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188710B1 - 광 감쇠기 - Google Patents

광 감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88710B1
KR100188710B1 KR1019960019628A KR19960019628A KR100188710B1 KR 100188710 B1 KR100188710 B1 KR 100188710B1 KR 1019960019628 A KR1019960019628 A KR 1019960019628A KR 19960019628 A KR19960019628 A KR 19960019628A KR 100188710 B1 KR100188710 B1 KR 1001887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optical fiber
attenuator
optical attenuator
sleev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9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영민
Original Assignee
이종구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김춘호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구,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김춘호,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이종구
Priority to US08/756,411 priority Critical patent/US591798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88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88710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감쇠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광감쇠기를 구성하는 광섬유의 단면을 비구면 렌즈로 하여 역반사(back-reflection)를 감소시킨 광감쇠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소정의 광신호를 감쇠시키는 광감쇠기에 있어서, 소정 거리 이격되어 대향적으로 배치된 제1,2광섬유의 각 단면이 비구면 렌즈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광감쇠기의 광감쇠 정밀성을 향상시키고 역반사의 영향을 배제시킬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광감쇠기
제1도 (a), (b)는 종래 광감쇠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제2도 (a), (b)는 종래 광감쇠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
제3도 (a), (b)는 본 발명에 따른 광감쇠기에 사용되는 광섬유의 비구면 렌즈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광감쇠기의 광섬유의 비구면 렌즈를 제조하는 장치의 일예를 도시한 구성도.
제5도 내지 제8도는 본 발명에 따른 광감쇠기의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
제9도는 (a), (b)는 본 발명에 따른 광감쇠기에서 광섬유의 다른 배열형태를 도시한 구성도.
제10도 (a), (b),(c)는 본 발명에 따른 비구면 렌즈가 다양한 형태의 광섬유에 형성된 것을 도시한 형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광섬유 35 : 비구면 렌즈부
55 : 슬리브(sleeve) 51,52 : 제1,2지지홀더
본 발명은 광삼쇠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광감쇠기를 구성하는 광섬유의 단면을 비구면 렌즈로하여 역반사(back-reflection)를 감소시킨 광감쇠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전송 시스템에서 광신호는 고출력으로 전송되는데, 고출력으로 전송된 광신호는 수신측에서 적절하게 이용되기 위해 광감쇠기에 의해 감쇠된다. 이와 같이, 고출력의 광신호를 감쇠시키는 광감쇠기는 광통신 시스템의 조정과 교정, 각종 측정 또는 광섬유 전송로의 구간손실 조정에 이용될 수 있으며, 광과 관련된 장치들에서도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상기의 다양한 이용분야를 충족시키기 위해 여러 종류의 광감쇠기가 개발되어 있는데, 그 중의 한 형태를 제1도에 나타내 보였다.
제1도 (a)를 참조하면, 종래의 광감쇠기는 두 개의 광섬유를 소정의 거리(d1)를 두고 이격시켜 배치하고 그 사이에 공기층(4)을 형성시킴으로써 광신호를 감쇠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즉, 이 광감쇠기는 제1광섬유(1) 와 제1지지홀더(2)로 구성된 광섬유 입력부를 제2광섬유(5)와 제2지지홀더(6)로 구성된 광섬유 출력부와 소정의 거리(d1)만큼 이격시켜 배치하고 공기층(4; 또는 에어갭)을 그 사이에 개재시킨 형태로 광섬유 입력부와 광섬유 출력부가 공기층(4)을 포함한 채 소정형태의 슬리브(9)내에 정렬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른 광감쇠기에서는 제1광섬유(1)로부터 방출된 광신호가 공기층(4)을 통해 퍼지게 되므로 이 광신호는 일부만이 제2광섬유(5)로 입사되어 광감쇠가 일어나게 된다. 이때, 제1광섬유(1)와 공기층(4) 경계면에서 프레넬 반사(또는, 역반사)가 발생되며 이것에 의한 반사 손실이 약 14.4dB 정도로 실제 광 시스템에서 사용하기에는 문제가 있다. 프레넬 반사 또는 역반사(backreflection)는 굴절율차가 있는 두 물질을 광신호가 통과할 때 그 경계면에서 광신호의 일부가 반사되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제1도 (b)와 같이 유리에서 공기중으로 광신호(Po)가 수직 입사될 때, 경계면에서 반사되는 광신호의 양(역반사 양)을 Pr, 투과되는 광신호의 양을 Pt라 하고, 이때 유리의 굴절율(n1)은 1.47, 공기의 굴절율(n0)은 1이라 할 때, 수직 입사에 대한 반사율 R은 아래의 공식과 같이 된다.
이때, 반사되는 광신호의 반사 손실량 Pr은 아래의 공식과 같이 된다.
결국, 두 광섬유 사이에 공기층을 갖는 광감쇠기는 프레넬 반사에 의한 반사 손실이 14.4dB 이상이 되어 실제 광시스템에서는 광원에 심한 오류를 발생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광섬유 수직단면에서의 프레넬 반사에 의한 역반사를 감소시킨 광감쇠기의 일예를 제2도에 나타내 보였다. 제2도에 도시된 광감쇠기는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소화59-94702호에 개시된 것으로서, 두 개의 광섬유 및 상기 광섬유 지지홀더의 일측부를 경사단면으로 하여 광감쇠를 행하고 있는데, 이 광감쇠기는 제1광섬유(12)와 제1지지홀더(13)로 구성된 광섬유 입력부와 제2광섬유(16)와 제2지지홀더(15)로 구성된 광섬유 출력부 사이에 소정의 두께(d2)를 갖는 광감쇠 필터(14)가 삽입된 채 소정의 슬리브(19)내에 정렬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 광감쇠기에서는 제1광섬유(12)로부터 방출된 광신호가 광감쇠필터(14)를 통과해 감쇠되어 제2광섬유(16)로 입사된다. 이 광감쇠기에서는 광신호의 역반사를 줄이기 위해 제1광섬유(!2)와 제1지지홀더(13), 제2광섬유(16)와 제2지지홀더(15)를 각각 경사 연마하였다. 즉, 제2도 (b)를 참조하면, 제1광섬유를 진행하던 진행광(A)이 제1광섬유의 경사단면에서 방출될 때, 상기 광신호의 일부는 방출되어 투과광(B)이 되고, 그 나머지 광은 경사단면에서 반사광(C)으로 되지만 이 반사광(C)은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반사 법칙에 의해 반사되기 때문에 진행광(A)과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다. 따라서, 광섬유의 일단부를 경사단면으로 함으로써, 제1도의 수직단면을 갖는 광섬유에서의 프레넬 반사(또는 역반사)에 의한 역반사량을 저감시킬 수 있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같은 경사단면을 갖는 광감쇠기에 있어서, 상기 경사단면의 연마는 많은 공정을 수반하기 때문에 광감쇠기의 가격을 상승시키는 문제점을 초래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광섬유의 단면을 비구면으로 하여 광감쇠기의 정밀성을 향상시키고 역반사의 영향을 배제시킨 광감쇠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소정의 광신호를 감쇠시키는 광감쇠기에 있어서, 대향적으로 배치된 제1,2광섬유의 각 단면이 비구면 렌즈로 되어 있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의 비구면의 표면에 AR(anti-reflection) 코팅이 바람직하게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2광섬유의 각 축이 일치되어 있거나, 이들 축이 어긋나 있을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에어갭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1,2광섬유를 소정거리 이격시켜 정렬시키는 정렬수단이 바람직하게 마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정렬수단은 상기 제1,2광섬유를 각각 홀딩하여 고정시키는 제1,2지지홀더와, 상기 제1,2지지홀더의 외곽을 감싸서 상기 광섬유 및 지지홀더를 정렬시키는 정렬 슬리브로 바람직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정렬 슬리브내에서 상기 제2지지홀더를 광축방향으로 전·후진시켜 상기 제1,2광섬유의 비구면 렌즈사이의 거리를 조정하는 렌즈거리 조정수단이 바람직하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정렬 슬리브내에서 상기 제2지지홀더를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이 바람직하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정렬수단은 상기 제1,2광섬유를 각각 홀딩하여 고정시키는 제1,2지지홀더와, 상기 제1광섬유의 비구면렌즈가 그 내부에 있도록 상기 제1지지홀더의 일부를 감싸는 제1슬리브부와, 상기 제2광섬유의 비구면 렌즈가 그 바깥에 있도록 상기 제2지지홀더의 일부를 감싸는 제2슬리브를 바람직하게 구비하며, 상기 제1슬리브 내부에 상기 제2지지홀더가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광감쇠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감쇠기는, 광입력부를 구성하는 광섬유의 단면부위와 광출력부를 구성하는 광섬유의 단면부위를 비구면 렌즈로 하여 역반사를 감소시킨 것이다. 즉, 제3도 (a), (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광섬유(30)의 단면부위를 비구면 렌즈(35)로 하면, 광섬유 코어를 진행하는 광(또는, 광신호)은 비구면 렌즈(35)에서 광섬유축(x)에 θ의 각도로 틸트(tilt) 되어 진행하게 되며, 이와 같이 비구면 렌즈(35)에서 틸트되어 진행되는 광(μ)의 일부는 비구면 렌즈(35)의 경계면에서 반사되고, 그 나머지는 투과광(v)이 된다. 여기서, 상기 비구면 렌즈(35)의 경계면에서 반사된 반사광(w)은 상기 진행광(u)의 경로로 되돌아 가지 않기 때문에 역반사를 배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광섬유(30) 코어를 진행한 광이 비구면 렌즈(35)에서 틸트되어 통과할 때 개구수(NA; Numerical Aperture)가 작아지는 효과를 가진다. 제3도에서 도면의 간단한 구성을 위해 광섬유를 구성하는 코어와 클래드의 도시는 생략하였다.
따라서, 제3도 (a)의 비구면 렌즈를 갖는 광섬유를 제3도 (b)와 같이 소정 거리 이격시킨 다음에 정렬하면 역반사를 감소시킬 수 있고, 삽입에 따른 광의 손실도 줄일 수 있는 광감쇠기가 되는 것이다. 즉, 제3도 (b)와 같이 배열된 광섬유(30b)를 소정의 축을 기준으로 하여 회전시키거나, 이들 광섬유(30a,30b)를 길이방향으로 상기 이격거리를 변화시키면 소정의 광감쇠를 갖는 광감쇠기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광섬유의 단면부위에 비구면 렌즈를 제작하는 방법은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장치에 의해 간단하게 달성될 수 있다. 즉, 상하로 적절하게 배치된 두 개의 아아크봉(41)(42)사이에 광섬유(30)를 위치시킨 후, 전류원(45)에서 상기 아아크봉(41)(42)에 소정의 전류를 인가하면 광섬유(30)의 소정 부위는 아아크열에 의해 용융되고, 그 용융된 광섬유 물질은 중력에 의해 아래로 쳐진다. 상기 광섬유 물질이 소정크기로 용융되어 아래로 쳐지게 되면, 아아크열의 발생을 중단하고, 상기 용융된 광섬유 물질을 소정 시간동안 냉각시킴으로써 원하는 비구면렌즈(35)가 형성된 광섬유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광섬유의 용융은 아아크열에 의해 하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레이저 가공 또는 광섬유를 용융시킬 수 있는 어떤 것이라도 상관은 없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광섬유의 비구면 렌즈를 제작함에 있어서, 비구면 렌즈(35)의 크기 및 비구면의 각도(θ)는 아아크봉(41,42)에 흐르는 전류량, 시간 및 광섬유(30)의 위치에 따라 달라지는데, 상기 비구면각도(θ)값을 증가시키면 그 증가량에 따라 역반사(w)의 양은 크게 감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장치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은 특성을 갖는 비구면 렌즈를 갖는 광섬유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실질적인 광감쇠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5도는 입력되는 광신호를 일정한 비율로 감쇠시키는 고정 광감쇠기를 도시한 것으로서, 광입력부로 작용하는 제1광섬유(30a)와 광출력부로 작용하는 제2광섬유(30b), 상기 제1,2광섬유(30a,b)를 각각 고정 홀딩하는 제1,2홀더(51,52), 및 상기 제1,2홀더(51,52)의 소정 부분을 감싸 이들을 고정 정렬시키는 정렬슬리브(55)를 구비한다. 여기서, 제1광섬유(30a)로부터 방출된 광신호가 제2광섬유(30b)로 유입될 때, 광신호의 손실을 최소화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1,2광섬유(30a,b)의 코어(미도시)가 비구면 축에 일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2광섬유(30a,b)의 비구면 렌즈(35a,b)의 표면 모두에 또는 그들중의 적어도 어느 한 표면에 AR 코팅(37a)(37b)을 하면 이들 렌즈(35a,b)에서 발생되는 역반사를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고정 광감쇠기에 있어서, 제1광섬유(30a)의 비구면 렌즈(35a)를 통과하여 제2광섬유(30b)의 비구면 렌즈(35b)에 유입될 때의 광감쇠율은 제1,2광섬유(30a,b) 사이의 거리(d) 및 두 광섬유의 비구면축의 미스매치(mismatch) 정도에 따른다. 또한, 비구면 렌즈(35a,b) 표면의 AR 코팅(37a,b)의 유무에 의해서도 광감쇠율이 달라질 수 있다.
제6도는 입력되는 광신호를 여러단계로 감쇠시킬 수 있는 가변 광감쇠기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5도와 같이 그 일단부에 비구면 렌즈(35a,b)가 형성된 제1,2광섬유(30a,b)와 제1,2홀더(51,52)를 포함하며, 상기 제1홀더(51)를 고정하고 상기 제2홀더(52)가 그 내벽과 접촉하여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하여 제1,2광섬유(30a,b)를 정렬하는 정렬 슬리브(56)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비구면 렌즈(35a,b) 표면에는 바람직하게 AR 코팅(37a,b)이 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가변 광감쇠기는, 상기 정렬 슬리브(56) 외부에 고정 설치되며 그 외측부에 톱니나사를 갖는 수나사부(61)와, 상기 수나사부(61)의 톱니나사와 치합되는 톱니나사가 그 내측에 형성된 암나사부(63), 및 상기 제2광섬유(30b)와 상기 암나사부(63)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2홀더(52)와 제2광섬유(30b)를 일체로 고정시키는 플랜지(65)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암나사부(63)와 플랜지(65)가 접촉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수나사부(61) 및 플랜지(65)상에서 암나사부(63)가 회전할 때, 플랜지(65)가 전·후진하도록 작용하는 고정링(67)를 포함하며, 암나사부(63)의 회전에 따라 플랜지(65)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 방지키(64)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방지키(64)는 암나사부(63)의 회전에 따라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수나사부(61)에 형성된 관통공내에서 전·후진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가변 광감쇠기에 있어서, 암나사부(63)가 수나사부(61)상에서 회전할 때, 고정링(67)과 회전방지키(64)의 작용에 의해 제1광섬유(30b), 제2홀더(52), 및 플랜지(65)는 회전함이 없이 전·후진 움직임만 하게 된다. 이때, 제2홀더(52)는 정렬 슬리브(56)내에서 슬라이딩되면서 전·후진한다. 따라서, 암나사부(63)를 회전시키면, 결국 제1,2광섬유(30a,b)사이의 거리(d)가 변하게 되고, 이에 따라 광감쇠율도 변하게 된다.
제7도는 제6도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입력되는 광신호를 소정비율로 감쇠시킬 수 있는 가변 광감쇠기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5도와 같이 그 일단부에 비구면 렌즈(35a,b)가 형성된 제1,2광섬유(30a,b)와 제1,2홀더(51,53)를 포함하며, 상기 제1홀더(51)를 고정하고 상기 제2홀더(53)가 그 내벽과 접촉하여 회전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제1,2광섬유(30a,b)를 정렬하는 정렬 슬리브(56)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2홀더(53)에 회전용 손잡이(54)를 형성시켜, 제2홀더(53)를 정렬 슬리브(56)내에서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비구면 렌즈(35a,b) 표면에 AR 코팅(37a,b)을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가변 광감쇠기에 있어서, 제2홀더(53)의 손잡이(54)를 회전시키면 제2홀더(53)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제2광섬유(35b)도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제2광섬유(35b)가 회전하게 되면, 제1광섬유(30a)의 비구면 렌즈(35a)와 제2광섬유(30b)의 비구면 렌즈(35b)의 정렬 위치가 바뀌게 되고, 이에 따라 광감쇠율도 변하게 된다.
제8도는 고정 광감쇠기로서 또는 경우에 따라 가변 광감쇠기로도 작용할 수 있는 커넥터 일체식 광감쇠기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5도와 같이 그 일단부에 비구면 렌즈(35a,b)가 형성된 제1,2광섬유(30a,b)와 제1,2홀더(51,52)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광감쇠기는 상기 제1광섬유(30a)의 비구면렌즈(35a)가 그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홀더(51)의 일부를 감싸는 제1슬리브(57)와, 상기 제2광섬유(30b)의 비구면 렌즈(35b)가 그 바깥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2홀더(52)의 일부를 감싸는 제2슬리브(59)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커넥터 일체식 광감쇠기에 있어서, 제2슬리브(59)에서 돌출되어 있는 제2홀더(52)을 제1슬리브(57)의 함몰부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집어 넣으면서, 제1,2광섬유(30a,b)의 비구면 렌즈(35a,b)를 정렬하고 이들 사이의 거리(d)를 조정하면 소정의 광감쇠율을 갖는 광감쇠기가 된다. 또는 제2홀더를 회전시켜 원하는 감쇠값을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제1,2홀더(51,52)의 일단부에 위치한 제1,2광섬유(30a,b)의 각 부분(A,B)에서도 광감쇠가 발생할 수 있지만, 이 부분(A,B)에서의 광감쇠량은 극히 미약함으로 실질적인 광감쇠기의 사용시 문제를 초래하지 않는다.
제5도 내지 제8도에 도시된 광감쇠기에 있어서, 제1,2광섬유(30a,b)의 배열이 제3도(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들 광섬유(30a,b)의 축이 일치하지 않는 상태로 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광감쇠기는 광섬유의 축이 일치하지 않는 광섬유 배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의 광감쇠기는 제9도 (a), (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광섬유(30a,b)의 각 축이 일치하는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제9도 (a), (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각 광섬유(30a,b)의 축이 일치하는 배열은 제5도 내지 제9도의 광감쇠기에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는데, 제9도 (a)의 배열 형태는 광감쇠가 최소로 이루어지는 형태이며, 제9도 (b)는 제9도 (a)의 형태에서 제2광섬유(30b)가 제1광섬유(30a)에 대해 180°회전하여 최대의 광감쇠기가 이루어지는 배열형태이다. 제9도 (a), (b)에 도시된 광섬유(30a,b)의 비구면렌즈(35a,b)의 표면에도 역반사를 최대한으로 감소시키기 위해 AR코팅(미도시)을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제5도 내지 제8도에 도시된 광감쇠기에 있어서, 제1,2광섬유의 비구면 렌즈가 대향하고 있는 공간, 즉 에어갭이 형성되어 있는 공간에 인덱스 매칭(index matching)용 오일 또는 수지를 채워넣으면, 역반사가 더욱 감소되며, 굴절율 정합이 보다 바람직하게 이루어진다.
지금까지 제3도 내지 제9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 비구면렌즈(35)(35a,b)는 싱글 모드 또는 멀티 모드의 광섬유었지만, 본 발명에 따른 비구면 렌즈는 상기 싱글 모드 또는 멀티 모드의 광섬유에 한정하지 않고 제10도 (a),(b),(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싱글 모드의 광섬유(112)와 멀티 모드의 광섬유(!14)가 결합한 형태의 광섬유(110)와, 싱글 모드의 광섬유(112)와 무도핑형의 광섬유(116)가 결합한 광섬유(120) 및 싱글 모드의 광섬유(112)와 멀티 모드의 광섬유(114)와 무도핑형의 광섬유(116)가 직렬로 결합한 광섬유(130)에도 비구면렌즈(122)(124)(126)를 형성하여 이들 광신호에서 발생하는 역반사를 감소시킬 수 있다. 여기서, 싱글 모드의 광섬유(112)와 멀티 모드의 광섬유(114)의 차이점은 이들 광섬유 코어(SC)(MC)의 두께에 그 차이점이 있으며, 그 코어의 두께가 큰 멀티 모드의 광섬유(114)는 초기 감쇠값을 줄일 수 있는, 즉 개구수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지며, 무도핑형의 광섬유(116)는 그 내부에 코어가 없는 것을 말한다. 제3도 내지 제9도에 도시된 광섬유들은 그 코어의 두께에만 차이점이 있기 때문에 싱글 모드의 광섬유 또는 멀티 모드의 광섬유일 수 있으며, 제10도에 도시되어 있는 광섬유들에 있어서 이들 광섬유들을 구성하는 광섬유간의 접속은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는 바와 같이 열융착에 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감쇠기는, 광감쇠기를 구성하는 광섬유의 단면부위를 비구면 렌즈로 함으로써 광감쇠기의 광감쇠 정밀성을 향상시키고 역반사의 영향을 배제시킬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Claims (19)

  1. 소정의 광신호를 감쇠시키는 광감쇠기에 있어서, 대향적으로 배치된 제1,2광섬유의 각 단면이 비구면 렌즈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감쇠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광섬유 사이에는 에어갭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감쇠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갭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1,2광섬유를 소정거리 이격시켜 정렬시키는 정렬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감쇠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수단은 상기 제1,2광섬유를 각각 홀딩하여 고정시키는 제1,2지지홀더와, 상기 제1,2지지홀더의 외곽을 감싸서 상기 광섬유 및 지지홀더를 정렬시키는 정렬 슬리브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감쇠기.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 슬리브내에서 상기 제2지지홀더를 광축방향으로 전·후진시켜 상기 제1,2광섬유의 비구면렌즈사이의 거리를 조정하는 렌즈거리 조정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감쇠기.
  6.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 슬리브내에서 상기 제2지지홀더를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감쇠기.
  7. 제1항 내지 제4항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지지홀더 사이에 형성되는 에어갭의 공간에는 공기, 오일 또는 수지중의 어느 하나가 충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감쇠기.
  8.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수단은 상기 제1,2광섬유를 각각 홀딩하여 고정시키는 제1,2지지홀더와, 상기 제1광섬유의 비구면렌즈가 그 내부에 있도록 상기 제1지지홀더의 일부를 감싸는 제1슬리브부와, 상기 제2광섬유의 비구면 렌즈가 그 바깥에 있도록 상기 제2지지홀더의 일부를 감싸는 제2슬리브를 구비하여 상기 제1슬리브 내부에 상기 제2지지홀더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감쇠기.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수단은 상기 정렬슬리브 외부에 고정 설치되며 톱니나사를 갖는 수나사부와, 상기 수나사부의 톱니나사와 치합되는 톱니나사를 갖으며 상기 제2광섬유와 고정결합되는 암나사부를 구비하며, 상기 암나사부를 회전시키면 상기 정렬슬리브내에서 상기 제2지지홀더가 전·후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감쇠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광섬유와 상기 암나사부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2지지홀더와 제2광섬유를 일체로 고정시키는 플랜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감쇠기.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에 결합되며 상기 수나사부에 형성된 관통공내에서 상기 암나사부의 회전에 따라 전·후진하지만 상기 플랜지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감쇠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광섬유의 비구면의 적어도 어느 한표면에 AR 코팅이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감쇠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광섬유의 각 축이 일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감쇠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광섬유의 각 축이 일치하지 않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감쇠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는 싱글 모드의 광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감쇠기.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는 멀티 모드의 광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감쇠기.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는 상기 싱글 모드의 광섬유와 멀티 모드의 광섬유가 결합된 형태의 광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감쇠기.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는 싱글 모드의 광섬유와 무도핑형 광섬유가 결합된 형태의 광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감쇠기.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는 싱글 모드의 광섬유와 멀티 모드의 광섬유와 무도핑형의 광섬유가 결합된 형태의 광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감쇠기.
KR1019960019628A 1995-12-30 1996-06-03 광 감쇠기 Expired - Fee Related KR1001887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756,411 US5917985A (en) 1995-12-30 1996-11-27 Optical attenu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9950069790 1995-12-30
KR101995069790 1995-12-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188710B1 true KR100188710B1 (ko) 1999-06-01

Family

ID=19448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9628A Expired - Fee Related KR100188710B1 (ko) 1995-12-30 1996-06-03 광 감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887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3128B1 (ko) 2007-05-14 2009-02-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광 하이브리드 모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3128B1 (ko) 2007-05-14 2009-02-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광 하이브리드 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39330A (en) Multiple optical switch
US7474822B2 (en) Optical fiber collimator
US7068883B2 (en) Symmetric, bi-aspheric lens for use in optical fiber collimator assemblies
US5082345A (en) Optical fiber connecting device including attenuator
US5325459A (en) Optical attenuator used with optical fibers and compensation means
JP2786322B2 (ja) 反射軽減集成装置
US5917985A (en) Optical attenuator
EP1180700A2 (en) Optical coupling
US20230168436A1 (en) Fiber optic ferrule and interface for coupling hollow-core and solid-core optical fibers
GB2137768A (en) Optical connectors
GB2031182A (en) Optical waveguid arrangements
KR100451927B1 (ko) 가변 광감쇠기
US20010046349A1 (en) Retroreflective multi-port filter device with triple-fiber ferrule
CN115808744A (zh) 一种高一致性的光纤光开关
KR100188710B1 (ko) 광 감쇠기
US6707960B2 (en) Reflection type compact optical switch
EP0089758A2 (en) Optical fibre attenuators
KR100361441B1 (ko) 탭 커플러
CA1185469A (en) Fixed optical attenuator
US4747651A (en) Three-way start splitter for optical wave guides
US6469835B1 (en) Optical collimator with long working distance
US6970615B1 (en) Compact high-stability optical switches
JPH0651113A (ja) 光バンドパスフィルタモジュール
JPH11218638A (ja) 光学構成素子
US20250020868A1 (en) Back-reflection-reduced optical waveguide plug and optical waveguide connector with such a plu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060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6060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10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1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901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12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12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2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2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2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2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02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10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91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