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0125613B1 - 작업차용 라디에이터 팬 장치 - Google Patents

작업차용 라디에이터 팬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5613B1
KR0125613B1 KR1019940017394A KR19940017394A KR0125613B1 KR 0125613 B1 KR0125613 B1 KR 0125613B1 KR 1019940017394 A KR1019940017394 A KR 1019940017394A KR 19940017394 A KR19940017394 A KR 19940017394A KR 0125613 B1 KR0125613 B1 KR 01256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ey
switching member
radiator
fan
work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7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5237A (ko
Inventor
노리무네 오자키
고지 야마가타
마사루 이케다
시게키 하야시
가즈요시 히라타
Original Assignee
미츠이 고헤이
가부시키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이 고헤이, 가부시키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미츠이 고헤이
Publication of KR950025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52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56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56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67/00Engine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auxiliary apparatus not being otherwise provided for, e.g. the apparatus having different functions; Driving auxiliary apparatus from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B67/04Engine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auxiliary apparatus not being otherwise provided for, e.g. the apparatus having different functions; Driving auxiliary apparatus from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mechanically-driven auxiliary apparatus
    • F02B67/06Engine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auxiliary apparatus not being otherwise provided for, e.g. the apparatus having different functions; Driving auxiliary apparatus from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mechanically-driven auxiliary apparatus driven by means of chains, belts, or like endless members

Landscapes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Combines (AREA)

Abstract

작업차의 라디에이터용 팬 장치는 항상 회전구동되는 전동벨트, 라디에이터용 팬, 전동벨트와의 접촉에 의해 전동벨트의 회전을 팬의 정회전 방향으로의 구동력으로서 팬에 전달하기 위한 제1풀리, 전동벨트와의 접촉에 의해 전동벨트의 회전을 역회전 방향으로의 구동력으로서 팬에 전달하기 위한 제2풀리, 제1풀리를 전동벨트와 접촉하게 하는 제1위치와, 제2풀리를 전동벨트와 접촉하게 하는 제2위치의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변위가능한 전환부재, 이 전환부재를 제1위치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스프링, 전환부재를 가압스프링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제2위치로 조작하는 조작와이어, 및 전동벨트와의 접촉에 의해 전동벨트의 장력을 유지하는 텐션풀리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작업차용 라디에이터 팬 장치
제1도는 콤바인의 전체 측면도,
제2도는 콤바인의 보닛부근의 단면을 도시한 정면도,
제3도는 전환부재의 정전(正轉)상태 표시도,
제4도는 전환부재의 역전(逆轉)상태 표시도,
제5도는 전환부재의 조작스케쥴 표시도,
제6도는 본 발명에 의한 라디에이터 팬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흐름도,
제7도는 전환부재의 정전상태의 상세 표시도,
제8도는 전환부재의 역전상태의 상세 표시도,
제9도는 전환부재 주변을 표시하는 단면도,
제10도는 전환부재에 지지되는 역전용 풀리의 지지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11도는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환부재에 지지되는 역전용 풀리의 지지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12도는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가압수단 표시도,
제13도는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환부재의 조작스케쥴 표시도,
제14도는 라디에이터 팬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흐름도,
제15도, 제16도, 제17도는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1감기부재의 단면도,
[발명의 배경]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작업차에 장치되는 라디에이터에 있어서, 라디에이터에 냉각용의 외기(外氣)를 안내하는 팬의 정역전(正逆轉) 전환구조에 관한 것이다.
[관련기술에 대한 설명]
상기와 같은 라디에이터용 팬의 정역전 전환구조의 일예가 일본국 실개평 4-100038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이 구조에서는 엔진의 동력에 의해 항상 일정방향으로 회전구동되는 전동벨트와, 정전(正轉)용 풀리와 역전(逆轉)용 풀리를 지지하는 전환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의해 정전위치로 전환부재를 조작하여 전환부재의 정전용 풀리를 전동벨트의 내면으로 가압하면 전동벨트의 동력이 정전용 풀리 및 전동벨트를 통하여 정회전 방향으로의 구동력으로서 팬에 전달된다. 이에 의해 팬이 정전구동되어 외기가 라디에이터를 통하여 흡입된다.
반대로, 역전위치로 전환부재를 조작하여 전환부재의 역전용 풀리를 전동벨트의 외면으로 가압하면 전동벨트의 동력이 역전용 풀리 및 전동벨트를 통하여 역전방향으로의 구동력으로서 팬에 전달되고 팬이 역전구동된다.
이상의 구조에 의해, 통상 상태에서는 팬을 정전구동하여 외기가 라디에이터를 통하여 흡입되도록 해두고, 설정시간마다 팬을 역전구동하여 라디에이터의 표면이나 라디에이터용 방진망에 부착된 먼지 등을 날려보내는 것이다.
그리고, 이 구조에서는 전환부재를 정전위치 및 역전위치로 이동조작할 경우, 스프링으로 전환부재를 정전위치측으로 가압하고 있고, 전환부재의 아암에 와이어를 직접 접속하여 이 와이어의 당김조작에 의해 전환부재를 정전위치로 이동조작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와같이 스프링으로 전환부재를 정전위치측으로 가압하는 것은, 와이어가 절단되는 등의 파손이 생겨도 항상 팬이 정전구동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상기 구조에서는 전환부재를 정전위치로 조작하면 스프리의 가압력으로 정전용 풀리가 전동벨트의 내면으로 가압되도록 되기 때문에 회전에 수반하여 전동벨트가 진동하더라도 이와는 관계없이 정전용 풀리가 추종(追從)하여 전동벨트의 장력이 유지된다.
반대로, 상기 구조에 있어서 전환부재를 역전위치로 조작할 경우, 와이어의 당김조작에 의해 전환부재를 역전위치로 조작하고 있다. 이 경우, 와이어의 당김조작량은 대략 일정하기 때문에 와이어의 당김조작량으로 전환부재를 역전위치로 조작하여 역전용 풀리를 전동벨트의 외면으로 가압한 상태에 있어서, 회전에 수반하여 전동벨트가 진동하면, 전동벨트로의 역전용 풀리의 가압이 충분하지 않게 되는 순간이 생기고, 전동벨트의 장력이 일시적으로 저하하여 팬이 정상으로 역전구동되지 않는 상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이동조작자재의 전환부재에 정전용 풀리 및 역전용 풀리를 지지하는 라디에이터용 팬의 정역전 전환구조에 있어서, 팬의 역전구동시에 있어서도 팬이 정상으로 역전구동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에 의한 작업차의 라디에이터용 팬 장치는 항상 회전구동되는 회전밸트, 라디에이터용 팬, 상기 전동벨트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전동벨트의 회전을 상기 팬의 정회전 방향으로의 구동력으로서 상기 팬에 전달하기 위한 제1풀리, 상기 전동벨트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전동벨트의 회전을 역회전 방향으로의 구동력으로서 상기 팬에 전달하기 위한 제2풀리, 상기 제1풀리를 상기 전동벨트와 접촉시키는 제1위치와, 상기 제2풀리를 상기 전동벨트와 접촉시키는 제2위치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변위가능한 전환부재, 상기 전환부재를 상기 제1위치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수단, 상기 전환부재를 상기 가압수단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상기 제2위치로 조작하는 조작수단, 및 상기 전동벨트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전동벨트의 장력을 유지하는 텐션풀리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의한 팬 장치에서는 전동벨트가 진동하더라도 텐션풀리가 전동벨트의 장력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정전용 풀리 혹은 역전용 풀리가 전동벨트에 대하여 더욱 확실하게 가압되고, 팬의 기능이 저하되는 일이 적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효과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에서 보다 명료하게 알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제1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우 한쌍의 크롤러식의 주행장치(1)로 지지된 기체의 후부에 탈곡장치(2), 기체의 전부에 예취부(3)를 구비하고 예취부(3)의 후부 우측에 운전부(4)를 배치하여 곡물의 예취수확용 콤바인을 구성하고 있다.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엔진(5)을 덮는 보닛(6)의 상부에 운전부(4)용의 조종석(7)을 구비하고있으며, 보닛(6)내에 엔진(5)용의 라디에이터(8)와 팬(9)을 배치하고 있다.
다음에 라디에이터(8)용 팬(9)의 구동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9도 및 제3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엔진(5)의 측면에 지지된 회전축(10)에 풀리(11)가 고정되어 이 풀리(11), 엔진(5)의 출력풀리(12) 및 교류기(13)의 입력풀리(13a)에 걸쳐 제1전동벨트(14)가 감겨 있다.
제3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교류기(13)의 케이스의 횡축심(P3) 주위에 지지아암(15a)이 요동자재로 지지되고, 지지아암(15a)의 선단에 텐션풀리(15)가 구비되어 있고, 지지아암(15a)을 제1전동벨트(14)측으로 가압하는 스프링(15a)이 접속되어 있다.
이에 의해 텐션풀리(15)가 항상 제1전동벨트(14)의 외면으로 가압되어 있다. 회전축(10)에 평판형상으로 삼각형상의 전환부재(16)가 요동자재로 지지되고, 전환부재(16)에 풀리를 2개 겹친 것같은 정전용 풀리(17)와, 풀리를 2개 겹친 것같은 역정용 풀리(18)가 지지되어있다. 회전축(10)의 풀리(11)에 팬(9)이 베어링에 의해 상대 회전자재로 지지되고, 팬(9)의 기부에 입력풀리(9a)가 형성되어 있고, 입력풀리(9a)와 전환부재(16)의 정전용 및 역전용 풀리(17,18)에 걸쳐 제2전동벨트(19)가 감겨 있다.
제7도 및 제10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환부재(16)에 고정된 지지축(17a)에 정전용 풀리(17)가 지지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역전용 풀리(18)의 지지축(18a)은 볼트(21)및 브래킷(22)에 의해 전환부재(16)의 긴구멍(16a)에 따라 위치조절자재로 지지되어 있고, 정전용 및 역전용 풀리(17,18)의 간격을 미세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상의 구조에 의해 출력풀리(12)나 제1전동벨트(14)는 제3도에 도시하는 화살표 방향으로 항상 회전하고 있다. 그리고, 전환부재(16)을 제3도에 도시하는 제1위치인 정전위치(A)에 요동조작하면 정전용 풀리(17)가 제1전동벨트(14)의 내면에 지면(紙面)우측에서 가압되고, 제1전동벨트(14)의 동력이 제2전동벨트(19)를 통하여 입력풀리(9a)에 정전용 구동력으로서 전달되고, 팬(9) 및 입력풀리(9a)가 제3도의 시계방향으로 정전구동된다.
이와같이 팬(9)이 정전구동되는 상태에 있어서, 제2도의 실선의 화살표로 표시하는 바와같이 팬(9)의 흡인작용에 의해 외기가 냉각풍으로서 보닛(6)의 방진망(20)에서 라디에이터(8)를 지나 엔진(5)측으로 흐르는 것이고, 이 상태가 통상 상태이다.
반대로, 전환부재(16)를 제4도에 도시하는 제2위치인 역전위치(B)로 요동조작하면 역전용 풀리(18)가 제1전동벨트(14)의 외면으로 도면의 좌측에서 가압되어 제1전동벨트(14)의 동력이 역전용 풀리(18) 및 제2전동벨트(19)를 통하여 입력풀리(9a)에 역전용 동력으로서 전달되고, 팬(9)및 입력풀리(9a)가 제4도의 반시계방향으로 역전구동된다.
이와같이 팬(9)이 역전구동되는 상태에 있어서, 제2도의 이점쇄선의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같이 팬(9)의 불어내는 작용에 의해 공기가 상기와는 반대로 흘러서 라디에이터(6)의 표면 및 방진망(20)의 특히 하측에 부착된 먼지등이 날려버린다.
다음에 팬(9)용 전환부재(16)의 요동조작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7도 및 제9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전환부재(16)의 회전축(10)과는 다른 위치에 원반형상의 제1감기부재(23)가 축심(P)주위에 회전자재로 지지되어서 제1감기부재(23)를 회전구동하는 모터(24)가 구비되어 있고, 전환부재(16)에도 반원반형상의 제2감기부재(25)가 고정되어있다. 제1감기부재(23)의 접속부분인 핀(23a)에 접속된 와이어(26)가 제2감기부재(25)에 감겨 전환부재(16)의 지지축(17a)에 접속되어 있고, 제1감기부재(23)의 핀(23a)과 전환부재(16)에 걸쳐 스프링(27)이 접속되어 있다.
제7도에 도시하는 상태는 제1감기부재(23)가 전환부재(16)의 제1위치인 정전위치(A)에 대응하는 각도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이고, 스프링(27)의 인장작용에 의해 전환부재(16)가 정전위치(A) 로 요동조작되어서 팬(9)이 정전구동되고 있는 상태이다.(제3도참조). 이상태로 와이어(26)가 조금 느슨해져서 스프링(27)의 가압력과 제1전동벨트(14)의 장력이 균형을 이룬다.
이 경우, 스프링(27) 및 핀(23a)의 제1감기부재(23)의 축심(P1)을 도면의 우측으로 넘어서 스프링(27)의 가압력에 의해 제1감기부재(23)가 지면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하고 있으나, 제1감기부재(23)를 제7도에 도시하는 각도에서 정지시키는 스토퍼(29)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스프링(27)의 가압력 및 스토퍼(29)의 작용에 의해 제1감기부재(23)가 제7도에 도시하는 각도로 유지된다.
다음에, 모터(24)에 의해 제1감기부재(23)를 도면의 반시계방향으로 약 180°만큼 회전구동하면 와이어(26)가 제1감기부재(23)에 감기면서 당김조작되어 전환부재(16) 및 제2감기부재(25)도 도면의 반시계방향으로 요동하고, 제8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전환부재(16)가 역전위치(B)로 요동조작되어서 팬(9)이 역전구동된다.(제4도 참조)
이 제7도 내지 제8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전환부재(16)를 정전위치(A)에서 역전위치(B)로 요동조작하면 전환부재(16)의 요동에 수반하여 스프링(27)이 전환부재(16)측으로 당김조작되게 되는데, 이와 동시에 스프링(27)이 접속되는 제1감기부재(23)의 핀(23a)도 전환부재(16)측으로 이동(제1감기부재(23)의 직경길이정도) 하므로 전환부재(16)의 정전위치(A)에서 역전위치(B)로의 요동조작에 대하여 스프링(27)이 큰 저항이 되는 일은 없다.
반대로 제8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제1감기부재(23)가 전환부재(16)의 역전위치(B)에 대응하는 각도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모터(24)에 의해 제1감기부재(23)를 도면의 시계방향으로 약180°만큼 회전구동하면 와이어(26)가 제1감기부재(23)에서 풀려나와 핀(23a)의 이동에 의해 스프링(27)이 당김조작되어서 스프링(27)의 가압력에 의해 전환부재(16) 및 제2감기부재(25)도 도면의 반시계방향으로 요동하여 제7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전환부재(16)가 정전위치(A)로 요동조작되는 것이다.
다음에, 전환부재(16)를 제4도 및 제8도의 역전위치(B)로 요동조작할 경우의 사이클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사이클에서는 제5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최초에 설정시간(T2)동안만큼 전환부재(16)가 정전위치(A)에 유지되고, 다음에 전환부재(16)가 정전위치(A)에 서 역전위치(B)로 요동조작되는 것이고, 이 동안은 팬(9)에 동력이 흐르지 않는다. 그리고, 전환부재(16)가 설정시간(T3)동안만큼 역전위치(B)에 유지되고, 다음에, 전환부재(16)가 역전위치(B)에서 정전위치(A)로 요동조작되어서 주기(T1)의 1회의 사이클을 종료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사이클에 있어서, 팬(9)이 정전구동되어 있는 상태에서 팬(9)으로의 동력을 한번 차단함으로써(제5도의 중립위치 참조)제2도에 도시하는 라디에이터(8)의 표면(제2도의 지면 좌측의 면)에 부착된 비교적 큰 먼지 등을 기체의 진동에 의해 라디에이터(8)와 방진망(20) 사이의 아래쪽으로 낙하시킨다. 다음에 팬(9)을 역전구동함으로써 라디에이터(8)의 표면에 부착된 먼지 등을 날려서 라디에이터(8)와 방진망(20) 사이의 아래쪽으로 낙하시키는 것이고, 방진망(20)에 부착된 먼지등을 바깥쪽으로 날리는 것이다.
다음에, 통상의 작업중에 있어서, 제5도에 도시하는 사이클로 전환부재(16)를 역전위치(B)로 요동조작할 경우의 제어의 흐름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6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엔진(5) 작동중에 있어서(스템(S1)), 탈골 클러치(도시않음)가 오프위치로 조작되어 있으면(스텝(S2)), 전환부재(16)는 정전위치(A)에 유지되어 있고(스텝(S9)), 탈곡 클러치가 온위치(제2도의 탈곡장치(2)의 작동)로 조작되면(스텝(S2)), 이하와 같은 제어가 개시된다.
제어가 개시되면 우선 전환부재(16)가 정전위치(A)로 요동조작되어 (스텝(S3)), 타이머(도시않음)가 카운트를 개시하고(스텝(S4)), 설정시간(T2)이 경과되기까지 전환부재(16)가 정전위치(A)에 유지된다.(스텝(S5)). 다음에 설정시간(T2)이 경과되면 (스텝(S5)), 전환부재(16)가 정전위치(A)에서 역전위치(B)로 요동조작되고(스텝(S6)), 타이머의 카운트가 재차 개시되어서(스텝(S7)), 설정시간(T3)이 경과되기까지 전환부재(16)가 역전위치(B)에 유지된다.(스텝(S8)).
그리고, 설정시간(T3)이 경과되면(스텝(S8)) 스텝(S1, S2)에서 스텝(S3)으로 이행하고, 전환부재(16)가 역전위치(B)에서 정전위치(A)로 요동조작되어서 1회의 사이클을 종료한다. 이와같이 하여 제5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은 주기(T1)의 사이클이 반복되어가는 것이다.
제10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은 전환부재(16)에 있어서의 역전용 풀리(18)의 위치조절의 구조에 대신하여 제11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은 구조를 구비하여도 좋다.
제11도의 구조에서는 브래킷(32)에 의해 역전용 풀리(18)의 지지축(18a)을 지지하는 지지로드(31)를 스프링(33)으로 정전용 풀리(17)에서 이격되는 방향(제2 전동벨트(19)의 인장방향)으로 가압하고 있다.
이 경우, 전환부재(16)에 대하여 역전용 풀리(18)의 위치를 고정하고, 제10도 또는 제11도에 도시하는 구조를 정전용 풀리(17)에 적용하여도 좋다.
제7도 및 제8도에 도시하는 구조에서는 인장의 가압력을 갖는 스프링(27)으로 전환부재(16)를 정전위치(A)로 요동조작하고 있으나 이 스프링(27)에 대신하여 제12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은 구조를 구비하여도 된다.
제12도의 구조에서는 전환부재(16)의 내측에 있어서, 엔진(5)의 횡축심(P2) 주위에 훅형상의 지장아암(34)을 요동자재로 지지하고, 지지아암(34)의 선단에 로드(35)를 고정하여, 로드(35)를 정전용 풀리(17)의 지지축(17a)의 관통구멍에 미끄럼 자재로 삽입하고 있다. 로드(35)의 선단에 지지판(36)을 고정하고, 로드(35)의 지지축(17a)측에 지지판(37)을 미끄럼 자재로 끼워 한쌍의 지지판(36,37)사이에 스프링(38)을 압축상태로 부착하고 있다.
제12도의 실선으로 표시하는 상태는 전환부재(16)를 정전위치(A)로 조작하고 있는 상태이고, 이 상태에서 와이어(26)를 당김조작하여 전환부재(16)를 이점쇄선으로 표시하는 역전위치(B)로 요동조작하면 회전축(10)을 중심으로 하는 지지축(17a)의 이동궤적과, 횡축심(P2)을 중심으로 하는 지지판(37)의 이동궤적과의 차에 의해 지지판(37)이 지지축(17a)에 의해 외측(지지판(36)측)으로 압출되어 스프링(38)이 압축된다.
그리고, 전환부재(16)를 역전위치(B)로 요동조작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제8도의 제1감기부재(23)에서 와이어(26)를 풀어 내어가면 압축된 스프링(38)이 뻗으려고 하여, 지지판(37) 및 지지축(17a)을 내측(회전측(10)측)으로 가압하므로 이 스프링(38)의 가압작용에 의해 전환부재(16)가 역전위치(B)에서 정전위치(A)로 요동조작된다.
제5도에 도시하는 전환부재(16)의 사이클 및 제6도에 도시하는 전환부재(16)의 제어에 대신하여 제13도 및 제14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구성하여도 좋다.
제14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엔진(5)의 작동중에 있어서, (스텝(S11)), 탈골클러치가 온위치(제1도의 탈곡장치(2) 작동)로 조작되고 (스텝(S12)), 제1도의 예취부(3)에 예취된 곡식줄기의 존재가 포기줄기스위치(도시않음)에 의해 검출되고 있다.(스텝(S13))고 하는 실제의 예취작업중에 라디에이터(8)의 수온이 설정온도보다 높아지면 (스텝(S14)), 제13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은 역전모드 사이클이 1회만 행해진다.(스텝(S15)). 그리고, 이이외의 상태에서는 전환부재(16)는 제3도 및 제7도에 도시하는 정전위치(A)에 유지되어 있다.(스텝(S16))
이 역전모드 사이클에서는 제13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최초에 설정시간(T5)동안만큼 전환부재(16)가 정전위치(A)에 유지되고, 다음에 설정시간(T6)에 걸쳐 전환부재(16)가 정전위치(A)에서 역전위치(B)로 요동조작되므로, 이동안은 팬(9)에 동력이 전달되지 않는다. 그리고, 전환부재(16)가 설정시간(T6)동안만큼 역전위치(B)에 유지되고, 다음에 설정시간(T6)에 걸쳐 전환부재(16)가 역전위치(B)에서 정전위치(A)로 요동조작되어서 주기(T4)의 1회의 역전모드 사이클을 종료한다.
이 경우, 제13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전환부재(16)가 정전위치(A)에서 역전위치(B)로 (또는 반대로)요동조작하는 설정시간(T6), 및 전환부재(16)가 역전위치(B)에 유지되는 설정시간(T6)을 대략 같은 길이로 설정하고 있으며, 전환부재(16)가 정전위치(A)에 유지되는 설정시간(T5)을 설정시간(T6)보다 길게 설정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주기(T4)의 역전모드 사이클을 1회만 작동시켜도 라디에이터(8)의 수온이 설정온도보다 낮아지지 않으면(스텝(S14)), 다시 1회만 역전모드 사이클을 작동시키는 것이고, 이 역전모드 사이클을 반복해서 라디에이터(8)의 소온이 설정온도보다 낮아지면 스텝(S16)의 통상상태로 복귀하는 것이다.
제7도 및 제9도에 도시하는 제1감기부재(23)를 제15도, 제16도, 제17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구성하여도 좋다.
제15도의 구조에서는 평판형상의 원반부재(23a)에 원추형상의 링부재(23b)를 용접고정하여 제1감기부재(23)를 구성하고 있으며, 모터(24)에 의해 구동되는 기어(39)를 원반부재(23a)에 볼트연결하고 있다.
제16도의 구조에서는 단면 V자형상의 링부재(23C)를 단부착의 원반부재(23d)에 용접고정하여 제1감기부재(23)를 구성하고 있으며, 모터(24)에 의해 구동되는 기어(39)를 원반부재(23d)에 볼트연결하고 있다.
제17도의 구조에서는 평판형상의 원반부재(23e)에 단면 L자상의 링부재(23f)를 용접고정하여 제1감기부재(23)를 구성하고 있으며, 모터(24)에 의해 구동되는 기어(39)를 원반부재(23e)에 볼트연결하고 있다.
제15도의 구조에서는 원반부재(23a) 및 링부재(23b)의 2개에 와이어(26)가 접촉하고, 제16도의 구조에서는 링부재(23c)의 좌우측면의 2개에 와이어(26)가 접촉하고 있으므로 전환부재(16)를 제8도에 도시하는 역전위치(B)에 요동조작할 경우, 모터(24)의 정지작용에 더하여 제1감기부재(23)로의 와이어(26)의 침투 및 마찰에 의해 전환부재(16)가 역전위치(B)에 확실하게 유지된다.
이상의 제7도, 제12도, 제15도, 제16도, 제17도의 구조에서는 제1 및 제2감기부재(23,25)를 동그란 원반형상 및 반원반형상으로 구성하고 있으나, 제1및 제2감기부재(23,25)를 8각형이나 12각형의 다각형상의 원반형상이나 반원반형상으로 구성하여도된다. 또, 제3도 및 제4도의 구조에 있어서, 정전용 및 역전용 풀리(17,18)의 위치관계를 반대로 설정하여 정전용 풀리(17)를 제1전동벨트(14)의 외면으로 가압하도록, 역전용 풀리(18)를 제1전동벨트(14)의 내면으로 가압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제7도 및 제12도의 구조에서는 모터(24)에 의해 제1감기부재(23)를 회전구동하여 와이어(26)를 당김조작하도록 구성하고 있으나 이 모터(24)를 장치하지 않고, 조작레버(도시않음)등에 의해 작업자가 손으로 인위적으로 제1감기부재(23)를 회전구동하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Claims (15)

  1. 항상 회전구동되는 전동벨트, 라디에이터용팬, 상기 전동벨트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전동벨트의 회전을 상기 팬의 정회전 방향으로의 구동력으로서 상기 팬에 전달하기 위한 제1풀리, 상기 전동벨트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전동벨트의 회전을 역회전 방향으로의 구동력으로서 상기 팬에 전달하기 위한 제2풀리, 상기 제1풀리를 상기 전동벨트와 접촉하게 하는 제1위치와, 상기 제2풀리를 상기 전동벨트와 접촉하게 하는 제2위치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변위가능한 전환부재, 상기 전환부재를 상기 제1위치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수단, 상기 전환부재를 상기 가압수단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상기 제2위치로 조작하는 조작수단으로 구성되는 작업차의 라디에이터용 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동벨트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전동벨트의 장력을 유지하는 텐션풀리를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의 라디에이터용 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부재의 변위는 축심주위의 요동이고, 상기 조작수단은, 상기 전환부재의 축심과는 별도의 축심주위에서 요동가능한 제1감기부재와, 상기 전환부재에 설치된 제2감기부재, 상기 제1감기부재와 상기 제2감기부재 사이에서 연결된 와이어를 구비하고, 상기 와이어에 의해 제1감기부재가 요동될 때, 상기 제2감기부재와 함께 상기 전환부재가 상기 가압수단에 대항하여 상기 제2위치로 요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의 라디에이터용 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제1감기부재의 접속부와, 상기 접속부분과 상기 전환부재 사이에 부착된 가압스프링을 구비하고, 이 접속부분은 상기 제1감기부재가 상기 전환부재의 제1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일 때에는 상기 전환부재의 상기 축심에서 이격되고, 상기 제1감기부재가 상기 전환부재의 제2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일 때에는 상기 전환부재의 상기 축심에 접근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의 라디에이터용 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감기부재는 전체적으로 원반형상이고, 상기 접속부는 상기 제1감기부재의 지름방향 바깥쪽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의 라디에이터용 팬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풀리는 상기 전동벨트의 걸어맞춤방향으로 스프링에 의해 가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의 라디에이터용 팬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감기부재에는 그 회전운동을 규제하기 위한 스토퍼와 접촉하는 접촉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의 라디에이터용 팬 장치.
  7. 제2항 내지 제4항과 제6항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팬은 상기 전환부재의 상기 축심주위에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의 라디에이터용 팬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제1풀리와 상기 제2풀리는 상기 전동벨트의 양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전환부재가 상기 제1위치에 있을때에는 상기 제1풀리는 상기 전동벨트의 내측과 접촉하고, 상기 전환부재가 상기 제2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제2풀리는 상기 전동벨트의 외측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의 라디에이터용 팬장치.
  9. 제2항 내지 제8항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의 한끝은 상기 제1감기부재에 대하여 상기 접속부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의 라디에이터용 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의 다른끝은 상기 제1풀리의 회전축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의 라디에이터용 팬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제1풀리와 제2풀리는 같은 지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의 라디에이터용 팬장치.
  12. 제1항 내지 제11항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제2풀리에는 상기 제1풀리와 제2풀리의 거리를 미세조정하기 위한 조절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의 라디에이터용 팬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수단은 상기 제2풀리의 축을 지지하는 브래킷과 이 브래킷과 상기 전환부재의 사이를 조절하는 볼트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의 라디에이터용 팬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수단은 상기 제2풀리를 상기 제1풀리에서 이격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의 라디에이터용 팬 장치
  15. 제1항 내지 제12항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제1풀리와 제2풀리와 상기 팬은 제2전동벨트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의 라디에이터용 팬장치.
KR1019940017394A 1994-02-04 1994-07-19 작업차용 라디에이터 팬 장치 KR01256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202794A JPH07217432A (ja) 1994-02-04 1994-02-04 ラジエータ用のファンの正逆転切換構造
JP94-012027 1994-02-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5237A KR950025237A (ko) 1995-09-15
KR0125613B1 true KR0125613B1 (ko) 1998-08-01

Family

ID=11794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7394A KR0125613B1 (ko) 1994-02-04 1994-07-19 작업차용 라디에이터 팬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H07217432A (ko)
KR (1) KR0125613B1 (ko)
CN (1) CN1070992C (ko)
EG (1) EG2051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34104A (ja) * 2013-01-08 2014-07-24 Mitsubishi Agricultural Machinery Co Ltd 作業車輌
CN106246325A (zh) * 2016-09-24 2016-12-21 雷沃重工股份有限公司 发动机风扇控制装置
JP6863339B2 (ja) * 2018-05-31 2021-04-21 井関農機株式会社 乗用芝刈機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228586A1 (de) * 1992-02-06 1993-08-12 Kloeckner Humboldt Deutz Ag Kuehlanl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0116A (zh) 1996-04-10
CN1070992C (zh) 2001-09-12
EG20512A (en) 1999-06-30
JPH07217432A (ja) 1995-08-15
KR950025237A (ko) 1995-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25613B1 (ko) 작업차용 라디에이터 팬 장치
KR102576378B1 (ko) 작업차의 엔진 냉각 장치
EP0798196B1 (en) Working vehicle
JP2838829B2 (ja) 作業車のラジエータ用のファンの正逆転切換構造
JPH07224655A (ja) ラジエータ用のファンの正逆転切換構造
CA2100738A1 (en) Belt Clutch Control Apparatus
JP2838828B2 (ja) ラジエータ用のファンの正逆転切換構造
JPS6319647Y2 (ko)
JP2907709B2 (ja) ラジエータ用のファンの正逆転切換構造
JPH0544812A (ja) 多軸駆動用アクチユエータ
JP6627929B2 (ja) コンバインの原動部
JP2019078358A (ja) 正逆転ファンの伝動部構造
JP2938776B2 (ja) 作業機の冷却風供給ファンの逆転駆動機構
JPH07259557A (ja) 作業車のボンネット構造
JP2788602B2 (ja) ラジエータ用のファンの正逆転切換構造
JPH08189357A (ja) 作業機の冷却風供給ファンの逆転駆動機構
JPH11182640A (ja) 自動作動テンションクラッチ機構
JPH0411802A (ja) 振動式畦塗機
JPH031657Y2 (ko)
JPH05162120A (ja) ワイヤソー駆動装置
JPH05248508A (ja) 作業車の走行伝動構造
KR200256765Y1 (ko) 벨트전동장치의 변속장치
JPH08116755A (ja) 動力伝達機構
JPH07184428A (ja) 田植機の植付クラッチ操作部構造
JP2808451B2 (ja) 伝達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407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4071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707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710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710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09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9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10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92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00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92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92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92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92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925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007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920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924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924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EXPY Expiration of term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150119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