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암동
보이기
신암1동 新岩1洞 | |
---|---|
로마자 표기 | Sinam 1(il)-dong |
행정 | |
국가 | 대한민국 |
지역 | 대구광역시 동구 |
행정 구역 | 18통, 104반 |
법정동 | 신암동 |
관청 소재지 | 대구광역시 동구 아양로7길 27 |
지리 | |
면적 | 0.61 km2 |
인문 | |
인구 | 8,955명(2022년 3월) |
세대 | 6,098세대 |
인구 밀도 | 15,000명/km2 |
지역 부호 | |
웹사이트 | 신암1동 행정복지센터 |
신암2동 新岩2洞 | |
---|---|
로마자 표기 | Sinam 2(i)-dong |
행정 | |
국가 | 대한민국 |
지역 | 대구광역시 동구 |
행정 구역 | 11통, 72반 |
법정동 | 신암동, 신천동 |
관청 소재지 | 대구광역시 동구 신성로 56 |
지리 | |
면적 | 0.38 km2 |
인문 | |
인구 | 10,310명(2022년 3월) |
세대 | 4,373세대 |
인구 밀도 | 27,000명/km2 |
지역 부호 | |
웹사이트 | 신암2동 행정복지센터 |
신암3동 新岩3洞 | |
---|---|
로마자 표기 | Sinam 3(sam)-dong |
행정 | |
국가 | 대한민국 |
지역 | 대구광역시 동구 |
행정 구역 | 13통, 78반 |
법정동 | 신암동 |
관청 소재지 | 대구광역시 동구 신암남로 67 |
지리 | |
면적 | 0.6 km2 |
인문 | |
인구 | 11,706명(2022년 3월) |
세대 | 4,530세대 |
인구 밀도 | 20,000명/km2 |
지역 부호 | |
웹사이트 | 신암3동 행정복지센터 |
신암4동 新岩4洞 | |
---|---|
로마자 표기 | Sinam 4(sa)-dong |
행정 | |
국가 | 대한민국 |
지역 | 대구광역시 동구 |
행정 구역 | 22통, 132반 |
법정동 | 신암동 |
관청 소재지 | 대구광역시 동구 신암남로23길 53 |
지리 | |
면적 | 1.15 km2 |
인문 | |
인구 | 14,796명(2023년 9월) |
세대 | 7,782세대 |
인구 밀도 | 12,900명/km2 |
지역 부호 | |
웹사이트 | 신암4동 행정복지센터 |
신암5동 新岩5洞 | |
---|---|
로마자 표기 | Sinam 5(o)-dong |
행정 | |
국가 | 대한민국 |
지역 | 대구광역시 동구 |
행정 구역 | 11통, 66반 |
법정동 | 신암동 |
관청 소재지 | 대구광역시 동구 아양로37길 92 |
지리 | |
면적 | 0.57 km2 |
인문 | |
인구 | 6,284명(2022년 3월) |
세대 | 3,725세대 |
인구 밀도 | 11,000명/km2 |
지역 부호 | |
웹사이트 | 신암5동 행정복지센터 |
신암동(新岩洞)은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동구의 법정동이다. 행정동(신암1동·신암2동·신암3동·신암4동·신암5동)의 통칭이기도 하다.
대구 최대의 철도 관문인 경부선 동대구역이 신암4동에 있다.[1] 신암2동에는 한국장학재단 본부가 있다.
유래
[편집]발원은 예부터 "한골"이라는 자연부락으로 불렸는데, "한골"이라는 것은 골이 깊은 계곡 대곡리라 해서 그 명칭이 한골이라고 불리고 있다. 새로 생긴 강 새내, 즉 신천이 흐르게 되었는데 그 아래 바위가 많은 곳이라 하여 신암동으로 부른다. 처음에는 동산새태, 새태마을(혹은 새터마실), 신기동이라 했다. 새태마실이라 부른 것은 그 아래쪽에 많은 마을이 들어서게 됨으로 하여 이를 새로 생긴 마을이란 뜻으로 부르게 되었다.
역사
[편집]- 1895년 음력 윤5월 1일 대구부 대구군 동상면[2]
- 1896년 8월 4일 경상북도 대구군 동상면[3]
- 1910년 10월 1일 경상북도 대구부 동상면
- 1911년 11월 14일 경상북도 대구부 대구면[4]
- 1914년 4월 1일 경상북도 달성군 수성면 신암동[5]
- 1938년 10월 1일 경상북도 대구부 신암동[6]
- 1938년 11월 2일 편입된 수성면을 관할로 동부출장소 설치[7]
- 1949년 8월 15일 경상북도 대구시 신암동(동부출장소 관할)[8]
- 1963년 1월 1일 경상북도 대구시 동구 신암동[9]
- 1965년 2월 1일 행정동 신암1동, 신암2동, 신암3동, 신암4동으로 개편
- 1970년 7월 1일 신암1동을 신암5동으로, 신암3동을 신암6동으로 분동[10]
- 1975년 10월 1일 신암로 북편(신암3동, 신암6동)을 북구에 편입하여[11] 대현동으로 개칭, 신암5동을 신암3동으로 개칭
- 1981년 7월 1일 대구직할시 동구 신암동[12]
- 1990년 6월 1일 신암4동을 신암5동으로 분동
- 1995년 1월 1일 대구광역시 동구 신암동[13]
교육
[편집]신암1동
[편집]신암2동
[편집]신암3동
[편집]신암4동
[편집]- 대구덕성초등학교
- 한국IT직업전문학교
신암5동
[편집]교통 시설
[편집]지하철
[편집]- 대구 도시철도 1호선 동구청역(신암4동)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아양교역(신암5동)
철도
[편집]명소
[편집]주거
[편집]- 대구도시공사
- 신암 그린타운 - 2003년 9월 입주 / 한라공영㈜ , 보성건설㈜
- 신암 청아람 - 2009년 3월 입주 / ㈜보선건설, 동부건설
- 대한주택공사
- 신암 뜨란채 - 2005년 9월 입주 / ㈜서광건설산업, ㈜진흥
- 동대구 우방아이유쉘 - ㈜우방 / 2020년 10월 입주
각주
[편집]- ↑ 도시철도 동대구역과 동대구복합환승센터는 경부선 남쪽의 신천4동에 있다.
- ↑ 칙령 제98호 地方制度改正件 (1895년 음력 5월 26일)
- ↑ 칙령 제36호 地方制度官制改正件 (1896년 8월 4일)
- ↑ 경상북도 고시 제38호 (1911년 11월 14일)
- ↑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도의위치·관할구역변경및부·군의명칭·위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 ↑ 조선총독부령 제196호 (1938년 9월 27일)
- ↑ 대구부 조례 제22호 (1938년 11월 2일)
- ↑ 법률 제32호 (1949년 7월 4일)
- ↑ 법률 제1174호 (1962년 11월 21일)
- ↑ 대구시 조례 제610호 (1970년 7월 1일)
- ↑ 대통령령 제7816호 구의증설및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 ↑ 법률 제3424호 대구직할시및인천직할시설치에관한법률 (1981년 4월 13일)
- ↑ 법률 제4789호 지방자치법 (1994년 12월 22일)
- ↑ 옛 신암중학교 자리에는 대구2·28기념학생도서관이 생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