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140011057A - 부력 구조물의 해상 조립장치와 그 방법 - Google Patents

부력 구조물의 해상 조립장치와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1057A
KR20140011057A KR1020120077609A KR20120077609A KR20140011057A KR 20140011057 A KR20140011057 A KR 20140011057A KR 1020120077609 A KR1020120077609 A KR 1020120077609A KR 20120077609 A KR20120077609 A KR 20120077609A KR 20140011057 A KR20140011057 A KR 201400110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ancy
winch
structures
wire rope
adjac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7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만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77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11057A/ko
Publication of KR201400110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1057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2017/0039Methods for placing the offshore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상에서 부력을 가지는 서로 다른 구조물의 하부로 연결되는 와이어 로프를 이용하여 조립위치로 이동시켜 구조물의 수선상부는 물론 수선하부에 대한 정위치로의 얼라인먼트를 구현함으로써 정도 높은 조립을 기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해상에서 인접하는 서로 다른 부력 구조물(10)을 조립하기 위해 상기 각 부력 구조물(10)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관통구멍(12)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각 부력 구조물(10)에 윈치(16)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윈치(16)로부터 연장된 와이어 로프(18)를 반대편 윈치(16)에 이르도록 상기 관통구멍(12)을 통해 상호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윈치(16)의 작동을 통해 상기 와이어 로프(18)를 감아 인접하는 서로 다른 부력 구조물(10)을 정위치로 얼라인먼트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부력 구조물의 해상 조립장치와 그 방법{Assembling device for buoyant structure on the sea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부력 구조물의 해상 조립장치와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해상에서 부력을 가지는 인접한 서로 다른 구조물을 와이어로프에 의한 인장력을 매개로 정위치로 얼라인먼트시켜 정도(精度) 높은 조립을 가능하게 하는 부력 구조물의 해상 조립장치와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을 비롯한 각종 해양구조물에 대한 건조는 강판 등의 판재와 형강류 등의 각종 소재류들을 적절하게 절단한 다음 이들을 용접함으로써 이루어진다. 특히, 이러한 건조 방식은 근래에 들어 소규모의 블록 건조를 통해 작업 공정의 단축과 함께 작업 시간의 절감을 도모하고 있다. 즉, 소규모의 블록을 제작하는 소조립 공정과, 소조립된 블록을 수개씩 모아 결합하는 중조립 공정, 및 중조립된 블록을 다시 모아 결합시키는 대조립 공정 등을 거쳐 건조 작업이 수행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건조 방식은 모두 육상의 드라이 도크(DRY DOCK)나 해상의 플로팅 도크(FLOATING DOCK)와 같은 한정된 공간에서 이루어질 수밖에 없는 한계를 보이고 있으므로, 종래 건조방식에 비해 향상된 생산성의 추구와 함께 높은 도크의 회전율을 구현하기 위한 새로운 건조방법에 대한 요구가 갈망되고 있다.
이에 따라, 선박이나 해양구조물의 건조에 있어 육상에서 제작된 대형 블록 중 부력을 가지는 구조물들은 생산성의 향상과 도크 회전율을 높이기 위해 진수후 해상에서 조립하는 새로운 방식의 건조공법이 창안되었고, 이러한 건조 방식은 최근 들어 매우 빈번하게 수행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해상 조립의 방식은 조립면적이 상대적은 협소한 횡방향 조립에 국한되는 경우가 많을 뿐만 아니라 수선상부만 고려하여 터그보트에 의한 이동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즉, 해상에서 시각적으로 확인 가능한 부력 구조물의 수선상부는 터그보트를 이용하여 밀면서 조립하고 있으나, 수선하부는 구조물이 가지는 부력이나 조류와 해류 및 바람 등의 외부 환경적 요인에 의해 그 조립위치를 정위치로 얼라인먼트하는 데 많은 어려움이 있으므로 조립 정도에 한계를 나타내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사안들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해상에서 부력을 가지는 서로 다른 구조물의 하부로 연결되는 와이어로프를 이용하여 조립위치로 이동시켜 구조물의 수선상부는 물론 수선하부에 대한 정위치로의 얼라인먼트를 구현함으로써 정도 높은 조립을 기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해상에서 인접하는 서로 다른 부력 구조물을 조립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각 부력 구조물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관통구멍;
상기 각 부력 구조물에 설치되는 윈치; 및
상기 윈치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관통구멍을 경유하여 반대편 부력 구조물의 윈치로 연결되는 와이어로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관통구멍의 내부에 상기 와이어로프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해 설치되는 도르래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통구멍의 하부는 상기 인접하는 서로 다른 부력 구조물의 측면 대향부위의 하부와 교통하는 위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해상에서 인접하는 서로 다른 부력 구조물을 조립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각 부력 구조물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관통구멍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각 부력 구조물에 윈치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윈치로부터 연장된 와이어로프를 반대편 윈치에 이르도록 상기 관통구멍을 통해 상호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윈치의 작동을 통해 상기 와이어로프를 감아 인접하는 서로 다른 부력 구조물을 정위치로 얼라인먼트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관통구멍의 내부에 상기 와이어로프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도르래의 설치 단계와, 상기 서로 다른 부력 구조물을 정위치로 얼라인먼트시키는 단계에서 터그보트에 의한 이동력을 상기 부력 구조물에 부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접하는 서로 다른 부력 구조물을 상기 와이어로프를 통해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관통구멍의 하부를 통해 이루어지고, 상기 관통구멍의 하부는 상기 인접하는 서로 다른 부력 구조물의 대향면 하부와 교통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부력 구조물의 해상 조립장치와 그 방법에 의하면, 해상에 위치하는 서로 다른 부력 구조물을 이들 사이의 하부로 연결되는 와이어로프의 권취에 따라 수반되는 인장력을 매개로 조립을 위한 정위치로 상호 근접시킬 수 있으므로 정도 높은 조립을 가능하게 해 준다. 특히, 이러한 근접 이동공정은 수선상부에서 부력 구조물에 가해지는 터그보트에 의한 이동력과 상호 보완적으로 이루어질 경우, 조립 생산성과 정도의 향상에 더욱 기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인접하는 서로 다른 부력 구조물 사이를 연결하는 와이어 로프의 설치부위를 각 구조물의 측면 대향면의 하부로 설정함으로써 구조물이 가지는 부력이나, 조류와 해류 및 바람 등의 외부 환경적 요인에도 불구하고 구조물의 수선상부는 물론 수선하부에서 모두 정위치로의 용이한 얼라인먼트를 구현할 수 있으므로 조립 생산성의 향상과 함께 정도 높은 구조물의 조립 달성에 더욱 효과적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력 구조물의 해상 조립장치와 그에 따른 조립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도 3은 부력 구조물 사이의 조립 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요철형 가이드부재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과 도 2를 각각 참조로 하면, 해상에서 인접하는 서로 다른 부력 구조물(10)을 조립하기 위한 장치는 상기 부력 구조물(10)의 각각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수직하게 경유하도록 형성되는 관통구멍(12), 상기 부력 구조물(10) 각각의 메인 데크(14)에 설치되는 윈치(16), 및 상기 윈치(16)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관통구멍(12)을 경유하여 반대편 부력 구조물(10)의 메인 데크(14)에 설치된 윈치(16)로 연결되는 와이어 로프(18)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각 부력 구조물(10)에 형성된 상기 관통구멍(12)의 내부에는 상기 와이어 로프(18)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다수의 도르래(2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관통구멍(12)의 하부는 상기 인접하는 서로 다른 부력 구조물(10)의 측면 대향부위의 하부와 상호 교통하는 위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인접하는 서로 다른 부력 구조물(10)은 상호 대향하는 부위의 수선하부에 상호간의 접근을 안내하기 위한 요철형 가이드부재를 각각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요철형 가이드부재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부력 구조물(10) 중 어느 하나의 부력 구조물(10)에 있어 메인 데크의 상부와 저면 탱크의 상부에 각각 마운팅 브라켓을 매개로 고정 설치된 별도의 돌출형 삽입 구조물(가)과, 나머지 다른 하나의 부력 구조물(10)에서 메인 데크의 상부와 저면 탱크의 상부로 각각 상기 돌출형 삽입 구조물(가)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고정 설치된 개구형 구조물(나)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돌출형 삽입 구조물(가)은 인접하는 다른 부력 구조물(10)을 향한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개구형 구조물(나)은 상기 돌출형 삽입 구조물(가)을 향해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돌출형 삽입 구조물(가)은 상기 개구형 구조물(나)에 대해 그 삽입 정도를 상호 조립되는 부력 구조물(10) 사이의 조립 정위치에 맞춰 조절할 수 있도록 측방향으로 돌출된 스토퍼 구조물(다)을 일체로 구비한다. 즉, 상기 스토퍼 구조물(다)은 인접하는 부력 구조물(10) 사이의 조립시 정위치에서 상기 돌출형 삽입 구조물(가)이 상기 개구형 구조물(나)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스토퍼 구조물(다)은 인접하는 부력 구조물(10) 사이의 접근에 따른 접촉시 수반되는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도록 완충부재를 외주면에 구비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아울러, 상기 돌출형 삽입 구조물(가)와 상기 개구형 구조물(나)은 상기 부력 구조물(10)의 수선하부를 포함한 전체 접촉부위에 걸쳐 다수의 개소로 마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의 조립장치를 이용한 구조물에 대한 해상 조립방법은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구현된다.
먼저, 상기 조립하고자 하는 서로 다른 부력 구조물(10)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관통구멍(12)을 형성하고, 상기 각 부력 구조물(10)의 메인 데크(14)에 윈치(16)를 설치한다. 이러한 과정은 육상의 드라이 도크 또는 해상의 플로팅 도크에서 각 부력 구조물(10)의 제작시 선행될 수도 있고, 해상에 부력 구조물(10)을 진수한 다음 수행될 수도 있다.
이어, 상기 인접하는 서로 다른 부력 구조물(10) 중에서 어느 하나의 부력 구조물(10)의 메인 데크(14)에 설치된 윈치(16)로부터 연장된 와이어 로프(18)를 상기 반대편 부력 구조물(10)의 메인 데크(14)에 설치된 윈치(16)에 이르도록 각각의 부력 구조물(10)에 형성된 관통구멍(12)을 통해 상호 연결한 다음, 상기 윈치(16)의 작동을 통해 상기 와이어 로프(18)를 감아 인접하는 서로 다른 부력 구조물(10)의 위치를 정위치로 얼라인먼트시켜 이들에 대한 조립을 수행하면 된다.
이 경우, 상기 각 부력 구조물(10)에 형성되는 관통구멍(12)은 그 내부에 상기 와이어 로프(18)의 이동을 보다 원활하게 가이드하기 위한 도르래(20)를 별도로 설치하는 과정을 부가한다.
그리고 상기 인접하는 서로 다른 부력 구조물(10)을 상기 와이어 로프(18)를 통해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부력 구조물(10)의 각각에 형성된 관통구멍(12)의 하부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 바, 이를 위해, 상기 관통구멍(12)의 하부는 상기 인접하는 서로 다른 부력 구조물(10)의 대향면 하부와 교통하도록 설정되면 더욱 바람직한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 로프(18)를 감는 단계는 상기 인접하는 서로 다른 부력 구조물(10)에 각각 구비된 상기 윈치(16)의 동시 작동을 통해 구현된다. 아울러, 상기 와이어 로프(18)에 대해 인장력을 제공함으로써 구현되는 서로 다른 부력 구조물(10)의 정위치 얼라인먼트 과정은 터그보트(22)에 의한 미는 힘을 부가한다면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은 조립과정에서 인접하는 서로 다른 부력 구조물(10)에 대해 각각 요철형 가이드부재와 함께 접촉시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는 별도의 스토퍼부재를 별도로 구비하다면 더욱 바람직한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해상에서 인접하는 2종류의 부력 구조물(10)의 조립에 대한 일례를 예시하고 있지만, 이러한 방식을 응용한다면 더 많은 수량의 부력 구조물(10)에 대한 동시 조립도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해상에서 부력을 가지는 인접하는 서로 다른 부력 구조물(10)에 대해 수선하부로 와이어 로프(18)를 연결하고, 연결된 와이어 로프(18)를 윈치(16)로 권취하여 인장력을 제공함으로써 서로 다른 부력 구조물(10)을 조립을 위한 정위치로 상호 근접시킬 수 있으므로 보다 높은 정도의 조립을 가능하게 해 준다. 특히 이러한 근접 이동의 과정에서 수선상부에서 서로 다른 부력 구조물(10)에 대해 개별적으로 가해지는 터그보트(22)에 의한 이동력이 와이어 로프(18)에 의한 인장력과 함께 더해지면, 조립 생산성은 더욱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무엇보다도 본 발명은 인접하는 서로 다른 부력 구조물(10) 사이를 연결하는 와이어 로프(18)의 설치부위를 각 구조물의 측면 대향면에서 하부로 설정함으로써 구조물이 가지는 부력이나, 조류와 해류 및 바람 등의 외부 환경적 요인에도 불구하고 구조물의 수선상부는 물론 수선하부에서 모두 정위치로의 용이한 얼라인먼트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조립 생산성의 향상과 함께 보다 높은 정도의 구조물 조립을 구현할 수 있게 해 준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이하에서 기재되는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부력구조물 12-관통구멍
14-메인데크 16-윈치
18-와이어로프 20-도르래
22-터그보트

Claims (8)

  1. 해상에서 인접하는 서로 다른 부력 구조물(10)을 조립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각 부력 구조물(10)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관통구멍(12);
    상기 각 부력 구조물(10)에 설치되는 윈치(16); 및
    상기 윈치(16)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관통구멍(12)을 경유하여 반대편 부력 구조물(10)의 윈치(16)로 연결되는 와이어 로프(1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 구조물의 해상 조립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멍(12)의 내부에 상기 와이어 로프(18)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해 설치되는 도르래(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 구조물의 해상 조립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멍(12)의 하부는 상기 인접하는 서로 다른 부력 구조물(10)의 측면 대향부위의 하부와 교통하는 위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 구조물의 해상 조립장치.
  4. 해상에서 인접하는 서로 다른 부력 구조물(10)을 조립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각 부력 구조물(10)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관통구멍(12)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각 부력 구조물(10)에 윈치(16)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윈치(16)로부터 연장된 와이어 로프(18)를 반대편 윈치(16)에 이르도록 상기 관통구멍(12)을 통해 상호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윈치(16)의 작동을 통해 상기 와이어 로프(18)를 감아 인접하는 서로 다른 부력 구조물(10)을 정위치로 얼라인먼트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 구조물의 해상 조립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멍(12)의 내부에 상기 와이어 로프(18)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도르래(20)의 설치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 구조물의 해상 조립방법.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인접하는 서로 다른 부력 구조물(10)을 상기 와이어 로프(18)를 통해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관통구멍(12)의 하부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 구조물의 해상 조립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멍(12)의 하부는 상기 인접하는 서로 다른 부력 구조물(10)의 대향면 하부와 교통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 구조물의 해상 조립방법.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서로 다른 부력 구조물(10)을 정위치로 얼라인먼트시키는 단계에서 터그보트(22)에 의한 이동력을 상기 부력 구조물(10)에 부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 구조물의 해상 조립방법.
KR1020120077609A 2012-07-17 2012-07-17 부력 구조물의 해상 조립장치와 그 방법 Ceased KR201400110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7609A KR20140011057A (ko) 2012-07-17 2012-07-17 부력 구조물의 해상 조립장치와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7609A KR20140011057A (ko) 2012-07-17 2012-07-17 부력 구조물의 해상 조립장치와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1057A true KR20140011057A (ko) 2014-01-28

Family

ID=50143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7609A Ceased KR20140011057A (ko) 2012-07-17 2012-07-17 부력 구조물의 해상 조립장치와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1105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4582A (ko) * 2018-08-01 2020-02-11 포스코에너지 주식회사 수상 태양광 발전구조물의 이동장치 및 이동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4582A (ko) * 2018-08-01 2020-02-11 포스코에너지 주식회사 수상 태양광 발전구조물의 이동장치 및 이동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32432B2 (en) Method of constructing underwater concrete block structure
KR101205344B1 (ko) 부유식 구조물
CN105035278B (zh) 低升沉半潜式海上结构
KR20120033854A (ko) 풍력 발전기 설치용 선박
KR101741523B1 (ko) 해양플랫폼
KR102144424B1 (ko) 인장계류식 풍력발전기 및 이의 설치 및 해체 방법
CN115243970A (zh) 浮体构造物及海上设施
KR20140011057A (ko) 부력 구조물의 해상 조립장치와 그 방법
KR101860115B1 (ko) 돌출부재를 가진 부유식 해양 구조물용 플랫폼 및 이를 포함하는 반잠수식 해양 구조물
KR20200057537A (ko) 풍력 발전기 설치를 위한 부유식 구조물, 이를 포함하는 풍력 발전기 설치 시스템 및 풍력 발전기 설치 방법
KR20140055306A (ko) 해양 구조물 탑사이드의 보조 모듈 설치구조와 그 방법
KR20200053961A (ko) 펜더 대빗 장치
KR20150004186A (ko) 부유식 해양구조물용 계류장치
KR102071010B1 (ko) 반잠수형 플랫폼의 건조 방법
KR102128793B1 (ko) 부유식 구조물 및 부유식 구조물의 계류 방법
KR20120120678A (ko) 해중 공간을 구비한 해상 부유식 구조물 및 그 직접 시공 방법
KR20110132153A (ko) 풍력 발전기 설치작업 선박
KR101194300B1 (ko) 해양구조물 조립방법
KR101757715B1 (ko) 무인잠수정의 수면 근처에서 작업 시 엄빌리컬 케이블 엉킴 방지장치
KR101750322B1 (ko) 반잠수식 부유식 생산설비의 탑재방법
KR101063726B1 (ko) 육안 연결교용 힌지 장치
KR20150008271A (ko) 부력 장치
KR101646184B1 (ko) 중장비의 이동을 위한 폰툰 및 이를 위한 폰툰용 데크
KR20160018148A (ko) 반잠수식 해양구조물의 앵커 지지 볼스터
KR101690744B1 (ko) 고정식 해양구조물 및 그 설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7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0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312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3102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