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160108496A - 노즐, 버너, 연소기, 가스터빈, 가스터빈 시스템 - Google Patents

노즐, 버너, 연소기, 가스터빈, 가스터빈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8496A
KR20160108496A KR1020167022134A KR20167022134A KR20160108496A KR 20160108496 A KR20160108496 A KR 20160108496A KR 1020167022134 A KR1020167022134 A KR 1020167022134A KR 20167022134 A KR20167022134 A KR 20167022134A KR 20160108496 A KR20160108496 A KR 201601084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nozzle
combustor
flow path
mai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2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4705B1 (ko
Inventor
게이 이노우에
사토시 다키구치
신지 아카마츠
겐타 다니구치
나오키 아베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히타치 파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히타치 파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히타치 파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08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84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4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470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RGENERATING COMBUSTION PRODUCTS OF HIGH PRESSURE OR HIGH VELOCITY, e.g. GAS-TURBINE COMBUSTION CHAMBERS
    • F23R3/00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using liquid or gaseous fuel
    • F23R3/28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using liquid or gaseous fuel characterised by the fuel supply
    • F23R3/286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using liquid or gaseous fuel characterised by the fuel supply having fuel-air premix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RGENERATING COMBUSTION PRODUCTS OF HIGH PRESSURE OR HIGH VELOCITY, e.g. GAS-TURBINE COMBUSTION CHAMBERS
    • F23R3/00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using liquid or gaseous fuel
    • F23R3/02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using liquid or gaseous fuel characterised by the air-flow or gas-flow configuration
    • F23R3/16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using liquid or gaseous fuel characterised by the air-flow or gas-flow configuration with devices inside the flame tube or the combustion chamber to influence the air or gas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CGAS-TURBINE PLANTS;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7/00Features, component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orm groups F02C1/00 - F02C6/00;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 F02C7/22Fuel supply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CGAS-TURBINE PLANTS;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7/00Features, component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orm groups F02C1/00 - F02C6/00;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 F02C7/22Fuel supply systems
    • F02C7/232Fuel valves; Draining valves or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72Safety devices, e.g. operative in case of failure of gas supply
    • F23D14/82Preventing flashback or blowba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RGENERATING COMBUSTION PRODUCTS OF HIGH PRESSURE OR HIGH VELOCITY, e.g. GAS-TURBINE COMBUSTION CHAMBERS
    • F23R3/00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using liquid or gaseous fuel
    • F23R3/02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using liquid or gaseous fuel characterised by the air-flow or gas-flow configuration
    • F23R3/04Air inlet arrangements
    • F23R3/10Air inlet arrangements for primary air
    • F23R3/12Air inlet arrangements for primary air inducing a vortex
    • F23R3/14Air inlet arrangements for primary air inducing a vortex by using swirl va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RGENERATING COMBUSTION PRODUCTS OF HIGH PRESSURE OR HIGH VELOCITY, e.g. GAS-TURBINE COMBUSTION CHAMBERS
    • F23R3/00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using liquid or gaseous fuel
    • F23R3/28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using liquid or gaseous fuel characterised by the fuel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40/00Components
    • F05D2240/35Combustors or associated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s Burners (AREA)
  • Pre-Mixing And Non-Premixing Gas Burner (AREA)
  • Nozzles For Spraying Of Liquid Fuel (AREA)

Abstract

연소기(10)는 선단부(25s)에서 공기를 분사시키는 공기 분사부(51)가 형성된 노즐(25)과, 노즐(25)을 외주 측에서 덮음과 동시에 노즐(25) 사이에 공기 유로를 형성하는 통상부재(26)와, 공기 유로에 설치되어, 공기 유로를 흐르는 공기에 압력 손실을 발생시키는 압력 손실부(27)를 구비하고, 노즐(25)은 압력 손실부(27)보다도 상류측의 외주면에서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 주입부(52)와, 공기 주입부(52)에서 주입된 공기를 공기 분사부(51)까지 인도하는 분출 공기 유로(R2)를 형성하는 유로 형성부(50)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노즐, 버너, 연소기, 가스터빈, 가스터빈 시스템{NOZZLE, BURNER, COMBUSTOR, GAS TURBINE, AND GAS TURBINE SYSTEM}
이 발명은 연소기에 이용되는 노즐, 버너, 연소기, 가스터빈, 가스터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14년 3월 20일에 일본국에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제2014-059127호에 근거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이곳에 원용한다.
가스터빈의 연소기에서는 압축기로부터 보내진 압축공기(연소용 공기)에 사전에 연료를 혼합하여 혼합기를 생성하고, 이 혼합기를 연소시키는 예혼합 연소방식이 넓게 이용되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3 참조).
이 종류의 연소기로는 연소기의 중심축선 상에 설치된 파일럿노즐과, 이 파일럿노즐과 평행으로 배치된 여러 개의 메인노즐을 갖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예혼합 연소방식을 채용한 가스터빈 연소기는 혼합기의 유속이 낮은 영역에서 화염이 혼합기의 흐름 방향으로 역행하는 역화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특허문헌 4에는 메인노즐의 외주 측에 구비되어 압축기로부터 보내온 압축공기를 선회시키는 선회날개의 하류 단부 근방에 공기 등의 유체를 분사하는 유체 분사 구멍을 구비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는 유체 분사 구멍에서 유체를 고속으로 분사함으로써, 혼합기의 유속이 낮은 영역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하류 단부의 연료농도를 감소시킴으로써 역화의 발생을 억제한다.
일본특허공개 제2000-46333호 공보 일본국 특허 제3139978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제H8-261466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제2011-17334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4와 같이 선회날개의 하류 단부 근방에 유체 분사 구멍을 구비한 구성에서는 유체의 분사에 의해 역화의 발생을 억제 가능한 부위가 한정된다. 예를 들어, 메인노즐의 선단에 대해서는 유체의 분사에 의한 역화의 발생을 억제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없다.
메인노즐의 선단부 근방은 선회날개에 의해 발생한 선회류의 보텍스코어가 되므로 유속이 늦다. 따라서 역화가 발생한 경우 화염이 메인노즐의 선단부를 향하여 거슬러 올라간다.
거슬러 올라간 화염이 노즐 선단 근방에 정체하면 노즐 선단이 소손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
이 발명은 노즐 선단부에의 역화를 확실하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노즐, 버너, 연소기, 가스터빈, 가스터빈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 발명의 제1 형태에서 노즐은 연료를 분사하는 연소기의 노즐로서, 선단부에서 공기를 분사시키는 공기 분사부를 구비한다.
이 발명의 제2 형태에서 버너는 상기의 노즐을 구비하여 연료를 분사한다.
이 발명의 제3 형태에서 연소기는 제2 형태에 따른 버너를 구비하는 연소기로서, 상기 노즐을 외주 측에서 덮음과 동시에 상기 노즐 사이에 공기 유로를 형성하는 통상부재와, 상기 공기 유로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 유로를 흐르는 공기에 압력 손실을 발생시키는 압력 손실부를 구비하고, 상기 노즐은 상기 압력 손실부보다도 상류측의 외주면에서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 주입부와, 상기 공기 주입부에서 주입된 공기를 상기 공기 분사부까지 인도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유로 형성부를 구비한다.
이 발명의 제4 형태에서 연소기는 제3 형태에 따른 공기 주입부가 상기 노즐의 외주면에 여러 개 설치되고, 상기 유로 형성부는 여러 개의 상기 공기 주입부에서 주입된 공기를 상기 공기 분사부의 상류측에서 합류시키는 합류부를 구비하도록 해도 된다.
이 발명의 제5 형태에서 연소기는 제3 형태에 따른 유로 형성부가 단면 원환상의 유로를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이 발명의 제6 형태에서 연소기는 제3 형태에 따른 유로 형성부가 동심원 상에 배치되는 여러 개의 유로를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이 발명의 제7 형태에서 가스터빈은 제3 형태에서 제5 형태의 어느 하나의 형태에 따른 연소기와 상기 연소기에서 보내진 연소가스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를 구비한 터빈 본체를 구비한다.
이 발명의 제8 형태에서 가스터빈 시스템은 제1 형태에 따른 노즐을 구비하는 연소기와, 상기 연소기에서 보내진 연소가스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를 구비한 터빈 본체와, 상기 터빈 본체의 차실 내의 공기를 상기 공기 분사부에 공급하는 차실 공기 공급부와, 상기 차실 공기 공급부에 따른 상기 차실에서 상기 공기 분사부에의 상기 공기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밸브와, 상기 연소기에 따른 역화의 발생을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의 검출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제어밸브를 개폐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한다.
상술한 노즐, 버너, 연소기, 가스터빈, 가스터빈 시스템에 의하면 노즐 선단부에의 역화를 확실하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이 실시형태의 가스터빈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반단면도이다.
도 2는 상기 가스터빈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연소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상기 연소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상기 연소기의 메인노즐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상기 메인노즐의 축선과 직교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상기 메인노즐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7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가스터빈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이하, 이 발명의 실시형태의 노즐, 버너, 연소기, 가스터빈, 가스터빈 시스템을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도 1은 이 실시형태의 가스터빈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반단면도이다. 도 2는 상기 가스터빈에 구비된 연소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상기 연소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의 가스터빈(1)은 압축기(2)와, 여러 개의 연소기(10)와, 터빈(터빈 본체)(3)을 구비한다.
압축기(2)는 공기를 공기 주입구에서 작동유체로서 흡수하여 압축공기를 생성한다.
연소기(10)는 압축기(2)의 배출구에 접속되어 있다. 연소기(10)는 압축기(2)로부터 배출된 압축공기에 연료를 분사하여 고온 및 고압의 연소가스를 발생시킨다.
터빈(3)은 연소기(10)에서 보내진 연소가스의 열에너지를 로터(3a)의 회전에너지로 변환하여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이 터빈(3)은 발생시킨 구동력을 로터(3a)에 연결된 발전기(도시 없음)에 전달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연소기(10)는 연소기 본체(11)와 꼬리통(30)을 구비하고 있다. 연소기 본체(11)는 공급된 연료와 압축공기(A)를 반응시키는 연소실로서 기능한다. 꼬리통(30)은 연소기 본체(11)에서 유입된 연소가스(B)의 유속을 빠르게 하여 후류의 터빈(3)으로 도입한다.
도 2,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소기 본체(11)는 내통(12)과 외통(13)을 구비하고 있다. 내통(12)은 원통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외통(13)은 내통(12)의 중심축 방향 일단 측의 외주 측에 동심원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외통(13)과 내통(12) 사이에서 연소기 본체(11) 내에 유입된 압축공기(A)는 외통(13)의 일단 측(13a)에서 180° 회전하고, 내통(12)의 내부에 공급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소기 본체(11)는 내통(12) 내에 파일럿버너(21)와 메인버너(버너)(22)를 구비하고 있다.
파일럿버너(21)는 내통(12)의 중심축(o)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파일럿버너(21)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연료를 선단부(21a)에서 분사한다. 파일럿버너(21)는 이 분사된 연료에 착화함으로써 화염을 발생한다. 파일럿버너(21)는 파일럿콘(24)을 구비하고 있다. 파일럿콘(24)은 파일럿버너(21)의 선단부(21a)의 외주 측을 둘러싸는 통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파일럿콘(24)은 파일럿버너(21)의 선단부(21a) 근방에서 화염의 발생방향을 향하여 그 내경이 점차 확대하는 테이퍼콘부(24c)를 갖고 있다. 테이퍼콘부(24c)는 화염의 확산범위, 방향을 규제하고 보염성을 높이고 있다.
메인버너(22)는 내통(12) 내에 여러 개 설치되어 있다. 이들 메인버너(22)는 파일럿버너(21)의 외주 측에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각 메인버너(22)는 내통(12)의 중심축(o)과 평행으로 연장되어 있다.
메인버너(22)의 선단부에는 메인노즐(노즐)(25)이 설치되어 있다. 메인노즐(25)은 선단부(25s)를 향하여 그 외경이 점차 축소되는 원추상을 이루고 있다.
메인버너(22)는 메인노즐(25)의 외주 측에 콘부재(통상부재)(26)를 구비하고 있다. 콘부재(26)는 통상이고, 메인노즐(25)을 외주 측에서 둘러싸도록 설치되어 있다. 콘부재(26)는 내통(12)의 중심 측의 파일럿콘(24)에 근접하는 측(26a)이 화염의 생성방향을 향하여 점차 외주 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콘부재(26)는 메인버너(22) 사이에 압축공기(A)가 흐르는 주 유로(R1)를 형성한다.
메인버너(22)는 콘부재(26) 내에 메인스윌러(압력손실부)(27)를 구비하고 있다. 메인스윌러(27)는 주 유로(R1)에 따른 흐름에 선회력을 부여한다.
메인버너(22)는 메인버너(22)의 외주면 측으로, 예를 들어 메인스윌러(27)에 설치된 연료노즐(도시 없음)에서 연료(메인연료)가 분사된다. 연료노즐(도시 없음)은 메인스윌러(27) 이외의 부위, 예를 들어 메인버너(22)의 외주면 측에서 후술하는 공기주입구(52)보다도 하류 측의 부위 등에 설치해도 된다. 이 연료는 내통(12) 내의 압축공기(A)와 혼합되어 예혼합공기(F)가 된다. 메인스윌러(27)에 의해 생성된 선회류에 의해 예혼합공기(F)는 메인버너(22) 주위를 선회하면서 주 유로(R1)를 하류를 향하여 흘러간다.
도 4는 상기 연소기의 메인노즐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상기 메인노즐의 축선과 직교하는 단면도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인노즐(25)은 유로 구멍(유로형성부)(50)과, 공기분사구(공기분사부)(51)와, 공기주입구(공기주입부)(52)를 구비하고 있다.
유로 구멍(50)은 메인노즐(25)의 축방향을 향하여 연장하고 있다. 도 4,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에서 여러 개의 유로 구멍(50)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유로 구멍(50)은 메인노즐(25)의 원주방향과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이들 유로 구멍(50)은 메인노즐(25)과 동심원 상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도 5에서는 유로 구멍(50)이 3개 형성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2개 이상이어도 된다. 이들 여러 개의 유로 구멍(50)에 의해 이 발명의 유로형성부가 구성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기주입구(51)는 메인노즐(25)의 선단부(25s)에 개구하여 형성되어 있다.
공기주입구(52)는 메인노즐(25)의 외주면에 여러 개 형성되어 있다. 각 공기주입구(52)는 각각 유로 구멍(50)의 일단이 메인노즐(25)의 외주면에 개구하여 형성되어 있다. 각 공기주입구(52)는 메인노즐(25)의 외주면에서 메인스윌러(27)보다도 하류 측으로 개구하고 있다.
여러 개의 유로 구멍(50)은 메인노즐(25) 내의 합류부(54)에서 하나로 합류하고, 하나의 공기분사구(51)와 연통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유로 구멍(50)은 메인스윌러(27)보다도 상류 측의 공기주입구(52)에서 주입된 압축공기(A)를 메인노즐(25)의 선단부(25s)의 공기분사구(51)까지 인도하는 분출공기유로(R2)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메인노즐(25)을 구비한 메인버너(22)는 주 유로(R1)를 흐르는 압축공기(A)의 일부가 공기주입구(52)에서 유로 구멍(50) 내로 흘러들고, 메인노즐(25)의 선단부(25s)의 공기주입구(51)에서 분출된다. 공기분사구(51)에서 압축공기(A)를 분사시키면 메인노즐(25)의 선단부(25s) 근방에 따른 예혼합기(F)의 연료농도가 낮아진다. 또한 공기분사구(51)에서 분사되는 압축공기(A)에 의해 메인노즐(25)의 선단부(25s)에 따른 예혼합기(F)의 유속이 빨라진다.
메인노즐(25)과 콘부재(26) 사이에 형성된 주 유로(R1)에서는 메인스윌러(27)로 예혼합기(F)를 선회시킴으로써, 주 유로(R1)를 흐르는 예혼합기(F)에 압력손실이 발생한다. 메인노즐(25)은 메인스윌러(27)보다도 상류 측에 공기주입구(52)를 갖고, 메인스윌러(27)보다도 하류 측에 메인노즐(25)의 선단부(25s)의 공기분사구(51)를 갖고 있다. 이것에 의해 공기주입구(52)와 공기분사구(51) 사이에는 메인스윌러(27)에 의한 압력손실에 의해 압력차가 발생한다. 구체적으로는 공기주입구(52) 측 쪽이 공기분사구(51) 측보다도 압력이 높다. 이 압력차에 의해 유로 구멍(50)에 의해 형성된 분출공기유로(R2)에서 공기주입구(52)에서 공기분사구(51)를 향하는 흐름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하여 메인노즐(25)의 외주면에 형성된 공기주입구(52)에서 분출공기유로(R2) 내에 공기를 양호하게 주입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제1 실시형태에 따르면 메인노즐(25)의 선단부(25s)에 공기분사구(51)를 설치함으로써, 이 공기분사구(51)에서 압축공기(A)를 분사시키면 메인노즐(25)의 선단부(25s) 근방에 따른 예혼합기(F)의 연료농도가 낮아진다. 따라서 메인노즐(25)의 선단부(25s)에서 화염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공기분사구(51)에서 분사되는 압축공기(A)에 의해 메인노즐(25)의 선단부(25s)에 따른 예혼합기(F)의 유속이 빨라진다. 따라서 역화가 발생한 경우 화염이 메인노즐(25)의 선단부(25s)를 향하여 거슬러 올라가기 어려워진다.
이와 같이 하여 메인노즐(25)의 선단부(25s)에의 역화의 역상 및 발생을 확실하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메인노즐(25)의 소손도 피할 수 있다.
게다가 공기분사구(51)와 연통하는 유로 구멍(50)은 메인스윌러(27)보다도 상류 측에 공기주입구(52)를 갖고, 메인스윌러(27)보다도 하류 측에 메인노즐(25)의 선단부(25s)의 공기분사구(51)를 갖고 있다. 따라서 메인스윌러(27)에 의한 압력손실에 의해 공기주입구(52)와 공기분사구(51) 사이에 발생하는 압력차에 의해, 공기주입구(52)에서 분출공기유로(R2) 내에 공기를 양호하게 주입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역화의 억제를 확실하고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메인노즐(25)은 여러 조의 공기주입구(52) 및 유로 구멍(50)을 갖고, 이들이 합류부(54)에서 합류하도록 했다. 이것에 의해 여러 개의 공기주입구(52)에서 주입된 공기가 유로 구멍(50)에 형성된 분출공기유로(R2)를 통하여 합류부(54)에서 합류한다. 그 후, 합류한 이 공기가 공기분사구(51)에서 분사된다. 따라서 공기분사구(51)로부터의 공기분사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유로형성부가 동심원 상의 여러 개의 유로 구멍(50)을 형성하므로, 유로 단면적을 용이하게 크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유로 형성부의 시공성도 향상할 수 있다.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
상기 제1 실시형태에서는, 메인노즐(25)은 유로 구멍(50)을 여러 개 구비하고 있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6은 상기 메인노즐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로 구멍(50B)은 단면형상이 원환상을 이루도록 해도 된다. 이것은 메인노즐(25)을 이중관 구조로 함으로써 실현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여러 개의 유로 구멍(50)을 병설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용이하게 유로 단면적을 크게 하고 충분한 유로 단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공기분사구(51)로부터의 공기분사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이어서 이 발명에 관한 가스터빈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 설명하는 제2 실시형태에서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분에 동일부호를 붙이고 설명함과 동시에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가스터빈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에 따른 가스터빈 시스템(100)은 연소기(10)와, 터빈(3)(도 1 참조)과, 차실 공기 공급관(차실 공기 공급부)(60)과, 제어밸브(61)와, 검출센서(검출부)(62)와, 제어장치(63)를 구비한다.
연소기(10)에 설치된 메인버너(22)의 메인노즐(25B)은 선단부(25s)에 공기분사구(51)를 구비한다. 메인노즐(25B)에는 공기분사구(51)에 일단이 연통하는 유로 구멍(50)이 형성되어 있다.
차실 공기 공급관(60)은 메인노즐(25B)의 유로 구멍(50)의 타단과 접속되어 있다. 차실 공기 공급관(60)은 터빈(3)의 차실 내의 압축공기(A)를 공기분사구(51)에 공급한다. 이것에 의해 메인노즐(25B)의 공기분사구(51)에서 공기가 분사된다.
제어밸브(61)는 차실 공기 공급관(60)에 설치되어 있다. 제어밸브(61)는 개폐조작을 행함으로써 차실 공기 공급관(60)에 따른 차실에서 공기분사구(51)에의 압축공기(A)의 공급을 제어한다.
검출센서(62)는 연소기(10)에 따른 역화의 발생을 검출한다. 이와 같은 검출센서(62)로는 메인버너(22)의 메인노즐(25B)의 근방에 설치된 온도센서, 압력센서, 광도센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검출센서(62)는 메인노즐(25B)의 근방에 따른 온도, 압력, 광도 등을 검출하고, 그 검출데이터를 제어장치(63)로 출력한다.
제어장치(63)는 검출센서(62)의 검출결과에 의거하여 제어밸브(61)를 개폐 제어한다. 제어장치(63)는 검출센서(62)로 검출한 메인노즐(25B)의 근방에 따른 온도, 압력, 광도 등의 파라미터의 변화를 감시하고, 메인노즐(25B)의 근방에서 역화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역화가 발생했다고 판정된 경우에 제어장치(63)는 제어밸브(61)를 열도록 되어 있다.
제어밸브(61)가 개방되면 차실 공기 공급관(60)을 통하여 터빈(3)의 차실 내의 압축공기(A)가 공기분사구(51)에 공급한다. 이것에 의해 메인노즐(25B)의 공기분사구(51)에서 공기가 분사되고, 메인노즐(25)의 선단부(25s)에의 역화의 역상 및 역화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메인노즐(25)의 소손을 피할 수 있다.
제어장치(63)는 가스터빈(1)의 운전상태가 사전에 정해진 상태가 되었을 때에 제어밸브(61)를 열고, 메인노즐(25B)의 공기분사구(51)에서 공기를 분사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은 가스터빈 시스템(100)에 의하면 제어장치(63)에 따른 제어에 의해 역화가 발생한 경우나 역화가 발생하기 쉬운 상태인 경우 등에 공기분사구(51)에서 압축공기(A)를 분사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메인노즐(25)의 선단부(25s)에의 역화의 역상 및 역화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어를 실시함으로써 불필요 시에 공기분사구(51)에서의 공기의 분사를 정지시킬 수 있다.
(기타 변형예)
상기 실시형태에서 메인스윌러(27)를 압력손실부로 하였으나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공기 유로를 흐르는 공기에 압력손실을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하다면 어떠한 구성이어도 된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노즐, 버너, 연소기, 가스터빈, 가스터빈 시스템에 적용 가능하고, 노즐 선단부에의 역화를 확실하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1 가스터빈
2 압축기
3 터빈(터빈 본체)
3a 로터
10 연소기
11 연소기 본체
12 내통
13 외통
13a 일단 측
21 파일럿버너
21a 선단부
22 메인버너(버너)
24 파일럿콘
24c 테이퍼콘부
25, 25B 메인노즐(노즐)
25s 선단부
26 콘부재(통상부재)
27 메인스윌러(압력손실부)
30 꼬리통
50, 50B 유로 구멍(유로형성부)
51 공기분사구(공기분사부)
52 공기주입구(공기주입부)
54 합류부
60 차실 공기 공급관(차실 공기 공급부)
61 제어밸브
62 검출센서(검출부)
63 제어장치
100 가스터빈 시스템
A 압축공기
B 연소가스
F 예혼합기
O 중심축
R1 주 유로
R2 분출공기유로

Claims (8)

  1. 연료를 분사하는 연소기의 노즐로서,
    선단부를 향하여 그 외경이 점차 축소하는 원추상을 이루고,
    상기 원추상의 선단에서 공기를 분사시키는 공기 분사부를 구비하는, 노즐.
  2. 제1항에 기재된 노즐을 선단부에 구비하여 연료를 분사하는 연료 노즐을 갖는, 버너.
  3. 제2항에 기재된 버너를 구비하는 연소기로서,
    상기 노즐을 외주 측에서 덮음과 동시에 상기 노즐 사이에 공기 유로를 형성하는 통상부재와,
    상기 공기 유로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 유로를 흐르는 공기에 압력 손실을 발생시키는 압력 손실부를 구비하고,
    상기 노즐은
    상기 압력 손실부보다도 상류측의 외주면에서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 주입부와,
    상기 공기 주입부에서 주입된 공기를 상기 공기 분사부까지 인도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유로 형성부를 구비하는, 연소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주입부는 상기 노즐의 외주면에 여러 개 설치되고,
    상기 유로 형성부는 여러 개의 상기 공기 주입부에서 주입된 공기를 상기 공기 분사부의 상류측에서 합류시키는 합류부를 구비하는, 연소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형성부는 단면 원환상의 유로를 형성하는, 연소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형성부는 동심원 상에 배치되는 여러 개의 유로를 형성하는, 연소기.
  7.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연소기와,
    상기 연소기에서 보내진 연소가스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를 구비한 터빈 본체를 구비하는, 가스터빈.
  8. 제1항에 기재된 노즐을 구비하는 연소기와,
    상기 연소기에서 보내진 연소가스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를 구비한 터빈 본체와,
    상기 터빈 본체의 차실 내의 공기를 상기 공기 분사부에 공급하는 차실 공기 공급부와,
    상기 차실 공기 공급부에 따른 상기 차실에서 상기 공기 분사부에의 상기 공기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밸브와,
    상기 연소기에 따른 역화의 발생을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의 검출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제어밸브를 개폐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가스터빈 시스템.
KR1020167022134A 2014-03-20 2015-03-12 연소기, 가스터빈, 가스터빈 시스템 Active KR1019747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59127 2014-03-20
JP2014059127A JP6191918B2 (ja) 2014-03-20 2014-03-20 ノズル、バーナ、燃焼器、ガスタービン、ガスタービンシステム
PCT/JP2015/057378 WO2015141561A1 (ja) 2014-03-20 2015-03-12 ノズル、バーナ、燃焼器、ガスタービン、ガスタービン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8496A true KR20160108496A (ko) 2016-09-19
KR101974705B1 KR101974705B1 (ko) 2019-05-02

Family

ID=54144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2134A Active KR101974705B1 (ko) 2014-03-20 2015-03-12 연소기, 가스터빈, 가스터빈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242993B2 (ko)
JP (1) JP6191918B2 (ko)
KR (1) KR101974705B1 (ko)
CN (1) CN105980777B (ko)
DE (1) DE112015001352B4 (ko)
WO (1) WO2015141561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2329A (ko) 2016-11-30 2018-06-08 주식회사 컴버스텍 고온 가압 환경용 버너
KR101880673B1 (ko) * 2017-07-10 2018-07-23 주식회사 이앤이 브라운가스를 이용한 가스터빈 동력상승 방법 및 시스템
KR20190061986A (ko) 2017-11-28 2019-06-05 주식회사 컴버스텍 액체연료 미립화의 최적화 구조를 가지는 대용량 산소버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11341B2 (ja) * 2016-03-30 2019-11-2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燃焼器、及びガスタービン
JP6839571B2 (ja) 2017-03-13 2021-03-10 三菱パワー株式会社 燃焼器用ノズル、燃焼器、及びガスタービン
KR102028031B1 (ko) 2017-10-11 2019-10-02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연소기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 터빈
KR20190040666A (ko) 2017-10-11 2019-04-19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연소기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 터빈
JP6895867B2 (ja) * 2017-10-27 2021-06-30 三菱パワー株式会社 ガスタービン燃焼器、ガスタービン
KR102066042B1 (ko) 2017-10-31 2020-01-14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연소기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 터빈
KR102046457B1 (ko) 2017-11-09 2019-11-19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연소기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 터빈
JP6945468B2 (ja) * 2018-02-06 2021-10-06 三菱パワー株式会社 ガスタービン燃焼器、ガスタービン及びガスタービン燃焼器の制御方法
JP2021055971A (ja) * 2019-10-01 2021-04-08 三菱パワー株式会社 ガスタービン燃焼器
JP7379265B2 (ja) * 2020-04-22 2023-11-14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バーナー集合体、ガスタービン燃焼器及びガスタービン
KR102710357B1 (ko) * 2022-05-03 2024-09-27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역화방지를 위한 화염속도 조절 연소기 및 그 제어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28630A (ja) * 1986-03-20 1987-10-07 ソシエテ・ナシオナル・デテユ−ド・エ・ドウ・コンストリユクシオン・ドウ・モト−ル・ダヴイアシオン、“エス.エヌ.ウ.セ.エム.ア−.” ガスタービンの燃焼室内に燃料及び空気を噴射する装置
JPH08261466A (ja) 1995-12-18 1996-10-11 Hitachi Ltd ガスタービン燃焼器
JP2000046333A (ja) 1998-07-31 2000-02-18 Hitachi Ltd ガスタービン燃焼器
JP3139978B2 (ja) 1989-03-20 2001-03-0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ガスタービン燃焼器
JP2011017334A (ja) 2009-07-08 2011-01-27 General Electric Co <Ge> タービン燃焼器燃料ノズル内の保炎及び逆火のアクティブ制御
JP2012088036A (ja) * 2010-10-21 2012-05-10 General Electric Co <Ge> 燃焼器のための燃料ノズル
US20120180490A1 (en) * 2011-01-14 2012-07-19 Mitsubishi Heavy Industries, Ltd. Fuel nozzle, gas turbine combustor with the same, and gas turbine with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70549A (en) * 1984-05-17 1986-02-18 Trozzi Norman K Splitter for use with a coal-fired furnace utilizing a low load burner
JP2698464B2 (ja) * 1990-02-15 1998-01-19 財団法人電力中央研究所 微粉炭バーナ
US5199265A (en) * 1991-04-03 1993-04-06 General Electric Company Two stage (premixed/diffusion) gas only secondary fuel nozzle
JPH0771715A (ja) * 1993-09-02 1995-03-17 Miura Co Ltd 低NOx燃焼装置
JP3192041B2 (ja) * 1993-10-26 2001-07-2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ガスタービンの燃焼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H08200623A (ja) * 1995-01-31 1996-08-06 Idemitsu Kosan Co Ltd バーナ
JP3717132B2 (ja) * 1997-02-05 2005-11-16 東京ガス・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都市ガスガバナステーションにおける温水バス式ガスヒーター用ガスバーナー
US6122916A (en) * 1998-01-02 2000-09-26 Siemens Westinghouse Power Corporation Pilot cones for dry low-NOx combustors
ITMI991204A1 (it) * 1999-05-31 2000-12-01 Nuovo Pignone Spa Iniettore di combustibile liquido per bruciatori in turbine a gas
US6530222B2 (en) * 2001-07-13 2003-03-11 Pratt & Whitney Canada Corp. Swirled diffusion dump combustor
US6609362B2 (en) * 2001-07-13 2003-08-26 Pratt & Whitney Canada Corp. Apparatus for adjusting combustor cycle
JP2003042453A (ja) * 2001-07-26 2003-02-13 Mitsubishi Heavy Ind Ltd ガスタービンの予混合ノズルまたは予混合燃焼器
JP4007124B2 (ja) * 2002-08-28 2007-11-14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ガスタービン用燃焼器
US6698207B1 (en) * 2002-09-11 2004-03-02 Siemens Westinghouse Power Corporation Flame-holding, single-mode nozzle assembly with tip cooling
JP3960222B2 (ja) * 2002-12-27 2007-08-1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ガスタービン燃焼器及びガスタービン燃焼器用燃料噴射ノズルとガスタービン燃焼器の燃料噴射方法
JP2004278875A (ja) * 2003-03-14 2004-10-07 Hitachi Ltd ガスタービン燃焼器と燃料ノズル及びガスタービン燃焼器の燃料噴射方法
JP4939179B2 (ja) * 2006-11-17 2012-05-23 財団法人電力中央研究所 ガスタービン燃焼器並びにその運転方法
US20080163627A1 (en) * 2007-01-10 2008-07-10 Ahmed Mostafa Elkady Fuel-flexible triple-counter-rotating swirler and method of use
JP3139978U (ja) 2007-08-30 2008-03-13 株式会社サイボックステクノロジー 照明付き広告パネル
US8393157B2 (en) * 2008-01-18 2013-03-12 General Electric Company Swozzle design for gas turbine combustor
EP2196734A1 (de) * 2008-12-12 2010-06-16 Siemens Aktiengesellschaft Brennstofflanze für einen Brenner
US8701383B2 (en) * 2009-01-07 2014-04-22 General Electric Company Late lean injection system configuration
US20100192582A1 (en) * 2009-02-04 2010-08-05 Robert Bland Combustor nozzle
US9557050B2 (en) 2010-07-30 2017-01-31 General Electric Company Fuel nozzle and assembly and gas turbine comprising the same
US20120048971A1 (en) * 2010-08-30 2012-03-01 General Electric Company Multipurpose gas turbine combustor secondary fuel nozzle flange
US8904796B2 (en) * 2011-10-19 2014-12-09 General Electric Company Flashback resistant tubes for late lean injector and method for forming the tubes
WO2013096646A1 (en) * 2011-12-20 2013-06-27 Eclips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 DUAL MODE BURNER YIELDING LOW NOx EMISSION
US20130219899A1 (en) * 2012-02-27 2013-08-29 General Electric Company Annular premixed pilot in fuel nozzle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28630A (ja) * 1986-03-20 1987-10-07 ソシエテ・ナシオナル・デテユ−ド・エ・ドウ・コンストリユクシオン・ドウ・モト−ル・ダヴイアシオン、“エス.エヌ.ウ.セ.エム.ア−.” ガスタービンの燃焼室内に燃料及び空気を噴射する装置
JP3139978B2 (ja) 1989-03-20 2001-03-0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ガスタービン燃焼器
JPH08261466A (ja) 1995-12-18 1996-10-11 Hitachi Ltd ガスタービン燃焼器
JP2000046333A (ja) 1998-07-31 2000-02-18 Hitachi Ltd ガスタービン燃焼器
JP2011017334A (ja) 2009-07-08 2011-01-27 General Electric Co <Ge> タービン燃焼器燃料ノズル内の保炎及び逆火のアクティブ制御
JP2012088036A (ja) * 2010-10-21 2012-05-10 General Electric Co <Ge> 燃焼器のための燃料ノズル
US20120180490A1 (en) * 2011-01-14 2012-07-19 Mitsubishi Heavy Industries, Ltd. Fuel nozzle, gas turbine combustor with the same, and gas turbine with the sam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2329A (ko) 2016-11-30 2018-06-08 주식회사 컴버스텍 고온 가압 환경용 버너
KR101880673B1 (ko) * 2017-07-10 2018-07-23 주식회사 이앤이 브라운가스를 이용한 가스터빈 동력상승 방법 및 시스템
KR20190061986A (ko) 2017-11-28 2019-06-05 주식회사 컴버스텍 액체연료 미립화의 최적화 구조를 가지는 대용량 산소버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191918B2 (ja) 2017-09-06
JP2015183892A (ja) 2015-10-22
US20170130962A1 (en) 2017-05-11
CN105980777B (zh) 2020-03-17
DE112015001352B4 (de) 2020-09-03
KR101974705B1 (ko) 2019-05-02
DE112015001352T5 (de) 2016-12-29
CN105980777A (zh) 2016-09-28
US11242993B2 (en) 2022-02-08
WO2015141561A1 (ja) 2015-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4705B1 (ko) 연소기, 가스터빈, 가스터빈 시스템
EP2481986B1 (en) Gas turbine combustor
JP6186132B2 (ja) 燃料ノズルの環状予混合パイロット
JP6557463B2 (ja) 予混合パイロットノズルを備える燃料噴射器
KR101792453B1 (ko) 가스 터빈 연소기, 가스 터빈,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US8677760B2 (en) Fuel nozzle with integrated passages and method of operation
EP2815184B1 (en) Burner
US8893500B2 (en) Lean direct fuel injector
US20110005189A1 (en) Active Control of Flame Holding and Flashback in Turbine Combustor Fuel Nozzle
US11203985B2 (en) Combustor and gas turbine
US8522553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ditioning a working fluid in a combustor
CN108885003B (zh) 燃气轮机燃烧器
JP5372814B2 (ja) ガスタービン燃焼器、及び運転方法
JP5906137B2 (ja) ガスタービン燃焼器
JP5991025B2 (ja) バーナ及びガスタービン燃焼器
JP6228818B2 (ja) ガス焚きバーナ
US20120085834A1 (en) Flame Tolerant Primary Nozzle Design
JP5716313B2 (ja) バーナ
US20130152594A1 (en) Gas turbine and fuel injector for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812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3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6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8121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8060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031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121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80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51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30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9021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121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080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51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4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4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