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140131755A - staff for level measurement - Google Patents

staff for level measure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1755A
KR20140131755A KR1020130050752A KR20130050752A KR20140131755A KR 20140131755 A KR20140131755 A KR 20140131755A KR 1020130050752 A KR1020130050752 A KR 1020130050752A KR 20130050752 A KR20130050752 A KR 20130050752A KR 20140131755 A KR20140131755 A KR 201401317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rker
hinge
hinged
fixing
guide ba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bandoned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07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노희아
Original Assignee
노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희아 filed Critical 노희아
Priority to KR1020130050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31755A/en
Publication of KR20140131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1755A/en
Abandon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02Rulers with scales or marks for direct read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9/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9/06Measuring telescop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01C15/02Means for marking measuring poi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5/00Measuring height; Measuring distances transverse to line of sight; Levelling between separated points; Surveyors' leve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3/00Telescopes, e.g. binoculars; Periscopes;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Viewfinders; Optical aiming or sight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벨 측정용 스타프가 개시되는 것으로, 덮개(10)와, 몸체(20), 승하강체(30), 제1가이드봉(40), 수평레벨측정체(50), 마커체(60), 하부레벨측정체(70)로 구비되어 스타프를 이용하여 수평레벨을 측정하는 과정에서 렉기어부와 피니언기어부에 의한 승하강체를 통해 수평레벨측정체와 마커체의 승강 및 하강 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또한 수평레벨측정체와 마커체의 위치각도를 자유롭게 가변시킬 수 있음에 따라 측정위치 주변의 장애물을 피해 정확한 레벨측정이 가능하며, 마커체를 더 구비하되 마커체의 각도가 자유롭게 가변될 뿐만 아니라 철근 등의 구조물에 정확한 마킹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level measuring staff comprising a lid 10, a body 20, a lifting body 30, a first guide rod 40, a horizontal level measuring body 50, a marker body 60 ) And a lower level measuring body 70. In the process of measuring the horizontal level using the staff, the elevating and lowering operations of the horizontal level measuring body and the marker body are performed through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body by the gear gear portion and the pinion gear portion Since the position angle between the horizontal level measuring body and the marker body can be changed freely,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measure the level by avoiding the obstacle around the measurement position. Further, the marker body is further provided, In addition, accurate marking can be performed on structures such as reinforcing bars.

Description

레벨 측정용 스타프{staff for level measurement}Staff for level measurement

본 발명은 레벨 측정용 스타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타프의 일측에 승하강되는 수평레벨센서와 망원경과 센서로 이루어진 수평레벨측정체를 더 구비하고 이들의 각도가 가변되도록 구비하여 측정위치 주변의 장애물에 관계없이 정확한 측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뿐만 아니라, 마커체를 더 구비하되 마커체의 높낮이는 물론 각도가 가변되도록 한 레벨 측정용 스타프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vel measuring staff, and more particularly, to a horizontal level measuring instrument comprising a horizontal level sensor, a telescope and a sensor, which are raised and lowered at one side of a st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veling instrument for measuring a level of a marker body, which is provided with a marker body, but also has a variable angle as well as an accurate measurement, regardless of an obstacle around the position.

일반적으로 건설 현장 등에서의 시공바닥면에 대한 수평면을 이루도록 하기 위해서는 수평레벨을 측정하는 바, 이와 같이 수평레벨측정을 위해 측정레벨기 및 스타프가 사용되고 있다.Generally, in order to make a horizontal plane with respect to a construction floor in a construction site or the like, a horizontal level is measured. In this way, a measurement level and a staff are used for horizontal level measurement.

즉, 측정레벨기는 일방향 또는 360ㅀ방향으로 레이저를 조사하는데, 이 때 레이저는 수평방향으로 조사됨으로써 시공바닥면의 수평레벨을 맞추기 위한 기준이 된다.That is, the measurement level unit irradiates the laser in the one direction or the 360 ° direction, and the laser is irradi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reby becoming the reference for adjusting the horizontal level of the construction floor.

종래 측정레벨기와 스타프를 이용하여 수평레벨을 측정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작업자가 바닥에 삼각대에 의하여 지지되는 측정레벨기에서 수평 방향으로 조사되는 레이저를 기준으로 하여 콘크리트로 타설하고자 하는 시공바닥면까지의 이격거리를 미리 정하고, 기둥을 이루는 철근구조나 벽체나 옹벽을 만들기 위한 거푸집에 스타프를 기대거나 근접시킨 상태에서 상기 측정레벨기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를 기준으로 이격거리에 해당하는 스타프의 눈금 부분에 마커를 이용하여 대응되는 철근구조 또는 거푸집에 지시선을 표시하는 것이며, 이후 지시선까지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시공바닥면을 완성하는 것이다.A conventional method of measuring a horizontal level using a measurement level and a staff is as follows. An operator uses a laser beam irradiated in a horizontal direction on a measurement level machine supported by a tripod on a floor, And the distance from the laser beam irradiated from the measurement level device is measured in a state in which the staff is leaned or brought close to the mold for forming the reinforcing bar structure or the wall or the retaining wall. The marker is used to mark the scale line or the leader line on the corresponding reinforcing structure or form, and concrete is laid up to the leader line to complete the construction floor.

이와 같이, 수평 방향으로 조사되는 측정레벨기의 레이저 및 스타프를 이용하여 이격거리를 미리 정하고 정해진 이격거리를 지시하는 부분의 철근구조 또는 거푸집에 마커로 지시선을 표시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spacing distance is determined in advance by using the laser and the staff of the measurement level period irradi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leader line is displayed on the reinforcing structure or the die of the portion indicating the predetermined spacing distance.

그러나, 시공현장에는 철근구조나 거푸집이 복잡하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스타프의 눈금 부분에 측정레벨기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를 정확하게 맞추기 어렵고, 또한 측정된 위치에 오는 철근구조 또는 거푸집에 지시선을 정확히 표시하기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reinforcing structure or the formwork is complicatedly installed at the construction site, it is difficult to precisely match the laser irradiated from the measurement level device to the scale portion of the staff, and the leader line is correctly displayed on the reinforcing structure or die coming to the measured pos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very difficult to do.

특히, 철근구조 사이로 마커를 집어넣어 지시선을 표시할 경우 지시선이 제대로 표시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로 인해 여러 개의 지시선들 사이에 오차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In particular, when a marker is inserted between the reinforcing structures, a leader line is not displayed properly.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an error occurs between a plurality of leader lines.

대개의 시공현장에서는 20~30㎡ 면적 단위로 기둥을 시공하고 있는 바, 이에 따라 기둥을 이루는 수많은 철근구조가 존재하게 되고 수많은 거푸집이 설치되기 때문에, 이들 수많은 철근구조 및 거푸집들에 의해 측정레벨기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가 철근구조 또는 거푸집 등에 부딪히게 됨으로써 측정하고자 하는 위치의 스타프에 제대로 조사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In most construction sites, the columns are installed in the area of 20 ~ 30m2, so that there are many reinforcing structures forming the columns and a lot of formworks are installed. Therefore, by these many reinforcing structures and shape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laser irradiated from the laser beam collides with the reinforcing steel structure or the mold and is not properly irradiated to the staff at the position to be measured.

이는, 측정레벨기의 레이저가 직진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측정하고자 하는 위치의 앞부분에 철근구조 또는 거푸집 등이 있을 경우에는 이들 철근구조 또는 거푸집에 레이저빔이 닿게 되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the laser beam at the measurement level has a straightness, for example, when there is a reinforcing structure or a mold at the front of the position to be measured, the laser beam comes into contact with the reinforcing structure or the mold.

이러한 문제점은, 결국 수평레벨 측정이 정교하게 이루어지지 못한 결과를 가져오게 됨으로써 콘크리트를 타설하더라도 결국에는 시공바닥면이 수평을 이루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Such a problem results in that the horizontal level measurement can not be precisely performed, and consequently, even if the concrete is laid, the floor of the construction can not be leveled at all.

또한, 지시선을 표시하기 위하여 작업자는 스타프를 잡고 다른 작업자는 스타프의 특정 눈금에 대응되는 곳에 마커로 지시선을 표시하여야 하였으므로, 지시선을 표시하기 위하여 여러 작업자가 함께 움직여야 함으로써 인건비 가중을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으며, 복잡한 철근구조 사이로 마커를 집어넣어 표시하여야 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하여 결국 지시선을 표시하는데 많은 시간 및 노력이 요구됨으로써 공사기간이 지연되는 원인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In order to display the leader line, the operator must hold the staff member and the other worker must mark the leader line with the marker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scale of the staff member. Therefore, the worker must move together to display the leader line, And it is necessary to make efforts to display markers between complex reinforcing structures. Therefore, it takes a lot of time and effort to display the leader lines, which causes the construction period to be delayed.

뿐만 아니라, 수평레벨의 측정위치에 따라 스타프를 승강시켜야 하는 바, 대개 스타프가 2중 또는 3중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이들을 뽑아내어 스타프를 올려야 하는 바 2m 정도 높이를 갖는 스타프를 올려 수평레벨을 측정함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taff has to be raised or lowered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position of the horizontal level, since the staff usually has a double or triple structure, the staff having a height of about 2 m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easy to measure the horizontal level.

종래 기술로서, 등록특허 10-1151716호인 마커분사식 스타프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눈금이 표시된 스타프몸체, 상기 스타프몸체에 설치되어 레이저를 수광할 때 수광신호를 발생하는 레이저디텍터, 상기 레이저디텍터의 하부측의 상기 스타프몸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지시선을 표시하기 위한 마커용액을 분사하는 마커분사부 및 상기 마커분사부를 작동시키는 마커분사작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커분사부는, 상기 스타프몸체에 설치되는 분사부몸체와, 상기 분사부몸체에 착탈되는 것으로서 특정 색상의 마커용액이 수용되는 용기와, 상기 용기에서 상기 마커용액을 압송하기 압송부와, 상기 압송부에 의하여 압송되는 상기 마커용액을 분사하는 노즐을 포함하며, 상기 압송부는, 상기 용기 바닥까지 연장되는 호스와, 상기 호스로 마커용액을 흡입한 후 상기 노즐로 상기 마커용액을 공급하는 펌프와, 상기 펌프를 동작시키는 동작단을 포함하고, 상기 마커분사작동부는 상기 분사부몸체에 설치되는 감속모터 및 상기 감속모터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동작단을 누르는 캠을 가지는 작동부로 구성되어 있다.As a conventional technique, a marker injection type star, which is a registered trademark 10-1151716, has been developed, which is a staple body having a graduated scale, a laser detector installed on the star body to generate a light receiving signal when receiving the laser, And a marker spraying part for spraying a marker solution for displaying a leader line and a marker spraying operation part for operating the marker spraying part, the marker spraying part being installed on the stuf body on the lower side of the detector, A container in which a marker solution of a specific color is attached and detached to / from the jetting section body; a press-feeding section for press-feeding the marker solution in the container; and a marker solution Wherein the press transfer section comprises: a hose extending to the bottom of the container; and a nozzle for sucking the marker solution with the hose A pump for supplying the marker solution to the nozzle, and an operation end for operating the pump, wherein the marker injection operation unit includes a deceleration motor installed in the injection unit body, As shown in Fig.

이러한 종래 기술은, 레이저레벨기에서 조사되는 레이저를 레이저디텍터에서 수광하여 대응되는 수광신호가 발생되면 마커분사부에서 마커용액이 분사됨으로써 기둥을 이루는 여러 개의 철근구조나 벽체나 옹벽을 만들기 위한 거푸집에 지시선을 정확하게 표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In this conventional technique, when a laser beam emitted from a laser leveler is received by a laser detector and a corresponding light receiving signal is generated, a marker solution is injected from the marker ejection portion to form a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So that the leader line can be accurately displayed.

그러나, 종래 기술 역시, 직진성을 갖는 측정레벨기의 레이저가 측정위치 부근의 철근구조나 또는 거푸집 등의 장애물에 부딪힘에 따라 측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은 물론 스타프의 높이를 조절함에 따라 야기되는 문제점은 여전히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However, the conventional technique also has a problem that the measurement is not performed properly due to the laser of the measuring level having the straightness and collides with an obstacle such as a reinforcing structure near the measurement position or a formwork or the like, The problem is still not resolved.

대한민국등록특허 10-1151716호(2012.05.24 등록)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151716 (Registered on May 24, 2012) 대한민국등록특허 10-1172439호(2012.08.02 등록)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172439 (Registered on August 2, 2012)

본 발명은 스타프의 일측에 승하강되는 수평레벨측정체를 더 구비하고 수평레벨측정체의 각도가 가변되도록 하여 줌으로써 측정위치 주변의 장애물을 피해 정확한 레벨측정이 이루어지도록 한 레벨 측정용 스타프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horizontal level measuring body which is raised and lowered at one side of the staff, and a level measuring staff is provided to allow accurate level measurement by avoiding obstacles around the measuring position by making the angle of the horizontal level measuring body variable. The purpose is to provid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마커체를 더 구비하되 마커체의 각도가 자유롭게 가변될 뿐만 아니라 마커체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하여 철근 등의 구조물에 정확한 마킹이 이루어지도록 한 레벨 측정용 스타프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Yet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eveling staff which is provided with a marker body so that the angle of the marker body is freely variable and the height of the marker body is adjusted so that accurate marking is performed on the structure such as a reinforcing bar It has its purpos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인 레벨 측정용 스타프는, 표면에 레벨측정부가 표기되는 덮개와; 상기 덮개가 덮어지고 상단 일측에 수평계가 구비되며 수평계의 일측에 구비되는 승강가이드부와 일측면에 구비되는 조절구멍과 상기 조절구멍의 하부측에 위치되는 하강가이드부와 상기 하강가이드부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돌설되는 제1고정돌부 및 제2고정돌부와 상기 조절구멍이 구비되는 타측면 상단과 하단에 각각 돌설되는 제3고정돌부 및 제4고정돌부가 구비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조절구멍으로부터 노출되는 피니언기어부 및 상기 피니언기어부에 치합되는 렉기어부가 일면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피니언기어부를 회전시키는 동작에 의해 상기 몸체의 승강가이드부측으로 인출 또는 인입되어 승하강되고 상단에 연결돌부가 구비되는 승하강체와; 상기 몸체의 제3고정돌부와 제4고정돌부 및 상기 승하강체의 연결돌부를 연결하도록 제3고정돌부와 제4고정돌부 및 상기 승하강체의 연결돌부에 끼움결합되는 제1가이드봉과; 상기 제1가이드봉 상단에 힌지결합되고 제1가이드봉을 축으로 하여 자유롭게 각도가 가변되는 수평레벨측정체와; 상기 제1가이드봉 하단에 힌지결합되고 제1가이드봉을 축으로 하여 자유롭게 각도가 가변되는 마커체와; 상기 제1고정돌부 및 제2고정돌부를 연결하는 제2가이드봉과 상기 제2가이드봉에 끼워지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에 핀에 의해 결합되어 안착부로부터 상기 핀을 축으로 하여 힌지회전되는 받이부가 구비되며 내면에 눈금이 표기되는 하부레벨측정체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level measuring staff comprising: a cover having a surface level indicator; A lifting guide portion provided on one side of the leveling system, an adjusting hole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lifting guide portion, a lowering guide portion positioned on a lower side of the adjusting hole, And a third fixing protrusion and a fourth fixing protrusion respectively protruding from an upper end and a lower end of the other side where the adjusting hole is provided; A pinion gear portion provided inside the body and exposed from the adjustment hole and a lever gear portion meshing with the pinion gear portion are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bod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rotate the pinion gear portion, A lifting / lowering body having a lifting / lowering portion that is pulled out or pulled in and is provided with a connecting protrusion at an upper end thereof; A third fixing protrusion, a fourth fixing protrusion, and a first guide bar fitted to the connection protrusion of the ascending / descending rigid body so as to connect the third fixing protrusion, the fourth fixing protrusion, and the connection protrusion of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rigid body; A horizontal level measuring unit hinged to the upper end of the first guide bar and having an angle varying freely with the first guide rod as an axis; A marker body hinged to the lower end of the first guide rod and having a variable angle with the first guide rod as an axis; A second guide bar connecting the first fixing protrusion and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a seating part fitted in the second guide bar, and a receiving part coupled to the seating part by a pin and hinged by the pin from the seating part, And a lower level measuring body having a scale on the inner surface thereof.

나아가, 상기 수평레벨측정체는, 상기 제1가이드봉에 끼움결합되어 제1가이드봉을 축으로 하여 힌지회전되는 제1지지체와; 상기 제1지지체의 상단에 이 제1지지체와 제1회동핀에 의해 힌지결합되는 제2지지체와; 상기 제2지지체의 상단에 이 제2지지체와 제2회동핀에 의해 힌지결합되고 수평기준선 및 수직기준선이 구비되는 제3지지체와; 상기 제3지지체의 상단에 브라켓에 의해 고정되는 망원경과; 상기 망원경의 상단에 고정되는 센서지지체 및 상기 센서지지체에 구비되는 센서측정부로 이루어진다.Furthermore, the horizontal level measuring body may include: a first support body which is fitted to the first guide bar and is hingedly rotated about the first guide bar; A second support hinged to the upper end of the first support by the first support and the first rotation pin; A third support hinged to the upper end of the second support by the second support and the second pivot pin and having a horizontal reference line and a vertical reference line; A telescope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third support by a bracket; A sensor support fixed to an upper end of the telescope, and a sensor measurement unit provided on the sensor support.

나아가, 상기 마커체는, 상기 제1가이드봉에 끼워지는 2개의 제1마커힌지부와; 상기 2개의 제1마커힌지부에 일측이 제1마커힌지핀에 의해 각각 힌지결합되는 2개의 제2마커힌지부와; 상기 제2마커힌지부의 타측에 일측이 제2마커힌지핀에 의해 각각 힌지결합되는 2개의 제3마커힌지부와; 상기 제3마커힌지부의 타측에 일측이 제3마커힌지핀에 의해 각각 힌지결합되는 2개의 제4마커힌지부와; 상기 2개의 제4마커힌지부의 타측에 힌지결합되는 제4마커힌지핀과; 상기 제4마커힌지핀에 일측이 힌지결합되는 2개의 마커고정부와; 상기 2개의 마커고정부의 내측에 위치되어 회동핀에 의해 상기 2개의 마커고정부에 각각 고정되는 제1마커위치가변부 및 제2마커위치가변부와; 상기 제1마커위치가변부 및 제2마커위치가변부에 외면이 끼워지고 후방측에 걸림편이 구비되는 마커펜과; 상기 마커펜의 걸림편과 상기 제1마커위치가변부에 위치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Furthermore, the marker body may include two first marker hinge portions fitted in the first guide bar; Two second marker hinge portions, one side of which is hinged to the first marker hinge pin by a first marker hinge pin; Two third marker hinge portions, one side of which is hinged to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marker hinge portion by a second marker hinge pin; Two fourth marker hinge parts hinged to one side of the third marker hinge part by a third marker hinge pin, respectively; A fourth marker hinge pin hinged to the other of the two fourth marker hinge portions; Two marker fixing parts hinged to one side of the fourth marker hinge pin; A first marker position varying unit and a second marker position varying unit positioned inside the two marker fixing units and respectively fixed to the two marker fixing units by a pivot pin; A marker pen in which an outer surface is fitted to the first marker position varying portion and a second marker position varying portion, and a latch piece is provided on the rear side; And a spring positioned at the latching part of the marker pen and the first marker position varying part.

나아가, 상기 마커체의 2개의 마커고정부 중 어느 하나의 마커고정부에는, 상기 마커고정부의 끝단이 연결되는 원형볼과; 상기 원형볼이 수용되는 원형홈이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4마커힌지핀에 연결되어 제4마커힌지핀을 따라 승하강되는 회동부와; 상기 원형홈에 수용되는 원형볼을 고정하는 고정볼트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Further, the marker fixing part of any one of the two marker fixing parts of the marker body is provided with a circular ball to which the end of the marker fixing part is connected; A circular portion having a circular groove in which the circular ball is received and connected to the fourth marker hinge pin and being raised and lowered along the fourth marker hinge pin; And a fixing bolt for fixing the circular ball received in the circular groove.

본 발명은 스타프를 이용하여 수평레벨을 측정하는 과정에서 렉기어부와 피니언기어부에 의한 승하강체를 통해 수평레벨측정체와 마커체의 승강 및 하강 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또한 수평레벨측정체와 마커체의 위치각도를 자유롭게 가변시킬 수 있음에 따라 측정위치 주변의 장애물을 피해 정확한 레벨측정이 가능하며, 마커체를 더 구비하되 마커체의 각도가 자유롭게 가변될 뿐만 아니라 주변 장애물에 관계없이 철근 등의 구조물에 정확한 마킹이 이루어질 수 있다.
In the process of measuring a horizontal level using a star, the elevating and lowering operations of the horizontal level measuring body and the marker body are easily performed through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body by the lever gear portion and the pinion gear portion, Since the position angle of the marker body can be freely changed,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measure the level by avoiding the obstacle around the measurement position. Further, the marker body is further provided, but the angle of the marker body is freely variable, It is possible to perform accurate marking on a structure such as a wafer.

도 1은 본 발명인 레벨 측정용 스타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레벨 측정용 스타프의 덮개를 분리한 상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레벨 측정용 스타프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레벨 측정용 스타프의 수평레벨측정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레벨 측정용 스타프의 마커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인 레벨 측정용 스타프의 마커체의 위치가변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인 레벨 측정용 스타프의 받이부의 돌출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인 레벨 측정용 스타프의 수평레벨측정체의 각도 가변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인 레벨 측정용 스타프의 수평레벨측정체의 각도 가변상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인 레벨 측정용 스타프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요부를 확대한 구성단면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evel measuring staf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leveling staff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lid removed. 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level-measuring staf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evel measuring body of a leveling staf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rker body of a leveling staf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positional variation of the marker body of the leveling staf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projecting state of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level measuring staf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angle variable state of a horizontal level measuring body of a leveling staf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angle variable state of the horizontal level measuring body of the leveling staf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leveling staf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n enlarged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configuration of another embodiment of Fig.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Hereinafter, other objec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overly formal sense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벨 측정용 스타프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a level measuring staf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레벨 측정용 스타프는, 표면에 레벨측정부(11)가 표기되는 덮개(10)와, 덮개(10)가 덮어지는 몸체(20), 몸체(20)의 내부에 구비되는 승하강체(30), 승하강체(30)에 의해 승하강되는 수평레벨측정체(50) 및 마커체(70), 지하공간을 측정하는 하부레벨측정체(70), 승하강체(70)가 가이드되는 제1가이드봉(40)으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level measuring staf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lid 10 on which a level measuring unit 11 is marked, a body 20 on which the lid 10 is covered, The horizontal level measuring body 50 and the marker body 70 raised and lowered by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body 30, the lower level measuring body 70 for measuring the underground space and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body 70 And a first guide bar 40 guided.

상기 몸체(20)는, 상기 덮개(10)가 덮어지고 상단 일측에 수평계(21)가 구비되며 수평계(21)의 일측에 구비되는 승강가이드부(22)와 일측면에 구비되는 조절구멍(23)과 상기 조절구멍(23)의 하부측에 위치되는 하강가이드부(24)와 상기 하강가이드부(24)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돌설되는 제1고정돌부(25) 및 제2고정돌부(26)와 상기 조절구멍(23)이 구비되는 타측면 상단과 하단에 각각 돌설되는 제3고정돌부(27) 및 제4고정돌부(28)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The body 20 includes a lifting and guiding unit 22 provided on one side of the leveling unit 21 and a leveling unit 21 provided on one side of the upper side covering the lid 10 and an adjusting hole 23 A downward guide portion 24 positioned on the lower side of the adjustment hole 23 and a first fixed protrusion 25 and a second fixed protrusion 26 protruding from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downward guide portion 24, And a third fixing protrusion 27 and a fourth fixing protrusion 28 protruding from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other side of the adjusting hole 23, respectively.

상기 덮개(10)와 몸체(20)는, 용접작업에 의해 서로 용접되거나 또는 덮개(10)와 몸체(20)가 각각 사출성형되어 이들이 서로 볼트나 너트 또는 탄성체결수단 등 다양한 체결수단에 의해 서로 탈부착될 수 있다.The lid 10 and the body 20 are welded to each other by a welding operation or the lid 10 and the body 20 are respectively injection molded so that they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various fastening means such as bolts, nuts, It can be detached and attached.

상기 몸체(20)의 상단에 구비되는 승강가이드부(22)는 상기 승하강체(70)가 인출입되어 승강 또는 하강되는 것으로, 승하강체(70)는 몸체(20)의 내부에서 상기 승강가이드부(22)를 통해 몸체(20)의 상단 외부로 인출되면서 승강되거나 또는 승강가이드부(22)측으로 인입되면서 하강된다.The lifting and lowering guide portion 22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body 20 lifts or descends the lifting and lowering body 70. The lifting and lowering body 70 is supported by the lifting and guiding portion 20 in the body 20, (22) to the outside of the upper end of the body (20), or is lowered while being pulled toward the elevation guide portion (22) side.

상기 승하강체(30)는, 상기 몸체(20)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조절구멍(23)으로부터 노출되는 피니언기어부(31) 및 상기 피니언기어부(31)에 치합되는 렉기어부(32)가 일면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피니언기어부(31)를 회전시키는 동작에 의해 상기 몸체(20)의 승강가이드부(22)측으로 인출 또는 인입되어 승하강되고 상단에 연결돌부(33)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The ascending and descending body 30 includes a pinion gear portion 31 provided in the body 20 and exposed from the adjusting hole 23 and a gear gear portion 32 engaged with the pinion gear portion 31, The pinion gear portion 31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pinion gear portion 31 so that the pinion gear portion 31 is pulled or pulled up toward or away from the lifting guide portion 22 of the body 20, .

이에 따라, 작업자가 상기 몸체(20)의 조절구멍(23)으로부터 노출되는 피니언기어부(31)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각각 회전시키면, 피니언기어부(31)와 치합된 렉기어부(32)가 피니언기어부(31)의 회전방향에 따라 승강 또는 하강되며 이에 따라 렉기어부(32)가 구비된 상기 승하강체(30)가 상기 몸체(20)의 승강가이드부(22)를 통해 인출되어 승강되거나 또는 승강가이드부(22)의 내측으로 하강된다.Thus, when the operator rotates the pinion gear portion 31 exposed from the adjustment hole 23 of the body 20 in the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the gear gear portion 31 engaged with the pinion gear portion 31 32 are lifted or lowered along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pinion gear portion 31 so that the lifting and lowering body 30 provided with the gear gear portion 32 is guided through the lifting guide portion 22 of the body 20 And is lowered to the inside of the elevation guide portion 22.

이 때, 상기 승하강체(30)는, 상기 몸체(20)의 제3고정돌부(27)와 제4고정돌부(28) 및 상기 승하강체(30)의 연결돌부(33)를 연결하도록 제3고정돌부(27)와 제4고정돌부(28) 및 상기 승하강체(30)의 연결돌부(33)에 끼움결합되는 제1가이드봉(40)을 따라 가이드되면서 승강 또는 하강된다.At this time, the ascending / descending body 30 is connected to the third fixing protrusion 27 of the body 20, the fourth fixing protrusion 28, and the connecting protrusion 33 of the lifting body 30, And is lifted or lowered while being guided along the first guide bar 40 which is fitted into the fixing protrusion 27 and the fourth fixing protrusion 28 and the connecting protrusion 33 of the lifting body 30. [

상기 수평레벨측정체(50)는, 상기 제1가이드봉(40) 상단에 힌지결합되고 제1가이드봉(40)을 축으로 하여 자유롭게 각도가 가변된다.The horizontal level gauge body 50 is hinged to the upper end of the first guide bar 40 and freely changes its angle about the first guide bar 40.

이에 따라 수평레벨측정체(50)의 높낮이 조절은 물론 각도가 자유롭게 가변되기 때문에, 본 발명인 레벨 측정용 스타프의 몸체(20)가 놓여지는 측정위치에 예를 들어, 철근구조물이나 또는 거푸집이나 기둥 등의 장애물이 있더라도 수평레벨측정체(50)의 자유로운 높낮이조절과 각도조절에 의해 수평레벨이 정확하게 측정될 수 있다.Thus, since the level of the horizontal level measuring body 50 can be adjusted freely as well as the height of the horizontal level measuring body 50, the measurement position at which the body 20 of the level measuring staf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laced can be, for example, The horizontal level can be precisely measured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horizontal level measuring body 50 freely and adjusting the angle.

상기 수평레벨측정체(50)는, 상기 제1가이드봉(40)에 끼움결합되어 제1가이드봉(40)을 축으로 하여 힌지회전되는 제1지지체(51)와, 상기 제1지지체(51)의 상단에 이 제1지지체(51)와 제1회동핀(52)에 의해 힌지결합되는 제2지지체(53)와, 상기 제2지지체(53)의 상단에 이 제2지지체(53)와 제2회동핀(54)에 의해 힌지결합되고 수평기준선(55) 및 수직기준선(56)이 구비되는 제3지지체(57)와, 상기 제3지지체(57)의 상단에 브라켓(58a)에 의해 고정되는 망원경(58)과, 상기 망원경(58)의 상단에 고정되는 센서지지체(59a) 및 상기 센서지지체(59a)에 구비되는 센서측정부(59)로 이루어진다.The horizontal level gauge body 50 includes a first support body 51 fitted to the first guide bar 40 and hinged about the first guide bar 40, A second support body 53 hinged to the upper end of the second support body 53 by the first support body 51 and the first rotation pin 52 and a second support body 53 attached to the upper end of the second support body 53, A third support 57 hinged by a second rotation pin 54 and provided with a horizontal reference line 55 and a vertical reference line 56 and a third support 57 hinged to the upper end of the third support 57 by a bracket 58a A sensor supporting body 59a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telescope 58 and a sensor measuring unit 59 provided on the sensor supporting body 59a.

이에 따라, 제1지지체(51)와 제2지지체(53) 및 제3지지체(57)가 각각 제1가이드봉(40)과 제1회동핀(52) 및 제2회동핀(54)에 의해 각각 회동됨이 가능함으로써 상기 제3지지체(57)의 상단에 구비되는 망원경(58) 및 센서측정부(59)의 각도가 자유롭게 가변될 수 있어 측정위치 주변의 장애물에 간섭됨이 없이 측정이 가능하다.The first support body 51, the second support body 53 and the third support body 57 are supported by the first guide rod 40, the first rotation pin 52 and the second rotation pin 54 The angles of the telescope 58 and the sensor measuring unit 59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third support body 57 can be freely varied and measurement can be performed without being interfered with obstacles around the measurement position Do.

상기 망원경(58)은, 원거리에 위치하고 있는 레벨측정기의 거리를 측정하는 것이며, 상기 센서측정부(59)는 원거리에 위치하고 있는 레벨측정기에 구비되는 센서부와 레이저빔에 의해 서로 수평을 맞추도록 하는 것으로, 이러한 망원경 및 센서측정부(59)에 의한 작용은 이미 수평을 측정하는 레벨측정기의 공지된 기술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은 생략한다.The telescope 58 measures the distance of the level measuring instrument located at a remote location, and the sensor measuring unit 59 measures the distance between the sensor unit and the laser beam, The operation by the telescope and sensor measuring unit 59 is a well-known technique of a level measuring apparatus for measuring the level,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마커체(60)는, 상기 제1가이드봉(40) 하단에 힌지결합되고 제1가이드봉(40)을 축으로 하여 자유롭게 각도가 가변되는 것으로, 마커체(60) 역시 제1가이드봉(40)에 힌지결합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몸체(20)에 대해 자유롭게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꺾임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측정위치 주변의 장애물에 간섭됨이 없이 마킹하고자 하는 위치에 정확한 마킹이 이루어지도록 한다.The marker body 60 is hinged to the lower end of the first guide bar 40 and is freely variable in angle with the first guide bar 40 as an axis. The marker body 60 is also hinged to the first guide rod 40 40 so that the body 20 is freely bent in the left or right direction so that accurate marking is performed at a position to be marked without being interfered with an obstacle around the measurement position .

상기 마커체(60)는, 상기 제1가이드봉(40)에 끼워지는 2개의 제1마커힌지부(61)와, 상기 2개의 제1마커힌지부(61)에 일측이 제1마커힌지핀(62a)에 의해 각각 힌지결합되는 2개의 제2마커힌지부(62)와, 상기 제2마커힌지부(62)의 타측에 일측이 제2마커힌지핀(63a)에 의해 각각 힌지결합되는 2개의 제3마커힌지부(63)와, 상기 제3마커힌지부(63)의 타측에 일측이 제3마커힌지핀(64a)에 의해 각각 힌지결합되는 2개의 제4마커힌지부(64)와, 상기 2개의 제4마커힌지부(64)의 타측에 힌지결합되는 제4마커힌지핀(65)과, 상기 제4마커힌지핀(65)에 일측이 힌지결합되는 2개의 마커고정부(66)와, 상기 2개의 마커고정부(66)의 내측에 위치되어 회동핀(671)에 의해 상기 2개의 마커고정부(66)에 각각 고정되는 제1마커위치가변부(67a) 및 제2마커위치가변부(67)와, 상기 제1마커위치가변부(67a) 및 제2마커위치가변부(67)에 외면이 끼워지고 후방측에 걸림편(68a)이 구비되는 마커펜(68)과, 상기 마커펜(68)의 걸림편(68a)과 상기 제1마커위치가변부(67a)에 위치되는 스프링(69)으로 이루어진다.The marker body 60 includes two first marker hinge parts 61 fitted to the first guide bar 40 and two first marker hinge parts 61 each having a first marker hinge pin 61, Two second marker hinge parts 62 hinged to each other by a second marker hinge pin 62a and one side of the second marker hinge part 62 hinged to each other by a second marker hinge pin 63a, Two third marker hinge portions 63 and one second marker hinge pin 64 hinged to one side by the third marker hinge pin 64a on the other side of the third marker hinge portion 63, A fourth marker hinge pin 65 hinged to the other side of the two fourth marker hinge portions 64 and two marker fixing portions 66 hinged to one side of the fourth marker hinge pin 65 A first marker position varying portion 67a located inside the two marker fixing portions 66 and fixed to the two marker fixing portions 66 by a rotation pin 671, A position changing portion 67, a first marker position varying portion 67a, A marker pen 68 having an outer surface fitted to the second marker position variable portion 67 and a retaining piece 68a provided on the rear side thereof, And a spring 69 positioned in the position variable portion 67a.

상기와 같이 구비되는 마커체(60)는, 각각의 힌지핀들과 이들 힌지핀들에 의해 힌지연결되는 힌지부들 즉, 제1마커힌지핀(62a), 제2마커힌지핀(63a), 제3마커힌지핀(64a), 제4마커힌지핀(65) 들에 의해 상기 제1마커힌지부(61), 제2마커힌지부(62), 제3마커힌지부(63), 제4마커힌지부(64)들에 의해 위치각도가 자유롭게 가변될 수 있다.The marker body 60 includes the hinge pins hinged by the hinge pins and the first marker hinge pin 62a, the second marker hinge pin 63a, The first marker hinge portion 61, the second marker hinge portion 62, the third marker hinge portion 63 and the fourth marker hinge pin 65a by the hinge pin 64a and the fourth marker hinge pin 65. [ The position angle can be freely varied by the plurality of positioning members 64.

이에 따라, 스타프를 고정한 상태에서 마팅하고자 하는 대상체에 대해 쉽고 용이하게 마킹작업을 진행할 수 있어 작업성 및 편의성이 크게 향상된다.Accordingly, the marking operation can be easily and easily performed with respect to the object to be mated while the staff is fixed, thereby greatly improving workability and convenience.

또한, 상기 마커체(60)의 2개의 마커고정부 중 어느 하나의 마커고정부에는, 상기 마커고정부의 끝단이 연결되는 원형볼(81)과, 상기 원형볼(81)이 수용되는 원형홈(82)이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4마커힌지핀(65)에 연결되어 제4마커힌지핀(65)을 따라 승하강되는 회동부(83)와, 상기 원형홈(82)에 수용되는 원형볼(81)을 고정하는 고정볼트(84)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The marker fixing portion of one of the two marker fixing portions of the marker body 60 is provided with a circular ball 81 to which the end of the marker fixing portion is connected and a circular groove 81 in which the circular ball 81 is received, A rotary part 83 provided inside the circular groove 82 and connected to the fourth marker hinge pin 65 to move up and down along the fourth marker hinge pin 65, And a fixing bolt (84) for fixing the ball (81).

이에 따라, 마커펜(69)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마커펜(69)의 위치를 승강 및 회전시켜 줌으로써 보관하거나 이동하고, 마커펜(69)을 사용할 경우에 상기 마커펜(69)의 위치가 상기 몸체(20)의 하단측과 수평상으로 위치되도록 하여 마커펜(69)을 이용한 마킹작업을 하면 된다.Accordingly, when the marker pen 69 is not used, the position of the marker pen 69 is lifted and rotated to be stored or moved. When the marker pen 69 is used, the position of the marker pen 69 So that the marking pen 69 is positioned on the lower side of the body 20.

이 때, 상기 마커체(60)의 마커고정부(66) 끝단에 연결되는 원형볼(81)이 상기 회동부(83)의 내부에 구비되는 원형홈(82)에 수용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원형볼(81)이 원형홈(82)의 내부에서 회전되는 것에 의해 상기 마커체(60)의 위치를 회전시켜 가변할 수 있으며, 또한 마커체(60)가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볼트(84)를 이용하여 원형볼(81)을 고정함으로써 회전된 마커체(60)의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다.At this time, since the circular ball 81 connected to the end of the marker fixing part 66 of the marker body 60 is accommodated in the circular groove 82 provided in the rotary part 83, The position of the marker body 60 can be changed by rotating the ball 81 in the inside of the circular groove 82 and the position of the marker body 60 can be changed by rotating the marker body 60, So that the rotated marker body 60 can be securely fixed.

상기 하부레벨측정체(70)는, 상기 제1고정돌부(25) 및 제2고정돌부(26)를 연결하는 제2가이드봉(71)과 상기 제2가이드봉(71)에 끼워지는 안착부(72)와 상기 안착부(72)에 핀(73)에 의해 결합되어 안착부(72)로부터 상기 핀(73)을 축으로 하여 힌지회전되는 받이부(74)가 구비되며 내면에 눈금이 표기되어 이루어진다.The lower level gauge body 70 includes a second guide bar 71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rotrusions 25 and 26 and a seat portion And a receiving part 74 hinged to the seating part 72 by a pin 73 and hinged from the seating part 72 with the pin 73 as an axis are provided, .

이에 따라, 스타프를 지지하고자 하는 지면이 상기 몸체(20)의 하단보다 아랫방향에 위치하고 있을 경우, 상기 하부레벨측정체(70)를 하강시켜 준 후 상기 핀(73)을 축으로 하여 상기 받이부(74)를 회전시킴으로써 지면보다 상부측에 위치하는 몸체(20)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When the ground surface to be supported by the staff is positioned below the lower end of the body 20, the lower level measuring body 70 is lowered, By rotating the portion 74, it is possible to firmly support the body 20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paper.

이 때, 상기 받이부(74)는 상기 핀(73)에 의해 일측이 힌지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안착부(72)와 받이부(74)가 삼각구조로 위치되도록 회전시키는 것이 견고한 지지를 위해 가장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in the process of hinge rotation of one side of the receiving part 74 by the pin 73, the rotation of the receiving part 72 and the receiving part 74 such that the receiving part 74 is positioned in a triangular structure, desirabl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articular embodiments, such as specific ele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nd drawings.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thereto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nd all of the equivalents or equivalents of the claims, as well as the following claims,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덮개 11 : 레벨측정부
20 : 몸체 21 : 수평계
22 : 승강가이드부 23 : 조절구멍
24 : 하강가이드부 25 : 제1고정돌부
26 : 제2고정돌부 27 : 제3고정돌부
28 : 제4고정돌부 30 : 승하강체
31 : 피니언기어부 32 : 렉기어부
33 : 연결돌부 40 : 제1가이드봉
50 : 수평레벨측정체 51 : 제1지지체
52 : 제1회동핀 53 : 제2지지체
54 : 제2회동핀 55 : 수평기준선
56 : 수직기준선 57 : 제3지지체
58 : 망원경 58a : 브라켓
59 : 센서측정부 59a : 센서지지체
60 : 마케처 61 : 제1마커힌지부
62 : 제2마커힌지부 62a : 제1마커힌지핀
63 : 제3마커힌지부 63a : 제2마커힌지핀
64 : 제4마커힌지부 64a : 제3마커힌지핀
65 : 제4마커힌지핀 66 : 마커고정부
67 : 제2마커위치가변부 67a : 제2마커위치가변부
68 : 마커펜 68a : 걸림편
69 : 스프링 70 : 하부레벨측정체
71 : 제2가이드봉 72 : 안착부
73 : 핀 74 : 받이부
81 : 원형볼 82 : 원형홈
83 : 회동부 84 : 고정볼트
10: lid 11: level measuring unit
20: body 21:
22: lift-up guide portion 23: adjusting hole
24: descending guide portion 25: first fixing projection
26: second fixing projection 27: third fixing projection
28: fourth fixed projection 30: elevating and lowering body
31: pinion gear portion 32:
33: connecting protrusion 40: first guide rod
50: horizontal level measuring body 51: first supporting body
52: first rotating pin 53: second supporting body
54: second rotating pin 55: horizontal reference line
56: vertical reference line 57: third support
58: Telescope 58a: Bracket
59: Sensor measuring part 59a: Sensor supporting part
60: Marker 61: First marker hinge part
62: second marker hinge part 62a: first marker hinge pin
63: third marker hinge part 63a: second marker hinge pin
64: fourth marker hinge part 64a: third marker hinge pin
65: fourth marker hinge pin 66: marker fixing section
67: second marker position varying section 67a: second marker position varying section
68: marker pen 68a:
69: spring 70: lower level meter
71: second guide rod 72: seat part
73: pin 74: receiving portion
81: Circular ball 82: Circular groove
83: turning part 84: fixing bolt

Claims (4)

표면에 레벨측정부(11)가 표기되는 덮개(10)와;
상기 덮개(10)가 덮어지고 상단 일측에 수평계(21)가 구비되며 수평계(21)의 일측에 구비되는 승강가이드부(22)와 일측면에 구비되는 조절구멍(23)과 상기 조절구멍(23)의 하부측에 위치되는 하강가이드부(24)와 상기 하강가이드부(24)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돌설되는 제1고정돌부(25) 및 제2고정돌부(26)와 상기 조절구멍(23)이 구비되는 타측면 상단과 하단에 각각 돌설되는 제3고정돌부(27) 및 제4고정돌부(28)가 구비되는 몸체(20)와;
상기 몸체(20)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조절구멍(23)으로부터 노출되는 피니언기어부(31) 및 상기 피니언기어부(31)에 치합되는 렉기어부(32)가 일면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피니언기어부(31)를 회전시키는 동작에 의해 상기 몸체(20)의 승강가이드부(22)측으로 인출 또는 인입되어 승하강되고 상단에 연결돌부(33)가 구비되는 승하강체(30)와;
상기 몸체(20)의 제3고정돌부(27)와 제4고정돌부(28) 및 상기 승하강체(30)의 연결돌부(33)를 연결하도록 제3고정돌부(27)와 제4고정돌부(28) 및 상기 승하강체(30)의 연결돌부(33)에 끼움결합되는 제1가이드봉(40)과;
상기 제1가이드봉(40) 상단에 힌지결합되고 제1가이드봉(40)을 축으로 하여 자유롭게 각도가 가변되는 수평레벨측정체(50)와;
상기 제1가이드봉(40) 하단에 힌지결합되고 제1가이드봉(40)을 축으로 하여 자유롭게 각도가 가변되는 마커체(60)와;
상기 제1고정돌부(25) 및 제2고정돌부(26)를 연결하는 제2가이드봉(71)과 상기 제2가이드봉(71)에 끼워지는 안착부(72)와 상기 안착부(72)에 핀(73)에 의해 결합되어 안착부(72)로부터 상기 핀(73)을 축으로 하여 힌지회전되는 받이부(74)가 구비되며 내면에 눈금이 표기되는 하부레벨측정체(70)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벨 측정용 스타프.
A lid 10 on which a level measuring unit 11 is marked;
The lid 10 is covered and a leveling unit 21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upper part. An elevation guide unit 22 provided at one side of the leveling system 21, an adjusting hole 23 provided at one side, A first fixing protrusion 25 and a second fixing protrusion 26 protruding from an upper end and a lower end of the lowering guide 24, And a third fixing protrusion 27 and a fourth fixing protrusion 28 protruding from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other side surface, respectively;
A pinion gear portion 31 provided in the body 20 and exposed from the adjustment hole 23 and a gear gear portion 32 engaged with the pinion gear portion 31 are provided on one surfa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lifting body 30 which is pulled up or pulled up toward the lifting guide part 22 of the body 20 by an operation of rotating the pinion gear part 31 and lifted and lowered and provided with a connecting protruding part 33 at an upper end;
A third fixing protrusion 27 and a fourth fixing protrusion 27 are formed to connect the third fixing protrusion 27 and the fourth fixing protrusion 28 of the body 20 and the connecting protrusion 33 of the lifting body 30, 28) and a connecting protrusion (33) of the ascending / descending body (30);
A horizontal level gauge 50 hinged to the upper end of the first guide bar 40 and having a variable angle with respect to the first guide bar 40;
A marker body hinged to the lower end of the first guide bar 40 and having a variable angle with respect to the first guide bar 40;
A second guide bar 71 connecting the first fixing protrusion 25 and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26 and a seating part 72 fitted to the second guide bar 71 and the seating part 72, And a lower level measuring body 70 which is coupled by a pin 73 to a receiving part 74 which is hingedly rotated from the seating part 72 with the pin 73 as an axis and on which the scale is marked And a level measuring device for measuring the leve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레벨측정체(50)는,
상기 제1가이드봉(40)에 끼움결합되어 제1가이드봉(40)을 축으로 하여 힌지회전되는 제1지지체(51)와;
상기 제1지지체(51)의 상단에 이 제1지지체(51)와 제1회동핀(52)에 의해 힌지결합되는 제2지지체(53)와;
상기 제2지지체(53)의 상단에 이 제2지지체(53)와 제2회동핀(54)에 의해 힌지결합되고 수평기준선(55) 및 수직기준선(56)이 구비되는 제3지지체(57)와;
상기 제3지지체(57)의 상단에 브라켓(58a)에 의해 고정되는 망원경(58)과;
상기 망원경(58)의 상단에 고정되는 센서지지체(59a) 및 상기 센서지지체(59a)에 구비되는 센서측정부(59)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벨 측정용 스타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orizontal level measuring body (50)
A first support body (51) fitted to the first guide bar (40) and hinged about the first guide bar (40);
A second support body (53) hinged to the upper end of the first support body (51) by the first support body (51) and the first rotation pin (52);
A third support body 57 hinged to the upper end of the second support body 53 by the second support body 53 and the second rotation pin 54 and having a horizontal reference line 55 and a vertical reference line 56, Wow;
A telescope 58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third support body 57 by a bracket 58a;
A sensor supporting body 59a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telescope 58 and a sensor measuring unit 59 provided on the sensor supporting body 59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커체(60)는, 상기 제1가이드봉(40)에 끼워지는 2개의 제1마커힌지부(61)와;
상기 2개의 제1마커힌지부(61)에 일측이 제1마커힌지핀(62a)에 의해 각각 힌지결합되는 2개의 제2마커힌지부(62)와;
상기 제2마커힌지부(62)의 타측에 일측이 제2마커힌지핀(63a)에 의해 각각 힌지결합되는 2개의 제3마커힌지부(63)와;
상기 제3마커힌지부(63)의 타측에 일측이 제3마커힌지핀(64a)에 의해 각각 힌지결합되는 2개의 제4마커힌지부(64)와;
상기 2개의 제4마커힌지부(64)의 타측에 힌지결합되는 제4마커힌지핀(65)과;
상기 제4마커힌지핀(65)에 일측이 힌지결합되는 2개의 마커고정부(66)와;
상기 2개의 마커고정부(66)의 내측에 위치되어 회동핀(671)에 의해 상기 2개의 마커고정부(66)에 각각 고정되는 제1마커위치가변부(67a) 및 제2마커위치가변부(67)와;
상기 제1마커위치가변부(67a) 및 제2마커위치가변부(67)에 외면이 끼워지고 후방측에 걸림편(68a)이 구비되는 마커펜(68)과;
상기 마커펜(68)의 걸림편(68a)과 상기 제1마커위치가변부(67a)에 위치되는 스프링(69)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벨 측정용 스타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arker body (60) includes two first marker hinge parts (61) fitted to the first guide bar (40);
Two second marker hinge parts (62) hinged to the first marker hinge parts (61) by a first marker hinge pin (62a), respectively;
Two third marker hinge portions 63 hinged to one side of the second marker hinge portion 62 by a second marker hinge pin 63a;
Two fourth marker hinge portions 64 hinged to one side of the third marker hinge portion 63 by a third marker hinge pin 64a;
A fourth marker hinge pin 65 hinged to the other of the two fourth marker hinge portions 64;
Two marker fixing parts 66 hinged to one side of the fourth marker hinge pin 65;
A first marker position varying part 67a positioned inside the two marker fixing parts 66 and fixed to the two marker fixing parts 66 by a rotation pin 671, (67);
A marker pen 68 having an outer surface fitted to the first marker position varying portion 67a and a second marker position varying portion 67 and a latching piece 68a provided on the rear side;
And a spring (69) positioned at the latching part (68a) of the marker pen (68) and the first marker position varying part (67a).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마커체(60)의 2개의 마커고정부 중 어느 하나의 마커고정부에는,
상기 마커고정부의 끝단이 연결되는 원형볼(81)과;
상기 원형볼(81)이 수용되는 원형홈(82)이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4마커힌지핀(65)에 연결되어 제4마커힌지핀(65)을 따라 승하강되는 회동부(83)와;
상기 원형홈(82)에 수용되는 원형볼(81)을 고정하는 고정볼트(84)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벨 측정용 스타프.
The method of claim 3,
In one of the two marker fixing portions of the marker body 60,
A circular ball 81 to which an end of the marker fixing unit is connected;
A rotary part 83 having a circular groove 82 in which the circular ball 81 is accommodated and connected to the fourth marker hinge pin 65 to move up and down along the fourth marker hinge pin 65; ;
Further comprising a fixing bolt (84) for fixing the circular ball (81) received in the circular groove (82).
KR1020130050752A 2013-05-06 2013-05-06 staff for level measurement Abandoned KR2014013175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0752A KR20140131755A (en) 2013-05-06 2013-05-06 staff for level measure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0752A KR20140131755A (en) 2013-05-06 2013-05-06 staff for level measure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1755A true KR20140131755A (en) 2014-11-14

Family

ID=52453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0752A Abandoned KR20140131755A (en) 2013-05-06 2013-05-06 staff for level measure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31755A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58676A (en) * 2015-11-16 2016-01-20 耒阳新达微科技有限公司 Horizontal measurement meter convenient and fast to use
KR20160116724A (en) * 2015-03-31 2016-10-10 노희아 Staff Cradle
KR20170017623A (en) * 2015-08-07 2017-02-15 한아툴스 (주) Fixed position indicator
CN106441220A (en) * 2016-09-14 2017-02-22 西安建筑科技大学 Automatic lifting monitoring device equipped with invar level staff and used for monitoring ground surface settlement as well as method
CN106767732A (en) * 2016-11-24 2017-05-31 张红卫 A kind of Lazer measuring instrument with integral-hunging gravity-balancing mechanism
CN110108261A (en) * 2019-05-20 2019-08-09 华北理工大学 A kind of indoor design plotting board
KR102188771B1 (en) * 2020-07-16 2020-12-08 박용식 System for measuring combining smart device and auto-level equipment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6724A (en) * 2015-03-31 2016-10-10 노희아 Staff Cradle
KR20170017623A (en) * 2015-08-07 2017-02-15 한아툴스 (주) Fixed position indicator
CN105258676A (en) * 2015-11-16 2016-01-20 耒阳新达微科技有限公司 Horizontal measurement meter convenient and fast to use
CN106441220A (en) * 2016-09-14 2017-02-22 西安建筑科技大学 Automatic lifting monitoring device equipped with invar level staff and used for monitoring ground surface settlement as well as method
CN106767732A (en) * 2016-11-24 2017-05-31 张红卫 A kind of Lazer measuring instrument with integral-hunging gravity-balancing mechanism
CN110108261A (en) * 2019-05-20 2019-08-09 华北理工大学 A kind of indoor design plotting board
CN110108261B (en) * 2019-05-20 2021-03-30 北京好伙信息技术有限公司 Surveying and mapping device for indoor design
KR102188771B1 (en) * 2020-07-16 2020-12-08 박용식 System for measuring combining smart device and auto-level equip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31755A (en) staff for level measurement
KR101967712B1 (en) Device for surveying underground facility
CN111794235B (en) A guide frame for positioning steel casing
CN204718589U (en) A laser level
IT20190001317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ALIBRATING A VEHICLE ADAS SENSOR
KR101705710B1 (en) Level equipment
CN107747934B (en) Pipe jacking axis measuring method
KR200463389Y1 (en) Maker indicate staff
CN104535045A (en) Wall-hanging hydrostatic level mounting device and wall-hanging hydrostatic level mounting method
JP6044360B2 (en) Installation error measuring system for building member, measuring error measuring method for building member, and erection method for struts
KR20240034112A (en) Measure apparatus for safety check-up of bridge bearing
KR102241488B1 (en) Safety diagnosis device for checking the crack length of structure
CN113607190A (en) Building construction horizontal component size measurement and verification method
KR101726220B1 (en) Staff Cradle
CN102493665B (en) Location installing method of sector embedded part
CN216948243U (en) Protect a device
CN218955754U (en) Vertical calibration degree detection device for constructional engineering
JP2011214307A (en) Perpendicular accuracy measuring system for reversely driven column
CN210460637U (en) A but, rotation of shaft orientation is accurate appearance support that hangs down
KR102319594B1 (en) Device for Measuring Step Height
KR20140131775A (en) supporting tool for staff
CN219302489U (en) High-precision laser meter counter
KR101628794B1 (en) Staff Cradle
JPS5842334B2 (en) Steel pipe column erection equipment
CN219105171U (en) Pile hole center position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50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5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