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0119473B1 - 연마제가 함유된 액체 세정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연마제가 함유된 액체 세정제 조성물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9473B1
KR0119473B1 KR1019950016830A KR19950016830A KR0119473B1 KR 0119473 B1 KR0119473 B1 KR 0119473B1 KR 1019950016830 A KR1019950016830 A KR 1019950016830A KR 19950016830 A KR19950016830 A KR 19950016830A KR 0119473 B1 KR0119473 B1 KR 01194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mposition
detergent composition
liquid detergent
abra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6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1524A (ko
Inventor
박희진
유명규
이동탁
Original Assignee
손경식
제일제당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경식, 제일제당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손경식
Priority to KR1019950016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9473B1/ko
Publication of KR970001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15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9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94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7/00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 C11D17/08Liquid soap, e.g. for dispensers; capsuled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2Inorganic compounds ; Elemental compounds
    • C11D3/12Water-insoluble compounds
    • C11D3/14Fillers; Abrasives ; Abrasive compositions; Suspending or absorbing agents not provided for in one single group of C11D3/12; Specific features concerning abrasives, e.g. granulometry or mix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66Non-ionic compounds
    • C11D1/83Mixtures of non-ionic with anio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2Inorganic compounds ; Elemental compounds
    • C11D3/04Water-soluble compounds
    • C11D3/08Silic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2Inorganic compounds ; Elemental compounds
    • C11D3/04Water-soluble compounds
    • C11D3/10Carbonates ; Bicarbon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1.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액체 세정제 조성물
2.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과제
가전제품이나 경질표면을 손상시키지 않고 오염물을 제거하며 저장 안전성이 우수한 액체 세정제 조성물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탄산칼슘과 비이온 및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주성분으로 하고 잔탄검 및 마그네슘실리케이트가 함유된 액체세정제 조성물
4. 발명의 용도
액체 세정제 조성물

Description

연마제가 함유된 액체 세정제 조성물
본발명은 탄산칼슘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주성분으로 하고 잔탄검과 마그네슘 실리게이트를 함유하는 액체 세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발명의 액체 세정제 조성물은 일상 생활에서 사용되는 가정제품, 씽크대 또는 타일 등의 경질 표면에 찌든 오염물을 원색의 손상없이 말끔히 제거하는 연마제 함유 액체 세정제 조성물이다.
본발명의 이전의 연마제함유 세정제 조성물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분산되어 있던 연마제 성분(예,탄산칼슘)이 침전되어 케이크화되어 장기간 보관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이로 인하여 제품의 사용이 곤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하절기에는 기온의 상승으로 인하여 분산되어 있던 연마제 성분이 급가속하게 침전되는 현상이 일어나게 된다. 그 예로 일본특허 제62-305078호를 들수 있는데 여기에 나와 있는 조성물을 보면 연마력만을 강조하고, 조성물중에 연마제의 침전을 억제하는 원료가 함유되어 있지 않으므로 위의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조성물의 초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20내지 60중량%의 탄산칼슘, 5내지 20중량%의 비이온 및 음이온 계면활성제, 0.2~1.0중량%의 잔탄검 및 0.5~5.0중량%의 마그네슘실리케이트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기존 연마제 함유 세정제 조성물의 단검을 제거하고 장기간 저장 및 고온저장시 조성물의 상분리를 방지할 수 있고, 한층 더 효과있는 세정력을 갖춘 연마제 함유 액체 세정제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연마제 함유 세정제 조성물은 기존의 주방세제 또는 용제를 함유하는 세정제로 제거하기 어려운 오염물을 힘들이지 않고 쉽게 제거할 수 있고, 가전제품이나 경질표면의 색상을 탈색시키는 현상을 유발시키지 않고 오염물을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연마제 함유 조성물에 있어서 연마제의 종류 및 크기의 선정이 중요하다 할 수 있다. 탄산칼슘은 국내의 광산에서 쉽게 생산할 수 있고 경도도 그리 강하지 않기 때문에 연마작용시 경질표면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어 액체 세정제 조성물에서 연마제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탄산칼슘 입자의 크기가 너무 작거나 크면 연마력이 떨어지거나 경질표면의 손상이 발생될 수 있다. 탄산칼슘의 크기가 큰 것만을 사용하게 되면 경질 표면에 손상이 발생되고, 작은 틈새의 오염물을 제거하기가 어렵게 되며, 크기가 작은 것만을 사용하게 되면 경질표면에 찌든 오염물을 제거하기가 어려운 점이 있다. 따라서 적당한 배합비에 따라 사용하면 표면의 손상없이 작은 공간의 찌든 때까지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연마제의 함량에 따라 조성물의 점도 및 물성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적당한 연마제의 함량이 설정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탄산칼륨의 크기에 따른 비율을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연마제의 효과만으로서 제거하기 힘든 후라이팬 및 가그렌지 주위의 찌든 오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하여 주오염원인 지방질과 담백질 등을 분해할 수 있는 효소를 조성물에 배합하여 한층더 종은 효과를 낼수 있는 연마제 함유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마제 함유 액체 세정제 조성물은 연마제의 분산제로서 잔탄검을 함유하고 연마제의 침전방지제로서 미그네슘 실리케이트를 함유하여 우수한 장기간 저장 안전성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연마제함유 액체 세정제 조성물은 특히 높은 온도 조건에서도 저장 안전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연마제함량은 20 내지 60중량%이고,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연마제가 30 내지 50중량% 함유되어 있을 때 물성이 안정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계면활성제는 비이온 및 음이온 계면활성지이다. 비이온 계면활성제로는 탄소수 8내지 16인 1급 또는 2급 알콜 폴리옥시에틸렌 7내지 12분자가 부가된 알킬 폴리옥시에틸렌 에테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음이온 계면활성제에는 폴리옥시에틸렌이 3내지 5분자가 부가된 탄소수 10내지20을 가지는 고급알콜의 폴리옥시에틸렌 에테르 황산염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계면활성제의 더욱 바람직한 사용량은 5내지 10중량%이다.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5중량% 이하 또는 20중량% 이상일 경우에는 충분한 세척력을 기대하기 어렵거나 조성물의 상분리가 일어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씽크대, 렌지, 후라이팬 등의 오염원인 가름때를 잘 제거하기 위하여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함량을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함량보다 높게 제조하였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잔탄검은 탄수화물을 균에 의해 발효시켜 균체외의 다당류를 정제한 검으로 잔탄검의 거대한 분자량 특성의 점성을 나타낸다. 주 구성물질로는 D-글루코스 및 D-말토오스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는 화장품 및 식품등, 여러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연마제의 분산제로 사용하었다. 잔탄검의 함량이 0.2중량% 이하이거나, 2중량% 이상일 때는 연마제의 분산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거나 조성물의 점도가 너무 높게 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잔탄검을 0.2내지 1.0중량% 함유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잔탄검의 분자량은 약 2,500,000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마그네슘 실리케이트는 본 조성물에서 사용되는 있는 연마제 성분인 탄사칼슘의 침전을 방지해주는 원료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마그네슘 실리케이트는 수분의 함량이 약8%이고, 상품명 판겔(Pangel-S9)이라는 제품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마그네슘 실리케이트를 0.5내지 5.0중량%로 함유하고, 바랍직하게는 1%이상 4%이하로 함유한다. 마그네슘 실리케이트를 1%중량 이하 또는 5%이사 사용할 경우에는 탄산칼슘의 침전발생이 발생되거나 조성물의 점도가 급상승하여 조성물의 사용시 유동성이 전혀 없어서 사용이 어렵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성분들 외에 조성물의 안정을 위해 프로필렌글리콜이 사용되며 사용자의 피부보호를 위해 피부 보호제로서 아민옥사이드가 사용되었으며, 제품의 장기 보존 및 향취를 위해 방부제 및 향료 등이 첨가되며, 조성물 제조시 발생되는 기포를 억제하기 위해서 소량의 실리콘제 소포제가 첨가될 수 있다.
하기된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 단지 예시하기 위한 것이고,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된 점도 및 저장 안전성은 허가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1) 점도측정 방법
탄산칼슘을 함유하는 액체 세정제 조성물의 점도를 BH타입 점도계(50내지 2,000,000cps까지 측정할 수 있음)를 사용하여 25℃에서 측정하였다.
2) 저장 안전성 측정 방법
200cc의 폴리스티렌 용기중의 약 150ml의 각종 조성물을 60℃에서 5주 동안 보관한 후 점도 및 저장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실시예1]
하기 표2에 기재된 바와 같은 조성을 갖는 조성물의 점도 및 저장 안전성을 측정하였고, 본 발명의 연마제 함유 세정제 조성물에 분산제로 사용된 잔탄검이 CMC 및 HEC보다 우수한 저장 안전성을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 : 상층에 5%부피 이하의 분리가 발생
+1 : 상층에 5~10%부피 이하의 분리가 발생
0 : 상층에 10%부피 이상의 분리가 발생
LA8 : 포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EO 8mol부가)
SLES : 나트륨 라우릴 에테르 설페이트(EO 3mol부가)
HEC :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오즈
CMC :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즈
잔탄검 : 옥수수 당 검 크산탄
PG : 프로필렌글리콜
A.O : 아민 옥사이드
[실시예2]
하기 표3에 기재된 바와 같은 조성의 연마제 함유 액체 세정제 조성물을 제조하여 점도 및 저장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하기된 표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잔탄검이 0.3중량% 이상 함유되고 판겔 S9(Pangel-S9)가 1.0중량% 이상 함유될 경우 잔탄검이 단독 사용하였을 때 보다 저장 안전성에 있어서 더욱 우수한 결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LA8 :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EO 9mol 부가)
SLES : 나트륨 라우릴 에테르 설페이트(EO 3mol부가)
잔탄검 : 옥수수 당 검 크산탄
PG : 프로필렌글리콜
Pangel-S9 : 마그네슘 시리케이트 점토
A.O : 아민 옥사이드
[실시예3]
오염원으로 우지 5g, 돈지 5g, 식용유 10g을 80g의 클로로포롬에 용해시킨후 잘 교반하여 스테인레스 판위에 약 2g정도 도포한 후 240℃ 드라이 오븐에서 약 3시간 정도 건조후 사용하였다. 세정력 시험은 오염원으로 오염된 스테인레스 판위에 하기 표4와 같은 조성물을 약 2g정도 도포한후 미리 준비한 주방용 스폰지로 30회 문지르고, 이어서, 수돗물에 약 5초간 헹군후 육안으로 세척된 정도를 측정하여 표4에 나타냈다:
평가기준 : 아주양호 +2(스테인레스 표면이 뚜렷이 보인다)
양호 +1(스테인레스 표면이 보인다)
미흡 0(스테인레스 표면이 약간 보인다)
LA8 :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EO 8mol 부가)
SLES : 나트륨 라우릴 설페이트(EO 3mol 부가)
Pangel-S9 : 마그네슘 실리케이트 점토
잔탄검 : 옥수수 당 검 크산탄
PG : 프로필렌글리콜
A.O : 아민 옥사이드
상기 실시예 1,2,3을 통하여 연마제의 함량이 20내지 60중량%, 비이온 및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5~20중량%, 잔탄검의 함량이 0.2~1.0중량%, 및 마그네슘 실리케이트의 함량이 0.5~5.0중량%로 함유된 액체 세정제 조성물이 저장 안전성 및 세정력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Claims (3)

  1. 액체 세정제 조성물에 있어서, 조성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20내지 60중량%의 탄산칼슘, 5내지 20중량%의 비이온 및 음이온 계면활성제, 0.2 내지 1.0중량5의 잔탄검 및 0.5 내지 5.0중량%의 마그네슘 실리케이트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탄산칼슘이 입경의 크기가 3 내지 12㎛인 것이 20중량%, 5내지 6㎛인 것이 15중량%, 7내지 8㎛인 것이 15중량%, 9내지 10㎛인 것이 20중량% 및 11내지 12㎛인 것이 30중량%로 구성되는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탄소수 8 내지 16의 1급 또는 2급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7내지 12개 분자가 부가된 알킬폴리옥시에틸렌 에테르이고,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 3 내지 5개 분자가 부가되어 있고 10 내지 20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고급알코올의 폴리옥시에틸렌 에테르 황산염인 조성물.
KR1019950016830A 1995-06-22 1995-06-22 연마제가 함유된 액체 세정제 조성물 KR01194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6830A KR0119473B1 (ko) 1995-06-22 1995-06-22 연마제가 함유된 액체 세정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6830A KR0119473B1 (ko) 1995-06-22 1995-06-22 연마제가 함유된 액체 세정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1524A KR970001524A (ko) 1997-01-24
KR0119473B1 true KR0119473B1 (ko) 1997-10-27

Family

ID=19417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6830A KR0119473B1 (ko) 1995-06-22 1995-06-22 연마제가 함유된 액체 세정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94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7174B1 (ko) 2020-11-04 2023-03-31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실리콘 카바이드 입자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1524A (ko) 1997-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12677B1 (en) Alkaline aqueous hard surface cleaning compositions
US5510052A (en) Enzymatic aqueous pretreatment composition for dishware
CA1219185A (en) Caustic based aqueous cleaning composition
JP2008516048A (ja) オリゴマーアルキルグリセリルスルホネート及び/又はサルフェート界面活性剤混合物、並びにそれを含む洗剤組成物
US4532066A (en) Stable mildly acidic aqueous polishing cleanser and preparation thereof
EP0379093A1 (en) Hard surface cleaning composition
JP2557110B2 (ja) 洗浄剤組成物
JPS6114296A (ja) 研磨材含有液体洗浄剤組成物
KR0119473B1 (ko) 연마제가 함유된 액체 세정제 조성물
JP4015727B2 (ja) 洗浄助剤組成物
CN110577863B (zh) 一种多用途的清洁粉
JPS6114298A (ja) 液体洗浄剤組成物
WO2009093150A1 (en) Liquid detergent composition
KR100593531B1 (ko) 수계 유리 세정제 조성물
US5565419A (en) Oven cleaning composition
JPH0631423B2 (ja) 液体洗浄剤組成物
JPS6234998A (ja) アルカリ洗浄剤組成物
RU2106400C1 (ru) Моющ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мытья посуды
JP3250981B2 (ja) 台所用濃縮液体洗浄剤組成物
JPS6054359B2 (ja) 液体洗浄剤組成物
KR0148722B1 (ko) 저온 유동성이 개선된 주방용 액체 세정제 조성물
JPH01304198A (ja) 硬質表面洗浄剤組成物
WO2023013718A1 (ja) 食器洗浄機用液体洗浄剤組成物
CN112159732A (zh) 中性环保强力污渍清洁剂及其制备方法
SU1616983A1 (ru) Моюща композици дл очистки твердой поверхности от смазочных материал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506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5062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707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708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708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07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70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7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30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