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190064842A - 비침습적 종자 선별 기능을 갖는 종자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비침습적 종자 선별 기능을 갖는 종자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4842A
KR20190064842A KR1020170164100A KR20170164100A KR20190064842A KR 20190064842 A KR20190064842 A KR 20190064842A KR 1020170164100 A KR1020170164100 A KR 1020170164100A KR 20170164100 A KR20170164100 A KR 20170164100A KR 20190064842 A KR20190064842 A KR 201900648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d
seeds
unit
optical
diagnos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4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태하
Original Assignee
(주)오믹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오믹시스 filed Critical (주)오믹시스
Priority to KR10201701641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64842A/ko
Publication of KR201900648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4842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30Devices or methods for controlling or determining the quantity or quality or the material fed or fil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 B07C5/342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optical properties, e.g. colour
    • B07C5/3425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optical properties, e.g. colour of granular material, e.g. ore particles, gra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1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51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021/178Methods for obtaining spatial resolution of the property being measured
    • G01N2021/1785Three dimensional
    • G01N2021/1787Tomographic, i.e. computerised reconstruction from projective measur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021/8466Investigation of vegetal material, e.g. leaves, plants, fr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비침습적 종자 선별 기능을 갖는 종자 공급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종자 공급 장치는, 종자를 공급하는 종자 공급부, 및 상기 종자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종자 중 우량종자를 비침습적으로 선별하여 배출하는 비침습적 종자 선별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비침습적 종자 선별 장치는, 진단 대상 종자의 단층을 비침습적으로 광간섭 단층 촬영하여 촬영된 단층 이미지에 대한 광 간섭 신호를 출력하는 광학적 단층 촬영부, 상기 광학적 단층 촬영부로부터 출력된 광 간섭 신호에 대하여 DC성분의 필터링, 포락선 검파 및 디지털 변환을 수행하여 상기 진단 대상 종자의 단층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신호 처리부, 상기 신호 처리부에서 획득한 단층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고, 분석된 단층 이미지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기준 단층 이미지 데이터와 비교하여 서로 상이하면 상기 진단 대상 종자를 이병종자로 진단하고, 동일하면 상기 진단 대상 종자를 무병종자로 진단하거나, 상기 단층 이미지 데이터의 단층 구조에 층이 있는지 분석하여 층이 있는 경우 이병종자로 진단하고, 층이 없는 경우 건전한 무병종자로 진단하여, 진단 결과 데이터를 출력하는 진단부, 및 상기 진단부에서 출력된 진단 결과 데이터에 따른 신호를 수신하여 이병종자 또는 무병종자로 진단된 진단 대상 종자를 서로 다른 라인으로 이동시키거나, 이병종자라고 진단된 진단 대상 종자의 진단 결과 데이터에 대한 신호만을 수신하여 이병종자라고 진단된 진단 대상 종자를 별도로 분류하여 우량종자를 선별하는 선별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비침습적 종자 선별 기능을 갖는 종자 공급 장치{SEED FEEDING MACHINE WITH NON-INVASIVE SEED SELECTING FUNCTION}
본 발명은 종자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침습적 종자 선별 기능을 갖는 종자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우량종자 선별법이란 좋은 씨앗을 고르는 방법을 말한다. 좋은 씨앗이란 외관상으로 오염, 변질, 변색이 없고 기계적 손상이 없는 것, 종자의 크기가 크고 무거울 것, 품종 고유의 선택과 냄새가 신선한 것을 말하며, 내적으로 이형 종자는 유전적으로 순수하며, 발아력이 우수하고 내재성 병해가 없는 종자를 말한다.
현재 국내에 유통되는 종자는 거의 대부분 동남아시아 등 해외에서 채종한 종자이며, 이를 국내에 반입하여 농가에 보급하거나, 제 3국으로 수출하고 있다. 이러한 해외 채종은 생산비 절감, 채종 환경 개선, 품질 향상 면에서 장점이 있지만, 국내에 없는 해외 병해충의 유입이 항상 문제가 되고 있다. 수출입 종자의 경우, 격리 재배를 실시하지 않고, 수출입국에서 현장 검사 또는 실험실 검사를 통해 통관을 결정하고 있기 때문에 종자 내재성 병해의 검출로 인해 통관되지 못하고 폐기되는 종자가 매년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선별 방법은 단순히 일부의 내재성 병해에 대한 검사이며, 검사상의 시간과 노동력, 검사 비용 등의 문제로 인해 극미량의 일부 종자만을 대상으로 선별하고 있다.
그러나 종자 내에 기생하고 있는 내재성 병원 미생물은 초저밀도로 종자 내에 기생하거나 월동하기 때문에 가능한 한 대량 샘플링을 통한 검사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종래의 검사 방법으로는 검사 방법이 매우 까다롭고, 시간과 노동력, 제비용 문제로 인하여 현실적으로 전수 검사는 불가능하므로 새로운 선별법이 요구되고 있다.
외관상 고품질의 종자가 채종되었다 할지라도 현재 전세계의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자국 내로 유입되는 모든 종자에 대해 식물검역의 내재성 병해 검사를 실시하고 있다. 또한, 종묘회사와 각 농업기관에서는 종자보급 전에 미리 우량종자를 선별하고 있다.
현재 우량종자의 선별은 대부분이 육안선별을 행하고 있으며, 그 외에 염수에 의한 비중 선별, 선풍기와 체를 이용한 중량선별과 용적선별의 관행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이형 종자의 혼입 유무 검정과 발아력 검정, 종자 내재성 병해 검정은 종자를 흑이나 배지 상에 직접 파종하여 좋은 씨앗을 검정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기존의 선별 방법은 단순히 외관상의 종자의 특성을 고려한 선별방법이고, 직접 파종하여 선별하는 형태이기 때문에 우량종자 선별에 있어서 시간과 노동력이 요구되며, 정확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자 내재성 병해의 경우에는 종래의 방법으로는 우량종자 선별이 불가능하며, 종래의 방법은 일부 병원성 곰팡이과 세균 및 종자 바이러스에 국한되어 있으며, 고가의 검사장비와 시간, 노동력, 검사 비용, 숙련된 기술자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종묘 회사나 각 지역의 농업기관에서는 적용하기 어렵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대량의 종자를 정확하고 간편하게 구별할 수 있는 비침습적 종자 선별 기능을 갖는 종자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종자 공급 장치는, 종자를 공급하는 종자 공급부, 및 상기 종자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종자 중 우량종자를 비침습적으로 선별하여 배출하는 비침습적 종자 선별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비침습적 종자 선별 장치는, 진단 대상 종자의 단층을 비침습적으로 광간섭 단층 촬영하여 촬영된 단층 이미지에 대한 광 간섭 신호를 출력하는 광학적 단층 촬영부, 상기 광학적 단층 촬영부로부터 출력된 광 간섭 신호에 대하여 DC성분의 필터링, 포락선 검파 및 디지털 변환을 수행하여 상기 진단 대상 종자의 단층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신호 처리부, 상기 신호 처리부에서 획득한 단층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고, 분석된 단층 이미지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기준 단층 이미지 데이터와 비교하여 서로 상이하면 상기 진단 대상 종자를 이병종자로 진단하고, 동일하면 상기 진단 대상 종자를 무병종자로 진단하거나, 상기 단층 이미지 데이터의 단층 구조에 층이 있는지 분석하여 층이 있는 경우 이병종자로 진단하고, 층이 없는 경우 건전한 무병종자로 진단하여, 진단 결과 데이터를 출력하는 진단부, 및 상기 진단부에서 출력된 진단 결과 데이터에 따른 신호를 수신하여 이병종자 또는 무병종자로 진단된 진단 대상 종자를 서로 다른 라인으로 이동시키거나, 이병종자라고 진단된 진단 대상 종자의 진단 결과 데이터에 대한 신호만을 수신하여 이병종자라고 진단된 진단 대상 종자를 별도로 분류하여 우량종자를 선별하는 선별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비침습적 종자 선별 기능을 갖는 종자 공급 장치에 의하면, 광간섭 단층 촬영 기술을 이용하여 비침습적으로 많은 양의 종자를 검출 비용 없이 이병종자와 무병종자를 구분함으로써 신속, 간편, 정확하게 우량종자를 선별하여 종자를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비침습적 종자 선별 기능을 갖는 종자 공급 장치에 의하면, 전수조사가 가능하고, 검사 장비만 필요하므로 검사 비용과 숙련된 기술자가 필요 없으며, 병원체에 대한 식물체의 방어 반응으로 인한 변화를 이용한 기술로서, 초저밀도의 병원체가 감염되더라도 병원체를 검출하여 종자를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종자 포장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침습적 우량종자 선별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침습적 우량종자 선별 장치에서 광간섭 단층 촬영부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비침습적으로 우량종자를 선별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촬영한 건전한 무병종자의 광간섭 단층 촬영 이미지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촬영한 이병종자의 광간섭 단층 촬영 이미지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비침습적으로 우량종자를 선별하기 위해 광간섭 단층 촬영 기술을 이용한다. 우선, 광간섭 단층 촬영 기술을 이용한 비침습적 우량 종자 선별 장치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종자 포장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종자 포장 장치(200)는 종자 공급 장치(210), 영양 첨가물 공급부(220), 종자 포장부(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종자 공급 장치(210)는 우량종자를 공급한다. 이를 위해, 종자 공급 장치(210)는 종자 공급부(211)와 종자 선별 장치(2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종자 공급부(211)는 종자를 공급한다. 종자 공급부(211)에 의해서 공급되는 종자가 진단 대상이 되는 종자가 된다.
종자 선별 장치(212)는 종자 공급부(211)에 의해서 공급되는 종자 중 우량종자를 선별한다. 종자 선별 장치(212)는 비침습적으로 우량종자를 선별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한 구성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영양 첨가물 공급부(220)는 영양 첨가물을 공급한다. 영양 첨가물은 종자의 발아 시간을 단축함과 동시에 종자의 발아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비료 용액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영양 첨가물 공급부(220)는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종자 포장부(230)는 선별된 우량종자를 소정의 포장재로 밀봉 포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자 포장부(230)는 영양 첨가물을 우량종자와 함께 포장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침습적 우량종자 선별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침습적 우량종자 선별 장치는 광간섭 단층 촬영부(10), 신호 처리부(20), 진단부(30), 선별부(40) 및 저장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진단부(30), 선별부(40) 및 저장부(50)는 퍼스널 컴퓨터(PC) 또는 프로그램화된 제어 시스템 등에 포함될 수 있다.
광간섭 단층 촬영부(10)는 진단 대상이 되는 종자의 단층 이미지를 절개없이 비침습식으로 촬영하며, 진단 대상이 되는 종자로 광대역의 광원을 조사하여 상기 진단 대상 종자의 단층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마이켈슨 간섭계에 의한 간섭 신호를 출력한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광간섭 단층 촬영부(10)는 OCT(Optical coherence tomography)로 구현되며, Time-domain OCT, Spectral-Doamin OCT, Swept source OCT 등 어떠한 종류의 OCT라도 사용 가능하다.
신호 처리부(20)는 광간섭 단층 촬영부(10)로부터 출력되는 광 간섭 신호를 신호 처리하여 진단 대상 종자의 단층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한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신호 처리부(20)는 상기 간섭 신호에 대하여 DC 성분의 필터링, 포락선 검파(Envelope Detecting), 및 디지털 변환을 수행하여, 단층 이미지 데이터를 출력한다.
진단부(30)는 신호 처리부(20)로부터 제공된 단층 이미지 데이터를 통해 상기 진단 대상 종자의 단층 구조를 분석한다. 진단부(30)는 저장부(50)에 미리 설정되어 저장된 기준 단층 이미지 데이터를 불러와 상기 분석된 단층 이미지 데이터와 비교하고, 비교 결과가 서로 다른 경우 이병종자로 진단하고, 동일한 경우 건전한 무병종자로 진단하여 진단 결과 데이터를 선별부(40)로 전달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진단부(30)는 진단 대상의 종자의 단층 구조에 층이 있는지를 분석하여 층이 있는 경우 이병종자로 진단하고, 층이 없는 경우 건전한 무병종자로 진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단부(30)는 퍼스널 컴퓨터(PC)에 상술한 진단 기능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선별부(40)는 진단부(30)에서 전달된 진단 결과 데이터에 따라 진단 대상의 종자를 선별함으로써 우량종자를 선별한다. 예를 들어, 선별부(40)는 종자들을 선별하는 별도의 선별 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진단 결과 데이터에 따라 선별 장치로 신호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선별 장치는 진단 대상의 종자를 수신된 신호에 따라 이병종자와 무병종자를 서로 다른 라인으로 이동시키거나, 이병종자에 대한 신호만을 수신 받아 이병종자를 별도로 분류하는 등의 선별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무병종자인 우량종자를 선별한다.
저장부(50)는 진단부(30)에서 단층 이미지 데이터를 비교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기준 단층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고, 진단 결과 데이터 및 우량종자 선별에 필요한 다양한 데이터들을 저장한다.
다음으로, 첨부된 도 3을 참조하여 광간섭 단층 촬영부(10)의 구성에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광간섭 단층 촬영부(10)는 광대역 광원(11), 광 결합기(12), 기준단(13), 샘플단(14) 및 광 검출기(15)를 포함하며, 여기에, 광 서큘레이터(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대역 광원(11)과, 광 결합기(12)와, 기준단(13)과, 샘플단(14)과, 광 검출기(15) 및 광 서큘레이터(16) 사이는 광섬유로 연결된다.
광대역 광원(11)은 단층 촬영을 위한 광대역의 광원을 발생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광대역 광원(11)은 중심 파장 1310nm에 150nm의 반치폭을 갖는 SLED(Super Luminescent Emitting Diode)로 구현된다.
광 결합기(12)는 광원(11)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두 개의 광으로 분배하여 기준단(13) 및 샘플단(14)으로 제공하고, 역으로 기준단(13) 및 샘플단(14)으로부터 입사되는 두 개의 반사광을 결합하여 광 검출기(15)로 전달한다.
기준단(13)은 광 결합기(12)에서 입사된 광을 그대로 반사시켜 광 결합기(12)로 되돌린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기준단(13)은 RSOD(Rapidly Scanning Optical Delayline)을 사용하여 구현되고, 600 grooves/mm의 특성을 갖는 회절격자를 사용하며, 300Hz의 속도로 갈보미터 스캐너를 구동시켜 광 경로를 빠르게 변화시킨다.
샘플단(14)은 광 결합기(12)에서 입사된 광을 진단대상 종자에 인가하고 상기 진단대상 종자에서 반사된 반사광을 상기 광 결합기(12)로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샘플단(14)은 갈보 스캐너를 이용하는 B-모드 스캔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며, 대물렌즈는 15mm의 초점 거리를 갖는 것을 사용하고, 한번의 B 스캔시 스캔 범위는 2mm로 한다.
광 검출기(15)는 광 결합기(12)로부터 입사되는 기준단(13)의 반사광과 샘플단(14)의 반사광이 결합된 마이켈슨 간섭계의 간섭 신호를 검출하여 전기 신호(전압)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기준단(13)과 샘플단(14)의 길이(광경로의 길이)가 광원의 코헤런스 길이 안에 있을 경우, 기준단(13)과 샘플단(14)에서 반사된 두 반사 신호의 간섭신호가 광 검출기(15)를 통해 검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광 검출기(15)는 평형 검출기(balanced Detector)로 구현한다. 이 경우, 광 서큘레이터(16)를 더 구비하며, 광 서뮬레이터(16)는 광 결합기(12)에서 광대역 광원(11)으로 되돌아가는 광을 광 검출기(15)의 마이너스 단자로 인가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광 검출기(15)에서 검출되는 간섭 신호의 신호 대 잡음비가 높아지게 된다.
상술한 구조의 광학적 단층 촬영부(10)에 있어서, 광대역 광원(11)에서 발생된 광 신호는 광 결합기(12)를 지나면서 두 개의 광으로 나눠져 각각 기준단(13)과 샘플단(14)으로 입사되는데, 기준단(13)으로 입사된 광은 기준 미러(도시생략)에서 반사되고, 샘플단(14)으로 입사된 광은 진단 대상 종자의 각 계면에서 반사되어 광 결합기(12)로 되돌아온다.
기준단(13)과 샘플단(14)에서 반사된 두 반사광은 광 결합기(12)에서 합쳐지는데, 이때, 상기 두 반사광의 반사계수 차이에 의하여 간섭 신호가 발생한다.
상기 간섭 신호는 광 검출기(15)에서 검출되어 전기 신호로 변환 출력된다.
여기서, 상기 기준단(13)에서 콜리메이팅 렌즈(도시생략)와 기준 미러(도시생략)의 거리를 변화시키고, 상기 샘플단(14)에서 포커싱렌즈(도시생략)의 초점 위치를 진단대상 종자의 표면을 따라서 횡방향으로 움직이면서 간섭 신호를 측정함으로써, 진단 대상 종자의 단층 이미지를 2D 또는 3D 영상으로 얻을 수 있다.
그러면 이와 같이 구성된 비침습적 우량종자 선별 장치에서 광간섭 단층 촬영을 통해 비침습식으로 우량종자를 선별하기 위한 방법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비침습적으로 우량종자를 선별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110단계에서 비침습적 우량종자 선별 장치는 광간섭 단층 촬영부(10)를 통해 진단 대상 종자의 단층을 비침습식으로 촬영하고, 120단계에서 촬영된 광간섭 단층 이미지에 대한 광 간섭 신호를 신호 처리부(20)로 출력한다. 이에 따라 130단계에서 비침습적 우량종자 선별 장치는 신호 처리부(20)를 통해 광간섭 단층 촬영부(10)로부터 출력된 광 간섭 신호를 처리하여 진단 대상 종자의 단층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한다.
140단계에서 비침습적 우량종자 선별 장치는 진단부(30)를 통해 신호 처리부(20)에서 획득한 단층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여 수신된 단층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한다. 그런 다음 150단계에서 비침습적 우량종자 선별 장치는 진단부(30)를 통해 분석된 단층 이미지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기준 단층 이미지 데이터와 비교한다.
비교 결과, 분석된 단층 이미지 데이터가 기준 단층 이미지 데이터와 동일하지 않은 경우, 160단계에서 진단부(30)는 진단 대상 종자를 이병종자로 진단하고, 선별부(40)로 이병종자임을 알리는 진단 결과 데이터를 전송한다. 반면, 동일한 경우 170단계에서 진단부(30)는 무병종자로 진단하고, 선별부(40)로 무병종자임을 알리는 진단 결과 데이터를 전송한다. 여기서, 무병종자는 첨부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간섭 단층 촬영 이미지에서 층이 존재하지 않는다. 즉, 기준이 되는 단층 이미지 데이터는 이러한 무병종자의 단층 촬영 이미지에 데이터를 미리 설정해둔 것이다. 반면, 이병종자는 첨부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간섭 단층 촬영 이미지에 층이 존재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병종자인 경우 상기 기준되는 단층 촬영 이미지와 구별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180단계에서 비침습적 우량종자 선별 장치의 선별부(40)에서는 진단부(30)로부터 수신된 진단 결과 데이터에 따라 우량종자를 선별한다. 즉, 선별부(40)는 연결된 별도의 선별장치로 진단 결과 데이터에 따른 선별 신호를 발생함으로써, 선별장치로 하여금 이병종자와 무병종자를 구분하여 우량종자를 선별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광간섭 단층 촬영부(10)에서 개개의 진단 대상 종자를 광간섭 단층 촬영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선별장치의 특성에 따라 다수의 종자들을 촬영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광간섭 단층 촬영부(10)는 선별장치가 라인 상에 종자를 일렬로 이동시키는 경우 일정 간격으로 라인 상의 종자들을 촬영할 수도 있으며, 종자들을 일정 개수만큼씩 횡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횡 전체 즉, 상기 일정 개수만큼의 종자들을 모두 촬영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촬영된 영역에서 무병종자(우량종자)들만으로 촬영된 기준이 되는 단층 이미지 데이터를 미리 설정해두어야 한다.
이에 따라 진단부(30)에서는 촬영된 영역의 단층 이미지를 통해 얻은 단층 이미지 데이터와 미리 설정된 기준 단층 이미지 데이터를 비교하여 이미지가 동일한지를 판단한다. 이때, 이미지가 서로 다른 경우, 촬영된 영역 내의 종자들 중 이병종자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선별부(30)에서는 촬영된 단층 이미지 데이터에서 상이한 영역의 좌표를 산출하여 촬영된 영역의 종자들 중 이병 종자를 찾아낼 수 있다. 여기서 이병종자 또는 무병종자 진단, 단층 이미지 데이터 비교 및 좌표 산출 등은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구체적인 프로그램 구동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200 : 종자 포장 장치
210 : 종자 공급 장치 220 : 영양 첨가물 공급부
230 : 종자 포장부
10 : 광간섭 단층 촬영부 11 : 광대역 광원
12 : 광 결합기 13 : 기준단
14 : 샘플단 15 : 광 검출기
16 : 광 서큘레이터 20 : 신호 처리부
30 : 진단부 40 : 선별부
50 : 저장부

Claims (7)

  1. 종자를 공급하는 종자 공급부; 및
    상기 종자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종자 중 우량종자를 비침습적으로 선별하여 배출하는 비침습적 종자 선별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비침습적 종자 선별 장치는,
    진단 대상 종자의 단층을 비침습적으로 광간섭 단층 촬영하여 촬영된 단층 이미지에 대한 광 간섭 신호를 출력하는 광학적 단층 촬영부;
    상기 광학적 단층 촬영부로부터 출력된 광 간섭 신호에 대하여 DC성분의 필터링, 포락선 검파 및 디지털 변환을 수행하여 상기 진단 대상 종자의 단층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신호 처리부;
    상기 신호 처리부에서 획득한 단층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고, 분석된 단층 이미지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기준 단층 이미지 데이터와 비교하여 서로 상이하면 상기 진단 대상 종자를 이병종자로 진단하고, 동일하면 상기 진단 대상 종자를 무병종자로 진단하거나, 상기 단층 이미지 데이터의 단층 구조에 층이 있는지 분석하여 층이 있는 경우 이병종자로 진단하고, 층이 없는 경우 건전한 무병종자로 진단하여, 진단 결과 데이터를 출력하는 진단부; 및
    상기 진단부에서 출력된 진단 결과 데이터에 따른 신호를 수신하여 이병종자 또는 무병종자로 진단된 진단 대상 종자를 서로 다른 라인으로 이동시키거나, 이병종자라고 진단된 진단 대상 종자의 진단 결과 데이터에 대한 신호만을 수신하여 이병종자라고 진단된 진단 대상 종자를 별도로 분류하여 우량종자를 선별하는 선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침습적 종자 선별 기능을 갖는 종자 공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침습적 종자 선별 장치는,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 단층 데이터 및 우량종자 선별에 필요한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침습적 종자 선별 기능을 갖는 종자 공급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간섭 신호는 진단대상 종자의 단층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도록, 광학 간섭계를 통하여, 진단대상 종자에서 반사된 반사광과 상기 광간섭 단층 촬영부의 기준단에서 반사된 반사광이 결합되어 전기 신호로 변환된 신호임을 특징으로 하는 비침습적 종자 선별 기능을 갖는 종자 공급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적 단층 촬영부는,
    단층 이미지 촬영을 위한 광대역의 광원을 발생하는 광대역 광원;
    상기 광대역 광원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두 개의 광으로 분배 및 입사되는 두 개의 반사광을 결합하는 광결합기;
    상기 광결합기에 연결되어 상기 광결합기를 통해 전달된 상기 광원을 그대로 반사시키는 기준단;
    상기 광결합기에 연결되어, 상기 광결합기를 통해 전달된 상기 광원을 진단대상 종자에 조사하여 상기 진단대상 종자에서 반사된 반사광을 출력하는 샘플단; 및
    상기 광결합기에 연결되어, 상기 광결합기에서 결합된 기준단의 반사광과 샘플단의 반사광의 결합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두 반사광의 간섭 신호를 검출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광 검출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침습적 종자 선별 기능을 갖는 종자 공급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적 단층 촬영부는,
    상기 광검출기를 +입력단과 -입력단을 갖는 평형 검출기로 구현하고,
    상기 광결합기에서 상기 광대역 광원으로 되돌아가는 광을 상기 광검출기의 -입력단으로 전달하는 광서큘레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침습적 종자 선별 기능을 갖는 종자 공급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부는 분석된 단층 이미지 데이터와 미리 설정된 기준 단층 이미지 데이터가 동일하면 무병종자로 진단하여 상기 선별부로 무병종자를 알리는 진단 결과 데이터를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침습적 종자 선별 기능을 갖는 종자 공급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부는 분석된 단층 이미지 데이터와 미리 설정된 기준 단층 이미지 데이터가 동일하지 않으면 이병종자로 진단하여 상기 선별부로 이병종자를 알리는 진단 결과 데이터를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침습적 종자 선별 기능을 갖는 종자 공급 장치.
KR1020170164100A 2017-12-01 2017-12-01 비침습적 종자 선별 기능을 갖는 종자 공급 장치 Withdrawn KR201900648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4100A KR20190064842A (ko) 2017-12-01 2017-12-01 비침습적 종자 선별 기능을 갖는 종자 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4100A KR20190064842A (ko) 2017-12-01 2017-12-01 비침습적 종자 선별 기능을 갖는 종자 공급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4842A true KR20190064842A (ko) 2019-06-11

Family

ID=66847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4100A Withdrawn KR20190064842A (ko) 2017-12-01 2017-12-01 비침습적 종자 선별 기능을 갖는 종자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6484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64599C2 (ru) Способ классификации предметов, найденных в партии семян, и его соответствующее применение для производства семян
WO2018212217A1 (ja) X線検査におけるデータ処理装置及びデータ処理方法、並びに、その装置を搭載したx線検査装置
KR101341815B1 (ko) 초분광 영상처리를 이용한 종자 선별 장치
EP2163189A1 (en) Measurement apparatus and measurement method
FR2986145A1 (fr) Procede et systeme pour surveiller une matrice de transducteurs dans un systeme d'echographie
US20120057164A1 (en) Biological information measuring apparatus
JP2014079648A (ja) 混濁状の媒体から画像データを取得するためのデバイス及び方法
KR101011575B1 (ko) 비침습적 우량종자 선별 방법 및 장치
CN105916446A (zh) 光声测量装置以及用于该光声测量装置的信号处理装置及信号处理方法
WO2018116818A1 (ja) 細胞組織体の評価方法および薬効評価方法
KR100886205B1 (ko) 생체 진단용 편광 방식 파장 분할 광 영상 측정 장치
CN105030273A (zh) 超声波诊断装置以及生物体光测量装置
KR20120116183A (ko) 복수의 광선을 이용하는 광 간섭 단층촬영 장치 및 방법
CN103784165A (zh) 超声波诊断装置
EP3143940B1 (en) Breast measurement device
KR20190064842A (ko) 비침습적 종자 선별 기능을 갖는 종자 공급 장치
KR20190064840A (ko) 비침습적 종자 선별 기능을 갖는 종자 포장 장치
KR20190064843A (ko) 비침습적 종자 선별 기능을 갖는 씨앗 스티커 검사 장치
JP2017164054A (ja) 超音波診断装置及び生体検査装置
KR20190064841A (ko) 비침습적 종자 선별 기능을 갖는 씨앗 스티커 포장 장치
Brown et al. A high-throughput automated technique for counting females of Heterodera glycines using a fluorescence-based imaging system
US10229091B2 (en) Method for reconstructing the optical properties of a medium with computing of a signal corrected as a function of a first modeling function for a reference medium and of a second distribution for a medium to be characterized, and associated reconstruction system
Luna et al. Non-destructive morphological screening for the assessment of postharvest storage effect on pears stored with apples using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JP2016171910A (ja) 超音波診断装置及び生体検査装置
JP6486733B2 (ja) 超音波診断装置及び生体検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2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