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3884B1 - Car burglar alarm - Google Patents
Car burglar alar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243884B1 KR100243884B1 KR1019970049242A KR19970049242A KR100243884B1 KR 100243884 B1 KR100243884 B1 KR 100243884B1 KR 1019970049242 A KR1019970049242 A KR 1019970049242A KR 19970049242 A KR19970049242 A KR 19970049242A KR 100243884 B1 KR100243884 B1 KR 10024388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signal
- alarm
- vehicle mounting
- portable devi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9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9000007858 star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abstract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a signal being sent to a remote location, e.g. a radio signal being transmitted to a police station, a security company or the own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propulsion system, e.g. engine or drive mot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3—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manual input of alphanumerical c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도난 경보장치에 관한 것으로,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입력된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한편, 수신된 신호를 표시하여 운전자에게 알려주는 휴대장치 및, 상기 휴대장치로부터 송신된 신호에 따라 동작함과 동시에 동작 상태를 상기 휴대장치로 송신하는 차량장착장치로 구성되어, 운전자가 자차에 설치된 자동차 도난 경보장치의 작동 상태를 정확히 알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전자의 편리함을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동차 도난 방지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 theft alarm device, wherein a portable device for wirelessly transmitting a signal input by a driver's operation and displaying a received signal to inform the driver, and operating according to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portable device. In addition, the vehicle is equipped with a vehicle mounting device that transmits an operation state to the portable device, so that the driver can accurately know the operation state of the car theft alarm device installed in the own vehicle, thereby increasing the convenience of the driver as well as theft of the car. It can improve the prevention effe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동차 또는 자동차 내부의 물건이 도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자동차 도난 경보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자동차 도난 경보장치의 동작상태를 운전자가 휴대하는 휴대장치에 표시하도록 하여 운전자가 자차에 설치된 자동차 도난 경보장치의 동작 상태를 알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 도난 경보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 theft alarm device for preventing the theft of the car or the inside of the car, and more particularly, to display the operation state of the car theft alarm device on the portable device that the driver carries the driver to his vehicl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 theft alarm device that enables to know the operating state of the installed car theft alarm device.
종래의 자동차는 단순히 금속열쇠나 자물쇠를 이용하여 자동차 도어를 잠금으로써, 자동차 및 자동차 내의 귀중한 서류나 비품을 보호하도록 되어 있었다.Conventional automobiles simply lock a car door using metal keys or locks to protect valuable documents and fixtures in the car and the car.
그러나, 상기와 같이 자동차에 사용되는 금속열쇠의 경우 그 종류가 거의 한정되어 있어 도난으로부터의 안정성이 결여될 뿐만 아니라 열쇠 없이도 자동차 도어를 손쉽게 열 수 있도록 되어 있어, 차내에 있는 서류나 비품 등을 도난 또는 훼손되는 사례가 빈번히 발생되고 있다.However, the types of metal keys used in automobiles as described above are almost limited, which not only lack stability from theft, but also make it easy to open the car door without a key, so that documents or fixtures in the vehicle are stolen. Or there are frequent cases of damage.
또한, 운전적에서 시동키 스위치의 전선을 임의로 연결시켜 자동차를 기동시킬 수 있게 됨에 따라 자동차를 도난당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되고, 금속열쇠로 도어와 시동스위치를 일일이 직접 조작해 주어야 하므로 주머니에 휴대한 열쇠를 넣었다 꺼냈다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이로 인해 열쇠의 분실우려가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as the vehicle can be started by arbitrarily connecting the wires of the ignition key switch, the vehicle is often stolen, and the door and the ignition switch must be manually operated by metal keys. There was a problem of putting in and taking out the key, which caused a high problem of losing the key.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자동차 도난 경보장치가 개발 구현되어 사용되고 있는 바, 상기와 같은 자동차 도난 경보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가 휴대장치(10)를 조작하여 도난 경보장치가 동작하도록 고주파신호를 자동차에 장착된 차량장착장치(20)로 송신하면 자동차에 장착된 각종 센서가 자동차 도어, 후드, 트렁크등의 개방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제어수단으로 출력하고, 상기 각 센서에서 감지신호가 출력되면 제어수단이 경보수단을 제어하여 경보음 및 경광을 발생하여 침입자를 퇴치한다.Therefore, a car burglar alarm device that can solve such a conventional problem has been developed and implemented, the car burglar alarm device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ure 1 the driver operates the
그리고, 상기와 같이 도난 감지 기능 이외에도 운전자가 휴대장치(10)를 조작하여 자동차 도어 개폐 및, 시동전원 온/오프등을 제어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o the theft detection function as described above, the driver may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car door and starting power on / off by operating the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자동차 도난 방지장치는 운전자가 자차로부터 먼 위치 즉, 경보음을 들을 수 없는 위치 또는 경광을 볼 수 없는 위치에 있을 경우에 자동차 도난 경보장치가 동작했는지를 알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vehicle anti-theft device as described above has a problem that it is not possible to know whether the vehicle burglar alarm device is operated when the driver is located at a position far from the vehicle, that is, a position where an alarm cannot be heard or a warning light cannot be seen. There was this.
특히, 현재에는 대부분의 자동차에 자동차 도난 경보장치가 채용됨에 따라 자동차 도난 경보음이 발생하더라로 자차에서 발생하는 경보음인가를 알 수 없으므로, 자차에 직접 접근해서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In particular, at present, since most automobiles have a car burglar alarm device, it is not possible to know whether the car burglar alarm sound is generated from the car, but it is inconvenient to check the car directly.
또한, 운전자가 휴대장치를 조작하여 자동차 도난 경보장치의 각종 기능을 동작시켰을 경우에 실제로 자동차에 설치된 장치가 운전자가 입력한 명령을 수행하는지를 운전자가 알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when the driver operates various functions of the car theft alarm device by operating the portable devic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river does not know whether the device actually installed in the vehicle performs the command input by the driver.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자동차 도난 경보장치의 동작 상태를 운전자가 휴대하는 휴대장치에 자동차 도난 경보장치에 표시하여 운전자가 자차에 설치된 자동차 도난 경보장치의 동작 상태를 알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 도난 경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by display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car burglar alarm device to the car burglar alarm device on the portable device carried by the driver of the car burglar alarm device installed in the own vehicl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ar theft alarm device that can know the operating status.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도난 경보장치는,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입력된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한편, 수신된 신호를 표시하여 운전자에게 알려주는 휴대장치 및, 상기 휴대장치로부터 송신된 신호에 따라 동작함과 동시에 동작 상태를 상기 휴대장치로 송신하는 차량장착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automobile burglar alarm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portable device for wirelessly transmitting a signal input by a driver's operation, and displaying a received signal to inform the driver, and transmitting from the portable device. And an on-vehicle device for operating in accordance with the received signal and transmitting an operating state to the portable device.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차 도난 경보장치의 개략도,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general automobile burglar alarm,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도난 경보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 vehicle theft alarm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10 : 휴대장치 11 : 조작수단10: portable device 11: operation means
12 : 표시수단 13 : 제어수단12: display means 13: control means
14 : 무선송수신안테나 15 : 송수신수단14: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tenna 15: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ans
20 : 차량장착장치 21 : 무선송수신안테나20: vehicle mounting apparatus 21: wireless transmission antenna
22 : 송수신수단 23 : 도난감지수단22: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ans 23: theft detection means
24 : 경보수단 25 : 도어개폐수단24: alarm means 25: door opening and closing means
26 : 시동수단 27 : 제어수단26: starting means 27: control mean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도난 경보장치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로서,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도난 경보장치는, 휴대장치(10) 및 차량장착장치(20)로 이루어져 있다.FIG. 2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vehicle burglar alarm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the burglar alarm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휴대장치(10)는 운전자가 휴대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서,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도난 감지, 경보 발령, 차량 시동 및, 도어 개폐 기능등을 작동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무선으로 상기 차량장착장치(20)에 송신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한편, 상기 차량장착장치(20)에서 무선으로 송신된 차량장착장치(20)의 동작상태신호를 수신하여 운전자에게 차량장착장치(20)의 동작 상태를 알려주도록 되어 있다.The
상기 차량장착장치(20)는, 상기 휴대장치(10)로부터 송신된 제어신호에 따라 도난 감지, 경보 발령, 차량 시동 및, 도어 개폐 기능등을 작동시키는 한편, 상기 휴대장치(10)로부터 송신된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차량장착장치(20)의 동작상태를 알려주기 위한 동작상태신호를 상기 휴대장치(10)로 송신한다.The on-
상기 휴대장치(10)는, 조작수단(11)과, 표시수단(12), 제어수단(13), 무선송수신안테나(14) 및, 무선송수신장치(1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조작수단(11)은,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도난 감지, 경보 발령, 차량 시동 및, 도어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조작신호를 제어수단(13)으로 입력하도록 되어 있다.The
상기 표시수단(12)은 상기 제어수단(13)에서 출력된 제어신호에 의해 조작수단(11)의 조작 상태를 표시함과 더불어 차량장착장치(10)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The display means 12 is configured to display the operation state of the operation means 11 by the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means 13 and to display the operation state of the
상기 제어수단(13)은 상기 조작수단(11)으로부터 입력된 조작신호를 비밀코드와 함께 무선송수신수단(15)으로 입력하는 한편, 상기 조작수단(11)의 조작상태를 상기 표시수단(12)에 표시하고, 상기 무선송수신수단(15)으로부터 동작상태신호가 입력되면 수신된 신호의 비밀코드와 미리 저장되어 있던 고유비밀코드를 비교하여 동일하면 상기 표시수단(12)에 차량장착장치(10)의 현재 동작 상태를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The control means 13 inputs the operation signal input from the operation means 11 to the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means 15 together with the secret code, while the display means 12 displays the operation state of the operation means 11. When the operation state signal is input from the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means 15, the secret code of the received signal is compared with the previously stored unique secret code, and if the same, the
상기 무선송수신수단(15)은 상기 제어수단(13)에서 출력된 신호를 고주파 신호로 변조하여 무선송수신안테나(14)를 통해 차량장착장치(20)로 송신하는 한편, 상기 차량장착장치(20)에서 송신된 동작상태신호를 상기 무선송수신안테나(14)를 통해 수신 및 복조하여 상기 제어수단(13)으로 입력한다.The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ans 15 modulates the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means 13 into a high frequency signal and transmits the signal to the
한편, 상기 차량장착장치(20)는, 무선송수신안테나(21)와, 무선송수신수단(22), 도난감지수단(23), 경보수단(24), 도어개폐수단(25), 시동수단(26) 및, 제어수단(27)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상기 무선송수신수단(22)은 상기 휴대장치(10)에서 송신된 신호를 무선송수신안테나를 통해 수신 및 복조하여 제어수단(27)으로 입력하는 한편, 상기 제어수단(27)에서 출력된 동작상태신호를 변조하여 상기 무선송수신안테나(21)를 통해 무선으로 상기 휴대장치(10)에 송신하도록 되어 있다.The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means 22 receives and demodulates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상기 도난감지수단(23)은 상기 제어수단(27)에서 출력된 제어신호에 의해 자동차 도어, 후드, 트렁크등의 개방, 외부 충격등을 각각 감지하는 다수개의 각종 센서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종 센서에서 감지된 도난감지신호를 상기 제어수단(27)으로 출력한다.The anti-theft detection means 23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sensors for detecting the opening, the external impact, etc. of the car door, hood, trunk, etc. by the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means 27, The detected theft detection signal is output to the control means 27.
상기 경보수단(24)은, 상기 제어수단(27)에서 출력된 제어신호에 의해 경보음 및 경광을 발생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도어개폐수단(25)은 상기 제어수단(27)에서 출력된 제어신호에 의해 자동차 도어의 록킹장치를 동작시키도록 되어 있고, 상기 시동수단(26)은 상기 제어수단(26)에서 출력된 제어신호에 의해 자동차의 시동을 걸거나 시동을 정지시키도록 되어 있다.The alarm means 24 is to generate an alarm sound and a warning light by the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means 27, the door opening and
상기 제어수단(27)은 상기 휴대장치(10)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상기 무선송수신수단(22)으로부터 입력받아 이 신호의 비밀코드가 고유비밀코드와 동일한가를 비교하여 비밀번호가 동일하지 않으면 아무런 동작도 하지 않고, 비밀코드가 동일하면 상기 수신된 신호에 따라 상기 도난감지수단(23), 경보수단(24), 도어개폐수단(25), 시동수단(26)으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도난 감지, 경보 발령, 차량 시동 및, 도어 개폐 기능을 동작시킨다.The control means 27 receives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또한, 상기 제어수단(27)은 상기와 같이 도어개폐수단(25) 및 시동수단(26)을 제어하여 자동차 도어의 록킹장치를 개폐하거나 자동차의 시동을 걸거나 정지시켜면 그 결과를 상기 무선송수신장치(22)로 입력하여 상기 휴대장치(10)로 전송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means 27 controls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means 25 and the starting
그리고, 도난감지수단(23)으로 도난감지신호가 입력되면 경보수단(24)을 제어하여 경보를 발생함과 동시에 경보가 발생되고 있다는 신호를 상기 무선송수신장치(22)로 입력하여 상기 휴대장치(10)로 송신하도록 되어 있다.When theft detection signal is input to the theft detection means 23, the alarm means 24 controls the alarm means 24, and at the same time, a signal indicating that an alarm is generated is inputted to the wireless transmission /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도난 경보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and effect of the vehicle burglar alarm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n detail.
운전자가 조작수단(11)을 조작하여 도난 감지, 경보 발령, 차량 시동 및, 도어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조작신호를 제어수단(13)으로 입력하면, 상기 제어수단(13)은 상기 조작수단(11)으로부터 입력된 조작신호를 비밀코드와 함께 무선송수신수단(15)으로 입력하고, 상기 무선송수신수단(15)은 상기 제어수단(13)에서 입력된 신호를 고주파로 변조하여 무선송수신안테나(14)을 통해 차량장착장치(20)로 송신한다.When the driver operates the operation means 11 and inputs an operation signal for controlling the theft detection, an alarm, starting the vehicle, and opening / closing the door to the control means 13, the control means 13 is the operation means 11. Input the operation signal from the radio signal to the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ans 15 together with the secret code, the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ans 15 modulates the signal input from the control means 13 at a high frequency to the wireless transmission and
이때, 상기 제어수단(13)은 상기 조작수단(13)으로부터 입력된 조작신호에 따라 운전자에 의해 조작된 상기 조작수단(11)의 조작 상태를 표시수단(12)에 표시한다.At this time, the control means 13 displays the operation state of the operation means 11 operated by the driver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signal input from the operation means 13 on the display means 12.
그리고, 상기 휴대장치(10)로부터 송신된 신호는 차량장착장치(20)의 무선송수신안테나(21)를 통해 무선송수신수단(22)에 수신되고, 상기 무선송수신수단(22)은 수신된 신호를 복조하여 제어수단(27)으로 입력한다.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상기 제어수단(27)은 상기와 같이 상기 무선송수신수단(22)으로부터 입력된 신호의 비밀코드와 미리 저장되어 있던 고유비밀코드가 서로 동일한가를 비교하여 비밀번호가 서로 동일하지 않으면 아무런 동작도 수행하지 않고, 비밀코드가 서로 동일하면 상기 무선송수신수단(22)으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따라 상기 도난감지수단(23), 경보수단(24), 도어개폐수단(25), 시동수단(26)으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도난 감지, 경보 발령, 차량 시동 및, 도어 개폐 기능을 동작시킨다.The control means 27 compares whether the secret code of the signal input from the radio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ans 22 and the previously stored unique secret code are the same as described above, and does not perform any operation unless the passwords are the same. When the secret codes are the same, control signals are transmitted to the theft detecting means 23, the alarming means 24,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means 25, and the
즉, 상기 휴대장치(10)로부터 자동차 도어를 잠그라는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수단(27)은 도어개폐수단(25)을 제어하여 자동차 도어의 록킹장치를 동작시켜 자동차 도어 록킹장치를 잠그고, 상기 휴대장치(10)로부터 자동차 시동을 걸라는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수단(27)은 시동수단(26)을 제어하여 자동차의 시동을 걸며, 상기 휴대장치(10)로부터 도난 감지 기능을 수행하라는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수단(27)은 도난감지수단(23)을 제어하여 도난 감지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That is, when the signal for locking the car door is received from the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27)은 상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한 결과를 비밀코드와 함께 무선송수신수단(22)으로 입력하고, 상기 무선송수신수단(22)은 상기 제어수단(27)으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고주파신호로 변조하여 무선송수신안테나(21)를 통해 무선으로 상기 휴대장치(10)에 송신한다.Then, the control means 27 inputs the result of performing the above function to the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ans 22 together with the secret code, the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ans 22 is a signal input from the control means 27 Is modulated into a high frequency signal and wirelessly transmitted to the
또한, 상기 제어수단(27)은 상기 도난감지수단(23)으로부터 도난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경보수단(24)을 제어하여 경보음 및 경광을 발생함과 동시에 경보가 발생한다는 신호를 비밀코드와 함께 무선송수신수단(22)으로 입력하고, 상기 무선송수신수단(22)은 상기 제어수단(27)으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고주파신호로 변조하여 무선송수신안테나(21)를 통해 무선으로 상기 휴대장치(10)에 송신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means 27 controls the alarm means 24 when the burglar detection signal is input from the burglar detection means 23 to generate an alarm sound and a warning signal as well as a signal indicating that an alarm is generated. Together with the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ans 22, the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ans 22 modulates the signal input from the control means 27 into a high frequency signal and wirelessly through the wireless transmission and
그리고, 상기와 같이 차량장착장치(20)에서 송신된 신호는 휴대장치(10)의 무선송수신안테나(14)를 통해 무선송수신수단(15)에 수신되어 복조된 다음 상기 제어수단(13)으로 입력된다.Then,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상기 제어수단(13)은 상기 무선송수신수단(15)으로부터 신호의 비밀코드를 미리 저장되어 있던 고유비밀코드와 비교하여 동일하지 않으면 아무런 동작도 수행하지 않고, 비밀코드가 서로 동일하면 수신된 신호에 따라 표시수단(12)을 제어하여 자차의 현재 상태를 표시하여 운전자에게 알려준다.The control means 13 compares the secret code of the signal from the radio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ans 15 with the inherent secret code previously stored, and does not perform any operation unless the secret code is the same. Accordingly, the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차 도난 경보장치의 동작상태를 운전자가 휴대하는 휴대장치에 표시하여 운전자가 자차에 설치된 자동차 도난 경보장치의 동작 상태를 알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전자의 편리함을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동차 도난 방지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er's convenience is increased by display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vehicle theft alarm device on a portable device carried by the driver so that the driver can know the operation state of the vehicle theft alarm device installed in the own vehicle. Not only can it be done, it can also improve the anti-theft effect of the car.
Claims (1)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70049242A KR100243884B1 (en) | 1997-09-26 | 1997-09-26 | Car burglar alar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70049242A KR100243884B1 (en) | 1997-09-26 | 1997-09-26 | Car burglar alarm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26925A KR19990026925A (en) | 1999-04-15 |
KR100243884B1 true KR100243884B1 (en) | 2000-03-02 |
Family
ID=19521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70049242A Expired - Fee Related KR100243884B1 (en) | 1997-09-26 | 1997-09-26 | Car burglar alar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243884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39103A (en) * | 1999-10-29 | 2001-05-15 | 서평원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firming vehicle state by portable telephone |
KR100499692B1 (en) * | 2002-07-22 | 2005-07-07 | 유동찬 | Car protecting system using remote-controller |
KR100993709B1 (en) * | 2004-11-17 | 2010-11-10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User recognition security telematics system and method using resident registration card |
-
1997
- 1997-09-26 KR KR1019970049242A patent/KR100243884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26925A (en) | 1999-04-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480098B2 (en) | Remote vehicle control system including common carrier paging receiver and related methods | |
US20050237166A1 (en) | Vehicle anti-thief device with bluetooth recognition | |
US7501937B2 (en) | Vehicle security device including pre-warn indicator and related methods | |
EP1720745A1 (en) | Anti-theft system and anti-theft device for vehicle detecting radio wave jamming | |
JP3721145B2 (en) | In-vehicle device remote control system | |
KR100243884B1 (en) | Car burglar alarm | |
EP1538038B1 (en) | Vehicle security device including prewarn indicator and related method | |
KR200194511Y1 (en) | A movile terminal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vehicle thereby | |
KR20100073586A (en) | Construction equipment security system | |
WO2005020622A1 (en) | Antenna module for remote engine starting of vehicle and method for displaying vehicle information using the antenna module | |
KR19990064987A (en) | Vehicle condition inspection system and method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200162193Y1 (en) | Burglary vehicle alert | |
JP3546109B2 (en) | Automatic unauthorized use reporting device | |
KR200180095Y1 (en) | A car monitoring installation | |
KR200362297Y1 (en) | A condition recognize device of packing car | |
JP3735349B2 (en) | Vehicle anti-theft device and system | |
JPS621661A (en) | Radio-system car protective device | |
WO2020207386A1 (en) | An adjunctive security system for a vehicle | |
WO1995018431A1 (en) | Radio alarm and/or identification system | |
JPH05296129A (en) | Vehicle burglary prevention device | |
KR0185135B1 (en) | Burglar alarm system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 |
KR100207127B1 (en) | Car alarm system | |
KR0130982Y1 (en) | Remote door oepning/closing apparatus having direction indicator | |
KR19980062016A (en) | Car radio controller | |
KR20000002755U (en) | Vehicle security devic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092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7092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906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82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11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199911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