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0151368B1 - 동전자동배출장치 - Google Patents

동전자동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1368B1
KR0151368B1 KR1019950033629A KR19950033629A KR0151368B1 KR 0151368 B1 KR0151368 B1 KR 0151368B1 KR 1019950033629 A KR1019950033629 A KR 1019950033629A KR 19950033629 A KR19950033629 A KR 19950033629A KR 0151368 B1 KR0151368 B1 KR 01513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n
coins
storing
storage means
automa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3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5330A (ko
Inventor
교이치 가시와기
마사카즈 다나카
히로노부 마키노
Original Assignee
구보 미쓰오
가부시키가이샤 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보 미쓰오, 가부시키가이샤 테크 filed Critical 구보 미쓰오
Publication of KR9600153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53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13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13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00Coin dispens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전자동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동전배출불량이 생기지 않고 종래와 같은 동전의 수납용량에 비하면 높이를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더구나 동전의 배출속도가 빠른 동전자동배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동전자동배출장치는: 동전투입구(20a)와 동전배출구(20b)를 갖는 하우징(20, 12)과; 하우징중에서 대략 수평방향으로 연출하고 , 같은 종류의 복수매의 동전(C)이 상호 면을 맞추어서 대략 수평방향으로 일렬로 중복된 상태에서 수납되는 동전수납용기(32)와; 동전수납용기중의 동전열(34)의 복수매의 동전을 동전열에 따른 방향에 있어서의 동전수납수단의 일단부로 향하여 탄성지지하는 동전탄성지지기구(78)와; 하우징중에서 동전투입구에서 동전수납용기의 일단부로 향하여 연출하고 , 동전투입구에 투입된 동전을 동전수납용기의 일단부로 향하여 반송하는 동전반송기구(28)와; 동전반송기구에 의해 동전수납용기의 일단부로 향하여 반송되어 온 동전을 동전수납용기중의 동전열에 있어서 동전수납용기의 일단부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삽입하는 동전삽입기구(62, 150)와; 동전수납용기중의 동전열에 있어서 동전수납용기의 일단부에 가장 가까운 위치의 동전을 동전수납용기에서 하우징의 동전배출구로 향하여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동전배출기구(33, 62, 64, 150)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동전자동배출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동전자동배출장치의 일실시예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일실시예의 측면을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하는 측면도.
제3도는 제1도의 일실시예의 상면을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하는 상면도.
제4도는 제3도의 IV-IV선에 따른 개략적인 종단면도.
제5도는 제4도의 일부를 제3도의 V-V선에 따른 단면으로 도시하는 개략적인 종단면도.
제6도는 제3도의 동전반송수단을 수평으로 절개하여 동전반송수단의 구조를 상세히 도시하는 평면도.
제7도는 제6도의 VII-VII선에 따라 하나의 동전수납수단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종단면도.
제8도는 동전수납 카세트의 복수의 동전수납수단이 확대된 평면도.
제9도는 제8도의 IX-IX선에 따른 횡단면도.
제10도는 제8도의 X-X선에 따른 종단면도.
제11도는 제8도의 XI-XI선에 따른 종단면도.
제12a도와 제12b도는 동전반송수단에서의 동전이 동전삽입수단에 의해 대응하는 동전수납수단에 삽입되는 형태를 도시하는 제7도의 일부를 확대한 종단면도.
제13도는 동전수단수단에서 동전배출수단에 의해 동전이 배출되는 형태를 도시하는 제7도의 일부를 확대한 종단면도.
제14도는 본 발명의 동전자동배출장치의 일실시예의 제어회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
제15도는 제14도의 제어회로의 RAM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제16도는 제14도의 제어회로에 있어서 거스름돈 배출처리를 위한 제어스텝을 도시하는 흐름도.
제17도는 제14도의 제어회로에 있어서 동전수납처리를 위한 제어스텝을 도시하는 흐름도.
제18도는 제14도의 제어회로에 있어서 오버플로우 처리를 위한 제어스텝을 도시하는 흐름도.
제19도는 충만경고처리를 위한 제어스텝을 도시하는 흐름도.
제20도는 본 발명의 동전자동배출장치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동전반송수단에서 동전수납수단의 전단부로 동전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수단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제12a도 및 제12b도와 같은 종단면도.
제21도는 본 발명의 동전자동배출장치의 일실시예의 동전삽입수단의 캠 룰러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제12a도 및 제12b도와 같은 종단면도.
제22도는 본 발명의 동전자동배출장치의 일실시예의 동전삽입수단의 캠 롤러 대신에 동전삽입수단의 또하나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제12a도 및 제12b도와 같은 종단면도.
제23도는 본 발명의 동전자동배출장치의 일실시예의 프론트커버에 있어서 지폐수납드로워와 동전투입구와 동전배출구의 사이의 상대적인 배치관계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제1도와 같은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20: 하우징 20a: 동전투입구
20b: 동전배출구 20e: 지폐수납드로워
28: 동전반송수단 32: 동전수납수단
33: 동전배출개구 34: 동전열
46: 동전선별구멍 60, 60': 안내수단
62: 캠롤러 64: 동전배출셔터
68: 누름이동부재 72: 탄성지지수단
78: 동전탄성지지수단 150: 롤러
150a: 마찰증대부재 C: 동전
본 발명은 전자 캐시 레지스터 등의 금전동록기와 조합되거나 자동판매기나 게임기와 조합되어 사용되고 , 이들의 기계에서 송출되는 동전배출신호에 따라 동전배출신호에 대응한 액수의 동전을 자동적으로 배출함과 동시에 손님이 지불한 동전을 수납하여 동전의 배출에 이용하는 동전자동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 종류의 동전자동배출장치는 예를 들면 특공소 56-25710호 공보 및 특공소56-20854호 공보에서 알려져 있다.
특공소56-25710호 공보에 기재된 동전자동배출장치는 동전의 종류에 따른 복수의 세로형의 동전수납통을 구비하고 있고, 동전투입구에서 투입된 각종 동전은 복수의 세로형의 동전수납통의 상부로 향하여 반송된 후에 종류별로 분류되어 대응하는 종류의 동전을 수납하기 위한 동전수납통의 상부에서 대응하는 동전수납통내로 중력에 의해 낙하된다. 각각의 동전수납통내에서는 아래에서부터 순서대로 복수의 동전이 수평상태에서 세로 1열로 겹쳐져 있고, 복수의 동전수납통의 하단에서부터는 금전등록기에서 송출되는 거스름돈 배출신호에 따라 거스름돈 배출신호에 대응한 금액에 필요한 종류 및 매수의 동전이 선택적으로 배출되고 장치의 동전배출구에 공급된다.
동전수납통의 상부에서 낙하된 동전은 동전수납통 내에서 수직자세가 되는 일이 있다. 이러한 동전은 동전수납통내에 겹쳐져 있는 복수의 동전의 상단의 동전에 충돌하여 통상은 수평자세로 되돌아가지만 수평자세로 되돌아가기전에 동전수납통내에 낙하하여온 다음의 동적에 눌려져서 수직자세를 유지하는 일이 있다. 동전수납통내에서 수직자세를 유지한 상태의 동전은 동전수납통 내에서 복수의 동전을 막히게 하여 동전수납통의 하단에서부터의 동전의 배출(즉, 거스름돈의 배출)불량이 생기기 쉽다.
또, 세로형의 동전수납통이 동전자동배출장치의 높이를 크게 하여 주위의 부위기를 압박하고 있고, 금전등록기와 함께 사용하려면 큰 설치공간을 필요로 한다.
특공소56-20854호 공보에 기재된 동전자동배출장치는 동전투입구에서 투입된 각종 다수의 동전이 산처럼 퇴적되는 회전호퍼를 구비하고 있다. 회전호퍼의 저면에는 각종 동전을 위한 복수의 동전투입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회전호퍼가 회전하면 원심력에 의해 동전의 산에서 동전이 회전호퍼의 반경방향의 외방으로 향하여 던져지고, 복수의 동전투추구멍에서 동전선별수단에 의해 금전등록기에서 송출되는 동전배출신호에 따라 동전배출신호에 대응한 금액에 필요한 종류 및 매수의 동전이 선택적으로 배출되고 장치의 동전배출구에 공급된다.
회전호퍼를 사용한 동전자동배출장치는 회전호퍼가 큰 반경을 가지고 있으므로 장치의 평면형상이 크고, 또 회전호퍼의 위에 다수의 동전이 산처럼 퇴적되는데에 필요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장치의 높이가 크다. 더구나 회전호퍼의 회전속도에는 안전상의 한계가 있으므로 동전의 배출속도가 늦다.
본 발명은 상술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지고 , 본 발명의 목적은 동전의 배출불량이 생기지 않고 종래와 같은 동전의 수납용량에 비하면 높이를 감소시킬 수 있고, 더구나 동전의 배출속도가 빠른 동전자동배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동전자동배출장치는 동전투입구와 동전배출구를 갖는 하우징과; 하우징 중에서 대략 수평방향으로 연출(延出)하고, 같은 종류의 복수매의 동전이 서로의 면을 낮추어서 대략 수평방향으로 일렬로 중복된 상태에서 수납되는 동전수납수단과; 동전수납수단중의 동전열의 복수매의 동전을 동전열에 따른 방향에서 동전수납수단의 일단부로 향하여 탄성지지하는 동전탄성지지수단과; 하우징중에서 동전투입구에서 동전수납 수단의 일단부로 향하여 연출하고 , 동전투입구에 투입된 동전을 동전수납수단의 일단부로 향하여 반송하는 동전반송수단과; 동전반송수단에 의해 동전수납수단의 일단부로 향하여 반송되어 온 동전을 동전수납수단중의 동전열에서 동전수납수단의 일단부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삽입하는 동전삽입수단과; 그리고 동전수납수단중의 동전열에서 동전수납수단의 일단부에 가장 가까운 위치의 동전을 동전수납수단에서 하우징의 동전배출구로 향하여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동전배출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이처럼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동전자동배출장치에서는 동전수납수단이 하우징 중에서 대략 수평방향으로 연출하고 같은 종류의 복수매의 동전이 서로의 면을 맞추어서 대략 수평방향으로 일렬로 중복된 상태에서 수납됨으로써 종래와 같은 동전수납량을 갖고 있으면서 하우징의 높이를 얇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하우징의 상면에는 예를 들면 동전자동배출장치와 조합시켜서 사용되는 금전등록기와 같은 각종 물체를 실을 수 있으므로 동전자동배출장치를 위한 독자적인 공간을 필요로 하고 있지 않다.
하우징의 동전투입구에서 동전반송수단에 의해 동전수납수단의 일단부로 향하여 반송되어 온 동전은 동전삽입수단에 의해 동전수납수단중의 동전열에서 동전수납수단의 일단부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확실히 삽입된다. 그리고 동전수납수단중에서 서로의 면을 맞추어 대략 수평방향으로 일렬로 중복된 상태로 수납되어 있는 복수의 동전을 동전열에 있어서 동전수납수단의 일단부에 가장 가까운 위치의 동전에서부터 동전배출수단에 의해 하우징의 동전배출구로 향하여 선택적으로 배출하므로 동전배출속도는 빠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동전자동배출장치는, 서로 다른 종류의 동전을 수납하기 위해 동전수납수단을 더욱 복수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복수의 동전수납수단은 동전반송수단에 있어서 동전의 반송방향에 따라 배치되어 상로같은 방향으로 연출하고 있고, 복수의 동전수납수단의 각각에 있어서 동전반송수단의 옆의 일단부에 동전삽입수단과 동전배출수단이 설치되고 동전반송수단에 있어서 복수의 동전수납수단의 각각의 일단부에 대응한 위치에 게이트수단이 설치되어 있고 게이트수단은 각종 종류에 대응한 복수의 동전수납수단의 일단부의 동전삽입수단의 각각에 각종 종류의 동전을 분류하여 공급한다.
이러한 구성이라면 동전수납수단을 복수 포함하는 경우라도 하우징의 높이를 얇게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동전자동배출장치는 하우징이 또한 지폐수납드로워를 갖고 있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지폐수납드로워를 동전투입구와 동전배출구의 사이에 배치할 수 있고, 지폐수납드로워에 대하여 동전배출구는 좌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배치는 통상, 동전자동배출장치에 대한 조작자가 오른손으로 동전을 동전자동배출장치의 동전투입구에 투입하고 또 오른손으로 동전배출구에서 동전을 받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또, 동전투입구와 동전배출구를 지폐수납드로워보다도 우측에 배치시킬 수도 있지만 이 경우에도 동전배출구보다도 동전투입구를 더욱 우측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배치도 동전자동배출장치의 조작자에 의한 동전자동배출장치에 대한 동전의 출입작업을 용이하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동전자동배출장치는 또, 하우징에 있어서 동전자동배출장치의 사용자에 대면하는 부분을 전단부로 하면 동전투입구와 동전배출구가 하우징의 전단부에 설치되어 있고 , 동전수납수단이 하우징의 전단부에서 후단부로 향하여 이어나오고 있고, 동전반송수단이 하우징의 전단부에 따라 동전수납수단의 연출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대략 수평으로 연출하고 있어서 수평으로 눕혀진 상태에서 동전을 반송하고 동전삽입수단과 동전배출수단이 동전수납수단의 전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이라면 하우징의 평면형상의 치수를 작게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동전을 수평으로 눕힌 상태에서 반송하도록 구성된 동전반송수단이 하우징의 높이를 더욱 얇게하는 것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 동전반송수단과 동전수납수단이 대략 직교하고 있으므로 동전반송경로가 짧고 동전이 동전반송경로중에 막힐 가능성이 적어진다.
여기에서 복수 종류의 동전 때문에 복수의 동전수납수단을 사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복수의 동전수납수단은 동전반송수단에서 동전의 반송방향에 따라 배치되어 서로 같은 방향으로 연출하고 있고, 복수의 동전수납수단의 각각에서 전단부에는 동전삽입수단과 동전배출수단이 설치되어 있고, 동전반송수단에 있어서 복수의 동전수납수단의 각각의 전단부에 대응한 위치에는 게이트수단이 설치되어 있고 게이트수단은 각종 종류에 대응한 복수의 동전수납수단의 일단부의 동전삽입수단의 각각에 각종 동전을 분류하여 공급한다.
이러한 구성이라면 동전수납수단을 복수 포함하는 경우라도 하우징의 높이를 얇게 할 수 있고 동전수납수단을 하우징이나 동전반송수단에서 독립된 구조로 할 수 있고 하우징에 대하여 부착이탈 자유롭게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거스름돈 자동배출장치는 또, 동전탄성지지수단이 동전수납수단의 동전열에 따른 방향으로 이동자유롭게 설치되고 동전열에 있어서 동전반송수단과는 반대측 타단에 위치하는 동전에 맞닿는 누름이동부재와, 누름이동부재에서 동전수납수단의 일단부로 향하여 연출된 후에 동전수납수단에 있어서 동전수납수단의 일단부와는 반대측의 타단부로 향하는 방향이 전환되어 연출된 가요성의 가늘고 긴 탄성지지수단을 또한 포함하고 있고, 가늘고 긴 탄성지지수단의 누름이동부재와 연출방향전환위치와의 사이의 연출부분에서는 동전수납수단의 일단부로 향하는 탄성지지력을 발생시키고 , 연출방향 전환위치에서 동전수납수단의 타단부로 향하여 연출한 부분에서는 동전수납수단의 타단부로 향하는 탄성지지력을 발생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동전탄성지지수단은 콤팩트하면서 탄성지지수단이 탄성지지력을 작용할 수 있는 길이를 크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동전수납수단중의 동전열의 길이(즉, 동전수납수단중에 수납되어 있는 동전의 수)와는 관계없이 항상 대략 같은 강도로 동전열을 탄성지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동전자동배출장치는 또 동전삽입수단이 동전수납수단중의 동전열에 있어서 동전수납수단의 일단부에 가장 가까운 위치의 동전의 면에 접촉하는 롤러를 또한 갖고 있고, 동전반송수단이 동전수납수단의 일단부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고, 동전반송수단과 동전삽입수단의 롤러와의 사이에는 동전반송수단에서의 동전을 세운 상태에서 롤러로 안내하는 안내수단이 또한 설치되어 있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은 간단하고 소형이며 또 제어도 용이하다.
동전삽입수단의 롤러의 둘레면에는 마찰증대부재를 또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찰증대부재는 롤러와 동전과의 사이에 슬라이드면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고 동전수납수단중의 동전열에 있어서 동전수납수단의 일단부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동전탄성지지수단의 탄성지지력에 저항하여 동전을 확실히 삽입시킨다.
또 동전삽입수단의 롤러의 둘레면에 마찰증대부재는 동전의 면의 폭보다도 좁은 폭을 갖고 있고 동전면의 폭방향의 중심부에만 접촉하는 것 만으로 된다.
그리고 동전배출수단이 동전삽입수단과 공통의 롤러와, 동전삽입수단의 일단부에 선택적으로 개폐자유롭게 설치된 동전배출셔터를 또한 포함하고 있고, 동전배출셔터는 열림위치에서는 동전수납수단중의 동전열에 있어서 동전수납수단의 일단부에 가장 가까운 위치의 동전의 둘레면의 하반부에 대응하는 개구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동전삽입수단과 공통의 롤러를 갖는 동전배출수단은 동전자동배출장치의 구성부품을 감소시키고 구성을 간단하게 하여 동전자동배출장치의 제조코스트나 외형치수의 축소를 초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동전자동배출장치는 또, 동전삽입수단이 동전수납수단중의 동전열을 동전탄성지지수단의 탄성지지력에 저항하여 동전수납수단의 일단부와는 반대의 타단부로 향하여 되밀어서 동전반송수단에서의 동전을 동전수납수단중의 동전열에 있어서 동전수납수단의 일단부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삽입하기 위한 공간을 창출하는 동전삽입공간창출수단을 또한 포함하고 있고; 동전반송수단이 동전수납수단의 일단부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고; 동전반송수단과 동전삽입수단의 동전삽입공간창출수단과의 사이에는 동전반송수단에서의 동전을 세운 상태에서 동전삽입공간창출수단으로 안내하는 동전안내수단이 또한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동전삽입공간창출수단은 동전탄성지지수단의 탄성지지력과는 관계없이 동전반송수단에서의 동전을 동전수납수단중이 동전열에 있어서 동전수납수단의 일단부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항상 쉽게(즉, 확실히) 삽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즉, 상기 위치로의 삽입을 위해 동전에 큰 힘을 부하할 필요가 없다.
이 경우에는 동전삽입수단의 동전삽입공간창출수단이 동전수납수단중의 동전열에 있어서 동전수납수단의 일단부에 가장 가까운 위치의 동전의 면에 접촉하는 캠롤러를 또한 갖고 있고, 캠롤러는 둘레면에 적어도 하나의 캠돌기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캠롤러는 구성이 간단하고 소형이다.
또 동전배출수단이 동전삽입수단과 공통의 캠롤러와 동전수납수단의 일단부에 선택적으로 개폐자유롭게 설치된 동전배출셔터를 또한 포함하고 있고, 동전배출셔터는 열림위치에서는 동전수납수단에서 동전수납수단중의 동전열에 있어서 동전수납수단의 일단부에 가장 가까운 위치의 동전의 둘레면에 하반부에 대응하는 개구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전삽입수단과 공통의 캠롤러를 포함한 동전배출수단은 동전자동배출장치의 구성부품을 감소시키고 , 구성을 간단하게 하여 동전자동배출장치의 제조코스트나 외형치수의 축소를 초래한다.
그리고 캠롤러의 둘레면에는 캠돌기를 제외하고 둘레방향으로 연출한 마찰증대부재가 또한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찰증대부재는 캠롤러가 동전배출수단으로서 사용될 때에 동전과 캠롤러의 둘레면과의 사이에 슬라이드면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고 , 동전탄성지지수단의 탄성지지력에 저항하여 동전수납수단중의 동전열에서 동전을 배출하는 것을 용이하고 확실하게 한다.
또, 마찰증대부재는 동전의 면의 폭보다도 좁은 폭을 갖고 있고 동전의 면의 폭방향의 중심부에만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전의 면의 폭방향의 중심부에만 접촉하여 동전에 마찰력을 부하시킴으로써 동전에는 동전수납수단중에서의 배출방향에만 마찰력을 부하시킬 수 있고, 동전의 배출을 위해 캠롤러가 요구하는 힘을 보다 적게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동전자동배출장치는 또, 동전반송수단이 동전수납수단의 일단부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어서 동전을 수평상태로 반송하고 동전반송수단과 동전삽입수단의 사이에는 동전이 동전반송수단에서 동전삽입수단에 도달할 때까지의 사이에 동전의 자세를 수평상태에서 세운 상태로 변화시키면서 동전을 안내하는 동전안내수단이 또한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전반송수단이 동전을 수평상태로 반송함으로써 하우징의 높이를 보다 작게 누를 수 있다.
그리고 동전안내수단은 수평상태에서 세운 상태로 변화하는 도중의 동전의 운동에너지를 흡수하고 동전삽입수단에 도달했을 때의 동전의 운동에너지를 감소시키는 운동에너지 감소수단을 또한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운동에너지 감소수단에 의해 운동에너지를 감소시킨 후에 동전이 동전삽입수단에 도달하므로 동전이 동전삽입수단에 도달했을 때에 튀어서 동전삽입수단의 작용을 잘못되게 하는 일이 없다.
동전안내수단의 운동에너지 감소수단은 수평상태에서 세운 상태로 변화하는 도중의 동전에 충돌되어 탄성변형함으로써 동전의 운동에너지를 감소시키는 탄성변형부재를 또한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동전안내수단은 구성이 간단하며 소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동전삽입수단이 동전삽입공간창출수단을 또한 가지고 있는 경우에도 동전안내수단이 동전의 자세를 동전이 동전반송수단에서 동전삽입수단에 도달할 때까지의 사이에 수평상태에서 세운 상태로 변화시키면서 동전을 안내하고 있고, 동전안내수단이 수평상태에서 세운 상태로 변화하는 도중의 동전의 운동에너지를 흡수하고 동전삽입수단에 도달하는 동전의 운동에너지를 감소시키는 운동에너지 감소수단을 또한 포함하고 있는 것은 중요하다.
그리고 이 경우에도 동전안내수단의 운동에너지 감소수단은 수평상태에서 세운 상태로 변화하는 도중의 동전에 충돌되어 탄성변형함으로써 동전의 운동에너지를 감소시키는 탄성변형부재를 또한 포함하고 있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동전자동배출장치는 또한 동전삽입수단에 의해 1매의 동전이 동전수납수단에 수납될 때마다 카운트업하고, 동전배출수단에 의해 1매의 동전이 동전수납수단에서 배출될 때마다 카운트다운하고 동전수납수단에 수납되어 있는 현재의 동전의 매수를 카운트하는 수납동전매수계수수단과; 상기의 계수수단에 의해 카운트된 현재의 수납된 동전의 매수가 미리 설정된 상한매수에 도달했을 때에 동전배출수단을 동작시켜서 동전수납수단에서 소정의 매수의 동전을 배출시키는 오버플로우수단;을 또한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은 동전자동배출장치의 사용중에 동전수납수단에 수납되는 수납된 동전의 매수가 미리 설정된 상한매수를 넘어서 동전자동배출장치가 사용불능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중요하다.
그리고 이 경우에는 또 하우징내에 오버플로우 용기와 동전배출수단에서 하우징의 동전배출구까지 동전을 안내하는 배출동전안내수단을 또한 설치함과 동시에 배출동전안내수단에 오버플로우수단이 동작했을 때에 조작되는 오버플로우 동전분류수단을 또한 설치하고 동전배출수단에 의해 동전수납수단에서 배출된 동전을 이 분류수단에 의해 오버플로우 용기로 안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이라면 동전자동배출장치의 사용중에 오버플로우수단이 동작해도 하우징의 동전배출구에 오버플로우수단에 의해 동전이 배출되어 이 동전을 배제하지 않으면 동전자동배출장치의 사용을 재개할 수 없는 경우에 비하면 동전자동배출장치의 사용의 재개에 요하는 시간과 수고를 삭감할 수 있다.
상술한 경우는 또한 동전수납수단에 수납된 복수의 동전에 의해 형성되는 열의 길이가 오버플로우수단이 동작할 때의 상기 상한매수의 동전에 의해 형성되는 열의 길이보다도 소정의 거리 길어졌을 때에 동전충만검지신호를 발생시키는 동전충만검지수단과; 동전충만검지수단에서의 동전충만검지신호를 받아서 동전충만경고를 하는 동전충만경고수단;을 또한 포함하고 있는 것이 가능하다.
동전충만경고수단은 동전자동배출장치의 사용중에 오버플로우수단에 고장난 경우에 동전자동배출장치가 사용불능하게 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하, 본 발명의 동전자동배출장치의 일실시예 및 각종 변형예를 상술한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동전자동배출장치의 일실시예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제2도는 제1도의 일실시예의 측면을 일부 절개하여 도시하는 측면도이며, 제3도는 제1도의 일실시예의 상면을 일부 절개하여 도시하는 상면도이다.
제1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실시예의 동전자동배출장치(10)는 평탄한 상자형상의 본체하우징(12)를 갖고 있다. 이 본체하우징(12)은 둘레벽의 일단부(전단부라 한다)가 열려있다. 본체하우징(12)의 일단부의 좌우양측에 위치하는 양측벽의 내표면의 각각에는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하 한쌍의 상측가이드레일(14a) 및 하측가이드레일(14b)이 본체하우징(12)의 둘레벽의 일단부에서 타단부(후단부라 한다)로 향하여 서로 평행한 상태에서 수평으로 연출하고 있다. 상기 양측벽의 내표면의 각각에는 또 상측가이드레일(14a) 및 하측가이드레일(14b)의 전방에 가이드롤러(16)가 설치되어 있다.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하우징(12)의 내부공간에는 일실시예의 동전자동배출장치(10)의 주요부(18)가 격납되어 있고, 주요부(18)에 설치된 프론트커버(20)가 본체하우징(12)의 전단부의 개구를 덮고 있다.
제2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요부(18)의 섀시의 좌우의 측판(22a, 22b)의 각각에는 후단부에 가이드롤러(24)가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가이드롤러(24)의 전방의 근방위치에서 전방으로 향하여 수평으로 연출한 중간가이드레일(26)이 설치되어 있다.
주요부(18)는 좌우의 측판(22a, 22b)의 후단부의 한쌍의 가이드롤러(24)의 각각 및 한쌍의 중간가이드레일(26)의 각각이 본체하우징(12)의 양측벽의 내표면의 각각에 대응하는 상하 한쌍의 상측가이드레일(14a) 및 하측가이드레일(14b)의 사이에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한쌍의 중간가이드레일(26)의 각각은 본체하우징(12)의 양측벽의 내표면의 각각의 대응하는 가이드롤러(16)에 실려 있다. 이에 의해 주요부(18)는 본체하우징(12)의 전단부의 개구를 통하여 본체하우징(12)의 내부공간에 대하여 출몰 자유롭게 되어 있다.
본체하우징(12)의 전단부의 개구에서 노출되어 있는 프론트커버(20)의 상면에는 제1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단부에 동전투입구(20a)가 형성되어 있고, 좌단부에는 동전배출구(20b)가 형성되어 있고 또 중앙부에는 키보드(20c) 및 표시장치(20d)가 설치되어 있다.
또, 프론트커버(20)의 전면의 중앙부에는 제1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키보드(20c) 및 표시장치(20d)의 하방에 지폐수납드로워(20e)가 설치되어 있다. 지폐수납드로워(20e)는 프론트커버(20)에 의해 수평상태에서 전후방향으로 프론트커버(20)에 대하여 출몰자유롭게 지지되어 있고 , 제3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하우징(12)의 내부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드로워개폐수동기구(27)에 의해 제1도에 도시하는 인입위치와 제1도의 인입위치에서 인출된 인출위치와의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이동된다.
지폐수납드로워(20e)가 인입위치에 배치되어 있을 때는 지폐수납드로워(20e)는 제3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하우징(12)의 내부공간에 수용되어 있고, 인출위치에 배치되어 있을때는 지폐수납드로워(20e)에 대하여 각종 지폐를 정리한 상태로 수납할 수 있고, 또 이미 수납되어 있는 각종 지폐를 꺼낼 수 있다.
주요부(18)의 전단부에는 프론트커버(20)에 따라 좌우방향으로 연출하는 동전반송수단(28)이 설치되어 있다. 주요부(18)의 좌단부에는 동전수납카세트(30)가 설치되어 있다.
동전수납카세트(30)는 동전반송수단(28)의 좌단부의 하방에서 동전반송수단(28)에 따라 배열된 복수의 동전수납수단(32)을 포함하고 있고, 복수의 동전수납수단(32)은 동전반송수단(28)의 좌단부의 하방에서 수평상태로 후방으로 향하여 서로 평행으로 연출하고 있다. 복수의 동전수납수단(32)의 각각에는 복수종류의 동전중의 어느 한 종류의 동전이 복수매 서로의 면을 맞추어 대략 수평방향으로 일렬로 중복된 상태로 수납된다. 제3도에는 복수의 동전수납수단(32)의 각각에 수납되어 있는 복수매의 동전에 의해 구성된 동전열(34)이 이점쇄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다음에는 제3도 내지 제6도를 참조하면서 동전반송수단(28)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 제4도는 제3도의 IV-IV선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제5도는 제4도의 일부를 제3도의 V-V선에 따른 단면으로 도시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제6도는 제3도의 동전반송수단(28)을 수평으로 절개하여 동전반송수단(28)의 구조를 보다 상세히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제4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동전반송수단?(28)은 프론트커버(20)의 동전투입구(20a)의 하방에서 후상방으로 향하여 연출하고 경사반송벨트(40)를 포함하고 있다. 동전투입구(20a)에는 동전투입센서(41)가 배치되어 있고, 동전투입센서(41)가 동전투입구(20a)에 투입된 동전을 검지하면 경사반송벨트(40)는 도시하지 않는 회전구동수단에 의해 구동되어 동전투입구(20a)에 투입된 동전을 동전투입구((20a)의 하방에서 후상방으로 향하여 반송한다.
동전반송수단(28)은 또한 경사반송벨트(40)상의 동전(C)을 일충일렬상태로 규제하는 분리롤러(42)와, 경사반송벨트(40)의 상단에서 동전을 받아들이는 동전받이판(44)을 포함하고 있다. 분리롤러(42)는 경사반송벨트(40)에 있어서 동전(C)이 실리는 상면에서부터 상방에 소정거리 사이를 두고 배치되어 있고, 경사반송벨트(40)의 동작과 동시에 경사반송벨트(40)의 상면의 이동방향과는 반대방향에 도시하지 않는 회전구동수단에 의해 회전된다. 상기 소정거리는 동전투입구(20a)에 투입되는 (즉, 동전수납카세트(30)의 복수의 동전수납수단(32)에 수납된다) 모든 종류의 동전 1매분보다는 크고, 그러나 2매분보다는 작다.
동전받이판(44)은 경사반송벨트(40)의 상단부에서 동전수납카세트(30)의 복수의 동전수납수단(32)의 전단부의 상방까지 수평으로 연출하고 있다. 동전받이판(44)에 있어서 동전수납카세트(30)의 복수의 동전수납수단(32)의 전단부에 대응한 복수의 위치에는 제6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동전수납수단(32)에 수납되는 복수의 종류의 동전의 직경에 대응한 복수의 동전선별구멍(46)이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동전선별구멍(46)은 경사반송벨트(40)에서 멀어짐에 따라 직경이 커지도록 배열되어 있고, 복수의 동전선별구멍(46)의 각각에는 각각의 동전선별구멍(46)의 직경보다도 약간 작은 직경을 갖는 대응한 종류의 동전밖에 통과할 수 없다. 즉, 복수의 동전선별구멍(46)은 복수의 동전수납수단(32)의 각각에 각각의 동전수납수단(32)에 수납되는 종류의 동전만을 공급하는 게이트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동전반송수단(28)은 또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동전받이판(44)의 상면의 상방에서 경사반송벨트(40)의 상단부에서 동전수납카세트(30)의 복수의 동전수납수단(32)의 전단부의 상방까지 상기 상면에서 소정거리 떨어진 위치를 상기 상면에 대하여 평행으로 연출된 동전상승규제판(48)을 포함하고 있다.
동전반송수단(28)은 또 동전받이판(44)과 동전상승규제판(48)의 사이에서 경사반송벨트(40)의 상단부의 상방과 동전수납카세트(30)의 복수의 동전수납수단(32)중의 가장 외측의 동전수납수단(32)의 전단부의 상방에 수평상태로 회전 자유롭게 설치된 한쌍의 구동풀리(50a) 및 종동풀리(50b)와 한쌍의 구동풀리(50a) 및 종동풀리(50b)에 걸쳐진 수평반송벨트(52)를 포함하고 있다.
경사반송벨트(40)의 상단부의 상방의 구동풀리(50a)의 중심축(51)은 제5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동전누름판(48)에 회전 자유로움과 동시에 상하방향에 소정의 거리만큼 슬러스트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구동풀리(50a)와 동전누름판(48)과의 사이에서 중심축(51)에 감겨져 있는 압출코일스프링(54)에 의해 하방으로 향하여 탄성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수평반송벨트(52)는 제5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원형상의 횡단면을 갖고 있고, 구동풀리(50a)가 하단위치에 배치되어 있을 때에는 수평반송벨트(52)의 하단과 동전받이판(44)의 사이에는 상기 각종 동전중에서 가장 두께가 얇은 동전의 두께보다도 약간 작은 거리의 틈이 생겨있다. 또 구동풀리(50a)는 상측플랜지(55)에 의해 구동풀리(50a)의 둘레면상에 있어서 수평반송벨트(52)의 상방으로의 이동을 금지하고 있다.
이 때문에 경사반송벨트(40)의 상단부에 도달한 동전(C)은 구동풀리(50a)의 회전의 수평반송벨트(52)에 부딪쳐서 동전받이판(44)상에 눌려진다.
동전반송수단(28)은 수평반송벨트(52)의 구동을 위한 모터(54)를 경사반송벨트(40)의 상단부의 후방에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이 모터(54)의 출력축에 고정된 출력풀리(54a)와 동전누름판(48)의 상방에 돌출된 구동풀리(50a)의 중심축(51)의 상단부에 고정된 입력풀리(51a)와의 사이에 걸쳐진 기어부착벨트(56)에 의해 모터(54)의 출력측에서의 회전력이 입력풀리(51a)에 전달되면 수평반송벨트(52)는 구동풀리(50a)에 의해 제3도 및 제6도에 있어서 화살표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때문에 수평반송벨트(52)와 동전받이판(44)에 끼워진 동전(C)은 수평반송벨트(52)에 의해 동전받이판(44)의 위를 슬라이드하면서 동전수납카세트(30)의 복수의 동전수납수단(32)의 전단부의 상방으로 향하여 수평상태에서 반송된다.
동전받이판(44)의 상면에는 수평반송벨트(52)에 의한 동전(C)의 반송방향과 수평으로 교차하는 방향에서 이동을 규제하기 위한 한쌍의 수평이동규제가이드(58a, 58b)가 배치되어 있다. 한쪽의 수평이동 규제가이드(58a)는 구동풀리(50a)의 반경방향의 외방에 소정 거리 떨어진 위치를 구동풀리(50a)의 주위에 따라 만곡하여 연출한 후에 동전(C)의 반송을 실행하고 있는 수평반송벨트(52)의 후방연출부분에서 후방에 소정 거리 떨어진 위치를 상기 후방연출부분에 따라 상기 후방연출부분의 좌우방향의 대략 중간위치까지 연출하고 있다. 다른쪽의 수평이동규제가이드(58b)는 상기 대략 중간위치에서 종동풀리(50b)의 근방까지 수평반송벨트(52)의 후방연출부분에서 전방으로 소정거리 떨어진 위치를 상기 후방연출부분에 따라 연출하고 있고, 다른쪽의 수평이동규제가이드(58b)의 수평이동규제면(즉, 후측면)에 따라 복수의 동전선별구멍(46)이 배열되어 있다.
다음에는 제7도 내지 제13도를 참조하면서 동전수납카세트(30)의 복수의 동전수납수단(32)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또, 제7도는 제6도의 VII-VII선에 따라 하나의 동전수납수단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며, 제8도는 동전수납 카세트(30)의 복수의 동전수납수단(32)이 확대된 평면도이며, 제9도는 제8도의 IX-IX선에 따른 횡단면도이며, 제10도는 제8도의 X-X선에 따른 종단면도이며, 제11도는 제8도의 XI-XI선에 따른 종단면도이며, 제12a도와 제12b도는 동전반송수단(28)에서의 동전이 동전삽입수단에 의해 대응하는 동전수납수단(32)에 삽입되는 형태를 도시하는 제7도의 일부를 확대한 종단면도이며, 그리고 제13도는 동전수납수단에서 동전배출수단에 의해 동전이 배출되는 형태를 도시하는 제7도의 일부를 확대한 종단면도이다.
복수의 동전선별구멍(46)과 이들의 하방에 위치하는 복수의 동전수납수단(32)의 전단부는 각각 그 사이에 제7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동전반송수단(28)의 수평반송벨트(52)에 의해 수평상태에서 각각의 동전선별구멍(46)에 공급된 동전(C)를 수평상태에서 수직상태(세운 상태)로 변화시키면서 각각의 동전수납수단(32)의 전단부에 안내하는 안내수단(60)이 설치되어 있다.
안내수단(60)은 제7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응하는 동전선별구멍(46)의 앞가장자리부터 대응하는 동전수납수단(32)의 전단부의 상단에 접근한 위치까지의 사이에 서서히 대략 수평방향에서부터 대략 상하방향으로 연출해가는 만곡한 앞벽(60a)과, 대응하는 동전선별구멍(46)의 뒷가장자리에서부터 대응하는 동전수납수단(32)의 전단부의 상단에 접근한 위치까지의 사이에 대략 수직으로 연출해가는 수직인 뒷벽(60b)과, 앞벽(60a)의 좌우양단과 뒷벽(60b)을 좌우양단을 연결하는 양측벽(60c)을 포함하고 있다. 양측벽(60c)의 상호 대향한 내표면간의 거리는 대응하는 동전선별구멍(46)을 통과하는 종류의 동전의 직경보다도 약간 크고 또 앞벽(60a)의 하단과 뒷벽(60b)의 하단과의 사이의 거리는 동전선별구멍(46)을 통과하는 종류의 동전의 두께보다도 약간 크다. 뒷벽(60b)의 대부분은 전후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대응하는 동전선별구멍(46)을 통과한 동전이 안내수단(60)에 의해 수평상태에서 수직상태로 변화하는 동안에 동전의 둘레면의 하단부에 충돌됨으로써 탄성변형되어 동전의 낙하운동에너지를 흡수하고 대응하는 동전수납수단(32)의 전단부의 상단에 동전이 도달했을 때의 동전의 낙하운동에너지를 감소시키는 운동에너지 감소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안내수단(60)은 또한 대응하는 동전선별구멍(46)에서 안내수단(60)중에 낙하한 동전을 검지하는 선별동전센서(60d)를 포함하고 있다.
동전수납카세트(30)의 복수의 동전수납수단(32)의 각각은 제7도, 8도, 9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략 수평인 밑판(32a)과 밑판(32a)의 후단에서 상방으로 향하여 상승된 뒷판(32b)과, 뒷판(32b)의 좌우 양단에서 밑판(32a)의 전단으로 향하여 상호 평행하게 연출한 한쌍의 측판(32c)을 포함하고 있다.
밑판(32a)의 전단부에는 동전수납수단(32)에 수납된 동전을 배출하기 위한 동전배출개구(33)가 형성되어 있다. 동전배출개구(33)의 좌우방향의 폭은 대응하는 동전수납수단(32)에 수납된 종류의 동전의 직경보다도 약간 크다.
한쌍의 옆판(32c)의 전단부에는 동전삽입수단 및 동전배출수단에 공통의 캠룰러(62)가 고정되고 좌우방향으로 수평으로 연출한 회전중심축(62a)이 회전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캠룰러(62)는 폴리아세탈 등의 열가소성수지재로 형성되어 있어서 하나의 캠돌기(62b)를 포함하고 있고, 캠롤러(62)의 둘레면에는 캠룰러(62)의 폭의 중심부에만 캠돌기(62b)를 제외하고 둘레방향으로 연출한 우레탄 고부 등의 탄성재로 구성되는 마찰증대부재(62c)가 장착되어 있다.
마찰증대부재(62c)의 둘레면에서의 캠돌기(62b)의 높이는 대응하는 동전수납수단(32)에 수납되는 동전의 1매분의 두께보다도 약간 크게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마찰증대부재(62c)의 둘레면에서 밑판(32a)의 전단부의 동전배출기구(33)의 뒷가장자리에 가장 가까운 위치와 동전배출개구(33)의 뒷가장자리와의 사이의 거리(T)는 제8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동전수납수단(32)에 수납되는 동전의 1매분의 두께보다도 약간 크게 , 그러나 2매분의 두께보다는 작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동전배출개구(33)는 마찰증대부재(62c)의 둘레면과 협동하여 동전수납수단(32)에 수납되는 1매분의 동전의 중앙부의 횡단면의 치수보다도 약간 큰 치수를 갖는 동전배출통로를 규정한다.
동전배출수단은 또 밑판(32a)의 전단부에서 동전배출개구(33)내에 돌출하여 동전배출개구(33)의 좌우방향의 중심부를 적어도 덮는 폐쇄위치와 동전배출개구(33)내에서 후방으로 이동하여 동전배출개구(33)를 개방하는 개방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 자유로운 동전배출셔터(64)를 포함하고 있다. 동전배출셔터(64)는 제10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요부(18)의 새시와의 사이에 개재된 인장코일스프링(64a) (탄성지지수단)에 의해 폐쇄위치에 탄성지지되어 있다. 또, 동전배출셔터(64)는 제7도 및 제8도에서 폐쇄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동전배출셔터(64)는 밑판(32a)의 하측에서 플런저/솔레노이드 조립체(66)의 플런저(66a)에 연결되어 있다. 플런저/솔레노이드 조립체(66)에 통전되어 플런저(66a)가 조작되었을 때에 동전배출셔터(64)는 인장코일스프링(64a)의 탄성지지력에 저항하여 제7도 및 제8도에 도시하는 폐쇄위치에서 후방으로 이동되고 동전배출개구(33)를 개방하는 개방위치에 배치된다.
동전배출개구(33)의 바로 아래에는 동전배출개구(33)에서 배출되는 동전을 검지하는 동전배출센서(67)가 배치되어 있다.
밑판(32a)에는 또한 밑판(32a)의 상면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 자유로운 누름이동부재(68)가 설치되어 있다. 누름이동부재(68)는 밑판(32a)에 형성되어 있는 전후방향 연출슬롯(70)을 통하여 밑판(32a)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향하여 돌출되어 있고 밑판(32a)의 하방에서 누름이동부재(68)를 전방으로 향하여 탄성지지하기 위한 탄성지지수단(72)에 연결되어 있다.
탄성지지수단(72)은 제11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늘고 길게 가용성을 갖는 인장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고, 밑판(32a)의 하방의 누름이동부재(68)의 하단부에서 전방으로 향하여 연출되고 밑판(32a)의 전단부의 근방에서 주요부(18)의 섀시에 지지되어 있는 회전롤러(74)에 감겨져서 후방으로 향하여 연출방향이 전환된 후에 후단부가 주요부(18)의 섀시에 지지되어 있는 고정핀(76)에 고정되어 있다.
탄성지지수단(72)은 누름이동부재(68)의 하단부와 회전롤러(74)에 있어서 연출방향전환위치와의 사이에서 전방으로 향하는 탄성지지력을 발생시키고 또, 상기 연출방향전환위치와 후방연출단부의 고정핀(76)의 사이에서 후방으로 향하여 탄성지지력을 발생시킨다. 또, 이 후방으로 향하는 탄성지지력은 연출방향 전환위치에서 탄성지지력을 작용시키는 방향이 전환되어 누름이동부재(68)의 하단부에 대하여 누름이동부재(68)를 전방으로 향하게 하도록 작용한다.
그리고 누름이동부재(68)와 탄성지지수단(72)과의 조합은 누름이동부재(68)가 동전수납수단(32)중의 동전열(34)중의 가장 뒤에 배치된 동전의 면에 맞닿음으로써 동전열(34)을 동전수납수단(32)의 전단부로 향하여 탄성지지하는 동전탄성지지수단(78)으로서 기능한다.
하우징(12)의 동전투입구(20a)에 동전이 투입된 것을 동전투입센서(41)(제4도 참조)가 검지하면 캠롤러(62)에 회전중심축(62a)의 외단부에 고정된 입력풀리(62d)를 통하여 주요부(18)의 섀시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는 모터에서 회전력이 전달되고 캠롤러(62)는 캠돌기(62b)를 누름이동부재(68)로 향할 때까지 제7도에 있어서 시계회전방향으로 회전된다. 이 결과로서 동전수납수단(32)중에 동전(C)이 없는 경우에는 캠돌기(62b)가 누름이동부재(68)를 탄성지지수단(72)의 탄성지지력에 저항하여 후방으로 돌기 (62b)의 높이만큼 이동시키고 또 동전수납수단(32)중에 동전(C)이 하나라도 있다면 캠돌기(62b)가 캠돌기(62b)에 인접한 동전(C)을 개재하여 누름이동부재(68)를 탄성지지수단(72)의 탄성지지력에 저항하여 후방으로 캠돌기(62b)의 높이만큼 이동시킨다.
그리고 제12a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동전수납수단(32)중에는 캠롤러(62)의 둘레면의 캠돌기(62b)의 기초부와 캠돌기(62b)에 눌려진 누름이동부대(68) 또는 동전(C)과의 사이에 새로운 동전(C)이 수직상태에서 삽입가능한 동전삽입공간(S)이 창출된다. 이때의 캠롤러(62)는 동전삽입공간창출수단으로서 기능하고 있다.
동전수납수단(32)의 전단부의 상방의 안내수단(60)중에 낙하한 동전(C)은 안내수단(60)중에 동전(C)이 낙하한 것을 선별동전센서(60c)가 검지하고 나서 소정시간 경과할 때까지의 사이에 안내수단(60)에 의해 수평상태에서 수직상태로 변화됨과 동시에 전술한 바와 같이 안내수단(60)의 후벽(60b)에 의해 낙하운동에너지를 흡수하고 그 후에 제12b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2A도의 동전삽입공간(S)에 수직상태로 삽입된다. 그리고 낙하운동에너지를 감소된 상태의 동전(C)은 동전삽입공간(S)에 있어서 캠롤러(62)의 캠돌기(62b)에 충돌해도 튀어올라가는 일은 극히 제한된다.
안내수단(60)중에 동전(C)이 낙하한 것을 선별동전센서(60c)가 검지하고나서 소정시간 경과한 후에 캠롤러(62)는 제12b도에 도시하는 위치에서 다시 시계방향으로 1회전하고 이에 의해 캠롤러(62)의 둘레면의 마찰증대부재(62C)에 의해 동전삽입공간(S)중의 동전(C)은 누름이동부재(68)의 앞에 또는 이미 동전수납수단(32)중에서 가장 캠롤러(62)에 가까운 동전(C)의 앞에 삽입되고 동전열(34)을 형성한다. 동전수납수단(32)중에 수납된 동전(C)은 캠롤러(62)와 누름이동부재(68)와의 사이에 수직상태로 끼워진다. 그리고 동전수납수단(32)중에 복수의 동전(C)이 수납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들 복수의 동전(C)은 상호의 면을 합한 상태로 수평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된다.
동전수납수단(32)중에서 동전(C)을 1매 배출할때는 우선 최초는 제13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동전배출셔터(64)가 플런저/솔레노이드조립체(66)에 의해 인장코일스프링(64a)의 탄성지지력에 저항하여 개방위치로 이동되고 동전배출셔터(64)가 개방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사이에 캠롤러(62)가 제12a도나 제12b도에 도시된 동전삽입공간창출위치에서 시계방향으로 대략 반회전시켜진다. 동전수납수단(32)중에서 가장 전방에 위치하고 있고 캠롤러(62)의 둘레면에 인접하고 있는 동전(C)은 캠롤러(62)의 둘레면의 마찰증대부재(62C)와의 사이에 생기는 마찰력에 의해 동전수납수단(32)중의 동전열(34)의 중에서 누름이동부재(68)에 의한 탄성지지력에 저항하여 제13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방으로 이동되고 동전배출개구(33)에서 하방으로 배출되는 , 동전배출개구(33)에서의 동전(C)의 배출이 종료된 것을 동전배출센서(67)가 검지하면 캠롤러(62)의 회전이 정지됨과 동시에 플런저/솔레노이드 조립체(66)로의 통전도 차단되고 동전배출셔터(64)는 제7도나 제12a도나 제12b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폐쇄위치에 탄성지지수단(64a)의 탄성지지력에 의해 복귀된다.
동전수납수단(32)의 동전배출개구(33)의 하방에는 프론트커버(20)의 동전배출구(20b)의 저면까지 경사전 하방으로 향하여 연출한 배출동전안내수단으로서의 배출동전안내슈터(80)가 배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프론트커버(20)와는 반대인 후방으로 향하여 연출한 오버플로우용기(82)가 배치되어 있다.
동전배출개구(33)의 하방에 위치하는 배출동전안내슈터(80)와 오버플로우용기(82)의 경계에는 동전분류수단으로서의 동전분류게이트부재(84)가 배치되어 있다. 동전분류게이트부재(84)는 제7도에 실선으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배출동전안내슈터(80)의 입구를 개방함과 동시에 오버플로우용기(82)의 입구를 폐쇄한 통상위치와 제7도에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배출동전안내슈터(80)의 입구를 폐쇄함과 동시에 오버플로우용기(82)의 입구를 개방한 오버플로우 위치와의 사이에서 도시하지 않는 모터에 의해 선택적으로 회전운동된다.
또 복수의 동전수납수단(32)의 후단부에는 복수의 동전수납수단(32)의 각각에 수납하는 미리 정해진 상한매수의 복수의 동전(C)이 형성하는 동전열(33)의 길이보다도 소정의 거리 긴 위치에 제7도에 도시하는 충만센서(86)가 배치되어 있다.
제14도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동전자동배출장치의 일실시예의 제어회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이 실시예의 제어회로는 제어본체부로서 CPU(100)를 구비하고 있음과 동시에 이 CPU(100)에 미리 설정되는 시간간격으로 주기적으로 인터럽트신호(X,Y)를 발생하는 타이머 컨트롤러(101)를 구비하고 있다.
또, 이 제어회로는 CPU(100)이 제어하는 주기억부로서 ROM(102) 및 RAM(104)을 구비하고 있음과 동시에 , 예를 들면 RS(232C) 사양의 통신 인터페이스(106)와, 입출력 인터페이스(108)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CPU(100)와 타이머 컨트롤러(101), ROM(102), RAM(104), 통신 인터페이스(106) 및 입출력 인터페이스(108)를 어드레스버스, 데이터버스 등의 버스라인으로 접속하고 있다.
ROM(102)에는 CPU(100)가 실행하는 프로그램 등의 고정적 데이터가 미리 기억되어 있다.
또, RAM(104)에는 제15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종류별 테이블(110a)과, 배출중 플래그기억영역(110b)과, 수납중의 플래그기억영역(110c)과, 타이머카운터(110d)와, 상한매수설정영역(110e)이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종류별 테이블(110a)에는 복수의 동전의 종류(예를 들면 일본에서 사용되고 있는 500엔, 100엔, 50엔, 10엔, 1엔의 6종)의 각각에 수납매수카운터, 배출매수카운터 및 배출매수영역의 각각이 구비되어 있다. 배출중 플래그기억영역(110b)에는 동전의 배출처리중에 배출중 플래그가 셋된다. 수납중 플래그 기억영역(110c)에는 투입동전의 수납처리중에 수납중 플래그가 셋된다. 타이머카운터(110d)는 동전투입구(20a)에 복수의 동전이 한번에 투입되었을 때부터 동전받이판(44)의 상면을 일층일렬로 반송되는 동전(C)중의 최후의 동전이 대응하는 동전수납수단(32)에 수납될 때까지의 경과시간을 계시한다. 그리고 상한매수설정영역(110e)에는 동전수납수단(32)에 수납하는 동전의 상한매수가 설정된다.
상한매수는 동전수납수단(32)에 설치된 충만센서(86)에 의해 수납충만상태가 검지될 때의 동전열(34)을 형성하는 매수보다도 적은 매수로 설정되어 있고, 모든 종류에 공통으로 해도 좋고, 종류마다 다르게 해도 좋다.
통신인터페이스(106)에는 인터페이스용 케이블을 통하여 POS단말이 1대 혹은 복수대 접속되어 있고, POS단말에서 발생되는 동전배출데이터(동전으로 지불되는 거스름 액수에 상당하는 금액데이터)를 수신한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08)에는 프론트커버(20)의 상면의 중앙의 키보드(20c)(제1도참조)에서의 키신호를 받아들이는 키보드회로(112) 및 프론트커버(20)의 상면의 중앙의 표시장치(20d)(제1도참조)에 있어서 데이터표시를 제어하는 표시장치제어회로(114)가 접속되어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08)에는 또한 3개의 모터구동회로(120, 122, 124)와 그외의 3개의 구동회로(128, 130, 132)가 접속되어 있다.
제1모터구동회로(120)는 동전투입구(20a)의 하방에 배치된 경사반송벨트(40)(제4도참조)의 회전구동수단으로서의 동전투입구동모터(116)로의 통전의 온/오프를 제어하고 제2모터구동회로(122)는 수평반송벨트(52)의 회전구동을 위한 반송모터(54)(제33도참조)로의 통전의 온/오프를 제어하고 그리고 제3모터구동회로(124)는 동전삽입수단 및 동전배출수단에 공통의 캠롤러(62)의 회전구동을 위한 동전 삽입/배출구동모터(118)로의 통전의 온/오프를 제어한다.
또 제1의 기타 구동회로(128)는 드로워구동회로이며, 지폐수납드로워(20e)(제1도참조)의 개폐구동을 위한 드로워개폐구동기구(27)로의 통전의 온/오프를 제어한다. 제2의 기타 구동회로(130)는 모터구동회로이며, 동전분류게이트부재(84)(제7도참조)의 회전구동을 위한 분류구동모터(126)로의 통전의 온/오프를 제어한다. 그리고 제3의 기타 구동회로(132)는 솔레노이드구동회로이며, 동전배출셔터(64)(제7도참조)의 구동용 플런저/솔레노이드 조립체(66)로의 통전의 온/오프를 제어한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08)에는 또 4개의 센서신호입력회로(134, 136, 138, 140)가 접속되어 있다. 제1의 센서신호입력회로(134)에는 동전투입구(20a)에 설치된 동전투입센서(41)(제4도참조)에서의 신호가 입력된다. 제2센서신호입력회로(136)에는 동전수납카세트(30)의 복수의 동전수납수단(32)에 설치된 충만센서(86)(제6도참조)에서의 신호가 입력된다. 제3의 센서신호입력회로(138)에는 복수(이 실시예에서는 6종류류; 제15도를 참조)의 동전수납수단(32)의 전단부의 상방의 동전안내수단(60)에 설치된 선별동전센서(60c)에서의 신호가 입력된다. 그리고 제4의 센서신호입력회로(140)에는 복수(이 실시예에서는 5종류; 제15도를 참조)의 동전수납수단(32)의 전단부의 동전배출구(33)의 아래에 설치된 동전배출센서(67)에서의 신호가 입력된다.
다음에는 ROM(102)내의 프로그램에 따른 CPU(100)의 각종 제어스텝에 대하여 제16도 내지 제19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 제16도는 동전배출처리를 위한 제어스텝이 흐름도에 의해 도시되어 있고, 제17도에는 동전수납처리를 위한 제어스텝이 흐름도에 의해 도시되어 있고, 제18도에는 오버플로우 처리를 위한 제어스텝이 흐름도에 의해 도시되어 있고 그리고 제19도에는 충만경고처리를 위한 제어스텝이 흐름도에 의해 도시되어 있다.
[동전배출처리: 제16도 참조]
CPU(100)는 통신인터페이스(106)를 통하여 POS 단말에서 동전에 의해 지불되는 거스름 액수에 상당하는 동전지불데이터를 시수그런데 하면 ST(스텝)1에 있어서 지불 동전의 전 매수가 최소가 되는 종류별 동전배출매수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동전지불 데이터가 동전의 최대단위인 500엔 이상인지 아닌지를 판별하고 500엔 이상인 경우만 500엔 동전의 배출매수를 「1」로 함과 동시에 앞서의 동전지불데이터에서 500엔을 감한 금액을 제1 갱신동전지불데이터로 한다.
다음에 제1갱신동전지불데이터가 100엔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별하고 100엔 이상인 경우에만 100엔 동전의 배출매수를 「1」로 함과 동시에 상기 제1갱신동전지불데이터에서 100엔을 감한 금액을 제2갱신동전지불데이터로 한다. 그리고 다시 상기 제2갱신동전지불데이터가 아직 100엔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2갱신동전지불데이터가 아직 100엔 이상인 경우에는 100엔 동전의 배출매수를 「2」로 함과 동시에 상기 제2갱신동전지불데이터에서 다시 100엔을 감한 금액에 상기 제2갱신동전지불데이터를 갱신한다. 이렇게 하여 제2갱신동전지불데이터가 100엔 미만이 될 때까지 상기 처리를 반복한다.
다음에 제2갱신동전지불데이터가 50엔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별하고 50엔 이상인 경우만 50엔 동전의 배출매수를 「1」로 함과 동시에 제2갱신동전지불데이터에서 50엔을 감한 금액을 제3갱신동전지불데이터로 한다.
다음에 제3갱신동전지불데이터가 10엔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별하고 10엔 이상인 경우만 10엔 동전의 배출매수를 「1」로 함과 동시에 제3갱신동전지불데이터에서 10엔을 감한 금액을 제4갱신동전지불데이터로 한다. 그리고 다시 제4갱신동전지불데이터가 아직 10엔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여기에서 제4갱신동전지불데이터가 아직 10엔 이상인 경우에는 10엔 동전의 배출매수를 「2」로 함과 동시에 제4갱신동전지불데이터에서 다시 10엔을 감한 금액을 제4갱신동전지불데이터로 한다. 이렇게 하여 제4갱신동전지불데이터가 10엔 미안이 될 때까지 상기 처리를 반복한다.
다음에 제4갱신동전지불데이터가 5엔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별하고 5엔 이상인 경우만 5엔 동전의 배출매수를 「1」로 함과 동시에 제4갱신동전지불데이터에서 5엔을 감한 금액을 제5갱신동전지불데이터로 한다.
마지막으로 남은 제5갱신동전지불데이터를 1엔 동전의 배출매수로 결정하여 이 종류별 동전배출매수결정처리를 종료한다.
CPU(100)는 이렇게 결정된 종류별 동전의 배출매수를 종류별 테이블(100a)의 배출매수영역에 각각 셋한다. 또, 종류별 테이블(110a)의 배출매수카운터를 모든 종류 「0」에 초기화한다.
또, 배출중 플래그기억영역(110b)에 도전배출중 플래그를 셋했다면 동전 삽입/배출 구동모터(118)를 위한 모터구동회로(124)를 통하여 동전 삽입/배출 구동모터(118)로의 통전을 온 한다. 또, 배출매수가 1이상인 배출대상동전이 수납되어 있는 동전수납수단(32)의 동전배출셔터(64)를 위한 플런저/솔래노이드 조립체(66)로의 통전이 대응한 솔레노이드구동회로(132)를 통하여 온 된다. 또, 분류구동모터(126)로의 통전은 온 되어 있고, 동전수납수단(32)에서 배출된 동전은 배출동전안내슈터(80)에 의해 동전배출구(20e)까지 안내된다.
이에 의해 복수의 동전수납수단(32)의 복수의 캠롤러(62)가 일제히 구동되어 회전함과 동시에 배출매수가 1이상인 배출대상동전이 수납되어 있는 동전수납수단(32)에 대응하는 동전배출셔터(64)가 개방되므로 동전배출셔터(64)가 개방되어 있는 동전수납수단(32)의 동전배출개구(33)에서 캠롤러(62)의 둘레면의 마찰증대부재(62c)의 마찰력에 의해 동전(C)이 1매씩 배출되고 배출동전안내슈터(80)에 의해 동전배출구(20e)까지 안내된다.
이때 CPU(100)는 ST2에 있어서 동전배출센서(67)를 위한 센서신호 입력회로(134)에 의해 각 동전배출센서(67)에서의 배출검지신호의 입력을 감시한다. 그리고 모두 하나의 동전배출센서(67)에서 배출검지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ST3에 있어서 배출검지신호를 출력한 동전배출센서(67)에 대응하는 종류의 배출매수카운터를 「+1」만큼 증가함과 동시에 동종류의 수납매수카운터를 「-1」만큼 감소한다.
다음에 ST4에 있어서 종류별 테이블(110a)중의 배출검지신호를 출력한 동전배출센서(67)에 대응하는 종류의 배출매수카운터의 값과 배출매수영역의 값을 비교한다. 양자의 값이 일치했다면 ST5에 있어서 상기 대응하는 종류의 동전이 수납되어 있는 동전수납수단(32)의 플런저/솔레노이드 조립체(66)로의 통전을 오프한다. 이에 의해 대응하는 동전배출셔터(64)가 폐쇄위치에 복귀하여 상기 대응하는 돈의 종류의 동전이 수납되어 있는 동전수납수단(32)에서의 동전의 배출이 정지한다.
이렇게하여 배출대상동전의 모든 종류에 대하여 배출매수 카운터의 값이 배출매수영역의 값에 일치할 때까지 상기 ST2∼ST5의 처리를 반복한다. 그리고 배출대상동전의 모든 종류에 대하여 배출매수카운터의 값이 배출매수영역의 값에 일치했다면 배출종료를 판정한다.
그런후에 동전 삽입/배출 구동모터(118)로의 통전을 오프함과 동시에 배출중 플래그기억영역을 비배출중을 나타내는 리셋상태로 한다. 이에 의해 동전배출을 위한 캠롤러(62)의 회전이 정지된다.
또, 드로워개폐구동회로(128)를 통하여 드로워개폐구동기구(27)로의 통전을 온 하여 이 거스름배출처리를 종료한다. 이에 의해 지폐수납드로워(58)가 개방위치로 이동된다.
[수납처리: 제17도 참조]
CPU(100)는 타이머 컨트롤러(101)에서 예를 들면 100ms 간격으로 발생되는 인터럽트신호(X)가 입력될 때마다 ST11에 있어서 배출중 플래그기억영역(110b)을 조사한다. 그리고 배출중의 플래그기억영역(110b)이 리셋되어 있는 경우에는 동전의 비배출중이므로 ST12에 있어서 동전투입센서(41)에서의 동전투입검지신호가 센서신호입력회로(140)로 입력했는지의 여부를 조사한다.
그리고 센서신호입력회로(140)로 동전투입검지신호가 입력된 경우에는 타이머 카운터(110d)(제15도 참조)를 0에 초기화함과 동시에 ST13에 있어서 수납중 플래그기억영역(110c)(제15도참조)의 수납중플래그를 조사한다. 여기에서 이 수납중의 플래그가 리셋되어 있는 경우에는 투입동전의 수납중이 아니므로 ST14에 있어서 수납중의 플래그 기억영역(110c)에 동전수납중을 나타내는 수납중 플래그를 셋함과 동시에 모터구동회로(120, 122, 124)를 통하여 동전투입모터(116), 반송모터(54) 및 동전 삽입/배출 구동모터(118)로의 통전을 순차 온하고, 수납처리를 종료한다.
이 수납처리에 있어서는 우선 최초로 동전투입구(20a)(제4도참조)의 하방의 경사반송벨트(38)가 분리롤러(42)와 함께 구동되고 다음에 수평반송벨트(52)가 구동된다. 다음에 캠롤러(62)도 회전구동되어 동전투입구(20a)에 투입된 동전이 그 종류에 대응하는 동전수납수단(32)에 수납된다.
ST13에 있어서 수납중 플래그기억영역(110c)에 수납중 플래그가 셋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미 동전투입모터(116), 반송모터(54) 및 동전 삽입/배출 구동모터(118)로의 통전이 온되어 있고, 동전투입구(20a)(제4도참조)에 투입된 동전의 수납중이므로 ST14의 처리를 실시하지 않고 금회의 수납처리는 종료된다.
ST12에 있어서 동전투입구(20a)(제4도참조)로의 동전의 투입이 검지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ST15에 있어서 수납중 플래그기억영역(110c)(제15도참조)을 조사한다. 여기에서 수납중 플래그가 수납중 플래그기억영역(110c)에 셋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동전투입구(20a)(제4도 참조)로의 동전의 투입이 없고 동전 수납중도 아니므로 이 수납처리는 종료된다.
ST15에 있어서 수납중 플래그기억영역(110c)(제15도 참조)에 수납중 플래그가 셋 되어 있는 경우에는 동전투입구(20a)(제4도 참조)로 투입된 동전의 수납중이므로 타이머카운터(110d)(제15도 참조)를 「+1」만큼 증가한다. 다음에 ST16에 있어서 타이머카운터(110d)의 값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규정치(동전투입구(20a)에 투입된 1매의 동전이 대응하는 동전수납수단(32)까지 반송되어 수납되는데에 요하는 시간보다 충분히 큰 시간에 상당하는 타이머카운터의 값)를 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에서 타이머카운터(110d)(제15도 참조)의 값이 규정치에 도달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ST18에 있어서, 선별동전센서(67)에서의 선별동전검지신호가 센서신호입력회로(136)로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선별동전검지신호가 센서신호입력회로(136)로 입력된 경우에는 ST19에 있어서 선별동전검지신호를 발한 선별동전센서(60c)가 위치되어 있는 안내수단(60)에 도입된 동전의 종류에 대응한 종류별 테이블(110a)의 수납매수카운터를 「+1」만큼 증가한다. 또, ST20에서 타이머카운터(110d)를 「0」에 초기화함으로써 이 수납처리를 종료한다.
이에 대하여 ST18에 있어서 선별동전센서(67)에서의 선별동전검지신호가 센서신호입력회로(136)로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는 ST19 및 ST20의 처리를 하지 않고 이 수납처리를 종료한다.
또 ST17에 있어서, 타이머카운터(110d)(제15도 참조)의 값이 상기규정치를 넘은 경우에는 동전투입구(20a)에 투입된 동전이 모두 대응하는 동전수납수단(32)에 수납되어 있고, 동전투입구(20e) 및 동전받이판(44)상에 동전이 없다고 판단되므로 수납중 플래그기억영역(110c)(제15도참조)중의 수납중 플래그를 비수납중을 나타내는 리셋상태로 함과 동시에 동전투입모터(116), 반송모터(54) 및 동전 삽입/배출 구동모터(118)로의 통전을 모두 오프로 하여 이 수납처리를 종료한다.
또 ST11에 있어서 배출중 플래그기억영역(110b)(제15도 참조)중에 배출중 플래그가 셋 되어 있는 경우에는 거스름동전의 배출중이므로 ST21에 있어서 수납중 플래그기억영역(110c)(제15도 참조)을 조사한다. 수납중플래그기억영역(110c)(제15도 참조)에 수납중 플래그가 셋되어 있는 경우에는 동전투입구(20a)에 투입된 동전의 수납처리가 중단되어 동전배출처리가 개시된다. 즉, 동전배출처리가 동전수납처리에 우선된다. 따라서 ST22에 있어서 수납중의 플래그기억영역(110c)(제15도 참조)중의 수납중 플래그를 리셋함과 동시에 동전투입모터(116) 및 반송모터(54)로의 통전이 오프되고 이 수납처리가 종료된다.
또, ST21에 있어서 수납중 플래그기억영역(110c)(제15도 참조)증의 수납중 플래그가 리셋되어 있는 경우에는 ST22의 처리를 실행하지 않고 이 수납처리가 종료된다.
[오버플로우처리: 제18도를 참조]
CPU(100)는 타이머 컨트롤러(101)에서 예를 들면 1분 간격으로 발생되는 인터럽트신호(Y)가 입력될 때마다 배출중 플래그기억영역(110b)(제15도 참조) 및 수납중 플래그기억영역(110c)(제15도 참조)을 조사한다. 그리고 배출중 플래그기억영역(110b)(제15도 참조) 및 수납중플래그기억영역(110c)(제15도 참조)의 어느 것인가에 대응하는 플래그가 셋되어 있는 경우에는 동전의 배출중 혹은 동전투입구(20a)에 투입된 동전의 수납중이므로 이 오버플로우처리를 종료한다.
이에 대하여 배출중 플래그기억영역(110b)(제15도 참조) 및 수납중 플래그기억영역(110c)(제15도참조)의 각각에 대응하는 플래그가 양자모두 리셋되어 있는 경우에는 종류별 테이블(110a)(제15도 참조)에 있어서 각 종류의 수납매수 카운터의 값과 상한매수설정영역(110e)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상한매수를 각각 비교하여 오버플로우의 유무를 판별한다. 그리고 어떤 종류라도 수납매수 카운터의 값이 상한매수를 넘지 않는 경우에는 오버플로우 없음으로 판단하여 이 오버플로우처리가 종료된다.
이에 대하여 적어도 1종류의 수납매수 카운터의 값이 상한매수를 넘고 있는 경우에는 오버플로우 있음이라고 판단된다. 그리고 분류 구동모터 구동회로 (130)를 통하여 분류구동모터(126)로의 통전이 온된다. 또, 모터구동회로(124)를 통하여 동전 삽입/배출 구동모터(118)로의 통전이 온이 된다. 또 수납매수카운터가 상황매수를 넘고 있는 종류의 동전이 수납된 동전수납수단(32)의 동전배출셔터(64)(제7도참조)를 위한 플런저/솔레노이드 조립체(66)가 선택되고, 선택된 플런저/솔레노이드 조립체(66)로의 통전이 대응하는 솔레노이드 구동회로(132)를 통하여 온 된다.
이에 의해 동전분류게이트부재(84)는 동전수납수단(32)에서 배출된 동전을 오버플로우용기(82)에 안내하는 오버플로우 위치로 이동된다. 또 캠롤러(62)가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됨과 동시에 상한매수를 넘고 있는 종류의 동전이 수납된 동전수납수단(32)의 배출셔터(64)(제7도참조)가 개방위치로 이동되어 이 동전수납수단(32)의 동전열(34)의 중에서 동전이 1매씩 배출되고 오버플로우용기(55)로 수용된다.
다음에 ST31에 있어서 복수의 동전수납수단(32)의 각각의 동전배출센서(67)에서부터 대응하는 센서신호입력회로(134)로의 배출검지신호의 입력이 감시된다. 그리고 어느 하나의 동전배출센서(67)에서 배출검지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ST32에 있어서 배출검지신호를 발한 통전배출센서(67)에 대응하는 동전수납수단(32)에 수납되어 있는 동전의 종류의 수납매수 카운터를 「-1」만큼 감소한다.
여기에서 ST33에 있어서 상술한 바와 하여 감소된 후의 수납매수 카운터의 값과 상기 상한매수를 비교하고 수납매수카운터의 값이 상한매수 이하로 되었다면 ST34에 있어서 이 종류의 동전이 수납되어 있는 동전수납수단(32)의 동전배출셔터(64)(제7도참조)를 위한 플런저/솔레노이드 조립체(66)로의 통전이 오프로 된다. 이에 의해 대응하는 동전배출셔터(64)가 폐쇄위치로 복귀하여 대응하는 동전수납수단(32)에서의 동전이 배출이 정지한다.
이렇게 하여 오버플로우한 종류에 대하여 수납매수 카운터의 값이 대응하는 상한매수 이하가 될 때까지 상기 ST31∼ST34의 처리를 반복하고 상한매수 이하가 되었다면 오버플로우 없음이라고 판정된다. 그리고 동전 삽입/배출 구동모터(118)로의 통전이 오프로 됨과 동시에 분류구동모터(126)로의 통전이 오프가 되어 이 오버플로우 처리가 종료된다.
이에 의해 캠롤러(62)의 회전이 정지됨과 동시에 동전분류게이트부재(84)가 동전수납수단(32)에서 배출된 동전을 배출동전안내슈터(80)측으로 안내하는 통상위치로 복귀된다.
[충만경고처리: 제19도 참조]
CPU(100)는 동전수납카세트(30)의 복수의 동전수납수단(32)의 충만센서(86)(제6도참조)에서 센서신호입력회로(138)로의 충만검지신호의 유무를 조사한다. 그리고 충만센서(86)에서 센서신호입력회로(138)로 충만검지신호가 입력된 것은 어떤 원인에 의해 오버플로우처리가 개시되지 않고 복수의 종류별의 복수의 동전수납수단(32)에 수납되어 있는 복수의 동전이 구성하고 있는 복수의 동전열(34)의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전열(34)의 길이가 오버플로우처리가 개시되는 상한매수의 동전에 의해 형성되는 동전열렸(34)의 길이보다도 소정 거리 만큼 길어져 있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따라서 충만센서(86)에서 센서신호입력회로(138)로 충만검지신호가 입력되었을 때에는 프론트커버(20)의 상면의 중앙부의 표시장치(20d)를 충만경고수단으로서 사용하고, 표시장치제어회로(114)에 의해 표시장치(20d)에 동전수납충만에러를 나타내는 에러코드를 표시시킨다.
이어서 수납중 플래그기억영역(110c)(제15도 참조)을 조사한다. 그리고 수납중 플래그기억영역(110c)에 수납중 플래그가 셋되어 있는 경우에는 동전투입구(20a)(제1도 참조)에 투입된 동전을 동전수납카세트(30)의 복수의 동전수납수단(32)에 수납중이므로 ST41에 있어서 수납중 플래그기억영역(110c)의 수납중 플래그를 리셋함과 동시에 동전투입모터(116), 반송모터(54) 및 동전삽입/배출 구동모터(118)로의 통전을 모두 오프하여 이 수납충만경고처리를 종료한다. 이에 의해 투입된 동전의 수납처리가 정지된다.
수납중 플래그기억영역(110c)에 있어서 수납중 플래그가 리셋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ST41의 처리를 실행하지 않고 이 수납충만경고처리를 종료한다.
[변형예]
제1도 내지 제19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 본 발명의 동전자동배출장치의 일실시예에서는 동전반송수단(280의 동전선별구멍(46)과 대응하는 동전수납수단(32)의 전단부와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던 안내수단(60)에 있어서 앞벽(60a)이 만곡되어 있고, 뒷벽(60b)이 수직으로 연출하고 탄성변형이 가능하였지만 이것과는 반대로 제20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앞벽(60a')을 수직으로 연출시킴과 동시에 뒷벽(60b')를 후방에서 전방으로 향함에 따라 서서히 대략 수평방향에서 대략 상하방향으로 연출해가도록 만곡시켜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만곡된 뒷벽(60b')을 탄성변형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변형예의 안내수단(60')은 일실시예의 안내수단(60)과 마찬가지로 기능한다.
그리고 조건에 따라서는 일실시예에 있어서 안내수단(60)의 수직인 뒷벽(60b)이나 상술한 변형예에 있어서 안내수단(60')이 만곡된 뒷벽(60b')은 탄성변형가능한 구조가 아니라도 대응하는 동전수납수단(32)의 동전삽입수단으로서의 캠롤러(62)에 의해 항상 확실하게 동전을 대응하는 동전수납수단(32)의 동전열(34)의 전단에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도 내지 제19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 본 발명의 동전자동배출장치의 일실시예에서는 또 캠롤러(62)의 둘레면에 마찰증대부재(62c)가 장착되어 있었지만 캠롤러(62) 자체를 동전(C)에 대하여 높은 마찰계수를 갖는 재료로 형성하거나 캠롤러(62)의 둘레면에 동전(C)에 대하여 높은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모양을 형성함으로써 제21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마찰증대부재(62c)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캠롤러(62)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캠롤러(62) 대신에 제22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둘레면에 마찰증대부재(150a)가 장착되어 있는 롤러(150)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롤러(150)는 동전삽입공간창출수단으로서 기능하지 않으므로 수평반송수단(28)에서 안내수단(60)을 통하여 롤러(150)에 공급된 동전(C)를 롤러(150)에 의해 대응하는 동전수납수단(32)의 동전열(34)의 전단에 삽입하기 위해서는 캠롤러(62)의 경우보다 큰 회전구동력을 필요로 한다. 그리고 이 경우에도 마찰증대부재(150a)는 롤러(150)의 폭방향의 중심부에서만 둘레면이 장착할 수 있고, 롤러(150) 자체를 동전(C)에 대하여 높은 마찰계수를 갖는 재료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거나 롤러(150)의 둘레면에 동전(C)에 대하여 높은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모양을 형성함으로써 마찰증대부재(150a)를 없앨 수 있다.
또, 프론트커버(20)에 있어서 지폐수납드로워(20e)를 제23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론트커버(20)의 전단면의 좌단부에 있어서 본체 하우징(12)중에서 동전수납카세트(30)의 복수의 동전수납수단(32)의 하방에 배치하고, 동전투입구(20a)와 동전배출구(20b)를 프론트커버(20)의 상면에서 지폐수납드로워(20e)의 우측에 배치하고 또 동전배출구(20b)보다도 동전투입구(20a)를 우측에 배치할 수 있다.
또 오버플로우 용기(82)나 동전분류게이트부재(84)는 본 발명에 있어서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이들을 생략한 경우에는 오버플로우처리에 의해 동전수납카세트(30)의 복수의 동전수납수단(32)에서 배출된 동전은 동전배출구(20b)에 배출되게 된다. 오버플로우처리에 의해 동전배출구(20b)에 배출된 동전은 오버플로우처리가 실행될 때마다 본 발명의 동전자동배출장치의 조작자에 의해 회수된다.

Claims (27)

  1. 동전자동배출장치는: 동전투입구(20a)와 동전배출구(20b)를 갖는 하우징(20, 12)과; 하우징 중에서 대략 수평방향으로 연출하고 , 같은 종류의 복수매의 동전(C)이 서로의 면을 맞추어 대략 수평방향으로 일렬로 중복된 상태에서 수납되는 동전수납수단(32)과; 동전수납수단중의 동전열(34)의 복수매의 동전을 동전열에 따른 방향에서 동전수납수단의 일단부로 향하여 탄성지지하는 동전탄성지지수단(78)과; 하우징중에서 동전투입구에서 동전수납수단의 일단부로 향하여 연출하고, 동전투입구에 투입된 동전을 동전수납수단의 일단부로 향하여 반송하는 동전반송수단(28)과; 동전반송수단에 의해 동전수납수단의 일단부로 향하여 반송되어 온 동전을 동전수납수단중의 동전열에서 동전수납수단의 일단부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삽입하는 동전삽입수단(62, 150)과; 동전수납수단중의 동전열에서 동전수납수단의 일단부에 가장 가까운 위치의 동전을 동전수납수단에서 하우징의 동전배출구로 향하여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동전배출수단(33, 62, 64, 150); 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자동배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동전수납수단(32)을 또한 복수 포함하고 있고, 복수의 동전수납수단은 동전반송수단(28)에 있어서 동전(C)의 반송방향에 따라 배치되어 상호 같은 방향으로 연출하고 있고, 복수의 동전수납수단에 수납되는 동전의 종류는 서로 다르고, 복수의 동전수납수단의 각각에 있어서 동전반송수단의 옆의 일단부에서는 동전삽입수단(62, 150)과 동전배출수단(33, 62, 64, 150)이 설치되어 있고, 동전반송수단에 있어서 복수의 동전수납수단의 각각의 일단부에 대응한 위치에 게이트수단(46)이 설치되어 있고, 게이트수단(46)은 각종 종류에 대응한 복수의 동전수납수단의 일단부의 동전삽입수단의 각각에 각종 동전을 분류하여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자동배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하우징(20, 12)이 지폐수납드로워(20e)를 또한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자동배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지폐수납드로워(20e)가 동전투입구(20e)와 동전배출구(20b)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자동배출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지폐수납드로워(20e)에 대하여 동전배출구(20b)가 좌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자동배출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동전투입구(20a)와 동전배출구(20b)가 지폐수납드로워(20e)보다 우측에 위치하고 있고, 동전배출구(20e)보다도 동전투입구가 더욱 우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자동배출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하우징(20, 12)이 동전자동배출장치의 사용자에 대면하는 부분을 전단부를 갖고 있고, 동전투입구(20a)와 동전배출구(20b)가 하우징의 전단부에 설치되어 있고, 동전수납수단(32)이 하우징의 전단부에서 후단부로 향하여 연출하고 있고, 동전반송수단(28)이 하우징의 전단부에 따라 동전수납수단의 연출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대략 수평으로 연출하고 있어서 수평으로 눕혀진 상태에서 동전(C)을 반송하고, 동전삽입수단(62, 150)과 동전배출수단(33, 62, 64, 150)이 동전수납수단의 전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자동배출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동전수납수단(32)을 또한 복수 포함하고 있고, 복수의 동전수납수단은 동전반송수단(28)에서 동전(C)의 반송방향에 따라 배치되어 서로 같은 방향으로 연출하고 있고, 복수의 동전수납수단에 수납되는 동전의 종류는 서로 다르고, 복수의 동전수납수단의 각각에서 전단부에는 동전삽입수단(62, 150)과 동전배출수단(33, 62, 64, 150)이 설치되어 있고, 동전반송수단에 있어서 복수의 동전수납수단의 각각의 전단부에 대응한 위치에는 게이트수단(46)이 설치되어 있고, 게이트수단(46)은 각종 종류에 대응하는 복수의 동전수납수단의 일단부의 동전삽입수단의 각각에 각종 동전을 분류하여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자동배출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동전탄성지지수단(78)이 동전수납수단(32)의 동전열(34)에 따른 방향으로 이동자유롭게 설치되고 동전열에 있어서 동전수납수단(32)의 일단부와는 반대측의 타단에 위치하는 동전에 맞닿는 누름이동부재(68)와, 누름이동부재에서 동전수납수단의 일단부로 향하여 연출된 후에 동전수납수단에 있어서 동전반송수단과는 반대측의 타단부로 향하여 방향이 전환되어 연출된 가요성의 가늘고 긴 탄성지지수단(72)을 또한 포함하고 있고, 가늘고 긴 탄성지수수단(72)이 누름이동부재와 연출방향 전환위치와의 사이의 연출부분에서는 동전수납수단의 일단부로 향하는 탄성지지력을 발생시키고 , 연출방향 전환위치에서 동전수납수단의 타단부로 향하여 연출한 부분에서는 동전수납수단의 타단부로 향하는 탄성지지력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자동배출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동전삽입수단(150)이 동전수납수단(32)중의 동전열(34)에 있어서 동전수납수단의 일단부에 가장 가까운 위치의 동전(C)의 면에 접촉하는 롤러를 또한 갖고 있고, 동전반송수단(28)이 동전수납수단의 일단부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고, 동전반송수단(28)과 동전삽입수단(150)의 롤러와의 사이에서 동전반송수단(28)에서의 동전(C)을 세운 상태에서 롤러로 안내하는 안내수단(60, 60')이 또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자동배출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동전삽입수단(150)의 롤러의 둘레면에는 마찰중대부재(150a)가 또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자동배출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동전수납수단(150)의 롤러의 둘레면에 마찰 중대부재(150a)는 동전(C)의 면의 폭포보다는 좁은 폭을 갖고 있고 동전의 면이 폭방향의 중심부에만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자동배출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동전배출수단(33, 62, 64, 150)이 동전삽입수단(62, 150)과 공통의 롤러와, 동전수납수단(32)의 일단부에 선택적으로 개폐자유롭게 설치된 동전배출셔터(64)를 또한 포함하고 있고, 동전배출셔터는 열림위치에서는 동전수납수단중의 동전열에 있어서 동전수납수단의 일단부에 가장 가까운 위치의 동전의 둘레면의 하반부에 대응하는 개구(33)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자동배출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동전삽입수단(62, 150)이 동전수납수단(32)중의 동전열(34)을 동전탄성지지수단(78)의 탄성지지력에 저항하여 동전수납수단의 일단부와는 반대의 타단부로 향하여 되밀어서 동전반송수단에서의 동전을 동전수납수단중의 동전열에 있어서 동전수납수단의 일단부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삽입하기 위한 공간을 창출하는 동전삽입공간창출수단(62)을 또한 포함하고 있고; 동전반송수단(28)이 동전수납수단(32)의 일단부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고; 동전반송수단(28)과 동전삽입수단의 동전삽입공간창출수단(32)과의 사이에서 동전반송수단에서의 동전을 세운 상태에서 동전삽입공간 창출수단으로 안내하는 동전안내수단(60, 60')이 또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자동배출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동전삽입수단의 동전삽입공간창출수단(62) 이 동전수납수단중의 동전열(34)에 있어서 동전수납수단의 일단부에 가장 가까운 위치의 동전(C)의 면에 접촉하는 캠롤러를 또한 갖고 있고, 캠롤러는 돌레면에 적어도 하나의 캠돌기(62a)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자동배출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동전배출수단(33, 62, 64)이 동전삽입수단(62)과 공통의 캠롤러와 동전수납수단(32)의 일단부에 선택적으로 개폐자유롭게 설치된 동전배출셔터(64)를 또한 포함하고 있고, 동전배출셔터는 열림위치에서는 동전수납수단에서 동전수납수단중의 동전열에 있어서 동전수납수단의 일단부에 가장 가까운 위치의 동전의 둘레면의 하반부에 대응하는 개구(33)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자동배출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동전삽입수단의 캠롤러(62)의 둘레면에는 캠돌기(62b)를 제외하고 둘레방향으로 연출한 마찰증대부재(62c)가 또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자동배출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마찰증대부재(62c)는 동전(C)의 면의 폭보다도 좁은 폭을 갖고 있고 동전의 면의 폭방향의 중심부에만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자동배출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동전반송수단(28)이 동전수납수단(32)의 일단부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어서 동전(C)을 수평상태로 반송하고, 동전반송수단(28)과 동전삽입수단(62, 150)의 사이에는 동전이 동전반송수단에서 동전삽입수단에 도달할때까지의 사이에 동전의 자세를 수평상태에서 세운 상태로 변화시키면서 동전을 안내하는 동전안내수단(60, 60')이 또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자동배출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동전안내수단(60, 60')이 수평상태에서 세운 상태로 변화하는 도중의 동전(C)의 운동에너지를 흡수하고, 동전삽입수단에 도달했을때의 동전의 운동에너지를 감소시키는 운동에너지 감소수단(60b, 60b')을 또한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자동배출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동전안내수단(60 60')의 운동에너지 감소수단(60b, 60b')이 수평상태에서 세운 상태로 변화하는 도중의 동전(C)에 충돌되어 탄성변형함으로써 동전의 운동에너지를 감소시키는 탄성 변형부재를 또한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자동배출장치.
  22. 제14항에 있어서, 동전안내수단(60, 60')이 동전(C)의 자세를 동전이 동전반송수단(28)에서 동전삽입수단(62, 150)에 도달할때까지의 사이에 수평상태에서 세운 상태로 변화시키면서 동전을 안내하고 있고, 동전안내수단이 수평상태에서 세운 상태로 변화하는 도중의 동전의 운동에너지를 흡수하고 동전삽입수단에 도달하는 동전의 운동에너지를 감소시키는 운동에너지 감소수단(60b, 60b')을 또한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자동배출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동전안내수단(60, 60')의 운동에너지 감소수단(60, 60')이 수평상태에서 세운 상태로 변화하는 도중의 동전(C)에 충돌되어 탄성변형함으로써 동전의 운동에너지를 감소시키는 탄성변형부재를 또한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자동배출장치.
  24. 제1항에 있어서, 동전삽입수단(62, 150)에 의해 1매의 동전(C)이 동전수납수단(32)에 수납될때마다 카운트업하고, 동전배출수단(33, 62, 64)에 의해 1매의 동전이 동전수납수단에서 배출될때마다 카운트다운하고, 동전수납수단에 수납되어 있는 현재의 동전의 매수를 카운트하는 수납동전매수계수수단(60c, 67, 110a)과; 상기 계수수단에 의해 카운트된 현재의 수납된 동전의 매수가 미리 설정된 상한매수에 도달했을 때에 동전배출수단을 동작시켜서 동전수납수단에서 소정의 매수의 동전을 배출시키는 오버플로우수단(100, 104);을 또한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자동배출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동전수납수단(32)에 수납된 복수의 동전(C)에 의해 형성되는 열(34)의 길이가 오버플로우수단(100, 104)이 동작할때의 상기 상한매수의 동전에 의해 형성되는 열의 길이보다도 소정의 거리 길어졌을때에 동전충만검지신호를 발생시키는 동전충만검지수단(86)과; 동전충만검지수단에서의 동전충만검지신호를 받아서 동전충만경고를 하는 동전충만경고수단(20d);을 또한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자동배출장치.
  26. 제24항에 있어서, 하우징(12, 20)내에 설치된 오버플로우용기(82)와; 동전배출수단(33, 62, 64, 150)에서 하우징의 동전배출구(20b)까지 동전을 안내하는 배출동전안내수단(80)과; 배출동전안내수단에 설치되고 오버플로우수단(100, 104)이 동작했을때에 조작되고, 동전배출수단에 의해 동전수납수단(32)에서 배출된 동전(C)을 오버플로우용기로 유도하고 오버플로우동전분류수단(84);을 또한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자동배출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동전수납수단(32)에 수납된 복수의 동전(C)에 의해 형성되는 열(34)의 길이가 오버플로우수단(100, 104)이 동작할때의 상기 상한매수의 동전에 의해 형성되는 열의 길이보다도 소정의 거리 길어졌을때에 동전충만검지신호를 발생시키는 동전충만검지수단(86)과; 동전충만검지수단에서의 동전충만검지신호를 받아서 동전충 만경고를 하는 동전충만경고수단(20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자동배출장치.
KR1019950033629A 1994-10-28 1995-09-30 동전자동배출장치 KR01513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65751A JPH08123987A (ja) 1994-10-28 1994-10-28 硬貨収納払出し装置
JP94-265751 1994-10-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5330A KR960015330A (ko) 1996-05-22
KR0151368B1 true KR0151368B1 (ko) 1998-12-15

Family

ID=17421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3629A KR0151368B1 (ko) 1994-10-28 1995-09-30 동전자동배출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722882A (ko)
EP (1) EP0710932A1 (ko)
JP (1) JPH08123987A (ko)
KR (1) KR0151368B1 (ko)
CN (1) CN1062961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43958B2 (en) * 1996-05-13 2013-05-21 Cummins-Allison Corp.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coin exchange
TW339436B (en) * 1996-09-20 1998-09-01 Rorer Bank Machine Kk Coin receiving and dispensing machine
DE69717383T2 (de) * 1996-09-20 2003-03-27 Laurel Bank Machines Co., Ltd. Gerät zur Einnahme und Ausgabe von Münzen
KR100559966B1 (ko) * 1999-03-04 2006-03-13 삼성전자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 수납공간이 형성된 도광판이 적용된 액정표시모듈
GB2361344A (en) * 2000-04-12 2001-10-17 Mars Inc Coin dispenser and dispensing mechanism
US6827647B1 (en) * 2000-09-06 2004-12-07 Wms Gaming, Inc. Gaming machine coin handling system with dedicated local microcontroller
US6638157B2 (en) * 2001-06-12 2003-10-28 Mag-Nif Incorporated Five coin bank
US20030024790A1 (en) * 2001-07-31 2003-02-06 Quattrini Victor A. Apparatus for monitoring coins discharged from a coi dispenser
US7066335B2 (en) * 2001-12-19 2006-06-27 Pretech As Apparatus for receiving and distributing cash
US6739965B2 (en) 2002-05-14 2004-05-25 Floyd K. String High speed, high volume coin sorter
DE60228503D1 (de) * 2002-09-04 2008-10-02 Nippon Kinsen Kikai Kk Münzwechselsystem
JP4604155B2 (ja) * 2003-04-24 2010-12-22 旭精工株式会社 コイン分離装置
JP2006043195A (ja) * 2004-08-05 2006-02-16 Aruze Corp 遊技機
CN100498852C (zh) * 2005-01-25 2009-06-10 廖智慧 一种电子存钱系统
US7733659B2 (en) * 2006-08-18 2010-06-08 Delphi Technologies, Inc. Lightweight audio system for automotive applications and method
KR100820345B1 (ko) * 2006-12-05 2008-04-07 장치승 자동출금기
KR101106514B1 (ko) * 2007-03-01 2012-01-20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고장력 냉연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JP5022815B2 (ja) * 2007-08-10 2012-09-12 ローレル機械株式会社 硬貨入出金機
US8205770B2 (en) * 2008-08-21 2012-06-26 Crane Merchandising Systems, Inc. Vending machine user interface guide; electronic coin return; and hinged delivery bin
CN102682509B (zh) * 2012-05-02 2014-04-02 江苏群雄智能科技有限公司 自动取币装置
US9036890B2 (en) 2012-06-05 2015-05-19 Outerwall Inc. Optical coin discrimin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use with consumer-operated kiosks and the like
US8967361B2 (en) 2013-02-27 2015-03-03 Outerwall Inc. Coin counting and sorting machines
US9022841B2 (en) 2013-05-08 2015-05-05 Outerwall Inc. Coin counting and/or sorting machine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US9443367B2 (en) 2014-01-17 2016-09-13 Outerwall Inc. Digital image coin discrimination for use with consumer-operated kiosks and the like
US9235945B2 (en) 2014-02-10 2016-01-12 Outerwall Inc. Coin input apparatuses and associated methods and systems
KR102152096B1 (ko) 2014-12-19 2020-09-04 가부시끼가이샤 닛본 콘럭스 코인 튜브
JP6704758B2 (ja) 2016-03-07 2020-06-03 東芝テック株式会社 会計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08994A (ko) * 1974-01-31 1975-08-27
JPS5620854A (en) * 1979-07-27 1981-02-26 Nissan Motor Co Ltd Driving device for reach type industrical vehicle
JPS5625710A (en) * 1979-08-08 1981-03-12 Canon Inc Lens system having color separation optical system
GB2179030B (en) * 1985-07-01 1988-12-21 Mars Inc Coin dispensers
JPH085452B2 (ja) * 1986-12-26 1996-01-24 グローリー工業株式会社 硬貨包装機
JPH0682426B2 (ja) * 1987-03-24 1994-10-19 株式会社日本コンラックス 硬貨貯蔵量管理装置及び管理方法
JPH0669804B2 (ja) * 1987-11-13 1994-09-07 武蔵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硬貨包装装置
FR2648079B1 (fr) * 1989-06-09 1991-11-15 Boulet D Auria Teruzzi Cie Procede de fabrication de manchon electro-soudable, dispositif pour la mise en oeuvre de celui-ci et manchons obtenus selon ce procede
JP2577480B2 (ja) * 1989-11-30 1997-01-29 株式会社テック 販売データ処理装置
GB8928256D0 (en) * 1989-12-14 1990-02-21 Maygay Machines Coin release verification
JP2567515B2 (ja) * 1990-10-15 1996-12-25 ユニバーサル販売株式会社 メダル投入装置
JP2639766B2 (ja) * 1991-04-10 1997-08-13 ローレルバンクマシン株式会社 貨幣選別装置
JPH0512981A (ja) * 1991-07-04 1993-01-22 Fuji Electric Co Ltd 回路遮断器の過電流引外し装置
TW208747B (ko) * 1991-10-03 1993-07-01 Roreru Bank Machine K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1304A (zh) 1996-09-18
KR960015330A (ko) 1996-05-22
CN1062961C (zh) 2001-03-07
US5722882A (en) 1998-03-03
JPH08123987A (ja) 1996-05-17
EP0710932A1 (en) 1996-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1368B1 (ko) 동전자동배출장치
US8844704B2 (en) Money item dispensing apparatus
US5355988A (en) Coin supply device for coin-operated gaming machine
US4966304A (en) Bill money changer for slot machines
US5715924A (en) Game play media lending machine, for which bank notes can be used
JPH07249139A (ja) 棒金放出機
JP3215781B2 (ja) 硬貨収納払出し装置
JP3010176B2 (ja) プリペイドカード販売機
JP3479428B2 (ja) 硬貨入出金機の硬貨受収排出装置
JPH03218596A (ja) 自動販売機の硬貨返却装置
JP2001276407A (ja) メダル貸出機
JPH11219467A (ja) 釣銭自動払出し装置
JPH07185120A (ja) コイン払出装置
JP2022136409A (ja) コインセレクターおよび自動サービス機
JP2022136410A (ja) コインセレクターおよび自動サービス機
JP3579066B2 (ja) 台間玉貸機
JPH07272045A (ja) 硬貨取扱装置
JPH0530211Y2 (ko)
JPH08243249A (ja) 定量硬貨自動補給装置
JPH07272095A (ja) 硬貨取扱装置
JPH09115022A (ja) 硬貨収納払出装置
JPH07272049A (ja) 釣銭自動払出し装置
JPH07272036A (ja) 釣銭自動払出し装置
JPH0831162B2 (ja) 硬貨処理機の入金処理方法
JPH0381190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61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