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235956B1 - 반도체 소자의 비트라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소자의 비트라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5956B1
KR100235956B1 KR1019960024267A KR19960024267A KR100235956B1 KR 100235956 B1 KR100235956 B1 KR 100235956B1 KR 1019960024267 A KR1019960024267 A KR 1019960024267A KR 19960024267 A KR19960024267 A KR 19960024267A KR 100235956 B1 KR100235956 B1 KR 1002359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bit line
semiconductor device
tin
mocv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4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6340A (ko
Inventor
이상협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1019960024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5956B1/ko
Priority to US08/863,148 priority patent/US6087259A/en
Priority to JP9149488A priority patent/JP2908774B2/ja
Publication of KR9800063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63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59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5956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12/00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devices
    • H10B12/30DRAM devices comprising one-transistor - one-capacitor [1T-1C] memory cells
    • H10B12/48Data lines or contacts therefor
    • H10B12/482Bit li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10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225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 H01L21/0226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deposition process
    • H01L21/02263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deposition process deposition from the gas or vapour phase

Landscapes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소자의 비트라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반도체소자의 집적도가 증가되어 선폭이 감소함에 따라 저항이 증가되어 신호전달속도에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비저항이 낮은 금속을 이용하되 Ti/TiN/W의 적층구조로 비트라인을 제조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반도체 소자의 비트라인 제조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히 반도체소자의 비트라인을 Ti/TiN/W의 적층구조로 형성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반도체기판 2 : 게이트 산화막
3 : 게이트 전극 4 : 마스트 절연막
5 : 절연막 스페이서 6 : Ti막
7 : MOCVD-TiN막 8 : W막
10 : 소오스/드레인 확산영역 20 : 비트라인
본 발명은 반도체소자의 비트라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트라인을 Ti/TiN/W의 적층 구조로 형성하는 비트라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소자에서 비트라인을 형성하는데 녹는 점이 높고 비저항이 낮은 텅스텐(W)을 사용한다. 이에 따라 소자에서 신호 전달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비트라인을 길게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소자의 설계에 대한 마진이 증대된다.
종래에는 반도체소자의 비트라인을 형성할 때 다결정실리콘과 텅스텐실리사이드(WSix)의 2중 박막을 사용함으로써 다결정실리콘이 갖는 높은 저항을 보완하여 현재 응용되고 있다. 다결정실리콘박막의 비저항은 1000Å의 두께에서 ∼ 1000μΩ㎝이며 텅스텐실리사이드는 ∼70μΩ㎝로서 비트라인의 비저항이 다소 높은 편이다.
따라서 반도체 소자의 집적도가 증가되어 선폭이 감소함에 다라 저항이 증가되어 신호 전달 속도에 제한을 줄 수 있다. 이에 따라 비저항이 낮은 금속을 비트라인으로 사용해야 하는 요구가 발생하였다.
CVD방법으로 제조한 텅스텐 박막을 사용하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왜냐하면 텅스텐박막의 비저항은 10∼20μΩ㎝로 매우 낮으며 모서리 도포성이 매우 우수하여 비트라인 콘택을 훌륭하게 매립할 수 있다.
상기 CVD-W막은 접촉저항을 50%이상 낮추어 준다. 그러나, 라인형성 후 이어지는 열공정, 예를 들어 BPSG 리플로우(reflow) 등을 거치면서 반도체 소자를 파괴한다.
따라서 텅스텐실리사이드의 형성 반응을 억제하기 위하여 확산 장벽을 사용하여야만 한다. 또한 콘택 저항을 낮추기 위하여 Ti막을 사용해야 하는데 후속 열공정시 Ti막이 응집되어 콘택에 빈공간(void)을 형성하거나 소오스/드레인용 확산영역의 Si과 확산장벽층에 포함되어 있는 산소와 반응하여 절연층인 실리콘산화물이 형성되는 문제점이 있다.
CVD-W막을 비트라인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비트라인 형성 후 BPSG- 리플로우하는 고온 공정이 진행될 때 W막과 접합층의 Si과의 반응을 억제시키는 확산 장벽을 사용하여야 한다. TDMAT(tetrakis-dimethylamino titanium)를 원료로 사용한 MOCVD(metal 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법으로 제조한 TiN(이하 MOCVD-TiN막)을 이용하면 위의 반응을 방지시킬 수 있다. 그러나, 접촉저항을 낮추기 위해 사용하는 Ti막이 고온공정 동안 접합층과 반응하여 TiSi2(티타늄 실리사이드)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때 TiSi2층이 응집되어 불연속층으로 되며 콘택에 빈 공간이 형성되어 접촉저항이 매우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MOCVD-TiN막이 대기에 노출되어 있는 동안 흡수한 수분과 Si이 반응하여 절연층인 SiO2를 형성하기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Ti막을 증착한 후 급속열처리어닐(rapid thermal anneal)을 실시하여 C49구조의 TiSi2를 형성시키고 반응하지 못한 Ti막은 습식 식각으로 제거하고, 그 상부에 MOCVD-TiN막과 W막을 적층하여 비트라인을 제조하는 비트라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반도체소자의 비트라인 제조방법에 있어서, 반도체소자의 비트라인 제조방법에 있어서, 반도체기판에 트랜지스터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구조 전표면에 비트라인 콘택으로 예정되는 부분을 노출시키는 비트라인 콘택홀이 구비된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절연막 상부에 Ti막을 증착하는 단계와, 상기 Ti막을 600-900℃ 온도의 질소 및 아르곤분위기에서 5-60초간 급속열처리하여 상기 Ti막의 저부를 준안정상인 C49구조의 TiSi2막으로 실리사이드화하는 단계와, 상기 Ti막에서 실리사이드화되지 않은 부분을 습식식각방법으로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구조 전표면에 MOCVD-TiN막 및 W막을 증착하는 단계와, 비트라인 마스크를 이용한 식각공정으로 Ti/MOCVD-TiN/W의 적층구조로 이루어진 비트라인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해 반도체소자의 비트라인을 게이트 전극 사이에 있는 확산영역에 콘택을 한 것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반도체기판(1)상부에 게이트 산화막(2), 게이트 전극용 도전층 및 마스크 절연막을 순차적으로 적층하고, 상기 게이트 전극 마스크를 이용한 식각공정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산화막(2), 게이트 전극(3) 및 마스크 절연막(4)의 패턴을 형성한 다음, 상기 게이트 전극(3)과 마스크 절연막(4)의 패턴 측벽에 절연막 스페이서(5)를 형성한다. 그리고, 노출된 반도체기판(1)으로 불순물을 주입하여 소오스/드레인확산영역(10)을 형성한 후, Ti막(6)을 50-1000Å의 두께로 증착하고, 급속열처리공정으로 질소와 아르곤 분위기와 600-900℃의 온도에서 5-60초간 실시한다. 그리고, MOCVD-TiN막(7)을 100-1000Å의 두께로 증착하고, 그 상부에 W막(8)을 500-5000Å의 두께로 증착하고, 비트라인 마스크를 이용한 식각공정으로 상기 W막(8), MOCVD-TiN막(7), Ti막(6)의 일정 부분을 식각하여 상기 소오스/드레인확산영역(10)에 콘택되는 Ti막(6)/MOCVD-TiN막(7)/W막(8)의 적층구조로 이루어진 비트라인(20)을 형성한 단면도이다.
참고로, 상기 W막(8)을 증착한 다음, 그 상부에 반사방지막을 증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상기 비트라인을 형성하는 공정에서 상기 제1실시예와 같이 소오스/드레인 확산영역(10)까지 형성한 다음, Ti막(6)을 50-100Å의 두께로 증착하고, 그 상부에 MOCVD-TiN막(7)을 100-1000Å의 두께로 증착하고, 상기 MOCVD-TiN막(7)을 급속열처리공정으로 질소와 아르곤 분위기와 600-900℃의 온도에서 5-60초간 실시한다. 그리고, 그 상부에 W막(8)을 500-5000Å의 두께로 증착하고, 비트라인 마스크를 이용한 식각공정으로 상기 W막(8), MOCVD-TiN막(7), Ti막(6)의 일정부분을 식각하여 상기 소오스/드레인 확산영역(10)에 콘택되는 Ti막(6)/MOCVD-TiN막(7)/W막(8)의 적층구조로 이루어진 비트라인(20)을 형성하는 것이다.
즉, 제2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급속열처리공정은 Ti막와 MOCVD-TiN막을 증착한 후 실시하여도 제1실시예와 같이 확산영역의 Si와 반응하여 빈 공간이 없이 정상적인 TiSi2가 형성되어 콘택저항을 최소화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의 제1실시예에서 급속열처리공정을 실시하는 것을 C49구조의 균일한 TiSi2를 소오스/드레인 확산영역의 표면에 형성시키기 위함이다. 이러한 공정을 추가로 실시하여 후속 열공정시 TiSi2의 응집에 의한 비트 라인 콘택 저부에서 빈 공간 형성을 억제하고, MOCVD-TiN막 내에 흡수된 수분과 확산영역의 Si이 반응하는 것을 막을 수 있어 낮은 콘택저항을 얻을 수 있으며, 누설전류의 증가현상이 일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반도체소자에서의 신호전달속도가 향상되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텅스텐을 비트라인으로 사용할 경우 비트라인 콘택에서 확산영역의 Si과 W막이 고온에서 반응하여 WSiX가 형성되는 것을 TDMAT를 원료로 사용하여 제조한 TiN막을 사용하여 방지시킬 수 있다. 반면 콘택저항을 낮추어주기 위해 사용하는 Ti막은 아무런 처리없이 고온 공정이 진행되면 확산영역의 Si과 반응하여 TiSi2로 변태되는 과정에서 전체부피를 감소시키며 응집되어 불연속적인 TiSi2층으로 형성된다. 이렇게 되면 콘택저항이 매우 높게 나타나 반도체소자에서 사용할 수가 없다. 그러나, 본 발명은 Ti막 증착후 급속열처리공정을 거치면 TiSi2의 응집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낮은 콘택저항을 얻을 수 있다.

Claims (3)

  1. 반도체소자의 비트라인 제조방법에 있어서, 반도체기판에 트랜지스터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구조 전표면에 비트라인 콘택으로 예정되는 부분을 노출시키는 비트라인 콘택홀이 구비된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절연막 상부에 Ti막을 증착하는 단계와, 상기 Ti막을 600-900℃ 온도의 질소 및 아르곤분위기에서 5-60초간 급속열처리하여 상기 Ti막의 저부를 준안정상인 C49구조의 TiSi2막으로 실리사이드화하는 단계와, 상기 Ti막을 실리사이드화되지 않은 부분을 습식식각방법으로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구조 전표면에 MOCVD-TiN막 및 W막을 증착하는 단계와, 비트라인 마스크를 이용한 식각공정으로 Ti/MOCVD-TiN/W의 적층구조로 이루어진 비트라인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소자의 비트라인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Ti막은 50-100Å의 두께로 증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소자의 비트라인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MOCVD-TiN막은 100-1000Å의 두께로 증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소자의 비트라인 제조방법.
KR1019960024267A 1996-06-24 1996-06-27 반도체 소자의 비트라인 제조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2359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4267A KR100235956B1 (ko) 1996-06-27 1996-06-27 반도체 소자의 비트라인 제조방법
US08/863,148 US6087259A (en) 1996-06-24 1997-05-27 Method for forming bit lines of semiconductor devices
JP9149488A JP2908774B2 (ja) 1996-06-24 1997-06-06 半導体素子のビットライン及びその製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4267A KR100235956B1 (ko) 1996-06-27 1996-06-27 반도체 소자의 비트라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6340A KR980006340A (ko) 1998-03-30
KR100235956B1 true KR100235956B1 (ko) 1999-12-15

Family

ID=19463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4267A Expired - Fee Related KR100235956B1 (ko) 1996-06-24 1996-06-27 반도체 소자의 비트라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59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1269B1 (ko) * 1999-07-01 2002-04-06 박종섭 반도체 장치의 배선 형성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61662A (ja) * 1993-12-08 1995-06-23 Fujitsu Ltd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61662A (ja) * 1993-12-08 1995-06-23 Fujitsu Ltd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6340A (ko) 199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0253B1 (ko) Mosfet 제조 방법
US6858904B2 (en) High aspect ratio contact structure with reduced silicon consumption
US5518960A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wiring layer including amorphous silicon and refractory metal silicide
KR100240880B1 (ko) 반도체 장치의 게이트 전극 형성 방법
US8294220B2 (en) Method for forming silicide contacts
US6368949B1 (en) Post-spacer etch surface treatment for improved silicide formation
US20060202283A1 (en) Metal silicide adhesion layer for contact structures
KR100235956B1 (ko) 반도체 소자의 비트라인 제조방법
US6335297B1 (en) Method for forming conductive line of semiconductor device
JP3011941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100562710B1 (ko)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KR0161880B1 (ko) 치밀한 티타늄 질화막 형성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100340868B1 (ko)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전극 형성방법
KR100294637B1 (ko) 모스펫의폴리사이드게이트형성방법
KR100249161B1 (ko) 반도체 소자의 실리사이드 형성방법
KR940004419B1 (ko) Mos형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437620B1 (ko) 반도체소자의폴리사이드구조의형성방법
KR100318273B1 (ko) 반도체 소자의 비트라인 형성방법
KR100231595B1 (ko) 반도체 소자의 비트라인 및 그 제조방법
KR19980033877A (ko) 실리사이드 형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236059B1 (ko) 실리사이드막 형성방법 및 그를 이용한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KR100646984B1 (ko)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전극 형성 방법
JPH07142424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H05226647A (ja) 半導体集積回路装置の製造方法
KR20020041878A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06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6062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902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71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9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909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8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8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8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82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81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82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82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82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25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82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208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