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주 (益州)는 현재의 쓰촨 분지 와 한중 분지 일대에 존재한 중국 역사 상의 옛 행정 구역이며, 후한 13주 중 한 지역이다. 중심지는 낙현(雒縣, 현재의 쓰촨성 더양 시 광한 시 ) · 면죽(綿竹, 현재의 쓰촨성 더양 시 몐주 시 ) · 성도(成都, 현재의 쓰촨성 청두시 )이다.
한중군 (漢中郡) · 광한군 (廣漢郡) · 건위군 (犍爲郡) · 무도군 (武都郡) · 월수군 (越嶲郡) · 익주군 (益州郡) · 장가군 (牂柯郡) · 파군 (巴郡) · 촉군 (蜀郡) · 문산군 (汶山郡) · 침려군 (沈黎郡)
건위(犍爲)
강양(江陽)
남광(南廣)
남안(南安)
무양 (武陽)
부절(符節)
북도(僰道)
우비(牛鞞)
자중(資中)
한안(漢安)
광한(廣漢)
가맹(葭萌)
광한(廣漢)
낙 (雒)
덕양(德陽)
면죽(綿竹)
백수(白水)
부(涪)
신도(新都)
십방(什邡)
자동(梓潼)
처(郪)
광한속국(廣漢屬國)
강저도(剛氐道)
승저도(甸氐道)
음평도(陰平道)
영창(永昌)
박남(博南)
불위(不韋)
비소(比蘇)
수당(巂唐)
애뢰(哀牢)
야룡(邪龍)
엽유(楪楡)
운남(雲南)
월수(越巂)
고복(姑復)
공도(邛都)
대등(臺登)
대작(大莋)
반수(卑水)
삼봉(三縫)
소시(蘇示)
수구(遂久)
영관도(靈關道)
작진(莋秦)
정작(定莋)
천(闡)
청령(靑蛉)
회무(會無)
익주(益州)
건령(建伶)
곡창(穀昌)
곤택(昆澤)
농동(梇棟)
동로(同勞)
동뢰(同瀨)
매(味)
목마(牧靡)
무절(毋棳)
비고(賁古)
승휴(勝休)
쌍백(雙柏)
연연(連然)
유원(兪元)
율고(律高)
전지(滇池)
진장(秦臧)
장가(牂牁)
고저란(故且蘭)
구정(句町)
누강(漏江)
누와(漏臥)
담고(談稾)
담지(談指)
동반(同竝)
무단(毋單)
무렴(毋斂)
서수(西隨)
심봉(鐔封)
야랑(夜郞)
원온(宛溫)
진승(進乘)
평이(平夷)
폐(鄨)
촉 (蜀)
강원(江原)
광도(廣都)
광유(廣柔)
면사도(綿虒道)
문강도(汶江道)
번(繁)
비(郫)
성도 (成都)
임공(臨邛)
잠릉(蠶陵)
전저도(湔氐道)
팔릉(八陵)
촉군속국(蜀郡屬國)
모우(旄牛)
사(徙)
엄도(嚴道)
한가(漢嘉)[ 1]
파 (巴)
강주 (江州)
구인(朐忍)
낭중(閬中)
부릉(涪陵)
선한(宣漢)
안한(安漢)
어복(魚復)
임강(臨江)
점강(墊江)
지(枳)
충국(充國)
탕거(宕渠)
평도(平都)
한창(漢昌)
한중(漢中)
남정 (南鄭)
면양(沔陽)
방릉(房陵)
상용(上庸)
서성(西城)
석(錫)
성고(成固)
안양(安陽)
포중(褒中)
촉한의 영토는 후한 시대의 익주와 일치하지는 않으나, 촉한은 전 영토에 익주 1주만을 설치하고, 본디 익주 소속이 아닌 군현들도 모두 익주로 편입시켰다. 한편 조위도 상용군, 방릉군을 다스리고 있었으나, 모두 형주에 편입시켰으므로, 결과적으로는 촉한이 익주를 전부 지배했다.
조위가 량주 , 병주 , 유주 , 기주 , 청주 , 연주 , 서주 , 예주 , 옹주 의 9개 주와 사례 , 형주 북부, 손오가 양주 , 형주 , 교주 의 3개 주를 갖고 있는 것에 비하면 촉한은 익주 단 하나만 갖고 있었다.
촉군 (蜀郡) · 재동군 (潼郡) · 광한군 (廣漢郡) · 동광한군 (東廣漢郡) · 문산군 (汶山郡) · 파군 (巴郡) · 파서군 (巴西郡) · 파동군 (巴東郡) · 부릉군 (涪陵郡) · 건위군 (犍爲郡) · 강양군 (江陽郡) · 한가군 (漢嘉郡) · 한중군 (漢中郡) · 무도군 (武都郡) · 음평군 (陰平郡) · 탕거군 (宕渠郡)
267년 (서진 무제 태시 3년) 주의 동부지방이 양주 , 271년 (서진 무제 태시 7년) 주의 남부지방이 영주 로 분리되면서 지금의 쓰촨성 중서부, 구이저우성일대로 축소되었다. 중심지는 성도에 두었고 8군 44현 149,300호를 거느렸다.[ 2]
촉군(蜀郡) · 건위군(犍爲郡) · 문산군(汶山郡) · 한가군(漢嘉郡) · 강양군(江陽郡) · 주시군(朱提郡) · 월수군(越嶲郡) · 장가군(牂柯郡)
유송대 익주는 29군 128현 53,141호 248,293명을 거느렸다. 건강 까지 수로로 9970리 거리였다.[ 3]
촉군(蜀郡) · 광한군(廣漢郡) · 파서군(巴西郡) · 재동군(梓潼郡) · 파군(巴郡) · 수녕군(遂寧郡) · 강양군(江陽郡) · 회녕군(懷寧郡) · 영촉군(寧蜀郡) · 월수군(越嶲郡) · 문산군(汶山郡) · 남음평군(南陰平郡) · 건위군(犍為郡) · 시강군(始康郡) · 진희군(晉熙郡) · 진원군(晉原郡) · 송녕군(宋寧郡) · 안고군(安固郡) · 남한중군(南漢中郡) · 북음평군(北陰平郡) · 무도군(武都郡) · 신성군(新城郡) · 남신파군(南新巴郡) · 남진수군(南晉壽郡) · 송흥군(宋興郡) · 남탕거군(南宕渠郡) · 천수군(天水郡) · 동강양군(東江陽郡) · 침려군(沈黎郡)
촉군(蜀郡) · 광한군(廣漢郡) · 진강군(晉康郡) · 영촉군(寧蜀郡) · 문산군(汶山郡) · 남음평군(南陰平郡) · 동수녕군(東遂寧郡) · 시강군(始康郡) · 영녕군(永寧郡) · 안흥군(安興郡) · 건위군(犍為郡) · 강양군(江陽郡) · 안고군(安固郡) · 회녕군(懷寧郡) · 파서군(巴西郡) · 재동군(梓潼郡) · 동강양군(東江陽郡) · 남진수군(南晉壽郡) · 서탕거군(西宕渠郡) · 천수군(天水郡) · 남신파군(南新巴郡) · 북음평군(北陰平郡) · 신성군(新城郡) · 부풍군(扶風郡) · 남안군(南安郡) · 동탕거요군(東宕渠獠郡) · 월수요군(越嶲獠郡) · 침려요군(沈黎獠郡) · 감송요군(甘松獠郡) · 시평요군(始平獠郡) · 제개좌군(齊開左郡) · 제통좌군(齊通左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