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3547B1 - 폐기물의 건류 가스화 소각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폐기물의 건류 가스화 소각 처리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193547B1 KR100193547B1 KR1019950021513A KR19950021513A KR100193547B1 KR 100193547 B1 KR100193547 B1 KR 100193547B1 KR 1019950021513 A KR1019950021513 A KR 1019950021513A KR 19950021513 A KR19950021513 A KR 19950021513A KR 100193547 B1 KR100193547 B1 KR 10019354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mbustion
- temperature
- waste
- ignition
- combustible gas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0—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2—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using devices responsive to thermal changes or to thermal expansion of a medium
- F23N5/022—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using devices responsive to thermal changes or to thermal expansion of a medium using electronic me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02—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 F23G5/027—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pyrolising or gasifying stag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6/00—Waste heat recuper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7/00—Control
- F23G2207/10—Arrangement of sensing devices
- F23G2207/101—Arrangement of sensing devices for temperatur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9/00—Specific waste
- F23G2209/28—Plastics or rubber like materials
- F23G2209/281—Tyr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L—SUPPLYING AIR OR NON-COMBUSTIBLE LIQUIDS OR GASES TO COMBUSTION APPARATUS IN GENERAL ; VALVES OR DAMPER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IR SUPPLY OR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INDUCING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TOPS FOR CHIMNEYS OR VENTILATING SHAFTS; TERMINALS FOR FLUES
- F23L2900/00—Special arrangements for supplying or treating air or oxidant for combustion; Injecting inert gas, water or steam into the combustion chamber
- F23L2900/07006—Control of the oxygen supply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2225/00—Measuring
- F23N2225/08—Measuring temperature
- F23N2225/16—Measuring temperature burner temperatur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2227/00—Ignition or checking
- F23N2227/02—Starting or ignition cycl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2241/00—Applications
- F23N2241/18—Incinerating apparatu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20/00—Combustion technologies with mitigation potential
- Y02E20/34—Indirect CO2mitigation, i.e. by acting on non CO2directly related matters of the process, e.g. pre-heating or heat recov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Incineration Of Waste (AREA)
- Gasification And Melting Of Wast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페타이어 등을 소각 처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 폐기물의 건류(乾溜) 가스화 소각 처리 장치는 폐기물의 일부를 연소시키면서 그 연소열의 해당 폐기물의 미건류부를 건류하여 가연성 가스를 발생시키는 가스화 노와, 폐기물에 착화하는 착화 노즐을 구비하는 제1착화 수단과, 상기 가스화 노로부터 도입되는 가연성 가스를 연소시키는 연소로와, 그 연소로에 도입된 가연성 가스의 연소 온도가 자연연소할 수 있는 연도에 달할 때까지 연소 불꽃을 공급하여 해당 가연성 가스에 착화하는 제2착화 수단과, 연소로내의 가연성 가스의 연소 온도를 검지하는 가스 연소 온도 검지수단과, 연소로내의 가연성 가스의 자연연소가 개시된 후에 가연성 가스의 연소 온도를 거의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상기 가스화 노로의 산소 공급량을 조정하면서, 상기 폐기물의 일부의 연소 및 미건류부의 건류에 필요한 산소를 해당 가스화노에 공급하는 산소 공급수단을 구비하며, 연소로내의 가연성 가스의 연소 온도가 소정시간 내에 자연연소할 수 있는 온도에 달했을 때, 상기 폐기물의 착화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정하며, 해당 착화의 판정이 이루어지지 않을 때에는 상기 착화 노즐로부터 상기 폐기물로의 연소 불꽃의 공급을 다시 행하도록 상기 제1착화 수단을 제어하는 착화 제어수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의 일예인 건류 가스화 소각 처리 장치의 구성도.
제2도는 해당 건류 가스화 소각 처리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선도.
제3도는 해당 건류 가스화 소각 처리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폐기물 1 : 가스화 노(爐)
2 : 연소로 3 : 착화장치(제1착화 수단)
4 : 산소 공급수단 13 : 온도센서(제1화상 온도 검지수단)
14 : (제2화상 온도 검지수단) 26 : 온도센서(가스 연소 온도 검지수단)
28 : 가스 통로 31 : 착화장치(제2착화 수단)
34 : 착화 노즐 37 : 착화 작동 제어장치
본 발명은 페타이어등의 폐기물을 소각 처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폐타이어 등의 폐기물을 소각 처리하는 장치로서는 예를 들어, 본 출원인이 일본 특허 공개 공보 평성 제 2-135280호에 개시한 건류(乾溜) 가스화 소각 처리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상기 건류 가스화 소각 처리장치는 가스화 노내에 수납한 폐기물의 일부를 연소시키면서 그 연소열에 의해 해당 폐기물의 미건류부를 건류(열분해)하고, 최종적으로는 해당 폐기물을 완전연소시켜 재화(災化)하는 한편, 이 때 해당 폐기물의 건류에 의해 생기는 가연성 가스를 가스화 노(爐)로부터 가스 통로를 통하여 연소로에 도입하는 동시에, 해당 연소로에 있어서 해당 가연성 가스와 산소(공기)를 혼합하여 해당 가연성 가스를 질소 산화물등의 발생이 충분히 적어지는 온도로 연소시키도록 하고, 이것에 의해 질소 산화물 등에 의한 환경 오염이 되지 않도록 하여 폐기물을 소각 처리하는 것이다.
상기의 경우, 가스화 노에 있어서의 폐기물의 일부의 연소 및 미건류부의 건류와, 해당 건류에 의해 생기는 가연성 가스의 연소로에 있어서의 연소는 다음과 같이 행해진다.
즉, 폐기물의 일부의 연소 및 미건류부의 건류는 해당 폐기물을 가스화 노내에 수납한 후에, 해당 가스화 노의 측벽 하부에 장착된 착화장치의 착화 노즐로부터 해당 폐기물을 향하여 소정시간 연소불꽃을 공급함으로써 개시된다. 해당 연소 불꽃에 의하면, 먼저 상기 착화 노즐 부근의 폐기물의 일부에 착화되고, 그 후, 상기 폐기물간에 불길이 범짐으로써, 점차로 주변의 폐기물에 연소가 확대되어 해당 연소가 안정된다. 이렇게 하여, 폐기물 일부의 안정된 연소가 개시되면, 그 연소열에 의해 해당 폐기물의 건류가 개시되어 가연성 가스가 발생한다. 그리고, 해당 가연성 가스의 발생량은 폐기물의 건류가 진행됨에 따라 증가되어 간다.
한편, 가스화 노내에서 발생된 가연성 가스는 해당 가스화 노로부터 가스 통로를 통하여 연소로에 도입되고, 또 해당 연소로에 있어서 그 연소에 필요한 산소와 혼합하는 동시에 해당 연소로에 장착한 착화장치에 의해 착화되어 연소된다. 이 때, 해당 연소로에 있어서의 가연성 가스의 연소 온도가 연소로에 설치한 온도 센서에 의해 검지되고, 이 검지되는 가연성 가스의 연소온도는 폐기물로의 착화후에 가스화 노내에서 발생하는 가연성 가스의 양이 증가하여 연소로에 도입되는 가연성 가스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상승되어 간다.
그리고, 온도 센서에 의해 검지되는 가연성 가스의 연소 온도가 상승하여 해당 가연성 가스가 자연연소할 수 있는 온도에 달하면, 해당 착화장치가 정지되는 동시에, 가스화 노에 접속된 산소공급 장치가 온도센서에 의해 검지되는 가연성 가스의 연소 온도를 그 연소에 의한 질소 산화물 등의 발생이 충분히 적은 연소 온도로서 미리 정해진 소정 온도로 거의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가스화 노로의 산소 공급량을 조정하면서, 해당 가스화 노예 폐기물의 일부의 연소 및 미건류부의 건류에 필요한 산소를 공급한다.
이것에 의해, 연소로에 있어서의 가연성 가스의 연소 온도가 질소 산화물 등의 발생이 충분히 적은 연소 온도로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며, 해당 가연성 가스가 환경 오염이 되지 않도록 완전연소된다.
그런데, 가스화 노내에 수납된 폐기물의 일부에 착화함에 있어서는 착화 노즐에 의해서 폐기물을 향하여 소정시간 연소 불꽃을 공급함으로써 행해지고, 해당 착화에 의해 폐기물의 일부의 연소가 안정되면, 상기한 바와 같이 그 연소열에 의해 안정된 건류가 진행되어 재화하는 단계에 이른다. 이 경우, 소각 효율이나 인적 비용 등의 관점에서 착화로부터 재화에 이르기까지의 공정은 자동적으로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러한 건류 가스화 소각 처리장치에 있어서는 가스화 노내로 수납되는 폐기물의 종류나 수납 상태가 다르면, 착화 노즐에 의해서 폐기물에 연소 불꽃이 공급되더라도 해당 폐기물간에서의 불길 번짐이 양호하게 행해지지 않아 연소가 확대되지 않는 경우가 생기며, 이러한 경우에는 해당 폐기물의 연소가 불안정해지고, 소화(消火)되어 상술한 전류의 진행이 정지되어 버린다. 이 때문에, 종래에 있어서는 해당 폐기물의 건류가 진행되는 착화상태인지 아닌지를 작업자가 확인하여 착화 불량인 경우에는 수동으로 착화장치를 재조작하여 폐기물의 재착화를 행하도록 하여 착화로부터 건류 단계를 거쳐서 재화에 이르기까지의 공정의 자동화가 곤란하였다.
또한, 가스화 노내에 온도센서를 설치하여 해당 온도센서에 의해서 폐기물의 착화가 이루어진 온도로서 미리 설정된 온도를 검지함으로써 해당 폐기물의 착화를 확인하는 일이 행해졌다. 그러나, 이러한 온도센서를 설치하더라도 자동화되는 것은 착화의 확인만으로 재착화 동작은 행해지지 않기 때문에, 착화 불량인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수동으로 착화장치를 재조작하지 않으면 안 되는 부적합함이 있었다. 더구나, 가스화 노내의 온도는 해당 가스화 노내에 수납되는 폐기물의 종류나 수납 상태에 따라서는 폐기물의 건류가 진행되는 착화가 이루어지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일시적으로 급상승하는 일이 있고, 상기 온도센서에 의해 해당 급상승한 온도가 검지되면, 착화 확인의 신뢰성에 결여되는 부적합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부적합함은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확실하고 또한 자동적으로 폐기물의 양호한 착화를 행할 수 있도록 하여 폐기물의 착화로부터 건류 단계를 거쳐서 재화에 이르기까지의 공정을 자동화할 수 있는 건류 가스화 소각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폐기물을 수납하는 동시에 해당 폐기물의 일부를 연소시키면서 해당 연소열에 의해 해당 폐기물의 미건류부를 건류하여 가연성 가스를 발생시키는 가스화 노와, 해당 가스화 노의 하부에 설치되고, 해당 폐기물의 일부를 연소시키기 위해서 해당 폐기물을 향하여 소정 시간 연소 불꽃을 공급하여 해당 폐기물에 착화하는 착화 노즐을 구비하는 제1착화 수단과, 상기 가스화 노로부터 가스통로를 통하여 도입되는 가연성 가스를 연소시키는 연소로와, 해당 연소로에 도입된 가연성 가스의 연소 온도가 자연연소할 수 있는 온도에 달할 때까지 해당 가연성 가스를 향하여 연소 불꽃을 공급하여 해당 가연성 가스에 착화하는 제2착화 수단과, 해당 연소로에 있어서의 상기 가연성 가스의 연소 온도를 검지하는 가스 연소 온도 검지수단과, 상기 연소로에 있어서의 가연성 가스의 자연연소가 개시된 후에 상기 가스 연소 온도 검지수단에 의해 검지되는 해당 가연성 가스의 연소 온도를 거의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상기 가스화 노로의 산소 공급량을 조정하면서, 상기 폐기물의 일부의 연소 및 미건류부의 건류에 필요한 산소를 해당 가스화 노에 공급하는 산소공급수단을 구비한 건류 가스화 소각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착화 노즐로부터 상기 폐기물로의 연소 불꽃의 공급이 정지된 후에 상기 가스 연소 온도 검지수단에 의해 검지되는 상기 연소로내의 가연성 가스의 연소 온도가 소정시간내에 자연연소할 수 있는 온도에 달했을 때, 상기 폐기물의 착화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정하며, 해당 착화의 판정이 이루어지지 않을 때에는 상기 착화 노즐로부터 상기 폐기물로의 연소 불꽃의 공급을 다시 행하도록 상기 제1착화 수단을 제어하는 착화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건류 가스화 소각 처리장치에 의하면, 착화 노즐로부터 폐기물로의 연소 불꽃의 공급이 정지된 후, 상기 폐기물의 착화가 양호하면, 그 연소의 확대, 안정화에 수반하여 건류가 진행하여 가연성 가스의 발생량이 증가하므로, 상기 연소로내에서는 제2착화 수단에 의해 연소되는 상기 가연성 가스의 연소 온도가 점차로 상승하고, 일반적으로 일정한 시간내에 자연연소할 수 있는 온도에 달한다. 그래서, 본 발명의 건류 가스화 소각 처리장치는 착화 노즐로부터 폐기물로의 연소 불꽃의 공급이 정지된 후에, 가스 연소 온도 검지수단에 의해 검지되는 상기 연소로내의 가연성 가스의 연소 온도가 소정시간내에 자연연소할 수 있는 온도에 달했는지의 여부에 의해서 해당 폐기물의 건류가 진행되는 착화인지 아닌지의 판정을 행한다. 그리고 상기 가연성 가스의 연소 온도가 소정시간내에 자연연소할 수 있는 온도에 달하지 않은 때는 상기 가스화 노에 있어서 상기 폐기물에 대한 연소 불꽃의 공급이 정지된 후, 해당 폐기물간에 불길 번짐이 양호하게 행해지지 않으며, 연소가 확대, 안정화되어 있지 않은 상태, 즉 착화 불량 때문에 가연성 가스의 발생이 불충분한 것으로서 착화의 판정이 이루어지지 않아 해당 착화 제어수단에 의한 재착화를 행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렇게 하여 착화 제어수단에 의해서 폐기물의 건류가 진행되는 착화인지 아닌지의 확인을 확실하고 또한 자동적으로 행할 수 있으며, 또한, 해당 착화의 판정이 이루어지지 않은 때는 해당 착화 제어수단에 의해서 착화 노즐로부터 폐기물로의 연소 불꽃의 공급이 자동적으로 행해져서 재착화되므로, 폐기물의 착화로부터 재화 종료까지의 공정을 자동적으로 행할 수 있다.
상기 수단에 의하면, 상기 폐기물의 착화가 양호하면 그대로 건류가 진행되므로,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가연성 가스의 연소 온도가 자연연소할 수 있는 온도에 달할 때까지 기다려서 착화의 판정을 행해도 문제는 없지만, 착화 불량인 경우에는 가급적 빠르게 재착화하는 것이 요구된다. 그래서, 본 발명은 또, 상기 착화 제어수단이 상기 가스화 노내의 저부에 상기 폐기물의 화상(火床) 온도를 검지하는 화상 온도 검지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착화 노즐로부터 상기 폐기물로의 연소 불꽃의 공급이 정지된 후, 상기 가스 연소 온도 검지수단에 의해 검지되는 상기 연소로내의 가연성 가스의 연소 온도가 자연연소할 수 있는 온도 까지 도달하는 중에, 해당 화상 온도 검지수단에 의해 검지되는 상기 폐기물의 화상 온도가 미리 정해진 설정 온도에 달하지 않은 때, 상기 착화 노즐로부터 상기 폐기물로의 연소 불꽃의 공급을 다시 행하도록 상기 제1착화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상 온도 검지수단에 의하면, 상기 폐기물의 화상 온도가 직접 검지된다. 그래서, 상기 착화 제어수단은 해당 화상 온도 검지수단에 검지되는 상기 폐기물의 화상 온도가 미리 정해진 설정 온도에 달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해당 폐기물의 착화를 직접 확인하고, 해당 화상 온도 검지수단에 검지되는 상기 폐기물의 화상 온도가 상기 설정 온도에 달하지 않은 때는 연소로내의 가연성 가스의 연소 온도가 자연연소할 수 있는 온도에 도달하기 전이라도 재착화를 행한다. 따라서, 상기 착화 제어수단에 의하면, 연소로내의 가연성 가스의 연소 온도가 자연연소할 수 있는 온도에 달하는 시간까지 기다리지 않고 폐기물의 착화 불량을 검출하여 해당 재착화를 행할 수 있으며, 착화 제어수단에 의한 재착화 시기를 빠르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착화 제어수단은 상기 착화 노즐로부터 상기 폐기물로의 연소 불꽃의 공급이 정지된 후, 상기 가스 연소 온도 검지수단에 의해 검지되는 상기 연소로내의 가연성 가스의 연소 온도가 자연연소할 수 있는 온도까지 도달하는 중에, 상기 화상 온도 검지수단에 의해 검지되는 상기 폐기물의 화상 온도가 상기 설정 온도에 달한 후, 소정 시간 후에 상기 설정 온도에 달하지 않은 때에, 상기 착화 노즐로부터 상기 폐기물로의 연소 불꽃의 공급을 다시 행하도록 상기 제1착화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폐기물은 그 종류나 수납 상태에 따라서 그 화상 온도가 일시적으로 급상승하는 일이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실제로는 건류가 진행되는 착화가 이루어지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화상 온도가 상기 설정 온도에 달하여 착화로 판정된다. 그래서, 상기 착화 제어 수단은 폐기물의 화상 온도가 일단 상기 설정 온도에 달한 후 소정 시간 후에 재검지 하여 상기 화상 온도가 상기 설정 온도에 달하지 않으면, 재착화를 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폐기물의 화상 온도가 일시적으로 급상승할 뿐으로 실제로는 폐기물의 건류가 진행되는 착화가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도 확실하게 착화 불량을 검출할 수 있으며, 착화 확인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화상 온도 검지수단이 상기 착화 노즐에 근접하여 설치되는 제1화상 온도 검지수단과, 해당 제1화상 온도 검지수단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해당 착화 노즐과 이격되어 배치된 제2화상 온도 검지수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착화 제어 수단은 상기 착화 노즐로부터 상기 폐기물로의 연소 불꽃의 공급이 정지된 후, 상기 가스 연소 온도 검지수단에 의해 검지되는 상기 연소로내의 가연성 가스의 연소 온도가 자연연소를 할 수 있는 온도까지 도달하는 중에, 해당 제1화상 온도 검지수단 및 제2화상 온도 검지수단에 의해 검지되는 상기 폐기물의 화상 온도가 미리 정해진 설정 온도에 달하지 않은 때, 상기 착화 노즐로부터 상기 폐기물로의 연소 불꽃의 공급을 다시 행하도록 상기 제1착화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건류 가스화 소각 처리장치에서는 먼저 상기 착화 노즐 부근의 상기 폐기물에 착화하고, 이어서 그 주위의 폐기물에 불길이 번짐으로써, 연소가 확대, 안정화된다. 그래서, 상기 착화 제어수단은 상기 제1화상 온도 검지수단으로 검지되는 상기 착화 노즐 부근의 폐기물의 화상 온도와 상기 제2화상 온도 검지수단으로 검지되는 상기 착화 노즐로부터 분리된 위치의 폐기물의 화상 온도 양자가 상기 설정 온도에 달해 있을 때에 비로소 양호한 착화가 행해진 것으로 판정하고, 상기 양자의 화상 온도가 상기 설정 온도에 달하지 않은 때에는 상기 불길 번짐이 양호하게 행해지지 않으며, 연소가 확대, 안정화되어 있지 않은 상태, 즉 착화 불량 때문에 가연성 가스의 발생이 불충분한 것으로 하여 해당 착화 제어수단에 의한 재착화를 행한다.
따라서, 상기 착화 제어수단에 의하면, 연소로내의 가연성 가스의 연소 온도가 자연연소할 수 있는 온도에 달할 때까지의 시간내에 상기 폐기물간에서의 불길 번짐이 양호하게 행해지지 않았을 경우에는 그 착화 불량을 검출하여 해당 재착화를 행할 수 있으며, 착화확인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때, 상기 착화 제어수단은 상기 착화 노즐로부터 상기 폐기물로의 연소 불꽃 공급이 정지된 후, 상기 가스 연소 온도 검지수단에 의해 검지되는 상기 연소로내의 가연성 가스의 연소 온도가 자연연소할 수 있는 온도까지 도달하는 중에, 제1화상 온도 검지수단에 의해 검지되는 상기 폐기물의 화상 온도가 미리 정해진 설정 온도에 달하지 않은 때, 상기 착화 노즐로부터 상기 폐기물로의 연소 불꽃의 공급을 다시 행하도록 상기 제1착화 수단을 제어하는 동시에, 제1화상 온도 검지수단에 의해 검지되는 상기 폐기물의 화상 온도가 상기 설정 온도에 달한 후, 제2화상 온도 검지수단에 의해 검지되는 상기 폐기물의 화상 온도가 미리 정해진 설정 온도에 달하지 않은 때, 상기 착화 노즐로부터 상기 폐기물로의 연소 불꽃의 공급을 다시 행하도록 상기 제1착화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착화 제어 수단에 의하면, 상기한 바와 같이 먼저, 제1화상 온도 검지수단의 설치 위치부근의 폐기물에 대한 착화가 확실히 행해진 것을 확인하고, 이어서 제2화상 온도 검지수단의 설치 위치부근의 폐기물의 화상 온도를 검지함으로써, 상기 양자의 화상 온도가 상기 설정 온도에 달하고 있는지 아닌 지를 검출할 수 있다.
이 때 또, 상기 착화 제어 수단은 상기 제1화상 온도 검지수단에 의해 검지되는 상기 폐기물의 화상 온도가 상기 설정 온도에 달한 후, 소정시간후에 상기 설정 온도에 달하지 않은 때에, 상기 착화 노즐로부터 상기 폐기물로의 연소 불꽃의 공급을 다시 행하는 동시에, 상기 양 화상 온도 검지수단에 의해 검지되는 상기 폐기물의 화상 온도가 상기 설정 온도에 달한 후, 소정시간후에 해당 제2화상 온도 검지수단에 의해 검지되는 상기 폐기물의 화상 온도가 상기 설정 온도에 달하지 않은 때, 상기 화학 노즐로부터 상기 폐기물로의 연소 불꽃의 공급을 다시 행하도록 상기 제1착화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함으로써, 상기 폐기물이 상기한 바와 같이 그 화상 온도가 일시적으로 급상승하기만 하는 경우에도 확실하게 착화 불량을 검출할 수 있으며, 상기 양 화상 온도 검지수단에 의한 착화확인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가스화 노내에 수납된 폐기물과 상기 착화 노즐의 선단과의 사이에 설치되고, 해당 착화 노즐로부터 공급되는 연소 불꽃이 통과가능한 동시에, 해당 폐기물이 해당 착화 노즐의 선단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염도(炎導) 보호기가 설치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스화 노내에 수납된 폐기물은 착화 노즐의 선단에 압착되면, 연소 불꽃이 해당 착화 노즐로부터 공급되기 어렵다. 그래서, 상기한 바와 같이 염도보호기를 설치함으로써, 해당 착화 노즐의 선단과 폐기물과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고, 해당 공간을 통하여 확실하게 해당 폐기물에 연소 불꽃을 공급시킬 수 있다. 상기 염도보호기는 간편한 구조로 상기의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망형(網刑)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건류 가스화 소각 처리장치의 일예를 제1도-제3도에 의해서 설명한다.
제1도에서 (1)은 페타이어 등의 폐기물(A)를 수납하고, 그 건류·가스화 및 연소·재화를 행하게 하는 가스화 노(爐), (2)는 폐기물(A)의 건류에 의해 생기는 가연성 가스를 연소시키는 연소로, (3)는 폐기물(A)의 일부를 연소시키기 위해서 해당 폐기물(A)을 향하여 소정시간 연소 불꽃을 공급하는 착화장치(제1착화 수단), (4)는 가스화 노(1)에 산소(공기)를 공급하는 산소 공급수단, (5)는 연소로(2)에 산소(공기)를 공급하는 산소 공급수단이다.
가스화 노(1)는 그 상면부에 개폐가 자유로운 투입문(6)을 가진 투입구(7)가 형성되어 있고, 해당 투입구(7)로부터 폐기물(A)이 가스화 노(1)내에 투입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가스화 노(1)는 투입문(6)을 폐쇄한 상태에서는 그 내부가 실질적으로 외부 공기와 차단되도록 되어 있다.
가스화 노(1)의 하부는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원추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저면부(8) 및 경사면형의 측벽부(9)의 외면부에는 각각 가스화 노(1)의 내부와 격리된 빈방(10, 1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빈방(10, 11)은 각각 저면부(8) 및 측벽부(9)에 설치된 급기구(給氣口)(12)를 통하여 가스화 노(1)의 내부로 연통되어 있다. 저부(8)의 내면측(가스화노(1)의 내부측)에는 폐기물(A)의 화상 온도를 검지하는 온도센서(13)(제1화상 온도 검지수단)가 착화장치(3)에 근접하여 설치되고, 또한 온도센서(14) (제2화상 온도 검지수단)가 해당 온도센서(13)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착화장치(3)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가스화 노(1)의 외주부에는 그 냉각 구조로서 해당 가스화 노(1)의 내부와 격리된 워터 재킷(16)이 형성되고, 그 상부에는 워터 재킷(16)내의 수위를 검지하는 수위센서(17)가 설치되어 있다.
제1도중, (18)은 이 워터 재킷(16)에 급수하기 위한 급수 수단이며, 이 급수 수단(18)은 가스화 노(1)의 외부에 설치된 급수장치(19)와, 해당 급수장치(19)와, 해당 급수장치(19)와 워터 재킷(16)을 접속하는 급수관(20)과, 해당 급수관(20)에 설치된 개폐 벨브(21)와, 해당 개폐 벨브(21)를 적당히 개폐하는 개폐 벨브 제어기(22)로 구성되고, 개폐 벨브 제어기(22)에는 수위센서(17)의 검지신호가 입력된다.
이 경우, 개폐 벨브 제어기(22)는 개폐 벨브(21)를 개폐구동하는 모터 등의 구동부(22a)와, 해당 구동부(22a)의 작동을 제어하는 CPU(중앙 처리 장치) 등을 포함하는 제어부(22b)에 의해 구성되며 제어부(22b)는 수위센서(17)의 검지신호에 의해서 구동부(22a)를 작동시킨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급수수단(18)은 개폐 벨브 제어기(22)에 의해 개폐 벨브(21)를 적당히 개방시킴으로써, 급수장치(19)로부터 급수관(20)을 통하여 워터 재킷(16)에 급수하고, 이 때, 개폐 벨브 제어기(22)는 수위센서(17)에 의해 검지되는 수위가 소정 수위가 되도록 개폐 벨브(21)을 개폐한다.
또한, 제1도에서(23)은 가스화 노(1)의 내부에서 온도(T1를 검지하는 온도센서이고, 이 온도센서(23)는 가스화 노(1)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연소로(2)는 폐기물(A)의 건류에 의해 생기는 가연성 가스와 그 완전연소에 필요한 산소(공기)를 혼합하는 버너부(bumer)(24)와, 해당 산소와 혼합된 가연성 가스를 연소시키는 연소부(25)로 구성되고, 연소부(25)는 버너부(24)의 선단부측에서 해당 버너부(24)로 연통되어 있다. 그리고, 연소부(25)에는 가연성 가스의 연소 온도(T2)를 검지하는 온도센서(가스 연소 온도 검지수단)(26)이 설치되어 있다.
버너부(24)의 후단부에는 가스화 노(1)의 상부에 그 내부와 연통해서 설치된 접속부(27)로부터 도출된 가스통로인 가스관(28)이 접속되고, 가스화 노(1)의 내부에서 폐기물(A)의 건류에 의해 생기는 가연성 가스가 가스관(28)을 통하여 버너부(24)의 내부에 도입되도록 되어 있다.
이 버너부(24)의 외주부에는 해당 버너부(24)의 내부와 격리된 빈방(29)이 형성되어 있고, 이 빈방(29)은 버너부(24)의 내주부에 천공된 복수의 노즐구멍(30)을 통하여 버너부(24)의 내부로 연통되어 있다.
또한, 버너부(24)의 후단부에는 그 내부에 도입된 가연성 가스에 착화하기 위한 착화장치(제2착화 수단)(31)가 설치되어 있다. 해당 착화장치(31)는 가스화 노(1)의 외부에 설치된 조연유 등의 연료공급장치(35)에 공급관(32)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착화장치(31)는 연료공급장치(35)로부터 공급관(32)을 통하여 공급되는 연료를 연소시킴으로써, 버너부(24)로부터 연소부(25)를 향하여 연소 불꽃을 생기게 하고, 이 연소 불꽃에 의해 버너부(24)를 통하여 연소부(25)에 도입되는 가연성 가스에 착화되도록 하고 있다.
이 경우, 착화장치(31) 그 착화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31a)를 구비하고 있고, 해당 제어부(31a)에는 상기 온도센서(26)의 검지신호가 입력된다. 그리고, 착화장치(31)의 제어부(31a)는 온도센서(26)에 의해 검지되는 가연성 가스의 연소 온도에 따라서 해당 착화장치(31)의 착화 작동을 적당히 행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연소로(2)에는 그 연소부(25)에 있어서 연소되는 가연성 가스의 연소열을 열원으로 하는 곳으로서, 예를 들어 보일러 장치(33)가 접속되어 있다.
가스화 노(1) 측의 착화장치(3)는 가스화 노(1)내에 수납된 폐기물(A)의 일부에 착화하기 위한 것으로서, 가스화 노(1)의 우측 벽부(9)의 하부에 그 착화 노즐(34)의 선단을 가스화 노(1)내에서부터 수평 횡선방향을 향하여 설치되어 있다. 착화 노즐(34)의 선단을 가스화 노(1)의 저면부(8)에 부착된 온도센서(13)(제1화상 온도 검지수단)에 근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상기 착화장치(3)는 연소로(2)의 착화장치(31)와 같이 연료공급장치(35)에 공급관(36)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착화장치(3)는 연료공급장치(35)로부터 공급관(36)을 통하여 공급되는 연료를 연소시킴으로써, 착화 노즐(34)의 선단에서 가스화 노(1)의 내부를 향하여 연소 불꽃을 생기게 하고, 이 연소 불꽃에 의해 가스화 노(1)내의 폐기물(A)에 착화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착화 노즐(34)의 선단은 해당 착화 노즐(34)로부터의 연소 불꽃이 통과할 수 있는 망형으로 된 염도보호기(34a)에 의해서 씌워져 있고, 이것에 의해 가스화 노(1)내에 수납된 폐기물(A)의 착화 노즐(34)선단으로의 접촉이 방지되며, 해당 폐기물(A)와 착화 노즐(34)과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해당착화 노즐(34)로부터의 연소 불꽃이 해당 폐기물(A)을 향하여 양호하게 공급된다.
또한, 착화장치(3)는 그 착화 작동을 제어하는 착화 작동제어기(37)에 접속되어 있고, 해당 착화 작동제어기(37)에는 상기 온도센서(13,14) 및 온도센서(26)의 검지신호가 입력된다. 해당 착화 작동제어기(37)는 착화장치(3)의 착화 작동을 적당히 행하게 하는 구동부(37a)와, 해당 구동부(37a)의 작동을 제어하는 CPU 등을 포함하는 제어부(37b)에 의해 구성된다. 제어부(37b)는 해당 온도센서(13,14) 및 온도센서(26)의 검지신호에 의해서 구동부(37a)를 작동시킨다. 또한, 제어부(37b)에는 착화장치(3)에 의한 폐기물(A)의 최초의 연소 불꽃의 공급이 정지된 후에 적당히 작동되는 도시생략한 타이머 수단이 내장되어 있다. 해당 타이머 수단을 소정시간 작동시켜 해당 온도센서(13, 14)에 의한 폐기물(A)의 화상 온도의 검지를 계속하여 행함으로써, 폐기물(A)의 연소가 양호하게 행해지고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해당 폐기물(A)의 종류나 수납 상태에 따라서 연소 온도가 일시적으로 급상승한 경우에도 착화 불량이 확실히 검출된다.
산소 공급수단(4)은 가스화 노(1)내에 산소를 공급하는 것으로, 가스화노 (1)의 외부에 설치된 산소 공급팬(38)과, 해당 산소 공급팬(38)으로부터 도출된 주산소 공급관(39)과, 해당 주산소 공급관(39)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가스화 노(1)의 빈방(10, 11)에 각각 접속된 한 쌍의 산소 공급관(40, 41)과, 해당 산소공급관(40, 41)에 각각 설치된 개폐 벨브(42, 43)와, 개폐 벨브(42, 43)를 적당히 개폐하는 개폐 벨브 제어기(44, 45)로 구성되며, 개폐 벨브 제어기(44)에는 온도센서(26)의 검지신호가 입력되고, 개폐 벨브 제어기(45)에는 해당 온도센서(26)와 상기 온도센서(23)와의 양쪽의 검지신호가 입력된다.
이 경우, 개폐 벨브 제어기(44)는 개폐 벨브(42)를 개폐 구동하는 모터 등의 구동부(44a), 해당 구동부(44a)의 작동을 제어하는 CPU 등을 포함하는 제어부(44b)에 의해 구성되며, 제어부(44b)는 온도센서(26)의 검지신호에 따라서 구동부(44a)를 작동시킨다. 이와 동일하게, 개폐 벨브 제어기(45)는 개폐 벨브(43)를 개폐구동하는 구동부(45a)와 해당 구동부(45a)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45b)에 의해 구성되고, 제어부(45b)는 온도센서(23, 26)의 양검지신호에 의해서 구동부(45a)를 작동시킨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산소 공급수단(4)은 폐기물(A) 건류의 진행시에 개폐벨브 제어기(44)에 의해, 개폐 벨브(42)를 개방시킴으로써, 산소 공급팬(38)으로부터 산소공급관(39, 40)을 통하여 가스화 노(1)의 빈방(10)에 산소(공기)를 공급하고, 또, 해당 빈방(10)으로부터 상기 급기구(12)를 통하여 가스화 노(1)의 내부에 산소를 공급하도록 하고 있다. 이 때, 개폐 벨브 제어기(44)는 온도센서(26)에 의해 검지되는 가연성 가스의 연소 온도에 의해서 개폐 벨브(42)의 개방정도를 조정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산소 공급수단(4)은 폐기물(A)의 건류의 종료단계에 있어서, 개폐벨브(42)가 개방되는 것과 병행하여, 개폐 벨브 제어기(45)에 의해 개폐 벨브(43)도 열고, 산소 공급팬(38)으로부터 산소 공급관(39, 41)을 통하여 가스화 노(1)의 빈방(11)에 산소(공기)를 공급하고, 또 해당 빈방(11)으로부터 상기 급기구(12)를 통하여 가스화 노(1)의 내부에 산소를 공급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이 때, 개폐 벨브 제어기(45)는 온도센서(23)에 의해 검지되는 가스화 노(1)내의 온도와, 온도센서(26)에 의해 검지되는 가연성 가스의 연소 온도를 기초로 소정 타이밍으로 개폐 벨브(43)를 개방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산소 공급수단(5)은 연소로(2)에 산소를 공급하는 것으로, 상기 산소 공급팬(38) 및 주산소 공급관(39)과, 해당 주산소 공급관(39)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연소(22)로 빈방(29)에 접속된 한 쌍의 산소 공급관(46, 47)과, 해당 산소 공급관(46, 47)에 각각 설치된 개폐 벨브(48, 49)와, 개폐 벨브(48)를 적당히 개폐하는 개폐 벨브 제어기(50)로 구성되며, 개폐 벨브 제어기(50)에는 상기 온도센서(26)의 검지신호가 입력된다.
이 경우, 개폐 벨브 제어기(50)는 상기 개폐 벨브 제어기(44, 45)와 같이 개폐 벨브(48)를 개폐구동하는 구동부(50a)와, 해당 구동부(50a)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50b) 에 의해 구성되며, 제어부(50b)는 온도센서(26)의 검지신호에 의해서 구동부(50a)를 작동시킨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산소 공급수단(5)은 개폐 벨브 제어기(50)에 의해 적당히 개폐 벨브(48)을 개방함으로써, 산소 공급팬(38)으로부터 산소 공급관(39, 46)을 통하여 연소로(2)의 빈방(29)에 산소(공기)를 공급하고, 또, 해당 빈방(29)으로부터 상기 노즐구멍(30)을 통하여 연소로(2)의 버너부(24)에 산소를 공급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이 때, 개폐 벨브 제어기(50)는 온도센서(26)에 의해 검지되는 가연성 가스의 연소 온도에 의해서 개폐 벨브(48)를 개방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이 경우, 개폐 벨브(49)는 수동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해당 개폐 벨브(49)를 수동으로 적당히 개폐함에 따라서도 산소 공급팬(38)으로부터 버너부(24)로의 산소 공급량을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이러한 건류 가스화 소각 처리장치에 있어서 폐기물의 착화로부터 재화까지의 공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에 있어서, 폐기물(A)를 소각 처리할 때에는 먼저, 가스화 노(1)의 투입문(6)이 열려 폐기물(A)이 가스화 노(1)에 투입된다.
이어서, 투입문(6)을 폐쇄한 후에, 상기 착화장치(3)가 소정시간 작동되고, 이것에 의해, 착화 노즐(34)로부터 가스화 노(1) 내의 폐기물(A)을 향하여 연소 불꽃이 공급되어 폐기물(A)의 일부분에 착화되어 해당 폐기물(A)의 부분적 연소가 개시된다.
상기 부분적 연소가 개시되면, 가스화 노(1)내의 폐기물(A)은 그 하층부 가스화 노(1)내에 존재하고 있는 산소와 산소 공급팬(38)으로부터 공급되는 소량의 산소를 소비하면서 온도센서(13)의 설치 위치로부터 온도센서(14)의 설치 위치를 향하여 서서히 연소가 확대되어 가고, 그 연소열에 의해 해당 폐기물(A)의 상층부가 건류를 개시하는 동시에, 그 건류에 의해 가연성 가스가 발생되기 시작하고, 이 가연성 가스는 가스화 노(1)내에서 가스관(28)을 통하여 연소로(2)의 버너부(24)에 도입된다.
버너부(24)에 도입된 가연성 가스는 연소로(2) 내에 존재하고 있는 산소(공기)와 혼합하여 상기 착화 장치(31)에 의해 착화되고, 이것에 의해, 해당 가연성 가스가 연소로(2)의 연소부(25)에 있어서 연소하기 시작한다.
이 때, 폐기물(A)의 하층부의 연소는 산소 공급팬(38)으로부터 공급되고 있는 소량의 산소를 소비하면서, 그 범위가 온도센서(13)의 설치 위치 부근에서 방사형으로 그 주변에(그 중앙부에서는 온도센서(14)의 설치 위치 방향을 향하여) 서서히 확대되어 가는 동시에 서서히 안정화되어 간다. 그리고, 이와 같이 폐기물(A)의 하층부의 연소가 안정화되어 감에 따라서, 그 연소열에 의한 폐기물(A)의 건류도 진행하여 해당 건류에 의해 생기는 가연성 가스의 양도 증대되어 간다. 이 때문에, 연소로(2)에 도입되는 가연성 가스의 양도 증대되어 가며, 이것에 의해,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소로(2)에 있어서의 가연성 가스의 연소 온도(T2)도 상승되어 간다.
그리고, 이 때, 가연성 가스의 연소 온도(T2)는 상기 온도센서(26)에 의해 검지되고, 이 온도센서(26)에 의해 검지된 가연성 가스의 연소 온도(T2)가 미리 정해진 소정 온도(T2a)에 달하면, 가연성 가스가 자연연소할 수 있는 온도에 달한 것으로 판정되어 제어부(31a)의 제어에 의해 연소로(2)의 착화장치(31)가 정지된다. 그러면, 연소 온도 (T2)는 일단 하강하지만, 그 후, 해당 가연성 가스의 자연연소에 의해 연소 온도(T2)가 급상승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해당 가연성 가스가 자연연소하기 시작하면, 개폐 벨브 제어기(44)가 가연성 가스의 연소 온도(T2)를 그 연소에 의한 질소 산화물등의 발생이 적은 것이 되는 연소 온도로서 미리 설정된 온도 (T2B)(제2도 참조)로 유지하도록 개폐 벨브(42)의 개방도의 자동적 조정을 개시한다.
이것에 의해,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연성 가스의 연소 온도(T2)는 온도(T2b)로 거의 유지되고, 이 상태에서 폐기물(A)의 연소 및 건류가 안정되게 진행된다.
또한, 이러한 가스화 노(1)에 있어서의 폐기물(A)의 건류시에는 상기 온도센서(23)에 의해 검지되는 가스화 노(1)내의 온도(T1)는 통상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화한다.
즉, 가스화 노(1)내의 온도(T1)는 폐기물(A)의 건류의 초기단계에 있어서는 해당 폐기물(A)의 하층부의 연소의 개시에 따라 상승하고, 이어서, 폐기물(A)의 건류가 안정되게 진행하게 되면, 폐기물(A)의 하층부의 연소의 진행에 따라 다시 상승한다.
한편, 연소로(2)에 있어서의 가연성 가스의 연소에는 산소가 필요하지만, 상기 연소에 필요한 산소는 다음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온도센서(26)에 의해 검지되는 가연성 가스의 연소 온도(T2)에 의해서 산소 공급수단(5)에 의해 공급된다.
즉, 산소 공급수단(5)의 개폐 벨브 제어기(50) 온도센서(26)에 의해 검지되는 가연성 가스의 연소 온도(T2)에 따라서 개폐 벨브(48)를 적당한 개방도로 열고, 이것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산소 공급팬(38)으로부터 산소 공급관 (39, 40) 엿소로 (2)의 빈방(29) 및 노즐구멍(30)을 통하여 연소로(2)의 버너부(24)에 산소를 공급하고, 연소로(2)에 도입되는 가연성 가스와, 그 완전연소에 필요한 산소를 버너부(24)에 있어서 혼합시킨다.
그런데, 이러한 폐기물(A)의 건류시에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화 노(1)의 내부에는 그 하부측에서 상부측에 걸쳐서 순서대로 재화층(a), 적열층(b), 유동화층(c), 전열층(d) 및 가스층(e)이 형성되고, 이들의 각 층(a-e)중, 폐기물(A)의 연소의 완료에 의해 생기는 재화층(a)은 폐기물(A)의 부분적 연소가 진행됨에 따라서 증대하며, 이것과 함께 폐기물(A)의 연소가 행해지고 있는 적열층(b)은 하층부에서 상층부를 향하여 서서히 상승·이행해 간다. 또한, 이러한 재화층(a)의 증대 및 적열층(b)의 상승에 따라 폐기물(A)의 건류가 진행하는 유동화층(c), 전열층(d) 및 가스층(e)은 감소하고, 바꾸어 말하면, 건류할 수 있는 폐기믈(A)의 양이 감소되어 간다.
그리고, 이와 같이 건류할 수 있는 폐기물(A)의 양이 감소되어 가면, 산소공급수단(4)에 의한 가스화 노(1)로의 산소 공급에 관계없이 연소로(2)에 있어서의 가연성 가스의 연소 온도(T2)를 거의 일정한 온도 (T2b)로 유지할 수 있는 양의 가연성 가스를 발생시킬 수 없게 되고, 이 때문에, 연소로 2에 도입되는 가연성 가스의 양은 최종적으로는 감소되고, 해당 가연성 가스의 연소 온도 T2도 최종적으로는 하강된다(도시생략).
또한, 이와 같이 가연성 가스의 연소 온도(T2)가 하강되어 갈 때에는 폐기물(A)의 재화층(a)을 제외하는 부분에 차지하는 적열층(b)이 증가하는 동시에, 그 연소열이 폐기물(A)의 건류에 의해 흡수되는 양도 감소되므로, 가스화 노(1)내의 심지어 온도(T1)는 통상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 급상승한다. 그러나, 온도 (T1)는 얼마 안 있어 폐기물(A)의 연소·재화의 진행에 따라 하강되어 간다(도시생략). 그리고, 이와 같이 폐기물(A)이 최종적인 재화가 진행하는 단계, 즉, 폐기물(A)의 건류의 종료 단계에서는 해당 폐기물(A)이 완전히 연소되어 재화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폐기물(A)의 착화로부터 안정된 건류 단계를 거쳐서 재화에 이르기까지의 공정이 양호하게 진행되기 위해서는 착화장치(3)에 의한 폐기물(A)로의 착화가 해당 폐기물(A)사이에서 연소가 확대되고, 안정화되어 폐기물(A)의 건류가 안정되게 진행되는 착화인 것이 필요하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다음과 같이하여 해당 폐기물(A)의 건류가 진행되는 착화인지 아닌지를 판정하여 폐기물(A)의 건류가 진행되는 착화가 아닌 경우에는 착화 노즐(34)로부터 폐기물(A)을 향하여 다시 연소 불꽃을 공급하도록 하고, 이것에 의해 확실하고 또한 자동적으로 폐기물(A)이 양호한 착화를 행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폐기물(A)의 착화로부터 재화에 이르기까지의 자동화를 도모하고 있다. 여기서, 제2도에 있어서 온도 (T3,T4)는 각각 폐기물(A)의 착화로부터 재화에 이르기까지의 공정이 양호하게 진행된 경우에, 온도센서(13, 14)에 의해서 검지되는 폐기물(A)의 화상 온도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고, 제2도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화상 온도 (T3,T4)는 시간의 경과와 함께 거의 동일하게 추이된다. 또한, 제3도는 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제1도-제3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착화장치(3)의 착화 노즐(34)로부터 폐기물(A)로의 연소 불꽃의 공급이 정지된 후에, 먼저 착화 노즐(34)에 근접하는 측의 온도센서(13)에 의해 폐기물(A)의 화상 온도(T3)가 검지되고, 화상 온도(T3)가 미리 정해진 폐기물(A)의 건류가 진행되는 온도(T3)에 달하고 있지 않을 때는 폐기물(A)의 착화 불량으로서 제어부(37b)에 의해서 구동부(37a)가 작동되고, 해당 구동부(37a)의 작동에 의해서 착화장치(3)의 착화 노즐(34)로부터 폐기물(A)로의 연소 불꽃의 공급이 다시 행해진다.
폐기물(A)의 화상 온도(T3)가 상기 온도(T3)에 달하고 있을 때는 착화 작동제어기(37)의 타이머 수단이 소정시간(t1) 작동된다. 그리고, 화상 온도(T3)가 소정시간(t1) 경과후에 있어서 온도(T3)보다 하강한 경우에는 착화 불량으로서 제어부(37b)에 의해서 구동부(37a)가 작동되고, 해당 구동부(37a)의 작동에 의해서 착화장치(3)의 착화 노즐(34)로부터 폐기물(A)로의 연소 불꽃의 공급이 다시 행해진다. 반대로 화상 온도(T3)가 온도(T3a) 이상으로 상승하고 있는 경우에는 착화 노즐(34) 부근의 폐기물(A)에는 양호한 착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서 제어부(37b)에 의한 구동부(37a)의 작동은 행해지지 않는다.
소정시간(t1) 경과후에 화상 온도(T3)가 온도(T3a) 이상으로 상승하고 있는 것이 확인된 경우에는, 다음에 온도센서(13)로부터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온도센서(14)에 의해 폐기물(A)의 화상 온도 (T4)가 검지되고, 화상 온도(T4)가 미리 정해진 폐기물(A)의 건류가 진행되는 온도(T4)에 달하지 않은 때에는 착화 노즐(34)부근에서 주변의 폐기물(A)에 불길이 번지지 않은 착화 불량으로서 제어부(37b)에 의해서 구동부(37a)가 작동되고, 해당 구동부(37a)의 작동에 의해서 착화장치(3)의 착화 노즐(34)로부터 폐기물(A)로의 연소 불꽃의 공급이 다시 행해진다.
폐기물(A)의 화상 온도(T4)가 해당 온도(T4a)에 달하고 있을 때에는 착화 작동제어기(37)의 타이머 수단이 소정시간(t2) 작동된다. 그리고, 화상 온도(T4)가 소정시간(t2) 경과후에 있어서 해당 온도(T4a)보다 하강한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온도센서(13)에 의해서 검지되는 폐기물(A)의 화상 온도(T3)가 온도(T3a) 이상으로 상승하고 있더라도 연소가 착화 노즐(34) 부근으로부터 주변의 폐기물(A)로 확대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간주되어 제어부(37b)에 의해서 구동부(37a)가 작동되고, 해당 구동부(37a)의 작동에 의해서 착화장치(3)의 착화 노즐(34)로부터 폐기물(A)로의 연소 불꽃의 공급이 다시 행해진다. 반대로 화상 온도(T4)가 온도(T4a) 이상으로 상승하고 있는 경우에는 온도센서(13)의 설치 위치로부터 온도센서(14)의 설치 위치까지 연소가 양호하게 확대하고 있는 것으로 간주되어 제어부(37b)에 의한 구동부(37a)의 작동은 행해지지 않는다.
또한, 화상 온도(T4)가 소정시간(t2) 경과시에 온도(T4)보다 상승하고 있고, 폐기물(A)의 연소가 양호하게 확대하고 있다고 판정된 시점에서 타이머 수단이 소정시간(t3) 작동된다. 해당 소정시간(t3) 후에 온도센서(26)에 의해 검지되는 연소로(2)내의 가연성 가스의 연소 온도(T2)가 자연연소할 수 있는 온도(T2a)보다 하강한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온도센서(13, 14)에 의해서 검지되는 폐기물(A)의 화상 온도(T3,T4a)가 함께 (T3a,T4a) 이상으로 상승하고 있더라도 불길이 번진 후에 소화된 것으로 간주되어 제어부(37b)에 의해서 구동부(37a)가 작동되고, 해당 구동부(37a)의 작동에 의해서 착화장치(3)의 착화 노즐(34)로부터 폐기물(A)로의 연소 불꽃의 공급이 다시 행해진다.
반대로, 소정시간(t3) 후에 연소 온도(T2)가 온도(T2)에 달해 있을 때에는 확실하게 폐기물(A)의 건류가 진행되도록 착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간주되어 제어부(37b)에 의한 구동부(37a)의 작동은 행해지지 않는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온도센서(13, 14)에 의해서 폐기물(A)의 화상 온도(T3,T4)가 소정 온도 (T3a,T4a) 이상으로 상승하고 있는 것이 검지된 후, 각각 타이머 수단을 소정시간 작동시킨 후, 다시 화상 온도 (T3,T4a)가 소정 온도 (T3a,T4a) 이상으로 상승하고 있음을 확인하도록 하고 있지만, 해당 타이머 수단을 이용하지 않고, 해당 확인을 행하지 않아도 좋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착화장치(3)에 근접하여 온도센서(13)를 설치하는 동시에 해당 온도센서(13)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착화장치(3)로부터 이간하여 온도센서(14)를 설치하도록 하고 있지만, 상기 온도센서는 하나라도 무방하며, 설치 위치도 상기 온도센서(13, 14)의 설치 위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온도센서(13, 14)를 양쪽 모두 설치하지 않고 온도센서(26)에 의해 검지되는 연소로(2)내의 가연성 가스의 연소 온도(T2)가 소정시간(t3)내에 자연연수 할 수 있는 온도(T2a)에 달하는지 아닌지에 의해 판정하도록 해도 좋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폐기물(A)의 건류가 진행되는 착화가 이루어지고 있는지 아닌지의 최종적인 판정을 온도센서(26)에 의해 검지되는 연소로(2)내의 가연성 가스의 연소 온도(T2)가 소정시간(t3)내에 자연연소할 수 있는 온도(T2a)에 달한 시점에서 행하고 있지만, 그 이전에 예를 들어 소정시간(t2) 내라도 상기 연소 온도(T2)가 자연연소할 수 있는 온도(T2a) 이상으로 달하고 있음이 계속하여 검지된 경우에는 해당 판정을 행하도록 해도 좋다.
Claims (8)
- 페기물을 수납하는 동시에, 해당 폐기물의 일부를 연소시키면서 해당 연소열에 의해 해당 폐기물의 미건류부를 건류하여 가연성 가스를 생기게 하는 가스화 노(爐)와, 해당 가스화 노의 하부에 설치되고, 해당 폐기물의 일부를 연소시키기 위해서 해당 폐기물을 향하여 소정 시간 연소불꽃을 공급하여 해당 폐기물에 착화하는 착화 노즐을 갖는 제1착화 수단과, 상기 가스화 노로부터 가스 통로를 통하여 도입되는 가연성 가스를 연소시키는 연소로와, 해당 연소로에 도입된 가연성 가스의 연소 온도가 자연연소할 수 있는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해당 가연성 가스를 향하여 연소불꽃을 공급하여 해당 가연성 가스에 착화하는 제2착화 수단과, 해당 연소로에 있어서의 상기 가연성 가스의 연소 온도를 검지하는 가스 연소 온도 검지 수단과, 상기 연소로에 있어서의 가연성 가스의 자연연소가 개시된 후에 상기 가스 연소 온도 검지수단에 의해 검지되는 해당 가연성 가스의 연소 온도를 거의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상기 가스화 노로의 산소 공급량을 조정하면서 상기 폐기물의 일부의 연소 및 미건류부의 건류에 필요한 산소를 해당 가스화 노예 공급하는 산소 공급 수단을 구비한 건류가스화 소각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착화 노즐로부터 상기 폐기물로의 연소불꽃의 공급이 정지된 후에 상기 가스 연소 온도 검지수단에 의해 검지되는 상기 연소로내의 가연성 가스의 연소 온도가 소정시간내에 자연연소할 수 있는 온도에 도달했을 때, 상기 폐기물의 착화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정하고, 해당 착화의 판정이 이루어지지 않았을 때는 상기 착화 노즐로부터 상기 폐기물로의 연소불꽃의 공급을 다시 행하도록 상기 제1착화 수단을 제어하는 착화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류 가스화 소각 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화 제어 수단은 상기 가스화 노내의 바닥 부분에 상기 폐기물의 화상(火床) 온도를 검지하는 화상 온도 검지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착화 노즐로부터 상기 폐기물로의 연소불꽃의 공급이 정지된 후, 상기 가스 연소 온도 검지수단에 의해 검지되는 상기 연소로내의 가연성 가스의 연소 온도가 자연연소할 수 있는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의 동안에, 해당 화상온도 검지수단에 의해 검지되는 상기 폐기물의 화상 온도가 미리 정해진 설정 온도에 도달하지 않은 때, 상기 착화 노즐로부터 상기 폐기물로의 연소불꽃의 공급을 다시 행하도록 상기 제1착화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류 가스화 소각 처리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착화 제어수단은 상기 착화 노즐로부터 상기 폐기물로의 연소불꽃의 공급이 정지된 후, 상기 가스 연소 온도 검지수단에 의해 검지되는 상기 연소로내의 가연성 가스의 연소 온도가 자연연소할 수 있는 온도까지 도달하는 중에, 상기 화상 온도 검지수단에 의해 검지되는 상기 폐기물의 화상 온도가 상기 설정 온도에 도달한 후, 소정시간후에는 상기 설정 온도 이하일 때, 상기 착화 노즐로부터 상기 폐기물로의 연소불꽃의 공급을 다시 행하도록 상기 제1착화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류 가스화 소각 처리장치.
- 상기 화상 온도 검지수단이 상기 착화 노즐에 근접하여 설치되는 제1화상 온도 검지수단과, 해당 제1화상 온도 검지수단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해당 착화 노즐과 이격 배치된 제2화상 온도 검지수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착화 제어수단은 상기 착화 노즐로부터 상기 폐기물로의 연소불꽃의 공급이 정지된 후, 상기 가스 연소 온도 검지수단에 의해 검지되는 상기 연소로내의 가연성 가스의 연소 온도가 자연연소할 수 있는 온도까지 도달하는 중에, 해당 제1화상 온도 검지수단 및 제2화상 온도 검지수단에 의해 검지되는 상기 폐기물의 화상 온도가 미리 정해진 설정 온도에 도달하지 않은 때, 상기 착화 노즐로부터 상기 폐기물로의 연소불꽃의 공급을 다시 행하도록 상기 제1착화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류 가스화 소각 처리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착화 제어수단은 상기 착화 노즐로부터 상기 폐기물로의 연소불꽃의 공급이 정지된 후, 상기 가스 연소 온도 검지수단에 의해 검지되는 상기 연소로내의 가연성 가스의 연소 온도가 자연연소할 수 있는 온도까지 도달하는 중에, 제1화상 온도 검지수단에 의해 검지되는 상기 폐기물의 화상 온도가 미리 정해진 설정 온도에 도달하지 않은 때, 상기 착화 노즐로부터 상기 폐기물로의 연소불꽃의 공급을 다시 행하도록 상기 제1착화 수단을 제어하는 동시에, 제1화상 온도 검지수단에 의해 검지되는 상기 폐기물의 화상 온도가 상기 설정 온도에 도달한 후, 제2화상 온도 검지수단에 의해 검지되는 상기 폐기물의 화상 온도가 미리 정해진 설정 온도에 도달하지 않은 때, 상기 착화 노즐로부터 상기 폐기물로의 연소불꽃의 공급을 다시 행하도록 상기 제1착화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류 가스화 소각 처리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착화 제어수단은 상기 제1화상 온도 검지수단에 의해 검지되는 상기 폐기물의 화상 온도가 상기 설정 온도에 도달한 후, 소정시간후에 상기 설정 온도에 도달하지 않은 때, 상기 착화 노즐로부터 상기 폐기물로의 연소불꽃의 공급을 다시 행하는 동시에, 상기 양 화상 온도 검지수단에 의해 검지되는 상기 폐기물의 화상 온도가 상기 설정 온도에 도달한 후, 소정시간후에 해당 제2화상 온도 검지수단에 의해 검지되는 상기 폐기물의 화상 온도가 상기 설정 온도에 도달하지 않은 때, 상기 착화 노즐로부터 상기 폐기물로의 연소불꽃의 공급을 다시 행하도록 상기 제1착화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류 가스화 소각 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화 노내에 수납된 폐기물과 상기 착화 노즐의 선단 사이에 설치되고, 해당 착화 노즐로부터 공급되는 연소불꽃이 통과할 수 있는 동시에, 해당 폐기물이 해당 착화 노즐의 선단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염도(炎導) 보호기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류 가스화 소각 처리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염도보호기는 망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류 가스화 소각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17245594 | 1994-07-25 | ||
JP94-172455 | 1994-07-25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193547B1 true KR100193547B1 (ko) | 1999-06-15 |
Family
ID=15942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50021513A KR100193547B1 (ko) | 1994-07-25 | 1995-07-21 | 폐기물의 건류 가스화 소각 처리 장치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5653180A (ko) |
KR (1) | KR100193547B1 (ko) |
CN (1) | CN1091502C (ko) |
TW (1) | TW315403B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35179B1 (ko) * | 2015-04-03 | 2017-05-12 | 김영덕 | 착화감지 및 역화감지 기능이 구비된 고압세척기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AU9248798A (en) * | 1997-09-29 | 1999-04-23 | Thermex Energy Recovery Corp. | Continuous recovery of combustible gases from tires |
CN1219172C (zh) * | 2000-08-11 | 2005-09-14 | 株式会社金正产业 | 废弃物的焚烧处理方法 |
US20070251436A1 (en) * | 2006-04-28 | 2007-11-01 | Harris Beausoleil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version of animal litter biomass into useful energy |
CA2566822C (en) * | 2006-11-02 | 2014-06-03 | Innovation F.D.G. Inc. | A renewable fuel source burner for a furnace |
JP2011208921A (ja) * | 2010-03-30 | 2011-10-20 | Yamatake Corp | 燃焼制御装置 |
JP5508918B2 (ja) * | 2010-03-30 | 2014-06-04 | アズビル株式会社 | 燃焼制御装置 |
JP5762713B2 (ja) * | 2010-10-04 | 2015-08-12 | 株式会社キンセイ産業 | 乾溜ガス化焼却処理装置 |
JP6066809B2 (ja) | 2013-04-10 | 2017-01-25 | 三菱重工環境・化学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 バイオマス熱分解装置、及び発電システム |
CN105972602B (zh) * | 2016-05-24 | 2018-10-02 | 华东理工大学 | 一种固体有机废弃物的处理装置及含其的处理工艺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517906A (en) * | 1983-08-30 | 1985-05-21 | Zimpro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uxiliary fuel addition to a pyrolysis furnace |
JPH02135280A (ja) * | 1988-11-16 | 1990-05-24 | Masamoto Kaneko | 焼却処理における乾溜ガス化方法及び装置 |
US4951583A (en) * | 1989-07-27 | 1990-08-28 | Mcgill Environmental Systems, Inc. | Thermal destruction system for toxic substances |
US5213051A (en) * | 1991-11-20 | 1993-05-25 | Kinsei Sangyo Co., Ltd. | Apparatus for incinerating waste material |
JP2613345B2 (ja) * | 1992-04-17 | 1997-05-28 | 株式会社キンセイ産業 | 廃棄物の乾留ガス化焼却処理装置 |
US5477790A (en) * | 1994-09-30 | 1995-12-26 | Foldyna; Joseph T. | Multistage system for solid waste burning and vitrification |
-
1995
- 1995-06-22 TW TW084106434A patent/TW315403B/zh active
- 1995-07-21 KR KR1019950021513A patent/KR100193547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5-07-25 US US08/506,569 patent/US5653180A/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5-07-25 CN CN95107591A patent/CN1091502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35179B1 (ko) * | 2015-04-03 | 2017-05-12 | 김영덕 | 착화감지 및 역화감지 기능이 구비된 고압세척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91502C (zh) | 2002-09-25 |
US5653180A (en) | 1997-08-05 |
TW315403B (ko) | 1997-09-11 |
CN1118422A (zh) | 1996-03-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193548B1 (ko) | 폐기물의 건류 가스화 소각 처리 방법 | |
KR101874114B1 (ko) | 건류 가스화 소각처리장치 | |
EP0543480B1 (en) | Apparatus for incinerating waste material | |
JP3869210B2 (ja) | 廃棄物の焼却処理方法 | |
KR100193547B1 (ko) | 폐기물의 건류 가스화 소각 처리 장치 | |
JP3052755B2 (ja) | 蓄熱式バーナの点火方法 | |
WO2017131158A1 (ja) | 廃棄物の乾溜ガス化焼却処理方法 | |
JP5256553B2 (ja) | 乾留ガス化焼却処理装置および焼却処理方法 | |
JP6318052B2 (ja) | 廃棄物の乾溜ガス化焼却処理方法 | |
JP5890050B2 (ja) | 乾溜ガス化焼却処理装置 | |
KR0138509B1 (ko) | 폐기물의 건류가스화 소각 처리장치 | |
JP2856693B2 (ja) | 廃棄物の焼却処理方法 | |
JP3017661B2 (ja) | 廃棄物の乾留ガス化焼却処理装置 | |
JP3152586B2 (ja) | 廃棄物の乾留ガス化焼却処理装置 | |
JP3152588B2 (ja) | 廃棄物の乾留ガス化焼却処理装置 | |
JP2535274B2 (ja) | 廃棄物の乾留ガス化焼却処理装置 | |
JP3728416B2 (ja) | 焼却処理装置 | |
JP3776387B2 (ja) | 流動焼却炉装置およびガスガンの燃焼制御方法 | |
JP5256558B2 (ja) | 乾留ガス化炉 | |
JP3583043B2 (ja) | 廃棄物の焼却処理方法 | |
JP2006046867A (ja) | 燃焼システムの着火方法 | |
JP5272207B2 (ja) | 乾留ガス化炉 | |
JP2001241634A (ja) | 廃棄物の焼却処理方法 | |
JPH1182981A (ja) | 廃プラスチックスの焼却処理装置 | |
JPH05149525A (ja) | 廃棄物焼却炉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80118 Year of fee payment: 10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