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4051A - 파워 배터리 모듈 - Google Patents
파워 배터리 모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104051A KR20160104051A KR1020167020839A KR20167020839A KR20160104051A KR 20160104051 A KR20160104051 A KR 20160104051A KR 1020167020839 A KR1020167020839 A KR 1020167020839A KR 20167020839 A KR20167020839 A KR 20167020839A KR 20160104051 A KR20160104051 A KR 2016010405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wer connection
- disposed
- substrate
- plate
- lin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 H01M2/1077—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0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 H01M2/206—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4—Secondary casings; Racks; Suspension devices;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method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6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fastening means, e.g. lock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71—Lids or covers for the racks or secondary casing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8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spacing elements or positioning means within frames, racks or packs
- H01M50/293—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spacing elements or positioning means within frames, racks or pack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 Y02E60/12—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파워 배터리 모듈(1000)이 제공된다. 파워 배터리 모듈(1000)은 복수의 세퍼레이터들(10)을 구비한 배터리 수용 조립체(100); 배터리 그룹; 세퍼레이터(10) 상에 장착된 신호 수집 및 파워 연결 조립체(400)를 포함하고, 세퍼레이터(10)는 세퍼레이터 몸체(11); 좌측 커버(12); 우측 커버(13)를 포함하되, 여기서 인접한 세퍼레이터들(10)이 서로 분리가능하게 연결되고, 신호 수집 및 파워 연결 조립체는: 서브스트레이트(401); 서브스트레이트(401)에 고정된 파워 연결 부재(407); 서브스트레이트(401) 상에 배치되고 파워 연결 부재(407)에 연결된 제1 끝단을 형성하는 파워 연결 라인(4071); 서브스트레이트(401) 상에 배치되고 파워 연결 부재(407)에 연결된 제1 끝단을 형성하는 신호 수집 라인(4021); 및 서브스트레이트(401) 상에 배치되고 신호 수집 라인과 연결된 신호 수집 부재(402)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출원은 2013년 12월 31일 국가지식산권국에 제출된 중국 특허 출원 제201310753892.8호의 우선권과 이익을 주장하며, 그 내용 전체가 참조로서 여기에 통합되어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일반적으로 배터리 분야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파워 배터리 모듈에 관한 것이다.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대부분의 파워 배터리 모듈들은 다판 구조물 또는 상하 하우징 구조물을 구비한 배터리 수용 조립체를 채택하고 있다. 이런 구조물들이 배터리를 잘 보호할 수는 있지만, 다판 구조물 및 상하 하우징 구조물의 제한으로 인해 배터리들의 조합 모드가 자유롭게 확장되고 발전될 수가 없다. 배터리들의 조합 모드가 변경될 필요가 있을 때, 배터리들을 조합하는 새로운 방식을 다시 디자인하고 다시 개발할 필요가 있는데 이는 많은 시간을 소모하며 비용을 크게 증가시킬 것이다. 또한, 다판 및 상하 하우징 구조물들을 구비한 배터리 수용 조립체는 파워 배터리 모듈의 자동화된 제조에 적합하지 않으며 따라서 파워 배터리 모듈의 비용을 증가시킨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관련된 기술분야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문제를 적어도 일정 정도로 해결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개시의 목적은 많은 배터리들을 자유롭게 확장할 수 있고, 실제 요구사항에 따라 배터리들의 다양한 연결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는 파워 배터리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개시의 폭넓은 측면의 실시예들은 복수의 세퍼레이터들을 구비한 배터리 수용 조립체, 배터리 그룹, 신호 수집 및 파워 연결 조립체를 포함하는 파워 배터리 모듈을 제공한다. 세퍼레이터는: 전방 수용 그루브를 형성하는 전방 부분과 후방 부분을 구비한 세퍼레이터 몸체와; 세퍼레이터 몸체의 좌측 끝단에 배치된 좌측 커버와; 세퍼레이터 몸체의 우측 끝단에 배치된 우측 커버를 포함하며, 여기서 인접한 세퍼레이터들이 서로 분리가능하게 연결되고, 인접한 세퍼레이터들 중 하나의 전방 수용 그루브와 인접한 세퍼레이터들 중 다른 하나의 세퍼레이터 몸체의 후방 부분이 배터리 챔버를 형성한다. 배터리 그룹은 배터리 챔버들에 대응하여 수용된 복수의 배터리들을 포함하고, 배터리는 전극 터미널을 구비한다. 세퍼레이터에 장착된 신호 수집 및 파워 연결 조립체는: 서브스트레이트와; 서브스트레이트네 고정되고 전극 터미널에 연결된 파워 연결 부재와; 서브스트레이트 상에 배치된 제1 시트상 전도성 요소에 의해 형성되고 파워 연결 부재에 연결된 제1 끝단과 제2 끝단이 형성된 파워 연결 라인과; 서브스트레이트 상에 배치된 제2 시트상 전도성 요소에 의해 형성되고 파워 연결 부재와 연결된 제1 끝단과 제2 끝단이 형성된 신호 수집 라인과; 서브스트레이트 상에 배치되고 신호 수집 라인에 연결된 신호 수집 부재를 포함한다.
배터리를 수용하기 위한 리 챔버를 형성하는 인접한 세퍼레이터들과 서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 복수의 세퍼레이터들을 가짐으로써,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파워 배터리는 실제 상황의 요구에 따라 배터리의 수를 자유롭게 확장할 수 있고 배터리들의 다양한 연결 방식(직렬 연결, 병렬 연결, 직병렬 연결과 같은)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세퍼레이터와 세퍼레이터 안의 배터리를 보호하도록 좌측 및 우측 커버들이 각각의 세퍼레이터의 끝단들에 배치되어 있다. 한편, 파워 연결 라인과 신호 수집 라인이 서브스트레이트 상의 시트상 도전성 요소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므로, 신호 전송 및 파워 연결을 수행하기 위해 와이어를 사용하는 것을 회피한다. 신호 수집 및 파워 연결 조립체는 제조하기에 용이하며 다양한 상황에 널리 사용될 수 있어서, 배터리의 사용 중 새로운 종류의 신호가 수집될 필요가 있을 때 신호 수집 및 파워 연결 조립체 전체를 조정하지 않고 대응하는 신호 수집 부재를 추가하는 것이 편리하며, 따라서 뛰어난 편의성과 신뢰성이 제공된다.
이에 더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신호 수집 및 파워 연결 조립체는 파워 연결 라인, 신호 수집 라인, 파워 연결 부재 및 신호 연결 부재를 서브스트레이트 상에 통합하고 있다. 따라서 신호 수집 및 파워 연결 조립체는 작은 크기, 경량, 저비용을 가지며, 제조 및 조립에 용이하고 조립 효율을 증대시키며 자동화된 제조에 적용된다. 신호 수집 및 파워 연결 조립체는 신호 수집 및 파워 연결 조립체가 편리하도록 신호 및 파워 전송의 기능을 통합하고 있다. 게다가, 신호 수집 및 파워 연결 조립체는 단순한 구조와 다양한 구속 방식을 가지며, 따라서 폭넓은 적용범위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파워 배터리 모듈을 가짐으로써, 배터리들 사이에서 파워 연결을 위해 추가적인 파워 연결 부재들을 제공하는 작업이 생략될 수 있다. 파워 배터리 모듈의 조립에 있어서, 배터리들을 배열한 후, 신호 수집 및 파워 연결 조립체가 파워 배터리 모듈 상에 배치되고, 배터리들의 배터리 터미널들이 신호 수집 및 파워 연결 부재의 파워 연결 부재와 연결된다. 게다가, 종래의 파워 연결 부재와 비교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신호 수집 및 파워 연결 조립체가 상대적으로 유연하므로, 종래의 파워 연결 부재의 제조 과정에서 배치될 필요가 있는 완충 구조물이 여기서는 필요하지 않으며, 따라서 제조를 용이하게 하고 비용을 절감한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파워 배터리 모듈의 파워 연결부 및 신호 수집부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서 파워 배터리 모듈의 조립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의 다른 측면이나 장점들은 이어지는 설명에서 어느 정도 주어지거나, 이어지는 설명으로부터 어느 정도 명백해지거나, 본 개시의 실시예들의 실시로부터 알게 될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의 이와 같은, 또는 다른 측면들 및 장점들이 첨부의 도면들을 참조로 한 이어지는 설명들로부터 명확해지고 더욱 쉽게 인지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된 파워 배터리 모듈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파워 배터리 모듈의 다른 방향에서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배터리와 배터리 수용 조립체 사이의 조립 관계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파워 배터리 모듈의 세퍼레이터들 사이의 조립 관계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5는 도 4의 영역 A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파워 배터리 모듈의 세퍼레이터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워 배터리 모듈의 개략도이다.
도 8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은 파워 배터리 모듈에서 좌측 커버 및 우측 커버가 없는 상태의 개략도이다.
도 9는 배터리 수용 조립체와 본 개시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사이의 조립 관계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나타낸 영역 B의 확대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은 파워 배터리 모듈에서 세퍼레이터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9에 나타낸 배터리 수용 조립체의 세퍼레이터와 절연 플레이트 또는 열전도 플레이트 사이의 조립 관계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3은 도 9에 나타낸 파워 배터리 모듈의 스냅핏 핀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나타낸 영역 C의 확대도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파워 배터리 모듈의 신호 수집 및 파워 연결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부분 확대 개략도이다.
도 1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파워 배터리 모듈의 한 배터리의 개략도이다.
도 18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파워 배터리 모듈의 개략도이다.
도 19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파워 배터리 모듈의 신호 수집 및 파워 연결 조립체의 개략도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된 파워 배터리 모듈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파워 배터리 모듈의 다른 방향에서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배터리와 배터리 수용 조립체 사이의 조립 관계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파워 배터리 모듈의 세퍼레이터들 사이의 조립 관계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5는 도 4의 영역 A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파워 배터리 모듈의 세퍼레이터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워 배터리 모듈의 개략도이다.
도 8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은 파워 배터리 모듈에서 좌측 커버 및 우측 커버가 없는 상태의 개략도이다.
도 9는 배터리 수용 조립체와 본 개시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사이의 조립 관계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나타낸 영역 B의 확대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은 파워 배터리 모듈에서 세퍼레이터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9에 나타낸 배터리 수용 조립체의 세퍼레이터와 절연 플레이트 또는 열전도 플레이트 사이의 조립 관계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3은 도 9에 나타낸 파워 배터리 모듈의 스냅핏 핀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나타낸 영역 C의 확대도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파워 배터리 모듈의 신호 수집 및 파워 연결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부분 확대 개략도이다.
도 1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파워 배터리 모듈의 한 배터리의 개략도이다.
도 18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파워 배터리 모듈의 개략도이다.
도 19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파워 배터리 모듈의 신호 수집 및 파워 연결 조립체의 개략도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참조가 이루어질 것이다. 동일하거나 유사한 요소들 및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가진 요소들은 발명의 설명에 걸쳐 유사한 참조번호로 표시된다. 도면들을 참조하여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예시적이고 예증적이며 본 개시를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데에 이용된다. 실시예들이 본 개시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발명의 설명 중에서, 달리 특정되거나 한정되지 않는다면, '가운데의', '길이방향의', '측방향의', '전방의', '후방의', '우측의', '좌측의', '내측의', '외측의', '하측의', '상측의', '수평의', '수직의', '위의', '아래의', '상방의', '정상의', '바닥의', '내측의', '외측의', '시계방향의', '반시계방향의' 및 이들의 파생어(예컨대, '수평적으로', '하방으로', '상방으로' 등)과 같은 상대적인 용어들은 설명 중인 도면들에서 그 시점에 묘사되거나 나타내어진 방향을 가리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런 상대적인 용어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며 본 개시가 특정한 방향으로 구축되거나 작동될 것을 요구하지 않는다.
또한, '제1', '제2'와 같은 용어들은 여기서 설명의 목적으로 사용되었으며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함축성을 가리키거나 암시하려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제1', '제2'에 의해 한정된 특징들은 그 특징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가리키거나 암시하기 위한 것이며, '복수의'는 둘 또는 그 이상과 관련이 있다.
발명의 개시의 설명에서, 달리 특정되거나 제한되지 않는다면, '장착된', '연결된', '결합된', '고정된'의 용어들은 영구적인 연결 또는 분리가능한 연결, 전자적 연결 또는 기계적 연결, 직접 연결 또는 매개체를 통한 간접 연결, 내부 통신 또는 두 요소들 사이의 상호 작용과 같이 넓게 이해될 수 있다. 해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정한 상황에 따라 본 개시에서 특정한 의미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설명에서, 제1 특징이 제2 특징 '상에'있는 구조는 제1 특징이 제2 특징과 직접 접촉하는 실시예를 포함하며, 달리 특정되지 않는 한 제1 특징과 제2 특징 사이에 다른 특징이 형성됨으로써 제1 특징이 제2 특징과 직접 접촉하지 않는 실시예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제2 특징 '위에', '상방에' 또는 '정상에'있는 제1 특징은 제1 특징이 제2 특징 바로 '위에', '상방에', 또는 '정상에'있는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특징이 제2 특징 바로 '위에', '상방에', 또는 '정상에'있지 않거나, 단순히 제1 특징이 제2 특징의 고도보다 더 큰 고도값을 가진다는 것을 의미하는 실시예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2 특징 '아래에', '하방에' 또는 '바닥에'있는 제1 특징은 제1 특징이 제2 특징의 바로 '아래에, '하방에' 또는 바닥에 있는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특징이 제2 특징의 바로 '아래에, '하방에' 또는 바닥에 있지 않거나, 단순히 제1 특징이 제2 특징의 고도보다 더 작은 고도값을 가진다는 것을 의미하는 실시예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파워 배터리 모듈(1000)이 도 1 내지 도 19를 참조로 이하에서 설명된다. 파워 배터리 모듈(1000)은 그 성능 및 안전성이 전기 차량에 전체에 대해 중요한 요소일 정도로 전기 차량의 파워 공급원으로서 기능한다.
도 1 내지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파워 배터리 모듈(1000)은: 배터리 수용 조립체(100), 배터리 그룹, 신호 수집 및 파워 연결 조립체(400)를 포함한다.
배터리 수용 조립체(100)는 복수의 세퍼레이터(separator, 10)를 구비하며, 세퍼레이터(100) 각각은 세퍼레이터 몸체(11), 좌측 커버(12) 및 우측 커버(13)를 포함한다. 세퍼레이터 몸체(11)는 서로 마주보고 있는 전방 부분과 후방 부분을 형성하며, 전방 수용 그루브(groove, 14)가 세퍼레이터 몸체(11)의 전방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특히 전방 수용 그루브는 세퍼레이터 몸체(11)의 전방 부분으로부터 뒤로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서, 복수의 세퍼레이터들이 후방-전방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좌측 커버(12)는 세퍼레이터 몸체(11)의 좌측 끝단에 배치되어 있고, 우측 커버(13)는 세퍼레이터 몸체(11)의 우측 끝단에 배치되어 있다. 인접한 세퍼레이터들(10)은 서로 분리가능하게 연결되어있고, 인접한 세퍼레이터(10) 중 하나의 전방 수용 그루브(14)와 인접한 세퍼레이터(10) 중 다른 하나의 세퍼레이터 몸체(10)의 후방 부분이 배터리 챔버(chamber)를 형성한다.
배터리 그룹은 대응하는 배터리 챔버에 수용된 복수의 배터리들(101)을 포함한다. 즉, 하나의 배터리(101)가 하나의 배터리 챔버에 수용되며, 각각의 배터리들(101)은 전극 터미널(411)을 구비한다.
신호 수집 및 파워 연결 조립체(400)는 세퍼레이터(10) 상에 장착되어 있고, 서브스트레이트(401), 파워 연결 부재(407), 파워 연결 라인(4071), 신호 수집 라인(4021) 및 신호 수집 부재(402)를 포함한다.
특히, 파워 연결 부재(407)은 서브스트레이트(401)에 고정되어 있으며 전극 터미널(411)에 연결된다. 파워 연결 라인(4071)은 서브스트레이트(401) 상에 배치된 제1 시트상(sheet-like) 도전성 요소에 의해 형성되고 파워 연결 부재(407)에 연결된 제1 끝단와 제2 끝단이 형성된다. 신호 수집 라인(4021)은 서브스트레이트(401) 상에 배치된 제2 시트상 도전성 요소에 의해 형성되고 파워 연결 부재(407)에 연결된 제1 끝단이 형성된다. 신호 수집 부재(402)는 서브스트레이트(401) 상에 배치되고 신호 수집 라인(4021)의 제2 끝단에 연결된다.
인접한 세퍼레이터들(10)이 서로 분리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므로, 실제 상황의 요구에 따라 어떤 개수의 세퍼레이터들(10)이라도 서로 연결될 수 있어서, 임의의 수의 배터리들(101)이 다양한 파라미터를 가지는 파워 배터리 모듈(1000)의 요구를 충족시키도록 적용될 수 있다. 즉, 파워 배터리 모듈(1000)의 배터리(101)를 수용하는 능력은 실제상황의 요구에 따라 자유롭게 확장되고 발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워 수용 조립체(100)는 세퍼레이터(10)의 수를 늘이는 것에 의해 향상될 수 있다. 바꾸어 말해, 세퍼레이터(10)의 수를 증가시키는 것에 의해 파워 배터리 모듈(1000)의 배터리 챔버의 수 또한 늘일 수 있어서, 파워 배터리 모듈(1000)에 추가적인 배터리들(101)을 위한 더 많은 수용 공간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 챔버를 형성하며 배터리(101)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서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 인접한 세퍼레이터들(10)과 함께,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파워 배터리 모듈(1000)은 실제 상황의 요구에 따라 자유롭게 배터리들(101)의 수를 확장할 수 있으며 배터리들의 다양한 연결 방식(배터리들(101)의 직렬 연결, 병렬 연결, 직병렬 연결과 같은)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세퍼레이터들(10)과 세퍼레이터들(10) 안쪽의 배터리(10)를 보호하기 위해 좌측 커버(12)와 우측 커버(12)가 세퍼레이터(10)의 끝단에 상응하게 배치되어 있다. 한편, 파워 연결 라인(4071)과 신호 수집 라인(4021)이 서브스트레이트(401) 상에서 시트상 도전성 요소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므로, 신호 전송 및 파워 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와이어의 사용을 회피한다. 신호 수집 및 파워 연결 조립체(400)는 손쉽게 만들어지며 다양한 조건으로 폭넓게 사용될 수 있어서, 배터리의 사용 과정에서 새로운 종류의 신호가 수집되도록 요구될 때 신호 수집 및 파워 연결 조립체(400)를 전체적으로 조정하지 않고 신호 수집 부재를 추가하는 것이 편리하며, 따라서 뛰어난 편리성과 신뢰성을 제공한다.
게다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수집 및 파워 연결 조립체(400)는 파워 공급 라인(4071), 신호 수집 라인(4021), 파워 연결 부재(407) 및 신호 수집 부재(402)를 서브스트레이트(401) 상에 통합하고 있다. 따라서 신호 수집 및 파워 연결 조립체(400)는 작은 크기, 가벼운 무게 및 저비용을 가지고, 제조 및 조립하기 쉬우며, 조립 효율을 증대시키고, 자동화 제조에 적합하다. 신호 수집 및 파워 연결 조립체(400)은 신호 및 전력 전달의 기능들을 통합하여 신호 수집 및 파워 연결 조립체(400)의 작동이 편리하다. 이에 더하여, 신호 수집 및 파워 연결 조립체(400)는 단순한 구조와 다양한 구속 부재를 구비하여 폭넓은 적응성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파워 배터리 모듈(1000)에서, 배터리들(101) 사이에서 파워 연결을 위해 추가적인 파워 연결 부재를 제공하는 작업은 생략될 수 있다. 파워 배터리 모듈의 조립 공정에서, 배터리들(101)을 배열한 후, 신호 수집 및 파워 연결 조립체(400)가 파워 배터리 모듈 상에 배치되며, 배터리들(101)의 배터리 터미널(411)은 신호 수집 및 파워 연결 조립체(400)의 파워 연결 부재(407)와 연결된다. 게다가, 종래의 파워 연결 부재와 비교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신호 수집 및 파워 연결 조립체(400)는 상대적으로 유연하여서, 종래의 파워 연결 부재를 제조하는 공정에서 배치될 필요가 있는 버퍼링 구조물이 본 개시의 신호 수집 및 파워 연결 조립체(400)에서는 필요하지 않고, 따라서 제조를 용이하게 하고 비용을 절감한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파워 배터리 모듈(1000)에서 파워 연결부 및 신호 수집부가 통합적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파워 배터리 모듈의 조립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서, 관통구멍이 배터리 챔버의 좌측 및 우측 벽체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관통구멍은 배터리 챔버를 관통하여 지나가는 전극을 위한 출구로서 기능하며, 배터리(100)의 양극 및 음극이 배터리들(101) 사이의 연결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관통구멍을 통해 연장될 수 있다. 또는, 관통구멍은 폭발 방지 밸브의 배치 구멍(621) 또는 주입 구멍(폭발 방지액이 주입 구멍을 통해 배터리 챔버로 주입될 수 있다)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즉, 관통구멍의 기능은 파워 배터리 모듈(1000)의 기능 확장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실제 상황의 요구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를 대체하여, 서로 마주보는 2개의 노치(notch)가 인접하는 세퍼레이터들(10)에 각각 형성되고, 이 2개의 노치들이 관통구멍을 형성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관통구멍의 단면은 원형, 타원형, 다각형 또는 불규칙적 형상일 수 있다.
이를 대체하여, 복수의 관통구멍들이 배열되되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다. 즉, 복수의 노치들이 하나의 세퍼레이터(10)에 형성되어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특히, 전방 수용 그루브(14)는 세퍼레이터 몸체(11)의 전방 부분으로부터 뒤쪽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전방 노치(141)가 전방 수용 그루브(14)의 좌측 및 우측 벽체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고, 인접한 세퍼레이터(10) 중 어느 하나의 전방 수용 그루브(14)와 인접한 세퍼레이터(10) 중 다른 하나의 세퍼레이터 몸체(11)의 후방 부분이 배터리 챔버를 형성하고, 인접한 세퍼레이터들(10) 중 어느 하나의 전방 노치(141)와 인접한 세퍼레이터들(10) 중 다른 하나의 세퍼레이터 몸체(11)의 후방 부분이 관통구멍을 형성한다. 바꾸어 말해, 배터리(101)의 수용 그루브는 단순히 각각의 세퍼레이터(10)의 전방 부분에 형성되어 있고, 이 전방 수용 그루브(14)와 인접한 세퍼레이터(10)의 후방 부분이 배터리(101)를 수용하기 위한 배터리 챔버를 형성한다. 이로써 세퍼레이터(10)는 더 단순한 구조를 가지며 제조하기에 용이하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각 세퍼레이터의 후방 부분은 후방 수용 그루브를 형성할 수 있으며, 전방 노치(141)에 상응하는 후방 노치(151)가 후방 수용 그루브의 좌측 및 우측 벽체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배터리 챔버는 인접한 세퍼레이터들(10) 중 어느 하나의 전방 수용 그루브(14)와 인접한 세퍼레이터들(10) 중 다른 하나의 후방 수용 그루브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관통구멍은 인접한 세퍼레이터들(10) 중 어느 하나의 전방 노치(141)와 인접한 세퍼레이터들(10) 중 다른 하나의 후방 노치(151)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챔버 배터리는 전방 수용 그루브(14)와 후방 수용 그루브에 의해 형성되어 배터리(101)를 수용하기 위해 더 넓은 공간을 가지게 된다. 각 세퍼레이터(10)의 전방 및 후방 부분의 구조가 서로 동일해서 세퍼레이터가 대칭적인 구조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이를 대체하여, 전방 노치(141)와 후방 노치(151)가 반원형으로 구성되어서 전방 노치(141)와 후방 노치(151)에 의해 형성되는 관통구멍이 원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서, 복수의 세퍼레이터(10) 각각은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어서, 복수의 세퍼레이터(10)가 동일한 세트의 몰드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따라서 비용이 절감되고 파워 배터리 모듈(1000)의 조립과 대량 생산이 가능해진다.
도 4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퍼레이터(10) 각각은 상하 방향을 따라 배열된 2개의 전방 수용 그루브들(14)과 상하 방향을 따라 전방 수용 그루브들(14)에 대해 일대일 대응관계로 배열된 2개의 후방 수용 그루브들을 포함한다. 2개의 전방 수용 그루브들(14)은 전방 분리 플레이트(1110)에 의해 서로 분리되어 있고, 2개의 후방 수용 그루브들은 후방 분리 플레이트(1101)에 의해 서로 분리되어 있다. 따라서, 2개의 배터리 챔버들이 2개의 배터리들(101)을 수용하기 위해 2개의 세퍼레이터들(10) 사이에 형성되며, 따라서 배터리 수용 조립체(100)의 배터리(101)를 수용하는 용량을 더욱 향상시키며 파워 배터리 모듈(1000)의 구조가 컴팩트해진다. 관련된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2개의 인접한 세퍼레이터들(10) 사이에 형성되고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2개의 배터리 챔버는 단순히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바꾸어 말해, 인접한 세퍼레이터들 사이에 3개 또는 3개 이상과 같이 더 많은 배터리 챔버들이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파워 배터리 모듈(1000)이 사용하기 쉬우며 높은 확장성을 가지도록 더 많은 배터리들(101)이 배터리 수용 조립체(100)에 배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서, 서로 대응하는 전방 분리 플레이트(1110)와 후방 분리 플레이트(1101)는 일체로 형성된다.
도 6, 도 11,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퍼레이터(11)는 수직 플레이트(111), 상부 프레임 플레이트(112), 하부 프레임 플레이트(113), 좌측 플레이트(114) 및 우측 플레이트(115)를 포함한다. 상부 프레임 플레이트(112)는 수직 플레이트(111)의 정상부 에지에 배치되고, 하부 프레임 플레이트는 수직 플레이트(111)의 바닥 에지에 배치되며, 좌측 플레이트(114)는 수직 플레이트(111)의 좌측 끝단에 배치되어서 상부 프레임 플레이트(112)와 연결된 상측 끝단과 하부 프레임 플레이트(113)에 연결된 하측 끝단이 형성되며, 우측 플레이트(115)는 수직 플레이트(111)의 우측 끝단에 배치되어서 상부 프레임 플레이트(112)에 연결된 상측 끝단과 하부 프레임 플레이트(113)에 연결된 하측 끝단이 형성된다.
전방 수용 그루브(14)와 후방 수용 그루브 각각은 수직 플레이트(111), 상부 프레임 플레이트(112), 하부 프레임 플레이트(113), 좌측 플레이트(114), 우측 플레이트(115)에 의해 규정된다. 따라서, 세퍼레이터 몸체(110)는 단순한 구조를 가지며 제조하기에 용이하다.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서, 세퍼레이터(10)는 통합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수직 플레이트(111), 상부 프레임 플레이트(112), 하부 프레임 플레이트(113), 좌측 플레이트(114), 우측 플레이트(115)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어서, 수직 플레이트(111), 상부 프레임 플레이트(112), 하부 프레임 플레이트(113), 좌측 플레이트(114), 우측 플레이트(115) 사이의 연결 강도가 향상되고, 따라서 세퍼레이터(10)의 구조적 강도가 향상된다. 게다가, 배터리(101)에 대한 배터리 수용 조립체(100)의 보호도 향상된다.
이를 대체하여, 전방 노치(141)가 좌측 플레이트(114) 및 우측 플레이트(115) 각각의 전방 에지에 형성될 수 있으며, 후방 노치(141)는 좌측 플레이트(114) 및 우측 플레이트(115) 각각의 후방 에지에 형성될 수 있다. 바꾸어 말해, 관통구멍이 배터리 챔버의 좌측 및 우측 측면 모두에 형성될 수 있어서, 배터리(101)의 전극이 좌측 관통구멍 또는 우측 관통구멍을 통해 배터리 챔버 밖으로 확장될 수 있다. 폭발 방지 밸브의 배치 구멍(621), 주입 구멍 및 전극을 위한 관통구멍의 위치는 배터리(101)의 구조에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전방 노치(141)가 배열되되 상하 방향으로 서로로부터 이격되며, 복수의 후방 노치(151)가 배열되되 상하 방향으로 서로로부터 이격된다. 즉, 복수의 관통구멍들이 배터리 챔버의 좌측 및 우측 측면 모두에 형성된다.
게다가, 파워 배터리 모듈(1000)이 정상적으로 작동할 때, 배터리 챔버의 주변 벽체와 배터리(101) 사이에 간극이 형성될 수 있어서, 배터리(101)가 파워 공급 배터리(1000) 내에서 공기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 파워 배터리 모듈(1000)의 배터리(101)에 비정상적 상황이 발생하면, 예를 들어 배터리(101)가 부풀면, 배터리 챔버의 주변 벽체와 배터리(101) 사이의 간극이 배터리(101)의 변형을 두께 방향으로 수용하며, 따라서 파워 배터리 모듈(1000)의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환형 단차(142)가 전방 수용 그루브(14) 및 후방 수용 그루브 중 적어도 하나의 바닥 벽체에 배치된다.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서, 환형 단차(142)는 전방 수용 그루브(14)와 후방 수용 그루브 각각의 바닥 벽체에 배치된다. 환형 단차(142)를 배치함으로써, 전방 수용 그루브(14) 및 후방 수용 그루브 각각의 바닥 벽체는 배터리(101)의 외측 표면으로부터 분리되며, 따라서 배터리 챔버의 주변 벽체와 배터리(101) 사이의 간극을 보장한다.
이를 대체하여, 전방 수용 그루브(14)와 후방 수용 그루브 중 적어도 하나의 바닥 벽체의 표면이 바닥 벽체의 주변부로부터 바닥 벽체의 중앙을 향해 하방으로 기울어진다.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서, 전방 수용 그루브(14)와 후방 수용 그루브 각각의 바닥 벽체의 표면은 바닥 벽체의 주변부로부터 바닥 벽체의 중앙을 향해 하방으로 기울어지며, 따라서 배터리 챔버의 주변 벽체와 배터리(101) 사이의 간극을 보장한다. 전방 수용 그루브(14)와 후방 수용 그루브 각각의 바닥 벽체의 표면은 수직 플레이트(111)의 표면일 수 있음에 주목하여야 한다.
안전성과 신뢰성의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세퍼레이터(10)는 PPO(Poly Phenylene Oxide), PP(Poly Propylene), PET(Polyethylene Glycol Terephthalate), ABS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PC (Poly Carbonate) 또는 그 안에 금속이 매립된 이들 소재와 같이 높은 강도, 높은 내부식성, 뛰어난 내후성, 우수한 내화성 및 높은 절연성을 가진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및 복합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세퍼레이터(10)는 높은 강도를 가지며 파워 배터리 모듈(1000)에 발생한 충돌과 같은 비정상적인 상황에서 배터리(101)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퍼레이터 몸체(11)는 전체적으로 사출성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금속이 사출성형 과정에서 이들 소재로 매립될 수 있어서, 세퍼레이터(10)의 구조적 강도가 더욱 향상된다. 게다가, 세퍼레이터(10)는 사출성형 이후에 직접적으로 탈형될 수 있어서, 제조하기에 편리하고 비용이 절감된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방 단차(118)는 상부 프레임 플레이트(112)와 하부 프레임 플레이트(113) 각각의 전방 측면 에지에 배치되어 있고, 후방 단차(119)는 상부 프레임 플레이트(112)와 하부 프레임 플레이트(113) 각각의 후방 측면 에지에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세퍼레이터들(10)이 함께 조립될 때, 인접한 세퍼레이터들(10) 중 하나의 상부 프레임 플레이트(112)의 전방 측면 에지에 배치된 전방 단차(118)는, 인접한 세퍼레이터들(10) 중 다른 하나의 상부 프레임 플레이트(112)의 후방 측면 에지에 배치된 후방 단차(119)와 겹쳐진다. 유사하게, 인접한 세퍼레이터들(10) 중 하나의 하부 프레임 플레이트(1130)의 전방 측면 에지에 배치된 전방 단차(118)는 인접한 세퍼레이터들(10) 중 다른 하나의 하부 프레임 플레이트(113)의 후방 측면 에지에 배치된 후방 단차(119)와 겹쳐진다. 따라서, 배터리 수용 조립체(100)의 외형이 유려해지며, 인접한 세퍼레이터들(10)이 서로 밀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 게다가, 파워 배터리 모듈(1000)의 조립 효율성이 향상되며 파워 배터리 모듈(1000)의 제조 비용이 감소된다.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서, 전방 단차(118)는 하방으로 바라보고 후방 단차(119)는 상방으로 바라볼 수 있어서, 대응하는 전방 단차(118)와 후방 단차(119)가 서로 더욱 잘 끼워맞춰질 수 있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서, 전방 단차(118)는 하방으로 바라보는 제1 전방 단차 세그먼트(1181)와 상방으로 바라보는 제2 전방 단차 세그먼트(1182)를 포함하고, 후방 단차(119)는 상방으로 바라보며 제1 전방 단차 세그먼트(1181)에 대응하는 제1 후방 단차 세그먼트와 하방으로 바라보며 제2 전방 단차 세그먼트(1182)에 대응하는 제2 후방 단차 세그먼트(1191)을 포함한다. 따라서, 인접하는 세퍼레이터들(10)은 서로 더욱 밀착되어 조립될 수 있어서, 더 나은 조립 효과가 이루어질 수 있다. 게다가, 전방 단차(118)과 후방 단차(119)를 각각 2개의 세그먼트로 나눔으로써, 인접한 세퍼레이터들(10)이 전방 단차(118)와 후방 단차(119) 사이의 결합에 의해 서로에 대해 위치결정되고 함께 조립될 수 있으며, 인접한 세퍼레이터들(10) 사이의 결합이 안정적이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서, 전방 수용 그루브(14)와 후방 수용 그루브를 연통시키기 위해 윈도우(1111)가 수직 플레이트(111)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전방 수용 그루브(14)와 후방 수용 그루브가 서로 연통된다. 바꾸어 말해, 수직 플레이트(111)는 전후 방향으로 관통된 구조로 구성되며, 따라서 제조 소재를 절감하고 비용을 줄인다.
절연 플레이트(16) 또는 열전도 플레이트(17)가 윈도우(1111)에 배치될 수 있다. 절연 플레이트(16)를 배치함으로써, 인접한 배터리들(101) 사이에 절연성이 향상되며, 따라서 파워 배터리 모듈(1000)의 안전 성능이 증대될 수 있다. 열전도 플레이트(17)를 배치함으로써, 배터리 챔버 내에서 배터리(101)의 방열 효과가 향상될 수 있어서, 파워 배터리 모듈(1000)의 안전 성능이 또한 증대되며, 배터리(101)의 작동 수명이 연장될 수 있다.
특히, 삽입 구멍이 상부 프레임 플레이트(112)에 형성되고, 삽입 구멍에 줄 맞추어진 삽입 그루브가 수직 플레이트(111)에 형성되며, 절연 플레이트(16) 또는 열전도 플레이트(17)가 삽입 구멍과 삽입 그루브를 통해 윈도우(1111)로 삽입된다.
도 1 내지 도 3, 도 6, 도 7, 도 9,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서, 좌측 커버(12)와 우측 커버(13)는 세퍼레이터 몸체(1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어서, 세퍼레이터 몸체(11)와 좌측 커버(12) 및 우측 커버(13) 사이의 결합 강도가 향상되며, 좌측 커버(12)와 우측 커버(13)의 복잡한 조립 공정이 회피될 수 있고, 따라서 조립 속도가 증가한다.
물론,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좌측 커버(12) 및 우측 커버(13)는 세퍼레이터(11)에 각각 분리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바꾸어 말해, 세퍼레이터(11), 좌측 커버(12), 우측 커버913)은 독립적으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좌측 커버(12)와 우측 커버(13)가 결합 구조물에 의해 세퍼레이터(11) 상에 배치된다. 따라서, 세퍼레이터(11), 좌측 커버(12), 우측 커버(13) 중 하나가 손상되었을 때, 전체 조립체를 교환하지 않고 상응하는 하나를 교환하는 것만이 필요하며, 따라서 유지관리를 용이하게 하고 그에 따른 비용을 절감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서, 스냅핑 슬롯(snapping slot, 117)이 세퍼레이터 몸체(11)에 형성될 수 있으며, 스냅핑 슬롯(117)에 스냅되는 클래스프(clasp, 134)가 좌측 커버(12) 및 우측 커버(13)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클래스프(134)를 스냅핑 슬롯(117) 안에 스냅핑됨으로써, 좌측 커버(12)와 우측 커버(13)가 세퍼레이터 몸체(11)에 각각 배치되어서, 좌측 커버(12)와 세퍼레이터(10) 및 우측 커버(13)와 세퍼레이터(10) 사이의 결합이 간단해진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래스프(134)는 좌측 커버(12)와 우측 커버(13) 각각의 상측 및 하측 끝단에 배치될 수 있어서, 좌측 커버(12)와 우측 커버(13)가 세퍼레이터 몸체(11) 상에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부 프레임 플레이트(112)의 좌측 끝단은 좌측 플레이트(114)를 넘어 좌측으로 연장되어 좌상부 연장부(1121)를 형성하며, 하부 프레임 플레이트(113)의 좌측 끝단은 좌측 플레이트(114)를 넘어 좌측으로 연장되어 좌하부 연장부(1131)를 형성하고, 상부 프레임 플레이트(112)의 우측 끝단은 우측 플레이트(115)를 넘어 우측으로 연장되어 우상부 연장부(1122)를 형성하며, 하부 프레임 플레이트(113)의 우측 끝단은 우측 플레이트(115)를 넘어 우측으로 연장되어 우하부 연장부(1132)를 형성한다. 이에 더하여, 스냅핑 슬롯(116)이 좌상부 연장부(1121), 좌하부 연장부(1131), 우상부 연장부(1122), 우하부 연장부(1132) 각각에 형성된다. 이에 상응하여, 좌상부 연장부(1121)의 스냅핑 슬롯(116)에 스냅된 좌상부 클래스프(121), 좌하부 연장부(11131)의 스냅핑 슬롯(116)에 스냅된 좌하부 클래스프는 좌측 커버(12)의 우측 표면에 배치되고, 우상부 연장부(1122)의 스냅핑 슬롯(116)에 스냅된 우상부 클래스프(131)와 우하부 연장부(1132)의 스냅핑 슬롯(116)에 스냅된 우하부 클래스프(132)는 우측 커버(13)의 좌측 표면에 배치된다. 따라서, 좌측 커버(12)와 우측 커버(13)를 세퍼레이터(10) 상에 배치하는 것이 더욱 편리하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상부 클래스프(121)와 좌하부 클래스프는 좌측 커버(12)의 우측 표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우상부 클래스프(131)와 우하부 클래스프(132)는 우측 커버(13)의 좌측 표면에 배치될 수 있어서, 좌상부 클래스프(121), 좌하부 클래스프, 우상부 클래스프(131), 우하부 클래스프(132) 각각의 구조적 강도가 향상된다.
이를 대체하여, 좌측 커버(12)와 우측 커버(13)는 좌측 플레이트(114)와 우측 플레이트(115)의 전후 방향 폭과 같거나 더 크고, 상부 프레임 플레이트(112)와 하부 프레임 플레이트(113)의 전후 방향 폭과 같거나 더 작은 전후 방향 폭을 가진다. 좌측 커버(12)와 우측 커버(13)가 좌측 플레이트(114)와 우측 플레이트(115)의 전후 방향으로의 폭보다 큰 전후 방향 폭을 가질 경우, 좌측 커버(12) 또는 우측 커버(13)가 좌측 플레이트들(114) 사이 또는 우측 플레이트들(115) 사이의 간극을 덮을 수 있기 때문에, 인접한 세퍼레이터들(10)의 좌측 플레이트들(114) 사이와 인접한 세퍼레이터들(10)의 우측 플레이트들(115) 사이에 간극이 형성될 수 있다. 좌측 커버(12)와 우측 커버(13)가 좌측 플레이트(114)와 우측 플레이트(115)의 전후 방향 폭과 동일한 전후 방향 폭을 가질 경우, 인접한 세퍼레이터들(10)의 좌측 플레이트들(114)은 서로 밀접하게 접촉하고 인접한 세퍼레이터들(10)의 우측 플레이트들(115)이 서로 밀접하게 접촉되어서, 좌측 플레이트(114), 우측 플레이트(115), 좌측 커버(12) 또는 우측 커버(13)이 배터리(101)를 적절히 보호할 수 있다.
좌측 커버(12)와 우측 커버(13)의 안전성과 신뢰성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좌측 커버(12)와 우측 커버(13)는 PPO(Poly Phenylene Oxide), PP(Poly Propylene), PET(Polyethylene Glycol Terephthalate), ABS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PC (Poly Carbonate) 또는 그 안에 금속이 매립된 이들 소재와 같이 높은 강도, 높은 내부식성, 뛰어난 내후성, 우수한 내화성 및 높은 절연성을 가진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및 복합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따라서, 좌측 커버(12)와 우측 커버(13)는 높은 강도와 높은 내부식성 및 우수한 내화성을 가지며 파워 배터리 모듈(1000)에 발생한 충돌과 같은 비정상적인 상황에서 배터리(101)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 도 7 내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서, 배터리 수용 조립체(100)는 전방 플레이트(20)를 더 포함한다. 전방 플레이트(20)는 그 후방측 표면에 후방 그루브(21)를 형성한다. 전방 플레이트(20)의 후방 그루브(21)와 복수의 세퍼레이터들(10) 중 가장 전방의 세퍼레이터(10)의 전방 수용 그루브(14)는 가장 전방의 배터리 챔버를 형성한다. 전방 플레이트(20)는 가장 전방의 세퍼레이터(10)에 스냅되는데, 이를 대체하여 전방 플레이트(20)가 스냅핑 구조물(60)을 통해 가장 전방의 세퍼레이터(10)에 스냅될 수 있다. 전방 플레이트(20)는 그 전방측에는 그루브를 형성하지 않을 수 있어서, 전방 플레이트(20)는 간단한 구조를 가지며, 제조하기가 쉽고 따라서 재료 및 공간을 절감한다.
이에 대응하여, 배터리 수용 조립체(100)는 후방 플레이트(30)를 더 포함한다. 후방 플레이트(30)는 그 전방측 표면에 전방 그루브를 형성한다. 전방 그루브와 복수의 세퍼레이터들(10) 중 가장 후방의 세퍼레이터의 후방 수용 그루브는 가장 후방의 배터리 챔버를 형성한다. 후방 플레이트(30)는 가장 후방의 세퍼레이터(10)에 스냅되는데, 이를 대체하여 후방 플레이트(30)가 위의 스냅핑 구조물(60)을 통해 가장 후방의 세퍼레이터(10)에 스냅될 수 있다. 후방 플레이트(30)는 그 후방측에 그루브를 형성하지 않을 수 있어서, 후방 플레이트(30)는 간단한 구조를 가지며 제조하기가 용이하고, 따라서 재료 및 공간을 절감한다.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서, 좌측 커버(12)가 전방 플레이트(20)의 좌측 측면에 배치될 수 있고 우측 커버(13)가 전방 플레이트(20)의 우측 측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좌측 커버(12)가 후방 플레이트(30)의 좌측 측면에 배치되고 우측 커버(13)가 후방 플레이트(30)의 우측 측면에 배치될 수 있어서, 전방 플레이트(20)와 후방 플레이트(30)가 더욱 잘 보호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서, 인접한 세퍼레이터들(10)은 스냅핑 구조물(60)을 통해 서로 분리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어서, 배터리 수용 조립체(100)를 조립하고 분해하는 것이 편리하며, 조립 공정이 단순화되고 조립 효율이 향상된다. 게다가, 파워 배터리 모듈(1000)에 대해 그 확장성이 향상되며, 그 개발 비용이 감소되고 그 개발 시간이 단축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스냅핑 구조물(60)이 도 1 내지 도 6을 참조로 설명될 것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냅핑 구조물은 인접한 세퍼레이터들(10) 중 하나에 형성된 스냅핑 그루브(61)와 인접한 세퍼레이터들(10) 중 다른 하나에 배치되고 스냅핑 그루브(61)에 스냅되어서 인접한 세퍼레이터들(10)을 함께 고정하도록 적용된 스냅핑 텅(snapping tongue, 62)을 포함한다. 바꾸어 말해, 스냅핑 구조물(60)은 스냅핑 텅(62)과 스냅핑 그루브(6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스냅핑 텅(62)은 인접한 세퍼레이터들(10) 중 하나에 배치되고 스냅핑 그루브(61)는 인접한 세퍼레이터들(10)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되 스냅핑 텅(62)에 스냅되어서 인접한 세퍼레이터들(10)을 함께 고정한다.
이에 더하여, 배치 구멍(621)이 스냅핑 텅(62)에 형성될 수 있으며, 배치 보스(612)가 스냅핑 그루브(61)의 바닥 벽체 상에 배치되어 배치 구멍(621)에 끼워맞춰질 수 있다. 특히, 배치 보스(612)가 배치 구멍(621)을 향해 상방으로 연장되어서, 즉, 스냅핑 텅(62)이 스냅핑 그루브(61)로 스냅되어서, 인접한 세퍼레이터들(10)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인접한 세퍼레이터들(10)은 간단한 구조를 가지며 서로 결합하기가 용이하고, 따라서 높은 확장성을 제공한다. 게다가, 스냅핑 텅(62)과 스냅핑 그루브(61)는 또한 복수의 세퍼레이터들(10)에 대한 위치결정 기능을 가지며, 따라서 인접한 세퍼레이터들(10) 사이의 위치결정을 용이하게 하고 조립 속도를 향상시킨다.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퍼레이터(10)는 상부 프레임 플레이트(112)를 포함한다. 상부 프레임 플레이트(112)는 세퍼레이터(10)의 정상에 위치한다. 스냅핑 그루브(61)는 상부 프레임 플레이트(112)의 전방 및 후방 에지 중 하나에 배치되고, 스냅핑 텅(62)은 상부 프레임 플레이트(112)의 전방 및 후방 에지 중 다른 하나에 배치된다. 바꾸어 말해, 세퍼레이터(10)는 스냅핑 그루브(61)와 스냅핑 텅(62) 모두를 가져서, 복수의 세퍼레이터들(10)이 일렬로 배열될 때, 복수의 세퍼레이터들(10)이 하나하나 서로 스냅될 수 있다.
이를 대체하여, 세퍼레이터(10)는 하부 프레임 플레이트(113)를 포함한다. 하부 프레임 플레이트(113)는 세퍼레이터(10)의 바닥에 위치한다. 스냅핑 그루브(61)는 하부 프레임 플레이트(113)의 전방 및 후방 에지 중 하나에 배치되고 스냅핑 텅(62)은 하부 프레임 플레이트(113)의 전방 및 후방 에지 중 다른 하나에 배치된다. 바꾸어 말해, 스냅핑 구조물(60)은 한 세퍼레이터(10)의 상부 프레임 플레이트(112)와 하부 프레임 플레이트(113) 모두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스냅핑 구조물(60)이 단순히 상부 프레임 플레이트(112) 상에 배치되거나, 스냅핑 구조물(60)이 단순히 하부 프레임 플레이트(113) 상에 배치되거나 스냅핑 구조물(60)이 상부 프레임 플레이트(112) 및 하부 프레임 플레이트(113)에 동시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서, 스냅핑 구조물(60)은 상부 프레임 플레이트(112)와 하부 프레임 플레이트(113) 상에 배치되어 있어서, 인접한 세퍼레이터들(10)의 상부 부분이 서로 결합되고, 인접한 세퍼레이터들의 하부 부분 또한 서로 결합되며, 따라서 인접한 세퍼레이터들(10) 사이의 결합 강도와 결합 안정성이 향상된다. 또한, 배터리 수용 조립체(100)가 배터리(101)를 더욱 신뢰성 있게 보호한다.
의 스냅핑 텅(62)과 스냅핑 그루브(62)는 세퍼레이터(10)의 상부 프레임 플레이트(112) 상에 배치되고 스냅핑 텅(62)은 스냅핑 그루브(62)와 일대일 대응관계로 있을 수 있다. 복수의 스냅핑 텅(62)과 스냅핑 그루브(62)는 세퍼레이터(10)의 하부 프레임 플레이트(113) 상에 배치되고 스냅핑 텅(62)은 스냅핑 그루브(62)와 일대일 대응관계로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인접한 세퍼레이터들(10) 사이의 결합 강도 및 결합 안정성이 더욱 향상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서, 스냅핑 텅(62)은 사다리꼴 형상을 가진다. 즉, 스냅핑 텅(62)의 상하 방향 돌기는 사다리꼴이다. 이에 대응하여 스냅핑 그루브(61)는 스냅핑 텅과 사다리꼴 끼워맞춤일 수 있어서, 스냅핑 텅(62)이 충분한 구조적 강도를 가진다. 물론, 본 개시는 여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스냅핑 텅(62)이 스냅핑 그루브에 안정적으로 스냅될 수 있는 한 스냅핑 텅(62)과 스냅핑 그루브(61)는 임의의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딩 슬로프(guiding slope, 611)가 스냅핑 그루브(61)의 개구에 형성될 수 있는데, 가이딩 슬로프(611)는 스냅핑 그루브(612)의 내측 끝단으로부터 그 개구로 하방으로 기울어지도록 구성된다. 배터리 수용 조립체(100)가 조립될 때, 가이딩 슬로프(611)는 스냅핑 텅(62)의 장착시 가이딩 기능을 수행한다. 즉, 스냅핑 텅(62)은 가이딩 슬로프(611)를 통해 용이하게 스냅핑 그루브 안으로 삽입되도록 가이드되며, 따라서 조립 속도를 향상시키고 조립 난이도를 경감시킨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냅핑 구조물(60)은 도 7 내지 도 14를 참조로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도 7 내지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냅핑 구조물(60)은 스냅핏 그루브(63)와 스냅핏 핀(64)을 포함할 수 있다. 스냅핏 그루브(63)는 세퍼레이터(10)에 형성되며 스냅핏 핀(64)은 세퍼레이터(10)에 대해 분리가능한 부재이며 적어도 2개의 장착부들(641)을 포함한다. 적어도 2개의 장착부(641)는 적어도 2개의 세퍼레이터들(10)의 스냅핏 그루브들(63)에 스냅되어서 적어도 2개의 세퍼레이터들(10)을 서로 연결한다. 바꾸어 말해, 스냅핏 핀(64)은 적어도 2개의 인접한 또는 인접하지 않은 세퍼레이터들(10)을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 스냅핏 핀(64)를 배치함으로써, 세퍼레이터들(10)을 함께 결합하는 것이 편리해지며 세퍼레이터들을 신속하게 조립하는 것이 용이해지고 다양한 조립 방식이 제공된다.
도 10 및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서, 스냅핏 핀(64)은 연결 브리지(6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2개의 장착부(641)는 연결 브리지(642)의 두 끝단에 각각 배치되며 인접한 세퍼레이터들(10)의 스냅핏 그루브들(63)에 끼워맞춰져서 인접한 세퍼레이터들(10)을 서로 결합한다. 바꾸어 말해, 스냅핏 핀(64)은 단지 인접한 세퍼레이터들(10)을 서로 연결할 수 있어서, 스냅핏 핀(64)는 상대적으로 적은 부피와 간단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러므로, 배터리 수용 조립체(100)의 세퍼레이터들(10) 사이의 연결 구조물은 단순하며, 세퍼레이터들(10)을 조립하는 것이 편리하다. 세퍼레이터들(10)을 서로 결합하기 위해 스냅핏 핀(64)을 이용함으로써, 파워 배터리 모듈(1000)은 배터리들의 실제 상황에서의 요구에 따라 세퍼레이터들(10)을 임의의 수로 포함할 수 있으며, 따라서 파워 배터리 모듈(1000)의 확장성을 향상시킨다.
스냅핏 그루브들(63)은 개구(631)를 구비하며, 인접한 세퍼레이터들(10)에서 스냅핏 그루브들(63)의 개구들(631)은 서로 마주보고 있어서 연결 브리지(642)를 수용한다. 따라서, 스냅핏 핀(64)이 세퍼레이터들(10) 사이에 배치될 때, 스냅핏 핀(64)의 상부 표면은 세퍼레이터(10)의 상부 표면과 같은 높이여서 배터리 수용 조립체(100)의 외형이 유려해지고 스냅핏 핀(64)이 스냅핏 그루브(63)로 완전히 매몰되며, 따라서 외력으로 인한 스냅핏 핀(64)에 대한 손상이 방지된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서, 스냅핏 그루브(63)는 인접한 세퍼레이터들(10)의 상부 프레임 플레이트들(112) 각각에 형성될 수 있으며 스냅핏 핀(64)은 인접한 세퍼레이터들(10)의 상부 프레임 플레이트들(112) 사이에 배치되어 인접한 세퍼레이터들(10)을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이를 대체하여, 스냅핏 그루브(63)가 인접한 세퍼레이터들(10)의 하부 프레임 플레이트(113) 각각에 형성될 수 있으며 스냅핏 핀(64)은 인접한 세퍼레이터들(10)의 하부 프레임 플레이트들(113) 사이에 배치되어 인접한 세퍼레이터들(10)을 서로 결합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서, 스냅핏 핀(64)은 단지 인접한 세퍼레이터들(10)의 상부 프레임 플레이트(112) 사이 또는 인접한 세퍼레이터들(10)의 하부 프레임 플레이트(1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대체하여, 스냅핏 핀들(64)이 인접한 세퍼레이터들(10)의 상부 프레임 플레이트들(112) 사이와 인접한 세퍼레이터들(10)의 하부 프레임 플레이트들(113) 사이에 동시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세퍼레이터들(10) 사이에 다양한 연결 방식이 제공되어 배터리 수용 조립체(100)의 다양한 장착 요건을 충족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서, 스냅핏 핀들(64)은 인접한 세퍼레이터들(10)의 상부 프레임 플레이트(112) 사이와 인접한 세퍼레이터들(10)의 하부 프레임 플레이트들(113) 사이에 동시적으로 배치되어 인접한 세퍼레이터들(10)의 상부 부분들이 서로 결합되고 인접한 세퍼레이터들(10)의 하부 부분들이 서로 결합되며, 배터리 수용 조립체(100)의 구조가 안정적이고, 따라서 배터리(101)에 대한 배터리 수용 조립체(100)의 더욱 신뢰성 있는 보호와 파워 배터리 모듈(1000)에 대한 더욱 안전한 성능이 제공된다.
이를 대체하여, 장착부(641)가 스냅핏 그루브(63)와 억지 끼워맞춤되거나 장착부(641)가 볼트를 통해 스냅핏 그루브(63)에 끼워맞춰질 수 있어서, 스냅핏 핀(64)이 세퍼레이터(10)와 밀착되도록 결합될 수 있으며, 따라서 높은 신뢰성과 높은 결합 강도가 제공되고 파워 배터리 모듈(1000)의 작동 수명을 향상시킨다.
이를 대체하여, 장착부(641)가 원형, 사다리꼴 또는 직사각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꾸어 말해, 장착부(641)의 상하 방향으로의 돌기는 원형, 사다리꼴 또는 직사각형일 수 있다. 이에 상응하여, 스냅핏 그루브(63) 또한 장착부(641)에 맞추어 원형, 사다리꼴 또는 직사각형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장착부(641)의 구조가 다양해지며, 장착부(641)를 세퍼레이터(10) 상에 조립하는 것이 편리해진다.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서, 단차부(6416)가 스냅핏 그루브(63)를 바라보는 장착부(641)의 표면에 형성되고 장착부(641)의 이 단차부(6416)에 대응하는 단차부(632)가 스냅핏 그루브(63)에 형성되어 장착부(641)가 스냅핏 그루브(63)에 더욱 밀착되게 끼워맞춰질 수 있으며, 스냅핑 구조물(60)이 더욱 안정적이고, 배터리 수용 조립체(100)의 구조적 안정성이 더욱 향상된다.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 브리지(642)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2개의 장착부들(641)은 연결 브리지(642)의 길이방향 두 끝단들 상에 배치되며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이다. 즉, 장착부(641)는 측방향으로 연장된다. 바꾸어 말해, 스냅핏 핀(64)은 실질적인 "工" 형상으로 구성된다. 연결 브리지(642)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돌출 융기들(6411)이 연결 브리지(642)와 떨어져서 장착부(641)의 외측 끝단 표면 상에 배치된다. 즉, 돌출 융기(6411)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다. 스냅핏 핀(64)이 세퍼레이터(10)에 장착되고 있을 때, 장착부(641)는 스냅핏 그루브(63)에 끼워맞춰지고 장착부(641)의 외측 끝단 표면 상에 배치된 돌출 융기(6411)는 위치결정 및 가이딩 기능을 수행하여, 스냅핏 핀(64)의 장착을 용이하게 한다. 게다가, 마찰력이 돌출 융기(6411)와 스냅핏 그루브(63)의 벽체 사이에 생성되어서 스냅핏 핀(64)의 전체 사용 수명에 걸쳐 스냅핏 핀(64)을 잡아준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서, 돌출 융기(6411)의 단면은 호형으로 구성된다. 이를 대체하여, 돌출 융기(6411)의 한 쪽 끝단은 돌출 융기(6411)의 다른 쪽을 향해 기울어진 경사면(6412)을 가진다. 즉,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출 융기(6411)의 수직방향에 있는 한 쪽 끝단(예를 들어 상부 끝단)은 돌출 융기(6411)의 수직방향에 있는 다른 쪽 끝단(예를 들어 하부 끝단)을 향해 기울어진 경사면(6412)을 가진다. 이를 대체하여, 돌출 융기(6411)의 다른 끝단(예를 들어 하부 끝단)의 단면은 원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 도중 제품을 조립하는 것이 편리해지며, 길이방향으로의 힘이 돌출 융기(6411)와 스냅핏 그루브(63)의 벽체 사이에 생성될 수 있어서, 스냅핏 핀(64)이 스냅핏 그루브(63)로부터 빠져 나가기 위해 변형되는 것이 어렵게 된다. 물론,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서 돌출 융기(6411)는 장착부(641)의 2개의 마주보는 끝단 표면들 상에 배치될 수 있어서, 돌출 융기(6411)와 스냅핏 그루브(63)의 벽체 사이의 마찰력이 더 향상되고 따라서 스냅핏 핀(64)의 결합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서, 2개의 장착부들(641) 중 적어도 하나는 그 두께 방향으로 장착부(641)를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해체 구멍(6413)을 구비한다. 스냅핏 핀(64)을 장착하거나 해체할 때, 작업자는 장착 또는 해체하기 위해 해체 구멍(6413)을 통해 스냅핏 핀(64)을 파지할 수 있어서, 스냅핏 핀(64)을 신속히 장착 또는 해체하는 것이 용이하고 편리하다. 이를 대체하여, 해체 구멍(6413)에 끼워진 장착 보스 또는 장착 핀(미도시)과 같은 장착 부재가 스냅핏 그루브(63)의 바닥 벽체 상에 배치될 수 있어서, 스냅핏 핀(64)이 세퍼레이터(10) 상에 더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하나 또는 복수의 해체 구멍들(6413)이 실제 조립 요건에 따라 제공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착부(641)는 그 두께 방향으로 외측으로 연장된 베이스 스탠드(6414)를 구비한다. 바꾸어 말해, 베이스 스탠드(6414)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베이스 스탠드(6414)의 표면은 대응하는 장착부(641)의 표면보다 더 높다. 베이스 스탠드(6414)는 대응하는 장착부(641)의 주변부에 형성된다. 베이스 스탠드(6414)를 배치함으로써, 장착부(641)의 구조적 강도가 증대될 수 있으며, 스냅핏 핀(64)의 강도 또한 향상될 수 있다. 게다가, 장착부(641)는 변형되기 어려우며, 세퍼레이터들(10) 사이의 스냅핏 핀(64)의 결합 강도가 향상된다.
이를 대체하여, 베이스 스탠드(6414)의 연장된 두께는 1 내지 10mm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서, 베이스 스탠드의 연장된 두께는 1 내지 3mm이며, 따라서 베이스 스탠드(6414)는 적절한 두께를 갖고 베이스 스탠드(6414)의 소재가 절감될 수 있다.
이를 대체하여, 적어도 하나의 보강 리브(6422)가 연결 브리지(642)의 표면에 형성된다. 보강 리브(6422)를 배치함으로써, 연결 브리지의 구조적 강도가 강화되고 연결 브리지(642)의 변형이 쉽지 않으며 따라서, 스냅핏 핀(64)의 동작 수명이 증대된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서, 복수의 보스들(6421)이 연결 브리지(642)의 2개의 측면 표면 중 적어도 하나에 측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고 대응하는 측면 표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복수의 보스들(6421)을 배치함으로써, 스냅핏 핀(64)과 스냅핏 그루브(63) 사이의 마찰력이 증대되고, 따라서 스냅핏 핀(64)과 세퍼레이터(10) 사이의 결합 강도가 향상된다.
이를 대체하여, 복수의 보스들(6421) 각각은 실질적인 반구형으로 구성되어서, 스냅핏 핀(64)의 사출 성형 과정에서 그 탈형이 편리해진다. 보스(6421)의 크기가 너무 작으면 스냅핏 핀(64)과 스냅핏 그루브(63)의 벽체 사이의 마찰력이 충분하지 못하고 보스(6421)의 크기가 너무 크면 스냅핏(64)의 탈형이 어려워진다는 점에 주목하여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보스(6421)의 직경은 1mm로부터 2mm이다. 즉, 보스(6421)의 연결부와 연결 브리지(642)의 직경은 1mm로부터 2mm일 수 있으며, 따라서 스냅핏 핀(64)과 스냅핏 그루브(63)의 벽체 사이의 마찰력을 보장하며 스냅핏 핀(64)의 탈형을 용이하게 한다. 복수의 보스들(6421)은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어서, 스냅핏 핀(64)과 스냅핏 그루브(63)의 벽체 사이의 마찰력이 균일하게 된다.
스냅핏 핀(64)의 결합 강도와 스냅핏(64)과 세퍼레이터(10) 사이의 협동을 고려하면, 스냅핏 핀(64)의 전체 두께는 8mm에서 15mm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서, 스냅핏 핀(64)의 전체 두께는 10mm에서 13mm이다. 즉, 스냅핏 핀(64)의 돌기의 상하 방향 두께는 10mm에서 13mm이다. 따라서 스냅핏 핀(64)은 충분한 구조적 강도를 가지며 재료를 절감하고, 스냅핏 핀(64)을 세퍼레이터(10)와 결합하는 것이 편리하고 신뢰성 있게 된다.
이를 대체하여, 스냅핏 핀(64)은 플라스틱 몰딩 부품 또는 플라스틱-금속 혼합 몰딩 부품이다. 예를 들어, 연결 브리지(642), 장착부(641), 돌출 융기(6411), 보스(6421) 및 베이스 스탠드(6414)는 플라스틱 부품이며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는데, 이런 플라스틱 부품들을 형성하는 것은 용이하고도 편리하다. 연결 브리지(642), 장축부(641), 돌출 융기(6411), 보스(6421) 및 베이스 스탠드(6414)는 PPO (Poly Phenylene Oxide), PP (Poly Propylene), PPE (Poly Phenyl Ether) 또는 그 안에 금속이 매립된 이들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따라서, 이 구성들은 높은 강도, 높은 내부식성, 뛰어난 내후성, 우수한 내화성 및 높은 절연성을 가지며, 이는 안전 성능 및 신뢰성의 요구를 충족시키고, 따라서 스냅핏 핀(64)이 높은 구조적 강도를 가진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신호 수집 및 파워 연결 조립체(400)가 도 15 내지 도 19를 참조로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파워 연결 라인(4071)은 파워 연결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1 시트상 도전성 요소에 의해 형성되며, 신호 수집 라인(4021)은 신호 전송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2 시트상 도전성요소이다. 파워 연결 라인(4071)과 신호 수집 라인(4021)은 서로 독립적인 2개의 도전성 요소들이거나 서로 부분적으로 통합되고 부분적으로 독립적인 2개의 도전성 요소들로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서, 신호 수집 및 파워 연결 조립체(400)는 서브스트레이트(401) 상에 배치된 제3 시트상 도전체로 형성된 공통 라인(403)을 더 포함한다. 공통 라인(403)은 파워 연결 부재(407)과 결합된 제1 끝단과 파워 연결 라인(4071)과 신호 수집 라인(4021) 각각의 제1 끝단들과 결합된 제2 끝단을 구비한다(도 16 참조).
바꾸어 말해, 파워 연결 라인(4071)과, 파워 연결 부재(407)과 연결된 신호 수집(4021)은 공통 라인(403)을 통해 통합되고, 공통 라인(403)은 파워 연결 라인(4071)으로 파워 연결을 수행하고, 신호 수집 라인(4021)으로 신호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파워 연결 라인(4071)과 신호 연결 라인(4021) 부분은 함께 통합될 수 있고, 신호 수집 및 파워 연결 조립체(400)의 구조는 더욱 간소화된다.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서, 신호 수집 및 파워 연결 라인(400)은 커넥터(404)를 더 포함한다. 커넥터(404)는 파워 연결 라인(4071)의 제2 끝단과 신호 수집 라인(4021)의 제2 끝단에 결합된다. 특히,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커넥터(404)는 파워 연결(4071)과 신호 수집(4021)과 전기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외부의 신호 출력 장치 및 파워 연결 장치와 결합되기에 적합하고, 커넥터(404)는 실제 상황에 따라 시장에서 구매할 수 있는 FPC 또는 PCB 커넥터일 수 있다.
커넥터(404)가 외부의 신호 출력 장치 및 파워 연결 장치에 결합되어 신호 전송 및 파워 연결을 수행할 수 있는 한, 터(404)와 서브스트레이트(401) 사이의 조립 관계는 제한되지 않는다. 이에 더하여, 커넥터(404)는 서브스트레이트(401)의 에지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대응하여, 파워 연결 라인(4071)의 제2 끝단과 신호 수집 라인(4021)의 제2 끝단은 서브스트레이트(401)의 에지로 연장된다. 따라서, 커넥터(404)가 외부의 신호 출력 장치 및 파워 연결 장치와 결합되는 것이 편리해진다.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서, 서브스트레이트(401)는 가요성 보드이다. 따라서 서브스트레이트(401)가 파워 공급 배터리들을 서로 연결하는 데에 사용될 때, 가요성 서브스트레이트(401)는 상대적인 변형 및 복수의 파워 공급 배터리들 사이의 조립 공차에 적합할 수 있으며, 따라서 그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특히, 서브스트레이트(401)는 FPC 보드의 두 측면에 있는 보호성 필름일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PI필름과 같은 가요성 소재로 만들어진다. 커넥터(404)는 서브스트레이트(401)와 연결된다. 서브스트레이트(401)는 커넥터(404)를 통해 외부의 신호 출력 장치 및 파워 연결 장치와 연결되는데, 여기서 그 연결 방식은 납땜과 같은 용접, 기계적 연결 및 이 둘을 조합한 혼합 연결일 수 있다. FPC 또는 PCB 커넥터의 구조는 관련된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으며 실행하기 쉬우므로 여기서는 생략한다.
신호 수집 라인(4021)과 파워 연결 라인(4071) 각각의 구조는 한정되지 않으며 신호 수집 라인(4021)과 파워 연결 라인(4071) 각각의 서브스트레이트(401) 상의 조립 방식 또한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서, 신호 수집 라인(4021)과 파워 연결 라인(4071) 중 적어도 하나는 서브스트레이트(401)에 고정된 도전성 금속 시트로 형성된다. 특히, 파워 연결 라인(4071)과 신호 수집 라인(4021) 중 적어도 하나를 형성하는 도전성 금속 시트는 접착, 사출 성형, 열압착 및 용접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서브스트레이트(401) 상에 고정된다.
바꾸어 말해, 파워 연결 라인(4071)과 신호 수집 라인(4021)은 접착, 사출 성형, 열압착 또는 용접에 의해 서브스트레이트(401) 상에 통합된다. 따라서 파워 연결 라인(4071)과 신호 수집 라인(4021)을 서브스트레이트(401) 상에 이들 방법으로 통합하는 것이 용이하며, 따라서 신호 수집 및 파워 연결 조립체(400)을 형성하는 어려움이 감소된다.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서, 파워 연결 라인(4071)과 신호 연결 라인(4021) 중 적어도 하나는 서브스트레이트(401) 상의 도전성 금속 레이어(layer)로 형성된다. 특히, 도전성 금속 레이어는 서브스트레이트(401) 상의 도전성 금속 코팅이다. 바꾸어 말해, 파워 연결 라인(4071)과 신호 수집 라인(4021)은 서브스트레이트(401) 상의 도전성 금속 코팅들이며, 도전성 금속 코팅은 전기도금 또는 화학도금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파워 연결 라인(4071)과 신호 수집 라인(4021)이 제2의 연결 또는 조립 없이 서브스트레이트(401) 상에 형성되고 통합되는 것이 더욱 편리하며, 따라서 신호 전송 및 파워 연결의 정확성과 신뢰성이 향상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서브스트레이트(401)는 가요성 보드이며, 파워 연결 라인(4071)과 신호 수집 라인(4021) 중 적어도 하나는 서브스트레이트(401) 상의 도전성 금속 포일(foil)을 에칭(etching)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바꾸어 말해, 파워 연결 라인(4071)과 신호 수집 라인(4021)은 에칭에 의해 서브스트레이트(401) 상에 형성된다. 따라서, 파워 연결 라인(4071)과 신호 수집 라인(4021)이 서브스트레이트(401) 상에 형성되는 것이 편리해진다.
라인 슬롯(미도시)이 서브스트레이트(401)의 표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파워 연결 라인(4071)과 신호 수집 라인(4021) 중 적어도 하나가 이 라인 슬롯에 배치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파워 연결 라인(4071)과 신호 수집 라인(4021)을 라인 슬롯에 배치함으로써, 라인 슬롯은 파워 연결 라인(4071)과 신호 수집 라인(4021)을 보호하는 기능을 가지며, 따라서 신호 수집 및 파워 연결 조립체(400)의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특히, 파워 연결 라인(4071)과 신호 수집 라인(4021)을 라인 슬롯 내에 형성하는 방식에 대해 특별한 제한이 없다.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서, 파워 연결 라인(4071)과 신호 수집 라인(4021) 중 적어도 하나는 라인 슬롯에 고정된 도전성 금속 시트 또는 라인 슬롯 내의 도전성 금속 코팅에 의해 형성된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서, 파워 연결 라인(4071)과 신호 수집 라인(4021) 중 적어도 하나는 라인 슬롯 내의 도전성 금속 포일을 에칭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파워 연결 라인(4071)과 신호 수집 라인(4021) 각각의 구조는 서브스트레이트(401) 상에서 파워 연결 라인(4071)과 신호 수집 라인(4021) 각각의 그것과 유사하므로, 여기서는 생략한다.
신호 수집 부재(402)의 구조는 수집될 데이터 또는 신호의 종류에 따라 합리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서, 신호 수집 부재(402)는 온도 감지 요소, 습도 감지 요소, 압력 감지 요소, 농도 감지 요소, 전압 감지 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바꾸어 말해,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신호 수집 부재(402)는 온도 감지 요소, 습도 감지 요소, 압력 감지 요소, 농도 감지 요소, 전압 감지 요소 또는 이들의 조합 중 하나일 수 있다. 신호 수집 부재(402)는 실제 상황에 따라 합리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사용 과정에서, 신호 수집 부재9402)는 서브스트레이트(401) 상에 고정되고 신호 수집 라인(4021)과 결합되도록만 요구되어서, 신호 수집 및 파워 연결 조립체(400)를 파워 공급 배터리에 연결되도록 한다. 따라서, 신호 수집 부재(402)는 신호 수집 및 파워 연결 조립체(400)에 새로운 구성을 추가하지 않고 온도, 배터리 공기 압력, 전해질 농도 및 습도를 수집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어서, 사용하기에 편리하며, 파워 공급 배터리의 관련된 데이터가 효율적으로 수집되고, 신호 수집 및 파워 연결 조립체(400)의 데이터 수집의 정확도가 보장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서브스트레이트(401) 상의 파워 연결 부재(407)의 구조 및 조립 방식이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서, 파워 연결 부재(407)는 서브스트레이트(401) 상에 고정된 시트상 도전성 요소에 의해 형성된다. 바꾸어 말해, 파워 연결 부재(407)는 시트상 도전성 요소로서 구성되며 서브스트레이트(401) 상에 고정되어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서, 파워 연결 부재(407)은 서브스트레이트(401) 상에 고정된 도전성 금속 시트에 의해 형성된다. 특히, 파워 연결 부재(407)를 형성하는 도전성 금속 시트는 접착, 사출 성형, 열압착 및 용접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서브스트레이트(401) 상에 고정된다. 바꾸어 말해, 파워 연결 부재(407)는 접착, 사출 성형, 열압착 및 용접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서브스트레이트(401) 상에 통합된 도전성 금속 시트로서 구성되며, 따라서 신호 수집 및 파워 연결 조립체(400)를 형성하는 어려움을 감소시킨다.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서, 파워 연결 부재(407)는 서브스트레이트(401) 상의 도전성 금속 레이어에 의해 형성된다. 특히, 파워 연결 부재(407)를 형성하는 도전성 금속 레이어는 서브스트레이트(401) 상에 전기도금 또는 화학도금에 의해 형성된 도전성 금속 코팅이다. 따라서, 제2의 연결 또는 조립 없이 파워 연결 부재(407)가 서브스트레이트(401) 상에 형성되고 통합되는 것이 더욱 편리하며, 따라서 신호 전송 및 파워 연결의 정확도 및 신뢰성이 향상된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들에서, 파워 연결 부재(407)는 서브스트레이트(401) 상의 도전성 금속 포일을 에칭함으로써 형성된 도전성 영역이어서, 파워 연결 부재(407)를 서브스트레이트(401) 상에 형성하는 것이 또한 편리하다.
이에 더하여,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서, 서브스트레이트(401)는 그 표면에 파워 연결 그루브(미도시)를 포함하고, 파워 연결 부재(407)는 파워 연결 그루브 내에 고정된다. 파워 연결 부재(407)가 파워 연결 그루브 내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파워 연결 그루브는 파워 연결 부재(407)을 보호하는 기능을 가지며, 따라서 신호 수집 및 파워 연결 조립체(400)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특히, 파워 연결 그루브에서 파워 연결 부재(407)의 형성 방식에 대해서는 특별한 한정이 없다.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서, 파워 연결 부재(407)는 파워 연결 그루브 내에 고정된 도전성 금속 시트 또는 파워 연결 그루브 내의 도전성 금속 코팅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서, 파워 연결 부재(407)는 파워 연결 그루브 내의 도전성 금속 포일을 에칭함으로써 형성된다. 파워 연결 부재(407)의 구조는 서브스트레이트(401) 상의 파워 연결 부재(407)의 그것과 유사하며 여기서는 생략한다.
신호 수집 및 파워 연결 조립체(400)의 사용 도중, 신호 수집 및 파워 연결 조립체(400)의 파워 연결 부재(407)는 인접한 파워 공급 배터리들의 전극 터미널들과 결합되고, 파워 연결 부재(407)의 수가 결합될 파워 공급 배터리들의 수를 결정하며, 파워 연결 부재(407)의 배열 위치는 서로 다른 파워 공급 배터리들의 배열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서, 복수의 파워 연결 부재들(407)이 배열되되 서브스트레이트(401) 상에서 서로 이격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파워 연결 부재들(407)은 서로 평행한 복수의 열로 배열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서, 복수의 파워 연결 부재들(407)은 2열로 배열되고, 파워 연결 부재들(407)의 2개의 열은 서로 마주보는 서브스트레이트(401)의 제1 및 제2 측면 에지들을 따라 각각 연장된다. 따라서, 신호 수집 및 파워 연결 조립체(400)는 인접한 2열의 파워 연결 부재(407) 사이에 위치한다. 바꾸어 말해, 파워 연결 라인(4071)과 신호 수집 라인(4021)은 인접한 2열의 파워 연결 부재들(407) 사이에 배치되며 각각 다른 파워 연결 부재들(407)과 결합된다. 따라서, 신호 수집 및 파워 연결 조립체(400)는 다른 열에 배열된 복수의 파워 공급 배터리들을 구비한 구조물에 적용될 수 있으며, 복수의 파워 연결 부재들(407)은 인접하며 평행하게 배열된 파워 공급 배터리들의 전극 터미널들과 결합되고, 파워 연결 라인(4071)과 신호 수집 라인(4021)은 다른 파워 공급 배터리들과 외부 환경 사이에서 각각 파워 연결 또는 신호 전송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서 동일한 파워 연결 부재(407)와 결합된 파워 연결 라인(4071) 및 신호 수집 라인(4021)은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다. 따라서, 파워 연결 라인(4071) 및 신호 수집 라인(4021)은 서로 간섭되지 않으면서 서로 이격되어 배열되고, 따라서 파워 연결 라인(4071)의 파워 연결의 신뢰성과 신호 수집 라인(4021)의 신호 전송의 정확도가 보장된다.
이에 더하여,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서, 신호 수집 및 파워 연결 조립체(400)는 파워 연결 부재(407), 신호 수집 부재(402), 파워 연결 라인(4071), 신호 수집 라인(4021)을 덮기 위해 서브스트레이트(401) 상에 배치된 보호용 필름(미도시)을 더 포함한다. 특히,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보호용 필름은 서브스트레이트(401) 상의 파워 연결 부재(407), 신호 수집 부재(402), 파워 연결 라인(4071), 신호 수집 라인(4021)을 통합할 수 있다. 보호용 필름은 내압성, 절연성 및 내마모성을 가지며, 신호 수집 및 파워 연결 조립체(400)의 구조적 밀봉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보호용 필름은 파워 연결 라인(4071)과 신호 수집 라인(4021)을 보호하는 기능을 가져서, 신호 수집 및 파워 연결 조립체(400)의 안전성 및 신뢰성이 보장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서, 신호 수집 및 파워 연결 조립체(400)은 FPC 보드로서 구성되며, 파워 연결 부재(407), 파워 연결 라인(4071), 신호 수집 라인(4021)은 에칭에 의해 FPC 보드 상에 형성된다.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서, FPC 보드는 도전성 메탈 포일과 도전성 메탈 포일의 두 측면을 덮는 보호용 필름(미도시)를 포함한다. 보호성 필름은 서브스트레이트(401)에 의해 형성된다. 파워 연결 부재(407), 파워 연결 라인(4071), 신호 수집 라인(4021)은 도전성 금속 포일을 에칭함으로써 형성된다. 또한, 보호용 필름이 도전성 금속 포일의 일측면에서 보호성 필름 상에 배치된다.
바꾸어 말해, 신호 수집 및 파워 연결 조립체(400) 전체는 FPC 보드로서 형성된다. FPC 보드는 도전성 금속 포일과 도전성 금속 포일 상의 보호성 필름을 포함하며, 보호성 필름은 서브스트레이트(401)의 일부에 의해 형성된다. 도전성 금속 포일은 에칭되어 파워 연결 부재(407), 파워 연결 라인(4071), 신호 수집 라인(4021)을 형성한다.
파워 연결 라인(4071)의 라인(403)과 신호 수집 라인(4021)이 동일한 방식으로 서브스트레이트 상에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공통 라인(403)은 에칭에 의해 FPC 보드 상에 형성된다. 공통 라인(403)은 파워 연결 부재(407)와 결합된 제1 끝단과 파워 연결 라인(4071)과 신호 수집 라인(4021)의 제1 끝단들과 결합된 제2 끝단을 구비한다. 따라서, 신호 수집 및 파워 연결 조립체(400)의 형성 과정이 단순화되고 신호 수집 및 파워 연결 조립체(400)의 신뢰성이 보장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수집 및 파워 연결 조립체(400)는 커넥터(404)를 더 포함한다. 커넥터(404)는 파워 연결 라인(4071)의 제2 끝단과 신호 수집 라인(4021)의 제2 끝단과 결합된다. 특히, 커넥터(404)는 서브스트레이트(401) 상에 배치된다. 또한 커넥터(404)는 서브스트레이트(404)의 에지에 배치되며 파워 연결 라인(4071)의 제2 끝단과 신호 수집 라인(4021)의 제2 끝단은 서브스트레이트(401)의 에지로 연장된다. 이 실시예에서 커넥터(404)의 구조 및 배열은 본 개시의 앞선 실시예들에서 커넥터(404)의 그것들과 유사하며, 따라서 여기서는 생략한다.
파워 연결 부재(407)와 배터리(101) 사이의 연결 방식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예를 들어 연결 방식은 용접 또는 나사 조임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서, 파워 연결 부재(407)는 전극 터미널(411)과 용접된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서, 장착구멍이 신호 수집 및 파워 연결 조립체(400)에 형성되며, 위치결정 부재(미도시)가 배터리 그룹 상에 배치된다. 신호 수집 및 파워 연결 조립체(400)는 장착구멍 및 위치결정 부재 사이의 연결에 의해 배터리 그룹 상에 예비적으로 위치결정된다. 따라서 신호 수집 및 파워 연결 조립체(400)는 배터리 그룹과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파워 연결 부재(407)와 배터리 그룹 사이의 연결 방식이 다양하며, 따라서 높은 적용성을 제공한다.
각각의 배터리들(101) 사이의 연결 방식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서, 복수의 배터리들(101)은 직렬 연결, 병렬 연결, 또는 직병렬 연결을 통해 서로 연결되며 그 연결 방식은 임펄스 용접, 레이저빔 용접 또는 기계적 연결일 수 있다.
이 명세서에 걸쳐 '일실시예' '몇몇 실시예들', '한 실시예', '다른 실시예', '일례', '특정한 예', 또는 '몇몇 예들'과 같은 언급은 그 실시예 또는 예와 관련하여 묘사된 특정한 특징, 구조, 소재 또는 특성이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 또는 예에 포함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명세서에 걸쳐 다양한 곳에서'몇몇 실시예들에서', '한 실시예에서', '일실시예에서', '다른 예에서', '한 예에서', '특정한 예에서', 또는 '몇몇 예들에서'와 같은 어구의 등장은 반드시 본 개시의 동일한 실시예 또는 예를 언급하고 있는 것이 아니다. 또한, 특정한 특징, 구조, 소재 또는 특성들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실시예들 또는 예들에서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다.
설명하기 위한 실시예들이 보여지고 묘사되었으나, 앞서의 실시예들이 본 개시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으며, 변경, 대체, 개조가 본 개시의 참뜻, 원리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도 실시예들에 가해질 수 있다는 것이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인지될 것이다.
Claims (49)
- 복수의 세퍼레이터들을 구비한 배터리 수용 조립체로서, 세퍼레이터는:
전방 수용 그루브를 형성하는 전방 부분과 후방 부분을 가진 세퍼레이터 몸체;
세퍼레이터 몸체의 좌측 끝단에 배치된 좌측 커버; 및
세퍼레이터 몸체의 우측 끝단에 배치된 우측 커버를 포함하고,
인접한 세퍼레이터들은 서로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며, 인접한 세퍼레이터들 중 하나의 전방 수용 그루브와 인접한 세퍼레이터들 중 다른 하나의 후방 부분이 배터리 챔버를 형성하는 배터리 수용 조립체와,
배터리 챔버들에 대응하여 수용된 복수의 배터리들을 포함하는 배터리 그룹으로서 배터리는 전극 터미널을 구비하는 배터리 그룹과;
세퍼레이터 상에 장착되는 신호 수집 및 파워 연결 조립체로서:
서브스트레이트;
서브스트레이트에 고정되고 전극 터미널에 연결된 파워 연결 부재;
서브스트레이트 상에 배치된 제1 시트상 전도성 요소에 의해 형성되고, 파워 연결 부재에 연결된 제1 끝단과 제2 끝단이 형성된 파워 연결 라인;
서브스트레이트 상에 배치된 제2 시트상 전도성 요소로 형성되고, 파워 연결 부재에 연결된 제1 끝단과 제2 끝단이 형성된 신호 수집 라인; 및
서브스트레이트 상에 배치되고 신호 수집 라인과 연결되는 신호 수집 부재를 포함하는 신호 수집 및 파워 연결 조립체를 포함하는 파워 배터리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세퍼레이터 몸체의 후방 부분은 후방 수용 그루브를 형성하며, 전방 노치가 전방 수용 그루브의 좌측 및 우측 벽체들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고, 전방 노치에 대응하는 후방 노치가 후방 수용 그루브의 좌측 및 우측 벽체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파워 배터리 모듈. - 제2항에 있어서,
세퍼레이터 몸체는:
수직 플레이트;
수직 플레이트의 정상 에지에 배치된 상부 프레임 플레이트;
수직 플레이트의 바닥 에지에 배치된 하부 프레임 플레이트;
수직 플레이트의 좌측 끝단에 배치되고 상부 프레임 플레이트와 연결된 상부 끝단과 하부 프레임 플레이트에 연결된 하부 끝단을 형성하는 좌측 플레이트; 및
수직 플레이트의 우측 끝단에 배치되고 상부 프레임 플레이트와 연결된 상부 끝단과 하부 프레임 플레이트에 연결된 하부 끝단을 형성하는 우측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전방 및 후방 수용 그루브들 각각은 수직 플레이트, 상부 프레임 플레이트, 하부 프레임 플레이트, 좌측 플레이트 및 우측 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되는 파워 배터리 모듈. - 제3항에 있어서,
윈도우가 수직 플레이트에 형성되어 전방 수용 그루브와 후방 수용 그루브를 연통시키고,
삽입구멍이 상부 프레임 플레이트에 형성되고, 삽입구멍과 줄맞춰진 삽입 그루브가 수직 플레이트에 형성되며, 절연 플레이트 또는 열전도 플레이트가 삽입구멍 및 삽입 그루브를 통해 윈도우로 삽입되는 파워 배터리 모듈. - 제3항에 있어서,
전방 노치는 좌측 플레이트 및 우측 플레이트 각각의 전방 에지에 형성되고, 후방 노치는 좌측 플레이트 및 우측 플레이트 각각의 후방 에지에 형성되는 파워 배터리 모듈. - 제3항에 있어서,
상부 프레임 플레이트의 좌측 끝단은 좌측 플레이트를 넘어 좌측으로 연장되어서 좌상부 연장부를 형성하고, 하부 프레임 플레이트의 좌측 끝단은 좌측 플레이트를 넘어 좌측으로 연장되어서 좌하부 연장부를 형성하며, 상부 프레임 플레이트의 우측 끝단은 우측 플레이트를 넘어 우측으로 연장되어서 우상방 연장부를 형성하고, 하부 프레임 플레이트의 우측 끝단은 우측 플레이트를 넘어 우측으로 연장되어서 우하부 연장부를 형성하며,
스냅핑 슬롯이 좌상부 연장부, 좌하부 연장부, 우상부 연장부 및 우하부 연장부 각각에 형성되는 파워 배터리 모듈. - 제6항에 있어서,
좌상부 연장부의 스냅핑 슬롯에 스냅된 좌상부 클래스프와 좌하부 연장부의 스냅핑 슬롯에 스냅된 좌하부 클래스프는 좌측 커버의 우측 표면 상에 배치되고, 우상부 연장부의 스냅핑 슬롯에 스냅된 우상부 클래스프와 우하부 연장부의 스냅핑 슬롯에 스냅된 우하부 클래스프는 우측 커버의 좌측 표면에 배치된 파워 배터리 모듈. - 제5항에 있어서,
좌측 커버 및 우측 커버는 좌측 플레이트 및 우측 플레이트의 전후 방향 폭과 같거나 더 크고, 상부 프레임 플레이트 및 하부 프레임 플레이트의 전후 방향 폭과 같거나 더 작은 전후 방향 폭을 가지는 파워 배터리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커버 삽입 슬롯이 세퍼레이터 몸체에 형성되고, 커버 삽입 슬롯에 스냅되기에 적합한 연결 클래스프가 좌측 커버 및 우측 커버 각각에 배치된 파워 배터리 모듈. - 제3항 내지 제9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세퍼레이터 몸체는 일체로 형성된 파워 배터리 모듈. - 제2항에 있어서,
환형 단차가 전방 및 후방 수용 그루브들 중 적어도 하나의 바닥 벽체에 배치되거나, 또는 전방 및 후방 수용 그루브들 중 적어도 하나의 바닥 벽체의 표면이 바닥 벽체의 주변부로부터 바닥 벽체의 중앙으로 하방으로 기울어진 파워 배터리 모듈. - 제3항에 있어서,
전방 단차가 상부 및 하부 프레임 플레이트 각각의 전방 측면 에지에 배치되고, 후방 단차가 상부 및 하부 프레임 플레이트 각각의 후방 측면 에지에 배치되는 파워 배터리 모듈. - 제12항에 있어서,
전방 단차는 하방으로 바라보는 제1 전방 단차 세그먼트와 상방으로 바라보는 제2 전방 단차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후방 단차는 상방으로 바라보며 제1 전방 단차 세그먼트에 대응하는 제1 후방 단차 세그먼트와 하방으로 바라보며 제2 전방 단차 세그먼트에 대응하는 제2 후방 단차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파워 배터리 모듈. - 제2항 내지 제13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세퍼레이터들 각각은 상하 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전방 수용 그루브들과 상하 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전방 수용 그루브들과 일대일 대응관계에 있는 복수의 후방 수용 그루브들을 포함하고, 인접한 전방 수용 그루브들은 전방 분리 플레이트에 의해 서로 분리되며, 인접한 후방 수용 그루브들은 후방 분리 플레이트에 의해 서로 분리되는 파워 배터리 모듈. - 제2항 내지 제14항 중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전방 노치들은 상하 방향으로 서로로부터 이격되어 배열되며, 복수의 후방 노치들은 상하 방향으로 서로로부터 이격되어 배열되는 파워 배터리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좌측 및 우측 커버들은 세퍼레이터 몸체 상에 탈착가능하게 배치되거나 세퍼레이터 몸체와 일체로 형성되는 파워 배터리 모듈. - 제2항에 있어서,
복수의 세퍼레이터들 중 가장 전방의 세퍼레이터에 끼워맞춰지고 그 후방 측면 표면에 후방 그루브가 형성된 전방 플레이트와,
복수의 세퍼레이터들 중 가장 후방의 세퍼레이터에 끼워맞춰지고 그 전방 측면 표면에 전방 그루브가 형성된 후방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전방 플레이트의 후방 그루브와 가장 전방의 세퍼레이터의 전방 수용 그루브는 가장 전방의 배터리 챔버를 형성하며, 전방 그루브와 가장 후방의 세퍼레이터의 후방 수용 그루브는 가장 후방의 배터리 챔버를 형성하는 파워 배터리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인접한 세퍼레이터들은 스냅핑 구조물을 통해 서로 탈착가능하게 연결된 파워 배터리 모듈. - 제18항에 있어서,
스냅핑 구조물은:
인접한 세퍼레이터들 중 하나에 형성된 스냅핑 그루브와,
인접한 세퍼레이터들 중 다른 하나에 배치되고 스냅핑 그루브에 스냅되어 인접한 세퍼레이터들을 함께 체결하는 스냅핑 텅을 포함하는 파워 배터리 모듈. - 제19항에 있어서,
전방 노치가 전방 수용 그루브의 좌측 벽체 및 우측 벽체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고, 관통구멍이 인접한 세퍼레이터들 중 하나의 전방 노치와 인접한 세퍼레이터들 중 다른 하나의 후방 부분에 의해 형성되는 파워 배터리 모듈. - 제19항에 있어서,
세퍼레이터의 후방 부분은 후방 수용 그루브를 형성하고, 배터리 챔버는 인접한 세퍼레이터들 중 하나의 전방 수용 그루브와 인접한 세퍼레이터들 중 다른 하나의 후방 수용 그루브에 의해 형성되며,
전방 노치가 전방 수용 그루브의 좌측 벽체 및 우측 벽체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고, 후방 노치가 후방 수용 그루브의 좌측 벽체 및 우측 벽체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며, 관통구멍은 서로 대응하는 전방 및 후방 노치들에 의해 형성되는 파워 배터리 모듈. - 제21항에 있어서,
세퍼레이터 몸체는:
수직 플레이트와,
수직 플레이트의 정상 에지에 배치된 상부 프레임 플레이트와,
수직 플레이트의 바닥 에지에 배치된 하부 프레임 플레이트와,
수직 플레이트의 좌측 끝단에 배치되고 상부 프레임 플레이트에 연결된 상부 끝단과 하부 프레임 플레이트에 연결된 하부 끝단을 형성하는 좌측 플레이트와,
수직 플레이트의 우측 끝단에 배치되고 상부 프레임 플레이트에 연결된 상부 끝단과 하부 프레임 플레이트에 연결된 하부 끝단을 형성하는 우측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전방 및 후방 수용 그루브들 각각은 수직 플레이트, 상부 프레임 플레이트, 하부 프레임 플레이트, 좌측 플레이트 및 우측 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되는 파워 배터리 모듈. - 제22항에 있어서,
스냅핑 그루브가 상부 프레임 플레이트의 전방 및 후방 에지 중 하나에 형성되고, 스냅핑 텅이 상부 프레임 플레이트의 전방 및 후방 에지 중 다른 하나에 배치되는 파워 배터리 모듈. - 제22항에 있어서,
스냅핑 그루브가 하부 프레임 플레이트의 전방 및 후방 모시러 중 하나에 형성되고, 스냅핑 텅이 하부 프레임 플레이트의 전방 및 후방 모러시 중 다른 하나에 배치되는 파워 배터리 모듈. - 제19항에 있어서,
스냅핑 텅은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며 가이딩 슬로프가 스냅핑 그루브의 개구에 형성된 파워 배터리 모듈. - 제22항 내지 제25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윈도우가 수직 플레이트에 형성되어 전방 수용 그루브를 후방 수용 그루브와 연통시키고, 절연 플레이트 또는 열전도 플레이트가 윈도우에 배치된 파워 배터리 모듈. - 제18항에 있어서,
스냅핑 구조물은:
세퍼레이터 몸체에 형성된 스냅핏 그루브와,
적어도 2개의 세퍼레이터들의 스냅핏 그루브들에 각각 끼워맞춰져서 적어도 2개의 세퍼레이터들을 연결하는 적어도 2개의 장착부를 구비한 스냅핏 핀을 포함하는 파워 배터리 모듈. - 제27항에 있어서,
스냅핏 핀은 연결 브리지를 더 포함하고, 2개의 장착부들은 연결 브리지의 2개의 끝단에 각각 배치되며 인접한 세퍼레이터의 스냅핏 그루브에 끼워맞춰져서 인접한 세퍼레이터들을 서로 연결하고, 스냅핏 그루브는 개구를 가지며, 인접한 세퍼레이터들의 스냅핏 그루브들의 개구들은 연결 브리지를 수용하기 위해 서로 마주보는 파워 배터리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신호 수집 및 파워 연결 조립체는:
서브스트레이트 상에 배치된 제3 시트상 도전체에 의해 형성되고 파워 연결 부재에 결합된 제1 끝단과 파워 연결 라인과 신호 수집 라인 각각의 제1 끝단들에 결합된 제2 끝단을 형성하는 공통 라인을 더 포함하는 파워 배터리 모듈. - 제29항에 있어서,
신호 수집 및 파워 연결 조립체는 파워 연결 라인의 제2 끝단과 신호 수집 라인의 제2 끝단을 결합하는 커넥터를 더 포함하는 파워 배터리 모듈. - 제30항에 있어서,
커넥터는 서브스트레이트 상에 배치되고 서브스트레이트의 에지에 위치하며, 파워 연결 라인의 제2 끝단과 신호 수집 라인의 제2 끝단은 서브스트레이트의 에지로 연장되는 파워 배터리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서브스트레이트는 가요성 보드를 포함하는 파워 배터리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파워 연결 라인과 신호 수집 라인 중 적어도 하나는 서브스트레이트 상에 고정된 도전성 금속 시트에 의해 형성되는 파워 배터리 모듈. - 제33항에 있어서,
파워 연결 라인 및 신호 수집 라인 중 적어도 하나를 형성하는 도전성 금속 시트는 접착, 사출 성형, 열압착 및 용접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서브스트레이트 상에 고정되는 파워 배터리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파워 연결 라인과 신호 수집 라인 중 적어도 하나는 서브스트레이트 상의 도전성 금속 레이어에 의해 형성되고, 도전성 금속 레이어는 서브스트레이트 상의 도전성 금속 코팅인 파워 배터리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서브스트레이트는 가요성 보드를 포함하고, 파워 연결 라인과 신호 수집 라인 중 적어도 하나는 서브스트레이트 상의 도전성 금속 포일을 에칭함으로써 형성되는 파워 배터리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서브스트레이트는 가요성 보드를 포함하고, 그 표면에 형성된 라인 슬롯을 포함하며, 파워 연결 라인과 신호 수집 라인 중 적어도 하나는 라인 슬롯 내에 배치되고,
파워 연결 라인과 신호 수집 라인 중 적어도 하나는 라인 슬롯 내에 고정된 도전성 금속 시트 또는 라인 슬롯 내에 코팅된 전도성 금속에 의해 형성되거나, 파워 연결 라인 및 신호 수집 라인 중 적어도 하나는 라인 슬롯 내의 도전성 금속 포일을 에칭함으로써 형성되는 파워 배터리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신호 수집 부재는 온도 감지 요소, 습도 감지 요소, 압력 감지 요소, 농도 감지 요소, 전압 감지 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파워 배터리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파워 연결 부재는 서브스트레이트 상에 고정된 도전성 금속 시트에 의해 형성되는 파워 배터리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파워 연결 부재는 서브스트레이트 상의 도전성 금속 레이어에 의해 형성되고, 도전성 금속 레이어는 서브스트레이트 상의 도전성 금속 코팅을 포함하는 파워 배터리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파워 연결 부재는 서브스트레이트 상의 도전성 금속 포일을 에칭함으로써 형성된 도전성 영역을 포함하는 파워 배터리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서브스트레이트는 그 표면에 파워 연결 그루브를 포함하고, 파워 연결 부재는 파워 연결 그루브 내에 고정되며,
파워 연결 부재는 파워 연결 그루브 내에 고정된 도전성 금속 시트 또는 파워 연결 그루브 내의 도전성 금속 코팅에 의해 형성되거나, 파워 연결 부재는 파워 연결 그루브 내의 도전성 금속 포일을 에칭함으로써 형성되는 파워 배터리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신호 수집 및 파워 연결 조립체는 파워 연결 부재, 신호 수집 부재, 신호 수집 라인 및 파워 연결 라인을 덮기 위한 서브스트레이트 상에 배치된 보호용 필름을 더 포함하는 파워 배터리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신호 수집 및 파워 연결 조립체는 FPC 보드로서 구성되고, 파워 연결 부재, 파워 연결 라인 및 신호 수집 라인은 에칭에 의해 FPC 보드 상에 형성되는 파워 배터리 모듈. - 제44항에 있어서,
FPC 보드는:
도전성 금속 포일과
도전성 금속 포일의 두 측면들을 덮으며 서브스트레이트의 일부에 의해 형성된 보호성 필름을 포함하고,
파워 연결 부재, 파워 연결 라인 및 신호 수집 라인은 도전성 금속 포일을 에칭함으로써 형성되는 파워 배터리 모듈. - 제45항에 있어서,
신호 수집 및 파워 연결 조립체는 도전성 금속 포일의 일측면에서 보호성 필름 상의 보호용 필름을 더 포함하는 파워 배터리 모듈. - 제44항에 있어서,
공통 라인은 에칭에 의해 FPC 보드 상에 형성되고, 공통 라인은 파워 연결 부재에 결합된 제1 끝단과 파워 연결 라인 및 신호 수집 라인의 제1 끝단들에 결합된 제2 끝단을 형성하는 파워 배터리 모듈. - 제44항 또는 제47항에 있어서,
신호 수집 및 파워 연결 조립체는 서브스트레이트 상에 배치되고 서브스트레이트의 에지에 배치된 커넥터를 더 포함하고, 파워 연결 라인과 신호 수집 라인의 제2 끝단들은 서브스트레이트의 에지로 연장되어 커넥터와 결합되는 파워 배터리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장착구멍이 신호 수집 및 파워 연결 조립체에 형성되고, 위치결정 부재가 세퍼레이터 상에 배치되며,
신호 수집 및 파워 연결 조립체는 장착구멍과 위치결정 부재 사이의 연결에 의해 서브스트레이트 상에 예비적으로 위치결정되는 파워 배터리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CN201310753892.8A CN104752667B (zh) | 2013-12-31 | 2013-12-31 | 动力电池模组 |
CN201310753892.8 | 2013-12-31 | ||
PCT/CN2014/095829 WO2015101321A1 (en) | 2013-12-31 | 2014-12-31 | Power battery modul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04051A true KR20160104051A (ko) | 2016-09-02 |
KR101944530B1 KR101944530B1 (ko) | 2019-01-31 |
Family
ID=53493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7020839A KR101944530B1 (ko) | 2013-12-31 | 2014-12-31 | 파워 배터리 모듈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20160301109A1 (ko) |
EP (1) | EP3063806B1 (ko) |
JP (1) | JP6274633B2 (ko) |
KR (1) | KR101944530B1 (ko) |
CN (1) | CN104752667B (ko) |
WO (1) | WO2015101321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9066213A1 (ko) * | 2017-09-29 | 2019-04-04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배터리 모듈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075068B (zh) * | 2016-11-16 | 2021-07-23 | 奥动新能源汽车科技有限公司 | 一种车载动力电池箱 |
CN108666515A (zh) * | 2017-03-30 | 2018-10-16 | 奥动新能源汽车科技有限公司 | 汇流板及含其的电池模组 |
CN109428020B (zh) * | 2017-08-31 | 2024-04-16 |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 框体以及电池模组 |
CN109193072B (zh) * | 2018-09-15 | 2019-09-03 | 广州市力鼎机械设备有限公司 | 一种新能源汽车电池模组散热组件 |
US10811646B2 (en) | 2018-10-31 | 2020-10-20 |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 Electrified vehicle with auxiliary battery rack having collapsible frame and corresponding method |
CN114614181A (zh) * | 2022-03-21 | 2022-06-10 | 华东交通大学 | 新能源汽车用动力电池包防撞装置及其应用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163932A (ja) * | 2007-12-28 | 2009-07-23 | Sharp Corp | 電池パック |
KR20100026986A (ko) * | 2008-08-29 | 2010-03-10 |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 배터리 시스템 |
CN101944580A (zh) | 2010-09-17 | 2011-01-12 | 卧龙电气集团股份有限公司 | 一种锂离子聚合物电池组组装结构及组装方法 |
US20110076521A1 (en) | 2009-09-30 | 2011-03-31 | Kabushiki Kaisha Toshiba | Battery unit and secondary battery assembly equipped with the battery unit |
US20110135970A1 (en) * | 2009-12-03 | 2011-06-09 | Samsung Sdi Co., Ltd. | Circuit substrate module and battery module using the same |
CN202839812U (zh) | 2012-08-28 | 2013-03-27 | 惠州比亚迪电池有限公司 | 一种动力连接及信号采集的集成组件 |
KR20130125334A (ko) * | 2012-05-08 | 2013-11-18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배터리 팩 |
JP2013251124A (ja) * | 2012-05-31 | 2013-12-12 | Honda Motor Co Ltd | 蓄電モジュール |
Family Cites Families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972544B2 (en) | 2003-10-14 | 2005-12-06 | Black & Decker Inc. | Apparatus for interconnecting battery cells in a battery pack and method thereof |
JP2008166191A (ja) | 2006-12-28 | 2008-07-17 | Sanyo Electric Co Ltd | 電池パック |
JP4508221B2 (ja) * | 2007-08-27 | 2010-07-21 | 豊田合成株式会社 | 組電池装置 |
CN201303033Y (zh) | 2008-08-06 | 2009-09-02 | 顺达科技股份有限公司 | 整合型软性复合基板结构 |
JP5305780B2 (ja) * | 2008-08-19 | 2013-10-02 | 三洋電機株式会社 | 車両用の組電池 |
KR101700254B1 (ko) * | 2009-05-14 | 2017-01-26 | 가부시키가이샤 지에스 유아사 | 집합 전지 |
US9147916B2 (en) * | 2010-04-17 | 2015-09-29 | Lg Chem, Ltd. | Battery cell assemblies |
CN102544616B (zh) * | 2010-12-08 | 2014-07-30 | 比亚迪股份有限公司 | 一种电池模组 |
US8709644B2 (en) * | 2011-01-06 | 2014-04-29 |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 Battery cell separator |
JP6012595B2 (ja) * | 2011-03-29 | 2016-10-25 | 三洋電機株式会社 | バッテリモジュール、バッテリシステム、電動車両、移動体、電力貯蔵装置、電源装置および電気機器 |
JP5739244B2 (ja) * | 2011-06-14 | 2015-06-24 | 矢崎総業株式会社 | 電池状態通知ユニット、バスバモジュール、組電池、及び、電池状態監視システム |
JP2013016321A (ja) * | 2011-07-01 | 2013-01-24 | Sharp Corp | 集電体および非水系二次電池 |
JP5733171B2 (ja) * | 2011-11-18 | 2015-06-10 |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 電池配線モジュール、電池配線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および電池配線モジュールを備えた電源装置 |
JP2013152918A (ja) * | 2011-12-26 | 2013-08-08 |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 配線モジュール |
KR101320393B1 (ko) | 2012-03-23 | 2013-10-23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배터리 모듈 |
WO2014075630A1 (en) * | 2012-11-19 | 2014-05-22 | Shenzhen Byd Auto R & D Company Limited | Protective device and protective system for battery assembly |
-
2013
- 2013-12-31 CN CN201310753892.8A patent/CN104752667B/zh active Active
-
2014
- 2014-12-31 WO PCT/CN2014/095829 patent/WO2015101321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4-12-31 KR KR1020167020839A patent/KR101944530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4-12-31 EP EP14877223.9A patent/EP3063806B1/en active Active
- 2014-12-31 JP JP2016544120A patent/JP6274633B2/ja active Active
-
2016
- 2016-06-21 US US15/188,393 patent/US20160301109A1/en not_active Abandoned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163932A (ja) * | 2007-12-28 | 2009-07-23 | Sharp Corp | 電池パック |
KR20100026986A (ko) * | 2008-08-29 | 2010-03-10 |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 배터리 시스템 |
US20110076521A1 (en) | 2009-09-30 | 2011-03-31 | Kabushiki Kaisha Toshiba | Battery unit and secondary battery assembly equipped with the battery unit |
US20110135970A1 (en) * | 2009-12-03 | 2011-06-09 | Samsung Sdi Co., Ltd. | Circuit substrate module and battery module using the same |
CN101944580A (zh) | 2010-09-17 | 2011-01-12 | 卧龙电气集团股份有限公司 | 一种锂离子聚合物电池组组装结构及组装方法 |
KR20130125334A (ko) * | 2012-05-08 | 2013-11-18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배터리 팩 |
JP2013251124A (ja) * | 2012-05-31 | 2013-12-12 | Honda Motor Co Ltd | 蓄電モジュール |
CN202839812U (zh) | 2012-08-28 | 2013-03-27 | 惠州比亚迪电池有限公司 | 一种动力连接及信号采集的集成组件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9066213A1 (ko) * | 2017-09-29 | 2019-04-04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배터리 모듈 |
US11031659B2 (en) | 2017-09-29 | 2021-06-08 | Lg Chem, Ltd. | Battery modul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3063806A1 (en) | 2016-09-07 |
KR101944530B1 (ko) | 2019-01-31 |
CN104752667B (zh) | 2018-02-09 |
EP3063806B1 (en) | 2017-11-08 |
WO2015101321A1 (en) | 2015-07-09 |
EP3063806A4 (en) | 2016-12-21 |
JP2017514265A (ja) | 2017-06-01 |
CN104752667A (zh) | 2015-07-01 |
JP6274633B2 (ja) | 2018-02-07 |
US20160301109A1 (en) | 2016-10-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86371B1 (ko) | 파워 배터리 모듈 | |
KR101944530B1 (ko) | 파워 배터리 모듈 | |
KR101886787B1 (ko) | 파워 배터리 모듈 | |
KR101886370B1 (ko) | 배터리 수용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파워 배터리 모듈 | |
JP5344932B2 (ja) | 中型または大型電池モジュール | |
KR101806997B1 (ko) | 배터리 모듈 | |
US10205204B2 (en) | Battery module of cartridge stacking structure | |
US9991485B2 (en) | Battery module having venting guiding portion | |
EP3416209B1 (en) | Integrated cartridge and battery pack comprising same | |
EP3667764A1 (en) | Battery module | |
CN103262293A (zh) | 二次电池 | |
KR102564496B1 (ko) | 접속 플레이트를 구비한 배터리 팩 및 전자 디바이스 및 자동차 | |
WO2019103400A1 (ko) | 연결 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