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274673B1 - 세탁기의 헹굼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세탁기의 헹굼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4673B1
KR100274673B1 KR1019980019559A KR19980019559A KR100274673B1 KR 100274673 B1 KR100274673 B1 KR 100274673B1 KR 1019980019559 A KR1019980019559 A KR 1019980019559A KR 19980019559 A KR19980019559 A KR 19980019559A KR 100274673 B1 KR100274673 B1 KR 1002746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sing
water
washing machine
water supply
control un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9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86540A (ko
Inventor
정정란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195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4673B1/ko
Publication of KR19990086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65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4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4673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38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rins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35/005Methods for washing, rinsing or spin-drying
    • D06F35/006Methods for washing, rinsing or spin-drying for washing or rinsing on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38Time, e.g. duratio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68Operation mode; Program phas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70Number of operational cycl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02Water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기의 헹굼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이불/담요 코스에서 헹굼을 할 때 두 번째 이후의 헹굼행정을 행할 때는 헹굼행정이 진행되는 동안 물을 오버플로우(Overflow)시켜 먼지나 보푸라기 등을 수조 바깥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 세탁기의 헹굼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헹굼 제어방법에 의하여, 세탁기의 이불/담요 코스에서 헹굼행정시, 두 번째부터의 헹굼에서는 헹굼시간동안 계속적으로 급수되는 물을 넘치게 하는 오버플로우(Overflow) 헹굼을 하여 배수를 할 때 잘 배출되지 않는 먼지나 보푸라기 등을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서, 건조 후 세탁물을 따로 손질을 하지 않아도 되어 사용자에게 편리함과 신뢰를 줄 수 있다.

Description

세탁기의 헹굼 제어방법
본 발명은 세탁기의 헹굼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이불 혹은 담요등의 부피가 큰 대형 세탁물을 세탁한 후 헹굼을 할 때 두 번째 이후의 헹굼행정을 행할 때는 헹굼행정이 진행되는 동안 물을 오버플로우(Overflow)시켜 먼지나 보푸라기 등을 수조 바깥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 세탁기의 헹굼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세탁기는 모터의 회전력을 회전날개(펄셰이터라고도 함)에 전달하여 회전날개를 회전시켜 수류를 형성하고, 회전날개의 회전에 의하여 형성된 수류가 세탁물에 충격을 주어 세탁을 하도록 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세탁기의 이불/담요코스의 제어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는 이불 혹은 담요를 세탁하기 위하여 기능설정부를 통하여 이불/담요코스를 설정한다(S1). 기능설정부는 사용자가 설정한 내용에 따라서 이불/담요코스 신호를 제어부로 입력한다.
제어부는 기능설정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서 세탁기를 구동시키는데, 먼저 급수밸브구동부를 구동시켜 급수밸브를 열고 세탁기의 수조에 급수를 한다(S2).
급수가 시작되어 수조에 물이 차기 시작하면 제어부는 수조의 수위를 감지하다. 제어부는 수위감지부를 이용하여 수위를 감지한다. 제어부는 현재 급수되는 물의 수위를 감지한 다음 수조의 감지된 수위와 설정된 설정수위를 비교 판단하여 급수완료를 판단한다.
급수가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제어부는 급수를 종료하고 세탁기구동부를 구동시켜 세탁기를 동작시키고 세탁행정을 실시한다(S3).
세탁행정시간이 종료하면 제어부는 세탁행정을 완료하고 배수밸브구동부를 제어하여 배수밸브를 개방시켜 배수를 한다(S4).
배수되는 동안 제어부는 수위감지부를 통하여 배수되는 수위를 센싱하여 배수가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배수가 완료되지 않았으면 제어부는 배수밸브구동부를 계속 구동시켜 배수밸브를 계속적으로 열어둔다. 만약 배수가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제어부는 탈수를 실행하고 헹굼행정을 실행한다.
제어부는 헹굼을 하기 위하여 급수를 하게 되는데, 급수밸브구동부를 제어하여 급수밸브를 개방시켜 급수한다(S6). 이때 역시 마찬가지로 제어부는 수조의 수위를 판단한다. 그리고 수조의 수위를 판단하여 급수가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제어부는 급수밸브구동부를 제어하여 급수밸브를 잠그고 급수를 완료한다.
급수가 완료되고 나면 제어부는 헹굼행정을 실시한다(S7).
그리고 헹굼행정이 종료를 하면 제어부는 배수밸브구동부를 제어하여 배수밸브를 개방시켜 배수를 실시한다(S8).
배수(S8)후 제어부는 설정된 헹굼 횟수가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한다(S9).
판단(S9)에서 설정된 헹굼 횟수가 완료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제어부는 헹굼을 하기 위하여 급수를 한다(S6). 그리고 급수가 완료되고 나면 제어부는 헹굼행정을 실시한다(S7).
그런데 판단(S9)에서 설정된 헹굼 횟수가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제어부는 탈수행정을 실시한다(S13). 탈수행정이 실시되면 제어부는 설정(S1)에서 설정된 탈수시간이 종료했는지를 판단한다. 제어부는 탈수시간이 종료했다고 판단되면 탈수행정을 완료하고 종료를 한다.
그런데 각 헹굼행정을 종료하고 배수를 할 경우 그대로 밑으로 배수를 한다. 그래서 세탁조를 거의 다 차지하는 담요 혹은 이불 등의 대형 세탁물일 경우에는 보푸라기 또는 먼지 등등은 배수시 배출되지 않고 세탁물에 달라붙게 된다. 그래서 세탁이 끝나고 건조를 한 후 세탁물에 달라붙은 보푸라기 혹은 먼지 등을 솔 등으로 털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이불 혹은 담요 등의 대형 세탁물의 헹굼행정시, 두 번째 부터의 헹굼에서는 헹굼시간동안 급수되는 물을 넘치게 하는 오버플로우(Overflow) 헹굼을 하여, 먼지나 보푸라기 등을 수조 바깥으로 배출시켜 건조 후 따로 손질을 하지 않아도 되는 세탁기의 헹굼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세탁기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세탁기의 제어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제어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기능설정부 20:수위감지부
30:타이머 40:제어부
50:세탁기구동부 61:급수밸브구동부
62:급수밸브 63:급수관
71:배수밸브구동부 72:배수밸브
73:배수관 74:주수관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헹굼 제어방법은, 세탁기의 이불/담요코스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이불/담요코스의 헹굼행정 실행시 실행할 헹굼행정의 실행 횟수를 판단하는 헹굼횟수판단단계, 헹굼횟수판단단계에서 두 번째 이상의 헹굼행정이라고 판단되면 헹굼을 하는 동안 급수되는 물이 세탁조를 넘치게 급수를 하여 헹굼을 행하는 오버플로우헹굼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양호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겠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제어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다른 세탁기는, 세탁기 본체(1)의 내부에 수조(2)가 배치되고, 그 수조(2)의 내부에는 세탁물을 담기위한 세탁조(3)가 회전가능 하도록 장착된다. 그리고 세탁조(3)의 하부에는 펄세이터(4)가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또한, 상기 수조(2)의 바닥의 외측에는 정/역방향으로 회전하는 모터(6)가 장착되고, 그 모터(6)는 풀리(7) 및 벨트(8)에 의하여 클러치기구(9)와 연결된다.
그리고 클러치기구(9)는 세탁 및 헹굼시에 풀리(7) 및 벨트(8)를 통하여 모터(6)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펄세이터(4)를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고, 탈수시에는 모터(6)의 회전력에 따라 세탁조(3)를 고속으로 정회전시킨다.
또한 수조의 바닥에는 그 수조(2)내의 물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밸브(72)가 형성되어 있고, 그 배수밸브(72)는 배수관(73)과 연결된다. 또한 오버플로우(overflow) 헹굼을 하기 위한 주수관(74)의 일측이 수조(2)의 상부에 마련되며, 주수관(74)의 타측은 배수관(73)에 연결되어 있다.
한편 세탁기 본체(1)의 상부에는 외부의 수도전과 연결되는 급수관(63)이 위치하고, 그 급수관(63)의 도중에는 세탁조(3)에 급수를 하기 위한 급수밸브(62)가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블럭도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세탁기의 기능을 설정 입력할 수 있는 기능설정부(11)와, 기능설정부(11)의 입력에 따라서 세탁기가 동작할 때의 급수를 설정하는 급수설정부(12)와, 세탁기의 수조의 수위를 감지하여 수위신호를 출력하는 수위감지부(20)를 구비한다. 그리고 전술한 구성요소들은 제어부(4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기능설정부(11)와 급수설정부(12)로부터의 입력에 따라서 세탁기를 제어하는 제어부(40)와, 제어부(40)의 제어에 따라서 세탁기를 동작시키는 세탁기구동부(50)와, 세탁기 행정동작시 동작시간을 적산하는 타이머(30)와, 급수시 제어부(40)의 제어에 따라서 구동되는 급수밸브구동부(61)와, 급수밸브구동부(61)의 구동에 따라서 개폐되는 급수밸브(62)를 구비한다.
또한 배수시 제어부(40)의 제어에 따라서 구동되는 배수밸브구동부(71)와, 배수밸브구동부(71)의 구동에 따라서 개폐되는 배수밸브(72)를 구비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이불/담요코스의 헹굼 제어방법을 설명하겠다.
먼저 사용자는 이불 혹은 담요를 세탁하기 위하여 기능설정부(11)를 통하여 이불/담요코스를 설정한다(S110). 이때 사용자가 이불/담요코스를 선택하면 그에 따라서 수위, 헹굼시간 등등이 설정된다. 이불/담요코스가 설정되면 제어부(40)는 급수밸브구동부(61)를 제어하여 급수밸브(62)를 개방시켜 급수를 시작한다(S120).
급수밸브(62)가 개방되어 급수가 시작되면 제어부(40)는 수위감지부(20)를 통하여 급수되는 물의 수위를 감지한다. 제어부(40)는 현재 급수되는 물의 수위를 감지한 다음 감지된 수조의 수위를 설정된 수위와 비교 판단하여 급수완료를 판단한다(S130).
판단(S130)에서 수위감지부(20)를 통하여 감지된 수위가 설정(S110)에서 설정된 수위에 이르렀다고 판단되면 급수가 완료되었다고 판단하여 제어부(40)는 급수밸브구동부(61)를 제어하여 급수밸브(62)를 닫고 급수를 중단시킨다(S140). 그런데 판단(S130)에서 수위감지부(20)를 통하여 감지된 수위가 설정(S110)에서 설정된 수위에 이르지 못했다고 판단되면 제어부(40)는 급수되는 물의 수위가 설정 수위에 도달하지 않았다고 판단하여 현재 동작하고 있는 급수밸브를 계속 열어서 계속적으로 급수를 한다(S130).
급수가 완료되어 수조에 물이 차게되면 제어부(40)는 세탁기구동부(50)를 제어하여 모터를 구동시킨다. 모터가 구동되면 모터의 회전력이 벨트를 통하여 클러치기구에 전달되고 그로 인하여 펄세이터가 동작하게 되어 세탁행정을 실시한다(S150).
세탁행정이 실시(S150)되면 제어부(40)는 타이머(30)를 통하여 세탁행정이 실시되는 시간을 점검하고 설정된 세탁행정시간이 종료를 하면 제어부(40)는 세탁기구동부(50)를 제어하여 모터를 정지시켜 세탁행정을 종료한다.
세탁행정이 종료하면 제어부(40)는 배수밸브구동부(71)를 구동시켜 배수밸브(72)를 열어서 수조의 물을 배수시킨다(S160). 배수가 되는 동안 수위감지부(20)는 수위를 감지하여 그 신호를 제어부(40)로 출력하고 제어부(40)는 수위감지부(2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수위를 감지하고 배수가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한다.
배수가 되고 나면 제어부(40)는 세탁기구동부(50)를 제어하여 탈수행정을 실시한다(S170).
탈수가 완료되고 나면 제어부(40)는 헹굼행정을 행하게 되는데, 먼저 제어부(40)는 첫 번째 헹굼행정인지를 판단한다(S180).
판단(S180)에서 첫 번째 헹굼행정이라고 판단되면 제어부(40)는 일반적인 헹굼행정을 실시한다. 여기에서 일반적인 헹굼행정이란 다음과 같다. 일반적인 헹굼행정은, 먼저 급수를 하고, 급수되는 수위가 소정수위에 이르면 급수를 중단한 후 헹굼을 행하는 것이다.
판단(S180)에서 첫 번째 헹굼행정이라고 판단되면, 먼저 급수를 한다(S190). 급수를 하기 위하여 제어부(40)는 급수밸브구동부(61)를 제어하여 급수밸브(62)를 개방시켜 급수한다.
급수(S190)가 시작되면 수위감지부(20)는 수조의 수위에 따른 신호를 제어부(40)로 출력한다. 제어부(40)는 수위감지부(2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으로 받아서 수위를 감지한다.
제어부(40)는 급수되는 물의 수위를 감지한 다음, 감지된 수조의 수위가 설정(S110)에서 설정된 수위에 도달했는지를 판단한다(S200).
판단(S200)에서 수위감지부(20)를 통하여 감지된 수위가 설정(S110)에서 설정된 수위에 이르렀다고 판단되면 급수가 완료되었다고 판단하여 제어부(40)는 급수밸브구동부(61)를 제어하여 급수밸브(62)를 닫아서 급수를 중단시키고 급수를 완료한다(S210).
그런데 판단(S200)에서 수위감지부(20)를 통하여 감지된 수위가 설정(S110)에서 설정된 수위에 이르지 못했다고 판단되면 제어부(40)는 급수되는 물의 수위가 설정 수위에 도달하지 않았다고 판단하여 계속적으로 급수를 한다(S190).
급수가 완료되어 수조에 물이 차게되면 제어부(40)는 세탁기구동부(50)를 구동시켜 헹굼행정을 실시한다(S220). 헹굼행정이 실시되면 제어부(40)는 타이머(30)를 통하여 그 시간을 적산한다. 제어부(40)는 타이머(30)를 통하여 적산된 시간이 설정된 헹굼시간이 되면 헹굼헹정을 종료한다.
헹굼행정이 종료를 하면 제어부(40)는 배수밸브구동부(71)를 제어하여 배수밸브(72)를 개방시키고 배수관을 통하여 물을 배수시킨다(S240).
배수가 되고 나면 제어부(40)는 설정(S110)에서 설정된 헹굼 횟수가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한다(S250). 다시 말하여 설정(S110)에서 설정된 헹굼 횟수만큼 헹굼행정이 진행되었는지를 판단한다.
판단(S250)에서 설정된 헹굼 횟수만큼 헹굼행정이 진행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제어부(40)는 헹굼행정을 반복한다. 제어부(40)는 헹굼행정을 반복하기 위하여, 먼저 첫 번째 헹굼인지를 판단한다(S180).
판단(S180)에서 첫 번째 헹굼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제어부(40)는 배수시 잘 배출되지 않는 먼지와 보푸라기 그리고 때 등을 배출하기 위하여 오버플로우 헹굼을 행하게 된다.
제어부(40)는 오버플로우헹굼을 행하기 위하여 급수밸브구동부(61)를 제어하여 급수밸브(62)를 개방시키고 급수를 시작한다(S181). 급수가 시작되면 제어부(40)는 수위감지부(20)를 통하여 수위를 감지하고 감지된 수위가 설정된 수위에 도달했는지를 판단한다(S182).
판단(S182)에서 감지된 수위가 설정된 수위에 도달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제어부(40)는 급수밸브(62)를 계속 개방시켜 급수가 지속되도록 급수밸브구동부(61)를 제어한다(S181).
그런데 판단(S182)에서 감지된 수위가 설정된 수위에 도달했다고 판단되면 제어부(40)는 세탁기구동부(50)를 제어하여 헹굼을 실시한다(S183). 이때 제어부(40)는 오버플로우헹굼을 하기 위하여 급수를 계속 될 수 있도록 급수밸브구동부(61)를 제어하여 급수밸브(62)를 개방을 유지시킨다.
헹굼이 되는 동안 급수밸브(62)가 계속 개방되어 있으므로, 급수되는 물이 세탁조를 넘게 되고 세탁조를 넘은 물은 주수관을 통하여 배수관으로 배수된다. 그리하여 물위에 떠 있던 먼지, 보푸라기, 때 등은 외부로 배출된다.
헹굼이 실시되는 동안에 제어부(40)는 타이머(30)를 통하여 시간을 적산하여 헹굼완료를 판단한다(S184). 제어부(40)는 타이머를 통하여 적산된 시간이 설정된 헹굼시간에 이르면 세탁기구동부(50)를 제어하여 헹굼을 완료한다. 그리고 제어부(40)는 급수밸브(62)를 닫아서 급수가 중지되도록 급수밸브구동부(61)를 제어한다.
그리고 나서 제어부(40)는 배수밸브(72)를 개방시켜 배수를 실시(S240)하도록 배수밸브구동부(71)를 제어한다.
배수가 되고 나면 제어부(40)는 설정(S110)에서 설정된 헹굼 횟수가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한다(S250). 판단(S250)에서 설정(S110)에서 설정된 헹굼횟수가 아직 종료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헹굼횟수에 따른 전술한 헹굼행정을 반복한다.
그런데 판단(S250)에서 설정된 헹굼횟수가 종료되었다고 판단되면 제어부(40)는 탈수행정을 실시한다(S260).
탈수행정이 실시되면 제어부(40)는 타이머(30)를 통하여 설정(S110)에서 설정된 탈수시간이 종료했는지를 판단하여 탈수시간이 종료했다고 판단되면 제어부(40)는 탈수행정을 완료하고 종료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헹굼 제어방법에 의하여, 세탁기의 이불/담요 코스에서 헹굼행정시, 두 번째부터의 헹굼에서는 헹굼시간동안 계속적으로 급수되는 물을 넘치게 하는 오버플로우(Overflow) 헹굼을 하여 배수를 할 때 잘 배출되지 않는 먼지나 보푸라기 등을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서, 건조 후 세탁물을 따로 손질을 하지 않아도 되어 사용자에게 편리함과 신뢰를 줄 수 있다.

Claims (2)

  1. 세탁기의 이불/담요코스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불/담요코스의 헹굼행정 실행시 실행할 헹굼행정의 실행 횟수를 판단하는 헹굼횟수판단단계,
    상기 헹굼횟수판단단계에서 두 번째 이상의 헹굼행정이라고 판단되면 헹굼을 하는 동안 급수되는 물이 세탁조를 넘치게 급수를 하여 헹굼을 행하는 오버플로우헹굼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헹굼 제어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플로우헹굼단계는 상기 이불/담요코스의 설정된 수위까지 급수를 하는 제1단계와, 급수되는 수위가 상기 설정된 수위에 이르면 급수되는 물이 상기 세탁조를 넘치도록 계속적으로 급수를 행하며 헹굼을 실시하는 제2단계와, 상기 이불/담요코스의 헹굼시간이 종료하면 급수를 중단하고 헹굼의 종료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세탁기의 헹굼 제어방법.
KR1019980019559A 1998-05-28 1998-05-28 세탁기의 헹굼 제어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2746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9559A KR100274673B1 (ko) 1998-05-28 1998-05-28 세탁기의 헹굼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9559A KR100274673B1 (ko) 1998-05-28 1998-05-28 세탁기의 헹굼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6540A KR19990086540A (ko) 1999-12-15
KR100274673B1 true KR100274673B1 (ko) 2000-12-15

Family

ID=19537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9559A Expired - Fee Related KR100274673B1 (ko) 1998-05-28 1998-05-28 세탁기의 헹굼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467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6540A (ko) 1999-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8918B1 (ko) 세탁장치 및 그 운전방법
KR20050065722A (ko) 세탁기 및 그 제어 방법
JP2690280B2 (ja) 洗濯機の用水供給装置
KR20030090086A (ko) 세탁기의 헹굼 제어방법
KR100274673B1 (ko) 세탁기의 헹굼 제어방법
KR100701937B1 (ko) 세탁기의 배수방법
EP1502981A2 (en) Washing machine
KR100391107B1 (ko) 세탁기의 세탁물 구김 방지방법
KR100319688B1 (ko) 세탁기의 급수 제어방법
KR960012121B1 (ko) 세탁기
KR100232163B1 (ko) 세탁시 엉켜진 세탁물을 푸는 방법
KR100598568B1 (ko) 세탁기의 헹굼 제어방법
KR100242494B1 (ko) 최적 헹굼이 가능한 전자동 세탁기
JPH07222893A (ja) 洗濯機
KR0142770B1 (ko) 전자동 세탁기의 제어방법
JPH11300075A (ja) 脱水槽を用いて洗濯物を洗濯できる洗濯機
JP7032480B2 (ja) ドラム式洗濯機
KR970011959B1 (ko) 세탁기의 급수헹굼 제어방법
KR100186578B1 (ko) 전자동 세탁기의 급수구조 및 세탁방법
JP3157421B2 (ja) 洗濯機の運転方法
KR19990011278A (ko) 세탁기의 급수헹굼 방법
KR0132998Y1 (ko) 세탁기의 펄세이터
KR0120394Y1 (ko) 드럼세탁기의 세탁수 및 세제절감장치
JP2902931B2 (ja) 洗濯機の運転方法
KR20000015672A (ko) 절수형 전자동 투과세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05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8052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008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09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009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8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8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8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8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8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29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82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