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250087B1 - Outside rear view mirror for vehicles - Google Patents

Outside rear view mirror for vehicl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0087B1
KR100250087B1 KR1019970045049A KR19970045049A KR100250087B1 KR 100250087 B1 KR100250087 B1 KR 100250087B1 KR 1019970045049 A KR1019970045049 A KR 1019970045049A KR 19970045049 A KR19970045049 A KR 19970045049A KR 100250087 B1 KR100250087 B1 KR 1002500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auxiliary
housing
driving means
mai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504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9990021504A (en
Inventor
이인전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70045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0087B1/en
Publication of KR19990021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150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0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0087B1/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 B60R1/07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 B60R1/07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for adjusting the mirror relative to its ho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06Side-view mirrors, e.g. V-shaped mirrors located at the front or rear part of the vehicle
    • B60R1/007Side-view mirrors, e.g. V-shaped mirrors located at the front or rear part of the vehicle specially adapted for covering the lateral blind spot not covered by the usual rear-view mirr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8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 B60R1/081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avoiding blind spots, e.g. by using a side-by-side association of mirr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아웃사이드 리어뷰 미러에 관한 것으로, 몸체를 이루는 하우징과, 후방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메인 미러와, 상기 미러의 경사도를 설정하여 후방의 시야를 조정하기 위한 메인 미러 구동수단을 구비하며, 이와는 별도로 상기 메인 미러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하우징 내에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보조미러와, 상기 메인 미러와 독립하여 메인 미러와 서로 상이한 경사도로 움직이도록 상기 보조 미러를 구동시키는 보조 미러 구동수단 및 상기 보조 미러 구동수단에 연결되어 운전석 주변부에 장착되는 스위치 부재를 포함하는 차량용 아웃사이드 리어뷰 미러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구비된 채 그 전방부에 보조 미러를 설치하고 있는 보조 하우징에는, 일단부를 상기 보조 미러의 후면에 힌지 고정하고 있는 지지 로드의 타단부가 내측 후면에 고정되며; 상기 보조 미러 구동수단은, 상기 보조 하우징을 전후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과 상기 보조 하우징의 외측면 사이에 상기 지지 로드와 수직으로 정렬되는 방향으로 장착되는 제 1 솔레노이드 밸브 부재와, 상기 보조 미러를 좌우로 회동시키도록 상기 보조 미러의 후면과 상기 보조 하우징의 내측면 사이에 상기 지지 로드와 수평으로 정렬되는 방향으로 장착되는 제2 솔레노이드 밸브 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exterior rear view mirror, comprising a housing forming a body, a main mirror installed in the housing to secure a rear view, and a main for adjusting the rear view by setting an inclination of the mirror. And a mirror driving means, separate from the main mirror, the sub mirror being movably mounted in the housing, and driving the auxiliary mirror to move at different inclinations from the main mirror independently of the main mirror. An exterior rear view mirror for a vehicle, comprising: an auxiliary mirror driving means and a switch member connected to the auxiliary mirror driving means and mounted to a periphery of a driver's seat; The other end of the supporting rod, which is fixed to the rear side of the auxiliary mirror, is fixed to the inner rear side of the auxiliary housing provided inside the housing and having the auxiliary mirror installed at the front side thereof; The auxiliary mirror driving means includes: a first solenoid valve member moun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pport rod between an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an outer surface of the auxiliary housing to move the auxiliary housing back and forth; And a second solenoid valve member mounted in a direction horizontally aligned with the support rod between the rear surface of the auxiliary mirror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auxiliary housing so as to rotate the mirror from side to side.

Description

차량용 아웃 사이드 리어뷰 미러Car exterior rear view mirror

본 발명은 차량용 리어뷰 미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의 외부에 장착되어 후방시계를 확보하기 위한 아웃사이드 리어뷰 미러(outside rear view mirror)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ar view mirror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utside rear view mirror for securing a rear view mounted on an exterior of a vehicle.

자동차에 있어서, 후방 시계를 확보하기 위한 장치로서 리어뷰 미러가 사용되고, 리어뷰 미러는 인사이드 리어뷰 미러(outside rear view mirror)와 아웃사이드 리어뷰 미러로 나누어지게 된다.In a vehicle, a rear view mirror is used as a device for securing a rear view, and the rear view mirror is divided into an inside rear view mirror and an outside rear view mirror.

인사이드 리어뷰 미러는 차실 내부에 제공되어 차체 직후방의 시야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사용되며, 아웃사이드 리어뷰 미러(이하 아웃사이드 미러라함)는 차체 측후방의 시야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사용된다.Inside rear view mirrors are provided inside the vehicle body and used to check the visibility of the vehicle immediately after the vehicle body. Outside rear view mirrors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outside mirror) are used to check the visibility of the vehicle body side rear.

일반적으로, 종래기술에 따른 아웃사이드 미러는 몸체를 이루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이 하우징에는 하나의 평렌즈인 미러가 설치된다. 상기 미러의 각도는 이미러에 연결된 조절용 손잡이를 통하여 손에 의해 직접적으로 조절되거나 또는 차실내 운전석 주변부에 제공되는 스위치 조작에 의해 전기적으로 조절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평렌즈에는 소형의 볼록렌즈를 부가적으로 고정시킬수 있는데, 이러한 볼록렌즈는 상기 평렌즈상에 나타나지 않는 사각지대를 경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general, an outside mirr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a housing constituting a body, and the housing is provided with a mirror which is one flat lens. The angle of the mirror can be adjusted directly by a hand via an adjustment knob connected to the imager or electrically by a switch operation provided around the driver's seat. In addition, a small convex lens may be additionally fixed to the flat lens, and the convex lens may be configured to border a blind spot that does not appear on the flat lens.

이와같이 차량의 좌우측에 구비된 아웃사이드 미러는 차량의 안전운행을 위해서는 시계확보의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outside mirrors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vehicle play an important role in securing a watch for safe driving of the vehicle.

그러나, 종래의 아웃사이드 미러의 경우에 있어서, 좁은 도로 주행시나 주차시 후방 시계의 범위가 넓지 않아 후방 수평방향과 지면 영역에서 사각지대가 발생되어 타차량과 접촉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outside mirro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blind spot is often generated in the rear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ground area and is in contact with other vehicles because the range of the rear vision is not wide when driving on a narrow road or when parking. .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에서와 같이 종래기술에 내재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새로운 보조 미러를 추가하여 장착시키고 이 보조 미러의 작동 조절기를 기존의 메인 미러 조절기에 연결시키므로써 하나의 조절기로 두 개의 미러를 용이하게 조작하여 후방 수평방향과 지면영역을 동시에 경계할 수가 있는 보조 미러가 장착된 아웃사이드 미러를 제공하는데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inherent in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dd and mount a new auxiliary mirror and connect the operation controller of the auxiliary mirror to an existing main mirror controll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outside mirror equipped with an auxiliary mirror capable of easily manipulating two mirrors with one adjuster to simultaneously border the rear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ground area.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아웃사이드 미러의 개략적인 사시도.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n outside mirr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미러의 개략적인 종단면도.2 is a schematic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n auxiliary mirror according to the invention.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아웃사이드 미러를 동작시키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 회로도.3 is a schematic structural circuit diagram for operating an outside mirr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아웃사이드 미러 12 : 메인 미러10: outside mirror 12: main mirror

14 : 하우징 16 : 보조 미러14 housing 16 auxiliary mirror

18 : 힌지점 20 : 지지 로드18: hinge point 20: support rod

22,24 : 솔레노이드 부재 26 : 메인 미러 구동 수단22,24: solenoid member 26: main mirror drive means

28 : 보조 미러 구동 수단 30 : 절환 스위치28: auxiliary mirror drive means 30: switching switch

32 : 조절기32: adjuster

본 발명에 의해 상기 목적은 쉽게 달성되며, 본 발명의 일면에 따라, 몸체를 이루는 하우징과, 후방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메인 미러와, 상기 미러의 경사도를 설정하여 후방의 시야를 조정하기 위한 메인 미러 구동수단을 구비하며, 이와는 별도로 상기 메인 미러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하우징내에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보조미러와, 상기 메인 미러와 독립하여 메인 미러와 서로 상이한 경사도로 움직이도록 상기 보조 미러를 구동시키는 보조 미러 구동수단 및 상기 보조 미러 구동수단에 연결되어 운전석 주변부에 장착되는 스위치 부재를 포함하는 차량용 아웃사이드 리어뷰 미러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구비된 채 그 전방부에 보조 미러를 설치하고 있는 보조 하우징에는, 일단부를 상기보조 미러의 후면에 힌지 고정하고 있는 지지 로드의 타단부가 내측 후면에 고정되며; 상기 보조 미러 구동수단은, 상기 보조 하우징을 전후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과 상기 보조 하우징의 외측면 사이에 상기 지지 로드와 수직으로 정렬되는 방향으로 장착되는 제 1 솔레노이드 밸브 부재와, 상기 보조 미러를 좌우로 회동시키도록 상기 보조 미러의 후면과 상기 보조 하우징의 내측면 사이에 상기 지지 로드와 수평으로 정렬되는 방향으로 장착되는 제 2 솔레노이드 밸브 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object is easily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ing constituting the body, the main mirror installed in the housing to secure the rear view, and the rear view by setting the inclination of the mirror A main mirror driving means for adjusting the pressure of the main mirror, and a sub-mirror located below the main mirror and movably mounted in the housing, so as to move at different inclinations from the main mirror independently of the main mirror. An exterior rear view mirror for a vehicle including an auxiliary mirror driving means for driving the auxiliary mirror and a switch member connected to the auxiliary mirror driving means and mounted to a periphery of a driver's seat: In the auxiliary housing in which the auxiliary mirror is installed, one end thereof is the rear side of the auxiliary mirror.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rod that is fixed hinge is fixed to the inner rear; The auxiliary mirror driving means includes: a first solenoid valve member moun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pport rod between an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an outer surface of the auxiliary housing to move the auxiliary housing back and forth; And a second solenoid valve member mounted in a direction horizontally aligned with the support rod between the rear surface of the auxiliary mirror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auxiliary housing to pivot the mirror left and right.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스위치 부재는, 메인 모드시에는 상기 메인 미러 구동 수단을 작동시키도록 상기 메인 미러 구동수단에 연결되고 보고 미러 모드시에는 상기 보조 미러 구동 수단을 작동시키도록 상기 보조 미러 구동수단에 연결되는 절환 스위치와, 상기 절환 스위치에 연결되어 운전자에 의해 조작되는 조절기로 구성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witch member is connected to the main mirror driving means to operate the main mirror driving means in the main mode and the auxiliary mirror driving means to operate the auxiliary mirror driving means in the reporting mirror mode. And a changeover switch connected to the mirror drive means, and an adjuster connected to the changeover switch and operated by a driver.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차량이 고속으로 넓은 도로를 정상적으로 주행할 때는 운전자는 절환 스위치를 우선적으로 조작하여 전원이 메인 구동 수단에 연결되도록 하고, 차량이 좁은 도로 주행시나 주차시에는 절환 스위치를 조작하여 전원이 보조 구동 수단에 연결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조절기의 조작에 의해 상기한 보조 구동 수단이 작동되어 보조 미러가 전후 또는 좌우로 움직이게 된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vehicle normally runs on a wide road at high speed, the driver first operates the changeover switch so that the power is connected to the main driving means, and the vehicle is switched when driving on a narrow road or when parking. The switch is operated so that the power source is connected to the auxiliary drive means. Then, the auxiliary driving means is op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adjuster so that the auxiliary mirror is moved back and forth or left and righ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아웃사이드 미러의 개략적인 사시도로, 이 아웃사이드미러는 도면 부호 10으로 나타낸다. 상기 아웃사이드 미러(10)는 몸체를 이루는 하우징(14), 메인 미러(12), 보조 미러(16) 등을 포함한다.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n outside mirr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10. The outside mirror 10 includes a housing 14 constituting a body, a main mirror 12, an auxiliary mirror 16, and the like.

상기 하우징(14)은 차체에 접을 수 있게 장착되며, 상기 메인 미러(12)는 차량의 고속 주행시 후방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14)에 설치된다. 또한 도면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메인 미러(12)의 경사도를 설정하여 후방의 시야를 조정하기 위한 메인 미러 구동수단이 상기 하우징(14)에 장착된다.The housing 14 is mounted to be foldable on the vehicle body, and the main mirror 12 is installed in the housing 14 to secure a rear view at high speed of the vehicle.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detail in the drawing, the main mirror driving means for adjusting the rear view by setting the inclination of the main mirror 12 is mounted to the housing 14.

상기 보조 미러(16)은 운전자가 지면을 경계하므로 상기 메인 미러(12)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하우징(14)내에서 이동가능하게 장착된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보조 미러(16)는 상기 하우징(14)의 내측에 구비되는 보조하우징(14a)에 설치되는 것이다. 이같은 보조 미러 (16)의 장착은 지지 로드(20)를 이용하는데, 이 로드의 일단부는 상기 보조 하우징(14a)의 내측면에 고정 장착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보조 미러(16)의 후면 중심부가 힌지점(18)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연결된다.The auxiliary mirror 16 is located below the main mirror 12 and is movably mounted in the housing 14 because the driver borders the ground. As shown in FIG. 2, the auxiliary mirror 16 is installed in the auxiliary housing 14a provided inside the housing 14. This auxiliary mirror 16 is mounted using a support rod 20, one end of which is fixedly mounted on the inner side of the auxiliary housing 14a,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the rear center of the auxiliary mirror 16. It is rotatably connected about the hinge point 18.

상기 메인 미러(21)와 독립하여 메인 미러와 서로 상이한 경사도로 움직이도록 상기 보조 미러(16)를 구동시키는 상기 보조 미러 구동 수단(28)은 두 개의 솔레노이드 밸브 부재(22,24)로 구성된다. 그 첫 번째인 전후 작동 솔레노이드 밸브 부재(22)는 상기 보조 미러(16)를 전후로 작동 시키도록 상기 보조 하우징(14a)의 외측면과 상기 하우징(14)의 내측면 사이에 위치한다. 이같은 전후 작동 솔레노이드 밸브부재(22)는 상기 지지 로드(20)와 수직으로 정렬된 위치에 장착되는 것이다. 그리고, 좌우 솔레노이드 밸브 부재(24)는 상기 보조 미러(16)를 (도면상의)좌우로 작동 시키도록 상기 보조 미러(16)의 후면과 보조 하우징(14a)의 내측면사이에 설치되면 이같은 좌우 작동 솔레노이드 밸브부재(24)는 상기 지지 로드(20)와 수평으로 정렬된 위치에 장착되는 것이다.The auxiliary mirror driving means 28 for driving the auxiliary mirror 16 to move at different inclinations from the main mirror 21 independently of the main mirror 21 is composed of two solenoid valve members 22 and 24. The first, front and rear actuation solenoid valve member 22 is located between the outer side of the auxiliary housing 14a and the inner side of the housing 14 to actuate the auxiliary mirror 16 back and forth. The front and rear actuating solenoid valve member 22 is mounted at a position vertically aligned with the support rod 20. And, the left and right solenoid valve member 24 is such a left and right operation when installed between the rear surface of the auxiliary mirror 16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auxiliary housing 14a to operate the auxiliary mirror 16 left and right (on the drawing). The solenoid valve member 24 is mounted at a position horizontally aligned with the support rod 20.

그리고, 당업자는 누구나 알수 있듯이 상기한 구동 수단은 랙과 피니언 전달 수단 또는 이와 다른 수단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보조 미러 구동 수단(28)은 상기 메인 미러 구동 수단(26)과 동일한 구성으로도 할수 있다.And, as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drive means described above may use rack and pinion transfer means or other means. The auxiliary mirror driving means 28 may also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main mirror driving means 26.

상기 보조 구동 수단(28)에 연결되어 운전석 주변부에 장착되는 스위치 부재는 상기 메인 미러 구동 수단(26)에도 연결된다. 제3도에 도시한 것처럼, 상기 스위치 부재는, 메인 모드시에 상기 메인 미러 구동 수단(26)을 작동시키도록 상기 메인 미러 구동수단(26)에 연결되고 보조 미러 모드시에는 상기 보조 미러 구동 수단(28)을 작동시키도록 상기 보조 미러 구동수단(28)에 연결되는 절환 스위치(30)와, 상기 절환 스위치(30)에 연결되어 운전자에 의해 조작되는 조절기(32)로 구성된다.The switch member connected to the auxiliary drive means 28 and mounted to the driver's periphery is also connected to the main mirror drive means 26. As shown in FIG. 3, the switch member is connected to the main mirror driving means 26 to operate the main mirror driving means 26 in the main mode, and the auxiliary mirror driving means in the auxiliary mirror mode. And a changeover switch 30 connected to the auxiliary mirror drive means 28 to operate 28, and an adjuster 32 connected to the changeover switch 30 and operated by a driver.

본 발명이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상기한 아웃사이드미러(10)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차량이 고속으로 넓은 도로를 정상적으로 주행할 때는 운전자는 절환 스위치(30)를 우선적으로 조작하여 전원이 메인 구동 수단(26)에 연결되도록 한다. 그후 상기 조절기(32)를 조절하여 메인 미러(12)를 조작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outside mirror 10 is operated as follows. When the vehicle normally runs on a wide road at high speed, the driver first operates the changeover switch 30 so that the power source is connected to the main driving means 26. Thereafter, the controller 32 is adjusted to manipulate the main mirror 12.

또한, 차량이 좁은 도로 주행시나 주차시에는 운전자는 절환 스위치(30)를 조작하여 전원이 보조 구동 수단(28)에 연결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조절기(32)의 조작에 의해 상기한 보조 구동 수단(28)이 작동되어 보조 미러 (16)가 힌지점(18)을 중심으로 전후 또는 좌우로 움직이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vehicle is driven on a narrow road or parked, the driver operates the changeover switch 30 so that the power source is connected to the auxiliary driving means 28. Then, the auxiliary drive means 28 is op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adjuster 32 so that the auxiliary mirror 16 moves back and forth or left and right about the hinge point 18.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라 새로운 보조 미러를 추가하여 장착시키고 이 보조 미러의 작동 조절기를 기존의 메인 미러 조절기에 연결시키므로써 하나의 조절기로 두 개의 미러를 용이하게 조작하여 후방 수평방향과 지면영역을 동시에 경계할 수가 있어 좁은 골목길에서의 주행과 주차가 용이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dding and mounting a new auxiliary mirror and connecting the operation controller of the auxiliary mirror to the existing main mirror controller, two mirrors can be easily manipulated with one adjuster so that the rear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ground area can be bordered at the same time, making driving and parking in narrow alleys easier.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modif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following claim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know that.

Claims (2)

몸체를 이루는 하우징과, 후방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메인 미러와, 상기 미러의 경사도를 설정하여 후방의 시야를 조정하기 위한 메인 미러 구동수단을 구비하며, 이와는 별도로 상기 메인 미러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하우징 내에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보조미러와, 상기 메인 미러와 독립하여 메인 미러와 서로 상이한 경사도록 움직이도록 상기 보조 미러를 구동시키는 보조 미러 구동수단 및 상기 보조 미러 구동수단에 연결되어 운전석 주변부에 장착되는 스위치 부재를 포함하는 차량용 아웃사이드 리어뷰 미러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구비된 채 그 전방부에 보조 미러를 설치하고 있는 보조 하우징에는, 일단부를 상기 보조 미러의 후면에 힌지 고정하고 있는 지지 로드의 타단부가 내측 후면에 고정되며; 상기 보조 미러 구동수단은, 상기 보조 하우징을 전후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과 상기 보조 하우징의 외측면 사이에 상기지지 로드와 수직으로 정렬되는 방향으로 장착되는 제 1 솔레노이드 밸브 부재와, 상기 보조 미러를 좌우로 회동시키도록 상기 보조 미러의 후면과 상기 보조 하우징의 내측면 사이에 상기지지 로드와 수평으로 정렬되는 방향으로 장착되는 제 2 솔레노이드 밸브 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아웃 사이드 리어뷰 미러.A housing constituting the body, a main mirror installed in the housing to secure the rear view, and main mirror driving means for adjusting the rear view by setting an inclination of the mirror, and separately from the main mirror. An auxiliary mirror positioned below and movably mounted in the housing, and connected to the auxiliary mirror driving means and the auxiliary mirror driving means for driving the auxiliary mirror so as to move inclined differently from the main mirror independently of the main mirror. An exterior rear view mirror for a vehicle including a switch member, the switch member being mounted to a periphery of a driver's seat; The other end of the supporting rod, which is fixed to the rear side of the auxiliary mirror, is fixed to the inner rear side of the auxiliary housing provided inside the housing and having the auxiliary mirror installed at the front side thereof; The auxiliary mirror driving means includes: a first solenoid valve member moun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pport rod between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housing and an outer side surface of the auxiliary housing to move the auxiliary housing back and forth; And a second solenoid valve member mounted between the rear surface of the auxiliary mirror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auxiliary housing in a direction aligned horizontally with the support rod to pivot the mirror left and right. mirr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부재는, 메인 모드시에는 상기 메인 미러 구동 수단을 작동시키도록 상기 메인 미러 구동수단에 연결되고 보조 미러 모드시에는 상기 보조 미러 구동 수단을 작동시키도록 상기 보조 미러 구동수단에 연결되는 절환 스위치와, 상기 절환 스위치에 연결되어 운전자에 의해 조작되는 조절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아웃사이드 리어뷰 미러.2. The auxiliary mirror driv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witch member is connected to the main mirror driving means to operate the main mirror driving means in the main mode and to operate the auxiliary mirror driving means in the auxiliary mirror mode. And a changeover switch connected to the means, and an adjuster connected to the changeover switch and operated by a driver.
KR1019970045049A 1997-08-30 1997-08-30 Outside rear view mirror for vehicles Expired - Fee Related KR10025008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5049A KR100250087B1 (en) 1997-08-30 1997-08-30 Outside rear view mirror for vehic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5049A KR100250087B1 (en) 1997-08-30 1997-08-30 Outside rear view mirror for vehicl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1504A KR19990021504A (en) 1999-03-25
KR100250087B1 true KR100250087B1 (en) 2000-04-01

Family

ID=19520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5049A Expired - Fee Related KR100250087B1 (en) 1997-08-30 1997-08-30 Outside rear view mirror for vehicl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008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2990B1 (en) * 2011-05-31 2013-04-15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Side Mirror Apparatus for Vehicle
CN112644386A (en) * 2020-08-27 2021-04-13 李瑞军 Two visual angle rearview mirr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1504A (en) 1999-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04610B2 (en) Small blind spot door mirror
US4318590A (en) Wide scan rearview mirror
JPH09315211A (en) Headlight for automobile
KR100250087B1 (en) Outside rear view mirror for vehicles
US4684216A (en) Automotive outside rearview mirror
US7025467B2 (en) Outside, vehicle rearview mirror system for backing
KR100524286B1 (en) Control process of side mirror in vehicle
JPH0419521Y2 (en)
BE1005958A6 (en) Device for expanding the scope of an optical mirror mirror for vehicle.
JPH0451106Y2 (en)
KR0131761Y1 (en) Electric door backmirror with dead angle mirror for an automobile
KR0131787Y1 (en) Motorized door back mirror of car with square mirror
KR960004741Y1 (en) Inside mirror angle adjuster of car
KR970004481Y1 (en) Outside mirror angle position indicator of car
KR910007995Y1 (en) Side mirrors for automobiles with selective switching between flat and curved mirrors
JP3207499B2 (en) In-vehicle electrical component control device
KR19990011449U (en) Car exterior rear view mirror
KR0118459Y1 (en) Room mirror back and forth of car
JPH038036U (en)
JPH0114516Y2 (en)
KR19980017551A (en) Outside mirrors for large vehicles
JPH0565683U (en) Vehicle mirror device
JP2000142235A (en) Rearview mirror device
KR970000901A (en) Rearview and Room Mirror Actuators
KR19980063404U (en) Mirror angle adjuster of car side mirr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08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7083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905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100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12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001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6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11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01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2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