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장죽족
보이기
해장죽족 | ||
---|---|---|
Arundinaria gigantea | ||
생물 분류ℹ️ | ||
계: | 식물계 | |
(미분류): | 속씨식물군 | |
(미분류): | 외떡잎식물군 | |
(미분류): | 닭의장풀군 | |
목: | 벼목 | |
과: | 벼과 | |
아과: | 대나무아과 | |
족: | 해장죽족 Arundinarieae Asch. & Graebn., 1902 | |
모식종 | ||
아룬디나리아속(Arundinaria Michx.) | ||
[출처 필요] | ||
속 | ||
|
해장죽족(海藏竹族, 학명: Arundinarieae 아룬디나리에아이[*])은 대나무아과의 족이다.[1] 북아메리카 동부 지역,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남아시아 그리고 동아시아의 온대 기후 지역에서 발견된다.[2]
하위 분류
[편집]- 섬조릿대속(Sasa Makino & Shibata)
- 아룬디나리아속(Arundinaria Michx.)
- 왕대속(Phyllostachys Siebold & Zucc.)
- 이대속(Pseudosasa Makino ex Nakai)
- 조릿대속(Sasamorpha Nakai)
- 해장죽속(Pleioblastus Nakai)
- Acidosasa C.D.Chu & C.S.Chao
- Ampelocalamus S.L.Chen T.H.Wen & G.Y.Sheng
- Bashania Keng f. & T.P.Yi
- Bergbambos Stapleton
- Chimonobambusa Makino
- Chimonocalamus Hsueh & T.P.Yi
- Drepanostachyum Keng f.
- Fargesia Franch.
- Ferrocalamus Hsueh & Keng f.
- Gaoligongshania D.Z.Li, Hsueh & N.H.Xia
- Gelidocalamus T.H.Wen
- Himalayacalamus Keng f.
- Hsuehochloa D.Z.Li & Y.X.Zhang
- Indocalamus Nakai
- Indosasa McClure
- Kuruna Attigala, Kaththr. & L.G.Clark
- Oldeania Stapleton
- Oligostachyum Z.P.Wang & G.H.Ye
- × Phyllosasa Demoly
- Sarocalamus Stapleton
- Sasaella Makino
- Semiarundinaria Makino ex Nakai
- Shibataea Makino ex Nakai
- Sinobambusa Makino ex Nakai
- Thamnocalamus Munro
- Yushania Keng f.
계통 분류
[편집]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 괄호 안의 숫자는 추정되는 종의 수이다.[3]
벼과 |
| ||||||||||||||||||||||||||||||||||||||||||||||||||||||||||||||||||||||||||||||
각주
[편집]- ↑ Ascherson, Paul Friedrich August & Graebner, Karl Otto Robert Peter Paul. Synopsis der Mitteleuropäischen Flora 2: 770. 1902.
- ↑ Kelchner S, Bamboo Phylogeny Working Group (2013). “Higher level phylogenetic relationships within the bamboos (Poaceae: Bambusoideae) based on five plastid markers” (PDF). 《Molecular Phylogenetics and Evolution》 67 (2): 404–413. doi:10.1016/j.ympev.2013.02.005. ISSN 1055-7903. 2015년 6월 5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월 6일에 확인함.
- ↑ Grass Phylogeny Working Group II (2012). “New grass phylogeny resolves deep evolutionary relationships and discovers C4 origins”. 《New Phytologist》 193 (2): 304–312. doi:10.1111/j.1469-8137.2011.03972.x. PMID 22115274.
이 글은 벼목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