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216405B1 - 앵커볼트의 헤드부 가공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앵커볼트의 헤드부 가공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6405B1
KR100216405B1 KR1019960011307A KR19960011307A KR100216405B1 KR 100216405 B1 KR100216405 B1 KR 100216405B1 KR 1019960011307 A KR1019960011307 A KR 1019960011307A KR 19960011307 A KR19960011307 A KR 19960011307A KR 100216405 B1 KR100216405 B1 KR 1002164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die
clamp
punch
anchor bolt
di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1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9189A (ko
Inventor
이선미
Original Assignee
이선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선미 filed Critical 이선미
Priority to KR10199600113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6405B1/ko
Publication of KR9700691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91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64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6405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KMAKING FORGED OR PRESSED METAL PRODUCTS, e.g. HORSE-SHOES, RIVETS, BOLTS OR WHEELS
    • B21K1/00Making machine elements
    • B21K1/74Making machine elements forked members or members with two or more limbs, e.g. U-bolts, anch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ging (AREA)

Abstract

앵커볼트의 헤드부를 단조가공하여 제작성과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한 앵커볼트의 헤드부 가공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앵커볼트를 가공하기 위한 기술은 환본상으로 준비된 재료를 선반등의 절삭기계를 이용하여 절삭가공 하거나, 금형을 이용하여 사출성형 하게됨으로써 생산성 및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는 바,
따라서, 가공하기 위하여 준비된 소재의 일단부를 고정다이로부터 돌출되게 고정시킨 상태에서 소재의 돌출된 단부를 원하는 형상의 성형홈이 구비된 가동다이에 진입도게 한 후 펀치로 강압하여 소재의 단부를 변형시켜 대단부를 형성하게 됨으로써, 제품의 치밀도를 높이고 제작설비를 감축시켜 생산성과 품질을 재고시킬 수 있게 됨을 특징으로 한다.를 포함한 구성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Description

앵커볼트의 헤드부 가공방법 및 그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가공장치와 그 가공과정을 나타낸 구성도로서,
(a)는 가공 준비상태도 이고,
(b)는 가공 진행상태도 이며,
(c)는 가공 완료상태도 이다.
제2도는 일반적인 앵커볼트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 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고정다이 20 : 가동다이
21 : 경사면 22 : 안내홈
30 : 클램프 31 : 중공부
32 : 성형홈 33 : 절개홈
34 : 걸림돌기 40 : 펀치
41 : 환돌부 42 : 탄성스프링
본 발명은 앵커(Anchor)볼트의 헤드부 가공방법 및 그 장치, 더욱 상세하게는 앵커볼트의 헤드부를 타력에 의해 원하는 형상으로 변형되게 단조가공하여 제작성과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한 앵커볼트의 헤드부 가공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 또는 석조물에 비교적 중량이 큰 뭄품을 부착할 때 그 기초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으로 통상적인 앵커볼트를 사용하였으며, 이러한 목적을 갖는 앵커볼트는 제2도 에서와 같이, 구조물에 매립 고정되는 헤드부(1)와 구조물의 외부로 돌출되어 나사등으로 물품을 체결하는 나선부(2)로 되어있다.
상기 헤드부(1)의 대단부(1a)는 나선부(2)에 연결되어 링형상의 정착수단(도시 않음)이 결합되는 소단부(1b)의 외경에 비해 확대되어 있으며, 이때 헤드부(1)의 대단부(1a)를 제작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은 환봉상으로 준비된 재료를 선반등의 절삭기계를 이용하여 절삭가공 하거나, 금형을 이용하여 하게된 방법이 보편화 되었다.
그러나 전자의 절삭가공의 경우에는 고도의 숙련도를 요구하게 되고 제작설비와 가공공정이 번거로워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후자의 사출성형의 경우에는 제품의 경도가 떨어지게 되어 품질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앵커볼트의 제작에 따른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제품의 생산성과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앵커볼트의 헤드부 가공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가공하기 위하여 준비된 소재의 일단부를 고정다이로부터 돌출되게 고정시킨 상태에서 소재의 돌출된 단부를 원하는 형상의 성형홈이 구비된 가동다이에 진입되게 한 후 펀치로 강압하여 소재의 단부를 변형시켜 대단부를 형성하게 됨으로써, 제품의 치밀도를 높이고 제작설비를 감축시켜 생산성과 품질을 제고시킬 수 있게 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앵커볼트의 헤드부 가공방법 및 그 장치를 첨보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가공장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환봉형으로 준비된 소재(100)를 지지하는 고정다이(10)가 설치되고, 이 고정다이에 대응하는 일측에 고정다이로부터 돌출되는 소재(100)의 단부가 소정깊이 만큼 진입되어 이에 형(型) 단조를 하게되는 가동다이(20)가 설치 되어 있다.
가동다이(20)에는, 진입된 소재(100)를 수용하는 중공부(31)와 원하는 형상의 형(型) 단조를 할 수 있게 성형홈(32)이 일체로 형성된 클램프(3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내접되고, 이 클램프의 일측에는 상기 중공부(31) 상에서 슬라이딩되면서 중공부에 진입된 소재(100)의 단부면을 강압하는 펀치(4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클램프(30)에 형성된 중공부(31)의 입구부위(S)는 그 외주면에서 탈착되는 가동다이(20)의 경사면(21)에 의해 내경이 확대 및 축소가능하게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절개부(3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클램프(30)의 외주면에는 가동다이(20)의 내주면에서 슬라이딩 될 때 임의적인 이탈방지와 슬라이딩범위를 제한하는 걸림돌기(34)를 형성하고 이 걸림돌기에 상응하는 가동다이(20)의 내주면에는 안내홈(22)을 각각 형성하였으나, 이 안내홈을 클램프(30)의 외주면에 형성하는 반면 걸림돌기(34)를 가동다이(20)의 내주면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가동다이(20)와 클램프(30)의 중공부에 일체로 관착되어 슬라이딩되는 펀치(40)의 외측에는 그의 강압동작시 행정(行程)을 설정하여 주는 환돌부(41)가 형성되고, 상기 가동다이(20)와 클램프(30)의 사이에 위치되는 펀티(40)의 외주면에는 완충 및 복원작용을 하는 탄성스프링(42)이 개재되어 있다.
한편, 클램프(30)가 내접된 가동다이(20)를 펀치(40)에 의해 일체로 동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동다이(20)와 펀치(40)를 각기 동작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형(型) 단조를 하기위한 소재(100)의 재질은 타력에 의해 변형이 가능한 가단성(可鍛性 : Forgeability)의 금속재질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된 본 발명의 앵커볼트를 가공하기 위한 공정에 있어서, 고정다이(10)에 환봉상으로된 소재(100)를 소정길이 만클 둘출되게 고정시킨다음 이 소재를 향하여 가동다이(20)와 클램프(30) 및 펀치(40)를 일체로 슬라이딩 시킨다(제1도 (a), (b)참조).
위의 작용에 의해 클램프(30)의 중공부(31)에 소재(100)의 돌출부분이 삽입되며, 이때 클램프(30)의 입구부위(S)는 가동다이(20)에 형성된 경사면(21)으로부터 어떠한 구속을 받지않게 되어 입구부위의 내경이 소재(100)의 외경에 여유 있는 크기가 되므로 삽입이 용이하게 된다.
연속적인 동작에 의해 고정다이(10)에 일측단이 이미 접촉되어 있는 클램프(30)를 향해 펀치(40)와 가동다이(20)를 더욱더 슬라이딩시키면, 이 가동다이의 경사면(21)이 클램프(30)의 입구부위(S)를 구속하여 복수의 절개홈(33)을 기점으로 수축시키면서 소재(100)의 외주면과 긴밀하게 밀착된다.
동시에 클램프(30)의 중공부(31)상에서 슬라이딩되는 펀치(40)의 선단부가 동일 중공부(31)에 위치되던 소재의 단부에 순간적으로 충돌되면서 강한 압력으로 타격하게 되므로, 제1도 (c)에서와 같이 소재(100)의 단부가 변형되면서 성형홈(32)에 일치되는 형상으로 단조가공이 완료된다. 이때 펀치(40)의 외측에 형성된 환돌부(41)는 가동다이(20)의 외측면과 접촉되어 펀치(30)가 더 이상 슬라이딩됨을 차단하므로, 소재(100)에 과도하게 충돌될 때 발생될 수 있는 불량 및 균열등의 개연성을 미연에 방지한다.
또한, 상기 펀치(40)의 강압동작시 이에 설치된 탄성스프링(42)은 가동다이(20)와 클램프(30)의 충격을 완화시켜 부품을 보호하는 작용을 하며, 제1도 (a)와 같이 고정다이(10)로부터 가동다이(20)를 분리시킬 때 이에 내접된 클램프(30)를 외향으로 밀어 내는 복귀작용을 겸한다.
그러므로 단조가공이 완료된 후 소재(100)로부터 분리되게 강압동작과 반대로 펀치(40)를 슬라이딩시키면, 가동부재(20)의 경사면(21)이 클램프(30)의 입구부위를 구속하지 않게 되므로, 그 내경이 자유로이 확장될 수 있게되어 단조가공후 확대된 소재(100)의 대단부가 용이하게 클램프(30)의 중공부(31)로부터 이탈된다.
위의 작용에 의해 가동다이(20)는 초기동작으로 복귀하여 연속작업을 위한 준비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가동다이(20)는 내접된클램프(30)의 중공부(31)와 그 성형홈(32)의 칫수를 조정함에 따라, 다양한 규격의 앵커볼트를 제작할 수 있으므로 제작설비를 간단하게 하여 설비비를 절감시킬 수 있는 경제성이 있다.
또한 펀치(40)의 순간적인 타격에 의해 단조성형을 하게됨으로써, 가공방법이 간단하고 대량생산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간단한 설비로 대량생산이 가능하여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경제적인 효과가 있으며, 제품의 품질을 제고시킬 수 있는 점도 있다.

Claims (4)

  1. 환봉형으로된 소재(100)의 단부를 적정길이 만큼 돌출되게 고정다이(10)에 고정하고, 상기 소재(100)의 돌출된 부위를 형(型) 단조가 가능하게 중공부(31)와 성형홈(32)이 형성된 클램프(30)에 진입되게 이 클램프가 내접된 가동다이(20)를 이동시키는 준비단계와, 상기 가동다이(20)를 이동시키는 펀치(40)의 슬라이딩동작에 의해 가동다이(20)의 경사면(21)이 상기 클램프(30)의 입구부위(S)를 구속하여 이에 형성된 절개홈(33)을 기점으로 입구부위의 내경을 축소시키면서 소재(100)를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단계와, 상기 펀치(40)의 연속된 슬라이딩 동작에 의해 이의 선단부가 동일 중공부(31)에 위치되던 소재(100)의 단부를 강압시켜 성형홈(32)의 형상으로 변형되게하여 단조가공을 완료하는 단계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볼트의 헤드부 가공방법.
  2. 소재(100)가 고정된 고정다이(10)에 대응하여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소재(100)의 단부에 원하는 형상의 형(型) 단조를 하게된 가동다이(20)와, 이 가동다이(2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내접되어 소재가 적정길이 만큼 진입되는 중공부(31)와 원하는 형상의 형(型) 단조를 할 수 잇는 성형홈(32)이 일체로 구비되고, 입구부위(S)에 형성된 절개홈(33)에 가동다이(20)의 경사면(21)이 착탈 되는 여부에 의 해 그 내경이 신축되는 클램프(30)와, 상기 가동다이(20)와 클램프(30)를 동시에 관통하여 이의 중공부(3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중공부(31)의 반대측에서 진입된 소재(100)의 단부면을 강압하는 펀치(40)를 포함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볼트의 헤드부 가공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30)의 외주면에 걸리돌기(34)가 형성되고 이에 상응하는 가동다이(20)의 내주면에 안내홈(2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앵커볼트의 헤드부 가공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다이(20)와 클램프(30)의 사이에 위치되는 펀치(40)의 외주면에 완충작용과 복원작용을 동시에 겸하는 탄성스프링(42)이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볼트의 헤드부 가공장치.
KR1019960011307A 1996-04-15 1996-04-15 앵커볼트의 헤드부 가공방법 및 그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2164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1307A KR100216405B1 (ko) 1996-04-15 1996-04-15 앵커볼트의 헤드부 가공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1307A KR100216405B1 (ko) 1996-04-15 1996-04-15 앵커볼트의 헤드부 가공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9189A KR970069189A (ko) 1997-11-07
KR100216405B1 true KR100216405B1 (ko) 1999-08-16

Family

ID=19455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1307A Expired - Fee Related KR100216405B1 (ko) 1996-04-15 1996-04-15 앵커볼트의 헤드부 가공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640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5633B1 (ko) 2012-09-07 2014-08-13 김용운 앵커 볼트 헤드부 성형 장치
KR102278238B1 (ko) * 2020-03-06 2021-07-16 주식회사 대동에스앤티 앵커볼트 슬리브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앵커볼트 슬리브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5633B1 (ko) 2012-09-07 2014-08-13 김용운 앵커 볼트 헤드부 성형 장치
KR102278238B1 (ko) * 2020-03-06 2021-07-16 주식회사 대동에스앤티 앵커볼트 슬리브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앵커볼트 슬리브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9189A (ko) 1997-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7296B1 (ko) 중공품의 압조 방법
IE53254B1 (en) Metal can bodies
KR100216405B1 (ko) 앵커볼트의 헤드부 가공방법 및 그 장치
SU1657050A3 (ru) Инструмент дл формировани пустотелых изделий преимущественно с частично поднутренной поверхностью
US2874460A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shells for spark plugs and the like
SU1421269A3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 коллекторного кольца дл коллектора
JP4826904B2 (ja) 溝付きプラグの製造方法
KR101872936B1 (ko) 스터드 용접 핀의 제조방법
US6751997B1 (en) Stamping press arrangement and method
JP3617038B2 (ja) 溝付きプラグの製造方法
KR200142349Y1 (ko) 프레스 금형장치
JPS6219254B2 (ko)
JP2502953B2 (ja) 両端にフランジ部を有する軸状部品の製造方法
JP2017109269A (ja) パイプ加工装置
KR100216406B1 (ko) 앵커볼트의 헤드부 가공방법 및 그 장치
KR100596661B1 (ko) 다단 캠 다이
CN221559698U (zh) 一种用于套筒螺母的冷镦模具
JP2748111B2 (ja) プログレッシブ・プレス加工用金型
JP3035151U (ja) 中間部に小径軸部を有する棒状部品の圧造成形機
SU1349835A1 (ru) Способ Колесова Ю.Б. выт жки полых изделий из листовой заготовки
JP2000326046A (ja) 軸状部品の成形方法及び成形装置
JPH0790322B2 (ja) 爪付きクラッチ部材の製造方法
JP3188218B2 (ja) アンカー用スリーブ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SU1388145A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 полых изделий с отверстием в донной части
JP4066364B2 (ja) 鍛造用金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04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6041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8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5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905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10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4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1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5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5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52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29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52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00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