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9046B1 - 포유류의 자기면역 포도막망막염의 치료 또는 예방방법 - Google Patents
포유류의 자기면역 포도막망막염의 치료 또는 예방방법Info
- Publication number
- KR0159046B1 KR0159046B1 KR1019920700080A KR920700080A KR0159046B1 KR 0159046 B1 KR0159046 B1 KR 0159046B1 KR 1019920700080 A KR1019920700080 A KR 1019920700080A KR 920700080 A KR920700080 A KR 920700080A KR 0159046 B1 KR0159046 B1 KR 015904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veitis
- antigen
- fragments
- disease
- patients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0005—Vertebrate antigens
- A61K39/0008—Antigens related to auto-immune diseases; Preparations to induce self-toleranc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39—Connective tissue peptides, e.g. collagen, elastin, laminin, fibronectin, vitronectin, cold insoluble globulin [CI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4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 C07K14/4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from mammals
- C07K14/4701—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from mammals not used
- C07K14/4713—Autoimmune diseases, e.g. Insulin-dependent diabetes mellitus, multiple sclerosis, rheumathoid arthritis,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Autoantige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4—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the route of administration
- A61K2039/541—Mucosal route
- A61K2039/543—Mucosal route intranas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Zo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Hematology (AREA)
- Mycolog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iabet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Toxi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기항원, 예컨데 S-항원 (S-Ag), 및/또는 그의 생물학적 활성 단편, 또는 포도막망막염에 특이적인 그의 동족체의 유효량을 포유동물에게 경구 투여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이러한 치료를 필요로 하는 포유동물의 포도막망막염 증상이 있는 자기면역 질환의 임상적 증상 발현을 치료하거나 예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자기항원, 그의 단편 또는 동족체중 어느 한가지 이상의 유효량을 함유하는 포유동물의 포도막망막염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데 유용한 약제 배합물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제1도는 S-Ag에 의해 면역시킨 후 14일 경과한 루이스(Lewis) 래트의 눈의 조직학적 시험에 대하여 제시된 염증 정도를 도시한 것이다. 별표는 S-Ag 또는 단편이 경구투여되지 않은 래트 또는 비관련 항원(소 혈청 알부민, 약호 BSA)이 투여된 래트와 비교할 때 염증성 질환(EAU)에서 통계적으로 상당한 차이를 나타낸다.
제2도는 S-Ag의 M 또는 N 단편 중 어느 하나로 면역화시킨지 14일 경과 후 S-Ag 또는 그의 단편이 투여된 루이스 래트의 눈에서 조직학적으로 관찰된 염증 정도를 도시한 것이다.
제3a도는 S-Ag 면역 부위를 유출하는 임파선 세포에서 측정된 S-Ag에 대한 증식 반응에 대하여 S-Ag, N 단편, M 단편 및 BSA의 경구투여 효과를 도시한다. 그 결과는 적어도 네가지의 동물에 대한 것이며 자극 인덱스 ± S.E. 로서 표시된다. 단일 별표는 BSA의 경구 투여와 비교할 때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며 반면에 이중 별표는 p 값 0.005를 나타낸다.
제3b도는 S-Ag 면역부위를 유출하는 임파선 세포에서 측정된 비관련 항원 PPD(투베르쿨린의 정제 단백질 유도체) 및 Con A(콘카나발린 A)에 대한 증식 반응에 대하여 BSA 및 S-Ag 의 경구투여 효과를 제시한다.
제4a도는 S-Ag와 함께 시험관내 예비 배양된 S-Ag(TmSAg) 또는 BSA-(TmBSA) 공급 동물로 부터 비장세포에 S-항원 특이 지시인자 세포주 ThS(ThS-Ag) 노출에 대한 효과를 도시한다. S-Ag에 대한 ThSAg 반응의 억압은 TmSAg 에 대한 ThSAg의 모든 비율에서 보여질 수 있으며 이러한 억압정도는 ThSAg 및 TmBSA 공배양체로서 보여진 반응과 비교할 때 1:5 및 1:10 의 비율(p=0.04 및 0.002)에서 통계학적으로 상당히 높았다.
제4b도는 TmSAg 또는 TmBSA의 공배양체와 함께 ConA(T-세포 미토겐)에 대한 ThSAg의 반응을 도시한다. 2개 비장세포에 대한 한개 ThSAg의 비율에서 억압이 알려지지 않았으나, 반면에 보다 높은 비율에서 두가지 모두에 대하여 동일한 억압정도가 알려졌다.
제4c도는 KLH, 즉, 키홀 림펫 헤모시아닌(keyhole limpet hemocyanin)(이를테면 TmKLH로 지칭된 비장세포) 또는 아무것도 공급되지 않고 (Tm 억제로서 지칭됨) 그후 S-Ag로서 동물로 부터 시험관내 예비 배양된 비장세포와 함께 ThS-Ag를 공배양시켜 얻어진 반응을 도시한다.
제5도는 S-Ag로서 시험관내 예비배양된 TmSAg와 함께 ThSAg 또는 ThPPD(PPD 에 특이한 또다른 지시인자 세포주)의 공배양을 도시한다. S-Ag에 대한 ThSAg의 심각한 억제가 제시됐으며, 반면에 PPD에 대하여 증가된 ThPPD증식반응이 알려져 있다.
제6도는 21일간의 경과에 걸쳐 루이스 래트 피술체에서 질병개시 패턴(X-축)을 도시한다. P.O.는 7, 9, 12 및 15일에 1㎎ S-Ag가 공급되고 이어서 제로일에 S-Ag로서 면역화된 실험 그룹이다.
제7도는 7, 9, 12 및 15일에 S-Ag로서 공급되고 제로일에 S-Ag로서 면역화된 루이스 래트의 눈에서 조직학적으로 제시된 염증정도를 도시한다. 그 결과는 적어도 6마리의 동물에 대한 것이며 평균 표준오차(SEM)로서 표시된다. 조직학적 등급은 0(염증질병의 증거가 없음) - 4(망막 구조의 전체파괴) 범위의 기준을 기초로 한 염증 인덱스이다.
제8도는 사람의 S-항원 폴리펩티드의 아미노산 서열 및 본 발명의 폴리펩티드 3, 6, 8, 13, 18, 32, 35 및 36의 상대 위치를 도시한 다이아그램이다.
본 발명은 포유동물의 포도막망막염의 치료 또는 예방방법을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i) 포도막망막염에 특이한 자기항원, (ii) 포도막망막염-억제활성을 갖는 자기항원 및 (iii) 상기 자기항원 또는 단편과 유사하게 활성적인 동족체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한가지의 포도막망막염-억제제를 포도막망막염 증상을 나타내는 질병과 관련된 임상적 증상을 억제하거나 약화시키는데 유효한 양으로 이러한 치료가 필요한 포유동물에게 투여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포도막망막염 증상을 나타내는 질병의 임상적 발현의 치료 또는 예방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자기면역에 의한 것으로 추정되는 기관특이적 염증성 질환을 효과적인 치료하는 것은 임상의학에 있어서 계속 추구되고 있는 목표이다. 오늘날까지, 임상적인 접근방법은 면역 응답에 대한 비특이적 효과를 갖는 약학적 기질을 투여하는데 집중되어 왔다. 최근, 항원에 대해 비특이적으로 면역 응답을 억제하면서 항-T 세포 양식의 작용을 갖는 운데카펩티드인 사이클로스포린(Cyclosporine) (Nussenblatt, R.B., 및 A.G. Palestine, Surv. Ophthalmol. 32:159, 1986)이 포도막염을 비롯하여, 자기면역원에 의해 유래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여러가지 질환치료에 성공적으로 이용되고 있다(Nussenblatt, R.B., 외, Am. J. Ophthalmol. 96:275, 1983). 그러나, 불행하게도, 사이클로스포린은 부작용이 심해서, 그 유용성이 제한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현재의 모든 면역억압 요법에서와 마찬가지로, 사이클로스포린과 관련한 약물 효법의 효과는 비특이적이다.
포도막염을 비롯한 자기면역 질환을 억제하기 위한 실험적인 면역-요법적 접근방식은 모노클로날 항체 요법(Hafler D.A. 외 J. Immunol. 141:131, 1988); T-세포 백신화(Ben-Nun, A., 외, Nature 292:60, 1981); 및 자기항원의 공급에 의한 면역 관용 유도와 같은, 비-약학적 수단에 의한 면역 응답을 발현시키는데 집중되어 왔다. 최근, 미엘린 염기성 단백질(MBP: myelin basic protein), 또는 그의 단편을 공급하자 인체 탈미엘린화 질환, 다발성 경화증 모델로서 이용되어 온 실험적 자기면역 뇌척수염(EAE: experimental autoimmune encephalomyelitis)의 조직학적 및 임상적 발현이 방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Higgins, P.J., 및 H.L. Weiner, J. Immunol. 140:440, 1988; Lider, 외, J. Immunol. 142:748, 1989; Bitar, D.M., 및 C.C. Whitacre, Cell Immunol. 112:364, 1988).
실험적 자기면역 포도막망막염 (EAU: experimental autoimmune uveoretinitis)은 망막으로부터 유래하는 몇가지 자기항원에 의해 유도될 수 있다 (Gery, I., 외, N. Osborne 및 J. Chader (eds): Progress in Rntinal Research Oxford, Pergamon Press, vol. 5, pp 75-109, 1986). 현재까지, 가장 높이 평가된 항원 및 모델 시스템은 망막의 S-항원 (S-Ag)에 의해 유도된 것이다(Gery, I., 외, in Progress in Retinal Research, 상기 문헌). 포도막망막염에 걸린 사람들은 S-Ag에 과민하기 때문에, 이 S-Ag는 실제로 포도막망막염과 연관된 것으로 믿어지고 있다. 질환 유도능을 갖는 S-Ag 항원에 특이적인 CD4+ T-세포계를 장기간 투여하는 S-Ag 모델에 의해 EAU가 T-세포 매개 질환임이 밝혀졌다(Caspi R.R. 외, J. Immunol. 136:928, 1986).
S-Ag EAU 모델은 여러가지 이유로 특히 흥미를 끈다. 첫 번째 이유는, 현재까지, S-Ag는 내인성의 중간 및 후부 망막염(posterior uveitis)에 걸린 실질적인 수만큼의 몇몇 환자들이 생체외(in vitro)증식 응답을 일관되게 입증해주는 유일한 망막 자기항원이라는 사실이다. (Nussenblatt, R.B. 외, Am. J. Ophthalmol. 89:173, 1980 ; (Nussenblatt, 외, Am. J. Ophthalmol. 94:147, 1982). 둘째는, 각각 N과 M으로 명명된, 포도막염을 일으키는 두가지 단편을 포함, S-Ag의 완전한 아미노산 서열이 최근 보고되었다는 것이다.(Donoso, L.A. 외, Curr. Eye Res. 8:1151, 1987: Singh, V.K. 외, Cell Immunol. 115:413, 1988). 셋째는, EAU 모델에서 최초로 시험된 인간에 있어서의 사이클로스포린의 임상적 효능에 의해 입증된 바와 같이, 이 모델의 면역조작이 인간의 포도막망막염을 예측하는데 있어서 매우 우수하기 때문이다. (Nussenblatt, R.B., 외, J. Clin. Invest. 67:1228, 1981).
본 발명의 중요한 목표는 포도막염에 대해 보다 특이적으로 집중되거나 지향된 치료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보다 구체적인 목표는 포도막염-특이 항원에대한 면역 응답을 감소시키는데 지향된 제제를 경구(oral) 또는 장내(enteral) 투여함으로써 포도막망막염 증상을 억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포도막망막염의 임상적 발현을 억제하거나 예방하기 위하여, 경구 또는 장내 투여되는 포도막망막염-특이 항원 및 관련 물질을 이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특이적인 관용(tolerance)을 유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자들은 자기면역 질환, 포도막망막염과 관련한 증상이 이러한 치료 또는 예방이 필요한 포유동물에게 포도막망막염에 특이한 자기항원, 이러한 자기항원의 포도막망막염-억제단편 또는 이러한 자기항원 또는 단편과 유사한 활성을 갖는 동족체의 유효량을 경구 투여함으로서 억제되거나 약화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한가지 이상의 전술한 포도막망막염 억제제를 유효량만틈 함유하는 약학적 제제를 개발하였다. 이러한 제제는 전기 치료 또는 예방을 필요로 하는 포유동물에게, 치료 또는 예방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인용된 모든 참고 문헌 및 특허는 그 전체가 참고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내용을 이룬다.
실험적 자기면역 포도막염 또는 포도막망막염 (이후 EAU)은 임상적으로 눈의 포도막관, 망막 및 전면부의 심각한 감염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면역질환으로서 망막 광수용기 세포가 파괴된다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일련의 모든 발견은 사람의 포도막염에서 관찰할 수 있다. EAU 증상을 갖는 하등동물 및 인간 이외의 영장류에서 송과체염이 부수적으로 관찰된 바 있다.
본 발명은 포유동물(인간과 같은 영장류를 비롯한 포유동물)에 있어서 포도막망막염의 임상적 증상을 나타내는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치료 또는 예방법은 이러한 치료 또는 예방을 필요로 하는 포유동물에게 포도막망막염에 특이적인 자기항원, 이러한 자기항원의 포도막망막염-억제 단편, 상기와 같은 항원 또는 단편의 포도막망막염-억제 활성을 갖는 동족체를 상기 포도막망막염과 관련된 임상적 증상을 억제 또는 완화시키는데 유효한 양으로 투여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자기항원 이란 어떠한 포유동물에 있어서, 비정상적 상황에서 그 포유동물의 임파구 또는 항체가 그 자신의 일부로서 인식하지 않음에 따라, 마치 외래물질로 간주되어 그 포유동물의 면역조절 시스템에 의하여 공격을 받는 여하한 물질을 가리킨다. 이 용어에는 또한 포유동물에게 투여될 경우 자기면역 질환의 증상을 유도하는 항원성 물질도 포함된다. 포도막염에 특이적인 자기항원은 (a) 포도막염이 있는 포유동물의 면역 시스템에 의하여 공격을 받고;/또는 (b) 포유동물에 비경구적으로 투여될 경우 포도막염의 증상을 나타내는 질환을 유도한다는 전술한 정의에 의해 포괄되는 물질이다.
포도막염-억제제라는 용어에는 경구 또는 장내 투여시 포도막염 증상을 억제하는 특성을 갖는 한편, 바람직하게는, 처리되는 포유동물이 그 항원에 대한 면역응답을 일으킬 수 있는 일반적인 능력에는 실질적인 영향을 받지 않는, 포도막염에 특이적인 자기항원 뿐만 아니라 그의 단편 또는 동족체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범위에서 자기항원은 약 48 킬로달톤(kDa)의 겉보기 분자량을 갖는 가용성 광수용기 세포 단백질인 S-항원(이후 S-Ag)을 포함한다. S-Ag는 공지기술, 예컨대, Dorey, C., 외, Ophthalmic Res. 14:249-255, 1982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포유동물의 눈, 예를들면 소의 눈으로부터 분리 및 정제시켜 제조될 수 있다. S-Ag는 현재까지 모든 포유동물의 눈에서 발견된 바 있으나, 소의 눈이 구하기 쉽고 인간의 S-Ag와 유사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S-Ag는 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 또는 등전 포커싱에 의하여 소 망막으로 부터 간단히 분리 및 정제할 수 있다. 다른 한편, S-Ag는 염 침전, 예를 들어 1차 50% 황산 암모늄 침전 및 2차 50% 황산암모늄 침전, 젤 여과, 예컨대, Sephadex G-200(Pharmacia Inc., Piscataway, N.J.) 여과, 및 히드록실아파타이트 아가로스, 예컨대 HA-UltrogelR(Pharmindustrie, 프랑스로부터 입수 가능) 크로마토그래피 상의 흡수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최종 정제에 의해 신속히 분리 및 정제될 수 있으며, 이들 모두는 Dorey, 외, 상기 인용문에 기재되어 있다. 조질의 망막조직 추출물에 존재하는 단백질의 약 3%가 S-Ag이다. 침전, 여과 및 흡수 크로마토그래피의 연속 단계를 이용하여 분리하고 정제함으로서, 예를 들어 방사 면역확산 시험에 의하여 측정된 바와같이 최종 크로마토그래피 분리후 전형적으로 약 40%의 S-Ag가 회수된다. 소량의 오염물질은 필요하다면 고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에 의하여 제거될 수 있다. 다른 방도로서, S-Ag는 Wacker, W.B., 외, J. Immunol. 119: 1949-1958에 의하여 기재된 방법에 따라 정제될 수 있다. Dorey 외의 방법은 현재까지 모든 방법 가운데 가장 좋은 결과를 제공하는 듯하다.
소, 사람 및 래트 S-Ag의 완전한 아미노산 서열이 Shinohara, T., 외 S-Antigen: Structure, Function and Experimental Autoimmune Uveities (EAU) in Progress in Retinal Research, Osborne 및 Chader Eds. Pergamon Press, pp. 51-66에 공개된 바 있다. S-Ag의 부분적인 서열은 또흔 Donoso, C., 외, 상기 인용문에 공개된 바 있다.
예컨대 S-Ag와 같은 완전한 또는 전체 자기항원에 덧붙여, 포도막염 증상 (완전한 자기항원 또는 그의 단편에 의하여 유도된 증상을 포함)을 억제할 수 있는 단편 및 그들로부터 유도된 유사활성 동족체 역시 본 발명에 따라 경구 또는 장내로(예, 튜브공급에 의하여) 투여될 수 있다. 이와같이 투여될 수 있는 S-Ag 단편 가운데 N 및 M 항원이 있다. 다른 적합한 S-Ag 단편은 Donoso 외 상기 인용문, 1987에 기재된 비유도성 단편이다. 내부광수용기 레티노이드-결합 단백질(IRBP: Interphotoreceptor Retinoid-Binding protein) 및 로돕신과 같은 눈의 다른 항원 또한 포도막염-특이 자기항원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IRBP는 원숭이의 내부광수용기 매트릭스(IPM: interphotoreceptor matrix)로부터 분리된 것으로서, 등전 포커싱 밴드 패턴, 카르보히드레이트 분석, 한외원심분리 농도 분배, 아미노산 분석, 아미노-잔기분석, 스펙트럼 특성, 예, 트립토판 및 술프히드릴 함량 및 형광연구에 의하여 특성화된 바 있다 (Redmond, T.M. 외, Biochem. 24:787, 1985). 로돕식은 또한 Shields 외, Biochem. Biophys. Acta 147:238, 1967: Wald, Brown, Proc. Natl. Acad. Sci. USA 36:84, 1950; 및 Hirtenstein, A., Biochem. J. 119:359, 1970 에 잘 기재된 바 있으며 특성화된 바 있다.
본 발명에서 동족체 라는 용어에는 한가지 이상의 아미노산이 결실, 부가 또는 치환됨으로써 자기항원과 상이하지만, 경구 또는 장내 투여될 경우 포도막염-억제제와 동일 유형의 (그러나 동일 정도일 필요는 없음) 억제 활성을 나타낼 정도로 당해 포도막염-억제제와 구조적으로 밀접히 관련된 물질들이 포함된다. 이들 단편 및 동족체는 종래의 화학 합성 기술, 예를들어 Merrifield, R.B. Fed. Proc. Am. Soc. Ex. Biol. 21:412, 1962 및 J. Am. Chem. Soc. 85:2149, 1963; 및 Mitchel, A. r. j. Am. Chem. Soc. 98:7357, 1976에 기재된, 공지의 Merrifield 펩티드 합성 기술을 이용하여 합성할 수 있다. 동족체는 예를들어 대응 아미노산 서열을 동정하고 (Tam., J., 외, J. Am. Chem. Soc., 105:6442, 1983). 상기한, 또는 기타 문헌에 기재된 일반적인 펩티드 합성방법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다른 한편, S-Ag 및 그이 억제 단편 또는 동족체들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 잘 알려진 재조합 DNA 기술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방법 및 후술되는 바와 같은 약학적 제제에는 예컨대 S-Ag, 및 그의 단편과 동족체 뿐만 아니라 유전공학적으로 제조된 자기항원, 단편 및 동족체와 같은 천연 및 합성 자기항원이 이용된다.
EAU 병원성이 T-세포에 의해 매개된다는 보고는 많다. 특정 이론에 구애됨이 없이, 본 발명자들은 예컨대 포도막망막염에 특이적인 자기항원 및 그의 단편 또는 동족체와 같은 자기항원 단백질을 경구 투여 또는 공급하면 이러한 공급을 통해 도출된 CD8+ T-세포 (억압 세포)를 통해, 항원-특이적인 억제반응이 유도된다고 믿는다. 이들 세포는 면역 응답의 억제 (다운-레귤레이션)를 매개한다. 이러한 다운-레귤레이션 (down-regulation)은 자기면역질환, 예컨대 포도막염의 증상을 갖는 EAU와 관련된 임상적 증상 (예컨대 염증)을 억제해준다.
본 발명은 S-항원 분자 전체를 경구 또는 장내 투여하면 S-Ag 유도된 EAU의 면역관용과 예방이 유도됨을 설명해준다. 또한, 면역 응답의 항원 특이적인 억제가 생체외에서 입증되었으며, 항-CDS 항체 (임파구양 세포 표면상에서 CD8 서프레서/세포독성 마커에 특이적으로 지향됨)가 이러한 면역 응답 억제를 차단한다는 사실에 의해, T-서프레서 (T-suppressor)가 관여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후술하는 실시예 3에서 T-서프레서에 의해 매개된 면역억제가 설명되어 있으며, 이 실시예 3에서는 예컨대 래트와 같은 면역되지 않은 포유동무에게 2-3일 간격으로 소정량의 S-Ag를 3회 공급하였다. 그 후 이 동물로부터 비장 세포를 회수하여 방사선을 조사하였다. 예컨대 CD4+, S-Ag 특이 T-헬퍼 세포 (ThS-Ag) 또는 CD4+ PPD-측이 T-헬퍼 세포 (ThPPD)와 같은 응답세포 (responder cell)을 방사선 조사된 비장세포 존재 하에 배양하였다. 이어서 CD8 (래트의 T-서프레서 세포의 서브셋 표면에 특이적으로 존재하는 당단백질)을 인식하는 OX-8 항체 및 Leu 2a (래트 T 세포 서브셋에 대한 친화성이 알려져 있지 않은 비관련 항체)와 같은 적절한 항체의 존재 또는 부재하에 항원-유도지시세포 (antigen-driven indicator cell)의 증식을 측정하였다. 이들 항체의 1종 이상을 전기 배양체에 첨가하였다. 이들 배양에서의 세포증식 결과는 본 발명에 따른 S-Ag와 같은 자기항원을 경구 투여함으로써 강력한(그리고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T-헬퍼 ThS-Ag 세포주의 억제가 특이적으로 얻어진다는 것을 가리키고 있다. 이것은, S-Ag가 투여된 래트의 비장-세포집단에 존재하는 항원-특이적 (예컨대 S-Ag-특이적) 서프레서 세포에 의해 억제가 매개됨을 가리키고 있다.
(S-Ag)-유도 EAU는 인체 질병을 대단히 높은 정도로 예측할수 있는 사람의 포도막염에 대한 실험적 모델이다. 래트에 있어서, EAU는 S-Ag에 의한 직접 면역화 또는 면역된 바 없는 (native) 숙주에게 CD4+/CD9-T 임파구 세포를 전달함으로써 유도될 수 있다. (Gery, I.M. 외, 상기 문헌; Caspi R.R., 외, 상기 문헌). 이러한 질병에서 T 세포의 가장 유력한 역할은 사이클로스포린 (우수한 항-T-세포 작용을 가짐)이 효과적으로 EAU를 예방할 수 있다는 관찰에 의해 추가로 뒷받침된다(Nussenblatt, R.B. 외, 1981, 상기 인용문). 여기에서 개시된 결과는 경구-유도된 면역 관용성이 많은 기관-특이적 자기면역 모델 (특히 T-세포 역할이 두드러진 경우)에 적용될 수 있음을 가리키는 것이다. 그러나, 이것이 곧 경구 관용 접근방식이 맹목적으로 시도될 수 있다거나 시도되어야 한다는 뜻은 아니다. 예컨대, EAU에서 인식된 항원 주입 효과는 EAE/MBP 모델에서 관찰되는 것과 전적으로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MBP의 유도 및 비유도 단편은 두가지 모두 EAE에 대해 면역관용상태를 유도할 수 있지만, S-Ag의 2종의 유도 단편은 S-Ag-유도된 EAU에 대해 그리할수 없었다. 최근, S-Ag 분자의 N 및 M 단편이 포도막염을 일으키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Donoso, L.A. 외, 상기 인용문; Singh, V.K., 상기 인용문). 이 단편들(함께 투여되는 경우에도)은 전체 S-Ag에 대해 면역 관용상태를 유도하지 못하였지만, EAU에 대한 M-단편 유도실질적 면역관용이 M 단편 또는 N 단편에 의해 유도되었다. 또한, S-Ag의 비유도적 단편은 EAU-억제 활성을 가질 것으로 예상된다. 예컨대, Donoso의 상기 문헌에서 언급된 것들 중에서 선택된 단편들을 합성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은 방법학에 따라 관용상태를 유도할 수 있는 능력에 대해 시험할 수 있으며, 이때 투여량을 기술분야에 잘 알려진 바에 따라 임의로 조정할 수 있다.
M- 및 N-단편에 의해 유도된 EAU 질환은 본래의 천연 분자에 의해 야기된 것만큼 심각하지 않았으며, 질환을 유도하는데 필요한 각 단편의 몰 양은 EAU-유도를 위한 S-Ag의 최소량, 즉, 1-5 ug보다 몇배 더 많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M 단편(또는 S-Ag 전체)의 경구 투여는 N- 또는 M-유도 EAU에 대해 동물을 보호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경구-유도된 관용상태는 엄밀한 항원 특이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는 S-Ag의 투여가 비관련 자기항원인 MBP에 의해 유도된 비관련 자기면역 질환 EAE의 발현을 방지하지 않았다는 관찰에 의해 추가로 뒷받침되었다. 이러한 발견에 비추어 볼 때, S-Ag의 불연속적인 단편들을 경구 또는 장내 투여용 약학적 제제를 통해 투여하는 것은 본 발명에 따른 S-Ag 요법의 유용한 보조수단 (또는 대체수단)이 된다.: S-Ag에 대해 특이적인 T-서프레서 세포를 유발시키는 S-Ag 단편들이 유용하다는 것은 자명하며, 동일한 (또는 상이한) S-Ag 단편에 의한 챌린지 (challenge)에 대해 방어하는 S-Ag 단편들 역시 포도막염 치료법의 보조수단으로서 유용할 것인데, 이는 포도막염 증상이 S-Ag 단편과 동일 또는 유사한 자기항원을 비롯한 하나 이상의 자기항원에 의해 유발될 수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S-Ag가 투여된 동물로부터의 임파절 세포의 증식 응답에서는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이하 실질적이라고도 칭함) 것으로 입증된 면역 응답의 생체외 억제가 감소되며, 특히, S-Ag가 투여된 동물로부터의 비장세포에 의한 지시 ThS-Ag 세포 (T-헬퍼세포 유형의 S-Ag에 특이적임)의 억압에 의해, 경구 투여에 의해, T-세포가 관련된 항원-특이적 억제가 유도된다는 것이 확인된다. CD8 (래트의 T 억제인자 세포의 서브세트 표면위 T-서프레서 특이 당단백질)을 인식하는 OX-8 항체가 억제를 반전 시켰다는 실시예 3에 기재된 발견은 T-서프레서 세포가 관찰된 억제에 대하여 책임이 있다는 사실을 가리킨다.
따라서, 본 발명은 (i) 자기항원 ; (ii) 포유동물에 경구 투여될 때 자기항원 또는 그의 단편으로서 유발된 EAU 증상을 억제하는 상기 자기항원의 단편 ; (iii) 포도막염 억제 활성을 가진 상기 자기항원 또는 단편의 동족체 및 (iv) 전술한 것들의 부분 또는 전체 조합 중에서 선택된 포도막염 억제제의 유효량을 포유동물에게 경구 및 장내 투여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이러한 치료를 필요로 하는 포유동물의 포도막망막염의 증상을 갖는 자기면역 질병의 임상적 발현을 억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억제라 함은 상기 임상적 발현 또는 증상의 예방, 그외에 이러한 발현 및 증상의 완전한 제거 또는 적어도 측정가능한 약화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유효량이 되기 위하여 상기 포도막염-억제제의 양은 포도막염에 관련된 적어도 한가지의 임상적 증상 예를들어 염증의 측정가능하고 바람직하게는 통계적으로 상당한 약화, 외관 급성, 및/또는 낭포 흑점 부종 또는 다른 변수에서 감소를 야기시키는데 충분하며, 정상치로 부터 변형은 포도막염에 관계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포유동물의 포도막염의 임상적 증상을 억제하거나 약화시키기 위한 포도막염 억제제의 유효량은 약 0.4 - 약 15 ㎎/㎏/일로 이루어진다. 사람에 있어서, 포도막염 억제제의 이러한 유효량은 약 0.1 - 약 15 ㎎/㎏/일, 바람직하게는 약 4 - 약 8.5 ㎎/㎏/일로 이루어진다. 다른말로, 70 ㎏의 성인에서, 그 유효량은 약 30 - 약 1000 ㎎/일, 바람직하게는 약 300 - 약 600 ㎎/일이다. 설치류에 대하여, 포도막염 억제제의 유효량은 설치류당 약 100 ㎍ - 약 10 ㎎으로 이루어진다. 물론, 상기에 제시된 넓은 범위는 처리될 피술체의 연령, 성별 및 물리적상태, 질병의 심각성, 및 투여될 시약 또는 시약들의 특이 억제활성과 같은 요인에 따라 조절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적합한 투여량의 정선은 경로 실험외에 이용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숙련자에 의하여 측정될 수 있다. 예를들어, 최적 투여량은 다음 실시예에 기재된 것과 같은 적합한 시험방법과 관련하여 본 발명의 활성시약의 연속 희석된 제제를 사용하여 성취될 수 있다. 다른 방도로서, 투여량의 매트릭스 및 투여 빈도가 성취돌 수 있으며 실험 피술체의 그룹은 최적 상태를 측정하기 위하여 매트릭스위 각 지점으로 양도될 수 있다.
자기항원 (또는 단편, 또는 동족체)의 유효량은 본 발명에 따라 경구로 또는 장내로 투입된다. 자기항원, 예 S-Ag 및 단편은 바람직하게도 단독으로, 또는 인산염 완충 식염수 (PBS) 와 같은 생리적으로 허용되는 완충액에서 투여된다.
이러한 유효량은 치료가 필요한 포유동물에게 1일 1회 경구 투여량 또는 1일 2 또는 그 이상으로 분할된 경구 투여량으로 분배될 수 있다. 사람에 있어서, 이와 같이 분할된 1일 경구 투여량은 바람직하게도 약 90 - 약 120일의 기간에 걸쳐 또는 심지어 자기항원, 단편 또는 동족체의 충분한 섭취 또는 흡수를 보증할 정도로 보다 긴 기간에 걸쳐 3회/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증상이 계속 존재하거나 반복된다면 치료가 계속되거나 재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포도막망막염에 특이한 자기항원 및/또는 포도막염 억제 단편 또는 그의 동족체의 경구 또는 장내 투여를 위한 유효량, 및 약리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또는 희석제로 이루어진 약제 배합물 및 유효 투여량 형태를 제공한다.
상기에 정의된 용어는 이러한 약제 배합물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들어 자기항원이 S-항원 (S-Ag) 또는 생물학적 활성인 그의 단편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여 제공된 약제 배합물은 고체, 반고체 또는 액체형태일 수 있으며 또한 약리적으로 허용되는 충전체, 담체 또는 희석제, 및 다른 불활성 성분 그외에 첨가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추가의 성분의 일예는 인산염 완충 식염수(PBS), 전분, 슈가, 및 벤토나이트 및 실리카를 포함한다. 그것은 또한 다른 적합한 식품형태, 미각증각제등과 혼합될 수 있다. 경구 배합물은 불활성 코팅(소화를 용이하게 하는 코팅을 비롯한)으로 임의로 피복된 캡슐, 정제 또는 캡릿(caplet)의 형태일 수 있거나 또는 본 기술에 잘 알려진 지속방출 경구 또는 장내 분배 시스템에 혼입될 수 있다. 이러한 코팅의 비제한적 실예는 셀룰로스, 젤라틴 또는 그 유도체를 포함한다. 또한 예상되는 액체 배합물이 액체 형태로 투여될 수 있거나 또는 캡슐화 될 수 있다. 겔 배합물이 또한 예상된다.
본 발명의 약제 배합물은 영장류, 이를테면 사람을 비롯한, 포유동물의 포도막염 증상을 가진 자기면역 질병의 임상적 발현을 치료하거나 또는 예방하는데 유용하다.
본 발명은 그의 범위를 제한함이 없이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 의도된 특정 실시예에서 다음에 기재된다.
[재료 및 방법]
동물. 180-200g 무게의 암컷 루이스래트를 Charles River Laboratories (Raleigh, NC)로 부터 얻었고, 모든 실험에 사용하였다.
[항원 및 면역 반응식]
망막 항원 S-Ag를 소의 망막으로 부터 정제하였다(Dorey, C., 외, Ophthalmic Res. 14:249, 1982). 두개의 포도막염원 S-Ag 단편, N 및 M (Donoso, L.A., 외, 상기 인용문; Sin호, V.K. 상기 인용문)을 이용하였다. S-Ag 단편을 DNA 합성기(모델 380/381, Applied Biosystems, Foster City, CA.)를 이용하여, 제조업자 지시서(사용자 공용문)에 따라 합성 제조하였다. 다른 방도로서, 펩티드는 예를들어 Donoso, 1987, 상기 인용문, 또는 상기에 인용된 Merrifield 및/또는 Mitchel에 기재된 바와 같이 다른 공지 기술에 따라 합성될 수 있다. 두가지 모두 단편을 길이 18개 아미노산이었다 : M 펩티드는 아미노산 서열 DTNLASSTIKEGIDKTV 를 가졌고 N 펩티드는 서열 VPLLANNRERR- GIALDGKIKHE 이었다 (상기 서열에서 : A=알라닌, C=시스테인 ; D=아스파르트산 ; E=글루탐산 ; F=페닐알라닌 ; G=글리신 ; H=히스티딘 ; I=이소로이신 ; K=리신 ; L=로이신 ; M=메티오닌 ; N=아스파라긴 ; P=프롤린 ; Q=글루타민 ; R=아르기닌 ; S=세린 ; T=트레오닌 ; V=발린 ; W=트립토판 ; 및 Y=티로신).
기니아 피그 수소 염기성 단백질(MBP)을 Diebler 외의 방법(Diebler, G.E., 외, Prep. Biochem. 2:139, 1972)에 의하여 뇌조직으로 부터 정제하였다.
사균인 M. 투베르쿨로시즈 균주 37RA 로서 증식시켜 첨가물(DIFCO, Detroit MI)이 2.5㎎/㎖ 의 최종 농도에 도달한 완전 프로인드 첨가물 (CFA ; Difco, Detroit MI)에 유화된 항원 50㎎을 사용하여 모든 면역화를 수행하였다. 단지 한개의 뒷발바닥에 에멀젼 0.1㎖로서 동물에 주사하였다. 면역화후 14일 동안 모든 동물을 관찰하였고, 이때 그 동물을 희생시켰다. 그들의 눈을 제거하고 10% 포름알데히드에 넣은 다음, 헤마톡실린과 에오신으로 착색된 슬라이드를 제조하였다. 슬라이드를 마스크란 관찰자로서 역할한 연구가들중 한사람에 의하여, Nussenblatt, R.B. 외, Arch. Ophthalmol. 103:1559, 1985 에 보고된 기준을 이용하여 염증에 대하여 조직학적으로 평가하였다. 이들 기준은 기니아 피그에 대한 것인 Wacker 외에 의하여 기재된 등급 시스템 (Wacker, W.B. 외, J. Immunol. 119:1949 (1977))의 변형을 나타낸다. 간략히 말하자면, 래트에서 포스테리오 세그먼트 질병의 평가에 대한 등급기준은 다음과 같다.
0, 염증질병의 증거 없음 ; 미량(0.5+), 망막의 명백한 접속의 건축구조. 포커스 파괴 부위는 1+, 광수용기의 폰지된 파탄과 함께 파괴의 포커스 부위 ; 2+, 보다 큰 파괴와 함께 약간의 침출성 망막 탈착, 초자체에서 보통 내지 정상 세포수 ; 3+, 상실되기 시작하는 망막 건축구조, 초자체에서 정상 내지 큰 세포수 ; 및 4+, 망막 건축구조의 총 파괴이었다.
MBP로서 면역화 된 동물에 대하여, EAE를 다리 마비에 의하여 특성화하였고 다음과 같이 점수화하였다 : 0 - 질병없음 ; 1- 감소된 활성, 늘어진 꼬리 ; 2 - 온화한 마비, 불안정한 활보 ; 3 - 보통의 대부전마비, 파로 비틀린 다리 ; 및 4 - 사지마비. 사용된 다른 모든 물질은 상업적으로 수득될 수 있다.
경구내성: 경구 공급을 통하여 유발된 보호
래트에게 -7일, -5일, 및 -2일에 S-Ag 200㎍씩(총 600㎍) 또는 S-Ag 1㎎씩 (총 3㎎), 또는 소혈청 알부민(BSA) 1㎎씩(총 3㎎), 또는 N 및/또는 M 단편 각 200㎍씩(총 600㎍) 3회 공급하였다. 상기에 기재된 바와같이 면역화를 제로일에 수행하였다. MBP를 경구로 섭취한 동물에 -9일에 제공된 추가 공급과 함께 단백질 1㎎을 4회 제공하였다. 모든 항원을 플라스틱 튜빙으로 피복된 23게이지 바늘을 이용하여 PBS 1㎖에 제공하였다.
포도막염원 단백질 (S-Ag), 및 그이 M 및 N 단편으로 면역화된 미공급 억제 동물은 도전후 11-14일 사이에 질병을 발현하였다. 제1 및 2도에서 알수 있는 바와 같이, 마스크한 관찰자에 의하여 조직학적으로 읽힌 눈의 염증정도가 가장 심각한 질병을 유발한 전체 S-Ag 분자와 함께, 면역 항원에 따라 어느정도 변했다. 제1도는 S-Ag로 면역화되고 여러가지 항원으로 공급된 눈의 조직학적 실험에 대하여 존재한 염증질병을 보여준다. 심각한 염증바응이 어떠한 공급도 되지 않은 동물의 눈에서, 그 외에 소혈청 알부민 총 3㎎이 공급된 동물에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동물은 S-Ag로서 공급하였을 때, 염증 질병에서 통계적으로 상당한 (실제) 감소가 알려져 있다. 심지어 동물을 3회 분할 투여량으로 S-Ag 총 0.6㎎을 공급하였을 때, BSA 0.6㎎을 공급한 후 관찰된 것과 비교하여 염증 반응이 통계적으로 상당히 감소되었다 (Colton, T., Little Brown, 1974, pp. 219-221 에 기재된 Wilcoxon 계열 합계 시험 ; P = 0.003). 염증질병에서 보다 상당한 감소는 14개 눈중 단 2개가 조직실험시 면역반응을 보여주면서, 동물에게 BSA 0.6㎎을 공급한 것과 비교된 S-Ag 총 3㎎을 공급하였을 때 알려져 있다.
S-Ag의 N 및 M 단편이 또한 동물에 공급되어 질병을 예방하는 그들의 능력을 평가하였다. 동물에게 N 및 M 분율 각각 총 0.6㎎(몰 기초로 공급된 S-Ag 의 20배 과량)이 공급되었을 때, M또는 N 단편도 통계적으로 상당한 방식으로 S-Ag-유발 질병을 소멸시킬 수 없었고 ; 그 효과는 BSA로 공급한 것과 비교할만 하였다. 사실, 동물에게 두가지 모두의 단편을 동시에 공급하여, 각각 총 0.6㎎을 섭취하였을 때, 알려진 눈의 질병이 비눈 항원, BSA를 공급하였을 때 보여진 것과 유사하거나 약간 컸다.
제2도는 S-Ag의 N 및 M 펩티드에 의하여 유발된 실험적 포도막염에 대한 다양한 항원 공급효과 (자동 유발 및 경구 억제)를 보여준다. 전체 S-Ag(총 0.6㎎) 공급은 N 단편(7/8 눈) 또는 M 단편(6/8 눈)으로 면역된 동물에서 포도막염을 예방할 수 있엇다. N 단편 (총경구 투여량 0.6㎎)은 S-Ag 만큼 N-단편 유발 질병을 예방하는데 효과적이지 못했으니, 반면에 동일 경구 투여량에서 제공된 M 단편은 M 단편-유발 포도막염을 예방하는데 효과적이었으며, 어느정도 N-단편 유발 질병도 예방하였다. 이들 결과는 적어도 M-단편 및 가능하게는 N-단편도 전체 S-Ag의 경구 치료에 첨가물로서 유용하다는 사실을 제시한다.
실험의 별도 세트에서, S-Ag 공급을 MBP-유발 EAE의 발생에 대한 효과를 측정하는데 시험하였다. 경구로 S-Ag 총 3㎎으로 처리되고 MBP로 면역화된 세마리의 동물은 심각한 EAE(평균점수 3.66)를 발생하였으며, 반면에 그 항원으로 면역화전에 경구로 MBP를 제공한 동물중 어느것도 EAE의 표시를 발생시키지 않았다 (데이타 제시안됨). 따라서, S-Ag의 경구 (또는 장내) 투여는 특이 보호를 제공하며 비관련 자기항원에 대한 면역 반응을 실행하는 환자 능력을 약화시키지 않는다.
[실시예 2]
시험관내 증식반응
면역후 14일에 동물을 희생시켰고 유출 슬와근의 임파선을 제거하였고, 절개한 다음 Oppenheim, J.J., 외, 1976, Lymphocyte transformations : Utilization of Automatic Harvesters in In Vitro Methods and Tumor Immunity, Bloom B.R., 외, Eds, Acad. Press, NY, pp. 573-585 에 따라 배양체를 제조하였다. 간략히, 세포 배양체를 Caspi R. R. 상기 인용문에 기재된 바와같이 페니실린 100㎍/㎖, 스트렙토마이신 100㎍/㎖, 글루타마이신 50㎍/㎖, 글루타민 2mM, 나트륨 피루베이트 1mM, 비필수 아미노산 0.1mM, 2-메르캅토에탄올 5×10-5M로 보충된 CRPMI(Gibco, Grand Island, NY로 부터 RPMI 1640 배지) 0.2㎖를 함유하고 1.5% 래트혈청을 함유한 평편밑면 마이크로타이터 웰에서 1.5×106세포/㎖의 농도에서 성취하였다. 모든 배양체를 삼중 또는 육중으로 수행하였다. S-Ag 및 단편 N 과 M의 농도는 25㎍/㎖ 이었고, 반면에 Con A를 10㎍/㎖ 에서 사용하였다. 배양체를 37℃ 에서 5% 이산화탄소하에 배양시켰다. 트리티에이트티미딘 1μCurie/well 로서 펄싱을 배양 종료전 14시간 수행하였고, 세포를 Mash II 수집기(Cambridge Technology, Cambridge, MA)에서 수집하였다. 그 결과를 항원 함유 웰에서 카운트로서 정의된 자극 인덱스로서 표시하고, 평균 ± 표준 평균오차 (SEM)로 기록한다. 이 그룹에 대하여, 2.5 또는 그 이상의 자극 인덱스가 시험관내 기왕증 세포반응의 증거로서 간주되었다. 2.5 또는 그 이상의 자극 인덱스는 통상의 기준이며 평균의 표준편차 2배(2X) 이상을 나타낸다.
S-Ag 항원으로 면역된 동물에서 S-Ag에 대한 증식반응에 대하여 여러가지 항원의 공급효과를 제 3a도에서 알 수 있다. 적어도 4마리의 동물로부터 배양체를 각 컬럼에 표시한다. 알 수 있는 바와같이, N또는 M 단편을 공급한 후 S-Ag에 대한 증식반응은 BSA를 공급한 후 알려진 것과 통계적으로 서로 다르지 않다(T. Colton, pp. 129-131, 상기 인용문에 기재된 대학생들 시험; 각각 P=0.259 및 0.803). 그러므로, 이들 동물에서, 전체 자기항원 유발 질병에 대한 임상적 보호는 단편을 공급함에 의하여 얻어지지 못했다. S-Ag 0.2㎎을 3회 제공하였을 때, 통계학적으로 상당하고 (BSA 공급(p=0.018)으로 알려진 것에 반대) EAU로부터 이들 동물의 부분적 보호와 연계된 증식반응에서 감소를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시험관내 증식 반응에서 가장 인상적인 감소 (p=0.005)는 면역전에 3회 제공된 S-Ag 1㎎ 공급후 알려졌다. 이것은 S-Ag 면역에 의하여 유발된 EAU의 임상적 발현에 대한 가장 좋은 보호를 얻은 경구 투여량이었다.
제4b도는 면역화에 사용된 완전 프로인드(Freund) 첨가물의 전체 성분, PPD(Difco, Detroit, MI) 및 미토겐 Con A. (Sigma, St. Louis, MO)에 대한 증식반응을 보여준다. BSA 또는 S-Ag의 경구 공급을 섭취한 동물간에 통계적으로 상당한 차이를 나타낼 수 없었다.
그 결과는 자기항원의 경구 투여에 의한 포도막염 증상의 임상적 발현에 대한 보호가 경구 투여된 항원에 특이하다는 것을 제시한다. 또한, 이러한 보호는 T-세포 매개(적어도 부분적으로) 및 투여량 의존적이다.
[실시예 3]
항원 및 미토겐에 대한 증식반응의 시험관내 억제
비면역화된 래트에 2-3일 마다 S-Ag 1㎎, 소혈청 알부민(BSA), 또는 첨가물 KLH, 또는 식염수를 3회 공급하였고, 최종 공급후 4일에 비장세포를 수집하였다. 그 후 비장세로(2×106세포/㎖)를 10% 소태아 혈청으로 증가된 CRPMI에 넣었고, S-Ag 5㎍/㎖ 또는 Con A 2㎍/㎖로서 펄스시켰고, 48시간 배양시켰다. 이들 배양체로서 부터 세포를 조절인자 세포로서 사용하였고 그들이 식염수-공급 동물로부터 유발된다면 Tm 억제로서, KLH-공급 동물로 부터라면 TmKLH 로서, BSA-공급 동물로 부터라면 TmBSA 로서, 및 S-Ag-공급 동물로부터 유발된다면 TmS-Ag로서 지칭하였다.
양자 전이에서 EAU를 유발시키는 것으로 알려진 CD4+, S-Ag 특이 T-도움인자 세포주(ThS-Ag)가 (Mokhtarian, Nature, 309:356 (1984)의 방법에 따라) 모든 실험에서 반응인자 세포로서 사용되었다. 병행 실험에서, CD4+/PPD-특이 T-도움인자 세포주 (ThPPD)가 또한 사용되었다 (Caspi 외, 상기 인용문). 항원-표시 세포(APC)로서 역할하는 2×104의 반응인자 세포를 5×105으로 조사된 (1500 rads) 루이스 래트 갑상선 세포로서 배양시켰다. 배양체에 서로 다른수의 조사된 (1500 rads) Tm 억제, TmBSA, TmKLH 또는 TMS-Ag 조절인자 세포를 첨가하였다. 모든 배양체를 평편밑면의 96 웰 플레이트 (Costar)에서 1.5% 래트 혈청과 함께, S-Ag (최종 농도 25㎍/㎖), 또는 Con A (최종농도 2㎍/㎖)의 10㎕ 부분표본으로 자극된 웰과 함께, 또는 배지 단독으로서 CRPMI 에서 삼중으로 성취하였다. 배양체를 3일간 배양시켰고, 트리에이트 티미딘 1μCurie/웰의 펄싱을 배양종료전 14시간에 수행하였다. 세포를 Mash II 수집기에서 수집하였다.
ThS-Ag, APC, 및 TmS-Ag를 함유한 웰에 ; 0X8 항체(억제인자/래트의 T 세포의 세포독성 서브세트를 특이 인식함) 또는 Leu 2a 항체 (래트의 T 세포 서브세트에 알려진 친화성이 없음) (Becton Dickinson, Mountain View CA)를 배양 개시시 첨가하였다.
S-Ag 또는 Con A 로서 시험관내 예비 배양후, S-Ag 또는 BSA-공급 동물로 부터 비장세포 및 S-Ag CD4+T 세포후(ThS-Ag)의 공배양을 수행하였다. 이들 실험 결과를 제4도에 제시할 수 있다. 지시인자 ThS-Ag의 항원 운반 증식의 억제 정도를 알 수 있다. 제4a도는 S-Ag와 함께 TmS-Ag 또는 Tm-BSA의 시험관내 예비 배양후 얻어진 억제를 보여준다. S-Ag에 대한 ThS-Ag 반응의 심한 억제가 시험전 비장세포 조합물에 대한 T-도움인자의 모든 비율에서 얻어졌고, 증식반응의 억제가 5 또는 10 Tm-Sag 에 대한 1 ThS-Ag를 함유한 배양체에서 기초의 억제에 접근하였다. Tm-BSA의 첨가로서 알려진 억제 패턴이 서로 달랐고, 2 Tm-BSA에 대한 1 ThS-Ag의 비율에서 비억제가 알려졌고, 5 및 10 Tm-BSA에 대한 1 ThS-Ag의 비율에서 약간의 억제가 알려졌다. 2 TmS-Ag에 대한 1 ThS-Ag에서 거의 15-5의 자극 인덱스에서 감소가 관찰되었고, 반면에 이 비율에서 반응비억제가 Tm-BSA로서 배양에서 알려졌다. Tm-BSA에 대하여 TmS-Ag에 의하여 효과가 있는 억제차이가 억제인자 세포에 대한 1:5 및 1:10 지시인자의 모든 실험 비율(p=0.04, 0.002)에서 통계학적으로 상당하였다. 그 결과는 자기항원 유발 억제가 T-세포 수준에서 특이하고 억제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억제인자 포현형의 T-세포에 의하여 또는 의존하여 매개된다는 사실을 제시한다.
제4a도에서 알려진 차이에 대하여, 4b도는 TmS-Ag 또는 Tm-BSA 가 Con A(2㎍/㎖)로서 예비 배양된 후 억제정도를 제시한다. 반드시 동일한 억제 패턴이 TmS-Ag 및 Tm-BSA 두가지 모두에 대하여 제시될 수 있다. 이들 지견은 S-Ag 공급 루이스 래트의 비장 개체군에서 발견된 항원-특이 억제인자 세포의 존재를 제시한다.
제4c도는 S-As 5 ㎍/㎖로서 48시간 배양된 (그러나 감응화되지 않거나 또는 비관련 항원 KLH로 감응화 됨) TmKLH 또는 Tm 억제로서 ThS-Ag를 공배양시켜 얻어진 반응을 제시한다. 알수 있는 바와 같이, ThS-Ag 증식 반응의 비억제가 5 또는 10의 TmKLH 또는 Tm 억제에 대한 1 ThS-Ag의 비율에서 알려져 있다.
제5도는 TmS-Ag가 S-Ag(5㎍/㎖)로서 예비 배양된 다음 ThS-Ag 또는 ThPPD로서 공배양될 때 얻어진 항원-특이 억제를 제시한다. 발표된 ThS의 증식반응 억제가 첨가된 비장세포의 모든 비율에서 알려져 있다. 놀라울 정도의 서로 다른 패턴이 PPD 세포주의 증식반응에서 알려져 있다. 비억제, 그러나 오히려 증식반응의 증가가 시험된 비장세포 공배양체에 대한 T-도움인자의 모든 비율에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현상은 배양체에서 항원 표시세포의 증가된 수에 관련된다.
시험관내 억제를 반전시키는 (이로서 T-억제인자 포함을 확인하는) T-억제인자 CD+8 서브세트(OX-8)에 대하여 의도된 일클론 항체의 캐패시티를 다음에 평가하였다. 표1은 이러한 실험 결과를 제시한다. 괄호 수치는 자극 인덱스이다. 각 항체에 대한 최종농도 1:100을 사용하였고 S-Ag 25㎍/㎖를 첨가 하였다. 1×105의 TmS-Ag 농도를 본 실험을 통하여 사용하였다.
10 TmS-Ag 세포에 대한 1 ThS-Ag의 비율에서, S-Ag 존재시 증식반응이 항원을 함유하지 않은 웰 수준에 접근하는 수준으로 감소된다. 그러나, OX-8 항체의 1:100 최종 희석 존재시, 증식반응을 4배로 증가한다. 동일 희석에서 Leu 2a 항체의 첨가는 억제를 반전시키지 않았다.
세포플루오로그래프(Becton Dickinson, Franklin Lakes, NJ)를 이용하여, OX-8+ 세포의 총수 차이를 BSA-공급 동물에 반대인 S-Ag-공급 동무의 비장에서 알 수 없었다.
본 발명에서 전 S-항원 분자의 경구 공급이 면역내성 및 S-Ag 유발 EAU의 예방을 유발시킬 것이라는 사실이 알려진 바 있다. 또한, 면역반응의 항원 특이 억제가 시험관내로 알려진바 있다. 임파구 세포 표면에 CD8 억제인자/세포독성 표시자로 의도된 항-CD8 항체가 이러한 억제를 차단할 수 있다는 것이 제시된 바 있다.
S-Ag 유발 EAU는 래트에서 본래 숙주로 CD4+CD8-T 임파 세포주의 전이에 의하여 유발될 수 있는 사람의 포도막염에 대한 실험모델이다 (Caspi R.R., 외, 상기 인용문; Gregorson, D.S., 외, S-Antigen specific rat T cell lines mediate EAU and EAP, in Modern Trends in Immunology and Immunopathology of the Eye, Secchi, A.G., and I.A. Fregona(eds), Masson, Milan, pp. 22-25, 1989). 이러한 질병에서 T 세포의 우세역할 및 사람에 대한 EAU 모델의 예상치가 또한 시클로스포린이 사람에서 효과적으로 EAU를 예방할 수 있다는 관찰에 의하여 뒷받침된다(Nussenblatt, R.B. 외, 1981, 상기 인용문).
[실시예 4]
임상적 EAU에 대한 망막 자기항원의 공급효과
본 실시예에서, EAU 임상적 개시에 대하여 망막 자기항원, S-Ag의 공급효과를 조사하였다. 180-200g의 무게가 나가는 6마리의 암컷 루이스 래트의 네개 그룹(n=24)을 Charles River (Raleigh, NC)로부터 얻었다. 재료 및 방법 : 항원 및 면역화하에 상기에 기재된 바와같이 0일에 시작하여 모든 면역화를 수행하였다. 공급을 7일에 시작하였고 7, 9, 12 및 15일에 계속하였다. 그룹 P.O에 대하여 1㎍을 피술체에 경구, 즉 장내(튜브공급)로 투여하였다. 식염수 용액을 억제그룹에 장내 투여하였다. 염증정도를 상기에 기재된 마스크한 관찰자 방법에 의하여 조직학적으로 해득하였다. 실험(P.O.) 및 억제그룹 두가지 모두에 대한 결과를 제6 및 7도에 도시한다.
제6도로부터 6마리의 억제그룹 구성중 5마리가 도전후 11-13일에 질병을 발생시켰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 P.O. 그룹에 대하여, 6마리의 피술체중 단 1마리가 질병을 발생시켰고, 이러한 단순한 예에서, 질병 증상이 억제래트에서 질병과 비교하여 온화하였다.
제7도는 그룹의 조직학적 등급결과, 즉 염증 인덱스를 보여주는 막대그래프이다. (참조 등급 한계의 논의에 대하여 재료 및 방법 : 항원 및 면역화 반응식) 처리되지 않은 래트의 피술체에 대하여, 평균 등급은 2+ (큰 파괴와 함께 적은 침출성 탈착, 초자체에서 온화 내지 보통의 세포수) 및 3+ (상실되기 시작하는 망막 건축구조, 보다 큰 침출성 망막 탈착, 초자체에서 보통 내지 큰 세포수) 사이의 중간에 해당하는 약 2.4 이었다. 실험 P.O. 피술체에 대하여, 평균등급은 0.5 (염증 질병의 미량 증거) 및 1+ (광수용기의 표시된 파탄과 함께 파괴의 포커스 부위) 사이인 약 0.75 이었다.
본 발명의 유형을 예시하는 참고로서 상기에 기재된바 있다. 그러나, 본 기술에 숙련된 자들은 상기에 기재된 주제에 대한 많은 첨가, 생략 및 변형이 다음에 주장되는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모두 가능하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실시예 5 :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S-항원 폴리텝티드의 폴리텝티드 단편
다음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가진 폴리텝티드를 본 발명에 따라 포도막망막염의 증상을 가진 질병의 임상적 발현을 치료하거나 예방하기 위하여 포유동물에게 경구로 또는 장내로 투여할 수 있다. 폴리펩티드는 S-항원 폴리펩티드의 단편이다. 이들 폴리펩티드를 상기 17-18면에 기재된 방법을 이용하여 래트에 투여할 때 포도막망막염을 유발시킨다고 발견되었으므로 포도막망막염을 치료하거나 예방하는데 선택하였다. 이에 더하여, 예비실험은 포도막망막염을 겪고 있는 래트로 부터 분리된 T-세포 (전체 S-항원 폴리펩티드에 노출될 때 증식됨)가 이들 단편이 21면에서 상기 기재된 시스템을 이용하여 이러한 세포에 시험관내 투여되었을때 증식되지 않았다는 것을 보여준바 있다.
이들 폴리펩티드의 아미노산 서열을 표2에 제시하며 S-항원 폴리펩티드 서열에서 그들의 관련 부위를 제8 및 9도에 도시한다.
제8도는 Shinohara, T. 외 (Proc. Nat. Acad. Sci. USA 84:6975-6979, 1987)에 기재된 사람의 S-항원 폴리펩티드 전체 서열을 도시한다. 제9도는 Yamaki, K. 외(FEBS Letters 234:39-43 및 236:5071, 1988) Shinohara, T. 외(상기 인용문) 및 Yamaki, K. 외 (Biochem. Biophys. Res. Comm. 142:904-910, 1987))에 각각 기재된 소, 사람 및 래트의 S-항원 폴리펩티드의 전체 서열, 및 본 발명의 폴리펩티드 G2, G3 및 GM의 상대 위치를 도시한다. 제9도에서 위의 서열은 소의 S-항원 폴리펩티드이며, 중간 서열은 사람의 S-항원 폴리펩티드이고 밑의 서열은 래트 S-항원 폴리펩티드의 것이다. 이에 더하여, 상기에 기재된 M 및 N 폴리펩티드의 상대위치가 제9도에 제시된다. 폴리펩티드 GM이 소, 래트 및 사람의 서열이 동일한 S-항원 폴리펩티드의 부위로 부터 되며 폴리펩티드 G2 및 G3가 소의 원으로 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들 폴리펩티드에 대한 사람의 카운터파트 서열이 상기 표2에 제시된다. 폴리펩티드 G2 및 G3에 대한 사람의 카운터파트가 또한 본 발명의 방법을 실시하는데 유용하다고 예상되며 포도막망막염의 증상을 가진 질병을 겪고 있는 사람의 환자를 치료할 때 바람직하다.
표2에 제시된 펩티드를 잘 알려진 고체상 합성 기술을 이용하여 합성할 수 있다(Merrifield, R.B., Fed. Proc. Am. Soc. Ex. Biol. 21: 412, 1962 and J. Am. Chem. Soc. 85:2149, 1963 및 Mitchel, A.R., J. Am. Chem. Soc. 98: 7357, 1976). 상기에 기재된 폴리펩티드의 동족체를 상기 9-10면에 기재된 바와같이 합성할 수 있다. 다른 방도로서, 폴리펩티드 및 그들의 동족체를 본 기술에 잘알려진 유전공학 기술을 이용하여 적합한 진핵 숙주 또는 원핵 숙주에서 이들 폴리펩티드를 코드화한 핵산 서열을 클로닝시켜 만들 수 있다.
상기에 기재된 폴리펩티드를 단독으로 또는 그들중 두가지 또는 그 이상을 함유한 조합물로 포도막망막염 특성을 가진 질병 증상을 겪고 있는 포유동물에게 투여할 수 있다. 펩티드의 투여는 본 발명의 방법을 따라 경구 또는 장내 경로일 수 있다. 상기에 언급된 포도막망막염을 치료하거나 예방하기 위한 폴리펩티드의 유효량은 본 명세서 14-15면에서 상기에 기재된 것들과 동일하다.
실시예 6 : 본 발명에 사용하는 내부광수용기 망막 결합 단백질의 폴리펩티드 단편 다음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가진 폴리펩티드를 또한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포도막망막염의 증상을 가진 질병을 치료하거나 예방하기 위하여 포유동물에게 경구로 또는 장내로 투여할 수 있다. 다음에 기재된 폴리펩티드가 9-10면에서 상기에 기재된 소의 내부광수용기 망막 결합 단백질(IRBP)의 단편이다. 서열 HVDDTDLYLTIPTAR
-SVGAADGS (다른 방도로서 R4로서 언급됨) 및 PTARSVGAADGSSWEGVGVVP
DV (다른 방도로서 R14로서 언급됨)를 가진 폴리펩티드는 Borst, D.E. 외 (J. Biol. Chem. 164:115, 1989)에 기재된 소의 IRBP로 부터 각각 아미노산 서열 1158-1180 및 1169-1191이다.
이들 폴리펩티드를 다음에 기재되고 실시예 5에서 기재된 바와같이 제조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단독으로 또는 각각 두개 또는 그이상의 조합물로 또는 실시예 5에서 상기에 기재된 폴리펩티드와 함께 유효량으로 경구 또는 장내로 투여할 수 있다(상기에 기재됨).
다음에 제시된 바와같이, 자기면역 병인 여려가지 눈 질병을 겪고 있는 상당수의 환자로 부터 분리된 임파구세포가 이들 폴리펩티드에 대한 반응에서 증식하였기 때문에 이들 폴리펩티드가 선택되었다. 연구된 환자 및 본 발명의 IRBP-유발 폴리펩티드에 대한 이들 환자로 부터 분리된 임파구의 반응에 대한 기술내용이 다음에 제시된다.
본 연구에 참가한 환자들을 미국 베테스다소재 National Eye Institute 의 포도막염 클리닉 및 일본 도쿄 소재 Tokyo University Branch Hospital 에서 보았다. 모든 환자는 본 연구에 참가하기 전에 동의서를 제공하였다. 그들은 사람의 연구에 대한 각 기관의 위원회에 의하여 승인된 진행 조서의 일부이었다. 모든 환자는 후방 세그먼트를 포함한 활성 포도막염을 가지고 있거나 망막 또는 맥락막을 포함한 전 활성질병의 병력을 가지고 있다. 시험 환자들은 다음 진단중 한가지를 가지고 있었다 : Behcet 병, 새산탄형 망맥락막증, 파즈 피아니티스 (pars pianitis), 눈 유육종, 교감성 안염, 및 Vogot-Koyanagi-Harada 증후군, 각 진단에 대한 기초가 다른곳에 요약된다( Nussenblatt 외, Uveitis: Furdementals and Chinical Practice, Year Book Medical Publishers, Chicago, IL, 1989). 간략히 말하자면, 베케 질병으로 진단된 환자는 눈의 질병을 가진 모든 환자와 함께 일본의 베케병 연구 위원회 (Bechet's Disease Committee of Japan, Jpn. J. Ophthalmol. Research, 18:291, 1974)에 의한 불완전 베테 세트에 대하여 적어도 최소 한계와 일치하였다. 새산탄형 망막맥락막증이 있는 환자는 후방 세그먼트에서 크림색상 병변 그위에 흑점 부종 및 망막 맥관변화를 나타냈다. 이들 환자는 그외에 HLA A-29 양성이었다. 교감성 안염이 있는 환자는 외상 또는 다중 수술 이어서 양면 육아종증 포도막염이 침투한 병력을 갖고 있었다. Vogt-Koyanagi-Harada 증후군 환자는 진단과 양립가능한 눈 및 전신 변화가 존재한 일본인 또는 미국인의 인디안 유전을 갖고 있었다. 눈 유육종 환자는 대부분의 경우에 양성의 갈륨 스캔 또는 생체검사 입증 질병을 동반한 양면 육아종증 포도막염을 갖고 있었다. 환자의 최근 의학적 치료(통상 시클로스포린 및/또는 프레드니손으로 구성된) 또는 그들의 활성 수준에 대하여 각각 시험하였다. 시험항원이 망막원이었기 때문에, 전방 세그먼트 염증은 활성 질병의 정의 일부로서 간주되지 못했다. 망막 침윤물의 존재, 혈관주위염, 스노우 뱅킹(snow banking) 또는 초자체 몽롱이 활성 증거로서 채택되었다. 추가로, 형광 혈관조영법에 의하여 확인될 때 낭포 흑점 부종이 활성 질병의 표시로 생각되었다. 모든 진단 카테고리는 다른 시험에 의한 확이이 필요한 눈 유육종 및 새산탄형 망막맥락막증의 경우를 제외하고 임상적 기준을 기초로 하였다. 억제 피술체를 비연구진 또는 포도막염 상황이 보이지 않는 임상 환자중에서 선택하였고, 망막 또는 맥락막 질병이 있는 자는 배제되었다.
[항원의 제조]
본 시험에서 사용된 항원은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이 Redmond 외 (Biochem. 24:787, 1985)에 의하여 기재된, 균등질로 정제된 소의 내부 광수용기 망막 결합 단백질 및 Dorey 외에 의하여 기재된 방법에 의하여 정제된 소의 S-항원을 포함하였다. 펩티드 합성기(430A, Applied Biosystems Inc.)에서 t-BOC 화학을 이용하여 내부광수용기 망막 결합 단백질 유발 펩티드를 상업용 실험실 (Applied Biosystems Inc., Foster City, CA)에 의하여 합성하고 정제하였다. 펩티드 서열을 Borst 외 (상기 인용문)에 의하여 측정되고 보고된 바와같이 소의 내부광수용기 망막 결합 단백질로 부터 유발시켰다. 그들은 R4에 대하여 서열 1156-1180(HVDDTDLYLTIPTARSVGAADGS) 및 R14에 대하여 서열(PTARSVGAADGSSWEGVGVVPDV)로 구성되었다. S-항원(M 및 N) 폴리펩티드를 자동화된 펩티드 합성기(SAM II ; Biosearch, Inc. San Rafael, CA)를 이용한 벤즈히드릴아민 수지에서 Donoso 와 그의 공동 연구가의 방법 (상기 인용문)에 따라 합성하였다.
[임파구 증식 시험]
제시된 경우를 제외하고 일본과 미국에서 동일방식으로 증식 시험을 수행하였다. 간략히 말하자면, 헤파린과 혈액 시료에서 일핵 백혈구를 이소림프 기울기 (Gallard-Schlesinger, Carle Place, NY)에서 분리하였고 글루타민 (2mM), 페니실린 (100 units/㎖), 스트렙토마이신(100 ㎛/㎖) 및 열불활성 사람의 AB 혈청으로 보충된, HEPES (GIBCO, Grand Island, NY)와 함께 RPMI-1640 배지에서 배양시켰다. 단일 공여자로 부터 20% 혈청을 National Eye Institute 에서 구성된 배양체에 사용하였고 반면에 도꾜체서 수행된 시험에서 10% 상응 혈청 (Lot No. : 14510, Pel Freez, Brown Deer, WI)을 사용하였다.
두가지 방법을 이용하여 세포를 배양시켰다. 간략히 말하자면, 처음 방법에서, 2×10 세포/웰을 편평 밑면 96-웰 플레이트에서 5일간 배양시켰다(Nussenblatt 외, Am. J. Ophthamol. 89:173, 1980 에 기재된 바와 같음). 일정 상황하에 세포간 상호작용을 증가시켜 반응을 증가시킨다고 여겨진 제2 방법을 이용하여, 5×10 세포/웰을 둥근 밑면 96-웰 플레이트에서 7일간 배양시켰다 (Hirose, S. 외, Curr. Eye Res. 7:393, 1986 에 개시됨). 모든 배양체는 총부피 200㎕ 이었고 자극제와 함께 또는 부존재하여 삼중으로 구성되었다. 항원 농도는 4, 20, 50 또는 100㎍/㎖ 이었다. 배양체를 특정시간동안 37℃에서 100% 습도 및 공기내 5% CO로서 배양시켰고, 마지막 16hrs 동안 H-티미딘 ( H-TdR, New England Nuclea, Boston, MA ; 2 Ci/mmol, 0.5 μCi/10㎕/웰)으로서 펄스시켰고 MASH II 수집기를 이용하여 유리섬유 여과기에서 수집하였다. 건조후, 여과기 패드를 3㎖ 톨루엔-기재 플루오르와 함께 약병에 넣고 Beckman L3801 액체 섬광 계수기에서 계측하였다. 여러가지 펩티드를 동시에 시험하였으나; 모든 펩티드가 각 환자에 대하여 시험될 수 없었다. 정상 억제군으로 부터 세포를 통상적으로 한사람 또는 그이상의 환자의 세포와 동시에 시험하였다.
[통계학적 분석]
복제 배양체의 각 세트에 대하여 분당 계수 (CPM)로 삼중 배양체의 평균을 계산하였다. 항원 자극 배양체 각각에 대한 평균을 항원이 첨가되지 않은 억제 배양체에 대한 평균으로 나누어 자극 인덱스(S.I.)를 유도하였다. 각 시험 중간 및 각 항원에 대하여, 평균 자극 인덱스 ± 표준편차를 억제 피술체에 대하여 계산하였다. 제공 펩티드 또는 결정기에 대한 환자의 자극 인덱스가 2 표준편차에 의한 억제군에 대한 평균 이상일 때 환자에 상당한 반응이 존재한다고 간주되었다.
각 시험항원에 대한 자극 인덱스를 또한 어떠한 통계적으로 상당한 차이가 존재하는지를 측정하기 위하여 억제군에 대한 질병 카테고리에 의하여 비교하였다. 표준의 결혼안한 대학생의 1 실험을 이용하여 가중치를 평가하였다. 환자들은 또한 그들의 임상 활성에 관하여 평가되었다. 통계학적 가중치에 대한 시험은 스퀘어 키(chi)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문서에 표시된 결과는 평균 자극 인덱스 ± 표준오차로서 제공된다.
[환자]
총 30명의 억제 및 82명의 환자를 시험하였고, 47명의 환자는 미국, 35명의 환자는 일본 출신이었다. 미국 및 일본인 환자의 특성이 다음 표3에 제시된다.
표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두 가지 모두의 그룹에서 평균 연령은 미국인 환자에 대하여 41세(10-70세 범위) 및 일본인에 대하여 43세(범위 20-70)로 비교할만 하였다. 조사기간은 그 그룹에서 유사한 경향이 있다 : 미국 44개월(92-108), 일본 57개월(2-247). 평균하여 환자들은 63개월(2-247)동안 포도막염으로 진단된 바 있다. 일본에서 본 모든 환자는 일본인 혈통이었고 ; 반면에 미국인 그룹에서, 47명중 41명이 코카서스인, 5명이 흑인 및 1명의 환자가 동양계통이었다. 임상적으로 활성인 질병이 있는 환자수는 다양한 카테고리(표3) 및 국가별로 달랐다. 전반적으로, 시험 환자들중 절반이 활성눈의 질병을 갖고 있었다. 가장 큰 모순이 유육종 환자 가운데 발견되었고, 일본인 환자의 많은 수가 활성이었다. 모든 그룹중에서, 새산탄형 망맥락막증 환자가 가장 낮은 활성율을 갖고 있었으며 그 질병이 극히 희귀한 일본에서도 아무도 시험되지 않았다. 활성환자의 비율은 베케병을 겪고 있는 환자들 가운데 가장 높았다. S-항원 폴리펩티드 또는 IRBP 폴리펩티드에 대한 환자 세포 반응을 다음 표4에 제시한다.
여러가지 질병 실제는 표4에 제시된 것처럼 포도막염원 항원에 서로 다르게 반응하였다. 그러나 유사한 반응 프로파일이 S-항원 폴리펩티드 및 내부광수용기 망막결합 단백질에 대하여 발견되었다. 막망을 포함한 질병이 있는 환자는 상당한 증식 반응을 제공하는 듯하였다. 미국인 환자에 있어서, S-항원 (20㎍/㎖)에 대한 평균 증식반응이 베케 질병 2.8 ± 1.0 (p=0.05) 및 새산탄형 망맥락막증 2.7 ± 0.2로 상당하였다. 내부광수용기 망막 결합 단백질 (20㎍/㎖)에 대하여, 억제군(p.9 ± 0.1)과 비교하여 베케병 1.5 ± 0.4 (p=0.04), 새산탄 망막맥락막증 1.4 ± 0.3 (p=0.04), 및 파즈 플래니티스 1.4 ± 0.02(p=0.04)로 상당한 차이와 함께 보다 낮은 경향이었다. 유사한 반응패턴이 가장 높은수의 반응인자가 베케병에서 발견된 일본인 환자에 존재하였다. 시험 환자의 눈 유육종 질병은 매우 양성인 반응인자를 제공하였다. 그러나 식물성혈구응집소 및 정제된 단백질 유도체에 대한 그들의 반응이 강하였고, 반응 결핍이 비반응성의 일반화된 상태 때문이 아니었으나, 아마도 소의 S-항원 또는 소의 내부광수용기 망막 결합 단백질을 인식하는 능력을 반영시켰다는 사실을 나타냈다. 둥근 밑면 웰에서 7일간 세포 배양은 어떤 그룹들에서 상당한 반응수를 증가시켰으나, 전체에서는 아니었다. 주로 Vogt Koyanagi Harada 증후군이 있는 환자에 대한 과민성이 존재하였다. S-항원 및 내부광수용기 망막 결합 단백질에 대한 상당한 반응인자수에서 증가가 존재하였다. 미국에서 Vogt Koyanagi Harada 환자로 부터 임파구에 대한 S-항원의 평균반응은 억제군과 비교하여 2.8 ± 1.4 이었고, 통계적으로 상당한 차이 (p=0.03)가 있었다.
내부 광수용기 망막 결합 단백질 및 S-항원 폴리펩티드에 대한 시험관내 반응을 시험하는데 더하여, 이들 항원의 각각에 대한 폴리펩티드 단편에 대한 반응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상기의 표4에 제시한다.
표4에서 알 수 있는 바와같이, 내부광수용기 망막 결합 단백질 또는 S-항원 폴리펩티드에 대한 증식 반응의 강도 및 5일 배양체에서 본 발명의 폴리펩티드 단편 한가지 또는 그 이상에 대한 상당한 증식 반응의 존재사이에 상관관계가 존재하였다. 한가지가 S-항원 폴리펩티드에 대하여 통계적으로 상당한 반응인자로 간주된다면, 9명의 미국인 환자중 7명이 시험된 한가지 또는 두가지 모두의 펩티드 단편에 상당한 반응을 가지고 있었다(데이타는 제시안됨). 7일 배양체에서, S-항원 폴리펩티드에 반응성인 5명의 일본인 환자중 3명이 M 또는 N 펩티드, 또는 두가지 모두에 반응을 가지고 있었다. 내부광수용기 망막 결합 단백질에 반응한 9명의 미국인 환자중 6명에서, R-4 또는 R-14, 또는 두가지 모두에 대한 반응이 존재하였다. 이러한 상관관계는 광수용기 망막 결합 단백질에 대한 일본인의 반응인자에서 보지 못했다.
여러 환자의 임파구는 폴리펩티드 단편에 대한 증식반응을 가지지 못했으나, 모체항원을 인식하지 못했다. 5일 배양체내 20 또는 100㎍/㎖ 에서 한가지 또는 다른 S-항원 폴리펩티드 단편에 반응하는 22명의 미국인 환자중 12명에서, 전체 분자와 교체 반응이 없었다. S-항원 폴리펩티드 단편에 대한 일본인의 반응기는 19가지 경우중 단지 6가지에서 S-항원 폴리펩티드를 인식하였다 (세포는 7일간 배양됨).
베케 질병의 환자는 항원 두가지 모두의 단편에 대한 반응을 보여주었으나 그 반응은 단편에 대하여 가장 강했으며 또는 20㎍/㎖ 에서 S-항원 폴리펩티드 M 펩티드는 환자에 대하여 5.3 ± 1.0 및 억제군(p=0.0001)에 대하여 1.3 ± 0.2 의 평균 자극 인덱스로서 가장 높은 반응을 제공하였다. N 펩티드에 대한 반응은 또한 억제군보다 3배 높은 평균 자극 인덱스를 가진 환자로서 중요하였다. 새산탄형 망막맥락막증 환자는 단편 두가지 모두의 세트에 대하여 유사한 반응을 가지고 있었다. 환자에서 평균 자극 인덱스는 단편 두가지 모두의 세트에 대한 억제군의 2배이었다.
여러 환자는 각 항원의 적어도 한가지 결정기에 대하여 상당한 반응을 제공하는 능력을 나타냈으나, 전체 항원에 대하여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었다. 시험된 82명의 환자중 총 32명의 환자가 미국인 환자 가운데 18명 및 일본인 가운데 14명으로 이러한 반응을 제공한다고 발견되었다. 그들은 모든 질병 카테고리에서 발견되었으나, 베케 질병 및 새산탄현 망막맥락막증 환자 가운데 보다 빈번히 발견되었다. 유사한 분배의 경우를 2개 국가에서 보았다. 미국인 환자중 11명은 그들이 18개 비반응기(p=0.02)중 6과 비교하여 두가지 모두의 항원에 대한 반응을 제공할 때 활성이었다. 그러나, 단지 한가지 항원(p=0.05)에 반응하는 활성 환자수 (7/11 환자)로서 거의 차이가 없었다. 활성 질병 및 중요한 임파구증식 반응 사이의 상관관계가 일본인 환자 가운데 보이지 않았다.
S-항원 폴리펩티드를 내부광수용기 결합 단백질에 비교할 때, S-항원 폴리펩티드가 활성 질병 (p=0.003)과 보다 빈번히 관계가 있는 듯하다. 그러나, 다음의 표5에 제시된 바와같이, 각 질병 본질에서 프로파일은 두개 항원에 대하여 유사하였다. 치료와 증식 반응이 상관관계가 있도록 한 시도가 있었으나, 비상관관계가 가능하였고, 활성 질병이 있는 환자는 시클로스포린 또는 프레드니손으로 치료될 듯하였다.
* 분자는 활성 질병이 있는 환자를 뜻한다. 본모는 20㎍/㎖ 또는 100㎍/㎖에서 항원에 대한 중요한 증식반응이 있는 모든 환자를 뜻한다. 데이타는 5 및 7일 모두의 배양체에서 2.0 이상의 자극 인덱스를 가진 모든 반응인자를 포함한다.
Claims (8)
- 자기면역 포도막망막염에 걸린 인간을 치료하기 위한 약제 배합물로서, 포도막망막염에 특이적인 자기항원; 치료하고자 하는 상기 인간에게 경구 또는 장내 투여시 포도막망막염의 임상적 증상을 억제하는 상기 자기항원의 단편; 및 치료하고자 하는 상기 인간에게 경구 또는 장내 투여시 포도막망막염의 임상적 증상을 억제하는 상기 자기항원과 구조적으로 관련된 동족체 중에서 선택된 한가지 이상의 성분의 포도막망막염 치료 유효량을 필수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인간의 포도막망막염 치료용 경구 또는 장내 투여용 약리적 배합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항원이 S-항원인 것이 특징인 약리적 배합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항원이 약 48 킬로달톤(kDa)의 겉보기 분자량을 갖는 폴리펩티드인 것이 특징인 약리적 배합물.
- 제1항에 있어서, 약리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또는 희석제를 함유하는 것이 특징인 약리적 배합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항원의 단편을 함유하는 것이 특징인 약리적 배합물.
- 및 이들의 혼합물중에서 선택된 폴리펩티드의 포도막망막염 치료 유효량을 함유하는 것이 특징인 포유동물의 포도막망막염을 치료하기 위한 경구 또는 장내 투여용 약리적 배합물.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량이 상기 포유동물 체중당 약 0.1㎎/㎏ - 약 15㎎/㎏ 인 것이 특징인 약리적 배합물.
- 제6항에 있어서, 약리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또는 희석제를 함유하는 것이 특징인 약리적 배합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37977889A | 1989-07-14 | 1989-07-14 | |
US379,778 | 1989-07-14 | ||
US55163290A | 1990-07-10 | 1990-07-10 | |
US551,632 | 1990-07-10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0159046B1 true KR0159046B1 (ko) | 1998-11-16 |
Family
ID=27008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20700080A KR0159046B1 (ko) | 1989-07-14 | 1990-07-16 | 포유류의 자기면역 포도막망막염의 치료 또는 예방방법 |
Country Status (15)
Country | Link |
---|---|
US (1) | US5961977A (ko) |
EP (1) | EP0482089B1 (ko) |
JP (1) | JP2607751B2 (ko) |
KR (1) | KR0159046B1 (ko) |
AT (1) | ATE158950T1 (ko) |
AU (1) | AU670024B2 (ko) |
BR (1) | BR9007527A (ko) |
CA (1) | CA2063416C (ko) |
DE (1) | DE69031563T2 (ko) |
DK (1) | DK0482089T3 (ko) |
ES (1) | ES2109234T3 (ko) |
FI (1) | FI920139A0 (ko) |
HU (1) | HUT63182A (ko) |
NO (1) | NO920127D0 (ko) |
WO (1) | WO1991001333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59046B1 (ko) * | 1989-07-14 | 1998-11-16 | 배리 와인버그 | 포유류의 자기면역 포도막망막염의 치료 또는 예방방법 |
IL99699A (en) | 1990-10-10 | 2002-04-21 | Autoimmune Inc | Drug with the option of oral, intra-intestinal, or inhaled dosing for suppression of autoimmune response associated with type I diabetes |
US5891435A (en) * | 1993-04-16 | 1999-04-06 | Research Corporation Technologies, Inc. |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delaying or preventing the onset of autoimmune disease |
WO1996039176A1 (en) * | 1995-06-05 | 1996-12-12 | Brigham & Women's Hospital | USE OF ORAL TOLERANCE TO SUPPRESS BOTH Th1 AND Th2 IMMUNE RESPONSES AND TO SUPPRESS ANTIBODY PRODUCTION |
IL126447A (en) * | 1998-10-04 | 2004-09-27 | Vascular Biogenics Ltd | An immune preparation that confers tolerance in oral administration and its use in the prevention and / or treatment of atherosclerosis |
US20050197283A1 (en) * | 1998-10-04 | 2005-09-08 | Vascular Biogenics Ltd. | Compositions containing beta 2-glycoprotein I for the prevention and/or treatment of vascular disease |
US7534605B2 (en) * | 1999-06-08 | 2009-05-19 | Yissum Research Development Company Of The Hebrew University Of Jerusalem | CD44 polypeptides, polynucleotides encoding same, antibodies directed thereagainst and method of using same for diagnosing and treating inflammatory diseases |
WO2001068124A2 (en) | 2000-03-15 | 2001-09-20 | The Brigham And Women's Hospital, Inc. | Suppression of vascular disorders by mucosal administration of heat shock protein peptides |
ES2292594T3 (es) | 2000-05-24 | 2008-03-16 | The Government Of The Us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 E-selectina para tratar o prevenir accidentes cerebrovasculares. |
WO2003079968A2 (en) * | 2002-03-26 | 2003-10-02 | Yeda Research And Development Co. Ltd | Use of an organ-specific self-pathogen for treatment of a non-autoimmune disease of said organ |
ZA200502613B (en) | 2002-10-10 | 2006-10-25 | Yeda Res & Dev | Basic esters of fatty alcohols and their use as anti-inflammatory or immunomodulatory agents |
EP1874334A4 (en) * | 2005-04-15 | 2011-03-30 | Vascular Biogenics Ltd | COMPOSITIONS WITH BETA 2-GLYCOPROTEIN I-PEPTIDES FOR THE PREVENTION AND / OR TREATMENT OF VASCULAR DISEASES |
US8968731B2 (en) * | 2009-10-09 | 2015-03-03 | Csl Limited | Treatment of uveitis |
CN107001442B (zh) | 2014-07-15 | 2021-04-27 | 耶路撒冷希伯来大学伊森姆研究发展公司 | Cd44的分离的多肽及其应用 |
EP3557958B1 (en) | 2016-12-19 | 2023-07-12 |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 Attachment device, electronic device, attachment device securing method, and sheet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ATE130762T1 (de) * | 1987-06-24 | 1995-12-15 | Autoimmune Inc | Behandlung von autoimmun-erkrankungen durch orale verabreichung von autoantigenen. |
KR0159046B1 (ko) * | 1989-07-14 | 1998-11-16 | 배리 와인버그 | 포유류의 자기면역 포도막망막염의 치료 또는 예방방법 |
ES2144398T3 (es) * | 1989-12-20 | 2000-06-16 | Autoimmune Inc | Tratamiento mejorado de enfermedades autoinmunes mediante la administracion en aerosol de autoantigenos. |
-
1990
- 1990-07-16 KR KR1019920700080A patent/KR0159046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0-07-16 AT AT90911718T patent/ATE158950T1/de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0-07-16 DK DK90911718.6T patent/DK0482089T3/da active
- 1990-07-16 AU AU60583/90A patent/AU670024B2/en not_active Ceased
- 1990-07-16 EP EP90911718A patent/EP0482089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0-07-16 JP JP2511050A patent/JP2607751B2/ja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0-07-16 BR BR909007527A patent/BR9007527A/pt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1990-07-16 CA CA002063416A patent/CA2063416C/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0-07-16 DE DE69031563T patent/DE69031563T2/de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0-07-16 ES ES90911718T patent/ES2109234T3/es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0-07-16 WO PCT/US1990/003989 patent/WO1991001333A1/en active IP Right Grant
- 1990-07-16 HU HU92107A patent/HUT63182A/hu unknown
-
1992
- 1992-01-09 NO NO920127A patent/NO920127D0/n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1992-01-13 FI FI920139A patent/FI920139A0/fi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1995
- 1995-04-10 US US08/419,505 patent/US5961977A/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0482089A1 (en) | 1992-04-29 |
CA2063416C (en) | 2000-05-30 |
DK0482089T3 (da) | 1998-05-25 |
HUT63182A (en) | 1993-07-28 |
AU6058390A (en) | 1991-02-22 |
ATE158950T1 (de) | 1997-10-15 |
EP0482089A4 (en) | 1993-02-17 |
NO920127L (no) | 1992-01-09 |
JP2607751B2 (ja) | 1997-05-07 |
NO920127D0 (no) | 1992-01-09 |
US5961977A (en) | 1999-10-05 |
DE69031563D1 (de) | 1997-11-13 |
JPH05501866A (ja) | 1993-04-08 |
ES2109234T3 (es) | 1998-01-16 |
BR9007527A (pt) | 1992-06-23 |
EP0482089B1 (en) | 1997-10-08 |
DE69031563T2 (de) | 1998-02-12 |
CA2063416A1 (en) | 1991-01-15 |
HU9200107D0 (en) | 1992-04-28 |
FI920139A0 (fi) | 1992-01-13 |
WO1991001333A1 (en) | 1991-02-07 |
AU670024B2 (en) | 1996-07-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Thurau et al. | Oral tolerance in a murine model of relapsing experimental autoimmune uveoretinitis (EAU): induction of protective tolerance in primed animals | |
Daniel et al. | Protection of nonobese diabetic mice from diabetes by intranasal or subcutaneous administration of insulin peptide B-(9-23). | |
JP3712260B2 (ja) | 自己免疫疾患のバイスタンダー抑制 | |
US7723290B2 (en) |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modulating the immune system | |
Rizzo et al. | Interleukin-2 treatment potentiates induction of oral tolerance in a murine model of autoimmunity. | |
KR0159046B1 (ko) | 포유류의 자기면역 포도막망막염의 치료 또는 예방방법 | |
EP1033998B1 (en) | Suppressing beta-amyloid-related changes in alzheimer's disease | |
NO314878B1 (no) | Fremgangsmåte for fremstilling av et farmasöytisk preparat for behandling av reumatoid artritt og multippel sklerose | |
Lehmann et al. | Oral administration of the oxidant-scavenger N-acetyl-L-cysteine inhibits acute experimental autoimmune encephalomyelitis | |
EP2046366B1 (en) | Copolymer-1 for treatment of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 |
JP2004026797A (ja) | ペプチドp277類似体及びこれを含む糖尿病の治療又は診断のための薬剤組成物 | |
JPH08500083A (ja) | ミエリン塩基性タンパク質のペプチドフラグメントを用いたt‐細胞増殖の抑制 | |
Bebo Jr et al. | Gender differences in protection from EAE induced by oral tolerance with a peptide analogue of MBP‐Ac1–11 | |
EA015924B1 (ru) | Лечение вич | |
US20010007758A1 (en) | Treatment of multiple sclerosis using COP-1 and Th2-enhancing cytokines | |
JPH09511745A (ja) | 経口寛容および/またはタイプiインターフェロンを用いた自己免疫疾患の治療 | |
Sasamoto et al. | Immunomodulation of experimental autoimmune uveoretinitis by intravenous injection of uveitogenic peptides. | |
Laliotou et al. | Interphotoreceptor retinoid binding protein is a potent tolerogen in Lewis rat: suppression of experimental autoimmune uveoretinitis is retinal antigen specific | |
US5911990A (en) | T-cell receptor peptides and methods for preventing the progression to AIDS in an animal model | |
US11400131B2 (en) | Multi-peptide composition | |
US20110033488A1 (en) | Agents and methods for treatment of anxiety disorders | |
HAFLER et al. | I. OVERVIEW OF HUMAN AUTOIMMUNE DISEASE | |
Hafter et al. | Oral Tolerance for the Treatment of Autoimmune Diseas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