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3012B1 - Dimensional storage tower - Google Patents
Dimensional storage tow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223012B1 KR100223012B1 KR1019970007522A KR19970007522A KR100223012B1 KR 100223012 B1 KR100223012 B1 KR 100223012B1 KR 1019970007522 A KR1019970007522 A KR 1019970007522A KR 19970007522 A KR19970007522 A KR 19970007522A KR 100223012 B1 KR100223012 B1 KR 10022301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ft
- space
- tray
- dimensional
- storag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 E04H6/185—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using comb-type transfer means
- E04H6/186—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using comb-type transfer means without transverse movement of the car after leaving the transfer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Abstract
입체 격납 장치는 복수층으로 구획된 격납 공간 K과, 상기 격납 공간 K에 병설되고 마찬가지로 복수층으로 구획된 승강 공간 S과, 상기 승강 공간 S내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된 리프트(17)를 구비한다. 리프트(17)는 복수의 체인(20), (26)에 의해 매달려 지지되고 있다. 리프트 체인(26)은 리프트(17)를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고, 밸런스 체인(26)은 리프트(17)를 대략 수평으로 유지한다. 모터(23)에 의해 리프트 체인(26)을 풀어내거나 끌어당김에 따라 리프트(17)는 승강된다.The three-dimensional storage device includes a storage space K partitioned into a plurality of floors, a lifting space S arranged in the storage space K and similarly partitioned into a plurality of floors, and a lift 17 arranged in the lifting space 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The lift 17 is suspended and supported by a plurality of chains 20 and 26. The lift chain 26 supports the lift 17 to be liftable, and the balance chain 26 keeps the lift 17 substantially horizontal. The lift 17 is lifted as the lift chain 26 is released or pulled by the motor 23.
Description
본 발명은 입체 주차 장치 등과 같이 승강 가능한 리프트를 구비한 입체 격납 타워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hree-dimensional storage tower having a lift that can be elevated, such as a three-dimensional parking device.
제10도 및 제11도는 종래의 입체 주차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상하로 연장된 입체 주차 장치에는 승강 공간 S와, 그 좌우 양측으로 자동차 C를 격납하기 위한 격납 공간 K가 구획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승강 공간 S는 복수의 프레임(56)에 의해 구획되고, 격납 공간 K는 자동차 C가 놓여지는 트레이(51)에 의해 구획된다.10 and 11 show a conventional three-dimensional parking device. In the three-dimensional parking device extended vertically, the lifting space S and the storage space K for storing the automobile C on both the right and left sides are formed. The lifting space S is partitioned by a plurality of
트레이(51)는 자동차 C를 격납 공간 K에 대해 입출고시키기 위해, 동일 층에서 격납 공간K와 승강 공간 S 사이를 수평 이동할 수 있다. 리프트(52)는 승강 공간 S내에서 승강 가능하게 매달려서 지지되고 있다. 리프트(52)는 빗살 모양의 포크(55)를 가지고, 마찬가지로 트레이(51)도 빗살 모양의 포크(도시하지 않음)를 가진다. 리프트(52)의 포크(55)와 트레이(51)의 포크는 서로 대향함과 동시에, 수평 방향으로 어긋나서 서로 짝을 이루는 위치 관계로 배치되어 있다. 또 양자(51), (52)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때 서로 간섭하지 않는다. 따라서 트레이(51)와 리프트(52)가 승강 공간 S내에서 마주 스쳐 지나감에 따라 양자 (51), (52) 사이에서 자동차 C의 주고받음이 이루어진다.The
이 입체 주차 장치는 리프트(52)를 승강 이동시키기 위한 승강 기구로서 윈치(53)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윈치(53)는 승강 공간 S의 최(最)상부 중앙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윈치(53)로부터 늘어뜨려진 4개의 와이어(54)가 리프트(52)의 전후 양 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윈치(53)가 와이어(54)를 끌어당기거나 풀어내는 것에 의해 리프트(52)는 승강 공간 S내를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된다.This three-dimensional parking device is provided with the
그러나, 윈치(53)는 최상층에서 이루어지는 자동차 C의 주고받음에 간섭하지 않도록 주차 장치의 정상부라는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입체 주차장치의 전체 높이가 높아진다.However, since the
여기서, 입체 주차 장치의 높이를 낮추기 위해, 4개의 와이어(54)에 대응해서 4개의 윈치를 설치하고, 각 윈치에 의해 대응하는 와이어를 끌어당기거나 풀어내게 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하면, 각 윈치를 승강 공간 S의 네 모퉁이에 붙여 배치할 수 있어, 상기 윈치를 종래의 주차 장치보다 낮게 배치할수 있고, 윈치는 최상층에서의 자동차 C의 주고받음에 간섭하지 않는다. 그러나, 다수의 윈치를 구비하는 것은 승강 기구의 가격 상승으로 이어지고, 동시에 각 윈치를 동기해서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가 복잡해진다.Here, in order to lower the height of the three-dimensional parking device, four winches may be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four
본 발명은 전술한 사정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승강 기구를 최대한 낮은 위치에 배치해서 높이를 줄일수 있는 입체 주차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three-dimensional parking device capable of reducing the height by arranging the elevating mechanism at a position as low as possible.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입체 주차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1 is a front view showing a three-dimensional par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입체 주차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2 is a plan view showing the three-dimensional parking device.
제3도는 제1도의 부분 확대도이다.3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FIG. 1.
제4도는 제2도의 A-A선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제5도는 제2도의 B-B선 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in FIG.
제6도는 프레임의 분해 사시도이다.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rame.
제7도는 이동중의 트레이를 나타낸 평면도이다.7 is a plan view showing a tray in motion.
제8도는 이동후의 트레이를 나타낸 평면도이다.8 is a plan view showing the tray after movement.
제9도는 제2도의 C-C선 단면도이다.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of FIG.
제10도는 종래의 입체 주차 장치의 최상부를 나타낸 확대도이다.10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top of a conventional three-dimensional parking device.
제11도는 종래의 입체 주차 장치를 나타낸 주요부 확대도이다.11 is an enlarged view of an essential part showing a conventional three-dimensional parking device.
제12도는 종래의 입체 주차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12 is a plan view showing a conventional three-dimensional parking devic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입체 격납 타워는, 복수층으로 구획된 격납 공간과, 상기 격납 공간과 나란히 형성되고 마찬가지로 복수층으로 구획된 승강 공간과, 상기 승간 공간내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된 리프트를 구비한다. 리프트는 케이블 부재에 의해 매달려서 지지되고 있다. 케이블 부재는 리프트를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지지 케이블과, 리프트를 대략 수평으로 유지하는 제2지지 케이블을 포함한다. 입체 격납 타워는 제1지지 케이블의 실효 길이를 조절해서 리프트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구동 부재를 구비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three-dimensional storage tow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rage space partitioned into a plurality of floors, the lifting space formed in parallel with the storage space and similarly partitioned into a plurality of floors, and is arranged to be elevated in the space between Equipped with a lift. The lift is suspended and supported by a cable member. The cable member includes a first support cable for supporting the lift in a liftable manner, and a second support cable for keeping the lift substantially horizontal. The three-dimensional containment tower is provided with the drive member which adjusts the effective length of a 1st support cable, and moves a lift up and down.
이하 제1도-제9도를 참조해서 본 발명의 입체 격납 타워를 입체 주차 장치로 구체화한 일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one Embodiment which actualized the three-dimensional storage tower of this invention with the three-dimensional parking apparatus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제1도는 입체 주차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제2도는 상기 입체 주차 장치의 평면도이다. 여기서, 제2도에 있어서 좌측을 주차 장치의 전방이라 하고, 우측을 주차 장치의 후방이라 한다.FIG. 1 is a front view showing the three-dimensional parking device, and FIG. 2 is a plan view of the three-dimensional parking device. Here, in FIG. 2, the left side is called the front of the parking apparatus, and the right side is called the rear of the parking apparatus.
제2도에서와 같이, 메인 프레임(11A-11D)은 대지의 네 모퉁이에서 각각 연직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4개의 승강 프레임(12A-12D)은 메인 프레임(11A-11D)의 안쪽에서 마찬가지로 연직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각 승강 프레임(12A-12D)에 의해 승강 공간 S가 구획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승강 공간의 양측에 있어서, 각 프레임(11A), (11C), (12A), (12C)가 각 프레임(11B), (11D), (12B), (12D)에 의해 각각 격납 공간 K가 구획되어 있다. 각 승강 프레임(12A-12D)은 채널 형태를 이루고, 전방의 승강 프레임(12A, 12B)과 후방의 승강 프레임(12A, 12D)은 개구부를 대향시킨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As in FIG. 2, the
제1도에서와 같이, 승강 공간 S는 자동차 C를 승강시키기 위한 공간이고, 격납 공간 K는 자동차 C를 격납하기 위한 공간이다. 격납 공간 K는 복수층(이 실시 형태에서는 5층)으로 구획된 격납실 K1을 포함한다. 승강 공간 S의 최하층에는 입출고실 F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입출고실 F는 자동차 C의 출입구가 된다.As in FIG. 1, the lifting space S is a space for lifting and lowering the automobile C, and the storing space K is a space for storing the automobile C. As shown in FIG. The storage space K contains the storage room K1 partitioned into multiple floors (5 floors in this embodiment). An entrance and exit room F is provided in the lowest floor of the elevation space S, and the entrance and exit room F becomes an entrance and exit of the automobile C.
바닥(32)은 지상과 동일 높이에 있고, 상기 바닥(32)의 좌우 양측에는 포크(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The
제1도에서와 같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도에서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1롤러 프레임(13)은 전방측 승강 프레임(12A), (12B) 사이 및 후방측 승강 프레임(12C), (12D)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제1롤러 프레임(13)은 상하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 설치되어 있다. 제1롤러 프레임(13)은 승강 공간 S를 복수의 층으로 구획한다. 복수의 제1가이드 롤러(14)는 각 층에서 제1롤러 프레임(13)의 대향면 양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The pair of
복수의 제2 롤러 프레임(15)은 전방측 메인 프레임(11A), (11B)과 승강 프레임(12A), (12B) 사이 및 후방측 메인 프레임(11C), (11D)과 승강 프레임(12C), (12D)과의 사이에 각각 설치되고, 전후의 제2롤러 프레임(15)은 한 쌍을 이룬다. 상기 제2 롤러 프레임(15)은 상하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각각 제1롤러 프레임(13)과 같은 높이로 배치되어 있다. 제2 롤러 프레임(15)은 격납 공간 K를 복수의 격납실 K1로 구획한다. 복수의 제2 가이드 롤러(16)는 각 층의 격납실 K1에 있어서 제2 롤러 프레임(15)의 대향면 양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The plurality of
리프트(17)는, 프레임(12A-12D)내에서 각각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프레임(18)과, 양 프레임(18)에서 서로 대향하는 프레임(18)을 행해 돌출되는 빗살 모양의 포크(19A), (19B)로 구성된다. 상기 바닥(32)의 포크는 각 포크(19A), (19B)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어긋나서 서로 짝을 이루는 위치 관계로 배치되어 있다.The
제6도에서와 같이, 리프트 프레임(18)은, 채널 형태를 이루는 한 쌍의 강철부재(18a),(18b)와, 상기 강철부재(18a), (18b) 사이에 배치되는 스토퍼(33)로 이루어진다. 포크(19A)는 4개의 강철 부재로 이루어지고, 포크(19B)는 8개의 강철 부재로 이루어진다. 그 강철 부재(18a)의 일측면에는 복수의 포크 삽입 홀(18c)이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스토퍼(33)에도 포크 삽입 홀(33a)이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6, the
강철 부재(18a)의 포크(19A)에 대응하는 위치에 스토퍼(33)를 고정시킨 후, 강철 부재(18a), (18b)를 서로 용접으로 고정한다. 그리고, 포크(19A), (19B)는 각각 대응하는 포크 삽입 홀(18c)에 삽입되고, 각 포크(19A), (19B)의 선단은 강철 부재(18b)의 내면에 맞닿는다. 포크(19A), (19B)는 강철부재(18b) 및 포크삽입홀(18c)과의 용접 부분으로써 용접 고정된다. 일방의 포크(19A) 중 바깥쪽 2개는 포크 삽입 홀(33a)에 삽입되어 그 선단이 강철 부재(18b)의 내벽에 접한다. 이에 대해 포크(19A) 중 안쪽 2개는 그 선단이 스토퍼(33)에 접한다. 또, 포크(19A)중 안쪽 2개의 길이는 바깥쪽 2개보다 짧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제9도에서와 같이 프레임(18)의 전단에서 후단에 걸쳐 프레임(18)내에는 포크(19A), (19B)가 진입하지 않는 삽통(揷通)공간 M이 형성된다.After fixing the
또, 포크(19A) 중 중앙의 2개는 그 외측의 포크보다 낮게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리프트(17)상에 자동차 C가 놓여졌을 때, 그 차륜은 약간 하강해서 포크(19A)에 의해 홀딩된다. 이와 같이 포크(19A)는 자동차 C의 차륜 정지 역할도 겸한다.Moreover, the center two of the
제5도에서와 같이, 프레임(18)의 전후 양단은, 전방의 승강 프레임(12A), (12B)과 후방의 승강 프레임(12C), (12D)의 내부에 각각 삽입되어 있다. 상기 리프트(17)는, 후술하는 승강 기구에 의해 승강 공간 S내를 승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5,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제2도에서와 같이, 자동차 C를 올려놓기 위한 각 트레이(28A), (28B)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포크 프레임(29)과, 각 포크 프레임(29)의 양단에 각각 고정된 채널 형태의 가이드 프레임(30)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트레이(28A), (28B)는 그 좌우 양측에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한 쌍을 이루는 빗살 모양의 포크(31)를 가지고 있다. 그들 포크(31)는 리프트(17)의 포크(19)와 간섭하지 않도록 전후 방향으로 어긋나 있다. 가이드 프레임(30)의 홈이 제2가이드 롤러(16)와 끼워 맞추어짐에 따라 각 트레이(28A), (28B)는 제2 롤러 프레임(15)에 의해 지지된다. 통상, 상기 트레이(28A), (28B)는 각 층의 격납실 K1에 수용되어 있고, 자동차C를 입고 또는 출고 할 때, 트레이(28A), (28B)는 제2 가이드 롤러(16) 및 제1 가이드 롤러(14)에 의해 안내되어 동일 층에서 격납실K1과 승강 공간 S 사이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한다.As shown in FIG. 2, each
상기와 같이 각 트레이(28A), (28B)를 이동시키기 위해, 각 트레이(28A), (28B)의 가이드 프레임(30)의 상면에는 피동부로서의 체인(35)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체인(35)은, 가이드 프레임(30)의 장축 방향(트레이(28A), (28B)의 이동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또, 체인(35)은 가이드 프레임(30)에 있어서 승강 공간 S 근처 부분에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체인(35)의 길이는 제3, 4회전체인 제1스프로킷(38)과 제2스프로킷(39) 사이의 거리보다 약간 길게 설정되어 있다.In order to move each
제4도에서와 같이, 제1 및 제2베어링(36), (37)은, 각각 전후 제1 및 제2롤러 프레임(13), (15)의 상면에 위치하고 승강 프레임(12A-12D)측에 치우쳐서 각각 배설되어 있다. 한 쌍의 제1스프로킷(38)은 제1베어링(36)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한 쌍의 제2 스프로킷(39)은 제2 베어링(37)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4도의 확대한 원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스프로킷(38), (39)은 그 외추측에 형성된 이(齒)(38a), (39a)가 각 트레이(28A), (28B)의 체인(35)에 맞물리도록 해서 배치되어 있다. 또, 제1 및 제2 스프로킷(38), (39)은, 트레이(28A), (28B)가 격납실 K1과 승강 공간 S사이를 이동할 때, 항상 적어도 일방의 스프로킷(38), (39)이 체인(35)에 맞물리는 위치 관계에 있다.As shown in FIG. 4, the first and
제5도에서와 같이, 연동 샤프트(40)는, 전후의 각 제2롤러 프레임(15)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3도에서와 같이, 제1 및 제2 스프로킷(38), (39)의 회전축 및 연동 샤프트(40)의 양 단부에는 각각 스프로킷(38b), (39b), (40a), (40b)가 고정되어 있다. 단부가 없는 형태를 이루는 구동 체인(41)은, 전방측 및 후방측 각 스프로킷(38b), (39b), (40a), (40b) 사이에 각각 감겨져 있다. 상기 체인(41)은 승강 공간 S에 진입하지 않도록 승강 프레임(12A-12D)의 바깥측에서 감겨져 있다.As in FIG. 5, the interlocking
제3도에서와 같이, 트레이(28A), (28B)를 수평 이동시키기 위한 모터(42A), (42B)는 브레이크 모터로 이루어진다. 상기 모터(42A), (42B)는 전방측의 제2 롤러 프레임(15)에 있어서 제2 베어링(37)의 상부에 각각 배치되고, 그 구동축에 장착된 스프로킷(42a)을 통해 전방측 구동 체인(41)과 맞물려 있다. 따라서, 상기 모터(42A), (42B)의 구동에 의해 전방측 제1 및 제2 스프로킷(38), (39)(제2도)이 회전된다. 이에 따라, 연동 샤프트(40)를 통해 후방측 제1 및 제2 스프로킷(38), (39)(제2도)도 동일한 방향으로 연동해서 회전된다. 그 회전에 의해, 트레이(28A), (28B)는 동일 층에서의 격납실 K1과 승강 공간 S사이를 이동한다. 장력 유지 장치(tensioner)(43)는 각 구동 체인(41)에 접하면서 그들 체인(41)에 소정의 장력을 부여한다. 상기 장력 유지 장치(43)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에 의해 구동 체인(41)의 장력은 조정 가능하다.As in FIG. 3, the
다음으로, 리프트(17)를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 기구에 대해 설명한다.Next, the lifting mechanism for lifting the
제4도에서와 같이, 제1밸런스 케이블인 한 쌍의 밸런드 체인(20)은 승강 프레임(12A-12D) 및 프레임(18)에 감겨지는 것에 의해 승강 공간 S내의 좌우 양측에 설치되어 있다. 제5도에서와 같이, 제1회전체인 가이드 스프로킷(21A)은 각 프레임(18)내부에 있어서 리프트(17)의 전단측인 제1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설되어 있다. 제2회전체인 가이드 스프로킷(21B)은 각 프레임(18)의 내부에 있어서 리프트(17) 후단측인 제2단부에 배설되어 있다.As shown in FIG. 4, the pair of
밸런스 체인(20)은 각 프레임(18)의 공간 M에 대략 수평 상태로 관통되고, 가이드 스프로킷(21A), (21B)사이에 걸쳐져 있다. 상기 밸런스 체인(20)의 후단측은 가이드 스프로킷(21B)을 경유하는 것에 의해 상승되고, 그 상단은 후방측 승강 프레임(12C), (12D)의 상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또, 각 밸런스 체인(20)의 전단측은 가이드 스프로킷(21A)을 경유하는 것에 의해 하강되고, 그 하단은 전방측 승강 프레임(12A), (12B)의 하단부에 고정되어 있다.The
제3도에서와 같이, 카운터 샤프트(22)는, 전방측 승강 프레임(12A), (12B) 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승강 프레임(12B)의 상단부에 고정된 승강용 모터(23)에 의해 정역 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한 쌍의 구동 스프로킷(24)은 상기 카운터 샤프트(22)의 양단에 고정되어 있다.As shown in FIG. 3, the
제5도에서와 같이, 제1지지 케이블인 각 리프트 체인(26)은 대응하는 구동 스프로킷(24)에 감겨져 있다. 리프트 체인(26)의 일단은 리프트(17)의 전단에 고정되고, 타단에는 밸런스 웨이트(balance weight)(27)가 장착되어 있다.As in FIG. 5, each
여기서, 밸런스 체인(20)은, 주차 장치의 높이에 가이드 스프로킷(21A), (21B) 간의 거리(가로 지르는 거리)를 더한 것과 대략 같은 길이를 가지고 있다. 한편, 리프트 체인(26)은, 주차 장치 높이와 대략 동일한 길이를 가진다. 따라서, 프레임(18)의 전단측이 리프트 체인(26)에 매달려 지지됨으로써, 가이드 스프로킷(21B), 밸런드 체인(20) 및 가이드 스프로킷(21A)의 연계로 상기 프레임(18)의 후단측도 전단측과 거의 같은 높이로 유지된다. 이에 따라 리프트(23)는 대략 수평으로 유지된다.Here, the
상기 구성에 의해 각 트레이(28A), (28B)는 격납실 K1과 승강 공간 S 사이를 수평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트레이(28B)의 이동 동작을 설명한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each of the
제2도에서와 같이, 트레인(28B)가 격납실 K1에 격납된 상태에서는, 제2스프로킷(39)만이 상기 트레이(28B)의 체인(35)에 맞물려 있다. 이 상태에서 모터(42B)를 제3도의 시계 방향으로 구동함으로써, 그 모터(42B)에 연결된 제2스프로킷(39)은 상기 모터(42B)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된다. 마찬가지로, 제1스프로킷(38)은 구동 체인(41) 및 스프로킷(39b), (38b)을 통해 제2 스프로킷(39)과 동일 방향으로 회전된다. 더욱이, 모터(42B)의 구동력은 연동 샤프트(40)를 통해 후방의 스프로킷(38), (39)을 구동한다. 따라서, 트레이(28B)는 맞물림 관계에 있는 제2스프로킷(39)에 의해 승강 공간 S를 향해 수평 이동된다.As in FIG. 2, in a state where the
제7도에서와 같이, 트레이(28B)가 격납실 K1과 승강 공간 S 사이의 중간 위치에 다다르면, 제1스프로킷(38)도 체인(35)에 대해 맞물려진다. 따라서 상기 트레이(28B)는 양 제1 및 제2스프로킷(38), (39)에 의해 이동력이 부여된다. 트레이(28B)가 더 좌측으로 이동하면, 제2스프로킷(39)은 트레이(28B)와의 맞물림이 해제되므로, 트레이(28B)는 제1스프로킷(38)의 회전만으로 이동된다. 트레이(28B)가 더 좌측으로 이동해서 제8도에 나타낸 위치에 도달하면 트레이(28B)의 이동이 완료된다.As in FIG. 7, when the
이 상태에서 트레이(28A)를 수평 이동시키기 위한 제1스프로킷(38)은 트레이(28B)의 가이드 프레임(30)상에 위치한다. 그러나, 가이드 프레임(30)상의 좌측단에는 체인(35)이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트레이(28A)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1스프로킷(38)은 체인(35)에 맞물리지 않는다. 이에 대해, 트레이(28A)가 승강 공간 S에 배치된 경우, 트레이(28B)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1스프로킷(38)은 트레이(28A)의 체인(35)에 맞물리지 않는다. 따라서, 한 쌍의 스프로킷(38), (39)은 일방의 트레이(28A 또는 28B)의 이동에만 기여하고, 이동중인 타방의 트레이(28A 또는 28B)에는 간섭하지 않는다.In this state, the
또, 승강 공간 S에 배치된 트레이(28B)를 격납실 K1에 격납하기 위해서는 모터(42B)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된다. 또 모터(42A)를 구동하는 것에 의해 트레이(28A)를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Moreover,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rotate the
다음으로, 리프트(17)의 승강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Next,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제5도에 있어서, 모터(23)에 의해 리프트 체인(26)이 풀어내지거나 끌어 당겨짐에 따라 리프트(17)의 전단측이 적극적으로 승강되려 한다. 이 전단측의 승강 동작에, 가이드 스프로킷(21A), 밸런스 체인(20) 및 가이드 스프로킷(21B)를 통해 리프트(17)의 후단측이 연동해서 승강된다. 따라서, 리프트(17)는, 대략 수평 상태를 유지하면서 승강 프레임(12A-12D)에 안내되어 승강 공간 S내를 승강한다.In FIG. 5, as the
다음으로, 상기 구성을 가지는 입체 주차 장치에 있어서, 자동차 C의 입고 및 출고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Next, in the three-dimensional parking device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receipt and exit operations of the automobile C will be described.
[입고 동작][Wearing action]
먼저, 제1도에서와 같이, 자동차 C를 입체 주차 장치에 입고시키기 위해 리프트(17)를 바닥(32)의 아래쪽에 배치한다. 이 상태에서 자동차 C를 입출고실 F내로 들여보내 바닥면(32)상에서 정지시킨다. 상술한 것과 같이 리프트(17)를 상승시킴으로써, 상기 리프트(17)의 포크(19)와 바닥(32)의 포크가 간섭하는 일없이 바닥(32) 위의 자동차 C가 리프트(17)로 포착된다.First, as shown in FIG. 1, the
그리고, 자동차 C를 실은 리프트(17)를 승강 공간 S내에서 상승시키고, 소정의 격납실 K1이 속하는 층보다 위쪽에서 정지시킨다. 그후, 상술한 것과 같이, 격납실 K1내의 트레이(28A), (28B)를 승강 공간 S로 이동시켜서, 트레이(28A), (28B)의 아래쪽이 리프트(17)와 겹치도록 배치한다.Then, the
이 상태에서 리프트(17)를 하강시켜 상기 리프트(17)의 포크(19)를 트레이(28A), (28B)의 포크(31)에 대해 비접촉 상태로 통과시킴으로서, 리프트(17)에서 트레이(28A), (28B)로 자동차 C를 주고받게 된다. 자동차 C를 받은 트레이(28A), (28B)를 격납실 K1내로 이동시킴에 따라 자동차 C는 소정의 격납실 K1내에 격납된다.In this state, the
[출고 동작][Factory release]
한편, 자동차 C를 입체 주차 장치에서 출고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리프트(17)를 최하층에 배치한 후, 상기 자동차 C가 놓여져 있는 트레이(28A), (28B)를 승강 공간 S로 이동시킨다. 이 상태에서 리프트(17)를 상승시킴으로써, 상기 리프트(17)의 포크(19)가 트레이(28A), (28B)의 포크(31) 사이를 통과해서 상기 트레이(28A), (28B)에서 리프트(17)로 자동차 C를 주고받게 된다. 자동차 C를 실은 리프트(17)를 그 트레이(28A), (28B)보다 상측에서 일단 정지시키고, 트레이(28A), (28B)를 격납실 K1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리프트(17)가 최하층까지 하강하면, 상기 리프트(17)의 포크(19)가 바닥(32)의 포크의 간격을 통과해서 리프트(17)에서 바닥(32)으로 자동차 C를 주고받게 된다. 그리고 자동차 C를 타고 입출고실 F에서 빼냄으로써 출고가 완료된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let the automobile C be released from the three-dimensional parking device, the
이상 상술한 것과 같이, 본실시 형태에서는, 밸런스 체인(20)으로 리프트(17)를 대략 평행하게 유지하면서 리프트(17)의 전단에 고정된 리프트 체인(26)을 끌어당기거나 풀어냄으로써 상기 리프트(17)를 승강시킬 수 있다. 따라서, 모터(23)를, 최상층에서의 자동차의 주고받음에 간섭하지 않는 승강 공간 S의 측면 쪽에 배치할 수 있다. 그 결과, 최상층에 격납되는 자동차 C와 거의 같은 높이까지 모터(23)의 위치를 낮추어도 상기 모터(23)는 최상층의 자동차C에 간섭하지 않는다. 따라서 입체 주차 장치의 전체 높이를 종래에 비해 낮출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또, 이 실시 형태에서는, 하나의 모터(23)로 2개의 리프트 체인(26)을 끌어 당기거나 풀어내고 있다. 따라서 리프트(17)를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 기구를 간소화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그 승강 기구의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two
이 실시 형태에서는, 리프트(17)에 설치되는 포크(19A), (19B)는 프레임(18)의 포크 삽입 홀(18c)에 삽입 고정되어 있다. 이와 관련해서 종래의 리프트에서는 복수의 포크를 부착판에 용접 고정하고, 상기 부착판을 프레임의 측면에 용접 고정했었다. 따라서, 그 프레임은 포크를 한쪽에서만 지지하게 되어, 상기 포크 및 부착판 용접시에 자동차 C의 중량을 견디는 부착 강도를 얻으려면 용접부의 용입을 충분히 수행해야 했다. 그러나,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포크(19A), (19B)의 단부가 강철부재(18b) 및 스토퍼(33)에 용접 고정됨과 동시에 그 포크(19A), (19B)의 중간 위치가 포크 삽입 홀(18c) 내벽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용접 부분에 그만큼의 용입을 수행하지 않아도 소정의 부착 강도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하면, 동일한 용접방법으로도 포크(19A), (19B)의 부착 강도를 종래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이 실시 형태에서는, 포크 프레임(18)내에 스토퍼(33)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프레임(18)내에 포크(19A)가 진입하지 않는 삽통 공간 M을 확보한다. 따라서, 높이가 다른 포크(19A)를 프레임(18)내에 삽입해서 고정할 수 있다. 또, 밸런스 체인(20)을 프레임(18)내의 삽통 공간 M에 끼워져 있으므로, 상기 밸런스 체인(20)을 배치하기 위한 스페이스를 프레임(18) 주위에 확보할 필요가 없어 승강 기구의 스페이스를 줄일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그리고, 종래의 입체 주차 장치에서는 트레이를 수평 이동시키기 위해 제12도에 도시한 기구가 사용된다. 제12도에서와 같이, 승강 공간 S내에서 롤러 프레임(61)은 전후에 복수의 제1가이드 롤러(65)를 구비한다. 격납 공간 K내에서 롤러 프레임(62)은 전후에 복수의 제2 가이드 롤러(66)를 구비한다. 제1 및 제2 가이드 롤러(65), (66)는 체인(68)을 통해 각각 모터(67A), (67B)에 연결되고, 각 가이드 롤러(65), (66)는 각각의 모터(67A), (67B)에 의해 독립적으로 구동된다.In the conventional three-dimensional parking device, the mechanism shown in FIG. 12 is used to horizontally move the tray. As in FIG. 12, in the lifting space S, the
이와 같이 종래의 주차 장치에서는, 각 층에 다수의 모터(67A), (67B)를 배치하고 있었다. 또, 횡행 트레이(63A), (63B)를 격납 공간 K와 승강 공간 S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복수의 모터(67A), (67B)의 온, 오프 및 회전 방향을 각각 제어해야 되므로 그 제어 회로가 복잡해진다.Thus, in the conventional parking apparatus,
그러나, 이 실시 형태에서는, 트레이(28A)를 이동시키기 위한 전후의 제1 및 제2스프로킷(38), (39)을 하나의 모터(42A)로 구동하고, 트레이(28B)를 이동시키기 위한 전후의 제1 및 제2 스프로킷(38), (39)을 하나의 모터(42B)로 구동한다. 따라서, 모터(42A), (42B)의 수를 대폭으로 줄여서 장치 전체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이와 더불어 트레이(28A), (28B)에 관한 모터(42A), (42B)의 제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트레이(28A), (28B)는 전후 양단에서 구동되므로, 그들의 수평 이동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However, in this embodiment, the front and back first and
이 실시 형태에서는, 트레이(28A), (28B)의 체인(35)과 제1 및 제2스프로킷(38), (39)간의 맞물림 관계에 의해 상기 트레이(28A), (28B)를 수평 이동시키고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가이드 롤러(14), (16)는 프리 롤러(free rollers)여도 되며, 그만큼 롤러(14), (16)의 부착에 정밀도는 요구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제1 및 제2 가이드 롤러(14), (16)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도시하지 않음)을 수용하기 위해서 각 롤러 프레임(13), (15)에 설치되는 홀에 대해서도 고정밀도의 가공은 요구되지 않는다. 따라서, 가공에 관한 비용을 대폭으로 절감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이 실시 형태에서는, 모터(42A), (42B)는 브레이크 모터로 종동(從動) 회전이 불가능하다. 트레이(28A), (28B)의 체인(35)은 제1 및 제2스프로킷(38), (39)중 어느 것에 항상 맞물린 상태에 있다. 따라서, 어떠한 이유로 트레이(28A), (28B)에 외력(예를 들어 지진에 의한 흔들림)이 작용한다고 해도 상기 트레이(28A), (28B)의 불필요한 이동을 저지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또, 상기 실시 형태를 다음과 같이 변경할 수도 있다.Moreover, the said embodiment can also be changed as follows.
상기 구동 스프로킷(24)을 각각 별개의 모터로 회전 구동시킬 수도 있다.Each of the
이렇게 하면, 스페이스를 차지하는 카운터 샤프트(22)를 폐지할 수도 있다. 또, 제1 스프로킷(38)과 제2 스프로킷(39)을 다른 모터로 구동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전방의 스프로킷(38), (39)과 후방의 스프로킷(38), (39)을 다른 모터로 구동해도 된다.In this way, the
상기 체인(3)을 래크로 변경하고, 그에 따라 제1 및 제2스프로킷(38), (39)을 상기 래크에 맞물리는 피니언이나 윔 등의 기어로 변경해도 된다.The chain 3 may be changed to a rack, and the first and
상기 체인(35)을 트레이(28A), (28B)의 측면측 또는 이면측에 설치할 수도 있다. 또, 체인(35)을 트레이(28A), (28B)의 한 곳에만 설치할 수도, 3곳 이상에 설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트레이(28A)의 체인(35)의 연장선상에 트레이(28B)의 체인(35)이 존재하지 않도록 양자의 배치 관계를 변경할 수도 있다.The
자동차 C를 주고받을 때, 자동차 C와 함께 트레이(28A), (28B)를 리프트(17)에 실어 각 격납실 K1과 입출고실 F사이를 이동시키도록 구성해도 된다.When the car C is exchanged, the
일방의 격납 공간 K를 생략하고, 승강 공간 S의 일측에만 격납 공간 K를 형성해도 된다. 자동차 C 이외의 격납물을 격납해도 된다.One storage space K may be omitted, and the storage space K may be formed only on one side of the lifting space S. FIG. You may store things other than automobile C.
Claims (18)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8-50196 | 1996-03-07 | ||
JP08050197A JP3103759B2 (en) | 1996-03-07 | 1996-03-07 | Three-dimensional containment tower |
JP05019696A JP3155194B2 (en) | 1996-03-07 | 1996-03-07 | Three-dimensional containment tower |
JP8-050197 | 1996-03-07 | ||
JP8-050196 | 1996-03-07 | ||
JP8-50197 | 1996-03-07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70065929A KR970065929A (en) | 1997-10-13 |
KR100223012B1 true KR100223012B1 (en) | 1999-10-01 |
Family
ID=26390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70007522A KR100223012B1 (en) | 1996-03-07 | 1997-03-06 | Dimensional storage tower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0223012B1 (en) |
TW (1) | TW354348B (en) |
-
1997
- 1997-03-05 TW TW086102650A patent/TW354348B/en active
- 1997-03-06 KR KR1019970007522A patent/KR100223012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70065929A (en) | 1997-10-13 |
TW354348B (en) | 1999-03-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708955B2 (en) | Mechanical parking equipment lift | |
KR100223012B1 (en) | Dimensional storage tower | |
JPH11217950A (en) | Turn table equipment of parking facility | |
JPH0818787B2 (en) | Overhead conveyor | |
JP3103759B2 (en) | Three-dimensional containment tower | |
JP2879191B2 (en) | Traveling trolley for mechanical parking equipment | |
JP3062055B2 (en) | Elevator for elevator-type multi-story parking system | |
JP3155194B2 (en) | Three-dimensional containment tower | |
JPH0447114B2 (en) | ||
JPH1018628A (en) | Feeder bearing device of multistage parking equipment | |
JP2004092354A (en) | Parking apparatus | |
JPH0762407B2 (en) | Multi-level parking device | |
JP2663829B2 (en) | Multi-story parking facilities | |
JP2673282B2 (en) | Elevator parking system | |
JP2956329B2 (en) | Automatic warehouse loading / unloading device | |
JP2002070353A (en) | Transverse drive unit for parking device | |
JP2019090292A (en) | Mechanical parking device replacement method and replacement mechanical parking device | |
JP4329104B2 (en) | Lifting lift structure of parking device | |
JPH08158688A (en) | Storing system | |
JP2959330B2 (en) | Access device | |
JPS6337409Y2 (en) | ||
JP2866787B2 (en) | Storage system | |
JP2972483B2 (en) | Multi-level parking device | |
JPS6114521Y2 (en) | ||
JP2857310B2 (en) | lift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30520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