에 개시되어 있다. 이들 공지의 인쇄장치는 커트지 또는 연속지의 한쪽 인쇄지를 반송하는 공통의 반송 경로를 갖추고 있으며, 이 공통의 반송경로에 연하여 인쇄지가 반송되는 과정에서, 인쇄지에 대한 인쇄 프로세스가 실시된다. 즉 공통의 반송경로 상의 인쇄지에 관하여 볼 경우에 이 인쇄지에는 공통의 반송 경로 상에 규정된 전사 위치에서 우선 토너 상 (像) 이 전사되고 그 후에 전사 위치 보다도 하류에 규정된 정착위치에서 토너상은 인쇄지에 정착된다.
그런데 전술한 공지의 인쇄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공통의 반송경로를 향하여 커트지 및 연속지의 공급경로가 다를 뿐 아니라 개개의 공급 경로에서의 인쇄지의 공급방식도 다르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인쇄의 개시 지령 신호를 받아 커트지 또는 연속지가 그 공급 경로를 통하여 상기 공통의 반송경로상의 전사 위치를 향하여 송출되어도 상기 개시 지령 신호의 출력후에 커트지 및 연속지가 상기 전사 위치에 도달하는 전사 타이밍에 어긋남이 발생하는 것은 피할 수 없다. 이 때문에 한 쪽의 인쇄지에 대하여 전사 타이밍을 맞추면 다른 쪽의 인쇄지에 대한 토너상의 전사가 정확히 행하여질 수 없게 된다. 또한 이 경우에 토너상의 타이밍 뿐만 아니라 정착 타이밍에도 어긋남이 발생하여 토너상에 미정착 부분이 남을 우려도 있다.
또한, 플래시형의 정착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인쇄지 상의 토너상에 대하여, 즉 인쇄면에 대하여 균일한 광 에너지가 주어지지 않으면 정착의 품질이 저하하는 단점도 있다.
더욱이, 연속지를 취급하는 경우에는 일련의 인쇄가 완료한 후에 연속지의 절단을 자동적으로 행할 수 있는 것이 소망스럽다. 그러나 연속지가 팬폴드지 (fanfold paper) 일 경우의 절단 위치는 팬폴드지의 절단선이 아니면 안되므로 팬폴드지의 절단은 용이하지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단점을 해소하고 커트지 및 연속지의 취급이 용이해질 뿐 아니라 인쇄지의 타입마다 인쇄지에 대한 인쇄를 양호하게 행하며, 또한 연속지가 팬폴드지인 경우에는 팬폴드지의 절단을 자동적으로 행할 수 있는 인쇄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의 목적은 본 발명의 인쇄 장치에 의하여 달성되며, 이 인쇄 장치는 전제가 되는 기본적인 수단으로서, 인쇄지로서의 커트지를 공통의 반송경로를 향하여 공급하는 제 1 공급수단과, 인쇄지로서의 연속지를 상기 공통의 반송 경로를 향하여 공급하는 제 2 공급 수단과, 한쪽의 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된 한쪽의 인쇄지를 수취하여 반송하는 반송 수단과, 소정의 상형성 위치에서 인쇄지상에 상을 형성하는 상형성 수단을 갖추고 있다.
전술한 하나의 목적을 인쇄 장치의 기본적인 수단으로 인쇄지의 반송방향에서 보아 상기 상형성위치 보다도 하류측에 규정된 절단 위치에서 연속지를 절단 가능토록 하는 절단 수단과, 연속지의 절단후 공통의 반송 경로상에 남은 연속지를 절단에 의해 형성된 절단 끝이 상기 공통의 반송경로의 상류측에서 또한 제 1 공급 수단에 의한 커트지의 공급을 방해하지 않는 위치까지 되돌리는 복귀 수단을 추가로 부가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쇄 장치에 따르면 연속지의 인쇄가 완료된 후, 이 연속지는 절단되며, 그리고 연속지의 상류측 부분은 공통의 반송 경로상으로부터 자동적으로 게거된다. 따라서 연속지의 이른바 페이퍼 파킹이 자동적으로 가능해지면 그뒤에 커트지의 인쇄를 즉시 행할 수가 있다.
인쇄 장치는 연속지가 되돌려질 때 상형성 수단으로부터 공통의 반송 경로를 분리하는 분리 수단을 또한 갖추고 있으며, 이 분리수단은 상형성 수단 및 이에 포함된 정착수단으로부터도 공통의 반송경로를 분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분리수단을 갖추고 있으면 연속지가 되돌려질 때 상형성수단 및 정착수단에 대한 연속지의 간섭을 피할 수가 있다.
연속지가 팬폴드지일 경우에 상기 절단수단은 팬폴드지의 절단하여야 할 하나의 절단선을 소정의 절단 위치로 위치 맞춤시키는 수단과, 위치 맞춤된 절단선 보다도 상류측 및 하류측에 위치하는 팬폴드지의 부위를 각각 구속하는 구속 수단과, 위치 결정된 절단선에 연하여 이동하고 이 절단선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잡아당겨 눌러 자르는 커터부재를 갖추고 있다.
절단수단의 커터부재는 팬폴드지의 절단선에 대한 위치 맞춤이 정확히 되어 있지 않아도 절단선에 인장력을 주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팬폴드지의 절단에 있어서는 절단 위치에 대한 절단선의 정확한 위치 맞춤이 불필요하게 되어 그 절단을 용이하게 실시가능토록 한다.
전술한 절단수단 및 복귀 수단을 갖춘 장치로서의 인쇄 장치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절단수단이나 복귀 수단을 부가한 인쇄 방법에 있어서도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을 마찬가지로 하여 달성할 수가 있다.
다른 목적은 본발명의 인쇄방법에 의하여 달성되며, 여기에서도 이 방법은 기본적인 공정으로서 커트지 및 연속지의 한쪽을 선택하고 선택된 인쇄지를 공통의 반송경로를 향하여 공급하는 공급공정과, 감광매체상에 정전 잠상을 형성하는 잠상 형성 공정과, 감광 매체상의 정전잠상을 현상하여 토너상을 얻는 현상공정과, 공통의 반송경로상을 인쇄지가 반송될 때 공통의 반송경로상에 규정된 전사 위치에서 인쇄지에 감광 매체의 토너상을 전사하는 전사공정과, 그뒤에 공통의 반송경로상에 규정된 정착위치에서 전사된 토너상을 인쇄지에 정착하는 정착공정을 갖추고 있다.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인쇄 방법은 기본적인 공정에 덧붙여, 공급공정 및 전사공정의 한쪽에 앞서서 실시되며 선택된 인쇄지에 따라서 전사공정을 위한 다른 타이밍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공정을 갖추고 있다. 이와 같은 출력공정을 갖추고 있으면 타이밍 신호를 기준으로 하여 선택된 인쇄지에 대하여 전사 공정을 적절히 실시 가능하게 된다.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정착 공정은 플래시 램프를 수용한 정착기에 의하여 실시되며, 이 정착기는 플래시 램프의 1회 발광에 의하여 인쇄지의 반송 방향에서 보아 플래시 광 조사영역의 중앙의 50%부분에 전 조사 에너지의 70 ∼ 80 % 를 집중시키는 광 에너지 분포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인쇄지의 반송 속도를 v, 반송 방향에서 보아 전조사 에너지의 70 % 가 집중하는 인쇄지의 길이를 W, 플래시 램프의 점등 주파수를 f, 플래시 램프의 조사횟수를 n 으로 할때, 다음 식
v/f = n·W
로 표시되는 조사 횟수 n은 1.2∼l.8의 범위로 설정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하여 플래시 광의 조사횟수 n이 설정됨으로써 플래시 램프를 통과하는 인쇄지에 대하여 플래시 광이 적절히 중첩되어 조사되고, 그 결과로 반송방향에서 보아 인쇄지에 균일한 광 에너지를 줄 수가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쇄 장치는 크게 나누어 인쇄지의 스택 섹션 (2, 4), 피드섹션 (6), 인쇄섹션 (8) 및 인쇄지의 배출섹션 (10) 을 갖추고 있다.
한쪽의 스택섹션 (2) 은 상방에 배치되어 있고 이 스택섹션 (2) 에는 트레이 (12) 가 갖추어져 있다. 트레이 (12) 내에는 다수의 커트지 C 가 겹쳐 쌓아져 있다. 트레이 (12) 의 상방에는 취출 (取出) 롤러 (14) 가 배치되어 있으며 이 취출 롤러 (l4) 는 피드섹션 (2) 의 근방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취출 롤러 (14) 는 트레이 (12) 내의 최상위에 있는 커트지 C 에 대해 접촉하고 있다. 그러므로 취출 롤러 (14) 가 회전되면 트레이 (12) 내의 커트지는 한장씩 후단의 피드 섹션 (6) 을 향하여 공급된다.
다른 쪽의 스택 섹션 (4) 은 상기 스택섹션 (2) 보다도 하방에 배치되어 있으며, 이 스택섹션 (4) 도 또한 트레이 (16) 를 갖추고 있다. 이 트레이(16) 에는 팬폴드지 F 가 접힌 상태로 겹쳐 쌓여져 있다. 트레이 (16) 의 상방에는 선단 검출 센서 (18) 가 배치되어 있고, 이 선단 검출 센서 (18) 는 발광 소자와 수광 소자를 가진 광학식 센서이다.
피드 섹션 (6) 은 선택된 한 쪽의 스택섹션으로부터 인쇄지를 수취하며, 그리고 이 인쇄지를 후단의 인쇄 섹션 (8) 을 향하여 공급한다. 즉, 피드 섹션 (6) 은 스택 섹션 (2) 측에 배치된 한쌍의 분리 롤러 (20) 를 갖추고 있다. 이들 분리 롤러 (20) 는 취출 롤러 (14) 에 근접하게 위치되고 서로 역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취출 롤러(14) 의 회전에 의하여 트레이 (12) 로부터 꺼내어진 커트지 C 는 분리롤러 (20) 사이를 통과하여 송출된다. 분리롤러(20)는 트레이(12)로부터 한장의 커트지 C 만의 통과를 허용한다. 따라서 트레이 (12) 로부터는 커트지 C 가 한장씩 피드 섹션 (6) 으로 공급된다.
커트지 C 의 피드 방향에서 보아 분리롤러 (20) 보다도 하류측에는 한쌍의 피드 롤러 (22) 가 배치되어 있고, 이들 피드 롤러 (22) 는 피드 섹션 (6)과 인쇄 섹션 (8) 사이의 경계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분리 롤러 (20) 와 피드 롤러 (22) 사이에는 분리 롤러 (20) 측으로부터 플레이트 형상으로 된 레지스터 가이드 (24), 한 쌍의 레지스터 롤러 (26) 및 한쌍의 도입 가이드 (28) 가 순차로 배치되어 있다.
분리 롤러 (20) 로부터 커트지 C 가 송출되고, 이 커트지 C 의 선단은 한 쌍의 레지스터 롤러 (26) 에 부딪쳐서 그 진행이 일단 정지된다. 그러므로, 커트지 C 의 후단부는 레지스터 가이드 (24) 에 눌리어 닿도록 되어 만곡하고, 그 결과 커트지 C 의 선단이 한 쌍의 레지스터 롤러 (26) 의 축선과 평행이 되도록 커트지 C 의 반송 자세가 수정된다. 즉, 여기에서 이른바 커트지C의 레지스터 수정이 행하여진다.
그 뒤에 한 쌍의 레지스터 롤러 (26) 가 회전되면 커트지 C 는 레지스터 롤러 (26) 를 통과해서 한 쌍의 도입 가이드 (28) 내를 피드 롤러 (22) 를 향하여 안내되고 다시 피드 롤러 (22) 에 의하여 후단의 인쇄 섹션 (8) 으로 공급된다.
레지스터 롤러 (26) 와 피드 롤러 (22) 사이에는 선단 검출 센서 (30) 가 배치되어 있다. 이 선단 검출 센서 (30) 도 또한 발광 소자와 수광 소자를 포함하고, 이들 소자는 커트지 C 의 반송경로 즉 도입 가이드 (28) 를 사이에 두는 식으로 위치하여 있다.
한편, 피드 섹션 (6) 의 하부에는 트랙터 유니트 (32) 가 배치되어 있다. 트레이 (16) 상의 팬폴드지 F 는 선단 검출 센서 (18) 의 발광소자와 수광소자 사이를 통과하여 트랙터 유니트 (32) 까지 안내되어 있다.
여기에서 트랙터 유니트 (32) 는 공지와 같이 한 쌍의 트랙터 벨트를 갖추고 있으며, 팬폴드지 F 의 양측에 있는 피드 구멍에는 트랙터 벨트의 피드폴 (paw1) 이 끼어 들어가 있다. 따라서 트랙터 유니트 (32) 는 트랙터 벨트의 주행과 더불어 피드폴이 피드 구멍으로 순차로 끼어 들어옴으로써 팬폴드지 F 를 후단의 인쇄 섹션 (8) 을 향해서 공급한다.
트랙터 유니트 (32) 의 구동축에는 로터리 엔코더 (34) 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로터리 엔코더 (34) 는 카운터 (36) 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트랙터 유니트 (32) 의 구동축이 팬폴드지 F 의 피드 방향으로 회전되고 있을 때 카운터 (36) 는 그 카운터 값에 로터리 엔코더 (34) 로부터 출력된 펄스 수를 가산해 가며, 한편 구동축이 역회전되고 있을 경우에 카운터 (36) 는 그 카운터 값으로부터 펄스수를 감산해 간다. 따라서 카운터 값 즉 펄스수의 적산치는 트랙터 유니트 (32) 로부터 후단의 인쇄 섹션 (8) 을 향하여 공급된 팬폴드지 F 의 이송길이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팬폴드 F 지의 피드 방향에서 보아 트랙터 유니트 (32) 의 직전방에는 선단 검출센서 (38) 가 배치되어 있으며, 이 선단 검출센서 (38) 의 발광소자 및 수광 소자는 팬폴드지 F 의 반송경로를 사이에 두는 식으로 위치해 있다.
인쇄 섹션 (8) 은 피드 섹션 (6) 측에 위치하는 드럼 (40) 을 갖추고 있으며, 이 드럼 (40) 은 제 1 도에서 보아 반시계 방향으로 일정 속도로 회전된다. 드럼 (40) 의 바깥측에는 이 드럼 (40) 의 직상방 위치로부터 회전 방향으로 대전기 (帶電器) (42), 노광장치 (44), 현상기 (46), 전사/제전 장치 (48), 박리 크롤 (50) 및 크리너 유니트 (52) 가 순차로 배치되어 있다.
드럼 (40) 의 회전과 더불어 대전기 (42) 는 드럼 (40) 의 외주면 즉 상형성면을 균일하게 대전하고 그 뒤에 상형성면은 노광장치 (44) 에 의하여 노광된다. 노광장치 (44) 는 발광 다이오드 (LED) 를 일렬로 배열한 LED 어레이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 LED 어레이는 광빔을 상형성면을 향하여 출사 (出射) 하고, 이것에 의하여 이 상형성면에 콤퓨터로부터 공급된 화상 데이터에 의거해서 상을 형성시킨다.
상형성면의 상은 현상기 (46) 에 의하여 현상되어 토너상으로 된다. 그 뒤에 토너상은 드럼 (40) 에 달라 붙는 식으로 하여 공급되는 인쇄지에 전사/제전 장치 (48) 의 전사부 (48a) 에 의하여 전사된다.
토너상을 전사 후 드럼 (40) 으로부터 인쇄지를 박리하기 위하여 전사/제전 장치(48)의 제전부(48b)로부터의 교번전압을 인쇄지에 인가하고, 이것에 의해 대전 상태에 있는 인쇄지는 제전된다. 그 뒤에 상형성면 상의 잔류 토너는 크리너 유니트 (52) 에 의하여 제거된다.
박리 크롤 (50) 은 드럼 (40) 을 통과하고자 하는 인쇄지가 드럼 (40) 에 감겨 붙는 것을 방지한다.
인쇄지는 전술한 피드 섹션 (2, 4) 으로부터 공급되는 커트지 또는 팬폴드지 F 의 어느 하나이다.
피드 섹션 (6) 과 드럼 (40) 사이에는 합류 가이드 (54) 가 배치되어 있으며 이 합류 가이드(54)의 상세한 것은 제2도에 나타내어 있다.
합류 가이드 (54) 는 상하 한 쌍의 가이드 플레이트 (56, 58) 를 갖추고 있으며 이들 가이드 플레이트 사이는 인쇄지의 반송경로의 일부를 규정하고 있다. 인쇄지의 반송방향에서 보아 상측 가이드 플레이트 (56) 의 상류단은 피드롤러 (22) 의 근방에서 상방을 향해서 굴곡되어 있으며, 하측 가이드 플레이트 (58) 의 하류단은 전술한 선단 검출센서 (38) 의 근방에서 하방을 향해서 만곡되어 있다. 따라서 한 쌍의 가이드 플레이트 (56, 58) 의 상류 단 사이에 규정된 입구 포트는 상하 방향으로 크게 열리어 있다.
피드 롤러 (22) 를 통과한 커트지 C 는 상측 가이드 플레이트 (56) 의 상류단에 의해 안내되면서 가이드 플레이트 (56, 58) 사이로 안내되고, 한편 트랙더 유니트 (32) 로부터 송출된 팬폴드지 F 는 하측 가이드 플레이트 (58)의 상류단에 의해 안내되면서 가이드 플레이트 사이에 안내된다.
제 2 도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하측 가이드 플레이트 (58) 는 상측 가이드 플레이트 (56) 에 비하여 길고, 하측 가이드 플레이트 (58) 의 하류단은 드럼 (40) 의 전사 위치 (P0) 의 근방, 즉 전사부 (48a) 의 위치에 위치하여 있다. 또한, 하측 가이드 플레이트 (58) 의 하류단은 드럼 (40) 의 상형성면에 근접하게끔 이 상형성면을 향해서 볼록하게 만곡되어 있다. 따라서, 하측 가이드 플레이트 (58) 의 하류단을 포함하고 또한 상형성면의 접선이 될 수 있는 선분을 생각할 경우에 이 선분과 하측 가이드 플레이트 (58) 의 평탄한 중앙부가 이루는 각도 θ는 상기 전사 위치 (P0) 를 향해 인쇄지를 적정하고 강제적으로 안내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한편, 상측 가이드 플레이트 (56) 의 하류단은 드럼 (40) 을 향해서 돌출하는 3 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하류단의 드럼 (40) 측의 변과 상기 하측 가이드 플레이트 (58) 의 중앙부가 이루는 각도도 또한 θ 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트지C가 피드롤러를 통과한 후 그 선단이 상방으로 굽어 젖히어져서, 그 상태대로 가이드 플레이트 (56, 58) 사이로 안내되어도 이 커트지 C 의 선단은 제 2 도중 파선으로 나타낸 것처럼 상측 가이드 플레이트 (56) 의 하류단에 의해 하측 가이드 플레이트 (58)의 하류단을 향해 강제적으로 안내되고, 그 결과 커트지 C 는 상기 전사 위치 (P0) 로 적정하게 안내된다.
상측 가이드 플레이트 (56) 의 하류단의 기능은 제 1 도로부터 명백한 바와같이 커트지C의 스택섹션이 드럼(40)의 상방에 배치되며 그로 인해서 도입가이드(28)의 경사각도가 커져 있을 경우에 특히 유효하다.
드럼(40)의 근방에는 벨트 콘베이어(60)가 배치되어 있으며 이벨트 콘베이어 (60) 는 상기 전사 위치 (P0) 의 근방으로부터 배출 섹션 (10) 을 향하여 수평으로 뻗어 있다. 벨트 콘베이어 (60) 는 인쇄지의 반송 방향에서 보아 전후로 이간 (離間) 된 롤러 (62, 64) 와 이들 롤러 사이에 걸어 감겨진 복수의 콘베이어 벨트 (66) 를 갖추고 있다. 제 3 도를 참조하면 명백한 바와 같이 각 콘베이어 벨트 (66) 는 다수의 흡인 구멍 (67) 을 가지고 있으며 콘베이어 벨트 (66) 의 왕로 (往路) 측 벨트부와 복로 (復路) 측 벨트부 사이에는 전후로 이간하여 한 쌍의 흡인 장치 (68) 가 배치되어 있다. 이들 흡인 장치는 흡인 팬 (도시하지 않음) 을 내장하고 있으며 이 흡인 팬은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하는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드럼(40)을 통과한 인쇄지는 콘베이어의 콘베이어 벨트(66)에 흡인된 상태로 콘베이어 벨트 (66) 의 주행과 더불어 후단의 배출 섹션(10)을 향해서 반송된다.
벨트 콘베이어 (60) 의 하류단측 즉 벨트 콘베이어 (60) 와 배출 섹션 사이에는 스캐프 롤러 유니트 (70) 가 배치되어 있다. 이 스캐프 롤러 유니트(70) 는 제 3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 롤러 (72) 를 갖추고 있으며, 이 지지 롤러 (72) 는 벨트 콘베이어 (60) 의 롤러 (64) 와 같은 레벨로 하여 평행으로 뻗어 있다. 지지 롤러 (72) 의 직상방에는 지지 롤러 (72) 에 연하여 복수의 프리 폴러 (74) 가 배치되어 있다. 이들 프리 폴러 (74) 는 그 롤러축에 회전자재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롤러축은 도시하지 않은 브래킷에 지지되어 있다. 이 브래킷과 각 롤러축의 양단 사이에는 압축 코일 스프링 (76) 이 배치되어 있으며, 이들 코일 스프링 (76) 은 롤러축 즉 대응하는 프리롤러 (74) 를 지지롤러 (72) 를 향해서 밀고 있다.
지지롤러 (72) 의 롤러축 (78) 에는 2 중의 구동 풀리 (80) 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구동 풀리 (80) 는 한편에 있어서는 전동 모터 (제 1 도 참조) 의 출력 풀리에 구동 벨트 (84) 를 통하여 접속되고, 다른 편에 있어서는 벨트 콘베이어 (60) 측의 풀리 (86) 에 전달 벨트 (88) 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전동모터(82)의 구동력이 구동풀리(80)에 전달되어 지지롤러 (72) 가 회전되며 또한 구동력이 구동 풀리 (80) 로부터 벨트 콘베이어 (60) 의 롤러 (64) 에 전달됨으로써 콘베이어 벨트 (66) 가 1 방향으로 주행된다.
여기에서 지지롤러 (72) 와 벨트 콘베이어 (60) 측의 롤러 (64) 는 동일한 지름 치수를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지지롤러 (72) 의 원주속도와 콘베이어 벨트 (66) 의 주행속도 즉 반송속도는 동일하게 되어 있다.
팬폴드지 F 가 벨트 콘베이어 (60) 로부터 스캐프 롤러 유니트 (70) 의 지지 롤러상을 통과하여 더 반송될 때, 제 4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F의 절단선이 돌출하여 있어도 지지롤러 (72) 에 대하여 프리 롤러 (74) 가 탄성적으로 꽉 눌려 있으므로 그 절단선은 원활하게 지지롤러 (72) 와 프리 롤러 (74) 사이를 통과할 수 있다. 따라서 팬폴드지 F 는 그 절단선의 존재에 상관없이 일정한 속도로 반송된다.
전술한 합류 가이드 (54), ws사/제전 장치 (48) 및 벨트 콘베이어 (60)의 각각은 분리 장치 (90) 에 지지되어 있으며 이 분리장치 (90)는 제 5 도에 나타내어 있다. 분리 장치 (90) 는 드럼 (40) 의 하방에 배치된 지지 프레임 (92) 을 갖추고 있다. 이 지지 프레임 (72) 은 드럼 (40) 의 축선 방향에서 떨어져서 대향한 한쌍의 측면 플레이트 (94) 를 가지며, 이들 측면 플레이트 (94) 는 합류 가이드 (54) 로부터 콘베이어 (60) 의 종단까지 뻗어 있다.
인쇄지의 반송방향에서 보아 지지 프레임 (92) 의 상류측의 단부에는 축 (96) 이 갖추어져 있으며, 이 축 (96) 은 측면 플레이트 (94) 사이에 걸치듯이 하여 뻗으며 그 양단은 측면 플레이트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축 (96) 에는 한 쌍의 홀더 플레이트 (98) 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 홀더 플레이트 (98) 는 지지 프레임 (92) 내에서 떨어져서 대향하고 있다.
전술한 합류 가이드 (54) 및 전사/제전 장치 (48) 는 홀더 플레이트 (98) 사이에 걸치듯이 하여 이들 홀더 플레이트 (98) 의 상연 (上緣) 부에 고정되어 있다.
홀더 플레이트 (98) 의 중앙에는 사각형의 개구부 (100) 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개구부 (100) 를 통하여 롤러 축 (102) 이 뻗어 있다. 이 롤러 축 (102) 의 양단은 지지 프레임 (92) 의 측면 플레이트 (94) 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또한 한 쪽의 단부는 도시하지 않는 구동 모터에 접속되어 있다.
롤러 축 (102) 에는 각 개구부 (100) 내에 위치하도록 하여 편심 롤러 (104) 가 배치되어 있으며 이들 편심 롤러 (104) 는 개구부 (100) 내에서 회전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각 홀더 플레이트 (98) 에는 개구부 (100) 의 근방에 쇼트 링크 (106) 의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이 쇼트 링크 (106) 는 하방으로 뻗어 있다. 쇼트 링크 (106) 의 하단에는 롱 링크 (108) 의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이 롱 링크 (108) 는 벨트 콘베이어 (60) 의 하방을 그 종단으로 향하여 뻗어 있다. 롱 링크 (l08) 의 타단은 축 (111) 을 통하여 측면 플레이트 (94) 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각 롱 링크 (108) 의 중앙에는 지지암 (110) 의 하단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지지암 (110) 은 벨트 콘베이어 (60) 를 향하여 상방으로 뻗으며 그 상단은 훅 (112) 으로서 형성되어 벨트 콘베이어 (60) 의 사이드 프레임으로부터 돌출한 핀 (114) 에 결합되어 있다. 지지 암 (110) 과 롱 링크 (108) 의 일단 사이는 인장 코일 스프링 (116) 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이들 인장 코일 스프링 (116) 은 대응하는 지지암 (110) 을 그 훅 (l12) 이 핀 (114) 을 향하도록 회동가능하게 미는 한편, 롱 암 (108) 의 일단을 상방으로 밀어 올리는 식으로 롱 암 (108) 을 회동가능하게 밀고 있다. 또 각 지지 암 (108) 의 상부에는 그 벨트 콘베이어 (60) 측의 면에 가이드 롤러 (1l8) 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이 가이드 롤러 (118) 는 가이드홈 (120) 에 연하여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가이드 홈 (120) 은 벨트 콘베이어 (60) 의 사이드 프레임에 형성되고 인쇄지의 반송방향으로 뻗어 있다.
따라서 제 5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홀더 플레이트 (98) 는 롱 링크 (108) 에 의해 쇼트 링크 (106) 을 통하여 상방으로 밀어 올린 위치에 있으며, 그로 인하여 합류 가이드 (54) 및 전사/제전 장치 (48) 는 드럼 (40) 에 근접한 작동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한편 벨트 콘베이어 (60) 는 한 쌍의 지지 암 (110) 을 통하여 수평 자세로 지지되어 있다.
제 5 도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편심 롤러 (104) 가 회전되면, 2 점 쇄선으로 나타낸 것 처럼 이들 편심 롤러 (104) 는 홀더 플레이트 (98) 에 있어서의 개구부 (100) 의 개구 가장자리를 하방을 향해서 밀어내린다. 그 결과, 한 쌍의 홀더 플레이트 (98) 는 축 (96) 을 중심으로 하여 하방으로 회동되고 합류가이드 (54) 및 전사/제전 장치 (48) 도 또한 동시에 드럼 (40) 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떨어진다.
홀더 플레이트 (98) 의 하강은 쇼트 링크 (106) 를 통하여 롱 링크 (108)의 회동으로 변환된다. 즉 롱 링크 (108) 는 인장 코일 스프링 (116) 의 미는 힘에 저항해서 축 (111) 을 중심으로 하여 하방을 향하여 회동된다. 이와 더불어 지지 암 (110) 도 또한 하방으로 끌어 내려져 벨트 콘베이어 (60) 는 그 종단측의 롤러 (64) 를 중심으로 하여 하방으로 회동하고 그 상류측의 단부가 드럼 (40) 으로부터 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훅 (l12) 과 벨트 콘베이어 (60) 측의 핀 (114) 사이의 결합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지지 암 (110) 이 회동시켜지면, 2 점 쇄선으로 나타내어진 것처럼 지지 암 (110) 은 가이드 롤러 (118) 를 통하여 벨트 콘베이어 (60) 를 크게 회동한다. 그 결과, 벨트 콘베이어 (60) 가 드럼 (40) 에 대하여 크게 벌려지게 되므로 벨트 콘베이어 (60) 상에서의 인쇄지의 막힘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벨트 콘베이어 (60) 의 직상방에는 정착기 (112) 가 배치되어 있으며 이 정착기 (112) 는 벨트 콘베이어 (60) 의 종단측에 위치하고 있다. 정착기 (122) 의 상세한 것은 제 6 도 ∼ 제 9 도에 나타나 있다. 정착기 (122)는 상자형의 램프 하우징 (124) 을 갖추고 있으며 이 램프 하우징 (124) 의 하면, 즉 벨트 콘베이어 (60) 에 의하여 반송되는 인쇄지와 대면하는 측의 면에는 개구부 (126) 가 형성되어 있다. 램프 하우징 (124) 은 벨트 콘베이어 (60) 를 횡단하는 방향으로 인쇄지의 폭 보다도 길게 뻗어 있다.
램프 하우징 (124) 내에는 인쇄지의 반송방향에서 보아 상류측으로부터 예비가열을 위한 할로겐 램프 (128), 정착을 위한 크세논 램프로 이루어지는 플래시 램프 (130) 가 순차로 배치되어 있다. 이들 램프는 램프 하우징 (124)의 길이 방향 즉 벨트 콘베이어 (60) 를 횡단하는 방향으로 뻗고 그 양단은 한쌍의 홀더 (132, 134) 에 의해 램프 하우징 (124) 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램프 하우징 (124) 내에 있어서 양 램프는 상방으로부터 반사판 (136, 138) 에 의해 덮혀 있으며 이들 반사판은 램프 하우징 (l24) 에 대하여 도시하지 않은 설치 수단에 의해 설치되어 있다.
전술한 한 쌍의 홀더 중 한쪽의 홀더 (132) 는 제 7, 8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램프의 단부에 장착된 소켓 (140) 과 이 소켓 (140) 을 통하여 램프의 단부를 걸어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 (142) 를 갖추고 있다. 소켓 (140) 은 단붙임의 원통형상으로서 폴리이미드나 세라믹 등의 내열성을 가진 전기 절연 재료로 되어 있다. 소켓 (140) 의 대경부 (大徑部) 에는 램프의 단부가 끼워지는 장착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한편 그 소경부 (小徑部) 는 지지 플레이트 (142) 의 지지 구멍 (144) 에 꽂아 넣을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점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지지플레이트(142)는 사각형의 겹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제 8 도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지지구멍 (144) 은 지지 플레이트 (142) 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다. 지지 플레이트 (140) 의 상단은 절곡되어 램프 하우징 (124) 의 천정벽에 겹쳐지고 또한 고정나사 (146) 에 의해 천정벽에 고정되어있다. 따라서 지지플레이트(142)는 램프하우징 (142) 의 천정벽으로부터 매달려 있다. 지지 플레이트 (142) 의 하단도 또한 상기 상단과 같은 방향으로 약간 절곡되어 있다. 지지 플레이트 (142) 의 지지구멍 (144) 으로부터는 그 하단까지 똑바로 뻗는 슬릿 (148) 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 플레이트 (142) 에 슬릿 (148) 이 형성되어 있으면 소켓 (140) 으로부터 뻗는 코드 (150) 를 슬릿 (148) 을 통하여 지지 구멍 (144) 으로 안내할 수 있으므로, 이 코드가 방해되는 일이 없이 지지구멍 (144) 으로 램프의 단부를 꽂아 넣을 수 있다.
다른 쪽의 홀더 (134) 는 전술한 홀더와 마찬가지의 구조를 가지고 있으나 홀더 (134) 의 지지 플레이트 (152) 는 겹판 스프링이 아니고 강성 (剛性)을 가진 통상의 금속 플레이트로 되어 있다.
램프의 양단부가 전술한 한쌍의 홀더(132, 134)에 의해 지지되어 있으면 램프는 홀더 사이에 탄성적으로 협지 (挾持) 된 상태에 있다. 그러므로 특히 램프가 플래시 램프 (130) 인 경우에 이 플래시 램프 (130) 의 발광에 수반해서 램프에 진동이 발생하여도 이 진동은 겹판 스프링으로 된 지지 플레이트 (142) 의 탄성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완충되고 이 램프의 밸브에 큰 부하가 걸리는 일은 없다. 또한 다른 쪽 홀더의 지지 플레이트 (152) 는 강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램프의 진동이 증폭되는 것과 같은 일은 없으며 램프의 진동은 신속히 해결된다. 또 플래시 램프 (130) 의 진동은 발광시에 그 밸브 주위의 공기가 급속히 가열되어 팽창하는 것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한쪽의 홀더 (132) 의 지지 플레이트가 제 7 도 중에서 2 점 쇄선으로 나타나 있는 것 처럼 그 하단을 상방으로 들어 올리는 것 같이 하여 탄성 변형되면 지지 플레이트 (142) 의 지지구멍 (144) 으로부터 램프의 단부를 빼낼 수 있고, 그 결과 한쌍의 홀더로부터 램프를 떼낼 수 있다. 그 뒤에 한쌍의 홀더 사이에 새로운 램프를 협지하면 램프의 교환이 완료된다.
램프 하우징 (124) 의 전술한 개구부 (126) 는 내주연 (內周緣) 이 하방을 향하여 돌출한 사각형의 림 (154) 을 가지고 있고, 이 림 (154) 은 실리콘 고무로 된 스폰지 (156) 에 의해 둘러 싸여 있다. 스폰지 (156) 는 림 (154) 보다도 약간 하방으로 돌출하고 있다.
개구부 (126) 는 사각형의 투명한 유리판 (158) 에 의하여 하측으로부터 덮혀 있으며, 이 유리판 (158) 은 그 주연이 복수의 지지구에 의해 스폰지 (156) 를 중개로 해서 램프 하우징 (124) 의 하면에 꽉 눌리어지고 또 고정되어 있는 유리판 (158) 은 할로겐 램프 (128) 및 플래시 램프 (130) 을 보호하는 한편, 이들 램프가 토너나 먼지에 의해 더러워지는 것을 방지한다.
전술한 지지구는 제9도를 참조하면 명백한 바와 같이 크로스 고정구 (160) 와 한 쌍의 측연 고정구 (162) 를 갖추고 있다. 크로스 고정구 (160) 는 인쇄지의 반송 방향에서 보아 상류측에 위치하는 유리판 (158) 의 한 끝 가장자리를 따라 뻗으며 또한 반송방향으로 스텝을 가진 플레이트로 되어 있다. 따라서 크로스 고정구 (160) 는 그 스텝과 램프하우징 (124) 의 하면 사이에서 유리판 (158) 의 한 끝 가장자리를 스폰지 (156) 에 의해 협지하는 식으로 램프 하우징 (124) 의 하면에 복수의 고정나사 (164) 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한편 한 쌍의 측연 고정구 (162) 는 인쇄지의 반송방향으로 연하는 유리판 (158) 의 양 측연을 따라 뻗어 있다. 이들 측연 고정구 (162) 는 크로스 고정구 (160) 와 마찬가지의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이것에 의해 측연 고정구(162) 는 스텝과 램프 하우징의 하면 사이에 유리판 (158)의 대응하는 측연의 스폰지 (156) 에 의해 협지하는 식으로 램프 하우징 (124) 의 하면에 고정나사 (164) 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 유리판 (158) 의 다른 쪽의 끝 가장자리에는 그 양측부에 위치하는 한쌍의 보조 고정구 (166) 가 배치되어 있다. 이들 보조 고정구 (166) 는 크로스 고정구 (160) 나 측연 고정구 (162) 에 비해 충분히 작으나 이들의 고정구와 마찬가지의 단면 형상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유리판 (158) 의 다른쪽 측연도 또한 한 쌍의 보조고정구 (166) 과 램프 하우징 (124) 의 하면 사이에 스폰지 (156) 에 의해 협지되어 있다.
여기에서, 한 쌍의 보조 고정구 (166) 는 인쇄지의 폭 보다도 충분히 떨어져서 위치하고 있으며 그로 인해 인쇄지가 벨트 콘베이어 (60) 에 의해 정착기 (122) 의 직하방을 반송되어질 때 인쇄지의 선단 가장자리는 한 쌍의 보조고정구 (100) 사이를 여유를 가지고 통과할 수 있다.
크로스 고정구 (160) 측의 램프 하우징 (124) 의 끝면에는 페이퍼 가이드 (168) 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페이퍼 가이드 (168) 의 하단부는 크로스 고정구 (160) 의 하단에 나란하도록 벨트 콘베이어 (60) 에 연하여 그리고 이 벨트 콘베이어 (60) 의 하류측을 향하여 뻗어 있다. 그로 인해 정착기 (122) 에 도달한 인쇄지는 그 선단 가장자리가 페이퍼 가이드 (168) 에 의해 안내되어 유리판(158)의 하측으로 확실하게 진행하며 인쇄지의 선단 가장자리가 크로스 고정구 (160) 에 걸리는 일이 없다.
한편 보조고정구 (166) 측의 램프 하우징 (124) 의 하면에는 별도의 페이퍼 가이드 (170) 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페이퍼 가이드 (170) 는 벨트 콘베이어 (60) 에 연하여 그리고 이 벨트 콘베이어 (60) 의 하류측을 향하여 뻗어 있다. 그로 인해 인쇄지의 선단 가장자리가 정착기 (122) 의 유리판을 통과한 후 페이퍼 가이드 (170) 는 인쇄지의 선단 가장자리를 안내하고 이 선단 가장자리를 정착기 (122) 의 바깥측으로 확실히 배출한다.
또 도시하지 않았으나 정착기 (122) 는 램프 하우징 (124) 내를 통하여 냉각풍을 흐르게 하기 위한 냉각 수단을 갖추고 있으며, 냉각풍은 할로겐 램프 (128) 및 플래시 램프 (130) 의 과열을 방지한다.
제 10 도를 참조하면 플래시 램프 (130) 로부터 플래시 광이 1 회 조사 될 때 인쇄지의 반송방향에서 보아 이 인쇄지에 주어지는 광에너지의 분포가 나타나 있다. 이 분포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인쇄지 상에서의 플래시 광의 조사 영역 (Al) 에 있어서 이 조사 영역 (Al) 의 중앙의 50 % 부분 (A2) 에 전 (全) 광에너지의 70 ∼ 80 % 가 집중해 있다. 이와 같은 광에너지의 분포는 전술한 반사판 (136, 138)의 형상을 적당히 선택함으로써 얻어지는데, 그러나 반사판만으로는 조사영역(Al)의 전역에 균일한 광에너지를 주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러므로 반송되는 인쇄지의 인쇄면 전역에 균일한 광에너지를 주기 위해서는 인쇄지의 반송 속도나 플래시 램프의 점등 주파수를 고려하여 인쇄면을 향하여 플래시 광을 되풀이하여 줄 필요가 있다.
여기에서 인쇄지의 반송 속도를 v, 플래시 광의 점등 주파수를 f, 조사영역 (Al) 중에서 토너상의 정착에 충분한 광 에너지가 주어지는 영역을 W, 플래시 광의 조사 횟수를 n 이라 하면 다음 식이 성립하도록 v, f, n 이 각각 결정 된다.
v/f = n·W
통상적으로 조사횟수n은 1또는 2의 자연수로 설정되고 조사횟수 n 이 2인경우에 인쇄면에 주어지는 광에너지는 제11도중 파선으로 나타낸 분포 특성 E2 를 가진다. 그러나 분포 특성 E2 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인쇄면으로의 광 에너지는 인쇄지의 반송 방향으로 크게 변동하고 있다.
이때문에 이와 같은 분포 특성을 채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정착에 필요한 광에너지의 레벨이 EL또는 EH가 되도록 플래시램프의 출력을 조정하고 있다. 전자의 경우에 광 에너지가 높은 부분에 있어서 인쇄면의 토너가 폭발적으로 비등하여 정착의 품질이 나빠진다거나 또한 토너의 분해에 수반해서 발생하는 가스에 의해 인쇄지나 주변의 부재가 더러워져 버리는 단점이 있다. 후자의 경우에는 토너의 정착 강도가 약해져서 인쇄면으로부터 토너상이 박리하기 쉬워지는 단점이 있다.
한편 조사횟수n이 1의 경우에서의 광에너지의 분포 특성 E1은 제11도중 1 점 쇄선으로 나타내어져 있다. 이 분포 특성 E1 에서의 광에너지의 변동은 분포특성E2의 것에 비하여 적지만 이 경우에도 전술한 단점을 피할 수가 없다.
이와 같은 사정으로 인하여 이 실시예의 경우에 있어서는 조사횟수 n은 1.2∼1.8, 바람직하기는 1.3 내지 l.7의 값이 설정되어 있다. 예컨대, 조사 횟수 n 이 1.44 의 경우에서의 광 에너지의 분포 특성 E1.44 는 제11도중 실선으로 나타나 있다. 이 분포특성 El.44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광에너지의 변동을 분포특성 El, E2의 경우에 비하여 크게 억제되어 있으며, 그결과 반송되는 인쇄면의 전역에 거의 균일한 광에너지를 줄수 있다.
제 1, 5 도에 개략적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벨트 콘베이어 (60) 의 하류측에는 배출 섹션(10)의 근방에 위치하여 커팅 장치(172)가 배치되어 있고, 그로 인해 스캐프 롤러 유니트 (70) 는 커팅 장치 (172) 와 벨트 콘베이어 (60) 사이에 위치되어 있다.
커팅 장치(172)의 상세한 것은 제 12, 13도에 나타나 있다. 커팅 장치 (172) 는 중공의 상자형을 한 빔 (174) 을 갖추고 있으며 이 빔 (174) 은 스캐프 롤러 유니트 (70) 의 지지 롤러 (72) 측 즉 인쇄지의 반송 경로 보다도 하측에 위치하고 이 반송 경로를 횡단하는 방향으로 수평으로 뻗어 있다. 빔 (174) 의 양단은 반송 경로의 바깥 측에 돌출해 있고 이들 양단의 내부에는 한 쌍의 풀리 (176) (한쪽만 도시되어 있다) 가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들 풀리 (176) 의 축은 상방으로 뻗어 빔 (174) 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한쪽의 폴리축은 빔 (174) 으로부터 다시 돌출하여 구동축에 접속되어 있다. 한 쌍의 풀리 (176) 에는 구동 벨트 (178) 가 걸려 있으며, 따라서 구동 벨트 (178) 는 구동 풀리 (176) 의 정역회전에 의해 왕복적으로 주행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 13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캐프 롤러 유니트 (70) 측에 위치한 구동 벨트 (178) 의 일부는 한 쌍의 핀치 플레이트 (180) 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고 이들 핀치 플레이트(180)는 구동벨트(178)에 연하여 뻗으며 복수의 연결 볼트 (182) 에 의해 상호간에 연결되어 있다. 바깥측의 핀치 플레이트, 즉 스캐프 롤러 유니트 (70) 측에 위치한 핀치 플레이트로부터는 커터축 (184) 이 수평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 커터축 (184) 의 기단 (基端) 은 바깥측 핀치 플레이트 (180) 의 중앙에 지지되어 있고 그 선단은 빔 (174) 의 가이드 슬롯 (186) 을 관통하여 빔 (174) 의 바깥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가이드 슬롯 (186) 은 빔 (174) 의 측벽에 돌출되고 빔 (174) 의 길이 방향으로 뻗어 있다.
커터축 (l84) 의 선단부에는 홀더 슬리브 (187) 를 통하여 커터 디스크 (188) 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커터 디스크 (188) 는 인쇄지의 반송 경로 보다도 약간 상방으로 돌출하는 것과 같은 지름치수를 가지고 있음과 동시에 팬폴드지 F 의 절단선을 눌러 찢기에 적합한 일정한 두께 t 를 가지고 있다.
또 빔 (174) 의 길이 방향에서 보아 커터 디스크 (188) 의 양측에는 한쌍의 가이드 휠 (190) 이 배치되어 있다. 각 가이드 휠 (190) 은 빔 (174)의 측벽을 끼우는 한 쌍의 핀치 디스크 (192) 와 이들 핀치 디스크 (192) 를 접속하여 가이드 슬롯 (186) 에 연하여 미끄럼 이동가능한 휠 부 (194) 를 가지고 있다. 또한 각 가이드 휠 (190) 의 내측의 핀치 디스크 (192) 로부터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휠축이 돌출되어 있으며, 이 휠축은 전술한 커터축(184) 과 마찬가지로 하여 바깥측 핀치 플레이트 (180) 에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 벨트 (178) 가 주행하게 되면 커터 디스크 (188) 는 빔 (174) 의 측벽에 연하여 왕복 이동한다. 이때 각 가이드 휠 (190) 은 그 한 쌍의 핀치 디스크 (192) 가 빔 (l74) 의 측벽을 끼우고 그 휠 부 (194) 가 측벽의 가이드 슬롯 (186) 내를 안내되어서 주행하므로 커터 디스크 (188) 의 자세는 일정하게 유지된다.
한편, 빔 (174) 의 윗쪽에는 복수의 협지 패드 (196) 가 구비되어 있고, 이들협지 패드 (196) 는 빔 (174) 의 축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 12 도에는 1 개의 협지 패드 (l96) 만이 표시되어 있다.
각 협지 패드 (196) 는 고무제의 정육면체로 이루어지고, 홀더 플레이트 (198) 를 통해서 도시하지 않은 승강 수단에 접속되어 있다. 협지패드 (196) 와 빔 (174) 사이에는 인쇄지의 반송경로를 상하에서 협지하도록하여 한 쌍의 가이드 플레이트 (200, 201) 가 배치되어 있고, 이들 가이드 플레이트 중 그 상측의 가이드 플레이트 (200) 에는 협지패드 (196) 에 대응하여 개구 (202) 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 (202) 는 협지 패드 (196) 를 관통할 수 있게 하는 크기를 갖는다.
또한, 상측 및 하측 가이드 플레이트 (200, 201) 는 인쇄섹션 (8) 으로부터 배출 섹션 (10) 내로 연장되어 있고, 이 배출섹션 (l0). 에 있어서 상측 가이드 플레이트 (200) 는 윗쪽을 향하여 만곡되고, 이에 대해서 하측 가이드 플레이트 (201) 는 아랫쪽을 향해서 만곡되어 있다 (제 l 도 참조).
또, 가이드 플레이트 (200) 의 상류측에는, 벨트 콘베이어 (60) 의 상측에 위치하는 다른 상측 가이드 플레이트 (204) 가 배치되어 있고, 이 상측 가이드 플레이트 (204) 는 벨트 콘베이어 (60) 의 종단측에서 스캐프롤러 유니트 (70) 를 넘어서 연장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측 가이드 플레이트 (204) 에는 스캐프롤러 유니트 (70) 의 각 프리롤러 (74) 에 대응하여 개구 (206) 가 형성되어 있고, 따라서 각 프리 롤러 (74) 는 대응하는 개구 (206) 를 통해서 지지 롤러 (72) 에 구를 수 있게 접촉되어 있다. 또한 스캐프롤러 유니트 (70) 와 커팅 장치 (172) 사이에는, 반송 경로의 하측에 위치하여 하측 가이드 플레이트 (208) 가 배치되어 있다.
하측 가이드 플레이트 (208, 201) 사이에는 소정의 갭이 확보되어 있고, 이 캡은 전술한 커터 디스크 (188) 의 이동을 허용한다. 또, 스캐프 롤러 유니트 (70) 와 커팅 장치 (172) 사이에는, 제 1 도 및 제 5 도에 개략적으로 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인쇄지의 통과를 검출하는 검출기 (210) 가 배치되어 있다.
커팅 장치 (172) 는 커터 디스크 (188) 대신에 제14도에 표시되는 바와 같은 3 각판 (212) 을 사용할 수도 있다.
배출 섹션 (10) 내에는, 전술한 상측 가이드 플레이트 (200) 와, 하측 가이드 플레이트 (201) 사이에 위치하여 제 15 도에 표시하는 제 1 배출 게이트 (214) 가 배치되어 있고, 이 제 1 배출 게이트 (2l4) 는 반송되어 오는 인쇄지가 커트지 C 인가 또는 팬폴드지 F 인가에 따라서 지지축 (216) 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운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제 1 배출 게이트 (214) 의 하류측에는, 제 2 배출 게이트 (218) 및 배출지 트레이 (220) 가 순차로 배치되어 있다. 제 2 배출 게이트 (218) 도 또한 그 지지축 (222) 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운동 가능하게 되어 있고, 또 배출지 트레이(220) 는 도시하지 않은 지지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측 가이드 플레이트 (200) 는 제 1 도에 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커트지 C 의 배출 경로에 접속되어 있고, 이 배출 경로는 윗쪽으로 연장된 후 벨트 콘베이어 (60) 측으로 만곡되어 인쇄 장치의 상면을 향해서 개구하고 있다.
지금, 인쇄에 커트지 C 가 사용되고 있는 경우, 제 1 및 제 2 배출 게이트 제 15 도 중 실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각각 아랫쪽으로 회전운동된 하강 위치에 있다. 이 경우, 제 1 배출게이트 (214) 는 그 선단이 하측가이드 플레이트 (201) 와 교차하여 하측 가이드 플레이트 (201) 를 따른 경로를 폐쇄하고, 이에 대해서 상측 가이드 플레이트 (200) 를 따르는 경로를 열고 있다. 또 제 2 배출 게이트 (218) 도 또한 상측 가이드 플레이트 (200) 를 따른 경로를 열고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 있을 때, 벨트 콘베이어 (60) 에서 송출된 커트지 C 는 제 15 도중 실선의 화살표로 표시되는 바와 같이 상측 가이드 플레이트 (200) 를 따른 제 1 및 제 2 배출게이트 (214, 218) 로 안내되어 윗쪽을 향한다. 그 뒤, 커트지 C 는 전술한 배출 경로를 따라서 전진하고, 인쇄 장치의 상면을 향하여 배출된다. 이 경우에, 커트지 C 는 그 인쇄면을 하향으로 하여 소위 페이스 다운 상태이고, 인쇄 장치의 외측으로 배출된다.
전술한 배출지 트래이 (220) 가 제 15 도 중 실선으로 표시된 수직자세에서 아랫쪽으로 회전운동되고, 그리고 2 점 쇄선으로 표시된 수평자세에 위치되면, 이 배출지 트레이 (220) 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제 2 배출게이트 (218) 는 실선의 하강위치에서 그 지지축 (222) 을 중심으로 윗쪽으로 회전운동되어 2 점 쇄선으로 표시한 상승위치에 위치된다. 이 경우, 제 2 배출 게이트 (218) 는 그 선단이 상측 가이드 플레이트 (200) 와 교차하여 상측 가이드 플레이트 (200) 를 따르는 경로를 닫기 때문에, 커트지 C 는 상측 가이드 플레이트 (200) 와 제 1 배출 게이트 (214) 의 사이를 통과한 후 파선의 화살표로 표시되는 바와 같이 배출지 트레이 (220) 을 향하여 똑바로 전진하고, 이 배출지 트레이 (220) 상에 받아 멈추어진다. 배출지 트레이 (220) 를 향하여 커트지 C 를 확실하게 인도하기 위하여, 제 1 배출 게이트 (214) 와 배출지 트레이 (220) 사이에는 보조 가이드 플레이트 (224) 가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에, 커트지 C 는 그 인쇄면을 상향으로 하여 소위 페이스업 상태에서, 배출지트레이 (220) 상에 배출된다.
한편, 인쇄에 팬폴드지 F 가 사용되는 경우에 있어서는, 제 1 배출게이트 (216) 는 실선의 하강위치에서 상승위치로 회전 운동된다. 이 상승위치에서는, 제 1 배출게이트 (216) 는 그 선단이 상측 가이드 플레이트 (200) 와 교차하여 상측 가이드 플레이트 (200) 를 따르는 경로를 닫고, 하측가이드 플레이트(201)를 따르는 경로를 연다. 따라서, 반송되어온 팬폴드지 F는 하측 가이드 플레이트 (201) 를 따라서 1 점 쇄선의 화살표로 표시되는 바와 같이 아랫쪽을 향하여 인도된다.
또한, 제 1 배출 게이트 (216) 가 하강위치에 있어도 제 2 배출게이트 (218) 가 상승위치에 위치되면, 팬폴드지 F 는 배출지 트레이 (220) 상을 통과하고 인쇄 장치의 배출구에서 배출이 가능해진다. 이 경우에, 인쇄 장치의 배출구에 후단의 처리 장치가 접속되어 있으면, 인쇄된 팬폴드지 F 를 인쇄 장치에서 처리장치로 연속하여 공급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배출 섹션 (10) 하부에는 배출지 스택커 (226) 가 배치되어 있다. 하측 가이드 플레이트를 따라서 안내되어 오는 팬폴드지 F는 배출지 스택커 (226) 상에 그 절단에서부터 순차로 접어져서 겹쳐 쌓아진다. 팬폴드지 F가 접어져서 쌓이는 것을 확실하게 하기 위하여, 배출지 스택커 (226) 와 하측 가이드 플레이트 (201) 사이에는 각각 무단 평벨트 (228) 및 체인 벨트(230) 가 서로 마주 대하도록하여 배치되어 있다. 평벨트 (228) 로부터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의 갈고리 (232) 가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평벨트 (228) 및 체인 콘베이어 (230) 가 일방향으로 주행된 상태에 있을 때, 이들 평벨트와 체인 콘베이어 사이를 팬폴드지 F 가 통과할 때, 평벨트 (228) 의 갈고리 (232) 와 체인 콘베이어 (230) 는 서로 협동하여 팬폴드지 F 를 그 절단선에서 교호로 접어 나간다.
또한, 배출지 스택커 (226) 는 팬폴드지 F 가 겹쳐 쌓인 높이에 따라서 하강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다음에 인쇄지의 인쇄 프로세스에 관해서 설명한다.
우선, 인쇄 장치의 제어회로 (도시 생략)에, 호스트 콤퓨터 또는 인쇄 장치의 매뉴얼 스위치로부터 커트지 C 의 선택 신호가 주어지면, 인쇄 섹션 (8) 의 한 쌍의 피드롤러 (22), 드럼 (40), 벨트 콘베이어 (60) 및 스캐프 롤러 유니트 (70) 가 각각 구동된다. 이때, 제 16 도에 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드럼(40)의 원주속도 VD에 대해서 피드롤러 (22)의 원주속도(VF 및 벨트 콘베이어 (60) 및 스캐프롤러 유니트 (70) 의 반송 속독 VCO 는 각각 동일 속도로 제어된다. 즉 이들의 속도는 다음식의 관계를 만족시키고 있다.
VD = VF = VCO
제16도에서 명백하듯이 피드롤러(22)와 드럼(40)은 동일한 전동 모터 (83) 에 의하여 회전되고 있고, 벨트 콘베이어 (60) 의 구동과 동시에 흡인장치 (68) 도 작동되고 있다.
이때, 분리장치 (90) 는 합류 가이드 (54), 전사/제전 장치 (48) 및 벨트 콘베이어 (60) 를 작동위치 즉 인쇄위치에 밀어올린 업작동의 상태에 있고, 팬폴드지 F 는 그 선단이 후술하는 바와 같이 트럭터 유니트 (32) 까지 복귀된 상태에 있다. 또 배출 섹션 (10) 에 있어서, 제 1 배출 게이트 (214) 는 하강 위치에 위치되어 있지만 제 2 배출 게이트 (218) 는 하강위치 또는 상승 위치의 어느 하나의 위치에 있다.
스택 섹션 (2) 에 있어서, 호스트 콤퓨터로 부터의 인쇄개시 신호가 부여 되면, 취출 롤러 (14) 및 분리롤러 (20) 가 회전되고 트레이 (12) 에서 1 장의 커트지 C 가 꺼내진다. 이 커트지 C 는 레지스터 롤러 (26) 에 의하여 레지스터 수정되고, 이들 레지스터 롤러 (26) 로부터 한 쌍의 도입 가이드 (28) 내에 일정한 속도로 송출된다. 도입 가이드 (28) 내에 진입한 커트지 C 는 다시 피드 롤러 (22) 에 의하여 합류 가이드 (54) 내를 통과하고, 드럼 (40) 의 전사위치 P0 를 향하여 공급된다. 여기에서, 레지스터 롤러 (26) 는 피드 롤러 (22) 와 동일한 원주속도로 회전되고 있다.
커트지 C 가 도입 가이드 (28) 내를 반송될 때, 커트지 C 의 선단이 선단 검출 센서 (30) 에 도달하면, 이 선단 검출 센서 (30) 는 커트지 C 에 있어서의 선단의 통과를 검출하고, 이 검출 신호를 출력한다.
제1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출신호의 출력시를 기준으로 하여 이 출력시 부터 T1 시간이 경과하면 노출 장치 (44) 는 상기 호스트 콤퓨터에서 공급되는 화상데이터에 의거하여 드럼 (40) 의 상형성면에 상을 기입한다.
한편, 전사/제전 장치 (48) 및 정착기 (122) 의 할로겐 램프 (128) 는 상기 검출신호의 출력시 부터 T2 시간 (T2 > Tl) 이 경과한 후에 작동된다. T2시간은 검출신호의 출력시부터 커트지C 선단이 드럼(40)의 전사위치로 도달할 때 까지에 요하는 시간으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정착기 (122) 의 플래시 램프 (130) 는 검출신호의 출력시부터 T3 시간 (T3 > T2) 이 경과한 후에 점멸 발광을 반복한다. T3 시간은 검출 신호의 출력시 부터 커트지 C 의 선단이 정착기 (122) 의 플래시 램프 (130) 의 바로 아래에 도달할때 까지에 요하는 시간으로 설정되어 있다.
전술한 T1 시간이 적절하게 설정되면, 제 16 도중 기입 위치 θ 에서 드럼(40)의 상형성면상에 기입된 상은 그뒤 드럼(40)의 회전에 수반하여 현상기 (46) 에 의하여 현상되어 토너상이 된다. 토너상이 드럼 (40) 의 전사 위치 P0 에 도달하면, 커트지 C 의 선단부도 또 동시에 전사위치 P0 에 도달한다. 따라서, 드럼(40)상의 토너상은 전사위치P0에서 전사/제전 장치 (48) 의 전사부 (48a) 에 의하여 커트지 C 에 전사된다.
토너상의 전사후 드럼 (40) 에서 인쇄지를 박리하기 위하여, 대전 상태에 있는 인쇄지는 전사/제전장치(48)의 제전부(48a)에 의하여 제전된다.
또, 선단 검출 센서 (30) 의 검출 신호의 출력시 부터 T4 시간 (T4 시간은 T2 시간 보다 조금길다) 이 경과한 후, 박리 갈고기 (50) 는 소정의 시간 만큼 작동되어 드럼 (40) 에 맞닿는다. 따라서, 커트지 C 의 선단이 드럼 (40) 을 통과할때, 박리갈고리 (50) 는 드럼 (40) 에 커트지 C 가 감기는 것을 방지한다.
커트지 C 의 후단이 피드 롤러 (22) 를 통과할때, 커트지 C 의 선단은 벨트 콘베이어 (60) 상에 도달하고 있다. 따라서 그 뒤에 커트지 C 는 그 반송 벨트 콘베이어 (60) 에 인계되어 콘베이어의 벨트 (66) 에 흡인 유지되어 반송된다.
벨트 콘베이어 (60) 상에서 토너상이 전사된 커트지 C 가 정착기 (122) 의 바로 아래를 통과할때, 이 커트지 C 상의 토너 상은 우선 할로겐 램프 (128) 에 의하여 예비적으로 가열되고, 그리고 플래시 램프 (130) 에서의 플래시 광을 받아서 용해되어 커트지 C 에 정착된다.
여기에서, 플래시 광의 조사횟수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하여 결정되어 있으므로 커트지 C 의 인쇄면에는 한결같고 또한 과부족이 없는 광에너지가 주어진다. 따라서 인쇄지에의 토너상의 정착을 확실히 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토너의 분해에 의한 가스의 발생도 저감할 수 있고, 가스에 의한 커트지 C 및 주위 부재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정착기 (122) 의 유리판 (158) 에 관하여, 인쇄지의 반송방향에서 보아 하류측에 위치하는 유리판 (158) 의 끝 가장자리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한 쌍의 보조고정구 (166) 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고, 이들 보조 고정구 (166)는 인쇄지의 반송영역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위치되어 있다. 따라서, 인쇄지가 정착기 (122) 의 바로 아래를 통과할 때 커트지 C 의 선단이 정착기 (122) 에 걸리는 일은 없다.
이 실시예에서는 선단 검출 센서 (30) 로부터의 검출 신호의 출력시를 기준으로 하고, 커트지 C 의 선단이 플래시램프 (130) 의 바로 아래에 도달한 때 부터 플래시 램프의 발광이 개시되기 때문에, 플래시 램프 (130) 가 낭비적으로 발광하는 것은 없고, 램프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정착기(122)를 통과하고 정착 처리를 받은 커트지C는 그뒤 벨트 콘베이어 (60) 로부터 이 벨트 콘베이어 (60) 와 동기하여 구동되어 있는 스캐프 롤러 유니트 (70) 및 커팅 장치 (172) 를 통과하여 배출 섹션 (10) 으로 송출된다. 이때 커팅 장치 (172) 의 커터 디스크 (188) 는 제 12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지의 반송경로에서 벗어난 위치에 대기하고 있다. 따라서 커팅 디스크 (188) 가 커트지 C 의 반송을 방해하는 일은 없다.
배출섹션 (10) 내에서는, 커트지 C 는 제 2 배출 게이트 (218) 의 위치에 따라서 그 배출 자세가 페이스 업 또는 페이스 다운의 한쪽으로 선택된 뒤 배출지 트레이 (220) 에 받아지거나 또는 인쇄 장치의 외부로 배출된다.
커트지 C 의 후단이 전술한 선단검출 센서 (30) 을 통과하면, 이 시점에서 선단 검출센서 (30) 에서 검출신호가 없어지고, 이 뒤에 새로운 커트지 C의 선단이 선단검출센서 (30) 를 통과한 때 검출신호가 다시 출력된다. 즉, 선단 검출 센서 (30) 는 커트지 C 가 트레이 (12) 에서 꺼내질때 마다 검출신호를 반복하여 출력한다.
한편, 노광장치 (44) 는 호스트 콤퓨터로부터 커트지 C 1 매당의 화상데이터를 간헐적으로 수취한다. 따라서, 제 17 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노광 장치 (44) 도 또한 드럼 (40) 에의 상의 기입 동작을 커트지 C 의 공급에 따라서 간헐적으로 실시한다.
전사/제전 장치 (48) 및 정착기 (122) 의 할로겐 램프 (128) 는 인쇄되어야 할 최후의 커트지 C 가 통과할 때 까지 작동 상태에 유지된다. 즉, 최종의 커트지 C 에 대한 노광 장치 (44) 의 기입 동작이 종료하면, 이 기입동작의 종료시를 기준으로 하여 이 종료시 부터 T5 시간 경과후에 전사/제전 장치(48)의 작동이 정지되고, 이에 대해서 상기 종료시 부터 T6 시간 및 T6 시간 보바도 약간 긴 T7 시간의 경과후에 정착기 (122) 의 할로겐 램프 (128) 및 플래시 램프 (130) 의 작동이 순차로 정지된다.
다음에 제 18 도 및 제 19 도를 참조하여 팬폴드지 F 의 인쇄 프로세스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 18 도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팬폴드지 F 는 이미 트랙터 유니트 (32) 에서 꺼내지고, 인쇄섹션 (8) 의 벨트 콘베이어 (60) 상을 벨트 콘베이어 (60)의 종단부까지 연장된 상태에 있다. 즉, 이 상태에 있어서는 호스트 콤퓨터 또는 매뉴얼 스위치로부터 팬플드지 F 의 선택신호가 인쇄 장치의 제어회로에 공급되고, 그리고 팬폴드지 F에 대한 전회의 인쇄가 완료한 후 팬폴드지가 다시 세트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 팬폴드지 F 는 그 하나의 절단선이 드럼 (40) 의 전사위치 P0에 합치한 상태에서 그 송출이 정지되고, 그후 분리 장치 (90) 는 다운 작동되어, 합류 가이드 (54), 전사/제전 장치 (48) 및 벨트 콘베이어 (60) 를 드럼 (40) 에서 격리한 상태에 있다. 또한 이 경우, 배출 섹션 (l0) 의 제 1 배출 게이트 (214) 가 상승위치에 위치되는 것은 말할 나위도 없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어 회로에 호스트 콤퓨터로 부터의 인쇄 개시 신호가 주어지면, 우선 드럼 (40) 이 일정한 원주속도 VD 로 회전되고, 그 상형성면이 클리닝 유니트 (52) 에 의하여 클리닝 된다. 클리닝이 완료하면, 트랙터 유니트 (32) 는 전동모터 (85) 에 의하여 일정한 시간만큼 역방향으로 구동된 후에 정지된다. 따라서 팬폴드지 F는 제18도중 파선의 화살표로 표시되는 바와 같이 트랙터 유니트 (32) 측에 일정한 길이 만큼 되돌려 진다. 또한, 이 인쇄 프로세스에 있어서는 전동 모터 (83) 는 드럼 (40) 만을 회전시키고 전동모터 (83) 와 피드롤러 (22) 사이의 동력 전달 경로는 단절된 상태에 있다.
제 19 도에 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트랙터 유니트 (32) 의 정지와 동시에 벨트 콘베이어 (60) 및 스캐프 롤러 유니트 (70) 의 구동이 개시되고, 이들의 반송 속도는 VC1 에 설정된다. 여기에서 벨트 콘베이어 (60) 및 스캐프 롤러 유니트 (70) 의 구동원인 전동 모터 (82) 는 반송속도 VC1 이 드럼 (40) 의 원주속도 VD 보다도 10 % 정도 늦어지도록 제어된다. 또한 벨트 콘베이어 (60) 의 흡인장치 (68) 도 또한 벨트 콘베이어 (60) 의 구동과 동시에 작동된다.
벨트 콘베이어 (60) 및 스캐프 롤러 유니트 (70) 의 구동과 동시에 노광 장치 (44) 는 호스트 콤퓨터에서의 화상데이터에 의거하여 드럼 (40) 의 상형 성면에 대한 상의 기입 동작을 개시한다.
노광장치 (44) 에 의한 기입 동작이 개시되면, 이 기입동작의 개시 시점을 기준으로 하여, 이 개시시점에서 T8 시간의 경과후에 트랙터 유니트 (32)가 정방향으로 구동되고 팬폴드지 F 의 송출이 개시된다. 여기에서 트랙터 유니트 (32) 에 의한 팬폴드지 F 의 반송 속도 VT 는 드럼 (40) 의 원주속도 VD 에 일치되어 있다. 또, 상기 개시 시점에서 T9 시간의 경과 후에 전사/제전 장치 (48) 및 정착기 (122) 의 할로겐 램프 (128) 가 동시에 작동되고 그리고 Tl0 시간의 경과후에 정착기 (122) 의 플래시 램프 (130) 가 작동된다.
플래시 램프 (130) 의 작동이 개시되는 타이밍은 최초 팬폴드지 F 의 절단선이 전사위치 P0 에서 트랙터 유니트 (32) 측으로 되돌려지고 그리고 그 절단선이 다시 전사위치 P0 에 도달하는 타이밍과 일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타이밍의 제어를 행함으로써 전회의 인쇄 프로세스에 있어서 아직 정착 처리를 받지 않은 팬폴드지 F 상의 토너상 즉 드럼 (40) 과 정착기 (l22) 사이의 반송경로의 부위에 남아 있는 상태로 있는 팬폴드지 F 상의 토너상에 대해서도 그 정착을 확실하게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팬폴드지 F 의 인쇄프로세스에 있어서의 플래시 램프의 작동개시 타이밍은 커트지 C의 인쇄 프로세스의 경우 보다도 빠른 시점으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전사/제전 장치 (48) 및 할로겐 램프 (128) 의, 작동 타이밍은 전술한 커트지 C 의 인쇄 프로세스의 경우와 동일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벨트 콘베이어 (60) 및 스캐프 롤러 유니트 (70) 의 구동개시시점 즉 드럼(40)에의 화살데이터의 기입의 개시 시점에서 T8 시간의 경과후에 트랙터 유니트 (32) 가 구동되면, 이 트랙터 유니트 (32) 는 그뒤 정속운전으로 이행하고 팬폴드지F를 일정한 반송 속도 VT로 공급한다. 트랙터 유니트 (32) 가 정속 운전에 도달하는 시점 즉 상기 개시 시점에서 Tl1 시간이 경과하면, 분리 장치 (90) 는 업작동 되고 합류가이드 (54), 전사/제전 장치 (48)및 벨트 콘베이어(60)를 작동위치 즉 인쇄위치로 상승시킨다.
따라서, 팬폴드지 F 는 트랙터 유니트 (32) 에 의하여 일정한 반송 속도 VT로 합류가이드(54)내에 인도되고 이 합류가이드(54)에서 안내되어 드럼 (40) 의 전사 위치로 강제적으로 인도된다.
그 후, 트랙터 유니트 (32) 측으로 되돌려진 팬폴드지 F 의 절단선이 상기 전사위치 P0를 통과한 후 드럼(40)의 상형성면 상의 토너상이 전사 위치P0에 도달하면, 토너상은 전술한 커트지C의 경우와 동일하게 하여 드럼 (40) 에서 팬폴드지 F 에 전사되고, 그리고 정착기 (122) 에 의하여 정착된다. 이 뒤에 인쇄된 팬폴드지 F 는 배출섹션 (10) 의 배출지 스택커(226) 에 접어져서 겹쳐 싸여진다.
여기에서, 벨트 콘베이어 (60) 및 스캐프 롤러 유니트 (70) 의 반송 속도 VC1 이 트랙터 유니트 (32) 의 반송 속도 VT 보다도 빠르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팬폴드지 F 는 벨트 콘베이어 (60) 에서 흡인력을 받은 상태에서 벨트 콘베이어 (60) 및 스캐프 롤러 유니트 (70) 의 지지롤러에 대해서 미끄러지면서 반송되게 된다. 따라서 팬폴드지 F 는 장력을 받으면서 반송되게 되므로, 전사위치 P0 및 정착위치에서 팬폴드지 F의 인쇄면은 확실히 평판 해지고, 이에 의하여 토너상의 전사 및 정착이 안정하게 행하여 진다.
호스트 콤퓨터에서 노광 장치 (44) 에 인쇄될 화상 데이터의 모든 것이 공급되고 그리고 제 19 도에 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노광 장치 (44) 의 기입 동작이 종료하면, 이 종료 시점으로부터 T12 시간의 경과후에 정착기 (122) 의 할로겐 램프 (128) 및 플래시 램프 (130) 의 작동이 정지되고 또 동시에 분리장치 (90) 는 다운작동을 개시하고 드럼 (40) 에서 합류가이드 (54), 전사/제전 장치 (48) 및 벨트 코네이어 (60) 를 격리하기 시작한다. 그러나, 분리 장치 (90) 의 다운 작동이 개시되어도 이 시점에서는 트랙터 유니트 (32) 에 의한 팬폴드지 F의 송출은 계속되어 이 팬폴드지 F의 절단선은 전사위치 P0 보다도 더욱 안으로 보내진다.
분리 장치 (90) 의 다운 작동의 개시 시점에서 T13 시간이 경과한 후, 트랙터 유니트 (32)는 감속되어 일단 정지한 후 반대방향으로 구동되어 팬폴드지 F 를 소정의 길이 만큼 되돌린다. 이에 의하여, 팬폴드지 F 의 절단선은 드럼 (40) 의 전사 위치 P0 에 합쳐진다. 전사 위치 P0 에 대한 팬폴드지 F 의 절단선의 위치 맞춤은 전술한 카운터 (36) 의 값에 의거하여 트랙터 유니트 (32) 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실시 가능하다. 또, 벨트 콘베이어 (60) 및 그 흡인 장치 (68) 의 운전정지 시기는 트랙터 유니트 (32) 가 일단 정지하는 시기와 합치하고 있다.
팬폴드지 F 에의 인쇄중 스택섹션 (4) 내의 트레이 (16) 상에 준비되어 있던 팬폴드지 F 가 없어지고 이 팬폴드지 F 의 후단이 선단 검출센서 (18) 에 의하여 검출되면, 이 검출시점 또는 이 검출 시점부터 팬폴드지 F의 후단이 트랙더 유니트 (32) 를 통과하기 까지의 시점에서 벨트 콘베이어 (60) 및 스캐프 롤러 유니트 (70) 의 전동 모터 (82) 는 감속되고 벨트 콘베이어 (60) 의 반송 속도는 드럼 (40) 의 원주속도 VD 와 동일한 반송속도 VC0 로 저하된다. 따라서 팬폴드지 F가 트랙터 유니트(32)에서 벗어나도 이후 팬폴드지 F는 트랙터 유니트(32)의 반송 속도와 동일한 반송 속도로 반송 되므로, 팬폴드지 F의 최종면까지 토너상의 전사 및 정착을 안정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벨트 콘베이어 (60) 의 반송 속도의 감속은 순간에 실시되거나 또는 상기 검출시 부터 서서히 행하여 진다.
다음에 인쇄장치에 있어서 팬폴드지 F의 인쇄 프로세스가 종료한 후의 처리의 순서를 설명한다.
우선 팬폴드지 F 에의 인쇄 프로세스가 종료하면, 분리장치 (90) 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다운 작동되고 이에 의하여 제 20 도중 실선으로 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합류 가이드 (54), 전사/제전 장치 (48) 및 벨트 콘베이어 (60)는 드럼 (40) 에서 아랫쪽으로 떨어진 상태에 있다. 즉 제 21 도에는 후 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가 표시되어 있고, 이 플로차트에 있어서는 스텝 S1, S2 가 이미 실행된 상태에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호스트 콤퓨터 또는 인쇄 장치의 매뉴얼 스위치로부터 커트지 C 의 선택신호가 출력되어 있으면, 스텝 S3 의 판별 결과가 YES가 되고 팬폴드지 F 의 커팅 프로세스 (스텝 S4) 가 실시된다.
커팅 프로세스에서는, 우선 트랙터 유니트 (32) 가 정방향으로 구동되고, 팬폴드지 F는 전사위치 P0에 있었던 절단선이 커팅장치(172)의 위치에 도달할때 까지 보내 넣어진다. 이 사이에 전회의 인쇄 프로세스에 있어서 전사 위치와 정착 위치 사이에 남아 있었던 미정착 토너상을 정착시키기 위하여, 할로겐 램프 (128) 및 플래시 램프 (130) 가 작동한다. 그뒤, 제 13 도에 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커팅장치(172)의 각 협지 패드 (196) 가 하강되고, 이들 협지 패드 (196) 와 하측 가이드 플레이트 (201) 사이에 그 절단선 보다도 하류에 위치하는 팬플드지 F 의 부위가 끼워들어간다. 한편, 절단선 보다도 상류측에 위치하는 팬폴드지 F의 부위는 스캐프 롤러 유니트 (70) 의 지지 롤러 (72) 와 프리 롤러 (74) 사이에 끼워져 있다.
따라서, 팬플드지 F 는 절단선을 사이에 두고, 그 상류측의 부위 및 하류측의 부위가 함께 눌러진 상태에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커팅 장치 (l72) 의 구동 벨트 (178) 가 주행되면, 대기 위치에 있었던 커터 디스크 (188) 는 한 쌍의 가이드 호일 (190) 로 안내되면서 팬폴드지 F 의 절단선을 따라서 이동한다. 여기에서, 커터디스크 (188) 는 팬폴드지 F 의 반송경로 보다도 윗쪽에 돌출하고 있으므로, 이 커터디스크(188)는 제2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팬폴드지 F의 절단선을 아랫쪽에서 밀어 올리도록 하여 전진하게 된다. 절단선에 대한 팬폴드지 F의 상류측 및 하류측의 부분은 전술과 같이 끼워들어가 있기 때문에, 커터디스크 (188) 의 밀어 올리는데 따라, 절단선의 단부는 양측에서 인장력을 받아서 눌려서 잘라지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절단선의 단부에 잘라진 곳이 발생하면, 그 뒤 절단선은 커터 디스크 (188) 가 회전하면서 밀어 전진하게 됨으로써 용이하게 눌러져 잘리고, 이 결과 팬폴드지 F 는 절단선에서 완전히 분리된다. 그뒤 구동벨트 (178) 는 역방향으로 주행되고, 커더디스크 (188) 는 대기 위치로 복귀하고, 각 협지 패드 (196) 는 상승된다.
또, 잘라 떨어진뒤 팬폴드지 F 의 상류측의 부분은 제 20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 섹션 (10) 을 향하여 반송되고, 배출지 스택커 (226) 상에 접어 겹쳐 쌓이게 된다.
커터 디스크 (188) 은 그 외주가 칼날과 같이 예리한 것은 아니고, 팬폴드지 F의 절단선에 대해서 일정한 나비로 면접촉한다. 따라서, 커터디스크 (188) 의 외주면이 팬폴드지 F 의 절단선에 정확히 합치되어 있지 않아도 팬폴드지 F는 그 절단선의 근방의 영역이 커터디스크(188)에 의하여 밀어 올려짐으로써, 그 약한 부분인 절단선에서 확실히 눌러 잘린다.
커터 디스크 (188) 는 회전 하면서 밀고 전진하기 때문에, 절단선의 원활한 눌러 자르기가 가능해 지지만, 그러나 제 14 도에 도시한 커팅 장치의 3각 판 (2l2) 에서도 절단선과 동일한 눌러 자르기가 가능하다.
커팅 프로세스가 완료하면, 트랙터 유니트 (32) 는 반대 방향으로 구동되어 벤트 콘베이어 (60) 상에 남아 있는 팬폴드지 F 를 되돌린다. 팬폴드지 F 의 절단단이 선단 검출 센서 (38) 에 의하여 검출되면, 이 시점에서 트랙터 유니트 (32) 의 구동이 정지되고, 팬폴드지 F 는 제 23 도에 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대기 상태가 된다. 즉 이 시점에서 페이퍼 파킹이 완료한다 (스텝 S5). 또, 팬폴드지 F 의 대기 위치는 커트지 C 의 반송을 방해하지 않는 위치이면 좋고, 그러므로 팬폴드지 F 의 절단단은 선단 검출센서 (38)의 위치가 아니라도 합류 가이드 (54) 내에 있어도 좋다.
그 후, 분리장치 (90) 가 업작동되고 (스텝 S6) 그리고 배출 섹션 (10)의 제 1 배출 게이트 (214) 가 하강 위치에 위치됨으로써 (스텝 S7), 전술한 바와 같이 커트지 C 의 인쇄 프로세스가 가능해진다 (스텝 S8).
한편, 스텝 S3 의 판별결과가 NO 인 경우에는 팬폴드지 F 를 대기 시키는지의 여부가 판별되고 (스텝 S9), 그 판별결과가 YES 인 경우에는 스텝 S4, S5와 동일한 커팅 프로세스 및 페이퍼 파킹이 순차로 실시된다(스텝 S10, S11). 따라서, 이 단계에서, 팬폴드지 F 의 교환 작업이 가능해진다. 또한, 스텝 S9 에서의 판별은 호스트 콤퓨터 또는 매뉴얼 스위치로부터의 지령 신호에 의거하여 실시된다.
스텝 S9 의 판별결과가 NO 인 경우에는 커팅 프로세스가 실시된 후(스텝 S12) 팬폴드지의 F 의 재세트가 실시된다 (스텝 S13). 이 재세트에서는 팬폴드지 F의 걸단선이 전사위치에 맞추어진다.
다음에 전술한 바와 같이 하여 팬폴드지 F가 페이퍼 파킹 상태에 있을 때 다시 팬폴드지 F 를 자동적으로 세트하는 경우의 순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경우에 분리장치 (90) 는 다운 작동된 상태에 있다.
오토 세트에 있어서는, 우선 트랙터 유니트 (32) 가 정방향으로 구동되고 팬폴드지 F 는 합류 가이드 (54) 를 향하여 송출된다. 팬플드지 F 의 선단이 선단 검출 센서 (38) 에 의하여 검출된 후 선단 검출 센서 (38) 를 통과한 팬폴드지 F 의 송출 길이가 전술한 로터리 엔코더 (38) 와 카운터 (36) 에 의하여 계속 산출된다.
팬폴드지 F의 선단은 제24도중 2점 쇄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하강 위치에 있는 합류 가이드 (54) 의 상측 가이드 플레이트 (56) 에 맞닿음으로써 그 진행 방향이 규제된다. 따라서, 팬폴드지 F 의 선단은 드럼 (40) 에 감기는 일이 없이 합류 가이드 (54) 에서 안내되면서 드럼 (40) 과 전사/제전 장치 (48) 사이를 통과한다. 또, 팬폴드지 F 가 드럼 (40) 을 통과 할때 드럼 (40) 에 박리 갈고리 (50) 가 맞닿아져 있으면 이 경우에도 드럼 (40)에 대해서 팬폴드지 F의 선단이 감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팬폴드지 F 가 벨트 콘베이어 (60) 상에 다시 보내 넣어져 있을 때, 그 선단이 스캐프 롤러 유니트 (70) 를 통과한 직후에 전술한 검출기 (210) (제 1 도, 제 5 도 참조) 에 의하여 검출된 뒤, 트랙터 유니트 (32) 에 의한 팬폴드지 F의 송출 길이에 의거하여 팬폴드지 F의 절단선이 전사위치에 합치한 시점에서 트랙터 유니트 (32) 는 그 구동이 정지된다.
여기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분리 장치 (90) 는 다운 작동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송출 길이에 의거하여 팬폴드지 F 의 절단선을 전사 위치 P0 에 맞추어도, 분리 장치 (90) 가 업작동하면 팬폴드지 F 의 반송 경로가 변화하므로 절단선은 전사 위치 P0 에서 트랙터 유니트 (32) 측으로 빗나가게 된다. 그러므로, 이 경우 분리장치 (90) 의 업작동을 고려하여 팬폴드지 F 의 절단선은 제 25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사 위치 P0 에서 하류측으로 소정의 길이 △L만큼 변위시킨 임시의 전사 위치 Pl에 맞추어져 있고, 이결과 분리 장치(90)가 업작동된 시점에서 절단선과 전사 위치P0가 정확히 합치 한다.
이와 같이 하여 팬폴드지 F 의 오토 세트가 완료하면 그뒤 전술한 인쇄 프로세스가 동일하게 하여 실시 가능해 진다.

Claims (40)

  1. 인쇄지로서의 커트지를 공통의 반송경로를 향하여 공급하는 제 1 공급수단과,
    인쇄지로서의 연속지를 상기 공통의 반송경로를 향하여 공급하는 제 2 공급수단과,
    한쪽의 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된 한쪽의 인쇄지를 받고, 상기 공통의 반송경로를 따라 반송하는 반송수단과,
    소정의 상형성 위치에서 인쇄지상에 상을 형성하는 상형성수단과,
    인쇄지의 반송 방향에서 보아 상기 상형성위치 보다도 하류측에 규정된 절단위치에서 연속지를 절단하는 절단수단과,
    연속지의 절단후, 공통의 반송 경로상에 남는 연속지를 상기 공통의 반송경로의 상류측에서 또한 제 1 공급수단에 의한 커트지의 공급을 방해하지 않는 위치까지 되돌리는 복귀수단을 구비한 인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연속지가 되돌려질때 상기 상형성수단으로부터 공통의 반송경로를 분리시키는 분리수단을 더 구비하고 있는 인쇄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연속지가 되돌려질때 상기 상형성수단 및 정착수단으로부터 공통의 반송경로를 분리시키는 분리수단을 더 구비하고 있는 인쇄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형성수단은 상기 공통의 반송경로의 상류단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 1 및 제 2 공급수단은, 상기 공통의 반송경로의 상류단의 근방에 위치하고 커트지 및 연속지를 공통의 반송경로를 향해서 안내하는 합류가이드와, 이 합류가이드를 상기 상형성수단에 대하여 접근·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포함하는 인쇄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형성수단은 상기 공통의 반송경로의 상류단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 1 및 제 2 공급수단은, 상기 공통의 반송경로의 상류단의 근방에 위치하고 커트지 및 연속지를 공통의 반송경로를 향해서 안내하는 합류가이드와, 이 합류가이드를 상기 상형성수단에 대하여 접근·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포함하는 인쇄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수단과 이동수단을 연동하여 작동시키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인쇄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형성수단은 회전가능한 드럼을 포함하고, 이 드럼의 외주면이 상형성면으로서 규정되어 있고, 상기 제 1 및 제 2 공급수단은 상기 상형성면의 이동속도와 동일한 인쇄지의 공급속도를 가지며, 상기 반송수단은 공통의 반송경로상을 따과 인쇄지를 반송할때 인쇄지의 형태별로 2개의 반송속도를 가지며, 인쇄지가 커트지인 경우의 제 1 반송속도는 상기 이동속도 및 상기 공급속도와 일치되어 있고 인쇄지가 연속지인 경우의 제 2 반송속도는 상기 이동속도 및 상기 공급속도보다도 빠른 인쇄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수단은 제 2 공급수단측에서 영속지의 종단을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이 검출수단의 검출시점으로부터 연속지의 종단이 제2공급수단을 통과할때 까지의 사이에서 상기 제 2 반송속도를 상기 공급속도로 저하시키는 구동원을 포함하는 인쇄 장치.
  9. 인쇄지로서의 팬폴드지를 반송경로를 향해서 공급하는 공급수단,
    상기 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된 팬폴드지를 받아서, 상기 반송경로를 따라서 반송하는 반송수단과,
    소정의 상형성 위치에서 팬폴드지상에 상을 형성하는 상형성수단과,
    인쇄지의 반송방향에서 보아 상기 상형성위치 보다도 하류측에 규정된 절단위치에서 팬폴드지를 절단하는 수단으로서, 팬폴드지의 절단할 하나의 절단선을 소정의 절단위치에 위치 맞추는 수단과, 위치 맞춤된 절단선보다도 상류측 및 하류측에 위치하는 팬폴드지의 부위를 각각 구속하는 구속수단과, 위치 결정된 절단선을 따라 이동하고 이 절단선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잡아당겨서 눌러자르는 커터 부재를 포함하는 절단수단을 구비한 인쇄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수단은 인쇄지의 반송 영역의 외측에 비작동시 상기 커터부재가 대기되는 대기위치를 가지는 인쇄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 부재는 팬폴드지의 절단선을 따라 회전하면서 이동가능한 디스크인 인쇄 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수단은 커트지를 상기 반송경로에 공급하는 커트지 공급수단을 포함하고, 팬폴드지의 절단후 상기 반송경로상에 남는 팬폴드지를 상기 반송경로의 상류측에서 또한 상기 커트지 공급수단에 의한 커트지의 공급을 방해하지 않는 위치까지 되돌리는 복귀수단을 더 포함하는 인쇄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팬폴드지가 되돌려질때 상기 상형성 수단으로부터 반송경로를 분리하는 분리수단을 더 구비하고 있는 인쇄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상형성수단은 상기 반송경로의 상류단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공급수단은, 상기 반송경로의 상류단의 근방에 위치하고 커트지 및 팬폴드지를 반송경로를 향하여 안내하는 합류가이드와, 이 합류가이드를 상기 상형성수단에 대하여 접근·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포함하는 인쇄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수단과 이동수단을 연동하여 작동시키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인쇄 장치.
  16.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상형성수단은 회전가능한 드럼을 포함하고, 이 드럼의 외주면이 상형성면으로서 규정되어 있고, 상기 공급수단은 상기 상형성면의 이동속도와 동일한 인쇄지의 공급속도를 가지며, 상기 반송수단은 반송경로상을 따라서 인쇄지를 반송할때 인쇄지의 형태별로 2개의 반송속도를 가지며, 인쇄지가 커트지인 경우의 제 1 반송속도는 상기 이동속도 및 상기 공급속도와 일치하고 있으며, 인쇄지가 팬폴드지인 경우의 제 2 반송속도는 상기 이동속도 및 상기 공급속도 보다도 빠른 인쇄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수단은 상기 공급수단측에서 팬폴드지의 종단을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이 검출수단의 검출시점으로부터 팬폴드지의 종단이 상기 공급수단을 통과할때까지의 사이에서 상기 제 2 반송속도를 상기 공급속도로 저하시키는 구동원을 포함하는 인쇄 장치.
  18. 커트지 및 연속지의 한쪽을 선택하고, 선택된 인쇄지를 공통의 반송경로를 향해서 공급하는 공급수단과,
    소정의 상형성위치에서 인쇄지상에 상을 형성하는 상형성수단과,
    상기 공급수단 및 상형성수단의 한쪽에 앞서서 작동되고, 선택된 인쇄지에 따라서 전사공정을 위한 상이한 타이밍신호를 생성하는 생성수단을 구비한 인쇄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상형성수단은 상의 인쇄지상에의 정착수단을 포함하고, 이 정착수단은 상기 생성수단으로부터의 타이밍 신호에 의거하여 작동 개시 시기가 결정되는 정착기를 포함하고, 이 정착기는 플래시 램프를 내장하고 있는 인쇄 장치.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상형성수단은 회전가능한 드럼을 포함하고, 또한 이 드럼에 상을 기입하는 기입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생성수단은 커트지가 공통의 반송 경로를 향해서 공급될때 커트지의 선단을 검출하고 이 검출신호를 타이밍 신호로서 출력하는 검출 수단을 포함하고, 이 타이밍 신호는 상기 기입 수단의 작동 개시 시기를 결정하는 인쇄 장치.
  2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상형성수단은 회전가능한 드럼을 포함하고, 또한 이 드럼에 상을 기입하는 기입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생성 수단은 연속지를 위한 기입수단의 작동개시를 타이밍신호로서 출력하고, 이 타이밍 신호는 공급수단에서의 연속지의 송출시기를 결정하는 인쇄 장치.
  22. 인쇄지를 반송 경로를 향해서 공급하는 공급 수단과,
    감광매체에 정전 잠상을 형성하는 잠상 형성 수단과,
    감광 매체상의 정전 잠상을 현상하여 토너상을 얻는 현상 수단과,
    상기 반송 경로상을 인쇄지가 반송될때, 상기 반송경로상에 규정된 전사위치에서 인쇄지에 감광매체의 토너상을 전사하는 전사수단과,
    토너 상의 전사후, 상기 반송 경로상에 규정된 정착 위치에서 전사된 토너상을 인쇄지에 정착하는 수단으로서, 플래시 광을 조사하는 정착기를 포함하고, 이 정착기는 1 회의 플래시 광에 의해 인쇄지의 반송 방향으로 보아 플래시 광의 조사 영역의 중앙의 50 % 부분에 전조사 에너지의 70 ∼ 80 % 를 집중시키는 광 에너지 분포를 갖는 동시에, 인쇄지의 반송 속도를 v, 반송 방향으로 보아 전조사 에너지의 70 % 가 집중 되는 인쇄지의 길이를 W, 플레시 램프의 점등 주파수를 f 로 하였을 때, 다음식
    v/f = n·W
    으로 표시되는 플래시 광의 조사 횟수 n가 1.2∼1.8의 범위로 설정된 플래시 램프를 갖고 있는 정착 수단을 구비한 인쇄 장치.
  23. 인쇄지로서의 커트지 및 연속지의 한쪽을 공통의 반송 경로를 향해서 공급하는 공급 공정과,
    공급 공정에 의해 공급된 한쪽의 인쇄지를 받아서, 공통의 반송경로를 따라서 반송하는 반송 공정과,
    소정의 상형성 위치에서 인쇄지상에 상을 형성하는 상형성공정과,
    인쇄지의 반송 방향으로 보아 상기 상형성 위치 보다도 하류측에 규정된 절단 위치에서 연속지를 절단하는 절단 공정과,
    연속지의 절단후, 공통의 반송 경로 상에 남는 연속지를 상기 공통의 반송 경로의 상류측에서 또한 제 1 공급 수단에 의한 커트지의 공급을 방해하지 않는 위치까지 되돌리는 복귀 공정을 구비한 인쇄 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 공정에 앞서서 실시되고, 상기 상형성 위치로부터 상기 공통의 반송 경로를 분리하는 분리 공정을 더 구비하고 있는 인쇄 방법.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상형성 공정은 상보유 매체를 이동시키는 프로세스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 공정에 있어서는 인쇄지는 상기 상보유 매체의 이동 속도와 동일한 공급 속도로 상기 공통의 반송경로를 향해서 공급되고, 상기 반송 공정에 있어서는 인쇄지가 커트지인 경우 이 커트지는 상기 이동 속도 및 상기 공급 속도와 일치한 반송 속도로 반송되고, 인쇄지가 연속지인 경우 이 연속지는 상기 이동 속도 및 상기 공급속도 보다도 빠른 반송 속도로 반송되는 인쇄 방법.
  26. 제 25 항에 있어서, 연속지의 종단이 공급공정을 거쳐 반송공정으로 향하기 전에 연속지의 종단을 검출하는 검출 공정과 이 검출 공정에서 연속지의 종단이 검출되고 나서 상기 공급 공정을 거쳐 연속지의 종단이 공급될 때 까지의 사이에서 반송 공정에서의 연속지의 반송 속도를 상기 공급 속도로 저하시키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인쇄 방법.
  27. 인쇄지로서의 팬폴드지를 반송 경로를 향해서 공급하는 공급 공정과,
    공급 공정에 의해 공급된 팬폴드지를 받아, 반송 경로를 따라서 반송하는 반송 공정과,
    소정의 상형성 위치에서 팬폴드지상에 상을 형성하는 상형성 공정과,
    상형성 공정후, 팬폴드지의 반송 방향에서 보아 상기 상형성 위치 보다도 하류측에 규정된 절단 위치에서 팬폴드지를 절단하는 공정으로서, 팬폴드지의 절단할 하나의 절단선을 소정의 절단 위치에 위치 맞추는 프로세스와, 위치 맞추어진 절단선 보다도 상류측 및 하류측에 위치하는 팬폴드지의 부위를 각각 구속하는 구속 프로세스와, 위치 결정된 절단선에 따르면서 이 절단선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인장력을 부여하여 절단선을 눌러 자르는 프로세스를 포하하는 절단 공정을 구비한 인쇄 방법.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공정은 커트지를 상기 반송 경로에 공급하는 커트지 공급 공정을 포함하고, 절단 공정후 반송 경로상에 남는 팬폴드지를 상기 반송 경로의 상류측에서 또한 커트지 공급 공정에 의한 커트지의 공급을 방해하지 않는 위치 까지 되돌리는 복귀 공정을 더 포함하는 인쇄 방법.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 공정에 앞서서 실시되고, 상기 상형성 위치로부터 상기 반송 경로를 분리하는 분리 공정을 더 구비하고 있는 인쇄 방법.
  30.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상형성 공정은 상보유 매체를 이동시키는 프로세스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공정에 있어서는 인쇄지는 상기 상보유 매체의 이동 속도와 동일한 공급 속도로 상기 반송 경로를 향해서 공급되고, 상기 반송 공정에 있어서는 인쇄지는 상기 이동속도 및 상기 공급속도와 일치하거나 그보다 빠른 반송 속도로 반송되는 인쇄방법.
  31. 제 30 항에 있어서, 팬폴드지의 종단이 공급공정을 거쳐 반송 공정으로 향하기 전에 팬폴드지의 종단을 검출하는 검출 공정과, 이 검출 공정에서 팬폴드지의 종단이 검출되고 나서 상기 공급 공정을 거쳐 팬폴드지의 종단이 공급될 때 까지의 사이에서 반송 공정에서의 팬폴드지의 반송 속도를 상기 공급 속도로 저하시키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인쇄 방법.
  32. 커트지 및 연속지의 한쪽을 선택하고, 선택된 인쇄지를 공통의 반송경로를 향하게해서 공급하는 공급공정과,
    소정의 상형성 위치에서 인쇄지상에 상을 형성하는 상형성 공정과,
    상기 공급공정 및 상형성공정의 한쪽에 앞서서 실시되고, 선택된 인쇄지에 따라서 상형성공정을 위한 상이한 타이밍 신호를 생성하는 생성공정을 구비한 인쇄 방법.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형성 공정은 상의 인쇄지상에의 정착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생성공정으로부터의 타이밍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정착공정의 작동개시 시기를 결정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인쇄 방법.
  34.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형성 공정은 상기 상보유 매체에 상을 기입하는 기입 프로세스를 포함하고, 상기 생성공정은 커트지가 공통의 반송경로를 향해서 공급될때 커트지의 선단을 검출하는 검출 프로세스와, 이 검출 프로세스에 의해 커트지의 선단이 검출되었을때 타이밍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프로세스를 포함하고, 이 타이밍 신호는 상기 기입 프로세스의 개시 시기를 결정하는 인쇄 방법.
  35.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형성공정은 상기 상보유 매체에 상을 기입하는 기입 프로세스를 포함하며, 상기 생성 공정은 연속지를 위하여 기입하는 프로세스가 개시되었을때 타이밍 신호를 출력하고, 이 타이밍 신호는 공급 공정에서의 연속지의 송출시기를 결정하는 인쇄 방법.
  36. 인쇄지를 반송경로를 향해서 공급하는 공급공정과,
    감광매체에 정전 잠상을 형성하는 잠상형성 공정과,
    감광매체상의 정전 잠상을 현상하여 토너상을 얻는 현상공정과,
    상기 반송경로상을 인쇄지가 반송될때, 상기 반송 경로상에 규정된 전사 위치에서 인쇄지에 감광매체의 토너상을 전사하는 전사공정과,
    이 전사공정후, 반송경로상에 규정된 정착 위치에서 전사된 토너상을 인쇄지에 정착하는 공정으로서, 플래시 램프를 수용한 정착기에 의해 실시되고, 이 정착기는 플래시 램프의 1 회 발광에 의해 인쇄지의 반송 방향으로 보아 플래시광의 조사영역의 중앙의 50%부분에 전조사 에너지의 70 ∼ 80 % 를 집중시키는 광에너지 분포를 갖는 동시에, 인쇄지의 반송속도를 v, 반송방향으로 보아 전조사 에너지의 70 % 가 집중하는 인쇄지의 길이를 W, 플래시 램프의 점등 주파수를 f, 플래시 램프의 조사회수를 으로 하였을때, 다음 식
    v/f = n·W
    로 표시되는 조사회수 n이 1.2∼1.8의 범위로 설정되어있는 정착공정을 구비한 인쇄 방법.
  37. 상형성위치에서 연속 인쇄지상에 상을 형성하는 상형성 수단과,
    인쇄지를 상형성 위치를 향해 공급하는 제 1 공급수단과,
    인쇄지를 절단위치를 향해 공급하는 제 2 공급수단과,
    인쇄지의 공급방향에 대해 상형성 위치의 하류측의 절단위치에서 팬폴드지를 절단하는 절단수단과,
    인쇄지가 연속 인쇄될 때 인쇄지의 전연부가 상기 상형성위치에 배치되도록 또는, 인쇄지가 제거될 때 인쇄지의 전연부가 인쇄지의 제거를 위한 위치에 배치되도록, 절단공정이 완료된 후에 인쇄지를 철회시키는 복귀 수단을 구비하는 인쇄장치.
  38. 제 37 항에 있어서,
    인쇄지에 대한 절단공정이 완료된 후에 인쇄지가 연속 인쇄될 때 인쇄지의 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상형성 위치로부터 인쇄지를 분리하는 분리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공급수단은 상기 분리수단의 이동에 의해 발생하는, 인쇄지의 공급방향으로의 인쇄지의 전연부의 이탈을 보상하는 인쇄장치.
  39. 상형성위치에서 연속 인쇄지상에 상을 형성하는 상형성 공정과,
    인쇄지를 상형성 위치를 향해 공급하는 제 1 공급공정과,
    인쇄지를 절단위치를 향해 공급하는 제 2 공급공정과,
    인쇄지의 공급방향에 대해 상형성 위치의 하류측의 절단위치에서 팬폴드지를 절단하는 절단공정과,
    인쇄지가 연속 인쇄될 때 인쇄지의 전연부가 상기 상형성 위치에 배치 되도록 또는, 인쇄지가 제거될 때 인쇄지의 전연부가 인쇄지의 제거를 위한 위치에 배치되도록, 절단공정이 완료된 후에 인쇄지를 철회시키는 복귀 공정을 구비하는 인쇄방법.
  40. 제 39 항에 있어서,
    인쇄지에 대한 절단공정이 완료된 후에 인쇄지가 연속 인쇄될 때 인쇄지의 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상형성 위치로부터 인쇄지를 분리하는 분리공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공급공정은 분리수단의 이동에 의해 발생하는, 인쇄지의 공급방향으로의 인쇄지의 전연부의 이탈을 보상하는 인쇄방법.
KR1019920014600A 1992-08-13 1992-08-13 인쇄 장치 및 방법 KR1002750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4600A KR100275015B1 (ko) 1992-08-13 1992-08-13 인쇄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4600A KR100275015B1 (ko) 1992-08-13 1992-08-13 인쇄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4390A KR940004390A (ko) 1994-03-15
KR100275015B1 true KR100275015B1 (ko) 2000-12-15

Family

ID=19337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4600A KR100275015B1 (ko) 1992-08-13 1992-08-13 인쇄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501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3719B1 (ko) * 2008-01-30 2008-08-25 서한전기공업(주) 깃대가 내장된 가로등주
KR100863711B1 (ko) * 2008-04-18 2008-10-15 주식회사 상천 기 자동 게양장치
WO2008153305A1 (en) * 2007-06-11 2008-12-18 Hyung Jun Kim Automatic flag hoisting devi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53305A1 (en) * 2007-06-11 2008-12-18 Hyung Jun Kim Automatic flag hoisting device
KR100853719B1 (ko) * 2008-01-30 2008-08-25 서한전기공업(주) 깃대가 내장된 가로등주
KR100863711B1 (ko) * 2008-04-18 2008-10-15 주식회사 상천 기 자동 게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4390A (ko) 1994-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96906A (en) Electrophotographic apparatus capable of selectively using cut sheet and continuous paper and method therefor
US8205883B2 (en) Paper transport path of image forming apparatus
US9079734B2 (en) Paper fee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device
JPH05107969A (ja) 画像形成装置の用紙搬送装置
KR100275015B1 (ko) 인쇄 장치 및 방법
USRE36112E (en) Electrophotographic apparatus capable of selectively using cut sheet and continuous paper and method therefor
JP2932548B2 (ja) 用紙搬送装置
EP0713157B1 (en) Printing apparatus and method
JP2710726B2 (ja) 給紙制御装置
JP2001142373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方法
JP3328002B2 (ja) 連続記録紙の搬送装置および搬送方法、並びに、電子写真プリンタおよび電子写真プリント方法
JP3821174B2 (ja) 印刷装置
KR20070077414A (ko) 화상형성기기 및 용지정렬방법
JP2728799B2 (ja) プリンタの用紙搬送方法
JP2517504Y2 (ja) 丁合装置
JPH01110449A (ja) 紙葉吸着搬送機構
JPH05107968A (ja) 画像形成装置の用紙搬送装置
JP2804407B2 (ja) 用紙搬送装置
JPH0451182A (ja) 光プリンタ装置における用紙排出方法およびその装置
US5667125A (en) Device for transporting printing media in printers or copiers
JPH05306033A (ja) ファンの回転制御方法
JPH04308776A (ja) プリンタの用紙搬送装置
JP2011219221A (ja) 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H11255355A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H0658501B2 (ja) 可変倍率静電複写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11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