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4478B1 - 병렬 테스트 장치를 갖는 집적 반도체 메모리 및 그 리던던시 방법 - Google Patents
병렬 테스트 장치를 갖는 집적 반도체 메모리 및 그 리던던시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274478B1 KR100274478B1 KR1019920702809A KR920702809A KR100274478B1 KR 100274478 B1 KR100274478 B1 KR 100274478B1 KR 1019920702809 A KR1019920702809 A KR 1019920702809A KR 920702809 A KR920702809 A KR 920702809A KR 100274478 B1 KR100274478 B1 KR 10027447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ata
- input
- output
- group
- input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Lifetime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9/00—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 G11C29/04—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memory elements, e.g. cell constructio details, timing of test signals
- G11C29/08—Functional testing, e.g. testing during refresh, power-on self testing [POST] or distributed testing
- G11C29/12—Built-in arrangements for testing, e.g. built-in self testing [BIST] or interconnection details
- G11C29/44—Indication or identification of errors, e.g. for repair
Landscapes
- Tests Of Electronic Circuits (AREA)
- For Increasing The Reliability Of Semiconductor Memories (AREA)
- Testing Or Measuring Of Semiconductors Or The Like (AREA)
- Design And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s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 Techniques For Improving Reliability Of Storages (AREA)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 Dram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80)
- 정상 모드와 테스트 모드를 가지는 집적 반도체 메모리에 있어서, 가) M개 메모리셀들(MC)로 구성된 그룹들 및 워드라인들(WL)을 각각 구비하는 U개의 블록그룹들(GPu=1...U); 나) 상기 테스트 모드에서, 상기 메모리셀들(MC)의 그룹들 수 개를 동시에 테스트하는 테스팅 수단; 및 다) I/O 데이터 라인들(IO1,IO2,IO3)을 포함하며, - 상기 메모리셀들(MC)의 그룹들 각각은 상기 U개의 블록그룹들(GPu) 각각의 내에서 각 워드라인(WL)을 따라 배치되며, - 상기 테스팅 수단은, 상기 반도체 메모리로 기록될 데이터를 기록하고 상기 반도체 메모리로부터 판독된 데이터를 평가하기 위하여, 상기 U개의 블록그룹들(GPu=1...U)과 연결된 병렬 테스트 장치(PT)의 형태로 구성되며, - 상기 병렬 테스트 장치(PT)는, 상기 테스트 모드에서, 상기 동시에 테스트되는 메모리셀들(MC)의 그룹들 각각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판독 데이터를 평가하고, 상기 동시에 테스트되는 메모리셀들(MC)의 그룹들 각각에 대한 독립적인 평가 결과를 생성하며, 그리고 - 상기 I/O 데이터 라인들(IO1,IO2,IO3)은, 상기 정상 모드에서는 상기 메모리셀들로부터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테스트 모드에서는 상기 메모리셀들(MC)의 그룹들 각각에 대한 상기 평가 결과들을 개별적으로 전송하도록, 상기 테스팅 수단을 상기 반도체 메모리의 데이터 핀들 또는 데이터 패드들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반도체 메모리.
- 제1항에 있어서, 가) 각 블록그룹(GPu)은 워드 라인들(WL) 및 비트 라인들(BL)을 따라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메모리셀들(MC)을 가지는 V개 메모리 블록들(BKv=1...v)을 포함하며; 나) 동작시, 블록그룹(GPU)마다 최대의 메모리 블록(BKv)이 선택될 수 있으며; 다) 각 메모리 블록(BKv)은, - 공급된 블록 주소(ADBK)의 함수로써, 그리고 블록 선택 신호(BKSIG)에 의해 제어되면서, 해당 메모리 블록그룹(GPu)의 메모리 블록(BK1...V)셋트로부터 각 메모리 블록을 선택하기 위한 블록 디코드(BDEC), - 워드라인 주소(ADWL) 및 블록 선택 신호(BKSIG)의 함수로써 워드라인(WL)을 선택하기 위한 워드라인 디코더들(WLDEC), - 각 경우에, 한편으로는 비트라인(BL) 쌍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연결라인 쌍과 연결되는 판독 증폭기들(SA), 및 - 상기 연결라인을 블록 데이터 버스(BKDB)의 판독(BKDB-RD) 및 기록(BKDB-WR)을 위한 M개 데이터 라인 쌍들 중의 하나와 선택적으로 연결하며, 각 경우에 M개가 함께, 비트그룹 선택 신호(BITSIG)에 의해 비트스위치 블록(BKBSW)으로서 활성화될 수 있는 비트 스위치들(BSW)을 포함하며; 라) 비트그룹 선택신호들(BITSIG)은 비트 그룹 주소들(ADBIT)에 의해 활성화되는 비트그룹 디코더(BITDEC)의 출력 신호들이며, 모든 메모리 블록(BK1...V)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비트그룹 디코더(BITDEC)가 제공되며; 마) 블록그룹(GPu)의 각 메모리 블록(BKv)은, 한편으로 각 블록 데이터버스(BKDB)의 기록 데이터라인들(BKDB-WR) 및 판독 데이터라인들(BKDB-RD)이 공급되고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블록그룹(GPu)의 모든 블록 데이터버스 멀티플렉서들(BKDBMX)을 연결하는 그룹데이터버스의 기록(GPDB-WR) 및 판독(GPDB-RD)을 위한 M개 데이터 라인 쌍과 연결되는, 블록 데이터버스 멀티플렉서(BKDBMX)와 결합되며; 바) 각 블록 데이터버스 멀티플렉서(BKDBMX)는 그 블록 데이터버스 멀티플렉서(BKDBMX)와 결합된 메모리 블록(BKV)의 블록선택신호(BKSIG)에 의해 제어되며; 사) 상기 병렬 테스트 장치(PT)는, - 각 블록그룹(GPu)에 대하여 제공되며, 한편으로 각 그룹 데이터버스(GPDB)와 연결되고,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I/O 데이터버스(IODB)와 연결되는 그룹 I/O 유니트(GPIO), - 모든 U개 블록그룹들(GP1...U)과 결합되며, 그 입력이 모든 그룹 데이터 I/O 유니트들(GPIO)의 I/O 데이터 버스들(IODB)와 연결되며, 그 출력이 P개의 제1형의 I/O 데이터 라인(IO1) 및 (K-P)개의 제2형의 I/O 데이터 라인(IO2)을 가지며, 판독 및 기록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어신호(RD, WR), 테스트 신호(Test), 및 I/O 주소 버스(IOAD)에 의해 활성화되는 메모리 어레이 I/O 유니트(MAIO), - 하나의 케이스 내에 캡슐화된 반도체 메모리의 연결장치를 경유하여 반도체 메모리의 사용자와 전기적으로 액세스가능한 반도체 메모리의 패드들(PD)과 적어도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제1형의 I/O 데이터 라인(IO1), 및 - 상기 케이스에 캡슐화된 반도체 메모리의 사용자와 전기적으로 액세스할 수 없고 반도체칩 그 자체에만 액세스할 수 있는 제2형의 I/O 데이터 라인(IO2)를 포함하며; 아) U개의 블록그룹들(GP1...U)의 모든 그룹 I/O 유니트(GPIO)들은 적어도 하나의 테스트 신호(Test), 기록 및 판독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어신호(WR, RD), 및 그룹 주소버스(GPAD)에 의해 함께 활성화되며; 자) 상기 병렬 테스트 장치(PT)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장치(CONTROL)을 더 포함하며; 아) 상기, 제어 장치(CONTROL)는, - 외부에서 반도체 메모리로 공급될 수 있는 주소신호들(ADR) 및 제어신호들(,, R/)에 대한 입력, 그리고 블록주소들(ADBK), 워드라인 주소들(AD지), 비트 그룹 주소들(ADBIT), 기록 및 판독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어신호(WR, RD), 테스트 신호(Test), 그룹 주소버스(GPAD), 및 I/O 주소버스(IOAD)에 대한 출력을 가지며, - 외부에서 공급할 수 있는 주소신호들(CADR)로부터 블록주소들(ADBK), 워드 라인 주소들(ADWL), 비트 그룹 주소들(ADBIT), 그룹 주소버스(GPAD) 및 I/O 주소 버스(IOAD)를 생성하며, - 외부에서 공급할 수 있는 제어신호들(,, R/)로부터 기록 및 판독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어신호(RD, WR)를 생성하며, - 외부에서 공급될 수 있는 주소신호들(ADR) 및 제어신호들(,, R/)로부터, 특히 UEDEC 위원회의 “JEDEC 표준 21-B”에 따라는, 테스트 신호(Test)를 생성하며; 그리고 자) 상기 반도체 메모리는 상기 테스트 신호(Test)가 활성화될 때 테스트 모드에서 동작하며, 그 이외의 경우는 정상 동작 모드에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반도체 메모리.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데이터버스들(BKDB)에서, 한쌍의 판독용 데이터 라인(BKDB-RD)은 각 경우에 별도의 판독 데이터 라인쌍으로서 구성되며, 한쌍의 기록용 데이터 라인(BKDB-WR)은 각 경우에 별도의 기록 데이터 라인쌍으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반도체 메모리.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데이터버스드(BKDB)에서, 한쌍의 기록용 데이터 라인(BKDB-WR) 및 한쌍의 판독용 데이터 라인(BKDB-RD)은 각 경우에 단일의 양방향 데이터 라인 쌍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반도체 메모리.
-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데이터버스(GPDB)에서, 한쌍의 기록용 데이터 라인(GPDB-WR) 및 한쌍의 판독용 데이터 라인(GPDB-RD)은 각 경우에 단일의 양방향 데이터라인의 쌍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반도체 메모리.
-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데이터버스(GPDB)에서, 한쌍의 판독용 데이터 라인(BKDB-RD)은 각 경우에 별도의 판독 데이터 라인쌍으로서 구성되며, 한쌍의 기록용 데이터 라인(BKDB-WR)은 각 경우에 별도의 기록 데이터 라인쌍으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반도체 메모리.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주소들(ADWL)은 하나의 블록그룹(GPU)의 V개의 블록 디코더(BDEC)를 번지 지정하기 위해 이용할 수 있는 수량으로 외부에서 공급할 수 있는 주소 신호들(ADR)로부터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반도체 메모리.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워드 라인 주소들(ADWL)은 하나의 메모리 블록(BKV)의 모든 워드라인(WL)을 번지 지정하기 위해 이용할 수 있는 수량으로 외부에서 공급할 수 있는 주소 신호들(ADR)로부터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반도체 메모리.
- 상기 비트 그룹 주소들(ADBIT)는 (A:M) 비트그룹 선택신호(BITSIG)가 디코드될 수 있는 수량으로 외부에서 공급할 수 있는 주소신호들(ADR)에서 얻어지며, 상기 A는 메모리 블록(BKV)의 비트라인들(BL)의 전체 쌍의 수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반도체 메모리.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I/O 데이터버스(IODB)는 기록 및 판독을 위한 정확히 하나의 데이터 라인 쌍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반도체 메모리.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I/O 데이터버스(IODB)는 기록용 하나의 데이터 라인 쌍(IODB-WR,) 및 판독용 하나의 데이터 라인쌍(IODB-D,)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반도체 메모리.
-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주소버스(GPAD)는 M개의 그룹주소신호(GPADm=1...M)을 포함하며, 각 경우에 그 하나는 제1논리상태에 있고 나머지의 것들은 상기 제1논리상태의 상보형인 제2논리상태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반도체 메모리.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I/O유니트(GPIO)는 그룹제어회로(GPCTRL), 그룹 기록유니트(GPWR), 그룹 판독유니트(GPRD) 및 테스트 유니트(GPTest)을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그룹제어회로(GPCTRL)은 입력으로 M개의 그룹주소신호(GPADm) 및 테스트 신호(Test)와 연결되며, 출력으로 M개의 그룹주소출력신호(GPAD’m=1...M)를 가지고, 상기 그룹주소출력신호(GPAD’m=1...M)들 모두는 테스트 모드에서 함께 하나의 논리레벨을 나타내며 정상동작모드에서 각 그룹 주소신호(GPADm)의 논리상태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반도체 메모리.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제어회로(GPCTRL)은 각 경우에 두개의입력을 가지는 M개의 상호 독립인 OR 게이트(OR)를 포함하며, 상기 OR 게이트(OR)의 한 입력은 공통의 테스트신호(Test)가 제공되고 다른 입력은 각 그룹주소신호(GPADm)가 제공되며 그 출력은 그룹제어회로(GPCTRL)의 출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반도체 메모리.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OR 게이트(OR)는 인버터가 그 다음에 배치되며 두개의 입력을 가지는 NOR 게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반도체 메모리.
-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기록유니트(GPWR)은 두 개의 디멀티플렉서(DMUXWR)를 포함하며; 상기 디멀티플렉서(DMUXWR)는 각 경우에 그룹제어회로(GPCTRL)의 그룹주소출력신호(GPAD’m)용 입력과 각 경우에 기록을 위해 이용되는 I/O 데이터 버스(IODB)의 데이터 라인쌍의 두개의 라인들(IODB-WR,)중 하나에 대한 추가 입력을 가지며, 각 경우에 기록을 위해 이용되는 그룹 I/O 유니트(GPIO)과 결합된 M쌍의 그룹 데이터버스(GPDB)의 라인들에 대한 M개의 출력(GPDB-WR1...M;)을 가지며; 상기 각 M개의 출력은 각 디멀티플렉서(DMUXWR)에서 그룹제어회로(GPCTRL)의 그룹 주소출력신호(GPAD’1...M)에 대한 입력 중의 어느 하나와만 결합되고, 각 디멀티플렉서(DMUXWR)의 추가입력에 나타난 데이터 항목은, 정상 동작모드에서, 결합된 그룹주소출력신호(GPAD’m)가 상응하는 그룹주소신호(GPADm)의 제1논리 레벨인 출력과 연결되고; 그리고 각 디멀티플렉서(DMUXWR)에서 각 추가입력에 나타난 데이터 항목은, 테스트 모드에서, 모든 M개의 출력으로 스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반도체 메모리.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각 디멀티플렉서(DMUXWR)은 각 경우 두개의 입력을 가지는 M개의 상호 독립인 AND 게이트(AND)을 포함하며, 상기 AND 게이트(AND)의 한 입력은 기록을 위해 이용되는 I/O 데이터버스(IODB)의 각 하나의 라인과 공통으로 연결되고, 그리고 다른 입력은 각 디멀티플렉서(DMUXWR)에서 그룹제어회로(GPCTRL)의 그룹주소출력신호들(GPAD’1...M)중의 하나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반도체 메모리.
- 제17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AND 게이트(AND)는 두개의 입력을 가지며 AND 게이트(AND)의 입력인 NAND 게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NAND 게이트 다음에 인버터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반도체 메모리.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기록유니트(GPRD)은 두개의 멀티플렉서(MUXRD)를 포함하며; 상기 멀티플렉서(MUXRD)는 각 경우에 판독(GPDB-RD1...M;)을 위해 이용되는 그룹 I/O 유니트(GPIO)와 결합된 그룹 데이터버스(GPDB)의 M개의 쌍의 라인들에 대한 입력 그리고 각 경우에 그룹제어회로(GPCTRL)의 M개의 그룹주소출력신호(GPAD’1...M)에 대한 추가 입력을 가지며; 상기 각 멀티플렉서(MUXRD)는 하나의 출력(GPout1, GPout2)을 포함하며; 상기 각 멀티플렉서(MUXRD)에서 각 그룹주소출력신호(GPAD’1...M)을 포함하며; 상기 각 멀티플렉서(MUXRD)에서 각 그룹주소출력신호(GPAD’1...M)은 그룹 데이터버스(GPDB)의 정확히 하나의 라인 쌍(GPDB-RD1...M;)과만 결합되며; 정상동작 모드에서, 상기 두 개의 멀티플렉서(MUXRD)는 판독을 위하여 사용되는 그룹 데이터버스(GPDB)의 데이터 라인쌍(GPDB-D1,;...:GPDB-DM,)을 출력(GPout1, GPout2)으로 스위치하며, 상기 버스와 결합된 그룹주소출력신호(GPAD’m)는 상응하는 그룹주소신호(GPADm)의 제1논리레벨이 되며; 테스트 모드에서, 각 멀티플렉서(MUXRD)에 나타나는 판독을 위한 모든 라인들(GPDB-D1...M,)이 동일한 데이터 항목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이들이 각 멀티플렉서(MUXRD)의 출력(GPout1, GPout2)으로 스위치되어 상기 두 개의 멀티플렉서들(MUXRD)의 출력(GPout1, GPout2)은 상호 상보적인 논리 레벨이 되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멀티플렉서(MUXRD)의 출력들(GPout1, GPout2)이 상호 동일한 논리레벨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반도체 메모리.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각 멀티플렉서(MUXRD)는 각 경우 두개의 입력을 가지는 M개의 NAND 게이트 및 각 경우에 M개의 NAND 게이트의 한 출력과 연결된 M개의 입력을 가지는 추가의 NAND 게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추가의 NAND 게이트의 출력은 각 멀티플렉서(MUXRD)의 출력(GPout1, GPout2)이고, M개의 NAND 게이트 각각의 한 입력은 그룹 데이터 버스(GPDB)의 판독데이터라인(GPDB-RD1...M, GPDB-RD1...M)의 하나와 연결되고, 그리고 각 M개의 NAND 게이트의 다른 입력은 각 판독데이터라인(GPDB-D1...M,)과 결합된 그룹주소출력신호(GPAD’m)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느 집적 반도체 메모리.
- 제19항에 있어서, - 상기 그룹 테스트유니트(GPTest)이 각 경우에 그룹 판독유니트(GPRD)의 두개의 출력(GPout1, GPout2)중 하나와 결합된 제1입력(GPin1) 및 제2입력(GPin2)을 가지며, - 상기 그룹 테스트유니트(GPTest)이 논리레벨에서 테스트신호(Test)용 세 번째 입력과 비교 데이터 항목(DCOMP)용 네 번째 입력을 가지며, - 상기 그룹 테스트유니트(GPTest)이 I/O 데이터버스(IODB)의 판독라인(IODB-D,)과 연결된 두개의 출력을 가지며, - 상기 그룹 테스트유니트(GPTest)는, i) 정상동작 모드에서는, 제1두개의 입력(GPin1, GPin2)의 각 입력(GPin1; GPin2)에 나타난 신호가 출력에 나타나며, ii) 테스트 모드에서는, 한 경우에는 제1두개의 입력(GPin1, GPin2)에 연결된 그룹 판독유니트(GPRD)의 출력(GPout1, GPout2)가 상호 상보형 논리레벨이 되는데, 상기 상보형 레벨은 그룹 테스트유니트(GPTest)의 출력에 나타나고, 다른 경우에는 제1두개의 입력(GPin1, GPin2)과 연결된 그룹 판독유니트(GPRD)의 출력(GPout1, GPout2)은 상호 동일한 논리레벨이 되고, 그룹 테스트유니트(GPTest)의 두 출력중 하나는 비교 데이터 항목(DCOMP)의 논리레벨과 상보형인 논리레벨이 되는 반면 두개의 출력중 다른 하나는 비교 데이터 항목(DCOMP)의 논리레벨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반도체 메모리.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테스트유니트(GPTest)은 각 경우에 두개의 입력과 한 출력을 가지는 여섯개의 NAND 게이트(N1,...,N6) 및 세개의 입력과 한 출력을 가지는 NOR 게이트(NOR)를 포함하고, 상기 제1NAND 게이트(N1)의 한 입력은 상기 그룹 테스트유니트(GPTest)의 제1입력(GPin1)이고, 상기 제4NAND 게이트(N4)의 한 입력은 그룹 테스트유니트(GPTest)의 제2입력(GPin2)이고, 상기 그룹 테스트유니트(GPTest)의 제1입력(GPin1)은 제1인버터(I1)를 경유하여 상기 제4NAND 게이트(N4)의 다른 입력과 상기 NOR 게이트(NOR)의 제1입력에 모두 연결되고, 상기 그룹 테스트유니트(GPTest)의 제2입력(GPin2)는 제2인버터(I2)를 경유하여 상기 제1NAND 게이트(N1)의 다른 입력과 상기 NOR 게이트(NOR)의 제2입력에 모두 연결되고, 상기 테스트 신호(Test)는 제3인버터(I3)를 경유하여 상기 NOR 게이트(NOR)의 제3입력에 제공될 수 있고, 상기 비교데이터항목(DCOMP)은 상기 제3NAND 게이트(N3)의 한 입력에 공급될 수 있고 그리고 제4인버터(I4)를 경유하여 상기 제2NAND 게이트(N2)의 한 입력에 공급될 수 있고, 상기 NOR 게이트(NOR)의 출력은 상기 제2 및 제3NAND 게이트(N2, N3)의 다른 입력들과 연결되고, 상기 제1 및 제2NAND 게이트(N1, N2)의 출력은 제5NAND 게이트(N5)의 입력과 연결되고, 상기 제3 및 제4NAND 게이트(N3, N4)의 출력은 상기 제6NAND 게이트(N6)의 입력과 연결되고, 그리고 상기 제5 및 제6NAND 게이트(N5, N6)의 출력은 그룹 테스트유니트(GPTest)의 두개의 출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반도체 메모리.
-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 상기 메모리 어레이 I/O 유니트(MATO)는 각 경우 R개의 판독유니트(RDU1; RDU2)를 가지는 P개의 메모리 어레이 판독유니트(MARD), 각 경우에 상기 메모리 어레이 판독유니트(MARD)에 할당되며 각 경우 R개의 기록유니트(WRU1; WRU2)를 포함하는 P개의 메모리 어레이 기록유니트(MAWR), 그리로 메모리 어레이 제어회로(MACTRL)를 포함하고, - 각 메모리 어레이 판독유니트(MARD)는 R쌍의 데이터 입력라인(MARDp,r,)을 가지고, - 각 메모리 어레이 기록유니트(MAWR)는 R쌍의 데이터 출력라인(MAWRp,r,)을 가지고 p는 R 쌍 각각에 대하여 일정하고 p=1...P, r=1...R이고, - P,R,U 사이에는 P×R=U의 관계가 성립하고, - 데이터 입력라인(MARDp,r,)은 U개의 I/O 데이터버스(IODB)의 판독라인(IODB-D,)에 연결되고, - 데이터 출력라인(MAWRp,r,)은 U개의 I/O 데이터 버스(IODB)의 기록 라인(IODB-WR,)과 연결되고 - 각 메모리 어레이 판독유니트(MARD)는 한 출력에서 제1형의 I/O 데이터 라인들(IO1)중의 하나 및 결합된 메모리 어레이 기록유니트(MAWR)의 데이터 입력과 연결되고, - 각 메모리 어레이 판독유니트(MARD)는 또한 (R-1)개의 제2형의 I/O 데이터 라인(IO2)에 대한 출력을 가지고, - 모든 메모리 어레이 판독유니트(MARD)는 판독 제어신호(RD)를 공동으로 수신하고, - 모든 메모리 어레이 기록유니트(MAWR)는 기록 제어신호(WR)를 공동으로 수신하고, - 모든 메모리 어레이 판독유니트(MARD), 모든 메모리 어레이 기록유니트(MAWR), 및 메모리 어레이 제어회로(MACTRL)은 테스트신호(Test)를 공동으로 수신하고, - 모든 메모리 어레이 판독유니트(MARD)는 메모리 어레이 판독 주소버스(MAADRD)와 공동으로 연결되고, - 모든 메모리 어레이 기록유니트(MAWR)는 메모리 어레이 기록 주소 버스(MAADWR)와 공동으로 연결되고, - 메모리 어레이 제어회로(MACTRL)는 테스트 신호(Test)의 제어하에 I/O 주소버스(IOAD)에서 메모리 어레이 판독 주소 버스(MAADRD)와 메모리 어레이 기록주소버스(MAADWR)를 발생하기 위한 회로이고, 상기 메모리 어레이 판독주소버스(MAADRD) 및 메모리 어레이 기록주소버스(MAADWR)는 각 경우에 R개의 주소라인(MAADRD1...R; MAADWR1...R)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반도체 메모리.
- 제23항에 있어서, 각 경우에 한 쌍의 상기 데이터 입력라인(MARDp,r,) 및 한 쌍의 데이터 출력 라인(MAWRp,r,)이 양방향으로 동작할 수 있는 단일 데이터 라인 쌍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반도체 메모리.
- 제23항에 있어서, - 상기 메모리 어레이 제어회로(MACTRL)은 판독 디코더(DECRD) 및 기록 디코더(DECWR)를 포함하고, - 상기 판독 디코더(DECRD) 및 기록 디코더(DECWR)는, i) 정상동작모드에서, I/O주소버스(IOAD)를 메모리 어레이 판독주소버스(MAADRD) 및 메모리 어레이 기록주소버스(MAADWR)로 스위치하고, ii) 테스트 모드에서, 판독 디코더(DECRD) 및 테스트신호(Test)에 의해 메모리 어레이 판독 주소버스(MAADRD)의 제1라인이 일정한 논리 레벨에 있는 반면, 메모리 어레이 판독 주소버스(MAADRD)의 나머지 라인들은 제1라인의 논리레벨과 상보형인 일정한 논리레벨에 있게 되며, 또한, 테스트 모드에서, 메모리 어레이 판독 주소버스(MAADWR)의 모든 라인은 상기 기록 디코더(DECWR) 및 상기 테스트신호(Test)에 의해 일정 논리레벨에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반도체 메모리.
- 제25항에 있어서, - 상기 판독 디코더(DECRD)는 두개의 입력과 한 출력을 가지는 OR 회로(OR)를 가지며, - 상기 OR 회로(OR)의 한 입력은 테스트신호(Test)를 수신하고, 다른 입력은 I/O 주소버스(IOAD)의 제1라인과 연결되고, 출력은 메모리 어레이 판독주소버스(MAADRD)의 제1라인과 연결되고, - 상기 판독디코더(DECRD)는 각 경우 두개의 입력 및 한 개의 출력을 가지는 (R-1)개의 AND 게이트(AND)를 가지며, 상기 AND 게이트(AND)의 한 입력은 각 경우에 테스트 신호(Test)와 상보형인 신호를 수신하고, 다른 입력의 각각은 I/O 주소버스(IOAD)의 나머지 라인들 중의 하나와 연결되고, 그리고 각 출력은 메모리 어레이 판독 주소버스(MAADRD)의 나머지 라인들 중의 하나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반도체 메모리.
-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디코드(DECWR)는 각 경우 두개의 입력과 한 개의 출력을 가지는 R개의 OR게이트(OR)를 가지며, 상기 OR회로(OR)의 한 입력들은 테스트신호(Test)를 공동으로 수신하고, 다른 입력들은 I/O 주소버스(IOAD)와 연결되며, 그리고 출력은 메모리 어레이 기록 주소버스(MAADWR)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반도체 메모리.
- 제26항에 또는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OR 게이트(OR)는 인버터가 연결딘 NOR게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반도체 메모리.
-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AND 게이트(AND)는 인버터가 연결된 NAND 게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반도체 메모리.
- 제23항에 있어서, - 상기 각 메모리 어레이 판독유니트(MARD)의 제1판독유니트(RDU1)과 두 개의 멀티플렉서(MUXRD)와 하나의 출력단(OUTRD)을 포함하고, - 상기 각 멀티플렉서(MUXRD)는 각 경우 R쌍의 데이터 입력라인(MARDp,r;)중의 한 데이터 입력라인(MARDp,r;)에 대한 R개의 제1입력, 메모리 어레이 판독주소버스(MAADRD)에 대한 R개의 제2입력, 데이터 입력라인(MARDp,r;)과 결합된 라인들, 및 하나의 출력을 가지며, - 정상동작 모드에서, 상기 두 개의 멀티플렉서(MUXRD) 모두에서, 메모리 어레이 판독 주소버스(MAADRD)의 연결 라인이 활성화 상태에 있는 데이터 입력 라인들(MARDp,r;)중의 하나가 각 출력으로 스위치되고, - 테스트 모드에서, 상기 두 개의 멀티플렉서(MUXRD) 모두에서, 일정한 논리 레벨을 가진 메모리 어레이 판독주소버스(MAADRD)의 제1라인(MAADRD1)이 할당되는 데이터 입력라인(MARDp,r;)의 하나가 출력으로 스위치되고, 그리고 - 상기 출력단(OUTRD)은 구동 회로이며, 상기 출력단(OUTRD)의 출력은 전체 메모리 어레이 판독유니트(MARD)의 출력이며 제1형의 I/O 데이터 라인들(IO1)중의 하나와 연결되며, 상기 출력은 증폭된 형태로 하나의 멀티플렉서(MUXRD)의 출력에 존재하는 신호를 나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반도체 메모리.
- 제30항에 있어서, - 상기 제1판독유니트(RDU1)의 각 멀티플렉서(MUXRD)는 각 경우 두개의 입력을 가지는 R개의 NAND 게이트를 가지며, 상기 한 입력은 멀티플렉서(MUXRD)의 R개의 제1입력중 하나이고 다른 입력은 각 경우에 멀티플렉서(MUXRD)의 R개의 제2입력중 하나이며, - 상기 제1판독유니트(RDU1)의 각 멀티플렉서(MUXRD)는 각 경우에 R개의 NAND 게이트 중의 하나의 출력과 연결된 R개의 입력을 가지는 추가 NAND 게이트를 가지며, 그리고 - 상기 추가 NAND 게이트의 출력은 상기 제1판독유니트(RDU1)의 각 멀티플렉서(MUXRD)의 출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집적 반도체 메모리.
- 제30항에 있어서, - 상기 출력단(OUTRD)은 각 경우 세 개의 입력과 하나의 출력을 가지는 두 개의 AND 게이트(AND)를 가지며, - 각 AND 게이트(AND)의 각 제1입력은 각 경우 한 멀티플렉서(MUXRD)의 출력에 연결되며, - 각 AND 게이트(AND)의 제2입력은 각 경우에 인버터를 경유하여 다른 멀티플렉서(MUXRD)의 출력과 연결되고, - 상기 AND 게이트(AND)의 제3입력은 판독제어신호(RD)를 수신하고, 그리고 - 상기 출력단(OUTRD)은 최종단을 가지며, 상기 최종단의 입력은 AND 게이트(AND)의 출력과 연결되고, 상기 최종단의 출력은 상기 출력단(OUTRD) 및 상기 제1판독유니트(RDU1)의 출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반도체 메모리.
-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AND 게이트(AND) 중의 적어도 하나는 뒤의 인버터와 결합되는 NAND 게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반도체 메모리.
- 제30항에 있어서, - 나머지 (R-1)개의 판독유니트(RDU2)는 각 경우에 두개의 입력과 (R-1)개의 제2형의 I/O 데이터 라인(IO2)에 대한 출력들 중의 하나인 한 출력을 가지는 하나의 출력단(OUTRD)을 포함하고, - 출력단(OUTRD)의 각 입력의 앞에는 두 개의 입력을 가지는 NAND 게이트가 연결되며, 상기 NAND 게이트의 제1입력은 제1쌍(MARDp,1,)을 제외한 R쌍의 데이터 입력라인(MARDp,r,)의 두 개의 데이터 입력라인(MARDp,2...R,)중의 하나와 연결되고, 제2입력은 테스트 신호(Test)를 수신하며, - 정상동작 모드에서, 나머지 (R-1)개의 판독유니트(RDU2)의 출력은 고임피던스로 스위치되고, 그리고 - 테스트 모드에서, 데이터 입력라인(MARDp,2...R,)의 각 쌍의 한 데이터 입력라인(MARDp,2...R)에 나타난 신호는 나머지 (R-1)개의 판독 유니트(RDU2) 각각의 출력에서 증폭된 형태로 나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반도체 메모리.
-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나머지 (R-1)개의 판독유니트(RDU2)의 출력단(OUTRD)은 각 메모리 어레이 판독유니트(MARD)의 제1판독유니트(RDU1)의 출력단(OUTRD)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반도체 메모리.
- 제23항에 있어서, - P개의 상기 메모리 어레이 기록유니트(MAWR)의 각각은 제1입력에서 P개의 제1형의 I/O 데이터 라인(IO1)과 연결되며, 제2입력에서 기록 제어신호(WR)를 수신하고, - 상기 메모리 어레이 기록유니트(MAWR)의 각각은 또한 메모리 어레이 기록 주소버스(MAADWR)에 대한 입력들 및 R쌍의 데이터 출력 라인들(MAWRp,r,)에 대한 출력들을 포함하고, - 정상동작 모드에서, 상기 메모리 어레이 기록유니트(MAWR)의 각각은, 메모리에 기록될 그리고 각 제1형의 각 I/O 데이터 라인(IO1)을 나타내는 데이터 항목 및 그의 상보형 데이터 항목을, 기록제어신호(WR) 및 메모리 어레이 기록 주소버스(MAADWR)의 함수로써, 메모리 어레이 기록주소버스(MAADWR)의 한 라인이 활성화되는 것과 관련한 데이터 출력라인 쌍(MAWRp,r,)으로 전달하고, 그리고 - 테스트 모드에서, 상기 메모리 어레이 기록 유니트(MAWR)의 각각은, 제1형의 I/O 데이터 라인(IO1)에 나타난 데이터 항목 및 그의 상보형 데이터 항목을 모든 R쌍의 데이터 출력라인들(MAWRp,r,)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반도체 메모리.
- 제36항에 있어서, - 상기 메모리 어레이 기록유니트(MAWR)는 두개의 디멀티플렉서(DMUXWR) 및 하나의 입력단(INWR)을 포함하고, - 상기 입력단(INWR)은 제1입력에서 제1형의 각 I/O 데이터 라인(IO1)과 연결되며 제2입력에서 기록제어신호(WR)를 수신하고, - 기록동작 동안, 상기 입력단(INWR)은 제1형의 I/O 데이터 라인(IO1)에 나타나며 기록된 데이터 항목으로부터 동일한 데이터 항목 및 그의 상보형 데이터 항목을 얻어내며, 상기 얻어진 데이터 항목들을 두개의 입력에 인가하고, - 각 디멀티플렉서(DMUXWR)는 각 경우에 두개의 입력과 한개의 출력을 가지는 R개의 AND 게이트(NAD)를 포함하고, - 하나의 디멀티플렉서(DMUXWR)의 AND 게이트(AND)의 모든 제1입력은 입력단(INWR)의 한 출력과 연결되고 다른 디멀티플렉서(DMUXWR)의 AND 게이트(AND)의 모든 제1입력은 입력단(INWR)의 다른 출력과 연결되고, - 상기 디멀티플렉서들(DMUXWR) 모두의 AND 게이트(AND)의 제2입력은 메모리 어레이 기록주소버스(MAADWR)와 연결되고, 그리고 - 상기 디멀티플렉서들(DMUXWR)의 출력은 R쌍의 데이터 출력라인들(MAWRp,r,)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반도체 메모리.
- 제37항에 있어서, - 상기 입력단(INWR)은 제1형의 I/O 데이터 라인(IO1)에 나타나는 데이터 항목에 대한 버퍼(BF)를 포함하고, - 상기 버퍼(BF)는 상기 버퍼(BF)의 다음에 배치되며 각 경우 두개의 입력과 하나의 출력을 가지는 두 개의 AND 게이트(AND)를 포함하며, 그리고 - 하나의 상기 AND 게이트(AND)의 제1입력은 상기 버퍼(BF)의 출력과 연결되고, 다른 상기 AND 게이트(AND)의 제1입력은 인버터를 경유하여 버퍼(BF)의 출력과 연결되고, 상기 AND 게이트(AND)의 제2입력은 상기 기록제어신호(WR)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반도체 메모리.
- 제37항 또는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AND 게이트(AND)의 적어도 하나가 두개의 입력 및 뒤에 인버터가 배치되는 NAND 게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반도체 메모리.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I/O 데이터 버스(IODB)는 기록 및 판독용 N개의 양방향 데이터 라인쌍을 가지며, 상기 N은 M의 정수 분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반도체 메모리.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I/O 데이터 버스(IODB)는 판독용 N개의 데이터 라인쌍(IODB-RD1...N,)과 기록용 N개의 데이터 라인쌍(IODB-WR1...N,)을 가지며, 상기 N은 M의 정수 분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반도체 메모리.
- 제40항 또는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주소버스(GPAD)는 Q개의 그룹주소신호들(GPADq=1...Q)를 포함하며, 상기 그룹주소신호들(GPADq=1...Q) 중의 하나는 각 경우에 제1논리 상태가 되며 나머지 그룹주소신호들(GPADq=1...Q)은 상기 제1논리 상태의 상보형인 제2논리 상태가 되고, Q×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반도체 메모리.
- 제40항에 있어서, - 상기 그룹 I/O 유니트(GPIO)는 그룹제어회로(GPCTRL), N개의 그룹 기록유니트(GPWR), 및 N개의 그룹 판독유니트(GPRD)를 포함하고, - 상기 그룹제어회로(GPCTRL)은 입력에서 Q개의 그룹주소신호(GPAD1...Q) 및 테스트 신호(Test)와 연결되고, 그리고 - 상기 그룹제어회로(GPCTRL)은 Q개의 그룹주소출력신호(GPAD’q=1...Q)에 대한 출력들을 가지며, 테스트 모드에서는 제1그룹주소출력신호(GPAD’1)가 제1논리 레벨이 되고 나머지 그룹주소출력신호들(GPAD’2...Q)이 제1논리 레벨과 상보형인 제2 논리 레벨이 되고, 정상동작 모드에서는 그룹주소출력신호(GPAD’1...Q)은 각 그룹주소신호(GPAD1...Q)의 논리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반도체 메모리.
- 제43항에 있어서, - 상기 그룹제어회로(GPCTRL)은 각 경우 두개의 입력을 가지는 하나의 OR게이트(OR) 및 (Q-1)개의 AND 게이트(AND)를 포함하고, - 그룹주소신호(GPAD1...Q)중 제1신호(GPAD1)는 OR 게이트(OR)의 한 입력에서 나타나고, - 나머지 그룹주소신호(GPAD2...Q)들 중의 하나는 각 경우에 AND 게이트(AND)의 한 입력에서 나타나고, - 상기 테스트신호(Test)는 상기 OR 게이트(OR)의 다른 입력에서 나타나고, - 상기 테스트신호(Test)에 상보형인 신호는 AND 게이트(AND)의 다른 입력들에서 나타나고, - 상기 OR 게이트(OR) 및 AND 게이트(AND)의 출력은 상기 그룹제어회로(GPCTRL)의 출력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반도체 메모리.
-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OR 게이트(OR)는 두개의 입력을 가지며 뒤에 인버터가 배치되는 NOR 게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반도체 메모리.
- 제44항 또는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AND 게이트(AND)는 두개의 입력을 가지며 뒤에 인버터가 배치되는 NAND 게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반도체 메모리.
- 제43항에 있어서, - 상기 그룹 기록유니트(GPWR)는 기록에 이용되는 I/O 데이터버스(IODB)의 하나의 데이터 라인쌍(IODB-WRn,)에 대한 한 쌍의 입력을 가지고, - 상기 그룹 기록유니트(GPWR)는 입력에서 상기 그룹제어회로(GPCTRL)의 그룹주소출력신호(GPAD’1...Q)와 연결되고, - 상기 그룹 기록유니트(GPWR)는 각 경우에 (Q-1)개의 제3형의 I/O 데이터 라인들(IO3)중 하나와 연결된 하나의 입력을 가지는 (Q-1)개의 그룹 입력단들(GPINWR)을 가지고, - 상기 그룹 기록유니트(GPWR)는 기록제어신호(WR)용 추가입력을 가지고, - 기록동작 동안, 각 그룹입력단(GPINWR)은 메모리에 기록될 그리고 제3형의 각 I/O 데이터 라인(IO3)을 경유하여 상기 메모리에 인가되는 데이터 항목과 동일한 데이터 항목 및 그의 상보형 데이터 항목을 유도하고, 상기 유도된 데이터 항목을 두개의 입력에 인가하고, - 그룹입력단(GPINWR)의 각 출력 다음에는 두개의 입력을 가지는 논리회로(LOGWR)가 배치되며, 상기 하나의 입력은 상기 그룹입력단(GPINWR)의 각 출력과 연결되고 다른 입력은 테스트 신호(Test)를 수신하고, - 정상동작 모드에서, 동일한 논리레벨의 신호가 상기 그룹입력단(GPINWR)의 논리회로들(LOGWR) 모두의 출력(GPD2,;...:GPDQ,)에 나타나며, 테스트 모드에서는 상기 유도된 상보형 데이터 항목이 하나의 논리회로(LOGWR)의 출력(GPD2...Q)에 나타나고 상기 유도된 데이터 항목은 다른 논리회로(LOGWR)의 출력()에 나타나고, - 각 그룹 기록유니트(GPWR)은 두개의 디멀티플렉서(GPDMUXWR)를 포함하며, 상기 디멀티플렉서(GPDMUXWR) 각각은 상기 그룹주소출력신호(GPAD’1...Q)에 대한 Q개의 입력 및 I/O 데이터버스(IODB)의, 기록을 위해 제공되는, 각 데이터 라인쌍(IODB-WRn,)에 대한 입력 쌍의 두개의 입력 중 하나인 입력을 가지고, - 상기 각 디멀티플렉서(GPDMUXWR)는 (Q-1)개의 추가 입력을 포함하며, 상기 입력 각각은 하나의 디멀티플렉서(GPDMUXWR) 내에서 각 하나의 논리회로(LOGWR)의 출력(GPD2,...,Q)에 연결되고, 상기 입력 각각은 다른 디멀티플렉서(GPDMUXWR)에서 각 다른 논리회로(LOGWR)의 출력()에 연결되고, - 각 디멀티플렉서(GPDMUXWR)는 Q개의 출력을 가지며, - 상기 디멀티플렉서들(DMUXWR)의 출력들은, 기록을 위하여, 그룹 데이터버스(GPDB)의 M쌍의 데이터라인들 중 Q쌍의 데이터 라인들에 연결되고, - 정상동작 모드에서, 기록동작 동안, 각 그룹 기록유니트(GPWR)은 상기 I/O 데이터 버스(IODB)의, 그 입력에 연결된, 데이터 라인쌍(IODB-WRn,)에 나타나는 데이터 항목들을 그룹주소신호들(GPADq) 중의 하나와 관련한 두 개의 출력에 전달하며, 따라서 그룹제어회로(GPCTRL)의, 그와 관련된, 그룹주소출력신호(GPAD’q)가 활성화되며, 그리고 - 테스트 모드에서, 기록동작 동안, 각 그룹 기록유니트(GPWR)는 I/O 데이터 버스(IODB)의, 그의 입력에 연결된, 데이터라인 쌍(IODB-WRn,)에 나타나는 데이터 항목 및 그 그룹입력단(GPINWR)에 나타나며 제3형의 I/O 데이터 라인들(IO3)의 데이터 항목으로 부터 유도되는 데이터 항목을 그룹 데이터버스(GPDB)의 일부(N) 전체가 되도록 하는 각 출력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반도체 메모리.
- 제47항에 있어서, - 상기 각 디멀티플렉서(GPDMUXWR)는 각 경우에 각 디멀티플렉서(GPDMUXWR)의 Q개으 출력 중의 하나인 출력을 가지는 AND 게이트(AND) 및 (Q-1)개의 논리 유니트(LU)를 포함하고, - 상기 각 AND 게이트(AND)는 두 개의 입력을 가지며, 상기 각 논리 유니트(U)는 세 개의 입력을 가지고, - 상기 AND 게이트(AND)의 제1입력 및 상기 각 디멀티플렉서(GPDMUXWR)의 논리 유니트(LU)는 상기 각 디멀티플렉서(GPDMUXWR)의 하나의 추가 입력과 연결되고, - 상기 AND 게이트(AND)의 제2입력 및 상기 디멀티플렉서(GPDMUXWR)의 논리유니트(LU)는 각 경우에 각 디멀티플렉서(GPDMUXWR)의 Q개의 입력들 중의 하나와 연결되고, 그리고 - 상기 디멀티플렉서(GPDMUXWR)의 논리유니트(LU)의 제3입력은 각 디멀티플렉서(GPDMUXWR)의 (Q-1)개의 추가 입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반도체 메모리.
-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AND 게이트(AND)는 AND 게이트(AND)의 두개의 입력을 가지며 뒤에 인버터가 배치되는 NAND 게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반도체 메모리.
- 제48항 또는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논리유니트(LU)는 논리유니트(LU)의 제1입력인 두개의 입력을 가지는 제1NAND 게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NAND 게이트는 두개의 입력을 가지는 제2NAND 게이트와 결합되며, 상기 제2NAND 게이트의 한 입력은 제1NAND 게이트의 출력과 연결되고 다른 입력은 논리유니트(LU)의 제3입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반도체 메모리.
-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입력단(GPINWR)은 제3형의 각 I/O 라인(IO3)을 경유하여 나타나는 데이터 항목의 일시적 저장을 위한 버퍼(BF)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반도체 메모리.
-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입력단(GPINWR)은 각 경우 두개의 입력을 가지는 두개의 AND 게이트(AND)를 포함하며, 상기 AND 게이트의 한 입력은 제3형의 각 I/O 데이터 라인(IO3)에 나타난 데이터 항목이 제공되고, 다른 AND 게이트(AND)의 한 입력은 제3형의 각 I/O 데이터 라인(IO3)에 나타난 데이터 항목의 반전된 형태로 제공되며, 상기 AND 게이트(AND)의 다른 입력은 기록제어신호(WR)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반도체 메모리.
- 제43항에 있어서, - 상기 그룹 판독유니트(GPRD)은 각 그룹 데이터버스(GPDB)의, 판독을 위하여 제공되는, 상응하는 수의 데이터 라인 쌍(GPDB-RDn,1...Q,)과 연결되는 Q쌍의 데이터 입력들을 가지고, - 상기 그룹 판독유니트(GPRD)은 그룹제어회로(GPCTRL)의 그룹주소출력신호(GPAD’1...Q)에 대한 주소 입력들을 가지며, 각 그룹주소출력신호(GPAD’1...Q)는 상기 Q쌍의 데이터 입력들 중의 하나와 결합되고, - 상기 그룹 판독유니트(GPRD)는 판독제어신호(RD)에 대한 입력 및 테스트신호(Test)에 대한 입력을 가지고, - 상기 그룹 판독유니트(GPRD)는, 판독을 위해 이용되는, 상기 I/O 데이터버스(IODB)의 데이터 라인 쌍(IODB-RDn,)에 대한 한 쌍의 출력들을 가지고, - 상기 그룹 판독유니트(GPRD)는 상기 제3형의 I/O 데이터 라인(IO3)에 연결된 (Q-1)개의 출력들을 가지고, - 정상동작 모드에서, 결합된 주소입력이 제1논리레벨을 가지며, Q개의 그룹주소신호들(GPAD1...Q)중의 하나에 의해 나타나며, 그리고 그룹제어회로(GPCTRL)의 Q개의 주소출력신호들(GPAD’1...Q)중의 하나에 의해 나타나는 Q쌍의 데이터 입력들의 데이터 쌍은 I/O 데이터 버스(IODB)의 한 데이터 라인쌍(IODB-RDn,)과 연결된 출력 쌍으로 스위치되고, - 테스트 모드에서, 데이터 입력의 제1쌍에 나타난 데이터는 I/O 데이터버스(IODB)의 하나의 데이터 라인쌍(IODB-RDn,)에 연결된 출력 쌍으로 스위치되고, 그리고 - 테스트 모드에서, 나머지 (Q-1)개의 데이터 입력들에 나타나는 데이터 항목들은 제3형의 I/O 데이터 라인들(IO3)에 연결된 (Q-1)개의 출력들로 스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반도체 메모리.
- 제53항에 있어서, - 상기 그룹 판독유니트(GPRD)는 두개의 멀트플렉서(GPMUXRD), 2×(Q-1)개의 논리 유니트(LOGRD), 및 (Q-1)개의 그룹출력단(GPOUTRD)을 포함하고, - 각 멀티플렉서(GPMUXRD)는 입력에서 그룹 데이터버스(GPDB)의 일부(N)의, 판독을 위해 제공된, 모든 Q개의 데이터 라인 쌍(GPDB-RDn,1...Q;)의 Q개의 각 데이터 라인들(GPDB-RDn,1...Q;)과 연결되고, - 각 멀티플렉서(GPMUXRD)는 입력에서 그룹제어회로(GPCTRL)의 그룹주소출력신호(GPAD’1...Q)에 대한 그룹 판독유니트(GPRD)의 주소입력과 연결되고, - 각 멀티플렉서(GPMUXRD)는, 그룹 판독유니트(GPRD)의 출력으로서, I/O 데이터 버스(IODB)의 데이터 라인쌍(IODB-RDn,)중의 하나의 라인(IODB-RDn;)과 연결되는 출력을 가지고, - 정상동작 모드에서, 결합된 그룹주소출력신호(GPAD’1...Q)가 제1논리 레벨이 되는 Q개의 데이터 라인 쌍들 중의 한 쌍의 각 데이터 라인에 나타는 데이터 항목이 I/O 데이터 버스(IODB)와 연결된 출력으로 스위치되고, 그리고 - 테스트 모드에서, 그룹데이터버스(GPDB)의 일부(N)인 데이터 라인의 제1쌍(GPDB-RDn,1,)의 각 데이터 라인(GPDB-RDn,1;)에 나타난 데이터 항목이 각 출력으로 스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반도체 메모리.
- 제54항에 있어서, - 상기 논리유니트(LOGRD)는 두개의 입력을 가지는 NAND 게이트이고, - 각 경우 두개의 논리유니트(LOGRD)는, 상기 두개의 논리유니트(LOGRD)의 제1입력이 그룹데이터버스(GPDB)의 일부(N)의, 판독을 위해 제공된, (Q-1)개의 데이터 라인쌍들(GPDB-RDn,2...Q,)중 하나의 각 데이터 라인(GPDB-RDn,2...Q,)과 연결되도록, 기능적으로 결합되고, - 상기 두개의 논리유니트(LOGRD)의 제2입력은 테스트신호(Test)에 연결되고, 그리고 - 상기 두개의 논리유니트(LOGRD)의 출력은, 동시에, 그 다음에 배치되는 그룹출력단(GPOUTRD)의 입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반도체 메모리.
- 제55항에 있어서, - 상기 그룹출력단(GPOUTRD)은 두개의 AND 게이트(AND)를 포함하고, 상기 AND 게이트(AND) 각각은 세 개의 입력과 상기 두개의 AND 게이트(AND) 뒤에 배치되는 최종단을 가지며, - 상기 AND 게이트(AND)의 제1입력들은 인버터를 경유하여 각 논리유니트(LOGRD)의 출력과 연결되고, - 상기 AND 게이트(AND)의 제2입력들은 다른 각각의 논리유니트(LOGRD)의 출력과 연결되고, - 상기 AND 게이트(AND)의 제3입력은 판독제어신호(RD)를 수신하고, 그리고 - 상기 최종단의 출력은, 동시에, 그룹 판독유니트(GPRD)의 (Q-1)개의 출력들 중의 하나인 그룹출력단(GPOUTRD)의 출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반도체 메모리.
- 제40항 또는 제41항에 있어서, - 반도체 메모리에서, 각 경우 기록 및 판독용 N개의 데이터 라인쌍을 가진 상기 모든 U개의 I/O 데이터버스들(IODB)은 그들의 데이터 라인쌍 전체에 대해, 각 경우에 R쌍의 기록용 데이터 출력라인(MADB-WR1..P,1..R,) 및 판독용 데이터 입력라인(MADB-RD1..P,1..R,)을 가지는, P개의 메모리 어레이 데이터버스들(MADB)로 나뉘며, 전체 배열에 대하여 N=M/Q 일 때 U×N=P×R이며, - 메모리 어레이 I/O 유니트(MAIO)는 각 경우에 R개의 판독유니트(RDU1; RDU2)을 가지는 P개의 메모리 어레이 판독유니트들(MARD), 각 경우에 상기 메모리 어레이 판독유니트들(MARD)의 하나와 결합되고 각 경우에 R개의 기록유니트들(WRU1; WRU2)을 포함하는 P개의 메모리 어레이 기록 유니트들(MAWR), 및 하나의 메모리 어레이 제어회로(MACTRL)를 포함하고, - 각 메모리 어레이 판독 유니트(MARD)는 P개의 메모리 어레이 데이터버스들(MADB) 중 하나의 R개의 쌍의 데이터 입력라인들(MADB-RDp,r,)을 가지고, - 각 메모리 어레이 기록 유니트(MAWR)는 메모리 어레이 데이터버스(MADB)의 R개 쌍의 데이터 출력라인들(MADB-WRp,r,)을 가지며, 상기 p=1...P 이고 r=1...R이며, - 각 메모리 어레이 판독유니트(MARD)는, 하나의 출력에서, 제1형의 I/O 데이터 랑니들(IO1) 중의 하나 그리고 그에 결합된 메모리 어레이 기록 유니트(MAWR)의 데이터 입력과 연결되고, - 각 메모리 어레이 판독유니트(MARD)는 (R-1)개의 제2형의 I/O 데이터 라인(IO2)에 대한 출력들을 가지고, - 모든 메모리 어레이 판독유니트(MARD)는 판독제어신호(RD)를 공동으로 수신하고, - 모든 메모리 어레이 기록유니트(MAWR)는 기록제어신호(WR)를 공동으로 수신하고, - 모든 메모리 어레이 판독유니트(MARD), 모든 메모리 어레이 기록유니트(MAWR), 및 메모리 어레이 제어회로(MACTRL)는 테스트신호(Test)를 공동으로 수신하고, - 모든 메모리 어레이 판독유니트(MARD) 및 모든 메모리 어레이 기록유니트(MAWR)는 하나의 메모리 어레이 주소버스(MAAD)에 공동으로 연결되어 모든 메모리 어레이 판독유니트(MARD) 및 모든 메모리 어레이 기록유니트(MAWR)가 연동하여 동작될 수 있고, 그리고 - 상기 메모리 어레이 제어회로(MACTRL)는, 테스트신호(Test)에 의해 제어되며, 그리고 I/O 주소버스(IOAD)에서 메모리 어레이 주소버스(MAAD)를 발생하기 위한 회로이며, 상기 메모리 어레이 주소버스(MAAD)는 R개의 주소라인들(MAAD1...R)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반도체 메모리.
- 제57항에 있어서, 각 경우에 한 쌍의 상기 데이터 입력라인들(MADB-RDp,r,)과 한 쌍의 데이터 출력라인들(MADB-WRp,r,)이 양방향으로 동작될 수 있는 단일 데이터 라인 쌍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반도체 메모리.
-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어레이 제어회로(MACTRL)는 디코더이며, 상기 디코더는, 정상동작 모드에서는, I/O 주소버스(IOAD)를 메모리 어레이 주소버스(MAAD)로 스위치하며, 테스트 모드에서는, 메모리 어레이 주소버스(MAAD)의 제1라인(MAAD1)은 테스트신호(Test)에 의해 일정한 논리레벨에 있고, 메모리 어레이 주소버스(MAAD)의 나머지 라인들은 상기 제1라인(MAAD1)의 논리레벨과 상보형이고 일정한 논리레벨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반도체 메모리.
- 제59항에 있어서, - 상기 메모리 어레이 제어회로(MACTRL)를 두 개의 입력과 하나의 출력을 가지며, 상기 한 입력은 테스트 신호(Test)를 수신하고, 상기 다른 입력은 I/O 주소버스(IOAD)의 제1라인과 연결되고, 상기 출력은 메모리 어레이 주소버스(MAAD)의 제1라인과 연결되고, 그리고 - 상기 메모리 어레이 제어회로(MACTRL)는 각 경우에 두개의 입력과 하나의 출력을 가지는 (R-1)개의 AND 게이트(AND)를 가지며, 상기 한 입력은 각 경우에 테스트신호(Test)와 상보형인 신호를 수신하고, 다른 입력들 각각은 I/O 주소버스(IOAD)의 나머지 (R-1)개의 라인들 중 하나와 연결되고, 상기 각 출력들은 메모리 어레이 주소버스(MAAD)의 나머지 (R-1)개의 라인들 중 하나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반도체 메모리.
-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OR 게이트(OR)는 인버터가 뒤에 배치되는 NOR 게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반도체 메모리.
-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AND 게이트(AND)는 인버터가 뒤에 배치되는 NAND 게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반도체 메모리.
- 제57항에 있어서, - 상기 각 메모리 어레이 판독유니트(MARD)의 제1판독유니트(RDU1)는 두개의 멀티플렉서(MUXRD) 및 출력단(OUTRD)을 포함하고, - 상기 각 멀티플렉서(MUXRD)는 각 경우에 R 쌍의 데이터 입력라인들(MADB-RDp,r,)중 하나의 데이터 입력라인(MADB-RDp,r,)에 대한 R개의 제1입력, 메모리 어레이 주소버스(MAAD)에 대한 R개의 제2입력, 데이터 입력라인(MADB-RDp,r,)에 할당된 라인들, 및 출력을 가지고, - 상기 멀티플렉서들(MUXRD) 모두에서, 정상동작 모드에서는, 메모리 어레이 주소버스(MAAD)의 할당된 라인이 활성화된 전기적 상태에 있는 데이터 입력라인들(MADB-RDp,r,)의 하나가 각 출력으로 스위치되고, - 상기 멀티플렉서들(MUXRD) 모두에서, 테스트 모드에서는, 일정한 논리레벨로 메모리 어레이 주소버스(MAAD)의 제1라인(MAAD1)과 결합된 데이터 입력라인들(MADB-RDp,r,)중의 하나가 출력으로 스위치되고, - 상기 출력단(OUTRD)은 구동회로이며, 상기 구동회로의 출력은 제1형의 I/O 데이터 라인들(IO1)중의 하나와 연결되며, 전체 메모리 어레이 판독유니트(MARD)의 출력이며, 그리고 증폭된 형태로 하나의 멀티플렉서(MUXRD)의 출력에 나타난 신호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반도체 메모리.
- 제63항에 있어서, - 상기 제1판독유니트(RDU1)의 각 멀티플렉서(MUXRD)는 각 경우에 두개의 입력을 가지는 R개으 NAND 게이트를 가지며, 상기 한 입력은 각 경우에 멀티플렉서(MUXRD)의 R개의 제1입력중 하나이고 다른 입력은 각 경우에 멀티플렉서(MUXRD)의 R개의 제2입력중 하나이며, - 상기 제1판독유니트(RDU1)이 각 멀티플렉서(MUXRD)는 각 경우 R개의 NAND 게이트의 출력과 연결된 R개의 입력을 가지는 추가 NAND 게이트를 가지며, 그리고 - 상기 추가 NAND 게이트의 출력은 제1판독유니트(RDU1)의 각 멀티플렉서(MUXRD)의 출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반도체 메모리.
- 제63항에 있어서, - 상기 출력단(OUTRD)은 각 경우 세개의 입력과 하나의 출력을 가지는 두개의 AND 게이트(AND)를 가지며, - 상기 각 AND 게이트(AND)의 각 제1입력은 각 경우에 하나의 멀티플렉서(MUXRD)의 출력과 연결되며, - 상기 각 AND 게이트(AND)의 각 제2입력은 인버터를 경유하여 각 다른 멀티플렉서(MUXRD)의 출력과 연결되며, - 상기 AND 게이트(AND)의 제3입력은 판독제어신호(RD)를 수신하며, 그리고 - 상기 출력단(OUTRD)은 최종단을 가지며, 상기 최종단의 입력은 AND 게이트(AND)의 출력과 연결되고 상기 최종단의 출력은 상기 출력단(OUTRD) 및 제1판독유니트(RDU1)의 출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반도체 메모리.
- 제65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AND 게이트(AND)는 뒤에 인버터가 배치되는 NAND 게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반도체 메모리.
- 제63항에 있어서, - 상기 나머지 (R-1)개의 판독유니트(RDU2)은 각 경우에 (R-1)개의 제2형의 I/O 데이터 라인들(IO2)에 대한 출력들 중 하나인 하나의 출력과 두 개의 입력을 가지는 출력단(OUTRD)을 포함하고, - 상기 출력단(OUTRD)의 각 입력의 앞에는 두 개의 입력을 가지는 NAND 게이트가 배치되며, 상기 제1입력은 R쌍의 데이터 입력라인들(MADB-RDp,r,)중 제1쌍(MADB-RDp,1,)을 제외한 두 개의 데이터 입력라인들(, MADB-RDp,2...R) 중의 하나와 연결되고, 상기 제2입력은 테스트 신호(Test)를 수신하고, - 정상동작 모드에서, 상기 나머지 (R-1)개의 판독유니트들(RDU2)의 출력은 고임피던스로 스위치되고, 그리고 - 테스트 모드에서, 각 쌍의 데이터 입력라인들(, MADB-RDp,2...R) 중의 한 데이터 입력라인(MADB-RDp,2...R)에 나타난 신호는 나머지 (R-1)개의 판독유니트(RDU2)의 각각의 출력에서 증폭된 형태로 나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반도체 메모리.
- 제67항에 있어서, 상기 나머지 (R-1)개의 판독유니트(RDU2)의 출력단들(OUTRD)은 각 메모리 어레이 판독유니트(MARD)의 제1판독유니트(RDU1)의 출력단(OUTRD)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반도체 메모리.
- 제57항에 있어서, - 상기 P개의 메모리 어레이 기록유니트들(MAWR) 각각이 제1입력에서 P개의 제1형의 I/O 데이티 라인들(IO1)과 연결되며, 제2입력에서 기록제어신호(WR)를 수신하고, - 상기 P개의 메모리 어레이 기록유니트(MAWR) 각각은 메모리 어레이 주소버스(MAAD)에 대한 제3입력들과 R쌍의 데이터 출력라인들(MADB-WRp,r,)에 대한 출력들을 더 포함하고, - 정상동작 모드에서, 상기 P개의 메모리 어레이 기록유니트(MAWR) 각각은 각 제1형의 I/O 데이터 라인(IO1)에 나타나고 메모리에 기록될 데이터 항목 및 그 상보형 데이터 항목을, 기록제어신호(WR) 및 메모리 어레이 주소버스(MAAD)의 함수로써, 메모리 어레이 주소버스(MAAD)의 라인과 관련한 데이터 출력라인 쌍(MADB-WRp,r,)으로 보냄으로써, 상기 I/O 주소버스(IOAD)의 라인이 활성화되며, 그리고 - 테스트 모드에서, 상기 P개의 메모리 어레이 기록유니트(MAWR) 각각은 제1형의 I/O 데이터 라인(IO1)에 나타나는 데이터 항목과 그의 상보형 데이터 항목을 모든 R쌍의 데이터 출력라인들(MADB-WRp,r,)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반도체 메모리.
- 제69항에 있어서, - 상기 메모리 어레이 기록유니트(MAWR)는 두개의 디멀티플렉서(DMUXWR)와 하나의 입력단(INWR)을 포함하며, - 상기 입력단(INWR)은 제1입력에서 각 제1형의 I/O 데이터 라인(IO1)과 연결되고 제2입력에서 기록제어신호(WR)를 수신하며, - 상기 입력단(INWR)은 기록될 그리고 제1형의 I/O 데이터 라인(IO1)에 나타나는 데이터 항목으로부터 동일한 데이터 항목 및 그의 상보형 데이터 항목을 유도해내며, 상기 유도된 데이터 항목들을 두 개의 출력에 인가하며, - 상기 각 디멀티플렉서(DMUXWR)는 각 경우 두 개의 입력 및 하나의 출력을 가지는 R개의 AND 게이트(AND)을 포함하며, - 상기 한 디멀티플렉서(DMUXWR)의 AND 게이트(AND)의 모든 제1입력들은 상기 입력단(INWR)의 한 출력과 연결되고, 다른 디멀티플렉서(DMUXWR)의 AND 게이트(AND)의 모든 제1입2력들은 상기 입력단(INWR)의 다른 출력과 연결되며, - 디멀티플렉서들(DMUXWR) 모두의 AND 게이트(AND)의 제2입력은 상기 메모리 어레이 주소버스(MAAD)와 연결되며, 그리고 - 상기 디멀티플렉서들(DMUXWR)의 출력들은 R쌍의 데이터 출력라인들(MADB-WRp,r,)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반도체 메모리.
- 제70항에 있어서, - 상기 입력단(INWR)은 상기 제1형의 I/O 데이터 라인(IO1)에 나타난 데이터 항목에 대한 버퍼(BF)를 포함하고, - 상기 입력단(INWR)은 각 경우에 두 개의 입력 및 뒤에 버퍼(BF)가 배치되는 하나의 출력을 가지는 두개의 AND 게이트(AND)를 포함하며, - 하나의 AND 게이트(AND)의 제1입력은 상기 버퍼(BF)의 출력과 연결되며, - 다른 AND 게이트(AND)의 제1입력은 인버터를 경유하여 상기 버퍼(BF)의 출력과 연결되며, 그리고 - 상기 AND 게이트(AND)의 제2입력은 기록제어신호(WR)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반도체 메모리.
- 제69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AND 게이트(AND)은 두개의 입력 및 NAND 게이트 다음에 배치되는 인버터를 가지는 NAND 게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반도체 메모리.
- 제57항에 있어서, - 상기 P개의 메모리 어레이 기록유니트(MAWR) 각각은 제1입력에서 P개의 제1형의 I/O 데이터 라인들(IO1) 중 하나와 연결되며, - 상기 P개의 메모리 어레이 기록유니트(MAWR) 각각은 추가 (R-1)개의 제1입력에서 각 경우에 제2형의 I/O 데이터 라인들(IO2)중 하나와 연결되며, - 제2입력은 상기 기록제어신호(WR)를 수신하며, - 상기 P개의 메모리 어레이 기록유니트(MAWR) 각각은 메모리 어레이 주소버스(MAAD)에 대한 제3의 입력 및 메모리 어레이 데이터버스들 (MADB) 중의 하나의 R쌍의 데이터 출력라인들(MADB-WRp,r,)에 대한 출력을 더 포함하며, - 정상동작 모드에서, 상기 P개의 메모리 어레이 기록유니트(MAWR) 각각은, 메모리에 기록될 그리고 제1형의 각 I/O 데이터 라인(IO1) 상에 나타나는 데이터 항목 및 그의 상보형 데이터 항목을, 기록제어신호(WR) 및 메모리 어레이 주소버스(MAAD)의 함수로써, 상기 I/O 데이터 버스(IOAD)의 한 라인과 관련된 데이터 출력라인(MADB-WRp,r,)쌍에 전송함으로써, 상기 메모리 어레이 주소버스(MAAD)의 한 라인이 활성화되며, - 테스트 모드에서, 상기 P개의 메모리 어레이 기록유니트(MAWR) 각각은, 한편으로는, 제1형의 I/O 데이터 라인(IO1)의 데이터 항목과 그의 상보형 데이터 항목을 R쌍의 데이터 출력라인들(MADB-WRp,r,)중 제1쌍(MADB-WRp,1,)에 전송하며, 다른 한편으로는, 추가 (R-1)개의 제1입력들에 나타나는 데이터 항목 및 그의 상보형 데이터 항목들을 R쌍의 데이터 출력라인들(MADB-WRp,r,)중 나머지 (R-1) 쌍의 데이터 출력라인들(MADB-WRp,2...R,)의 각 쌍(MADB-WRp,2...R,)으로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반도체 메모리.
- 제73항에 있어서, - 상기 메모리 어레이 기록유니트(MAWR)는 두개의 디멀티플렉서(DMUXWR) 및 R개의 입력단들(INWR)을 포함하며, - 상기 제1입력단(INWR)은 제1입력에서 기록동작 동안 기록될 데이터 항목을 수신하는 제1형의 I/O 데이터 라인(IO1)과 연결되며, - 상기 나머지 (R-1)개의 입력단들(INWR)은 각 제1입력에서 기록동작 동안 기록될 각 데이터 항목을 수신하는 각 제2형의 I/O 데이터 라인(IO2)과 연결되며, - 각 입력단(INWR)은 제2입력에서 기록제어신호(WR)를 수신하며, 각 입력단(INWR)은 두개의 출력을 가지며, - 상기 기록제어신호(WR)가 활성화될 때, 제1입력에 나타난 데이터 항목이 한 출력에 나타나고, - 상기 기록제어신호(WR)가 활성화될 때, 상기 데이터 항목에 상보형인 데이터 항목이 다른 출력에 나타나고, - (R-1)개의 나머지 입력단들(INWR) 각각에서, 상기 두 개의 출력들 뒤에는 두 개의 입력 및 하나의 출력(MAD2...R;)을 갖는 논리회로(LOGWR)가 배치되며, 상기 한 입력은 상기 입력단(INWR)의 두개의 출력의 각각과 연결되고, 상기 다른 입력은 테스트신호(Test)를 수신하며, - 정상동작 모드에서는, 상호 동일한 논리레벨에서, 신호가 (R-1)개의 나머지 입력단들(INWR) 다음의 모든 논리회로들(LOGWR)의 출력들(MAD2...R,)에서 나타나며, 테스트 모드에서는, (R-1)개의 나머지 입력단들(INWR)의 각각과 관련한 하나의 논리회로(LOGWR)의 출력(MAD2...R,)에 나타나고, 그리고 기록될 각 데이터 항목은 상기 다른 논리회로(LOGWR)의 출력(MAD2...R,)에 나타나며, - 상기 각 디멀티플렉서(DMUXWR)는 두개의 입력을 가지는 AND 게이트(AND) 및 세개의 입력과 R개의 출력을 가지는 (R-1)개의 논리유니트(LU)를 포함하며, - 상기 디멀티플렉서(DMUXWR)에서, 상기 AND 게이트(AND)의 제1입력 및 상기 논리유니트(LU)의 제1입력이 제1입력단(INWR)의 한 출력과 연결되며, - 상기 다른 디멀티플렉서(DMUXWR)에서, 상기 AND 게이트(AND)의 제1입력 및 상기 논리 유니트(LU)의 제1입력이 제1입력단(INWR)의 다른 출력과 연결되며, - 상기 디멀티플렉서들(DMUXWR) 모두에서, 상기 AND 게이트(AND)의 제2입력 및 상기 논리유니트(LU)의 제2입력이 메모리 어레이 주소버스(NAND)의 각 라인(MAAD1...R)과 연결되며, - 상기 한 디멀티플렉서(DMUXWR)에서, 상기 논리유니트(LU)의 제3입력들은 나머지 (R-1)개의 입력단들(INWR) 각각의 다음에 배치되는 한 논리유니트(LOGWR)의 출력(MAD2...R)과 연결되며, - 상기 다른 디멀티플렉서(DMUXWR)에서, 상기 논리유니트(LU)의 제3입력들은 나머지 (R-1)개의 입력단들(INWR) 각각의 다음에 배치되는 다른 논리유니트(LIGWR)의 출력()과 연결되며, 그리고 - 상기 각 디멀티플렉서(DMUXWR)는 전체적으로 상기 메모리 어레이 기록 유니트(MAWR)의 출력들인 R개의 출력들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반도체 메모리.
- 제7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단(INWR)은 각 유형의 I/O 데이터 라인(IO1; IO2)에 나타난 데이터 항목에 대한 버퍼(BF)를 포함하며, 각 경우에 두개의 입력과 상기 버퍼(BF) 다음에 오는 하나의 출력을 가지는 두개의 AND 게이트(AND)을 포함하며, 상기 한 AND 게이트(AND)의 제1입력은 상기 버퍼(BF)의 출력과 연결되고, 상기 다른 AND 게이트(AND)의 제1입력은 인버터를 경유하여 상기 버퍼(BF)의 출력과 연결되고, 그리고 상기 AND 게이트(AND) 의 제2입력들은 기록제어신호(WR)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반도체 메모리.
- 제74항 또는 제7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AND 게이트(AND)는 NAND 게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NAND 게이트는 두개의 입력 및 뒤에 배치된 인터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반도체 메모리.
- 제1항에 있어서, - 리던던트 메모리셀들(MCred)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리던던트 워드라인(WRred)을 더 포함하며, - 리던던시인 경우, 상기 워드라인이 리던던트 워드라인 디코더(WLDEcred)를 경유하여 선택되며, 그리고 - 리던던시의 경우, 상기 리던던트 메모리셀들(MCred)은, 교환된 메모리셀들(MC)의 비트 스위치들(BSW) 및 판독 증폭기들(SA)을 경유하여, 상기 블록 데이터 버스(BKDB)의 대응하는 라인들과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반도체 메모리.
- 제1항에 있어서, - 리던던트 메모리셀들(MCred)과 M쌍의 리던던트 비트라인들(BLred)의 적어도 한 그룹, M개의 리던던트 판독 증폭기들(SAred), 및 리던던트 비트 스위치블록(BKBSWred)을 포함하며, 그리고 - 상기 리던던트 비트 스위치블록(BKBSWred)은, 리던던시의 경우, 리던던시 비트 디코더 그룹(BITDECrd)및 결합된 리던던트 비트 그룹 선택 신호(BITSIGred)를 경유해 선택되고 상응하는 블록 데이터버스(BKDB)의 라인들과 결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반도체 메모리.
- 제77항 또는 제78항에 의한 반도체 메모리에서, 메모리셀들(MC)를 교체하기 위한 수단 및 알고리즘을 포함하는 컴퓨터 제어 자동 테스팅 및 복구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메모리셀들(MC)을 리던던트 메모리셀들(MCred0로 교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 테스트 모드에서 상기 반도체 메모리의 모든 메모리셀들(MC)이 테스트되며, - 상기 검출된 각 결함에 대하여, 상기 반도체 메모리 내의 상기 자동 테스팅 장치 및 상기 병렬 테스트 장치(PT)에 의해,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주소(ADR) 및 상기 결함이 검출되는 각 I/O 데이터 라인(IO1,IO2,IO3)을 경유하여, 각 결함 메모리셀 그룹(MC)이 식별되며, 그리고 - 모든 결함 메모리셀 그룹들에 대하여 얻어진 상기 식별 데이터는 상기 자동 복구 장치로 제공되며, 상기 식별 데이터를 사용하여 결함 메모리셀들(MC)을 가지는 상기 메모리셀 그룹들을 교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셀의 교체 방법.
- 제77항 또는 제78항에 의한 반도체 메모리에서, 메모리셀들(MC)을 교체하기 위한 수단 및 알고리즘을 포함하는 컴퓨터 제어 자동 테스팅 및 복구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메모리셀들(MC)을 리던던트 메모리셀들(MCred)로 교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 테스트 모드에서 상기 반도체 메모리의 모든 메모리셀들(MC)이 테스트되며, - 상기 검출된 각 결함에 대하여, 상기 반도체 메모리 내의 상기 자동 테스팅 장치 및 상기 병렬 테스트 장치(PT)에 의해,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주소(ADR) 및 상기 결함이 검출되는 각 I/O 데이터 라인(IO1,IO2,IO3)을 경유하여, 각 결함 메모리셀(MC)이 식별되며, 그리고 - 모든 결함 메모리셀들(MC)에 대하여 얻어진 상기 식별 데이터는 상기 자동 복구 장치로 제공되며, 상기 식별 데이터를 사용하여 상기 결함 메모리셀들(MC)을 교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셀의 교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EP90108836.9 | 1990-05-10 | ||
EP90108836 | 1990-05-10 | ||
PCT/EP1991/000865 WO1991017545A1 (de) | 1990-05-10 | 1991-05-08 | Integrierter halbleiterspeicher mit paralleltestmöglichkeit und redundanzverfahren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37000951A KR937000951A (ko) | 1993-03-16 |
KR100274478B1 true KR100274478B1 (ko) | 2001-01-15 |
Family
ID=8203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20702809A Expired - Lifetime KR100274478B1 (ko) | 1990-05-10 | 1991-05-08 | 병렬 테스트 장치를 갖는 집적 반도체 메모리 및 그 리던던시 방법 |
Country Status (8)
Country | Link |
---|---|
US (1) | US5293386A (ko) |
EP (1) | EP0527866B1 (ko) |
JP (1) | JP3133063B2 (ko) |
KR (1) | KR100274478B1 (ko) |
AT (1) | ATE104465T1 (ko) |
DE (1) | DE59101394D1 (ko) |
HK (1) | HK167795A (ko) |
WO (1) | WO1991017545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4356799A (ja) * | 1990-08-29 | 1992-12-10 | Mitsubishi Electric Corp | 半導体記憶装置 |
JP2796590B2 (ja) * | 1991-08-07 | 1998-09-10 | 三菱電機株式会社 | メモリ装置及びそれを使用したデータ処理装置 |
JP3293935B2 (ja) * | 1993-03-12 | 2002-06-17 | 株式会社東芝 | 並列ビットテストモード内蔵半導体メモリ |
JPH06275693A (ja) * | 1993-03-20 | 1994-09-30 | Hitachi Ltd | ダイナミック型ram |
US5864565A (en) | 1993-06-15 | 1999-01-26 | Micron Technology, Inc.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having compression circuitry for compressing test data, and the test system and method for utilizing the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
JPH0793172A (ja) * | 1993-09-24 | 1995-04-07 | Nec Corp | 冗長ブロック切り替え回路 |
US6101618A (en) * | 1993-12-22 | 2000-08-08 | Stmicroelectronics, Inc. | Method and device for acquiring redundancy information from a packaged memory chip |
US5694346A (en) * | 1995-01-18 | 1997-12-02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Integrated circuit including fully testable small scale read only memory constructed of level sensitive scan device shift register latches |
JP2959444B2 (ja) * | 1995-08-30 | 1999-10-06 | 日本電気株式会社 | フリップチップ型半導体装置の自動配置配線方法 |
US5631868A (en) * | 1995-11-28 | 1997-05-20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Method and apparatus for testing redundant word and bit lines in a memory array |
IL116220A0 (en) * | 1995-11-30 | 1996-01-31 | Memsys Ltd | Automated process for generating boards from defective chips |
JP3839869B2 (ja) * | 1996-05-30 | 2006-11-01 | 株式会社ルネサステクノロジ | 半導体記憶装置 |
US5831988A (en) * | 1997-01-23 | 1998-11-03 | Unisys Corporation | Fault isolating to a block of ROM |
KR100269299B1 (ko) * | 1997-07-14 | 2000-10-16 | 윤종용 | 데이터패쓰(dq)수감소회로및감소방법과이를이용한반도체장치 |
US6003149A (en) * | 1997-08-22 | 1999-12-14 | Micron Technology, Inc. | Test method and apparatus for writing a memory array with a reduced number of cycles |
KR100280442B1 (ko) * | 1998-02-05 | 2001-02-01 | 김영환 | 디램의병렬테스트회로 |
KR100307626B1 (ko) | 1998-08-31 | 2001-11-30 | 윤종용 | 디램과버퍼메모리를갖는메모리로직복합집적회로장치 |
US6278651B1 (en) | 2000-06-26 | 2001-08-21 | Infineon Technologies Ag | High voltage pump system for programming fuses |
US6718487B1 (en) | 2000-06-27 | 2004-04-06 | Infineon Technologies North America Corp. | Method for high speed testing with low speed semiconductor test equipment |
JP2002025291A (ja) * | 2000-07-07 | 2002-01-25 | Mitsubishi Electric Corp | 半導体記憶装置 |
WO2002021234A2 (en) | 2000-09-06 | 2002-03-14 | Infineon Technologies Ag | Bist for parallel testing of on-chip memory |
KR100399435B1 (ko) * | 2001-02-27 | 2003-09-29 |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 반도체 메모리 장치와 그의 리페어 해석 방법 |
US6853597B2 (en) * | 2001-10-03 | 2005-02-08 | Infineon Technologies Aktiengesellschaft | Integrated circuits with parallel self-testing |
DE10219782C1 (de) * | 2002-05-03 | 2003-11-13 | Infineon Technologies Ag | Verfahren und Hilfseinrichtung zum Testen einer RAM-Speicherschaltung |
KR100450682B1 (ko) * | 2002-08-29 | 2004-10-01 | 삼성전자주식회사 | 테스트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내부회로를 가지는 반도체메모리 장치 및 그 테스트 방법 |
JP4235122B2 (ja) * | 2004-02-06 | 2009-03-11 | シャープ株式会社 | 半導体記憶装置及び半導体記憶装置のテスト方法 |
US7352649B2 (en) * | 2005-07-21 | 2008-04-01 | Micron Technology, Inc. | High speed array pipeline architecture |
US7802157B2 (en) * | 2006-06-22 | 2010-09-21 | Micron Technology, Inc. | Test mode for multi-chip integrated circuit packages |
US20080013389A1 (en) * | 2006-07-11 | 2008-01-17 | Jaehee Kim | Random access memory including test circuit |
US7925939B2 (en) * | 2008-09-26 | 2011-04-12 | Macronix International Co., Ltd | Pre-code device, and pre-code system and pre-coding method thererof |
KR102312957B1 (ko) * | 2015-05-26 | 2021-10-15 |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7105897A (en) * | 1980-12-23 | 1982-07-01 | Fujitsu Ltd | Semiconductor storage device |
US4541090A (en) * | 1981-06-09 | 1985-09-10 |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 Semiconductor memory device |
EP0186051B1 (de) * | 1984-12-28 | 1991-07-17 | Siemens Aktiengesellschaft | Integrierter Halbleiterspeicher |
ATE51316T1 (de) * | 1984-12-28 | 1990-04-15 | Siemens Ag | Integrierter halbleiterspeicher. |
JPS6255240A (ja) * | 1985-09-04 | 1987-03-10 | Nippon Tokushu Toryo Kk | 車両等の防音方法 |
JP2530610B2 (ja) * | 1986-02-27 | 1996-09-04 | 富士通株式会社 | 半導体記憶装置 |
JPS62222500A (ja) * | 1986-03-20 | 1987-09-30 | Fujitsu Ltd | 半導体記憶装置 |
JPS63244399A (ja) * | 1987-03-16 | 1988-10-11 | シーメンス・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 半導体メモリの検査方法および回路装置 |
KR910005306B1 (ko) * | 1988-12-31 | 1991-07-24 | 삼성전자 주식회사 | 고밀도 메모리의 테스트를 위한 병렬리드회로 |
US5157664A (en) * | 1989-09-21 | 1992-10-20 |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 Tester for semiconductor memory devices |
JP6255240B2 (ja) | 2013-12-27 | 2017-12-27 |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 貯湯ユニットおよび給湯装置 |
-
1991
- 1991-05-08 WO PCT/EP1991/000865 patent/WO1991017545A1/de active IP Right Grant
- 1991-05-08 DE DE59101394T patent/DE59101394D1/de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1-05-08 EP EP91909228A patent/EP0527866B1/de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1-05-08 AT AT91909228T patent/ATE104465T1/de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1-05-08 KR KR1019920702809A patent/KR100274478B1/ko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1-05-08 JP JP03508467A patent/JP3133063B2/ja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2
- 1992-11-10 US US07/974,855 patent/US5293386A/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5
- 1995-10-26 HK HK167795A patent/HK167795A/xx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HK167795A (en) | 1995-11-03 |
DE59101394D1 (de) | 1994-05-19 |
JPH05506954A (ja) | 1993-10-07 |
EP0527866B1 (de) | 1994-04-13 |
WO1991017545A1 (de) | 1991-11-14 |
US5293386A (en) | 1994-03-08 |
EP0527866A1 (de) | 1993-02-24 |
ATE104465T1 (de) | 1994-04-15 |
JP3133063B2 (ja) | 2001-02-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274478B1 (ko) | 병렬 테스트 장치를 갖는 집적 반도체 메모리 및 그 리던던시 방법 | |
KR100848254B1 (ko) | 메모리 모듈의 셀프-테스트 및 복구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
US7940597B2 (en) |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parallel test method of the same | |
US6496429B2 (en) | Semiconductor memory device | |
KR900004886B1 (ko) | 메모리 테스트회로 | |
US6625072B2 (en)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provided with a self-testing circuit for carrying out an analysis for repair by using a redundant memory cell | |
US6295618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compression in memory devices | |
KR100284716B1 (ko) | 반도체 기억 장치 | |
KR937000951A (ko) | 병렬 테스트 장치를 갖는 집적 반도체 메모리와 중복방법 | |
US8074144B2 (en) | Semiconductor storage device | |
JP2001006395A (ja) | 半導体メモリ装置及びそのテストモード時の読出方法 | |
KR100356091B1 (ko) | 반도체 기억 장치 | |
US20030084370A1 (en) | Circuit and method for masking a dormant memory cell | |
US20030116763A1 (en)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 |
US20030214845A1 (en)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having data input/output configuration variable | |
US7454662B2 (en) | Integrated memory having a circuit for testing the operation of the integrated memory,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integrated memory | |
US6670802B2 (en) | Integrated circuit having a test operating mode and method for testing a multiplicity of such circuits | |
JPS61292299A (ja) | オンチツプメモリテスト容易化回路 | |
US20070226553A1 (en) | Multiple banks read and data compression for back end test | |
KR100336951B1 (ko) | 병렬블럭기입동작을사용하여메모리회로를테스팅하기위한방법및장치 | |
EP0640917A2 (en) | Roll call circuit for semi-conductor memory | |
US20050041497A1 (en) | Integrated memory having a test circuit for functional testing of the memory | |
US6529428B2 (en) | Multi-bit parallel testing for memory devices | |
US6701470B1 (en) | Method for testing a memory device having different number of data pads than the tester | |
KR101212737B1 (ko) | 반도체 메모리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2111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6050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2111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812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908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0062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09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009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308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408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508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608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708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808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90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00906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90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EXPY | Expiration of term | ||
PC1801 | Expiration of term |
Termination date: 20121009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