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210106263A -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6263A
KR20210106263A KR1020200021223A KR20200021223A KR20210106263A KR 20210106263 A KR20210106263 A KR 20210106263A KR 1020200021223 A KR1020200021223 A KR 1020200021223A KR 20200021223 A KR20200021223 A KR 20200021223A KR 20210106263 A KR20210106263 A KR 202101062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water
steam
sterilization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1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만석
조상호
박예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21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06263A/ko
Priority to EP23184611.4A priority patent/EP4245906A3/en
Priority to CN202110191760.5A priority patent/CN113279202B/zh
Priority to EP21158185.5A priority patent/EP3868943B1/en
Priority to US17/179,901 priority patent/US11859341B2/en
Publication of KR20210106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62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3Laundry condition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40Steam genera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35/005Methods for washing, rinsing or spin-drying
    • D06F35/008Methods for washing, rinsing or spin-drying for disinfecting the tub or the dru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50Control of washer-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69Control of cleaning or disinfection of washer-dryer parts, e.g. of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6Heat pump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58/44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conditioning or finishing, e.g.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45Cleaning or disinfection of machine parts, e.g. of heat exchangers or fil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1/00User input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1/20Operation modes, e.g. delicate laundry washing programs, service modes or refreshment cycl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8Conditioning or finishing, e.g. control of perfume injection
    • D06F2105/40Conditioning or finishing, e.g. control of perfume injection using water or stea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 내부에는 스팀을 공급하고, 상기 드럼 외부에도 온수 또는 스팀을 공급하도록 구비되어 드럼 외부 영역도 살균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본 출원은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자에는 의류의 수분을 제거할 수 있는 건조행정을 수행하는 의류처리장치가 등장하였다.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에 열풍을 공급하여 의류를 건조하여 의류의 건조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뿐만 아니라, 의류의 살균 및 소독을 수행할 수 있었다.
이러한 의류처리장치는 건조행정이 수행되어 의류가 건조될수록 의류에서 제거된 수분의 양도 더 많아지게 된다. 따라서,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건조하는 과정에서 생성된 수분을 공기와 함께 외부로 배출하거나 상기 수분을 응축시켜 별도의 배수관으로 외부에 배출하는 방식을 적용하였다.
한편, 근자에는 상기 건조행정을 수행하는 의류처리장치에 의류의 구김을 제거하거나, 건조효율을 향상시키거나, 살균 등을 수행하기 위하여 스팀(steam)을 의류에 공급하는 종래 의류처리장치도 존재한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56500호 참조.
도1(a)와 도1(b)은 상기 종래 의류처리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1(a)을 참조하면,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외관을 형상하는 캐비닛(1)과, 전방에 이를 캐비닛 내부를 개폐하는 도어(112)를 구비하되, 상기 캐비닛(1)의 일측에서 외부에 노출되어 구비되는 물공급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공급부(300)는 상기 건조행정에서 스팀을 공급하기 위해 물을 저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1(b)를 참조하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캐비닛(1) 내부 구비되어 상기 물공급부(300)에서 물을 공급받아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부(200)를 포함한다. 상기 스팀부(200)에서 생성된 스팀은 의류를 수용하도록 상기 캐비닛(1) 내부에 수용된 드럼(2)에 스팀공급관(230)을 통해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스팀공급관(230)은 회전하는 드럼에 직접 결합될 수 없으므로, 드럼의 후방 또는 전방에 연결되거나, 상기 드럼에 연통한 덕트에 연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건조행정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의류의 구김을 제거하거나, 의류를 별도로 살균하는 과정등에 상기 스팀이 상기 드럼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러한 의류처리장치는 건조행정이 수행되어 의류가 건조될수록 의류에서 제거된 수분의 양도 더 많아지게 된다. 따라서,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건조하는 과정에서 생성된 수분을 공기와 함께 외부로 배출하거나 상기 수분을 응축시켜 별도의 배수관으로 외부에 배출하는 방식을 적용하였다.
그러나, 상기 수분이 공기와 함께 바로 배출되도록 구비되면, 상기 의류처리장치가 배치된 실내 공간의 습도 또는 온도를 급격하게 변화시키는 문제가 있었고, 상기 수분을 물로 응축하여 배출하도록 구비되면 상기 의류처리장치가 하수구 등이 설치된 장소에만 설치된다는 제약이 있었다.
근자에는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응축된 물을 별도로 저장할 수 있는 저수부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가 등장하였다. 한국출원 제10-2018-0045253호 참조.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히트펌프시스템에서 드럼에서 토출된 공기가 냉각되면 의류에서 토출된 물이 응축되고, 상기 응축된 물은 상기 저수부로 수집시킨 다음 상기 수집된 물을 별도의 저수탱크로 따로 수집하거나, 상기 히트펌프 시스템을 세척하는데 사용하였다.
이에 따라,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하수구 등이 배치되지 않는 거실 또는 방에 설치될 수 있는 장점이 있었고, 상기 저수부에 저장되는 수분이 임의로 외부로 배출되지 않아 의류처리장치가 설치된 공간의 환경조건을 변경시키지 않는 장점이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드럼에 스팀을 공급할 수 있는 스팀부와, 상기 스팀유닛에 공급하는 물을 저장하는 스팀탱크가 설치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스팀부가 설치되는 경우, 상기 스팀부에 물을 어떻게 공급할 수 있는지에 대한 기술적 제안을 제공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결과적으로, 종래 건조행정을 수행하는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건조하는 과정에서 생성된 응축수가 상기 캐비닛 내부에 일정시간 잔류할 수 밖에 없고, 상기 스팀부(200)까지 구비된 경우에는 상기 캐비닛 내부에 상기 스팀을 생성하기 위한 물이 저장되어 있을 수 밖에 없다.
이렇게 상기 캐비닛 내부에 잔류하는 물은 상기 캐비닛 내부의 습도를 상승시킬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세균이 번식하여 상기 캐비닛 내부를 오염시킬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 드럼(2) 내부를 살균시키는 통살균 모드를 별도로 구비한다고 하더라도, 응축수 및 스팀공급수는 상기 드럼 외부와 캐비닛 사이 영역에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살균모드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응축수 및 스팀공급수는 여전히 부패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었다.
한편, 저수부에 수집된 응축수를 스팀공급에 사용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가 등장하였다. 유럽특허공보 제1887127호 및 제1862584호참조.
도1(c)를 참조하면,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과, 상기 캐비닛에 회전하여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16)과, 상기 드럼(16)에서 응축된 물을 수집하는 응축탱크(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럼(16) 하부에는 상기 드럼(16)에 열풍을 공급할 수 있는 열풍공급부(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드럼(16)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공급부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스팀공급부가 스팀을 생성하기 위한 물을 공급하는 스팀탱크(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팀공급부(미도시)는 상기 스팀탱크(3)와 연통하여 스팀을 생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열풍공급부(2)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스팀탱크(3)는 상기 응축탱크(8)와 연통관으로 연통될 수 있으며, 상기 연통관은 필터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팀탱크(3)는 상기 응축탱크(8)에 수집된 물을 여과하여 공급받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건조행정이 수행될 때마다 수분을 자동으로 상기 스팀탱크(3)에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었다. 그 결과,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급수부나 배수부에 인접하여 설치될 필요가 없어 가정 내 어디에나 설치될 수 있는 장점이 있었다.
그러나,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응축수만으로 스팀을 공급할 수 있는 물을 충분히 공급할 수 있다는 것에만 집중하여, 상기 스팀탱크(3)를 상기 캐비닛에 고정시켜 구비하였다.
즉, 상기 응축탱크(8)의 응축수를 배출하기 위해, 상기 응축탱크(8)만 상기 캐비닛(1) 전방으로 인출가능하게 구비하지만, 상기 스팀탱크(3)를 외부에 인출하는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의류에서 충분한 양의 물이 응축되지 않는 경우 등 상기 스팀탱크(3)에 스팀을 공급하기 위해 충분한 물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는 스팀을 공급하는 행정 자체를 수행할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스팀탱크(3)에 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응축탱크(8)에 간접적으로 물을 공급할 수 밖에 없는 한계가 있었다.
특히, 상기 응축탱크(8)는 응축수가 저장되는 공간이므로 의류에서 토출된 린트 등의 이물질이 용해되어 있을 수 있고, 장시간 저장으로 인해 세균 등이 번식할 우려가 있을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용자는 상기 응축탱크(8)에 수집된 응축수만으로 상기 스팀을 생성하는 것을 강요받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스팀탱크(3)를 세척하거나 살균하고 싶더라도, 이를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이 없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러한 의류처리장치는 사용자가 직수 등 신선한 물로 스팀을 생성하길 원한다고 하더라도, 사용자의 의도를 전혀 반영할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전술한 모든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캐비닛 내부와 상기 드럼 외부 사이의 공간을 전혀 세척하거나 살균할 수 없는 근본적인 한계가 있었다. 즉, 상기 드럼 외부 공간을 세척하는 구조도 없을 뿐만 아니라, 상기 드럼 외부에 배치된 공간을 세척하는 명령을 수신한 장치도 없는 문제가 있었다.
일례로, 도1(a)와 도1(c) 등의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모두 상기 캐비닛(1)에 컨트롤패널(17)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패널(17)에는 표시부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표시부는 터치패널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표시부는 기본적으로 의류처리장치에 원격제어 또는 예약설정, 선반건조 등의 부가 기능을 수행하게 하는 기능입력부(119), 의류처리장치의 잔여 행성시간이나,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표시부(119A)와,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열교환기를 세척하는 콘덴서케어, 의류의 구김을 방지하는 구김방지, 사용자의 지정 명령을 수행하게 하는 특수입력부(119B), 상기 건조코스의 강도나 횟수를 조절하는 옵션센택부(119C)등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스팀을 발생시키는 명령을 입력하는 스팀부(180)가 구비될 수 있으나, 상기 스팀부(180)는 상기 드럼 내부에 스팀을 공급하는 것일 뿐이다.
즉,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드럼 외부 또는 캐비닛 내부의 임의의 영역을 살균할 수 있도록 구비되지 않아, 별도의 살균명령을 수신하도록 구비되지 않는 한계가 있었다.
나아가,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겨울철에 상기 응축수 등이 동파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열교환부를 청소할 뿐, 상기 열교환부를 살균할 수 없어 세균 등의 번식을 방지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드럼 내부뿐 만 아니라, 드럼 외부까지 스팀 또는 온수를 공급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캐비닛과 드럼 외부 영역에 배치된 공간을 살균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발생기로 드럼에 스팀을 공급할 뿐만 아니라, 캐비닛 내부를 살균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스팀발생기로 응축수 또는 열교환기를 살균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드럼 외부를 살균할 때 드럼의 회전이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드럼의 내부 뿐만 아니라 드럼의 외부에 고온 또는 스팀을 공급하여 캐비닛 내부와 드럼 외부 사이 영역도 살균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통상적으로, 상기 드럼에 토출되는 공기를 응축하는 열교환기는 다량의 수분이 노출된다. 따라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열교환기에 고온의 물 또는 스팀을 공급하여 상기 열교환기를 직접 살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열교환기에서 응축된 물이 수집되는 집수부에 고온의 물 또는 스팀을 공급하여 세균이 번식하는 것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집수부에 펌프가 구비되고, 상기 펌프가 응축수를 수집하는 저수부에 응축수를 보내거나, 상기 펌프가 열교환기를 세척하기 위해 응축수를 재공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펌프에 고온의 물 또는 스팀을 공급하여 상기 저수부 뿐만 아니라 열교환기 까지 살균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 내부 및 드럼 외부 영역은 제어선과 복수의 전자제품이 설치될 수 있어 수분에 취약할수 있다. 또한, 응축수를 살균하는 경우에는 스팀은 충분한 열을 전달하지 못할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고온의 물로만 상기 캐비닛 내부를 살균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온의 물은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발생기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으며, 상기 스팀발생기는 스팀이 아닌 상기 고온의 물을 별도로 배출할 수 있는 바이패스관을 구비할 수 있다.
물론, 드럼 외부 영역 또는 드럼 외벽도 살균할 필요성이 있다. 이경우에는 고온의 물을 직접공급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고온의 물 또는 스팀을 공급하는 살균노즐이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살균노즐로 고온의 스팀이 공급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드럼 외부 공간도 살균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수분에 취약한 전자제품의 구성이 중단될 수 있고, 스팀이 공급된 이후에는 별도의 팬으로 캐비닛 내부의 공기 또는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드럼 외부 영역을 살균하기 위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스팀발생기에서 스팀을 공급받는 살균부를 제공한다. 상기 살균부는 상기 드럼 외부 영역에 배치되기 때문에 드럼의 회전을 방해해서는 안된다. 따라서, 상기 살균부는 물을 공급받는 호스나 물을 배출하는 호스, 이를 개폐하는 밸브가 모두 드럼의 외벽과 이격되어 배치되어야 한다.
상기 살균부에서 물을 공급하는 호스 또는 물을 배출하는 호스는 전부 캐비닛 내벽이나 덕트 내벽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물을 공급하는 호스 또는 물을 배출하는 호스는 드럼의 전방 또는 후방과 상기 캐비닛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살균부에서 물을 공급하는 호스를 제어하는 살균밸브는 캐비닛의 내벽에 인접하여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물을 공급하는 호스 또는 물을 배출하는 호스 전부가 캐비닛 내벽에 위치하는 것을 유도할 수 있고, 드럼의 회전이 방해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살균부를 별도로 구동하기 위해, 의류처리장치의 컨트롤패널에는 살균부로 고온의 물 또는 스팀을 공급하여 드럼 외부와 캐비닛 내면 사이 영역을 살균하는 살균입력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살균입력부가 입력되면, 열교환기나 드럼의 회전 없이 곧바로 스팀부에서 가열된 물 또는 스팀이 드럼 외부와 캐비닛 내면 사이에 살균이 필요한 공간으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건조행정이 수행된 후에 자동으로 상기 살균부에 살균이 필요한 공간으로 고온의 물 또는 스팀이 공급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드럼 내부뿐 만 아니라, 드럼 외부까지 스팀 또는 온수를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캐비닛과 드럼 외부 영역에 배치된 공간을 살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발생기로 드럼에 스팀을 공급할 뿐만 아니라, 캐비닛 내부를 살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스팀발생기로 응축수 또는 열교환기를 살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드럼 외부 영역을 살균할때, 드럼의 회전이 간섭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 의류처리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2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특징을 도시한 것이다.
도3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4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세척부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5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덕트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6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스팀공급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7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스팀공급구조의 유로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8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스팀공급장치의 세부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9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살균부 배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0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가 살균할 수 있는 영역을 도시한 것이다.
도11은 상기 살균부의 제어방법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2는 상기 살균부의 제어방법 중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3은 상기 살균부의 다른 배치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14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컨트롤패널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15는 본 발명 살균부의 살균수행 시점에 관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기본 특징을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비닛(1)은 의류처리장치의 전방면을 형성하는 전방패널(11)을 포함하는데, 상기 전방패널(11)에는 상기 드럼(2)에 연통하도록 구비된 투입구(111) 및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투입구(111)를 개폐하는 도어(11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방패널(11)에는 컨트롤패널(117)이 구비되는데, 상기 컨트롤패널(117)에는 사용자로부터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118),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제어명령 등의 정보가 출력되는 표시부(119)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건조행정을 수행하는 명령을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18)는 의류처리장치에 전력공급을 요청하는 전력공급 요청부, 다수의 코스 중 사용자가 원하는 코스를 선택 가능하게 하는 코스 입력부, 사용자가 선택한 코스의 개시를 요청하는 실행요청부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19)는 텍스트(text) 및 도형의 출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음성신호 및 음향의 출력이 가능한 스피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의류를 건조하는 과정에서 생성된 수분을 별도로 저장하도록 구비되는 저수부(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수부(7)는 상기 전방패널(11)의 일측에서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저장바디(7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바디(72)는 후술하는 세척펌프에서 전달받은 응축수를 수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저장바디(72)를 상기 캐비닛(1)에서 인출하여 상기 응축수를 제거한 뒤, 다시 캐비닛(1)에 장착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하수구 등이 설치되지 않는 장소에도 얼마든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의류 또는 캐비닛 내부에 스팀(steam)을 공급할 수 있는 스팀부(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팀부(200)는 응축수가 아닌 신선한 물을 공급받아 스팀(steam)을 생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팀부(200)는 상기 물을 가열하거나, 초음파를 이용하거나, 기화하여 스팀을 생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팀부(200)는 물을 일정량 공급받아 스팀을 생성하도록 구비되기 때문에, 일정 부피를 차지할 수 있다. 이때, 캐비닛의 전방패널(11)은 도어 및 컨트롤패널(117)이 설치되고, 캐비닛의 배면패널(12)은 드럼에 공기를 공급하거나 배출하는 덕트 및 급수부 등이 설치될 수 있으므로 상기 스팀부(200)는 캐비닛의 측면패널(14)에 설치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스팀부(200)를 별도로 제어하도록 구비되는 스팀제어부(8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팀제어부(800)는 상기 컨트롤내널(117)에 설치될 수 있으나, 상기 컨트롤패널(117)의 과부하를 방지하고 생산단가를 상승시키지 않기 위해 별도의 제어패널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팀제어부(800)는 상기 스팀부(200)와 인접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팀제어부(800)는 상기 스팀부(200)가 설치되는 측면패널(14)에 구비되어 상기 스팀부(200)와 연결되는 제어선 등의 길이를 축소시킬 수 있다.
상기 스팀부(200)는 상기 의류에 접촉될 수 있는 스팀을 공급하기 때문에 신선한 물로 스팀을 발생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수부(7)에 수집된 물은 의류에서 생성된 것이므로 린트 또는 이물질이 함유될 가능성이 높아, 상기 스팀을 생성하는데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스팀부(200)에 물을 공급하되, 상기 저수부(7)와 별도로 구비되는 물공급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공급부(300)는 신선한 물이 저장되어 있거나, 상기 신선한 물을 외부에 공급받아 상기 스팀부(200)에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물공급부(300)는 외부급수원에서 물을 공급받아 상기 스팀부(200)에 전달할 수 있는 외부공급부(500)와, 별도로 신선한 물을 저장하여 상기 스팀부(200)에 공급할 수 있는 내부공급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공급부(400)는 저수부(7)와 별도로 구비되어 신선한 물을 저장할 수 있는 물탱크(420)와, 상기 물탱크(420)의 물을 상기 스팀부(200)로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물펌프(430)와, 상기 물탱크(420)와 상기 물펌프(430)를 상기 캐비닛 내부에 안착시키는 탱크하우징(4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물탱크(420)와 상기 스팀부(200)는 설치 높이에 차이를 두어, 자중에 의해 상기 물탱크(420)의 물이 상기 스팀부(200)로 공급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물탱크(420)와 상기 스팀부(200)의 설치높이 차이를 확보할 수 없는 경우, 상기 물펌프(430)를 추가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펌프(430)를 추가 배치하는 경우 상기 캐비닛(1) 내부의 공간을 더욱 조밀하게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외부공급부(500)는 상기 외부급수원에 연결되어 물을 공급받는 직수밸브(5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외부공급부(500)와 상기 내부공급부(400) 중 어느 것을 우선적으로 사용하여 상기 스팀부(200)에 물을 공급할지를 결정하는 결정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정부(700)는 구조적으로 상기 외부공급부(500)와 상기 내부공급부(400) 중 어느 것을 우선적으로 사용할지를 결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물탱크(420)는 신선한 물을 저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물탱크(420)는 신선한 물을 수시로 충전할 수 있도록 상기 캐비닛(1)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 물탱크(420)도 물을 저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저수부(7)도 물을 저장하도록 구비되므로 사용자가 혼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물탱크(420)와 상기 저수부(7)가 상기 캐비닛에서 노출되는 방향이나 위치가 다르게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물탱크(420)는 상기 상부패널(13)로 노출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저수부(7)는 상기 전방패널(11)로 노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물탱크(420)와 상기 저수부(7)가 모두 구비되어 있어도, 사용자의 혼동을 예방할 수 있다.
상기 물탱크(420)는 신선한 물을 저장해야 하고, 저장된 물의 신선도가 유지되어야 하므로 상대적으로 상기 저수부(7) 보다 부피가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부피 차이로 상기 물탱크(420)와 상기 저수부(7)를 구별할 수 있다.
상기 물탱크(420)는 상기 저수부(7) 보다 부피가 작으므로 상부로 인출되는 것이 용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물탱크(420)는 상기 상부패널(13)에서 상부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물탱크(420)와 상기 저수부(7)의 인출 방향이 서로 다르므로, 사용자의 혼동 가능성은 더욱 감소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상부패널(13)은 상기 물탱크(420)가 외부로 노출되거나, 상기 물탱크(420)가 캐비닛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탱크인출홀(13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탱크인출홀(131)은 상기 물탱크(420)의 단면적과 대응되거나, 상기 물탱크(420)의 면적보다 조금 더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패널(13)은 탱크인출홀(131)을 차폐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물탱크(420)가 임의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인출커버(1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출커버(132)는 상기 탱크인출홀(131)의 외주면에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패널결합부(1321)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널결합부(1321)는 상기 인출커버(132)를 상기 상부패널(1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상기 인출커버(132)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패널결합부(1321)와 상기 상부패널(13)은 힌지 결합방식으로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출커버(132)는 표면에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패널핸들(1323)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패널핸들(132)은 상기 인출커버(132)에서 하부로 오목하게 구비된 홈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출커버(132)는 상기 상부패널(13) 또는 상기 탱크인출홀(131)의 외주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패널고정부(13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널고정부(1332)는 상기 상부패널(13) 또는 상기 탱크인출홀(131)과 푸쉬버튼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순환되는 공기에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방패널(11)에는 상기 필터가 인출 또는 삽입되도록 구비되는 필터장착홀(113)이 구비될 수 있다.
도3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캐비닛(1), 상기 캐비닛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2), 상기 드럼(2)에서 배출된 공기를 상기 드럼(2)으로 재공급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덕트(3), 상기 덕트(3)로 유입된 공기를 제습하고 가열한 뒤 상기 드럼(2)으로 재공급하는 열교환부(4)를 포함한다.
상기 드럼(2)이 전방면과 후방면이 각각 개방된 원통형상의 드럼 바디(21)로 구비될 경우, 상기 캐비닛(1) 내부에는 상기 드럼(2)의 전방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지지부(17), 및 상기 드럼(2)의 후방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지지부(19)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17)는 상기 캐비닛(1) 내부에 고정된 제1고정바디(171), 상기 제1고정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투입구(111)와 상기 드럼 바디(21) 내부를 연통시키는 드럼 투입구(173), 상기 제1고정바디(171)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 바디(21)의 전방면(제1개방면)에 삽입되는 제1지지바디(175)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바디(171)는 상기 드럼 투입구(173) 및 상기 제1지지바디(175)가 구비될 수 있는 한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바디(175)는 상기 제1고정바디(171)에서 상기 드럼 바디(21)를 향해 돌출된 파이프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제1지지바디(175)의 지름은 상기 드럼 투입구(173)의 지름보다 크고, 상기 드럼 바디(21)의 전방면 지름보다 작게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드럼 투입구(173)는 상기 제1지지바디(175)가 형성하는 공간 내부에 위치하게 될 것이다.
상기 제1지지부(17)는 상기 투입구(111)와 상기 드럼 투입구(173)를 연결하는 연결바디(177)를 더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바디(177)는 상기 드럼 투입구(173)에서 상기 투입구(111)를 향해 연장된 파이프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바디(177)에는 상기 덕트(3)에 연통하는 공기 배출구(178)가 구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 배출구(178)는 상기 드럼 바디(21) 내부의 공기가 상기 덕트(3)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통로이며, 상기 연결바디(177)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관통홀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19)는 상기 캐비닛(1) 내부에 고정된 제2고정바디(191), 상기 제2고정바디(191)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 바디(21)의 후방면(제2개방면)에 삽입되는 제2지지바디(195)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19)에는 상기 제2고정바디(191)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드럼 바디(21) 내부를 상기 캐비닛(1) 내부와 연통시키는 공기 유입구(198)가 구비된다. 이 경우, 상기 덕트(3)는 상기 공기 배출구(178) 및 상기 공기 유입구(198)를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의 드럼 바디(21)는 다양한 형태의 구동부를 통해 회전할 수 있는데, 도 3는 상기 구동부(28)가 캐비닛(1) 내부에 고정된 모터(23),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풀리(25), 상기 풀리(25)의 원주면과 상기 드럼 바디(21)의 원주면을 연결하는 벨트(27)를 포함하도록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제1지지부(17)에는 상기 드럼 바디(21)의 원주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롤러(179)가 구비되고, 상기 제2지지부(19)에는 상기 드럼 바디의 원주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롤러(199)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덕트(3)는 상기 공기 배출구(178)에 연결된 배기덕트(31), 상기 공기 유입구(198)에 연결된 공급덕트(33), 상기 배기덕트와 공급덕트를 연결하는 연결덕트(35)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부(4)는 상기 덕트(3)로 유입된 공기의 제습과 가열을 순차적으로 진행 가능한 한 다양한 장치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열교환부(4)는 히트펌프 시스템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부(4)는 상기 덕트(3)를 따라 공기를 이동시키는 팬(49), 상기 덕트(3)로 유입된 공기에서 수분을 제거하는 제1열교환기(흡열부, 41), 및 상기 덕트(3)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열교환기(41)를 통과한 공기를 가열하는 제2열교환기(발열부, 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팬(49)은 상기 덕트(3) 내부에 구비된 임펠러(491), 상기 임펠러(491)를 회전시키는 임펠러 모터(493)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4 참조) 상기 임펠러(491)는 상기 배기덕트(31), 연결덕트(35), 및 공급덕트(33) 중 어디에나 구비될 수 있는데, 도 3은 상기 임펠러(491)가 상기 공급덕트(33)에 구비된 경우(발열부의 후방에 위치하는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흡열부(41)는 상기 연결덕트(35)의 너비 방향(Y축 방향) 또는 상기 연결덕트의 높이 방향(Z축 방향)을 따라 배치된 다수의 금속판으로 구비되고, 상기 발열부(43)는 상기 연결덕트의 너비 방향 또는 상기 연결덕트의 높이 방향을 따라 배치된 다수의 금속판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흡열부(41)와 상기 발열부(43)는 상기 연결덕트(35) 내부에 상기 배기덕트(31)에서 상기 공급덕트(33)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며, 냉매의 순환유로를 형성하는 냉매관(48)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도4 참조)
상기 냉매는 상기 덕트(3)의 외부에 위치된 압축기(45)에 의해 상기 냉매관(48)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냉매관(48)에는 상기 발열부(43)를 통과한 냉매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기(47)가 구비된다.
상기 흡열부(41)는 상기 배기덕트(31)로 유입된 공기의 열을 냉매로 전달함으로써 공기는 냉각시키고, 냉매는 증발시키는 수단이다. 상기 발열부(43)는 상기 압축기(45)를 통과한 냉매가 가진 열을 공기에 전달함으로써, 공기는 가열하고, 냉매는 응축시키는 수단이다. 이 경우, 공기에 포함된 수분은 상기 흡열부(41)를 통과할 때 상기 흡열부(41)의 표면을 따라 상기 연결덕트(35)의 바닥면에 모이게 될 것이다.
상기 흡열부(41)를 통과하는 공기에서 제거된 물을 수집하기 위해,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에는 집수부가 구비된다.
상기 집수부에 수집되는 물은 상기 저수부(7)에 수집되어 추후에 일괄적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저수부(7)는 상기 캐비닛(1)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저장바디(72), 상기 저장바디(72)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저수부 공급관(633)에서 배출되는 물을 상기 저장바디(72) 내부로 유입시키는 유입구(722)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저장바디(72)는 상기 캐비닛(1)에서 인출되는 드로워 형태의 탱크로 구비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캐비닛의 전방패널(11)에는 상기 저장바디(72)가 삽입되는 저수부 장착홀이 구비되어야 한다. 상기 저장바디(72)의 전방면에는 패널(71)이 고정되는데, 상기 패널(71)은 상기 저수부 장착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전방패널(11)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패널(71)에는 사용자의 손이 삽입되는 홈(711)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패널(71)은 상기 저장바디(72)를 캐비닛에서 인출하거나 캐비닛으로 삽입하는 핸들의 기능도 수행하게 될 것이다.
상기 유입구(722)는 상기 캐비닛(1)에 고정된 노즐(722a)에서 배출되는 물을 공급받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노즐(722a)은 상기 저장바디(72)가 캐비닛(1)에 삽입된 때 상기 유입구(722)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캐비닛의 상부패널(13)에 고정될 수 있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저수부(7)는 사용자가 상기 저장바디(72)를 상기 캐비닛(1)에서 인출한 뒤 상기 저장바디(72)를 상기 유입구(722)가 위치된 방향을 향해 뒤집거나 기울임으로써 상기 저장바디(72) 내부의 물을 버릴 수 있다. 상기 저장바디(72) 내부의 물이 상기 유입구(722)를 통해 쉽게 배출되도록, 상기 저장바디(72)의 상부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연통홀(721)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팀부(200)는 상기 저수부(7)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것처럼, 상기 스팀부(200)는 상기 내부급수부(400)와 상기 외부급수부(500)에 연결되어 물을 공급받아 스팀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외부급수부(500)는 상기 배면패널(13)에 인접하거나 상기 배면패널(13)에 고정되는 직수밸브(520)와, 상기 직수밸브(520)에서 전달되는 물을 상기 스팀부(200)로 공급하는 직수관(5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직수밸브(520)는 외부급수원과 결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직수밸브(520)는 상기 캐비닛 배면으로 연장되는 급수관과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스팀부(200)는 상기 직수밸브(520)를 통해 직접 물을 공급받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내부급수부(400)가 생략되거거나, 상기 내부급수부(400)에 물이 저장되어 있지 않더라도, 상기 스팀부(200)는 필요할 때마다 상기 직수밸브(520)를 통해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직수밸브(520)는 스팀제어부(800)에 의해 직접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팀부(200)는 상기 직수밸브(520)에 인접하여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직수관(510)에 불필요하게 잔수가 잔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필요시 즉각적으로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내부급수부(400)는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420)와 상기 물탱크(420)에 물을 공급받아 상기 스팀부(200)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물펌프(430)와, 상기 물탱크(420)와 상기 물펌프(430)을 안착시키는 공간을 제공하는 탱크하우징(4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펌프(430)와 상기 물탱크(420)는 상기 스팀부(200)와 대응되는 높이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탱크인출홀(131)은 상기 상부패널(13) 중 상기 물탱크(420)가 설치되는 부분과 대응되는 영역에 설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탱크인출홀(131)로 상기 물펌프(430)가 불필요하게 노출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인출커버(132)는 상기 탱크인출홀(131)의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물탱크(420)가 불필요하게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스팀부(200)는 상기 물공급부(300)를 통해 물을 공급받아 스팀을 생성한 뒤 상기 스팀배출관(213)을 통해 상기 드럼(2) 또는 덕트(3)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스팀배출관(213)은 상기 드럼(2)과 바로 연통하여 상기 스팀을 상기 드럼(2) 내부로 공급할 수 있으며, 상기 덕트(3) 또는 상기 제2지지부(19)에 연통하여 상기 드럼(2) 내부로 스팀을 간접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스팀배출관(213)이 상기 덕트(3)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공급덕트(33)에 연통되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2지지부(19)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공기유입구(19)에 연통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송풍팬(49)의 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스팀이 상기 드럼(2) 내부로 더 원활하게 투입될 수 있다.
상기 스팀부(200)는 건조행정 중에 스팀을 사용하는 스팀공급모드가 수행되면 스팀을 생성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스팀공급모드는 상기 의류를 살균하거나, 상기 의류의 건조행정 중 상기 드럼 내부의 온도를 상승시키거나, 상기 의류의 건조행정 말미에 상기 의류의 구김을 제거하는 일련의 건조코스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스팀부(200)는 필요에 따라 상기 내부급수부(400) 뿐만 아니라 상기 외부급수부(500)를 통해 물을 공급받아 상기 드럼(2) 내부 등으로 스팀을 공급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열교환부(4)는 상기 흡열부(41)에서 순환하는 공기의 수분을 응축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공기는 상기 드럼(2)을 순환하더라도 상기 흡열부(41)에서 수분이 제거됨으로써, 상기 드럼(2) 내부의 의류를 지속적으로 건조할 수 있다.
상기 흡열부(41)에서 응축된 수분은 집수부(37)에 1차 수집된 후 상기 저수부(7)로 2차 수집될 수 있다. 상기 집수부(37)는 상기 연결덕트(35) 내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덕트(35)와 이격된 공간에 별도로 마련될 수 있다.
도3과 도4는 상기 집수부(37)가 상기 연결덕트(35) 내부에 구비될 수 있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나, 이는 설명을 위한 것일 뿐 상기 집수부(37)는 응축수를 수집할 수 있다면 어떠한 구조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도4는 상기 집수부(37)와 상기 열교환부(4), 세척부(6) 등의 세부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집수부(37)는 상기 연결덕트(35)의 바닥면에 고정되어 상기 연결덕트의 내부와 연통하는 집수바디(371)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흡열부와 발열부(41, 43)가 상기 집수바디(371)에 저장된 물(응축수)에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집수바디(371) 내부에는 열교환기 지지부(37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 지지부(372)는 상기 흡열부와 발열부(41, 43)가 접촉하는 지지판(373), 상기 지지판(373)과 상기 집수바디(371)의 바닥면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스페이서(375), 및 상기 지지판(373)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지지판 관통홀(376)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판 관통홀(376)은 상기 지지판(373)이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흡열부(41)가 지지되는 공간에만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흡열부가 지지되는 공간 및 상기 발열부가 지지되는 공간에 각각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발열부(43)의 하부에도 지지판 관통홀(376)이 구비되면, 상기 지지판(373)을 따라 상기 발열부(43)로 이동한 물을 상기 집수바디(371)로 배출 가능할 것이다(발열부가 물에 접촉할 때 발생하는 열전달 효율의 저하를 방지).
상기 드럼 바디(21)에서 배출되는 이물질(린트 등)이 상기 흡열부(41) 및 발열부(43)에 적층되는 것을 최소화 하기 위해,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에는 공기를 여과하는 여과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3은 상기 여과부가 상기 연결덕트(35)에 구비된 제1여과부(5) 및 상기 배기덕트(31)에 구비된 제2여과부(8)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2여과부(8)는 상기 드럼 바디(21)에서 상기 배기덕트(31)로 유입되는 공기를 여과하는 수단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1여과부(5)는 상기 제2여과부(8)와 상기 흡열부(41)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2여과부를 통과한 공기를 여과하는 수단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여과부(5)에 구비된 여과홀의 직경은 상기 제2여과부(8)에 구비된 여과홀의 직경보다 작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2여과부(8)는 상기 공기 배출구(178)를 통해 상기 배기덕트(31)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프레임(81),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어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제4필터, 83)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여과부(5)는 상기 연결덕트(35)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캐비닛의 전방패널(11)에는 상기 제1여과부(5)가 인출되는 필터장착홀(113, 도 1참고) 및 상기 필터장착홀을 개폐하는 장착홀 도어(114)가 구비되고, 상기 덕트(3)에는 상기 제1여과부(5)가 삽입되는 덕트 관통홀(34, 도 3 참고)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상기 제1여과부(5)를 의류처리장치에서 분리한 뒤 제1여과부(5)에 잔류하는 이물질의 제거 및 제1여과부의 세척이 가능하다.
상기 제1여과부(5)는 상기 필터장착홀(113) 및 덕트 관통홀(34)에 삽입되어 상기 제2여과부(8)와 상기 흡열부(41) 사이에 위치하는 여과부 바디(51, 53, 57, 58), 및 상기 여과부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흡열부(41) 및 집수바디(371)로 이동하는 유체(공기 및 물)를 여과하는 필터(531, 551, 571)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여과부 바디는 상기 연결덕트(35)의 단면(Y-Z 평면, 및 X-Z 평면)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는데, 도 1는 상기 여과부 바디가 육면체에 유사한 형상으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여과부 바디는 상기 덕트 관통홀(34)을 폐쇄 가능한 형상으로 구비된 전방면(51), 상기 전방면과 상기 흡열부(41) 사이에 위치하는 후방면(53), 상기 전방면과 후방면을 연결하도록 구비된 바닥면(55), 상기 여과부 바디의 좌측면과 우측면을 형성하는 제1측면(57) 및 제2측면(58)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방면(51)에는 캐비닛에 구비된 락 체결부(16)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락(513, lock)이 구비될 수 있다. 도 1은 상기 락(513)은 상기 여과부 바디의 전방면(5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바(bar)로 구비되고, 상기 락 체결부(16)는 상기 바의 자유단이 수용되는 홈을 형성하도록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락(513)은 상기 전방면(51)의 마주보는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락 체결부(16)는 상기 필터장착혹(113)의 마주보는 양측에 각각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여과부 바디를 상기 연결덕트(35)에 삽입하거나, 상기 연결덕트(35)에서 분리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상기 전방면(51)에는 핸들(511)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후방면(53)과 상기 바닥면(55)에는 상기 여과부 바디 내부로 유입된 유체(공기 및 물)을 여과하는 제1필터(531) 및 제2필터(551)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후방면(53)에는 상기 여과부 바디 내부를 상기 덕트(3) 내부 공간과 연통시키는 후방면 관통홀이 구비되는데, 상기 1필터(531)는 상기 후방면 관통홀에 구비된다. 상기 바닥면(55)에는 상기 여과부 바디 내부를 덕트(3) 내부 공간과 연통시키는 바닥면 관통홀이 구비되는데, 상기 제2필터(551)는 상기 바닥면 관통홀에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1필터(531)는 상기 흡열부(41)로 공급되는 유체(공기 및 물)를 여과하는 수단이되고, 상기 제2필터(551)는 상기 집수바디(371)로 공급되는 유체를 여과하는 수단이 된다.
상기 제1측면(57)과 제2측면(58)은 상기 전방면(51), 후방면(53) 및 바닥면(55)을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제1여과부(5)는 상기 여과부 바디의 상부면 또는 제2측면(58)을 통해 상기 배기덕트(31)와 연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1은 상기 제1여과부(5)가 여과부 바디의 상부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상부면 관통홀 및 제2측면(58)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측면 관통홀을 통해 상기 배기덕트(31)에 연결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1필터(531)는 상기 여과부 바디의 바닥면(55)을 기준으로 상기 흡열부(41)의 전방면을 향해 90도 내지 100도로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후술할 세척부(6)를 통해 상기 제1필터(531)에 물이 분사될 경우, 제1필터에 잔류하는 이물질이 상기 바닥면(55)으로 쉽게 이동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2필터(551)는 상기 전방면(51)에서 상기 제1필터(531)를 향해 10도 내지 20도 하향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제2필터는 제1필터의 하단에서 필터장착홀이 위치된 방향을 향해 10 내지 20도 상향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필터(551)가 제1필터(531)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면, 상기 제1여과부가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제1필터(531)와 제2필터(551)의 연결점이 가장 낮은 지점이 될 것이므로, 제1여과부(5)의 이물질은 상기 제1필터(531)와 제2필터(551)의 연결점에 집중될 수 있다. 이물질이 상기 제1필터(531)와 제2필터(551)의 연결점에 집중되면, 사용자는 상기 제1여과부(5) 내부의 이물을 보다 쉽게 제거 가능할 것이다.
다만, 상기 제1필터(531)와 제2필터(551)의 연결점에 이물질이 집중되면, 상기 세척부(6)를 통해 분사된 물이 집수바디(371)로 배출되는데 긴 시간이 요구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측면(57)에는 상기 제1여과부(5) 내부를 상기 집부바디(371)에 연통시키는 바이패스홀 및 상기 바이패스홀에 구비된 제3필터(57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이패스홀 및 제3필터(571)는 상기 상기 제2필터(551)의 최상단보다 높고 상기 제1필터(531)의 최상단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제1여과부(5)에 잔류하는 이물질에 의해 상기 제1여과부(5)에 분사된 물이 상기 집수바디(371)로 회수되지 못하는 현상을 최소화 가능하다.
한편,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집수바디(371)에 저장된 물을 이용하여 상기 제1여과부(5)를 세척하는 세척부(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상기 집수바디(371)에 저장된 물을 상기 저수부(7)로 따로 수집될 수도 있고, 상기 세척부(6)로 선택적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상기 세척부(6)는 상기 집수바디(371)에 저장된 물을 상기 제1여과부(5)에 분사함으로써 상기 제1필터(531), 제2필터(551), 제3필터(571), 및 흡열부(41)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세척하는 수단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세척부(6)는 상기 덕트(3)에 구비되어 상기 제1여과부(5)로 물을 공급하는 분사부(65), 상기 집수바디(371)에 저장된 물을 상기 분사부(65)로 이동시키는 세척펌프(61)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세척펌프(61)는 제1연결관(611)을 통해 상기 집수바디(371)에 연결되고, 제2연결관(613)을 통해 상기 분사부(65)에 연결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가 하나의 세척펌프(61)만으로 상기 분사부(65) 및 상기 저수부(7)로 상기 집수바디(371)의 물을 이동시키도록 구비된다면,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에는 유로전환부(6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유로전환부(63)는 상기 제2연결관(613)을 통해 상기 세척펌프(61)에 연결되고, 상기 분사부(65)는 분사부 공급관(631)을 통해 상기 유로전환부(63)에 연결되며, 상기 저수부(7)는 저수부 공급관(633)을 통해 상기 유로전환부(63)에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저수부 공급관(633)은 상기 노즐(722a)과 상기 유로전환부(63)를 연결하도록 구비되어야 한다.
상기 유로전환부(63)에는 상기 분사부 공급관(631)의 개폐 및 상기 저수부 공급관(633)의 개폐를 제어하는 밸브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유로전환부(63)에 구비된 밸브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집수바디(371)에 저장된 물을 상기 분사부(65)로 공급할 수도 있고, 상기 저수부(7)로 공급할 수도 있다.
상기 분사부(65)는 상기 연결덕트(35)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분사부 공급관(631)이 연결되는 덕트 관통홀(651), 상기 덕트 관통홀에서 공급되는 물을 상기 제1필터(531)로 안내하는 제1가이드(653), 상기 제1가이드(653)를 통해 공급되는 물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흡열부(41)의 전방면으로 안내하는 제2가이드(655)를 포함하도록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제2가이드(655)는 물이 상기 제1필터(531)를 거쳐 상기 흡열부(41)의 전방면에 공급되게 하는 수단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필터(531)는 상기 제1여과부(5)가 상기 연결덕트(35)에 고정된 때 상기 제1가이드(653)와 상기 제2가이드(655) 사이에 위치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가이드(655)는 상기 연결덕트(35)의 상부면에서 상기 제1필터(531)를 향해 하향 경사진 경사면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653)에는 가이드 관통홀(654)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관통홀(654)은 상기 제1가이드(653)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홀로, 상기 덕트 관통홀(651)로 유입된 물은 상기 가이드 관통홀(654)을 통해 상기 흡열부(41)의 전방영역에 공급될 수 있다. 상기 흡열부의 전방영역은 상기 흡열부(41)의 중심을 통과하는 수직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1필터(531)를 향하는 방향에 위치된 영역을 의미한다.
한편,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집수바디(371)의 수위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에 전송하는 집수부 수위감지부(91)를 포함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집수부 수위감지부(91)가 구비되면,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집수바디(371)에 저장된 물을 상기 저장바디(72)로 이동시키는 시점을 판단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집수바디(371)의 물이 상기 연결덕트(35)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집수부 수위감지부(91)는 상기 집수바디(371) 내부의 수위를 감지 가능한 한 어떠한 장치로도 구비될 수 있는데, 도 3은 길이가 서로 다른 다수의 전극으로 구비된(수위에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전극들로 구비된) 센서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의류의 건조도를 판단함으로써 열교환부(4)의 작동 중단 시점을 판단할 수 있도록,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에는 건조도 감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건조도 감지부는 의류에 접촉하도록 구비되어 의류에 함유된 수분의 양을 측정하는 전극센서(95), 및 상기 드럼(2)에서 상기 덕트(3)로 유입되는 공기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극센서는 상기 제1고정바디(171)에 고정되어 상기 드럼 바디(21) 내부의 의류에 접촉 가능한 제1전극(951) 및 제2전극(953)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건조도가 높아질수록 의류에 함유된 수분의 양은 줄어들 것이므로(의류의 전기적 저항은 증가), 상기 두 전극(951, 953)이 의류를 통해 연결되었을 때 측정되는 전기적 저항을 관찰함으로써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의류의 건조도를 판단 가능하다. 한편, 의류의 건조도가 높아질수록 덕트(3)로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수분의 양은 줄어들 것이기 때문에,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습도센서를 통해 상기 덕트(3)로 유입된 공기의 습도를 관찰함으로써 의류의 건조도를 판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에는 상기 덕트(3)로 유입된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감지부(96)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온도감지부(96)는 상기 연결덕트(35)의 상부면에 고정되어 상기 제1필터(531)와 상기 제2필터(551)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5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바닥면에 상기 연결덕트(35)와 상기 집수부(37)를 구비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5(b)를 참조하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덕트(3)를 형성하며 상기 열교환부(4)가 설치될 수 있는 베이스(3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39)는 상기 배출덕트(31)의 일부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덕트(35)의 양단에 상기 배출덕트(31)와 상기 공급덕트(33)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덕트(35)에는 상기 흡열부(41)와 상기 발열부(43)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39)는 상기 연결덕트(35)의 일측에 압축기 등의 장치가 설치될 수 있는 장치 설치부(39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설치부(392)는 상기 압축기(45)가 설치될 수 있는 압축설치부(393)와, 상기 송풍팬이 안착될 수 있는 팬설치부(391)와, 상기 구동부가 설치될 수 있는 구동설치부(392a)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장치설치부(392)는 상기 집수부(3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집수부(37)는 상기 연결덕트(35)의 하부에 구비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연결덕트(35)의 일측에서 격벽(38)으로 분리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5(b)를 참조하면, 상기 연결덕트(35)는 상기 흡열부(41)가 설치될 수 있는 흡열장착부(372)와, 상기 발열부가 장착될 수 있는 발열장착부(523)을 포함할 수 있다.
건조행정이 진행됨에 따라, 상기 열공급부(4)가 구동하면 상기 흡열부(41)를 통과하는 공기는 냉각되어 함유된 수분이 응축된다. 상기 수분이 응축되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열장착부(372) 인근에 물이 고일 수 있다.
상기 연결덕트(35)의 하부면은 상기 집수부(37)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격벽(38)는 상기 연결덕트(35)를 유동하는 공기가 상기 장치장착부(392)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비되나, 상기 응축된 물이 상기 집수부(37)로 이동할 수 있도록 연통홀(38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통홀(381)로 상기 응축된 물은 상기 집수부(37)로 이동하여 상기 집수부(37)에 수집될 수 있다. 상기 집수부(37)에는 상기 세척펌프(61)가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집수부(37)는 상기 세척펌프(61)가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는 펌프 고정부(5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펌프고정부(535)는 상기 세척펌프(61)의 바닥면과 상기 집수부(37)의 간격을 일정거리 이격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집수부(37)에 충분한 물이 수집되면, 상기 세척펌프(61)를 구동하여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유로전환부(63)는 상기 공급된 물을 분사부(65)로 분사하거나, 상기 저수부(7)로 이동시키도록 제어될 수 있다.
도6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물공급부(300)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6(a)를 참조하면, 상기 스팀부(200)는 공간활용도를 위해, 상기 측면패널(14)에 고정되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스팀부(200)는 상기 캐비닛(1)의 모서리에 인접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내부공급부(400)와 상기 외부공급부(500)는 상기 스팀부(200)에 인접하여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스팀부(200)와 상기 물공급부(300)의 유로 구조를 최대한 단축시킬 수 있다.
통상, 외부공급부(500)는 배면패널(13) 또는 제2지지부(19)에 인접하여 구비되므로 상기 스팀부(200)도 상기 배면패널(13)에 인접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내부공급부(400)는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420)와, 상기 물탱크(420)에 저장된 물을 상기 스팀부(200)로 공급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물펌프(430)와, 상기 물펌프(430)와 상기 물탱크(420)가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탱크하우징(4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탱크하우징(410)은 상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물펌프(430)가 상기 캐비닛(1)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물펌프(430)가 상기 캐비닛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캐비닛의 전후방을 따라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탱크하우징(410)은 물탱크(420)가 착탈 가능하게 안착되는 탱크장착부(411)와, 상기 물펌프(430)가 장착될 수 있는 펌프장착부(4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탱크장착부(411)와 상기 펌프장착부(412)는 리세스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물탱크(420) 또는 상기 물펌프(430)에서 누수된 물이 상기 드럼(2) 등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탱크하우징(410)은 상기 탱크장착부(411)와 상기 펌프장착부(412)를 구획하는 격벽(4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탱크하우징(410)이 상기 물탱크(420)가 용이하게 장착 및 분리될 수 있다. 상기 격벽(413)은 상기 탱크장착부(411)에 잔수나, 상기 펌프장착부(412) 상의 잔수가 다른 곳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수집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격벽(413)에는 상기 물탱크(420)와 상기 물펌프(430)를 서로 연통시키는 연장관(416)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연장관(416)에는 밸브 구조가 설치될 수 있어, 상기 물탱크(420)가 상기 탱크장착부(411)에서 분리되더라도 누수가 발생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연장관(416)는 상기 격벽(413)에서 상기 물펌프(430) 또는 상기 물탱크(420)를 향하여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탱크하우징(410)은 상기 탱크장착부(411)보다 상기 펌프장착부(412)가 상기 스팀부(200)와 더 가깝게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물탱크(420)에서 상기 스팀부(200)로 공급되는 유로가 단순해질 수 있다.
상기 탱크하우징은 상기 탱크장착부(411)와 상기 펌프장착부(412)가 상기 캐비닛의 전후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탱크하우징은 일측에 연장되어 상기 측면패널(14)에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패널결합부(41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널결합부(417)는 상기 탱크하우징(410)의 외주면에서 복수개로 연장되어 상기 측면패널(14)에 안착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패널결합부(417)는 별도의 체결부재로 상기 측면패널(14) 상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탱크하우징(410)이 상기 패널결합부(417)로 고정된다고 하더라도, 상기 탱크하우징(410)은 물탱크(420) 및 물펌프(430) 뿐만 아니라 상기 물탱크(420)에 수용된 물의 하중까지 지지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탱크하우징(410)을 상기 캐비닛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지지바(4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바(440)는 양단이 상기 전방패널(11)과 상기 배면패널(12)에 결합되는 막대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지지바(440)는 상기 탱크하우징(410)의 하중을 지지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전방패널(11)과 상기 배면패널(12)을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지지바(440)는 상기 측면패널(14)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전방패널(11) 및 상기 배면패널(1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탱크하우징(410)은 일면에서 상기 지지바(440)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지지바(440)에 결합될 수 있는 지지결합부(4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결합부(415)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탱크하우징(4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고, 리브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결합부(415)는 상기 탱크하우징(410)의 일면에서 연장되면, 상기 패널결합부(417)는 상기 탱크하우징(410)의 타면에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결합부(415)와 상기 패널결합부(417)는 연장방향이 서로 반대일 수 있다.
상기 지지결합부(415)는 상기 지지바(440) 상에 안착되어 별도의 체결부재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물펌프(430)가 구동할 때 등, 진동이 상기 탱크하우징(410)에 전달되어도 상기 탱크하우징(410)이 상기 캐비닛(100)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지지바(440)는 상기 체결부재가 결합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지지홀(44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홀(441)에는 결합부재(705)가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바(440)로 인해 상기 탱크하우징(410)의 너비가 과도하게 연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탱크하우징(410)이 상기 스팀부(200)에 인접하게 설치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탱크하우징(410)은 일단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스팀부(200)에 안착되어 지지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스팀부(200)는 상기 탱크하우징(410)의 일모서리가 지지될 수 있는 지지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공급부(400)는 상기 펌프하우징(430)에서 상기 스팀부(200)로 물을 배출하는 펌프배출관(43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공급부(500)는 상기 제2지지부(19) 또는 상기 배면패널(12) 상에 안착되는 직수밸브(520)와, 상기 직수밸브(520)에서 스팀부(200)로 물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직수관(5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직수관(510)이 상기 배면패널(12)에서 상기 스팀부(200)까지 연장되고, 상기 직수밸브(520)는 상기 직수관(510)을 개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직수밸브(520)는 상기 배면패널(12) 또는 제2지지부(19)에 안착되어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직수관(510)이 상기 직수밸브(520)에서 상기 스팀부(200)를 향하여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외부공급부(500)는 외부급수원에서 직수방식으로 상기 스팀부(200)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스팀부(200)는 상기 외부공급부(500)와 상기 내부공급부(400)에서 물을 각각 공급받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스팀부(200)가 각각의 관으로 물을 공급받도록 구비되면, 별도의 스팀부(200) 형상이 제조되어야 하며, 유로 및 제어방법이 복잡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직수관(510)과 상기 펌프배출관(433)이 합지되도록 결합시키는 합지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합지부(600)는 상기 내부공급부(400)에 저장된 물과 상기 외부공급부(500)에서 직수방식으로 공급되는 물이 모두 수집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합지부(600)는 상기 공급된 물을 상기 스팀부(200)로 전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합지부(600)는 3방밸브로 구비될 수 있고, 3개의 관이 결합된 합지관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합지부(600)가 관 형상으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외부공급부(500)와 상기 내부공급부(400)는 역류가 방지될 수 있도록 체크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직수관(510)에는 상기 직수관(510)을 일방향으로 개방하도록 구비되는 직수체크밸브(511)가 설치될 수 있고, 상기 펌프배출관(433)에는 상기 펌프배출관(433)을 일방향으로 개방하도록 구비되는 배출체크밸브(434)가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직수관(510)으로 공급되는 물은 상기 물펌프(430)로 역류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상기 펌프배출관(433)으로 공급되는 물은 상기 직수밸브(510)로 역류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합지부(600)는 밸브 또는 합지관으로 구비되면 상당한 자중을 갖는다. 또한, 상기 합지부(600)에 물이 통과되면 상기 합지부(600)에 상당한 무게가 가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합지부(600)는 상기 지지바(440) 상에 안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합지부(600)와 상기 지지바(400)는 별도의 고정부재로 서로 결합되어 상기 합지부(600)가 상기 지지바(400)에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합지부(600)가 상기 지지바(400)에 안착됨으로 인해, 상기 직수관(510)과 상기 펌프배출관(433)의 위치도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팀부(200)는 상기 합지부(600)에 연결되어 물공급부(300)의 물을 공급받도록 구비되는 물안내관(220)과, 상기 물안내관(220)에서 물을 공급받아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발생기(210)와, 상기 스팀발생기(210)에서 발생된 스팀을 상기 드럼(2) 또는 덕트(3)로 안내할 수 있는 스팀안내관(2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팀안내관(230)은 상기 제2지지부와 연통하여 공기유입구(198)에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스팀안내관(230)도 적어도 일부가 상기 지지바(400)에 지지되어 상기 스팀안내관(230)이 회전하는 드럼(2)에 접촉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측면패널(14)에는 상기 물공급부(300)와 상기 스팀부(200)를 제어하는 스팀제어부(80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스팀제어부(800)는 컨트롤패널(117)과 별도로 구비되어 상기 메인제어부의 과부하를 방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팀제어부(800)가 별도로 구비되므로, 상기 스팀부(200)와 물공급부(300)를 기존 건조기 등의 의류처리장치에 모듈형식으로 추가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 건조기에 추가적으로 스팀을 공급할 수 있도록 설계할 수 있다.
상기 스팀제어부(800)는 상기 측면패널(14)에 고정되는 설치패널(810)과 상기 설치패널(810)에 안착되어 상기 스팀부(200)와 상기 물공급부(300)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제어패널(8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패널(820)은 상기 직수밸브(520)와, 상기 물펌프(430)를 모두 제어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스팀발생기(210)도 제어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탱크하우징(410)은 상기 물탱크(420)가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장착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장착센서는 압력센서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탱크(420)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는 수위센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수위센서는 무게센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장착센서 또는 상기 수위센서도 상기 제어패널(820)에 의해 제어될 수 있고, 상기 제어패널(820)에 신호를 송신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패널(820)은 상기 물펌프(430)를 일시적으로 구동하여 상기 물펌프(430)에 부가되는 부하를 감지함을 통해, 상기 물탱크(420)의 수위를 간접적으로 파악할 수도 있다.
도6(b)를 참조하면, 상기 배면패널(12) 또는 상기 제2지지부(19)는 상기 직수밸브(520)가 설치되는 설치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치부(121)는 상기 배면패널(12) 또는 상기 제2지지부(19)의 일면에서 오목하게 돌출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직수밸브(520)가 결합될 수 있는 내구성이 확보될 수 있다.
상기 직수밸브(520)는 상기 배면패널(12) 또는 제2지지부(19)의 외부로 돌출되거나 노출되는 노출관(521)과, 상기 노출관(521)을 상기 설치부(121)에 결합시키는 결합비드(5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치부(121)는 상기 노출관(521)이 관통될 수 있는 급수홀(122)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결합비드(524)가 억지 끼움되거나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홀(1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직수밸브(520)의 하중이 상기 설치부(121)에 지지될 수 있다.
도6(c)를 참조하면, 상기 직수밸브(520)는 상기 노출관(521)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바디(522)와 상기 개폐바디(522)와 상기 스팀제어부(800)를 연결하는 바디제어선(523)과, 상기 바디제어선(523)이 결합되어 상기 개폐바디에 신호를 전달하는 수신부(5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폐바디(522)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개폐바디(522)는 노출관(521)을 개폐하는 상기 제1개폐바디(522a)와, 상기 제1개폐바디(522a)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2개폐바디(522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출관(521)이 복수개로 구비되는 경우, 제1개폐바디(522a)와 제3개폐바디(522b)상기 노출관(521)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노출관(521)에 온수 또는 냉수가 각각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지지부(19)는 상기 직수밸브(520)를 수리하거나 교체할 수 있도록 노출홀(124)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직수밸브(520)는 상기 드럼(2)과 이격되어 상기 드럼(2)이 회전하더라도 간섭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7은 본 발명 내부급수부(400)의 유로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물탱크(420)는 상기 물을 배출하는 배출홀(421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출홀(4214)은 연장관(460)을 통해 상기 물펌프(43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물펌프(430)는 물안내관(220)을 통해 상기 스팀부(200)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배출홀(4214)은 상기 연장관(460)과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팀부(200)는 물을 공급받아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하우징(211)과, 상기 스팀하우징(211)으로 물을 공급받도록 상기 스팀하우징(211)에서 영ㄴ장되어 구비되는 물주입관(212)과, 상기 스팀하우징(211)에서 생성된 스팀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연장되고 상기 스팀안내관(230)과 결합하 수 있도록 구비되는 스팀배출관(213)과, 상기 스팀안내관(230)의 개폐를 조절하도록 구비되는 차단밸브(260)와, 상기 스팀안내관(230)의 말단에 구비되어 스팀을 분사하도록 구비되는 분사노즐(2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팀하우징(211)에는 수위센서(215)와 온도센서(216)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팀제어부(800)는 상기 수위센서(215)와 상기 온도센서(216)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물펌프(430) 또는 상기 차단밸브(26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물탱크(420)에 수용된 물은 상기 물펌프(430)를 통과하여 상기 스팀하우징(211)으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스팀하우징(211)에서 물을 여러가지 방식으로 스팀으로 변화되어 상기 차단밸브(260)의 개폐에 의해 상기 분사노즐(250)로 선택적으로 분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팀하우징(211)은 내부에 잔수를 배출하거나, 물 또는 스팀을 시험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패스관(214)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패스관(214)는 상기 스팀하우징(211)에 잔류하는 물을 배출하거나, 상기 스팀하우징이 원활하게 작동하는 지를 검사하기 위해, 상기 스팀하우징 내부의 물 또는 스팀을 일부 배출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물주입관(212) 및 상기 스팀배출관(213)과 별도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패스관(214)는 자중에 의해 상기 물 또는 스팀이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스팀하우징(211) 하부에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패스관(214)은 상기 물 또는 스팀이 배출될 수 있다면 어떠한 구성으로 어떤 위치에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도8은 스팀부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스팀부(200)는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스팀발생기(210)와, 스팀발생기 (210) 내부에 장착되는 히터(240)와, 스팀발생기(210)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센서(260)와, 스팀발생기(210)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2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위센서(260)는 통상 공통전극(262), 저수위전극(264) 및 고수위전극(266)으로 구성되어, 공통전극(262)과 고수위전극(264)의 통전 또는 공통전극(262)과 저수위전극(266)의 통전 여부에 의하여 고수위 및 저수위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스팀발생기(210)의 일측에는 물을 공급하는 물안내관(220)가 연결되며, 타측에는 스팀을 배출하는 스팀안내관(230)이 연결되며 스팀안내관(230)의 선단에는 소정 형상의 노즐(25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물안내관(220)의 일단은 상기 합지부(600)에 연결되며, 스팀안내관(230)의 노즐(250)은 드럼(2) 또는 덕트(3)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스팀부(200)는 소정 크기의 스팀발생기(210)에 수용된 일정량의 물을 히터(240)로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하는 통가열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스팀부(200)는 스팀을 발생할 수 있는 장치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스팀발생기로 사용할수 있다. 예를 들어, 물이 통과하는 급수 호스의 둘레에 직접 히터를 설치하여 즉 물을 소정 공간에 수용하지 않고 가열하는 방식(이하 편의상 "관가열 방식"이라 함)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초음파를 통한 가습방식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패스관(214)은 평소에는 별도의 개폐부재로 차폐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임의적으로 물 또는 스팀이 배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9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가 드럼 외부를 살균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9를 참조하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측면패널(14)에 상기 스팀부(200)가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스팀부(200)는 상기 설치패널(810)에 결합되어 상기 측면패널(14)에 고정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팀부(200)는 상기 캐비닛의 모서리 또는 꼭지점 부분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공간활용도가 극대화 될 수 있다.
상기 배면패널(12)에는 상기 제2지지부(19)가 결합되어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제2지지부(19)가 상기 배면패널(12)에 이격되더라도, 상기 제2지지부(19)가 상기 배면패널(12)에 지지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 중 상기 제2고정바디(191)는 상기 드럼의 배면과 나란하게 구비되어 상기 드럼을 지지할 뿐 더러, 상기 드럼의 배면을 차폐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바디(195)는 상기 제2고정바디(191)에서 상기 드럼(2)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드럼(2)을 상기 캐비닛 내부에 안착시킬 뿐만 아니라, 상기 드럼(2)을 실링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바디(195)의 내부는 열풍의 이동 또는 소음 등을 고려하여 내부 또는 외부로 함몰되어 구비되는 홈 등이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공기유입구(198)는 상기 제2고정바디(191)를 관통하여 상기 드럼(2)의 배면과 연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공급덕트(33)의 말단과 연통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팀부(200)의 스팀공급관(230)은 상기 공급덕트(33) 또는 상기 공기유입구(198)에 연통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드럼(2) 내부로 스팀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롤러(199)는 상기 드럼(2)의 외주면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으며 복수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39)의 전방에는 배기덕트(31)의 말단이 연결될 수 있고, 상기 배기덕트(31)와 연결된 상기 연결덕트(35)에는 열교환부(4)가 안착되고, 상기 열교환부(4)를 외부와 차폐하도록 구비되는 세척부(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세척부(6)는 상기 연결덕트(35)의 상부면을 형성하여 상기 연결덕트(35)에 유입된 공기가 통과하는 유로를 일부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연결덕트(35)의 상부에 안착되는 상기 제1가이드(653)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1가이드(653)의 전방에는 제2가이드(65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653)의 상부에는 상기 제1가이드(653)를 관통하여 상기 열교환기와 연통하는 상기 덕트 관통홀(651)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덕트관통홀(651)에는 상기 분사부공급관(631)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덕트관통홀(651)은 흡열부(41)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흡열부(4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분사부공급관(631)도 상기 유로전환부(63)에서 복수개로 분지되어 상기 복수의 덕트관통홀(651)에 각각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분사부공급관(631)는 내측에서 외측으로 또는 외측에서 내측으로 순차적으로 상기 유로전환부(63)에 의해 개방되도록 제어되어 상기 흡열부(41)를 세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39)는 상기 연결덕트(33)의 측면에 배치되어 장치들이 설치되어 있는 공간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덕트(33)의 측면에는 상기 열교환부(4)에 가열냉매를 공급하는 압축기(45)와, 상기 드럼을 직접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28)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28)에는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거나 배출하여 상기 압축기(45) 또는 구동부(28)를 냉각시키는 냉각팬(29)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39)의 바닥면에는 집수부가 설치되어 상기 열교환부(4)에서 생성된 응축수가 수집될 수 있고, 상기 집수부는 상기 세척펌프(61)에 의해 상기 유로전환부(63) 또는 상기 저수부(7)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세척펌프(61)는 상기 집수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집수부를 밀폐할 수 있다.
상기 집수부수위감지부(91)는 상기 집수부 내부의 수위 또는 세척펌프(61)의 수위를 감지하여 상기 응축수가 설정수위 이상 수집되었는지 판단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드럼 외부에 물 또는 스팀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살균부(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살균부(900)는 고온의 물 또는 스팀을 상기 드럼(2) 외부에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살균부(900)는 상기 드럼 내부를 살균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드럼(2)의 외주면과 상기 캐비닛(1)의 내주면 사이 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살균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살균부(900)는 고온의 스팀 또는 고온의 물(온수)를 상기 드럼 외부와 상기 캐비닛의 내부 공간 중 적어도 일부에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온이라 함은 세균을 박멸하기에 필요한 온도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고온은 살균온도에 해당하는 온도일 수 있다. 통상 세균은 50도 이상에서 10분 이상이 지속되면 박멸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상기 살균온도는 섭씨 50도 또는 섭씨 60도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살균부(900)는 상기 물공급부(300)에서 물을 공급받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급된 물이 살균온도까지 가열되어야 하므로 상기 살균부(900)는 상기 스팀부(200)에서 물을 공급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살균부(900)는 상기 스팀부(200)에서 연통되어, 상기 스팀부(200)에서 가열된 물을 직접 공급받는 고온관(9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온관(910)은 상기 스팀부(200)에서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패스관(214)에 일단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패스관(214)은 상기 스팀발생기(210)의 하부에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패스관(214)으로 스팀(steam)이 아니더라도, 고온의 물이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살균부(900)는 스팀 뿐만 아니라 고온수로 살균을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살균부(900)는 상기 고온관의 개폐를 조절하는 살균밸브(9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살균밸브(920)는 상기 고온관(910)으로 물 또는 스팀의 공급여부를 결정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살균밸브(920)는 상기 스팀부(200) 자체에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스팀부(200)의 구조를 그대로 차용할 수 있도록, 상기 살균밸브(920)는 상기 스팀부(200) 외부에 별도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살균밸브(920)는 상기 드럼(2)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면 어느 곳이든지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살균밸브(920)는 상기 세척부(6)의 상부에 안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살균밸브(920)는 상기 공급관(910)의 하중 및 상기 공급관(910)을 유동하는 물 또는 스팀의 하중을 지지해야 하므로, 상기 세척부(6) 또는 상기 캐비닛(1) 내면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캐비닛(1)은 상기 공급관(910)의 일부를 고정하거나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지부(142)는 상기 측면패널(14)에서 돌출되거나 함몰되어 상기 공급관(910)의 일부가 수용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공급관(910)이 상대적으로 길게 연장된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상기 패스관(214)에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살균밸브(920)는 상기 세척부(6) 또는 상기 캐비닛(1)에 고정되거나 결합되는 결합대(924)와, 상기 결합대(924)에 지지되어 상기 공급관(910)을 개폐하는 개폐부(9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살균부(900)는 상기 고온관, 상기 살균밸브 또는 살균관 내부의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는 상기 공급관(910)을 통과하는 물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온도감지부(921)와, 상기 공급관(910) 내부의 압력을 감지할 수 있는 압력감지부(922)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도감지부(921)와 상기 압력감지부(922)는 상기 스팀제어부(800)에 연결되어 제어될 수 있으며, 상기 스팀제어부(800)가 상기 개폐부(923)를 제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살균밸브(920)가 상기 스팀제어부(8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므로, 상기 온도감지부(921) 또는 상기 압력감지부(922)는 상기 살균밸브(92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살균밸브(920)는 상기 공급관(910)에 전달된 물 또는 스팀의 온도가 살균온도일 때 상기 공급관(910)을 개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살균밸브(920)는 상기 공급관(910)에 공급된 물 또는 스팀의 온도가 살균온도 이하이면, 상기 공급관(910)을 폐쇄하도록 제어될 수 있고, 상기 스팀부(200)에서 상기 공급관(910)까지의 물이 살균온도 이상으로 가열될 수있도록 대기할 수 있다.
상기 살균밸브(920)는 상기 공급관(910)까지 공급된 물 또는 스팀의 온도가 살균온도 이상이면 개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살균밸브(920)는 상기 공급된 물 또는 스팀의 압력이 기준압력 이하이면, 상기 공급관(910)을 폐쇄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상기 공급관(910)까지의 압력이 기준압력이 될 때까지 물 또는 스팀은 상기 스팀부(200)에서 가열될 수 있다.
상기 기준압력은 상기 물이 살균온도 이상일 때의 압력일 수 있다. 또는 상기 물이 스팀으로 전부 전환되었을 때의 압력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살균부(900)는 상기 살균밸브(920)의 물을 상기 드럼 외부로 공급하는 살균관(9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살균관(930)은 고온의 물 또는 스팀을 살균이 필요한 영역으로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살균부(900)는 고온의 물 또는 스팀을 상기 세척펌프(61)로 전달하도록 상기 살균밸브(920)에서 상기 세척펌프(61)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세척펌프(61)로 상기 고온의 물 또는 스팀이 공급되어 상기 집수부 내부를 살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척펌프(61)는 상기 고온의 물 또는 스팀을 상기 유로전환부(63)로 송부하여 상기 열교환부(4)에 공급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열교환부(4)도 살균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살균부(900)는 살균시간 동안 상기 고온의 물 또는 스팀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살균밸브(920)를 개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스팀부(200)는 물공급부(300)로부터 상기 살균시간동안 상기 살균관(930)으로 공급하도록 충분한 물을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살균밸브(920)는 상기 스팀부(200)의 수위에 따라 상기 살균시간동안 물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물공급관(910)의 개도를 조절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살균부(900)는 상기 스팀부(200)에서 공급된 물은 상기 드럼(2)의 외주면과 상기 캐비닛(1) 내면 사이 영역에 공급되어 내부를 살균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2)의 외주면과 상기 캐비닛(1)에 공급된 고온의 물과 스팀은 살균을 완료한 뒤, 상기 집수부(37)로 다시 수집되어 상기 세척펌프(61)를 통해 상기 저수부(7)에 수집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살균부(900)는 상기 스팀부(200)에서 연장되어 구비되므로, 상기 공급관(910)은 상기 드럼(2)보다 상부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살균부(900)가 주로 살균하는 장소는 세척펌프(61) 또는 집수부(37), 열교환부(4) 이기 때문에 상기 살균관(930)은 상기 드럼(2)보다 하부까지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공급관(910)과 상기 살균관(930)을 상기 회전하는 드럼(2)에 간섭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것이 중요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살균부(900)는 상기 드럼과 접촉되거나 간섭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드럼(2)의 외면에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살균부(900)는 상기 드럼과 이격되도록 상기 캐비닛 또는 상기 덕트에 적어도 일부가 고정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온관(190)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캐비닛에 고정되어 상기 스팀부(200)에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살균밸브(920)는 상기 캐비닛의 내면에 결합되거나, 상기 캐비닛(1)의 내면에 최대한 인접하도록 상기 덕트(3) 상에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은 상기 고온관(910)을 상기 캐비닛(1)에 고정시켜 상기 드럼과 이격시키는 파지부(1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살균밸브(920)는 상기 측면패널(14) 상에 고정되고, 상기 공급관(910)의 일부는 상기 측면패널(14)에 결합 또는 부착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살균관(930)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덕트(3)에 안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살균관(930)은 상기 열교환부(4) 또는 세척부(6) 등 베이스(39) 구성에 적어도 일부가 결합 또는 부착되어 살균영역까지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급관(910)은 상기 측면패널(14)의 일면을 따라 부착되어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측면패널(14)은 상기 파지부(142)가 구비되어, 상기 공급관(910)을 고정하여 상기 공급관(910)과 상기 드럼(2)의 접촉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살균밸브(920)는 상기 덕트(3) 또는 세척부(6)에 고정되어 상기 살균관(930)이 상기 드럼(2)과 접촉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살균관(930)은 상기 덕트(3) 또는 세척부(6)의 표면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살균부(900)가 회전하는 드럼(2)에 간섭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
한편, 상기 건조행정 중에는 상기 스팀부(200)에서 히터가 추가적으로 작동하면, 과부하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살균부(900)는 건조행정이 종료될 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살균부(900)는 상기 건조행정 중에도 상기 열교환부(4)가 작동하지 않을 때 구동될 수 있으며, 상기 건조행정 중에 상기 열교환부(4)가 작동이 완료되었을 때 구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살균부(900)는 상기 살균이 필요한 영역에 스팀이 아닌 물만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 내부와 상기 드럼(2)의 외부 사이에는 복수의 부품이 설치된다.
상기 부품은 금속으로 구비된 제품이 있을 수 있으며, 전기가 흐를 수 있는 전자제품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캐비닛(1) 내부와 상기 드럼(2) 외부 사이 공간에 습도가 상승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팀(steam) 보다 물은 같은 온도라고 하더라도 보유한 열에너지가 크며, 접촉력이 더 우수하다. 따라서, 상기 스팀을 살균영역에 분사하는 것보다 상기 살균영역이 상기 고온의 물에 접촉하는 것이 살균에 더 유리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스팀(steam)은 상기 캐비닛(1) 내부의 공기보다 비중이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팀(steam)이 원하는 공간에 분사되더라도 의도치 않게 상승하여 의도한 살균효과를 달성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팀부(200)에서 발생한 스팀은 스팀발생기(210)의 상부로 의도치 않게 상승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물이 항상 상기 스팀부(200) 하부에 배치될 수 밖에 없으므로, 상기 스팀부(200) 보다 하부에 위치한 살균밸브(920)로 스팀이 공급되는 공급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스팀부(200)는 상기 고온의 물이 수증기가 되기 전까지만 가열하여 상기 살균부(900)로 공급할 수 있고, 상기 살균부(900)는 고온의 물만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살균부(900)는 필요에 따라 상기 수증기 또는 스팀을 살균공간에 분사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스팀부(200)는 상기 물을 가열하여 수증기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팀부(200)가 상기 스팀을 상기 살균부(900)로 직접 공급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상기 살균밸브(920)가 팽창밸브로 구비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살균밸브(920)는 상기 고온의 물을 팽창시켜 상대적으로 저온의 스팀 또는 수증기로 변화시키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도10은 상기 살균부(900)가 살균할 수 있는 구체적인 영역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살균부(900)는 상기 집수부(37)와 상기 저수부(7) 중 하나 이상으로 상기 가열된 물 또는 스팀을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살균부(900)는 상기 세척부(6)에 상기 가열된 물 또는 스팀을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살균부(900)는 상기 세척펌프(61), 상기 유로전환부(63), 상기 분사부(65) 중 하나 이상에 상기 가열된 물 또는 스팀을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살균관(930) 상기 살균밸브(920)에서 상기 집수부(37), 상기 유로전환부(63), 상기 분사부 (65)중 하나 이상으로 연장되어 상기 가열된 물 또는 스팀을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 살균부의 살균관(930)은 상기 세척펌프(61)에 직접 고온의 물 또는 스팀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펌프살균관(93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펌프살균관(931)은 상기 살균밸브(920)에서 상기 세척펌프(61)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펌프살균관(931)은 상기 살균밸브(920)을 통해 고온의 물 또는 스팀을 공급받아 상기 세척펌프(61)에 직접 공급할 수 있다. 이로써, 평소 응축수에 노출되는 상기 세척펌프(61)가 1차적으로 즉각 살균 및 세척될 수 있다.
상기 세척펌프(61)에 공급된 고온의 물 또는 스팀은 상기 집수부(37)에 그대로 전달된다. 따라서, 상기 집수부(37)도 2차적으로 살균 및 세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세척펌프(61)에 고온의 물이 공급될 때는 상기 살균밸브(920)는 개방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척펌프(61)에서 상기 유로전환부(63)로 집수부(37)의 물이 공급될 경우에는 상기 살균밸브(920)는 폐쇄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살균부(900)는 상기 세척펌프(61)에 고온의 물 또는 스팀을 공급함으로써, 상기 유로전환부(63) 및 분사부(65), 열교환부(4)까지 간접적으로 살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로전환부(63)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저수부(7)까지 고온의 물 또는 스팀을 공급하여 상기 저수부(7)도 살균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살균부(900)는 응축수가 공급되는 유로 전체를 살균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살균부(900)는 적은양 의 물 또는 스팀으로 특정영역을 집중적으로 살균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살균관(930)은 상기 열교환부(4)에 직접 고온의 물 또는 스팀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열살균관(9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살균관(932)은 상기 살균밸브(920)에서 상기 세척부(6)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열살균관(932)는 상기 열교환부(4)의 대응되는 부분에 위치하는 세척부(6)에 연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열살균관(932)는 상기 가이드관통홀(654)까지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열살균관(932)은 상기 흡열부(41)의 대응되는 위치까지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흡열부(41)가 상기 드럼(2)에서 토출되는 공기와 제일 먼저 접촉되는 구성이며, 상기 공기에서 물이 제일 먼저 응축되어 수분에 노출되기 쉬운 구성이기 때문이다.
이로써, 상기 흡열부(41)는 상기 열살균관(932)에서 공급된 고온의 물 또는 스팀으로 즉각적으로 살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살균관(932)에서 충분한 고온의 물 또는 스팀이 공급된다면, 상기 고온의 유체는 상기 연결덕트(32) 및 상기 세척펌프(61)도 함께 살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열살균관(932)은 상기 가이드관통홀 만 아니라, 상기 분사부(65) 중 어느 하나에 고온의 물 또는 스팀을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분사부(65)는 상기 유로전환부(63)를 통해 응축수를 공급받기 때문에 항상 수분에 노출되기 쉽다. 따라서, 상기 열살균관(932)은 상기 분사부(65) 부터 살균하도록 상기 분사부(65) 자체에 연통되어 고온의 물 또는 스팀을 공급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열살균관(932)는 고온의 물 또는 스팀을 상기 열교환부(4)에 직접 공급하여 상기 열교환부(4)를 세척할 뿐만 아니라 살균까지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세척부(6)까지 2차적으로 살균할 수 있다.
상기 살균관(930)은 상기 고온의 물 또는 스팀을 상기 유로전환부(63)에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전환연통관(93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온의 물 또는 스팀은 상기 유로전환부(63)에 공급되어 상기 유로전환부(63) 부터 살균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온의 물 또는 스팀은 상기 유로전환부(63)의 제어 따라 상기 저수부(7)에 공급되어 상기 저수부(7)를 살균할 수도 있으며, 상기 분사부(65)로 공급되어 상기 분사부(65) 및 상기 열교환부(4), 상기 세척펌프(61) 중 하나 이상을 살균할 수 있다.
상기 살균관(930)은 상기 펌프살균관(931), 상기 열살균관(932), 상기 전환살균관(933)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고, 모두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살균관(930)이 상기 펌프살균관(931), 상기 열살균관(932), 상기 전환살균관(933) 중 둘 이상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상기 살균밸브(920)은 상기 펌프살균관(931), 상기 열살균관(932), 상기 전환살균관(933) 중 어느 하나만 개방가능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예를들어, 상기 살균밸브(920)는 삼방 또는 사방밸브 그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펌프살균관(931), 상기 열살균관(932), 상기 전환살균관(933)에는 고온의 스팀보다는 고온의 물이 공급될 수 있다. 상기 펌프살균관(931), 상기 열살균관(932), 상기 전환살균관(933)에 공급되는 물은 많은 영역을 통과하면서 냉각될 수 있기 때문에 스팀보다는 고온의 물이 살균에 더 유리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집수부(37)에 응축수가 수집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팀은 접촉되자마자 냉각되거나 응축될 수 있으므로, 고온의 물이 상기 살균관(930)으로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스팀부(200)는 상기 살균관(930)으로 50도 이상 100도 미만의 물이 공급되도록 상기 물공급부(300)에 공급받은 물을 가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살균관(930)은 상기 드럼의 외부(2)와 캐비닛(1) 내부 공간을 살균하도록 구비되는 내부살균관(93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 살균관(932)은 상기 살균밸브(920)에서 상기 드럼(2)의 외부로 노출되어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내부살균관(932)은 상기 회전하는 드럼(2)에 접촉되지 않는다면, 상기 캐비닛(1) 내부로 어느 곳에든 연장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내부살균관(932)은 상기 고온의 물 또는 스팀을 상기 캐비닛(1) 내부로 공급하여 상기 캐비닛(1) 내부 전체를 살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캐비닛(1) 내부는 압축기 및 구동부 등의 전자제품들이 복수 있으므로, 상기 내부살균관(932)으로는 고온의 스팀이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부살균관(932)으로 공급된 스팀은 상기 캐비닛(1) 내부에 번식하거나 생성될 수 있는 세균 또는 곰팡이를 제거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도11은 상기 살균부(900)를 제어하는 제어방법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살균부(900)를 가열하는 살균모드가 수행되면, 상기 스팀부(200)에서 물을 가열하는 가열단계(G2)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가열단계(G2)를 수행하기 위해, 상기 물공급부(300)에서 상기 스팀부(200)로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단계(G1)가 선행될 수 있다.
상기 물공급단계(G1)는 외부공급부(500)에서 물공급이 가능하다면, 외부공급부(500)에서 상기 스팀부(200)로 물공급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외부공급부(500)에 급수된 물이 상대적으로 내부공급부(400) 보다 신선하여 살균에 적합하기 때문이다.
물론, 상기 내부공급부(400)에 수용된 물도 상기 스팀부(200)에 가열되므로 살균효과를 보장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내부공급부(400)의 물로 상기 스팀부(200)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물공급단계(G1)는 상기 스팀부(200)가 스팀을 발생시키는데 필요한 물보다 더 다량의 물을 상기 스팀부(200)에 공급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스팀부(200)의 최대수위까지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이는 살균에 필요한 물은 건조행정에 필요한 스팀보다 더 많을 수 있고, 스팀이 아닌 고온의 물을 상기 살균부(900)에 공급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상기 스팀부(200)에서 살균부(900)가 살균에 필요한 충분한 양의 물이 공급되어 가열되면, 상기 물의 온도가 살균온도(제1온도) 이상인지 감지하는 제1 감지단계(G3)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1감지단계(G3)는 상기 스팀부(200) 내부의 온도가 살균온도 이상인지를 감지하거나, 상기 살균밸브(920) 내부 또는 상기 공급관(910) 이나 살균밸브(920)에 전달된 온도가 살균온도 이상인지를 감지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살균온도 이상이면, 상기 살균밸브(920)기 상기 공급관(910)을 개방하는 개방단계(G4)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살균부(900)는 상기 가열된 물이 살균온도 이상일 때만 상기 물 또는 스팀을 공급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살균밸브(920) 또는 스팀부(200)는 상기 스팀제어부(8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살균밸브(920)가 개방되어 살균을 담보할 수 있는 시간이 경과되는지 여부, 또는 살균모드가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종료판단단계(G5)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종료판단단계(G5)에서 살균을 담보할 수 있는 살균시간(예를들어, 10분) 이 경과되거나, 살균모드가 종료되면 상기 살균밸브(920)를 폐쇄하고, 상기 스팀부(200)의 구동을 종료하는 종료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이로써, 고온의 물 또는 스팀이 상기 살균관(930)으로 배출되어 드럼 외부의 영역 중 적어도 일부를 살균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캐비닛(1) 내부의 세균 또는 곰팡이의 번식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악취 및 의류의 오염 등이 발생하는 가능성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다.
도12는 상기 살균부(900)의 다른 제어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살균부(900)는 고온의 물 또는 스팀을 살균온도(또는 제1온도)로 공급한다. 그러나, 전술한 것처럼, 집수부(37) 또는 세척펌프(61), 열교환부(4), 저수부(7) 중 어느 하나를 살균할 때에는 스팀보다는 고온의 물이 더 적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살균부(900)는 살균온도 보다는 높되 기화온도(제2온도) 보다는 낮은 물이 상기 살균부(930)로 공급될 수 있도록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살균부(900)를 가열하는 살균모드가 수행되면, 상기 스팀부(200)에서 물을 가열하는 가열단계(G2)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가열단계(G2)를 수행하기 위해, 상기 물공급부(300)에서 상기 스팀부(200)로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단계(G1)가 선행될 수 있다.
상기 물공급단계(G1)는 외부공급부(500)에서 물공급이 가능하다면, 외부공급부(500)에서 상기 스팀부(200)로 물공급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외부공급부(500)에 급수된 물이 상대적으로 내부공급부(400) 보다 신선하여 살균에 적합하기 때문이다.
물론, 상기 내부공급부(400)에 수용된 물도 상기 스팀부(200)에 가열되므로 살균효과를 보장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내부공급부(400)의 물로 상기 스팀부(200)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물공급단계(G1)는 상기 스팀부(200)가 스팀을 발생시키는데 필요한 물보다 더 다량의 물을 상기 스팀부(200)에 공급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스팀부(200)의 최대수위까지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이는 살균에 필요한 물은 건조행정에 필요한 스팀보다 더 많을 수 있고, 스팀이 아닌 고온의 물을 상기 살균부(900)에 공급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상기 스팀부(200)에서 살균부(900)가 살균에 필요한 충분한 양의 물이 공급되어 가열되면, 상기 물의 온도가 살균온도(제1온도) 이상인지 감지하는 제1 감지단계(G3)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물의 온도가 살균온도 이상이면, 상기 물의 온도가 기화온도(제2온도) 이상인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2감지단계(G3-1)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2감지단계(G3-1)에서 상기 물의 온도가 기화온도 이하이면 살균밸브를 개방하는 개방단계(G4)가 수행될 수 있다. 즉, 상기 개방단계(G4)는 상기 스팀부(200)에서 가열되거나 또는 상기 공급관(910)에 공급된 물이 살균온도 이상이면서 기화온도 이하일 때 상기 살균밸브(920)가 개방되는 단계로 이해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개방단계(G4)는 물의 온도가 55도 이상 100도 미만일 때, 상기 살균밸브(920)를 개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살균부(900)는 상기 가열된 물이 상기 살균온도 이상이고, 상기 물이 기화되는 기화온도 이하일 때 상기 물 또는 스팀을 공급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감지단계(G3-1)에서 상기 물의 온도가 기화온도 이상이면 상기 스팀부(200)의 구동을 중단하는 가열중단단계(G3-2)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가열중단단계(G3-2)는 상기 물의 온도가 상기 기화온도 이하로 감소될 때까지 수행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제1감지단계(G3)과 상기 제2감지단계(G3-1)가 다시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살균부(900)는 공급되는 물 또는 스팀이 상기 기화온도 이상으로 감지되면 상기 물 또는 스팀의 공급을 중단하고, 상기 스팀부(200)는 상기 물의 가열을 중단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살균밸브(G4)를 개방하면, 상기 살균관(930)으로 고온의 물이 살균영역으로 공급된다. 이때에도, 상기 스팀부(200)에서 가열은 지속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살균밸브(G4)가 개방되는 과정에서 상기 공급관(910)에 흐르는 물의 온도가 기화온도 이상인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3감지단계(G4-1)가 수행행될 수 있다.
한편, 제3감지단계(G4-1) 중에 상기 살균관(930)으로 배출되는 물 또는 상기 공급관(910)으로 공급되는 물의 온도가 기화온도 이하이면서 상기 살균밸브(920)가 개방되어 살균을 담보할 수 있는 시간이 경과되는지 여부, 또는 살균모드가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종료판단단계(G5)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종료판단단계(G5)에서 살균을 담보할 수 있는 살균시간(예를들어, 10분) 이 경과되면 상기 살균밸브(920)를 폐쇄하고, 상기 스팀부(200)의 구동을 종료하는 종료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살균부(900)는 상기 물 또는 스팀의 공급이 살균시간 동안 지속되면 상기 물 또는 스팀의 공급을 중단하도록 제어되고, 상기 스팀부(200)는 상기 살균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물의 가열을 중단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종료판단단계(G5)전에 상기 공급관(910) 또는 상기 살균관(930)의 온도가 기화온도 이상으로 상승하면, 상기 살균밸브(920)를 폐쇄하는 잠금단계(G4-2)가 수행될 수 있다. 이로써, 의도치 않게 스팀 또는 수증기가 상기 드럼(2) 외부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잠금단계(G4-2)가 수행되면, 상기 스팀부(200)의 구동을 중단하는 가열중단단계(G3-2)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살균부(900)는 상기 물 또는 스팀이 상기 기화온도 이하이면 상기 물 또는 스팀의 공급을 재수행하고, 상기 스팀부(200)는 상기 물을 다시 가열할 수 있다.
이로써, 살균을 수행할 수 있는 고온의 물만 상기 드럼(2) 외부에 위치한 영역에 공급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세척펌프(61), 집수부(37), 세척부(6), 열교환부(4) 중 어느 하나에 상기 고온의 물이 공급되어 살균을 수행할 수 있다.
도13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살균부(900)의 다른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살균부(900)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드럼(2)의 전방 또는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드럼(2)의 회전하는 것으로부터 상기 살균부(900)가 받을 수 있는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제2지지부(19)에 공급덕트(33)가 연결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급덕트(33)는 연결덕트(32)에서 공기유입구(198)까지 연결되어 구비된다. 상기 공기유입구(198)는 상기 드럼(2)의 배면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므로, 상기 공급덕트(33)는 베이스(39)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공급덕트(33)는 상기 스팀부(200)와 가장 인접하게 구비되면서도, 상기 회전하는 드럼(2)에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다. 즉, 상기 공급덕트(33)는 상기 드럼(2)이 회전하여도 위치가 가변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살균부(900)는 상기 공급덕트(33)를 따라 상기 덕트(3)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급관(910)은 상기 공급덕트(33)의 연장방향을 따라, 상기 덕트(3)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급관(910)은 상기 공급덕트(33)의 내부로 투입되어 상기 덕트(3)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공급관(910)의 말단 또는 상기 살균관(920)은 상기 공급덕트(33)의 외부로 돌출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살균부(900)는 상기 제2지지부(19)의 배면을 따라 상기 덕트(3)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19)의 배면 및 상기 배면패널(12)의 내면은 회전하는 상기 드럼(2)에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상기 살균부(900)가 설치될 수 있는 최적의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고온관(910)은 상기 공급덕트(33)와 상기 캐비닛 (1)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공급관(910)은 상기 공급덕트(33)의 배면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덕트(3)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살균밸브(920)는 상기 연결덕트(32) 후방에 안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살균밸브(920)는 상기 전방패널(11) 보다 상기 배면패널(12)에 인접하여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덕트(3)의 후방에 고정되어 구비될 수 있다 .
상기 살균관(930)은 상기 덕트(3)의 후방 또는 상기 배면패널(12)에서 상기 드럼보다 하부로 이격된 공간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살균부(900)가 상기 드럼(2)과 간섭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도14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컨트롤패널(117)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컨트롤패널(117)에는 건조행정을 수행하는 명령을 메인제어부에 입력하는 입력부(118)와,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상태를 외부에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11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패널(117)에는 메인 제어부가 내장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열교환부(4) 및 구동부(28)를 제어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스팀제어부(800)에 연동되는 신호를 보내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메인제어부에는 건조행정을 수행할 수 있는 임의의 코스 또는 옵션이 기 저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임의의 코스 또는 옵션은 상기 입력부(118)의 입력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18)는 임의의 코스 또는 옵션 중 하나를 상기 메인제어부가 수행하기 위한 입력을 받도록 구비된다면 어떠한 구성으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입력부(118)는 놉(Knop)의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고, 복수의 버튼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18)는 복수의 건조행정을 수행하는 코스를 선택하기 위한 코스입력부(118A)와, 의류 등의 살균을 수행할 수 있는 위생코스입력부(118B)와, 상기 의류의 재생(refresh)를 수행할 수 있는 특화코스입력부(118c)와, 특수 명령을 입력받도록 구비되는 기타코스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코스들에 대응되는 버튼 또는 놉(118G)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스입력부, 상기 위생코스입력부, 특화코스입력부와 같이 열교환부 또는 구동부를 제어하는 명령을 입력받는 구성을 행정입력부로 통칭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건조행정을 수행하는 코스는 평균적인 재질의 의류를 평균적인 양으로 건조하는 표준코스와, 함습율이 높은 타월을 건조하는 타월코스와, 합습율이 높은 의류 또는 다량의 의류를 건조하는 강력코스, 소량의 의류를 건조하는 셔츠코스, 연질의 의류를 건조하는 울코스, 다량의 의류 또는 이불을 건조하는 이불코스, 방수재질의 의류 등을 건조하는 기능성 코스를 포함할 수 있다 .
또한, 위생코스는 드럼(2)을 회전시키면서 내부에 고온 열풍 및 스팀을 공급하는 침구털기 코스 또는 스팀살균 코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특화코스는 의류에 스팀, 열풍을 공급하면서 드럼을 회전시켜 상기 의류의 냄새를 제거하고, 미세먼지 등의 이물질을 털어내는 각종 리프레쉬코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타코스는 서버 등에서 제공하는 별도의 코스나 업데이트 코스를 수령하는 명령을 수신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18)는 상기 메인제어부에 전력을 공급하거나, 상기 컨트롤패널(117)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전원부(118E)와, 상기 임의의 코스 또는 옵션이 선택되면 이를 실행시키거나, 실행된 코스 또는 옵션을 정지시키는 동작부(118F)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표시부(119)는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비되어 외부에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상태를 표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19)는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통신상태 또는 작동상태를 직관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아이콘부(1191), 수행되는 코스의 잔여시간을 표시할 수 있는 시간부(1192), 상기 수행되는 코스의 강도 또는 반복횟수 등의 세부 옵션 내역을 표시할 수 있는 옵션표시부(119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패널(117)은 상기 의류처리장치에 추가적인 명령을 입력받도록 구비되는 별도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19)는 터치패널로 구비되어 상기 별도입력부의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별도입력부는 상기 디스플레이패널 외주면에 별도의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는 버튼 타입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예를들어, 상기 별도입력부는 상기 임의의 코스에 스팀의 공급을 명령하는 스팀부(180)와, 상기 의류처리장치를 외부단말로 원격제어하기 위해 통신연결을 수행하는 원격제어부(119A), 상기 열교환부(4)를 청소하는 콘덴서케어부(119B), 상기 설정된 코스에 전력 사용량, 건조도, 코스 수행시간 또는 상기 드럼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드럼 또는 도어에 설치된 조명을 점등시킬 수 있는 명령 중 하나 이상을 수신하도록 구비되는 옵션선택부(119C)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패널(117)은 상기 살균부(900)를 가동시킬 수 있는 살균입력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코스 또는 옵션의 수행여부와 무관하게 상기 살균입력부(190)의 입력으로 상기 드럼(2) 외부 영역을 사용자가 임의로 살균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15는 본 발명 살균부(900) 수행 방식에 관한 제어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살균입력부(190)를 입력하여 상기 살균부(900)로 상기 드럼(2) 외부를 살균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살균입력부(190)가 입력되면, 상기 의류처리장치가 건조행정을 수행했는지 여부와 상관없이 즉각적으로 상기 스팀부(200)에 물이 공급되어 상기 드럼(2) 외부가 살균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건조행정이 종료되어 장시간 상기 집수부(37) 등에 수분이 잔류하여 세균 등이 번식할 경우에도 상기 살균부(900)로 상기 캐비닛 내부를 살균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건조행정을 수행할 때 세균이나 악취 등이 상기 의류를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살균입력부(190)의 입력이 감지되었느니 여부를 감지하는 살균단계(H1)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살균단계(H1)에서 상기 살균입력부(190)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스팀부(200)에 물이 공급되어 상기 살균부(900)로 고온의 물 또는 스팀이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살균부(900)가 열교환부(4)를 살균하는 것이 아니라, 세척펌프(61) 또는 집수부(37)를 살균하는 펌프살균단계(H4)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살균입력부(190)가 입력되는 것은 상기 건조행정이 수행되지 않는 상태가 일반적이다. 상기 열교환부(4)에서 응축되었던 물은 상기 집수부(37)에 수집된 상태이므로, 상기 열교환부(4)를 무리하게 살균시킬 필요가 없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살균입력부(190)가 입력되면, 상기 열교환부(4)의 살균을 생략하고, 바로 세척펌프(61) 또는 상기 집수부(37)에 고온의 물 또는 스팀을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적은 양의 물로 열손실 없이 상기 세척펌프(61) 및 상기 집수부(37)를 살균할 수 있다.
상기 살균부(900)는 상기 펌프살균관(391)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만약 살균단계(H1)에서 상기 살균입력부(190)의 입력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살균단계(H1)에서 상기 살균입력부(190)의 입력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건조행정이 수행된 후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종료감지단계(H2)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종료감지단계(H2)는 상기 건조행정의 시작되면 수행될 수 있다. 즉, 상기 건조행정이 종료된 상태 자체를 감지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건조행정이 수행되는 상황에서 종료되는 것을 감지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종료감지단계(H2)는 상기 행정입력부가 입력된 이후에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행정입력부가 입력되면 상기 팬과 구동부, 열교환기 등의 구동이 종료될 때를 감지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종료감지단계(H2)에서 건조행정이 종료되어 상기 팬과 구동부, 열교환기 등의 구동이 종료되면, 상기 스팀부(200)에 물이 공급되어 상기 살균부(900)로 고온의 물 또는 스팀이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살균부(900)가 상기 열교환부(4)를 살균하는 열교환기 살균단계(H3)가 수행될 수 있다. 건조행정이 수행된 후 종료되면, 상기 열교환기에는 의류에서 토출된 수분 뿐만 아니라, 응축된 물이 잔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열교환기 살균단계(H3)로 상기 열교환기 자체부터 살균하여 상기 집수부(37) 및 저수부(7)의 세균 번식도 예방할 수 있다.
상기 살균부(900)는 상기 전환살균관(933) 또는 상기 열살균관(932)로 고온의 물 또는 스팀을 바로 공급하여 상기 열교환부(4)를 살균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 살균단계(H3)가 종료되면, 이후,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펌프살균단계(H4)를 수행하여 집수부(37)의 살균도 마무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열교환기 살균단계(H3)에서 상기 살균부(900)가 상기 펌프살균관(931)으로 고온의 물 또는 스팀을 공급하고, 상기 세척펌프(61)를 구동하여 상기 유로전환부(63)로 상기 고온의 물 또는 스팀을 이동시켜 상기 열교환부(4)를 살균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즉, 상기 살균부(900)는 상기 세척펌프(61)와 상기 유로전환부(63)를 사용하여 상기 열교환부(4)를 제1차적으로 살균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 살균단계(H3)가 종료되면, 상기 펌프살균단계(H4)가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펌프살균단계(H4)가 종료되면, 상기 세척펌프(61)와 상기 유로전환부(63)는 상기 고온의 물 또는 스팀이 상기 저수부(7)로 공급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저수부(7)까지 살균이 마무리 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살균부(900)는 상기 세척펌프(61)를 통해 상기 덕트(3), 열교환부(4), 집수부(37), 세척부(6)를 모두 살균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살균부(900)는 상기 세척펌프(61), 상기 열교환부(4), 덕트(3), 세척부(6), 집수부(37) 중 어느 하나를 특정하여 살균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살균부(900)는 상기 열교환부(4)를 먼저 살균한 뒤에, 상기 세척펌프(61) 및 세척부(6) 또는 집수부(37)를 살균하도록 제어될 수 있으며, 상기 열교환부(4)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 상기 열교환부(4)의 살균을 생략하고, 상기 세척펌프(61) 및 집수부(37)를 살균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살균부(900)는 상기 세척부(6)로 상기 가열된 물 또는 스팀 공급이 종료되면 상기 집수부(37) 또는 상기 저수부(7)로 상기 가열된 물 또는 스팀을 공급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살균부(900)는 상기 행정입력부가 입력되면 상기 팬과 상기 열교환기의 구동이 종료될 때 상기 집수부(37) 또는 상기 저수부(7)로 상기 가열된 물 또는 스팀을 공급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세척펌프(61)를 통해 상기 열교환부(4)가 먼저 세척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살균부(900)는 상기 살균입력부(190)가 입력되면, 상기 집수부(37) 또는 상기 저수부(7)로 상기 가열된 물 또는 스팀을 공급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살균부(900)는 상기 살균입력부(190)가 입력되면, 상기 열교환부(4)로 상기 가열된 물 또는 스팀을 공급하는 것을 차단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상술한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1 : 캐비닛
2 : 드럼
3 : 덕트
4 : 열교환부
200 : 스팀부
300 : 물공급부
400 : 내부공급부
500 : 외부공급부
700 : 결정부
800 : 스팀제어부
900 : 살균부

Claims (32)

  1.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수용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
    상기 드럼에서 배출된 공기를 상기 드럼으로 재공급하도록 구비되는 덕트;
    상기 덕트를 따라 공기를 이동시키는 팬;
    상기 덕트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공기의 함유된 수분을 응축하거나 상기 공기를 가열하는 열교환부;
    상기 드럼 또는 상기 덕트와 연결되되 공급된 물을 가열하여 상기 드럼 내부에 스팀(steam)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스팀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팀부에서 상기 드럼 외부로 분지되어 상기 스팀부에서 가열된 물 또는 스팀을 상기 드럼 외부로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살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부는
    상기 스팀부에서 연장되어 구비되는 고온관과,
    상기 고온관의 개폐를 결정하도록 구비되는 살균밸브와,
    상기 살균밸브에서 연장되어 가열된 물 또는 스팀을 상기 드럼의 외부영역에 배출되는 살균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온관, 상기 살균밸브 또는 살균관 내부의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살균밸브는 상기 고온관 내부가 액체상태일 때 상기 고온관을 개방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고온관 또는 상기 살균밸브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살균밸브는 상기 고온관 내부가 살균온도 이상일 때 상기 고온관을 개방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온관, 상기 살균밸브 또는 살균관 내부의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살균밸브는 상기 고온관을 흐르는 유체가 기체상태이면 상기 고온관을 폐쇄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부는
    상기 드럼과 접촉되거나 간섭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드럼의 외면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부는
    상기 드럼과 이격되도록 상기 캐비닛 또는 상기 덕트에 적어도 일부가 고정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부는
    상기 스팀부에서 연장되어 구비되는 고온관과,
    상기 고온관의 개폐를 결정하도록 구비되는 살균밸브와,
    상기 살균밸브에서 연장되어 가열된 물 또는 스팀을 상기 드럼의 외부영역에 배출되는 살균관을 포함하고,
    상기 고온관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캐비닛에 고정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관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덕트에 안착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부는
    상기 스팀부에서 연장되어 구비되는 고온관과,
    상기 고온관의 개폐를 결정하도록 구비되는 살균밸브와,
    상기 살균밸브에서 연장되어 가열된 물 또는 스팀을 상기 드럼의 외부영역에 배출되는 살균관을 포함하고,
    상기 살균밸브는 상기 캐비닛의 내면에 결합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은 상기 고온관을 상기 캐비닛에 고정시켜 상기 드럼과 이격시키는 파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드럼의 전방 또는 후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는
    상기 드럼의 전방에 연통되는 배기덕트와,
    상기 배기덕트에 연결되어 상기 열교환부에 구비되는 연결덕트와,
    상기 연결덕트에서 상기 드럼의 후방에 연통되는 공급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살균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공급덕트 내부 또는 상기 공급덕트와 상기 캐비닛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부는
    상기 스팀부에서 연장되어 구비되는 고온관과,
    상기 고온관의 개폐를 결정하도록 구비되는 살균밸브와,
    상기 살균밸브에서 연장되어 가열된 물 또는 스팀을 상기 드럼의 외부영역에 배출되는 살균관을 포함하고,
    상기 고온관은 상기 공급덕트와 상기 캐비닛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살균밸브는 상기 연결덕트 후방에 안착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부는 상기 공급덕트와 상기 캐비닛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에 구비되거나 연장되어 상기 열교환부에서 응축된 물이 수집되는 집수부와, 상기 집수부의 물을 전달받아 상기 캐비닛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비되는 저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살균부는
    상기 집수부와 상기 저수부 중 하나 이상으로 상기 가열된 물 또는 스팀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부에 수집된 물을 상기 열교환부로 공급하여 상기 열교환부를 세척하는 세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살균부는 상기 세척부에 상기 가열된 물 또는 스팀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는
    상기 집수부에 수집된 물을 상기 열교환부 또는 상기 저수부로 공급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세척펌프와, 상기 세척펌프에서 공급된 물을 상기 열교환부 또는 상기 저수부 중 하나 이상으로 전달하는 유로전환부와, 상기 유로전환부에 전달된 물을 상기 열교환부로 공급하는 분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살균부는
    상기 세척펌프, 상기 유로전환부, 상기 분사부 중 하나 이상에 상기 가열된 물 또는 스팀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부는
    상기 스팀부에서 연장되어 구비되는 고온관과,
    상기 고온관의 개폐를 결정하도록 구비되는 살균밸브와,
    상기 살균밸브에서 상기 집수부, 상기 유로전환부, 상기 분사부 중 하나 이상으로 연장되어 상기 가열된 물 또는 스팀이 배출되는 살균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열교환부의 구동이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살균부를 구동시키는 명령을 입력받는 살균입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1.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수용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
    상기 드럼에서 배출된 공기를 상기 드럼으로 재공급하도록 구비되는 덕트;
    상기 덕트를 따라 공기를 이동시키는 팬;
    상기 덕트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공기의 함유된 수분을 응축하거나 상기 공기를 가열하는 열교환부;
    상기 드럼 또는 상기 덕트와 연결되되 공급된 물을 가열하여 상기 드럼 내부에 스팀(steam)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스팀부;
    상기 스팀부에서 상기 드럼 외부로 분지되는 살균관과, 상기 스팀부에서 가열된 물 또는 스팀을 상기 드럼 외부로 선택적으로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살균밸브를 포함하는 살균부;
    상기 살균부는 상기 가열된 물이 살균온도 이상일 때만 상기 물 또는 스팀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부는
    상기 가열된 물이 상기 살균온도 이상이고, 상기 물이 기화되는 기화온도 이하일 때 상기 물 또는 스팀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부는 공급되는 물 또는 스팀이 상기 기화온도 이상으로 감지되면 상기 물 또는 스팀의 공급을 중단하고,
    상기 스팀부는 상기 물의 가열을 중단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부는
    상기 물 또는 스팀이 상기 기화온도 이하이면 상기 물 또는 스팀의 공급을 재수행하고,
    상기 스팀부는 상기 물을 다시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부는 상기 물 또는 스팀의 공급이 살균시간 동안 지속되면 상기 물 또는 스팀의 공급을 중단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스팀부는 상기 살균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물의 가열을 중단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6.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부는
    상기 물을 공급받아 가열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스팀하우징과,
    상기 스팀하우징에서 연장되어 상기 스팀을 상기 드럼 또는 상기 덕트로 공급하는 스팀공급관과,
    상기 스팀하우징에서 상기 스팀공급관과 별도로 연장되어 상기 물 또는 스팀을 배출하는 패스관을 포함하고,
    상기 살균부는 상기 패스관에 결합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패스관은 상기 스팀하우징이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살균부는 상기 패스관에 결합되어 가열된 물을 공급받는 공급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8.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 내부에 수용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과, 상기 드럼에서 배출된 공기를 상기 드럼으로 재공급하도록 구비되는 덕트과, 상기 덕트를 따라 공기를 이동시키는 팬과, 상기 덕트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공기의 함유된 수분을 응축하거나 상기 공기를 가열하는 열교환부와, 상기 드럼 또는 상기 덕트와 연결되되 공급된 물을 가열하여 상기 드럼 내부에 스팀(steam)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스팀부와, 상기 덕트에 구비되거나 연장되어 상기 열교환부에서 응축된 물이 수집되는 집수부와, 상기 집수부의 물을 전달받아 상기 캐비닛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비되는 저수부와, 상기 집수부에 수집된 물을 상기 열교환부로 공급하여 상기 열교환부를 세척하는 세척부와, 상기 스팀부에서 가열된 물 또는 스팀을 상기 집수부, 상기 저수부 또는 상기 세척부 중 하나 이상으로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살균부와, 상기 팬과 상기 열교환부를 구동시키는 명령을 입력받는 행정입력부 및 상기 스팀부와 상기 살균부를 구동시키는 명령일 입력받는 살균입력부를 포함하는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살균부는
    상기 행정입력부가 입력되면 상기 팬과 열교환기의 구동이 종료될 때 상기 열교환부로 상기 가열된 물 또는 스팀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부는 상기 세척부로 상기 물 또는 상기 스팀을 공급하여 상기 열교환부로 상기 물 또는 상기 스팀을 전달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부는
    상기 세척부로 상기 가열된 물 또는 스팀 공급이 종료되면 상기 집수부 또는 상기 저수부로 상기 가열된 물 또는 스팀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1.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부는
    상기 살균입력부가 입력되면, 상기 집수부 또는 상기 저수부로 상기 가열된 물 또는 스팀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부는
    상기 살균입력부가 입력되면, 상기 열교환부로 상기 가열된 물 또는 스팀을 공급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200021223A 2020-02-20 2020-02-20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210106263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1223A KR20210106263A (ko) 2020-02-20 2020-02-20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EP23184611.4A EP4245906A3 (en) 2020-02-20 2021-02-19 Laundry treating apparatus
CN202110191760.5A CN113279202B (zh) 2020-02-20 2021-02-19 衣物处理装置及衣物处理装置的控制方法
EP21158185.5A EP3868943B1 (en) 2020-02-20 2021-02-19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17/179,901 US11859341B2 (en) 2020-02-20 2021-02-19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1223A KR20210106263A (ko) 2020-02-20 2020-02-20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6263A true KR20210106263A (ko) 2021-08-30

Family

ID=74672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1223A KR20210106263A (ko) 2020-02-20 2020-02-20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859341B2 (ko)
EP (2) EP3868943B1 (ko)
KR (1) KR20210106263A (ko)
CN (1) CN113279202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01318A1 (ko) * 2021-11-30 2023-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WO2024019454A1 (ko) * 2022-07-18 2024-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WO2024071986A1 (ko) * 2022-09-26 2024-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6263A (ko) * 2020-02-20 2021-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210128260A (ko) * 2020-04-16 2021-10-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건조기
CN114182504B (zh) * 2021-11-30 2022-08-2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压缩机的散热控制方法及使用其的热泵衣物处理装置
WO2023121605A1 (en) * 2021-12-20 2023-06-29 Arcelik Anonim Sirketi A dryer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358182B (de) * 1978-07-28 1980-08-25 Ver Edelstahlwerke Ag Mit dampf betriebener sterilisierapparat fuer waesche, verbandstoffe, instrumente od.dgl.
US5369892A (en) * 1993-06-04 1994-12-06 Dhaemers; Gregory L. Armoire
KR20060061974A (ko) * 2004-12-02 2006-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의 구김제거장치 및 그 방법
EP1871946A4 (en) 2005-04-22 2013-10-30 Lg Electronics Inc LAUNDRY MACHINE AND METHOD OF MANUFACTURE
CN1880542A (zh) * 2005-06-15 2006-12-20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洗涤装置及其洗涤方法
US7921578B2 (en) * 2005-12-30 2011-04-12 Whirlpool Corporation Nebulizer system for a fabric treatment appliance
ES2375457T3 (es) 2006-06-01 2012-03-01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Electrodoméstico con un depósito de agua.
EP1887127B1 (en) 2006-08-08 2016-10-26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Laundry treating machine
KR101387474B1 (ko) * 2006-12-18 2014-04-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팀 건조기
US7997006B2 (en) * 2007-01-12 2011-08-16 Lg Electronics Inc. Laundry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201169701Y (zh) * 2008-03-27 2008-12-24 童正强 洗衣机自洁杀菌装置
CN102869826B (zh) * 2010-04-28 2015-09-09 Lg电子株式会社 衣物处理装置
US8865087B2 (en) * 2011-10-04 2014-10-21 American Sterilizer Company Steam sterilizer
EP2933367A1 (en) * 2014-04-01 2015-10-21 Indesit Company S.p.A. Household washing appliance with steam generating means for external use
US9427484B1 (en) * 2014-11-04 2016-08-30 Jose Alvarado Cloth and fabric sterilizer utilizing upright holding tub
CN106319865B (zh) * 2015-07-07 2021-03-26 青岛海尔洗涤电器有限公司 一种洗衣机及控制方法
CN107687079B (zh) * 2016-08-03 2021-01-26 重庆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干衣机及控制方法
KR102635549B1 (ko) 2016-10-25 2024-02-13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임피던스 교정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WO2020184735A1 (ko) * 2019-03-08 2020-09-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공 지능 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10106263A (ko) * 2020-02-20 2021-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210112168A (ko) * 2020-03-04 2021-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건조기 및 세탁물 건조기의 제어방법
KR20210111985A (ko) * 2020-03-04 2021-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건조기 및 세탁물 건조기의 제어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01318A1 (ko) * 2021-11-30 2023-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WO2024019454A1 (ko) * 2022-07-18 2024-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WO2024071986A1 (ko) * 2022-09-26 2024-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68943A1 (en) 2021-08-25
CN113279202B (zh) 2024-09-06
EP4245906A3 (en) 2023-12-20
CN113279202A (zh) 2021-08-20
EP4245906A2 (en) 2023-09-20
EP3868943B1 (en) 2023-08-23
US11859341B2 (en) 2024-01-02
US20210262149A1 (en) 2021-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59341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2107158B1 (en) Laundry treat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US7814770B2 (en) Multi-functional laundry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KR102057859B1 (ko) 의류처리장치
AU2007277599B2 (en) Multiple laundry treat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AU2007277518A1 (en) Multiple laundry treating machine
US20110138648A1 (en) Method for controlling laundry machine
US20090228156A1 (en) Clothes refresh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100077628A1 (en) Clothes dryer having fragrance supplying apparatus using vibrator
US20230175194A1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00099445A (ko) 세탁 장치
WO2009020313A2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US20090083990A1 (en) Steam home applian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20014610A (ko) 의류처리장치
KR102271445B1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0841308B1 (ko) 세탁 장치
KR20210106315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220014623A (ko) 의류처리장치
KR20240115801A (ko) 의류처리장치
KR20230140436A (ko) 의류처리장치
KR20020076588A (ko) 건조기능을 구비한 가전기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