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217366B1 - 입력 밸런스 제어회로 - Google Patents

입력 밸런스 제어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7366B1
KR100217366B1 KR1019940038103A KR19940038103A KR100217366B1 KR 100217366 B1 KR100217366 B1 KR 100217366B1 KR 1019940038103 A KR1019940038103 A KR 1019940038103A KR 19940038103 A KR19940038103 A KR 19940038103A KR 100217366 B1 KR100217366 B1 KR 1002173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channel
input signal
signal
channel inpu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8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8385A (ko
Inventor
김승호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40038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7366B1/ko
Publication of KR960028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83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73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7366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8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 H04N7/0806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the signals being two or more video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3Generation or supply of power specially adapted for television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one Control, Compression And Expansion, Limiting Amplitude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입력 밸런스 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화면의 종횡비가 다양하게 변화되어도 음성신호의 밸런스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에 따른 입력 밸런스 제어회로는 화면의 종횡비가 변화됨에 대응하여 드레쉬홀드 전압을 각각 변화시킬 수 있는 가변저항을 구비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화면의 종횡비가 다양하게 변화되어도 화면상에 표시되는 영상에 일치하는 음성을 송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입력 밸런스 제어회로
제1도는 종래의 입력 밸런스 제어회로에 대한 구성도.
제2도는 방향성신호들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입력 밸런스 제어회로에 대한 구성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라 음성신호가 밸런스 제어됨을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전압제어 증폭기(VCA) 4 : 프로로직 디코더
6 : 에러증폭부 8 : 리미터
10 : 스위칭부 12 : 루프필터
14 : 인터페이싱부 16,18 : 스위칭 제어신호 발생부
본 발명은 입력 밸런스 제어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면의 종횡비가 다양하게 변화되어도 음성신호의 밸런스를 제어할 수 있는 입력 밸런스 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시청하는 텔레비젼에서 화면의 종횡비(애스펙트비:Aspect Ratio)가 변화하게 되면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과 상기 영상에 일치되어 송출되는 음성이 서로 일치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화면의 종횡비가 변화하게 되면 시청자는 영상과 일치하지 않는 음성을 청취하면서 텔레비젼을 시청하여야 하였다. 현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입력 밸런스 제어회로가 채택되어 이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여기서 입력 밸런스 제어회로란 화면의 종횡비가 변화하여도 영상과 음성을 일치시키기 위해 음성신호의 전압레벨을 변화시키는 회로이다.
제1도는 종래의 입력 밸런스 제어회로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 음성처리를 위해 엔코딩되어 입력되는 2채널의 신호(A,B)는 밸런스 제어된 후 방향성을 갖는 4채널의 신호(L,C,R,S)로서 출력된다.
제1도를 참조하면, 프로로직 디코더(4)는 입력되는 신호(A,B)를 소정 처리한다. 즉, 제1채널신호(A)와 제2채널신호(B) 각각에 소정 전달특성을 가하여 레프트신호(L)와 라이트신호(R)로서 출력하고, 소정 전달특성이 가해진 레프트신호(L)와 라이트신호(R)를 가산하여 센터신호(C)로서 출력하고, 레프트신호(L)와 라이트신호(R)를 감산하여 써라운드신호(S)로서 출력한다. 또한 프로로직 디코더(4)는 통상적인 기준전압(VREF)을 발생하고, 레프트신호(L)와 라이트신호(R)의 전압차를 검출하여 제1차전압(VLR)을 발생하고, 센터신호(C)와 써라운드신호(S)의 전압차를 검출하여 제2차 전압(VCS)을 발생한다.
연산증폭기(OP1)로 구성되는 에러증폭부(6)는 연산증폭기(OP1)의 비반 전단자를 통해 제1차전압(VLR)을 수신하고 연산증폭기(OP1)의 반전단자를 통해 기준전압(VREF)을 수신하여 제1차전압(VLR)과 기준전압(VREF) 차이를 증폭한다. 저항(R1)과 다이오드들(D1, D2)로 구성되는 리미터(8)는 에러증폭부(6)에서 증폭되어 출력되는 제1차전압(VLR)과 기준전압(VREF)간의 차전압을 수신하여 소정 진폭을 갖는 전압으로 출력하는데, 이에 따라 제1채널 신호(A)와 제2채널신호(B)의 최대 동작영역이 설정된다.
프로로직 디코더(4)와 접지단의 사이에 직렬접속된 저항(R4)과 저항(R5) 및 연산증폭기(OP2)로 구성되는 스위칭 제어신호 발생부(16)는 연산증폭기(OP2)의 반전입력단자를 통해 제2차전압(VCS)을 수신하고 연산증폭기(OP2)의 비반전입력단자를 통해 저항(R5)에 의해 분압되는 드레쉬홀드전압(VTH)을 수신한다. 이때 제2차전압(VCS)이 드레쉬홀드전압(VTH)보다 작다면 연산증폭기(OP2)는 아무런 출력신호를 발생하지 않으며, 제2차전압(VCS)이 드레쉬홀드전압(VTH)보다 크다면 스위칭부(10)의 스위칭 동작을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상기에서 제2차전압(VCS)이 드레쉬홀드전압(VTH) 보다 큰 경우는 제1채널신호(A)와 제2채널신호(B)에 실제 음성이 실리는 경우에 해당한다.
스위치( SW)로 구성되는 스위칭부(10)가 스위칭 제어신호 발생부(16)에서 발생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스위칭되면, 리미터(8)와 루프필터(12)가 연결된다. 루프필터(12)는 스위칭부(10)가 스위칭되었을 때 제1채널신호(A)와 제2채널신호(B)의 평균화 시간을 제공하고, 스위칭부(10)가 차단되었을 때 제1채널신호(A)와 제2채널신호(B)의 홀드시간을 제공한다. 버퍼로 구성되는 인터페이싱부(14)는 루프필터(12)의 출력을 수신하여 버퍼링한 후 제어를 위한 전압이득으로 전압제어 증폭기(Voltage Control Amplifier)(2)에 인가한다. 이에 따라 전압제어 증폭기(2)는 제1채널신호(A) 및 제2채널신호(B)의 전압레벨을 가변시켜 프로로직 디코더(4)로 출력한다.
제2도는 프로로직 디코더(4)에서 출력되는 4채널의 방향성신호들(L,C,R,S)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1채널신호(A) 및 제2채널신호(B)가 밸런스 되었다면 제1차전압(VLR)은 기준점(0)에 위치할 것이고, 제1채널신호(A) 및 제2채널신호(B)가 밸런스되지 않았다면 제1차전압(VLR)은 기준점(0)으로부터 벗어나게 될 것이다. 기준점(0)과의 차이는 에러증폭부(6)에서 증폭되고, 리미터(8)에 의해 동작영역이 설정되며, 루프필터(12)에 의해 평균화시간이 제공된다. 이렇게 처리된후 인터페이싱부(14)를 통해 전압제어 증폭기(2)로 인가되면, 제1채널신호(A) 및 제2채널신호(B)의 전압레벨이 제어된다.
상기와 같이 2채널 입력신호(A,B)의 전압레벨이 제어되는 밸런스동작은 드레쉬홀드전압(VTH)의 제어에 의해 스위칭부(10)가 스위칭되는 경우에 수행된다. 그러면 2채널의 입력신호(A,B)는 밸런스 제어된후 방향성을 갖는 4채널의 신호(L,C,R,S)로서 출력되고, 이에 따라 종횡비가 변화한 화면상에는 영상이 표시되고 아울러 영상에 일치하는 음성이 송출된다.
그러나 밸런스동작의 수행을 제어하는 드레쉬홀드전압(VTH)은 기준전압(VREF)과, 저항(R4) 및 저항(R5)에 의해 고정적으로 설정되는 전압이기 때문에 화면의 종횡비를 다양하게 변화시킬 경우에는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고정적으로 설정되는 드레쉬홀드전압(VTH)에 의해 밸런스 동작을 수행하는 밸런스 제어회로는 종횡비를 달리하는 하나의 화면에만 이용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화면의 종횡비가 다양하게 변화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는 입력 밸런스 제어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은 화면의 종횡비가 변화됨에 대응하여 드레쉬홀드 전압을 각각 변화시키는 입력 밸런스 제어회로를 향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입력 밸런스 제어회로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종래의 입력 밸런스 제어회로에서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로서 표시하였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때 종래의 입력 밸런스 제어회로에 대해 본 발명의 입력 밸런스 제어회로가 갖는 차이점은 스위칭 제어신호 발생부(18)이다.
화면의 종횡비를 달리하는 시스템으로 공급되는 즉, 신호의 밸런스 동작이 요구되는 제1채널신호(A)와 제2채널신호(B)가 인가되면, 프로로직 디코더(4)는 제1채널신호(A) 및 제2채널신호(B)를 수신한후 소정 전달특성을 가하여 레프트신호(L), 라이트신호(R), 센터신호(C) 및 써라운드신호(S)로서 출력한다. 또한 프로로직 디코더(4)는 기준전압(VREF), 제1차전압(VLR) 및 제2차전압(VCS)을 발생한다.
에러증폭부(6)는 연산증폭기(OP1)의 비반전단자를 통해 제1차전압(VLR)을 수신하고 연산증폭기(OP1)의 반전단자를 통해 기준전압(VREF)을 수신하여 제1차전압(VLR)과 기준전압(VREF)간의 차전압을 증폭한다. 리미터(8)는 에러증폭부(6)에서 증폭되어 출력되는 제1차전압(VLR)과 기준전압(VREF)간의 차전압을 수신하여 최대 동작영역내의 진폭을 갖는 신호를 출력한다.
스위칭 제어신호 발생부(16)는 연산증폭기(OP2)의 반전입력단자를 통해 제2차전압(VCS)을 수신하고 연산증폭기(OP2)의 비반전입력단자를 통해 가변저항(VR)에 의해 분압되는 드레쉬홀드전압(VTH)을 수신한다. 이때 만일 제1채널신호(A) 및 제2채널신호(B)내에 실제 음성이 실린다면 제2차전압(VCS)이 드레쉬홀드전압(VTH)보다 크게 되므로, 스위칭 제어신호 발생부(16)의 연산증폭기(OP2)는 출력신호를 발생시켜 스위칭부(10)가 스위칭되도록 한다.
스위칭부(10)의 스위치(SW)가 연결되므로, 리미터(8)에서 설정되어 출력되는 제1채널신호(A)와 제2채널신호(B)의 동작영역내의 진폭을 갖는 신호는 루프필터(12)로 인가된다. 루프필터(12)는 스위칭부(10)가 스위칭되는 동안 제1채널신호(A)와 제2채널신호(B)의 동작영역내의 진폭을 갖는 신호를 필터링한후 인터페이싱부(14)로 인가한다. 인터페이싱부(14) 루프필터(12)로부터의 출력신호를 수신하여 버퍼링한후 전압제어 증폭기(2)로 인가한다.
이때 전압제어 증폭기(2)로 인가되는 신호는 전압제어 증폭기(2)의 전압이득을 변화시켜 제1채널신호(A) 및 제2채널신호(B)의 전압레벨을 변화시킨다. 이렇게 변화된 전압레벨을 갖는 제1채널신호(A) 및 제2채널신호(B)는 프로로직 디코더(4)로 다시 인가되며, 프로로직 디코더(4)는 변화된 전압레벨을 갖는 제1채널신호(A) 및 제2채널신호(B)에 전달특성을 가하여 밸런싱 제어된 레프트신호(L), 라이트신호(R), 센터신호(C) 및 써라운드신호(S)를 출력시킨다. 그러면 종횡비를 달리하는 화면상에는 영상신호가 표시되며, 아울러 표시되는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음성신호가 스피커를 통해 송출된다. 이에 따라 시청자는 영상에 일치하는 음성을 청취할 수 있다.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라 음성신호가 밸런스 제어됨을 나타낸 도면으로, 영역(A)에 포함되는 데이터들(2∼6)은 밸런스 제어된 데이터들을 나타내며, 데이터(1) 및 데이터(7)은 밸런스 제어되지 않은 데이터들을 나타낸다. 이때 데이터들(2∼6)은 실제 음성에 대응하는 데이터들로서 밸런스 제어되어 데이터들의 영역이 변화하게 된다. 즉, 종횡비가 변화됨에 대응하여 데이터들의 영역들도 변화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드레쉬홀드 전압을 변화시킬 수 있는 가변저항을 갖는 입력 밸런스 제어회로를 구성함으로써 화면의 종횡비가 다양하게 변화되는 경우에도 화면상에 표시되는 영상에 일치하는 음성을 송출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5)

  1. 2채널 임력신호의 밸런스를 제어회로에 있어서, 제1채널입력신호(A) 및 제2채널입력신호(B)에 전달특성을 가하여 제1채널출력신호(L), 제2채널출력신호(C), 제3채널출력신호(R) 및 제4채널출력신호(S)를 발생하고, 상기 제1채널출력신호(L)와 상기 제3채널출력신호(R)의 차를 갖는 제1차전압(VLR) 및 상기 제2채널출력신호(C)와 상기 제2채널출력신호(S)의 차를 갖는 제2차전압(VCS)을 발생하는 디코딩수단과, 상기 제1차전압(VLR)과 기준전압(VREF)간의 차전압을 증폭하는 에러증폭수단과, 상기 에러증폭수단에서 증폭되어 출력되는 차전압의 진폭을 제한하여 상기 제1채널입력신호(A) 및 상기 제2채널입력신호(B)의 동작영역을 설정하는 리미팅수단과, 상기 기준전압(VREF)을 가변적으로 분압하여 상기 분압된 기준전압(VREF)을 드레쉬홀드전압(VTH)으로 설정하는 드레쉬홀드전압 설정수단과, 상기 제2차전압(VCS)이 상기 드레쉬홀드전압(VTH)보다 큰 경우, 상기 리미팅수단에 의해 설정된 상기 제1채널입력신호(A) 및 상기 제2채널입력신호(B)의 동작영역에 대응하는 전압에 응답하여 상기 제1채널입력신호(A) 및 상기 제2채널입력신호(B)의 전압레벨을 변화시키는 전압레벨을 변화시키는 전압레벨 변화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입력 밸런스 제어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쉬홀드전압 설정수단은, 기준전압(VREF)을 가변적으로 분압하는 가변저항임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밸런스 제어 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차전압(VCS)이 상기 드레쉬홀드전압(VTH)보다 큰 경우, 상기 리미팅수다에 의해 설정된 상기 제1채널입력신호(A) 및 상기 제2채널입력신호(B)의 동작영역에 대응하는 전압을 필터링하는 필터링수단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밸러스 제어회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차전압(VCS)이 상기 드레쉬홀드전압(VTH)보다 큰 경우, 상기 리미팅수단과 상기 필터링수단을 연결하는 스위칭수단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밸런스 제어회로.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레벨 변화수단이, 상기 제1채널 입력신호(A) 및 상기 제2채널입력신호(B)의 동작영역에 대응하는 전압에 응답하여 상기 제1채널입력신호(A) 및 상기 제2채널입력신호(B)의 전압이득을 변화시켜 증폭시킴으로써 상기 제1채널입력신호(A) 및 상기 제2채널입력신호(B)의 전압레벨을 변화시키는 전압제어증폭기임을 특징으로 입력 밸런스 제어회로.
KR1019940038103A 1994-12-28 1994-12-28 입력 밸런스 제어회로 Expired - Fee Related KR1002173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8103A KR100217366B1 (ko) 1994-12-28 1994-12-28 입력 밸런스 제어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8103A KR100217366B1 (ko) 1994-12-28 1994-12-28 입력 밸런스 제어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8385A KR960028385A (ko) 1996-07-22
KR100217366B1 true KR100217366B1 (ko) 1999-09-01

Family

ID=19404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8103A Expired - Fee Related KR100217366B1 (ko) 1994-12-28 1994-12-28 입력 밸런스 제어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736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8385A (ko) 1996-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90065A (en) Relative time delay correction system utilizing window of zero correction
US5742687A (en) Signal processing circuit including a signal combining circuit stereophonic audio reproduction system including the signal processing circuit and an audio-visual reproduction system including the stereophonic audio reproduction system
JPH0720319B2 (ja) センターモードコントロール回路
KR100217366B1 (ko) 입력 밸런스 제어회로
EP0638997B1 (en) Servo circuit
US5151939A (en) Adaptive audio processor for am stereo signals
US4054905A (en) Automatic chrominance gain control system
US4600947A (en) Television sound mute circuit
US4404429A (en) Matching volume control characteristics for two channels
EP0496449A1 (en) Switching bridge amplifier
US4550424A (en) PM Decoder sample and hold circuit
US4827153A (en) Circuit arrangement for optionally connecting signal sources to a signal sink
JP3266203B2 (ja) 自動利得制御回路
US4280101A (en) Stereophonic signal demodulation circuit
US4689506A (en) Control circuit for use with electronic attenuators and method for providing a control signal proportional to absolute temperature
US4392114A (en) Audio device having a tone control cancelling circuit
JPS5873290A (ja) ビデオ信号処理回路
US3133989A (en) Amplifier control circuit
JPS5933977A (ja) 映像混合増幅装置
KR930004589Y1 (ko) 마이컴을 사용하는 오디오 시스템의 스위치회로
KR100238813B1 (ko) 방송용 카메라의 감마 제어회로
JPS6221301B2 (ko)
KR200212467Y1 (ko) 외부기기의 오디오신호 과입력 방지장치_
KR0132822B1 (ko) 중간 주파수 시스템
KR100193595B1 (ko) 위성 방송 데코더 출력 비디오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4122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6122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4122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5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6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906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5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5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5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5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5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5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29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52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00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