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254084B1 - 동시 압출된 압감 접착 테이프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동시 압출된 압감 접착 테이프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4084B1
KR100254084B1 KR1019940701036A KR19940701036A KR100254084B1 KR 100254084 B1 KR100254084 B1 KR 100254084B1 KR 1019940701036 A KR1019940701036 A KR 1019940701036A KR 19940701036 A KR19940701036 A KR 19940701036A KR 100254084 B1 KR100254084 B1 KR 1002540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adhesive
tape
support
mel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40701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이비드 비. 헤리지
데니스 엘 크루애거
리챠드 제이 롤란도
로날드 제이 라미레즈
제임스 이. 삭스
Original Assignee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춰링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춰링 캄파니 filed Critical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40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4084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7Flat, e.g. panels
    • B29C48/08Flat, e.g. panels flexible, e.g.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0Extrusion nozzles or dies
    • B29C48/35Extrusion nozzles or dies with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88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 B29C48/911Cooling
    • B29C48/9135Cooling of flat articles, e.g. using specially adapted supporting means
    • B29C48/914Cooling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88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 B29C48/911Cooling
    • B29C48/9135Cooling of flat articles, e.g. using specially adapted supporting means
    • B29C48/915Cooling of flat articles, e.g. using specially adapted supporting means with means for improving the adhesion to the suppor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88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 B29C48/911Cooling
    • B29C48/9135Cooling of flat articles, e.g. using specially adapted supporting means
    • B29C48/915Cooling of flat articles, e.g. using specially adapted supporting means with means for improving the adhesion to the supporting means
    • B29C48/9155Pressure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88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 B29C48/911Cooling
    • B29C48/9135Cooling of flat articles, e.g. using specially adapted supporting means
    • B29C48/915Cooling of flat articles, e.g. using specially adapted supporting means with means for improving the adhesion to the supporting means
    • B29C48/917Cooling of flat articles, e.g. using specially adapted supporting means with means for improving the adhesion to the supporting means by applying pressurised gas to the surface of the flat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88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 B29C48/911Cooling
    • B29C48/9135Cooling of flat articles, e.g. using specially adapted supporting means
    • B29C48/9175Cooling of flat articles, e.g. using specially adapted supporting means by interposing a fluid layer between the supporting means and the flat artic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942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components having same physical characteristic in differing degree
    • Y10T428/2495Thickness [relative or absolute]
    • Y10T428/24959Thickness [relative or absolute] of adhesive lay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9921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 Y10T428/249953Composite having voids in a component [e.g., porous, cellular, etc.]
    • Y10T428/249982With component specified as adhesive or bonding agent
    • Y10T428/249983As outermost compon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48Three or more la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lding Of Porous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합된 복합 테이프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이 테이프는 용융 가공 처리에 의해 결합되는 2개의 외측 압감 접착게 총(16, 18)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용융 가공 처리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상기 테이프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에서 다수의 층이 용융 가공처리되고 동시에 결합되어 통합된 복합 구조물(10)을 형성한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동시 압출된 압감 접착 테이프 및 이의 제조 방법
[발명의 배경]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복합 압감 접착 테이프 및 이 테이프의 무용매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의 설명]
복합 압감 접착 테이프는 공지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이 테이프는 다른 층에 부착된 하나 이상의 접착제층을 포함한다. 이런 다른 층은 제2의 접착제 층이나, 또는 여러 물질층으로 이루어진 백킹 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합 압감 접착 테이프를 제조하는 기법도 공지되어 있다. 하나의 기법은 다단계 용매 피복법을 포함한다. 또 다른 기법은 다단계 고온 용융 피복법을 포함한다. 이 기법들 각각에서 복합 테이프를 구성하는 개개의 층들은 연속적으로 적용된다. 결국, 이것은 시간 소모적이고 노동 집약적인 방법이다. 용매 피복법들은 또한 근로자 및 환경에 대한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특별한 취급 및 장치의 사용을 필요로 한다. 상기 2가지 방법은 모두 엄격한 작동 조건(예, 고온, 용매 대기등)하에서 테이프를 처리해야만 한다. 즉, 제조 방법의 엄격함을 견디려면 비신장성, 인열저항, 내열성 및/또는 내수성 백킹 재료의 사용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이것은 또한 백킹 재료로서 제조 방법의 엄격함을 견디기에 충분히 두껍고, 그리고/또는 연신되는 중합체 재료만을 사용할 수 있도록 제한시킨다.
이 방법에 포함된 단계의 수를 감소시키려는 시도는 동시 압출법의 사용에 관련된다. 이 기법은 많은 공보들에 기술되어 있다. 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 3,415,920호는 접착제 및 외측 표면용 폴리올레핀의 동시 압출에 의한 폴리올레핀 캡슐화된 접착제 섬유의 제조를 기술하고 있다.
일본 특허 공보 제JP-46-21120호는 열가소성 합성 수지 스트림과 접착제 스트림을 단일 다이를 통해 유입시켜 각 스트림으로 구성된 분리층을 지닌 단일 유체 흐름을 형성시키고, 접착제가 한 면에 도포된 테이프를 형성시키는 상기 양 스트림을 용융 압출하는 방법을 기술하고 있다.
미국 특허 제3,823,211호는 관형 필름의 형으르 접착제/백킹 구조물을 동시 압출시키는 방법, 및 기포형 백킹 물질을 형성시킨 다음, 이 기포형 백킹물질의 내측 표면위에 접착제를 피복시키는 방법을 기술하고 있다. 이 2가지 기법은 접착제가 한면위에 도포된 테이프를 산출시킨다.
미국 특허 제4,214,261호는 동시 압출법으로 제조할 수 있는 다중층의 폴리프르필렌 필름을 기술하고 있다. 또한, 접착제가 그 다중층 필름상에 연속적으로 피복될 수 있다는 것을 기술하고 있다.
미국 특허 제4,379,806호는 2층의 압감 접착제 테이프를 제조하는 방법을 기술하고 있다. 제1방법에서는 점착성의 열가소성 고무/수지 압감 접착제 및 일반적으로 비점착성인 열가소성 수지의 백킹이 동시 압출되어 접착제가 한면 위에만 도포된 테이프를 제공한다. 제2 방법에서는 백킹과 접착제의 중공 층형 필름이 압출된다. 이 필름은 그 다음 내려 앉아 백킹 필름이 자체에 결합하게 된다. 접착제 및 백킹은 각각 브라벤더(Brabender) 토오크 동력계에서 420℉ 및 74rpm으로 작동시켰을때 약 100 미터 그람 및 1000 미터 그람 사이의 토오크 값을 갖는다. 또한, 접착제는 "필름 형성 조성물 및 접착제 조성물의 동시 압출 동안 성분들의 조절 침투에 의해 형성된 중간 연동층을 통해" 백킹에 결합된다(2 컬럼, 3 내지 7행).
미국 특허 제4,888,075호는 압감 라벨, 테이프 등에 대한 모든 플라스틱 다중층 라이너와 표면 소재, 및 이러한 라이너와 표면 소재를 제조하는 방법을 기술하고 있다. 이 라이너/표면 소재는 임의의 적합한 동시 압출 다이, 예를 들면, 클로렌 "베인"(Cloeren "vane") 다이로부터 동시 압출된다(2 컬럼, 56 내지 61행). 이 압감 접착제는 이어서 박리 라이너로부터 접착제 전이에 의해(6컬럼, 14 내지 22행), 또는 연속적인 피복 단계에 의해(6컬럼, 23 내지 29행, 및 제3a도) 라이너/표면 소재에 적용된다.
유럽 특허 출원 공고 번호 제0 411 820 A1호는 보강된 압감 접착제 테이프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을 기술하고 있다. 이 테이프는 이것의 주요 표면중 하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매립된 다수의 리브(rib)를 갖고 있는 백킹을 포함한다. 압감 접착제는 백킹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위에 제공된다. 백킹 및 보강용 리브는 함께 동시 압출된 다음 여기에 접착제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2개의 고체 표면 사이에 형성된 닙내로 직접 다중층의 양면 접착제 테이프를 동시 압출시키려는 시도가 이루어졌다. 이 기법은 압출물이 닙내에 제공되어 있는 동안 압출물 상의 압력이 접착제가 양 표면중 하나에 잘 접착하도록 할 만큼 아주 만족스러운 것은 아니다. 일단 접착되면, 접착제를 제거하기는 어렵다.
이러한 종래의 테이프들은 유용한 반면, 이 테이프들의 제조 및 접착 테이프로의 이차 가공은 일반적으로 일련의 연속적인 조작 과정이나 과잉의 취급 과정을 포함하고 있어 제조 비용과 제조 복잡성을 추가시킨다. 상술한 공고들에 개시된 테이프들은 접착제를 단지 한면 위에만 갖고 있다. 상기 공보들에 개시되어 있는 정도의 양면위에 접착제가 적용된 테이프는 전체 테이프가 단일 용융 가공 처리 단계를 통해 제조되는 1단계 방법이 아닌 다단계 방법을 통해서만 제조된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은 통합된 복합 압감 접착 테이프를 제공한다. 이 복합 구조는 보통 점착성인 압감 접착제로 구성된 반대편 양쪽에 각각 외측 표면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의 테이프는 때때로 본원에서 "양면" 테이프로 언급하여 양쪽 표면상에 접착제가 존제함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1 구체예에 있어서, 통합 구조는 제1 및 제2의 동시 용융 가공 처리된 압감 접착제 층을 포함한다. 이 층들은 용융상태에서 결합되고 결과적으로 산출되는 구조물이 냉각된다.
본 발명의 제2 구체예에 있어서, 테이프는 제1 및 제2의 압감 접착제를 가지며, 이들 사이에 얇은(예, 15미크른 이하의 두께) 지지체 층을 포함한다. 이 층들은 용융 가공 처리 단계에서 동시에 함께 결합된다.
본 발명의 제3 구체예에 있어서, 테이프는 2개의 외측 압감 접착제 층, 및 발포층, 중합체들의 배합물, 불연속층 또는 일련의 2이상의 층일 수 있는 내부층을 포함하는 동시 용융 가공 처리된 구조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4 구체예에 있어서, 테이프는 제1 및 제2의 압감 접착제층을 가지며, 이들 사이에 두꺼운(예, 15미크론 이상) 지지체를 포함한다. 이 층들은 용융 가공 처리 단계에 의해 동시에 함께 결합되고, 결과적으로 산출되는 구조물은 닙을 통해 통과하기 전에 냉각된다.
본 발명의 테이프는 2이상의 압감 접착제 조성물의 용융 스트림을 용융 가공 처리하고, 이들을 동시에 함께 결합시킨 다음, 결합된 스트림을 지지체 표면상의 한면위에 침착시킨 뒤 스트림을 냉각시켜 복합 테이프를 형성시킴으로써 제공된다. 신규 방법에서, 용융 스트림은 용융 복합 구조물을 닙을 통해 통과시키지 않고 지지체 표면 상에 동시에 용융 가공 처리되고 침착된다. 따라서, 용융된 복합 구조물의 한 면은 지지체에 접촉되는 반면, 또 다른 면은 유리 상태, 즉, 다른 고체 표면과 접촉하고 있지 않은 상태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구체예에서는 용융 구조물을 닙핑 처리함으로써 유발되는 접착성의 문제점이 제거된다. 이 신규의 제조 방법에 사용되는 지지체 표면은 바람직하게는 박리 라이너를 포함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지지체 표면의 반대쪽 면은 이어서 복합 구조물의 용융 온도이하의 온도로 유지되는 냉각 수단과 접촉될 수 있다. 이 테이프는 닙핑 처리되고, 감겨지며, 임의의 바람직한 너비 및/또는 길이로 절단된 후 냉각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임의적으로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추가 용융 스트림을 접착제의 용융 스트림 사이에 제공하여 동시에 결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복합 테이프는 임의의 백킹 및/또는 지지체 층이 없은 구조물로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지지체 층을 갖는 구조물로서 제공될 수도 있다. 지지체 5층은 복합 테이프의 제조 동안 동시에 용융 가공 처리되기 때문에 임의의 특정 두께에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바람직하다면 매우 얇은 층(예, 1㎛이하)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여러가지 독특한 특징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 본 발명은 종이, 부직포, 또는 직물 백킹이 없는 테이프를 제공하여 다양한 웨브계 백킹의 재고를 구입하고 보존시킬 필요성을 제거한다.
- 본 발명은 접착제 층이 용융 가공을 통해 동시에 결합되며 양면위에 압감 접착제를 갖는 통합된 복합 테이프를 제공한다.
- 본 발명은 접착제 층사이에 임의의 바람직한 지지체를 갖는 통합된 복합양면 테이프를 제공한다.
- 본 발명은 단지 이용된 성분의 특성 및 양 그리고/또는 사용된 가공 조건을 달리함으로써, 바람직한 성질(예, 손에 의한 인열 적성 또는 분산성)을 갖는 테이프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도록 한다.
- 본 발명은 1단계 무용매 제조 방법을 제공하며, 이로써, 상술한 다단계 방법에 포함되는 다양한 취급, 가공 및 용매 회수 단계를 제거할 수 있다.
- 본 발명은 원료가 한쪽 말단에서 주입되고 최종 제품이 다른쪽 말단에서 수득되는 연속 방법을 제공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a 내지 1e도는 본 발명의 테이프중에 여러가지 구체예의 횡단면도이다.
제2도는 븐 발명의 테이프를 제조하는데 사용된 시스템의 모식도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의 테이프는 용융 가공에 의해 통합된 복합 구조물을 형성시키기 위해 동시에 함께 결합된 2이상의 접착제 층을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융 가공은 용융 물질을 구조물내르 펌프 주입하고 성형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유용한 한가지 용융 가공 기법은 동시 압출법이다. 본 명세서중에서 동시압출은 다수의 용융 스트림을 동시 용융 가공하고 이와 같이 용융된 스트림을 바람직하게는 단일 압출 다이로부터 하나의 통합 구조로 결합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단일 다이가 사용될 때, 용융된 물질의 스트림들은 단일 배출구로 부터 다이에서 배출시킬 필요는 없다. 용융된 스트림은 원료 공급 블록내에서, 다이내에서, 또는 다이의 외측에서 함께 합류될 수 있다. 스트림이 다이내에서 합류된다면, 이 스트림들은 배출 오리피스에서(제로 공통 랜드 다이(zero common land die)), 또는 배출 오리피스의 상류에서(공통 랜드 다이) 함께 합류할 수 있다. 그러나, 모든 경우에 있어서, 이 스트림들은 다이 배출구의 근접부에서 함께 합류되거나 또는 배합된다.
본 발명의 테이프는 여러 구체예들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2층의 압감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구체예를 제1a도에 나타내었고, 여기에서 참조 부호(10)은 전체 테이프를 나타내고 참조 부호(12) 및 (14)는 각각 제1 및 제2 압감 접착제 층(16) 및 (18)의 제1 및 제2의 노출된 접착제 표면을 나타낸다.
제1b도는 테이프(20)가 지지체 층(19)에 의해 분리된 압감 접착제 층(16) 및 (18)을 포함하고 있는 본 발명의 제2 구체예를 나타낸다.
제1c도는 테이프(30)가 지지체 층(19), 제2접착제 층(15) 또는 (17), 및 제1 압감 접착제 층(16)과 (18)을 포함하고 있는 본 발명의 제3구체예를 나타낸다.
제1d도는 테이프(40)가 지지체(19)와 접착제(16)사이에, 그리고 지지체(19)와 접착제(18)사이에 각각 개제된 중간 층(11) 및 (13)을 갖고 있는 본 발명의 제4구체예를 나타낸다.
제1e도는 지지체층으로서 불연속 물질이 제공된 본 발명의 제5구체예를 나타낸다. 이 구체예에서, 테이프(50)는 동시 압출된 압감 접착제 층(16) 및 (18)로 둘러싸인 일련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 리브 또는 가닥 (51)을 포함한다.
이러한 각각의 구체예들에서, 여러층들은 동시에 용융 가공된다. 또한, 각 구체예에서, 사용된 각 접착제는 서로 동일하거나, 서로 상이한 것일 수 있다. 동일한 접착제가 사용되는 경우, 이 테이프는 균일한 조성을 지니며 단일 층 구조물인 것처럼 나타난다. 그러나, 2층의 접착제의 존재가 또한 관찰될 수도 있다. 도면에 예시된 모든 구체예에 있어서, 접착제 층으로서 공통 접착제를 사용하면 양 표면(12) 및 (14)상에 거의 동일한 점착성 및 접착성을 갖는 테이프가 산출된다. 그러나, 상이한 점착성 및/또는 접착성을 갖는 테이프가 바람직하다면, 상이한 접착제 물질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테이프에는 제1c도에 층(15)/(16) 및 (17)/(18)로 예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인접 접착제 층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구조물은 테이프의 디자인 및 구조에 유연성을 허용하며, 예를 들면 고 전단력의 접착제상에 고 점착성의 표면을 갖는 테이프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토론은 제1c도의 접착 테이프를 참조로 하여 이루어졌지만, 본 발명의 모든 구체예가 다수의 접착제 층을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만 한다. 부가적으로, 상기 다양한 구체예들의 지지체 층도 또한 다중층으로서 제공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테이프를 구성하는 임의의 층은 다른 층과 동일하거나 상이한 두께를 지닐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층(16) 및 (18)은 제1a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일한 두께이거나, 또는 상이한 두께일 수 있다. 이 층들의 정확한 두께는 본 발명에 중대한 것은 아닐지라도, 일반적으로 1㎛이상의 두께를 갖는다.
본 발명에 유용한 압감 접착제로는 당업계에 공지된 일반적으로 점착성인 압감 접착제를 포함한다. 이런 접착제는 바람직하다면 발포형 접착제일 수 있다. 본원에 유용한 접착제는 압출성이고 절대적은 아닐지라도 일반적으로 무정형이다. 또한, 바람직한 접착제는 일반적으로 점착성(실온에서)인 압감 접착제이다.
유용한 압감 접착제 조성물은 테이프를 용융 가공하는데 사용된 온도(예, 90℃-300℃)에서 유체이거나 펌프 주입성이다. 또한, 이 접착제 조성물은 용융 가공동안 사용된 온도에서 상당히 분해되거나 겔화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용한 접착제 조성물은 또한 일반적으로 1센티포이즈(cps)내지 1,000,000 포이즈의 용융 점도를 갖는다. 본원에 사용된 용융 점도란 용어는 사용된 가공 온도에서 용융된 물질의 점도를 의미한다.
접착제는 일반적으로 다음의 종류들로 분류될 수 있다:
- 아크릴레이트 및/또는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α-올레핀 공중합체, 실리콘 공중합체, 클로르프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등을 기초로 한 것과 같은 무작위 공중합체 접착제.
- 선형 블록 공중합체(즉, A-B 및 A-B-A형), 별형 블록 공중합체, 벌집형 블록 공중합체 등을 기초로한 것을 비롯한 블록 공중합체 접착제.
- 천연의 고무 접착제.
유용한 압감 접착제에 대한 설명은 문헌[Encyclopedia of Polymer Science and Engineering, Vol. 13, Wiley-Interscience Publishers(New York, 1988)]에서 찾아볼 수 있다. 유용한 압감 접착제에 대한 부가적인 설명은 문헌[Encyclopedia of Polymer Science and Technology, Vo1. 1, Interscience Publishers(New York,1964)]에 기술되어 있다.
본 발명에 유용한 다른 압감 접착제는 하기의 특허 문헌에 기술되어 있다. 이러한 특허의 예로는 Re 24,906(Ulrich), 미국 특허 제3,389,827호(Abere et al. Col. 4-Col. 5), 미국 특허 제4,080,348호 (Korpman), 미국 특허 제4,136,071호(Korpman), 미국 특허 제4,792,584호(Shiraki et al.), 미국 특허제4,883,179호(Young et al.), 및 미국 특허 제4,952,650호(Young et al.)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는 또한 시판용 압감 접착제도 유용하다. 이러한 접착제의 예로는 에이취. 비. 풀러 컴패니사(미네소타 세인트 폴 소재)로부터 HM-1597, HL-2207-X, HL-2115X, HL-2193-X로서 시판되는 고온 용융 압감 접착제를 포함한다. 다른 유용한 시판용 압감 접착제로는 센츄리 어드헤시브 코오포레이숀(오하이오 콜롬부스에 소재)에서 시판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유용한 지지체층으로는 압출성 중합체 물질을 포함한다. 유용한 지지체 물질은 테이프를 용융 가공하는데 사용된 온도에서 유체이거나 펌프 주입성인 것이다; 그 온도에서 크게 분해되지 않는다; 그리고 1cps 내지 1,000,000 포이즈 범위내의 용융 점도를 갖는다.
지지체 및/또는 접착제 층에는 무기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유용한 무기물질의 예로는 탄산 칼슘, 이산화 티타늄, 유리 비드 또는 기포, 중합체 비드 또는 기포, 금속 입자, 난연제, 섬유, 안료등을 포함한다.
지지체는 연속층 또는 불연속층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접착제 층과 같이 매우 얇은 층(또는 작은 리브)(예, 1㎛)이거나, 또는 두꺼운 층(또는 큰 리브)(예, 500㎛)일 수 있다.
지지체 층으로서 많은 유기 물질이 유용하다. 이러한 물질의 예로는 폴리올레핀(예를 들면,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초 저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중밀도 및 고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발포형 폴리올레핀, 폴리프로필렌과 에틸렌의 공중합체, 및 폴리올레핀의 배합물 (폴리프로필렌/폴리에틸렌 배합물, 및 폴리프로필렌/폴리스티렌 배합물 포함)), 폴리우레탄, 발포형 폴리우레탄, 폴리스티렌 및 발포형 폴리스티렌, 비닐 물질(예,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폴리비닐리덴 디클로라이드,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에스테르,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블록 공중합체(예, A-B 및 A-B-A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이 물질들의 배합물 및 혼합물도 또한 지지체 층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테이프는 또한 지지체 층과 접착제 층(들)사이에 하나이상의 중간층들을 병입시킬 수 있다. 이 중간층은 지지체 층으로서 유용한 물질들중의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절대적인 요구조건은 아니지만, 중간층은 지지체 층보다 얇은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중간층은 1 내지 500㎛ 범위내의 두께, 일반적으로 1 내지 5㎛ 범위내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 물질이 본원에 유용하게 사용되려면 지지체 층 물질과 동일한 용융 가공 기준을 충족시켜야만 한다.
유용한 중간층 물질의 제1군은 중간 층 물질 및 지지체 층 물질의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중간층으로서 유용한 물질의 구체예로는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바람직하게는 약 10중량% 이상의 비닐 아세테이트 단위를 포함), 듀퐁사로부터 입수 용이한 "CXA" 3101과 같은 카르복실화된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걸프 오일 앤드 케미칼스 컴패니로 부터 입수 용이한 "poly-Eth" 2205 EMA와 같은 에틸렌 및 메틸 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 다우 케미칼 컴패니로부터 입수 용이한 에틸렌/아크릴산 공증합체, 듀퐁사로부터 입수 용이한 "Surlyn\에틸렌과 메틸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 미쯔비시 케미칼 컴패니로 부터 입수 용이한 말레산 무수물 변형된 폴리올레핀 및 "Modic"수지와 같은 폴리올레핀의 공중합체, 미쯔비시 케미칼 컴패니로 부터 입수 용이한 "VMX" 수지와 같은 균일하게 분산된 비닐 중합체를 함유하는 폴리올레핀(예, 총 비닐 아세테이트 함량이 50%인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계 제품인 FN-70, 및 분산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를 함유하며 비닐 아세테이트 함량이 23%이고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함량이 23%인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계 제품인 JN-70), 비.피. 케미칼스 인코오포레이티드로부터 입수용이한 "Polybond"(아크릴산과 그라프트 중합된 폴리올레핀인 것으로 추정), 퀀텀 케미칼스, 인코오포레이티드로부터 입수 용이한 "Plexar"(극성 작용기와 그라프트 중합된 폴리올레핀인 것으로 추정), 다우 케미칼 컴패니로부터 입수 용이한 "Primacor"와 같은 에틸렌과 아크릴산의 공중합체, 및 듀퐁으로부터 입수 가능한 "Nucrel"과 같은 에틸렌과 메타크릴산의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필요하다면, 중간층 물질은 지지체층을 형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원에 층으로서 사용된 임의의 물질의 용융 점도 대 본원에 층으로서 사용된 또 다른 임의의 물질의 용융 점도의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10:1 내지 1:10 범위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1 내지 1:3 범위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2:1 내지 1:2 범위이다. 용융 점도의 비가 1:1의 비율로부터 변화해감에 따라 보다 낮은 점도의 물질이 압출 다이의 고 전단부로 이동해 가는 경향이 있어 그 물질이 풍부한 영역을 산출하게 된다.
바람직하다면 저접착성의 백사이즈(LAB)가 표면(12) 및 (14)의 한쪽이나 양쪽내에 또는 그 위에 용융 가공 처리될 수 있다. 산출된 구조물은 LAB가 사용되지 않은 것보다는 다소 적을지라도 여전히 압감성을 나타낼 것이다. 그러나, LAB가 용융 가공 처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LAB는 테이프의 제조과정 중에 사용된 조건하에서 압출성 이어야만 한다. 그러나, 또한 테이프가 동시 압출된 후 LAB를 통상적인 피복 기법으로 적용할 수도 있다. 본원에 유용한 LAB 물질로는 폴리올레핀, 경화된 실리콘, 폴리메틸펜텐, 폴리 1-옥텐, 폴리에틸렌과 실리콘 배합물, 플루오로화합물과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올레핀이나 유사 중합체에 그라프트 중합된 플루오로화합물의 배합물등을 포함한다.
LAB 물질은 문헌에 기술되어 있다. 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2,532,011호 : 제2,607,711호 : 및 제3,318,852호를 참조하라.
본 발명의 테이프는 압감 접착제 조성물의 2 이상의 용융 스트림 및 임의적으로 다른 용융 가공성 물질의 스트림을, 바람직하게는 압출 다이의 배출구 근접 부위에서 함께 배합하여 통합 구조물을 형성시키는 용융 가공 기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다른 물질의 용융 스트림은 또한 본 발명을 실시할 때 접착제 스트림과 배합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신규한 용융 가공 기법에 있어서, 테이프는 다음과 같이 제조될 수 있다:
a) 제1 및 제2 압감 접착제 조성물의 2 이상의 용융 스트림을 제공하고;
b) 상기 용융 스트림을 제1 및 제2의 외측 표면을 갖는 하나의 통합된 용융 구조물로 배합시키고;
c) 상기 통합된 용융 구조물을 고체 기제상에 침착시킨 후;
d) 상기 용융 구조물을 냉각시킨 다음 닙을 통해 통과시킨다.
이 테이프는 다양한 용융 스트림을 압출 다이의 배출구로 전송하고 이 배출구의 근접부에서 함께 합류시키는 동시 압출 기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유용한 동시 압출 기법은 제2도에 도식적으로 예시되어 있다. 제2도에 참조적으로 압출기(100), (110) 및 (120)이 예시되어 있다. 압출기(100) 및 (110)은 제1 및 제2 압감 접착제 조성물의 용융 스트림(102) 및 (112)를 원료공급 블록(130)으로 제공한다. 압출기(120)은 제3의 물질, 예, 지지체 물질(122)의 용융 스트림을 원료 공급 블록(130)으로 공급한다. 물론, 제3의 물질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압출기(120)을 사용할 필요는 없다. 또한, 압감 접착제 조성물을 원료 공급 블록으로 전달하는데 필요로 되는 압출기는 단지 1개일 수도 있다. 단지 1개의 압출기가 사용되는 경우, 용융 스트림은 테이프에 사용되는 접착제 스트림의 수(예, 2 또는 그 이상)로 분할된다.
원료 공급 블록(130)은 용융 스트림을 하나의 유동 채널로 배합시킨다. 이때에는 스트림들의 유선형 유동 특성 때문에 각 물질이 별개 층으로 유지된다. 원료 공급 블록은 이제 통합된 용융 구조물을 높이가 감소되고 넓이가 증가되는 압출다이(140)로 전달 또는 전송하여 비교적 얇고 넓은 구조물을 제공한다.
압출기(100), (110) 및 (120)은 압출 다이로 용융 스트림을 전달하는데 효과적인 "펌프"들이다. 사용된 정밀 압출기는 본 방법에 중요하지 않다. 그러나, 압출기 스크류(screw)의 디자인은 우수한 용융물의 질, 온도 균일성, 원료처리량등을 제공하는 압출기의 성능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많은 유용한 압출기가 공지되어 있고, 그 예로는 단일 스크류 및 쌍 스크류 압출기, 배치-오프(batch-off)압출기 등을 포함한다. 이 압출기들은 다비스-스탠더드 익스트루더스, 인코오포레이티드(Pawcatuck, CT), 블랙 클로슨 컴패니(Fulton, NY), 버스토프 코오포레이숀(NC), 파렐 코오포레이숀(CT), 모리야마 매뉴팩츄어링 웍스, 리미티드(Osaka, Japan)를 비롯한 다양한 제조업자들로부터 입수용이하다.
또한, 용융 스트림을 압출 다이로 전달하는데에는 다른 "펌프"가 사용될 수도 있다. 그 예로는 드럼 언로우더(drum unloader), 벌크 용융기, 기어 펌프등을 포함한다. 이것은 그라코 엘티아이(Monterey, CA), 노드슨 (Westlake, CA), 인더스트리얼 머신 매뉴팩츄어링(Richmond, VA), 제니쓰 펌프스 디비젼, 파커 한니핀 코오포레이숀(NC)를 비롯한 많은 제조업자로 부터 입수용이하다.
일단 용융 스트림이 펌프로부터 배출되면, 이 스트림은 일반적으로 전송관 및/또는 전송 호스를 통해 다이로 전달된다. 관내에서의 잔류 시간은 용융 온도의 변화와 같은 문제점들을 피하기 위해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예를 들면, 관의 길이를 최소화하고, 관의 적절한 온도 조절을 제공하고, 관내에 균일한 온도를 유지시키기 위해 관내에 고정 혼합기 이용하는 것을 비롯한 다양한 기법을 사용함으로써 실행될 수 있다.
원료 공급 블록의 사용은 다양한 동시 압출 다이 시스템이 공지되어 있으므로 임의적이다. 따라서, 예를 들면, 멀티매니폴드 다이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유용한 원료 공급 블록 및 압출 다이의 예는 텍사스주 오렌지시에 소재하는 클로렌 컴패니에서 시판되는 클로렌 "Vane" 다이 및 클로렌 동시 압출 원료공급 블록 및 다중 매니폴드 다이이다. 이 다이들은 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4,152,387호; 제4,197,069호; 제4,600,550호; 제4,619,802호; 제4,780,258호; 및 제4,789,513호에 기술되어 있다. 다른 동시 압출 다이 및 원료 공급 블록은 익스트루젼 다이스 인코오포레이티드 (Chippewa Falls, WI), ER-WE-PA(GA), 이간 머신너리 디비젼, 죤 브라운 인코오포레이트(NJ), 및 웰렉스 인코오포레이트(PA)로부터 입수 용이하다.
사용할 원료 공급 블록 및/또는 압출 다이의 선택은 본 방법의 실행에 중요한 것은 아니다. 그러나, 일부 요인이 압출 과정의 성능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것을 주지해야 한다. 예를 들면, 원료 공급 블록은 재료들이 합류 지점 이후에 단일 매니폴드를 통해 접촉한 상태로 유동할 것을 요구하기 때문에, 그 재료들의 상대적 점도와 단일 매니폴드 온도에서 가공 처리될 그 재료들의 수행 능력이 고려되어야만 한다. 재료들의 상대적 점도가 4:1 을 초과하거나, 재료들이 단일 매니폴드의 온도를 견딜 수 없을때, 다중 매니폴드 다이가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다중 매니폴드 다이내에서, 각 재료는 합류 지점까지 자체 매니폴드내에서 유동한다. 각각의 매니폴드는 각 수지의 리올로지(rheology)에 따라 특이적으로 디자인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매니폴드는 상이한 가공 온도에서 조절될 수 있다.
다중 매니폴드 다이는 또한 다이 입구나 배출 오리피스에 이르기 까지 재료들이 합류하지 않도록 제로 공통 랜드 길이를 갖도록 디자인될 수 있다. 또한, 이 다이는 짧은 공통의 유동 채널을 갖도록 디자인될 수 있다. 제로 공통 랜드는 극한점도 차이(예, 400:1+의 비율)를 지닌 용융 스트림이 사용될 때 바람직하다. 보다 중간 정도의 점도 차이(예, 10:1 이하의 비율)를 지닌 경우에는 짧은 공통 랜드가 이로울 것이며, 이것은 용융물이 공통 랜드내에 있는 동안 고온 및 고압으로 인해 복합 테이프의 층들사이의 결합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압출 다이(140)는 로울(151)로부터 공급된 고체 기제(박리 라이너(150)로 나타냄)상에 통합된 용융 구조물을 침착시키며, 이로써 구조물의 제1표면은 라이너(고체 기재)와 접촉하는 반면 구조물의 제2표면은 유리 상태의 표면(즉, 임의의 다른 고체 표면과 접촉하고 있지 않은 상태)이 된다. 이로써, 테이프(141)가 산출된다. 라이너(150)는 주조 횔(160)의 표면에 접촉하고 주조 횔(Wheel)의 표면과 용융 스트림사이에 개제된다. 그러나, 이 가공에서 라이너(150)의 사용은 임의적이다. 따라서, 용융 구조물은 주조 횔(160)의 표면위에 직접 침착될 수 있다. 라이너는 본 가공중에서 이후에, 예를 들면, 닙 로울(170)에서 본 발명의 테이프의 한 표면위로 연속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주조 휠은 일반적으로 통합된 용융 구조물의 온도 보다 낮은 온도로 유지된다. 일반적으로 이 온도는 5 내지 150℃ 범위(바람직하게는 30-105℃)이내이다.
제1b도에 예시된 것과 같은 테이프가 제조될 때, 접착제 층(16) 및 (18)은 지지체 층(19) 전역에 적용된다. 이것은 주문 제작된 열 이력(thermal history)을 지니며, 이러한 열 이력의 결과로서 다양한 물리적 성질을 갖는 지지체를 함유한 테이프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출원인들은 이러한 특징을 제공하는 임의의 다른 테이프나 그 동등물을 제조하는 다른 방법은 모른다.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일부 지지체 층 물질에 있어서, 용융 구조물을 서서히 냉각시키고 응고시키는 것은 메짐성의 지지체 층을 산출시킨다고 밝혀진 바 있다. 이런 방식으로 제조된 테이프는 수(手) 인열성이다. 그러나, 통합된 용융 구조물이 빠르게 냉각되고 응고되면, 보다 연성의 지지체층이 산출된다. 이 방식으로 제조된 테이프는 손으로 찢을 때 상당히 신장하고 높은 절단점 연신율을 나타낸다.
에어 나이프(165)는 필요하다면 라이너(150)에 대하여 통합된 용융 구조물을 가압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통합 구조물은 그 다음 주조 횔(160)과 닙 로울(170)사이에 "물리게 된다". 필요하다면, 통합 구조물은 그 다음 일련의 로울(171), (172), (173)을 통해 통과한 다음 로울(180)로 감겨질 수 있다. 또는 테이프를 라이너로부터 떼어낸 다음 로울(180)로 감을 수 있다. 라이너는 회수하여 필요하다면 제사용할 수도 있다. 그 다음 당업계에 공지된 기법을 사용함으로써 테이프의 바람직한 너비 및/또는 길이로 절단할 수 있다.
필요하다면, 많은 부가적 단계가 임의적으로 실시될 수도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테이프는 일축 연신되거나 이축 연신될 수 있고, 후경화(예를 들면, 가열, 전자식 복사 등을 통해)될 수 있거나, 또는 다양한 점착성-저하제가 살포될 수도 있다. 또한, 이때 LAB 피복물이 도포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다음의 비제한적인 실시예에 참조적으로 부가 기술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다음의 시험 방법에 따라 하기 성질들이 시험된다:
[시험 방법]
본 발명에 기술된 테이프는 하기 시험 방법으로 특성 규명된다:
ASTM-D412 : 절단점 인장 연신에 대한 시험법.
[실시예 1]
본 발명에 의한 동시 압출된 압감 접착 테이프는 3층의 동시 압출 원료 공급 블록에 연결된 단일 매니폴드 압출 다이를 사용함으로써 제조하였다. 이 다이는 익스트루젼 다이스 인코오포레이티드(Chippewa Falls, WI)에 의해 조립된 모델 UltraflexTM140이다. 이것의 내부 유동 채널은 유입구 채널, 제1 매니풀드, 제2 매니폴드 및 최종 랜드로 구성되어 있다. 이 다이는 수동 조정되는 가요성 입구와 다이의 각 반쪽에 하나씩 존제하는 2개의 독립 조절된 온도 구역을 갖고 있다. 다이 오리피스는 너비가 25.4cm(10in.)이며, 0.1016cm(0.040in.)의 높이로 절단된다. 이 다이의 유입구 채널은 다이에 볼트로 조여진 원료 공급 블록의 배출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디자인된다. 이 원료 공급 블록은 클로렌 컴패니(Orange, TX)에 의해 제작된 것이다. 이것은 3개의 유입구, 선별기 플러그, 3개의 매니폴드, 이 매니폴드들 사이의 2개의 조정 가능한 베인(vane), 및 2개의 분배 핀을 갖고 있다. 이 원료 공급 블록은 2개의 독립 조절되는 온도 구역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은 예에는 외측의 2개의 원료 공급 블록의 매니폴드에 동일한 압출기로부터의 동일한 중합체가 주입되도록 ABA 선별기 플러그를 사용한다. 총 횡단면적이 3개로 분할되도록 조정 가능한 베인을 놓는다. 종단면은 분배 핀으로 나누지 않았다.
고온-용융 아크릴레이트 압출 가공 장치로부터의 전송관을 원료 공급 블록의 "A" 유입구에 장착시켰다. 이것은 5.08cm(2in.) 직경의 단일 스크류 압출기(Berlyn Corp., Worcester, MA)에 이 압출기의 3번 구역에 있는 유입구를 통해 캐스캐이드로 결합된 본노트(Bonnot) 배치-오프 압출기로 구성된다. 이 압출기는 전기 가열되고 수냉각된다. 이 압출기의 두부에는 베를린 스크린 팩 및 니콜스 제니쓰 PEP 기어 펌프(Parker Hannifin Corp. 사로부터 입수 용이함, 매사츄세츠 월텀 소재)가 사용되었다.
지지체 수지를 가공 처리하기 위해 3.175cm(1.25in.) 직경의 단일 스크류 압출기(Killion Extruders, Inc. 로부터 입수 용이함. 뉴저어지 세다 그로브 소재)로부터의 전송관을 원료 공급 블록의 "B" 유입구에 장착시켰다. 이 압출기는 본 실시예에 사용된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가공하기 위해 1단계의 단일 날개를 지닌 3:1 압착비를 산출하는 스크류를 사용했다. 이 압출기 바렐(barrel)은 전기 가열하고 공기 냉각시킨다.
상기 압출 장치는 다음의 온도 및 속도로 작동된다:
다이 온도, 구역 1 = 166℃(330℉)
다이 온도, 구역 2 = 166℃(330℉)
원료 공급 블록 온도, 구역 l = 166℃(330℉)
원료 공급 블록 온도, 구역 2 = 166℃(330℉)
PSA 압출기, 구역 3-7의 온도 =166℃(330℉)
기어 펌프 온도 = 166℃(330℉)
PSA 전송관 온도 = 166℃(330℉)
지지체 압출기, 구역 1 온도 = 138℃(280℉)
지지체 압출기, 구역 2 온도 = 216℃(420℉)
지지체 압출기, 구역 3 온도 = 249℃(480℉)
지지체 전송관 온도 = 249℃(480℉)
본노트 속도 설정 = 5
PSA 압출기 스크류 속도 = 38 RPM
기어 펌프 속도 = 33RPM
지지체 압출기 스크류 속도 = 42RPM
원료 공급 블록/단일 매니폴드 다이에는 주조 휠(로울 A)의 표면으로부터 1.0cm(0.4in.)내에 다이 오리피스가 대략 수평 위치로 장착되어 있다. 실리콘 도포된 종이 라이너를 로울 A상에 풀어 놓아 다이 오리피스로 유입되기 전에 로울 둘레의 약 1/4의 로울 표면과 접촉하도록 한다. 로울 A가 작동함에 따라 라이너가 오리피스를 통과해 이동하면서, 복합 용융물은 라이너 위에 놓이게 된다. 이 단계는 용융물과 유입되는 라이너 사이의 공기 포획을 최소화하기 위해 에어 나이프(Marshall and Williams Co. 사로부터 입수 용이함, 로데 아이슬랜드 프로비던스 소재)로부터의 공기의 충돌에 의해 보조된다. 로울 A의 온도는 그 로울의 내부를 통해 물을 순환시킴으로써 조절하였다. 이 온도 조절은 그 과정이 복합 테이프를 켄칭시키거나 서서히 냉각시킴으로써 최종 제품의 성질에 영향을 미치도록 한다. 로울 A는 직경이 30,5cm(12in.)이고 0.635cm(0.25in.)의 실리콘 고무로 피복되어 있다.
닙로울(로울 B)은 연속적인 웨브 취급 단계로부터 웨브 장력을 분리시키기 위한 웨브상의 닙으로서 작용했다. 로울 B는 직경이 15.2cm(6in.)였고,924호 플라즈마 피복물(Plasma Coatings Incorporated로부터 입수 용이함, 코네티컷 워터베리 소재)로 피복되어 있다. 로울 B는 또한 그 내부를 통해 물을 순환시킴으로써 온도 조절된다.
로울 B로부터 웨브를 분리시킨 후, 웨브 가장 자리를 다듬고, 라이너와 테이프를 축 구동 와인더를 사용하여 코어주위에 감았다.
실시예 1의 웨브 취급 장치는 다음의 온도 및 속도로 작동시켰다:
로울 A 온도 = 104℃(220℉)
로울 B 온도 = 38℃(100℉)
웨브 라인 속도 = 12.2m/분(40피트/분, FPM)
실시예 1에서 완성된 테이프를 하기에 기술한다. 아크릴레이트 압감 접착제는 Re 24,906의 실시예 5에 기술된 바와 같이 제조했다:
상면 접착제 조성물 - 아크릴레이트 압감 접착제
지지체 조성물-폴리프로필렌 엑손 EscoreneTM3014(12 용융 유속(MFR))
배면 접착제 조성물 - 아크릴레이트 압감 접착제
상면 접착제 두께 - 0.038mm(1.5mil)
지지체 두께 - 0.025mm(1.0mil)
배면 접착제 두께 - 0.038mm(1.5mil)
라이너-실리콘 피복된 종이, 60#(0.098kg/㎡)기본 중량
완성 테이프는 다음과 같은 성질을 갖고 있었다:
SS에 대한 180°박리 접착성, 상면-0.85N/mm(39oz/0.5inch)
SS에 대한 180°박리 접착성, 배면-0.74N/mm(34oz/0.5inch)
PP에 대한 180°박리 접착성, 상면-0.70N/mm(32oz/0.5inch)
PP에 대한 180°박리 접착성, 배면-0.59N/mm(26oz/0.5inch)
라이너 박리 - 0.59g 힘/mm
실온 전단력, 상면, 1000g-220분
실온 전단력, 배면, 1000g-450분
오븐 전단력, 70℃(158℉), 500g-18분
절단점 인장율 - 80%
[실시예 2]
하기의 가공 처리의 조절점군에서 제 2의 아크릴레이트 PSA 조성물을 가지고 실시예 1을 반복했다:
다이 온도, 구역 1 = 177℃(350℉)
다이 온도, 구역 2 = 177℃(350℉)
원료 공급 블록 온도, 구역 1 = 177℃(350℉)
원료 공급 블록 온도, 구역 2 = 177℃(350℉)
PSA 압출기, 구역 3-7의 온도 =177℃(350℉)
기어 펌프 온도 = 177℃(350℉)
PSA 전송관 온도 = 177℃(350℉)
지지체 압출기, 구역 1 온도 = 138℃(280℉)
지지체 압출기, 구역 2 온도 = 216℃(420℉)
지지체 압출기, 구역 3 온도 = 232℃(450℉)
지지체 전송관 온도 = 232℃(450℉)
본노트 속도 설정 = 2.8
PSA 압출기 스크류 속도 = 13 RPM
기어 펌프 속도 = 19RPM
지지체 압출기 스크류 속도 = 18RPM
실시예 2의 웨브 취급 장치는 실시예 1과 동일하나, 단, 웨브 속도가 5.48m/분(18FPM) 였다.
실시예 2의 완성 테이프를 하기 기술한다. 아크릴레이트 압감 접착제는 미국 특허 제4,833,179호의 설명에 따라 제조했다:
상면 접착제 조성물 - 아크릴레이트 압감 접착제
지지체 조성물-폴리프로필렌 엑손 EscoreneTM3014(12MFR)
배면 접착제 조성물 - 아크릴레이트 압감 접착제
배면 접착제 두께 - 0.038mm(1.5mil)
지지체 두께 - 0.025mm(1.0mil)
상면 접착제 두께 - 0.038mm(1.5mil)
라이너-실리콘 피복된 종이, 60#(0.098kg/㎡)기본 중량
실시예 2의 완성 테이프는 다음과 같은 성질을 갖고 있었다:
SS에 대한 180°박리 접착성, 상면-0.85N/mm(39oz/0.5inch)
SS에 대한 180°박리 접착성, 배면-0.72N/mm(34oz/0.5inch)
PP에 대한 180°박리 접착성, 상면-0.66N/mm(30oz/0.5inch)
PP에 대한 180°박리 접착성, 배면-0.55N/mm(25oz/0.5inch)
라이너 박리 - 0.59g 힘/mm
실온 전단력, 상면, 1000g-1500분
실온 전단력, 배면, 1000g-1500분
오븐 전단력, 70℃(158℉), 500g-500분
[실시예 3]
본 실시예에 사용된 압출 및 웨브 취급 장치 및 조건은 실시예 1에 사용된 것과 동일하였으나, 단 웨브 속도는 24m/분(80FPM)로 증가시켜 얇은 지지체 층을 지닌 0.051mm(2mil)의 두꺼운 테이프를 제조했다.
실시예 3에서 완성된 테이프를 하기에 기술한다.
상면 접착제 조성물 - 아크릴레이트 압감 접착제
지지체 조성물-폴리프로필렌 엑손 EscoreneTM3014(12 MFR)
배면 접착제 조성물 - 아크릴레이트 압감 접착제
상면 접착제 두께 - 0.019mm(0.75mil)
지지체 두께 - 0.013mm(0.5mil)
상면 접착제 두께 - 0.019mm(0.75mil)
라이너-실리콘 피복된 종이, 60#(0.098kg/㎡)기본 중량
완성 테이프는 다음과 같은 성질을 갖고 있었다:
SS에 대한 180°박리 접착성, 상면-0.64N/mm(29oz/0.5inch)
SS에 대한 180°박리 접착성, 배면-0.55N/mm(25oz/0.5inch)
PP에 대한 180°박리 접착성, 상면-0.54N/mm(24oz/0.5inch)
PP에 대한 180°박리 접착성, 배면-0.48N/mm(22oz/0.5inch)
라이너 박리 - 0.39g 힘/mm
실온 전단력, 상면, 1000g-190분
실온 전단력, 배면, 1000g-250분
오븐 전단력, 70℃(158℉), 500g-15분
[실시예 4]
본 실시예는 손으로 인열가능한 테이프를 예시한다. 이 테이프의 폴리프로필렌 백킹은 고온 접착제 외측 층으로 다중층 용융물내에 둘러싸인 중심 지지체층의 초-서냉 속도에 의해 가능한 결정질 형태학으로 인해 메짐성이 크게 된다. 특이 적인 압출 및 웨브 취급 매개 변수와 함께 동시압출에 의해 제공된 완전도포(blanketing) 효과는 손으로 찢어지는 테이프를 산출했다. 이러한 테이프는 전통적인 방법으로는 쉽게 제조할 수 없으나, 본 발명에 따르면 가능하고, 이것은 지지체 층이 복합 구조물의 일부로서 가공처리되기 때문이다.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압출 장치 및 웨브 취급 장치를 사용하여, 손으로 인열 가능한 테이프를 순수한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를 사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으며, 이것은 웨브 경로의 디자인이 상기 완전 도포된 테이프가 서냉할 수 있도록하기 때문이다. 또한, 웨브가 초기 냉각될 때까지 접착제 면의 접촉을 지연시킴으로써, 접착제 조직화를 최소화시켰다.
상기 압출 장치는 다음과 같은 온도 및 속도에서 작동되었다:
다이 온도, 구역 1 = 166℃(330℉)
다이 온도, 구역 2 = 166℃(330℉)
원료 공급 블록 온도, 구역 1 = 171℃(340℉)
원료 공급 블록 온도, 구역 2 = 171℃(340℉)
PSA 압출기, 구역 3-7의 온도 = 166℃(330℉)
기어 펌프 온도 = 166℃(330℉)
PSA 전송관 온도 = 166℃(330℉)
지지체 압출기, 구역 1 온도 = 138℃(280℉)
지지체 압출기, 구역 2 온도 = 209℃(408℉)
지지체 압출기, 구역 3 온도 = 277℃(530℉)
지지체 전송관 온도 = 277℃(530℉)
본노트 속도 설정 = 1
PSA 압출기 스크류 속도 = 10 RPM
기어 펌프 속도 = 6RPM
지지체 압출기 스크류 속도 = 6RPM
웨브 취급 장치는 다음의 온도 및 속도로 작동시켰다:
로울 A 온도 = 104.4℃(220℉)
로울 B 온도 = 37.7℃(100℉)
웨브 라인 속도 = 2.65m/분(8.7 FPM)
실시예 1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접착제를 이용한 완성 테이프를 하기에 기술 한다:
상면 접착제 조성물 - 아크릴레이트 압감 접착제
지지체 조성물-폴리프로필렌 엑손 EscoreneTM3014(12 MFR)
배면 접착제 조성물 - 아크릴레이트 압감 접착제
상면 접착제 두께 - 0.038mm(1.5mil)
지지체 두께 - 0.025mm(1.0mil)
배면 접착제 두께 - 0.038mm(l.5mil)
라이너-실리콘 피복된 종이, 60#(0.098kg/㎡)기본 중량
완성 테이프는 절단점에서 l1% 인장율을 나타냈다. 라이너 상의 일정 길이의 테이프를 2.54cm(1in.) 너비의 테이프 로울로부터 분리시켰다. 이것은 웨브를 따라 손으로 찢어졌고 매끄럽고 균일한 수 인열성을 나타냈다.
[실시예 5]
본 실시예는 손으로 인열 가능한 또 다른 테이프를 예시한다. 지지체로서 폴리프로필렌계 배합물을 사용했다. 실시예 4에서와 동일한 가공 처리 조건을 사용했다.
실시예 1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접착제를 이용한 완성 테이프를 하기 기술한다:
상면 접착제 조성물 - 아크릴레이트 압감 접착제
지지체 조성물-66% 폴리프로필렌 엑손 EscoreneTM3014,
2%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듀퐁 ElVaXTM3190,
30%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롬 앤드 하아스 VMl00,
2% 푸른색 농축물 폴리프로필렌 마스터 배치(C.B.Edwards 로부터 입수용이함, 미네소타 미네아폴리스 거주).
배면 접착제 조성물 - 아크릴레이트 압감 접착제
상면 접착제 두께 - 0.038mm(1.5mil)
지지체 두께 - 0.025mm(1.0mil)
배면 접착제 두께 - 0.038mm(1.5mil)
라이너-실리콘 피복된 종이, 60#(0.098kg/㎡)기본 중량
완성 테이프는 절단점에서 5% 인장율을 나타냈다. 라이너상의 일정 길이의 테이프를 2.54cm(lin.)너비의 테이프 로울로부터 분리시켰다. 이것은 웨브를 따라 손으로 찢어졌고 매끄럽고 균일한 수인열성을 나타냈다.
[실시예 6]
실시예 6을 제조하기 위해, 실시예 1의 원료 공급 블록/다이에 전술한 고온 용융 아크릴레이트 장치 대신 고온 용융 합성 고무 PSA 장치를 장착시켰다. 그라코 LTI(Monterey, CA)에 의해 디자인되고 제조된 드럼 언로우더를 사용하여 쉘 KratonTM1107 공중합체 100중량부 및 쉘 WingtackTM점착화제 100중량부를 함유하는 예비혼합된 합성 고무 PSA를 재용융시키고 펌프 주입시켰다. 드럼 언로우더는 가열판과 내부기어 펌프를 갖고 있어 PSA 조성물을 용융시키고 펌프 주입시킬 수 있다. 이 장치를 클로렌 동시 압출 원료 공급 블록의 "A"유입구에 장착시켰다.
압출 장치는 다음과 같은 온도 및 속도로 작동시켰다:
다이 온도, 구역 1 = 166℃(320℉)
다이 온도, 구역 2 = 166℃(320℉)
원료 공급 블록 온도, 구역 1 = 177℃(350℉)
원료 공급 블록 온도, 구역 2 = 177℃(350℉)
드럼 언로우더 열판 온도 = 166℃(330℉)
드럼 언로우더 호스 온도 = 171℃(340℉)
지지체 압출기, 구역 1 온도 = 143℃(290℉)
지지체 압출기, 구역 2 온도 = 204℃(400℉)
지지체 압출기, 구역 3 온도 = 215℃(420℉)
지지체 전송관 온도 = 215℃(420℉)
드럼 언로우더 펌프 속도 = 33RPM
지지체 압출기 스크류 속도 = 44RPM
웨브 취급 장치는 다음과 같은 조건에서 작동시켰다:
로울 A 온도 = 38℃(100℉)
로울 B 온도 = 38℃(100℉)
웨브 라인 속도 = 9.8m/분(32 FPM)
완성 테이프를 하기 기술한다:
상면 접착제 조성물 - KratonTM/WingtackTM
지지체 조성물 - 폴리프르필렌 엑손 EscoreneTM3085(35MFR)
배면 접착제 조성물 - KratonTM/WingtackTM
상면 접착제 두께 - 0.081mm(3.25mil)
지지체 두께 - 0.051mm(2.0mil)
배면 접착제 두께 - 0.081mm(3.25mil)
라이너-실리콘 피복된 종이, 60#(0.098kg/㎡)기본 중량
완성 테이프는 다음과 같은 성질을 갖고 있다:
강철에 대한 180°접착성-1.66N/mm(76oz/0.5inch)
PP에 대한 180°접착성-1.64N/mm(75oz/0.5inch)
라이너 박리 - 1.8g 힘/mm
실온 전단력, 1000g-10,000분
오븐 전단력, 70℃(158℉), 500g-6000분
[실시예 7]
본 실시예는 다음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6과 유사하다. 클로렌 컴패니(Orange, TX)에서 제조한 66cm(26inch)너비의 단일 매니폴드 다이를 사용했다. 이 다이는 이것의 너비를 따라 독립적으로 조절되는 온도 구역을 3개 갖고 있다. 지지체 층을 가공 처리하는데에는 5.08cm(2inch)직경의 단일 스크류 압출기(Killion Extruders, Inc. 로부터 입수 용이함, Cedar Grove, NJ)를 사용했다. 클로렌 원료 공급 블록내의 베인들을 조정하여 반대편 양쪽의 외측 접착제 층사이에 상이한 층 두께를 제공했다.
압출 장치는 다음과 같은 온도 및 속도로 작동시켰다:
다이 온도, 구역 1 = 182℃(360℉)
다이 온도, 구역 2 = 182℃(360℉)
다이 온도, 구역 3 = 182℃(360℉)
원료 공급 블록 온도, 구역 1 = 182℃(360℉)
원료 공급 블록 온도, 구역 2 = 182℃(360℉)
드럼 언로우더 열판 온도 = 182℃(360℉)
드럼 언로우더 호스 온도 = 182℃(360℉)
지지체 압출기, 구역 1 온도 = 138℃(280℉)
지지체 압출기, 구역 2 온도 = 193℃(380℉)
지지체 압출기, 구역 3 온도 = 227℃(440℉)
지지체 압출기, 구역 4 온도 = 227℃(440℉)
지지체 전송관 온도 = 227℃(440℉)
드럼 언로우더 펌프 속도 = 32RPM
지지체 압출기 스크류 속도 = 25RPM
웨브 취급 장치는 다음과 같은 조건에서 작동시켰다.
로울 A 온도 = 18℃(65℉)
로울 B 온도 = 18℃(65℉)
웨브 라인 속도 = 15.2m/분(50 FPM)
완성 테이프를 하기 기술한다:
상면 접착제 조성물 - KratonTM/WingtackTM
지지체 조성물 - 폴리프로필렌/폴리에틸렌 공중합체, 쉘 케미칼 컴패니 DS 7C○ 4N
배면 접착제 조성물 - KratonTM/WingtackTM
상면 접착제 두께 - 0.056mm(2.2mil)
지지체 두께 - 0.020mm(0.8mil)
배면 접착제 두께 - 0.020mm(0.8mil)
라이너-실리콘 피복된 종이, 78#(0.127kg/㎡)기본 중량
[실시예 8]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7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압출 장치 및 웨브 취급 장치를 사용했다. 지지체 층 압출기의 유동 속도를 접착제 유동 속도에 비해 현저히 감소시켜 0.005mm(0.2mil)이하의 두께를 갖는 지지체를 함유한 테이프를 제조했다.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조하기가 어려운 본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 가능하며, 이것은 지지체 층이 항상 보다 큰 복합구조물의 일부로서 가공 처리되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는 또한 접착제 층의 완전 도포 효과를 이용하여 가압될 때 라이너로부터 깨끗하게 절단되는 낮은 모듈러스의 테이프를 제조했다. 본 실시예의 테이프는 상업적 및 공업적 접착제 전이 테이프 적용기에 유용하다.
압출 장치는 다음의 온도 및 속도로 작동시켰다:
다이 온도, 구역 1 = 182℃(360℉)
다이 온도, 구역 2 = 182℃(360℉)
다이 온도, 구역 3 = 182℃(360℉)
원료 공급 블록 온도, 구역 1 = 182℃(360℉)
원료 공급 블록 온도, 구역 2 = 182℃(360℉)
드럼 언로우더 열판 온도 = 182℃(360℉)
드럼 언로우더 호스 온도 = 182℃(360℉)
지지체 압출기, 구역 1 온도 = 138℃(280℉)
지지체 압출기, 구역 2 온도 = 193℃(380℉)
지지체 압출기, 구역 3 온도 = 227℃(440℉)
지지체 압출기, 구역 4 온도 = 227℃(440℉)
지지체 전송관 온도 = 227℃(440℉)
드럼 언로우더 펌프 속도 = 40RPM
지지체 압출기 스크류 속도 = 6RPM
웨브 취급 장치는 다음과 같은 조건에서 작동시켰다.
로울 A 온도 = 104℃(220℉)
로울 B 온도 = 18℃(65℉)
웨브 라인 속도 = 24.4m/분(80 FPM)
완성 테이프를 하기 기술한다:
상면 접착제 조성물 - KratonTM/WingtackTM
지지체 조성물 - 폴리프로필렌/폴리에틸렌 공중합체, 쉘 케미칼 컴패니 DS 7C○4N
배면 접착제 조성물 - KratonTM/WingtackTM
상면 접착제 두께 - 0.024mm(0.95mil)
지지체 두께 - 0.003mm(0.12mil)
배면 접착제 두께 - 0.024mm(0.95mil)
라이너-실리콘 피복된 종이, 42#(0.065kg/㎡)기본 중량
[실시예 9]
본 실시예는 예비 혼합된 합성 고무 접착제를 제용융시키는 드럼 언로우더를 쌍-스크류 혼합 압출기(American Leistritz Extruder Corp. 으로부터 입수 용이함, Somerville, NJ)에 장착하고, 이 압출기는 원료 공급 블록에 장착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6과 유사하다. 이것은 2가지 고체를 무수 유입시켜 접착제 조성물내에 혼합되도록 하였다. 이 고체는 난연제 화합물이다. 클로렌 원료 공급 블록내의 베인들을 조정하여 2개의 반대편 양쪽의 외측 접착제 층사이에 상이한 층 두께를 제공했다.
압출장치는 다음의 온도 및 속도로 작동시켰다:
다이 온도, 구역 1 = 160℃(320℉)
다이 온도, 구역 2 = 160℃(320℉)
원료 공급블록 온도, 구역 1 = 177℃(350℉)
원료 공급블록 온도, 구역 2 = 177℃(350℉)
드럼 언로우더 열판 온도 = 160℃(320℉)
드럼 언로우더 호스 온도 = 160℃(320℉)
지지체 압출기, 구역 1 온도 = 149℃(300℉)
지지체 압출기, 구역 2 온도 = 177℃(350℉)
지지체 압출기, 구역 3 온도 = 232℃(450℉)
지지체 전송관 온도 = 232℃(450℉)
배합기, 구역 1 온도 = l21℃(250℉)
배합기, 구역 2 온도 = 132℃(270℉)
배합기, 구역 3 온도 = 149℃(300℉)
배합기, 구역 4 온도 = 160℃(320℉)
배합기 전송관 온도 = 160℃(320℉)
드럼 언로우더 펌프 속도 = 14RPM
지지체 압출기 스크류 속도 = 9RPM
배합기 스크류 속도 = 99RPM
웨브 취급 장치는 다음과 같은 조건에서 작동시켰다:
로울 A 온도 = 38℃(l00℉)
로울 B 온도 = 38℃(100℉)
웨브 라인 속도 = 7.3m/분(24 FPM)
완성 테이프를 하기 기술한다:
상면 접착제 조성물 - 85중량%의 KratonTM/WingtackTM,
15중량%의 난연 첨가제(데카브로모디페닐 옥사이드3부/안티모니 트리옥사이드 1부)
지지체 조성물 - 폴리프로필렌 엑손 EscoreneTM3085
배면 접착제 조성물 - 85중량%의 KratonTM/WingtackTM,
15중량%의 난연첨가제(데카브르모디페닐 옥사이드 3부/안티모니 트리옥사이드 1부)
상면 접착제 두께 - 0.076mm(3mil)
지지체 두께 - 0.038mm(1.5mil)
배면 접착제 두께 - 0.038mm(1.5mil)
라이너-실리콘 피복된 종이, 60#(0.098kg/㎡)기본 중량
완성 테이프는 다음과 같은 성질을 갖고 있다:
SS에 대한 90° 접착성-1.66N/mm(32oz/0.5inch)
PP에 대한 90°접착성-1.64N/mm(35oz/0.5inch)
실온 전단력, 1500g-10,000분
오븐 전단력, 70℃, 500g-1795분
FAR 25.853 수직 버언(burn), 길이-14cm(5.5in.)
FAR 25.853 수직 버언, 소화 시간-0초
[실시예 10]
보다 강인한 테이프 구조물을 예시하기 위해, 실시예 6의 압출 및 웨브 취장치를 이하에 기술된 조건에서 사용하여 선형의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비교적 두꺼운 지지체 층을 지닌 테이프를 가공하였다.
압출 장치는 다음과 같은 온도 및 속도로 작동시켰다:
다이 온도, 구역 1 = 176℃(350℉)
다이 온도, 구역 2 = 176℃(350℉)
원료 공급 블록 온도, 구역 1 = 193℃(380℉)
원료 공급 블록 온도, 구역 2 = 193℃(380℉)
드럼 언로우더 열판 온도 = 171℃(340℉)
드럼 언로우더 호스 온도 = 166℃(330℉)
지지체 압출기, 구역 1 온도 = 149℃(300℉)
지지체 압출기, 구역 2 온도 = 177℃(350℉)
지지체 압출기, 구역 3 온도 = 221℃(430℉)
지지체 전송관 온도 = 221℃(430℉)
드럼 언로우더 펌프 속도 = 40RPM
지지체 압출기 스크류 속도 = 41RPM
웨브 취급 장치는 다음과 같은 조건에서 작동시켰다:
로울 A 온도 = 49℃(120℉)
로울 B 온도 = 24℃(75℉)
웨브 라인 속도 = 4.9m/분(16 FPM)
완성 테이프를 하기 기술한다:
상면 접착제 조성물 - KratonTM/WingtackTM
지지체 조성물 -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다우 DowlexTM3085
배면 접착제 조성물 - KratonTM/WingtackTM
상면 접착제 두께 - 0.030mm(1.2mil)
지지체 두께 - 0.122mm(4.8mil)
배면 접착제 두께 - 0.030mm(1.2mil)
라이너-실리콘 피복된 종이, 60#(0.098kg/㎡)기본 중량
기계적 특성-강인하고 신장성.
[실시예 11]
본 실시예는 발포된 열가소성 백킹층을 가진 동시 압출된 양면 압감 접착제테이프를 예시한다. 백킹층은 화학적 발포제를 사용하여 발포시켰으나, 다른 기계적 또는 물리적 발포제도 사용될 수 있다.
발포된 백킹은 다음과 같은 여러가지 잇점을 제공한다:
1) 높은 현도(loft) 테이프-카페트를 바닥에 부착시키는 것과 같은 일부 적용예에 중요함.
2) 감소된 밀도-중량 감수성 적용예에 대한 잇점.
3) 특이적인 기계적 성질-기포는 독특한 압축, 진동 및 부하 회복성을 갖고 있다.
본 실시예는 단축된 최종 랜드 길이를 지닌 25.4cm(10in.) 너비의 단일 매니폴드 다이를 통상적인 매니폴드 다이(Extrusion Dies. Inc. 사로부터 입수 용이함, Chippewa Fal1s, WI)대신 대체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6에 사용된 일반적인 압출 및 웨브 취급 장치를 사용했다. 이 다이는 제 2의 매니폴드를 갖고 있지 않았다. 이 화학적 발포제를 지지체 층 압출기내로 병입시키기 위해, 이 성분을 회분 방식으로 무수 배합시킨 후 압출기 호퍼로 전이시킨다. 본 실시예에 사용된 화학적 발포제는 SafoamTMFP(Reedy International Corp. 로부터 입수 용이함, NJ)이다. 이 화학적 발포제는 압출 과정 동안 이산화탄소와 질소로 분해하고, 지지체층이 다이로부터 주위 대기 압력으로 방출될때 기체는 팽창하여 기포 셀을 형성시킨다.
압출 장치는 다음과 같은 온도 및 속도로 작동시켰다:
다이 온도, 구역 1 = 160℃(320℉)
다이 온도, 구역 2 = 160℃(320℉)
원료 공급 블록 온도, 구역 1 = 177℃(350℉)
원료 공급 블록 온도, 구역 2 = 177℃(350℉)
드럼 언로우더 열판 온도 = 160℃(320℉)
드럼 언로우더 호스 온도 = 160℃(320℉)
지지체 압출기, 구역 1 온도 = 149℃(300℉)
지지체 압출기, 구역 2 온도 = 204℃(400℉)
지지체 압출기, 구역 3 온도 = 232℃(450℉)
지지체 전송관 온도 = 215℃(420℉)
드럼 언로우더 펌프 속도 = 20RPM
지지체 압출기 스크류 속도 = 42RPM
웨브 취급 장치는 다음과 같은 조건에서 작동시켰다:
로울 A 온도 = 66℃(150℉)
로울 B 온도 = 66℃(150℉)
웨브 라인 속도 = 5.2m/분(17 FPM)
완성 테이프를 하기 기술한다:
상면 접착제 조성물 - KratonTM/WingtackTM
지지체 조성물 - 99·5중량% 저밀도 폴리에틸렌, 이스트만 TeniteTM1550P, 0.5중량% 리디 SafoamTMFP(활성 상태)
배면 접착제 조성물 - KratonTM/WingtackTM
상면 접착제 두께 - 0.102mm(4mil)
지지체 두께 - 0.330mm(13mil)
배면 접착제 두께 - 0.051mm(2mil)
라이너-실리콘 피복된 종이, 60#(0.098kg/㎡)기본 중량
[실시예 12]
본 실시예에서는 45.72cm(18in.)녀비의 3개의 매니폴드 "베인" 다이를 사용했다(Cloeren Company로부터 입수 용이함, Orange, TX). 이 다이를 변형시켜 지지체 물질의 경로에 삽입물을 제공하여 지지체 물질의 스트림을 소정의 수의 개개의 스트림으로 분할시켰다. 이 스트림들은 연속적인 기계 진행 방향(즉, 웨브 아래 방향)으로 지지체 물질의 가닥을 제공했다. 이 가닥들은 삽입물의 입체에 의해 규정된 간격을 두고 웨브 횡방향으로 배치된 접착제에 의해 서로 분리되어 있다. 이 접착제는 압출물의 맞은 편 표면위의 섬유들을 덮는다.
지지체 도메인들 사이의 접착제 부피보다 비교적 얇은 지지체 도메인들 상에 직접 접촉하고 있는 접착제 층으로 인해, 적용되는 힘에 따라 기제에 대한 테이프의 매우 상이한 접착성을 얻을 수 있다. 높은 법선력(normal force)은 가닥 사이의 접착제에 대해 기제를 노출시키면서 가닥을 변형시킨다.
본 실시예는 인장 성질, 인열 저항, 접착성 및 전단력에 있어서 극한 이방성을 나타낸다.
상기 다이와 함께 사용된 압출기 및 웨브 취급 장치는 실시예 6에서 사용된 것과 유사하다.
압출 장치는 다음과 같은 온도 및 속도로 작동시켰다:
다이 온도, 구역 1 = 182℃(360℉)
다이 온도, 구역 2 = 182℃(360℉)
드럼 언로우더 열판 온도 = 160℃(320℉)
드럼 언로우더 호스 온도 = 160℃(320℉)
지지체 압출기, 구역 1 온도 = 138℃(280℉)
지지체 압출기, 구역 2 온도 = 193℃(380℉)
지지체 압출기, 구역 3 온도 = 210℃(410℉)
지지체 전송관 온도 = 204℃(400℉)
드럼 언로우더 펌프 속도 = 50RPM
지지체 압출기 스크류 속도 = 7.3RPM
웨브 취급 장치는 다음과 같은 조건에서 작동시켰다:
로울 A 온도 = 38℃(100℉)
로울 B 온도 = 16℃(60℉)
웨브 라인 속도 = 5.48m/분(18 FPM)
완성 테이프를 하기 기술한다:
상면 접착제 조성물 - KratonTM/WingtackTM
지지체 조성물 - 폴리프로필렌 엑손 EscoreneTM3085(35MFR)
배면 접착제 조성물 - KratonTM/WingtackTM
공칭 총 두께 - 0.102mm(4.0mil)
지지체 도메인 직경 - 0.081mm(3.25mil)
라이너-실리콘 피복된 종이, 60#(0.098kg/㎡)기본 중량
이 테이프는 2.54cm(in.) 너비당 약 6개의 가닥을 갖고 있다.

Claims (5)

  1. 제1 및 제2 동시 용융 가공처리된 압감 접착제 층들(16, 18)의 통합 구조물을 포함하는 일반적으로 점착성인 압감 접착제의 양쪽 외측 표면(12, 14)를 지닌 복합 테이프(1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압감 접착제 층들 사이에 동시 용융 가공 처리된 하나 이상의 제3층(19)을 추가로 포함하며, 그 구조물은 닙을 통과하기 전에 먼저 냉각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테이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층과 하나 이상의 상기 압감 접착제층 사이에 중간층(11, 13)을 추가로 포함하는 복합 테이프.
  4. a) 제1 및 제2 압감 접착제 조성물의 2 이상의 용융 스트림(102, 112)을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스트림을 제1 및 제2 외측 표면상에 상기 제1 및 제2 접착제 조성물을 갖고 있는 하나의 통합된 용융 구조물로 결합시키는 단계;
    c) 상기 통합된 용융 구조물을 고체 기제(150) 상에 침착시켜 상기 제1 표면은 상기 기제에 접촉한 상태이고 상기 표면은 유리 상태의 표면이도록 하는 단계; 및
    d) 상기 용융 구조물을 냉각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용융 가공처리에 의한 압감 접착제 테이프(10)의 제조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aa) 상기 단계 b)의 통합 구조물내에 결합되는 제3의 압출성 물질의 용융 스트림(122)을 상기 제1 및 제2 압감 접착제 조성물 사이에 제공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KR1019940701036A 1991-10-01 1992-08-27 동시 압출된 압감 접착 테이프 및 이의 제조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2540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6954891A 1991-10-01 1991-10-01
US07/769/548 1991-10-01
PCT/US1992/007277 WO1993007228A1 (en) 1991-10-01 1992-08-27 Coextru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and method of mak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54084B1 true KR100254084B1 (ko) 2000-04-15

Family

ID=25085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701036A Expired - Fee Related KR100254084B1 (ko) 1991-10-01 1992-08-27 동시 압출된 압감 접착 테이프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5660922A (ko)
EP (1) EP0615537B1 (ko)
JP (1) JPH06511507A (ko)
KR (1) KR100254084B1 (ko)
BR (1) BR9206560A (ko)
CA (1) CA2116679C (ko)
DE (1) DE69233281T2 (ko)
MX (1) MX9205406A (ko)
WO (1) WO199300722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2451A (ko) * 2006-12-29 2008-07-03 박태순 치아 인상용 트레이 유니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89122A (en) * 1991-10-01 1996-12-31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Method of making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USRE36855E (en) * 1992-11-06 2000-09-0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olventless compounding and coating of non-thermoplastic hydrocarbon elastomers
US5539033A (en) * 1992-11-06 1996-07-23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Solventless compounding and coating of non-thermoplastic hydrocarbon elastomers
WO1995016754A1 (en) * 1993-12-14 1995-06-22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and method of making
US6632522B1 (en) 1995-02-16 2003-10-1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Blen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s
US6630238B2 (en) 1995-02-16 2003-10-0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Blen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s
US6063838A (en) * 1995-02-16 2000-05-1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Blen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s
US5605717A (en) * 1995-06-01 1997-02-25 Morgan Adhesives Company Process for foaming an adhesive using moisture in a backing
US6126528A (en) * 1995-09-18 2000-10-0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reformed ophthalmic lens base block with textured surface
US5916017A (en) * 1995-09-18 1999-06-29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Preformed ophthalmic lens base block
US5885700A (en) * 1995-09-18 1999-03-23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Thermoplastic lens blocking material
US5763075A (en) * 1996-09-13 1998-06-09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Polycaprolactone lens blocking material
US5795834A (en) * 1995-12-22 1998-08-18 Minnesota Mining & Manufacturing Company Adhesive tape and method of making
US5843230A (en) * 1996-07-02 1998-12-01 Avery Dennison Sealing system for improved applicator die
US5851566A (en) * 1996-07-02 1998-12-22 Avery Dennison Applicator die
US5926393A (en) * 1996-10-11 1999-07-20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for designing a profile extrusion die plate for shaping a polymer resin into a profile
US5773080A (en) * 1997-04-17 1998-06-30 Simmons; George Pattern coating of thick film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DE19716996C1 (de) * 1997-04-23 1998-06-04 Beiersdor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druckempfindlichen doppelseitigen Klebebands auf Kautschukbasis
DE19719647A1 (de) * 1997-05-09 1998-11-12 Beiersdorf Ag Thermisch härtbare, haftklebrige Folie
JP3516035B2 (ja) 1997-05-13 2004-04-05 綜研化学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
US6197419B1 (en) 1997-09-19 2001-03-06 3M Innovative Properties Co. Blended adhesives and articles incorporating the same
US6045895A (en) * 1997-12-01 2000-04-0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ultilayer films having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s
DE19757426A1 (de) * 1997-12-23 1999-07-01 Beiersdorf Ag Mehrlagiges Klebeband
TW406018B (en) * 1998-05-21 2000-09-21 Elan Corp Plc Improved adhesive system for medical devices
US6177190B1 (en) 1998-05-29 2001-01-2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Radiation curable poly(1-alkene) based pressure-sensitive adhesives
US6103152A (en) * 1998-07-31 2000-08-15 3M Innovative Properties Co. Articles that include a polymer foam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GB9818561D0 (en) * 1998-08-27 1998-10-21 Ucb Sa Cellulose films
WO2000013888A1 (en) * 1998-09-04 2000-03-16 Avery Dennison Corporation Coextruded adhesive constructions
US6451398B1 (en) 1998-11-24 2002-09-17 Michael S. Sylvester Double-sided self-adhesive reinforced foam tape
US6190751B1 (en) 1998-11-24 2001-02-20 Michael S. Sylvester Self-adhesive reinforced foam gasket
US6171689B1 (en) 1999-01-15 2001-01-0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lame retardant microporous materials
US6331343B1 (en) 1999-05-07 2001-12-1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ilms having a fibrillated surface and method of making
US6586073B2 (en) 1999-05-07 2003-07-0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ilms having a microfibrillated surface and method of making
US6927315B1 (en) 1999-07-30 2005-08-0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dhesive composite having distinct phases
US6447875B1 (en) * 1999-07-30 2002-09-1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olymeric articles having embedded phases
CA2384132A1 (en) 1999-10-15 2001-04-2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onformable multilayer films
US6656307B2 (en) 1999-11-24 2003-12-0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 of making signs having metalized cube corner sheeting
US6630531B1 (en) 2000-02-02 2003-10-0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dhesive for bonding to low surface energy surfaces
US20030211308A1 (en) 2001-02-02 2003-11-13 Khandpur Ashish K Adhesive for bonding to low surface energy surfaces
US6379791B1 (en) 2000-02-08 2002-04-3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ompatibilized pressure-sensitive adhesives
DE10007060A1 (de) * 2000-02-16 2001-12-20 Beiersdorf Ag Selbstklebende Schutzfolie insbesondere für lackierte Fahrzeuge oder Fahrzeugteile
US7519544B1 (en) * 2000-04-24 2009-04-14 Ncr Corporation Material browser
US6544643B1 (en) 2000-09-26 2003-04-0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mprising poly(1-alkene) elastomer and multifunctional (meth)acrylate, articles prepared therefrom and a method of making
US20030099780A1 (en) * 2001-03-29 2003-05-2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s for making glass fiber reinforced materials
US6416857B1 (en) 2000-10-25 2002-07-0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Tamper indicating device
US6541098B2 (en) 2000-12-22 2003-04-01 Avery Dennison Corporation Three-dimensional flexible adhesive film structures
US7078582B2 (en) 2001-01-17 2006-07-1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tretch removable adhesive articles and methods
US6531212B2 (en) 2001-02-14 2003-03-1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Retroreflective article and method
US6531214B2 (en) 2001-02-14 2003-03-1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Replacement for plasticized polyvinyl chloride
US6894204B2 (en) 2001-05-02 2005-05-1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Tapered stretch removable adhesive articles and methods
US6680114B2 (en) 2001-05-15 2004-01-2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ibrous films and articles from microlayer substrates
US6641914B2 (en) * 2001-05-29 2003-11-04 Exxonmobil Oil Corporation HDPE label film
US6645618B2 (en) 2001-06-15 2003-11-1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liphatic polyester microfibers, microfibrillated articles and use thereof
US6745546B2 (en) * 2001-11-02 2004-06-08 R.P. Scherer Technologies, Inc. Encapsulation machine with valved injection wedge
US6884060B2 (en) * 2001-11-02 2005-04-26 R.P. Scherer Technologies, Inc. Apparatus for manufacturing encapsulated products
US6808657B2 (en) * 2002-02-12 2004-10-2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rocess for preparing a K-type polarizer
US6866928B2 (en) * 2002-04-08 2005-03-1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leanly removable tapes and method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US6890649B2 (en) * 2002-04-26 2005-05-1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liphatic polyester microfibers, microfibrillated articles and use thereof
US6858290B2 (en) 2002-05-29 2005-02-2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luid repellent microporous materials
BRPI0409596A (pt) * 2003-04-21 2006-05-02 3M Innovative Properties Co dispositivo de indicação de violação, e, artigo
US6912798B2 (en) * 2003-05-28 2005-07-05 Schreiber Foods, Inc. Removable boxing tape
US20040265565A1 (en) * 2003-06-30 2004-12-30 Fischer Patrick J. Microporous article containing flame retardant
US7270723B2 (en) 2003-11-07 2007-09-1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icroporous breathable elastic film laminates, methods of making same, and limited use or disposable product applications
US20050058829A1 (en) * 2003-09-16 2005-03-17 Nitto Denko Corporation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DE10357323A1 (de) 2003-12-05 2005-06-30 Tesa Ag Haftklebemasse
DE10357322A1 (de) * 2003-12-05 2005-06-30 Tesa Ag Zweischichtige Haftklebemasse
US20060013983A1 (en) * 2004-07-15 2006-01-1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dhesive delivery of oil and water repellents
US20060029799A1 (en) * 2004-08-03 2006-02-0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dhesive delivery of fluoroether repellents
DE102004045576A1 (de) * 2004-09-17 2006-03-30 Henkel Kgaa Klebeband
US20060068148A1 (en) * 2004-09-27 2006-03-30 Eaton Corporation Adhesive strip for forming a reminder rib in a grip
DE102004057382A1 (de) * 2004-11-26 2006-06-01 Huhtamaki Forchheim Zweigniederlassung Der Huhtamaki Deutschland Gmbh & Co. Kg Verfahren zur Herstellung dünner Schichten eines Silikons, dünnes Silikon und Verwendung
US20060147716A1 (en) * 2004-12-30 2006-07-06 Jaime Braverman Elastic films with reduced roll blocking capability, methods of making same, and limited use or disposable product applications incorporating same
US20070122630A1 (en) * 2005-11-08 2007-05-31 Worthen Industries Co-extrusion or tandem extrusion of surface protection films
FR2897693B1 (fr) * 2006-02-23 2008-11-21 Essilor Int Element optique polarisant comprenant un film polariseur et procede de farbrication d'un tel element
US20070254151A1 (en) * 2006-05-01 2007-11-01 Colucci Michael C System for concealing joints
JP5425376B2 (ja) * 2006-08-11 2014-02-26 日東電工株式会社 両面粘着テープ又はシート、および長尺帯状物の巻回体
DE102006043259A1 (de) * 2006-09-11 2008-06-19 Tesa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doppelseitigen Haftklebebandes und seine Verwendung
WO2008045500A2 (en) * 2006-10-11 2008-04-17 Gupta Laxmi C Laminate fire retardant systems and uses
US8481635B2 (en) * 2006-11-13 2013-07-09 Adherent Laboratories, Inc. Disposable article hot melt adhesive
US20080200890A1 (en) * 2006-12-11 2008-08-2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ntimicrobial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US9555167B2 (en) * 2006-12-11 2017-01-3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Biocompatible antimicrobial compositions
US20080153963A1 (en) * 2006-12-22 2008-06-2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 for making a dispersion
US20080220194A1 (en) * 2007-03-08 2008-09-11 Ross Alan Spalding Burnham Kit for adhesive products
US20100258977A1 (en) 2007-11-26 2010-10-1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s for Forming Microporous and Antimicrobial Articles
EP3266909A1 (en) 2008-06-12 2018-01-10 3M Innovative Properties Co. Melt blown fine fibers and methods of manufacture
CA2727701A1 (en) 2008-06-12 2009-12-1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Biocompatible hydrophilic compositions
WO2010080567A2 (en) 2008-12-19 2010-07-1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 of manufacturing adhesive articles
CN102272277A (zh) 2008-12-30 2011-12-07 3M创新有限公司 润滑剂组合物及形成方法
US8741819B2 (en) 2008-12-30 2014-06-0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omposite particles and method of forming
AU2010229841B2 (en) 2009-03-27 2013-10-0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Hydrophilic polypropylene melt additives
WO2010117612A2 (en) 2009-03-31 2010-10-1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Dimensionally stable nonwoven fibrous web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WO2010124003A1 (en) 2009-04-22 2010-10-28 W.F. Taylor Co., Inc. Carrier-free adhesive film
US8485916B2 (en) 2009-05-22 2013-07-16 Eaton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a reminder rib in a grip
CN102869490A (zh) * 2009-06-23 2013-01-09 波利威乐赞助有限公司 流延薄膜、微孔膜、以及它们的制备方法
US8272549B1 (en) 2009-09-30 2012-09-25 Corkren Steven M Offset, double-sided tape dispenser
JP2013515174A (ja) 2009-12-17 2013-05-02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寸法安定性不織布繊維ウェブ、メルトブローン微細繊維、並びにこれらの製造及び使用方法
US9194065B2 (en) * 2009-12-17 2015-11-2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Dimensionally stable nonwoven fibrous web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US8791207B2 (en) * 2010-01-15 2014-07-2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dhesive composition
BR112012021246A2 (pt) 2010-02-23 2018-04-03 3M Innovative Properties Co mantas fibrosas de não tecido dimensionalmente estáveis e métodos de preparo e uso das mesmas.
US20130004729A1 (en) * 2010-03-25 2013-01-03 Ausen Ronald W Composite layer
US8440926B2 (en) * 2010-06-09 2013-05-14 Apple Inc. Low profile tape structures
TW201221714A (en) 2010-10-14 2012-06-01 3M Innovative Properties Co Dimensionally stable nonwoven fibrous web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DE202011005157U1 (de) * 2011-04-12 2014-07-30 Rwr Patentverwaltung Gbr (Vertreten Durch Josef Und Michael Rothen, Harald Wallner) Materialverbund, Verwendung eines Materialverbunds, sowie Verpackung mit Materialverbund
JP5918665B2 (ja) * 2012-09-13 2016-05-18 株式会社ジェイエスピー ポリエチレン系樹脂発泡シートの製造方法
EP2906161B1 (en) 2012-10-12 2018-04-0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ulti-layer articles
BR112015009750B1 (pt) * 2012-11-06 2021-06-29 Braskem S.A. Método para preparo de uma poliolefina adesivada, e, artigo de manufatura
EP2945797B1 (en) * 2013-01-17 2022-04-13 Nirotek A.C.S. Ltd Transfer tape comprising adhesive for a protective wrap
EP2958969B1 (en) 2013-02-21 2021-08-2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elf-adhering tape comprising multilayers of polyolefin polymer materials and method
US10428189B2 (en) 2014-07-18 2019-10-01 Chroma Color Corporation Process and composition for well dispersed, highly loaded color masterbatch
US9969881B2 (en) 2014-07-18 2018-05-15 Carolina Color Corporation Process and composition for well-dispersed, highly loaded color masterbatch
KR20160113865A (ko) * 2015-03-23 2016-10-04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양면 코팅 테이프,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양면 코팅 테이프의 제조 방법
US20170113436A1 (en) * 2015-10-21 2017-04-27 Intertape Polymer Corp. Duct tape having a multi-layer adhesive system
JP6772507B2 (ja) * 2016-03-28 2020-10-2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記録媒体
EP3472241A1 (en) 2016-06-20 2019-04-2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elf-priming adhesive
CN105969235B (zh) * 2016-06-20 2019-07-09 宁德新能源科技有限公司 可拉伸胶带及可拉伸胶带制品
CN109476978A (zh) * 2016-07-27 2019-03-15 株式会社Moresco 热塑性粘合剂产品的制造方法和热塑性粘合剂产品的制造装置
WO2018022495A1 (en) 2016-07-29 2018-02-0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ultilayer films and adhesive tapes
WO2018200764A1 (en) 2017-04-28 2018-11-0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ultilayer psa foam articles
JP7162428B2 (ja) * 2018-01-12 2022-10-28 バンドー化学株式会社 不燃性化粧シート
CN112566974B (zh) 2018-08-13 2023-05-23 3M创新有限公司 胶粘剂组合物和制品
DE102019104842A1 (de) * 2019-02-26 2020-08-27 tremco illbruck GmbH Beidseitig mit Klebstoff beschichtete Folien
CN112778919A (zh) * 2020-12-31 2021-05-11 江阴升辉包装材料有限公司 一种用于汽车内饰的热粘结膜及其制备工艺
WO2025114863A1 (en) * 2023-12-01 2025-06-0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oextrusion dispensing head for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and thermoplastic elastomer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22570A (ja) * 1982-12-28 1984-07-16 Toppan Printing Co Ltd 感圧性粘着フイルム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32011A (en) * 1946-09-07 1950-11-28 Minnesota Mining & Mfg Liners and adhesive tapes having low adhesion polyvinyl carbamate coatings
BE511062A (ko) * 1949-10-27
IT610737A (ko) * 1955-11-18 1900-01-01
US3318852A (en) * 1965-04-05 1967-05-09 Minnesota Mining & Mfg Fluorine-containing polymers
GB1138362A (en) * 1965-04-15 1969-01-01 Dunlop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of material in sheet form
US3415920A (en) * 1965-08-19 1968-12-10 Dow Chemical Co Multilayer extrusion process
US3565737A (en) * 1965-11-26 1971-02-23 Dow Chemical Co Composite plastic sheet and method for the preparation thereof
US3389827A (en) * 1967-04-10 1968-06-25 Minnesota Mining & Mfg Easy-open container and sealing tape
FR1568124A (ko) * 1968-02-13 1969-05-23
DE1950963A1 (de) * 1969-10-09 1971-05-06 Siamp Cedap Reunies Breitschlitzduese zur Herstellung mehrschichtiger Bahnen
ZA718171B (en) * 1971-01-12 1972-09-27 Lavorazione Mat Plast Synthetic resin laminate and its manufacturing process
NL7503986A (nl) * 1974-04-11 1975-10-14 Basf Ag Werkwijze voor het inmengen van toevoegsels in kunststoffen onder gelijktijdig verwijderen van vluchtige bestanddelen.
JPS51566A (en) * 1974-06-25 1976-01-06 Japan Steel Works Ltd 2 jikubentogataoshidashiki
JPS5137935A (en) * 1974-09-27 1976-03-30 Nichiban Kk Nenchakushiitono seizohoho
US3985348A (en) * 1975-01-14 1976-10-12 W Bar E,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feeding a powdery material to a plasticized, pressurized polymer
NL189238C (nl) * 1976-02-18 1993-02-16 Montedison Spa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een gelaagd, geextrudeerd, meerlagig voorwerp uit thermoplastisch materiaal en aldus verkregen voorwerp.
US4206165A (en) * 1976-03-26 1980-06-03 Tri-Seal International, Inc. Method of co-extrusion with foam core
US4136071A (en) * 1976-05-18 1979-01-23 Johnson & Johnson Mixed block polymer adhesive
US4080348A (en) * 1976-05-18 1978-03-21 Johnson & Johnson Tacky adhesive
US4152387A (en) * 1976-05-21 1979-05-01 Peter Cloeren Method for forming multi-layer laminates
US4197069A (en) * 1976-05-21 1980-04-08 Peter Cloeren Variable thickness extrusion die
FR2386486A1 (fr) * 1977-04-07 1978-11-03 Montedison Spa Bioxyde de chrome ferromagnetique stabilise et son procede de preparation
GB2039785B (en) * 1978-11-09 1983-04-13 Sanyo Kokusaku Pulp Co Pressure sensitive adhesive products and the method for preparation of the same
US4214261A (en) * 1979-01-11 1980-07-22 Rca Corporation Synchronizing apparatus for remote television apparatus
US4379806A (en) * 1979-07-05 1983-04-12 Johnson & Johnson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and process
JPS58147332A (ja) * 1982-02-26 1983-09-02 Sumitomo Chem Co Ltd 脱揮押出方法およびその装置
US4600550A (en) * 1984-04-27 1986-07-15 Cloeren Peter Coextrusion process for overcoming the curtaining effect
GB2163386A (en) * 1984-07-20 1986-02-26 Windmoeller & Hoelscher Co-extruding a substrate web of synthetic thermoplastic material and an adhesive layer consisting of a non-crosslinkable elastomer
US4611987A (en) * 1984-07-23 1986-09-16 Cosden Technology, Inc. Apparatus for forming multilayer thermoplastic resin extrusions
US4888075A (en) * 1985-02-05 1989-12-19 Avery International Corporation Composite facestocks and liners
AU599586B2 (en) * 1985-02-05 1990-07-26 Avery International Corporation Composite facestocks and liners
US4946532A (en) * 1985-02-05 1990-08-07 Avery International Corporation Composite facestocks and liners
US4725468A (en) * 1986-02-06 1988-02-16 Acumeter Laboratories, Inc. Method of co-extrusion of different coating materials, including adhesive coating with intermittent non-adhering sections, and products produced thereby
US4693858A (en) * 1986-04-25 1987-09-15 Variseal Manufacturing Corp. Method of processing hydrocolloid dressings
US4792584A (en) * 1986-05-02 1988-12-20 Asahi Kasei Kogyo Kabushiki Kaisha Adhesive compositions
FR2600981B3 (fr) * 1986-07-03 1988-08-05 Elce Papeteries Film souple de protection temporaire auto-adhesif et procede de fabrication
JPH0798349B2 (ja) * 1987-04-10 1995-10-25 三菱化学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発泡体の製造方法
US4789513A (en) * 1987-06-05 1988-12-06 P.C.E. Corp. Coextrusion apparatus and process
US4906421A (en) * 1987-07-01 1990-03-06 Avery International Corporation Process for making high performanc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tapes
US4780258A (en) * 1987-07-17 1988-10-25 P.C.E. Corp. Coextruded laminate having barrier layers
US4952650A (en) * 1987-07-27 1990-08-28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Suspension polymerization
US4833179A (en) * 1987-07-27 1989-05-23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Suspension polymerization
US4839206A (en) * 1987-09-15 1989-06-13 Norton Company Double sided adhesive tape
US5173141A (en) * 1988-05-25 1992-12-22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Preparing tape having improved tear strength
US5047196A (en) * 1989-06-29 1991-09-10 Tek-Rap, Inc. Method for forming co-extruded adhesive tapes
US5080957A (en) * 1989-08-01 1992-01-14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Tape having partially embedded ribs
JPH04198289A (ja) * 1990-11-26 1992-07-17 Sekisui Chem Co Ltd 片面または両面接着発泡体テープの製造方法
WO1992019447A1 (en) * 1991-05-03 1992-11-12 Myun Ho Kim Adhesively coated, differential release tape for applying adhesive to a substrat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22570A (ja) * 1982-12-28 1984-07-16 Toppan Printing Co Ltd 感圧性粘着フイルム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2451A (ko) * 2006-12-29 2008-07-03 박태순 치아 인상용 트레이 유니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615537A1 (en) 1994-09-21
US5660922A (en) 1997-08-26
MX9205406A (es) 1993-04-01
BR9206560A (pt) 1995-03-28
EP0615537B1 (en) 2004-01-02
DE69233281D1 (de) 2004-02-05
CA2116679C (en) 2003-11-04
DE69233281T2 (de) 2004-11-25
WO1993007228A1 (en) 1993-04-15
CA2116679A1 (en) 1993-04-15
JPH06511507A (ja) 1994-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4084B1 (ko) 동시 압출된 압감 접착 테이프 및 이의 제조 방법
US5589122A (en) Method of making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JP4290759B2 (ja) 両面感圧接着テープ及びその製造方法
JP5442920B2 (ja) ポリマーフォームを含む物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69807526T2 (de) Druckempfindlicheklebschichte enthaltende mehrschichtfolien
DE60023510T2 (de) Kunststoffgegenstände mit eingebetteten phasen
KR100232842B1 (ko) 적층필름
JP2003512201A (ja) 順応性多層フィルム
TWI620807B (zh) 包含聚烯烴聚合物材料之多層的自黏帶及方法
KR20110104051A (ko) 접착 용품의 제조 방법
US3836620A (en) Method of forming polyamide-polyethylene composite films
JPS585226A (ja) 薄膜フイルム
JPH07276588A (ja) 積層フィルム
JPS5950493B2 (ja) 積層物の製造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共押出ダイ
US3900548A (en) Coextrusion of polystyrene and polysulfones
CN115873519A (zh) 铝蜂窝板用粘接胶膜及其制备方法、铝蜂窝板及其应用
JPH08260232A (ja) 超高分子量ポリオレフィンフィルムより高強度ヤーンの製法
CN114311898A (zh) 一种冷裱复合膜用聚丙烯薄膜及其制备方法和冷裱复合膜
JP3932237B2 (ja) 粘着テープ
JP2000108268A (ja) 工程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705426B1 (ko) 복합 패널 및 강판 부착용 극성 다층접착필름의 제조방법
JP2002347101A (ja) シート状成形品の製造装置およびシート状成形品の製造方法
JPH08260331A (ja) 高強度経緯積層体およびその製法
KR20040081343A (ko) 적층 발포 시이트의 제조 방법
JPS61242820A (ja) ラミネ−ト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40331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7082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904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10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01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001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31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