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9923A - 컴퓨팅 장치에서 게임에 대한 사용자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 및 컴퓨팅 장치 - Google Patents
컴퓨팅 장치에서 게임에 대한 사용자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 및 컴퓨팅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29923A KR20200029923A KR1020180108524A KR20180108524A KR20200029923A KR 20200029923 A KR20200029923 A KR 20200029923A KR 1020180108524 A KR1020180108524 A KR 1020180108524A KR 20180108524 A KR20180108524 A KR 20180108524A KR 20200029923 A KR20200029923 A KR 2020002992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ame
- user
- users
- action
- immers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0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15
- 238000007654 immers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9
- 230000006399 behavior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4
- 238000010801 machine learn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59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9
- 238000013528 artificial neural network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1017 operat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8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306 recurr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9 tra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491 arra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73 artificial intellige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7 bidirectio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422 calculation algorith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3 cellula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135 deep lear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02 quant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52 repet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604 ultrason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442 weekl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70—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 A63F13/77—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involving data related to game devices or game servers, e.g. configuration data, software version or amount of memory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70—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 A63F13/79—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involving player-related data, e.g. identities, accounts, preferences or play histori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4—Architecture, e.g. interconnection topology
- G06N3/045—Combinations of network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라, 서버 및 클라이언트를 포함하는 온라인 게임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라, 컴퓨팅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라, 컴퓨팅 장치가 복수의 사용자의 로고 데이터를 처리할 때 이용하는, 복수 개의 계층 구조를 갖는 인공 신경망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라, 컴퓨팅 장치가 제1 게임에 대한 복수의 사용자의 복수의 행위들 각각을 학습하여, 제1 게임의 몰입도를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라, 컴퓨팅 장치가 서로 관련 있는 행위들을 연관지어 학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라, 컴퓨팅 장치가 인게이지먼트 지수를 획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라, 컴퓨팅 장치가 소정 사용자에 대한 제1 게임의 몰입도를 나타내는 인게이지먼트 지수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라, 컴퓨팅 장치가 소정 카테고리에 따라 인게이지먼트 지수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라, 컴퓨팅 장치가 인게이지먼트 지수의 구간 별로 제1 게임의 이탈율과 잔존율을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일실시예에 따라, 컴퓨팅 장치가 사용자의 수에 따른 인게이지먼트 지수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Claims (20)
- 제1 게임에 대한 복수의 사용자의 행위 정보를 포함하는 로그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로그 데이터로부터 추출된 상기 복수의 사용자의 행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사용자의 행위들을 머신 러닝을 통해, 상기 제1 게임의 몰입도를 판단하는 데에 이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준과 연관하여 학습하는 단계;
학습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사용자의 상기 제1 게임에 대한 몰입도를 나타내는 인게이지먼트 지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소정 카테고리에 따라, 상기 인게이지먼트 지수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의 동작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사용자의 행위들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준과 연관하여 학습하는 단계는,
인공 신경망을 통한 연산을 수행하여, 상기 복수의 사용자의 행위들 각각을 학습하는 단계; 및
상기 인공 신경망을 훈련하여, 상기 복수의 사용자의 행위들 각각이 상기 제1 게임의 몰입도를 판단하는 데에 이용되는 유의미한 행위인지를 결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준에 기초하여 유의미한 행위로 결정된 소정 사용자의 소정 행위에 대해 상기 제1 게임의 몰입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의 동작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준에 기초하여 유의미한 행위로 결정된 소정 사용자의 소정 행위에 대해 상기 제1 게임의 몰입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소정 사용자의 소정 행위를 유의미한 행위로 결정하게 된 요인에 대응되는 제1 기준에 따라, 상기 소정 사용자의 소정 행위를 정량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의 동작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준에 기초하여 유의미한 행위로 결정된 소정 사용자의 소정 행위에 대해 상기 제1 게임의 몰입도를 결정하는 단계는,
유의미한 행위로 결정된 제1 사용자의 제1 행위와 관련된 제1 사용자의 제2 행위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의 제2 행위가 상기 제1 게임의 몰입도를 판단하는 데에 이용되는 유의미한 행위인지를 결정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사용자의 제1 행위에 대해 상기 제1 게임의 몰입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의 동작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준은,
사용자의 접속 지속 시간에 따른 몰입도의 산출 기준, 사용자의 접속 횟수에 따른 몰입도의 산출 기준, 게임 내에서 사용자가 사용한 캐시에 따른 몰입도의 산출 기준, 및 게임 내에서 사용자의 활동에 따른 산출 기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의 동작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사용자의 행위들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준과 연관하여 학습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준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사용자의 행위들 각각에 대해 상기 제1 게임의 몰입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인게이지먼트 지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학습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준 각각에 대응되는 항목 간의 가중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사용자의 행위들 각각에 대한 상기 제1 게임의 몰입도에 상기 항목 간의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복수의 사용자 각각의 인게이지먼트 지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의 동작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카테고리에 따라, 상기 인게이지먼트 지수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인게이지먼트 지수의 구간 별로 상기 소정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의 동작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카테고리에 따라, 상기 인게이지먼트 지수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인게이지먼트 지수를 분류하는 데에 기준이 되는 제1 카테고리의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카테고리 내의 세부 항목 별로 상기 인게이지먼트 지수를 획득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의 동작 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카테고리 내의 세부 항목 별로 상기 인게이지먼트 지수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세부 항목 별로 상기 복수의 사용자의 수 및 상기 복수의 사용자에 대응되는 인게이지먼트 지수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세부 항목 별로 상기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평균 인게이지먼트 지수를 표시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의 동작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카테고리에 따라, 상기 인게이지먼트 지수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소정 카테고리에 따라 분류된 상기 인게이지먼트 지수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 게임을 관리하는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의 동작 방법. - 통신 장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스토리지;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제1 게임에 대한 복수의 사용자의 행위 정보를 포함하는 로그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로그 데이터로부터 추출된 상기 복수의 사용자의 행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사용자의 행위들을 머신 러닝을 통해, 상기 제1 게임의 몰입도를 판단하는 데에 이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준과 연관하여 학습하고,
학습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사용자의 상기 제1 게임에 대한 몰입도를 나타내는 인게이지먼트 지수를 결정하고,
소정 카테고리에 따라, 상기 인게이지먼트 지수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 표시하는, 컴퓨팅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인공 신경망을 통한 연산을 수행하여, 상기 복수의 사용자의 행위들 각각을 학습하고,
상기 인공 신경망을 훈련하여, 상기 복수의 사용자의 행위들 각각이 상기 제1 게임의 몰입도를 판단하는 데에 이용되는 유의미한 행위인지를 결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준에 기초하여 유의미한 행위로 결정된 소정 사용자의 소정 행위에 대해 상기 제1 게임의 몰입도를 결정하는, 컴퓨팅 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소정 사용자의 소정 행위를 유의미한 행위로 결정하게 된 요인에 대응되는 제1 기준에 따라, 상기 소정 사용자의 소정 행위를 정량화하는, 컴퓨팅 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유의미한 행위로 결정된 제1 사용자의 제1 행위와 관련된 제1 사용자의 제2 행위를 검출하고,
상기 제1 사용자의 제2 행위가 상기 제1 게임의 몰입도를 판단하는 데에 이용되는 유의미한 행위인지를 결정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사용자의 제1 행위에 대해 상기 제1 게임의 몰입도를 결정하는, 컴퓨팅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준은,
사용자의 접속 지속 시간에 따른 몰입도의 산출 기준, 사용자의 접속 횟수에 따른 몰입도의 산출 기준, 게임 내에서 사용자가 사용한 캐시에 따른 몰입도의 산출 기준, 및 게임 내에서 사용자의 활동에 따른 산출 기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준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사용자의 행위들 각각에 대해 상기 제1 게임의 몰입도를 결정하고,
상기 학습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준 각각에 대응되는 항목 간의 가중치를 결정하고,
상기 복수의 사용자의 행위들 각각에 대한 상기 제1 게임의 몰입도에 상기 항목 간의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복수의 사용자 각각의 인게이지먼트 지수를 결정하는, 컴퓨팅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인게이지먼트 지수의 구간 별로 상기 소정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정보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 표시하는, 컴퓨팅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인게이지먼트 지수를 분류하는 데에 기준이 되는 제1 카테고리의 선택을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제1 카테고리 내의 세부 항목 별로 상기 인게이지먼트 지수를 획득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 상기 인게이지먼트 지수를 표시하는, 컴퓨팅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통신 장치를 통해 상기 소정 카테고리에 따라 분류된 상기 인게이지먼트 지수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 게임을 관리하는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컴퓨팅 장치. - 제1 게임에 대한 복수의 사용자의 행위 정보를 포함하는 로그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로그 데이터로부터 추출된 상기 복수의 사용자의 행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사용자의 행위들을 머신 러닝을 통해, 상기 제1 게임의 몰입도를 판단하는 데에 이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준과 연관하여 학습하는 단계;
학습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사용자의 상기 제1 게임에 대한 몰입도를 나타내는 인게이지먼트 지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소정 카테고리에 따라, 상기 인게이지먼트 지수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실행시키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08524A KR102757639B1 (ko) | 2018-09-11 | 2018-09-11 | 컴퓨팅 장치에서 게임에 대한 사용자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 및 컴퓨팅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08524A KR102757639B1 (ko) | 2018-09-11 | 2018-09-11 | 컴퓨팅 장치에서 게임에 대한 사용자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 및 컴퓨팅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29923A true KR20200029923A (ko) | 2020-03-19 |
KR102757639B1 KR102757639B1 (ko) | 2025-01-20 |
Family
ID=69957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08524A Active KR102757639B1 (ko) | 2018-09-11 | 2018-09-11 | 컴퓨팅 장치에서 게임에 대한 사용자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 및 컴퓨팅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757639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141844A (ko) * | 2020-05-14 | 2021-11-23 | 서울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 디지털 기기를 이용한 그림검사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143360A (ko) * | 2012-06-21 | 2013-12-31 | 삼성전자주식회사 | 모바일 단말 사용자의 몰입 위험 판단 장치 및 방법 |
KR20180063912A (ko) * | 2016-11-29 | 2018-06-14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온라인 게임 서비스의 운영 결과를 예측하는 방법 및 그 장치 |
KR20180098458A (ko) * | 2017-02-24 | 2018-09-04 | 홍익대학교세종캠퍼스산학협력단 | 어플리케이션에 실행에 따른 사용자의 과몰입 진단 장치 및 방법 |
KR20180099532A (ko) * | 2017-02-28 | 2018-09-05 | 일렉트로닉 아트 아이엔씨. | 비디오 게임 애플리케이션 내의 게임플레이 파라미터들의 실시간 동적 수정 및 최적화 |
-
2018
- 2018-09-11 KR KR1020180108524A patent/KR102757639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143360A (ko) * | 2012-06-21 | 2013-12-31 | 삼성전자주식회사 | 모바일 단말 사용자의 몰입 위험 판단 장치 및 방법 |
KR20180063912A (ko) * | 2016-11-29 | 2018-06-14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온라인 게임 서비스의 운영 결과를 예측하는 방법 및 그 장치 |
KR20180098458A (ko) * | 2017-02-24 | 2018-09-04 | 홍익대학교세종캠퍼스산학협력단 | 어플리케이션에 실행에 따른 사용자의 과몰입 진단 장치 및 방법 |
KR20180099532A (ko) * | 2017-02-28 | 2018-09-05 | 일렉트로닉 아트 아이엔씨. | 비디오 게임 애플리케이션 내의 게임플레이 파라미터들의 실시간 동적 수정 및 최적화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141844A (ko) * | 2020-05-14 | 2021-11-23 | 서울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 디지털 기기를 이용한 그림검사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757639B1 (ko) | 2025-01-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4949861B (zh) | 使用云游戏网络的人工智能(ai)模型训练 | |
Drachen et al. | Game analytics–the basics | |
US20240082734A1 (en) | In-game resource surfacing platform | |
US9421470B2 (en) | Player model | |
CN112245934B (zh) | 虚拟场景应用中虚拟资源的数据分析方法、装置及设备 | |
US12087425B2 (en) | Utilizing a machine learning model to identify unhealthy online user behavior and to cause healthy physical user behavior | |
US11786823B2 (en) |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personalized game experiences | |
CN110841295B (zh) | 一种基于人工智能的数据处理方法和相关装置 | |
KR102641885B1 (ko) | 게임 제공 장치에서 결제 분석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게임 제공 장치 | |
KR102492281B1 (ko) | 게임 진행 모드를 추천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 |
KR20200056876A (ko) | 게임 가이드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 |
KR102776408B1 (ko) | 전자 장치에서 게임과 관련된 통계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 |
KR102590801B1 (ko) |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 |
US20200105094A1 (en) | Database game playing system based on pregenerated data | |
US11660538B2 (en) | Methods and systems for game system creation | |
KR102757639B1 (ko) | 컴퓨팅 장치에서 게임에 대한 사용자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 및 컴퓨팅 장치 | |
US11068284B2 (en) | System for managing user experience and method therefor | |
KR102736787B1 (ko) | 컴퓨팅 장치에서 게임의 이미지를 처리하는 방법 및 컴퓨팅 장치 | |
CN114254260B (zh) | 一种挖掘游戏中的不平衡数据组的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 |
KR102793215B1 (ko) | 컴퓨팅 장치에서 게임에 대한 사용자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 및 컴퓨팅 장치 | |
CN114053721A (zh) | 游戏事件分享方法及装置、存储介质、计算机设备 | |
KR102569674B1 (ko) |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 |
KR20200082378A (ko) | 전자 장치에서 게임의 플레이 환경을 설정하는 설정 파일에 대한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 |
KR102678935B1 (ko) | 설정된 구매 금액 내에서 상품 정보를 제공하는 게임 제공 장치 및 게임 제공 장치의 동작 방법 | |
KR102545815B1 (ko) | 게임 제공 장치, 게임 제공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91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90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8091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8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406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4101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1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501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