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7545B1 - 수액 투여종료 경보장치 - Google Patents
수액 투여종료 경보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197545B1 KR100197545B1 KR1019960032740A KR19960032740A KR100197545B1 KR 100197545 B1 KR100197545 B1 KR 100197545B1 KR 1019960032740 A KR1019960032740 A KR 1019960032740A KR 19960032740 A KR19960032740 A KR 19960032740A KR 100197545 B1 KR100197545 B1 KR 10019754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larm
- fluid
- position detecting
- switch
- administration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액이 환자에게 원하는 만큼 투여된 경우 수액의 투여종료 사실을 외부에 경보하기 위한 수액 투여종료 경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액 투여종료 경보장치에 의하면, 수액이 적정량 이하로 감소되어 투여가 종료되거나 수액용기가 현수장치의 걸이구로부터 이탈하는 경우에 자동적으로 외부에 경보를 하게 되므로, 수액 투여종료시 이의 후처리를 하지 않아 환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이나 위험에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으며, 수액의 투여상태를 수시로 확인해야 하기 때문에 보호자 또는 간호사가 환자곁에 대기하면서 수면을 취하지 못한다든지, 필요한 다른 일을 하는데 지장이 생기는 등의 어려움을 해결할 수가 있으므로 이들의 정신적, 육체적인 고충을 덜어주어 환자의 치료에 직간접적인 도움을 준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액을 환자에게 주사기로 투여하는 도중에 수액이 적정량이하로 소모되는 경우 수액용기를 교체하거나 환자에게 설치된 수액투여수단 등을 신속히 제거할 수 있도록 타인에게 수액 투여종료 사실을 경보하기 위한 수액 투여종료 경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링게르 및 혈액등의 수액기구는 수액을 환자에게 투여하기 시작하여 수액투여가 종료되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며, 그 수액이 적정량 이하로 감소되는 경우 그 즉시 수액의 투여를 인위적으로 차단시키거나, 환자의 인체로부터 수액투여수단, 예컨대 주사기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환자 또는 간병자의 어느 한편은 주의력을 가지고 수액의 투여상태 및 수액용기에서의 수액 감소상태를 항상 주시해야 하는 불편이 있으며, 수액이 적정량 이하로 감소되는 경우에 수액의 투여를 차단하지 않거나 환자로부터 주사기를 제거하지 않으면 환자에게 큰 위험이 초래될 수 있으며, 심한 경우에는 생명을 잃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수액의 감소상태를 살피기 위해 수액용기를 항상 주의깊게 관찰하지 않으면 안되며, 특히 중환자들은 이러한 주의를 하기란 곤란한 경우가 많을 뿐아니라, 일반적인 수액용기의 현수장치는 받침대에 일정길이의 지지봉을 수직입설하고 그 지지봉의 상측부에 수액용기 걸이구를 고정한 구조로 되어 있는 바, 수액을 환자에게 투여시 수액용기가 현수장치의 걸이구로부터 이탈하거나 현수장치가 기울어져 수액용기의 위치가 환자의 수액투여 부위보다 낮아지게 된 경우에는 인체내의 혈액이 오히려 수액용기 속으로 역류하여 환자의 인체에 위해한 결과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가 있으므로, 항상 수액을 투여받는 환자곁에 이를 간호할 사람이 대기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액을 주사기로 환자에게 투여하는 도중에 수액이 적정량 이하로 소모되면 환자나 타인에게 수액투여 종료사실을 경보할 수 있는 수액투여 종료 경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액용기가 현수장치의 걸이구로부터 이탈될 경우에 환자나 타인에게 수액용기의 이탈을 경보할 수 있는 수액 투여종료 경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플랜지의 중앙부위가 개구되며, 이 개구부로부터 신장되어 일정깊이까지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하부에 형성된 돌출턱을 개재해서 형성된 수액용기를 거는 개방형 환형고리를 가진 이동몸체와, 상기 이동몸체를 슬라이드 왕복이동시키도록 내측중앙에 안내홈이 형성되며, 일단에는 폐쇄형 걸이공이 일체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타단에는 상기 이동몸체에 형성된 플랜지와 이탈을 방지하도록 걸림턱이 일체적으로 형성된 고정몸체와, 상기 고정몸체내에 형성된 안내홈과 상기 이동몸체에 형성된 중공부사이에 내설되어 상기 이동몸체에 가해지는 외력에 따라 인장복원되어 상기 이동몸체를 왕복 이동시키는 탄성부재와, 경보위치를 설정함과 동시에, 상기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되는 상기 이동몸체의 이동에 따라 경보스위치를 작동시키는 경보작동수단과, 상기 경보스위치의 작동에 따라 수액투여 종료시점을 음향으로 외부에 알려주는 경보수단과, 상기 경보수단과 경보작동수단을 설치하도록 설치홈이 상기 고정몸체의 일측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전면을 덮는 커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수액 투여종료 경보장치의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고정몸체에 이동몸체가 결합된 상태의 도면.
제3도는 본 발명의 수액 투여종료 경보장치의 측단면도.
제4a도는 제3도의 A-A'선을 따른 수액 투여종료 경보장치의 횡단면도.
제4b도는 제3도의 B-B'선을 따른 수액 투여종료 경보장치의 횡단면도.
제5a도 내지 제5c도는 본 발명에 따른 경보작동수단의 동작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6도는 본 발명의 이동몸체의 일측 평탄면에 부설되는 측량계의 부분확대도.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수액 투여종료 경보장치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이동몸체 20 : 고정몸체
30 : 탄성부재 21 : 안내홈
15 : 플랜지 11 : 중공부
12 : 개방형 환형고리 13 : 돌출턱
14 : 측량계 23 : 걸이공
22 : 걸림턱 41 : 위치검출부재
44 : 탄성돌기 45 : 록킹부
52 : 경보스위치 42 : 스위치 작동부
42 : 경보작동부재 46 : 가이드홈
47 : 가이드돌기 48 : 고정돌기
43 : 위치고정부재 52 : 경보스위치
53 : 전원공급장치 51 : 인쇄회로기판
54 : 전원차단스위치 60 : 하우징
61 : 연결홈 70 : 커버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액 투여종료 경보장치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수액 투여종료 경보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제2도는 본 발명의 고정몸체에 이동몸체가 결합된 상태의 도면이고, 제3도는 본 발명의 수액 투여종료 경보장치의 측단면도이고, 제4a도는 제3도의 A-A'선을 따른 수액 투여종료 경보장치의 횡단면도이고, 제4b도는 제3도의 B-B'선을 따른 수액 투여종료 경보장치의 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액 투여종료 경보장치는 고정몸체(20)와, 상기 고정몸체(20)의 안내홈(2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내설되는 이동몸체(10)와, 상기 고정몸체(20)와 이동몸체(10)내에 탄설되는 용수철 등의 탄성부재(30)와, 위치검출부재(41)와, 경보작동수단과, 경보수단과, 상기 탄성부재(30)의 복원력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되는 상기 이동몸체(10)의 이동에 따라 경보스위치(52)를 작동시키는 경보작동수단과, 상기 경보스위치(52)의 작동에 따라 수액투여 종료시점을 음향으로 외부에 알려주는 경보수단과, 상기 경보수단과 경보작동수단을 설치하도록 설치홈이 상기 고정몸체(20)의 일측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60)과, 상기 하우징(60)의 전면을 덮는 커버(7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이동몸체(10)의 일단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플랜지(15)의 중앙부위가 개구되어 있고, 이 개구부로부터 신장되어 일정깊이까지 중공부(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몸체(10)의 타단에는 수액용기를 걸기 위한 개방형 환형고리(12)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개방형 환형고리(12)의 상측면에는 후술하는 경보작동수단(부호 붙이지 않음)의 위치검출부재(41)의 감지부(41a)에 접촉되는 돌출턱(13)이 이동몸체(1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방형 환형고리(12)는 수액용기를 용이하게 현수하기 위하여 상기 이동몸체(10)의 장축면보다 약간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동몸체(10)내에 형성된 중공부(11)내에 탄성부재(30)를 고정설치하기 위하여 상기 이동몸체(10)는 종축을 따라 이분할되어 있으며, 종축을 따라 이분할된 이동몸체(10)내의 상,하부에는 종단면을 따라 다수의 체결홈(10a,10b)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이 체결홈(10a,10b)내에 고정설치되는 소형나사등의 체결수단(100)에 탄성부재(30)의 양측이 각각 결합되어 있다.
상기 이동몸체(10)는 원형의 몸체에서 일측면을 소정의 영역만큼 절단시킨 반원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탄성부재(30)가 삽설되는 중공부(11)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범위에서 절단된 형상의 평탄면(15a)을 갖는다. 이 이동몸체(10)의 평탄면(15a)에는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액용기(200)내의 수액의 량을 인위적으로 계측하기 위한 띠형상의 눈금, 즉 측량계(14)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측량계(14)의 최하위 계량눈금은 수액의 투여시 잔류되는 최소잔류량을 감안하여 이를 보정한 계량치가 표시될 수 있도록 보정계량눈금(14')이 표시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보정계량눈금(14')은 그 상부로 연이어 표시된 다른 계량눈금과는 다른 수액량을 표시하는 눈금이다. 상기 이동몸체(10)의 상부외주면에 형성된 플랜지(15)는 일정 영역이 평탄하게 절단된 절단면(15b)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절단면(15b)은 상기 고정몸체(20)의 일측면에 체결되는 하우징(60)의 내측벽면에 상기 플랜지(15)의 절단면(15b)이 당접하여 이동몸체(10)의 왕복이동시 이동몸체(10)가 비틀림동작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이동몸체(10)의 플랜지(15)가 끼워진 채로 플랜지(15)를 안내하여 이동몸체(10)를 슬라이드 왕복이동시키기 위한 소정크기의 안내홈(21)이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몸체(20)의 일단에는 현수장치의 걸이구(301)에 걸어두기 위한 폐쇄형 걸이공(23)이 형성되어 있고, 그 타단에는 상기 이동몸체(10)의 플랜지(15)가 하부로 탈착되지 않게 걸림턱(22)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몸체(20)도 상기 안내홈(21)에 이동몸체(10) 및 탄성부재(30)를 내설하기 위하여 종축으로 이분할되어 있으며, 종축으로 이분할된 이동몸체(10)는 종단면을 따라 고정몸체(20)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체결홈(10a,10b)에 각각 삽입고정된 소형 나사등의 체결수단(100)에 탄성부재(30)의 양단부에 형성된 클램프를 체결함으로써 결합된다. 상기 고정몸체(20)의 일측면에는 하우징(60)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고정몸체(20)의 단면형상은 반원형의 형상을 이루며, 상기 하우징(60)은 측량계(14)의 눈금을 육안으로 볼 수 있도록 설치홈(63)에 의해 개방되어 있다.
상기 탄성부재(30)는 상기 고정몸체(20)의 안내홈(21)과 상기 이동몸체(10)의 중공부(11)에 내설되며, 상기 탄성부재(30)의 일단은 상기 고정몸체(20)의 안내홈(21) 내측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홈(10a,10b)에 결합된 체결수단(100)에 각각 결합고정되어 있고, 타단은 상기 이동몸체(10)의 중공부(11) 내측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홈(10a,10b)에 각각 결합된 체결수단(100)에 각각 결합고정되어서, 상기 이동몸체(10)의 환형고리(12)에 걸어 현수되는 수액용기 및 수액용기에 저장된 수액의 중량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30)의 인장복원력에 의해 상기 고정몸체(20)의 안내홈(21) 내측에 삽설된 상기 이동몸체(10)를 상기 고정몸체(20)내에 형성된 안내홈(21)을 따라서 슬라이드 왕복이동한다.
경보작동수단은 수액의 감소로 인한 탄성부재(30)의 복원력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되는 이동몸체(10)의 돌출턱(13)에 탄지되어 그 이동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위치검출부재(41)와, 상기 위치검출부재(41)의 일단에 형성된 복수의 탄성돌기(44)에 상응하여 원하는 위치에 상기 위치검출부재(41)를 록킹시키기 위한 톱니형상의 록킹부(45) 및 경보수단의 경보스위치(52)에 접촉되는 스위칭 접촉부(49)가 일체적으로 형성된 경보작동부재(42)와, 상기 위치검출부재(41)의 중앙 소정부위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홈(46)에 안내되는 복수의 가이드돌기(47)와 상기 위치검출부재(41)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복수의 탄성돌기(44)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위치검출부재(41)를 록킹시켜 상기 위치검출부재(41)가 이탈되지 않게 고정시키는 고정돌기(48)가 일체적으로 형성된 위치고정부재(43)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경보작동수단에 의해 수액 투여종료 경보위치를 설정하거나, 상기 탄성부재(30)의 복원력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되는 이동몸체(10)가 고정몸체(20)의 걸림턱(22)에 상기 위치검출부재(41)의 선단이 접촉되면서 위치검출부재(41)에 록킹된 경보작동부재(42)의 스위칭 접촉부(49)를 작동시켜 경보스위치(52)를 스위칭시키는 동작을 한다.
경보수단은 상기 경보작동부재(42)의 왕복이동에 의해 접촉되어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경보스위치(52)와, 상기 경보신호를 출력하도록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소형 전원공급장치(53)와, 외부로부터 인위적으로 전원을 차단시키기 위한 전원차단 스위치(54)를 탑재한 인쇄회로기판(51)과, 상기 경보스위치(52)의 스위칭시에 수액의 투여종료를 외부에 알리기 위하여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발생장치(55)와, 수액투여 종료를 육안으로 알 수 있도록 외부에 알리는 점멸등(56)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 음향발생장치(55)는 압전소자를 사용하고, 점멸등(56)은 발광다이오드 또는 램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음향발생장치(55)는 하우징(60)의 커버(70)내측 소정부위에 장착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60)에 설치되는 인쇄회로기판(51)과 커버(70) 사이에 설치할 수도 있으며, 동일한 병실내에서 여러개의 경보장치가 사용중인 경우에 음향발생장치(55)에서 발생하는 음향이 어느 환자에서 발생되는지의 여부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우징(60)내에 설치되는 인쇄회로기판(51)에 장착되는 발광다이오드(56)의 설치공을 하우징(60)을 덮는 커버(70)의 특정부위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몸체(20)의 일측에 부설되는 하우징(60)에는 인쇄회로기판(51) 상에 상기 경보스위치(52)와 상기 전원공급장치(53) 및 외부에서 인위적으로 전원을 차단시키는 전원차단스위치(54)가 탑재된 경보수단을 설치하기 위해 형성된 설치홈(62)과, 상기 경보수단의 경보스위치(52)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경보수단의 설치홈(62)에 근접한 위치에 경보작동부재(42)를 설치하는 설치홈(63)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설치홈(62)과 설치홈(63)사이에는 수액용기(200)내의 수액의 감소량에 따라 경보작동부재(42)의 스위칭 접촉부(49)가 상부로 이동되여 상기 경보스위치(52)를 스위칭시키도록 연결홈(6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60)에 형성된 경보작동수단을 설치하는 설치홈(63)은 상기 경보작동부재(42)의 스위칭 접촉부(49)가 왕복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경보작동부재(42)의 일단과 경보작동부재(42)를 설치하는 설치홈(63)의 일단이 소정의 거리간격만큼 이격되어 있다. 또, 상기 하우징(60)의 4모서리에는 하우징(60)을 덮는 커버(70)을 부착하기 위한 다수의 체결공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60)에 설치되는 경보수단 및 경보작동수단을 보호하고 외관을 미려하게 하기 위하여 커버(70)가 상기 하우징(60)의 전면을 덮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상기 커버(70)의 중앙 소정부위에는 상기 위치검출부재(41) 및 위치고정부재(43)와 각각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위치검출부재(41) 및 위치고정부재(43)를 설치하기 위한 하나의 설치홈(71)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또 경보수단의 전원을 차단하기 위한 상기 전원차단 스위치(54)를 설치하는 설치홈(72)이 소정부위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커버(70)의 전면에는 점멸등(56)을 이용하는 경우에 점멸등(56)의 일단이 삽설고정되는 삽입공(73)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커버(70)의 위치검출부재(41)및 위치고정부재(43)가 설치되는 설치홈(71)의 일측에는 경보위치를 고정하지 않아 경보위치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에 인위적으로 경보위치를 세트시키기 위한 보조눈금(74)이 새겨져 있다. 상기 커버(70)의 4모서리에는 소정크기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어서 체결수단 예컨대, 나사 등에 의해 상기 하우징(60)의 체결공에 체결되어 단단하게 고정된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수액 투여종료 경보장치의 동작을 제5a도 내지 제5c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전원차단 스위치(54)를 스위칭 온하여 경보 대기상태로 전환한 다음,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몸체(10)의 개방형 환형고리(12)에 수액용기를 걸면, 수액용기(200) 및 수액의 중량에 의해 고정몸체(20)와 이동몸체(10)에 내설되어 있는 탄성부재(30)가 인장되면서 상기 고정몸체(20)의 안내홈(21)을 따라 상기 이송몸체(10)가 하부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탄성부재(30)의 한계 탄성력에 도달되는 위치까지 인출되어진다.
이때, 사용자는 하우징(60)을 덮는 커버(70)의 외측으로 돌설한 위치검출부재(41)와 위치고정부재(43)의 고정돌기(48)를 하부방향으로 함께 밀어서, 상기 위치검출부재(41)의 선단면을 수액용기의 수액량 표시라벨에 표시되어 있는 수액량(㎖)에 따라 상기 이동몸체(10)의 일측면에 부설된 띠형상의 측량계(14)에 표시되어 있는 동일표시눈금에 일치시켜 원하는 수액투여 종료위치를 설정한 다음(제5a도), 상기 위치고정부재(43)만을 상측으로 다시 밀어올려 상기 위치고정부재(43)의 고정돌기(48)가 위치검출부재(41)에 형성된 복수의 탄성돌기(44)의 선단부에 끼워져서 상기 위치감지부재(41)를 경보작동부재(42)에 설치된 록킹부(45)에 고정시킴으로서 경보위치를 설정한다(제5b도).
이어서, 환자에게 수액의 투여가 시작되고 나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수액이 감소하여 전체 중량이 감소되면, 상기 탄성부재(30)의 복원력에 의해 고정몸체(20)의 안내홈(21)을 따라 상기 이동몸체(10)가 상부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이때, 수액이 사용자에 의해 필요한 만큼 환자에게 투여가 되어 상기 위치검출부재(41)의 선단부인 감지부(41a)가 상기 이동몸체(10)에 접촉하여 누르면, 상기 경보작동부재(42)가 상부방향으로 이동하여 경보작동부재(42)의 상부에 형성된 스위칭 접촉부(49)가 경보스위치(52)를 눌러 스위칭 온함으로써, 경보수단의 음향발생장치(55)와 점멸등(56)에 상기 전원공급장치(53)로부터 전원이 공급되어 상기 음향발생장치(55)에서 음향을 발생함과 동시에, 상기 점멸등(56)이 발광되어 간병인 또는 환자 본인에게 수액투여 종료사실을 경보한다(제5c도).
제7도는 상기한 바의 본 발명에 따른 수액 투여종료 경보장치(100)의 설치상태를 참고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수액 투여종료 경보장치(100)를 현수대(300)의 걸이구(301)에 걸어 설치하여 수액용기(200)를 현수한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을 보여주고 있다.
한편, 수액용기(200)가 걸이구(301)로부터 이탈되었을 경우에는 탄성부재(3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수축됨에 따라 위치검출부재(41)의 감지부(41a)가 상기 이동몸체(10)에 접촉하여 누룸으로써, 상기 경보작동부재(42)가 상부방향으로 이동하여 경보작동부재(42)의 상부에 형성된 스위칭 접촉부(49)가 경보스위치(52)를 눌러 스위칭하여 상기 음향발생장치(55)가 경보 음향을 출력함과 동시에, 상기 점멸등(56)이 발광되어 수액용기(200)가 걸이구(301)로부터 이탈되었음을 경보하여 환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이나 위험에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수액 투여종료 경보장치에 의하면, 수액이 적정량 이하로 감소되어 투여가 종료되거나 수액용기가 현수장치의 걸이구로부터 이탈하는 경우에 자동적으로 외부에 경보를 하게 되므로, 수액 투여종료시 이의 후처리를 하지 않아 환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이나 위험에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으며, 수액의 투여상태를 수시로 확인해야 하기 때문에 보호자 또는 간호사가 환자 곁에 대기하면서 수면을 취하지 못한다든지, 필요한 다른 일을 하는데 지장이 생기는 등의 어려움을 해결할 수가 있으므로 이들의 정신적, 육체적인 고충을 덜어주어 환자의 치료에 직간접적인 도움을 주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플랜지(15)의 중앙부위가 개구되며, 이 개구부로부터 신장되어 일정깊이까지 중공부(11)가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하부에 형성된 돌출턱(13)을 개재해서 형성된 수액용기를 거는 개방형 환형고리(12)를 가진 이동몸체(10)와, 상기 이동몸체(10)를 슬라이드 왕복이동시키도록 내측중앙에 안내홈(21)이 형성되며, 일단에는 폐쇄형 걸이공(23)이 일체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타단에는 상기 이동몸체(10)에 형성된 플랜지(15)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걸림턱(22)이 일체적으로 형성된 고정몸체(20)와, 상기 고정몸체(20)내에 형성된 안내홈(21)과 상기 이동몸체(10)에 형성된 중공부(11)사이에 내설되어 상기 이동몸체(10)에 가해지는 외력에 따라 인장복원되어 상기 이동몸체(10)를 왕복이동시키는 탄성부재(30)와, 경보위치를 설정함과 동시에, 상기 탄성부재(30)의 복원력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되는 상기 이동몸체(10)의 이동에 따라 경보스위치(52)를 작동시키는 경보작동수단과, 상기 경보스위치(52)의 작동에 따라 수액투여 종료시점을 음향으로 외부에 알려주는 경보수단과, 상기 경보수단과 경보작동수단을 설치하도록 설치홈이 상기 고정몸체(20)의 일측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60)과, 상기 하우징(60)의 전면을 덮는 커버(7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 투여종료 경보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작동수단은 수액의 감소로 인한 탄성부재(30)의 복원력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되는 이동몸체(10)의 돌출턱(13)에 탄지되어 그 이동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검출부재(41)와, 상기 위치검출부재(41)의 일단에 형성된 복수의 탄성돌기(44)에 상응하여 원하는 위치에 상기 위치검출부재(41)를 록킹시키도록 톱니형상의 록킹부(45) 및 상기 경보수단의 경보스위치(52)에 접촉되는 스위칭 접촉부(49)가 일체적으로 형성된 경보작동부재(42)와, 상기 위치검출부재(41)의 중앙 소정부위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홈(46)에 안내되는 복수의 가이드돌기(47)와 상기 위치검출부재(41)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복수의 탄성돌기(44)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위치검출부재(41)를 록킹시켜 상기 위치검출추재(41)가 이탈되지 않게 고정시키는 고정돌기(48)가 일체적으로 형성된 위치고정부재(4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 투여종료 경보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수단은 상기 경보작동부재(42)의 왕복이동에 의해 접촉되어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경보스위치(52)와, 상기 경보신호를 출력하도록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소형 전원공급장치(53)와, 외부로부터 인위적으로 전원을 차단시키는 전원차단 스위치(54)를 탑재한 인쇄회로기판(51)과, 상기 경보스위치(52)의 스위칭시에 수액의 투여종료를 외부에 알리도록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발생장치(55)와, 수액투여 종료를 육안으로 알 수 있도록 외부에 알리는 점멸등(56)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 투여종료 경보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60032740A KR100197545B1 (ko) | 1996-08-06 | 1996-08-06 | 수액 투여종료 경보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60032740A KR100197545B1 (ko) | 1996-08-06 | 1996-08-06 | 수액 투여종료 경보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13986A KR19980013986A (ko) | 1998-05-15 |
KR100197545B1 true KR100197545B1 (ko) | 1999-06-15 |
Family
ID=19468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60032740A KR100197545B1 (ko) | 1996-08-06 | 1996-08-06 | 수액 투여종료 경보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197545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62965B1 (ko) * | 2002-06-29 | 2004-12-23 | 정유진 | 링거액 감지기 |
KR100634820B1 (ko) * | 2005-07-14 | 2006-10-20 | 김용환 | 링거투여안전시스템 |
-
1996
- 1996-08-06 KR KR1019960032740A patent/KR100197545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13986A (ko) | 1998-05-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383252A (en) | Intravenous drip feed monitor | |
JP6553100B2 (ja) | 聴診器の消毒のための装置 | |
WO2003022127A2 (en) | Apparatus and process for infusion monitoring | |
BR9607960A (pt) | Mostrador para um dispositivo para distribuição por meio de eletrotransporte | |
JPWO2002066102A1 (ja) | シリンジポンプ及び送液方法 | |
KR20180043195A (ko) | 광치료 장치 | |
CN108903150A (zh) | 一种储药智能手环 | |
US5640148A (en) | Dual activation alarm system | |
KR100197545B1 (ko) | 수액 투여종료 경보장치 | |
JP2011183140A (ja) | 点滴異常報知装置 | |
EP2519289B1 (en) | Infusion control device | |
KR200409394Y1 (ko) | 링거액 감시기 | |
JP4121485B2 (ja) | 薬液断続弁および薬液注入装置 | |
JP2004024884A (ja) | シリンジポンプ | |
KR200224976Y1 (ko) | 링거 수액량 감지 장치가 구비된 링거병 거치대 | |
KR20000008275U (ko) | 수액투여 종료 감지기 | |
JPH0562253U (ja) | 点滴速度監視装置 | |
KR20030036451A (ko) | 수액소진 알림장치 | |
KR20000063620A (ko) | 링게르 주사액의 주사량 검출 장치 | |
CN212997739U (zh) | 一种输液装置固定系统 | |
CN219392771U (zh) | 一种温箱消毒自动警示装置 | |
KR200201531Y1 (ko) | 링거용액 교체 및 투여중지 확인용 제어기 | |
CN220506602U (zh) | 一种用于护士夜间巡视的辅助装置 | |
GB2200252A (en) | Float-operated alarm for an infusion bottle | |
JPS6335262A (ja) | 点滴液減量報知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40223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