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1494A - 수지 조성물, 접착 부재, 및 그 접착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수지 조성물, 접착 부재, 및 그 접착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131494A KR20220131494A KR1020220031541A KR20220031541A KR20220131494A KR 20220131494 A KR20220131494 A KR 20220131494A KR 1020220031541 A KR1020220031541 A KR 1020220031541A KR 20220031541 A KR20220031541 A KR 20220031541A KR 20220131494 A KR20220131494 A KR 2022013149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sin composition
- meth
- acrylate
- adhesive member
- display devi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4/00—Adhesive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adhesive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J183/00 - C09J183/16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5/00—Adhesive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75/04—Polyurethanes
- C09J175/14—Polyurethanes ha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7—Amine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36—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08K5/37—Thiol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2—Phosphorus bound to oxygen only
- C08K5/524—Esters of phosphorous acids, e.g. of H3PO3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Macromonomer-Based Addition Polymer (AREA)
Abstract
일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은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및 끓는점이 150℃ 이상인 포스파이트 화합물 및 끓는점이 150℃ 이상인 포스핀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산소 저해 방지제,를 포함하고, 산소 저해 방지제는 (메타)아크릴레이트 총량에 대하여 0.1wt% 이상 1wt% 미만으로 포함된다. 일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이 광 경화되어 형성된 일 실시예의 접착 부재는 고온에서 우수한 밀착력을 나타내어 플렉서블 표시 장치에 사용 시 우수한 신뢰성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지 조성물, 그 수지 조성물로 형성된 접착 부재, 및 그 접착 부재를 포함한 표시 장치에 대한 것이다.
텔레비전, 휴대 전화, 태블릿 컴퓨터, 내비게이션, 게임기 등과 같은 멀티 미디어 장치에 사용되는 다양한 표시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휴대가 용이하도록 하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휘어지는 플렉서블 표시 부재를 구비하여 폴딩, 벤딩 또는 롤링이 가능한 표시 장치에 대한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플렉서블한 표시 장치의 경우 사용되는 각 부재들은 폴딩이나 벤딩 동작에서 신뢰성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다양한 형상의 표시 장치에 적용되는 접착층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접착 수지는 다양한 형태의 표시 장치의 부재에 대하여 우수한 코팅성을 갖는 것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의 고온에서 높은 밀착력을 가질 수 있는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접착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신뢰성이 우수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및 끓는점이 150℃ 이상인 포스파이트 화합물 및 끓는점이 150℃ 이상인 포스핀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산소 저해 방지제; 를 포함하고, 상기 산소 저해 방지제는 (메타)아크릴레이트 총량에 대하여 0.1wt% 이상 1wt% 미만으로 포함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산소 저해 방지제는 트리페닐 포스파이트, 트리크레실 포스파이트, 트리에틸 포스파이트, 및 트리페닐 포스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지 조성물은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지 조성물은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함량이 (메타)아크릴레이트 총량에 대하여 80wt% 이상일 경우, 상기 수지 조성물은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산소 저해 방지제의 함량은 (메타)아크릴레이트 총량에 대하여 0.5wt% 미만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지 조성물은 티올 화합물 및 아민 화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는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 부재는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및 끓는점이 150℃ 이상인 포스파이트 화합물 및 끓는점이 150℃ 이상인 포스핀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산소 저해 방지제;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로부터 유래된 중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수지 조성물은 상기 산소 저해 방지제를 (메타)아크릴레이트 총량에 대하여 0.1wt% 이상 1wt% 미만으로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산소 저해 방지제는 트리페닐 포스파이트, 트리크레실 포스파이트, 트리에틸 포스파이트, 및 트리페닐 포스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지 조성물은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지 조성물은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함량이 (메타)아크릴레이트 총량에 대하여 80wt% 이상일 경우, 상기 수지 조성물은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된 윈도우; 및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윈도우 사이에 배치된 접착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 부재는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및 끓는점이 150℃ 이상인 포스파이트 화합물 및 끓는점이 150℃ 이상인 포스핀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산소 저해 방지제;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부터 유래된 중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수지 조성물은 상기 산소 저해 방지제를 (메타)아크릴레이트 총량에 대하여 0.1wt% 이상 1wt% 미만으로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접착 부재의 두께는 50μm 이상 200μm 이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된 입력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착 부재는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입력 감지부 사이 또는 상기 입력 감지부와 상기 윈도우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표시 패널은 표시 소자층 및 표시 소자층 상에 배치된 봉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입력 감지부는 상기 봉지층 상에 직접 배치되고, 상기 접착 부재는 상기 입력 감지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접착 부재는 상기 수지 조성물을 상기 윈도우의 일면 또는 상기 표시 패널의 일면 상에 직접 제공하고, 상기 제공된 수지 조성물을 자외선 경화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폴딩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폴딩 영역의 곡률 반경은 5mm 이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접착 부재와 상기 윈도우 사이에 배치된 광제어층, 및 상기 광제어층과 상기 윈도우 사이에 배치된 광학 접착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광학 접착층은 상기 수지 조성물로부터 유래된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은 중합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접착 부재는 고온에서 우수한 밀착력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는 우수한 신뢰성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폴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폴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일 실시예의 접착 부재를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b는 일 실시예의 접착 부재를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폴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폴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일 실시예의 접착 부재를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b는 일 실시예의 접착 부재를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또는 영역, 층, 부분 등)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 "연결된다", 또는 "결합된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배치/연결/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구성요소가 배치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본 출원에서 "직접 배치"된다는 것은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과 다른 부분 사이에 추가되는 층, 막, 영역, 판 등이 없는 것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직접 배치"된다는 것은 두 개의 층 또는 두 개의 부재들 사이에 접착 부재 등의 추가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배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 비율, 및 치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및/또는"은 연관된 구성들이 정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조합을 모두 포함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아래에", "하측에", "위에", "상측에" 등의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들의 연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용어들은 상대적인 개념으로, 도면에 표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된다. 본 명세서에서 "상에 배치되는" 것은 어느 하나의 부재의 상부뿐 아니라 하부에 배치되는 경우도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용어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서 정의된 용어와 같은 용어는 관련 기술의 맥락에서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이상적인 또는 지나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 한, 명시적으로 여기에서 정의된 것으로 해석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지 조성물, 접착 부재및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폴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DD)는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되는 장변들을 갖고, 제1 방향(DR1)과 교차하는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되는 단변들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것일 수 있다. 하지만,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표시 장치(DD)는 평면상에서 원형 및 다각형 등의 다양한 형상들을 갖는 것일 수 있다. 표시 장치(DD)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D)에서 이미지(IM)가 표시되는 표시면(DS)은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이 정의하는 면과 평행한 것일 수 있다. 표시면(DS)의 법선 방향, 즉 표시 장치(DD)의 두께 방향은 제3 방향(DR3)이 지시한다. 각 부재들의 전면(또는 상면)과 배면(또는 하면)은 제3 방향(DR3)에 의해 구분된다. 그러나, 제1 내지 제3 방향들(DR1, DR2, DR3)이 지시하는 방향은 상대적인 개념으로서 다른 방향으로 변환될 수 있다. 이하, 제1 내지 제3 방향들은 제1 내지 제3 방향들(DR1, DR2, DR3)이 각각 지시하는 방향으로 동일한 도면 부호를 참조한다.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DD)는 적어도 하나의 폴딩 영역(FA)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DD)는 폴딩 영역(FA) 및 복수 개의 비폴딩 영역들(NFA)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폴딩 영역(FA)은 비폴딩 영역들(NFA) 사이에 배치되며, 폴딩 영역(FA) 및 비폴딩 영역들(NFA)은 제1 방향(DR1)으로 이웃하여 배열될 수 있다.
폴딩 영역(FA)은 일방향인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되는 폴딩축(FX)을 기준으로 폴딩된 형태로 변형 가능한 부분일 수 있다. 폴딩 영역(FA)의 곡률 반경(RD)은 5mm 이하일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는 예시적으로, 하나의 폴딩 영역(FA)과 두 개의 비폴딩 영역들(NFA)이 도시되었으나, 폴딩 영역(FA) 및 비폴딩 영역들(NFA)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DD)는 2개보다 많은 복수 개의 비폴딩 영역들(NFA) 및 비폴딩 영역들(NFA) 사이에 배치된 복수 개의 폴딩 영역들(FA)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DD)에서 비폴딩 영역들(NFA)은 폴딩 영역(FA)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하지만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폴딩 영역(FA)이 비폴딩 영역들(NFA) 사이에 배치되되, 폴딩 영역(FA)을 기준으로 하여 마주하는 두 개의 비폴딩 영역들(NFA)의 면적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표시 장치(DD)의 표시면(DS)은 표시 영역(DA) 및 표시 영역(DA) 주변의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영역(DA)은 영상을 표시하고, 비표시 영역(NDA)은 영상을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영역(DA)을 둘러싸고, 표시 장치(DD)의 테두리를 정의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DD)는 폴딩되거나 언폴딩되는 접이식(폴더블) 표시 장치(DD)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딩 영역(FA)이 제2 방향(DR2)에 평행한 폴딩축(FX)을 기준으로 휘어져, 표시 장치(DD)가 폴딩될 수 있다. 폴딩축(FX)은 표시 장치(DD)의 단변에 평행한 단축으로 정의될 수 있다.
표시 장치(DD)의 폴딩 시, 비폴딩 영역들(NFA)은 서로 마주보고, 표시 장치(DD)는 표시면(DS)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인-폴딩(in-folding)될 수 있다. 하지만,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표시 장치(DD)는 표시면(DS)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아웃-폴딩(out-folding)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폴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폴딩 동작을 제외하면, 도 3에 도시된 표시 장치(DD-a)는 실질적으로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DD)와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이하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표시 장치(DD-a)에 대한 설명에서는 폴딩 동작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DD-a)는 폴딩 영역(FA-a) 및 복수 개의 비폴딩 영역들(NFA-a)을 포함할 수 있다. 폴딩 영역(FA-a)은 비폴딩 영역들(NFA-a) 사이에 배치되며, 폴딩 영역(FA-a) 및 비폴딩 영역들(NFA-a)은 제2 방향(DR2)으로 이웃하여 배열될 수 있다.
폴딩 영역(FA-a)이 제1 방향(DR1)에 평행한 폴딩축(FX-a)을 기준으로 휘어져, 표시 장치(DD-a)가 폴딩될 수 있다. 폴딩축(FX-a)은 표시 장치(DD-a)의 장변에 평행한 장축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DD)는 단축을 기준으로 폴딩되고, 이와 달리 도 3에 도시된 표시 장치(DD-a)는 장축을 기준으로 폴딩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표시 장치(DD-a)가 표시면(DS)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인-폴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표시 장치(DD-a)는 장축을 기준으로 폴딩되며 아웃-폴딩되는 것일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DD-b)는 벤딩 영역(BA1, BA2)과 비벤딩 영역(NBA)을 포함하고, 벤딩 영역(BA1, BA2)은 비벤딩 영역(NBA)의 일측으로부터 벤딩된 것일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DD-b)는 이미지(IM)가 전면으로 표시되는 비벤딩 영역(NBA), 이미지(IM)가 측면으로 표시되는 제1 벤딩 영역(BA1) 및 제2 벤딩 영역(BA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벤딩 영역(BA1) 및 제2 벤딩 영역(BA2)은 비벤딩 영역(NBA)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벤딩된 것일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비벤딩 영역(NBA)에서는 표시 장치(DD-b)의 전면인 제3 방향(DR3)으로 이미지(IM)를 제공하고, 제1 벤딩 영역(BA1)은 제5 방향(DR5)으로 제2 벤딩 영역(BA2)은 제4 방향(DR4)으로 이미지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제4 방향(DR4)과 제5 방향(DR5)은 제1 내지 제3 방향(DR1, DR2, DR3)과 교차하는 방향일 수 있다. 하지만, 제1 내지 제5 방향(DR1 내지 DR5)이 지시하는 방향은 상대적인 개념으로서 도면에 도시된 방향 관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DD-b)는 비벤딩 영역(NBA) 및 비벤딩 영역(NBA)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 벤딩 영역(BA1, BA2)을 포함하는 벤딩(bending) 표시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는 하나의 비벤딩 영역과 하나의 벤딩 영역을 포함하는 벤딩 표시 장치일 수 있다. 이때, 벤딩 영역은 비벤딩 영역의 일측에서만 벤딩되어 제공되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한 도 1 내지 도 5에서는 폴더블 표시 장치 및 벤딩 표시 장치 등에 대하여 도시하여 설명하였으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는 롤러블 표시 장치, 플랫한 리지드 표시 장치, 또는 휘어진 리지드 표시 장치일 수도 있다.
이하,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에 대한 설명에서는 단축을 기준으로 폴딩되는 표시 장치(DD)를 기준으로 설명하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후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장축을 기준으로 폴딩되는 표시 장치(DD-a), 벤딩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DD-b) 뿐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표시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DD)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DD)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I-I'선에 대응하는 부분의 단면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DD)는 표시 모듈(DM), 표시 모듈(DM) 상에 배치된 윈도우(WP)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DD)에서 표시 모듈(DM)은 표시 소자층(DP-EL)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DP) 및 표시 패널(DP) 상에 배치된 입력 감지부(TP)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DD)는 표시 패널(DP) 및 윈도우(WP) 사이에 배치된 접착 부재(AP)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DD)에서 접착 부재(AP)는 입력 감지부(TP)와 윈도우(WP)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접착 부재(AP)는 광학 투명 접착 필름(OCA, optically clear adhesive film) 또는 광학 투명 접착 수지층(OCR, optically clear adhesive resin layer)일 수 있다.
접착 부재(AP)는 일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접착 부재(AP)는 일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로부터 유래된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은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메타)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아크릴레이트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수지 조성물은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우레탄 결합을 갖는 (메트)아크릴로일기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광경화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우레탄결합을 갖는 아크릴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골격을 갖는 우레탄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에테르 골격을 갖는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은 우레탄아트릴레이트 올리고머로 UF-C051(교에이샤화학사 제품), UN-6305(네가미공업사 제품l), 및 SUA008(아시아공업사 제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포함한 수지 조성물은 잉크젯 프린팅법 또는 디스펜싱 도포법 등의 방법으로 도포될 수 있는 저점도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상대적으로 높은 중합도를 갖는 올리고머 상태로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어 광 경화 이후에도 높은 중합도를 유지함으로써 높은 필 강도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은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포함하여, 광 경화 이후에는 높은 밀착력을 나타내고, 이에 따라 일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로 형성한 접착 부재를 폴딩가능한 표시 장치에 적용하였을 때 표시 장치의 폴딩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은 끓는점이 150℃ 이상인 포스파이트(phosphite) 화합물 및 끓는점이 150℃ 이상인 포스핀(phosphine)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산소 저해 방지제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산소 저해 방지제는 산소 저해를 방지하는 물질을 의미하며, 산소 저해는 산소에 의해서 중합 반응이 저해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산소 저해는 라디칼과 산소의 반응으로 생성된 퍼옥시 라디칼이 중합 반응을 저해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은 상기 산소 저해 방지제를 (메타)아크릴레이트 총량에 대하여 0.1wt% 이상 1wt% 미만으로 포함한다. 예를 들어, 수지 조성물은 산소 저해 방지제를 (메타)아크릴레이트 총량에 대하여 0.1wt% 이상 0.4wt% 이하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이 산소 저해 방지제를 포함하지 않거나, 극소량 포함할 경우, 산소 저해를 방지하는 성능이 저해될 있다. 또한, 수지 조성물이 산소 저해 방지제를 1wt% 이상 포함할 경우, 수지 조성물의 경화 후 필 강도가 저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메타)아크릴레이트 총량은 수지 조성물에 포함된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및 후술할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총량의 합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전술한 산소 저해 방지제를포함하여 대기 하에서 모노머의 고분자량화가 진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은 대기 하에서 광 조사를 통해 광 경화가 진행될 수 있고, 산소 하에서 중합 반응의 중합도가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소 저해 방지제의 끓는점은 150℃ 이상일 수 있고, 예를 들어 160℃ 이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산소 저해 방지제는 끓는점이 150℃ 이상인 포스파이트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트리페닐 포스파이트(Triphenyl phosphite, TPP), 트리크레실 포스파이트(tri-cresyl phosphite, TCP) 및 트리에틸 포스파이트(Triethyl Phosphite, TEP)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산소 저해 방지제는 끓는점이 150℃ 이상인 포스핀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트리페닐 포스핀(Triphenyl phosphine)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은 전술한 산소 저해 방지제 외에 공지의 산소 저해 방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지 조성물은 티올 화합물 또는 아민 화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티올 화합물 또는 아민 화합물을 더 포함하여, 중합 반응에서 필요한 저분자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은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및 광 개시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은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에서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복수 개의 서로 다른 모노머들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에서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적어도 하나의 단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및 적어도 하나의 단관능 메타크릴레이트 모노머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은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소데실 아크릴레이트, 2-메틸-2-에틸-1,3-디옥솔란-4-일메틸아크릴레이트, 4-하이드록시 부틸 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및 부틸 아크릴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은 (메타)아크릴레이트 총량을 기준으로,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를 80wt% 이상 함유할 경우,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은 이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에서 이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복수 개의 서로 다른 모노머들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에서 이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적어도 하나의 이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및 적어도 하나의 이관능 메타크릴레이트 모노머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은 이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로 1,4-부탄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1,3- 부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1,8-옥탄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1,9-옥탄디올디아크릴레이트, 1,12-도데세인디올(dodecanediol)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dicyclopentanyl)디(메타)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산-1,4-디메탄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시클로데칸디메탄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탄 디메틸올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 변성 트리메틸프로판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아다만탄(adamantane)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일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의 광 개시제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복수 개의 광 개시제를 포함하는 경우, 상이한 광 개시제들은 서로 다른 중심 파장의 자외선 광에 의해 활성화되는 것일 수 있다.
광 개시제는 2,2-디메톡시-1,2-디페닐에타-1-온(2,2-dimethoxy-1,2-diphenyl-1-ethanone, 1-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페닐-케톤(1-hydroxy-cyclohexyl-phenyl-ketone), 2-하이드록시-2-메틸-1-페닐-1-프로판온(2-hydroxy-2-methyl-1-phenyl-1-propanone), 2-하이드록시-1-[4-(2-하이드록시에톡시)페닐]-2-메틸-1-프로판온(2-hydroxy-1-[4-(2-hydroxyethoxy)phenyl]-2-methyl-1-propanone), 및 2-하이드록시-1-{4-[4-(2-하이드록시-2-메틸-프로피오닐)-벤질]-페닐}-2-메틸프로파-1-원(2-hydroxy-1-{4-[4-(2-hydroxy-2-methyl-propionyl)-benzyl]-phenyl}-2-methylpropan-1-one)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광 개시제는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몰포리노프로파-1-논(2-methyl-1[4-(methylthio)phenyl]-2-morpholinopropan-1-one), 2-벤질-2-디메틸아미노-1-(4-몰포리노페닐)-부타논-1(2-benzyl-2-dimethylamino-1-(4-morpholinophenyl)-1-butanone),
2-디메틸아미노-2-(4-메틸-벤질)-1-(4-몰포린-4-일-페닐)-부타-1-논(2-dimethylamino-2-(4-methyl-benzyl)-1-(4-morpholin-4-yl-phenyl)-butan-1-one),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 옥사이드(2,4,6-trimethylbenzoyl-diphenylphosphine oxide),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 포스피네이트(2,4,6-trimethylbenzoyl-diphenyl phosphinate),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포스핀옥사이드(bis(2,4,6-trimethylbenzoyl)-phenylphosphineoxide),
[1-(4-페닐설파닐벤조일)헵틸리덴아미노]벤조에이트([1-(4-phenylsulfanylbenzoyl)heptylideneamino]benzoate),
[1-[9-에틸-6-(2-메틸벤조일)카바조-3-일]에틸리덴아미노] 아세테이트([1-[9-ethyl-6-(2-methylbenzoyl)carbazol-3-yl]ethylideneamino] acetate), 및
비스(2,4-사이클로펜타디에닐)비스[2,6-디플루오로-3-(1-피릴)페닐] 티타늄(IV)(Bis(2,4-cyclopentadienyl)bis[2,6-difluoro-3-(1-pyrryl)phenyl] titanium(IV))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은 점도가 150mPa·s 이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은 20℃ 이상 50℃ 이하에서의 점도가 1.0mPa·s 이상 150mPa·s 이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지 조성물은 25℃에서의 점도가 1.0mPa·s 이상 100mPa·s 이하, 바람직하게는 점도가 1.0mPa·s 이상 50mPa·s 이하일 수 있다. 수지 조성물의 점도는 JIS K2283 법으로 측정되었다.
일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의 점도가 1.0mPa·s미만일 경우 점도가 낮아 접착 부재 형성을 위해 제공된 수지 조성액의 흐름이 생기며, 이에 따라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균일한 두께의 코팅막 형성이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의 점도가 150mPa·s초과일 경우 수지 조성물을 도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도포 기기로부터 수지 조성물이 적절한 양으로 토출되기 어려울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베이스 기판(BS), 베이스 기판(BS) 상에 배치된 회로층(DP-CL), 회로층(DP-CL) 상에 배치된 표시 소자층(DP-EL), 및 표시 소자층(DP-EL)을 커버하는 봉지층(TFE)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DP)은 표시 소자층(DP-EL)에 복수 개의 유기 발광 소자들 또는 복수 개의 양자점 발광 소자들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도 7 등에서 제시된 표시 패널(DP)의 구성은 예시적인 것으로 표시 패널(DP)의 구성이 도 7 등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DP)은 액정 표시 소자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이 경우 봉지층(TFE)이 생략될 수 있다.
입력 감지부(TP)는 표시 패널(DP)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감지부(TP)는 표시 패널(DP)의 봉지층(TFE) 상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입력 감지부(TP)는 외부의 입력을 감지하여 소정의 입력 신호로 변경하고, 입력 신호를 표시 패널(DP)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DD)에서 입력 감지부(TP)는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감지부일 수 있다. 입력 감지부(TP)는 사용자의 직접 터치, 사용자의 간접 터치, 물체의 직접 터치 또는 물체의 간접 터치 등을 인식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입력 감지부(TP)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터치의 위치 및 터치의 세기(압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입력 감지부(TP)는 다양한 구조를 갖거나 다양한 물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입력 감지부(TP)는 외부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복수 개의 감지 전극들(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감지 전극들(미도시)은 정전 용량 방식으로 외부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입력 감지부(TP)로부터 입력 신호를 제공받고,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윈도우(WP)는 표시 패널(DP) 및 입력 감지부(TP) 등을 보호하는 것일 수 있다. 표시 패널(DP)에서 생성된 이미지(IM)는 윈도우(WP)를 투과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윈도우(WP)는 표시 장치(DD)의 터치면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폴딩 영역(FA)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DD)에서 윈도우(WP)는 플렉서블 윈도우일 수 있다.
윈도우(WP)는 베이스층(BL) 및 인쇄층(BM)을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WP)는 투과 영역(TA) 및 베젤 영역(BZA)을 포함할 수 있다. 투과 영역(TA) 및 베젤 영역(BZA)을 포함한 윈도우(WP)의 전면은 표시 장치(DD)의 전면에 해당한다.
투과 영역(TA)은 광학적으로 투명한 영역일 수 있다. 베젤 영역(BZA)은 투과 영역(TA)에 비해 상대적으로 광 투과율이 낮은 영역일 수 있다. 베젤 영역(BZA)은 소정의 컬러를 가질 수 있다. 베젤 영역(BZA)은 투과 영역(TA)에 인접하며, 투과 영역(TA)을 에워쌀 수 있다. 베젤 영역(BZA)은 투과 영역(TA)의 형상을 정의할 수 있다. 다만, 실시예가 도시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베젤 영역(BZA)은 투과 영역(TA)의 일 측에만 인접하여 배치될 수도 있고, 일 부분이 생략될 수도 있다.
베이스층(BL)은 유리 또는 플라스틱 기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층(BL)은 강화 유리 기판이 사용될 수 있다. 또는 베이스층(BL)은 가요성이 있는 고분자 수지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층(BL)은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naphthalate), 폴리염화비닐리덴(polyvinylidene chloride), 폴리불화비닐리덴(polyvinylidene difluoride), 폴리스티렌(polystyrene),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ethylene vinylalcohol copolymer)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하지만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에서 윈도우(WP)의 베이스층(BL)으로 알려진 일반적인 형태라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인쇄층(BM)은 베이스층(BL)의 일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인쇄층(BM)은 표시 모듈(DM)에 인접한 베이스층(BL)의 하부면에 제공될 수 있다. 인쇄층(BM)은 베이스층(BL)의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인쇄층(BM)은 잉크인쇄층일 수 있다. 또한, 인쇄층(BM)은 안료 또는 염료를 포함하여 형성된 층일 수 있다. 윈도우(WP)에서 베젤 영역(BZA)은 인쇄층(BM)이 제공되는 부분일 수 있다.
한편, 윈도우(WP)는 베이스층(BL) 상에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성층(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능성층(미도시)은 하드코팅층, 지문 방지 코팅층 등일 수 있으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인쇄층(BM)이 제공된 부분과 제공되지 않은 베이스층(BL) 사이에는 단차가 있을 수 있다. 상술한 일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일 실시예의 접착 부재(AP)는 낮은 저장 탄성률과 높은 접착력 값을 가짐으로써 단차 부분에서 들뜸 없이 윈도우(WP)에 부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 부재(AP)는 상술한 일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로부터 유래된 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의 접착 부재(AP)는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및 끓는점이 150℃ 이상인 포스파이트 화합물 및 끓는점이 150℃ 이상인 포스핀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산소 저해 방지제;를 포함하고, 산소 저해 방지제를 (메타)아크릴레이트 총량에 대하여 0.1wt% 이상 1wt% 미만으로 포함하는 수지 조성로부터 유래된 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접착 부재(AP)는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 이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및 광 개시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부터 유래된 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 이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및 광 개시제에 대하여는 상술한 일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한 내용일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이 전술한 산소 저해 방지제를 포함함에 따라, 일 실시예의 접착 부재(AP)는 고온에서 우수한 밀착력을 가지고, 필 강도가 향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 부재(AP)는 60℃에서 우수한 필 강도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DD)에 포함된 접착 부재(AP)는 액상의 수지 조성물 상태로 윈도우(WP)의 일면 또는 표시 모듈(DM)의 일면 상에 제공되고, 윈도우(WP)와 표시 모듈(DM) 사이에 제공된 액상의 수지 조성물을 자외선 경화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다. 한편, 이와 달리 별도의 공정에서 액상의 수지 조성물을 자외선 경화하여 접착 부재(AP)를 형성하고, 접착 필름 형태로 경화된 상태의 접착 부재(AP)의 일면을 윈도우(WP)의 일면 또는 표시 모듈(DM)의 일면 상에 적층(lamination)하고, 접착 부재(AP)의 나머지 일면에 부착되지 않은 윈도우(WP)의 일면 또는 표시 모듈(DM)의 일면을 부착하는 방법으로 접착 부재(AP)가 제공될 수 있다.
접착 부재(AP)의 두께는 50㎛ 이상 200㎛ 이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 부재(AP)는 100㎛ 이상 150㎛ 이하의 두께를 갖는 것일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c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 부재(AP)를 제작하는 단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는 접착 부재(AP) 형성을 위한 수지 조성물(RC)을 제공하는 단계를 나타낸 것이고, 도 8b는 자외선광을 조사하는 단계를 나타낸 것이며, 도 8c는 캐리어 필름(CF)을 제거하는 단계를 나타낸 것이다.
도 8a 내지 도 8c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RC)은 캐리어 필름(CF)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캐리어 필름(CF)으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캐리어 필름(CF)은 액상의 수지 조성물(RC)을 코팅하기 위한 기재 역할을 하는 것으로 자외선 경화 이후에 접착 부재(AP)로부터 용이하게 탈착될 수 있는 것이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지 조성물(RC)이 제공되는 캐리어 필름(CF)의 일면에는 이형 처리(release treatment)가 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수지 조성물(RC)은 잉크젯 프린팅법, 또는 디스펜싱법 등의 방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RC)은 20℃ 이상 50℃ 이하에서의 1.0mPa·s 이상 150mPa·s 이하의 점도 값을 가짐으로써 노즐(NZ) 등으로부터 용이하게 토출될 수 있으며, 일정한 코팅 두께가 유지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RC)은 25℃ 에서의 1.0mPa·s 이상 50mPa·s 이하의 점도 값을 가질 수 있다.
수지 조성물(RC)을 일정한 두께로 코팅하여 제공된 예비 접착부재(P-AP)에 자외선광(UV)이 조사될 수 있다. 도 8b에서는 코팅된 예비 접착부재(P-AP)로 자외선광(UV)이 직접 조사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비 접착부재(P-AP) 상에 보조 캐리어 필름(미도시)이 더 배치될 수 있으며 보조 캐리어 필름(미도시)은 자외선광을 투과시키는 것으로 자외선 경화 공정 중 예비 접착부재(P-AP)를 커버하는 것일 수 있다.
자외선 경화 이후 접착 부재(AP)가 형성될 수 있다. 공정 중에 사용된 캐리어 필름(CF)을 제거하여 최종적으로 제공된 접착 부재(AP)는 고온에서 우수한 접착력을 나타낼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c의 단계로 제작된 접착 부재(AP)는 상술한 표시 장치(DD)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 부재(AP)의 일면이 표시 모듈(DM) 상에 부착되고, 이후 표시 모듈(DM)에 부착된 접착 부재(AP)의 일면과 마주하는 접착 부재(AP)의 타면 상에 윈도우(WP)가 순차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이와 달리 접착 부재(AP)의 일면이 표시 모듈(DM)과 마주하게 될 윈도우(WP) 일면 상에 부착되고, 이후 윈도우(WP)에 부착된 접착 부재(AP)의 일면과 마주하는 접착 부재(AP)의 타면을 표시 모듈(DM)에 부착하여 접착 부재(AP)가 표시 장치(DD)에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액상으로 표시 모듈(DM)과 윈도우(WP) 사이에 제공된 수지 조성물이 경화되어 접착 부재(AP)가 형성될 수 있다. 도 9a 및 도 9b는 도 8a 내지 도 8c를 참조하여 설명한 접착 부재(AP) 제조 방법과 상이한 방법으로 제조되어 표시 장치(DD)에 포함되는 접착 부재(AP)의 제조 단계를 나타낸 것이다.
도 9a는 표시 모듈(DM) 상에 수지 조성물(RC)을 제공하는 단계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9b는 수지 조성물(RC)로부터 형성된 예비 접착부재(P-AP)에 자외선광을 조사하는 단계를 나타낸 것이다.
수지 조성물(RC)은 잉크젯 프린팅법 또는 디스펜싱법 등의 방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RC)은 25℃에서 1.0mPa·s 이상 50mPa·s 이하의 점도 값을 가짐으로써 노즐(NZ) 등으로부터 용이하게 토출될 수 있으며, 얇으면서도 일정한 코팅 두께가 유지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수지 조성물은 1.0mPa·s 이상 50mPa·s 이하의 점도 값을 가짐으로써 표시 모듈(DM)의 단차부(SP-a) 굴곡을 커버하며 제공될 수 있다. 즉, 50mPa·s 이하의 낮은 점도 값을 가짐으로써 단차부(SP-a)와 같이 굴곡이 있는 부분에서 빈 공간이 없이 수지 조성물(RC)이 채워질 수 있다. 또한, 노즐(NZ)을 통해 제공되는 수지 조성물(RC)은 1.0mPa·s 이상의 점도 값을 가짐으로써 표시 모듈(DM)을 벗어나 흐르는 현상이 없이 소정의 두께로 균일하게 코팅될 수 있다.
수지 조성물(RC)을 일정한 두께로 코팅하여 제공된 예비 접착부재(P-AP) 상에 윈도우(WP)가 제공될 수 있다. 수지 조성물(RC)을 경화하기 위한 자외선광(UV)은 윈도우(WP)를 투과하여 제공될 수 있다. 예비 접착부재(P-AP) 상에 윈도우(WP)가 제공될 때, 단차부(SP-b)에서 빈 공간이 없이 수지 조성물(RC)이 채워질 수 있다. 즉, 수지 조성물(RC)이 50mPa·s 이하의 낮은 점도 값을 가짐으로써 베이스층(BL)과 인쇄층(BM) 사이의 단차부(SP-b)와 같이 굴곡이 있는 부분에서 굴곡의 형상을 커버하면서 예비 접착부재(P-AP)가 제공될 수 있다. 예비 접착부재(P-AP)는 제공된 자외선광(UV)에 의해 중합 후 경화되어 접착 부재(AP)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9b 등에 도시된 것과 달리, 윈도우(WP)가 예비 접착부재(P-AP) 상에 제공되기 전에 자외선광(UV)이 예비 접착부재(P-AP)에 제공되어 수지 조성물(RC)에서 중합 반응이 진행될 수 있다. 조사되는 자외선광(UV)의 양은 수지 조성물(RC)을 완전히 경화시키는 정도의 광량일 수 있다. 하지만, 이와 달리 예비 접착부재(P-AP) 상태에서 수지 조성물(RC)의 중합 반응을 일부 진행시키고, 이후 윈도우(WP)를 커버한 이후에 미반응 수지 조성물(RC)을 추가 반응시켜 최종적인 접착 부재(AP)가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5에서 도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D, DD-a, DD-b)는 상술한 일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로부터 유래된 중합체를 포함하는 접착 부재(AP)를 포함하여, 폴딩 상태 또는 벤딩 영역에서도 접착 부재(AP)의 들뜸 현상 없이 접착 부재(AP)를 이용하여 윈도우(WP)와 표시 모듈(DM)의 접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도 10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에 대한 설명에서 상술한 도 1 내지 도 9b를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은 다시 설명하지 않으며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표시 장치(DD)와 비교하여 도 10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DD-1)는 광제어층(PP) 및 광학 접착층(AP-a)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DD-1)는 접착 부재(AP)와 윈도우(WP) 사이에 배치된 광제어층(PP), 및 광제어층(PP)과 윈도우(WP) 사이에 배치된 광학 접착층(AP-a)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광제어층(PP)은 표시 패널(DP) 상에 배치되어 외부광에 의한 표시 패널(DP)에서의 반사광을 제어할 수 있다. 광제어층(PP)은 예를 들어, 편광층을 포함하는 것이거나 또는 컬러필터층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광학 접착층(AP-a)은 광학 투명 접착 필름(OCA, optically clear adhesive film) 또는 광학 투명 접착 수지층(OCR, optically clear adhesive resin layer)일 수 있다. 광학 접착층(AP-a)은 상술한 일 실시예의 접착 부재(AP, 도 7)와 동일하게 일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즉, 광학 접착층(AP-a)은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및 끓는점이 150℃ 이상인 포스파이트 화합물 및 끓는점이 150℃ 이상인 포스핀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산소 저해 방지제를 포함하고, 산소 저해 방지제를 (메타)아크릴레이트 총량에 대하여 0.1wt% 이상 1wt% 미만으로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부터 유래된 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광 개시제에 의한 반응 이전의 수지 조성물은 JIS K2283 법으로 측정된 20℃ 이상 50℃ 이하에서의 점도가 1.0mPa·s 이상 150mPa·s 이하인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의 광학 접착층(AP-a)은 높은 접착력을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DD-1)는 일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광학 접착층(AP-a) 및 접착 부재(AP)를 포함하며, 광학 접착층(AP-a) 및 접착 부재(AP)는 높은 밀착력을 가짐으로써, 표시 장치(DD-1)가 폴딩 또는 벤딩되는 동작 상태에서도 광학 접착층(AP-a) 및 접착 부재(AP)의 계면에서 들뜸 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우수한 신뢰성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도 11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에 대한 설명에서 상술한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은 다시 설명하지 않으며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표시 장치(DD)와 비교하여 도 11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DD-2)는 광제어층(PP), 광학 접착층(AP-a), 및 층간 접착층(PIB)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DD-2)는 도 10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DD-1)와 같이 접착 부재(AP)와 윈도우(WP) 사이에 배치된 광제어층(PP), 및 광제어층(PP)과 윈도우(WP) 사이에 배치된 광학 접착층(AP-a)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DD-2)는 접착 부재(AP)가 표시 패널(DP)과 입력 감지부(TP) 사이에 제공되는 것일 수 있다. 즉, 입력 감지부(TP)가 표시 패널(DP) 상에 직접 배치되지 않고 접착 부재(AP)에 의해 표시 패널(DP) 및 입력 감지부(TP)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 부재(AP)는 표시 패널(DP)의 봉지층(TFE, 도 7)과 입력 감지부(TP) 사이에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도 10에서 광제어층(PP)은 표시 모듈(DM)상에 배치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도 7을 함께 참조하면 표시 모듈(DM)은 표시 패널(DP) 및 입력 감지부(TP)를 포함한다.
광제어층(PP)의 하측에는 층간 접착층(PIB)이 제공될 수 있다. 층간 접착층(PIB)은 입력 감지부(TP)와 광제어층(PP) 사이에 배치되며 투습 방지성이 우수한 접착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층간 접착층(PIB)은 폴리이소부틸렌(polyisobutylene)을 포함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층간 접착층(PIB)은 입력 감지부(TP) 상에 배치되어 입력 감지부(TP)의 감지 전극들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DD-2)는 일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광학 접착층(AP-a) 및 접착 부재(AP)를 포함하며, 광학 접착층(AP-a) 및 접착 부재(AP)는 높은 밀착력을 나타냄으로써 표시 장치(DD-2)가 폴딩 또는 벤딩되는 동작 상태에서도 광학 접착층(AP-a) 및 접착 부재(AP)의 계면에서 들뜸 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우수한 신뢰성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실시예 및 비교예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수지 조성물, 접착 부재 및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시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경화성 액상 수지 조성물 조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8의 수지 조성물은 표 1에 기재된 배합비에 의해 조제되었다.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8의 수지 조성물은 표 2에 기재된 배합비에 의해 조제되었다. 실시예 및 비교예의 구성 재료를 표 1 및 표 2에서 개시한 중량 비율로 내열 차광 용기에 제공한 이후, 광개시제로 Omnirad TPO-H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 옥사이드(2,4,6-trimethylbenzoyl-diphenylphosphine oxide)를 2 wt% 만큼 제공하였다. 이후, 제공된 재료들을 25℃에서 교반하여, 경화성 액상 수지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표 1 및 표 2에 기재된 수치는 배합 비율(wt%)을 나타내며, (메타)아크릴레이트 총량을 기준으로 나타낸 것이다. 즉, 표 1 및 표2에 기재된 수치는 올리고머의 총량 및 모노머의 총량의 합을 100%로 기준하여 나타낸 중량(wt%)이다.
실시예1 | 실시예2 | 실시예3 | 실시예4 | 실시예5 | 실시예6 | 실시예7 | 실시예8 | ||
올리고머 | UFC-051 | 10 | 10 | 10 | 10 | 12 | - | - | - |
UN6305 | - | - | - | - | - | 7 | 7 | 7 | |
SUA008 | - | - | - | - | - | 5 | 5 | 5 | |
모노머 | MEDOL-10 | 60 | 60 | 60 | 60 | 15 | - | - | - |
IDAA | 30 | 30 | 30 | 30 | 58 | - | - | - | |
4-HBA | - | - | - | - | 15 | 32 | 32 | 32 | |
2-EHA | - | - | - | - | - | 42 | 42 | 42 | |
BA | - | - | - | - | - | 14 | 14 | 14 | |
개시제 | TPO-H | 2 | 2 | 2 | 2 | 2 | 2 | 2 | 2 |
산소 저해 방지제 |
TPP | 0.1 | 0.2 | - | - | 0.1 | 0.2 | - | - |
TCP | - | - | 0.2 | - | - | - | 0.2 | - | |
TEP | - | - | - | 0.2 | - | - | - | 0.2 | |
Do-T | - | - | - | - | - | - | - | - | |
Di-T | - | - | - | - | - | - | - | - | |
점도 (mPa·s) |
25 | 25 | 25 | - | 28 | 29 | 29 | 29 | |
Peel 강도 (N/mm) |
25℃ | 1.6 | 1.7 | 1.6 | 1.6 | 1.1 | 0.9 | 0.9 | 0.9 |
60℃ | 0.9 | 1.0 | 0.9 | 0.8 | 0.6 | 0.5 | 0.5 | 0.5 |
비교예1 | 비교예2 | 비교예3 | 비교예4 | 비교예5 | 비교예6 | 비교예7 | 비교예8 | ||
올리고머 | UFC-051 | 10 | 10 | 10 | 10 | 12 | - | - | - |
UN6305 | - | - | - | - | - | 7 | - | - | |
SUA008 | - | - | - | - | - | 5 | - | - | |
모노머 | MEDOL-10 | 60 | 60 | 60 | 60 | 15 | - | 100 | - |
IDAA | 30 | 30 | 30 | 30 | 58 | - | - | - | |
4-HBA | - | - | - | - | 15 | 32 | - | - | |
2-EHA | - | - | - | - | - | 42 | - | 100 | |
BA | - | - | - | - | - | 14 | - | - | |
개시제 | TPO-H | 2 | 2 | 2 | 2 | 2 | 2 | 2 | 2 |
산소 저해 방지제 |
TPP | - | 3.8 | - | - | - | - | - | - |
TCP | - | - | - | - | - | - | - | - | |
Do-T | - | - | 0.2 | - | - | - | - | - | |
Di-T | - | - | 0.2 | - | - | - | - | ||
점도 (mPa·s) |
25 | 25 | 25 | 25 | 28 | 29 | 6 | 6 | |
Peel 강도 (N/mm) |
25℃ | 1.5 | 1.2 | 1.1 | 1.0 | 1.0 | 0.8 | 0.5 | 0.1 |
60℃ | 0.7 | 0.6 | 0.3 | 0.3 | 0.4 | 0.4 | 0.1 | 측정 불가 |
(수지 조성물의 재료)
상기 표 1 및 표 2에 개시된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된 각 구성 성분에 대한 자료는 아래와 같다.
[모노머]
IDAA: 이소데실 아크릴레이트
MEDOL-10: 2-메틸-2-에틸-1,3-디옥솔란-4-일메틸아크릴레이트
4-HBA: 4-하이드록시 부틸 아크릴레이트
2-EHA: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BA: 부틸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UF-C051: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교에이샤화학사 제품)
UN-6305: 우레탄 아크릴레이트(네가미공업사 제품)
SUA008: 우레탄 아크릴레이트(아시아공업사 제품)
[광 중합 개시제]
Omnirad TPO-H: 자기 개열형 라디칼 중합 개시제
[산소 저해 방지제]
TPP: 트리페닐 포스파이트(Triphenyl phosphite), b.p. 360℃
TCP: 트리크레실 포스파이트(tri-cresyl phosphite), b.p.255℃
TEP : 트리에틸 포스파이트(Triethyl Phosphite), b.p.156℃
Do-T: 도데칸티올(Dodecanethiol)
Di-T: 디티올(Dithiol)
1. 수지 조성물 및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접착 부재의 물성 평가
(측정 방법)
실시예 수지 조성물, 및 비교예 수지 조성물의 점도 및 필(peel) 강도를 평가하여 상기 표 1 및 표 2에 나타내었다. 수지 조성물의 점도 및 필 강도는 아래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점도 측정 방법]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수지 조성물의 점도는 JIS K2283 법을 이용하여 25℃에서 측정된 것으로, 점도계 TVE-25L(TOKI 사)를 이용하여, 10rpm의 속도 조건에서 측정한 것이다.
[경화물 시험편 작성]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8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8의 수지 조성물을 이용해, 슬라이드 글라스(마쓰나미유리공업 주식회사 제품, 제품명 S1112)에 상기 수지 조성물의 두께가 100μm가 되도록 도포하였다. 이후, 대기 하에서 365nm의 LED를 조사(100mW/200mJ)하여 상기 수지 조성물들을 가경화하였다. 이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도요방적사 제품, 제품명 코스모샤인4100, 폭 20mm, 길이 150mm, 두께 100μm)을 첩합했다. 첩합한 상태에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측에서 395nm의 LED를 조사(500mW/4000mJ)하여 수지 조성물을 본경화하고, 경화물을 얻었다.
[180° 필 강도]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8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8의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에 대하여, 인장 시험기(INSTRON사 제품 INSTRON 5965형)로 180° 필 시험을 실시했다. 25℃ 및 60℃에서 인장 속도 300mm/min로 측정하였다.
(평가 내용)
표 1 및 표 2의 결과를 참조하면, 실시예 및 비교예의 수지 조성물은 조성물 상태에서 50mPa·s 이하의 낮은 점도를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예 및 비교예의 수지 조성물은 저점도 특성을 가짐으로써 얇은 두께의 균일한 코팅막을 형성할 수 있다.
이하 필 강도 평가에 있어서, 동일한 올리고머 및 모노머를 포함한 실시예 및 비교예를 서로 비교하였다.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의 수지 조성물은,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4의 수지 조성물에 비해 경화 후 25℃ 및 60℃에서 필 강도가 향상되었다. 이는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이 포스파이트 화합물을 0.1wt% 이상 1wt% 미만으로 포함하였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비교예 1 및 2를 참조하면 포스파이트 화합물을 포함하지 않거나, 또는 1wt% 이상 포함할 경우 필 강도가 저하되었다. 비교예 3 및 4를 참조하면, 산소 저해 방지제로 포스파이트 화합물을 포함하지 않고 Do-T 또는 Di-T와 같은 티올 화합물을 포함할 경우 필 강도가 저하되었다. 이는 티올 화합물이 연쇄 이동 반응을 동반하여 수지 조성물의 중합이 저해되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실시예 5의 수지 조성물은, 비교예 5의 수지 조성물에 비해 경화 후 25℃ 및 60℃에서 필 강도가 향상되었다. 이는 실시예 5의 수지 조성물이 포스파이트 화합물을 0.1wt% 이상 1wt% 미만으로 포함하였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실시예 6 내지 실시예 8의 수지 조성물은, 비교예 6의 수지 조성물에 비해 경화 후 25℃ 및 60℃에서 필 강도가 향상되었다. 이는 실시예 6 내지 실시예 8의 수지 조성물이 포스파이트 화합물을 0.1wt% 이상 1wt% 미만으로 포함하였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비교예 7 및 비교예 8의 수지 조성물은 비교예 1의 수지 조성물에 비해 필 강도가 저하되거나, 또는 측정이 불가능했다. 이는 비교예 7 및 8의 수지 조성물이 올리고머를 포함하지 않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일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은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및 산소 저해 방지제를 포함하고, 산소 저해 방지제를 (메타)아크릴레이트 총량에 대해 0.1wt% 이상 1wt% 미만으로 포함하며, 산소 저해 방지제는 끓는점이 150℃ 이상인 포스파이트 화합물 및 끓는점이 150℃ 이상인 포스핀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경화 후 높은 필 강도를 나타낼 수 있다.
2. 산소 저해 방지제의 특성 평가
이하에서는 포스파이트 화합물 및 티올 화합물의 산소 저해 방지 특성을 평가하였다.
(조성물의 조제)
실시예A, 실시예B, 비교예A-1, 비교예A-2, 비교예B-1 및 비교예B-2의 조성물은 하기 표 3에 기재된 배합비에 의해 조제되었다.
즉, 가교 반응을 동반하지 않는 단관능 모노머인 MEDOL-10 또는 IDAA에, 광개시제로 Omnirad TPO-H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 옥사이드(2,4,6-trimethylbenzoyl-diphenylphosphine oxide)를 2mol%만큼 제공하고, 산소 저해 방지제로 트리페닐 포스파이트 또는 도데칸티올을 각각 0.5mol%만큼 제공하였다.
(경화물의 조제)
실시예 및 비교예의 조성물을 슬라이드 글라스 상에 도포한 후, 산소 존재하에서 가경화(LED365nm/100mW/100mJ)를 행하였다. 이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첩합한 후 본경화(LED395nm/500mW/4000mJ)를 행하여 경화물을 얻었다.
얻어진 경화물을 THF(테트라하이드로퓨란)에 용해시켜, GPC(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측정을 실시해, 폴리스티렌 환산 분자량을 얻었다.
실시예A | 비교예A-1 | 비교예A-2 | 실시예B | 비교예B-1 | 비교예B-2 | ||
모노머(첨가량mol%) | MEDOL-10(0.5) | IDAA2(0.5) | |||||
개시제(첨가량mol%) | TPO-H(2) | ||||||
산소 저해 방지제 (첨가량mol%) |
TPP | 0.5 | - | - | 0.5 | - | - |
Do-T | - | - | 0.5 | - | - | 0.5 | |
분자량(Mn) | 10.6 x 104 | 8.8 x 104 | 2.3 x 104 | 3.4 x 104 | 3.1 x 104 | 1.4 x 104 |
표 3의 결과에서 실시예A, 비교예A-1, 및 비교예A-2를 서로 비교하였고, 실시예B, 비교예B-1, 및 비교예B-2를 서로 비교하였다.실시예A의 경화물은 비교예A-1에 비해 분자량이 증가하였다. 비교예A-2의 경화물은 비교예A-1에 비해 분자량이 저하되었다.
실시예B의 경화물은 비교예B-1에 비해 분자량이 증가하였다. 비교예B-2의 경화물은 비교예B-1에 비해 분자량이 저하되었다.
이를 통해, TPP를 포함한 실시예A 및 실시예B의 경화물은 산소 저해 방지제를 미첨가한 비교예A-1 및 비교예B-1의 경화물보다 분자량이 증가하고, Do-T를 포함한 비교예A-2 및 비교예B-2의 경화물은 산소 저해 방지제를 미첨가한 비교예A-1 및 비교예B-1보다 분자량이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TPP 및 Do-T가 산소에 의해 형성된 반응 정지 말단에 대해 서로 반응성이 상이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특히, Do-T와 같은 티올 화합물은 연쇄 이동 반응을 수반하여 산소 하에서 폴리머의 고분자량화가 어려우나, TPP와 같은 포스파이트 화합물은 산소 하에서 폴리머의 고분자량화가 유효한 것이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일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은 포스파이트 화합물을 0.1wt% 이상 1wt% 미만으로 포함하여, 산소 하에서 중합도가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은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및 산소 저해 방지제를 포함하고, 산소 저해 방지제를 (메타)아크릴레이트 총량에 대해 0.1wt% 이상 1wt% 미만으로 포함하며, 산소 저해 방지제가 끓는점이 150℃ 이상인 포스파이트 화합물 및 끓는점이 150℃ 이상인 포스핀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중합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은 저점도 특성을 나타내며, 얇은 두께의 균일한 코팅막 형성에 유리한 특성을 가진다. 또한 저점도 특성으로 인하여 굴곡진 표면 등에도 우수한 코팅성을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일 실시예의 접착 부재는 실온(25℃)및 고온(60℃) 범위에서 우수한 필 강도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는 일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을 통해 형성된 접착 부재를 포함하여 굴곡진 부분에서 접착 부재의 박리나 들뜸이 없어 양호한 신뢰성을 나타내며, 벤딩 또는 폴딩의 동작 상태에서도 접착 부재와 이웃하는 부재들 간의 박리 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우수한 신뢰성을 나타낼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DD, DD-a, DD-b, DD-1 : 표시 장치
RC : 수지 조성물 AP : 접착 부재
RC : 수지 조성물 AP : 접착 부재
Claims (20)
-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및
끓는점이 150℃ 이상인 포스파이트 화합물 및 끓는점이 150℃ 이상인 포스핀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산소 저해 방지제;를 포함하고,
상기 산소 저해 방지제는 (메타)아크릴레이트 총량에 대하여 0.1wt% 이상 1wt% 미만으로 포함된 수지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 저해 방지제는 트리페닐 포스파이트, 트리크레실 포스파이트, 트리에틸 포스파이트, 및 트리페닐 포스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은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를 더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은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를 더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함량이 (메타)아크릴레이트 총량에 대하여 80wt% 이상일 경우, 상기 수지 조성물은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를 더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 저해 방지제의 함량은 (메타)아크릴레이트 총량에 대하여 0.5wt% 미만인 수지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은 티올 화합물 및 아민 화합물을 더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는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인 수지 조성물. -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및 끓는점이 150℃ 이상인 포스파이트 화합물 및 끓는점이 150℃ 이상인 포스핀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산소 저해 방지제;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로부터 유래된 중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수지 조성물은 상기 산소 저해 방지제를 (메타)아크릴레이트 총량에 대하여 0.1wt% 이상 1wt% 미만으로 포함하는 접착 부재.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 저해 방지제는 트리페닐 포스파이트, 트리크레실 포스파이트, 트리에틸 포스파이트, 및 트리페닐 포스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접착 부재. -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은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를 더 포함하는 접착 부재. -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은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를 더 포함하는 접착 부재. -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함량이 (메타)아크릴레이트 총량에 대하여 80wt% 이상일 경우, 상기 수지 조성물은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를 더 포함하는 접착 부재. -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된 윈도우; 및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윈도우 사이에 배치된 접착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 부재는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및 끓는점이 150℃ 이상인 포스파이트 화합물 및 끓는점이 150℃ 이상인 포스핀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산소 저해 방지제;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부터 유래된 중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수지 조성물은 상기 산소 저해 방지제를 (메타)아크릴레이트 총량에 대하여 0.1wt% 이상 1wt% 미만으로 포함하는 표시 장치. -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부재의 두께는 50μm 이상 200μm 이하인 표시 장치. -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된 입력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착 부재는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입력 감지부 사이 또는 상기 입력 감지부와 상기 윈도우 사이에 배치된 표시 장치. -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표시 소자층 및 표시 소자층 상에 배치된 봉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입력 감지부는 상기 봉지층 상에 직접 배치되고,
상기 접착 부재는 상기 입력 감지부 상에 배치된 표시 장치. -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부재는 상기 수지 조성물을 상기 윈도우의 일면 또는 상기 표시 패널의 일면 상에 직접 제공하고, 상기 제공된 수지 조성물을 자외선 경화하여 형성된 것인 표시 장치. - 제14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폴딩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폴딩 영역의 곡률 반경은 5mm 이하인 표시 장치. -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부재와 상기 윈도우 사이에 배치된 광제어층, 및 상기 광제어층과 상기 윈도우 사이에 배치된 광학 접착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광학 접착층은 상기 수지 조성물로부터 유래된 상기 중합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17/698,454 US20220300103A1 (en) | 2021-03-19 | 2022-03-18 | Resin composition, adhesive memb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10035933 | 2021-03-19 | ||
KR1020210035933 | 2021-03-19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31494A true KR20220131494A (ko) | 2022-09-28 |
Family
ID=83324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31541A KR20220131494A (ko) | 2021-03-19 | 2022-03-14 | 수지 조성물, 접착 부재, 및 그 접착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JP (1) | JP2022145657A (ko) |
KR (1) | KR20220131494A (ko) |
CN (1) | CN115109555A (ko) |
-
2022
- 2022-03-03 CN CN202210210135.5A patent/CN115109555A/zh active Pending
- 2022-03-14 KR KR1020220031541A patent/KR20220131494A/ko unknown
- 2022-03-18 JP JP2022043548A patent/JP2022145657A/ja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15109555A (zh) | 2022-09-27 |
JP2022145657A (ja) | 2022-10-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210091868A (ko) | 수지 조성물, 접착 부재, 및 그 접착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
CN116063931A (zh) | 树脂组合物、制造粘合构件的方法以及显示装置 | |
KR20210142806A (ko) | 수지 조성물, 접착 부재, 및 그 접착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
US11820886B2 (en) | Resin composition, adhesive memb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20220131494A (ko) | 수지 조성물, 접착 부재, 및 그 접착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
US20220300103A1 (en) | Resin composition, adhesive memb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
US20220144989A1 (en) | Resin composition, adhesive memb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
US20230136807A1 (en) | Adhesive memb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
US20230126251A1 (en) | Adhesive member formed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adhesive member | |
US11732077B2 (en) | Resin composition, adhesive member, and display device | |
KR20230077827A (ko) | 수지 조성물 및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접착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
KR20220078002A (ko) | 수지 조성물, 접착 부재, 및 그 접착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 |
CN113493593B (zh) | 树脂组合物、粘合剂构件及包括所述粘合剂构件的显示装置 | |
KR20230126753A (ko) | 수지 조성물, 수지 조성물의 제공을 포함하는 접착 부재 제조 방법, 및 접착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
US20230159801A1 (en) | Method of manufacturing adhesive member,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manufactured by the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 |
US12071500B2 (en) | Resin composition, adhesive memb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20240109316A (ko) | 수지 조성물, 접착 부재, 및 접착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
KR20210118333A (ko) | 수지 조성물, 접착 부재, 및 그 접착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
KR20240114852A (ko) | 수지 조성물, 접착 부재, 및 접착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