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8150A - 디스플레이용 양면 점착 테이프, 이의 제조방법 및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용 양면 점착 테이프, 이의 제조방법 및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18150A KR20170018150A KR1020150110707A KR20150110707A KR20170018150A KR 20170018150 A KR20170018150 A KR 20170018150A KR 1020150110707 A KR1020150110707 A KR 1020150110707A KR 20150110707 A KR20150110707 A KR 20150110707A KR 20170018150 A KR20170018150 A KR 2017001815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ayer
- acrylic
- color
- display
- adhesive tap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09J7/0217—
-
- C09J2201/12—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18—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the production of liquid crystal displays
Landscapes
- Adhesive Tap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양면 점착 테이프의 제조방법의 개략적인 공정흐름도이다.
인장강도 (MPa) |
충격강도 (mJ) |
점착력 (g/in) |
아크릴계 발포층 형성시 UV 조사량 (mJ/cm2) |
|
실시예1 | 208 | 0.980 | 2800 | 1200 |
비교예1 | 10 | 0.662 | 2800 | 3000 |
비교예2 | 12 | 0.441 | 2,300 | 1200 |
110: 열가소성 플라스틱 필름층
120: 제1 컬러층
130: 제2 컬러층
140: 아크릴계 발포층
151: 제1 아크릴계 점착층
152: 제2 아크릴계 점착층
Claims (23)
- 순차적으로, 제1 아크릴계 점착층; 아크릴계 발포층; 제1 컬러층; 열가소성 플라스틱 필름층; 제2 컬러층; 및 제2 아크릴계 점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컬러층은 흑색 색상을 띠고, 상기 제2 컬러층은 상기 흑색 색상과 구분되는 다른 색상을 띠는 디스플레이용 양면 점착 테이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아크릴계 점착층, 상기 아크릴계 발포층 및 상기 제2 아크릴계 점착층 각각은 별도의 착색제를 포함하지 않고 투명한
디스플레이용 양면 점착 테이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아크릴계 점착층 및 상기 아크릴계 발포층을 통하여 상기 제1 컬러층의 흑색 색상이 노출되고, 상기 제2 아크릴계 점착층을 통하여 상기 제2 컬러층의 상기 흑색 색상과 구분되는 다른 색상이 노출되어, 양 표면의 구별이 가능한
디스플레이용 양면 점착 테이프.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양면 점착 테이프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하는 경우 상기 흑색 색상이 노출되는 제1 아크릴계 점착층이 터치스크린 패널을 향하고,
상기 다른 색상이 노출되는 제2 아크릴계 점착층이 소정의 사출물 또는 백 커버(back cover)를 향하도록 적용되는
디스플레이용 양면 점착 테이프.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양면 점착 테이프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하는 경우 상기 흑색 색상이 노출되는 제1 아크릴계 점착층이 터치스크린 패널을 향하고,
상기 다른 색상이 노출되는 제2 아크릴계 점착층이 소정의 사출물 또는 백 커버(back cover)를 향하도록 적용되는
디스플레이용 양면 점착 테이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컬러층의 두께가 0.1㎛ 내지 5㎛이고, 광투과율이 4.0% 이하인
디스플레이용 양면 점착 테이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컬러층은 제1 착색제를 10 중량% 내지 80 중량%로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용 양면 점착 테이프.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착색제는 카본 블랙계 착색제, 흑연계 착색제, 산화철계 착색제, 안트라퀴논계 착색제, 산화코발트계 착색제, 산화구리계 착색제, 망간계 착색제, 산화 안티몬계 착색제, 산화 니켈계 착색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용 양면 점착 테이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발포층은 기공의 평균 크기가 20㎛ 내지 200㎛이고, 기공률이 1%내지 40%인
디스플레이용 양면 점착 테이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아크릴계 점착층 및 상기 제2 아크릴계 점착층 각각의 점착력이 각각의 점착력이 2,350g/in 내지 4,000g/in인
디스플레이용 양면 점착 테이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발포층은 발포용 조성물에 대하여 UV 조사 및 열 처리 중 어느 하나, 또는 순차적으로 UV 조사 및 열 처리를 모두 수행하여 형성하거나; 또는 발포용 조성물에 대하여 기체를 주입하면서 UV 조사를 수행하여 형성하는
디스플레이용 양면 점착 테이프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UV 조사는 500mJ/cm2 내지 2,500mJ/cm2의 UV 조사량으로 수행하는
디스플레이용 양면 점착 테이프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발포층은 아크릴계 중합체 및 기공형성용 필러를 포함하는 발포용 조성물에 대하여 UV 조사 및 열 처리 중 어느 하나, 또는 순차적으로 UV 조사 및 열 처리를 모두 수행하여 형성하거나; 또는 아크릴계 중합체를 포함하고 기공형성용 필러를 포함하지 않는 발포용 조성물에 대하여 기체를 주입하면서 UV 조사를 수행하여 형성하며,
상기 기공형성용 필러는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되고,
상기 기체는 0.001(cubic feet per minute, CFM) 내지 0.05CFM의 유량으로 주입되는
디스플레이용 양면 점착 테이프.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는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및 극성 관능기 함유 모노머를 포함하는 공중합성 모노머 성분이 중합되어 형성되고,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를 형성하는 상기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대 상기 극성 관능기 함유 모노머의 중량비가 9:1 내지 7:3인
디스플레이용 양면 점착 테이프.
- 열가소성 필름층의 일면에 흑색 색상을 띠는 제1 컬러층을 형성하고, 다른 일면에 상기 흑색 색상과 구분되는 다른 색상을 띠는 제2 컬러층을 형성하는 단계;
아크릴계 발포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컬러층 및 상기 아크릴계 발포층이 접하도록 상기 열가소성 플라스틱 필름층 및 상기 아크릴계 발포층을 적층하여 적층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적층체의 양면에 아크릴계 점착층을 형성하여, 디스플레이용 양면 점착테이프를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용 양면 점착 테이프의 제조방법.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아크릴계 점착층, 상기 아크릴계 발포층 및 상기 제2 아크릴계 점착층 모두에는 별도의 착색제를 포함시키지 않고 투명하게 형성하는
디스플레이용 양면 점착 테이프의 제조방법.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용 양면 점착 테이프는 상기 제1 아크릴계 점착층 및 상기 아크릴계 발포층을 통하여 상기 제1 컬러층의 흑색 색상이 노출되고, 상기 제2 아크릴계 점착층을 통하여 상기 제2 컬러층의 상기 흑색 색상과 구분되는 다른 색상이 노출되어, 양 표면의 구별이 가능하도록 제조되는
디스플레이용 양면 점착 테이프의 제조방법.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양면 점착 테이프의 인장 강도는 100MPa 내지 500MPa이 되고, 충격 강도는 0.7mJ 내지 2.0mJ이 되도록 제조하는
디스플레이용 양면 점착 테이프의 제조방법.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컬러층의 두께는 0.1㎛ 내지 5㎛가 되고, 광투과율은 4.0% 이하가 되도록 형성하는
디스플레이용 양면 점착 테이프의 제조방법.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컬러층의 두께는 0.1㎛ 내지 5㎛가 되고, 광투과율은 4.0% 이하가 되도록 형성하는
디스플레이용 양면 점착 테이프의 제조방법.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발포층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발포용 조성물에 대하여 UV 조사 및 열 처리 중 어느 하나, 또는 순차적으로 UV 조사 및 열 처리를 수행하거나 또는, 발포용 조성물에 대하여 기체를 주입하면서 UV 조사를 수행하여, 상기 아크릴계 발포층을 형성하는
디스플레이용 양면 점착 테이프의 제조방법.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발포층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UV 조사는 500mJ/cm2 내지 2,500mJ/cm2의 UV 조사량으로 수행하는
디스플레이용 양면 점착 테이프의 제조방법.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발포층은 아크릴계 중합체 및 기공형성용 필러를 포함하는 발포용 조성물에 대하여 UV 조사 및 열 처리 중 어느 하나, 또는 순차적으로 UV 조사 및 열 처리를 수행하거나 또는, 아크릴계 중합체를 포함하고 기공형성용 필러를 포함하지 않는 발포용 조성물에 대하여 기체를 주입하면서 UV 조사를 수행하여 형성하며,
상기 기공형성용 필러는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약 0.1 중량부 내지 약 10 중량부로 포함되고,
상기 기체는 약 0.001(cubic feet per minute, CFM) 내지 약 0.05CFM의 유량으로 주입되는
디스플레이용 양면 점착 테이프의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10707A KR101993803B1 (ko) | 2015-08-05 | 2015-08-05 | 디스플레이용 양면 점착 테이프, 이의 제조방법 및 디스플레이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10707A KR101993803B1 (ko) | 2015-08-05 | 2015-08-05 | 디스플레이용 양면 점착 테이프, 이의 제조방법 및 디스플레이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18150A true KR20170018150A (ko) | 2017-02-16 |
KR101993803B1 KR101993803B1 (ko) | 2019-06-28 |
Family
ID=58264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10707A Active KR101993803B1 (ko) | 2015-08-05 | 2015-08-05 | 디스플레이용 양면 점착 테이프, 이의 제조방법 및 디스플레이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93803B1 (ko)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40299A (ko) * | 2018-06-11 | 2019-12-19 | 주식회사 영우 | 내파괴성이 우수한 방수 양면테이프 |
KR20200021286A (ko) | 2018-08-20 | 2020-02-28 | 주식회사 영우 | 디스플레이 기기용 내충격성 양면테이프 |
KR20200102795A (ko) | 2019-02-22 | 2020-09-01 | 주식회사 영우 | 단차보상 성능이 우수한 내충격성 방수 테이프 |
KR20200104138A (ko) | 2019-02-26 | 2020-09-03 | 주식회사 영우 | 내충격성이 우수한 점착테이프 |
KR20200117535A (ko) | 2019-04-04 | 2020-10-14 | 주식회사 영우 | 방열성능이 우수한 내충격성 방수테이프 |
KR20200120783A (ko) | 2019-04-11 | 2020-10-22 | 주식회사 영우 | 방열성능이 우수한 내충격성 방수테이프 |
KR20210031308A (ko) | 2019-09-11 | 2021-03-19 | 주식회사 영우 | 디스플레이용 내충격성 테이프 |
US11319463B2 (en) | 2018-10-16 | 2022-05-03 | Koza Novel Materials Korea Co., Ltd. | Multilayer adhesive film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80060544A (ko) * | 2006-12-27 | 2008-07-02 | 한국스카파테이프(주) | 기재층을 갖는 핸드폰용 양면 아크릴폼 테이프 |
JP2009040901A (ja) * | 2007-08-09 | 2009-02-26 | Dic Corp | 遮光性粘着テープ及びこれを用いたlcdモジュール |
-
2015
- 2015-08-05 KR KR1020150110707A patent/KR101993803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80060544A (ko) * | 2006-12-27 | 2008-07-02 | 한국스카파테이프(주) | 기재층을 갖는 핸드폰용 양면 아크릴폼 테이프 |
JP2009040901A (ja) * | 2007-08-09 | 2009-02-26 | Dic Corp | 遮光性粘着テープ及びこれを用いたlcdモジュール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40299A (ko) * | 2018-06-11 | 2019-12-19 | 주식회사 영우 | 내파괴성이 우수한 방수 양면테이프 |
KR20200021286A (ko) | 2018-08-20 | 2020-02-28 | 주식회사 영우 | 디스플레이 기기용 내충격성 양면테이프 |
US11319463B2 (en) | 2018-10-16 | 2022-05-03 | Koza Novel Materials Korea Co., Ltd. | Multilayer adhesive film |
KR20200102795A (ko) | 2019-02-22 | 2020-09-01 | 주식회사 영우 | 단차보상 성능이 우수한 내충격성 방수 테이프 |
KR20200104138A (ko) | 2019-02-26 | 2020-09-03 | 주식회사 영우 | 내충격성이 우수한 점착테이프 |
KR20200117535A (ko) | 2019-04-04 | 2020-10-14 | 주식회사 영우 | 방열성능이 우수한 내충격성 방수테이프 |
KR20200120783A (ko) | 2019-04-11 | 2020-10-22 | 주식회사 영우 | 방열성능이 우수한 내충격성 방수테이프 |
KR20210031308A (ko) | 2019-09-11 | 2021-03-19 | 주식회사 영우 | 디스플레이용 내충격성 테이프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93803B1 (ko) | 2019-06-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93803B1 (ko) | 디스플레이용 양면 점착 테이프, 이의 제조방법 및 디스플레이 장치 | |
KR101993799B1 (ko) | 디스플레이용 양면 점착 테이프 및 제조방법 | |
TWI487767B (zh) | 黏著帶 | |
TWI490306B (zh) | 黏著帶 | |
TWI424042B (zh) | Double-sided adhesive tape | |
CN102876248B (zh) | 双面压敏胶粘片 | |
EP2436741B1 (en) | Adhesive material having redetachability | |
CN101619198B (zh) | 用于粘结电子组件的双面泡沫背衬的胶带 | |
EP2551102B1 (en) | Self-stick foam adhesive | |
TWI652326B (zh) | 壓敏膠條及其用途 | |
EP2995666B1 (en) | Acrylic foam adhesive tape and flat-panel display applying same | |
KR20130105524A (ko) | 양면 점착 시트 | |
JP6314341B2 (ja) | 両面粘着テープ及び物品 | |
JP6326589B2 (ja) | 両面粘着テープ及び物品 | |
KR20140090617A (ko) | 점착 테이프 | |
KR20170125344A (ko) | 양면 코팅 테이프 | |
WO2014156816A1 (ja) | 両面粘着テープ | |
KR20160035704A (ko) | 아크릴 폼 점착 테이프 | |
JP5764406B2 (ja) | 携帯電子機器用防水両面粘着テープ | |
KR101658608B1 (ko) | 양면 점착 테이프 및 그 제조 방법 | |
CN117460291B (zh) | 一种oled显示模组器件 | |
KR20200019125A (ko) | 점착 시트 및 전자 기기 | |
WO2022249726A1 (ja) | 粘着シート、表示装置および積層体 | |
CN117321163A (zh) | 粘合片、显示装置和层叠体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805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609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111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5080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0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904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8102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904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121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9061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9052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04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121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6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6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5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3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3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