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8199B1 - Roasting - Google Patents
Roastin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20008199B1 KR920008199B1 KR1019890014784A KR890014784A KR920008199B1 KR 920008199 B1 KR920008199 B1 KR 920008199B1 KR 1019890014784 A KR1019890014784 A KR 1019890014784A KR 890014784 A KR890014784 A KR 890014784A KR 920008199 B1 KR920008199 B1 KR 92000819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moke
- heat source
- burner
- combustion
- valv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5/00—Stoves or ranges for liquid fuels
- F24C5/1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를 예시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위 측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제3도는 위 부분 정단면도.3 is a front partial cross-sectional view.
제4도는 위 제어회로도.4 is a control circuit diagram above.
제5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시 제어회로도.5 is a control circuit diagra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6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시 제어회로도.6 is a control circuit diagram of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7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시 측단면도.7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8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시 측단면도.8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9도는 본 발명의 제6도 실시예시 제어회로도이다.9 is a control circuit diagram of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0도는 본 발명의 제7도 실시예시 제어회로도이다.10 is a control circuit diagram of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2 : 소성고 3 : 상화버너(조리용 상부열원)2: baking oven 3: burning burner (upper heat source for cooking)
4 : 하화버너(조리용 하부열원) 5 : 연기배출통로4: hwahwa burner (low heat source for cooking) 5: smoke exhaust passage
6 : 연기연소용 버너(연기연소용의 열원)6: burner for smoke combustion (heat source for smoke combustion)
61: 연기연소용 버너(연기연소용 열원)6 1 : Smoke burner (heat source for smoke burn)
62: 연기연소용 버너(연기연소용의 열원)6 2 : Burner for smoke combustion (heat source for smoke combustion)
본 발명은 오븐, 생선구이기, 고기구이기 등의 구이기(燒成器)에 관한 것이다.TECHNICAL FIELD This invention relates to roasting, such as oven, grilling fish, and roasting meat.
종래의 구이기로서 구이실에 상부열원과 하부열원을 구비하여 피조리물을 상면과 하면등 양면에서 가열하는 것은 알려져 있다.As a conventional roaster, it is known that a baking chamber is provided with an upper heat source and a lower heat source to heat a cooked object on both upper and lower surfaces.
한편, 피조리물을 구울때 발생한 연기를 구이기에서 외부로 방출하기 전에 연기연소용 열원에서 태워 소멸시키고자 하는 것도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실공소 47-783호 참조).On the other hand, it is also known to burn and extinguish the smoke generated when baking a cooked item in a heat source for smoke combustion before releasing it from the roaster to the outside (for example, see Japanese Laid-Open Laboratory No. 47-783).
상부열원 및 하부열원을 가진 구이기에도 연기연소용 열원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 구이기는 상, 하 열원을 동시에 구동시켜서 사용하는 경우나, 상부열원만, 혹은 하부열원만을 구동시켜서 사용하는 경우등 사용방법이 상이하며, 단순히 연기연소용 열원을 형성된 것만으로는 불합리하며, 사용 상태와 따라서 연기가 발생하는 양이 상이함으로, 효과적으로 연기를 굽지 못하거나 혹은 연기연소용의 열원의 에너지를 낭비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Although it is preferable to have a heat source for smoke combustion even for a roaster having an upper heat source and a lower heat source, the roaster may be used by driving an upper and a lower heat source at the same time, or by using only an upper heat source or a lower heat source. The method of use is different, it is unreasonable to simply form a heat source for smoke combustion, and because the amount of smoke generated is different from the state of use, it is not effective to burn smoke or to waste energy of the heat source for smoke combustion. Problem occurs.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등을 해소코자 하는 것으로, 구이실에 독립하여 작동 가능한 조리용 상부열원과 하부열원등을 구비함과 동시에, 구울때에 피조리물에서 생기는 연기를 외부로 방출하는 연기배출통로에 화력을 절환이 임의롭게 연기연소용 열원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으로,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구성으로 인하여 상부열원과 하부열원의 양방을 작동시켜서 사용할때는 피조리물에서 생기는 연기가 비교적 많아짐으로 연기연소용의 열원을 높여서 연기를 태워 줄인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ncluding the upper heat source and the lower heat source for cooking that can be operated independently in the roasting chamber, and at the same time, the smoke discharge passage for releasing the smoke generated in the cooking to the outside during baking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t source for the smoke combustion is arbitrarily switched to the fire power, so the present invention is relatively smoke due to the relatively high amount of smoke generated in the workpiece when used to operate both the upper heat source and the lower heat source. Increase the heat source for smoke combustion to reduce smoke.
그리고, 상부열원 또는 하부열원을 단독 작동시켜서, 사용할때는 상,하부 양열원의 작동으로 구울때 피조리물에서 생기는 연기가 비교적 적음으로 연기연소용 열원을 낮추어서 연기를 태워 줄이고, 혹은 단독작동도 하부열원의 작동시는 상부열원에 비하여 다량의 연기가 나옴으로 연기연소용의 열원을 높여서 연기를 태워 줄인다.In addition, when using the upper heat source or the lower heat source alone, when using the upper and lower heat sources, the smoke generated from the cooked materials is relatively low, so that the smoke is burned by lowering the heat source for burning the smoke, or the sole operation is also lower. When the heat source is operated, a large amount of smoke is generated compared to the upper heat source, thereby increasing the heat source for the combustion of smoke, thereby reducing smoke.
다음에 본 발명을 구이기가 달린 가스곤로에 적용한 경우의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Next, an example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gas stove with a roast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면에서 1은 가스곤로본체, 2는 이에 설치한 구이실, 3은 이 구이실(2)내의 피조리물 X을 그 상면에서 굽는 조리용 상부열원인 상화버너, 4는 이 피조리물 X을 그 하면에서 굽는 조리용 하부열원인 하화버너, 5는 이 구이실(2)에 이어진 연기배출 통로를 표시하며, 이 상화버너(3)는 표면연소식 가스버너로 구성하고, 이 하화버너(4)는 분젠식 가스버너로 구성하였다.In the drawing, 1 is a gas cooker main body, 2 is a roasting chamber installed therein, 3 is a burner burner which is an upper heat source for cooking baking the cooked material X in the
본 발명은 위 구성을 갖는 구이기로서, 상기 연기배출 통로(5)에 약한 불과, 강한 불등으로 화력을 절환이 임의로운 연기연소용 열원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이를 제1도 내지 제4도에 표시한 실시예를 따라 상술하면, 이 연기연소용 열원을 표면 연소식 가스버너로 된 연기연소용버너(61)와 연기연소용 버너(62)등으로 구성하고, 상기 상화버너(3)에 이어진 가스공급로(7)와 이 하화버너(4)에 이어진 가스공급로(8)등으로, 각각 개폐밸브(9)와 개폐밸브(10)등을 설치하며, 이 연기연소용버너(61)에 이어진 가스공급로(11)와 이 연기연소용 버너(62)에 이어진 가스공급로(12)등으로 각각 개폐밸브(9)등의 개폐에 연동하여 개폐하는 개폐밸브(13)에 개폐밸브(10)의 개폐에 연동하여 개폐하는 개폐밸브(14)를 설치하고, 개폐밸브(9)가 열리면 개폐밸브(13)가 열려서 상화버너(3)가 연소하는 상화가 가열함과 동시에, 연기연소용 열원은 연기연소용버너(61)가 연소하는 약한 불꽃으로 약 연소가 되고, 또 일측 개폐밸브(10)가 열리면 개폐밸브(14)가 열려서 하화버너(4)가 연소하는 하화가열이 됨과 동시에, 연기 연소용의 열원은 연기연소용버너(62)가 연소하는 약한 불꽃으로 약 연소가 되고, 그리고 양 개폐밸브(9)(10)가 열리면 양 개폐밸브(13)(14)가 열려서 상,하양버너(3)(4)가 연소하는 상,하 양면가열이 됨과 동시에, 연기연소용 열원은 양 연기연소용 버너(61),(62)가 연소하는 높은 불꽃인 강연소가 되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roaster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moke discharge passage (5) is a weak, strong heat, and the heat source for the smoke combustion can be switched arbitraril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1 to 4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detail, the smoke combustion heat source comprises a smoke combustion burner 6 1 made of a surface combustion gas burner, a smoke combustion burner 6 2 , and the like, and the
이때는 상,하 양버너(3),(4)의 연소시는 다량의 연기가 피조리물 X에서 발생함으로, 연기 연소용 열원을 양 연소용 버너(61),(62)를 연소시키는 강한 불로 연기를 태워 감소시킬 수가 있고, 또 상화버너(3)만의 연소식 혹은 하화버너(4)만의 연소시는 구이실(2)내의 피조리물 X에서 많은 연기가 발생하지 않음으로 연기연소용 열원을 연기연소용 버너(61) 혹은 연기연소용 버너(62)를 연소시키는 약한 불로 연기를 태워서 줄일 수가 있다.At this time, when the upper and lower both
또 하부열원으로서의 하화버너(4)만을 연소시킬 때에도 상화버너(3)에 비하여 많은 연기가 나오는 경우도 있으므로, 제5도와 같이 연기연소용버너(62)의 가스공급로 (12)의 개폐밸브(14)에 바이파스 공급로(15)를 형성하여, 이 바이패스 공급로(15)에 임의로 개폐할 수 있는 개폐밸브(16)를 형성하면 된다.Also, when only the burning
따라서 하화버너(4)만을 연소할때에도 연기가 다량으로 나올때에는 개폐밸브 (16)를 열면, 개폐밸브(14)만을 열었을때에 비하여 가스량을 증가하고 높은 화력이 된다.Therefore, when only the
제6도는 기타 실시예로서, 이 실시예에서는, 하화버너(4)만을 연소할때도 연기연소용버너(61)(62)를 연소시켜서 강한 불로 하는 것으로, 개폐밸브(13)에 바이파스 공급로(17)를 나란히 설치, 거기에 하화버너(4)의 개폐밸브(10)와 연동하여 개폐 또는 임의로 개폐하는 개폐밸브(18)를 형성한 것이다.6 is another embodiment. In this embodiment, even when only the
제7도는 본 발명을 구이기가 달린 가스곤로에 적용한 경우의 기타 실시를 예시한 것으로, 연기배출통로(5)에 연기연소용 버너(61)와 연기연소용 버너(62)를 마주하지 않도록 한 점을 제외하면 상기한 제1도 내지 제6도의 실시예와 특별히 상이한 것이 없다.FIG. 7 illustrates another embodiment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gas stove with a roaster, so that the
제8도는 본 발명을 구이기가 달린 가스곤로에 적용한 경우의 또 다른 실시예를 표시한 것으로 연기연소용 버너(62)를 연기배출통로(5)의 연기구이용 버너(61)를 형성한 면과 동일면의 하류측에 설치한 점을 제외하면 상기 제1도 내지 제6도의 실시예와 특히 상히한 것은 없다.FIG. 8 shows another embodiment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gas stove with a roaster, in which a smoke burner 6 2 is provided with a smoke burner 6 1 of the
제9도 및 제10도는 다시 또다른 실시예를 표시한 것으로, 이들 예에서는 연기연소용 버너(61), (62)(63)의 가스 공급로의 각각에 임의로 개폐할 수 있는 개폐밸브를 설치하여 연기 연소용 버너(61), (62)(6)를 각각 독립하여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9 and 10 again show another embodiment, in which the open and close can be arbitrarily opened and closed in each of the gas supply passages of the burner 6 1 , 6 2 , 6 3 for smoke combustion. By installing a valve, it is possible to independently control the burner 6 1 , 6 2 , 6 for smoke combustion.
상기 모든 실시예에서는 상화버너(3)와 연기연소용 버너(61) 및 하화버너(4)의 연기연소용 버너(62)를 각각 별개체의 버너로 구성하였으나, 일체의 버너보디로 하고 내부를 갈라 각각으로 혼합관을 구비하도록 해도 된다.In all the above embodiments, the
또 상기한 모든 실시예에서는 열원으로서 버너을 사용하였으나, 전기 히터를 사용해도 부방하다.In all the above embodiments, although a burner is used as the heat source, an electric heater may be used.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각각 독립하여 작동 가능한 조리용 상부열원과 하부열원을 구비하여, 조리에 따라서 상부열원만, 또는 상,하 양열원으로 사용할 수가 있어서 여러가지 사용상태로 될 수 있고, 또 피조리물의 종류도 여러가지 있고, 연기의 발생상태도 서로 상이하나 연기 발생상태에 따라 연기연소용 열원의 화력의 절환을 임의롭게 할 수 있어서 연기를 효과적으로 태울 수 있음과 동시에, 연기연소용 열원이 지나치게 강하여 낭비하는 에너지 소모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heat source and a lower heat source for cooking, which can be operated independently, so that the upper heat source or the upper and lower heat sources can be used depending on cooking, and thus can be used in various ways. There are various kinds of water, and the state of smoke generation is different, but depending on the state of smoke generation, it is possible to arbitrarily switch the heat power of the heat source for the combustion of smoke, so that the smoke can be burned effectively and the heat source for the smoke combustion is too strong and wasted. It also has the effect of reducing energy consumption.
Claims (1)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63305913A JPH0723776B2 (en) | 1988-12-05 | 1988-12-05 | Firing device |
JP?63-305913 | 1988-12-05 | ||
JP305913 | 1988-12-05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10008339A KR910008339A (en) | 1991-05-31 |
KR920008199B1 true KR920008199B1 (en) | 1992-09-25 |
Family
ID=17950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890014784A Expired KR920008199B1 (en) | 1988-12-05 | 1989-10-14 | Roasting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JP (1) | JPH0723776B2 (en) |
KR (1) | KR920008199B1 (en)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2201124A (en) * | 1986-02-27 | 1987-09-04 | 渡辺 清一 | Deodorizing apparatus of fish roaster |
-
1988
- 1988-12-05 JP JP63305913A patent/JPH0723776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89
- 1989-10-14 KR KR1019890014784A patent/KR920008199B1/en not_active Expir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H02154925A (en) | 1990-06-14 |
JPH0723776B2 (en) | 1995-03-15 |
KR910008339A (en) | 1991-05-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920001694B1 (en) | Roasting | |
US3423568A (en) | Electric and gas self-cleaning oven | |
US3499430A (en) | High temperature oven structure | |
US5045671A (en) | Oven using halogen lamps | |
KR920008199B1 (en) | Roasting | |
KR920008200B1 (en) | Roasting | |
JPH02157531A (en) | Roasting device | |
KR100397254B1 (en) | A front exhaust structure of gas oven range | |
JPH0517460B2 (en) | ||
JPH0451737Y2 (en) | ||
KR100395939B1 (en) | Interlocking Circuit for Cooling Fan and Solenoid Valve | |
KR910009503B1 (en) | Burning apparatus | |
JPS6335888B2 (en) | ||
KR20120032611A (en) | Upper burner struture of grill part of gas range | |
JPH02146431A (en) | Oven | |
JPS581699Y2 (en) | cooking oven | |
JPS581700Y2 (en) | cooking oven | |
KR0139302Y1 (en) | Heating apparatus for grill range | |
GB2319833A (en) | Gas cooking appliance | |
KR0121590Y1 (en) | Adjustable Grill Burner | |
JP2863406B2 (en) | Gas cookware | |
KR200390619Y1 (en) | Gas open top range/oven | |
KR200338123Y1 (en) | Gas range with a fan | |
KR0138760Y1 (en) | Gas grille device of microwave oven | |
KR101274725B1 (en) | A Gas Rang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9101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89101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203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PG1605 |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920829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2121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212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199212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199412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199608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199708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199712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199909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008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1082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2082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30820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3082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