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6113B1 - 감광성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감광성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246113B1 KR100246113B1 KR1019940009007A KR19940009007A KR100246113B1 KR 100246113 B1 KR100246113 B1 KR 100246113B1 KR 1019940009007 A KR1019940009007 A KR 1019940009007A KR 19940009007 A KR19940009007 A KR 19940009007A KR 100246113 B1 KR100246113 B1 KR 10024611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roup
- dianhydride
- carbon atoms
- resin composition
- bi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045—Photosensitive materials with organic non-macromolecular light-sensitive compoun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issolution inhibito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0—Radiation imagery chemistry: process, composition, or product thereof
- Y10S430/1053—Imaging affecting physical property or radiation sensitive material, or producing nonplanar or printing surface - process, composition, or product: radiation sensitive composition or product or process of making binder containing
- Y10S430/1055—Radiation sensitive composition or product or process of making
- Y10S430/114—Initiator containing
- Y10S430/12—Nitrogen compound contain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Forming Nitrogen-Containing Linkages In General (AREA)
- Materials For Photolithography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19)
- 적어도 한가지의 카르복실기 및 페놀성 히드록실기를 가진 알칼리- 가용성 폴리머(A), 및 광 조사로서 아민 화합물을 형성하는 화합물(B)로 이루어진 포지티브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알칼리-가용성 폴리머(A)가 폴리아미드산 수지, 카르복시기 및 페놀성 히드록시기중에서 적어도 한가지를 가진 용매-가용성 폴리이미드 수지 및 페놀 노볼락 수지중에서 선택된 수지인 감광성 수지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알칼리-가용성 폴리머(A)가 다음식(I)으로 표시된 반복단위를 가진 폴리아미드산 수지인 감광성 수지 조성물:상기식에서 R1은 한가지 또는 그 이상의 치환체를 가질 수 있는 사가 기를 나타내고, 사가 기는 다음을 포함하며,및 그의 수소화기,(상기식에서 A는또는또는 단일 결합을 나타내며, 각 A는 같거나 서로 다르며, R7및 R8은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고 각각은 탄소원자 1-10개인 알킬기, 탄소 원자 3-8개인 시클로알킬기, 탄소원자 6-14개인 아릴기 또는 탄소원자 7-17개인 아르알킬기를 나타내며, s는 0 또는 1 또는 그 이상의 정수를 나타낸다), R2의 이가 기는 다음을 포함할 수 있으며;및 그의 수소화기.(여기서 B는 A와 동일한 의미를 가지며, 각각의 B는 같거나 다르며, R9및 R10은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고 각각은 탄소원자 1-10개인 알킬렌기, 탄소원자 3-8개인 시클로알킬렌기, 탄소원자 5-14개인 아릴렌기 또는 탄소원자 7-17개인 아르알킬렌기를 나타내며, R11및 R12는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으며 각각 탄소원자 1-10개인 알킬기, 탄소원자 3-8개인 시클로알킬기, 탄소원자 6-14개인 아릴기 또는 탄소원자 7-17개인 아르알킬기를 나타내며, t는 1 또는 그 이상의 정수를 나타낸다.) 상기 치환체는 탄소원자 1-6개인 알릴기, 탄소원자 1-6개인 알콕시기 및 히드록실기를 포함하며; R3와 R4는 각각 두개의 카르보닐기 중 한가지의 오르토-위치에 존재하며 별도로 적어도 한가지가 카르복실기라는 조건하에, 수소원자 또는 카르복실기를 나타낸다.
- 제1항에 있어서, 알칼리-가용성 폴리머(A)가 수펑균분자량이 3,000-200,000인 감광성 수지 조성물.
- 제3항에 있어서, 폴리아미드산 수지가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과 디아민의 반응 생성물인 감광성 수지 조성물.
- 제5항에 있어서,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이 산 성분의 일부로서 다음식으로 표시된 방향족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또는 그의 수소화 화합물로 이루어진 감광성 수지 조성물:상기식에서 R7과 R8은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으며 각각은 탄소원자 1-10개인 알킬기, 탄소원자 3-8개인 시클로알킬기, 탄소원자 6-14개인 아릴기 또는 탄소원자 7-17개인 아르알킬기를 나타내며 s는 0 또는 1 또는 그 이상의 정수를 나타낸다.
- 제5항에 있어서,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이 산 성분의 일부로서 다음식(IV)으로 표시된 지방족고리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중 적어도 한가지로 이루어진 감광성 수지 조성물:및
- 제5항에 있어서, 디아민이 아민 성분의 일부로서, 다음식으로 표시된 디아미노 화합물 또는 식(V)의 수소화 화합물인 디아미노 화합물로 이루어진 감광성 수지 조성물:상기식에서 R9와 R10은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으며 각각은 탄소원자 1-10개인 알킬렌기, 탄소원자 3-8개인 시클로알킬렌기, 탄소원자 6-14개인 아릴렌기 또는 탄소원자 7-17개인 아르알킬렌기를 나타내며; R11과 R12는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고 각각 탄소원자 1-10개인 알킬기, 탄소원자 3-8개인 시클로알킬기, 탄소원자 6-14개인 아릴기 또는 탄소원자 7-17개인 아르알킬기를 나타내며; t는 1 또는 그 이상의 정수를 나타낸다.
- 제5항에 있어서, 디아민이 히드록실기-함유 디아민 화합물인 감광성 수지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화합물(B)이 다음식으로 표시된 화합물인 감광성 수지 조성물:상기식에서 R5는 방향족 고리기를 나타내고; R6는 수소원자 또는 탄소원자 1-6개인 알킬기를 나타내며; X는 탄소원자 1-10개인 알릴기, 탄소원자 1-10개인 알콕시기, 할로겐 원자, 니트로기 또는 시아노기를 나타내며, Y는 탄소원자 1-10개인 알킬기, 탄소원자 3-8개인 시클로알킬기, 탄소원자 7-17개인 아르알킬기 또는 탄소원자 1-10개인 히드록시알킬기를 나타내며; n은 1 내지 5의 정수를 나타내며, m이 2 또는 그 이상일 때, X는 같거나 서로 다를 수 있다.
- 제10항에 있어서, R5가 벤젠, 나프탈렌 또는 안트라센 고리인 감광성 수지 조성물.
- 제10항에 있어서, 화합물(B)이 다음중에서 선택된 화합물인 감광성 수지 조성물:및
- 제1항에 있어서, 폴리머(A)를 기초로 화합물(B) 1-250중량%로 이루어진 감광성 수지 조성물.
- 제5항에 있어서, 무수 테트라카르복실산이 피로멜리트산 이무수물, 3,3′,4,4′-벤조페논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3,3′,4,4′-비페닐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1,2,5,6-나프탈렌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2,3,6,7-나프탈렌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2,3,5,6-피리딘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1,4,5,8-나프탈렌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3,4,9,10-퍼릴렌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4,4′-술포닐디프탈산 이무수물, m-테르페닐-3,3″,4,4″-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p-테르페닐-3,3″,4,4″-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4,4′-옥시디프탈산 무수물, 1,1,1,3,3,3-헥사플루오로-2,2-비스(2,3- 또는 3,4-디카르복시페닐)프로판 이무수물, 2,2-비스(2,3-또는 3,4-디카르복시페닐)프로판 이무수물, 2,2-비스[4-(2,3-또는 3,4-디카르복시페녹시)페닐]프로판 이무수물 및 1,1,1,3,3,3-헥사플루오로-2,2-비스[4-(2,3- 또는 3,4-디카르복시페녹시)페닐]프로판 이무수물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한가지인 감광성 수지 조성물.
- 제5항에 있어서, 디아민이 p-페닐렌디아민, m-페닐렌디아민, p-크실일렌디아민, m-크실일렌디아민, 1,5-디아미노나프탈렌, 3,3′-피메틸벤지딘, 3,3′-디메톡시벤지딘, 4,4′-(또는 3,4′-, 3,3′-, 2,4′- 또는 2,2′ -)디아미노디페닐메탄, 4,4′-(또는 3,4′-, 3,3′-, 2,4′- 또는 2,2′ -)디아미노디페닐에테르, 4,4′-(또는 3,4′-, 3,3′-, 2,4′- 또는 2,2′ -)디아미노디페닐술폰, 4,4′-(또는 3,4′-, 3,3′-, 2,4′- 또는 2,2′ -)디아미노페닐술파이드, 4,4′-벤조페논디아민, 4,4′-디(4-아미노페녹시)페닐술폰, 1,1,1,3,3,3-헥사플루오로-2,2-비스(4-아미노페닐)프로판, 2,2-비스[4-(4-아미노페녹시)페닐]프로판, 3,3′-디메틸-4,4′-디아미노디페닐메탄, 3,3′,5,5′-테트라메틸-4,4′-디아미노디페닐메탄, 4,4′-디(3-아미노페녹시)페닐술폰, 3,3′-디아미노디페닐술폰 및 2,2-비스(4-아미노페닐) 프로판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한가지인 감광성 수지 조성물.
- 제10항에 있어서, 알칼리-가용성 폴리머(A)가 무수 테트라카르복실산 및 디아민의 반응 생성물인 폴리아미드산 수지인 감광성 수지 조성물.
- 제16항에 있어서, 무수 테트라카르복실산이 피로멜리트산 이무수물, 3,3′,4,4′-벤조페논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3,3′,4,4′-비페닐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1,2,5,6-나프탈렌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2,3,6,7-나프탈렌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2,3,5,6-피리딘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1,4,5,8-나프탈렌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3,4,9,10-퍼릴렌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4,4′-술포닐디프탈산 이무수물, m-테르페닐-3,3″,4,4″-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p-테르페닐-3,3″,4,4″-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4,4′-옥시디프탈산 무수물, 1,1,1,3,3,3-헥사플루오로-2,2-비스(2,3- 또는 3,4-디카르복시페닐)프로판 이무수물, 2,2-비스(2,3- 또는 3,4-디카르복시페닐)프로판 이무수물, 2,2-비스[4-(2,3-또는 3,4-디카르복시페녹시)페닐]프로판 이무수물 및 1,1,1,3,3,3-헥사플루오로-2,2-비스[4-(2,3- 또는 3,4-디카르복시페녹시)페닐]프로판 이무수물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한가지인 감광성 수지 조성물.
- 제16항에 있어서, 디아민이 p-페닐렌디아민, n-페닐렌디아민, p-크실일렌디아민, m-크실일렌디아민, 1,5-디아미노나프탈렌, 3,3′-디메틸벤지딘, 3,3′-디메톡시벤지딘, 4,4′-(또는 3,4′-, 3,3′-, 2,4′- 또는 2,2′ -)디아미노디페닐메탄, 4,4′-(또는 3,4′-, 3,3′-, 2,4′- 또는 2,2′ -)디아미노디페닐 에테르, 4,4′-(또는 3,4′-, 3,3′-, 2,4′- 또는 2,2′ -)디아미노디페닐술폰, 4,4′-(또는 3,4′-, 3,3′-, 2,4′- 또는 2,2′ -)디아미노페닐술파이드, 4,4′-벤조페논디아민, 4,4′-디(4-아미노페녹시)페닐술폰, 1,1,1,3,3,3-헥사플루오로-2,2-비스(4-아미노페닐)프로판, 2,2-비스[4-(4-아미노페녹시)페닐]프로판, 3,3′-디메틸-4,4′-디아미노디페닐메탄, 3,3′,5,5′-테트라메틸-4,4′-디아미노디페닐메탄, 4,4′-디(3-아미노페녹시)페닐술폰, 3,3′-디아미노디페닐술폰 및 2,2-비스(4-아미노페닐) 프로판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한가지인 감광성 수지 조성물.
- 제12항에 있어서, 알칼리-가용성 폴리머(A)가 무수 테트라카르복실산 및 디아민의 반응 생성물인 폴리아미드산 수지이며, 무수 테트라카르복실산이 피로멜리트산 이무수물, 3,3′,4,4′-벤조페논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3,3′,4,4′-비페닐테트라카트복실산 이무수물, 1,2,5,5-나프탈렌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2,3,6,7-나프탈렌테트라카르복실산 무수물, 2,3,5,6-피리딘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1,4,5,8-나프탈렌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3,4,9,10-퍼릴렌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4,4′-술포닐디프탈산 이무수물, m-테르페닐-3,3″,4,4″-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p-테르페닐-3,3″,4,4″-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4,4′-옥시 디프탈산 무수물, 1,1,1,3,3,3-헥사플루오로-2,2-비스(2,3- 또는 3,4-디카르복시페닐)프로판 이무수물, 2,2-비스(2,3- 또는 3,4-디카르복시페닐)프로판 이무수물, 2,2-비스[4-(2,3- 또는 3,4-디카르복시페녹시)페닐]프로판 이무수물 및 1,1,1,3,3,3-헥사플루오로-2,2-비스[4-(2,3- 또는 3,4-디카르복시페녹시)페닐]프로판 이무수물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한가지이고, 디아민이 p-페닐렌디아민, m-페닐렌디아민, p-크실일렌디아민, t-크실일렌디아민, 1,5-디아미노나프탈렌, 3,3′-디메틸벤지딘, 3,3′-디메톡시벤지딘, 4,4′-(또는 3,4′-, 3,3′-, 2,4′- 또는 2,2′ -)디아미노디페닐메탄, 4,4′-(또는 3,4′-, 3,3′-, 2,4′- 또는 2,2′ -)디아미노디페닐에테르, 4,4′-(또는 3,4′-, 3,3′-, 2,4′- 또는 2,2′ -)디아미노디페닐술폰, 4,4′-(또는 3,4′-, 3,3′-, 2,4′- 또는 2,2′ -)디아미노페닐 술파이드, 4,4′-벤조페논디아민, 4,4′-디(4-아미노페녹시)페닐술폰, 1,1,1,3,3,3-헥사플루오로-2,2-비스(4-아미노페닐)프로판, 2,2-비스[4-(4-아미노페녹시)페닐]프로판, 3,3′-디메틸-4,4′-디아미노디페닐메탄, 3,3′,5,5′-테트라메틸-4,4′-디아미노디페닐메탄, 4,4′-디(3-아미노페녹시)페닐술폰, 3,3′-디아미노디페닐술폰 및 2,2-비스(4-아미노페닐)프로판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한가지인 감광성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10248293 | 1993-04-28 | ||
JP102482/1993 | 1993-04-28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246113B1 true KR100246113B1 (ko) | 2000-06-01 |
Family
ID=14328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40009007A Expired - Fee Related KR100246113B1 (ko) | 1993-04-28 | 1994-04-27 | 감광성 수지 조성물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6197475B1 (ko) |
EP (1) | EP0622682B1 (ko) |
KR (1) | KR100246113B1 (ko) |
DE (1) | DE69408709T2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5088396A1 (ja) * | 2004-03-12 | 2005-09-22 | Toray Industries, Inc. | ポジ型感光性樹脂組成物、それを用いたレリーフパターン、及び固体撮像素子 |
EP1637927A1 (en) | 2004-09-02 | 2006-03-22 | Fuji Photo Film Co., Ltd. | Positive resist composition and pattern forming method using the same |
JP4580841B2 (ja) | 2005-08-16 | 2010-11-17 |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 ポジ型レジスト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パターン形成方法 |
JP4905786B2 (ja) | 2007-02-14 | 2012-03-28 |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 レジスト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パターン形成方法 |
US7592118B2 (en) | 2007-03-27 | 2009-09-22 | Fujifilm Corporation | Positive resist composition and pattern forming method using the same |
US8182975B2 (en) | 2007-03-28 | 2012-05-22 | Fujifilm Corporation | Positive resist composition and pattern forming method using the same |
JP4982228B2 (ja) | 2007-03-30 | 2012-07-25 |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 ポジ型レジスト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パターン形成方法 |
JP5039622B2 (ja) | 2007-03-30 | 2012-10-03 |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 ポジ型レジスト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パターン形成方法 |
EP2177952A4 (en) | 2007-08-10 | 2011-05-04 | Fujifilm Corp | POSITIVE RESIST COMPOSITION AND METHOD FOR PATTERN FORMATION USING THE POSITIVE RESIST COMPOSITION |
JP4911469B2 (ja) | 2007-09-28 | 2012-04-04 |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 レジスト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パターン形成方法 |
JP5397017B2 (ja) * | 2009-05-25 | 2014-01-22 | 株式会社リコー | ポリアミド酸及びポリイミド |
WO2015125788A1 (ja) | 2014-02-21 | 2015-08-27 |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 光増感化学増幅型レジスト材料及びこれを用いたパターン形成方法、半導体デバイス、リソグラフィ用マスク、並びにナノインプリント用テンプレート |
JP6512994B2 (ja) | 2015-08-20 | 2019-05-15 | 国立大学法人大阪大学 | 化学増幅型レジスト材料 |
JP6774814B2 (ja) | 2015-08-20 | 2020-10-28 | 国立大学法人大阪大学 | 化学増幅型レジスト材料及びパターン形成方法 |
JP6809843B2 (ja) | 2015-08-20 | 2021-01-06 | 国立大学法人大阪大学 | パターン形成方法 |
KR20170031053A (ko) | 2015-09-10 | 2017-03-20 | 제이에스알 가부시끼가이샤 | 레지스트 패턴 형성 방법 |
JP6507958B2 (ja) | 2015-09-10 | 2019-05-08 | Jsr株式会社 | 化学増幅型レジスト材料及びレジストパターン形成方法 |
US10018911B2 (en) | 2015-11-09 | 2018-07-10 | Jsr Corporation | Chemically amplified resist material and resist pattern-forming method |
US9989849B2 (en) | 2015-11-09 | 2018-06-05 | Jsr Corporation | Chemically amplified resist material and resist pattern-forming method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515887A (en) * | 1983-08-29 | 1985-05-07 | General Electric Company | Photopatternable dielectric compositions, method for making and use |
JPH03136054A (ja) * | 1989-10-23 | 1991-06-10 | Sony Corp | ネガ型フォトレジスト組成物 |
US5650261A (en) * | 1989-10-27 | 1997-07-22 | Rohm And Haas Company | Positive acting photoresist comprising a photoacid, a photobase and a film forming acid-hardening resin system |
EP0430220B1 (en) * | 1989-11-30 | 1997-05-07 | Sumitomo Bakelite Company Limited | 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 and semiconductor apparatus using it |
US5114826A (en) * | 1989-12-28 | 1992-05-19 | Ibm Corporation | Photosensitive polyimide compositions |
DE69222203T2 (de) * | 1991-03-05 | 1998-01-15 | Nitto Denko Corp | Hitzebeständige, positiv arbeitende Photoresistzusammensetzung, lichtempfindliches Substrat,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hitzebeständigen positiven Musters |
US5206117A (en) * | 1991-08-14 | 1993-04-27 | Labadie Jeffrey W | Photosensitive polyamic alkyl ester composition and process for its use |
DE69324942T2 (de) * | 1992-02-14 | 1999-10-07 | Shipley Co., Inc. | Strahlungsempfindliche Zusammensetzungen und Verfahren |
-
1994
- 1994-03-28 DE DE69408709T patent/DE69408709T2/de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4-03-28 EP EP94302204A patent/EP0622682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4-04-27 KR KR1019940009007A patent/KR100246113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4-04-28 US US08/234,861 patent/US6197475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0622682A1 (en) | 1994-11-02 |
US6197475B1 (en) | 2001-03-06 |
EP0622682B1 (en) | 1998-03-04 |
DE69408709D1 (de) | 1998-04-09 |
DE69408709T2 (de) | 1998-10-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246113B1 (ko) | 감광성 수지 조성물 | |
WO1999019771A1 (fr) | Composition de polyimide photosensible positive | |
JPH10307393A (ja) | 感光性組成物 | |
JP3011457B2 (ja) | 感光性樹脂組成物 | |
JP4034403B2 (ja) | ポジ型感光性ポリイミド組成物及び絶縁膜 | |
US5587275A (en) | 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 and a process for forming a patterned polyimide film using the same | |
TWI696893B (zh) | 正型感光性樹脂組成物、乾式薄膜、硬化物及印刷配線板 | |
JP3026459B2 (ja) | 感光性樹脂組成物 | |
JP2003121998A (ja) | 感光性重合体組成物及びパターン製造法及び電子部品 | |
JP3363580B2 (ja) | 感光性樹脂組成物及びレリーフパターンの製造法 | |
JPH05339373A (ja) | 耐熱性感光材料 | |
CN105452383B (zh) | 感光性树脂组合物、其浮雕图案膜、浮雕图案膜的制造方法、包含浮雕图案膜的电子部件或光学制品、和包含感光性树脂组合物的粘接剂 | |
JPH11153868A (ja) | ポジ型感光性ポリイミド前駆体樹脂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レリーフパターンの製造法 | |
JP5053650B2 (ja) | ポリイミド共重合体、ポジ型感光性樹脂組成物、およびパターン形成方法 | |
WO2020246565A1 (ja) | 感光性ポリイミド樹脂組成物 | |
JP2020143218A (ja) | 感光性樹脂組成物 | |
JPH10228110A (ja) | ポジ型感光性樹脂組成物、これを用いたレリーフパターンの製造法及びポリイミドパターンの製造法 | |
JP3324200B2 (ja) | 感光性樹脂組成物 | |
KR102827425B1 (ko) | 감광성 폴리이미드 수지 조성물 | |
JP6547025B2 (ja) | 感光性熱硬化性樹脂組成物および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 | |
JPH0854736A (ja) | 感放射線性樹脂組成物 | |
JPH05310933A (ja) | 溶媒可溶性ポリイミドの製造方法 | |
JP4461613B2 (ja) | 感光性樹脂組成物及びパターンの製造法 | |
JP3029316B2 (ja) | ポリイミド膜パターンを形成するための感光性樹脂組成物およびこれを用いた半導体装置 | |
JP2003015290A (ja) | 感光性樹脂組成物およびポジ型パターン形成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40427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7082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4042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906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9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12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199912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21112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211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409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