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3501A - 조명모듈, 조명장치 및 후미등 - Google Patents
조명모듈, 조명장치 및 후미등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143501A KR20210143501A KR1020200060350A KR20200060350A KR20210143501A KR 20210143501 A KR20210143501 A KR 20210143501A KR 1020200060350 A KR1020200060350 A KR 1020200060350A KR 20200060350 A KR20200060350 A KR 20200060350A KR 20210143501 A KR20210143501 A KR 2021014350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ght emitting
- optical pattern
- light
- width
- portion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 G02B5/023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the surface having microprismatic or micropyramidal shap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3/235—Light guides
- F21S43/242—Light guides characterised by the emission area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1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3/13—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3/14—Light emitting diodes [LE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3/235—Light guides
- F21S43/236—Light guid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light guide
- F21S43/239—Light guid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light guide plate-shape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3/235—Light guides
- F21S43/242—Light guides characterised by the emission area
- F21S43/245—Light guides characterised by the emission area emitting light from one or more of its major surfac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3/235—Light guides
- F21S43/249—Light guides with two or more light sources being coupled into the light guid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3/26—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not provided in groups F21S43/235 - F21S43/255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3/281—Materials thereof; Structures thereof; Properties thereof; Coatings thereof
- F21S43/28135—Structures encapsulating the light sourc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3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3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21S43/31—Optical layout thereof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4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combination of reflectors and refractor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9/00—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 G02B19/0004—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characterised by the optical means employed
- G02B19/0028—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characterised by the optical means employed refractive and reflective surfaces, e.g. non-imaging catadioptric system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9/00—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 G02B19/0033—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characterised by the use
- G02B19/0047—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characterised by the use for use with a light source
- G02B19/0061—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characterised by the use for use with a light source the light source comprising a LED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02B3/0037—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73—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 G02B5/0278—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used in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발명의 실시 예에 개시된 조명장치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반사부재;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발광소자; 상기 반사부재 상에 배치되는 레진층; 및 상기 레진층의 상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복수의 오목부를 갖는 광학패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발광소자는 광이 방출되는 제1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광학패턴부는 상기 복수의 발광소자 각각의 중심과 중첩되는 위치에서 제1방향으로 상기 오목부들의 폭이 감소되는 패턴부를 포함하며, 상기 광학패턴부는 상기 광학패턴부의 중심에서 제2방향 양측으로 상기 오목부들의 폭이 감소되는 패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발명의 실시 예는 복수의 광원을 갖는 조명 모듈 및 이를 갖는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조명 응용은 차량용 조명(light)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및 간판용 백라이트를 포함한다.
발광소자 예컨대, 발광 다이오드(LED)는 형광등, 백열등과 같은 기존의 광원에 비해 저소비전력, 반영구적인 수명, 빠른 응답속도, 안전성, 환경친화성 등의 장점이 있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는 각종 표시 장치, 실내등 또는 실외등과 같은 각종 조명장치에 적용되고 있다.
차량용 광원으로 발광 다이오드를 채용하는 램프가 제안되고 있다. 백열등과 비교하면, 발광 다이오드는 소비 전력이 작다는 점에서 유리하며, 사이즈가 작기 때문에 램프의 디자인 자유도를 높여줄 수 있고 반 영구적인 수명으로 인해 경제성도 있다. 그러나,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출사각이 작기 때문에, 발광 다이오드를 차량용 램프로 사용할 경우에는,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램프의 발광 면적을 증가시켜 주기 위한 요구가 있다.
발명의 실시 예는 레진층 내에 밀봉된 광원 및 상기 레진층의 표면에 광학패턴부를 갖는 조명 모듈 및 조명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 예는 레진층 내에 밀봉된 광원 및 상기 레진층의 표면에서 기판을 향해 리세스된 오목부들이 배열된 광학패턴부를 갖는 조명 모듈 및 조명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 예는 광원들 각각의 상부 주변에서 레진층의 하면을 향해 오목한 오목부들이 배치된 조명 모듈 및 조명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명장치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반사부재;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발광소자; 상기 반사부재 상에 배치되는 레진층; 및 상기 레진층의 상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한 복수의 오목부를 갖는 광학패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발광소자는 광이 방출되는 제1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광학패턴부는 상기 복수의 발광소자 각각의 중심과 중첩되는 위치에서 제1방향으로 상기 오목부들의 폭이 감소되는 패턴부를 포함하며, 상기 광학패턴부는 상기 광학패턴부의 중심에서 제2방향 양측으로 상기 오목부들의 폭이 감소되는 패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광학패턴부의 패턴부는 2개 이상의 패턴부를 포함하며, 상기 2개 이상의 패턴부 각각은 제1 및 제2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오목부를 가질 수 있다.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2개 이상의 패턴부 각각은 상기 복수의 오목부 사이에 볼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2개 이상의 패턴부 중에서 상기 발광소자 각각에 인접한 제1패턴부는 오목부의 폭이 볼록부의 폭보다 클 수 있다.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2개 이상의 패턴부 중에서 상기 발광소자의 중심에서 가장 이격된 제2패턴부는 오목부의 폭이 볼록부의 폭과 같거나 작을 수 있다.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광학패턴부에 배치된 복수의 오목부들은 서로 동일한 깊이를 가질 수 있다.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광학패턴부에 배치된 복수의 오목부들은 서로 다른 깊이를 갖고, 상기 오목부의 깊이는, 상기 발광소자의 상부에 배치된 제1패턴부의 오목부들이 가장 크고, 상기 광학패턴부의 외곽에 배치된 제2패턴부의 오목부들의 깊이가 가장 작을 수 있다.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오목부들은 다각 기둥 또는 하부에 곡면을 갖는 기둥 형상일 수 있다.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광학패턴부는 상기 제1방향의 최대 길이가 상기 제2방향의 최대 길이보다 작을 수 있다.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광학패턴부는 상기 발광소자 각각의 상부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광학패턴부의 면적은 상기 발광소자의 면적의 6배 내지 18배의 범위일 수 있다.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오목부의 각각의 폭은 0.25mm 내지 0.5mm의 범위일 수 있다.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오목부의 깊이는 0.25mm 내지 0.65mm의 범위일 수 있다.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후미등은, 플렉시블하며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조명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차량용 조명 모듈의 배광 특성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레진층의 표면에서 광학패턴부에 의한 반사 광이 감소되므로, 배광 효율이 증가될 수 있다.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레진층의 표면에서 광학패턴부에 의해 광을 굴절시켜 줌으로써, 방출되는 광량이 증가될 수 있다.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조명 모듈의 배광 분포에 대한 방향성을 제공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레진층에 광학패턴부를 배치하여, 조명모듈의 두께를 더 얇게 제공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광학패턴부를 갖는 조명 모듈 및 조명장치의 신뢰성을 개선시켜 줄 수 있다.
도 1은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평면도의 예이다.
도 2는 도 1의 레진층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학패턴부의 오목부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학패턴부의 오목부의 변형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조명장치의 제1방향의 측 단면도의 예이다.
도 6은 도 5의 영역 A1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발명의 광학패턴부의 제1예로서, 도 2 및 도 5의 영역 A2를 평면상에서 바라본 예이다.
도 8은 도 5의 A2 영역로서, 도 7의 A-A'의 측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B-B'의 측 단면도의 예이다.
도 10은 발명의 광학패턴부의 제2예를 갖는 레진층을 구비한 조명 모듈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C-C'측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D-D'측 단면도이다.
도 13은 발명의 광학패턴부의 제3예를 갖는 레진층을 구비한 조명 모듈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의 E-E'측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F-F'측 단면도이다.
도 16은 발명의 광학패턴부의 제4예로서, 도 5에서 A-A'측 단면도의 예이다.
도 17은 발명의 광학패턴부의 제4예로서, 도 5에서 B-B'측 단면도의 예이다.
도 18의 (a)는 비교 예의 배광 분포이며, (b)(c)(d)는 광학패턴부의 예들에서의 배광 분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발명의 조명 장치를 갖는 차량의 평면도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도 19의 조명 장치가 적용된 차량의 후미등의 예이다.
도 2는 도 1의 레진층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학패턴부의 오목부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학패턴부의 오목부의 변형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조명장치의 제1방향의 측 단면도의 예이다.
도 6은 도 5의 영역 A1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발명의 광학패턴부의 제1예로서, 도 2 및 도 5의 영역 A2를 평면상에서 바라본 예이다.
도 8은 도 5의 A2 영역로서, 도 7의 A-A'의 측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B-B'의 측 단면도의 예이다.
도 10은 발명의 광학패턴부의 제2예를 갖는 레진층을 구비한 조명 모듈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C-C'측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D-D'측 단면도이다.
도 13은 발명의 광학패턴부의 제3예를 갖는 레진층을 구비한 조명 모듈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의 E-E'측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F-F'측 단면도이다.
도 16은 발명의 광학패턴부의 제4예로서, 도 5에서 A-A'측 단면도의 예이다.
도 17은 발명의 광학패턴부의 제4예로서, 도 5에서 B-B'측 단면도의 예이다.
도 18의 (a)는 비교 예의 배광 분포이며, (b)(c)(d)는 광학패턴부의 예들에서의 배광 분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발명의 조명 장치를 갖는 차량의 평면도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도 19의 조명 장치가 적용된 차량의 후미등의 예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이상을 포함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확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는 조명이 필요로 하는 다양한 램프장치, 이를테면 차량용 램프, 가정용 조명장치, 또는 산업용 조명장치에 적용이 가능하다. 예컨대 차량용 램프에 적용되는 경우, 헤드 램프, 차폭등, 방향 지시등, 사이드 미러등, 안개등, 테일등(Tail lamp), 후진등, 제동등, 주간 주행등, 차량 실내 조명, 도어 스카프(door scar),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백업 램프 등에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조명장치는 실내, 실외의 광고장치, 표시 장치, 및 각 종 전동차 분야에도 적용 가능하며, 이외에도 현재 개발되어 상용화되었거나 향후 기술발전에 따라 구현 가능한 모든 조명관련 분야나 광고관련 분야 등에 적용 가능하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평면도의 예이며, 도 2는 도 1의 레진층의 부분 확대도이고, 도 3은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학패턴부의 오목부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학패턴부의 오목부의 변형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1의 조명장치의 제1방향의 측 단면도의 예이며, 도 6은 도 5의 A1 영역의 확대도이고, 도 7은 발명의 광학패턴부의 제1예로서, 도 2 및 도 5의 광학패턴부를 평면상에서 바라본 예이며, 도 8은 도 5의 A2 영역로서, 도 7의 A-A'의 측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7의 B-B'의 측 단면도의 예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명장치(1000)는 발광소자(300)와, 상기 발광소자(300)를 밀봉하며 광학패턴부(600)를 갖는 레진층(5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명장치(1000)는 상기 발광소자(300) 및 상기 레진층(500)의 하부에 배치된 기판(1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명장치(1000)은 상기 기판(100)과 상기 레진층(500) 사이에 배치된 반사 부재(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명장치(1000)는 상기 발광소자(300)로부터 방출된 광을 면광으로 방출할 수 있다.
상기 발광소자(300)는 LED 칩을 갖는 패키지, 또는 LED 칩을 갖는 광원, 또는 가시광을 방출하는 광원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조명장치(1000)는 발광 셀 또는 광원 모듈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조명장치(1000)는 상기 기판(100) 상에 하나의 발광 셀 또는 복수의 발광 셀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100)>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기판(100)은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100)은 예를 들어, 수지 계열의 인쇄회로기판(PCB), 메탈 코아(Metal Core)를 갖는 PCB, 연성(Flexible) 재질의 PCB, 세라믹 재질의 PCB, 또는 FR-4 기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100)이 바닥에 금속층이 배치된 메탈 코아 PCB로 배치될 경우, 발광소자(300)의 방열 효율은 개선될 수 있다.
상기 기판(100)은 상기 발광소자(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기판(100)은 상부에 배선층(미도시)을 포함하며, 상기 배선층은 발광소자(3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발광소자(300)가 상기 기판(100) 상에 복수로 배열된 경우, 복수의 발광소자(300)는 상기 배선층에 의해 직렬, 병렬, 또는 직-병렬로 연결될 수 있는다. 상기 기판(100)은 상기 발광소자(300) 및 레진층(500)의 하부에 배치된 베이스 부재 또는 지지 부재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기판(100)의 상면은 X-Y 평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기판(100)의 상면은 플랫한 평면이거나 곡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기판(100)의 두께는 수직한 방향 또는 Z 방향의 높이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X-Y 평면에서 X 방향은 제1방향일 수 있으며, Y 방향은 제2방향일 수 있다. 상기 Z 방향은 제1 및 제2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발광소자(300)는 상기 기판(100) 상에 제1방향(X)으로 소정 간격(X1)을 갖고 배열될 수 있다. 상기 기판(100)은 길이가 긴 방향으로 직선형 또는 곡선형 바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기판(100)은 상면 및 하면을 통해 광이 투과되는 투광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광성 재질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S(Polystyrene), PI(Polyimid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100)은 상부에 배치된 패드 및 회로 패턴을 보호하는 절연 층이거나 반사 재질의 층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소자(300)>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발광소자(300)는 상기 기판(100) 상에 적어도 제1방향(X)을 따라 배치되며, 제1방향(X)으로 광을 방출하게 된다. 상기 발광소자(300)는 상기 기판(100) 상에서 N행 또는/및 M열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N,M은 2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발광소자(300)는 상기 기판(100) 상에 일정한 간격을 갖는 행렬로 배열되거나, 불규칙한 간격을 갖는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발광소자(300)는 일 방향으로 세기가 가장 높은 광을 방출하게 된다. 상기 발광소자(300)는 광이 출사되는 출사면(381)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출사면(381)은 예컨대, 상기 기판(100)의 수평한 상면에 대해 제3방향으로 또는 수직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출사면(381)은 수직한 평면이거나, 오목한 면 또는 볼록한 면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와 같이, 상기 발광소자(300)는 하부에 하나 또는 복수의 전도성 프레임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전도성 프레임은 리드 프레임이며, 상기 기판(100)과 대면하고, 전도성 접합부재(153)에 의해 기판(100)의 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접합부재(153)는 솔더 재질이거나 금속 재질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발광소자(300)는 기판(100)의 일단으로부터 제1발광소자 및 상기 제1발광소자의 출사 방향에 제2발광소자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발광소자와 제2발광소자는 상기 기판(100)의 타단 방향 또는 제1방향으로 광을 조사하게 된다. 즉, 제1발광소자는 제2발광소자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며, 상기 제2발광소자는 기판(100)의 타단 방향 또는 제1발광소자가 배치된 반대측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게 된다.
도 6과 같이, 상기 발광소자(300)는 몸체 내에 발광 칩(371)을 갖는 소자이거나 발광 칩(371)이 패키징된 패키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 칩(371)은 LED 칩이며, 몸체 내에서 몰딩 부재에 의해 몰딩될 수 있다. 상기 출사면(381)는 상기 몰딩 부재의 표면일 수 있다. 상기 몰딩 부재는 실리콘 또는 에폭시와 같은 투명한 수지재질일 수 있다. 상기 발광 칩(371)은 청색, 적색, 녹색, 자외선(UV), 적외선 중 적어도 하나를 발광하는 LED 칩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발광소자(300)는 백색, 청색, 적색, 녹색, 적외선 중 적어도 하나를 발광할 수 있다. 상기 발광소자(300)는 바닥 부분이 상기 기판(1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사이드 뷰(side view) 타입일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다른 예로서, 상기 발광소자(300)는 LED 칩이거나 탑뷰 패키지일 수 있다.
상기 발광소자(300)의 출사면(381)은 발광소자(300)의 상면이 아닌 적어도 한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출사면(381)은 상기 발광소자(300)의 측면 중에서 기판(100)에 인접한 측면이거나 기판(100)의 상면에 수직한 측면일 수 있다. 상기 출사면(381)은 상기 발광소자(300)의 바닥 면과 상면 사이의 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1방향(X)으로 가장 높은 세기의 광을 방출하게 된다.
상기 발광소자(300)의 출사면(381)을 통해 출사된 일부 광은 상기 기판(100)의 상면에 대해 평행한 방향으로 진행하거나, 반사 부재(400)에 의해 반사되거나, 레진층(500)의 상면 방향으로 진행될 수 있다. 상기 발광소자(300)의 두께는 예컨대, 3mm 이하 예컨대, 0.8mm 내지 2mm의 범위일 수 있다. 상기 발광소자(300)의 제2방향의 길이(k1)는 상기 발광소자(300)의 두께의 1.5배 이상일 수 있다. 이러한 발광소자(300)의 광 분포를 보면, ±Z 방향의 광 지향각은 ±Y 방향의 광 지향각이 더 넓을 수 있다. 상기 발광소자(300)의 제2방향(Y)의 광 지향각은 110도 이상 예컨대, 120도 내지 160도 또는 140도 내지 170도의 범위일 수 있다. 상기 발광소자(300)의 제3방향(Z)의 광 지향각은 110도 이상 예컨대, 120도 내지 140도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반사 부재(400)>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반사 부재(400)는 상기 기판(100)의 상부에 별도로 배치된 층이거나 상기 기판(100)의 상부를 보호하는 층일 수 있다. 상기 반사 부재(400)는 예컨대, 상기 기판(100)과 상기 레진층(5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반사 부재(400)는 금속 재질 또는 비 금속 재질을 갖는 필름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반사 부재(400)는 상기 기판(100)의 상면에 접착될 수 있다. 상기 반사 부재(400)는 상기 기판(100)의 상면 면적보다 작은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반사 부재(400)는 상기 기판(100)의 에지로부터 이격될 수 있으며, 상기 이격된 영역에 레진층(500)이 상기 기판(100)에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반사 부재(400)의 에지 부분이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반사 부재(400)는 상면에 도트형 반사 패턴이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도 6과 같이, 상기 반사 부재(400)는 상기 발광소자(300)의 하부가 배치되는 개구부(4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사 부재(400)의 개구부(410)에는 상기 기판(100)의 상면이 노출되며 상기 발광소자(300)의 프레임이 본딩되는 부분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410)의 크기는 상기 발광소자(300)의 사이즈와 같거나 크게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반사 부재(400)는 상기 기판(100)의 상면에 접촉되거나, 상기 레진층(500)과 상기 기판(100) 사이에 의해 접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반사 부재(400)는 상기 기판(100)의 상면에 고 반사 재질이 코팅된 경우, 제거될 수 있다.
상기 반사 부재(400)는 상기 발광소자(300)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반사 부재(400)의 두께는 0.2mm±0.02mm의 범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반사 부재(400)의 개구부(410)를 통해 상기 발광소자(300)의 하부가 관통될 수 있고 상기 발광소자(300)의 상부는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발광소자(300)의 출사면(381)은 상기 반사 부재(400)의 상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반사 부재(400)는 금속성 재질 또는 비 금속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성 재질은 알루미늄, 은, 금과 같은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 금속성 재질은 플라스틱 재질 또는 수지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지 재질은 실리콘 또는 에폭시 내에 반사 재질 예컨대, TiO2, Al2O3, SiO2와 같은 금속 산화물이 첨가될 수 있다. 상기 반사 부재(400)는 단층 또는 다층으로 구현될 수 있고, 이러한 층 구조에 의해 광 반사 효율을 개선시켜 줄 수 있다.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반사 부재(400)는 입사되는 광을 반사시켜 줌으로써, 광이 균일한 분포를 출사되도록 광량을 증가시켜 줄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반사 부재(400)는 상기 기판(100) 상에서 제거될 수 있다.
<레진층(500)>
상기 레진층(500)은 상기 기판(1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레진층(500)은 상기 기판(100)과 대면하거나 접착될 수 있다. 상기 레진층(500)은 상기 기판(100)의 상면 전체 또는 일부 영역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레진층(500)의 하면 면적은 상기 기판(100)의 상면 면적과 동일하거나 상기 기판(100)의 상면 면적의 80%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레진층(500)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광을 가이드 또는 확산시켜 줄 수 있다. 상기 레진층(500)은 UV 경화 수지 재질을 포함하여, 도광판 대신 사용할 수 있고, 상기 UV 경화 수지 재질은 굴절률의 조절 및 두께의 조절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레진층(500)은 올리고머를 주 재료에로 사용하며, IBOA, 희석용 모노모와 GMA를 혼합하여, 경도, 내열, 투과율을 조절할 수 있고 접착성 및 산화 방지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 레진층(500)은 광개시제와 광안정제를 포함시켜 경화 조절 및 변색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레진층(500)은 레진으로 광을 가이드하는 층으로 제공되므로, 글래스의 경우에 비해 얇은 두께로 제공될 수 있고 연성의 플레이트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레진층(500)은 발광소자(300)로부터 방출된 점광을 선광 또는 면광 형태로 방출할 수 있다. 상기 레진층(500) 내에는 비드(bead, 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광을 확산시켜 줄 수 있다.
상기 레진층(500)의 상부는 상기 발광소자(300) 상에 배치되므로, 상기 발광소자(300)를 보호할 수 있고, 상기 발광소자(300)로부터 방출된 광의 손실을 줄일 수 있다. 상기 발광소자(300)는 상기 레진층(500)의 하부에 매립될 수 있다.
상기 레진층(500)은 상기 발광소자(300)의 표면에 접촉될 수 있고 상기 발광소자(300)의 출사면(381)과 접촉될 수 있다. 상기 레진층(500)의 일부는 상기 반사 부재(400)의 개구부(410)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레진층(500)의 일부는 상기 반사 부재(400)의 개구부(410)를 통해 상기 기판(100)의 상면에 접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레진층(500)의 일부가 상기 기판(100)과 접촉됨으로써, 상기 반사 부재(400)를 상기 레진층(500)과 상기 기판(100) 사이에 고정시켜 줄 수 있다.
상기 레진층(500)의 두께는 5mm 이하 예컨대, 2mm 내지 5mm 범위일 수 있다. 상기 레진층(500)의 두께가 상기 범위보다 두꺼울 경우 광도 또는 차광 특성이 저하될 수 있고 모듈 두께의 증가로 인해 연성한 모듈로 제공하는 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상기 레진층(500)의 두께가 상기 범위보다 작은 경우, 균일한 광도의 면광을 제공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상기 레진층(500)의 제1방향(X)의 길이는 상기 기판(100)의 제1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으며, 제2방향(Y)의 길이는 상기 기판(100)의 제2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레진층(500)은 상기 기판(100)의 제1 및 제2방향의 길이의 80% 이상 예컨대, 80% 내지 100%의 범위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레진층(500)의 각 측면은 상기 기판(100)의 각 측면과 동일 평면이거나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레진층(500)은 복수의 발광소자(300)를 커버하는 크기로 제공되거나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레진층(500)은 각 발광소자(300)를 커버하는 크기로 분리될 수 있으며, 각 발광소자(300) 및 각 레진층(500)을 갖는 발광 셀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레진층(500)은 광학패턴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학패턴부(600)는 입사되는 광을 반사 또는 굴절시켜 주어, 핫 스팟을 억제시켜 줄 수 있다.
<광학패턴부(600)>
도 1, 도 2 및 도 5와 같이, 상기 광학패턴부(600)는 상기 레진층(500)의 상면에 오목한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오목한 패턴은 레진층(500)의 상면에서 소정 깊이를 갖고 배열된 오목부(60)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학패턴부(600)는 상기 발광소자(300)들의 상부에 각각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레진층(500)의 상면에서 상기 기판(100)을 향해 형성된 오목부(60)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목부(60)들 사이에는 볼록부(70)들이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광학패턴부(600) 각각은 발광소자(300)들이 배치된 방향(예, X)을 따라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광학패턴부(600)들 간의 간격(X2)는 상기 발광소자(300)들 간의 간격(X1)보다는 작을 수 있다. 상기 광학패턴부(600)들 각각은 상기 레진층(500)의 외 측면 또는 에지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상기 광학패턴부(600)의 제1부는 상기 발광소자(300)와 수직 방향 또는 제3 방향(Z)으로 중첩되는 영역일 수 있다. 상기 광학패턴부(600)의 제2부는 상기 제1부의 주변 영역이며, 상기 제1부를 기준으로 광이 출사되는 상부 영역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광학패턴부(600)는 상기 복수의 발광소자(300)들 각각의 상부에서 입사되는 광을 굴절 또는 반사시켜 주어, 발광소자(300)의 상부 각각에서 핫 스팟을 억제할 수 있다.
도 2 및 도 7과 같이, 상기 광학패턴부(600)들 각각은 제2방향(Y)의 최대 길이(b2)가 제1방향(X)의 최대 길이(b1)보다 클 수 있다. 상기 광학패턴부(600)들 각각은 중심에서 장축 방향(예, 제2방향)으로 반경이 10mm 이하이며, 단축 방향의 반경이 6mm 이하인 영역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광학패턴부(600)의 제1방향(X)의 최대 길이(b1)는 8mm 이상 예컨대, 8mm 내지 12mm의 범위일 수 있다. 상기 광학패턴부(600)의 제2방향(Y)의 최대 길이(b2)는 10mm 이상 예컨대, 10mm 내지 20mm의 범위 또는 12mm 내지 20mm의 범위일 수 있다. 상기 광학패턴부(600)의 각각은 발광소자(300)의 지향각 특성 즉, 광축을 기준으로 제2방향(Y)으로의 지향각이 제3방향(Z)의 지향각보다 큰 특성에 대응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광학패턴부(600)는 발광소자(300)의 전방에서 광축을 기준으로 제3방향(Z)으로 진행되는 광을 효과적으로 굴절 또는 반사시킬 수 있고, 제2방향(Y)으로 진행하는 광을 효과적으로 굴절 또는 반사시켜 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광학패턴부(600)는 입사되는 광의 직진성을 낮추어 광의 확산 효율을 개선시켜 줄 수 있다.
도 2와 같이, 상기 광학패턴부(600) 중에서 상기 발광소자(300)의 상부에 중첩된 제1부의 폭(k2)는 상기 발광소자(300)의 길이(k1)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발광소자(300)의 상부로 진행되는 광을 효과적으로 굴절시켜 주어, 다른 방향으로 확산시켜 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광소자(300)들이 제1방향(X)으로 배열된 경우, 제1발광소자 및 제2발광소자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광학패턴부(600)들이 제1방향(X)으로 배열된 경우, 제1광학패턴부 및 제2광학패턴부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제1발광소자는 전방을 향해 또는 제2발광소자의 후방을 향해 광을 조사하며, 상기 제2발광소자는 전방을 향해 광을 조사한다. 상기 제1광학패턴부는 상기 레진층(500)의 상면에서 상기 제1발광소자의 상면 및 전방 상부를 커버하며, 상기 제2광학패턴부는 상기 레진층(500)의 상면에서 상기 제2발광소자의 상면 및 전방 상부를 커버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광학패턴부는 상기 제1 및 제2발광소자 각각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굴절 또는 반사시켜 확산시켜 줄 수 있다.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장치(1000)는 레진층(500)의 표면에 요철 패턴을 갖는 광학패턴부(600)을 배치함으로써, 레진층(500)의 상부에 별도로 차광부재를 형성하기 위한 층을 구비하거나, 차광부재를 갖는 층을 레진층과 접착하는 접착제층을 구비하는 구조를 제거할 수 있다. 광의 확산을 위해, 상기 레진층(500) 상에 확산 플레이트를 더 구비하거나, 내부 또는 외부 렌즈를 더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명 장치(1000)의 두께를 얇게 제공할 수 있으며, 굴절된 광이 광의 지향 방향으로 진행하여, 지향 분포를 개선시켜 줄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상기 광학패턴부(600)는 복수의 오목부(60)를 포함하며, 상기 오목부(60)의 탑뷰 형상은 다각형 형상(예, 삼각형, 사각형 또는 오각형 등)이거나 원 형상 또는 타원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오목부(60)들 각각의 상면 면적은 서로 동일한 크기 또는 서로 다른 크기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오목부(60)들 각각의 상면 면적은 영역에 따라 서로 동일한 크기로 배치되고, 서로 다른 영역에서 서로 다른 크기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오목부(60)들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으며, 상기 간격은 오목부(60)들의 제1 및 제2방향(X,Y)의 길이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오목부(60)들 간의 간격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오목부(60)들 간의 간격은 일정한 간격을 갖는 영역과 상기 간격보다 작거나 큰 간격을 갖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목부(60)들은 제1방향(X)의 간격과 제2방향(Y)의 간격이 서로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도 2 및 도 3과 같이, 상기 광학패턴부(600)는 제1방향(X)으로 오목부(60)와 볼록부(70)가 교대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광학패턴부(600)는 제2방향(Y)으로 오목부(60)와 볼록부(70)가 교대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오목부(60)들 각각의 측 단면은 다각형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오목부(60)들은 제1방향(X) 또는/및 제2방향(Y)의 폭이 깊이(h1)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오목부(60)들은 깊이(h1)가 깊은 기둥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오목부(60)는 상부 폭과 하부 폭이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오목부(60)의 바닥(6)은 평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목부(60)들 사이의 볼록부(70)의 상면(7)은 일정한 폭을 갖거나 영역에 따라 서로 다른 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볼록부(70)들은 서로 연결되며, 상기 오목부(60)들은 상기 볼록부(70)들의 내부 영역에서 하면 방향으로 함몰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오목부(60)는 입사된 광을 반사 또는 굴절시키고, 확산시켜 줄 수 있다. 상기 볼록부(70)는 입사된 광을 반사 또는 굴절시키거나, 상부 방향으로 가이드하여, 확산시켜 줄 수 있다.
도 2 및 도 4와 같이, 상기 광학 패턴부(600)의 오목부(60A)들 각각의 측 단면은 기둥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오목부(60A)들의 하부는 반구 형상일 수 있으며, 그 바닥(6A)은 오목한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목부(60A)들은 제1방향 또는/및 제2방향의 너비가 깊이(h1)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오목부(60A)는 상부 폭이 하부 최소 폭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오목부(60A)들 사이의 볼록부(70A)의 상면(7A)은 일정한 폭을 갖거나 영역에 따라 서로 다른 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볼록부(70A)들은 서로 연결되며, 상기 오목부(60A)들은 상기 볼록부(70A)의 영역 내에서 하면 방향으로 함몰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오목부(60A)의 곡면의 곡률은 0.08 이상 예컨대, 0.08 내지 0.12의 범위일 수 있다. 이러한 곡률을 갖는 곡면에 의해 입사되는 광의 출사 효율을 개선시켜 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오목부(60A)의 곡률은 바닥(6A)과 측면 사이의 곡률, 상기 오목부(60A) 내의 측면들 사이의 모서리 부분의 곡률일 수 있다. 상기 오목부(60A)의 폭은 0.25mm 이상일 수 있으며, 예컨대 0.25mm 내지 0.45mm의 범위일 수 있다.
상기 오목부(60A)의 오목한 곡면에서 입사된 광이 굴절되는 각도는 수학식 1과 같다.
90-θ4= asin(1.47sin(90 - θ3)) -수학식 1
47.1° < 90-θ3< 90° - 수학식 2
0° < 90-θ3< 47.1 °-수학식 3
여기서, 1.47은 레진층(500)의 굴절률이다. 상기 각도(θ3)는 오목부(60A)의 곡면을 지나는 접선에 대해 입사되는 광의 각도이며, 상기 각도(θ4)는 오목부(60A)의 곡면을 지나는 접선에 대해 굴절되는 광의 각도이며, 상기 각도(θ5)는 상기 오목부(60A)를 투과되는 광이 레진층(500)의 상면과의 각도이다. 상기 각도(θ5)는 35±15도의 범위일 수 있다.
상기 수학식 2의 조건은 오목부(60A)에 입사되는 광이 전반사되는 각도이며, 광의 투과율을 낮추어 줄 수 있다. 상기 수학식 3의 조건은 오목부(60A)에 입사되는 광이 투과되는 각도이며, 광이 굴절되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상기 굴절되어 투과되는 광과 레진층(500)의 상면 사이의 각도(θ5)에 의해 발광소자(300)에서 방출되는 광이 전 방향으로 방출되는 효율이 증가될 수 있어, 조명 장치의 배광 방향성을 가질 수 있다.
즉, 차량 램프의 후방에서 측면에 조명 장치가 배치된 경우, 상기 발광소자(300)에서 방출된 광이 상기 각도(θ5)로 방출될 수 있다. 따라서, 차량 램프의 후방 측면에 배치된 조명 장치는 후 방향을 항해 진행되 배광 분포의 방향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와 같이, 광학패턴부(600)의 오목부(60,60A)의 깊이(h1)는 0.25mm 이상일 수 있으며, 예컨대 0.25mm 내지 0.8mm의 범위일 수 있다. 상기 광학패턴부(600)의 오목부(60,60A)의 깊이(h1)는 일정하거나, 서로 다른 영역에 따라 다르게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영역에 따라 다른 깊이(h1)는, 상기 발광소자(300)에 인접한 제1영역은 깊고, 발광소자(300)에서 먼 제2영역(들)은 더 작은 깊이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오목부(60,60A)는 에칭에 의해 형성되거나, 레진층(500)의 몰딩 시 함께 형성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는 발명의 제1예에 따른 광학패턴부를 나타낸 구성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광학패턴부(600)는 제2방향(Y)의 최대 길이(b2)는 제1방향(X)의 최대 길이(b1)보다 클 수 있으며, 예컨대 제2방향(Y)의 최대 길이(b2)는 상기 제1방향(X)의 최대 길이(b1)보다 120% 이상 예컨대, 120% 내지 180%의 범위일 수 있다. 상기 광학패턴부(600)의 최 외곽 패턴들을 연결한 영역의 면적은 상기 발광소자(300)의 상면 면적의 6배 이상 예컨대, 6배 내지 18배의 범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광학패턴부(600)는 상기 발광소자(300)의 상부 및 그 전방 영역을 커버하여, 입사된 광을 반사 또는 굴절시켜 줄 수 있다.
상기 광학패턴부(600)는 제1방향(X)으로 배열된 복수의 패턴부(610,620,630,640)의 폭(w1,w2,w3,w4)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패턴부(610,620,630,640)는 제2방향(Y)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복수의 패턴부(610,620,630,640)는 서로 동일한 깊이(h1)로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및 제2방향(X,Y)으로 인접한 오목부(61,62,63,64) 간의 피치(P1,P2,P3,P4)는 동일하거나 발광소자(300)의 출사면(381)로부터 멀어질수록 더 넓어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패턴부(610,620,630,640) 각각은 오목부(61,62,63,64) 및 볼록부(71,72,73,74)를 포함하며, 상기 오목부(61,62,63,64)와 볼록부(71,72,73,74)는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패턴부(610,620,630,640)들 사이의 중간 볼록부(77,78,79)들은 인접한 오목부(61,62,63,64)의 폭(w1,w2,w3,w4) 중 적어도 둘 보다는 크고, 인접한 볼록부(71,72,73,74)들의 폭 중 적어도 하나의 폭과 같거나 클 수 있다.
상기 광학패턴부(600)는 발광소자(300)가 놓이는 위치의 중심에서 제1방향(X)으로 제1패턴부(610), 제2패턴부(620), 제3패턴부(630) 및 제4패턴부(640)의 순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광학패턴부(600)는 발광소자(300)가 놓이는 위치 또는 광학패턴부(600)의 중심에서 제2방향(Y) 양측으로, 제1패턴부(610), 제2패턴부(620), 제3패턴부(630) 및 제4패턴부(640)의 순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4패턴부(610,620,630,640) 각각의 사이에 중간 볼록부(77,78,79)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4패턴부 (610,620,630,640) 각각은 오목부 (61,62,63,64)와 볼록부 (71,72,73,74)가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패턴부(610)는 복수의 제1오목부(61)와 복수의 제1볼록부(71)를 포함하며, 상기 제1오목부(61)의 폭(w1)이 상기 제1오목부(61)들 사이에 배치된 제1볼록부(71)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2패턴부(620)는 복수의 제2오목부(62)와 복수의 제2볼록부(72)를 포함하며, 상기 제2오목부(62)의 폭(w2)이 상기 제2오목부(62)들 사이에 배치된 제2볼록부(72)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3패턴부(630)는 복수의 제3오목부(63)와 복수의 제4볼록부(73)를 포함하며, 상기 제3오목부(63)의 폭(w3)이 상기 제3오목부(63)들 사이에 배치된 제3볼록부(73)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4패턴부(640)는 복수의 제4오목부(64)와 적어도 하나의 제4볼록부(74)를 포함하며, 상기 제4오목부(64)의 폭이 상기 제4오목부(64)들 사이에 배치된 제4볼록부(74)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발광소자(300)의 중심과 중첩되는 위치를 기준으로, 제1방향(X)으로 상기 제1오목부 내지 상기 제4오목부(61,62,63,64)의 폭(w1,w2,w3,w4)은 점차 작아질 수 있다. 상기 발광소자(300)의 중심과 중첩되는 위치 또는 광학패턴부(600)의 중심에서, 제2방향(Y)의 양측으로 상기 제1오목부 내지 상기 제4오목부(61,62,63,64)의 폭(w1,w2,w3,w4)은 점차 작아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내지 제4오목부(61,62,63,64) 각각의 폭은 w1>w2>w3>w4를 만족할 수 있다. 상기 폭(w1)은 0.4mm 이상 예컨대, 0.4mm 내지 0.6mm 범위이며, 상기 폭(w2)는 0.4mm 미만 예컨대, 0.32mm 내지 0.39mm 범위이며, 상기 폭(w3)는 0.3mm 이하 예컨대, 0.29mm 내지 0.38mm 범위이며, 상기 폭(w4)는 0.2mm 이상 예컨대, 0.2mm 내지 0.28mm 범위일 수 있다. 상기 제1오목부(61)의 폭(w1)은 상기 제4오목부(64)의 폭(w4)의 2배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중간 볼록부(77,78,79)의 폭(d1,d2,d3)는 폭 d1<d2<d3를 만족할 수 있으며, 최소 0.01mm 이상이며, 최대 0.5mm 이하일 수 있다. 즉, 최대 폭(d3)는 0.4mm 내지 내지 0.5mm의 범위이며, 최소 폭(d1)은 0.01 내지 0.2mm의 범위일 수 있다. 이러한 최소 폭(d1)은 볼록부(77)들 사이에 오목부들이 에칭되거나 성형될 수 있는 범위일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4오목부(61,62,63,64)의 깊이(h1)는 0.25mm 이상일 수 있으며, 예컨대 0.25mm 내지 0.35mm의 범위일 수 있다. 상기 광학패턴부(600)의 상면 면적이 100%로 일 때, 상기 제1패턴부(610)의 상면 면적은 상기 광학패턴부(600)의 상면 면적 대비 40%±5%의 범위일 수 있으며, 상기 제2패턴부(620)의 상면 면적은 상기 광학패턴부(600)의 상면 면적 대비 25%±4%의 범위일 수 있으며, 상기 제3패턴부(630)의 상면 면적은 상기 광학패턴부(600)의 상면 면적 대비 20%±3%의 범위일 수 있으며, 상기 제4패턴부(640)의 상면 면적은 상기 광학패턴부(600)의 상면 면적 대비 15%±3%의 범위일 수 있다.
제1예는 복수의 패턴부(610,620,630,640)를 갖는 광학패턴부(600)의 깊이(h1)를 동일하게 하고, 발광소자(300)의 중심과 중첩된 위치를 기준으로 먼 오목부(61,62,63,64)를 갖는 패턴부일수록 점차 작은 폭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발광소자(300)에 인접한 영역에는 제1패턴부(610)의 오목부의 면적이 가장 크고, 먼 영역일수록 오목부의 면적이 줄어들 수 있어, 광 세기에 비례하여 광을 확산할 수 있는 패턴들을 배치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2는 제2예에 따른 광학패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레진층(500)의 상부에 배치된 광학패턴부(600A)는 제2방향(Y)의 최대 길이(b4)는 제1방향(X)의 최대 길이(b3)보다 클 수 있으며, 예컨대 제2방향(Y)의 최대 길이(b4)는 상기 제1방향(X)의 최대 길이(b3)보다 200% 이상 예컨대, 200% 내지 330%의 범위일 수 있다. 상기 제1방향(X)의 최대 길이(b3)는 발광소자(300)의 길이(k1, 도 2)와 같거나 클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방향(X)의 최대 길이(b3)는 3.5mm 이하 예컨대, 2.5mm 내지 3.5mm의 범위일 수 있으며, 상기 제2방향(Y)의 최대 길이(b4)는 7mm 이상 예컨대, 7mm 내지 9mm의 범위일 수 있다. 상기 광학패턴부(600)의 최 외곽 패턴들을 연결한 영역의 면적은 상기 발광소자(300)의 상면 면적의 1배 이상 예컨대, 1배 내지 3배의 범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광학패턴부(600A)는 상기 발광소자(300)의 상부 및 그 전방 영역을 커버하여, 입사된 광을 반사 또는 굴절시켜 줄 수 있다.
상기 광학패턴부(600A)는 제1방향(X)으로 배열된 복수의 패턴부(610,620)의 폭(w1,w2)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패턴부(610,620)는 제2방향(Y)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복수의 패턴부(610,620)는 서로 동일한 깊이(h2)로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및 제2방향(X,Y)으로 인접한 오목부(62) 간의 피치(p1,p2)는 동일하거나, 점차 넓어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패턴부(610,620) 각각은 오목부(61,62) 및 볼록부(71,72)를 포함하며, 상기 오목부(61,62)와 볼록부(71,72)는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패턴들 사이의 중간 볼록부(77)는 인접한 오목부(61,62)의 폭(w1,w2)보다는 크고, 인접한 볼록부(71)들 적어도 하나의 폭과 같거나 클 수 있다.
상기 광학패턴부(600A)는 제1방향으로 제1패턴부(610) 및 제2패턴부(620)가 배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패턴부(610,620) 각각의 사이에 중간 볼록부(77)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패턴부(61,620) 각각은 오목부(61,62)와 볼록부(71,72)가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패턴부(610)는 복수의 제1오목부(61)와 복수의 제1볼록부(71)를 포함하며, 상기 제1오목부(61)의 폭(w1)이 상기 제1오목부(61)들 사이에 배치된 제1볼록부(71)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2패턴부(620)는 복수의 제2오목부(62)와 복수의 제2볼록부(72)를 포함하며, 상기 제2오목부(62)의 폭(w2)이 상기 제2오목부(62)들 사이에 배치된 제2볼록부(72)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상기 발광소자(300)의 중심과 중첩되는 위치를 기준으로, 제1방향(X)으로 상기 제1오목부(61) 및 상기 제2오목부(62)의 폭(w1,w2)은 점차 작아질 수 있다. 상기 발광소자(300)의 중심과 중첩되는 위치 또는 광학패턴부(600A)의 중심에서, 제2방향(Y) 양측으로 배열된 상기 제1오목부(61) 및 상기 제2오목부(62)의 폭(w1>w2)은 점차 작아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및 제2오목부(61,62) 각각의 폭은 w1>w2를 만족할 수 있다. 상기 폭(w1)은 0.4mm 이상 예컨대, 0.4mm 내지 0.6mm 범위이며, 상기 폭(w2)는 0.4mm 미만 예컨대, 0.25mm 내지 0.39mm 범위일 수 있다. 상기 제1오목부(61)의 폭(w1)은 상기 제2오목부(62)의 폭(w2)의 2배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중간 볼록부(77)의 폭(d1)는 0.01mm 내지 0.5mm 범위일 수 있으며,상기 제1 및 제2볼록부(71,72)의 폭보다는 클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오목부(61,62)의 깊이(h2)는 0.4mm 이상일 수 있으며, 예컨대 0.4mm 내지 0.5mm의 범위일 수 있다. 상기 광학패턴부(600A)의 상면 면적이 100%로 일 때, 상기 제1패턴부(610)의 상면 면적은 상기 광학패턴부(600A)의 상면 면적 대비 80%±5%의 범위일 수 있으며, 상기 제2패턴부(620)의 상면 면적은 상기 광학패턴부(600A)의 상면 면적 대비 20%±4%의 범위일 수 있다.
제2예는 복수의 패턴부(610,620)를 갖는 광학패턴부(600A)의 깊이(h2)를 상기 제1예의 깊이(h1)보다 깊고 서로 동일하게 하고, 발광소자(300)의 중심과 중첩된 위치를 기준으로 멀어질수록 점차 작은 폭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발광소자(300)에 인접한 영역에는 패턴부(610,620)의 제1오목부(61)의 면적이 가장 크고, 먼 영역일수록 제2오목부(62)의 면적이 줄어들 수 있어, 광 세기에 비례하여 광을 확산할 수 있는 패턴들을 배치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5는 제3예에 따른 광학패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레진층(500)의 상부에 배치된 광학패턴부(600B)는 제2방향(Y)의 최대 길이(b6)는 제1방향(X)의 최대 길이(b5)보다 클 수 있으며, 예컨대 제2방향(Y)의 최대 길이(b6)는 상기 제1방향(X)의 최대 길이(b5)보다 100% 이상 예컨대, 100% 내지 150%의 범위일 수 있다. 상기 제1방향(X)의 최대 길이(b5)는 발광소자(300)의 길이(k1, 도 2)의 80% 이상 예컨대, 80% 내지 110%의 범위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방향(X)의 최대 길이(b5)는 2.5mm 이하 예컨대, 1.8mm 내지 2.5mm의 범위일 수 있으며, 상기 제2방향(Y)의 최대 길이(b6)는 7mm 이상 예컨대, 7mm 내지 9mm의 범위일 수 있다. 상기 광학패턴부(600B)의 최 외곽 패턴들을 연결한 영역의 면적은 상기 발광소자(300)의 상면 면적의 0.5배 이상 예컨대, 0.5배 내지 1.5배의 범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광학패턴부(600B)는 상기 발광소자(300)의 상부 및 그 전방 영역을 커버하여, 입사된 광을 반사 또는 굴절시켜 줄 수 있다.
상기 광학패턴부(600B)는 제1방향(X)으로 배열된 복수의 패턴부(610,620)의 폭(w1,w2)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패턴부(610,620)는 제2방향(Y)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복수의 패턴부(610,620)는 서로 동일한 깊이(h3)로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및 제2방향(X,Y)으로 인접한 오목부(62) 간의 피치(p1)는 동일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패턴부(610,620) 각각은 오목부(61,62) 및 볼록부(71,72)를 포함하며, 상기 오목부(61,62)와 볼록부(71,72)는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패턴부(610,620)들 사이의 중간 볼록부(77)는 인접한 오목부(61,62) 중 적어도 하나의 폭(w1)보다는 작고, 인접한 볼록부(71,72)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상기 광학패턴부(600B)는 제1방향으로 제1패턴부(610) 및 제2패턴부(620)가 배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패턴부(610,620) 각각의 사이에 중간 볼록부(77)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패턴부(610,620) 각각은 제1 및 제2방향으로 오목부(61,62)와 볼록부(71,72)가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패턴부(610)는 복수의 제1오목부(61)와 복수의 제1볼록부(71)를 포함하며, 상기 제1오목부(61)의 폭(w1)이 상기 제1오목부(61)들 사이에 배치된 제1볼록부(71)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2패턴부(620)는 복수의 제2오목부(62)와 복수의 제2볼록부(72)를 포함하며, 상기 제2오목부(62)의 폭(w2)이 상기 제2오목부(62)들 사이에 배치된 제2볼록부(72)의 폭과 같거나 다를 수 있다.
상기 발광소자(300)의 중심과 중첩되는 위치를 기준으로, 제1방향(X)으로 상기 제1오목부(61) 및 상기 제2오목부(62)의 폭(w1,w2)은 점차 작아질 수 있다. 상기 발광소자(300)의 중심과 중첩되는 위치 또는 광학패턴부(600B)의 중심에서, 제2방향(Y) 양측으로 배열된 상기 제1오목부(61) 및 상기 제2오목부(62)의 폭(w1>w2)은 점차 작아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및 제2오목부(61,62) 각각의 폭은 w1>w2를 만족할 수 있다. 상기 폭(w1)은 0.4mm 이상 예컨대, 0.4mm 내지 0.6mm 범위이며, 상기 폭(w2)는 0.4mm 미만 예컨대, 0.25mm 내지 0.39mm 범위일 수 있다. 상기 제1오목부(61)의 폭(w1)은 상기 제2오목부(62)의 폭(w2)의 2배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중간 볼록부(77)의 폭(d1)는 0.01mm 내지 0.5mm 범위일 수 있으며,상기 제1 및 제2볼록부(71,72)의 폭보다는 클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오목부(61,62)의 깊이(h3)는 0.55mm 이상일 수 있으며, 예컨대 0.55mm 내지 0.65mm의 범위일 수 있다. 상기 광학패턴부(600B)의 상면 면적이 100%로 일 때, 상기 제1패턴부(610)의 상면 면적은 상기 광학패턴부(600B)의 상면 면적 대비 85%±5%의 범위일 수 있으며, 상기 제2패턴부(620)의 상면 면적은 상기 광학패턴부(600B)의 상면 면적 대비 15%±4%의 범위일 수 있다.
제3예는 복수의 패턴부(610,620)를 갖는 광학패턴부(600B)의 깊이(h3)를 상기 제2예의 깊이(h2)보다 깊고 서로 동일하게 하고, 발광소자(300)의 중심과 중첩된 위치를 기준으로 멀어질수록 점차 작은 폭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발광소자(300)에 인접한 영역에는 패턴부(610,620)의 제1오목부(61)의 면적이 가장 크고, 먼 영역에 위치한 제2오목부(62)의 면적과 같이 줄어들 수 있어, 광 세기에 비례하여 광을 확산할 수 있는 패턴들을 배치할 수 있다.
도 16 및 도 17은 제4예에 따른 광학패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광학패턴부(600C)는 제2방향(Y)의 최대 길이(b2)는 제1방향(X)의 최대 길이(b1)보다 클 수 있으며, 예컨대 제2방향(Y)의 최대 길이(b2)는 상기 제1방향(X)의 최대 길이(b1)보다 120% 이상 예컨대, 120% 내지 180%의 범위일 수 있다. 상기 광학패턴부(600C)의 최 외곽 패턴들을 연결한 영역의 면적은 상기 발광소자(300)의 상면 면적의 6배 이상 예컨대, 6배 내지 18배의 범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광학패턴부(600C)는 상기 발광소자(300)의 상부 및 그 전방 영역을 커버하여, 입사된 광을 반사 또는 굴절시켜 줄 수 있다.
상기 광학패턴부(600C)는 제1방향(X)으로 배열된 복수의 패턴부(610,620,630,640)의 폭(w1,w2,w3,w4)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패턴부(610,620,630,640)는 제2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복수의 패턴부(610,620,630,640)는 서로 다른 깊이(h1,h2,h3,h4)로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및 제2방향으로 인접한 오목부(62) 간의 피치(P1,P2,P3,P4)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패턴부(610,620,630,640) 각각은 오목부(61,62,63,64) 및 볼록부(71,72,73,74)를 포함하며, 상기 오목부(61,62,63,64)와 볼록부(71,72,73,74)는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패턴부(610,620,630,640)들 사이의 중간 볼록부(77,78,79)들은 인접한 제1 및 제2오목부(61,62)의 폭(w1,w2)보다는 작은 폭(d1,d2,d3)을 갖고, 인접한 제3 및 제4오목부(63,64)의 폭(w3,w4)보다는 큰 폭(d1,d2,d3)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중간 볼록부(77,78,79)의 폭(d1,d2,d3)은 제1 및 제2패턴부(610,620) 사이의 제1중간 볼록부(77)의 폭(d1)이 가장 작고, 제3 및 제4패턴부(630,640) 사이의 제3중간 볼록부(79)의 폭(d3)이 가장 클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오목부(61,62,63,64)의 폭(w1,w2,w3,w4)와 피치(p1,p2,p3,p4)를 고려하여, 중간 볼록부(77,78,79)의 폭(d1,d2,d3)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광학패턴부(600C)는 제1방향(X)으로 제1패턴부(610), 제2패턴부(620), 제3패턴부(630) 및 제4패턴부(640)의 순으로 배치되며, 제2방향(Y) 양측으로 제1패턴부(610), 제2패턴부(620), 제3패턴부(630) 및 제4패턴부(640)의 순으로 배치도리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4패턴부(610,620,630,640) 각각의 사이에 중간 볼록부(77,78,79)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4패턴부(610,620,630,640) 각각은 제1 및 제2방향(X,Y)으로 오목부(61,62,63,64)와 볼록부(71,72,73,74)가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패턴부(610)는 복수의 제1오목부(61)와 복수의 제1볼록부(71)를 포함하며, 상기 제1오목부(61)의 폭(w1)이 상기 제1오목부(61)들 사이에 배치된 제1볼록부(71)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2패턴부(620)는 복수의 제2오목부(62)와 복수의 제2볼록부(72)를 포함하며, 상기 제2오목부(62)의 폭(w2)이 상기 제2오목부(62)들 사이에 배치된 제2볼록부(72)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3패턴부(630)는 복수의 제3오목부(63)와 복수의 제3볼록부(73)를 포함하며, 상기 제3오목부(63)의 폭(w3)이 상기 제3오목부(63)들 사이에 배치된 제3볼록부(73)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4패턴부(640)는 복수의 제4오목부(64)와 적어도 하나의 제4볼록부(74)를 포함하며, 상기 제4오목부(64)의 폭(w4)이 상기 제4오목부(64)들 사이에 배치된 제4볼록부(74)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발광소자(300)의 중심과 중첩되는 위치를 기준으로, 제1방향(X)으로 멀어질수록 상기 제1오목부 내지 상기 제4오목부(61,62,63,64)의 폭(w1,w2,w3,w4)은 점차 작아질 수 있다. 상기 발광소자(300)의 중심과 중첩되는 위치 또는 광학패턴부(600C)의 중심에서, 제2방향(Y)의 양측으로 멀어질수록 상기 제1오목부 내지 상기 제4오목부(61,62,63,64)의 폭(w1,w2,w3,w4)은 점차 작아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내지 제4오목부 (61,62,63,64) 각각의 폭은 w1>w2>w3>w4를 만족할 수 있다. 상기 폭(w1)은 0.4mm 이상 예컨대, 0.4mm 내지 0.6mm 범위이며, 상기 폭(w2)는 0.4mm 미만 예컨대, 0.32mm 내지 0.39mm 범위이며, 상기 폭(w3)는 0.3mm 이하 예컨대, 0.29mm 내지 0.38mm 범위이며, 상기 폭(w4)는 0.2mm 이상 예컨대, 0.2mm 내지 0.28mm 범위일 수 있다. 상기 제1오목부의 폭(w1)은 상기 제4오목부의 폭(w4)의 2배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중간 볼록부(77,78,79)의 폭(d1,d2,d3)는 폭 d1<d2<d3를 만족할 수 있으며, 최소 0.01mm 이상이며, 최대 0.5mm 이하일 수 있다. 즉, 최대 폭(d3)는 0.4mm 내지 내지 0.5mm의 범위이며, 최소 폭(d1)은 0.01 내지 0.2mm의 범위일 수 있다. 이러한 최소 폭(d1)은 볼록부(77)들 사이에 오목부들이 에칭되거나 성형될 수 있는 범위일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4오목부 (61,62,63,64) 의 깊이(h1,h2,h3)는 제3 또는 제4오목부(63,64)의 깊이(h1)는 서로 동일하거나 제3오목부(63)가 더 깊을 수 있다. 제3 또는 제4오목부(63,64)의 깊이(h1)는 제1 및 제2오목부(61,62)의 깊이(h3,h2)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1오목부(61)의 깊이(h3)는 제2오목부(62)의 깊이(h2)보다 클 수 있다.
상기 발광소자(300)의 중심과 중첩되는 위치를 기준으로, 제1방향(X)으로 멀어질수록 상기 제1 내지 상기 제4오목부(61,62,63,64)의 깊이(h3,h2,h1)은 점차 작아질 수 있다. 상기 발광소자(300)의 중심과 중첩되는 위치 또는 광학패턴부(600C)의 중심에서, 제2방향(Y)의 양측으로 멀어질수록 상기 제1 내지 상기 제4오목부(61,62,63,64)의 깊이(h3,h2,h1)은 점차 작아질 수 있다.
상기 제3 및 제4오목부(63,64)의 깊이(h1)는 0.25mm 이상일 수 있으며, 예컨대 0.25mm 내지 0.35mm의 범위일 수 있다. 상기 제2오목부(62)의 깊이(h2)는 0.4mm 이상일 수 있으며, 예컨대 0.4mm 내지 0.5mm의 범위일 수 있다. 상기 제1오목부(61)의 깊이(h3)는 0.55mm 이상일 수 있으며, 예컨대 0.55mm 내지 0.65mm의 범위일 수 있다. 상기 광학패턴부(600)의 상면 면적이 100%로 일 때, 상기 제1패턴부(610)의 상면 면적은 상기 광학패턴부(600C)의 상면 면적 대비 40%±5%의 범위일 수 있으며, 상기 제2패턴부(620)의 상면 면적은 상기 광학패턴부(600C)의 상면 면적 대비 25%±4%의 범위일 수 있으며, 상기 제3패턴부(630)의 상면 면적은 상기 광학패턴부(600C)의 상면 면적 대비 20%±3%의 범위일 수 있으며, 상기 제4패턴부(640)의 상면 면적은 상기 광학패턴부(600C)의 상면 면적 대비 15%±3%의 범위일 수 있다.
제4예는 복수의 패턴부 (610,620,630,640)를 갖는 광학패턴부(600C)의 깊이(h1,h2,h3)가 발광소자(300)의 중심과 중첩된 위치에서 가장 깊고 멀어질수록 점차 작은 깊이로 제공되며, 발광소자(300)의 중심과 중첩된 위치를 기준으로 멀어질수록 점차 작은 폭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발광소자(300)에 인접한 영역에는 제1패턴부(610)의 오목부(61)의 면적 및 깊이가 가장 크고, 먼 오목부일수록 면적 및 깊이가 줄어들 수 있어, 광 세기에 비례하여 광을 확산할 수 있는 패턴들을 배치할 수 있다.
여기서, 광학패턴이 없는 구조와, 발명의 제1예 내지 제3예와 같이 광학패턴부를 갖는 모듈의 휘도를 비교하여 실험한 예는 표 1과 같다.
휘도(Nit) | 비교예 | 제1예 | 제2예 | 제3예 |
최소 | 4330 | 4792 | 4898 | 4949 |
최대 | 77495 | 87234 | 90144 | 101909 |
중간 | 15141 | 20458 | 20599 | 20564 |
위의 실험 예와 같이, 광학패턴이 없는 비교 예의 휘도는 최대 값이 가장 낮고, 중간 값도 가장 낮으므로, 입사된 광이 전반사되어, 레진층 내부로 진행하게 된다.
제1예의 휘도는 최대 값과 중간 값이 증가되므로, 광학 패턴부에 의해 전반사되는 양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으며, 광의 추출 효율도 개선됨을 알 수 있다. 제2예의 휘도는 최대 값이 증가되고, 전 영역에서 방출되는 광량이 증가될 수 있다. 제3예의 휘도는 최대 값이 증가되고, 전 영역에서 방출되는 광량이 증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광학패턴부를 갖는 레진층 상에 별도의 차광부재를 배치하지 않더라도, 광의 균일도는 개선시키고, 광학패턴부 상에서 굴절된 광의 투과량은 증가시켜 줄 수 있다.
도 18의 (a)는 광학패턴이 없는 비교 예이며, (b)(c)(d)는 제1 내지 제3예의 광의 지향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발광소자의 중심을 지나는 수평 방향을 기준으로 35도의 각도를 광도(flux) 분포를 측정한 것이다. 광도를 보면, 도 18의 (a)는 20.5cd 정도이며, (b)(c)(d)는 24도 이상으로 검출됨을 알 수 있다.
도 19는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장치가 적용된 차량의 평면도이며, 도 20은 도 19의 차량의 후미등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이동체 또는 차량(900)에서 전방 램프(850)는 하나 이상의 조명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조명 모듈의 구동 시점을 개별적으로 제어하여 통상적인 전조등로서의 기능뿐만 아니라, 운전자가 차량 도어를 오픈한 경우 웰컴등 또는 셀레브레이션(Celebration) 효과 등과 같은 부가적인 기능까지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램프는 주간주행등, 상향등, 하향등, 안개등 또는 방향 지시등에 적용될 수 있다.
차량(900)에서 후미등(800)은 하우징에 의해 지지되는 다수의 램프 유닛(810,812,814,816)일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램프 유닛(810,812,814,816)들은 외측에 배치된 제1램프 유닛(810), 상기 제1램프 유닛(810)의 내측 둘레에 배치된 제2램프 유닛(814), 상기 제2램프 유닛(814)의 내측에 각각 배치된 제3 및 제4램프 유닛(814,81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4램프 유닛(810,812,814,816)은 실시 예에 개시된 조명 장치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으며, 상기 조명 장치의 외측에 상기 램프 유닛(810,812,814,816)의 조명 특성을 위해 적색 렌즈 커버 또는 백색 렌즈 커버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램프 유닛(810,812,814,816)에 적용된 실시 예에 개시된 조명 장치는 면광을 균일한 분포로 발광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램프 유닛(810,812)들은 곡면 형상, 직선 형상, 각진 형상, 경사 형상, 또는 평면형상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램프 유닛(810,812)들은 각 후미등에 하나 또는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램프 유닛(810)은 미등으로 제공될 수 있고, 상기 제2램프 유닛(812)는 제동등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제3램프 유닛(814)은 후진등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제4램프 유닛(816)은 턴 시그널 램프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조명 램프는 측 방향보다는 후 방향으로 보다 높은 광도를 제공할 수 있어, 스톱 램프 또는 테일 램프 등의 배광 법규에 부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기판
300: 발광소자
400: 반사부재
500: 레진층
600,600A,600B,600C: 광학패턴부
1000: 조명장치
300: 발광소자
400: 반사부재
500: 레진층
600,600A,600B,600C: 광학패턴부
1000: 조명장치
Claims (10)
-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반사부재;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발광소자;
상기 반사부재 상에 배치되는 레진층; 및
상기 레진층의 상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복수의 오목부를 갖는 광학패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발광소자는 광이 방출되는 제1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광학패턴부는 상기 복수의 발광소자 각각의 중심과 중첩되는 위치에서 제1방향으로 상기 오목부들의 폭이 감소되는 패턴부를 포함하며,
상기 광학패턴부는 상기 광학패턴부의 중심에서 제2방향 양측으로 상기 오목부들의 폭이 감소되는 패턴부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패턴부의 패턴부는 2개 이상의 패턴부를 포함하며,
상기 2개 이상의 패턴부 각각은 제1 및 제2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오목부를 갖는, 조명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2개 이상의 패턴부 각각은 상기 복수의 오목부 사이에 볼록부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2개 이상의 패턴부 중에서 상기 발광소자 각각에 인접한 제1패턴부는 상기 오목부의 폭이 상기 볼록부의 폭보다 큰, 조명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2개 이상의 패턴부 중에서 상기 발광소자의 중심에서 가장 이격된 제2패턴부는 상기 오목부의 폭이 상기 볼록부의 폭과 같거나 작은, 조명 장치.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패턴부에 배치된 상기 복수의 오목부들은 서로 동일한 깊이를 갖는, 조명 장치.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패턴부에 배치된 상기 복수의 오목부들은 서로 다른 깊이를 갖고,
상기 오목부의 깊이는, 상기 발광소자의 상부에 배치된 제1패턴부의 오목부들이 가장 크고, 상기 광학패턴부의 외곽에 배치된 제2패턴부의 오목부들의 깊이가 가장 작은, 조명 장치.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들은 다각 기둥 또는 하부에 곡면을 갖는 기둥 형상인, 조명 장치.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패턴부는 상기 제1방향의 최대 길이가 상기 제2방향의 최대 길이보다 작은, 조명 장치.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패턴부는 상기 발광소자 각각의 상부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광학패턴부의 면적은 상기 발광소자의 면적의 6배 내지 18배의 범위인, 조명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60350A KR20210143501A (ko) | 2020-05-20 | 2020-05-20 | 조명모듈, 조명장치 및 후미등 |
JP2022570183A JP2023526360A (ja) | 2020-05-20 | 2021-05-13 | 照明モジュール、照明装置及び尾灯 |
CN202180036554.5A CN115667791A (zh) | 2020-05-20 | 2021-05-13 | 照明模块、照明装置和尾灯 |
US17/925,626 US11976801B2 (en) | 2020-05-20 | 2021-05-13 | Lighting module, lighting device and taillight |
PCT/KR2021/006026 WO2021235774A1 (ko) | 2020-05-20 | 2021-05-13 | 조명모듈, 조명장치 및 후미등 |
EP21808516.5A EP4155603A4 (en) | 2020-05-20 | 2021-05-13 | LIGHTING MODULE, LIGHTING DEVICE AND TAIL LIGHT |
US18/629,187 US12352404B2 (en) | 2020-05-20 | 2024-04-08 | Lighting module, lighting device and tailligh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60350A KR20210143501A (ko) | 2020-05-20 | 2020-05-20 | 조명모듈, 조명장치 및 후미등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43501A true KR20210143501A (ko) | 2021-11-29 |
Family
ID=78697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60350A Pending KR20210143501A (ko) | 2020-05-20 | 2020-05-20 | 조명모듈, 조명장치 및 후미등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11976801B2 (ko) |
EP (1) | EP4155603A4 (ko) |
JP (1) | JP2023526360A (ko) |
KR (1) | KR20210143501A (ko) |
CN (1) | CN115667791A (ko) |
WO (1) | WO2021235774A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61582B1 (ko) * | 2022-04-01 | 2023-08-01 | 주식회사 금호에이치티 | 슬림 면광원 및 슬림 면광원 제조방법 |
KR102651645B1 (ko) * | 2023-05-12 | 2024-03-27 | 주식회사 금호에이치티 | 플렉시블 슬림 면광원 |
Family Cites Familie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60083020A1 (en) * | 2004-10-15 | 2006-04-20 | Chung-Yung Tai | Diffuser in direct back light module |
CN102483541B (zh) * | 2009-08-27 | 2016-01-06 | Lg电子株式会社 | 光学组件、背光单元及其显示装置 |
JP5628918B2 (ja) * | 2009-08-27 | 2014-11-19 |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ディスプレイ装置 |
KR20110060473A (ko) | 2009-11-30 | 2011-06-08 | 삼성엘이디 주식회사 | 조명 장치 및 광학 플레이트 |
EP2561400A4 (en) * | 2010-04-21 | 2013-12-25 | Lg Electronics Inc | DISPLAY APPARATUS |
US9880340B2 (en) | 2012-07-27 | 2018-01-30 | Jun Sakamoto | Light guide plate, light source device, light guide plate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light guide plate |
KR102001953B1 (ko) | 2012-11-08 | 2019-07-29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조명 장치 |
TWI518386B (zh) * | 2014-04-02 | 2016-01-21 | 群創光電股份有限公司 | 顯示裝置 |
JP6603723B2 (ja) | 2015-09-24 | 2019-11-06 | シャープ株式会社 |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
US10753546B2 (en) * | 2016-05-04 | 2020-08-25 | Lg Innotek Co., Ltd. | Light module and lighting device having same |
KR102624157B1 (ko) | 2016-05-04 | 2024-01-19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조명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조명 장치 |
JP2019129066A (ja) * | 2018-01-24 | 2019-08-01 | シャープ株式会社 | 照明装置及び表示装置 |
-
2020
- 2020-05-20 KR KR1020200060350A patent/KR20210143501A/ko active Pending
-
2021
- 2021-05-13 EP EP21808516.5A patent/EP4155603A4/en active Pending
- 2021-05-13 JP JP2022570183A patent/JP2023526360A/ja active Pending
- 2021-05-13 WO PCT/KR2021/006026 patent/WO2021235774A1/ko unknown
- 2021-05-13 US US17/925,626 patent/US11976801B2/en active Active
- 2021-05-13 CN CN202180036554.5A patent/CN115667791A/zh active Pending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61582B1 (ko) * | 2022-04-01 | 2023-08-01 | 주식회사 금호에이치티 | 슬림 면광원 및 슬림 면광원 제조방법 |
KR20230142304A (ko) * | 2022-04-01 | 2023-10-11 | 주식회사 금호에이치티 | 슬림 면광원 및 슬림 면광원 제조방법 |
KR102651645B1 (ko) * | 2023-05-12 | 2024-03-27 | 주식회사 금호에이치티 | 플렉시블 슬림 면광원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11976801B2 (en) | 2024-05-07 |
US20230175666A1 (en) | 2023-06-08 |
WO2021235774A1 (ko) | 2021-11-25 |
JP2023526360A (ja) | 2023-06-21 |
US20240255112A1 (en) | 2024-08-01 |
EP4155603A4 (en) | 2024-06-05 |
EP4155603A1 (en) | 2023-03-29 |
CN115667791A (zh) | 2023-01-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736487B1 (en) | Lighting module and lighting device having same | |
US20240084981A1 (en) | Lighting module, lighting device and lamp | |
US12326251B2 (en) | Lighting module and lighting device comprising same | |
US11976801B2 (en) | Lighting module, lighting device and taillight | |
KR20240012590A (ko) | 조명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조명 장치 | |
US20250004325A1 (en) | Lighting device and vehicle lamp having same | |
US20230307594A1 (en) | Lighting device and lamp comprising same | |
US20230135095A1 (en) | Lighting module and lighting device | |
US20240213421A1 (en) | Lighting module and lighting device comprising same | |
US12352404B2 (en) | Lighting module, lighting device and taillight | |
US20250198588A1 (en) | Lighting device | |
US12044398B2 (en) | Lighting module, lighting device and lamp | |
US20250224095A1 (en) | Lighting module, lighting device and lamp | |
US20240280237A1 (en) | Optical member, lighting device and vehicle lamp having same | |
US20250207748A1 (en) | Lighting device | |
KR20240117880A (ko) | 조명모듈 및 조명장치 | |
KR20210143482A (ko) | 조명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조명 장치 | |
KR20250008276A (ko) | 조명 모듈 및 라인 램프 | |
KR20240058786A (ko) | 조명장치 및 차량 램프 | |
JP2023518712A (ja) | 照明モジュールおよびこれを備えた照明装置 | |
KR20240058781A (ko) | 조명장치 및 차량 램프 | |
KR20240058780A (ko) | 조명장치 및 차량 램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52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505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