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8638B1 - 차량용 전후 연동 브레이크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전후 연동 브레이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238638B1 KR100238638B1 KR1019970009231A KR19970009231A KR100238638B1 KR 100238638 B1 KR100238638 B1 KR 100238638B1 KR 1019970009231 A KR1019970009231 A KR 1019970009231A KR 19970009231 A KR19970009231 A KR 19970009231A KR 100238638 B1 KR100238638 B1 KR 10023863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rake
- interlocking
- equalizer
- front wheel
- for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26—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characterised by producing differential braking between front and rear whee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1/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 B60T11/0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transmitting mechanically
- B60T11/046—Using cab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1/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 B60T11/0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transmitting mechanically
- B60T11/06—Equalising arrang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8—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hand actuated
- B60T7/10—Disposition of hand control
- B60T7/102—Disposition of hand control by means of a tilting lev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81—Brak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Of Braking Force In Braking Systems (AREA)
- Braking Systems And Booster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 Hydraulic Control Valves For Brake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브레이크 조작 입력초기에는 후륜 브레이크만이 발생하지만 브레이크 조작입력이 소정치를 초과함에 따라서 전륜에서도 브레이크력을 발생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간단한 구성에 의해 전후 연동 브레이크를 가능하게 한 차량용 전후 연동 브레이크 장치에 관한 것이로, 본 발명은 후륜 브레이크 조작자(71)의 조작에 따른 브레이크력을 전륜 브레이크(BF1)에 미칠 수 있는 연동 브레이크력 전달시스템(41)의 일구성요소와, 차체에 고정된 고정부재 사이에 후륜 브레이크 조작자(71)측으로부터 연동 브레이트력 전달시스템(41)에 작용하는 힘과는 역방향의 부세력을 상기 연동 브레이트력 전달시스템(41)에 미치는 특성설정스프링(91)이 배설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제 1 측면으로서, 브레이크 조작에 따라서 전륜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는 전륜 브레이크 조작자와, 브레이크 조작에 따라 후륜 브레이크 및 전륜 브레이크를 연동 작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후륜 브레이크 조작자를 구비한 차량용 전후 연동 브레이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 이륜차에 적합한 전후 연동 브레이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제2 측면으로서, 브레이크 조작자와, 다수의 차륜브레이크에 브레이크 조작력을 각각 개별적으로 전달하는 다수의 브레이크 케이블과, 상기 브레이크 조작자의 브레이크 조작에 따라서 상기 각 브레이크 케이블을 각각 견인작동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브레이크 조작자 및 각 브레이크 케이블을 연결함과 동시에 고정된 케이싱내에 작동가능하게 수납되는 이퀄라이저를 구비한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자동이륜차에 적합한 브레이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제 1 측면에 있어서, 종래의 이러한 장치는 예를들면 일본국 특공소 47-3289호 공보 및 실개소 50-53842호 공보 등에 의해 이미 공지되어 있다.
상기 종래의 것은 후륜 브레이크 조작자의 브레이크 조작에 따라 작동하는 후륜 브레이크의 반력을 전륜 브레이크에 작용시킴으로써 후륜 및 전륜 브레이크가 연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구성이 복잡하다. 그래서, 도2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전륜 브레이크 조작자(6')의 브레이크 조작에 따라서 브레이크 액압을 출력하는 전륜용 마스터 실린더(MF)의 출력 액압을 전륜용 디스크 브레이크(BF')에 작용시키고, 후륜 브레이크 조작자(7')의 브레이크 조작에 따라 브레이크 액압을 출력하는 후륜용 마스터 실린더(MR)의 출력 액압을 비례제어밸브(V)를 통해 후륜용 디스크 브레이크(BR')에 작용시킴과 동시에, 후륜 브레이크 조작자(7') 및 전륜 브레이크 조작자(6') 사이를 후륜 브레이크 조작자(7') 측으로부터 전륜 브레이크 조작자(6') 측으로의 브레이크 조작력 전달만을 가능하게 하여 연동 케이블(10')로 연결한 간단한 구성으로 전후 연동 브레이크를 실현하도록 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 그런데 이것은 후륜 브레이크 조작자(7')의 브레이크 조작에 따라 전륜 브레이크 조작자(6')가 바로 작동하고, 연동 브레이크시에는 후륜 브레이크 조작자(7')의 조작에 따라 전륜 및 후륜에서 바로 브레이크력이 발휘되는 것이다.
상기 제 2 측면에 있어서, 다수의 차륜 블레이크에 각각 브레이크 조작력을 전달하는 다수의 브레이크 케이블에 이퀄라이저를 통해 브레이크 조작자의 브레이크 조작력이 전달되도록 한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가 예를들면 일본국 특개평 7-196069호 공보 등에 의해 이미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예를들면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의 종래의 파킹 브레이크는 브레이크 조작자인 브레이크 레버에 형성된 절결부에 파킹 레버를 계합하여 브레이크 레버가 되돌아가지 않도록 하는데, 예를들면 후륜 브레이크를 거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그와 같은 파킹 브레이크를 상술한 바와같이 브레이크 조작자의 조작에 따라 다수의 차륜 브레이크가 연동 작동하도록 한 브레이크 장치에 단순히 적용하면, 브레이크 레버의 절결부에 파킹 레버를 계합함으로써 다수의 차륜 브레이크가 모두 브레이크 작동하게 되어, 차륜브레이크가 액압식인 경우에는 액압식 차륜 브레이크의 구성부품인 호스나 시일 등의 고무부품에 액압이 작용하게 되어 고무 부품의 수명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브레이크 조작 압력초기에는 후륜 브레이크력만이 발생하지만 브레이크 조작압력이 소정치를 초과하는데 따라서 전륜에서도 브레이크력을 발생할 수 있도록 한 간단한 구성에 의해 전후 연동 브레이크를 가능하게 한 차량용 전후 연동 브레이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제 1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브레이크 조작에 따라 다수의 차륜 브레이크 연동작동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게다가 파킹 브레이크시에 다수의 차륜브레이크 중 특정한 차륜브레이크만 작동시키도록 해서 차륜브레이크의 불필요한 작동을 회피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제 2 목적으로 한다.
제1도는 제1실시예의 전후 연동 브레이크 장치의 전체구성도.
제2도는 자동 이륜차의 바 핸들에 있어서의 우측단부의 절결평면도.
제3도는 제2도의 3-3선 확대단면도.
제4도는 자동 이륜차의 바 핸들에 있어서의 좌측단부의 절결평면도.
제5도는 제4도의 5-5선 확대단면도.
제6도는 전륜 브레이크 조작자만을 조작했을 때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
제7도는 전륜 및 후륜의 브레이크력 특성도.
제8도는 후륜 브레이크 조작자만을 조작하여 후륜 브레이크를 작동시킬때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
제9도는 후륜 브레이크 조작자만을 조작하여 전륜 및 후륜 브레이크를 연동작동시킬 때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
제10도는 전륜 및 후륜 브레이크 조작자를 함께 조작했을 때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
제11도는 제2실시예의 전후 연동 브레이크 장치의 전체구성도.
제12도는 제3실시예의 바핸들에 있어서의 좌측단부의 횡단면도.
제13도는 제12도의 13-13선 단면도.
제14도는 제12도의 14-14선 단면도.
제15도는 제12도의 15-15선 단면도.
제16도는 제4실시예의 전후 연동 브레이크 장치의 전체구성도.
제17도는 후륜 브레이크 조작자 및 연동용 마스터 실린더의 확대종단측면도.
제18도는 제5실시예의 전후 연동 브레이크 장치의 전체구성도.
제19도는 전륜용 마스터 실린더의 확대종단측면도.
제20도는 제6실시예의 전후 연동 브레이크 장치의 전체구성도.
제21도는 선행기술의 전후 연동 브레이크 장치의 전체구성도.
제22도는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의 전체구성도.
제23도는 자동 이륜차의 바형 스티어링 핸들에 있어서의 좌측단부의 평면도.
제24도는 제23도의 3에서 본 절결정면도.
제25도는 제23도의 4-4선 단면도.
제26도는 제24도의 5-5선 확대단면도.
제27도는 비브레이크 조작상태에서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제24도의 요부를 커버를 생략한 상태에서 도시한 단면도.
제28도는 파킹 브레이크 조작상태에서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제27도에 대응하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1, 42, 43, 44, 45: 연동 브레이크력 전달시스템
61, 62, 63: 전륜 브레이크 조작자로서의 전륜 브레이크 조작 레버
71: 후륜 브레이크 조작자로서의 후륜 브레이크 조작 레버
72: 후륜 브레이크 조작자로서의 브레이크 페달
91, 92, 93: 특성설정스프링 10 : 연동 케이블
11 : 후륜 브레이크력 전달부재로서의 후륜 브레이크 케이블
121, 122: 이퀄라이저
28 : 고정부재로서의 하부 홀더
33 : 연동 브레이크력 전달시스템의 구성요소인 연결부재
42 : 연결부재 42a : 스토퍼
45, 45' : 전륜용 마스터 실린더
62 : 후륜 브레이크력 전달부재로서의 브레이크 로드
631, 632: 제 1 캘리퍼 피스톤 64 : 제 2 캘리퍼 피스톤
68 : 연동용 마스터 실린더
73 : 연동 브레이크력 전달시스템의 구성요소인 피스톤 로드
75 : 고정부재로서의 정지륜 85 : 마스터 피스톤
86 : 액압실
96 : 연동 브레이크력 전달시스템의 구성요소인 압압레버
97 : 교정부재로서의 교정암 BF1, BF2, BF3: 전륜 브레이크
BR1, BR2: 후륜 브레이크
상기 제 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1 기재의 발명은 브레이크 조작에 따라서 전륜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는 전륜 브레이크 조작자와, 브레이크 조작에 따라서 후륜 브레이크 및 전륜 브레이크를 연동 작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후륜 브레이크 조작자를 구비한 차량용 전후 연동 브레이크 장치에 있어서, 후륜 브레이크 조작자의 조작에 따른 브레이크력을 전륜 브레이크에 미칠 수 있는 연동 브레이크력 전달시스템의 일구성요소와, 차체에 고정된 고정부재와의 사이에 후륜 브레이크 조작자측으로부터 연동 브레이크력 전달시스템에 작용하는 힘과는 역방향의 부세력을 상기 연동 브레이크력 전달시스템에 미치는 특성설정스프링이 배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2 기재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1 기재의 발명의 구성에 추가해서, 후륜 브레이크 조작자가 대략 중앙부에 연결되는 이퀄라이저의 양단부에 연동 브레이크력 전달시스템의 일단부와, 후륜 브레이크에 연결되는 후륜 브레이크력 전달부재의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이퀄라이저는 후륜 브레이크 조작자가 특성설정스프링의 스프링 부세력에 대응하는 값 미만일 때 후륜 브레이크력 전달부재를 통해 후륜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는 방향으로의 연동 브레이크력 전달시스템과의 연결부를 지점으로 한 회동작동이 가능함과 동시에, 후륜 브레이크 조작력이 특성설정스프링의 부세력에 대응하는 값 이상일 때 연동 브레이크력 전달시스템을 통해서 전륜 브레이크를 구동시킴과 동시에 후륜 브레이크력 전달시스템을 통해 후륜 브레이크를 구동시키는 방향으로 작동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3 기재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2 기재의 발명의 구성에 추가해서, 후륜 브레이크 조작자는 연결부재를 통해 이퀄라이저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재에는 이퀄라이저가 연결부재와의 연결부를 지점으로 해서 후륜 브레이크력 전달부재의 전달력을 느스하게 한 쪽으로 회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방향으로 이퀄라이저에 계합하는 스토퍼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4 기재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2 또는 3 기재의 발명의 구성에 추가해서, 연동 브레이크력 전달시스템은 이퀄라이저에 일단부가 연결되는 연동 케이블의 타단부가 후륜 브레이크 조작자측으로부터 전륜 브레이크 조작자측으로의 브레이크 조작력 전달만을 가능하게 하여 전륜 브레이크 조작자에 연결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5 기재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2 기재의 발명의 구성에 추가해서, 브레이크 페달인 후륜 브레이크 조작자가 이퀄라이저의 대략 중앙부에 연결되고, 상기 이퀄라이저의 일단부에 연동 브레이크력 전달시스템이 연결되고, 상기 이퀄라이저의 타단부에 후륜 브레이크력 전달부재를 통해 기계식 후륜 브레이크가 연결되는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6 기재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2 기재의 발명에 추가해서, 연동 브레이크력 전달시스템은 액압식 전륜 브레이크에 미치는 액압을 출력가능하게 하여 이퀄라이저에 연동, 연결되는 연동용 마스터 실린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7 기재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6 기재의 발명의 구성에 추가해서, 액압식 전륜 브레이크가 전륜 브레이크 조작자의 조작에 따른 전륜용마스터 실린더의 출력액압에 의해 작동하는 제1 캘리퍼 피스톤과, 연동용 마스터 실린더의 출력 액압에 작동하는 제2 캘리퍼 피스톤을 가진 디스크 브레이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8 기재의 발명, 상기 청구항6 기재의 발명의 구성에 추가해서, 전륜 브레이크 조작자의 조작에 따라서 작동하는 전륜용 마스터 실린더의 마스터 피스톤이 면하는 액압실과, 전륜 브레이크를 연결하는 액압 시스템에 상기 마스터 피스톤의 작동에 따라 액압실에 발생하는 액압이 연동용 마스터 실린더측에 미치는 것을 저지하여, 연동용 마스터 실린더가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9 기재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5 기재의 발명의 구성에 추가해서, 연동 브레이크력 전달시스템은 이퀄라이저에 일단부가 연결되는 연동 케이블과, 상기 연동 케이블의 견인작동 및 전륜 브레이크 조작자의 조작의 어느것에 의해서도 액압식 전륜 브레이크에 미치는 액압을 출력하는 전륜용 마스터 실린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10 기재의 발명은 브레이크 조작자와, 다수의 차륜 브레이크에 브레이크 조작력을 각각 개별적으로 전달하는 다수의 브레이크 케이블과, 상기 브레이크 조작자의 브레이크 조작에 따라 상기 각 브레이크 케이블을 각각 견인작동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브레이크 조작자 및 각 브레이크 케이블을 연결함과 동시에 고정된 케이싱내에 작동가능하게 수납되는 이퀄라이저를 구비한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에 있어서, 브레이크 조작자의 비조작상태에서 다수의 브레이크 케이블중 특정한 브레이크 케이블을 견인작동시킨 상태로 지지하지만 다른 브레이크 케이블을 비견인작동상태로 하는 파킹 브레이크 수단이 상기 케이싱에 배설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11 기재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10 기재의 발명의 구성에 추가해서, 파킹 브레이크 수단은 상기 브레이크 조작자의 브레이크 조작에 따른 이퀄라이저의 작동위치로 상기 이퀄라이저에 계합하는 계합위치와, 상기 이퀄라이저에 대한 계합을 해제하는 비계합위치 사이에서의 작동을 가능하게하여 상기 케이싱내에 수납되는 파킹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이퀄라이저는 상기 이퀄라이저에 파킹 레버가 계합된 상태에서의 브레이크 조작자의 조작력 해제에 따라 상기 다수의 브레이크 케이블을 비견인상태로 하는 파킹 브레이크 위치로 작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상기 케이싱내에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12 기재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11 기재의 발명의 구성에 추가해서, 상기 계합위치에서 비계합위치를 향해 스프링 부세된 파킹 레버에 상기 파킹 레버를 케이싱의 외부에서 조작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케이싱에 지지된 조작부재가 연동,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13 기재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11 또는 12 기재의 발명의 구성에 추가해서, 상기 파킹 레버가 계합위치로 작동하는 것을 검출하는 파킹 브레이크 스위치가 케이싱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14 기재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10 내지 13의 어느 한항에 기재한 발명의 구성에 추가해서, 상기 케이싱은 브레이크 조작자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여 스티어링 핸들에 장착된 홀더에 일체로 형성된 박스형상의 케이스부와, 상기 케이스부의 개구단을 덮으며 케이스부에 결합되는 커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15 기재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10 내지 14의 어느 한 항에 기재한 발명의 구성에 추가해서, 상기 브레이크 조작자의 조작에 따른 이퀄라이저의 작동에 따라 스위칭 양태를 변화시키는 브레이크 스위치가 상기 케이싱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첨부도면에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도1 내지 도10은 본 발명을 스쿠터형 자동 이륜차에 적용했을 때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며, 도1은 전후 연동 브레이크 장치의 전체구성도, 도2는 자동 이륜차의 바 핸들에 있어서의 우측단부의 절결평면도, 도3은 도2의 3-3선 확대단면도, 도4는 자동 이륜차의 바 핸들에 있어서의 좌측단부의 절결평면도, 도5는 도4의 5-5선 확대단면도, 도6은 전륜 브레이크 조작자만을 조작했을 때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 도7은 전륜 및 후륜의 브레이크력 특성도, 도8은 후륜 브레이크 조작자만을 조작하여 후륜 브레이크를 작동시킬 때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9는 후륜 브레이크 조작자만을 조작하여 전륜 및 후륜 브레이크를 연동작동시킬 때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10은 전륜 및 후륜 브레이크 조작자를 모두 조작했을 때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1에서, 이러한 전후 연동 브레이크 장치는 브레이크 조작에 따라서 액압식 전륜 브레이크(BF1)를 작동시키는 전륜 브레이크 조작자로서의 전륜 브레이크 조작 레버(61)와, 브레이크 조작에 따라 기계식 후륜 브레이크(BR1) 및 상기 액압식 전륜 브레이크(BF1)를 연동작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후륜 브레이크 조작자로서의 후륜 브레이크 조작 레버(71)를 구비한다.
후륜 브레이크 조작 레버(71)는 이퀄라이저(121)의 대략 중앙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이퀄라이저(121)의 양단부에는 연동 브레이크력 전달시스템(41)의 일단부와, 후륜 브레이크(BR1)에 연결된 후륜 브레이크력 전달부재로서의 후륜 브레이크 케이블(11)의 일단부가 연결된다.
연동 브레이크력 전달시스템(41)은 이퀄라이저(121)에 일단부가 연결되는 연동 케이블(10)과, 전륜 브레이크 조작 레버(61)에 그의 비브레이크 조작위치쪽에서 계합가능하게 해서 연동 케이블(10)의 타단부에 연속하는 보조조작자(81)로 이루어지고, 연동 케이블(10)은 그의 타단부에 연속하는 보조조작자(81)가 전륜 브레이크 조작 레버(61)와의 계합을 해제하는 쪽으로 특성설정스프링(91)에 의해 스프링력을 받는다.
전륜 브레이크(BF1)는 브레이크 캘리퍼(13)와 일체의 마스터 실린더(14)를 구비한 디스크 브레이크이며, 마스터 실린더(14)의 브레이크암(15)에 입력되는 조작입력에 따른 액압이 마스터 실린더(14)로부터 출력됨으로써 브레이크력을 발휘한다. 또, 후륜 브레이크(BR1)는 후륜의 차축(16)에 축지된 브레이크 드럼(17)과, 브레이크 패널(18)에 핀(19)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브레이크 드럼(17)과, 브레이크 패널(18)에 핀(19)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브레이크 드럼(17)의 내주면에 마찰계합가능한 한 쌍의 브레이크 슈(20)(20)와, 양 브레이크 슈(20)(20)를 상호 근접한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한 쌍의 스프링(21)(21)과, 양 브레이크 슈(20)(20)를 브레이크럼(17)의 내주면에 압접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브레이크 패널(18)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캠(22)과, 캠(22)에 기단이 연결되어 브레이크 드럼(17)의 외측으로 뻗은 브레이크 캠 암(23)을 구비한 드럼 브레이크이며, 브레이크 캠 암(23)에 입력된 조작입력에 따라 브레이크력을 발휘한다.
도2 및 도3에 있어서, 스쿠터형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의 차체의 전부에 배설되는 바 핸들(25)의 우측단에는 운전자가 오른손으로 잡는 손잡이부(26)가 배설된다. 또 손잡이부(26) 보다도 안쪽으로 바 핸들(25)에는 상기 바 핸들(25)을 상하에서 끼우는 상부 홀더(27) 및 하부 홀더(28)가 한 쌍의 볼트(29)(29)에 의해 장착된다. 하부 홀더(28)에 일체로 배설된 대체로 U자 형상의 브래킷(28a)에는 지축(30)을 통해 전륜 브레이크 조작 레버(61)의 기단부가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손잡이부(26)를 잡은 오른손으로 전륜 브레이크 조작 레버(61)를 브레이크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하부 홀더(28)에는 전륜 브레이크 조작 레버(61)의 기단부에 대향하는 제1지지부(28b)가 일체로 배설되어 있으며, 전륜 브레이크 케이블(31)에 있어서의 외측 케이블(31a)의 일단부가 제1지지부(28b)에 고정되고, 외측 케이블(31a)로부터 돌출된 내측 케이블(31b)의 일단이 전륜 브레이크 조작레버(61)의 기단부에 연결된다. 또한 전륜 케이블(31)의 타단은 도1에 도시한 전륜 브레이크(BF1)의 브레이크암(15)에 연결된다. 전륜 브레이크(BF1)의 브레이크암(15)에 연결된다. 따라서, 전륜 브레이크 조작 레버(61)의 브레이크 조작에 따라서 전륜 브레이크(BF1)가 작동되게 된다.
지축(30)은 브래킷(28a)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이 지축(30)의 브랫킷(28a)의 돌출부에는 보조조작자(81)가 회동가능하게 지지된다. 이 보조조작자(81)의 일단부에는 하부 홀더(28)의 제1지지부(28b)축, 즉 전륜 브레이크 조작 레버(61)의 비브레이크 조작위치측으로부터 상기 전륜 브레이크 조작 레버(61)에 계합되는 계합부(8a)가 일체로 배설되며, 보조조작자(81)의 타단부에는 지축(30)과 평행한 축선을 가진 연결핀(32)을 통해 연결부재(33)가 연결된다. 또, 하부 홀더(28)에는 연결부재(33)에 간격을 두고 대향하는 제2지지부(28c)가 일체로 배설되어 있고, 연동 케이블(10)에 있어서의 외측 케이블(10a)의 단부가 제2지지부(28c)에 고정되고, 외측 케이블(10a)로부터 돌출된 내측 케이블(10b)의 단부가 연결부재(33)에 연결된다. 또, 차체에 고정된 고정부재로서의 하부 홀더(28)에 있어서의 제2지지부(28c)와, 연동 브레이크력 전달시스템(41)의 일구성요소인 연결부재(33)사이에 내측 케이블(10b)을 에워싸는 코일형상의 특성설정스프링(91)이 압축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특성설정스프링(91)은 계합부(8a)의 전륜 브레이크 조작 레버(61)와의 계합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보조조작가(81)를 가하는 방향, 즉 연동 케이블(10)로부터 전륜 브레이크 조작자(61)에 작용하는 힘과는 역방향의 부세력을 연동 케이블(10)에 미치는 스프링힘을 발휘한다.
도4 및 도5에 있어서, 바 핸들(25)의 좌측단에는 운전자가 왼손으로 잡는 손잡이부(34)가 배설된다. 상기 손잡이부(34) 보다 안쪽으로 바 핸들(25)에는 상기 바 핸들(25)을 상하에서 끼우는 상부 홀더(35) 및 하부 홀더(36)가 한 쌍의 볼트(37)(37)로 장착된다. 하부 홀더(36)에는 상부를 개방한 박스형상부(36a)가 일체로 배치되며, 상부 홀더(35)에는 박스형상과(36a)의 상단 개구부를 폐쇄하는 평판형상의 상부를 개방한 박스형상부(36a) 및 뚜껑부(35a)가 일체로 배치된다. 그리고, 박스형상부(36a) 및 뚜껑부(35a)가 일체로 배치된다. 그리고, 박스형상부(36a) 및 뚜껑부(35a)는 상기 볼트(37)(37)에 추가해서 볼트(38)에 의해 서로 체결되어 하우징(39)을 구성한다.
또, 하부 홀더(36)에는 브래킷(36b)이 일체로 배설되어 있으며, 이 브래킷(36b)에는 지축(40)을 통해 후륜 브레이크 조작 레버(71)의 기단부가 회동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리고, 손잡이부(34)를 잡은 왼손으로 후륜 브레이크 조작 레버(71)를 브레이크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후륜 브레이크 조작 레버(71)의 기단부에는 연결로드(41)의 일단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로드(41)는 하우징(39)의 측벽을 이동가능하게 관통하여 하우징(39)내에 삽입된다. 한편, 하우징(39)내에는 이퀄라이저(121)가 수납된 것이며, 연결로드(41)의 타단에 연결되는 연결부재(42)가 이퀄라이저(121)의 대략 중앙부에 연결핀(43)을 통해 연결된다.
연동 케이블(10)의 일단부에 있어서, 외측 케이블(10a)은 하우징(39)에 고정되고, 외측 케이블(10a)로부터 돌출되어 하우징(39)내에 삽입된 내측 케이블(10b)이 이퀄라이저(121)의 일단에 연결된다. 또, 후륜 브레이크 케이블(11)은 후륜 브레이크(BR)의 브레이크 캠 암(23)에 연결된 것이며, 상기 후륜 브레이크 케이블(11)의 일단부에서 외측 케이블(11a)이 하우징(39)에 고정되고, 외측 케이블(11a)로부터 돌출된 내측 케이블(11b)이 이퀄라이저(121)의 타단에 연결된다.
그러나, 후륜 브레이크 조작 레버(71)에 의한 브레이크 조작력은 연결로드(41) 및 연결부재(42)를 통해 이퀄라이저(121)에 작용하는 것이지만, 후륜 브레이크 조작 레버(71)의 조작력이 특성설정스프링(91)의 부세력에 대응하는 값 미만일 때에는 이퀄라이저(121)는 연동 케이블(10)과의 연결부를 지점으로 해서 회동할 뿐이며, 그 상태에서는 후륜 브레이크 케이블(11)에 작용하는 견인력이 후륜 브레이크(BR1)에 미치고, 후륜 브레이크(BR1)에서 브레이크력이 얻어진다. 또, 후륜 브레이크 조작 레버(71)의 조작력이 특성설정스프링(91)의 부세력에 대응하는 값 이상일 때에는 이퀄라이저(121)는 특성설정스프링(91)을 압축하여 보조조작자(81)를 회동구동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 상태에서 이퀄라이저(121)는 연동 케이블(10) 및 후륜 브레이크 케이블(11)을 함께 견인하는 방향(도4의 좌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연결부재(42)에는 이퀄라이저(121)에 계합하는 스토퍼(42a)가 일체로 배설되어 있으며, 이 스토퍼(42a)는 이퀄라이저(121)가 연결부재(42)와의 연결부, 즉 연결핀(43)을 지점으로 해서 후륜 브레이크 케이블(11)을 느슨하게 하는 쪽으로 회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방향으로 이퀄라이저(121)에 계합된다.
다음에 제1실시예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륜 브레이크 조작 레버(71)를 조작하지 않은 상태에서 전륜 브레이크 조작레버(61)만을 브레이크 조작하면, 전륜 브레이크 케이블(31)이 견임됨으로써 전륜 브레이크(BF1)가 작동되고, 도7의 선분(A-B)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전륜 브레이크력만을 얻을 수 있다.
계속해서, 전륜 브레이크 조작 레버(61)를 조작하지 않은 상태에서 후륜 브레이크 조작 레버(71)를 브레이크 조작하면, 그 후륜 브레이크 조작 레버(71)의 조작력이 특성설정스프링(91)의 부세력 미만일 때에는 도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퀄라이저(121)가 연동 케이블(10)과의 연결부를 지점으로 해서 회동하고, 그것에 따라 후륜 브레이크 케이블(11)이 견인되어 후륜 브레이크(BR1)가 브레이크 작동하고, 도7의 선분(A-C)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후륜 브레이크력만을 얻을 수 있다.
전륜 브레이크 조작 레버(61)를 조작하지 않은 상태에서 후륜 브레이크 조작 레버(71)를 특성설정스프링(91)의 부세력 이상의 조작력으로 브레이크 조작하면, 도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퀄라이저(121)가 연동 케이블(10) 및 후륜 브레이크 케이블(11)을 함께 견인하는 방향으로 작동하고, 보조조작자(81)가 전륜 브레이크 조작 레버(61)에 계합해서 브레이크 조작위치쪽으로 작동시킴으로써 전륜 브레이크(BF1)에서 브레이크력을 얻을 수 있음과 동시에, 후륜 브레이크 케이블(11)의 견인력에 의해 후륜 브레이크(BR1)에서 브레이크력을 얻을 수 있고, 이 때의 브레이크 특성은 도7의 선분(C-D)으로 나타낸 것이 된다.
따라서, 전륜 브레이크 조작 레버(61)를 조작하지 않은 상태에서 후륜 브레이크 조작 레버(71)를 브레이크 조작했을 때에는 도7의 선분(A-C-D)으로 나타낸 브레이크 특성을 얻을 수 있게 되고, 전륜 브레이크력 및 후륜 브레이크력의 배분을 이상분배에 가까워지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7의 점 C, 즉 전륜 브레이크 조작 레버(61)를 브레이크 조작하지 않은 상태에서 후륜 브레이크 조작 레버(71)만을 비교적 가벼운 조작력으로 조작하여 후륜 브레이크(BR1)만으로 브레이크력을 얻을 때의 후륜 브레이크(BR1)의 브레이크력(L)은 특성설정스프링(91)의 스프링 하중으로 정해지는 것이며, 자동 이륜차의 차종이 변화되었을 때에는 특성설정스프링(91)의 선정에 의해 브레이크 특성을 쉽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전륜 브레이크 조작 레버(61) 및 후륜 브레이크 조작 레버(71)를 동시에 브레이크 조작하면, 도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퀄라이저(121)가 작동함으로써 전륜 브레이크(BF1) 및 후륜 브레이크(BR1)에서 모두 브레이크력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때, 이퀄라이저(121)의 작동상태는 후륜 브레이크 조작 레버(71)로부터의 조작압력에 의해 정해지는 것이며, 전륜 브레이크력 및 후륜 브레이크력의 배분은 좌우의 브레이크 조작입력 비율에 따라 도7의 사선으로 나타낸 범위에서 변하게 된다.
연동 케이블(10)이 어떤 이유에 의해 절단된 상태를 상정하면, 후륜 브레이크 조작 레버(71)에 연결된 연결부재(42)의 스토퍼(42a)가 이퀄라이저(121)에 계합되고, 이퀄라이저(121)가 연결핀(43)을 지점으로 해서 후륜 브레이크 케이블(11)을 느슨하게 하는 쪽으로 회동하는 것이 저지되므로, 후륜 브레이크 조작 레버(71)의 브레이크 조작에 의해 후륜 브레이크 케이블(11)에 견인력을 확실하게 작용시킬 수 있으며, 후륜 브레이크(BR1)의 브레이크력 확보를 확실하게 하여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해서 후륜 브레이크 조작 레버(71)의 브레이크 조작에 의한 전륜 및 후륜 브레이크(BF1, BR1)의 연동작동이 가능해지지만, 전륜 브레이크(BF1)를 작은 조작력으로 비교적 큰 브레이크력을 얻을 수 있는 디스크 브레이크로 함으로써, 연동 브레이크 상태에서의 브레이크 특성선도의 기울기θ(도7 참조)를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 후륜 브레이크(BR1)를 기계식 드럼 브레이크로 함으로써, 비용 절감을 가능하게 하여 가격 설정이 낮은 스쿠터형 자동 이륜차 등에 채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전륜 브레이크(BF1) 및 후륜 브레이크(BR1)를 함께 드럼 브레이크로 했을 때에는 라이닝의 마모에 따른 케이블 조정이 번잡해진다.
도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제1실시예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붙인다.
전륜 브레이크(BF2)는 마스터 실린더를 갖지 않은 디스크 브레이크이며, 전륜 브레이크 조작 레버(62)에서 직접 작동되는 전륜용 마스터 실린더(45)로부터 출력되는 액압이 모듈레이터(46)에서 제어되어 전륜 브레이크브(BF2)에 작용되며, 모듈레이터(46)는 후륜회전속도센서 등의 센서(48)의 검출신호에 의거해서 전자제어유닛(47)에 의해 제어된다.
연동 브레이크력 전달시스템(42)은 이퀄라이저(121)에 일단부가 연결되는 연동 케이블(10)과, 연동 케이블(10)의 타단부에 일단부가 연결되는 보조조작자(82)로 이루어지며, 보조조작자(82)는 전륜 브레이크 조작 레버(62)와 공통하는 요동지축(4
9)에 의해 지지된다. 이 보조조작자(82)의 타단이 전륜 브레이크 조작 레버(62)에 그 비브레이크 조작위치쪽에서 계합가능하고, 연동 케이블(10)은 특성설정스프링(91)에 의해 보조조작자(82)의 전륜 브레이크 조작 레버(62)와의 계합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부세되며, 특성설정 스프링(91)의 스프링력 이상의 브레이크 조작력이 후륜 브레이크 조작 레버(71)로부터 입력되었을 때에는 보조조작자(82)에 의해 전륜 브레이크 조작 레버(62)가 브레이크 조작위치쪽으로 구동되어 연동브레이크 상태를 얻을 수 있다.
이 제2실시예에 의해서도 상기 제1실시예와 같은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도12 내지 도1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12는 제3실시예의 바 핸들에 있어서의 좌측단부의 횡단평면도, 도13은 도12의 13-13선 단면도, 도14는 14-14선 단면도, 도15는 도12의 15-15선 단면도이다.
바 핸들(25)에는 그 좌측단에 배설된 손잡이부(34)보다도 안쪽으로 상기 바 핸들(25)을 상하에서 끼우는 상부 홀더(35') 및 하부 홀더(36')가 한 쌍의 볼트(37)(37)에 의해 장착된다. 하부 홀더(36')에는 자동 이륜차의 전방쪽을 개방한 박스형상부(36a')가 일체로 배치되며, 상기 박스형상부(36a')와 공동으로 하우징(39')을 구성하는 뚜껑부재(50)가 한쌍의 나사부재(51)(51)에 의해 박스형상부(36a')의 개구단에 체결된다. 그리고, 뚜껑부재(50)에는 박스형상부(36a')의 폐쇄단에 당접하는 한 쌍의 보스부(50a)(50b)가 일체로 배설되어 있으며, 그들의 보스부(50a)(50b)에 각각 삽입된 나사부재(51)(51)가 박스형상부(36a')에 나사조임된다.
하부 홀더(36')에는 브래킷(36b')이 일체로 배설되어 있으며, 이 브래킷(36b')에는 지축(40)을 통해서 후륜 브레이크 조작 레버(72)의 기단부가 회동가능하게 지지된다. 후륜 브레이크 조작 레버(72)의 기단부에는 연결로드(41)의 일단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로드(41)는 하우징(39')의 측벽을 이동가능하게 관통하여 하우징(39')내에 삽입된다. 한편, 하우징(39')내에는 이퀄라이저(121)가 수납되며, 연결로드(41)의 타단부에 연결되는 연결부재(42')가 이퀄라이저(121)의 대략 중앙부에 연결핀(43)을 통해 연결된다. 연동 케이블(10)의 일단부에 있어서, 외측 케이블(10a)은 하우징(39')에 고정되고, 내측 케이블(10b)이 이퀄라이저(121)의 일단에 연결된다. 후륜 브레이크 케이블(11)의 일단부에 있어서, 외측 케이블(11a)이 하우징(39')에 고정되고, 내측 케이블(11b)이 이퀄라이저(121)의 타단에 연결된다.
그러나, 하우징(39')을 구성하는 뚜껑부재(50)의 외면측에는 상기 뚜껑부재(50)를 박스형상부(36a')에 체결하기 위한 한쌍의 나사부재(51)(52)에 의해 인히비터(inhibitor) 하우징(52)이 체결되어 있으며, 상기 인히비터 하우징(52)에는 인히버터(53)가 장착됨과 동시에 인히비터(53)에 당접할 수 있는 슬라이더(54)가 슬라이딩가능하게 감합된다. 슬라이더(54)의 인히비터 하우징(52)으로부터의 돌출단에는 계합구멍(55)이 형성되고, 상기 계합구멍(55)에는 후륜 브레이크 조작 레버(72)에 돌출설치된 계합된(56)이 계합된다. 또 계합구멍(55)은 후륜 브레이크 조작 레버(72)의 소정량 이상의 브레이크 조작에 따라 슬라이더(54)를 인히비터(53)로부터 분리시키는 방향으로 작동시킬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인히비터 하우징(52) 및 슬라이더(54) 사이에는 상기 슬라이더(54)를 인히비터(53) 쪽으로 힘을 가하는 리턴 스프링(57)이 설치된다.
뚜껑부재(50)와 일체인 보스부(50a)(50b)는 이퀄라이저(121)의 양단부에 각각 대향하는 위치에 있으며, 그들의 보스부(50a)(50b)는 전륜 브레이크 조작 레버(72)로부터의 조작입력이 최대일 때 이퀄라이저(121)에 당접하는 스토퍼로서의 기능을 다하도록 형성된다.
이 제3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각 실시예와 같은 효과를 나타내고, 게다가 후륜 브레이크 조작 레버(72)를 소정량만 조작한 것을 인히비터(53)에서 검출하여 자동 이륜차의 셀모터를 작동시키도록 할 수 있다. 또, 연동 케이블(10)이 어떤 이유에 의해 절단되더라도 이퀄라이저(121)가 양 보스부(50a)(50b)에 당접할 때까지 브레이크 조작력을 증대함으로써, 후륜 브레이크 케이블(11)의 견인력이 느슨하게 되는 것을 회피하여 후륜측에서의 브레이크력 확보를 확실히 할 수 있다.
도16 및 도1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며, 도16은 전후 연동 브레이크 장치의 전체구성도, 도17은 후륜 브레이크 조작자 및 연동용 마스터 실린더의 확대종단측면도이다.
이 전후 연동 브레이크 장치는 브레이크 조작에 따라 액압식 전륜 브레이크(BF3)를 작동시키는 전륜 브레이크 조작자로서의 전륜 브레이크 조작 레버(62)와, 브레이크 조작에 따라 기계식 후륜 브레이크(BR3) 및 상기 전륜 브레이크(BF3)를 연동작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후륜 브레이크 조작자로서의 브레이크 페달(72)을 구비한다.
브레이크 페달(72)은 연결로드(61)를 통해서 이퀄라이저(122)의 대략 중앙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이퀄라이저(122)의 양단부에는 연동 브레이크 전달시스템(43)과, 후륜 브레이크(BR3)에 연결되는 후륜 브레이크력 전달부재로서의 브레이크 로드(62)가 연결된다.
전륜 브레이크(BF3)는 전륜 브레이크 조작 레버(62)의 조작에 따라 액압을 출력하는 전륜용 마스터 실린더(45)의 출력 액압으로 작동하는 한 쌍의 제1캘리퍼 피스톤(631, 632)과, 연동 브레이크력 전달시스템(43)으로부터의 액압으로 작동하는 제2캘리퍼 피스톤(64)을 가진 디스크 브레이크이며, 전륜용 마스터 실린더(45)의 출력 액압 몇 연동 브레이크력 전달시스템(43)으로부터의 액압 중 어느것이라도 브레이크력을 발휘할 수 있다. 또, 후륜 브레이크(BR3)는 후륜의 차축(16)에 회전지지된 브레이크 드럼(17)과, 브레이크 패널(18)에 핀(19)을 통해 회전지지됨과 동시에 브레이크 드럼(17)의 내주면에 마찰계합가능한 한싸의 브레이크 슈(20)(20)와, 양 브레이크 슈(20)(20)를 브레이크 드럼(17)의 내주면에 압접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브레이크 패널(18)에 회전지지되는 캠(22)과, 캠(22)에 기단이 연결되어 브레이크드럼(17)의 외측으로 뻗은 브레이크 캠 암(23)과, 브레이크 드럼(17)에 고정되어 브레이크 캠 암(23)에 대향하는 고정암(65)과, 양 브레이크 슈(20)(20)를 근접시킨 방향으로 브레이크 캠 암(23)을 부세하는 스프링력을 발휘하여 양 암(23)(65) 사이에 배치되는 리턴 스프링(66)을 구비하고, 이퀄라이저(121)에 일단이 연결된 브레이크 로드(62)의 타단이 브레이크 캠 암(23)에 연결된다.
연동 브레이크력 전달시스템(43)은 이퀄라이저(122)에 의해 구동되어 액압을 출력하는 연동용 마스터 실린더(68)와, 상기 연동용 마스터 실린더(68)의 출력 액압을 전륜 브레이크(BF3)의 제2캘리퍼 피스톤(64)에 미치도록 해서 연동용 마스터 실린더(68) 및 전륜 브레이크(BF3) 사이를 연결하는 관로(69)를 구비한다.
연동용 마스터 실린더(68)는 차체에 고정된 실린더체(70)와, 관로(69)에 통하는 액압실(71)에 기단을 면하게 해서 실린더체(7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 맞춰지는 마스터 피스톤(72)를 구비한 것이며, 마스터 피스톤(72)에 연결되어 후방으로 뻗은 피스톤 로드(73)의 후단이 이퀄라이저(122)의 일단부에 연결되고, 액압실(71)에는 마스터 피스톤(72)을 후방측으로 힘을 가하는 리턴 스프링(74)이 수납된다. 또, 실린더체(70)의 후단부 내면에는 마스터 피스톤(72)의 후퇴한 위치를 규제하는 정지륜(75)이 끼워져 부착되어 있다.
그러나, 마스터 피스톤(72)의 외주 및 실린더체(70)의 내주면에는 마스터 피스톤(72)의 외주에 장착된 한쌍의 캡 시일(77)(78)에 의해 환형상 보급실(76)이 형성되어 있으며, 보급실(76) 및 액압실(71) 사이의 캡 시일(77)은 보급실(76)로부터 액압실(71)로의 브레이크액의 유통을 허용한다.
또, 실린더체(70)에는 상기 실린더체(70)로부터 상측으로 뻗은 관체(79)를 통해 리저버(reservoir) 탱크(80)가 접속되어 있으며, 관체(79)를 통해 리저버 탱크(80)에 통하는 해방포트(81)가 마스터 피스톤(72)이 후퇴 한계에 있을 때 액압실(71)로 통하도록 해서 실린더체(70)에 설치됨과 동시에, 관체(79)를 통해 리저버 탱크(80)로 통하는 보급포트(82)가 보급실(76)로 상시 통하도록 해서 실린더체(70)에 형성된다.
차체에 고정된 고정부재로서의 정지륜(75)과, 연동 브레이크력 전달 시스템(43)의 일구성요소로서의 피스톤 로드(73)에 배치된 턱부(73a) 사이에 특성설정스프링(92)이 설치된다.
이 제4실시예에 의하면, 전륜 브레이크 조작 레버(62)를 조작하지 않은 상태에서 브레이크 페달(72)을 브레이크 조작하면, 그 브레이크 페달(72)의 조작력이 특성설정스프링(92)의 부세력 미만일 때에는 이퀄라이저(122)가 피스톤 로드(73)와의 연결부를 지점으로 해서 회동하고, 그것에 따라 브레이크 로드(62)가 견인되어 후륜 브레이크(BR2)가 브레이크 작동한다. 또, 브레이크페달(72)을 특성설정스프링(92)의 부세력 이상의 조작력으로 브레이크 조작하면, 이퀄라이저(122)가 피스톤 로드(73)를 압압함과 동시에 브레이크 로드(62)를 견인하는 방향으로 작동하고, 전륜 브레이크(BF3)에서 브레이크력을 얻을 수 있음과 동시에, 후륜 브레이크(BR3)에서 브레이크력을 얻을 수 있다. 즉, 후륜 브레이크 조작자가 브레이크 페달(72)이며, 후륜 브레이크(BR3)가 기계식인 자동 이륜차에 이퀄라이저(122) 및 연동용 마스터 실린더(68) 등 소수의 부품을 추가하는 것 만으로 전후 연동 브레이크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도18 및 도1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를 나타낸 것인데, 도18은 전후 연동 브레이크 장치의 전체구성도, 도19는 전륜용 마스터 실린더의 확대종단측면도이다.
이 전후 연동브레이크 장치는 브레이크 조작에 따라 액압식 전륜 브레이크(BF2)를 작동시키는 전륜 브레이크 조작 레버(62)와, 브레이크 조작에 따라 기계식 후륜 브레이크(BR2) 및 상기 전륜 브레이크(BF2)를 연동작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브레이크 페달(72)을 구비하고, 브레이크 페달(72)에 연결로드(61)를 통해 연결되는 이퀄라이저(122)의 양단부에 후륜 브레이크(BR2)에 연결된는 브레이크 로드(62)와, 연동 브레이크 전달시스템(44)이 연결된다.
전륜 브레이크(BF2)는 전륜 브레이크 조작 레버(62)의 조작에 따라 액압을 출력하는 전륜용 마스터 실린더(45')의 출력액압이 작용하는데 따라 작동하는 것이며, 전륜용 마스터 실린더(45')의 마스터 피스톤(85)이 면하는 액압실(86)로 통하는 관로(87)가 전륜 브레이크(BF2)에 접속된다.
연동 브레이크력 전달시스템(44)은 정지륜(75) 및 턱부(73a) 사이에 특성설정스프링(92)이 설치됨과 동시에 이퀄라이저(122)에 의해 구동되는 연동용 마스터 실린더(68)와, 상기 연동용 마스터 실린더(68)의 액압실(71)로 통하는 관로(83)를구비하고, 전류용 마스터 실린더(45')의 액압실(86) 및 전륜 브레이크(BF2) 사이를 연결하는 액압 시스템에 상기 전륜용 마스터 실린더(45')의 마스터 피스톤(85)이 작동하는데 따라 액압실(86)에 발생하는 액압이 연동용 마스터 실린터(68)측에 미치는 것을 처리하여 관로(83)가 접속된다. 즉, 전륜용 마스터 실린더(45)에 있어서, 그 실린더체(88)의 내주와 마스터 피스톤(85)의 외주 사이에는 마스터 피스톤(85)의 외주에 장착된 한 쌍의 캡 시일(89)(90)에 의해 환형상 보급실(91)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 실린더체(88)에는 해방포트(92)가 마스터 피스톤(85)의 후퇴한계 위치에서 액압실(86)로 통하도록 형성됨과 동시에, 보급포트(93)가 보급실(91)로 상시 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연동 브레이크력 전달 시스템(44)의 관로(83)는 해방포트(92) 및 보급포트(93)로 통하도록 전륜용 마스터 실린더(45')에 접속된다.
이 제5실시예에 의하면, 전륜 브레이크 조작 레버(62)를 조작하지 않은 상태, 즉 전륜용 마스터 실린더(45')의 마스터 피스톤(85)이 후퇴한계 위치에 있을 때, 브레이크 페달(72)을 특성설정스프링(92)에 의해 정해지는 조작력 이상의 조작력으로 조작함으로써, 후륜 브레이크(BR3) 및 전륜 브레이크(BF2)를 연동 작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제4실시예와 같은 효과를 거둘 수 있음과 동시에, 연동용 마스터 실린더(68)에 부설된 리저버 탱크(80)를 전륜용 마스터 실린더(45')와 공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부품수의 저감이 가능해진다.
도20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각 실시예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의 설명을 붙인다.
이 전후 연동 브레이크 장치는 브레이크 조작에 따라 액압식 전륜 브레이크(BF2)를 작동시키는 전륜 브레이크 조작 레버(63)와, 브레이크 조작에 따라 기계식 후륜 브레이크(BR2) 및 상기 전륜 브레이크(BF2)를 연동작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브레이크 페달(72)을 구비하고, 브레이크 페달(72)에 연결로드(61)를 통해 연결되는 이퀄라이저(122)의 양단부에 후륜 브레이크(BR2)에 연결되는 브레이크 로드(62)와, 연동 브레이크력 전달시스템(45)이 연결된다.
연동 브레이크력 전달시스템(45)은 이퀄라이저(122)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연동 케이블(10)과, 전륜 브레이크(BF2)에 접속된 전륜용 마스터 실린더(45)에 압압력을 미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고정위치의 지축(95)에 기단이 요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압압레버(96)를 구비하고, 연동 케이블(10)이 압압레버(96)의 선단에 연결된다. 또한, 전륜용 마스터 실린더(45)와 일체인 고정암(97)과, 연동 브레이크력 전달시스템(45)의 일구성요소인 압압레버(96)의 선단 사이에 특성설정스프링(93)이 설치된다.
또, 전륜 브레이크 조작 레버(63)는 압압레버(96)와 공통의 지축(95)에서 회동조작가능하게 지지되며, 압압레버(96)에는 전륜 브레이크 조작 레버(63)를 그 브레이크 조작시에 계합시켜서 전륜용 마스터 실린더(45)에 압압력을 미치기 위한 계지돌출부(96a)가 형성된다.
이 제6실시예에 의하면 전륜 브레이크 조작 레버(63)의 비조작상태에서 브레이크 페달(72)을 특성설정스프링(93)에서 정해지는 조작력 이상의 조작력으로 조작함으로써, 전륜 브레이크 조작 레버(63)를 내버려 둔 채로 압압레버(96)를 회동시켜서 전륜 브레이크(BF2)에 작용하는 액압을 전륜용 마스터 실린더(45)로부터 출력시킬 수 있다. 즉, 후륜 브레이크(BR2) 및 전륜 브레이크(BF2)를 연동작동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제4 및 제5실시예와 같은 효과를 거둘 수 있고, 또 연동용 마스터 실린더(68)가 불필요하므로, 제4 및 제5실시예의 것에 비해 부품수를 보다 저감할 수 있다.
도22 내지 도28은 상기 제2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도22는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의 전체구성도, 도23은 자동 이륜차의 바형 스티어링 핸들에 있어서의 좌측단부의 평면도, 도24는 도23의 3에서 본 절결정면도, 도25는 도23의 4-4선 단면도, 도26은 도24의 5-5선 확대단면도, 도27은 비브레이크 조작상태에서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24의 요부를 커버를 생략한 상태에서 도시한 단면도, 도28은 파킹 브레이크 조작상태에서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27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먼저 도22에 있어서, 이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는 브레이크 조작에 따라 액압식 전륜 브레이크(BF)를 작동시키는 전륜 브레이크 조작 레버(11)와, 브레이크 조작에 따라서 기계식 후륜 브레이크(BR) 및 상기 전륜 브레이크(BF)를 연동작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브레이크 조작자로서의 후륜 브레이크 조작 레버(12)를 구비한다.
후륜 브레이크 조작 레버(12)는 이퀄라이저(13)의 대략 중앙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이퀄라이저(13)의 양단부에는 전륜 브레이크(BF)에 브레이크 조작력을 전달하는 전륜 브레이크 케이블(14)의 일단부와, 후륜 브레이크(BR)에 브레이크 조작력을 전달하는 후륜 브레이크 케이블(15)의 일단부가 연결된다. 또, 전륜 브레이크 케이블(14)의 타단부는 보조조작 레버(16)에 연결된다.
전륜 브레이크(BF)는 디스크 브레이크로서, 보조조작 레버(16)의 압압조작에 따라 액압을 출력하는 마스터 실린더(18)가 관로(19)를 통해 전륜 브레이크(BF)에 접속된다. 마스터 실린더(18)는 스쿠터형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의 차체의 전부에 배치되는 바형 스티어링 핸들(35)(도23~도25 참조)의 우측단부에 배설되며, 운전자가 오른 손으로 조작하는 전륜 브레이크 조작 레버(11)가 마스터 실린더(18)에 배설된 브랫킷(20)에 지축(21)을 통해 회동가능하게 지지된다. 또, 마스터 실린더(18)에 조작력을 입력할 수 있는 보조조작 레버(16)도 상기 지축(21)을 통해 브래킷(20)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이 보조조작 레버(16)에는 전륜 브레이크 조작 레버(11)를 브레이크 조작할 때 상기 전륜 브레이크 조작 레버(11)를 계합시키는 계지부(16a)가 배설된다. 또, 마스터 실린더(18)에 고정적으로 연결되는 고정암(22)과 상기 보조조작 레버(16) 사이에는 계지부(16a)를 전륜 브레이크 조작 레버(11)에 계합시키는 쪽 즉 마스터 실린더(18)로의 입력을 해방하는 쪽으로 보조조작 레버(16)를 부세하는 스프링(23)이 설치된다. 그리고, 전륜 브레이크 조작 레버(11)를 브레이크 조작했을 때에는 상기 전륜 브레이크 조작 레버(11)가 계지부(16a)에 계합됨으로써 보조조작 레버(16)가 마스터 실린더(18)를 압압조작하는 쪽으로 회동하여 전륜 브레이크(BF)에서 브레이크력이 발휘하고, 또한 전륜 브레이크 케이블(14)이 견인되었을 때에는 전륜 브레이크 조작 레버(11)를 내버려 둔 채로 보조조작 레버(16)가 회동함으로써 마스터 실린더(18)가 압압조작되고, 그것에 따라 전륜 브레이크(BF)에서 브레이크력이 발휘하게 된다.
후륜 브레이크(BR)는 후륜의 차축(25)에 축지된 브레이크드럼(26)과, 브레이크 패널(27)에 핀(28)을 통해 회전지지됨과 동시에 브레이크 드럼(26)의 내주면에 마찰계합가능한 한쌍의 브레이크 슈(29)(29)와, 양 브레이크 슈(29)(29)를 브레이크 드럼(26)의 내주면에 압접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브레이크 패널(27)에 회전지지되는 캠(30)과, 캠(30)에 기단이 연결되어 브레이크 드럼(26)의 외측으로 뻗은 브레이크 캠 암(31)과, 브레이크 캠 암(31)에 대향하게 브레이크 드럼(26)에 배치된 고정암(32)과, 브레이크 캠 암(31) 및 고정암(32) 사이에 설치됨과 동시에 양 브레이크 슈(29)(29)를 상호 근접시킨 쪽으로 브레이크 캠 암(31)을 부세하는 스프링(33)을 구비한 드럼 브레이크이며, 후륜 브레이크 케이블(15)로부터 브레이크 캠 암(31)에 입력되는 조작입력에 따라 브레이크력을 발휘한다.
도23 내지 도25를 함께 참조해서, 스쿠터형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의 차체의 전부에 배치되는 바형 스티어링 핸들(35)의 좌측단에는 운전자가 왼손으로 잡는 손잡이부(36)가 배치되고, 상기 손잡이부(36) 보다도 안쪽으로 스티어링 핸들(35)에는 홀더(37)가 장착된다. 즉, 홀더(37)에는 스티어링 핸들(35)의 대략 반원주에 대응하는 원호형상의 장착부(37a)가 일체로 배설되어 있으며, 스티어링 핸들(35)의 나머지인 대략 반원주에 대응하는 원호형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일단이 상기 장착부(37a)에 계합되는 장착 스테이(38)의 타단이 나사부재(39)로 홀더(37)에 체결됨으로써, 홀더(37)는 스티어링 핸들(35)에 고정된다. 이 홀더(37)에는 지축(40)을 통해 전륜 브레이크 조작 레버(12)의 기단부가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손잡이부(36)를 잡은 왼손으로 전륜 브레이크 조작 레버(12)를 브레이크 조작할 수 있다.
또, 홀더(37)에는 박스형상의 케이스부(37b)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스부(37b)의 개구단을 덮도록 하여 케이스부(37b)에 결합되는 커버(41)와 케이스부(37b)로 케이싱(42)이 구성되고, 상기 케이싱(42)내에는 이퀄라이저(13)가 수납된다.
또, 도26 및 도27을 함께 참조해서, 후륜 브레이크 조작 레버(12)의 기단부에는 연결로드(43)의 일단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로드(43)는 케이싱(42)에 있어서 케이스부(37b)의 일측벽(37b1)을 이동가능하게 관통하여 케이싱(42)내에 삽입된다. 한편, 케이싱(42)내에는 이퀄라이저(13)가 수납되며, 연결로드(43)와의 연결로드(43)의 타단은 이퀄라이저(13)의 대략 중앙부에 상기 이퀄라이저(13)가 연결로드(43)와의 연결부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서 연결된다.
또, 케이스부(37b)에 있어서, 상기 일측벽(37b1)에 대향하는 타측벽(37b2)에는 전륜 및 후륜 브레이크 케이블(14)(15)의 외측 케이블(14a)(15a)이 병렬고정된다. 즉, 외측 케이블(14a)내에 내측 케이블(14b)이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이루어진 전륜 브레이크 케이블(14)의 일단부에 있어서, 외측 케이블(14a)를 게이스부(37b)의 타측벽(37b2)에 고정되며, 외측 케이블(14a)로부터 돌출하여 케이싱(42)내에 삽입된 내측 케이블(14b)은 이퀄라이저(13)의 일단에 연결된다. 또, 외측 케이블(15a)내에 내측 케이블(15b)이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이루어진 후륜 브레이크 케이블(15)의 일단부에 있어서, 외측 케이블(15a)은 케이스부(37b)의 타측벽(37b2)에 전륜 브레이크 케이블(14)과 병렬로 고정되며, 외측 케이블(15a)로부터 돌출된 내측 케이블(15b)은 이퀄라이저(13)의 타단에 연결된다.
그러나, 후륜 브레이크 조작 레버(12)에 의한 브레이크 조작력은 연결로드(
43)를 통해 이퀄라이저(13)에 작용하는 것이지만, 이퀄라이저(13)는 휴륜 브레이크 조작 레버(12)로부터의 조작력이 작용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 브레이크 케이블(14)(15)에 견인력을 작용시키지 않아 케이스부(37b)가 타측벽(37b2)에 근접한 비작동위치에 있으나, 후륜 브레이크 조작 레버(12)로부터 조작력이 작동하는데 따라 상이 타측벽(37b2)로 부터 분리된 작동위치로 이동하고, 이퀄라이저(13)가 작동위치로 이동하는데 따라 양 브레이크 케이블(14)(15)에 견인력이 작용하여 전륜 브레이크(BF) 및 후륜 브레이크(BR)가 연동작동하게 된다.
케이싱(42)에는 후륜 브레이크 조작 레버(12)의 비조작상태에서 후륜 브레이크 케이블(15)을 견인작동시킨 상태로 지지하지만 전륜 브레이크 케이블(14)을 비견인작동상태로 하는 것이 가능한 파킹 브레이크수단(44)이 배설되며, 이 파킹 브레이크수단(44)은 후륜 브레이크 조작 레버(12)의 브레이크 조작에 따라 이퀄라이저(13)가 작동위치에 있을 때 상기 이퀄라이저(13)에 계합하는 계합위치 및 이퀄라이저(13)로의 계합을 해제하는 비계합위치 사이에서의 작동을 가능하게 하여 케이싱(42)내에 수납되는 파킹 레버(45)와, 상기 파킹 레버(45)를 케이싱(42) 외부에서 조작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서 파킹 레버(45)에 연동, 연결되는 조작부재로서의 압압버튼(46)을 구비한다.
파킹 레버(45)의 기단에는 케이싱(42)에 있어서의 커버(41)에서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축(47)이 고착되어 있으며, 파킹 레버(45)는 축(47)의 축선주변으로 회동가능하게 해서 케이싱(42)에 지지된다. 또, 파킹 레버(45)의 선단에는 이퀄라이저(13)의 타단측에 형성된 계지오목부(13a)에 상기 이퀄라이저(13)가 작동위치로 이동되어 왔을 때 도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계합가능한 계합핀(48)이 배설되어 있으며, 파킹 레버(45)는 작동위치에 있는 이퀄라이저(13)의 계지오목부(13a)에 계합하는 계합위치와, 계지오목부(13a)로의 계합을 해제하는 비계합위치 사이에서 축(47)의 축선주변으로 회동가능하다. 또한, 케이싱(42) 및 파킹 레버(45) 사이에는 축(47)을 둘러싸는 트위스트 스프링(49)이 배설되어 있으며, 이 트위스트 스프링(49)은 파킹 레버(45)를 그 비계합위치쪽으로 부세하는 스프링력을 발휘한다.
그리고, 후륜 브레이크 조작 레버(12)의 조작에 따라 작동위치로 이동한 이퀄라이저(13)의 계지오목부(13a)에 파킹 레버(45)의 계합핀(48)이 계합된 상태에서, 후륜 브레이크 조작 레버(12)의 조작력을 해제하면 도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퀄라이저(13)는 후륜 브레이크 케이블(15)을 견인작동상태로 하지만 전륜 브레이크 케이블(14)을 비견인상태로 하는 파킹 브레이크 위치에 작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압압버튼(46)은 그 내측단을 파킹 레버(45)의 선단부에 당접시킴과 동시에 외측단부를 케이싱(42) 외부로 돌출시키도록 해서 케이싱(42)에 있어서의 케이스부(37b)에 압입조작이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압압버튼(46)을 케이싱(42) 외부에서 누름으로써 파킹 레버(45)를 비계합위치에서 계합위치로 작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압압버튼(46)의 외측단부는 스쿠터형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의 차체의 전부에 배치되는 스티어링 핸들(35)의 상부를 덮는 카울링(cowling)(50)에 형성된 개구부(50a)를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압압버튼(46)에는 개구부(50a) 주변에서 카울링(50)의 외면에 당접하는 더스트실(51)이 장착된다.
케이싱(42)에 있어서의 커버(41)의 외면에는 파킹브레이크 스위치(52)가 장착되어 있으며, 커버(41)로부터 돌출된 축(47)의 단부에는 파킹브레이크 스위치(52)의 검출자(52a)에 당접하는 레버(53)가 고착된다. 그리고, 레버(53)는 파킹 레버(45)가 비계합위치에 있을 때에는 검출자(52a)를 압압하지만, 압압버튼(46)을 압압조작했을 때 파킹 레버(45)가 이퀄라이저(13)에 계합하는데 따라 검출자(52a)에 대한 압압력을 해제하도록 해서 축(47)에 고착되어 있으며, 파킹 레버(45)가 계합위치로 작동하는 것을 파킹 브레이크 스위치(52)로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케이싱(42)에 있어서의 케이스부(37b)의 타측벽(37b2)에는 이퀄라이저(13)가 상기 타측벽(37b2)에 근접한 비작동위치와, 상기 타측벽(37b2)으로부터 분리된 작동위치에 스위칭 양태를 변화시키는 브레이크 스위치(54)가 전류 및 후륜 브레이크 케이블(14)(15) 사이에 위치하도록 장착되어 있으며, 이 브레이크 스위치(54)에 의해 이퀄라이저(13)가 작동위치로 이동하여 전륜 브레이크(BF) 및 후륜 브레이크(BR)가 연동작동하는 상태를 검출 할 수 있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후륜 브레이크 조작 레버(12)를 조작하지 않은 상태에서 전륜 브레이크 조작 레버(11)만을 브레이크 조작하면, 전륜 브레이크 조작 레버(11)에 계합된 보조조작 레버(16)에 의해 마스터 실린더(18)가 압압조작됨에 따라 전륜 브레이크(BF)가 작동되어진다.
또, 전륜 브레이크 조작 레버(11)를 조작하지 않은 상태에서 후륜 브레이크 조작 레버(12)를 브레이크 조작하면, 그 후륜 브레이크 조작 레버(12)의 조작력에 의해 이퀄라이저(13)가 작동위치로 이동하고, 이퀄라이저(13)에 의해 전륜 브레이크 케이블(14) 및 후륜 브레이크 케이블(15)이 함께 견인된다. 그에 따라 보조조작 레버(16)가 전륜 브레이크 조작 레버(11)를 내버려 둔 상태에서 마스터 실린더(18)를 압압조작하여 전륜 브레이크(BF)가 작동됨과 동시에, 후륜 브레이크 케이블(15)의 결인력에 의해 후륜 브레이크(BR)가 작동됨으로써 전륜 브레이크(BF) 및 후륜 브레이크(BR)가 연동작동하게 된다. 또한, 이 연동 브레이크 상태는 브레이크 스위치(54)로 검출된다.
전륜 브레이크 조작 레버(11) 및 후륜 브레이크 조작 레버(12)을 모두 브레이크 조작했을 때에도 전륜 브레이크(BF) 및 후륜 브레이크(BR)에서 모두 브레이크력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파킹 브레이크 조작을 하는 데 있어서는, 후륜 브레이크 조작 레버(12)를 조작한 상태에서 압압버튼(46)을 압압조작한다. 그리하면, 파킹 레버(45)가 트위스트 스프링(49)의 스프링력에 대항해서 비계합위치에서 계합위치로 이동하고, 작동위치로 이동하고 있는 이퀄라이저(13)의 계지오목부(13a)에 파킹 레버(45)의 계합핀(48)이 계합되게 된다. 따라서, 후륜 브레이크 조작 레버(12)의 조작력을 해제하면, 도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퀄라이저(13)는 후륜 브레이크 케이블(15)을 견인작동상태로 하지만 전륜 브레이크 케이블(14)을 비견인상태로 하는 파킹 브레이크 위치로 작동하게 되며, 이 상태에서는 후륜 브레이크(BR)만이 작동하고, 전륜 브레이크(BF)는 비작동상태가 되는데, 이러한 파킹 브레이크 상태는 파킹 브레이크 스위치(52)로 검출된다. 즉, 파킹 브레이크시에 액압식인 전륜 브레이크(BF)의 구성부품인 호스나 시일 등의 고무부품에 액압이 작용하지 않아 고무부품의 수명증대를 도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파킹 브레이크 상태를 해제하려면, 후륜 브레이크 조작 레버(12)를 조금 회동 조작하면 되고, 그렇게 하면 파킹 레버(45)가 트위스트 스프링(49)의 스프링력에 의해 계합위치에서 비계합위치로 이동하여 파킹레버(45)의 이퀄라이저(13)에 대한 계합이 해제되므로, 후륜 브레이크 조작 레버(12)를 원상태로 되돌림으로써 이퀄라이저(13)가 비작동위치로 돌아가서 후륜 브레이크(BR)가 휴지상태가 된다.
그리고, 파킹 브레이크 조작은 후륜 브레이크 조작 레버(12)의 브레이크 조작 및 압압버튼(46)의 압압조작을 행하는 것만으로도 되며, 파킹 브레이크 수단(44)의 구성요소 중 하나인 파킹 레버(45)가 이퀄라이저(13)가 수납된 케이싱(42)내에 수납되고, 파킹 브레이크 수단(44)의 다른 구성요소인 압압 버튼(46)큰 그 외측단부를 케이싱(42)으로부터 돌출시켜서 상기 케이싱(42)에 지지되므로, 파킹브레이크를 걸기 위한 구조를 구성하는데 있어서 외관을 뛰어나게 할 수 있다.
케이싱(42)은 후륜 브레이크 조작 레버(12)를 지지하는 홀더(37)에 일체로 형성된 케이스부(37b)에 커버(41)가 결합되어 이루어진 것이며, 케이싱(42)을 최소한의 부품수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을 일탈하지 않고 각종 설계변경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청구항1 내지 9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후륜 브레이크 조작자를 조작하지 않은 상태에서 전륜 브레이크 조작자를 브레이크 조작함으로써 전륜 브레이크가 작동하여 전륜측에서 브레이크력을 얻을 수 있으며, 또 전륜 브레이크 조작자를 조작하지 않은 상태에서 후륜 브레이크 조작자를 브레이크 조작하면, 후륜 브레이크 조작자의 조작력이 특성설정스프링의 부세력에 대응하는 값 미만일 때에는 후륜 브레이크만이 작동하고, 후륜 브레이크 조작자의 조작력이 특성설정스프링의 부세력에 대응하는 값 이상일 때에는 후륜 브레이크 및 전륜 브레이크를 모두 연동작동시킬 수 있으며, 브레이크 조작 입력초기에는 후륜측에서만 비교적 작은 브레이크력을 발휘시킬 수 있도록 하여 간단한 구성에 의해 전후 연동 브레이크를 실현할 수 있다.
청구항3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이퀄라이저가 연결부재와의 연결부를 지점으로 해서 후륜 브레이크력 전달부재의 전달력을 느슨하게 하는 쪽으로 회동하는 일이 없음으로써, 어떠한 이유에 의해 연동 브레이크력 전달시스템의 절단이 발생하더라도 후륜 브레이크 조작자의 브레이크 조작에 따라 후륜 브레이크에서의 브레이크력을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다.
청구항5 내지 9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후륜 브레이크 조작자가 브레이크 페달이며, 후륜 브레이크가 기계적인 차량에 있어서, 매우 적은 수의 부품추가에 의해 전후 연동브레이크 시스템을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특히 청구항9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6 내지 8 기재의 발명에서 필요하였던 연동용 마스터 실린더를 불필요하게 하여 전후 연동브레이크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한 부품수로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청구항10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브레이크 조작자의 비조작상태에서 다수의 브레이크 케이블중 특정한 브레이크 케이블을 견인작동시킨 상태로 지지하지만 다른 브레이크 케이블을 비견인 작동상태로 하는 파킹 브레이크 수단이 케이싱에 배설되므로, 파킹브레이크에 있어서 다수의 차륜 브레이크중 특정한 차륜 브레이크만을 작동시킬 수 있으며, 특히 액압식 브레이크 및 기계식 차륜 브레이크 병용한 브레이크 장치에 있어서, 파킹브레이크시에 액압식 차륜 브레이크를 비작동상태로 해서 액압식 차륜 브레이크의 구성부품 중, 특히 고무부품 등에 무용한 액압이 작용하는 것을 회피하므로, 고무부품 등의 수명증대에 기여할 수 있다.
청구항11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청구항10 기재의 발명의 구성에 추가해서, 파킹 브레이크 수단은 브레이크 조작자의 브레이크 조작에 따른 이퀄라이저의 작동위치에서 상기 이퀄라이저에 계합하는 계합위치와, 상기 이퀄라이저에 대한 계합을 해제하는 비계합위치 사이에서의 작동을 가능하게 하여 상기 케이싱내에 수납되는 파킹 레버를 포함하고, 이퀄라이저는 상기 이퀄라이저에 파킹 레버가 계합된 상태에서의 브레이크 조작자의 조작력 해제에 따라 다수의 브레이크 케이블 중 특정한 브레이크 케이블을 견인작동상태로 하지만, 다른 브레이크 케이블을 비견인상태로 하는 파킹 브레이크를 걸기 위한 구조 중 적어도 일부를 케이싱내에 수납하므로 뛰어난 외관을 얻을 수 있다.
청구항12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청구항11 기재의 발명의 구성에 추가해서, 계합위치에서 비계합위치를 향해 스프링 부세된 파킹 레버에 상기 파킹 레버를 케이싱 외부에서 조작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케이싱에 지지된 조작부재가 연동·연결되므로, 파킹 브레이크를 간단한 조작으로 걸수 있다.
청구항13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청구항11 또는 12 기재의 발명의 구성에 추가해서, 파킹 레버가 계합위치로 작동하는 것을 검출하는 파킹 브레이크 스위치가 케이싱에 장착되므로, 파킹 브레이크 상태를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다.
청구항14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청구항10 내지 13의 어느 한항에 기재한 발명의 구성에 추가해서, 케이싱은 브레이크 조작자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여 스티어링 핸들에 장착된 홀더에 일체로 배치된 박스형상의 케이스부와, 상기 케이스부의 개구단을 덮고 케이스부에 결합되는 커버로 이루어지므로, 케이싱을 최소한의 부품수로 구성할 수 있다.
또, 청구항15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청구항10 내지 14의 어느 한 항에 기재한 발명의 구성에 추가해서, 상기 브레이크 조작자의 조작에 따른 이퀄라이저의 작동에 따라 스위칭 양태를 변화시키는 브레이크 스위치가 상기 케이싱에 장착되므로, 연동 브레이크 상태를 쉽게 검출할 수 있다.
Claims (18)
- 브레이크 조작에 따라서 전륜 브레이크(BF1, BF2, BF3)를 작동시키는 전륜 브레이크 조작자(61, 62, 63)와, 브레이크 조작에 따라서 후륜 브레이크(BR1, BR2) 및 전륜 브레이크(BF1~BF3)를 연동 작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후륜 브레이크 조작자(71, 72)를 구비한 차량용 전후 브레이크 장치에 있어서, 후륜 브레이크 조작자(71, 72)의 조작에 따른 브레이크력을 전륜 브레이크(BF1~BF3)에 미칠 수 있는 연동 브레이크력 전달시스템(41, 42, 43, 44, 45)의 일구성요소(33, 73, 96)와, 차체에 고정된 고정부재(28, 75, 97)사이에 후륜 브레이크 조작자(71, 72)측으로부터 연동 브레이크력 전달시스템(41, 42, 43, 44, 45)에 작용하는 힘과는 역방향의 부세력을 상기 연동 브레이크력 전달시스템(41~45)에 미치는 특성설정스프링(91, 92, 93)이 배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후 연동 브레이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후륜 브레이크 조작자(71, 72)가 대략 중앙부에 연결되는 이퀄라이저(121, 122)의 양단부에 연동 브레이크력 전달시스템(41~45)의 일단부와, 후륜 브레이크에 연결되는 후륜 브레이크력 전달부재(11, 62)의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이퀄라이저(121, 122)는 후륜 브레이크 조작자(71, 72)의 조작력이 특성설정스프링(91, 92)의 스프링 부세력에 대응하는 값 미만일 때 후륜 브레이크력 전달부재(11, 62)를 통해 후륜 브레이크(BR1, BR2)를 작용시키는 방향으로의 연동 브레이크력 전달시스템(41~45)과의 연결부를 지점으로 한 회동작동이 가능함과 동시에, 후륜 브레이크 조작자(71, 72)의 조작력이 특성설정스프링(91, 92)의 부세력에 대응하는 값 이상일 때 연동 브레이크력 전달시스템(41~45)을 통해서 전륜 브레이크(BF1, BF2)를 구동시킴과 동시에 후륜 브레이크력 전달부재(11, 62)를 통해 후륜 브레이크(BR1, BR2)를 구동시키는 방향으로 작동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후 연동 브레이크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후륜 브레이크 조작자(71)는 연결부재(42)를 통해 이퀄라이저(121)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재(42)에는 이퀄라이저(121)가 연결부재(42)와의 연결부를 지점으로 해서 후륜 브레이크력 전달부재(11)의 전달력을 느슨하게 하는 쪽으로 회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방향으로 이퀄라이저(121)에 계합하는 스토퍼(42a)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후 연동 브레이크 장치.
-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연동 브레이크력 전달시스템(41)은 이퀄라이저(121)에 일단부가 연결되는 연동 케이블(10)의 타단부가 후륜 브레이크 조작자(71)측으로부터 전륜 브레이크 조작자(61)측으로의 브레이크 조작력 전달만을 가능하게 하여 전륜 브레이크 조작자(61)에 연결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후 연동 브레이크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브레이크 페달인 후륜 브레이크 조작자(71)가 이퀄라이저(122)의 대략 중앙부에 연결되고, 상기 이퀄라이저(122)의 일단부에 연동 브레이크력 전달시스템(43, 44, 45)이 연결되고, 상기 이퀄라이저(122)의 타단부에 후륜 브레이크력 전달부재(62)를 통해 기계식 후륜 브레이크(BR2)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후 연동 브레이크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연동 브레이크력 전달시스템(43, 44)은 액압식 전륜 브레이크(BF2, BF3)에 미치는 액압을 출력가능하게 하여 이퀄라이저(122)에 연동, 연결되는 연동용 마스터 실린더(68)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후 연동 브레이크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액압식 전류 브레이크(BF3)가 전류 브레이크 조작자(62)의 조작에 따른 전륜용 마스터 실린더(45)의 출력액압에 의해 작동하는 제1 캘리퍼 피스톤(631, 632)과, 연동용 마스터 실린더(68)의 출력 액압에 의해 작동하는 제2 캘리퍼 피스톤(64)을 가진 디스크 브레이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후 연동 브레이크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전륜 브레이크 조작자(62)의 조작에 따라 작동하는 전륜용 마스터 실린더(45')의 마스터 피스톤(85)이 면하는 액압실(86)과, 전륜 브레이크(BF2)를 연결하는 액압 시스템에 상기 마스터 피스톤(85)의 작동에 따라 액압실(86)에 발생하는 액압이 연동용 마스터 실린더(68)속에 미치는 것을 저지하고, 연동용 실린더(68)가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후 연동 브레이크 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연동 브레이크력 전달시스템(45)은 이퀄라이저(122)에 일단부가 연결되는 연동 케이블(10)과, 상기 연동 케이블(10)의 견인작동 및 전륜 브레이크 조작자(63)의 조작의 어느 것에 의해서도 액압식 전륜 브레이크(BF2)에 미치는 액압을 출력하는 전륜용 마스터 실린더(4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후 연동 브레이크 장치.
- 브레이크 조작자(12)와, 다수의 차륜 브레이크(BF, BR)에 브레이크 조작력을 각각 개별적으로 전달하는 다수의 브레이크 케이블(14, 15)과, 상기 브레이크 조작자(12)의 브레이크 조작에 따라 상기 각 브레이크 케이블(14, 15)을 각각 견인작동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브레이크 조작자(12) 및 각 브레이크 케이블(14, 15)을 연결함과 동시에 고정된 케이싱(42)내에 작동가능하게 수납되는 이퀄라이저(13)를 구비한 차량용 브레이크 케이블(14, 15) 중 특정한 브레이크 케이블(15)을 견인작동시킨 상태로 지지하지만 다른 브레이크 케이블(14)을 비견인작동상태로 하는 파킹 브레이크 수단(44)이 상기 케이싱(42)에 배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파킹 브레이크수단(44)은 상기 브레이크 조작자(12)의 브레이크 조작에 따른 이퀄라이저(13)의 작동위치에서 상기 이퀄라이저(13)에 계합하는 계합위치와, 상기 이퀄라이저(13)에 대한 계합을 해제하는 비계합위치 사이에서의 작동을 가능하게 하여 상기 케이싱(42)내에 수납되는 파킹 레버(45)를 포함하고, 상기 이퀄라이저(13)는 상기 이퀄라이저(13)에 파킹 레버(45)가 계합된 상태에서의 브레이크 조작자(12)의 조작력 해제에 따라 상기 다수의 브레이크 케이블(14, 15) 중 특정한 브레이크 케이블(15)을 견인작동상태로 하지만, 다른 브레이크 케이블(14)을 비견인 상태로 하는 파킹 브레이크 위치에 작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상기 케이싱(42)내에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계합위치에서 비계합위치를 향해 스프링 부세된 파킹 레버(45)에 상기 파킹 레버(45)를 케이싱(42)의 외부에서 조작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케이싱(42)에 지지된 조작부재(46)가 연동,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
-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파킹 레버(45)가 계합위치에 작동한 것을 검출하는 파킹 브레이크 스위치(52)가 케이싱(42)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
- 제10항에 내지 제12항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42)은 브레이크 조작자(12)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며 스티어링 핸들(35)에 장착된 홀더(37)에 일체로 형성된 박스형상의 케이스부(37b)와, 상기 케이스부(37b)의 개구단을 덮으며 케이스부(37b)에 결합되는 커버(41)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
- 제10항에 내지 제12항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조작자(12)의 조작에 다른 이퀄라이저(13)의 작동에 따라 스위칭 양태를 변화시키는 브레이크 스위치(54)가 상기 케이싱(42)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42)은 브레이크 조작자(12)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며 스티어링 핸들(35)에 장착된 홀더(37)에 일체로 형성된 박스형상의 케이스부(37b)와, 상기 케이싱부(37b)의 개구단을 덮으며 케이스부(37b)에 결합되는 커버(41)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조작자(12)의 조작에 따른 이퀄라이저(13)의 작동에 따라 스위칭 양태를 변화시키는 브레이크 스위치(54)가 상기 케이싱(42)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조작자(12)의 조작에 따른 이퀄라이저(13)의 작동에 따라 스위칭 양태를 변화시키는 브레이크 스위치(54)가 상기 케이싱(42)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96-67701 | 1996-03-25 | ||
JP06770196A JP3754484B2 (ja) | 1995-06-14 | 1996-03-25 | 車両用前後連動ブレーキ装置 |
JP96-81335 | 1996-04-03 | ||
JP08133596A JP3802606B2 (ja) | 1996-04-03 | 1996-04-03 | 車両用ブレーキ装置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70065265A KR970065265A (ko) | 1997-10-13 |
KR100238638B1 true KR100238638B1 (ko) | 2000-01-15 |
Family
ID=26408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70009231A KR100238638B1 (ko) | 1996-03-25 | 1997-03-18 | 차량용 전후 연동 브레이크장치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KR (1) | KR100238638B1 (ko) |
CN (1) | CN1095780C (ko) |
ES (1) | ES2146509B1 (ko) |
IT (1) | IT1291218B1 (ko) |
TW (1) | TW349067B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583068A (zh) * | 2012-08-24 | 2015-04-29 | 曙制动器工业株式会社 | 前后互锁制动机构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555630B2 (ja) * | 2004-08-27 | 2010-10-06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車両の連動ブレーキ装置 |
CN100503326C (zh) * | 2006-06-12 | 2009-06-24 | 玉环凯凌集团有限公司 | 前后联动液压阀 |
JP5153710B2 (ja) * | 2009-03-31 | 2013-02-27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鞍乗り型車両の連動ブレーキ装置 |
CN102642529B (zh) * | 2012-05-07 | 2015-01-07 | 隆鑫通用动力股份有限公司 | 全地形车联动制动装置及其全地形车 |
JP6097993B2 (ja) * | 2013-02-25 | 2017-03-22 | 曙ブレーキ工業株式会社 | 前後連動ブレーキ機構 |
JP6793177B2 (ja) * | 2018-12-27 | 2020-12-02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鞍乗型車両の前後連動ブレーキ装置 |
IT202000002530A1 (it) * | 2020-02-10 | 2021-08-10 | Raicam Driveline S R L | Dispositivo di comando dei freni idraulici di un veicolo a due ruote |
KR102570326B1 (ko) * | 2021-07-30 | 2023-08-25 | 주식회사 에코브 | 자전거용 브레이크 장치 |
TWI814463B (zh) * | 2022-06-29 | 2023-09-01 | 三陽工業股份有限公司 | 連動煞車駐車裝置 |
TWI835293B (zh) * | 2022-09-14 | 2024-03-11 | 彥豪金屬工業股份有限公司 | 自行車煞車裝置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176886A (en) * | 1977-06-03 | 1979-12-04 | Watanabe Engineering Co., Ltd. | Brake apparatus for motorcycle |
GB2042107B (en) * | 1978-11-02 | 1982-09-02 | Hardcastle K | Motor cycle braking systems |
US4480720A (en) * | 1979-09-08 | 1984-11-06 | Shimano Industrial Company Limited | Brake operating device for a bicycle |
GB2123501A (en) * | 1982-07-09 | 1984-02-01 | Antony Tewdyr Watkins | A braking system for a cycle, specifically a bicycle |
FR2610590B1 (fr) * | 1987-02-11 | 1989-05-19 | Mbk Ind Ste Nle Motobecane | Dispositif destine a ralentir une bicyclette |
IT1215454B (it) * | 1987-05-04 | 1990-02-14 | Piaggio & C Spa | Impianto di frenatura per veicoli a due ruote. |
US4830437A (en) * | 1988-03-25 | 1989-05-16 | American Standard Inc. | Brake assurance circuit to preserve proper locomotive operting status |
JP3270194B2 (ja) * | 1993-05-10 | 2002-04-02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車両の連動ブレーキ装置 |
JPH07196069A (ja) * | 1993-12-29 | 1995-08-01 | Honda Motor Co Ltd | 自動二輪車用制動装置 |
-
1997
- 1997-03-18 KR KR1019970009231A patent/KR100238638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7-03-20 IT IT97TO000236 patent/IT1291218B1/it active IP Right Grant
- 1997-03-25 TW TW086103734A patent/TW349067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7-03-25 ES ES009700647A patent/ES2146509B1/es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7-03-25 CN CN97104537A patent/CN1095780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583068A (zh) * | 2012-08-24 | 2015-04-29 | 曙制动器工业株式会社 | 前后互锁制动机构 |
CN104583068B (zh) * | 2012-08-24 | 2017-10-27 | 曙制动器工业株式会社 | 前后互锁制动机构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S2146509B1 (es) | 2001-02-16 |
ITTO970236A1 (it) | 1998-09-20 |
ES2146509A1 (es) | 2000-08-01 |
CN1164487A (zh) | 1997-11-12 |
KR970065265A (ko) | 1997-10-13 |
IT1291218B1 (it) | 1998-12-29 |
TW349067B (en) | 1999-01-01 |
CN1095780C (zh) | 2002-12-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238638B1 (ko) | 차량용 전후 연동 브레이크장치 | |
GB2175657A (en) | A braking system for a bicycle | |
JP4555630B2 (ja) | 車両の連動ブレーキ装置 | |
JP2008290699A (ja) | ブレーキ装置、及び鞍乗型車両 | |
JP3754484B2 (ja) | 車両用前後連動ブレーキ装置 | |
EP0995653A2 (en) | Brake device for vehicle having barhandle | |
JP4532753B2 (ja) | バーハンドル車両用ブレーキ装置 | |
JPH10273087A (ja) | バーハンドル車両用ブレーキ装置 | |
JP3802606B2 (ja) | 車両用ブレーキ装置 | |
JP3741754B2 (ja) | スクータ型自動二輪車のブレーキ装置 | |
JP2002160691A (ja) | バーハンドル車両用ブレーキ装置 | |
JP3790025B2 (ja) | 二輪車用ブレーキ装置 | |
JP3486860B2 (ja) | バーハンドル車両用ブレーキ装置 | |
JP3754513B2 (ja) | 自動二輪車用前後連動ブレーキ装置 | |
JP3754514B2 (ja) | 自動二輪車用前後連動ブレーキ装置 | |
JP3738106B2 (ja) | バーハンドル車両用ブレーキ装置 | |
JP4464648B2 (ja) | 小型車両用連動ブレーキ装置 | |
JPH07329747A (ja) | 自動二輪車用制動装置 | |
JP4234237B2 (ja) | 二輪車用ブレーキ装置 | |
JP3517806B2 (ja) | バーハンドル車両用ブレーキ装置 | |
JP3993261B2 (ja) | 自動二輪車用前後連動ブレーキ装置 | |
CN108698668B (zh) | 连动制动装置 | |
JPH08104280A (ja) | 車両用前後連動ブレーキ装置 | |
JPH10338183A (ja) | バーハンドル車両用ブレーキ装置 | |
KR0144995B1 (ko) | 자동차의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80807 Year of fee payment: 10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