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5675B1 - 광학소자 집적형 듀얼 포커스 광픽업장치 - Google Patents
광학소자 집적형 듀얼 포커스 광픽업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255675B1 KR100255675B1 KR1019970069011A KR19970069011A KR100255675B1 KR 100255675 B1 KR100255675 B1 KR 100255675B1 KR 1019970069011 A KR1019970069011 A KR 1019970069011A KR 19970069011 A KR19970069011 A KR 19970069011A KR 100255675 B1 KR100255675 B1 KR 10025567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ptical
- light
- objective lens
- plate
- focu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85—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into, or out of, its operative position or across tracks, otherwise than during the transducing operation, e.g. for adjustment or preliminary positioning or track change or selection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Optical detectors therefor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53—Diffractive elements, e.g. holograms or grating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65—Separate or integrated refractive elements, e.g. wave plate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72—Lenses
- G11B7/1374—Objective lense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9—Numerical aperture control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Optical Head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13)
- 광디스크(60, 70)의 하방에 설치되어 상면에서 에러신호검출을 위해 레이저광을 회절시키는 회절격자(30)와, 이 회절격자(30)의 하방 양측으로 대향되게 설치되는 제 1수광부(40) 및 제 2수광부(45)와, 이 제 1수광부(40)의 설치면에서 반사광의 편광성을 변환시키는 반사형파장판(24)과, 상기 제 1 수광부(40) 및 제 2수광부(45) 설치면의 빗사면에 형성되어 입사광과 반사광의 광경로를 분리시키는 편광분리부(22)로 이루어진 집적광학소자(20);이 집적광학소자(20)의 하방에서 광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수평한 성분으로 편광된 레이저광(P파)을 방출시키는 레이저다이오드(10);상기 집적광학소자(20)와 광디스크(60, 70)사이에서 레이저광을 광폭에 따라 상호 다른 투과율로 분리투과시키며 위상을 변환시키는 광조절파장판(50);이 광조절파장판(50)을 경유한 레이저광을 광디스크(60, 70)에 집광시키는 대물렌즈(100);상기 구성요소로 형성된 광학계(B)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소자 집적형 듀얼 포커스 광픽업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계(B)에는 상기 집적광학소자(20)에서 출력되는 전기적신호가 인가되어 트랙킹제어장치(340) 및 포커스제어장치(330)로 신호를 출력하는 재생신호처리수단(200)과, 이 재생처리신호처리수단(200)에서 출력되는 전기신호에 의하여 트랙킹제어장치(340), 포커스제어장치(330), 모터제어장치(310)를 각각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마이컴(320)으로 구성되는 회로계(A)가 추가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소자 집적형 듀얼 포커스 광픽업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분리부(22)는 입사면에 대하여 평행한 성분의 레이저광을 투과시키고, 입사면에 대하여 수직한 성분의 레이저광을 반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소자 집적형 듀얼 포커스 광픽업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조절파장판(50)은 레이저광의 위상을 지연시키는 투과형파장판(54)과, 이 투과형파장판(54)을 경유한 레이저광을 광폭에 따라 상이한 투과율로 분리투과시키는 광조절판(52)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소자 집적형 듀얼 포커스 광픽업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광조절판(52)은 협폭의 레이저광을 제 1투과율로 투과시키는 내측원형판(56)과, 광폭의 레이저광을 제 2투과율로 투과시키는 외부판(57)으로 구성되어 제 1투과율은 제 2투과율보다 크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소자 집적형 듀얼 포커스 광픽업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원형판(56)의 투과율은 1인 전투과막이고, 상기 외부판(57)의 투과율은 1/2인 반투과막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소자 집적형 듀얼 포커스 광픽업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조절판(52)은 광디스크상에 집광되는 레이저광의 최외각입사각(θ1, θ2)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소자 집적형 듀얼 포커스 광픽업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다이오드(10)는 광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수평한 성분으로 편광된 레이저광(P파)을 방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소자 집적형 듀얼 포커스 광픽업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조절판(50)은 대물렌즈(100)와 일체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소자 집적형 듀얼 포커스 광픽업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계(B)가 설치되는 액튜에이터는 대물렌즈(100)가 설치되는 대물렌즈 홀더(101)와, 이 대물렌즈 홀더(101)가 구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플레이트(120)와, 이 플레이트(120)의 일측에 부착되어 대물렌즈 홀더(100)의 진동을 감쇄시키는 홀더겔(1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소자 집적형 듀얼 포커스 광픽업장치.
- 제 1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대물렌즈(100)와 광조절판(50)과 집적광학소자(20)는 상기 플레이트(120)에 일체로 설치되어 액츄에이터와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소자 집적형 듀얼 포커스 광픽업장치.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대물렌즈 홀더(101)는 중심에 레이져광이 통과되는 홀더관통공(102)과, 이 홀더관통공(102)에의 상측에서 레이져광을 광디스크(60, 70)상에 집속시키는 대물렌즈(100)와, 대물렌즈 홀더(101)의 하방에 설치되는 광조절판(50) 및 집적광학소자(20)와, 상기 대물렌즈 홀더(101)의 둘레에서 전자력선의 구동력을 발생시켜 대물렌즈(100)를 광축방향으로 구동시키는 포커스코일(335)과, 이 포커스코일(335)의 외측에서 대물렌즈 홀더(101)의 일측으로 복수개의 권선된 코일이 상호 대향되게 설치되어 전자력선의 구동력을 발생시킴으로 대물렌즈 홀더(101)를 광축과 수직하게 구동시키는 트랙킹코일(345)과, 상기 포커스코일(335) 외측의 대물렌즈 홀더(101) 타측에서 트랙킹코일(345)과 상기 포커스코일(335)이 융착되는 코일 피씨비(1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소자 집적형 듀얼 포커스 광픽업장치.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120)는 중심에 레이져광이 방출되는 집적광학소자(20)와, 이 레이저다이오드(10)의 설치면 양측에 자력선이 흡수되는 내측요크(125)와, 이 내측요크(125)의 외측으로 자석(130)이 부착되는 외측요크(126)와, 상기 플레이트(120)의 일측으로 형성된 홀더요크(131)와, 이 홀더요크(131)에서 겔이 주입된 홀더겔(140)과, 이 홀더겔(140)의 일측으로 상기 회로계(B)의 입출력신호가 인가되는 서스펜션피씨비(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소자 집적형 듀얼 포커스 광픽업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70069011A KR100255675B1 (ko) | 1997-12-16 | 1997-12-16 | 광학소자 집적형 듀얼 포커스 광픽업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70069011A KR100255675B1 (ko) | 1997-12-16 | 1997-12-16 | 광학소자 집적형 듀얼 포커스 광픽업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49989A KR19990049989A (ko) | 1999-07-05 |
KR100255675B1 true KR100255675B1 (ko) | 2000-05-01 |
Family
ID=19527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70069011A Expired - Fee Related KR100255675B1 (ko) | 1997-12-16 | 1997-12-16 | 광학소자 집적형 듀얼 포커스 광픽업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255675B1 (ko) |
-
1997
- 1997-12-16 KR KR1019970069011A patent/KR100255675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49989A (ko) | 1999-07-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0992987A2 (en) | Optical pickup apparatus | |
KR100303053B1 (ko) | 광픽업 | |
KR100255675B1 (ko) | 광학소자 집적형 듀얼 포커스 광픽업장치 | |
KR100272087B1 (ko) | 광학소자집적형듀얼포커스광픽업장치 | |
KR100255674B1 (ko) | 광학소자 집적형 듀얼 포커스 광픽업장치 | |
KR100255676B1 (ko) | 광학소자 집적형 듀얼 포커스 광픽업장치 | |
KR19990049988A (ko) | 광학소자 집적형 듀얼 포커스 광픽업장치 | |
KR19990049987A (ko) | 광학소자 집적형 듀얼 포커스 광픽업장치 | |
KR19990049985A (ko) | 광학소자 집적형 듀얼 포커스 광픽업장치 | |
KR100265732B1 (ko) | 광픽업장치 | |
KR19990049998A (ko) | 광량조절형 액정판 듀얼 포커스 광픽업장치 | |
KR100262120B1 (ko) | 광조절 반사형 듀얼 포커스 광픽업장치 | |
KR19990049993A (ko) | 광량조절을 이용한 듀얼 포커스 광픽업장치 | |
KR19990050013A (ko) | 반사형 액정소자를 이용한 듀얼 포커스 광픽업장치 | |
KR19990050001A (ko) | 광투과반사를 이용한 듀얼 포커스 광픽업장치 | |
KR19990050022A (ko) | 광조절 액정판을 이용한 듀얼 포커스 광픽업장치 | |
KR19990050012A (ko) | 액정소자를 이용한 듀얼 포커스 광픽업장치 | |
KR19990050020A (ko) | 액정홀로그램 듀얼 포커스 광픽업장치 | |
KR19990050021A (ko) | 광조절 액정판을 이용한 듀얼 포커스 광픽업장치 | |
KR19990050009A (ko) | 개구수조절을 이용한 듀얼 포커스 광픽업장치 | |
KR19990050008A (ko) | 개구수조절을 이용한 듀얼 포커스 광픽업장치 | |
KR19990050015A (ko) | 광조절 반사형 듀얼 포커스 광픽업장치 | |
KR19990050014A (ko) | 광조절 반사형 듀얼포커스 광픽업장치 | |
KR19990050016A (ko) | 광조절 반사형 듀얼 포커스 광픽업장치 | |
KR19990050007A (ko) | 개구수조절을 이용한 듀얼 포커스 광픽업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121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7121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121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02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002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301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401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501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601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702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8020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90202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20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