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맥관
동맥관 | |
---|---|
정보 | |
발생기 구조 | 여섯째 대동맥활 |
기관계 | 태아 순환 |
기원 | 폐동맥 |
가지 | 내림대동맥 |
정맥 | 정맥관 |
식별자 | |
라틴어 | Ductus arteriosus |
MeSH | D004373 |
TA2 | 4093 |
TE | E5.11.2.1.2.0.17 |
FMA | 79871 |
동맥관(ductus arteriosus, 動脈管)은 태아의 폐동맥과 몸쪽 내림대동맥을 잇는 혈관이다. 우심실의 혈류가 태아의 미발달된 폐에 들어가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한다. 출생 직후 닫혀 동맥관인대가 된다.
발달 및 구조
[편집]동맥관은 배 발생 중 여섯째 대동맥활에서 형성되며[1] 대동맥활의 마지막 부분과 폐동맥의 첫번째 부분에 부착한다.[2]
관련 질환: 동맥관 개존증
[편집]프로스타글란딘의 역할
[편집]프로스타글란딘(PG) 중에서 PGE 종류가 혈관 평활근을 이완시켜 동맥관을 열린 채로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3] 태반이나 동맥관 그 자체에서 생산되는 프로스타글란딘 E2(PGE2)가 이 역할의 대부분을 수행하지만, PGE1도 동맥관을 열린 채로 만드는 데 기여한다.[4] PGE1과 PGE2는 프로스타글란딘 EP4 수용체, 프로스타글란딘 EP2 수용체와 같은 특정 PGE에 민감한 수용체에 작용하여 동맥관을 열린 채로 유지한다.[5] EP4는 PGE2에 의해 유도되는 동맥관의 확장에 관여하는 주요 수용체이며, 동맥관의 평활근 세포에서 발견된다.[6]
출생 직후 PGE2와 EP4 수용체의 농도가 모두 크게 떨어지고, 따라서 동맥관은 닫히고 출생 이후 순환계가 발달한다.[6]
비스테로이드 항염증제의 역할
[편집]프로스타글란딘 생산을 막는 비스테로이드 항염증제(NSAIDs) 투여로 인해 동맥관 폐쇄가 유도될 수 있다. 인도메타신이 가장 흔하게 사용되며, 생후 1주쯤에 투여된다.[4] 그러나 폐 관류에 선천적인 결함(폐동맥 협착증, 동맥관을 통한 좌우 지름길 등)이 있다면 프로스타글란딘 치료를 통해 동맥관을 열린 채로 유지하여, 산소화 상태를 개선할 수 있다. 이 치료 방식은 동맥관 기형에서는 효과가 없다. 동맥관이 유지되는 것은 또 다른 기형과 연관되어 있을 수 있으며, 여성에서 더 흔하다. PGE2 생산을 억제하면 EP4 수용체 활성이 감소하여 정상적인 순환이 시작될 수도 있다. 임신 말기에 투여된 NSAIDs가 태반을 넘어 태아에게 전달되면 동맥관이 지나치게 일찍 닫힐 수 있다.[7] 이 경우 외부에서 PDE2를 투여하여 NSAIDs의 효과를 반전시키고, 남은 임신 기간 동안 태아의 동맥관을 열린 채로 유지할 수 있다.[4]
부작용
[편집]출생 후 동맥관이 닫히지 않으면 동맥관 개존증이라는 질환을 일으킨다. 동맥관 개존증에서는 대동맥에서 폐동맥으로 비정상적인 혈액 흐름(좌우 지름길)이 발생한다. 교정하지 않고 그대로 두면 일반적으로 폐고혈압에 이어 우심실부전, 심장의 부정맥을 유발할 수 있다.
발생
[편집]동맥관 개존증은 다운 증후군을 가진 영아의 4%에 발생한다. 성장장애는 이 질환의 매우 흔한 소견이다.[8]
다른 동물들에서
[편집]폐어류의 조상들에서 동맥관은 폐동맥과 등쪽대동맥을 연결하였으며 폐와 함께 진화했다. 배 발생 기간 동안 파충류, 조류, 포유류는 모두 폐로부터 혈액을 우회시키기 위한 한두 쌍의 동맥관을 가지고 있다.[9]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Bamforth, Simon D.; Chaudhry, Bill; Bennett, Michael; Wilson, Robert; Mohun, Timothy J.; Van Mierop, Lodewyk H.S.; Henderson, Deborah J.; Anderson, Robert H. (2013년 3월 1일). “Clarification of the identity of the mammalian fifth pharyngeal arch artery” (PDF). 《Clinical Anatomy》 (영어) 26 (2): 173–182. doi:10.1002/ca.22101. ISSN 1098-2353. PMID 22623372.
- ↑ Monvadi B. Srichai (2007). David P. Naidich, 편집. 《Computed tomography and magnetic resonance of the thorax》 4판. Philadelphia: Wolters Kluwer/Lippincott Williams & Wilkins. 100쪽. ISBN 9780781757652.
- ↑ Lucas, A.; Mitchell, M. D. (1978년 10월 28일). “PROSTAGLANDINS IN PATENT DUCTUS ARTERIOSUS”. 《The Lancet》. Originally published as Volume 2, Issue 8096 (영어) 312 (8096): 937–938. doi:10.1016/S0140-6736(78)91648-3. ISSN 0140-6736.
- ↑ 가 나 다 Olley, P.M.; Conceani F. (1981). “Prostaglandins and the Ductus Arteriosus”. 《Annual Review of Medicine》 32 (1): 375–385. doi:10.1146/annurev.me.32.020181.002111. PMID 7013675.
- ↑ Bouayad A, Kajino H, Waleh N, Fouron JC, Andelfinger G, Varma DR, Skoll A, Vazquez A, Gobeil F, Clyman RI, Chemtob S (2001). “Characterization of PGE2 receptors in fetal and newborn lamb ductus arteriosus”. 《Am. J. Physiol. Heart Circ. Physiol.》 280 (5): H2342–9. doi:10.1152/ajpheart.2001.280.5.H2342. PMID 11299240.
- ↑ 가 나 Gruzdeva, A; Nguyena, M.; Kovarovob, M.; Koller, B (March 2012). “PGE2 through the EP4 receptor controls smooth muscle gene expression patterns in the ductus arteriosus critical for remodeling at birth.”. 《Prostaglandins and Other Lipid Mediators》 94 (3): 109–119. doi:10.1016/j.prostaglandins.2012.02.001. PMC 3312001. PMID 22342504.
- ↑ Anonucci, R; Zaffanello, M.; Puxeddu, E.; Porcella, A.; Cuzzolin, L.; Pilloni, M.; Fanos, V. (2012). “Use of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in pregnancy:impact on the fetus and newborn”. 《Current Drug Metabolism》 13 (4): 474–490. doi:10.2174/138920012800166607. PMID 22299823.
- ↑ Pritchard & Korf. "Medical Genetics at a Glance". Blackwell Publishing. 2010. p63.
- ↑ Dzialowski, Edward M. (2018). “Comparative physiology of the ductus arteriosus among vertebrates”. 《Seminars in Perinatology》 42 (4): 203–211. doi:10.1053/j.semperi.2018.05.002. ISSN 1558-075X. PMID 29937096.
외부 링크
[편집]- berkeley.edu 출생 시 순환기 변화[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