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본문으로 이동

기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기윤(중국어: 紀昀, 1724년1805년)은 청나라의 문인으로 자는 효람(曉嵐), 호는 춘범(春帆)이다.

생애

[편집]

기윤은 『사고전서(四庫全書)』를 책임 편집한 사람으로 잘 알려져 있다. 건륭 33년(1768) 사돈 노견증(盧見曾)을 비호하다 삭탈관직당하고 우루무치(烏魯木齊)로 유배되었다. 북경에서 우루무치로 유배된 기윤은 마음이 편치 않았고, 이때부터 세상만사가 모두 정해져 있다는 운명론을 믿게 되었다.

기윤은 만년에 산수 전원으로 돌아가 생활하기보다는 오히려 조정에 남아서 편찬활동을 계속했다. 그는 우루무치에서의 생활을 오히려 전화위복의 기회로 삼았고, 다시 조정에 돌아왔을 때는 개가한 아녀자의 기분이었으며, 또한 자신의 신세가 책 사이에 낀 좀벌레 같다고 느꼈다. 그러나 그는 그대로 주저앉아 있을 수 없었다. 그의 폭넓은 지식이 그를 그대로 놔두지 않았고, 또한 요절한 아들과 같은 젊은이들을 위해 무엇인가를 해야 한다는 사명감을 느꼈다. 그래서 그는 황제의 뜻에 따라 ≪사고전서≫를 편찬했고, 자신의 해박한 지식과 폭넓은 경험을 바탕으로 ≪열미초당필기≫를 지어 사회의 비리를 고발하며, 나이 든 문인이자 학자로서 한 순간의 열정이나 사랑보다는 인생을 살아가면서 지켜야 할 도리를 설명했던 것이다.

루쉰은 기윤을 일컬어 “후인들 가운데 어느 누구도 그의 자리를 꿰찰 수 없었다”고 호평했다.

열미초당필기

[편집]

≪열미초당필기(閱微草堂筆記)≫는 기윤이 만년에 보고 들었던 것을 회상하여 쓴 필기체 소설로, 오늘날 그를 문인으로 남게 한 작품이다. 모두 1244가지의 이야기가 실려 있는데 그 가운데서도 여우와 귀신 이야기가 반수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기윤은 여우와 귀신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밝히면서 이들의 몸을 빌려 관리 세계의 부정부패와 뇌물수수, 재물 앞에서 벌벌 떠는 인간의 악착스러움, 봉건 예교 아래에서 희생되어 가는 노비와 아녀자, 다른 사람을 죽여 자신의 배를 채우거나 가난에 쪼들려 자식과 아내를 파는 백성들의 참혹한 삶, 겉으로는 지식인인 척하면서 뒤로는 과부의 재산을 가로채려고 모의를 꾸미는 유학자들, 사람이 죽어나가는 판에 탁상공론만 하는 지식인들의 위선을 폭로하고 있다.

≪열미초당필기≫는 매 권이 탈고될 때마다 많은 문인들과 서점 상인에 의해 초록되어 전해졌고, 표절작까지 출현할 정도로 인기가 많았다. 베이징(北京) 대학교 초대 총장인 차이위안페이(蔡元培)는 ≪열미초당필기≫를 ≪홍루몽(紅樓夢)≫·≪요재지이(聊齋志異)≫와 함께 청대(淸代) 3대 유행 소설로 손꼽았다. 그러나 1950∼1960년대에 와서 ≪열미초당필기≫는 각종 문학사와 소설사에서 봉건윤리를 선양하는 반동소설로 낙인찍히기 시작했고, 심지어는≪요재지이≫와 함께 이야기할 만한 좋은 작품이 아니라 오히려 계급 대립 작품으로까지 인식되었다. 그러다가 1980년대 후반부터 ≪열미초당필기≫에 대한 재평가가 시작되었고, 그에 대한 붐이 일기 시작했다.

그는 자신의 부형, 조카, 친구, 스승, 동료, 부하뿐만 아니라 하인, 하녀, 심지어는 날품팔이꾼 등에게서도 이야기의 소재를 제공받았고, 특히 하층민들의 사상과 감정, 욕망과 이상을 여과 없이 전달하려고 애를 썼다. 그리하여 기윤은 이야기를 풀어나가면서 이야기의 기록자인 자신과 이야기의 화자, 그리고 이야기 주인공의 시각을 착종시킴으로써 새로운 심미 세계를 창조해 내었고, 심리 묘사보다는 외부 묘사에 중점을 두어 송명(宋明)의 이학(理學)에 빠져 있는 강학가(講學家)들의 허위에 찬 행동과 속셈을 교묘하게 그려냄으로써 스스로의 가치를 높였다.

  • 이민숙 역, 2009년, 지만지, ISBN 978-89-6228-32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