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염
불교 |
---|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의 논서 《아비달마순정리론》 제11권과 《아비달마장현종론》 제5권에 따르면, 불염(不厭: 싫어하지 않음)은 염(厭: 싫어함)의 반대되는 마음작용이다. 염은 유전연기와 그 결과물인 생사윤회를 염오(厭惡: 싫어하고 미워함)하게 하는 선한 마음작용이다. 한편, 흔(欣)은 환멸연기와 그것에 의해 증득되는 열반을 흔락(欣樂)하게 하는 선한 마음작용이다.[1][2]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의 논서 《아비달마품류족론》 제3권에 따르면, 불염(不厭: 싫어하지 않음) · 부등염(不等厭: 그 모두에 대해 싫어하지 않음) · 불각별염(不各別厭: 각각 따로따로에 대해 싫어하지 않음)은 무참(無慚)과 무괴(無愧)의 공통된 마음작용들 가운데 하나이다.[3][4][5][6]
염(厭: 싫어함)은 다른 말로는 염환(厭患)이라고도 한다. 염환(厭患)은 문자 그대로의 뜻에 따르면 싫어하고 근심함 또는 싫어하고 근심으로 여기는 것이다. 안혜의 《대승광오온론》에 따르면, 염환은 생사(生死)의 모든 과실(過失)에 대한 변지(遍知)를 말한다. 보다 엄밀히 말하자면, 이러한 변지(遍知, 산스크리트어: parijñā: 두루 아는 것,[7] 철저하게 완전히 아는 것[8])가 있을 때 유(有: 3계 또는 3계의 삶)와 유자구(有資具: 3계에 태어나게 하는 원인)에 대해 일으켜지는 바로 그 염환, 즉 바로 그 싫어함과 근심으로 여김을 말한다.[9][10]
달리 말하면, 싫어하고 근심으로 여기는 것 즉 염환은 윤회를 일으키는 원인이 되는 악행과 그 악행에 의해 결과되는 윤회에 대해 그 인과관계를 '완전하게 아는 것[遍知]'이고 또한 이러한 앎의 상태에서 발견되는 '윤회와 그 원인에 대한 싫어함과 근심으로 여김'이다.
불염(不厭: 싫어하지 않음)은 탐(貪) · 무참(無慚) · 무괴(無愧) 등의 잡염(불선과 유부무기)과 관련되어 주로 언급되고, 염(厭: 싫어함) 즉 염환(厭患: 싫어하고 근심으로 여김)은 참(慚) · 괴(愧) · 무탐(無貪) 등의 선심소와 관련되어 주로 언급된다.[9][10][11][12]
무착의 《집론》 제4권과 안혜의 《잡집론》 제6권에 따르면, 번뇌의 여러 다른 이름 가운데 하나인 결(結)은 애결(愛結) · 에결(恚結) · 만결(慢結) · 무명결(無明結) · 견결(見結) · 취결(取結) · 의결(疑結) · 질결(嫉結) · 간결(慳結)의 9결(九結)을 말한다.[13][14][15][16]
그리고 《잡집론》에 따르면 결의 자성 즉 본질적 성질은 3계탐(三界貪, 산스크리트어: traidhātuko rāgaḥ, kāma-rūpārūpya-rāga[17]) 즉 '3계에 대한 탐'이다. 결이 있기 때문에 유정은 3계를 불염(不厭: 싫어하지 않음)하게 되고, 다시 불염으로 인해 불선 즉 악이 현행하게 되고 선이 현행하지 않게 된다. 이러한 순차적인 과정에 의해 결은 미래세에서 유정을 고과(苦果) 즉 괴로운 과보가 생겨나는 상태에 묶어버리는[結] 작용을 한다.[15][16]
같이 보기
[편집]참고 문헌
[편집]- 곽철환 (2003).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 네이버 지식백과.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미륵 지음,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 (K.614, T.1579). 《유가사지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570(15-465), T.1579(30-279).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K.955, T.1558). 《아비달마구사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955(27-453), T.1558(29-1).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김묘주 번역 (K.614, T.1585). 《성유식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614(17-510), T.1585(31-1).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K.618, T.1612). 《대승오온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618(17-637), T.1612(31-848).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운허. 동국역경원 편집, 편집. 《불교 사전》.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영어) DDB. 《Digital Dictionary of Buddhism (電子佛教辭典)》. Edited by A. Charles Muller.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미륵 조, 현장 한역 (T.1579). 《유가사지론(瑜伽師地論)》. 대정신수대장경. T30, No. 1579. CBETA.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佛門網. 《佛學辭典(불학사전)》.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3판.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세친 조, 현장 한역 (T.1612). 《대승오온론(大乘五蘊論)》. 대정신수대장경. T31, No. 1612, CBETA.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세친 조, 현장 한역 (T.1558). 《아비달마구사론(阿毘達磨俱舍論)》. 대정신수대장경. T29, No. 1558, CBETA.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T.1585). 《성유식론(成唯識論)》. 대정신수대장경. T31, No. 1585, CBETA.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각주
[편집]- ↑ 세친 조, 현장 한역 & T.1558, 제4권. p. T29n1558_p0019b27 - T29n1558_p0019b28. 근(勤)
"勤謂令心勇悍為性。" -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 K.955, T.1558, 제4권. p. 168 / 1397. 근(勤)
"근(勤)이란 이를테면 마음으로 하여금 모질게 노력하게 하는 것[勇悍]을 본질로 한다.34)
34) 이미 생겨난 온갖 공덕은 수호하고 과실은 내버리며, 아직 생겨나지 않은 온갖 공덕 생겨나게 하고 과실은 생겨나지 않게 하는 것으로서, 마음의 타락됨이 없는 성질[無墮性]을 일컬어 근(勤)이라고 한다. 즉 이것이 존재하기 때문에 마음은 참다운 이치에 따라 지어지는 일로 견고히 나아가 멈추지 않는 것이다.(『현종론』 권제5, 한글대장경200, p. 134) 참고로 『순정리론』 권제11(대정장29, p. 391,중)과 『현종론』 권제5( 상동)에서는 열 가지 대선지법에 흔(欣)과 염(厭)을 포함시킬 것인가 하는 문제에 대해 논의하고 있는데, 대선지법에는 '흔'과 '염'도 사실상 포함되어야 할 것이지만, 이 두 가지는 상위되는 것이어서 한 찰나 마음에 구기할 수 없기 때문에 배제한다고 논의하고 있다. 여기서 '염'이란 유전의 생사를 염오(厭惡)하게 하는 의식 작용이며, '흔'은 환멸의 열반을 흔락(欣樂)하는 의식작용이다." - ↑ 세우 조, 현장 한역 & T.1542, 제3권. p. T26n1542_p0700c24 - T26n1542_p0700c28. 무참(無慚)
無慚云何。謂不慚不等慚不各別慚。不羞不等羞不各別羞。不厭不等厭不各別厭。不毀不等毀不各別毀。無尊無敬。無所自在。無自在轉。無所畏忌自在而行。是名無慚。" - ↑ 세우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 K.949, T.1542, 제3권. p. 49 / 448. 무참(無慚)
"무참(無慙)은 무엇인가? 자신에게 부끄러워하지 않고[不慙] 평등하게 자신에게 부끄러워하지 않고[不等慙] 각각 따로따로 자신에게 부끄러워하지 않으며[不各別慙], 부끄러워하지 않고[不差] 평등하게 부끄러워하지 않고 각각 따로따로 부끄러워하지 않으며, 싫어하지 않고[不厭] 평등하게 싫어하지 않고 각각 따로따로 싫어하지 않으며, 무너뜨리지 않고[不毁] 평등하게 무너뜨리지 않고 각각 따로따로 무너뜨리지 않으며, 높이 여김이 없고 공경함이 없고 자재함이 없으며, 자유로이 옮아감이 없고[無自在轉] 두려워하거나 꺼리는 것이 없고 제멋대로 행동하는 것을 이름하여 ‘무참’이라 한다." - ↑ 세우 조, 현장 한역 & T.1542, 제3권. p. T26n1542_p0700c28 - T26n1542_p0701a02. 무괴(無愧)
"無愧云何。謂不愧不等愧不各別愧。不恥不等恥不各別恥。不厭不等厭不各別厭。不毀不等毀不各別毀。不怖罪不懼罪於罪不見怖。是名無愧。" - ↑ 세우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 K.949, T.1542, 제3권. p. 50 / 448. 무괴(無愧)
"무괴(無愧)는 무엇인가? 남에게 부끄러워하지 않고[不愧] 평등하게 남에게 부끄러워하지 않고[不等愧] 각각 따로따로 남에게 부끄러워하지 않으며[不各別愧], 부끄러워하지 않고[不恥] 평등하게 부끄러워하지 않고 각각 따로따로 부끄러워하지 않으며, 싫어하지 않고[不厭] 평등하게 싫어하지 않고 각각 따로따로 싫어하지 않으며, 무너뜨리지 않고[不毁] 평등하게 무너뜨리지 않고 각각 따로따로 무너뜨리지 않으며, 죄를 두려워하지 않고 죄를 무서워하지 않고 죄에 대하여 두렵게 보지 않는 것을 이름하여 ‘무괴’라 한다." - ↑ 운허, "遍知(변지)". 2013년 2월 17일에 확인
"遍知(변지): 4제(諦)의 경계에 대하여 두루 아는 뜻. 2종이 있다. (1) 4제의 이치를 두루 다 아는 무루지(無漏智), 이를 지변지(智遍知). (2) 무루지에 의하여 번뇌를 끊는 것. 이를 단변지(斷遍知). 보통으로 말하는 변지는 둘째 것을 가리키며, 9종이 있으므로 9변지라 함. ⇒구변지(九遍地)" - ↑ 星雲, "遍知". 2013년 2월 17일에 확인
"遍知: 梵語 parijñā。又作徧知。完全盡知之謂。原意係指周遍了知四諦道理之無漏智;吾人如能透徹了解周圍之一切現象,則可得無漏智。後稱如是周遍了知之智為「智遍知」,另又別立一「斷遍知」,謂斷遍知係以智遍知為因而斷除煩惱,以擇滅為體。此乃遍知之果,係藉其因為名,故稱為遍知。亦即以周遍了知之智來斷除煩惱之過程,稱之為遍知,通常特稱為「遍知所緣斷」,意謂執著於所緣之境,原本是人之常情,然若能徹底解脫此種執著,即是遍知之真義,故阿含經亦說「遍知即貪、瞋、癡之滅」,且所謂「遍知」一語,最初即含有實踐之意。 俱舍論卷二十一於斷遍知立「九遍知」,即依見(現證)四諦中之苦與集、滅、道三者,各別所斷之三類煩惱,分為欲界繫與上二界繫(即色界繫、無色界繫)兩種,於此六類見道所斷煩惱之斷,立「六遍知」,同時於欲界、色界、無色界三界繫之修道所斷的煩惱之斷,立「三遍知」,合之為九遍知。〔品類足論卷六、阿毘達磨發智論卷四、大毘婆沙論卷三十四、卷一八六、俱舍論光記卷二十一〕(參閱「九遍知」152)p5616 " - ↑ 가 나 안혜 조, 지바하라 한역 & T.1613, p. T31n1613_p0852a23 - T31n1613_p0852a27. 무탐선근(無貪善根)
"云何無貪。謂貪對治。令深厭患。無著為性。謂於諸有。及有資具。染著為貪。彼之對治。說為無貪。此即於有。及有資具。無染著義。遍知生死諸過失故。名為厭患。惡行不起。所依為業。" 인용 오류: 잘못된<ref>
태그; "FOOTNOTE안혜 조, 지바하라 한역T.1613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31n1613_p0852a23 T31n1613_p0852a23 - T31n1613_p0852a27]. 무탐선근(無貪善根)"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 ↑ 가 나 안혜 지음, 지바하라 한역, 조환기 번역 & K.619, T.1613, pp. 7-8 / 24. 무탐선근(無貪善根)
"무엇을 탐욕 없음[無貪]이라고 하는가?
탐욕을 다스려서 깊이 싫어하고 근심 걱정하게 하여 집착이 없음을 성질로 삼는다. 모든 유(有) 및 유자구(有資具)4) 대해서 오염된 집착을 탐욕이라고 한다. 그것을 다스리는 것을 탐욕 없음이라고 한다. 모든 유(有) 및 유자구에 대해서 오염되고 집착됨이 없다는 뜻이다. 생과 사의 모든 잘못을 두루 알기 때문에 싫어하고 근심 걱정하는 것이라고 이름한다. 악행이 일어나지 않는 것이 나타나는 행동양식이다.
4) 유(有)는 3유(有), 즉 삼계를 말하고, 유자구(有資具)는 삼계에서 생(生)을 받는 원인(因)을 말한다." 인용 오류: 잘못된<ref>
태그; "FOOTNOTE안혜 지음, 지바하라 한역, 조환기 번역K.619, T.1613p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1372startNum7 7-8 / 24]. 무탐선근(無貪善根)"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 ↑ 안혜 조, 지바하라 한역 & T.1613, p. T31n1613_p0852a17 - T31n1613_p0852a19. 참(慚)
"云何慚。謂自增上。及法增上。於所作罪。羞恥為性。罪謂過失。智者所厭患故。羞恥者。謂不作眾罪。防息惡行。所依為業。" - ↑ 안혜 지음, 지바하라 한역, 조환기 번역 & K.619, T.1613, p. 7 / 24. 참(慚)
"무엇을 부끄러워함[慚]이라고 하는가?
스스로의 뛰어남과 진리의 가르침인 법(法)의 뛰어남에 의해 지은 죄에 대해서 수치스럽게 여기는 마음을 성질로 한다. 죄는 잘못을 말한다. 지혜로운 사람이 싫어하고 걱정하기 때문이다. 수치(羞恥)란 갖가지 죄를 짓지 않는 것을 말한다. 악행을 못하게 함이 나타나는 행동양식이다." - ↑ 무착 조, 현장 한역 & T.1605, 제4권. p. T31n1605_p0676b28 - T31n1605_p0676c03. 결(結)
"結有幾種。云何結。何處結耶。結有九種。謂愛結恚結慢結無明結見結取結疑結嫉結慳結。愛結者。謂三界貪愛結所繫故不厭三界。由不厭故廣行不善不行諸善。由此能招未來世苦。與苦相應。" - ↑ 무착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 K.572, T.1605, 제4권. p. 75 / 159. 결(結)
"결(結)에는 몇 종류가 있습니까? 또 무엇이 결이고, 어느 처에 결이 있습니까?
결에는 아홉 종류가 있으니, 애결(愛結)ㆍ에결(恚結)ㆍ만결(慢結)ㆍ무명결(無明結)ㆍ견결(見結)ㆍ취결(取結)ㆍ의결(疑結)ㆍ질결(嫉結)ㆍ간결(慳結)이다.
애결이란 3계의 탐결에 계류받기 때문에 삼계를 싫어하여 떠나지 못하는 것을 가리킨다. 싫어하여 떠나지 못하는 까닭에 불선법을 널리 행해서 갖가지 선법을 행하지 못한다. 이로 인해서 미래세의 고를 초래해서 고와 상응하게 되는 것이다." - ↑ 가 나 안혜 조, 현장 한역 & T.1606, 제6권. p. T31n1606_p0723b06 - T31n1606_p0723b15. 결(結)
"問結有幾種。云何結。何處結耶。答結有九種。謂愛結恚結慢結無明結見結取結疑結嫉結慳結。愛結者。謂三界貪愛。結所繫故不厭三界由不厭故廣行不善不行諸善由此能招未來世苦與苦相應。當知此中宣說諸結若相若用若位辯結差別。且如愛結何等是結。謂三界貪是結自性。云何為結。謂有此者不厭三界。由此展轉不善現行善不現行。於何位結。謂於後世苦果生位。如是恚結等並如理應知。" 인용 오류: 잘못된<ref>
태그; "FOOTNOTE안혜 조, 현장 한역T.1606제6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31n1606_p0723b06 T31n1606_p0723b06 - T31n1606_p0723b15]. 결(結)"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 ↑ 가 나 안혜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 K.576, T.1605, 제6권. pp. 149-150 / 388. 결(結)
"‘결’에는 몇 종류가 있습니까? 또 무엇이 결이고, 어느 처에 결이 있습니까?
결에는 아홉 종류가 있으니, 애결(愛結)ㆍ에결(恚結)ㆍ만결(慢結)ㆍ무명결(無明結)ㆍ견결(見結)ㆍ취결(取結)ㆍ의결(疑結)ㆍ질결(嫉結)ㆍ간결(慳結)이다.
‘애결’이란 삼계의 탐을 말하는 것이니, 그 결에 얽매이기 때문에 삼계를 싫어하여 여의지 못하는 것을 가리킨다. 그 싫어하여 여의지 못하는 까닭에 불선법을 널리 행하여 갖가지 선법을 행하지 못한다. 이로 인해서 미래세의 고를 초래해서 고와 상응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자세히 설명한 여러 가지 ‘결’은 그 모양이나 쓰임새나 위치에서나 그 ‘결’을 논하는 차별이 있음을 숙지해야 한다.
애결(愛結)과 같은 것이라면 도대체 어떠한 것이 ‘결’입니까?
삼계의 결이 바로 자체적인 성품이다.
‘결’이란 무엇입니까?
이러한 것이 있기에 삼계를 싫어하여 여의지 못하는 것을 말한다. 이같이 전전하는 것에 연유해서 불선법이 현행하게 되고 선법이 현행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어떠한 지위에서 매이게 됩니까?
후세에서 고의 과보가 행해지는 지위이다. 이처럼 에결 따위도 역시 그 이치에 따라 숙지해야 한다." 인용 오류: 잘못된<ref>
태그; "FOOTNOTE안혜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K.576, T.1605제6권. p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1365startNum149 149-150 / 388]. 결(結)"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 ↑ 佛門網, "三界貪". 2013년 5월 10일에 확인
"三界貪:
出處: 佛教漢梵大辭典, 平川彰 Buddhist Chinese-Sanskrit Dictionary, Akira Hirakawa
解釋: traidhātuko rāgaḥ, kāma-rūpārūpya-rāga
頁數: p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