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257227B1 - 모듈러 블록지지벽 시스템 및 그 구축방법 - Google Patents

모듈러 블록지지벽 시스템 및 그 구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7227B1
KR100257227B1 KR1019960706647A KR19960706647A KR100257227B1 KR 100257227 B1 KR100257227 B1 KR 100257227B1 KR 1019960706647 A KR1019960706647 A KR 1019960706647A KR 19960706647 A KR19960706647 A KR 19960706647A KR 100257227 B1 KR100257227 B1 KR 1002572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block
grit
grid
blo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6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703473A (ko
Inventor
에이 밀러 로버트
엠 태일러 필립
Original Assignee
로버트 제이. 브리그스
더 텐사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08/254,710 external-priority patent/US5540525A/en
Application filed by 로버트 제이. 브리그스, 더 텐사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로버트 제이. 브리그스
Publication of KR970703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7034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7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72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etaining Walls (AREA)
  • Revetment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 Moulds, Cores, Or Mandrels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 Toys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 Air Bags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모듈러벽블록(10)은 상정부에 있는 리세스(32)로 형성되고, 갈퀴형의 그릿드연결장치(74)의 핑거를 수납한다. 이 핑거는 강화재료(44)의 그릿드상 쉬트의 틈구멍으로 통과해서 이러한 블록으로 부터 형성되는 지지벽(80)뒤에서 흙 충전(75)을 강화시키기 위해 뒤로 뻗는다. 갈퀴는 블록을 위치시키기 위해 더 높은 벽블록의 저부에서 슬롯트(102)에 계합하도록 위로 돌출하는 탭(120)을 가진 척추부를 포함구성한다. 슬랫트부재(56)는 블록측부에서 그루브홈(52)을 수납하고 인접블록을 계합하고 위치시키기 위하여 위로 돌출한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모듈러 블록지지벽 시스템 및 그 구축방법(Modular Block Retaining Wall System and Method of Constructing Same)
[발명분야]
본 발명은 모듈러벽 블록시스템(modular wall block system), 그 중에서도 특히 강화된 지지벽 또는 이러한 지지벽류의 것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벽블록과 같은 블록의 선정된 코스로 늘어나는 길이를 가진 격자상(grid-like)의 재료쉬트(grid-like sheets of material)를 기계적으로 확보하기 위한 단일수단을 구성하는 모듈러 블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에 덧붙이면, 본 발명상의 벽블록은 각 블록이 서로간에 토건엔지니어링구조와 같은 건축중에 서로간에 위치되기 쉽고 자리잡기 쉽도록 설계되어 있다.
[발명의 배경]
지지벽(retaining walls)은 건축과 부지개발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벽의 면은 되메우기 흙(backfill soils)이 작용하는 매우 높은 압력에 견디지 않으면 안된다. 흙되메우기의 강화 및 안정성은 벽되메우기 흙을 잡아주고 안정된 토질의 강화를 위하여 벽면뒤로 흙되메우기에서의 층에 놓아두는 격자형의 판재에 의해 부여된다. 벽을 형성하는 엘레멘트에 강화재료를 연결하는 것은 벽엘레멘트를 잡아주고 흙되메우기 압력에 대항하여 지지해준다.
지지벽구조뒤에서 토질을 강화시키는데는 격자상의 방호용 타이백 쉬트(tie-back sheet)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필수적인 지오그릿드(geogred), 즉 지하격자로 알려져 있는 것으로, 죠지아주 아틀란타시 소재의 텐사코포레이션("텐사"라 부름)으로 부터 상업적용도로 제조되고, 이는 참고로 미국특허 제 4,374,798호("798특허"라 함)에서 그 주제의 전모가 여기서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격자상의 타이백쉬트재의 다른 형태는 지지벽의 구조에서 강화수단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본 발명의 개념은 그러한 재료를 이와 동등하게 사용하는 개념이다. 어떤 경우이든, 강화수단과 벽엘레멘트 사이에서 안전한 내부연결을 부여하는데는 더욱 어려움이 있고, 특히 큰 지진이 나는 지역에서는 더욱 어려움에 부딪친다.
텐사에서 발행한 1986연도 "콘크리트 지벽(Geowall) 팩케이지"라는 안내서에서는, 여러 가지 지지벽구조가 충분한 높이의 캐스트 콘크리트 판넬(cast concrete panel)을 사용하는 것이 나타나 있다. 그러한 지지벽구조를 가진 짧은 판이나 탭(Tab)의 하나가 지오그리드 재료(geogrid material) 즉, 지하 격자재료로서 전술한 '798 특허에서 소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재료가 주조 벽 판넬(cast wall panels)에 매입(埋入 : embed)되어 있다. 그러한 자리에, 지오그릿드의 긴 스트립판이 벽충전(wall fill)을 강화하는데 사용되고, 이는 안정된 토질을 만들어 준다. 지오그릿드탭(geogrid tabs)을 강화용 지오그릿드에 연결시키기 위해, 지오그릿드의 한부위의 스트랜드(strand)를 루-프(loop)를 형성하기 위해 구부리고, 이 루-프는 다른 지오그릿드 부위의 스트랜드 사이에 삽입시키므로써 지오그릿드의 제2부위 밖으로 루-프가 돌출된다. 그리고 로드(rod)가 루프가 그 속을 통해 뒤로 밀려나게 되지 않도록 제2 부위의 반대편상에서 루-프를 통해서 통과되게 하므로써, 지오그릿드의 두 개의 부위사이의 내부연결을 단단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되는 데, 때로는 이것이 "보드킨(Bodkin)"조인트로 불리워 지고 있다.
완전한 높이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벽 판넬을 지지벽에서의 벽면엘레멘트용으로 사용하는 것은 구축중에는, 판넬이 매우 크기 때문에 크레인을 사용해서 판넬을 움직이는데, 대개 8×12 피트 또는 이보다 큰 사이즈로 되기 때문에, 이에 따라 인력으로 취급못할 정도로 너무 무거워지는 일이 많다. 따라서, 미리 주조하거나 만들어서 조립하는 프리-캐스트벽판넬(pre-cast wall panel)을 사용함에 있어서는 이러한 문제를 피하기 위해 다른 형태의 지지벽구조를 개발해 왔다. 예를 들면 지지벽의 캐스트 벽 판넬(cast wall panel)에 비해 통상 비교적 작은 모듈러 벽블록(modular wall blocks)으로 부터 형성하는 것이 그것이다. 이러한 모듈러 벽블록을 조립함에 있어서는 무거운 장비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러한 모듈러 벽블록은 한사람으로도 취급가능하고, 서로간에 다수의 블록을 겹쳐놓고 가지런히 마치 벽돌쌓기처럼 정렬시켜 지지벽구조를 형성하는데 사용된다. 각 블록에는 형성된 지지벽의 외표면을 형성하는 전면을 가진 몸체가 포함구성된다.
모듈러 벽은 콘크리트로 성형되는데, 통상 시멘트를 수화시키고 단위를 같이 보지하기에 충분한 단지 충분한 물을 가진 뱃칭플랜트(batching plant)에서 혼합시킨다. 이와 같이 된 블록은 상부와 저부없이 측면만 가지고 잠정적인 저판을 만들기 위해 모울드박스와 접촉하는 강철재 팔렛(steel pallet)의 상정부에 위치한 모울드박스를 제공해주는 고속공정으로 상업적으로 만들어 준다. 콘크리트 배분박스는 뱃처(batcher)로 부터 콘크리트를 제공해주고, 콘크리트를 모울드박스에 놓으며 모울드박스의 오픈톱(open top)을 건너 콘크리트를 고르는 블래이드(blade)를 포함한다. 벗기기용 스트리퍼(stripper)/콤팩터(compactor)는 모듈러벽 블록을 모울드박스 바깥의 콘베이어벨트위로 밀어내기 위해 성형된 콘크리트를 계속 밀어낸다. 이 공정은 통상 단일벽블록을 제조하기 위해 7~9초간 걸린다. 이 성형된 벽블록은 최종제품을 생산하기 위하여 거의 하루동안 공정에 투입된다.
이 고속의 축조방법으로, 보드킨-형 연결(Bodkin-type connection) 또는 이와 유사한 것에 의해 또는 그릿드상의 재료쉬트강화쉬트재료로 직접 내부연결하기 위해 텐사 설명서(Tensar brochure)에 소개된 프리-캐스트벽판넬(pre-cast wall panel)의 방법으로 그로부터 뻗는 부위를 가진 블록에서 그릿드상 재료의 탭(tabs of grid-like material)등과 같은 것이거나 또는 짧은 스트립을 배장(embed)하는 것은 실질적이지 못하다. 따라서, 지지벽을 보지하는데 사용되는 선정된 모듈러 블록을 강화용 그릿드를 보지하는 다른 기구가 그동안 연구되어 왔다. 벽블록의 층들사이에서 대부분의 그러한 기술들은 강화 그릿드의 쉬트의 단부를 실질적으로 보지해주고, 지지벽을 형성하기 위해 겹쳐쌓은 벽블록의 큰 표면역들사이의 강화기구의 마찰적계합을 제공하기 위해 겹쳐쌓은 블록의 중량에 기본적으로 의존한다. 접착성을 가진 연마용 강화기구와 접촉하는 시멘트상의 벽블록(cementitious wall blocks)의 큰 표면역의 성질은 매우 거친 표면역으로서 이에 따라 지지벽으로 내부연결된 지점에서 포리머쉬트 강화재를 약화시킨다. 더욱이, 가장 중요한 것은, 기초적인 그릿드-블록으로의 연결강도를 부여하기 위해 겹쳐쌓은 블록의 중량에 대한 의존도는 수직으로 작용하는, 즉 벽블록의 상부코스를 잠시라도 들어올리는 작용을 하는 이러한 지진이나 기타 이에 유사한 종류의 지진이 일어나게 되면 매우 비효율적이 되어 겹쳐 쌓은 블록의 중량을 감소시키거나 전체적으로 이를 일소시키므로써, 연결강도를 심히 감퇴시키거나 소멸시키므로써 지지벽의 안정성을 손상하고 이에 따라 지지하는 토질을 약화시킨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기본적인 목적은 다수의 벽블록으로 형성되고 이 벽블록에 그릿드상의 강화쉬트재(grid-like reinforcing sheet material)가 뻗은 길이부로 보지하기 위한 매우 높은 효과를 가진 그릿드 연결기구를 가진 간편하고도 경제적인 모듈러 벽블록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중요한 목적의 하나는, 강화 그릿드재와 병렬된 모듈러 블록의 표면사이의 마찰적계합 또는 벽블록의 겹쳐 쌓여진 코스(superimposed courses)의 중량에 가해지는 어떤 중요한 방법에도 의존하지 않는 그릿드상의 블록연결기능을 부여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진등과 같은 요동이 일어나더라도 그릿드상의 강화쉬트재와 선정된 벽블록사이에서의 견고한 내부연결 또는 내부접속을 제공할 수 있는 유일한 수단을 가지고 지지벽과 같은 것을 형성하기 위한 모듈러벽블록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갈퀴형 또는 빗형의 그릿드 연결장치에 의하여 그릿드-에서-블록으로의 계합을 만들어주는 모듈러 벽 블록 지지벽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각 코스인접블록에서 옆으로 정렬되도록 하고 또한 수직으로 정렬되거나 배후쪽으로 오프셋(offset rearwardly)되는 전면을 가진 모듈러 벽 블록의 선택적으로 위치한 겹쳐쌓은 코스(seletively positioon superimposed courses)로 각 블록을 통해서 뻗는 개구부와 어우러져 이들 측단부에 위치한 기구를 위치설정하거나 놓게 하는 모듈러 벽 블록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벽블록의 단일코스의 인접벽블록을 내부연결하는 동안 겹쳐 쌓여진 벽블록의 전면을 정렬하거나 엇갈리게 해주는 갈퀴형 또는 빗형 그릿드연결장치에 의하여 그릿드-에서- 블록으로의 계합(grid-to-block engagement)을 가지는 벽시스템을 지지하는 모듈러 벽 블록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하나의 목적은, 벽블록의 계속적인 하부코스의 상부면에 보지되는 갈퀴형 또는 빗형의 그릿드연결장치와 벽블록의 코스의 각 벽블록의 저부에 위치된 슬롯트와의 조합으로 형성된 위치설정기구 또는 위치 설정기구를 가지는 모듈러 벽 블록을 제공하는데 있다.
지적한 바와 같이, 그릿드상의 쉬트강화재료는 전술한 '798 특허에서 개시되어 있는 기술에 따라 제조가능하다. 통상적으로, 단일축상으로 방향을 가진 지오그릿드 재료(uiaxially- oriented geogrid materials)는 '798 특허에 개시되어 있는데, 설사 2축 지오그릿드 또는 그릿드재료가 직조하거나 닛트되거나 또는 망상으로 그릿드 재료를 여러 가지 폴리올레핀, 폴리아마이드, 폴리에스터나 기타 섬유유리 등의 서로 다른 기술로 제조하더라도 그러하다.
사실상, 강철(용접선)그릿드와 같은 그릿드상의 쉬트재료는 어느것이든 본 발명상의 갈퀴형 연결장치를 가진 선정된 모듈러벽블록에 보지될 수 있는 틈새공간을 가진 것으로 여기에서는 적절하다. 이러한 재료들은 여기에서 그리고, 특허청구범위에서 "그릿드상의 재료쉬트"(grid-like sheets of material)라 부른다.
본 발명상의 실시예에 따라, 모듈러 벽 블록은 홈통(trough)을 형성하는 블록의 측벽부에 마찰적으로 계합되는 그릿드상의 재료쉬트개구부를 통해 계합하는 다수의 핑거엘레멘트를 포함구성하는 단단한 갈퀴형의 연결장치를 지탱하고 수납하기 위한 상부면에 있는 리세스된 역의 부위에서 모듈러 벽 블록이 형성된다. 이 핑거엘레멘트는 콘크리트 홈통측벽에 반하여 핑거엘레멘트의 단부를 따라 지진 등에 의해 마찰구성품이 당겨지므로써 장치를 견고히 매어 놓는다.
갈퀴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톱니, 크로스바아 또는 척추엘레멘트로부터 핑거의 반대편 방향으로 뻗는 것으로 다수의 탭(tab)이 있다. 이 탭은 몇 개 이상의 핑거위로 뻗는데, 통상 핑거위로 직접 뻗고, 핑거의 일단부에 의해 형성되는 통상의 표면을 spine 포함구성하며, 척추(spine)의 일단과 탭의 일단을 포함 구성한다. 그러나, 각 탭은 척추의 폭과 거의 같은 거리로 척추의 반대편단부를 넘어 뻗는다.
갈퀴에는 크로스바 또는 핑거를 내부연결하고 블록의 상부면과 척추엘레멘트의 사이의 지지 지오그릿드(retaining geogrid)에 의하여 그릿드상의 재료쉬트를 잡아주는 척추엘레멘트가 있다. 이렇게 하여, 그릿드상의 재료쉬트는 지진이 일어나더라도 벽엘레멘트의 수직요동이 일어나더라도 블록으로 견고히 지지된다. 블록이 수직요동을 겪는 동안, 견고한 갈퀴연결기가 콘크리트 블록의 홈통속으로 굳게 잠그어진다.
갈퀴상의 그릿드연결장치(rake grid connection device)는 강철, 알루미늄, 섬유유리, 섬유유리 강화 플라스틱등으로 만들어지는데, 갈퀴상의 연결장치를 잠그기 위해 벽블록 홈통의 측벽에 마찰적으로 계합가능한 고강도폴리머로 만들어지므로써 그릿드 연결장치의 핑거와 크로스바아를 통해 그릿드형 재료쉬트로 부터 하중을 모듈러 벽 블록으로 넘기게 해준다.
'798 특허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고강도 지오그릿드는 틈구멍을 가진 플라스틱 판재를 펴서 만든다. 단일축 기술을 이용하여, 분자적으로 방향을 가지고 연신된 다수의 스트랜드(strand), 즉 열과 거의 방향성이 없거나 스트랜드보다는 방향성이 덜하고 횡적으로 뻗는 바아를 형성하는데, 이 스트랜드(strands)와 바아는 함께 어우러져 다수의 그릿드개구부를 이룬다. 2축 스트렛칭으로, 바아도 또한 방향성을 가진 스트랜드속으로 형성된다. 어느 경우이든, 또는 다른 그릿드상의 재료쉬트를 사용할 때에는, 그릿드 연결장치의 핑거는 그릿드상의 재료쉬트의 열들사이의 공간과 같은 정도로 공간을 두어 떨어진다. 그러나, 이를 통해 핑거를 수납하는 모든 그릿드개구부가 아닌 대부분의 그릿드상의 재료쉬트의 열(strands) 사이에서의 공간의 몇배정도의 공간만큼 떨어질 수도 있다.
축조기지에서는, 다수의 모듈러 벽 블록이 수직적으로 겹쳐 쌓여진 코스에서 엇갈리게 적층된다. 갈퀴형 그릿드 연결장치는 선정된 블록의 벽블록의 홈통내에서 보지되므로써 그릿드상의 재료쉬트의 늘어난 길이의 단부를 잡게 되고, 나머지는 흙 또는 접착물의 충전으로 펴지고 잠그어 체결된다. 그릿드상의 재료쉬트의 판은 충전물을 강화하여 지지벽뒤에서 안정된 물질을 만들어 준다.
거의 100%단부-베어링 기계적 내부연결이 벽블록의 코스들사이의 그릿드상의 재료쉬트의 실질적부위에 마찰적으로 계합시키기 위한 필요성없이도 갈퀴형 그릿드 연결장치를 통해서 모듈러 블록 지지벽과 그릿드상의 재료쉬트의 늘어난 길이 사이에서 이루어진다. 이 벽블록은 갈퀴형 그릿드 연결장치와 그릿드상 재료쉬트를 수납하는 리세스(recess)로 구비되어 있고, 만일 벽블록의 상부면의 레벨아래에서 단일축 지오그릿드에서 두꺼워진 바아가 발견되면 두꺼원진 이 부위를 포함한다. 따라서, 연결강도는 거의 특히 지진발생지에서 연결은 보다 견고하고 확실하게 만들어 주는 그릿드상의 재료쉬트와 벽블록사이에서 겹쳐쌓인 벽블록 또는 마찰의 중량과는 전체적으로 거의 독립적이다. 언급한 바와 같이, 강도에 대한 실질적인 마찰에 의한 연결 또한 그릿드상의 재료쉿트의 재료를 바람직하지 않은 열화에 처하게 한다. 이는 특히 직조하거나 닛팅하거나 망상으로 짠 그릿드상의 재료쉬트와 같은 그릿드상 재료쉬트와의 거친 벽블록의 접촉으로 일어난다.
본 발명상의 모듈러벽블록은 열거된 장점을 달성하기 위해 갈퀴형 연결장치와 접합하여 작업된다. 이 모듈러 벽 블록은 전면에서 통상 약 193.7mm(7 5/8 inch) 높이 약 406.4mm(16 inch) 폭을 가지고, 그 배면에서 약 241.3mm(9 1/2 inch), 깊이 약 279.3mm(11 inch)를 갖고, 무게로 약 34kg(75 pounds)의 중량을 갖는다. 이 블록에는 전면, 배면, 상부면 및 하부면, 그리고 배향하여 수렴하는 반대측부면이 있다. 전술한 홈통은 갈퀴형연결장치와 그릿드상 재료쉬트를 수납하는 상부면에서 형성되고, 원호상의 절취부는 중앙통공 또는 개구부와 같이 합동하여 중량을 줄이고 핑거계합면을 제공하므로써 블록을 들어올리고 위치시키는 것을 도모한다. 측부홈은 각 코스에서 인접블록을 옆으로 정렬하는 연결슬랫트를 붙들어 유지시키기 위해 제공된다. 이 연결슬랫트는 각 블록에서 중앙통공과 같이 합동하여 전면-에서-후면 겹쳐쌓음코스의 블록을 선택적으로 위치시키거나 놓는다. 이는 수직적으로 정렬되거나 또는 오프셋하거나 단계를 가진 후 전면과 같은 여러 가지 배열을 가진 지지벽을 만들어 주기 위함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슬롯트는 갈퀴형 그릿드 연결장치의 척추위로 돌출하는 탭과 같이 합동으로 벽블록의 저부에 위치된다. 이 실시예에서, 연결슬랫트용 측부 그루브홈은 선택적으로 이동되는데, 이는 갈퀴형 그릿드 연결장치의 탭이 벽블록의 이어지는 코스의 상대적인 위치설정(relative positioning)을 위한 저부 슬롯트속으로 돌출한다.
갈퀴형 그릿드연결장치는, 측부 슬랫트 그루브홈이 없는 벽블록에서, 인접벽블록속으로 뻗는 갈퀴형 그릿드 연결장치의 적어도 3개 이상의 핑거에 의해 인접 벽블록을 내부 연결하기 위한 단하나의 장치이다. 그릿드 연결의 또 다른 실시예상의 길이가 벽블록의 폭보다 작으므로, 벽블록의 코스의 최종단(terminal end)을 넘어 뻗는 갈퀴형 그릿드연결장치의 초과분이 생기지 않게 할 수 있다.
갈퀴형 그릿드 연결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는 통상 똑바른 줄에 정렬되어 있는 벽블록의 코스(course)상에 이용된다. 갈퀴형 그릿드 연결장치의 탭의 폭과 벽블록의 저부상의 슬롯트의 폭상의 차이가 단지 약 6.3mm(1/4 inch) 정도에 불과하기 때문에, 굴곡된 벽은 벽블록의 코스의 굴곡반경이 약 18.3mm(60ft)보다 큰 경우에는 갈퀴형 그릿드 연결장치에 의해 내부 연결된다. 또한 만일 연결슬랫트 그루브홈이 유지된다면, 연결슬랫트는 굴곡반경보다 작은 굴곡된 벽에 사용된다.
본 발명상의 모듈러 벽 블록 시스템이 통상 그릿드상의 재료쉬트를 보지하기 위한 갈퀴형 연결기구와 블록을 옆-에서-옆으로, 앞-에서-뒤로 정렬하기 위한 측부 열결슬랫트 양쪽모두를 포함 구성하고, 각 이들 특징은 효과적으로 독립적으로 이용하고 또는 연결슬롯트와 이들이 그루브 홈이 벽 블록의 계속적인 코스의 저부슬롯트와 합동하여 돌출탭을 가진 갈퀴형 그릿드 연결기구에 의해 소거된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및 다른 목적은 그에 따른 많은 장점 때문에 보다 명확히 이해될 것으로, 이하에 첨부도면과 관련시켜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라 모듈러 벽 블록(modular wall block)의 한가지 형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전면사시도로서, 점선은 숨겨진 표면을 나타낸다.
제2도는 이에 따른 배면사시도이다.
제3도는 이에 따른 측부정면도이다.
제4도는 주어진 코스내에서 측면에서 측면으로 그리고, 겹쳐놓은 코스에서 앞에서 뒤로 모듈러 블록을 비스듬히 정렬하기 위한 연결기슬랫트(connector slat)의 저부사시도이다.
제5a도는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라 격자상의 쉬트재료를 모듈러 벽 블록에 보지하는데 사용되는 갈퀴형 연결장치(rake connection device)의 한가지 형태로서의 측면사시도이다.
제5b도는 제5도에 도시된 갈퀴형 연결장치의 손가락형 장치의 측벽에 형성된 돌출부의 확대정면도이다.
제6도는 선정된 벽블록에 보지된 재료의 격자상 판재를 가진 비스듬히 오가는 코스에 다수의 모듈러 벽 블록이 쌓인 것을 또한 나타내는 전면 사시도이다.
제7도는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라 격자상의 쉬트재와 모듈러 블록사이의 연결상태를 나타내느 부분 배면사시도이다.
제8도는 한 쌍의 쌓아놓은 벽블록이 이 실시예로 서로 관하여 수직으로 위치되고, 격자상의 쉬트재료가 낮은 블록에 보지되는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제9도는 본 발명개념의 상기 실시예에 따라 모듈러 벽 블록의 통에서 격자상의 연결장치를 내부 계합하는 것을 나타낸 일부 확대도이다.
제10도는 선단부 갈퀴상의 격자 연결장치의 손가락형이 모듈러 벽에 격자상의 쉬트재료를 보지 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일부 수평단면도이다.
제11도는 제6도에 유사한 측면도로서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라 강화된 지지벽을 형성하는 다수의 모듈러 벽 블록 쌓기 코스를 나타낸다. 여기에는 여러가지 갈퀴 격자 연결장치에 의해 블록의 선정된 코스들사이에 연결되는 격자상의 쉬트재료가 있다.
제12도는 본 발명개념에 따라 모듈벽블록의 또 다른 형태를 개략적인 전면사시도를 나타낸다.
제13도는 선정된 블록코스들 사이에 연결된 격자상의 쉬트재료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강화된 지지벽을 성형하는 다수의 모듈러 벽 블록의 쌓기 코스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제14도는 본 발명개념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모듈러 벽 블록의 바람직한 형태를 전면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다.
제15도는 이에 따른 측부정면도이다.
제16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모듈러 벽 블록에 격자상의 쉬트재료를 보지하는데 사용하는 갈퀴형 연결장치의 바람직한 형태의 전면사시도이다.
제17도는 제16도의 17-17선을 따라 잡아 본 단면도이다.
제18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모듈러 벽 블록의 코스로 격자상의 쉬트재료의 연결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제19도는 한 쌍의 쌍아놓은 벽블록이 서로간에 수직으로 위치되고 격자상의 쉬트재료는 벽블록에 보지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 13의 19-19선을 따라서 본 측단면도이다.
제20도는 제19도와 유사한 측단면도로서 서로간에 벽블록을 놓아 줄지은 층(course) 또는 줄층의 전면을 수직으로 쌓기 위해 배면으로 벽블록의 상부 줄지은 층이 이동되도록 갈퀴 연결장치를 나타낸다.
[실시예에 의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도면에 나타나 있는 본 발명상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 기술을 소개하는 것이 명확성을 기할 것으로 생각된다. 다만, 본 발명은 어떤 선정된 특정기술만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각 특정조건은 유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유사방법으로 작업되는 모든 기술적 균동물을 포함한다. 이와같이, 본 발명상의 모듈러 벽 블록시스템용으로 최근에 알려진 최상의 예를 설명하도록 대략 칫수를 잡아 도면으로 나타내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상의 개념을 한정하는 것은 결코 아님을 밝혀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다수의 모듈러 벽 블록을 조립하므로써 형성되는 지지벽이 수직의 외부면으로서 일부 도면에 나타나 있다. 잘 알수 있는 바와 같이, 모듈러 벽 블록의 연속되는 줄층은 통상 안정성과 외관성을 고려하여 약간 뒤쪽으로 이동된다. 이하보다 상세히 설명하는 바이지만, 본 발명의 개념은 어느것이나 디자인을 갖는 지지벽의 축조에 쉽사리 기여한다. 또한, 본 발명상의 모듈러 벽 블록에 의해 형성되는 지지벽이 직선적인 것으로 나타나 있고, 이는 본 발명상의 개념으로부터 떨어짐이 없이 굴곡되거나 다른 배열로 형성되거나 하기도 한다.
모듈러 벽 블록의 전면은 미학적이거나 기능적인 디자인으로 되어 있다. 이전면은 평면, 블록면, 오목면, 평활면, 거친면, 기타 건축적인 또는 다른 이유에서 여러 가지 배열로 할 수 있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여기에서 개시된 바람직한 실시예가 '798 특허에서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단일축-방향을 가진 폴리머지오그릿드(uniaxially-oriented polymer geogrid)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고, 다른 그릿드와 같은 타이백 강화쉬트재료(tie-back reinforcing sheet materials)가 그 대신으로 대치되기도 하는데, 편직, 닛팅 또는 망상직 기술을 이용하여 격자상의 쉬트재료와 강철(용접강선)격자를 포함하는 재료가 그것이다.
통상 도면에 대해 살펴보면, 트기 도 1 내지 도 3을 살펴보면, 개략적인 모듈러 벽 블록의 실시예가 부호 10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이 벽블록은 전면 12, 배향수렴측벽 (rearwardly converging sidewalls) 14, 16, 보다 수렴되는 경사 배향부 (convergingrearward portions) 18, 20 배벽부(rear wall portion) 22, 24와 이에 내부연결되는 원호상의 절취부, 즉 잘림부(arcuate cut-out) 26 및 상부 28, 하부면 30으로 구성된다.
길게 파진 홈통 또는 리세스홈(recess) 32는 그 상부면 28 바로 아래에서 이후 설명할 갈퀴 그릿드 연결장치를 마찰력을 가지고 수납하기 위해 각 블록 10을 횡으로 가로질러 뻗는다. 상기 홈통 32은 일례를 들면 깊이가 약 22.2mm(7/8 inch) 너비가 약 19.1mm(3/4 inch) 정도로 되어 있다. 이 홈통 32의 저부에는 물을 측벽 14, 16으로 보내기 위하여 물받이(gutter) 34가 형성되어 있다.
홈통 32의 앞으로는 오프셋부(offset portion) 36가 위치하고 있다. 홈통 32의 뒤로는 원호상의 절취부(cut-out) 26의 한쪽측면상에는 2개의 작은 평면역 40으로 뻗는 상향경사부(upwardly inclined portions) 38가 있다. 상기 오프셋부 36는 도 8 및 도 9에 가장 잘 나타나 있는 단일축 지오그릿드 또는 이와 같은 것 44 의 두터워진 봉 42을 수납하는 약 9.5cm(3/8 inch)에 해당되는 높이 "a"만큼 상부면 28 아래에 위치된다. 또한, 상향 경사부 38는 지오그릿드 44의 핑거 48 또는 스트랜드(strands) 열에 적합케 하기 위해 약 7.9mm(5/16 inch)의 높니 "b"로 선단가장자리 46에서 상부면 28의 레벨아래에 위치되어 있다. 따라서, 지오그릿드 44의 부분만이 모듈러 벽 블록 10의 단단한 표면사이에서 게재되어 작고 평평한 상부면역 40을 넘어 통과하는 스트랜드 48의 일부를 이룬다.
각 블록은 도 4에서 도시된 바의 연결슬랫트(connection slats) 50에 의해 수평적으로 뻗는 열 또는 코스로 인접블록에 관해 비스듬히 위치한다. 정렬된 한쌍의 홈 52, 52와 54, 54는 나란히 병렬된 블록들 사이의 공간을 걸치는 연결슬랫트 50를 선택적으로 수납하기 위해 블록 10의 측벽 14, 16의 어느 하나로 윗쪽으로 열리고 바깥쪽으로 뻗는다. 홈 52, 52 및 54, 54는 도 11에서와 같이 수직으로 정렬되는 전면을 가지는 블록의 겸침 코스에서 만일 가장 앞선 홈 52, 52가 연결슬랫트 50로 주어지면 중심에서 약 19.1mm(3/4 inch)만큼 일반적으로 떨어져 있게 된다. 아니면 만일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연결슬랫트 50을 가장 뒤쪽으로 배향하는 홈 54, 54가 연결슬랫트 50으로 주어지면 약 19.1mm(3/4 inch)정도 배향하여 오프셋된다. 이 홈들은 약 31.7mm(1' 1/4 inch) 정도의 깊이가 되면 그 깊이는 약 6.3mm(1/4 inch)의 깊이를 가진다. 이 바닥면 53, 55은 각각 그루브홈 52, 52와 54, 54에 적합하여 중력으로 배수하도록 측벽 11, 14을 향하여 아래로 경사져 있다.
이 슬랫트 50는 홈 52, 52 또는 54, 54속으로 삽입되어 있는데, 블록 10의 각 측벽으로 부터 비스듬히 뻗는 부위 56를 포함 구성하고, 또한 블록 10위로 돌출하는 부위 58를 포함구성한다. 상기 부위 56는 수평상으로 병렬된 블록(horizentally juxtaposed block) 10 들 사이의 공간에 걸쳐 있고, 각 코스에서 옆에서 옆으로 블록을 위치시키거나 놓기 위해 병렬된 블록에 있는 대응되는 홈에 게재된다. 상부부위 58는 블록의 상부면 28위로 뻗어 다음 상부코스에 있는 겹쳐싼 블록을 위치시킨다. 이 경우, 확대된 개구부 60는 상부면 28으로 부터 하부면 30으로 각 블록 10의 중심부를 통해 뻗는다. 겹쳐쌓인 블록은 비스듬히 엇갈리게 되므로써 상부블록에 있는 개구부 60는 코스에 있는 한 쌍의 블록을 정렬하는 연결슬랫트 50의 상부 58를 수납한다. 개구부 60의 배향단부 62가 도 8에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연결슬랫트 50의 상향노출부를 개구부 60의 배향단부 62가 게재할 때까지 상부블록은 앞쪽으로 밀려진다.
지적된 바와 같이, 2쌍의 홈 52, 52와 54, 54는 도 11에서 나타나 있는 수직정렬되거나 또는 계속적으로 블록의 하부코스(도시안됨)로 부터 배향적으로 오프셋되거나 하는 지지벽의 선택적인 제조에 기여하기 위한 각 블록 10의 저면 12으로 부터 서로 다른 거리에서 공간을 두고 있다.
측벽 14, 16은 홈통 32을 넘어 일점에 이르기까지 전면 12으로 부터 약간 안쪽으로 테이퍼지고, 그 다음부위 18, 20는 납작 상부면 40 아래로 배벽부(rear wall portions) 22, 24에 도달될때까지, 약 38°의 각도로 안쪽으로 테이퍼진다. 배벽 22, 24 사이에 위치된 원호상의 절취부 26는 블록의 전중량에 걸리고, 지지벽을 구축하는데 있어 블록을 지지하고 놓는 것을 촉진하기 위해 개구부 60의 배벽 62의 상정부에서 핑거-계합부 또는 핑거-게재부(finger-engaging portions)와 더불어 엄지부게재중앙부(thumb-engaging central portions)를 제공하므로써 블록을 핸들링하는데 유용하다.
단일축상으로 뻗은 지오그릿드(또는 다른 구멍을 가진 판상의 재료강화 수단으로서의 그릿드형 판) 44는 블록 10상에 놓여있다. 도시된 단일축상의 지오그릿드로 그 바아(bar) 42는 블록 10의 오프셋 부위 36상에 놓인다. 재료 44의 그릿드형 판(grid-like sheet)은 도 5에 잘 나타나있는 "갈퀴(rake)" 또는 "빗(comb)" 형상의 크로스바아 74에 의해 잡혀있다. 갈퀴 70에는 다수의 하향 대면 핑거 72가 재료쉬트 44의 그릿드상의 쉬트의 바아 42와 스트랜드 48 사이에 있는 그릿드 개구부(grid openings) 43를 통해 홈통 32에 마찰적으로 보지되어 있다. 나머지 재료 44의 그릿드상의 쉬트는 블록 10으로부터 흙속 또는 다른 특수재료 75속으로 배향하여 뻗는다.
모든 갈퀴 70와 그리고 블록 10의 부위 40위를 통과하는 그릿드상의 재료쉬트 44의 모든 매우 작은 부위는 블록 10의 상부면의 수준(level) 아래에 있다. 그릿드상의 재료쉬트 44의 스트랜드(strands : 列) 48들 사이의 공간에 따라, 그릿드상의 재료가 보지되는 블록의 작은 평탄역 40과 겹쳐 쌓은 블록의 저면 30들 사이에서 압축된 그릿드상의 재료쉬트의 제한된 부위로 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이 작은 마찰 계합은 중요성이 덜하긴 하지만 지진이 일어나는 동안 그릿드상의 재료쉬트의 이동을 방지해주는 갈퀴 70와 모듈러 블록 10사이의 계합을 보지해 주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갈퀴상의 그릿드 연결장치 70의 한가지 형태가 도 5a및 5b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갈퀴상의 그릿드 연결장치 70에는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서로로 향하여 뻗고 크로스바아 74로 한쪽 끝에서 내부연결되는 다수의 핑거(finger) 72가 있다. 이 크로스바아 74의 길이는 홈통 32의 길이보다 작거나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홈통 32은 블록 10의 전폭을 건너 뻗는다. 그럼에도 이것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릿드상의 연결장치 70의 핑거 72를 수납하도록 공간을 둔 별개의 분리된 리세스(discrete recesses)에 의해 한정된다. 갈퀴상의 그릿드 연결장치의 핑거 72는 그릿드상의 재료쉬트의 그릿드 개구부 43들 사이의 공간과 같은 거리로 떨어지도록 설계된 공간 또는 그 정수배만큼 떨어져 있다.
도 5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핑거 72는 통상 비스듬히 경사진 측벽 76을 포함구성하는데, 여기에는 크로스바아 74로부터 하향하여 진행되면서, 다수의 스파이크 돌출부 78가 포함구성된다. 스파이크 돌출부 78는 핑거 72의 측벽 74을 넘어 약 1.6mm (1/16 inch) 정도 뻗어 있다. 각 스파이크 돌출부 78는 약 4.7 mm(3/16 inch) 정도의 높이를 갖는다. 도 5b에는, 스파이크 돌출부 78가 개략적으로 나타나 있는데, 이는 홈통 32의 측벽 31에 계합되어 있다. 갈퀴 70의 재료상의 탄력성 때문에 이 스파이크 돌출부 78는 측벽 31와 마찰적으로 계합되도록 홈통 32의 측벽 31의 높이를 따라 하향 운동한다. 스파이크 돌출부 78의 경사각에 의해, 핑거 72를 홈통 32안으로 하향운동시키는 것이 필요하고, 그 반면 상당한 힘이 홈통 32으로부터 갈퀴 70를 일탈시키는데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힘은 수직방향으로 지진이 일어나면 예상되는 것보다 더 큰 힘이다.
도면에 나타나 있는 그릿드상의 재료쉬트부(grid-like sheet of material section) 44는 모듈러 벽 블록 10에 연접바아(junction bars) 42의 방향으로 통상 약 1.22m(4 ft) 폭 크기로 보지되도록 그릿드상의 재료 쉬트가 뻗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또한 스트랜드 48의 장축방향으로 어디든 길이로 약 1.22m(4 ft) ~ 7.62m(25 ft)이상 뻗는다.
도 1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상의 모듈러 블록시스템을 사용하여, 지지벽 80을 축조함에 있어 모듈러 벽 블록의 제1코스 10A는 옆에서 옆으로 위치되고, 이는 벽 80의 배열에 좌우된다. 블록 연결슬랫트 50는 만일 수직벽면이 축조되는 것이면 가장 앞선 홈 52, 52에 선택적으로 위치되고, 아니면, 만일 오프셋되거나 단계적으로 되는 벽이 축조되는 것이면 가장 뒷선 홈 54, 54에 선택적으로 위치된다. 이 슬랫트 50는 코스 10A에 있는 인접블록 10의 홈들사이에 정렬되어 비스듬히 뻗거나 블록 10을 코스 10A에서 벽블록 10의 상부면 28을 넘어 위로 뻗는 부위 58과 같이 옆에서 옆으로 위치시킨다. 모듈러 블록 10의 제2 코스 10B는 벽블록을 서로간에 엇갈리게 하여 하부코스 10A상에 겹쳐 쌓게 한다. 코스 10A에 있는 각 블록의 상부면 28 위로 뻗는 연결슬랫트 50의 부위 58는 코스 10B에 있는 블록의 개구부 60에 느슨하게 수납된다. 상부블록은 그 개구부 60의 배후 단부 62가 연결슬랫트 50에 계합할때까지 앞쪽으로 움직인다. 이렇게 하여, 이들 엘레멘트는 코스 10A에서의 블록의 전면 12으로부터 그 아래로 코스 10B상에 블록 전면 12을 선택적으로 수직 정렬하든가 오프셋하든가 하기 위해 "위치설정" 또는 "놓아두기"등의 역할을 한다. 또한, 블록 10의 코스 10C, 10D 등도 같은 방법으로 놓여진다.
상기 슬랫트 50는 대략 5.6mm(7/32 inch) 내지 7.1mm(9/32 inch) 두께를 가지고 있는데, 통상 그 두께가 6.4mm(1/4 inch)로 되어 있고, 약 31.8mm(1 1/4 inch)로 되는 개구부 60의 깊이와 비교하면 이 깊이는 전면에서 후면으로, 대략 슬랫트두께의 대략 5배가 된다. 다만 슬랫트 50의 약 19.1mm(3/4 inch)만이 블록의 상부면위로 뻗어 개구부 60의 약 193.7mm(7 5/8 inch)속으로 뻗는다. 이 슬랫트 50는 단지 50.8mm(2 inch) 폭으로 되어 있고, 그 반면, 개구부 60는 최소한 이 칫수의 4배이상으로 되어 있다. 상부블록은 실질적으로 비스듬히, 그리고 전-후로 자유로이 움직이는데, 이는 개구부 60에서의 연결스랫트 50의 상부 58의 존재에 관계없이 움직인다. 이와 같이, 슬랫트 50는 개구부 60의 배벽(rear wall)과 같이 지지벽을 축조하는 동안 서로에 관하여 상부 및 하부블록을 "위치설정" 또는 "놓아두기"의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모듈러 벽블록시스템을 이용하는 지지벽에서 하나의 코스에서 다른 코스로 체결하는 것은 그 어느것이든 기본적으로 블록의 내부계합을 통해 또한 그들과 관련한 강화기구(그릿드상의 재료쉬트)를 통해서 흙 또는 다른 특수물질과 더불어 이루어진다.
슬랫트 50가 그속으로 위치되는 그루브홈 52, 52 또는 54, 54는 슬랫트 50가 홈에 들러가게 될 때 어떤 역할을 가지도록 하는 칫수를 가지게 한다. 이는 지지벽에서 굴곡도를 제한해주고, 심지어 슬랫트 50과 같이 평행한 벽블록들 사이의 공간에 걸쳐 있더라도 그러하다. 만일 보다 큰 굴곡도가 필요하게 되면, 슬랫트 50는 V-형 홈 90, 92를 포함할 수 있게 되는데, 이는 휘거나 굴곡되게 되므로써 이들이 벽의 면 12에 관하여 병렬된 블록 10이 회전되도록 해준다. 따라서, 지지벽에 형성되는 전면의 굴곡도에 따라, 슬랫트 50는 인접 모듈러 벽블록들 사이의 갭에 결쳐 굴곡된다.
지지벽 80을 축조함에 있어, 도 11에서와 같이, 그릿드상의 재료쉬트 44의 길이부위는 상부블록을 놓기 전에 상술한 바와 같이 갈퀴상의 그릿드 연결장치 70에 의해 선정된 벽블록 10에 보지된다. 이 그릿드상의 재료쉬트 44는 다수의 모듈러 블록 10을 감싸는 폭을 건너 뻗는다. 그릿드상의 재료쉬트 44의 단면부가 보지되는데 대한 각 모듈러 블록 10에 대해, 별도의 갈퀴 그릿드 연결장치 70은 통상 축조법을 촉진하고, 또한 양호한 기계적 연결을 만들어 준다.
블록 10의 배면 22, 24의 뒤에 있는 역은 충전재 75내에서 그릿드상의 재료쉬트단면부 44의 뻗어나는 길이를 보지하기 위해 코스들이 놓일 때 흙 또는 다른 접합체 등의 충전물 75로 점차 충전된다. 그릿드상의 재료쉬트 44는 충전물 75을 강화시키는 역할을 하고 이에 따라 잘 알려진 방법으로 접촉물질(contiguous mass)을 만들어 준다.
도 1-3 및 도 12에서 도시된 바로 부터 벽 블록의 또 다른 구체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 1에서 도시된 부분과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은 동일부호를 붙였다. 또한, 도 1의 홈통 또는 리세스 32는 다수의 공간을 가진 구멍 또는 리세스 32'로 바꾸고, 이는 측부 14', 16'사이에서 상부면 28' 아래에서 갈퀴 그릿드 연결장치의 각개 핑거들을 수납하기 위하여 블록 10'를 가로질러 뻗는다. 구멍 또는 리세스 32'는 빗의 원통형 핑거를 수납하도록 원형으로 되어 있다. 원통형핑거는 핑거의 주변으로 뻗는 톱니부 또는 돌기부를 포함 구성한다. 각 리세스 32'는 약 22.3mm(7/8 inch)의 길이와 약 19.1mm(3/4 inch)의 직경을 갖는다. 또한 구멍 또는 리세스 32'는 어떤형태로든 가능하다. 빗의 핑거는 상기 구멍 또는 리세스 32' 속으로 들어가 맞도록 이와 유사한 형상으로 만들어진다.
도 1-3, 도 12, 도 13-15에서 도시된 바로 부터 벽블록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 1의 부분과 유사한 부분은 동일부호를 붙였다. 또한 언급하겠지만, 도 14, 도 15의 벽블록 10"에는 슬롯트(slot) 102가 있어 이 슬롯트는 그 저면 30"에서 측부 14" 와 16" 사이에서 블록 10"를 가로질러 뻗는다.
이 슬롯트 102는 약 41.2mm(1.625 inch)의 폭과 약 25.4mm(1 inch)의 깊이를 갖는다. 이 슬롯트 102의 배벽(rear wall) 104은 배벽부 22", 24"로부터 약 115.9mm(4.5625 inch) 떨어져 위치된다. 이 슬롯트 102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고속제조공정속으로 일체화되어 합쳐진 코어당김장치(core puller device)를 사용하므로써 형성한다. 이 코어당김장치에는 수압으로 동작되는 바아(bar)를 이송하고 블록기(block machine)위로 얹는다. 이 바아는 블록기로 순환되고, 벽블록의 저부에 코어 또는 슬롯트를 만들어주게 된다. 본 발명상의 실시예에서는 벽블록 10"에서, 블록위치설정장치(block location device)는 물론 지오그릿드연결장치를 위한 블록의 상정부에 놓은 그릿드유치장치(grid retention device)를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을 부여한다. 이는 도 18-20에서 상세히 나타나있다.
각 모듈러벽블록 10"에는 홈통 또는 리세스 32"가 있는데 이는 갈퀴형상의 그릿드 연결장치를 마찰적으로 수납하기 위해 통상 그 상부면 28" 아래로 각 블록 10"를 가로질러 뻗는다. 홈통 32"의 앞쪽으로는 오프셋부(offset portion) 36"가 있다. 홈통 32"의 뒤쪽으로는 두 개의 작은 납작평면역 40"으로 뻗는 상향경사부 38"가 있다. 이 오프셋부 36"는 통상 단일축지오그릿드(uniaxial geogrid) 또는 이와 유사한 부분 44"의 두꺼워진 바아 42"를 수납하기 위해 약 9.5mm(318 inch)만큼 상부면 28"아래로 위치된다. 따라서, 모듈러 벽 블록 10에서와 같이, 지오그릿드의 공칭부(nominal portion)만이 벽블록 10"의 상부코스와 하부코스사이에서 계합되고, 스트랜드 48"부는 납작상부면역 40"을 통과하여 상부 모듈러벽블록 10"의 하부 시멘트상의 접합면(cementitious surface)에 의해 계합된다.
수평으로 뻗는 열(row) 또는 코스(course)에서 연결인접블록의 또 다른 수단으로서, 모듈러블록 10"는 도 14 및 도 1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홈부 52", 52" 및 54", 54"를 갖고 있어 도 1-12의 실시예에 관해 전술한 바의 엘레멘트 50과 같은 슬랫트(도시안됨)를 수납하도록 되어있다. 그러나, 이 홈부 52", 52" 및 54", 54"는 모듈러벽블록 10"로 부터는 생략되기도 한다.
단일축상으로 펼쳐진 지오그릿드(또는 다른 구멍을 가진 판상의 재료강화기구의 그릿드상 쉬트) 44"가 블록 10"위에 놓인다. 도시된 바의 단일축 지오그릿드로, 바아 42"는 블록 10"의 오프셋부 36"위에 놓여진다. 이 그릿드상의 재료쉬트 44"는 도 16에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갈퀴" 또는 "빗" 110형의 척추 108에 의해 잡혀있다. 이 갈퀴 110에는 "바아 42"와 그릿드상의 재료쉬트 44"의 스트랜드 48"의 사이에 있는 그릿드개구부 43를 통해 홈통 32"에 마찰력을 가지고 보지되는 다수의 아래로 면하는 핑거 112가 구성되어 있다. 이 그릿드상의 재료쉬트 44"의 나머지는 도 19 및 도 20에서와 같이 블록 10"으로부터 흙 또는 다른 특수재료 75"속으로 뒤쪽으로 뻗는다.
도 16 및 도 17에 갈퀴상 그릿드 연결장치가 상세히 나타나있다. 이 갈퀴상 그릿드 연결장치에는 서로 거의 평행하게 뻗는 다수의 핑거 112가 구성되어 있다. 이 장치 110는 예컨대 플라스틱이나 섬유유리 강화플라스틱으로 되어 있다.
이 핑거 112는 중앙측 "C"를 갖는다. 각 핑거 112의 일단부는 척추부 108에 내부연결된다. 이 척추부 108의 길이는 통상 홈통 32"의 길이와 같거나 작다. 이 갈퀴상 그릿드 연결장치의 핑거 112는 그릿드형 재료쉬트 44"의 그릿드개구부 43"들 사이의 공간과 같은 거리만큼 떨어져 공간을 두도록 설계된 거리만큼 떨어져 있다.
도 17에서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핑거 112는 통상 경사진 측벽 114을 갖는다. 이는 척추부 108로부터 아래로 진행하는 다수의 스파이크돌출부 116를 갖는다. 이 핑거 112의 폭은 반대편 스파이크돌출부 116의 최외곽수족부(outermost extremities)로부터 핑거 112는 통상 약 1.91mm(0.75 inch)의 폭을 갖는다.
스파이크돌출부 116의 경사각에 의해, 핑거 112를 아랫쪽홈통 32"속으로 움직이고 그 반면 상당한 힘이 홈통 32"으로부터 갈퀴 110를 벗어나게 하는데 필요하다. 이러한 힘은 수직적으로 작용하는 지진중의 예상치보다 훨씬 크다.
하향돌출되는 핑거의 척추의 반대편척추의 측부에 있는 척추(spine) 108를 건너 공간을 둔 것은 위로 향해 뻗는 위치탭(locting tab) 120이다. 이 탭 120은 핑거 112의 중앙축 "C"로부터 공간을 둔 중앙축 "d"를 포함구성한다. 이 탭은 통상 다수의 핑거위로 돌출하는 탭 120으로 하향돌출핑거 112와 정렬되는 척추위로 뻗는다. 탭 120이 핑거와 정렬되지 않아도, 또는 탭 120이 핑거의 상단부에 연결되는 단일바아를 형성해도, 그렇게 해서 척추 108의 필요성을 없애더라도 이 또한 본 발명상의 범위내인 것으로 간주된다.
탭 120이 없으면, 상기 해당 하향돌출핑거 112는 빗 110의 적절한 형성에 필요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내로 간주되는 것을 탭 120의 대응번호를 각 핑거 112에 대해 붙일 수 있다.
탭 120은, 통상의 실시예에서, 대응핑거(corresponding finger) 112의 일측단과 정렬하는 일측단 122을 포함구성한다. 상기 일측단 122이 핑거 112의 일측단으로부터 내향 또는 외향하여 오프셋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그러나, 탭 120의 반대편 측단 124은 약 15.2mm(0.6 inch)의 거리만큼 핑거 112의 다른 측단을 넘어 돌출한다. 이러한 관계는 탭의 중앙측 "d"로부터 오프셋되는 핑거의 중앙축 "C"에 의해 이루어진다.
통상, 탭 120의 전체폭은 대약 34.9mm(1.375 inch)이고, 탭 120의 꼭대기로부터 핑거 112의 바닥까지의 높이는 대략 54.0mm(2.125 inch) 정도이다.
지지벽 80"을 축조함에 있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4에 나타나 있는 모듈러벽블록 10"을 사용하여, 모듈러 벽 블록의 제1코스는 도 18에서와 같이 옆에서 옆으로 위치된다. 다수의 갈퀴상 그릿드 연결장치(rack grid connection devices) 110는 지오그릿드 44"의 구멍 43"을 통해 뻗는 각 그릿드 연결장치의 핑거 112로 홈통 32"에 보지된다. 수평코스에서 인접 모듈러 벽 블록을 보지함에 있어, 각 그릿드 연결장치 110는 통상인접 벽 블록의 홈통 32"에 있는 적어도 3개이상의 핑거 112를 보지하므로써 인접모듈러 블록을 중첩시킨다. 도 16에서 나타나 있는 완전한 그릿드 연결장치보다 작은 길이를 가진 인접 그릿드 연결장치 110들 사이에 형성된 갭에서 그릿드 연결장치 110가 도 18에서 세그먼트(segment) 126, 128로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은 작은 세그먼트로 부서진다. 그릿드 연결장치가 인접벽 블록들사이에서 뻗을 때 전부 또는 일부 그릿드 연결장치의 적어도 3개이상의 핑거가 벽블록을 옆에서 옆으로 체결하기 위해 각 벽블록에 보지되고, 또한 인접블록벽 블록에 걸칠수 있는 지오그릿드를 보지한다.
벽블록의 계속적으로 높은 코스를 위치시킴에 있어, 그릿드 연결장치 110의 탭 120이 뻗는 방향은 수직정렬되거나 수직으로 엇걸린 정위(vertically staggered orientation)의 전면 12"을 선택적으로 정렬한다. 도 19에서와 같이, 탭 120의 단부 124가 모듈러벽블록의 전면 12"를 향하여 위치된다. 그리고 탭 120은 수직적으로 정렬된 정위에서 벽 블록의 계속적인 코스의 전면 12"를 위치시키기 위해 벽블록의 계속적으로 높은 코스의 저부에 위치된 슬롯트 102에서 수납된다. 그러나, 탭 120의 측단부 124가 벽블록 10"의 배면 22"을 향하여 뻗도록 위치되고, 벽 블록의 계속적인 코스의 전면 12"은 수직적으로 엇걸린 정위에 위치된다. 이는 탭과 핑거의 중앙축의 오프셋에 따라 달성된다.
지지벽의 축조에서 산업상 통상적으로 습관적인 것이지만, 벽블록의 여러코스를 높은 후에, 이들 코스는 벽블록의 축조에서 허용오차로부터 어떤 변화가 생길 때 이에 적응하기 위해 레벨이 되도록 끼워진다. 따라서, 슬롯트 102의 폭은 약 6.3mm(1/4 inch)의 너비로 되어 탭 120의 너비보다 넓도록 하므로써 모듈러벽블록의 계속적으로 높은 코스를 위치시키는 어떤 역할을 하도록 해준다. 슬롯트 102와 탭 120 사이의 폭상의 차이 또한 약 18.3m(60ft)보다 큰 곡선반경을 가진 지지벽의 굴곡도를 허용한다. 본 발명상의 범위내에서 만일 굴곡의 최소반경보다 작은 반경이 필요하다면 슬롯트 102의 폭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최소굴곡반경보다 더 작은 반경이 필요하다면, 전적으로 각 모듈러벽블록의 측벽내에서 갈퀴형 연결장치 110를 위치시킬 수가 있고, 도 1-12에 관하여 홈부 52", 54"에 있는 슬랫트연결기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을 기술한 바 같이 많은 수정을 가하더라도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본 발명의 정신과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본 발명에 속하는 것을 명백히 알 수 있다.

Claims (7)

  1. 전면, 배면, 상부와 하부면, 및 상기 상하부면과 전.배면사이로 뻗는 반대편 측벽을 가지는 모듈러벽은, 또한 상기 모듈러벽블럭에 그릿상의 재료쉬트를 연결하기 위한 그릿드연결기의 제1부위를 마찰적으로 수납하기 위한 상기 상면의 레벨아래로 이루어지는 리세스(recess)와; 수직으로 정렬되고 수직으로 오프셋(offset)되는 방향중 하나로 벽블럭의 낮은 코스에 관하여 벽블럭의 덧붙임코스(superimposed course)를 위치시키기 위한 상기 리세스에 수납되는 상기 그릿연결기의 다른 부위와 조합되는 상기 낮은 면으로 이루어진 슬롯트홈부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벽블럭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는 상기 반대편 측벽들사이에서 연속적으로 뻗도록 한 모듈러블럭시스템.
  3. 모듈러벽블럭시스템은 지지벽을 형성하는데 사용되고, 이 벽블럭시스템은 지지벽, 배면, 상.하부면, 이 상.하부면과 상기 전·배면 사이로 뻗는 반대편 측벽과를 가지고, 그릿드상의 재료쉬트는 지지벽을 강화하기 위해 지지벽뒤에서 충전재속으로 뒤로 뻗는 그릿드상의 재료쉬트의 잔존부를 가진 선정된 벽블럭에 보지되는 단부로 구성되며, 상기 그릿드상의 재료쉬트의 단부는 상기 선정된 벽블럭으로 상기 그릿드상의 재료쉬트의 단부를 보지하기 위한 그릿드연결기와, 다수의 비스듬한 공간을 가진 개구부로 이루어지는 것과 같이 배면으로 뒤로 뻗는 늘어난 다수의 스트랜드에 의하여 내부연결된 상기 블록의 상기 전면에 통상 평행하게 뻗는 다수의 늘어난 스트랜드를 포함구성하는 벽블럭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그릿드 연결기는 그로부터 일체로 뻗는 다수의 핑거부재와 크로스바아로 구성되고, 상기 핑거부재는 상기 그릿드상의 쉬트재료의 단부에 있는 선정된 개구부사이의 공간에 따른 거리에 의하여 공간을 띄도록 하고, 또한 상기 상부면 아래로 상기 각 측벽으로 이루어지는 연신된 리세스와, 상기 리세스는 상기 선정된 벽블럭에 상기 그릿드상의 재료쉬트의 상기 단부를 보지하는 뒤로 뻗는 상기 다수의 상기 그릿드상의 재료쉬트의 스트랜드 위로 놓이는 상기 그릿드 연결기의 상기 크로스바아와 같이 상기 그릿드연결기의 상기 핑거를 마찰적으로 수납하도록 칫수조정되도록 한 모듈러벽블럭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그릿드 연결기는 상기 크로스바아로부터 뻗는 하나 이상의 탭을 포함구성하고 또한 상기 각 벽블럭은 상기 저면으로 이루어지는 슬롯트홈을 포함구성하며, 상기 상부 벽블럭에서의 슬롯트홈은 상기 하나 이상의 탭의 위치방향에 따라 수직으로 비틀거리는 방향으로 또는 수직상으로 상호 정렬되는 벽블럭의 겹쳐쌓음 코스에서 상기 벽블럭의 상기 전면을 위치시키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상기 탭을 개재하는 상기 슬롯트홈으로 이루어지는 면을 가진 하부벽블럭에 보지되는 그릿드연결기의 하나이상의 상기 탭을 수납하도록 한 모듈러 벽 블록 시스템.
  5. 지지벽은 겹쳐쌓여진 다수의 벽블록의 코스의 각각은 다수의 모듈러 벽블록을 포함구성하고 이들 블록은 각기 지지벽의 외곽면, 배면, 상부 및 하부면 및 상·하부면과 전·후면사이로 뻗는 반대편 측벽부를 형성하는 전면을 가지는 다수의 겹쳐쌓은 벽블록 코스와 배향하여 그로부터 뻗는 그릿드상의 재료쉬트의 나머지로 선정된 벽블록에 보지되는 단부를 구성하며, 상기 그릿드상의 재료쉬트의 단부는 다수의 옆으로 공간을 둔 개구부와 그릿드상의 재료쉬트와 서로에 관하여 인접벽블록을 연결하고 위치시키기 위한 그리고 상기 선정된 벽블록으로 그릿드상의 재료쉬트의 상기 단부를 보지하는 그릿드연결기로 이루어지는 지지벽에 있어서, 상기 그릿드연결기는 크로스바와 다수의 그로부터 뻗는 핑거부재를 가지고 상기 그릿드상의 재료쉬트의 상기 단부에서 선정된 개구부들 사이 공간에 해당하는 거리만큼 떨어져 간격을 두며, 또한 상기 개구부를 통해 통과하도록 하며, 상기 상부면 아래로 상기 각 벽블록으로 이루어지는 리세스는, 또한 상기 선정된 벽블록에 상기 그릿드상의 재료쉬트의 단부를 보지시키기 위해 상기 그릿드상의 재료쉬트의 단부를 중첩하는 상기 그릿드연결기의 척추로 상기 그릿드 연결기의 상기 핑거를 마찰적으로 수납하며, 상기 벽블록 뒤에서, 상기 그릿드상의 재료쉬트는 상기 충전재로 매입되는 충전재료와로 구성되는 지지벽(A retaining wall).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그릿드연결기는 상기 크로스바아로부터 뻗는 하나이상의 탭을 포함구성하고, 상기 각 벽블럭은 상기 저면으로 이루어지는 슬롯트홈을 가지며, 상기 슬롯트홈을 하나이상의 탭을 위치시키는 방향에 따라 수직으로 정렬되거나 수직으로 비틀거리는 방향으로 상호 서로에 관하여 벽블럭의 겹쳐쌓음코스에서 상기 벽블럭의 상기 전면을 위치시키기 위하여 상기 그릿드연결기의 하나이상에 계지하는 상기 슬롯트홈으로 이루어지는 면을 가진 하부 벽블럭에 보지되는 상기 그릿드연결기의 하나이상의 상기 탭을 상부 벽블럭에서 수납하도록 한 지지벽.
  7. 수직으로 정렬되거나 수직으로 비틀거리는 방향으로 서로에 관하여 벽블럭의 겹쳐쌓음 코스에서 벽블럭의 전면을 위치시키기 위한 위치선정장치는, 다수의 핑거부재와, 상기 핑거부재의 평면에서 하나이상 돌출되고 상기 핑거부재를 서로에 연결하는 하나이상의 탭앗셈블리, 상기 하나이상의 탭앗셈블리의 중앙축으로부터 비스듬히 공간을 둔 핑거부재의 중앙축과로 구성되는 위치선정장치(A locating device).
KR1019960706647A 1994-06-06 1995-05-22 모듈러 블록지지벽 시스템 및 그 구축방법 KR1002572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254,710 1994-06-06
USUS08/254,710 1994-06-06
US08/254,710 US5540525A (en) 1994-06-06 1994-06-06 Modular block retaining wall system and method of constructing same
US08/370,324 US5595460A (en) 1994-06-06 1995-01-10 Modular block retaining wall system and method of constructing same
USUS08/370,324 1995-01-10
US08/370,324 1995-01-10
PCT/US1995/006350 WO1995033893A1 (en) 1994-06-06 1995-05-22 Modular block retaining wall system and method of constructing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703473A KR970703473A (ko) 1997-07-03
KR100257227B1 true KR100257227B1 (ko) 2000-05-15

Family

ID=26944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6647A KR100257227B1 (ko) 1994-06-06 1995-05-22 모듈러 블록지지벽 시스템 및 그 구축방법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5595460A (ko)
EP (1) EP0764229B1 (ko)
JP (1) JP2974783B2 (ko)
KR (1) KR100257227B1 (ko)
CN (1) CN1092324C (ko)
AT (1) ATE225441T1 (ko)
AU (1) AU694779B2 (ko)
BR (1) BR9507928A (ko)
CA (1) CA2189538C (ko)
DE (1) DE69528457D1 (ko)
NO (1) NO965206L (ko)
NZ (1) NZ287641A (ko)
PE (1) PE496A1 (ko)
WO (1) WO199503389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0619A (ko) * 2020-06-26 2022-01-04 나용철 담장 및 경관 조성을 위한 옹벽 블록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724609T2 (de) * 1996-05-21 2004-08-05 Netlon Ltd., Blackburn Böschungsmauer aus modularen blöcken
US5911539A (en) * 1996-07-09 1999-06-15 The Tensar Corporation Interconnected block system
US5823709A (en) * 1996-07-09 1998-10-20 The Tensar Corporation Interconnected block system
US5816749A (en) * 1996-09-19 1998-10-06 The Tensar Corporation Modular block retaining wall system
US6935812B2 (en) * 1997-04-30 2005-08-30 Anchor Wall Systems, Inc. Retaining wall anchoring system
US6168351B1 (en) 1997-04-30 2001-01-02 Anchor Wall Systems, Inc. Retaining wall anchoring system
US6338597B1 (en) * 1998-03-27 2002-01-15 Anchor Wall Systems, Inc. Modular retaining wall system
US5934838A (en) * 1997-06-26 1999-08-10 The Tensar Corporation Modular wall block retaining wall reinforced by confinement cells for cut wall applications
USD435304S (en) * 1998-03-19 2000-12-19 Anchor Wall Systems, Inc. Retaining wall block design
US6758636B2 (en) * 1998-03-27 2004-07-06 Anchor Wall Systems, Inc. Segmental retaining wall system
US6416257B1 (en) 1998-03-27 2002-07-09 Anchor Wall Systems, Inc. Segmental retaining wall system
US7264698B2 (en) * 1999-04-13 2007-09-04 Semitool,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electrochemical processing of microelectronic workpieces
USD428499S (en) * 1999-05-27 2000-07-18 Atlantech International, Inc. Retaining wall block with side openings
US6318934B1 (en) * 1999-06-24 2001-11-20 Anchor Wall Systems, Inc. Segmental retaining wall system
US6827527B2 (en) * 1999-12-20 2004-12-07 The New Castle Group, Inc. Wall components and method
US6287054B1 (en) 2000-05-18 2001-09-11 Atlantech International Inc. Plantable wall block assembly and retaining wall formed therefrom
US6416260B1 (en) 2000-05-18 2002-07-09 Permawall Systems, Inc. Self-connecting, reinforced retaining wall and masonry units therefor
KR100375821B1 (ko) * 2000-07-11 2003-03-17 주식회사 하은산업 옹벽용 블럭 및 그 시공 방법
US6457911B1 (en) 2000-10-25 2002-10-01 Geostar Corporation Blocks and connector for mechanically-stabilized earth retaining wall having soil-reinforcing sheets
US6467357B1 (en) 2000-10-25 2002-10-22 Geostar Corp. Clamping apparatus and method for testing strength characteristics of sheets
US6443662B1 (en) * 2000-10-25 2002-09-03 Geostar Corporation Connector for engaging soil-reinforcing grid to an earth retaining wall and method for same
US6443663B1 (en) 2000-10-25 2002-09-03 Geostar Corp. Self-locking clamp for engaging soil-reinforcing sheet in earth retaining wall and method
US6854231B2 (en) * 2001-07-12 2005-02-15 Keystone Retaining Wall Systems, Inc. Multi-channel retaining wall block and system
US20050042040A1 (en) * 2001-08-13 2005-02-24 John Paulson Segmental block connection system
US7591447B2 (en) * 2001-10-18 2009-09-22 Westblock Systems, Inc. Wall block, system and mold for making the same
WO2003033833A1 (en) * 2001-10-18 2003-04-24 Westblock Systems, Inc. Wall block, system and method
US6862856B2 (en) * 2002-02-08 2005-03-08 Anchor Wall Systems, Inc. Corner block for use in forming a corner of a segmental retaining wall
US6761509B2 (en) * 2002-07-26 2004-07-13 Jan Erik Jansson Concrete module for retaining wall and improved retaining wall
US6701687B1 (en) * 2003-05-08 2004-03-09 Ridgerock Retaining Walls Inc. Modular wall block with mechanical course connector
US7524144B2 (en) * 2004-06-22 2009-04-28 Allan Block Corporation Retaining wall
US20060096180A1 (en) * 2004-10-06 2006-05-11 Price Brian A Retaining wall block and grid system
US7037047B1 (en) * 2004-12-02 2006-05-02 Anchor Wall Systems, Inc. Retaining wall block system
US20080244995A1 (en) * 2005-03-04 2008-10-09 Ken Kemp As Trustee for Kemp Investment Trust Fty Ltd. Wall Assembly
WO2007004772A1 (en) * 2005-07-04 2007-01-11 Jeung Su Lee A block for constructing reinforced earth wall
CA2558403A1 (en) 2005-09-06 2007-03-06 Rocvale Produits De Beton Inc. Block connector
NZ544434A (en) * 2006-03-31 2008-09-26 Holmes Solutions Ltd Retaining wall and blocks for the formation thereof
JP2013521422A (ja) * 2010-03-04 2013-06-10 キーストーン・リテイニング・ウォール・システムズ・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擁壁
IT1399316B1 (it) * 2010-04-08 2013-04-16 Maccaferri Spa Off Blocco per muro di contenimento
USD647219S1 (en) 2011-02-28 2011-10-18 Keystone Retaining Wall Systems, Inc. Landscaping block
USD652153S1 (en) 2011-03-11 2012-01-10 Westblock Development, LLC Wall block
USD652155S1 (en) 2011-06-21 2012-01-10 Westblock Development, LLC Wall block
US8667759B2 (en) 2011-03-14 2014-03-11 Westblock Systems, Inc. Wall block system
AU2013249333B2 (en) 2012-04-19 2017-04-06 Keystone Retaining Wall Systems Llc Wall block and wall block system
USD688813S1 (en) 2012-04-19 2013-08-27 Keystone Retaining Wall Systems Llc Landscaping block
US9086268B2 (en) * 2013-10-02 2015-07-21 Jonathan E Jones Concrete block spacer system
US10273649B2 (en) * 2016-10-12 2019-04-30 Richard Paul Lonero Modular block retaining wall system
GB2568930B (en) * 2017-12-01 2020-06-03 Geocontec Ltd Mechanical connector for geogrids
CN113195993A (zh) * 2018-11-29 2021-07-30 圣戈本陶瓷及塑料股份有限公司 耐火制品
US11035118B2 (en) * 2019-02-01 2021-06-15 Cambridge Pavers, Inc. Connector clips for construction blocks and retaining wall block system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253A (en) * 1866-12-04 rockwell
US991722A (en) * 1909-07-31 1911-05-09 Arthur E Hourd Combination dowel and tongue-and-groove joint.
FR481435A (fr) * 1915-09-08 1916-12-05 Charles Rabut Parement-coffrage pour ouvrages en béton
US1751272A (en) * 1927-07-27 1930-03-18 David O Forman Building block
US1992785A (en) * 1933-09-29 1935-02-26 Otto A Steuer Building structure and brick for the same
US2201110A (en) * 1936-06-16 1940-05-14 Makram Latif Tewfik Brick or block
FR1075611A (fr) * 1953-03-11 1954-10-19 éléments de construction avec organes d'assemblage
US3379017A (en) * 1965-06-14 1968-04-23 Kusatake Sugiaki Concrete blocks for shore and bank protection
US3461631A (en) * 1967-01-16 1969-08-19 Anthony Brugnola Complementary modules and structures therefrom
US3609926A (en) * 1969-02-26 1971-10-05 George B Muse Block structure
FR2055983A5 (ko) * 1969-08-14 1971-05-14 Vidal Henri
US4123881A (en) * 1975-02-10 1978-11-07 Muse George B Wall structure with insulated interfitting blocks
US4186540A (en) * 1975-04-30 1980-02-05 Mullins Wayne L Interlocking cementitious building blocks
US4031678A (en) * 1975-11-20 1977-06-28 Schuring James A Interlocking building block construction
US4068482A (en) * 1976-08-02 1978-01-17 Hilfiker Pipe Company Retaining wall structure using precast stretcher sections
FR2374478A1 (fr) * 1976-12-16 1978-07-13 Famy Jean Element de soutenement de talus
DE2753243A1 (de) * 1977-11-29 1979-06-07 Bayer Ag Bewehrung von armierten erdbauwerken
US4136498A (en) * 1977-12-05 1979-01-30 Cecil Kanigan Block or brick laying guide reinforcing module
EP0079880B1 (de) * 1979-04-04 1986-09-17 Gerhard Dipl.-Ing. Dr. Schwarz Stützbauwerk
US4324508A (en) * 1980-01-09 1982-04-13 Hilfiker Pipe Co. Retaining and reinforcement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earthen formations
ATE15393T1 (de) * 1981-06-11 1985-09-15 West Yorkshire Metropolitan Co Bewehrte erdbauwerke und verkleidungselemente dafuer.
US4440527A (en) * 1981-09-22 1984-04-03 Vidal Henri C Marine structure
US4815897A (en) * 1982-08-16 1989-03-28 Rothbury Investments Limited Retaining wall system
US4619560A (en) * 1984-02-08 1986-10-28 Crinnion Edward V Structural module for retaining walls and the like
US4661023A (en) * 1985-12-30 1987-04-28 Hilfiker Pipe Co. Riveted plate connector for retaining wall face panels
CA1243497A (en) * 1986-01-15 1988-10-25 Hugh G. Wilson Retaining wall structure
US4824293A (en) * 1987-04-06 1989-04-25 Brown Richard L Retaining wall structure
YU127889A (en) * 1989-06-22 1990-12-31 V Vujacic Precise processed building blocks
JPH0757954B2 (ja) * 1989-10-30 1995-06-21 清水建設株式会社 定着部一体型ジオテキスタイ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急勾配盛土
US4952098A (en) * 1989-12-21 1990-08-28 Ivy Steel Products, Inc. Retaining wall anchor system
US5044833A (en) * 1990-04-11 1991-09-03 Wilfiker William K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and connector therefor
CA2017578C (en) * 1990-05-25 1997-12-23 Angelo Risi Embankment reinforcing structures
US5257880A (en) * 1990-07-26 1993-11-02 Graystone Block Co. Retaining wall construction and blocks therefor
US5044834A (en) * 1990-07-26 1991-09-03 Graystone Block Co., Inc. Retaining wall construction and blocks therefor
US5145288A (en) * 1990-09-13 1992-09-08 Borcherdt D Thomas Mortarless retaining wall
US5131791A (en) * 1990-11-16 1992-07-21 Beazer West, Inc. Retaining wall system
US5066169A (en) * 1991-02-19 1991-11-19 Gavin Norman W Retaining wall system
US5122015A (en) * 1991-03-04 1992-06-16 Shen Chen J Construction assembly
CA2045953C (en) * 1991-06-28 1995-12-19 Angelo Risi Connector for use in combination with blocks for wall structures or the like
US5154542A (en) * 1992-02-03 1992-10-13 Klenert Oskar H Earth-retaining module, system and method
CA2075580A1 (en) * 1992-08-07 1994-02-08 Angelo Risi Block for a retaining wall structure
CA2092579C (en) * 1992-08-27 1997-10-07 Jacques Rodrigue Block interlock offsetting key for use in the construction of a retaining wall
US5417523A (en) * 1993-10-29 1995-05-23 Scales; John Connector and method for engaging soil-reinforcing grid and earth retaining wal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0619A (ko) * 2020-06-26 2022-01-04 나용철 담장 및 경관 조성을 위한 옹벽 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102390723B1 (ko) * 2020-06-26 2022-04-25 나용철 담장 및 경관 조성을 위한 옹벽 블록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189538A1 (en) 1995-12-14
EP0764229A4 (en) 1998-03-18
NO965206D0 (no) 1996-12-05
US5595460A (en) 1997-01-21
PE496A1 (es) 1996-02-01
CN1092324C (zh) 2002-10-09
BR9507928A (pt) 1997-09-09
DE69528457D1 (en) 2002-11-07
AU694779B2 (en) 1998-07-30
NZ287641A (en) 1998-07-28
KR970703473A (ko) 1997-07-03
NO965206L (no) 1996-12-06
JP2974783B2 (ja) 1999-11-10
EP0764229A1 (en) 1997-03-26
AU2641795A (en) 1996-01-04
WO1995033893A1 (en) 1995-12-14
CN1164265A (zh) 1997-11-05
MX9606147A (es) 1998-06-30
JPH10501313A (ja) 1998-02-03
EP0764229B1 (en) 2002-10-02
CA2189538C (en) 2001-08-28
ATE225441T1 (de) 2002-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7227B1 (ko) 모듈러 블록지지벽 시스템 및 그 구축방법
US5540525A (en) Modular block retaining wall system and method of constructing same
US5522682A (en) Modular wall block system and grid connection device for use therewith
US5673530A (en) Modular block retaining wall system
US6709201B2 (en) Grooved retaining wall block and system
EP1196662B1 (en) Segmental retaining wall system
US5568998A (en) Precast wall panel and grid connection device
US4929125A (en)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and connector therefor
US5163261A (en) Retaining wall and soil reinforcement subsystems and construction elements for use therein
US6322291B1 (en) Reinforcement member retaining system
US5619835A (en) Modular block retaining wall system
EP0894169B1 (en) Earth structures
USRE39922E1 (en) Segmental retaining wall system
US6679656B1 (en) Connection for geogrid to concrete block earth retaining walls
AU2002314871A1 (en) Grooved retaining wall block and system
US4707962A (en) Cascade wall structure
US5360296A (en) Earth retaining wall
US5934838A (en) Modular wall block retaining wall reinforced by confinement cells for cut wall applications
EP3414400B1 (en) Multi-oriented segmental wall blocks, soil reinforcing system, and methods
US5697735A (en) Cut wall confinement cell
JP2880905B2 (ja) 補強土構造物
US20060096180A1 (en) Retaining wall block and grid system
KR200245413Y1 (ko) 보강토 옹벽설치용 조립식 블록 연결장치
KR100456219B1 (ko) 보강토 옹벽설치용 조립식 블록 연결장치
US20040062614A1 (en) Reinforcement connection for pre-cast wall pa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9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