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8451B1 - A computer aided education system and control techniques for korean - Google Patents
A computer aided education system and control techniques for korea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238451B1 KR100238451B1 KR1019970065368A KR19970065368A KR100238451B1 KR 100238451 B1 KR100238451 B1 KR 100238451B1 KR 1019970065368 A KR1019970065368 A KR 1019970065368A KR 19970065368 A KR19970065368 A KR 19970065368A KR 100238451 B1 KR100238451 B1 KR 10023845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arning
- learner
- korean
- sentence
- pronuncia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2—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6—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multiple-choice answer-type, i.e. where a given question is provided with a series of answers and a choice has to be made from the answers
- G09B7/07—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multiple-choice answer-type, i.e. where a given question is provided with a series of answers and a choice has to be made from the answers providing for individual presentation of questions to a plurality of student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국인을 포함하여 한국어를 모르는 사람에게 한국어를 교육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일방적인 교육 시스템이 아니라 학습자와의 상호 작용에 의한 학습 방법으로 학습자의 한국어에 대한 언어 수준을 장치가 자동으로 판단함으로써 학습자의 한국어 실력에 맞도록 학습 내용을 선정하여 한국어를 가르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학습자의 편의성을 위해 그래픽 기능, 문자 인식 기능, 음성 인식, 출력 기능, 철자 검사, 문법 검사 기능을 보유한 한국어 교육 시스템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for teaching Korean to non-Korean speakers, including foreigners, by automatically determining the language level of the learner's language in the learning method by interaction with the learner rather than a unilateral educational system. It is designed to teach Korean by selecting the learning contents according to the learner's Korean proficiency,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with graphic function, character recognition function, voice recognition, output function, spell check, and grammar check function It relates to a system and a control method.
Description
본 발명은 외국인을 포함하여 한국어를 모르는 사람에게 한국어를 교육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방적인 교육 시스템이 아니라 학습자와의 상호 작용에 의한 학습 방법으로 학습자의 한국어에 대한 언어 수준을 장치가 자동으로 판단함으로써 학습자의 한국어 실력에 맞도록 학습 내용을 선정하여 한국어를 가르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학습자의 편의성을 위해 그래픽 기능, 문자 인식 기능, 음성 인식, 출력 기능, 철자 검사, 문법 검사 기능을 보유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teaching Korean to a foreigner who does not know Korean, including a foreigner. In particular, the apparatus automatically adjusts the language level of the learner's Korean as a learning method through interaction with the learner rather than a unilateral educational system. It is configured to teach Korean by selecting the learning contents according to the learner's Korean proficiency, and provides the graphic function, character recognition function, voice recognition, output function, spell check, and grammar check function for the learner's convenience. It is about a device which it has.
종래의 유사한 형태의 기 개발된 교육 시스템는, 단순히 교육 내용 및 절차가 이미 보관되어 있어 그 정해진 학습 절차에 따라 학습자에게 단순한 형태의 출력 장치를 통해 그것을 제시하고, 학습자는 본인이 맞다고 생각하는 답을 4지 선다형 형식의 정해진 칸에 답을 하는 형태이다. 음성출력은 이미 보관된 내용의 일부를 음성 출력 장치를 통해 단순한 출력만을 제시하는 형태이다.The conventionally developed educational system of a similar type simply presents the learner through a simple out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determined learning procedure and the learner has already stored the contents and procedures. It is a form of answering a specific column of a multiple choice form. The voice output is a form of presenting only a simple output through a voice output device of a part of the already stored contents.
따라서, 이런 단점들을 보완하고 학습자를 고려한 본 발명에 의한 교육용 장치는 다음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Therefore, the education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se disadvantages and to consider the learner is to solve the following problems.
첫째, 학습자가 자신의 학습 능력에 맞도록 학습 내용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한다.First, learners should be able to select the content of learning to suit their learning ability.
둘째, 학습자의 학습 내용을 기존의 학습 정도에 따라 교육 시스템은 자체 판단하는 능력을 보유해야 한다.Second, the education system must have the ability to judge the learner's learning contents according to the existing learning level.
셋째, 학습자와의 편리한 인터페이스 제공을 위해 텍스트뿐만이 아니라 음성, 문자, 그림 등의 다양한 매체가 지원되어야 한다.Third, not only text but also various media such as voice, text, and picture should be supported to provide a convenient interface with learners.
넷째, 학습자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장치의 진행 방향을 장치가 자체 판단에 의해 진행되어야 한다.Fourth, the device should proceed by its own judgment on the direction of the device's progress by interaction with the learner.
그런데, 자신의 모국어와 다른 형식의 언어나 새롭게 하나의 언어를 습득한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외국인에게 한국어는 생소한 글자 모습과 특이한 발음, 색다른 문장 구조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외국인을 포함하여 한국어를 모르는 사람에게 한국어 교육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는, 교육을 위해 체계적으로 잘 정리된 한국어 지식베이스를 고차원적인 링크 형태로 변형된 하이퍼텍스트 형태로 구축하며, 정확한 발음 지원을 위한 음성 출력기, 발음 교정을 위한 화자 독립 음성 인식기, 글자 교육을 위한 온라인 문자 인식기, 이미 저장된 지식베이스 이외의 한국어 입력 자료의 잘못된 사용을 지적하기 위한 철자 검사기, 문법 검사기, 학습자와의 사용 편의를 위한 그래픽 학습자 인터페이스, 교육 진행 단계를 기억하는 학습 진척도 기록기, 학습자의 학습 능력을 수시로 판단할 수 있는 학습자 학습 능력 판별기, 외국인의 어휘 설명을 지원하기 위한 한국어 전자 사전, 이러한 모든 장치들과 전체적으로 학습의 흐름을 제어, 관리하는 학습 제어기로 구성된다.However, it is not easy to learn a language that is different from your native language or a new language. For foreigners, Korean has unfamiliar letters, unusual pronunciation, and unusual sentence structure. Therefore, the apparatus for support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non-Korean speakers, including foreigners, constructs a well-organized Korean knowledge base for education in the form of hypertext transformed into a high-level link form and supports accurate pronunciation support. Speech output, speaker-independent speech recognizer for pronunciation correction, online character recognizer for character education, spell checker to point out misuse of Korean input materials other than already stored knowledge base, grammar checker, graphics for ease of use with learners Learner interface, learning progress recorder that memorizes educational progress, learner learning ability discriminator to judge learner's learning ability from time to time, Korean electronic dictionary to support vocabulary explanations of foreigners, all these devices and the flow of learning as a whole Learn to control, manage It consists of a controller.
본 발명에 의한 교육 시스템의 지원 수준은 학습자의 한국어 습득 정도에 따라 글자 습득 수준에서 출발하여, 쉬운 단어, 쉬운 문장 구조에서 복잡한 한국어 문형으로 발전되도록 구성한다. 이 때 학습자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학습자의 능력을 장치가 스스로 판단, 평가가 가능하며, 학습자가 원하는 부분만을 선택하여 교육받을 수 있도록 구성한다.The level of support of the edu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tarts from the letter acquisition level according to the learner's degree of Korean language acquisition, and is configured to develop from a simple word, an easy sentence structure to a complex Korean sentence pattern. At this time, the device can determine and evaluate the learner's ability by interaction with the learner, and the learner can select only the desired part and receive the education.
본 발명의 교육 시스템은 한국어의 쓰기, 듣기, 말하기, 읽기 교육이 동시에 가능한 형태로서 학습자의 학습 정도에 따라 다른 학습 내용을 제시하게 되며, 학습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학습자의 학습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The educ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orm in which Korean writing, listening, speaking, and reading education can be performed at the same time, and present different learning contents according to the learner's learning level, and the learner's learning level can be determined through interaction with the learner. hav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한국어 교육 시스템의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of a Korean language edu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한국어 교육 시스템의 제어 흐름도.2 is a control flowchart of a Korean language edu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한글 글자 학습의 화면 예시도.Figure 3 is a screen example of the Hangul characters learning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한국어 단어 학습의 화면 예시도.Figure 4 is a screen example of the Korean word learning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한국어 문장 학습의 화면 예시도.5 is a screen example of a Korean sentence learn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한국어 지식베이스의 일 예를 보인 구성도.Figure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Korean knowledge b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한국어 전자 사전의 구조도.7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Korean electronic dictiona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한국어 기본 문형을 나타낸 표.8 is a table showing the Korean basic sentence patter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 9 도는 본 발명에 따른 한국어 문형 중 수식 구조 형태의 일예.9 is an example of a mathematical structure of the Korean sentence patter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 10 도는 본 발명에 따른 한국어 문형 중 접속 구조 형태의 일예.10 is an example of the form of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Korean sentence patter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 1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한국어 문장 배치 학습의 일예.11 is an example of learning a Korean sentence arrang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 12 도는 본 발명에 따른 한국어 교육용 장치의 흐름도.12 is a flowchart of a Korean language teac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code | symbol about the principal part of drawing>
10 : 학습자 정보 기록기10: learner information recorder
20 : 학습 제어기20: learning controller
30 : 음성 출력기30: voice output
40 : 음성 인식기40: speech recognizer
50 : 문자 인식기50: character recognizer
60 : 철자 검사기/문법 검사기60: spell checker / grammar checker
70 : 학습진척도기록기70: learning progress recorder
80 : 학습능력판별기80: Learning ability discriminator
90 : 학습지식베이스90: Knowledge Base
100 : 전자사전100: electronic dictionary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습자 정보 기록기(10)는, 학습자의 신상에 관한 정보를 기록한다. 이때 기록의 내용은 한국어 학습 정도, 자신의 모국어 종류, 한국어 학습 목적을 기록한다. 이 학습자 정보 기록기(10)는 저장된 정보를 학습 제어기(20)에 전달하여 학습자의 수준에 맞는 학습 내용을 선정하게 된다.As shown in FIG. 1, the
학습 제어기(20)는, 학습자 정보 기록기(10)와 학습 능력 판별기(80)에서 전달된 학습자의 정보에 따라 이미 구축되어 있는 지식베이스(90)의 단계를 선정하여 학습자에게 필요한 부분을 교육하는 부분을 담당한다. 이 학습제어기(20)는, 학습자와의 상호 작용을 지원하며, 음성인식기, 음성출력기, 철자검사기와 연 동하여 작동한다. 그리고 학습 진척도 기록기(70)와 학습 능력판별기(80)에 현재까지 학습된 결과를 전달한다.The
음성 출력기(30)는, 학습 내용 중 음성으로 학습자에게 전달할 필요가 있는 부분은 이 장치를 통해 출력한다.The
음성인식기(40)는 화자의 음성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로서 학습자가 발음하는 음성을 인식하여 그 결과 값으로 문자를 생성하여 학습 제어기(20)에 전달한다. 학습 제어기(20)는 전달 받은 음성 값이 틀렸을 경우 정확한 발음으로 교육되도록 다시 제시, 반복적으로 교정해 주는 역할을 한다.The
문자인식기(50)는 학습자가 학습 제어기(20)에서 제시하는 음성에 맞는 문자를 온라인 입력장치를 통해 글자를 입력하면 입력된 필기체 문자를 인식하여 그 결과 값으로 옳고 그름을 판단한다.The character recognizer 50 recognizes the input handwritten character when the learner inputs a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voice presented by the
철자검사기/문법 검사기(60)는, 이미 내장된 지식베이스(90) 이외의 입력 문장에 대해 분석 기법과 사전(100)을 이용하여 학습자의 철자나 문법 오류를 검색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이다.The spell checker / grammar checker 60 is a device that performs a function for searching a spelling or grammatical error of a learner using an analysis technique and a
학습진척도 기록기(70)는 학습자의 학습 정도를 기록하는 것으로 학습 제어기(20)를 통해 학습한 내용의 순서 및 경로, 현재까지 학습된 내용에 대한 학습자의 학습 수준을 기록하는 장치이다.The
학습능력 판별장치(80)는, 학습자의 학습 능력을 판별하는 학습 능력 판별 장치로서 학습 제어기(20)에 의해 주어진 학습 내용을 얼마나 정확히 잘 수행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장치이다. 주어진 학습 내용과 학습자의 태도에 따라 다른 결과값이 주어지며, 학습자의 학습 정도를 파악하는 근거가 된다.The learning
학습 지식 베이스(90)는, 교육을 위해 정리된 한국어 자료가 교육 목적의 STORY BOARD에 따라 하이퍼텍스트 형태로 저장된 재구축된 형태의 지식이다. 학습 제어기에서 이를 중심으로 학습자에게 학습을 시키고 학습자의 수준에 따라 학습 내용을 제시한다.The
전자 사전(100)은, 한국어의 어휘를 정리한 사전이다. 이 사전은 어휘의 설명, 동의어, 반의어, 유사어를 모두 포함한 시소러스 형식이다. 이는 학습자가 모르는 어휘나 참조를 원하는 어휘를 설명해 주기 위해 필요한 지식이다.The
도 2는 도 1에서 제시한 전체적인 구성에 따른 흐름을 제시한 예이다. 학습자가 먼저 학습 시작(S41)을 위해 키를 누르면 학습 종료키(S42)인지 판단한다. 학습 종료키이면 학습을 종료하고 학습 종료키가 아니면 다시 동작처리키(S43)인지 판단한다.2 is an example showing a flow according to the overall configuration shown in FIG. If the learner first presses the key for the start of learning (S41),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learn end key (S42). If it is the learning end key, the learning ends, and if it is not the learning end key, it is determined whether it is the operation processing key (S43).
동작 처리키가 아니면 학습자 정보 기록기(10)에서 사용자 모델 지식베이스(110)을 참조하여 지금까지의 학습 내용과 정보들을 기록하는 사용자 정보 기록 단계(S51)를 수행한다. 그리고, 음성 인식기(40), 문자인식기(50) 및 철자/문법 검사기(60)등을 통한 사용자 입출력 제어단계(S52)를 수행하고 다시 새로이 입력되는 키에 대한 판별을 한다.If it is not the operation processing key, the
동작 처리키이면 학습 진척도 제어(S44) 단계로서, 학습 진척도 기록기(70)에 기록된 학습 진척도를 판별하고, 학습 능력 판별기(80)를 통해서 학습 능력을 판별(S45) 한다.If the operation processing key, as a learning progress control step (S44), the learning progress recorded in the learning
판별된 학습자의 능력에 따라 학습 모드를 변경해야 하는지를 판단(S46)하고, 학습 모드를 변경해야 하는 경우에는 학습자 수준에 맞는 학습 모드가 어떤 것인지 판단하여 학습 모드를 변경하고(S47), 그 변경된 학습 모드에 따라 학습 지식베이스(90)와 전자 사전(100)을 참조하여(S48) 변경된 모드에 맞는 학습 내용을 생성한다(S49).It is determined whether the learning mode should be changed according to the determined learner's ability (S46). If the learning mode needs to be changed, it is determined which learning mode is appropriate for the learner's level and the learning mode is changed (S47). According to the mode, the learning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changed mode is generated by referring to the learning
생성된 학습 내용을 학습 내용 제어기(S412)에 전달하고 학습 내용 제어기는 선택된 학습 내용을 학습자 정보 기록기(10)에 기록(S51)하고 학습 내용에 따라 학습자 입출력 제어(S52)를 수행하여 음성 인식기(40), 합성기, 문자 인식기(50), 철자 검사기, 문법 검사기(60)를 활용해 학습을 진행한다. 학습자가 학습 종료키를 누를 때까지 위의 과정을 반복한다.The generated learning content is transferred to the learning content controller S412, and the learning content controller records the selected learning content in the learner information recorder 10 (S51) and performs learner input / output control (S52) according to the learning content. 40), using a synthesizer,
도 3은 한글 글자 학습을 도시한 그림이다. 한국어를 표기하기 위한 문자인 한글은 자음으로 기본 자음 14개, 쌍자음 5개와 모음으로 기본 모음 10개, 복모음 11개로 총 21개로 구성된다, 이러한 자음을 조합하여 초성은 19개, 종성은 27개, 모음인 중성은 21개를 사용한다. 한글은 다른 글자와 달리 모아쓰기라는 특수한 방법으로 한 글자를 구성한다. 따라서 이러한 한글 구성에 관해 애니메이션 기법을 이용해 한 글자가 구성되어지는 과정들을 설명한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learning Hangul letters. Hangul, the letter for Korean, is composed of 21 consonants with 14 consonants, 5 consonants with consonants, 10 basic vowels with vowels, and 11 vowels with a total of 21 consonants. The vowel, neutral, is 21. Hangeul, unlike other letters, forms a letter in a special way of collecting. Therefore, we explain the process of forming a letter using animation technique.
그리고 한국어는 외국어와는 달리 표음문자로서 발음 나는 대로 적는 것을 원칙으로 하나 그 어원을 밝혀 적는 것에 대해 외국인을 교육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글자 학습이 끝나면 시스템은 학습자에게 음성 출력기(30)를 통해 글자를 발음하고 학습자가 그 발음에 맞는 글자를 입력기를 통해 쓰도록 하여 올바른 글자를 쓸 수 있도록 교육한다. S11은 메뉴 및 도구 상자 영역으로 학습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메뉴를 나타낸 부분이다. S12는 글자 입출력 영역은 텍스트 형태의 단어를 학습 내용을 출력하고 입력하기 위한 영역이다. S13은 발음 기호 영역은 학습자에게 발음의 형태를 출력해 주는 영역이다. S14는 발음 모양 영역으로 그래픽 형태의 발음 입 모양을 출력하기 위한 부분이다. S15는 진도 및 수준 진단 정보 영역으로 학습자의 학습 진도와 현재까지의 수준을 진단한 결과를 출력하기 위한 부분이다. S16은 음성 지원을 표시하는 아이콘, 처음으로, 앞페이지, 다음페이지로 학습 내용을 이동하기 위한 아이콘, 학습을 중단하고 빠져 나가기를 나타내는 아이콘이다.Unlike the foreign language, Korean should be written as phonetic letters as it is pronounced. However, it is necessary to educate foreigners about writing their roots. Therefore, after the character learning is completed, the system teaches the learner to pronounce the letters through the
도 4는 한국어 단어 학습을 도시한 그림이다. 한국어 단어 교육은 어휘의 수준에 따라, 사용 빈도에 따라 상,중,하, 동의어, 반의어, 유사어로 구분 분류하여 그 어휘의 뜻과 사용 예를 통해 학습자에게 쉬운 단어를 습득시킨 이후 그 단어의 유사성에 맞도록 어휘 수와 어휘 습득 능력을 향상시켜 나간다. 이 때 각 단어의 표준 발음을 음성 출력기를 통해 들려 주고 컴퓨터는 학습자의 발음을 음성 인식기를 통해 정확한 발음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반복적인 발음 학습이 가능하도록 한다. S21은 메뉴 및 도구 상자 영역으로 학습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메뉴를 나타낸 부분이다. S22는 글자 입출력 영역은 텍스트 형태의 단어를 학습 내용을 출력하고 입력하기 위한 영역이다. S23은 동의어, 반의어, 유사어 영역으로 학습 단어의 동의어, 반의어, 유사어 제시 영역이다. S24는 발음 기호 영역은 학습자에게 발음의 형태를 출력해 주는 영역이다. S25는 발음 모양 영역으로 그래픽 형태의 발음 입 모양을 출력하기 위한 부분이다. S26은 진도 및 수준 진단 정보 영역으로 학습자의 학습 진도와 현재까지의 수준을 진단한 결과를 출력하기 위한 부분이다. S27은 음성 지원을 표시하는 아이콘, 처음으로, 앞페이지, 다음페이지로 학습 내용을 이동하기 위한 아이콘, 학습을 중단하고 빠져 나가기를 나타내는 아이콘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learning a Korean word. Korean word education can be classified into upper, middle, lower, synonyms, antonyms, and similar words according to the vocabulary level and frequency of use. Improve your vocabulary and vocabulary acquisition skills. At this time, the standard pronunciation of each word is spoken through the voice output device, and the computer determines whether the pronunciation of the learner is the correct pronunciation through the voice recognizer to enable repeated pronunciation learning. S21 is a menu and toolbox area that shows a menu for an interface with a learner. In S22, the letter input / output area is an area for outputting and inputting learning contents of a text type word. S23 is a synonym, antonym, and a synonym area, which is a synonym, antonym, and a synonym presentation area of a learning word. In S24, the phonetic preference area is an area for outputting the pronunciation form to the learner. S25 is a part for outputting a pronounced mouth shape in a graphic form as the pronunciation shape area. S26 is a progress and level diagnostic information area for outputting a result of diagnosing the learner's progress and the present level. S27 is an icon indicating voice support, an icon for moving the learning content to the first page or the next page for the first time, and an icon indicating stopping and exiting learning.
도 5는 한국어 문장 학습을 도시한 그림이다. 기본 문형을 중심으로 학습자에게 학습을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이 때 문장은 표준 발음을 음성 출력기를 통해 들려 주고 컴퓨터는 학습자의 발음을 음성 인식기를 통해 정확한 발음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반복적인 발음 학습이 가능하도록 한다. S31은 메뉴 및 도구 상자 영역으로 학습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메뉴를 나타낸 부분이다. S32는 문장 입출력 영역은 텍스트 형태의 단어를 학습 내용을 출력하고 입력하기 위한 영역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learning a Korean sentence. It is an interface for learning to learners based on basic sentence patterns. In this case, the sentence is played through the voice output apparatus, and the computer determines whether the learner's pronunciation is the correct pronunciation through the speech recognizer to enable repeated pronunciation learning. S31 is a menu and toolbox area that shows a menu for an interface with a learner. In S32, the sentence input / output area is an area for outputting and inputting learning content of a word in a text form.
S33은 문장 분석 결과 영역으로 철자 검사기/문체검사기를 사용하여 학습자의 입력 문장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출력하기 위한 영역이다. S34는 발음 기호 영역은 학습자에게 발음의 형태를 출력해 주는 영역이다. S35는 발음 모양 영역으로 그래픽 형태의 발음 입 모양을 출력하기 위한 부분이다. S36은 진도 및 수준 진단 정보 영역으로 학습자의 학습 진도와 현재까지의 수준을 진단한 결과를 출력하기 위한 부분이다. S37은 음성 지원을 표시하는 아이콘, 처음으로, 앞페이지, 다음페이지로 학습 내용을 이동하기 위한 아이콘, 학습을 중단하고 빠져 나가기를 나타내는 아이콘이다.S33 is a sentence analysis result region for analyzing a student's input sentence using a spell checker / stylistic checker and outputting the result. In S34, the phonetic preference area is an area for outputting the pronunciation form to the learner. S35 is a part for outputting a pronunciation mouth shape in a graphic form as a pronunciation shape region. S36 is a progress and level diagnostic information area for outputting a result of diagnosing the learner's learning progress and the present level. S37 is an icon indicating voice support, an icon for moving the learning content to the first page or the next page for the first time, and an icon indicating stopping and exiting the learning.
도 6은 한국어 지식베이스의 일 예를 도시한 예이다. 지식 베이스는 한국어의 언어적 규칙과 현상들을 학습을 위한 모습으로 변형한 하이퍼텍스트 형태로 저장되어 학습제어기가 학습자 학습 수준과 학습 내용에 따라 동적으로 학습해야 할 내용을 판단하여 선택적으로 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 지식베이스 속에는 단어, 문장을 포함한 언어 규칙을 음성과 그림, 사용 실 예를 가진 형태로 보관되어 있다.6 illustrates an example of the Korean knowledge base. The knowledge base is stored in the form of a hypertext that transforms the linguistic rules and phenomena of Korean into a form for learning so that the learning controller can select and selectively select the content to learn dynamically according to the learner's learning level and content. It is composed. In this knowledge base, language rules, including words and sentences, are stored in the form of voices, pictures, and usage examples.
도 7은 한국어 전자 사전의 일 예를 도시한 모습이다. 전자 사전은 단어를 교육할 때와 문장 학습 시에 학습자가 대답하는 문장을 분석하는 철자 검사기, 문체 검사기의 참조 대상이 된다, 학습자 제어기에서는 이 전자 사전을 참조하여 단어의 어휘 설명, 동의어, 반의어, 유사어, 문장 예 등을 제시할 수 있다.7 illustrates an example of a Korean electronic dictionary. The electronic dictionary serves as a reference for the spell checker and the stylistic checker that analyzes sentences that learners answer when teaching words and when learning sentences. Similar words, sentence examples, and the like can be presented.
도 8은 한국어 문장 구조를 도시한 표이다. 문장은 하나 이상의 단어가 모여, 주어와 서술어의 관계를 이루면서 어떠한 완결한 뜻을 나타낸다. 문장의 주성분은 주부가 되는 주어, 서술부가 되는 목적어, 보어, 서술어와, 부속성분으로 수식어가 있다. 이는 대부분의 언어가 가지는 공통된 문장 성분의 모습이다. 한국어의 기본 문형을 중심으로 여러 가지 유형들이 변형되어 나타난다. 이때 문장 구성 유형은 기본 구조, 수식 구조, 접속 구조의 세 가지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다. 한국어의 기본 문장 구조는 주어+서술어를 기본으로 하며, 서술어의 동사에 따라 다섯 가지로 나뉜다. 기본 문형은 동사가 하나만 존재한다. 문장에서 명사 아래에는 조사가 붙어 그 성분을 나타내는데, 주어가 되는 명사에는 '-이/가'가 붙고, 목적어가 되는 명사에는 '-을/를'이 붙는다. 그런데, 이 조사들이 생략되는 경우도 있다. 한국어 문장의 어순은 영어와는 달리 '주어+목적어+동사'를 기본으로 하여 구성되는 특징이 있다. 그런데, 주어, 목적어 등에 조사가 붙기 때문에 그 순서가 바뀌어도 문장의 뜻이 이해되는데, 이 때에는 문장의 맨 앞에 놓인 성분을 강조하는 뜻이 있다. 문장 구성에서 동사는 그 고유한 성질에 따라 문장의 유형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리고 동사의 맨 뒤에 종결어미가 붙어서 한 문장을 끝맺는다. 종결어미는 동사의 종류, 문장의 종류, 존대의 높낮이에 따라 달라진다.8 is a table showing a Korean sentence structure. A sentence is a group of one or more words that represents a complete mean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 and the predicate. The main component of a sentence is a subject which becomes a main part, a target object, a bore, a predicate which becomes a description part, and a modifier as an accessory component. This is a common sentence component of most languages. Several types are transformed around the basic sentence pattern of Korean. In this case, the sentence structure type can be described by dividing it into three types: basic structure, mathematical structure, and connection structure. The basic sentence structure of Korean is based on subject + predicate, and is divided into five types according to verbs of the predicate. The basic sentence pattern has only one verb. In the sentence, a noun is attached to the noun to indicate its components. The subject noun has '-//' and the object noun has '-//'. However, these investigations may be omitted. Unlike English, the order of Korean sentences is characterized by being composed on the basis of 'subject + object + verb'. By the way, because the subject, object, etc. are attached to the investigation, even if the order is changed, the meaning of the sentence is understood, but this time there is a meaning to emphasize the element placed at the beginning of the sentence. In sentence construction, verbs play the most important role in determining the type of sentence based on its unique nature. The sentence ends with a ending ending a sentence. The ending ending depends on the type of verb, the type of sentence, and the level of honor.
도 9는 문형 중 수식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수식 구조는 기본 문형을 이루는 성분은 다시 수식어의 꾸밈을 받을 수 있다. 수식어는 명사류를 꾸미는 관형어와 동사나 문장을 꾸미는 부사어로 나뉜다. 관형어는 관형사, 명사에 관형격 조사가 첨가된 것, 동사의 관형형으로 된 것이 있다. 부사어는 부사, 명사에 부사격 조사가 첨가된 것, 동사의 부사형으로 되어 있다.9 illustrates a mathematical structure of sentence patterns. In the formula structure, the elements forming the basic sentence pattern can be decorated with modifiers. Modifiers are divided into nouns that adorn nouns and adverbs that adverbs verbs and sentences. There are two types of tubular words: tubular forms, nouns with nouns, and verb forms. Adverbs are adverbs, nouns added to nouns, and verbs.
도 10은 문형 중 접속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접속 구조는 두 개 이상의 기본 문형이 이어져서 하나의 더 큰 문장을 이루게 된다. 이 때 앞에 오는 동사의 어간에 두 문장이 이어져 나타내는 뜻에 따라 각기 다른 형태의 연결어미가 붙는다.10 shows a connection structure among sentence patterns. A connection structure is made up of two or more basic sentences that form one larger sentence. At this time, two sentences are connected to the stem of the preceding verb, and the different ending forms are attached.
도 11은 문장 배치 학습 예를 나타낸 것이다. 단어를 나열해 보여 주고 학습자로 하여금 선택하도록 하는 예이다. 이 때 학습자가 제시한 단어의 뜻을 모를 때는 도움말을 요청하면 언제든지 그 어휘의 의미, 용례 등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그리고 제시된 예문을 학습자가 올바르게 배치한 경우에 음성 출력기를 통해 정확한 발음과 문장 인터네이션, 기본 악센트 등을 가르친다.11 shows an example of sentence placement learning. This is an example of listing words and having learners choose them. At this time, if you do not know the meaning of the words suggested by the learner, you can always refer to the meaning of the vocabulary, the usage, and the like by asking for help. And when the learner places the example correctly, the voice outputter teaches correct pronunciation, sentence interaction, and basic accents.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학습자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학습자의 능력을 장치가 스스로 판단, 평가가 가능하며, 학습자가 원하는 부분만을 선택하여 교육받을 수 있으며, 한국어의 쓰기, 듣기, 말하기, 읽기 교육이 동시에 가능한 형태로서 학습자의 학습 정도에 따라 다른 학습 내용을 제시하게 되고, 학습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학습자의 학습 정도를 판단할 수 있어서 매우 유용하고 효율적으로 한국어 교육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evice can determine and evaluate the learner's abilities by interaction with the learner, and can select and train only the desired part of the learner. It is possible to teach speaking and reading at the same time, and to present different learning contents according to the learner's learning level, and it is possible to judge the learning level of the learner through interaction with the learner. It works.
Claims (9)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70065368A KR100238451B1 (en) | 1997-12-02 | 1997-12-02 | A computer aided education system and control techniques for korea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70065368A KR100238451B1 (en) | 1997-12-02 | 1997-12-02 | A computer aided education system and control techniques for korean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47118A KR19990047118A (en) | 1999-07-05 |
KR100238451B1 true KR100238451B1 (en) | 2000-01-15 |
Family
ID=19526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70065368A KR100238451B1 (en) | 1997-12-02 | 1997-12-02 | A computer aided education system and control techniques for korea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238451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66388B1 (en) * | 2000-04-26 | 2002-12-31 | 김정태 | knowledge delivering system using internet and system thereof |
KR100355072B1 (en) * | 2000-07-06 | 2002-10-05 | 한상종 | Devided multimedia page and method and system for studying language using the page |
KR20030057796A (en) * | 2001-12-29 | 2003-07-07 | 주식회사 정철인터랩 | Method for languige education through the network |
KR20040082734A (en) * | 2003-03-20 | 2004-09-30 | 인벤텍 코오포레이션 | System And Method For Assisting Language Learning Through Process Of Listening And Typing |
KR100570306B1 (en) * | 2004-08-14 | 2006-04-11 | 김용명 | The sorting methods and systems of english developmental stages, and the recorded media of the programs of the sorting sytems of english developmental stages read by computer |
KR100628983B1 (en) * | 2004-09-22 | 2006-09-27 | 김용명 | A system and method for diagnosis, prescription and testing of english ability and a memory device recorded a program for diagnosis, prescription and testing of english ability |
KR100762200B1 (en) * | 2006-02-13 | 2007-10-04 | (주)아이디팩트글로벌 | Self learning device for talking with the hands |
KR100888267B1 (en) * | 2006-09-19 | 2009-03-10 | 최종근 | Language traing method and apparatus by matching pronunciation and a character |
KR100727462B1 (en) * | 2006-12-13 | 2007-06-15 | 김홍균 | Portable learning apparatus and learning method for using the same |
KR100756670B1 (en) * | 2007-02-05 | 2007-09-07 | 최창국 | English studying method which uses an accomplishment multimedia |
KR100882211B1 (en) * | 2007-07-24 | 2009-02-06 |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 E-Book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readibile Recording Medium for Adjusting Blur of Screen According to User Level |
KR102393912B1 (en) * | 2019-08-14 | 2022-05-03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Synonym-stem based korean verb learning tool |
KR102396833B1 (en) * | 2019-12-31 | 2022-05-13 | (주)헤이스타즈 | System and method for studying korean pronunciation using voice analysis |
-
1997
- 1997-12-02 KR KR1019970065368A patent/KR100238451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47118A (en) | 1999-07-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305942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increased language fluency through interactive comprehension, recognition and generation of sounds, words and sentences | |
Peregoy et al. | English learners reading English: What we know, what we need to know | |
US5393236A (en) | Interactive speech pronunciation apparatus and method | |
US7270546B1 (en) | System and method for interactive reading and language instruction | |
KR20010013236A (en) | Reading and pronunciation tutor | |
JP2001159865A (en) | Method and device for leading interactive language learning | |
KR100238451B1 (en) | A computer aided education system and control techniques for korean | |
Jones | Pronunciation with other areas of language | |
US20120164609A1 (en) | Second Language Acquisition System and Method of Instruction | |
Nel et al. | Factors influencing the acquisition of Mandarin Chinese as a second additional language focusing on phonetics | |
KR101830031B1 (en) | An Early Literacy Instruction System Designed For Individuals With Reading Difficulties | |
KR101333946B1 (en) | Apparatus for studying engligh speaking based on drawing method using smart device | |
KR101080092B1 (en) | Method for studying foreign language word and installation using thereof | |
US8956164B2 (en) | Method of teaching reading and spelling with a progressive interlocking correlative system | |
WO2006064295A2 (en) | Computerised system and method for teaching handwriting and reading | |
JP2002182554A (en) | Spelling learning method and system | |
Laurillard | Principles for Computer‐Based Software Design for Language Learning | |
Rodgers | Linguistic Considerations in the Design of the Stanford Computer Based Curriculum on Initial Reading | |
Mäkinen | The role of pronunciation in Finnish EFL textbooks and EFL teaching | |
JP7533525B2 (en) | Electronic device, learning support system, learning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 |
Yang | Some explicit linguistic knowledge for Chinese pronunciation teaching | |
Kamalova et al. | Peculiarities of Teaching the Russian Language to Children of Immigrants | |
Delmonte | Speech synthesis for language tutoring systems | |
Patra et al. | UTILIZING THE PHONETICS TRANSCRIPTION APP TO TEACH ENGLISH PRONUNCIATION SKILLS | |
Çekiç | The effects of computer assisted pronunciation teaching on the listening comprehension of Intermediate learner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70919 Year of fee payment: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